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12168A - 세탁물 건조기 및 세탁물 건조기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세탁물 건조기 및 세탁물 건조기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12168A
KR20210112168A KR1020200027379A KR20200027379A KR20210112168A KR 20210112168 A KR20210112168 A KR 20210112168A KR 1020200027379 A KR1020200027379 A KR 1020200027379A KR 20200027379 A KR20200027379 A KR 20200027379A KR 20210112168 A KR20210112168 A KR 202101121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um
steam
unit
laundry dryer
steriliz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73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운제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273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12168A/ko
Priority to AU2021229883A priority patent/AU2021229883B2/en
Priority to CN202180018783.4A priority patent/CN115279966A/zh
Priority to US17/909,261 priority patent/US20230087630A1/en
Priority to EP21764747.8A priority patent/EP4116483A4/en
Priority to PCT/KR2021/002436 priority patent/WO2021177671A1/ko
Publication of KR202101121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1216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2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4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58/45Cleaning or disinfection of machine parts, e.g. of heat exchangers or filt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5/00Washing machines, apparatus, or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35/005Methods for washing, rinsing or spin-drying
    • D06F35/008Methods for washing, rinsing or spin-drying for disinfecting the tub or the dru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4Heat
    • A61L2/06Hot gas
    • A61L2/07Steam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06F33/50Control of washer-dryer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33/69Control of cleaning or disinfection of washer-dryer parts, e.g. of tub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3Laundry condition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6Heat pump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4Condensing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4Means for controlling sterilisation processes, data processing, presentation and storage means, e.g. sensors, controllers, progra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7Combination with washing or cleaning mea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1/00User input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1/20Operation modes, e.g. delicate laundry washing programs, service modes or refreshment cycl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58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related to condensation, e.g. condensate water level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16Air properties
    • D06F2105/20Temperatur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02Domestic laundry dryers having dryer drum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 Control Of Washing Machine And Dry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탁물 건조기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살균을 위하여 캐비닛 내부의 온도를 상승시키는 살균 건조 단계, 상기 살균 건조 단계 후 드럼의 살균을 위하여 상기 드럼의 내부에 스팀을 공급하는 스팀 세척 단계, 및 상기 스팀 세척 단계 후 상기 드럼 내부의 공기를 순환시키는 송풍 단계를 포함하여 드럼의 온도가 살균이 이루어지는 기준 온도 이상이 되도록 제어함으로써, 드럼을 살균시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세탁물 건조기 및 세탁물 건조기의 제어방법 {LAUNDRY DRYING MACHINE AND CONTROLLING METHOD OF LAUNDRY DRYING MACHINE}
본 발명은 세탁물 건조기 및 세탁물 건조기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스팀 발생 장치를 통하여 고온의 스팀을 발생시키고, 드럼의 회전 및 팬의 회전을 각각 제어하는 세탁물 건조기 및 세탁물 건조기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근자에는 의류의 수분을 제거할 수 있는 건조행정을 수행하는 의류처리장치가 등장하였다. 종래 의류처리장치는 의류를 수용하는 드럼에 열풍을 공급하여 의류를 건조하여 의류의 건조시간을 크게 단축시킬 뿐만아니라, 의류의 살균 및 소독을 수행할 수 있었다.
한편, 상기 건조행정을 수행하는 의류처리장치에 의류의 구김을 제거하거나, 건조효율을 향상시키거나, 살균 등을 수행하기 위하여 스팀(steam)을 의류에 공급하는 종래 의류처리장치도 존재한다.
선행특허문헌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127816호(2013.11.25.)에는 히트 펌프 시스템이 구비된 응축식 건조기가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응축식 건조기는 응축수로 인한 오염 발생의 문제가 있다. 구체적으로, 피건조물에서 발생하는 린트를 포함한 이물질이 드럼에 붙거나, 건조기의 장시간 사용에 따라 열교환부 등에 존재하는 세균으로부터 오염이 발생할 수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직접 드럼을 세척할 수는 있으나, 건조기의 구조상 내부에 구비된 드럼의 세척은 사용자에게 불편함을 준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세탁물 건조기 및 세탁물 건조기의 제어방법이 가지는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자동으로 드럼을 세척할 수 있는 구성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세탁물 건조기는,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피건조물을 수용하는 드럼; 상기 드럼에서 배출된 공기를 상기 드럼으로 재공급하도록 구비되는 덕트부; 상기 덕트부를 따라 이동하는 공기에 유동력을 제공하는 순환팬; 상기 덕트부 상에 구비되어, 상기 덕트부를 따라 순환되는 공기와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열교환부; 상기 덕트부를 따라 순환되는 공기와 열교환되도록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 상기 드럼 내부로 스팀(steam)을 공급하는 스팀부; 및 상기 드럼, 상기 순환팬, 상기 압축기 및 상기 스팀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압축기를 구동하여 상기 캐비닛 내부의 온도를 상승시킨 후, 상기 드럼 내부의 열량을 증가시켜 상기 드럼 내부를 살균하도록 상기 스팀부를 작동시킬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무부하 조건에서 상기 드럼에 대한 살균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압축기를 작동시키는 중, 상기 드럼 및 상기 순환팬을 작동시킬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압축기의 작동을 중지시킨 후, 상기 스팀부를 작동시킬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팀부를 작동시키는 동안, 상기 드럼을 함께 회전시키고, 상기 순환팬의 회전을 중지시킬 수 있다.
