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12476A - 연안 안전관리용 스마트보드 시스템 - Google Patents

연안 안전관리용 스마트보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12476A
KR20210112476A KR1020200027525A KR20200027525A KR20210112476A KR 20210112476 A KR20210112476 A KR 20210112476A KR 1020200027525 A KR1020200027525 A KR 1020200027525A KR 20200027525 A KR20200027525 A KR 20200027525A KR 20210112476 A KR20210112476 A KR 202101124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mart board
coastal
camera
module
sm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75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54419B1 (ko
Inventor
양찬수
김태호
Original Assignee
한국해양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해양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해양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2000275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4419B1/ko
Publication of KR202101124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124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44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44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7Gesture based interaction, e.g. based on a set of recognized han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G06F3/167Audio in a user interface, e.g. using voice commands for navigating, audio feedback
    • G06K9/00771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06V20/50Context or environment of the image
    • G06V20/52Surveillance or monitoring of activities, e.g. for recognising suspicious object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8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the presence of persons in a body of water, e.g. a swimming pool; responsive to an abnormal condition of a body of water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10L15/22Procedures used during a speech recognition process, e.g. man-machine dialogue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25/00Speech or voice analysis techniques not restricted to a single one of groups G10L15/00 - G10L21/00
    • G10L25/48Speech or voice analysis techniques not restricted to a single one of groups G10L15/00 - G10L21/00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
    • G10L25/51Speech or voice analysis techniques not restricted to a single one of groups G10L15/00 - G10L21/00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 for comparison or discrimin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7Mechanical or electrical details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95Control of camera direction for changing a field of view, e.g. pan, tilt or based on tracking of objects
    • H04N5/2257
    • H04N5/23299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mergency Alarm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연안 안전관리용 스마트보드 시스템은, 연안 안전을 관리하는 관제센터; 연안 위험영역에 설치되어 상기 위험영역을 안내하는 스마트보드;및 상기 스마트보드를 제어하는 스마트보드 제어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스마트보드는 이용객의 위험영역에서의 위험상황를 인식하여 상기 위험상황 여부를 상기 스마트보드 제어서버를 통해 상기 관제센터로 송신하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해당 연안의 위험영역을 표시하는 스마트보드를 포함하여 상기 해당 연안 이용객에게 위험 영역을 인지할 수 있도록하고, 상기 스마트보드에 카메라 및 음성인식모듈을 포함하여 상기 위험영역에서 위험에 처한 이용객을 모니터링 할 수 있다.

