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12440A - 겨드랑이 부위 땀 흡수 및 냄새 방지용 기능성 발열 속옷 - Google Patents

겨드랑이 부위 땀 흡수 및 냄새 방지용 기능성 발열 속옷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12440A
KR20210112440A KR1020200027262A KR20200027262A KR20210112440A KR 20210112440 A KR20210112440 A KR 20210112440A KR 1020200027262 A KR1020200027262 A KR 1020200027262A KR 20200027262 A KR20200027262 A KR 20200027262A KR 20210112440 A KR20210112440 A KR 202101124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derwear
pad
fabric
armpit
absorbent p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72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54600B1 (ko
Inventor
심향택
Original Assignee
심향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심향택 filed Critical 심향택
Priority to KR10202000272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4600B1/ko
Publication of KR202101124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124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46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46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9/00Undergarments
    • A41B9/12Protective undergar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84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bsorbent pads
    • A61F13/8405Additives, e.g. for odour, disinfectant or pH contro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5/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 A61L15/16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 A61L15/42Use of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 A61L15/46Deodorants or malodour counteractants, e.g. to inhibit the formation of ammonia or bacteria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201/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09D5/14Paints containing biocides, e.g. fungicides, insecticides or pestic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0Additives non-macromolecular
    • C09D7/61Additives non-macromolecular inorganic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2300/00Details of shirts, underwear, baby linen or handkerchief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1B2300/20Inser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shirts, underwear, baby linen or handkerchief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1B2400/34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shirts, underwear, baby linen or handkerchief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antimicrobial or antibacterial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shirts, underwear, baby linen or handkerchief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1B2400/36Deodorising or perfuming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shirts, underwear, baby linen or handkerchief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1B2400/60Moisture handling or wicking function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2500/00Materials for shirts, underwear, baby linen or handkerchief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1B2500/50Synthetic resins or rubbers
    • A41B2500/54Synthetic resins or rubbers in coated for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84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bsorbent pads
    • A61F13/8405Additives, e.g. for odour, disinfectant or pH control
    • A61F2013/8408Additives, e.g. for odour, disinfectant or pH control with odour contro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84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bsorbent pads
    • A61F13/8405Additives, e.g. for odour, disinfectant or pH control
    • A61F2013/8408Additives, e.g. for odour, disinfectant or pH control with odour control
    • A61F2013/8414Additives, e.g. for odour, disinfectant or pH control with odour control with anti-microbic
    • A61F2013/8417Additives, e.g. for odour, disinfectant or pH control with odour control with anti-microbic being anti-mycosi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Plant Path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Hematology (AREA)
  • Chemical Or Physical Treatment Of Fibers (AREA)
  • Treatments For Attaching Organic Compounds To Fibrous Goods (AREA)
  • Undergarments, Swaddling Clothes, Handkerchiefs Or Underwear Materials (AREA)

Abstract

다른 신체 부위보다 땀샘이 많고 발열이 더 나는 겨드랑이 부위에만 별도로 흡수성 패드를 배치시키는 것에 의해 기능성 발열 속옷의 사용시 겨드랑이 부위에 땀이 차거나 냄새로 인한 불쾌함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겨드랑이 부위 땀 흡수 및 냄새 방지용 기능성 발열 속옷에 대하여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겨드랑이 부위 땀 흡수 및 냄새 방지용 기능성 발열 속옷은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되며, 발열성 합성섬유 재질로 이루어진 속옷 원단; 및 상기 속옷 원단 중 사용자의 겨드랑이 부위와 대응되는 위치에만 선택적으로 배치된 흡수성 패드;를 포함하며, 상기 흡수성 패드는, 상기 사용자의 겨드랑이 부위에서 발생하는 땀을 흡수하고 냄새를 제거하기 위해 흡수성 및 방향성을 갖는 방향성 흡수 섬유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겨드랑이 부위 땀 흡수 및 냄새 방지용 기능성 발열 속옷{FUNCTIONAL FEVER UNDERWEAR FOR ABSORBING SWEAT IN THE ARMPIT AREA AND PREVENTING ODORS}
본 발명은 겨드랑이 부위 땀 흡수 및 냄새 방지용 기능성 발열 속옷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다른 신체 부위보다 땀샘이 많고 발열이 더 나는 겨드랑이 부위에만 별도로 흡수성 패드를 배치시키는 것에 의해 기능성 발열 속옷의 사용시 겨드랑이 부위에 땀이 차거나 냄새로 인한 불쾌함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겨드랑이 부위 땀 흡수 및 냄새 방지용 기능성 발열 속옷에 관한 것이다.
