KR20210112713A - 원터치식 스프레이 건 - Google Patents

원터치식 스프레이 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12713A
KR20210112713A KR1020200028090A KR20200028090A KR20210112713A KR 20210112713 A KR20210112713 A KR 20210112713A KR 1020200028090 A KR1020200028090 A KR 1020200028090A KR 20200028090 A KR20200028090 A KR 20200028090A KR 20210112713 A KR20210112713 A KR 202101127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uid
spray gun
touch
casing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80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14472B1 (ko
Inventor
김희정
Original Assignee
김희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희정 filed Critical 김희정
Priority to KR10202000280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4472B1/ko
Publication of KR202101127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127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44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44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2/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 B05B12/002Manually-actuated controlling means, e.g. push buttons, levers or trigg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9/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 B05B9/03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characterised by means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Landscapes

  • Nozz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체를 분사하는 스프레이 건으로써,
손잡이와 케이싱으로 구성되고, 손잡이에는 유체가 유입되는 입수구가 마련되고, 케이싱에는 밸브시트가 형성된 본체; 상기 본체의 케이싱 전방에 결합되고, 분사공이 마련되어 유체가 분사될 수 있도록 하는 분사부; 상기 케이싱의 후방측에 설치되고, 사용자가 누름버튼을 누르면, 이 누름버튼과 연결된 개폐로드가 전진 또는 후진하며 유체를 공급 또는 차단하는 누름부로 이루어진 원터치식 버튼모듈로 구성되며,
이 원터치식 버튼모듈은, 상기 밸브 시트에 위치하며, 내부에 상기 입수구와 연결되고 개폐로드가 전후진하는 유로가 마련된 가이더를 구비하고, 이 가이더에 조립되며 입수구에서 공급된 유체의 압력에 의해 밸브 시트에 밀착되어 기밀을 유지하는 다이어프램이 갖추어진 것을 포함하는 기술적인 특징을 갖는 것으로 달성된다.

Description

원터치식 스프레이 건{One touch type spray gun}
본 발명은 원터치식 스프레이 건에 관한 것이다.
더 상세하게는 스프레이 건의 후방측에 원터치식 버튼모듈을 구비하여, 사용자가 누르면 유로를 개방하여 물이 분사되도록 하고, 다시 누르면 유로를 폐쇄하여 물 공급이 차단되도록 하는 것으로, 원터치식으로 구성되어 사용이 편리하고 특히 악력이 약한 어린이나 노약자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원터치식 스프레이 건에 관한 것이다.
더욱이 본 발명은 다이어프램을 구비하여 기밀을 유지하고, 그에 따라 장기간 사용에도 누수를 방지할 수 있는 원터치식 스프레인 건에 관한 것이다.
일반 가정이나 건축 구조물 또는 공사 현장 등에서 사용되는 스프레이건은, 사용 용도나 분사 범위, 분사 대상에 따라 여러 형태로 디자인되고 있다.
예를 들어, 국내 실용신안등록 제0382244호의 에어 스프레이는 , 전방에 노즐이 결합되고 내부에 상기 노즐에 연통되는 에어 관통로가 형성된 본체; 상기 본체와 일체로 결합되고 일측 말단에 상기 에어 관통로를 개시하는 에어 주입구가 형성된 손잡이; 상기 본체에 내설되어 상기 노즐의 입구를 개폐하는 푸시로드; 상기 푸시로드의 후방에 결합되어 상기 본체에 힌지 결합된 방아쇠의 동작에 의해 전후 이송하는 피스톤; 및 상기 본체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압력에 의해 수지를 상기 본체 내부로 공급하는 수지탱크;를 포함하며, 상기 수지탱크는 격막에 의해 저장공간이 구획된 구성으로, 다양한 종류의 수지를 동시에 저장하여 공급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다른 예로 공개특허 10-2018-0065272호는
살균수를 분사하는 분사노즐과 작동레버를 갖는 손잡이를 구비한 본체; 상기 본체의 하부와 결합되는 하부구조물; 상기 하부구조물을 수용하면서 상기 본체의 하부와 결합되어 원수를 저장하는 저장용기; 상기 하부구조물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저장용기에 저장된 상기 원수로부터 살균수를 생성하는 살균수생성유닛; 및 상기 분사노즐과 상기 저장용기를 서로 연결하고, 상기 작동레버의 해제에 응답하여 개방되는 솔레노이드 밸브를 포함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스프레이 건은, 유체를 분사하는데 있어서, 작동 레버를 움켜쥐어 물을 분사하고, 지속적으로 작동 레버를 당기고 있는 상태에서만 물이 연속으로 물이 분사되는 것이다. 따라서 사용이 불편하고, 특히 악력이 약한 노약자나 어린이는 사용이 불편할 수 밖에 없다.
