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61153B1 - 닥나무 섬유가 함유된 무봉제형 요실금용 흡수 패드 - Google Patents

닥나무 섬유가 함유된 무봉제형 요실금용 흡수 패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61153B1
KR102561153B1 KR1020230042260A KR20230042260A KR102561153B1 KR 102561153 B1 KR102561153 B1 KR 102561153B1 KR 1020230042260 A KR1020230042260 A KR 1020230042260A KR 20230042260 A KR20230042260 A KR 20230042260A KR 102561153 B1 KR102561153 B1 KR 1025611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urinary incontinence
absorbent
seaml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422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승산
Original Assignee
이승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승산 filed Critical 이승산
Priority to KR10202300422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115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11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1153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5/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 A61L15/16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 A61L15/40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containing ingredient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e.g. plant or animal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5/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 A61L15/16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 A61L15/42Use of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 A61L15/52Water-repell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5/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 A61L15/16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 A61L15/42Use of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 A61L15/58Adhes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2013/15008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zed by the use
    • A61F2013/1512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zed by the use for mild incontinen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2013/15008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zed by the use
    • A61F2013/15186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zed by the use for anim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15203Properties of the article, e.g. stiffness or absorbency
    • A61F2013/15284Properties of the article, e.g. stiffness or absorbency characterized by quantifiable properties
    • A61F2013/15463Absorbenc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15203Properties of the article, e.g. stiffness or absorbency
    • A61F2013/15284Properties of the article, e.g. stiffness or absorbency characterized by quantifiable properties
    • A61F2013/15569Adhesivit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Hemat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otan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Zo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닥나무 섬유가 함유된 무봉제형 요실금용 흡수 패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닥나무 섬유로 이루어진 실을 직조하여 제조된 흡수층 및 상기 흡수층의 일면에 형성되는 방수층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흡수층 및 상기 방수층은 접착제 또는 접착필름으로 테두리 부분이 접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구조로 이루어지는 무봉제형 요실금용 흡수 패드는 닥나무 섬유가 함유되어 항균, 소취 및 피부친화성이 우수하며, 무봉제형으로 제조되어 편안한 착용감을 나타낼 뿐만 아니라, 흡수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요실금용 외에도 생리대 및 애완동물용 배변패드 등으로 적용이 가능하다.

Description

닥나무 섬유가 함유된 무봉제형 요실금용 흡수 패드 {ABSORBENT PAD FOR URINARY INCONTINENCE WITH SEWING CONTAINING MULBERRY FIBER}
본 발명은 닥나무 섬유가 함유된 무봉제형 요실금용 흡수 패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닥나무 섬유가 함유되어 항균, 소취 및 피부친화성이 우수하며, 무봉제형으로 제조되어 편안한 착용감을 나타낼 뿐만 아니라, 흡수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요실금용 외에도 생리대 및 애완동물용 배변패드 등으로 적용이 가능한 닥나무 섬유가 함유된 무봉제형 요실금용 흡수 패드에 관한 것이다.
요실금은 자신의 의도와는 상관없이 갑자기 소변이 흘러 나오는 현상으로, 원인도 다양하고 남녀노소 누구에게나 있을 수 있지만 성인 여성의 30 내지 40%, 특히 40대의 이상의 여성에게 흔히 나타나는 질환이다.
현재 국내에 시판되고 있는 종래의 요실금 팬티는 일회용 팬티(DISPOSABLE PANTY)를 사용하거나, 또는 흡수력이 없고 방수코팅만 되어 있는 패드착용식으로 되어 있어, 사용자가 흡수력이 없는 일회용 팬티나 패드를 사용함으로써 장시간 사용시 외음부 부위가 습기로 인해 피부가 약해지게 되어 다른 피부질환 등을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닥나무 섬유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한지사는 친환경적인 소재로 안티필링성이 우수하고 원적외선 방출, 항균, 소취성, 통기성, 흡한속건성, 경량성 등의 다양한 기능성을 보유하고 있어 새로운 섬유로 각광받고 있다.