최근 산업의 고도화와 더불어 여가 생활과 레저 문화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이에 따라, 섬유 의류 제품에 있어서도 신체의 보호, 신분의 표현 등의 기본적인 개념을 벗어나 쾌적한 기능성 섬유에 대한 기대가 강렬하게 요구되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웰빙 트렌드에 맞추어 보다 쾌적하고 편안한 소재를 바라는 소비자들의 요구가 늘어나고 있어 스포츠 의류에서만 사용되어 오던 기능성 소재가 속옷에까지 그 사용이 확대되고 있다.
최근, 기능성 속옷은 몸의 체온을 유지시키고 높이기 위해 착용하는 발열 속옷에 대한 연구에까지 이르게 되었다.
따라서, 추운 겨울철에 발열 속옷을 착용하게 되면, 부피가 크고 무거운 외투를 착용하지 않더라도 추위로부터 체온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발열 속옷은 다른 신체 부위보다 땀샘이 많고 발열이 더 나는 겨드랑이 부위에 땀이 많이 차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때, 발열 속옷의 겨드랑이 부위에 흡수된 땀은 미생물이나 곰팡이 등이 번식하게 되어 악취를 발생시킬 뿐만 아니라 피부를 자극하여 가려움증이나 염증을 일으킨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85576호(2017.11.06. 공고)
본 발명의 목적은 다른 신체 부위보다 땀샘이 많고 발열이 더 나는 겨드랑이 부위에만 별도로 흡수성 패드를 배치시키는 것에 의해 기능성 발열 속옷의 사용시 겨드랑이 부위에 땀이 차거나 냄새로 인한 불쾌함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겨드랑이 부위 땀 흡수 및 냄새 방지용 기능성 발열 속옷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겨드랑이 부위 땀 흡수 및 냄새 방지용 기능성 발열 속옷은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되며, 발열성 합성섬유 재질로 이루어진 속옷 원단; 및 상기 속옷 원단 중 사용자의 겨드랑이 부위와 대응되는 위치에만 선택적으로 배치된 흡수성 패드;를 포함하며, 상기 흡수성 패드는, 상기 사용자의 겨드랑이 부위에서 발생하는 땀을 흡수하고 냄새를 제거하기 위해 흡수성 및 방향성을 갖는 방향성 흡수 섬유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흡수성 패드는 상기 속옷 원단과 일체형으로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속옷 원단 또는 흡수성 패드에는 체결 부재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흡수성 패드는 상기 체결 부재에 탈부착되는 분리형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흡수성 패드는 제1 패드 원단; 상기 제1 패드 원단의 양면에 코팅된 제1 항균 코팅층; 상기 제1 패드 원단과 대면하는 제2 패드 원단; 상기 제2 패드 원단의 양면에 코팅된 제2 항균 코팅층; 및 상기 제1 및 제2 항균 코팅층이 각각 형성된 제1 및 제2 패드 원단 사이에 배치된 흡수재;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1 및 제2 항균 코팅층 각각은 20 ~ 50㎛의 두께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제1 및 제2 항균 코팅층 각각은 1 ~ 3nm의 평균 입경을 갖는 토르말린 5 ~ 10 중량%; 1 ~ 3nm의 평균 입경을 갖는 광물질 3 ~ 7 중량%; 및 나머지 바인더 수지;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및 제2 항균 코팅층 각각은 3 ~ 7 중량%로 첨가되는 첨가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첨가제는 분산제, 가교제, 촉진제 및 안료 중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겨드랑이 부위 땀 흡수 및 냄새 방지용 기능성 발열 속옷은 발열성 합성섬유 재질로 이루어진 속옷 원단 중 다른 신체 부위보다 땀샘이 많고 발열이 더 나는 겨드랑이 부위에만 별도로 흡수성 패드가 결합된 구조를 갖는다.