Description

연안 안전관리용 스마트보드 시스템{Smart board system for safety management of coastal area}
본 발명은 연안 안전관리용 스마트보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해당 연안의 위험영역을 표시하는 스마트보드를 포함하여 상기 해당 연안 이용객에게 위험 영역을 인지할 수 있도록하고, 상기 스마트보드에 카메라 및 음성인식모듈을 포함하여 상기 위험영역에서 위험에 처한 이용객을 모니터링 할 수 있는 연안 안전관리용 스마트보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국민소득의 증가와 주 5일 근무제의 정착 등 사회적 여건 변화에 따라 경제적, 시간적 여유가 증대되면서 바닷가 등 연안을 중심으로 한 체험 캠프 활동, 관광, 해양스포츠 등 이용객들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연안 여가활동 등에 따른 해안가, 갯벌, 방파제, 항구 및 포구 등 연안 해역에서 안전사고가 해양사고의 90%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이는 지형적인 문제, 조석차이, 개인의 부주의 등으로 갯바위 또는 갯벌에서 고립되거나, 익수, 추락 사고 등이 일어나고 있다.
또한, 연안 위험요소에 대한 체계적 관리가 이루어 지지 않는 문제가 있다.
연안 해역 이용객의 경우, 위험지역의 유무, 조석차이에 따른 지형 변화 등을 자세히 인지하는 것이 불가능하고, 여름 피서철에 배치되는 안전요원은 한정적이며, 넓은 연안 해역의 모든 사고를 관리하는데 어려움이 따른다.
따라서, 안전요원과 장비의 한계를 극복하고, 사고를 미연에 예방할 수 있는 보조적인 장비가 필요한 실정이다.
국내등록특허 제10-1488214호
본 발명은 해당 연안의 위험영역을 표시하는 스마트보드를 포함하여 상기 해당 연안 이용객에게 위험 영역을 인지할 수 있도록하고, 상기 스마트보드에 카메라 및 음성인식모듈을 포함하여 상기 위험영역에서 위험에 처한 이용객을 모니터링 할 수 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연안 안전관리용 스마트보드 시스템은, 연안 안전을 관리하는 관제센터; 연안 위험영역에 설치되어 상기 위험영역을 안내하는 스마트보드;및 상기 스마트보드를 제어하는 스마트보드 제어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스마트보드는 이용객의 위험영역에서의 위험상황를 인식하여 상기 위험상황 여부를 상기 스마트보드 제어서버를 통해 상기 관제센터로 송신하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
여기서, 특히 상기 스마트보드는, 상기 위험영역을 모니터링하는 카메라모듈;및 상기 위험영역에서 설정된 특정 단어를 음성인식하는 음성인식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음성인식모듈에 상기 설정된 특정 단어가 음성인식되면 위험상황으로 판단하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
여기서, 특히 상기 카메라모듈은, 상기 위험영역을 촬영하는 카메라; 상기 카메라를 구동하는 틸팅부; 상기 위험영역을 비추는 조명부;및 상기 카메라모듈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
여기서, 특히 상기 음성인식모듈에 설정된 특정 단어가 인식되면, 상기 카메라를 음성인식이 된 방향으로 틸팅하여 상기 위험상황을 촬영하여 상기 관제센터로 송신하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
여기서, 특히 상기 스마트보드는, 디스플레이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모듈은 상기 이용객의 터치 또는 음성을 인식하여, 상기 위험영역에 대한 정보를 화면을 통해 제공하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
여기서, 특히 상기 스마트보드는, 상기 위험영역 내에 이용객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센서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센서모듈에 움직임이 센싱되면 위험상황으로 판단하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해당 연안의 위험영역을 표시하는 스마트보드를 포함하여 상기 해당 연안 이용객에게 위험 영역을 인지할 수 있도록하고, 상기 스마트보드에 카메라 및 음성인식모듈을 포함하여 상기 위험영역에서 위험에 처한 이용객을 모니터링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 연안 안전관리용 스마트보드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스마트보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카메라모듈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 스마트보드의 형상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이를 상세한 설명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설명 과정에서 이용되는 숫자(예를 들어, 제1, 제2 등)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한 식별기호에 불과하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와 "연결된다" 거나 "접속된다" 등으로 언급된 때에는, 상기 일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와 직접 연결되거나 또는 직접 접속될 수도 있지만,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존재하지 않는 이상, 중간에 또 다른 구성요소를 매개하여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 연안 안전관리용 스마트보드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스마트보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카메라모듈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 스마트보드의 형상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연안 안전관리용 스마트보드 시스템은, 관제센터(100), 스마트보드 제어서버(200) 및 스마트보드(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관제센터(100)는 해당 연안의 안전을 관리한다.
상기 스마트보드 제어서버(200)는 상기 스마트보드(300)를 제어한다.
상기 스마트보드(300)는 연안 위험영역에 설치되어 상기 위험영역을 안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마트보드(300)는 이용객의 위험영역에서의 위험상황을 인식하여 상기 위험여부를 상기 스마트보드 제어서버(200)를 통해 상기 관제센터(100)로 송신할 수 있다.
상기 스마트보드(300)는 일 실시 예로 키오스크 일 수 있다.
상기 위험영역은 관제센터(100)에서 설정할 수 있고 상기 위험영역은 범위 또는 지점(point)이 될 수있다. 상기 스마트보드(300)는 위험영역으로 설정된 구역에 일정범위마다 설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로, 해변에 상기 스마트보드(300)가 설치될 수 있고, 일정범위 예를 들면 100m마다 스마트보드가 설치되어 해당 범위에서의 위험영역을 해당 스마트보드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위험영역은 이전 해양사고의 통계에 따라 실시간으로 업데이트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위험영역 안내로 설명하지만, 연안에서 일어날 수 있는 위험에 관하여 이용객이 필요로 할 수 있는 위험상황과 관련된 모든 정보를 스마트보드에서 안내할 수 있다.
상기 스마트보드(300)는 카메라모듈(310), 음성인식모듈(320), 스피커모듈(330) 및 센서모듈(3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카메라모듈(310)은 상기 위험영역을 모니터링한다.
상기 음성인식모듈(320)은 상기 위험영역에서 설정된 특정 단어가 음성인식한다. 예를 들어, 상기 특정 단어는 "살려주세요" 또는 "도와주세요"와 같은 단어일 수 있다. 상기 특정 단어는 설정으로 변경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상기 음성인식모듈(320)에서 설정된 특정 단어가 음성인식되면, 상기 음성인식모듈(320)은 상기 특정 단어에 대한 신호를 상기 스마트보드 제어서버(200)로 송신하고, 상기 스마트보드 제어서버(200)는 음성인식된 신호를 분석하여 설정된 특정 단어라고 판단되면 위험상황으로 판단한다. 위험상황으로 판단되면, 상기 스마트보드 제어서버(200)는 해당 사실을 관제센터(100)로 송신할 수 있다.
상기 스피커모듈(330)은 위험영역에 대한 정보를 음성안내하거나, 상기 관제센터(100)의 알림을 음성안내할 수 있다.
상기 센서모듈(340)은 위험영역 내에 이용객의 움직임을 감지한다. 일 실시 예로, 상기 스마트보드(300)는 이용객의 진입 자체가 위험한 위험영역 내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이용객이 상기 위험영역 내로 진입하면 상기 센서모듈(340)은 상기 이용객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스마트보드 제어서버(200)를 통해 관제센터(100)로 송신한다. 관제센터(100)는 스마트보드 제어서버(200)를 이용하여 해당 스마트보드의 카메라모듈(310)을 통해 상기 위험영역 내로 이용객 진입여부를 확인하고 안전예방을 위한 조치를 취할 수 있다.
상기 센서모듈(340)은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는 장치를 이용할 수 있으며, 그 종류에 제한을 두지 않는다. 상기 센서모듈(340)은 스마트보드(300) 내에 설치될 수도 있고, 스마트보드(300)와 별도로 설치되어 상기 센서모듈(340)에 움직임이 감지되면 움직임 감지신호를 상기 스마트보드(300)에 전송하는 것도 가능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카메라모듈(310)은 카메라(311), 틸팅부(312), 제어부(313) 및 조명부(31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카메라(311)는 상기 위험영역을 촬영한다. 상기 카메라(311)에서 촬영된 영상은 필요한 경우 스마트보드 제어서버(200)를 통해 관제센터(100)로 송신된다.
상기 틸팅부(312)는 상기 카메라(311)를 구동한다. 상기 카메카(311)는 틸팅부(312)에 의해 상하좌우 회전이 가능하고,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조명부(314)는 상기 위험영역을 비출 수 있다. 어두운 지역이나 해가 진 후 조명부(314)를 on하여 상기 카메라(311)가 위험영역에 대한 촬영을 보다 선명하게 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313)는 상기 카메라모듈(310)을 제어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위험영역에서 위험상황이 인식된 경우, 예를 들면 음성인식모듈(320)에 설정된 특정 단어가 음성인식되면 상기 제어부(313)는 상기 카메라(311)를 음성인식이 된 방향으로 상기 틸팅부(312)의 구동을 통해 작동시킨다. 즉, 상기 카메라(311)를 음성인식이 된 방향으로 틸팅한다.
또한, 다른 예로 센서모듈(340)에 이용객의 움직임이 센싱된 경우, 상기 제어부(313)는 상기 카메라(311)를 움직임이 감지된 방향으로 상기 틸팅부(312)의 구동을 통해 작동시킨다. 즉, 상기 카메라(311)를 움직임이 감지된 방향으로 틸팅한다.
또한, 보다 선명하고 구체적인 촬영을 위해 상기 제어부(313)는 카메라(311)를 줌인 또는 줌아웃하거나 상기 조명부(314)를 on할 수 있다. 상기 촬영된 위험상황은 관제센터(100)로 송신될 수 있다.
상기 스마트보드(300)는 디스플레이모듈(3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모듈(350)은 이용객의 터치 또는 음성을 인식하여 위험영역에 대한 정보를 화면을 통해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누구든지 변형 가능한 다양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본다.
100 관제센터 200 스마트보드 제어서버
300 스마트보드 310 카메라모듈
311 카메라 312 틸팅부
313 제어부 314 조명부
320 음성인식모듈 330 스피커모듈
340 센서모듈 350 디스플레이모듈