한지사는 원지를 일정한 폭으로 슬리팅(slitting)한 후 연사공정에 의해 제조되고 있으나, 원사의 강도와 신도가 매우 낮아 기계적 강도나 신도가 요구되는 제품으로는 적용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한지사를 사가공을 통해 해결하려는 시도가 있어 왔으며 그 예로 투포원(two for one) 연사기를 이용하여 한지사를 제조하고 있으나 일반적인 연사기에 적용하기에는 벌룬을 크게 형성시켜야 하는데 이렇게 되면 한지사에 장력이 많이 걸려 사절이 빈번이 발생하게 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수분을 공급하는 등의 별도의 공정을 추가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제조된 한지사의 인장강도 및 신도등의 물성이 제직에 적용하기에는 취약하여 사절 및 직물의 형태안정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특허등록 제10-0194477호(1999.02.09.) 한국특허등록 제10-1143896호(2012.05.01.)
본 발명의 목적은 닥나무 섬유가 함유되어 항균, 소취 및 피부친화성이 우수하며, 무봉제형으로 제조되어 편안한 착용감을 나타낼 뿐만 아니라, 흡수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요실금용 외에도 생리대 및 애완동물용 배변패드 등으로 적용이 가능한 닥나무 섬유가 함유된 무봉제형 요실금용 흡수 패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닥나무 섬유로 이루어진 한지사를 직조하여 제조된 흡수층 및 상기 흡수층의 일면에 형성되는 방수층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흡수층 및 상기 방수층은 접착제 또는 접착필름으로 테두리 부분이 접착되고, 상기 한지사는 T/M 500 내지 700의 꼬임을 가지며, 섬도가 180 내지 350 데니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닥나무 섬유가 함유된 무봉제형 요실금용 흡수 패드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한지사의 표면에는 항균탈취제가 코팅되며, 상기 항균탈취제는 편백정유 수용액 100 중량부, 광물분말 30 내지 50 중량부 및 천연고착제 40 내지 60 중량부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광물분말은 일라이트 100 중량부, 옥 80 내지 120 중량부, 자수정 80 내지 120 중량부, 모나자이드 20 내지 30 중량부, 제올라이트 65 내지 75 중량부, 맥반석 40 내지 50 중량부, 벤토나이트 20 내지 25 중량부 및 규조토 20 내지 25 중량부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욱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천연고착제는 황토 100 중량부에 송진 50 내지 80 중량부를 혼합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욱 더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흡수층과 상기 방수층 사이에는 직경이 0.1 내지 10 마이크로미터인 폴리에스터로 이루어지는 극세사층이 더 형성되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닥나무 섬유가 함유된 무봉제형 요실금용 흡수 패드는 닥나무 섬유가 함유되어 항균, 소취 및 피부친화성이 우수하며, 무봉제형으로 제조되어 편안한 착용감을 나타낼 뿐만 아니라, 흡수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요실금용 외에도 생리대 및 애완동물용 배변패드 등으로 적용이 가능한 탁월한 효과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닥나무 섬유가 함유된 무봉제형 요실금용 흡수 패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닥나무 섬유가 함유된 무봉제형 요실금용 흡수 패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와 각 성분의 물성을 상세하게 설명하되,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닥나무 섬유가 함유된 무봉제형 요실금용 흡수 패드는 닥나무 섬유로 이루어진 한지사를 직조하여 제조된 흡수층(10) 및 상기 흡수층(10)의 일면에 형성되는 방수층(20)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흡수층(10) 및 상기 방수층(20)은 접착제 또는 접착필름으로 테두리 부분이 접착된다.