특히, 본 발명의 흡수성 패드는 원적외선 방사 기능을 갖는 토르말린 및 항균 및 소취 기능을 갖는 광물질을 바인더 수지로 결합시킨 것이 이용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기능성 발열 속옷의 사용시 겨드랑이 부위에만 흡수성 패드가 배치되므로, 겨드랑이 부위에 땀이 차거나 냄새로 인한 불쾌함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면서 추운 겨울철에 겨드랑이 부위를 제외한 신체 부위의 체온을 유지시키거나 높일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겨드랑이 부위 땀 흡수 및 냄새 방지용 기능성 발열 속옷을 나타낸 모식도.
도 2는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겨드랑이 부위 땀 흡수 및 냄새 방지용 기능성 발열 속옷을 나타낸 모식도.
도 3은 도 1의 흡수성 패드를 확대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도 3의 Ⅲ-Ⅲ'선을 따라 절단하여 나타낸 단면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겨드랑이 부위 땀 흡수 및 냄새 방지용 기능성 발열 속옷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겨드랑이 부위 땀 흡수 및 냄새 방지용 기능성 발열 속옷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겨드랑이 부위 땀 흡수 및 냄새 방지용 기능성 발열 속옷(100)은 속옷 원단(120) 및 흡수성 패드(140)를 포함한다.
속옷 원단(120)은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되며, 발열성 합성섬유 재질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발열성 합성섬유는 발열 직물, 면상발열체, 스판덱스 등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가 이용될 수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발열 특성을 갖는 소재라면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다.
발열성 합성섬유 재질로 이루어진 속옷 원단(120)은 추운 겨울철에 실내 또는 실외에서 착용할 시, 몸의 체온을 유지시키거나 높이게 된다. 이에 따라, 추운 겨울철 외부 또는 내부에서 활동시 추위로부터 체온을 유지할 수 있으므로, 부피가 크고 무거운 외투를 착용하지 않아도 되므로 활동이 자유로워지며, 난방 비용 등을 절감할 수 있게 된다.
흡수성 패드(140)는 속옷 원단(120) 중 사용자의 겨드랑이 부위와 대응되는 위치에만 선택적으로 배치된다. 이러한 흡수성 패드(140)는 사용자의 겨드랑이 부위에서 발생하는 땀을 흡수하고 냄새를 제거하기 위해 흡수성 및 방향성을 갖는 방향성 흡수 섬유 재질로 이루어진다.
흡수성 패드(140)는 타원형, 원형 등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그 형상은 다양한 형태로 적용될 수 있다.
도 1에서는 흡수성 패드(140)가 박음질 처리에 의해 속옷 원단(120)과 일체형으로 결합된 것을 일 예로 나타내었다. 이에 따라, 흡수성 패드(140)가 박음질 처리에 의해 속옷 원단(120)에 고정되는 형태로 결합될 수 있다.
도면으로 상세히 나타내지는 않았지만, 속옷 원단(120) 또는 흡수성 패드(140)에는 체결 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흡수성 패드(140)는 체결 부재에 탈부착되는 분리형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체결 부재로는 단추, 밴드, 벨크로 등이 이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즉, 체결 부재로는 속옷 원단(120)에 흡수성 패드(140)를 안정적으로 결합시킬 수 있는 것이라면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겨드랑이 부위 땀 흡수 및 냄새 방지용 기능성 발열 속옷(100)은 다른 신체 부위보다 땀샘이 많고 발열이 더 나는 겨드랑이 부위에만 별도로 흡수성 패드(140)를 배치시킨 구조를 갖는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기능성 발열 속옷(100)의 사용시 겨드랑이 부위에만 흡수성 패드(140)가 배치되므로, 겨드랑이 부위에 땀이 차거나 냄새로 인한 불쾌함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면서 추운 겨울철에 겨드랑이 부위를 제외한 신체 부위의 체온을 유지시키거나 높일 수 있게 된다.