또한, 종래의 스프레인 건은 스프링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유체가 공급되는 유로를 폐쇄, 개방되도록 하는 구성으로, 반복적인 사용으로 스프링의 탄성력이 저하되고, 누수가 발생하며 아울러 장기간 동안 사용이 불가능한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누름버튼을 눌러 유체를 분사하고, 다시 누르면 차단되는 원터치식 버튼모듈을 구비하여 사용의 편의성을 도모하고, 특히 가정 주부는 물론 어린이, 노약자도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스프레이 건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일반 가정의 욕실, 베란다 등에서 샤워, 청소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도록 하고, 아울러 각종 건축 구조물 및 작업 현장에서 여러 용도의 유체가 사용될 수 있도록 하는 스프레이 건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개페밸브부에 밸브시트를 막는 다이어프램을 구비하며 밸브시트를 완전히 밀폐시킴으로 누수를 방지하고, 내부 압력에 의해 다이어프램이 작동함으로써 장기간 동안 누수없이 사용될 수 있는 원터치식 스프레이 건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유체를 분사하는 스프레이 건으로써,
손잡이와 케이싱으로 구성되고, 손잡이에는 유체가 유입되는 입수구가 마련되며, 케이싱에는 밸브시트가 형성된 본체; 상기 본체의 케이싱 전방에 결합되고, 분사공이 마련되어 유체가 분사될 수 있도록 하는 분사부; 상기 케이싱의 후방측에 설치되고, 사용자가 누름버튼을 누르면, 이 누름버튼과 연결된 개폐로드가 전진 또는 후진하며 유체를 공급 또는 차단하는 누름부;로 이루어진 원터치식 버튼모듈로 구성되며,
이 원터치식 버튼모듈은, 상기 밸브 시트에 위치하며, 내부에 상기 입수구와 연결되고 개폐로드가 전후진하는 유로가 마련된 가이더를 구비하고, 이 가이더에 조립되며 입수구에서 공급된 유체의 압력에 의해 밸브 시트에 밀착되어 기밀을 유지하는 다이어프램이 갖추어진 것을 포함하는 기술적인 특징을 갖는 것으로 달성된다.
본 발명은 스프레이 건에 사용 동작이 편리하도로 원터치식 버튼모듈을 구비하여, 누구나 쉽게 조작하며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내부에 다이어프램을 구비하여 밸브시트에 밀착 밀폐되도록 함으로써, 누수를 방지하고, 나아가 장기간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각 구성요소가 분리 구성되어 조립이 간편하고, 제작이 편리하며 내구성이 뛰어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프레이 건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프레이 건의 전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프레이 건의 요부 확대 단면도,
도 4a, b, c, d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원터치 버튼모듈의 부품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개폐밸브부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개폐밸부부의 요부 확대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 원터치부의 동작 과정을 나타낸 요부 확대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스프레이 건의 유체 분사 과정을 나타낸 단면도.
본 발명을 실시 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부호는 동일한 구성을 의미하고, 중복되거나 발명의 의미를 한정적으로 해석되게 할 수 있는 부가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생략될 수 있다.