상기 흡수층(10)은 닥나무 섬유로 이루어진 한지사를 직조하여 제조되는데, 0.3 내지 0.5 밀리미터의 두께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닥나무 섬유로 이루어진 한지사는 닥나무 섬유를 슬리팅하여 테이프형태로 제조한 후에 일정하게 꼬임을 부여하여 실의 형태로 제조하는 단계로, 닥나무 섬유를 슬리팅하여 테이프형태로 제조한 후에 T/M(Twist per meter) 500 내지 700의 꼬임을 부여하여 섬도가 180 내지 350 데니어인 한지사로 제조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꼬임수에 따라 한지사의 성질이 확연하게 달라지는데, 한지사에 꼬임을 주면 한지사의 모든 점은 중심을 향하여 힘을 가하고, 인접하는 섬유간에는 서로 밀어내는 압력이 발생하는데, 이 압력에 의한 섬유간의 마찰은 섬유의 활탈(滑脫)을 방지하고 한지사에 강력이 부여된다. 꼬임이 증가하여 최대의 강력을 가질 때의 꼬임을 포화꼬임이라고 하는데 그 이상으로 꼬임을 증가시키면 비틀림(strain)이 증가하여 강력이 감소하고 꼬임수가 증가하면 점점 한지사의 굵기는 가늘어지나 단단해지며 변형이 어려워져서 경/위사 공간률이 증가되기 때문에, 상기와 같은 꼬임수와 섬도를 나타내는 한지사로 흡수층을 제조하게 되면 닥나무 섬유가 가지고 있는 항균, 소취 및 피부친화성 뿐만 아니라, 흡수성능이 월등하게 향상되고 보온효과가 우수하며, 쿠션감, 질감 및 촉감 등이 향상된 흡수층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흡수층(10)의 두께가 0.3 밀리미터 미만이면 흡수층(10)의 흡수력이 지나치게 저하되며, 상기 흡수층(10)의 두께가 0.5 밀리미터를 초과하게 되면 패드의 두께가 지나치게 두터워져 착용감이 불량해질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못하다.
또한, 상기 한지사의 꼬임이 T/M 500 미만이면 한지사의 탄성이 저하되며, 흡수성능의 향상효과가 미미하며, 상기 한지사의 꼬임이 T/M 700을 초과하게 되면 한지사의 탄성은 크게 향상되지 않으면서 비틀림 증가로 인해 한지사의 굵기가 지나치게 감소하여 기계적 물성이 저하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못하다.
또한, 상기 한지사의 표면에는 상기 한지사의 표면에는 항균탈취제가 코팅될 수 있으며, 상기와 같이 항균탈취제가 코팅된 한지사는 항균 및 탈취효과가 더욱 향상되는데, 상기 항균탈취제는 편백정유 수용액 100 중량부, 광물분말 30 내지 50 중량부 및 천연고착제 40 내지 60 중량부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편백정유 수용액은 상기 항균탈취제의 주재료가 되는 성분으로 정제수 100 중량부에 편백정유 3 내지 5 중량부를 혼합하여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의 성분으로 제조되는 편백정유 수용액은 한지사의 항균 및 탈취효과를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편백정유는 편백나무에 함유되어 있는 정유성분을 등록특허 제 10-0828927호에 기재된 정유 추출 압력기로 추출하여 제조되는데, 추출시간은 3 내지 9시간이 적정하다. 그 이유는 추출 시간이 3시간 미만이면 효용가치가 있는 충분한 편백정유가 최대한 추출되지 못하여 그 기능성이 떨어지게 되며, 9시간 초과면 더 이상의 편백정유가 추출되지 않아서 그 추출 작업의 효율성이 떨어지게 된며, 효율성 및 기능성 면에서 바람직하게는 7 시간이 적정하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해 제조되는 편백정유는 테르펜 계통의 유기화합물로 화학성물질이 아닌 천연물질로 인간의 신체에 무리없이 빠르게 흡수되며, 인간에게 해로운 균들을 선택적으로 살균하는 역할을 한다. 임업연구원과 충북대 동물의학연구소 공동 실험결과 편백정유를 희석하거나 휘산시켜 흡입할 경우라면 안정성에 대한 우려를 전혀 하지 않아도 되는 물질임을 입증해주고 있다.
또한, 편백정유는 강력한 항균력을 가지고 있는데, 임업연구원의 실험결과 편백정유의 항균성은 농약의 원료로 사용되고 있는 황산동과 비슷하거나 그보다 높다는 연구결과가 있으며, 충북대 동물의학연구소의 실험결과 편백 정유는 각종 균에 대한 산균 효과도 매우 뛰어난 것으로 밝히고, 더욱 중요한 점은 이처럼 편백정유가 강력한 항균작용을 하면서도 기존의 항생제와는 달리 내성이 없다는 점이다.