도 1에서는 긴소매 기능성 발열 속옷(100)을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반소매, 민소매 등의 기능성 발열 속옷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한 사실일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겨드랑이 부위 땀 흡수 및 냄새 방지용 기능성 발열 속옷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겨드랑이 부위 땀 흡수 및 냄새 방지용 기능성 발열 속옷(100)은 민소매 기능성 발열 속옷인 것을 제외하고는 도 1에서 도시하고 설명한 긴소매 기능성 발열 속옷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즉, 속옷 원단(120)은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되며, 발열성 합성섬유 재질로 이루어지고, 흡수성 패드(140)는 속옷 원단(120) 중 사용자의 겨드랑이 부위와 대응되는 위치에만 선택적으로 배치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겨드랑이 부위 땀 흡수 및 냄새 방지용 기능성 발열 속옷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도 1의 흡수성 패드를 확대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3의 Ⅲ-Ⅲ'선을 따라 절단하여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수성 패드(140)는 제1 패드 원단(141), 제1 항균 코팅층(142), 제2 패드 원단(143), 제2 항균 코팅층(144) 및 흡수재(145)를 포함한다.
제1 패드 원단(141)은 레이온, 면, 나일론 등에서 선택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1 항균 코팅층(142)은 제1 패드 원단(141)의 양면에 코팅된다. 이때, 제1 항균 코팅층(142)은 초음파 스프레이 코팅 방식으로 항균 조성물을 코팅하는 것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제2 패드 원단(143)은 제1 패드 원단(141)과 대면한다. 이때, 제2 패드 원단(143)은, 제1 패드 원단(141)과 마찬가지로, 레이온, 면, 나일론 등에서 선택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다만, 제2 패드 원단(143)은 제1 패드 원단(141)과 동종 재질을 이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제2 항균 코팅층(144)은 제2 패드 원단(143)의 양면에 코팅된다. 이때, 제2 항균 코팅층(144)은, 제1 항균 코팅층(142)과 마찬가지로, 초음파 스프레이 코팅 방식으로 항균 조성물을 코팅하는 것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초음파 스프레이 코팅은 항균 코팅 조성물을 0.1 ~ 1.0 mL/h의 속도로 분사하고, 건조하는 방식이 이용될 수 있다. 이때, 분사 속도가 0.1 mL/h 미만일 경우에는 스프레이 노즐이 막히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반대로, 분사 속도가 1.0 mL/h를 초과할 경우에는 항균 코팅 조성물이 제1 및 제2 패드 원단(141, 143) 각각의 전 영역에 균일하게 코팅되지 못할 우려가 있다.
흡수재(145)는 제1 및 제2 항균 코팅층(142, 144)이 각각 형성된 제1 및 제2 패드 원단(141, 143) 사이에 배치된다. 이에 따라, 흡수재(145)는 제1 및 제2 패드 원단(141, 143)의 내면에 각각 배치된 제1 및 제2 항균 코팅층(142, 144)과 직접 접촉하게 된다. 이러한 흡수재(145)는 땀이나 수분을 용이하게 흡수하여 젤화시킨 재질로 기저귀나 생리대 등에 사용되는 것과 동일한 것이 이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땀을 흡수하는 펄프 소재가 적용될 수도 있다.
여기서, 제1 패드 원단(141), 제2 패드 원단(143) 및 흡수재(145)는 가장자리 부분을 따라 레이저 커팅하여 특정한 형상(원형, 타원형 등)으로 절단되면서, 레이저 커팅에 의한 열로 가장자리 부분이 접합되어 결합된다.
이때, 레이저 커팅은 1 ~ 10mm/sec의 속도로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레이저 커팅 속도가 1mm/sec 미만일 경우에는 그 속도가 매우 느린 관계로 생산성이 급격히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반대로, 레이저 커팅 속도가 10mm/sec을 초과할 경우에는 과도한 열의 발생으로 인해 제1 및 제2 패드 원단(141, 143) 각각의 표면 특성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또한, 레이저 커팅은 1 ~ 3㎛의 빔 사이즈의 레이저를 조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레이저 커팅시, 레이저 빔 사이즈가 1㎛ 미만일 경우에는 빔 사이즈가 너무 작아서 레이저 커팅 시간이 오래 소요되어 생산 수율을 저하시킬 우려가 있다. 반대로, 레이저 커팅시, 레이저 빔 사이즈가 3㎛를 초과할 경우에는 열화현상에 의해 스크라이브 라인(SL) 주변의 제1 및 제2 패치 원단(141, 143)이 각각 손상될 우려가 있다.