구체적인 설명에 앞서, 본 명세서상에 비록 단수적 표현으로 기재되어 있을지라도 국어 사용에 있어서 단수/복수를 명확하게 구분 짓지 않고 사용되는 환경과 당해 분야에서의 통상적인 용어 사용 환경에 비추어, 발명의 개념에 반하지 않고 해석상 모순되거나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이상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되었거나 기재될 수 있는 '포함한다', '갖는다', '구비한다',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등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구성요소 또는 그들 조합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설명에 앞서 본 발명에 따른 원터치식 스프레이 건은 일반 가정에서 샤워기로 사용될 수 있음과 아울러 욕실이나, 베란다에서는 청소용으로, 정원에서 물을 주는 용도 등으로 사용될 수 있고, 더 나아가 각종 건축 구조물에서 다양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물을 분사하여 샤워나 청소용으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 하지만, 필요에 따라서는 압축 공기나 오일, 페인트 등과 같은 유체를 공급하여 분사할 수 있으며, 공사 현장이나 각종 건축물에서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상세히 설명히 설명 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에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프레이 건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프레이 건의 전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프레이 건의 요부 확대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첨부된 도 4a, b, c, d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원터치 버튼모듈의 부품 사시도이고,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개폐밸브부의 단면도와 요부 확대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7, 8은 본 발명의 동작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면에서, 본 발명에 따른 스프레이 건(10)은, 하부에 손잡이(120)가 구비되고, 이 손잡이(120)의 하단 안쪽에 물을 포함하는 유체가 입수되는 입수구(122)가 마련되며, 내부에는 상기 입수부(122)와 연결된 유입로(102)가 마련된 본체(100)가 구비된 구성이다.
상기 본체(100)의 전방에는, 전면에 등간격으로 다수의 분사공(202)이 마련되어 유체가 분사될 수 있도록 하는 분사부(200)가 결합되고, 본체(100)의 후방측에는 원터치식 버튼모듈(300)이 구비되는 것이다.
상기 원터치식 버튼모듈(300)은 사용자가 누를 수 있는 누름버튼(320)과 이 누름버튼(320)과 연계되어 전진 및 후진하는 개폐로드(340)와 다이어프램(370)을 구비하여 사용이 편리하고 누수를 방지하며, 아울러 상기 개폐로드(340)가 전,후진함에 따라 개방 또는 폐쇄가 이루어지는 유로(382)가 형성된 밸브부(306)도 갖추어진 구성이다.
본체(100)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본체(100)는, 도 2를 기준으로 할때 약간 경사지게 구성된 손잡이(120)와, 수평의 케이싱(160)이 대략 "T" 형태로 구성되고, 상기 손잡이(120)의 하단에는 외부로부터 유체가 공급되도록 공급관(호스 등) 등이 연결되는 연결부(140)가 마련되며, 이 연결부(140)의 안쪽으로 유체가 유입되는 입수구(122)가 형성된 구성이다.
상기 케이싱(160)의 전방 및 후방측 각각에는 나사부(162)가 형성되고, 이들 나사부 중 전방측 나사부에는 유체가 분사되도록 하는 분사부(200)가 결합되며, 후방측 나사부에는 원터치식 버튼모듈(300)이 나사 결합되는 구성이다.
상기 케이싱(160)의 내측 중앙에는, 후술하는 다이어프램이 밀착되는 밸브시트(180)가 형성되고, 상기 손잡이(120)의 안쪽에는 입수구(122)와 연통하는 연결된 유입로(124)가 마련된다.
상기 유입로(124)는 상기 밸브시트(180) 안쪽으로 위치하는 가이더에 형성되는 유로와 연통하는 것으로, 입수구(122)로 유입된 유체는 유입로(124)를 통해 유로(182)에 공급되고, 유로를 통과한 유체는 후술하는 분사공(202)을 통해 용처에 분사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본체(100)에는 후술하는 원터치식 버튼모듈이 쉽게 장착될 수 있도록 조립공간(104)이 마련되고, 이 조립공간(104)의 수직벽은 다이어프램이 밀착되어 조립되도록 하는 말착면(102)으로 구성되는 것이다.