Claims (6)

  1. 연안 안전을 관리하는 관제센터;
    연안 위험영역에 설치되어 상기 위험영역을 안내하는 스마트보드;및
    상기 스마트보드를 제어하는 스마트보드 제어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스마트보드는 이용객의 위험영역에서의 위험상황를 인식하여 상기 위험상황 여부를 상기 스마트보드 제어서버를 통해 상기 관제센터로 송신하는,
    연안 안전관리용 스마트보드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보드는,
    상기 위험영역을 모니터링하는 카메라모듈;및
    상기 위험영역에서 설정된 특정 단어를 음성인식하는 음성인식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음성인식모듈에 상기 설정된 특정 단어가 음성인식되면 위험상황으로 판단하는,
    연안 안전관리용 스마트보드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모듈은,
    상기 위험영역을 촬영하는 카메라;
    상기 카메라를 구동하는 틸팅부;
    상기 위험영역을 비추는 조명부;및
    상기 카메라모듈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연안 안전관리용 스마트보드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인식모듈에 설정된 특정 단어가 인식되면, 상기 카메라를 음성인식이 된 방향으로 틸팅하여 상기 위험상황을 촬영하여 상기 관제센터로 송신하는,
    연안 안전관리용 스마트보드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보드는,
    디스플레이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모듈은 상기 이용객의 터치 또는 음성을 인식하여, 상기 위험영역에 대한 정보를 화면을 통해 제공하는,
    연안 안전관리용 스마트보드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보드는,
    상기 위험영역 내에 이용객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센서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센서모듈에 움직임이 센싱되면 위험상황으로 판단하는,
    연안 안전관리용 스마트보드 시스템.
KR1020200027525A 2020-03-05 2020-03-05 연안 안전관리용 스마트보드 시스템 KR1023544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7525A KR102354419B1 (ko) 2020-03-05 2020-03-05 연안 안전관리용 스마트보드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7525A KR102354419B1 (ko) 2020-03-05 2020-03-05 연안 안전관리용 스마트보드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2476A true KR20210112476A (ko) 2021-09-15
KR102354419B1 KR102354419B1 (ko) 2022-01-20