여기서, 제1 및 제2 항균 코팅층(142, 144) 각각은 20 ~ 50㎛의 두께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한 범위로는 30 ~ 40㎛를 제시할 수 있다. 제1 및 제2 항균 코팅층(142, 144) 각각의 두께가 20㎛ 미만일 경우에는 땀 흡수 및 냄새 제거 효과를 제대로 발휘하는데 어려움이 따를 수 있다. 반대로, 제1 및 제2 항균 코팅층(142, 144) 각각의 두께가 50㎛를 초과할 경우에는 과도한 두께 설계로 인하여 고착성을 저하시킬 우려가 있으므로, 바람직하지 못하다.
한편, 제1 및 제2 항균 코팅층(142, 144) 각각은 1 ~ 3nm의 평균 입경을 갖는 토르말린 5 ~ 10 중량%, 1 ~ 3nm의 평균 입경을 갖는 광물질 3 ~ 7 중량% 및 나머지 바인더 수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토르말린과 광물질을 제1 및 제2 패드 원단(141, 143)에 각각 결합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사용되는 바인더 수지로는 폴리우레탄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 실리콘계 수지, 멜라민계 수지 및 에폭시계 수지 등에서 선택된 1종이상이 이용될 수 있다.
바인더 수지로는 실리콘 수지와 에폭시 수지를 1 : 1 ~ 1 : 2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한데, 이는 상기의 범위로 실리콘 수지와 에폭시 수지를 혼합하여 사용할 시, 제1 및 제2 패드 원단(141, 143)의 신축성을 향상시켜 토르말린 및 광물질의 고착성을 강화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키는데 보다 효과적이기 때문이다.
바인더 수지는 70 ~ 85 중량%의 함량비로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인더 수지의 첨가량이 70 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각 성분들의 고착성이 좋지 못한 경향이 있다. 반대로, 바인더 수지의 첨가량이 85 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저장안정성이 열악해지며, 바인더 수지의 과다 첨가로 토르말린, 광물질 등의 함량이 낮아지는데 기인하여 기능성이 저하될 수 있다.
토르말린은 원적외선 및 음이온의 방사에 의해 혈액순환이 촉진되고, 피로감이 감소되며, 항균 및 항 곰팡이성을 가지며, 악취와 습기를 제거하는데 탁월한 효과를 발휘한다. 또한, 토르말린은 땀을 흡수하여 신속히 건조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속 건성과 소취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토르말린은 1 ~ 3nm의 평균 입경을 갖는 미세 분말 형태로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토르말린의 첨가량이 5 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항균 및 흡수 성능을 제대로 발휘하는데 어려움이 따를 수 있다. 반대로, 토르말린의 첨가량이 10 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비용이 증가하고 고착성을 저하시키는 문제가 있으므로, 바람직하지 못하다.
광물질은 항균 및 소취 기능을 갖는다. 이러한 광물질로는 TiO2, Fe2O3, CaO, MgO, SiO2, ZnO 등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광물질로는 TiO2 및 SiO2를 1 : 1 ~ 2 : 1의 중량비로 첨가한 것을 이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한데, 이는 상기의 범위를 벗어날 경우에는 살균력이 오히려 저하되어 항균 및 소취 기능 확보에 어려움이 따를 수 있기 때문이다.
광물질의 첨가량이 3 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항균 및 소취 기능을 제대로 발휘하는데 어려움이 따를 수 있다. 반대로, 광물질의 첨가량이 7 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비용이 증가하고 고착성을 저하시키는 문제가 있으므로, 바람직하지 못하다.
또한, 제1 및 제2 항균 코팅층(142, 144) 각각은 3 ~ 7 중량%로 첨가되는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로는 분산제, 가교제, 촉진제 및 안료 중 선택된 1종 이상이 이용될 수 있다. 분산제는 바인더 수지, 토르말린 및 광물질 간의 분산성을 위해 첨가된다. 가교제는 바인더 수지의 가교 반응을 촉진하여 원단에 대한 바인더 수지의 접착력을 높이면서 속건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것이다. 촉진제는 바인더 수지의 가교반응 시 촉매로 작용함으로써 원단에 대한 바인더 수지의 접착력을 더욱 향상시키기 위해 첨가된다. 안료는 필요에 따라 생략하는 것도 무방하다.