분사부(200)
본 발명에 따른 분사부(200)는 전면에 분사공(202)이 형성되고, 내측관(240)과 외측관(260)으로 이루어진 2중관으로 구성되도록 하되, 외측관(260)의 내면에는 상기 케이싱(160)의 전방측 나사부(162)에 나사 결합되는 암나사부가 형성되어 있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의 따른 분사부(200)는 내,외측관(240)(260) 사이에 마련된 공간에 상기 케이싱(160))의 나사부(162)가 끼워져 나사 결합됨으로써, 조립 후 3중관 즉 3중 벽을 갖는 형태로 구성되어 내구성 및 기밀성이 우수하도록 하고, 여기에 더하여 내측관(240) 및 외측관(240)(260) 각각은 케이싱(160)과 맞닿는 부위에 패킹(400)이 구비되어 기밀을 유지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분사부의 전방측 벽면(220)에 형성된 상기 분사공(202)은 등간격 또는 불규칙 간격으로 형성되고, 필요에 따라서는 살수, 샤워, 직수 선택적으로 또는 2가지 이상이 선택될 수 있는 기능이 더 부과될 수도 있다.
원터치식 버튼모듈(300)
본 발명에 따른 원터치식 버튼모듈(300)은, 상기 케이싱(160)의 후방측 나사부(162)에 나사결합되는 지지체(310)를 구비하고, 이 지지체(310)를 중심으로, 바깥쪽으로 설치되어 사용자가 누를 수 있도록하는 누름부(302)와, 지지체(310)의 안쪽으로 설치되는 원터치부(304) 그리고 상기 원터치부(304)와 연계되는 밸브부(306)로 구성되는 것이다.
누름부(302)
본 발명의 누름부(302)는, 사용자가 누를 수 있는 누름버튼(320)과 이 누름버튼(320)의 안쪽에 조립되고, 상기 지지체(310)의 후방측 벽면(314)의 중앙에 형성된 가이드공(312)에 끼워지며, 이 가이드공(312)을 따라 이동하는 밀대(335)가 갖추어진 구성이다.
상기 누름버튼(320)의 안쪽면에는 도면과 같이 끼움돌기(321)가 돌출되고, 밀대(325)에는 이에 대응하는 홈부(326)가 마련되어 억지끼워맞춤으로 조립되고, 필요에 따라서는 접착제를 도포하여 접착하는 방식으로도 조립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의 본 발명은 밀대(325)가 가이드공(312)을 따라 이동함으로써, 정확한 동작으로 개폐로드(340)를 밀어 유체가 분사 또는 차단되도록 하고, 스프레이 건의 조립이 편리하도록 하며, 아울러 제작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누름버튼(320)과 지지체(310)의 후방측 벽면(314) 사이에는 누름버튼(320)이 복원되도록 하는 스프링(330)이 개재되는 구성이다..
원터치부(304)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원터치부(304)는, 사용자가 누름버튼을 눌렀을 때 개폐로드가 이동하며 후술하는 가이더(380)에 형성된 유로(382)를 개방 또는 폐쇄하도록 하는 것으로, 개폐로드(340)와, 상기 밀대(325)에 형성된 기어부(350) 그리고, 탄성 스프링(355)으로 구성된다.
상기 개폐로드(340)는, 일측 단부에 유로(382))를 폐쇄되도록 하는 밀폐부(341)가 마련되고, 이 밀폐부(341)와 연이어 개방홈(342)이 형성된 구성으로, 이 개방홈(342)이 유로(382)로까지 이동하면 유체가 공급 분사되는 것이다.
상기 밀페부(341) 대향측에는 머리부(340a)가 구비되고, 이 머리부의 측면에 등간격으로 회전막대(343)가 바깥으로 돌출되며, 이 회전막대(343)는 제1회전부(344)와 제2회전부(345)로 구성되는 것이다.