이러한 편백정유에는 피톤치드가 다량함유되어 있는데, 피톤치드는 스트레스 호르몬인 코르티솔을 감소시켜 스트레스를 완화하는 침엽수중 편백 피톤치드는 코르티솔 농도를 절반 이하로 감소시키는 가장 뛰어나 효과를 보였다.
상기 편백정유 수용액에 함유된 편백정유의 함량이 3 중량부 미만이면 상기의 효과가 미미하며, 상기 편백정유 수용액에 함유된 편백정유의 함량이 5 중량부를 초과하게 되면, 항균효과는 크게 향상되지 않으면서 지나치게 많은 편백정유를 사용하게 되는 것으로, 제조비용 적인 측면에서 바람직하지 못하다.
또한, 상기 광물분말은 30 내지 50 중량부가 함유되며, 일라이트, 옥, 자수정, 모나자이트, 제올라이트, 맥반석, 벤토나이트 및 규조토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일라이트 100 중량부, 옥 80 내지 120 중량부, 자수정 80 내지 120 중량부, 모나자이드 20 내지 30 중량부, 제올라이트 65 내지 75 중량부, 맥반석 40 내지 50 중량부, 벤토나이트 20 내지 25 중량부 및 규조토 20 내지 25 중량부로 이루어지는 것이 더욱 바람직한데, 10 내지 200 나노미터의 입자크기로 분쇄되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성분으로 이루어지는 광물분말은 원적외선을 방출하며 항균 및 탈취효과를 부여할 뿐만 아니라, 음이온과 온열을 피부속 깊이 전달하며 배끄럽고 탄력있는 피부를 유지해주는 역할과 음이온 발생과 원적외선 방사의 상호작용으로 피부 노폐물 배출 및 건강한 피부를 유지해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광물분말의 함량이 30 중량부 미만이면 상기의 효과가 미미하며, 상기 광물분말의 함량이 50 중량부를 초과하게 되면 상기의 효과는 크게 향상되지 않으면서 제조비용을 증가시키고, 상대적으로 편백정유 수용액의 함량이 지나치게 줄어들어 항균 및 탈취효과가 저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천연고착제는 40 내지 60 중량부가 함유되며, 황토 100 중량부 및 송진 50 내지 80 중량부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의 성분으로 이루어지는 천연고착제는 편백정유 성분과 광물분말을 한지사의 표면에 강력하게 고착시킬 뿐만 아니라, 인체에 유해한 성분을 방출하지 않는 효과를 나타낸다. 이때, 상기 황토는 우수한 항균효과를 부여하며, 원적외선 및 음이온을 방출할 뿐만 아니라, 물과 혼합되면 고착효과를 나타내는데, 황토만을 사용하게 되면 고착효과가 낮기 때문에 황토 100 중량부 대비 송진 50 내지 80 중량부를 혼합하여 고착효과를 향상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송진의 함량이 50 중량부 미만이면 천연고착제의 고착력 향상 효과가 미미하며, 상기 송진의 함량이 80 중량부를 초과하게 되면 상기의 효과는 크게 향상되지 않으면서 상대적으로 황토의 함량이 지나치게 줄어들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못하다.
이때, 상기 천연고착제의 함량이 40 중량부 미만이면 한지사에 대한 편백정유나 광물분말의 견뢰도가 저하되며, 상기 천연고착제의 함량이 60 중량부를 초과하게 되면 상기의 견뢰도 향상효과는 미미하면서 상대적으로 편백정유나 광물분말의함량이 지나치게 줄어들어 한지사의 항균성능 및 탈취성능이 저하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성분으로 이루어지는 항균탈취제를 한지사의 표면에 도포하는 과정은 한지사가 항균탈취제가 저장된 수조를 20 내지 40yd/min의 속도로 통과하도록 한 후에 건조시키는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과정을 통해 항균탈취제가 도포된 한지사는 항균 및 탈취효과가 더욱 향상되는데, 상기 항균탈취제가 저장된 수조를 통과하는 속도가 20yd/min 미만이면 한지사의 이동 속도가 지나치게 늦어져 생산성이 저하되며, 항균탈취제가 저장된 수조를 통과하는 속도가 40yd/min를 초과하게 되면, 항균탈취제가 한지사의 표면에 균일하게 도포되지 못하게 된다.