첨가제의 첨가량이 3 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첨가제의 역할을 제대로 발휘하는데 어려움이 따를 수 있다. 반대로, 첨가제의 첨가량이 7 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첨가제의 역할이 과다하게 발생되므로 바람직하지 못하다.
지금까지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겨드랑이 부위 땀 흡수 및 냄새 방지용 기능성 발열 속옷은 발열성 합성섬유 재질로 이루어진 속옷 원단 중 다른 신체 부위보다 땀샘이 많고 발열이 더 나는 겨드랑이 부위에만 별도로 흡수성 패드가 결합된 구조를 갖는다.
특히, 본 발명의 흡수성 패드는 원적외선 방사 기능을 갖는 토르말린 및 항균 및 소취 기능을 갖는 광물질을 바인더 수지로 결합시킨 것이 이용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기능성 발열 속옷의 사용시 겨드랑이 부위에만 흡수성 패드가 배치되므로, 겨드랑이 부위에 땀이 차거나 냄새로 인한 불쾌함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면서 추운 겨울철에 겨드랑이 부위를 제외한 신체 부위의 체온을 유지시키거나 높일 수 있게 된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시로 제시된 것이며 어떠한 의미로도 이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될 수는 없다.
여기에 기재되지 않은 내용은 이 기술 분야에서 숙련된 자이면 충분히 기술적으로 유추할 수 있는 것이므로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1. 흡수성 패드 제조
실시예 1
실리콘 수지와 에폭시 수지를 1 : 1.5의 중량비로 혼합시킨 바인더 수지 80 중량%, 2nm의 평균 직경을 갖는 토르말린 분말 10 중량%, TiO2 및 SiO2를 1 : 1의 중량비로 혼합시킨 광물질 6 중량%를 교반기에 투입하여 교반하였다.
다음으로, 첨가제 4 중량%를 교반기에 투입하고 교반하여 항균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다음으로, 항균 조성물을 패드 원단의 양면에 0.6 mL/h의 분사속도로 초음파 스프레이 코팅하고, 70℃에서 24시간 동안 건조하여 25㎛의 두께의 항균 코팅층을 형성하였다.
다음으로, 항균 코팅층이 형성된 패드 원단 2장 사이에 흡수재를 삽입시킨 후, 2㎛의 빔 사이즈의 레이저를 7mm/sec의 속도로 조사하는 레이저 커팅을 실시하여 레이저 커팅에 의한 열로 패드 원장 2장과 흡수재를 결합시켜 흡수성 패드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
0.3 mL/h의 분사속도로 초음파 스프레이 코팅하여 21㎛의 두께의 항균 코팅층을 형성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흡수성 패드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3
0.8 mL/h의 분사속도로 초음파 스프레이 코팅하여 27㎛의 두께의 항균 코팅층을 형성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흡수성 패드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4
1㎛의 빔 사이즈의 레이저를 5mm/sec의 속도로 조사하는 레이저 커팅을 실시 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흡수성 패드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실리콘 수지 75 중량%, 5nm의 평균 직경을 갖는 토르말린 분말 15 중량%, TiO2 8 중량%를 교반기에 투입하여 교반한 후, 첨가제 2 중량%를 교반기에 투입하고 교반하여 항균 조성물을 제조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흡수성 패드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2
0.8 mL/h의 분사속도로 초음파 스프레이 코팅하여 27㎛의 두께의 항균 코팅층을 형성한 것을 제외하고는 비교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흡수성 패드를 제조하였다.
2. 항균성 평가
표 1은 실시예 1 ~ 4 및 비교예 1 ~ 2에 따라 제조된 흡수성 패드에 대한 항균성 평가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항균성 평가는 필름밀착법(JIS Z 2801-2000)에 따라, 실시예 1 ~ 4 및 비교예 1 ~ 2에 따라 제조된 흡수성 패드의 표면에 균액을 도말하여, 37℃에서 24시간 동안 정치 배양한 후 균주의 수를 측정하는 방법으로 수행하여다. 이때, 사용균주는 Escherichia coli, ATCC 25922를 사용하였다.