다시 말해 상기 회전막대(343)는 머리부를 중심으로 120°간격으로 3방향에서 돌출되고, 상기 밀대(325)에 형성된 기어부(350)에 맞대어지는 제1회전부(344)와, 이 제1회전부(344)와 층을 두고 외향으로 돌출된 제2회전부(345)로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제1회전부(344)와 제2회전부(345) 각각은 상단이 경사면(346)으로 구성되고, 제1회전부(344)는 상기 밀대(325)의 기어부(350)에 접촉하며 기어의 경사면에서 미끄러지며 회전하고, 상기 제2회전부(346)는 후술하는 지지체(310)에 형성된 경사슬라이드면(316)을 따라 이동하며 회전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제2회전부(345)는 머리부(340a)에서 돌출된 제1회전부(344)와 층을 이루고 있다. 따라서 제2회전부(345)의 안쪽에는 도면과 같이 공간이 마련되고, 이 공간에 탄성스프링(355)이 끼워지는 스프링삽입부(347)가 마련되는 구성이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지지체(310)는, 내측면에 스플라인 보스와 같은 형태로 돌출면(310a)이 등간격으로 돌출되고, 이 돌출면들 사이에 가이드레일(315)과 가이드홈(315a)이 교호로 형성되는 구성이다.
상기 가이드레일(315)은 도면과 같이 지지체의 내측벽까지 깊게 파여지고, 가이드홈(315a)은 턱을 두고 형성된 구성으로, 상기 가이드레일(315)을 따라서는 제2회전부(345)가 이동할 수 있으나, 가이드홈(345)으로는 제2회전부가 이동할 수 없는 구성이다.
상기 경사슬라이드면(316)은 상기 돌출면(310a))의 단부에 형성되며, 가이드레일 또는 가이드홈이 낮게 위치하는 형태로 경사지는 구성이다.
다시 말해 상기 경사슬라이드면(316)은, 돌출면의 일측 단부에서 가이드레일 또는 가이드홈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구성되어 상기 제2회전부(345)가 이 경사슬라이드면(316)을 따라 미끄러지며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기어부(350)는 밀대(340)의 안쪽면에 일체 또는 별도로 구성되어 접합되는 구성으로, 베벨기어와 같은 형태로 구성되어, 기어 이빨의 경사면을 따라 제1회전부(344)가 회전 이동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탄성스프링(355)은 다음에 설명되는 밸브부(306)의 보디(360)와, 상기 제2회전부(345)의 안쪽에 형성된 스프링삽입부(347) 사이에 끼워져 회전막대(343)를 경사슬라이드면(316)과 기어부(355)로 탄력적으로 밀어 제1회전부(344)와 제2회전부(345)가 기어 이빨과, 슬라이드면을 따라 이동하며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도면 부호 327은 상기 가이드레일(315)과 가이드홈(315a)을 따라 밀대(325)가 흔들림 없이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돌기이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원터치부는 사용자가 한번 눌렀을 때 분사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다시 한번 누르면 물 공급이 차단되도록 하는 것이다.
사용자가 누름버튼(320)을 누르면 밀대(325)가 이동하고, 이 밀대가 개폐로드(340)를 밀어 이동시키도록 하되, 개폐로드(340)의 제2회전부(345)는 상기 가이드레일(315)을 따라 이동하는 것이다.
제2회전부(345)가 가이드레일(315)을 벗어나면, 구속력이 상실하고 동시에 제1회전부(344)의 경사면이 기어 이빨을 따라 미끄러지며 개폐로드 전체가 일정 각도 만큼 회전하는 것이다.
사용자가 누름을 해지하면 회전이 이루어진 제2회전부(345)는 경사슬라이드면(316)에 얹혀지되고, 스프링(355)이 제2회전부를 밀게됨으로써, 가이드홈(315a)까지 이동하여 걸쳐지는 것이다.
또한 사용자가 누름버튼을 다시 누르면, 제1회전부가 회전하고, 제2회전부는 인접한 경사슬라이면에 얹혀지며, 이 경사슬라이드면을 따라 가이드레일까지 이동하여, 이 가이드레일을 따라 복원되는 것이다.
밸브부(306)
본 발명에 따른 밸브부(306)는, 보디(360)와, 다이어프램(370) 그리고 가이더(380)로 구성된다.