상기 방수층(20)은 상기 흡수층(10)의 일면에 형성되며, 0.05 내지 0.1 밀리미터 두께의 폴리우레탄 시트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흡수층(10)을 통과한 뇨, 혈액 및 분비물 등이 속옷이나 바지 등에 도포되지 않도록 방수효과를 부여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방수층(20)의 두께가 0.05 밀리미터 미만이면 방수층(20)의 방수성능이 저하되며 외력에 의해 방수층이 쉽게 찢어질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못하며, 상기 방수층(20)의 두께가 0.1 밀리미터를 초과하게 되면 방수층(20)의 방수효과는 크게 향상되지 않으면서 본 발명을 통해 제조되는 요실금용 흡수 패드의 유연성이 지나치게 저하되어 착용감이 저하되며 제품의 두께가 지나치게 증가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못하다.
또한, 상기 흡수층(10) 및 상기 방수층(20)은 아래 도 1 내지 2에 나타낸 것처럼, 접착제 또는 접착필름으로 테두리 부분이 접착되어 결속되기 때문에 봉제선이 없는 무봉제형 요실금용 흡수 패드를 제공할 수 있는데, 상기와 같이 무봉제형으로 제조된 요실금용 흡수 패드는 우수한 착용감을 나타내게 된다.
이때, 상기 접착제 또는 접착필름은 종래에 무봉제 패드나 속옷 등에 적용되는 성분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어떠한 것이든 사용가능하나 열가소성 접착제나 열가소성 접착필름이 적용되어 열융착의 과정을 통해 상기 흡수층(10)과 상기 방수층(20)을 결속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열가소성 접착제나 열가소성 접착필름은 폴리우레탄계 접착제 및 접착필름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흡수층(10)과 상기 방수층(20) 사이에는 직경이 0.1 내지 10 마이크로미터인 폴리에스터로 이루어지는 극세사층(30)이 0.5 내지 1 밀리미터의 두께로 형성될 수도 있는데, 상기 극세사층(30)은 우수한 흡수성을 나타내어 요실금용 흡수 패드의 흡수성능을 더욱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와 같이 흡수성능이 더욱 향상된 흡수 패드는 요실금으로 인한 뇨의 양이 많거나 혈액의 양이 많은 경우에도 용이하게 적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애완동물의 배변 패드와 같이 다량의 뇨를 흡수하는 용도로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상기 극세사 섬유의 직경이 0.1 마이크로미터 미만이면 극세사 섬유의 발수성이 증가하여 뇨, 혈액 및 분비물 등에 대한 흡수력이 오히려 저하되며, 상기 극세사 섬유의 직경이 10 마이크로미터를 초과하게 되면 극세사로 인한 흡수력 향상효과가 미미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못하다.