[표 1]
Figure pat00001
표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예 1 ~ 4에 따라 제조된 흡수성 패드가, 비교예 1 ~ 2에 따라 제조된 흡수성 패드에 비하여 24시간 후의 균주 수가 더 감소하여 높은 항균효과를 갖는 것을 알 수 있다.
위의 실험 결과를 토대로 알 수 있듯이, 실시예 1 ~ 4에 따라 제조된 흡수성 패드는 항균 효과가 장시간 동안 지속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기술자의 수준에서 다양한 변경이나 변형을 가할 수 있다. 이러한 변경과 변형은 본 발명이 제공하는 기술 사상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 본 발명에 속한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하에 기재되는 청구범위에 의해 판단되어야 할 것이다.
100 : 기능성 발열 속옷
120 : 속옷 원단
140 : 흡수성 패드
141 : 제1 패드 원단
142 : 제1 항균 코팅층
143 : 제2 패드 원단
144 : 제2 항균 코팅층
145 : 흡수재

Claims (7)

  1.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되며, 발열성 합성섬유 재질로 이루어진 속옷 원단; 및
    상기 속옷 원단 중 사용자의 겨드랑이 부위와 대응되는 위치에만 선택적으로 배치된 흡수성 패드;를 포함하며,
    상기 흡수성 패드는,
    상기 사용자의 겨드랑이 부위에서 발생하는 땀을 흡수하고 냄새를 제거하기 위해 흡수성 및 방향성을 갖는 방향성 흡수 섬유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겨드랑이 부위 땀 흡수 및 냄새 방지용 기능성 발열 속옷.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성 패드는
    상기 속옷 원단과 일체형으로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겨드랑이 부위 땀 흡수 및 냄새 방지용 기능성 발열 속옷.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속옷 원단 또는 흡수성 패드에는 체결 부재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흡수성 패드는 상기 체결 부재에 탈부착되는 분리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겨드랑이 부위 땀 흡수 및 냄새 방지용 기능성 발열 속옷.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성 패드는
    제1 패드 원단;
    상기 제1 패드 원단의 양면에 코팅된 제1 항균 코팅층;
    상기 제1 패드 원단과 대면하는 제2 패드 원단;
    상기 제2 패드 원단의 양면에 코팅된 제2 항균 코팅층; 및
    상기 제1 및 제2 항균 코팅층이 각각 형성된 제1 및 제2 패드 원단 사이에 배치된 흡수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겨드랑이 부위 땀 흡수 및 냄새 방지용 기능성 발열 속옷.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항균 코팅층 각각은
    20 ~ 50㎛의 두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겨드랑이 부위 땀 흡수 및 냄새 방지용 기능성 발열 속옷.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항균 코팅층 각각은
    1 ~ 3nm의 평균 입경을 갖는 토르말린 5 ~ 10 중량%;
    1 ~ 3nm의 평균 입경을 갖는 광물질 3 ~ 7 중량%; 및
    나머지 바인더 수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겨드랑이 부위 땀 흡수 및 냄새 방지용 기능성 발열 속옷.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항균 코팅층 각각은
    3 ~ 7 중량%로 첨가되는 첨가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첨가제는 분산제, 가교제, 촉진제 및 안료 중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겨드랑이 부위 땀 흡수 및 냄새 방지용 기능성 발열 속옷.