상기 보디(360)는 중앙에 상기 개폐로드(340)가 관통하여 이동하는 관통공(361)이 형성되고, 안쪽을 패킹(400)이 설치되며, 패킹의 이탈을 방지하고 이 패킹과 함께 누수를 방지하는 이탈방지구(362)가 끼워진 구성이다. 당연히 상기 이탈방지구(362)에는 개폐로드(340)가 끼워져 이동하는 구멍(363)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보디(360)의 외측으로 돌출된 플랜지(364)는 상기 지지체(310)의 끝부분과 밀착면(106) 사이 즉, 조립공간(104)에 끼워지고 이 플랜지(364)의 외측면에 형성된 요홈(365)에는 다이어프램(370)이 끼워지는 구성이다.
다시 말해, 상기 요홈(365)에 다이어프램(370)이 끼워진 상태에서 조립공간(104)에 끼워지고, 나사부(162)에 결합되는 지지체(310)의 단부가 보디(360)의 플랜지(364)를 눌러 이탈을 방지함과 동시에 상기 다이어프램(370)이 밀착면과 밸브시트(180)에 밀착되도록 하는 구성으로 기밀을 유지하는 것이다.
상기 다이어프램(370)은 몸통(372)이 가이더(380)에 끼워맞춤으로 조립된 상태에서 외측에 마련된 고정테(374)는 상기한 요홈(365)에 끼워져 고정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가이더(380)에 형성된 조립돌기(386)가 끼워지는 끼움구멍(376)이 형성된 구성이다.
상기 가이더(380)는 중앙에 분사부(200)로 유체를 공급하는 유로(382)가 형성되고, 이 유로의 안쪽으로 기밀유지를 위한 패킹(400)이 끼워지고, 이 패킹(400)의 이탈을 방지하며 조립이 용이하도록 하는 덮개(384)가 갖추어진 구성이다.
상기 가이더(380)의 전면에는 한쌍의 조립돌기(386)가 돌출되어 상기 끼움구멍(376)에 끼워지고, 이 조립돌기 중 어느 하나에는 유입로(124)와 연결되는 유입공(388)이 형성되는 구성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다이어프램(370)은 유체의 압력에 의해 밸브시트에 밀착되어 폐쇄시킴으로써, 기밀을 유지하고 장시간을 사용하여도 누수를 방지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도면 중 390은 가이드핀이다. 이 가이드핀은 도면과 같이 상기 유입공(388)에 끼워지며, 일단의 원형 고리(392)는 보디의 안쪽에 형성된 홈부()에 걸어지는 구성으로, 가이더가 압력에 의해 이동할 때 본래의 자리로 복귀할 수 있도록 하며, 가이더를 고정시키는 한편, 가이더와 보디의 조립 위치를 잡아주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동작 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은 스프레이 건(10)은 개폐로드(340)의 밀폐부(341)가 유로(382)에 끼워진 상태로, 유로를 막아 유체 공급이 차단되고, 회전막대(343) 즉 제1회전부(344)는 밀대의 기어부(350)에 밀착된 상태이며, 제2회전부(345)는 가이드레일(315)에 끼워지고, 이동돌기(327) 또한 가이드레일과 가이드홈에 끼워진 구성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스프레이 건을 사용할 때에는 손잡이(120)를 잡고, 누름버튼(320)을 누르게 된다. 누름버튼이 이동하면 밀대()가 이동하고, 이 기어부(350)와 맞닿은 제1회전부(344) 즉 개폐로드(340)가 이동하게 된다.
이때 제1회전부(344)의 경사면(346)은 기어부(350)의 이빨의 상부에 위치하여 맞닿게 되고, 가이드레일(315)을 통과할 때까지 이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즉 밀대(325)의 이동돌기(327)와 제1회전부(344)가 가이드레일(315)에 구속되어 이동함으로써, 위치 변화없이 그대로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제1회전부(344)가 가이드레일을 벗어나면 제1회전부가 기어 이빨을 따라 미끄러져 이동하고, 그에 따라 개폐로드가 도 7(B)와 같이 회전하고,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누름버튼을 놓게 되면, 제2회전부(345)가 경사슬라이드면(316)에 걸쳐지게 되는 것이다.