또한, 상기 극세사층(30)의 두께가 0.5 밀리미터 미만이면 상기의 효과가 미미하며, 상기 극세사층(30)의 두께가 1 밀리미터를 초과하게 되면 상기의 효과는 크게 향상되지 않으면서 요실금용 흡수 패드의 두께를 지나치게 증가시키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못하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닥나무 섬유가 함유된 무봉제형 요실금용 흡수 패드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무봉제형 요실금용 흡수 패드의 물성을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제조예 1> 편백정유 수용액의 제조
정제수 100 중량부에 편백정유 4 중량부를 혼합하여 편백정유 수용액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2> 광물분말의 제조
일라이트 100 중량부, 옥 100 중량부, 자수정 100 중량부, 모나자이드 25 중량부, 제올라이트 70 중량부, 맥반석 45 중량부, 벤토나이트 23 중량부 및 규조토 23 중량부를 혼합하고 50 나노미터의 평균입도를 갖도록 분쇄하여 광물분말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3> 항균탈취제의 제조
상기 제조예 1을 통해 제조된 편백정유 수용액 100 중량부에 상기 제조예 2를 통해 제조된 광물분말 40 중량부 및 천연고착제(황토 100 중량부 및 송진 65 중량부) 50 중량부를 혼합하여 항균탈취제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
닥나무 섬유를 슬리팅하여 테이프형태로 제조한 후에 T/M(Twist per meter) 600의 꼬임을 부여하여 섬도가 260 데니어인 한지사를 제조하고, 제조된 한지사를 직조하여 흡수층을 제조하고, 상기 흡수층의 일면에 0.08 밀리미터의 폴리우레탄 시트로 이루어진 방수층을 적층하여 적층체를 제조한 후에, 상기 적층체의 테두리 부분에 폴리우레탄 열가소성 접착제를 접착하고 열융착하는 과정을 통해 닥나무 섬유가 함유된 무봉제형 요실금용 흡수 패드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
닥나무 섬유를 슬리팅하여 테이프형태로 제조한 후에 T/M(Twist per meter) 600의 꼬임을 부여하여 섬도가 260 데니어인 한지사를 제조하고, 제조된 한지사를 직조하여 흡수층을 제조하고, 상기 흡수층의 하부면에 극세사층(직경이 0.1 내지 10 마이크로미터인 폴리에스터)을 0.8 밀리미터의 두께로 적층하고, 상기 극세사층의 하부면에 0.08 밀리미터의 폴리우레탄 시트로 이루어진 방수층을 적층하여 적층체를 제조한 후에, 상기 적층체의 테두리 부분에 폴리우레탄 열가소성 접착제를 접착하고 열융착하는 과정을 통해 10mg의 중량을 나타내는 닥나무 섬유가 함유된 무봉제형 요실금용 흡수 패드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진행하되, 한지사를 상기 제조예 3을 통해 제조된 항균탈취제가 저장된 수조를 30yd/min의 속도로 통과하여 항균탈취제를 도포한 후에 65℃의 온도로 15분 동안 건조하는 과정을 진행하여 닥나무 섬유가 함유된 무봉제형 요실금용 흡수 패드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4>
상기 실시예 2와 동일하게 진행하되, 한지사를 상기 제조예 3을 통해 제조된 항균탈취제가 저장된 수조를 30yd/min의 속도로 통과하여 항균탈취제를 도포한 후에 65℃의 온도로 15분 동안 건조하는 과정을 진행하여 닥나무 섬유가 함유된 무봉제형 요실금용 흡수 패드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
면 섬유로 면사를 제조하고, 제조된 면사를 직조하여 흡수층을 제조하고, 상기 흡수층의 일면에 0.08 밀리미터의 폴리우레탄 시트로 이루어진 방수층을 적층하여 적층체를 제조한 후에, 상기 적층체의 테두리 부분에 폴리우레탄 열가소성 접착제를 접착하고 열융착하는 과정을 통해 면 섬유가 함유된 무봉제형 요실금용 흡수 패드를 제조하였다.
상기 실시예 1 내지 2 및 비교예 1을 통해 제조된 무봉제형 요실금용 흡수 패드의 흡수성능을 측정하여 아래 표 1에 나타내었다.
{단, 흡수성능은 수분흡수량을 측정하는 방법을 이용하였으며, 수분흡수량은 제조된 무봉제형 요실금용 흡수 패드를 식염수에 침지한 후에 침지 전의 무게에서 침지 후의 무게를 빼는 방법을 이용하였다.}
<표 1>
상기 표 1에 나타낸 것처럼,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2를 통해 제조된 무봉제형 요실금용 흡수 패드는 비교예 1을 통해 제조된 무봉제형 요실금용 흡수 패드에 비해 흡수성능이 우수한 것을 알 수 있으며, 특히 실시예 2와 같이 극세사층이 더 형성된 실시예 2를 통해 제조된 무봉제형 요실금용 흡수 패드의 흡수성이 더욱 우수한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 1, 3, 4 및 비교예 1을 통해 제조된 무봉제형 요실금용 흡수 패드의 항균성능을 측정하여 아래 표 2에 나타내었다.