Family

ID=777935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7525A KR102354419B1 (ko) 2020-03-05 2020-03-05 연안 안전관리용 스마트보드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54419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50785A (ko) * 2012-10-21 2014-04-30 이승철 소리 주파수 정보 분석 시스템과 경보 시스템 및 구조 요청 시스템에 관한 인터페이스
KR101488214B1 (ko) 2014-07-11 2015-01-30 (주)지오시스템리서치 카메라 영상을 이용한 조간대 지형 변화 모니터링 장치 및 그 방법
KR20160088990A (ko) * 2015-01-16 2016-07-27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안전 부표
KR101696277B1 (ko) * 2016-07-29 2017-01-13 세영정보통신(주) 구조 신호 및 인명 사고 예방용 다자간 무선 휴대 단말기
KR101709751B1 (ko) * 2015-11-24 2017-02-24 주식회사 지오멕스소프트 해변의 입수자에 대한 자동 위험 감시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50785A (ko) * 2012-10-21 2014-04-30 이승철 소리 주파수 정보 분석 시스템과 경보 시스템 및 구조 요청 시스템에 관한 인터페이스
KR101488214B1 (ko) 2014-07-11 2015-01-30 (주)지오시스템리서치 카메라 영상을 이용한 조간대 지형 변화 모니터링 장치 및 그 방법
KR20160088990A (ko) * 2015-01-16 2016-07-27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안전 부표
KR101709751B1 (ko) * 2015-11-24 2017-02-24 주식회사 지오멕스소프트 해변의 입수자에 대한 자동 위험 감시 시스템
KR101696277B1 (ko) * 2016-07-29 2017-01-13 세영정보통신(주) 구조 신호 및 인명 사고 예방용 다자간 무선 휴대 단말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54419B1 (ko) 2022-0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49689B1 (ko) 영상자동팝업기능이 구비된 감시통제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JP2019526187A (ja) 管制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20190065829A1 (en) Decreasing lighting-induced false facial recognition
US8411907B2 (en) Device function modification method and system
KR101350036B1 (ko) 전광판의 이상 여부 판단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광판의 이상 여부 판단 방법
JP2011081982A (ja) 照明制御装置及び方法
KR101455200B1 (ko) 학습 모니터링 장치 및 학습 모니터링 방법
CN208849903U (zh) 考试智能监控系统及装置
KR20190092227A (ko) 지능형 영상 분석에 의한 실영상 및 녹화영상 검색 시스템
WO2006052004A1 (ja) 虹彩認証装置
KR101508290B1 (ko) 주야간 감시장치 및 그를 이용한 수상 감시시스템
CN110930622A (zh) 一种供配电区域电子告警装置
US20100020174A1 (en) Display system
KR20200056502A (ko) 학습환경 제어 시스템
CN100589135C (zh) 自动门铃及其实现方法
KR102354419B1 (ko) 연안 안전관리용 스마트보드 시스템
KR100822709B1 (ko) 감시장치
KR101729911B1 (ko) 열상카메라와 메가픽셀 카메라가 일체형으로 구성된 감지 카메라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감지 시스템
KR20230087008A (ko) 스마트 폴을 이용한 위험상황 정보 처리장치
JP4954459B2 (ja) 不審人物検出装置
KR20170129523A (ko) 횡단보도용 조명 스마트 제어 시스템
KR101223606B1 (ko) 엘리베이터를 위한 지능형 영상 감시 시스템
KR20050003655A (ko) 엘리베이터용 보안카메라 장치
CN202475659U (zh) 海港边检智能监控查验装置
KR102211734B1 (ko) 영상 보정 필터를 이용한 영상 감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