다음, 제2회전부(345)는 경사슬라이드면을 따라 도 7(C)와 같이 가이드홈(315a)까지 미끄러지며, 제2회전부는 가이드홈의 턱과 인접한 돌출면에 걸리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개폐로드의 제2회전부가 경사슬라이드면에 걸쳐지면, 개페로드의 전방측 개방홈(342)이 가이더(380)에 형성된 유로에 위치하게 됨으로써, 유체가 공급되는 것이다.
물 분사 후 사용자가 누름버튼을 다시 누르면, 제1회전부가 다시 회전하고, 제2회전부는 인접한 경사슬라이드면에 걸쳐지며, 걸쳐진 상태에서 가이드레일까지 미끄러져, 가이드레일을 따라 복원되는 것이다. 이때 개폐로드는 밀페부가 패킹까지 이동함으로써, 기밀을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유입공(388)을 통해 유입되는 유체는 다이어프램에 압력을 가해 밸브 시트에 밀착시키고, 분사 후 보디와 가이더 사이에 체워지는 유체의 압력이 작용하여 밸브 시트에 완전히 밀착되어 누수를 방지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두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두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스프레이 건 100 : 본체
120 : 손잡이 124 : 유입로
200 : 분사부 202 : 분사공
300 : 원터치 버튼모듈 320 : 누름버튼
340 : 개폐로드 360 : 보디
380 : 가이더 382 : 유로

Claims (5)

  1. 유체를 분사하는 스프레이 건으로써,
    손잡이와 케이싱으로 구성되고, 손잡이에는 유체가 유입되는 입수구가 마련되고, 케이싱에는 밸브시트가 형성된 본체;
    상기 본체의 케이싱 전방에 결합되고, 분사공이 마련되어 유체가 분사될 수 있도록 하는 분사부;
    상기 케이싱의 후방측에 설치되고, 사용자가 누름버튼을 누르면, 이 누름버튼과 연결된 개폐로드가 전진 또는 후진하며 유체를 공급 또는 차단하는 누름부로 이루어진 원터치식 버튼모듈;로 구성되며,
    이 원터치식 버튼모듈은, 상기 밸브 시트에 위치하며, 내부에 상기 입수구와 연결되고 개폐로드가 전후진하는 유로가 마련된 가이더를 구비하고, 이 가이더에 조립되며 입수구에서 공급된 유체의 압력에 의해 밸브 시트에 밀착되어 기밀을 유지하는 다이어프램이 갖추어진 것을 포함하는 원터치식 스프레이 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원터치식 버튼모듈은, 본체의 후방에 나사 결합 방식으로 조립되는 지지체와, 이 지지체의 후방측벽에 형성된 가이드구멍에 끼워지고 상기 누름버튼에 조립되어 사용자가 누름버튼을 누르면 이동하여 개폐로드를 밀어 전진 및 후진시키는 밀대와, 상기 누름버튼과 지지체 사이에 개재되어 누름버튼과 밀대가 복원되도록 하는 스프링으로 이루어진 누름부가 구비된 것을 포함하는 원터치식 스프레이 건.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로드는 일측 단부에 유로를 막아 밀폐시키는 밀폐부와, 이 밀폐부와 연이어 유로를 개방하는 개방홈이 형성되고, 이들의 대향측에 회전막대가 구비된 것을 포함하는 원터치식 스프레이 건.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막대는 제1회전부와 제2회전부로 구성되고, 상기 제2회전부의 스프링이 끼우지는 스프링삽입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 2회전부 각각은 슬라이딩면과 기어부를 따라 미끄러지며 회전할 수 있도록 경사면으로 구성된 것을 포함하는 원터치식 스프레이 건.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더는 중앙에 분사부로 유체를 공급하는 유로가 형성되고, 이 유로의 안쪽으로 기밀유지를 위한 패킹)이 끼워지고, 이 패킹의 이탈을 방지하며 조립이 용이하도록 하는 덮개가 갖추어지며,
    전면에는 한쌍의 조립돌기가 돌출되고, 이 조립돌기 중 어느 하나에는 유입로와 연결되는 유입공이 형성된 것을 포함하는 원터치식 스프레이 건.