KR1020200027262A 2020-03-04 2020-03-04 겨드랑이 부위 땀 흡수 및 냄새 방지용 기능성 발열 속옷 KR1023546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7262A KR102354600B1 (ko) 2020-03-04 2020-03-04 겨드랑이 부위 땀 흡수 및 냄새 방지용 기능성 발열 속옷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7262A KR102354600B1 (ko) 2020-03-04 2020-03-04 겨드랑이 부위 땀 흡수 및 냄새 방지용 기능성 발열 속옷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2440A true KR20210112440A (ko) 2021-09-15
KR102354600B1 KR102354600B1 (ko) 2022-01-24

Family

ID=777932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7262A KR102354600B1 (ko) 2020-03-04 2020-03-04 겨드랑이 부위 땀 흡수 및 냄새 방지용 기능성 발열 속옷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54600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95987A (ja) * 2010-03-18 2011-10-06 Aroma Space:Kk 脇用汗取りパッド
JP2014101609A (ja) * 2012-11-22 2014-06-05 Norio Seki 発熱部分と接触冷感部分を併設したブラジャー
KR20150002384U (ko) * 2013-12-11 2015-06-19 김호태 분리 내의
KR101785576B1 (ko) 2014-06-26 2017-11-06 선천 캡쳄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전해액 용질, 전해액 및 고전압 슈퍼 커패시터
KR20180112637A (ko) * 2017-04-04 2018-10-12 고한용 일체형인 스판덱스 원단을 이용한 발열 신체 밴드와 발열 언더셔츠 및 분리형인 스판덱스 원단, 네오프렌 원단 등을 이용한 발열 패드와 이것의 고정 방법
KR101989570B1 (ko) * 2018-10-23 2019-09-24 김명환 항균 및 소취 효과가 있는 기능성 요실금 팬티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95987A (ja) * 2010-03-18 2011-10-06 Aroma Space:Kk 脇用汗取りパッド
JP2014101609A (ja) * 2012-11-22 2014-06-05 Norio Seki 発熱部分と接触冷感部分を併設したブラジャー
KR20150002384U (ko) * 2013-12-11 2015-06-19 김호태 분리 내의
KR101785576B1 (ko) 2014-06-26 2017-11-06 선천 캡쳄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전해액 용질, 전해액 및 고전압 슈퍼 커패시터
KR20180112637A (ko) * 2017-04-04 2018-10-12 고한용 일체형인 스판덱스 원단을 이용한 발열 신체 밴드와 발열 언더셔츠 및 분리형인 스판덱스 원단, 네오프렌 원단 등을 이용한 발열 패드와 이것의 고정 방법
KR101989570B1 (ko) * 2018-10-23 2019-09-24 김명환 항균 및 소취 효과가 있는 기능성 요실금 팬티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54600B1 (ko) 2022-0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583251A1 (en) Internal lining and method for the production thereof
TWI400376B (zh) Sun light can cloth
KR102354600B1 (ko) 겨드랑이 부위 땀 흡수 및 냄새 방지용 기능성 발열 속옷
KR200410486Y1 (ko) 여성용 하복부 보온벨트
KR20100048750A (ko) 냉감성 스카프
KR102362870B1 (ko) 항균 및 소취 기능을 구비한 마스크 및 그 제조방법
KR0134240B1 (ko) 방수복
KR20000009463U (ko) 원적외선 방사 세라믹이 함유된 여성용 생리대
KR200388648Y1 (ko) 무봉제 음낭돌출부 남성기능성 팬티 및 이의 제작방법
KR101878454B1 (ko) 고기능성 헬스케어 팬티
KR20180110545A (ko) 발열기능을 갖는 기능성 삼중직원단
KR20180009259A (ko) 혈액순환 개선 효과가 우수한 냉온찜질용 아이 마스크
KR102561153B1 (ko) 닥나무 섬유가 함유된 무봉제형 요실금용 흡수 패드
KR101204278B1 (ko) 냉감성 모자
KR20220022663A (ko) 닥나무 섬유를 이용한 기능성 친환경 생리대
KR100515317B1 (ko) 황토처리 부직포를 적용한 일회용 기저귀
WO2023119613A1 (ja) シャツ
CN205512580U (zh) 一种抗菌医用卫生帽
CN209437479U (zh) 一种石墨烯加热肚兜
KR102246413B1 (ko) 클러치가 부착된 기능성 속옷
KR20130115707A (ko) 광물질 또는 숯이 투입된 다리 밴드
KR101777730B1 (ko) 피부 부작용을 예방하는 고흡수성 흡수용품 및 이의 제조방법
CN219845075U (zh) 一次性内裤
KR200243605Y1 (ko) 바이오 실버믹 의류
CN220370124U (zh) 一种用于纸尿裤的亲肤层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