{단, 항균성능은 KS K 0693-1990에 의겨하여 측정하였으며, 항균성능의 측정에 사용된 균은 황색포도상구균(Staphyllococcus aureus)과 폐렴간균(Klebsiella)이다.}
<표 2>
상기 표 2에 나타낸 것처럼, 본 발명의 실시예 1, 3 및 4를 통해 제조된 무봉제형 요실금용 흡수 패드는 비교예 1을 통해 제조된 무봉제형 요실금용 흡수 패드에 비해 우수한 항균성능을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실시예 3 내지 4와 같이 제조예 3을 통해 제조된 항균탈취제가 도포된 무봉제형 요실금용 흡수 패드의 항균성능이 더욱 우수한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 1 내지 4 및 비교예 1을 통해 제조된 무봉제형 요실금용 흡수 패드의 소취성능을 측정하여 아래 표 3에 나타내었다.
{단, 소취성능은 KS K ISO 17299 시험법에 따라 측정하였으며, 암모니아 농도를 측정하는 방법을 이용하였다.}
<표 3>
상기 표 3에 나타낸 것처럼,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4를 통해 제조된 무봉제형 요실금용 흡수 패드는 비교예 1을 통해 제조된 무봉제형 요실금용 흡수 패드에 비해 우수한 소취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으며, 특히 실시예 3 내지 4와 같이 제조예 3을 통해 제조된 항균탈취제가 도포된 무봉제형 요실금용 흡수 패드의 소취 효과가 더욱 우수한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닥나무 섬유가 함유된 무봉제형 요실금용 흡수 패드는 닥나무 섬유가 함유되어 항균, 소취 및 피부친화성이 우수하며, 무봉제형으로 제조되어 편안한 착용감을 나타낼 뿐만 아니라, 흡수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요실금용 외에도 생리대 및 애완동물용 배변패드 등으로 적용이 가능하다.
10 ; 흡수층
20 ; 방수층
30 ; 극세사층

Claims (5)

  1. 닥나무 섬유로 이루어진 한지사를 직조하여 제조된 흡수층; 및
    상기 흡수층의 일면에 형성되는 방수층;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흡수층 및 상기 방수층은 접착제 또는 접착필름으로 테두리 부분이 접착되고,
    상기 한지사는 T/M 500 내지 700의 꼬임을 가지며, 섬도가 180 내지 350 데니어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한지사의 표면에는 항균탈취제가 코팅되며,
    상기 항균탈취제는 편백정유 수용액 100 중량부, 광물분말 30 내지 50 중량부 및 천연고착제 40 내지 60 중량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광물분말은 일라이트 100 중량부, 옥 80 내지 120 중량부, 자수정 80 내지 120 중량부, 모나자이드 20 내지 30 중량부, 제올라이트 65 내지 75 중량부, 맥반석 40 내지 50 중량부, 벤토나이트 20 내지 25 중량부 및 규조토 20 내지 25 중량부로 이루어지는,
    닥나무 섬유가 함유된 무봉제형 요실금용 흡수 패드.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천연고착제는 황토 100 중량부에 송진 50 내지 80 중량부를 혼합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닥나무 섬유가 함유된 무봉제형 요실금용 흡수 패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흡수층과 상기 방수층 사이에는 직경이 0.1 내지 10 마이크로미터인 폴리에스터로 이루어지는 극세사층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닥나무 섬유가 함유된 무봉제형 요실금용 흡수 패드.