KR1020200028090A 2020-03-06 2020-03-06 원터치식 스프레이 건 KR1023144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8090A KR102314472B1 (ko) 2020-03-06 2020-03-06 원터치식 스프레이 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8090A KR102314472B1 (ko) 2020-03-06 2020-03-06 원터치식 스프레이 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2713A true KR20210112713A (ko) 2021-09-15
KR102314472B1 KR102314472B1 (ko) 2021-10-18

Family

ID=777933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8090A KR102314472B1 (ko) 2020-03-06 2020-03-06 원터치식 스프레이 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1447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415068A (zh) * 2022-08-26 2022-12-02 力奇有限公司 水枪
KR102566267B1 (ko) * 2022-12-02 2023-08-11 알엔에이티 주식회사 연속 분사가 가능한 워터 건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189111A1 (en) * 2001-06-04 2003-10-09 L.R. Nelson Corporation One touch actuated valve
KR100778894B1 (ko) * 2007-08-03 2007-11-22 주식회사 태광 대유량 스트레이트 다이어프램 밸브
KR101597258B1 (ko) * 2015-03-27 2016-02-24 (주)워피온 정수기용 코크 밸브 및 밸브 조립체
KR200490037Y1 (ko) * 2019-04-17 2019-09-11 트랜드 주식회사 원터치 작동방식 욕실 청소용 물분사 헤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189111A1 (en) * 2001-06-04 2003-10-09 L.R. Nelson Corporation One touch actuated valve
KR100778894B1 (ko) * 2007-08-03 2007-11-22 주식회사 태광 대유량 스트레이트 다이어프램 밸브
KR101597258B1 (ko) * 2015-03-27 2016-02-24 (주)워피온 정수기용 코크 밸브 및 밸브 조립체
KR200490037Y1 (ko) * 2019-04-17 2019-09-11 트랜드 주식회사 원터치 작동방식 욕실 청소용 물분사 헤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415068A (zh) * 2022-08-26 2022-12-02 力奇有限公司 水枪
CN115415068B (zh) * 2022-08-26 2024-05-17 力奇有限公司 水枪
KR102566267B1 (ko) * 2022-12-02 2023-08-11 알엔에이티 주식회사 연속 분사가 가능한 워터 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14472B1 (ko) 2021-10-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14472B1 (ko) 원터치식 스프레이 건
CN109890512A (zh) 用于淋浴头的暂停组件
TW550120B (en) Multiple function dispenser
CN106174704B (zh) 可填充装置
KR100897859B1 (ko) 풀아웃형 수도꼭지
RU2434687C2 (ru) Сборка регулятора разбрызгивания крана
US7201332B2 (en) Adjustable spray nozzle
WO2006065592A3 (en) Pressure washer trigger lock
JPH0214765A (ja) 散水用ノズル
US20220341146A1 (en) Bidet washing apparatus with disinfectant wash feature
US11814834B2 (en) Bidet washing apparatus with disinfectant wash feature
WO2002057669A1 (en) Hydraulic and pneumatic operative diaphragm valve
US10232989B2 (en) Spout with liquid dispensing valve
US3474938A (en) Sprayer and dispenser mechanism
TWI629931B (zh) 使液體流入或流出之裝置
CN219863092U (zh) 一种调压防泄漏室外地上消火栓
US20070045447A1 (en) Handgrip powered pressurized air sprayer
US3670966A (en) Spray control valve
US20230100608A1 (en) Bidet washing apparatus with disinfectant wash feature
US2849208A (en) Valve mechanism for sprayers
CN201738392U (zh) 防病菌的清洁洗手器
JP2015174071A (ja) スプレー装置
WO2021051771A1 (zh) 一种新型香水泵
CN214864568U (zh) 一种多液体喷壶
KR102076315B1 (ko) 버튼형 샤워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