KR1020230042260A 2023-03-30 2023-03-30 닥나무 섬유가 함유된 무봉제형 요실금용 흡수 패드 KR1025611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42260A KR102561153B1 (ko) 2023-03-30 2023-03-30 닥나무 섬유가 함유된 무봉제형 요실금용 흡수 패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42260A KR102561153B1 (ko) 2023-03-30 2023-03-30 닥나무 섬유가 함유된 무봉제형 요실금용 흡수 패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61153B1 true KR102561153B1 (ko) 2023-07-28

Family

ID=874269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42260A KR102561153B1 (ko) 2023-03-30 2023-03-30 닥나무 섬유가 함유된 무봉제형 요실금용 흡수 패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61153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194477B1 (ko) 1991-01-10 1999-06-15 위스노스키 카알 요 실금용 패드
KR100825593B1 (ko) * 2006-12-04 2008-04-25 관 모 이 황토와 기능성 광물질을 혼합한 재생용지 제조방법
KR20110085555A (ko) * 2010-01-21 2011-07-27 (주)윌비스 한지사를 이용한 면 생리대
KR101143896B1 (ko) 2009-08-31 2012-05-11 이규철 한방 조성물이 함유된 요실금 패드 및 그 제조방법
KR20130115676A (ko) * 2012-04-13 2013-10-22 주식회사 자연담은한지 편백나무 수피와 잎 추출물이 포함된 다 기능성 한지 섬유의 제조방법
KR20200053787A (ko) * 2018-11-09 2020-05-19 이경희 촉감 및 청량감이 우수한 인견직물의 제조방법
KR20220043586A (ko) * 2020-09-29 2022-04-05 주식회사 지앤이헬스케어 요실금용 흡수패드 및 이를 포함하는 요실금용 팬티
KR20230037805A (ko) * 2021-09-10 2023-03-17 주식회사 디알컴퍼니 접밴드부 누수 방지 기능을 갖는 요실금 팬티용 패드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194477B1 (ko) 1991-01-10 1999-06-15 위스노스키 카알 요 실금용 패드
KR100825593B1 (ko) * 2006-12-04 2008-04-25 관 모 이 황토와 기능성 광물질을 혼합한 재생용지 제조방법
KR101143896B1 (ko) 2009-08-31 2012-05-11 이규철 한방 조성물이 함유된 요실금 패드 및 그 제조방법
KR20110085555A (ko) * 2010-01-21 2011-07-27 (주)윌비스 한지사를 이용한 면 생리대
KR20130115676A (ko) * 2012-04-13 2013-10-22 주식회사 자연담은한지 편백나무 수피와 잎 추출물이 포함된 다 기능성 한지 섬유의 제조방법
KR20200053787A (ko) * 2018-11-09 2020-05-19 이경희 촉감 및 청량감이 우수한 인견직물의 제조방법
KR20220043586A (ko) * 2020-09-29 2022-04-05 주식회사 지앤이헬스케어 요실금용 흡수패드 및 이를 포함하는 요실금용 팬티
KR20230037805A (ko) * 2021-09-10 2023-03-17 주식회사 디알컴퍼니 접밴드부 누수 방지 기능을 갖는 요실금 팬티용 패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12677B2 (ja) 吸汗性シー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5047674B2 (ja) 使い捨ておむつ
US9220804B2 (en) Female sanitary and incontinence towels, gauze/bandages and surgical dressings for treating wounds based on tourmaline
CN106618870A (zh) 一种理疗卫生巾的制造方法
CN206151698U (zh) 原棉本色尿裤
AU2015416315A1 (en) Improved acquisition distribution laminate
WO2020121176A1 (en) A multi-layer textile assembly
CN101453972B (zh) 吸汗性片材及一次性尿布
CN114760966A (zh) 吸收性部件
KR102561153B1 (ko) 닥나무 섬유가 함유된 무봉제형 요실금용 흡수 패드
CN205674591U (zh) 三层复合抗菌无纺布
CN207855850U (zh) 无痕拉拉裤
WO2020195483A1 (ja) 吸収性物品
CN207613212U (zh) 无痕经期裤
JPH0257252A (ja) おむつ又はその類似品
KR102354600B1 (ko) 겨드랑이 부위 땀 흡수 및 냄새 방지용 기능성 발열 속옷
CN110074924A (zh) 一种吸收性物品
KR102555702B1 (ko) 폴리프로필렌 이형단면 방사기술을 적용한 기저귀용 스펀본드 부직포
KR100533997B1 (ko) 다기능성 양말
CN219000899U (zh) 一种有固定带卫生巾
CN207886361U (zh) 一种脱敏活氧负离子卫生巾
EP3649998B1 (de) Einweg-absorptionsartikel, insbesondere einweg-windel oder einweg-windelhöschen, mit leichtem, hochsaugfähigem absorptionskern
CN209916392U (zh) 一种玻尿酸植入卫生巾表层防霉变结构
RU2728044C1 (ru) Двуслойная ткань
KR102394821B1 (ko) 수술용 기저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