상기 스팀부는, 미리 설정된 양의 물을 공급받아 저장하고, 전원이 인가되면 저장된 물을 가열하여 미리 설정된 스팀 분사 시간 동안 스팀을 발생시킬 수 있다.
상기 스팀부는, 상기 순환팬의 작동이 중지되면, 전원이 인가되어 저장된 물을 가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팀부의 작동을 중지시킨 후, 상기 순환팬을 작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세탁물 건조기는 상기 캐비닛에 집수된 응축수에 유동력을 제공하는 드레인 펌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드레인 펌프를 더 제어하며, 상기 스팀부의 작동을 중지시킨 후, 미리 설정된 배수 시간 동안 상기 드레인 펌프를 작동시킬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세탁물 건조기의 제어방법은 살균을 위하여 캐비닛 내부의 온도를 상승시키는 살균 건조 단계; 상기 살균 건조 단계 후, 드럼의 살균을 위하여 상기 드럼의 내부에 스팀을 공급하는 스팀 세척 단계; 및 상기 스팀 세척 단계 후, 상기 드럼 내부의 공기를 순환시키는 송풍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살균 건조 단계에서는, 상기 캐비닛 내부의 온도를 상승시키기 위하여 압축기를 구동시킬 수 있다.
상기 살균 건조 단계에서는, 가열 중의 공기를 순환시키기 위하여 순환팬을 작동시킬 수 있다.
상기 살균 건조 단계에서는, 상기 드럼 내부를 고르게 가열시키기 위하여 드럼을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스팀 세척 단계에서는, 스팀부를 작동시켜 상기 드럼 내부로 스팀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스팀 세척 단계에서는, 상기 스팀 발생 장치를 예열하는 스팀 예열 단계; 및 상기 드럼 내부로 스팀을 분사하는 스팀 분사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팀 세척 단계에서는, 상기 드럼 내부를 고르게 살균시키기 위하여 상기 드럼을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스팀 세척 단계에서는, 상기 드럼 내부를 살균시키기 위하여 상기 드럼을 회전시키고, 상기 살균 건조 단계에서부터 작동 중이던 순환팬의 작동을 정지시킬 수 있다.
상기 송풍 단계에서는, 가열된 공기를 순환시키기 위하여 순환팬을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송풍 단계에서는, 상기 캐비닛에 집수된 응축수를 배출시키기 위하여 드레인 펌프를 작동시킬 수 있다.
상기 살균 건조 단계에서는, 상기 드럼에서부터 공기가 유입되는 방향의 열교환부의 온도가 섭씨 60도 이상일 때까지 온도를 상승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세탁물 건조기 및 세탁물 건조기의 제어방법에 의하면, 드럼의 온도가 살균이 이루어지는 기준 온도 이상이 되도록 제어함으로써, 드럼을 살균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압축기의 구동 제어를 통해 드럼의 표면 온도를 살균이 이루어지는 기준 온도 이상으로 상승시켜, 살균을 위한 별도의 구성/수단 없이 간단하게 드럼을 살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건조기의 외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건조기의 내부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건조기에서 제어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건조기의 제어방법에 따른 순서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된 스팀 건조 방법의 구체적인 적용 예에 따른 예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세탁물 건조기의 제어방법에 따른 살균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그림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세탁물 건조기의 제어방법에 따른 필터의 온도에 대한 그래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세탁물 건조기의 제어방법에 따른 증발기 전단의 온도에 대한 그래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될 수 있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으로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을 수 있다.
아울러, 이하의 실시예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으로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건조기의 외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 개시되고, 도 2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건조기의 내부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가 개시되어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탁물 건조기(1)의 외체를 형성하는 캐비닛(10)은 세탁물 건조기(1)의 전방면을 구성하는 전방패널(11)과, 후방면을 구성하는 후면패널(12)과, 측면을 구성하는 한 쌍의 측면패널(14)과, 상면을 구성하는 상부패널(13)을 포함한다.
전방패널(11)에는 후술하는 드럼(20)에 연통하도록 구비된 투입구(111) 및 캐비닛(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투입구(111)를 개폐하는 도어(112)가 구비될 수 있다.
전방패널(11)에는 컨트롤패널(117)이 구비된다.
컨트롤패널(117)에는 사용자로부터 제어명령을 입력받는 입력부(118), 사용자가 선택 가능한 제어명령 등의 정보가 출력되는 표시부(119), 및 세탁물 건조기(1)의 행정을 수행하는 명령을 제어하는 메인 제어부(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입력부(118)는 세탁물 건조기에 전력공급을 요청하는 전력공급 요청부, 다수의 코스 중 사용자가 원하는 코스를 선택 가능하게 하는 코스 입력부, 사용자가 선택한 코스의 개시를 요청하는 실행요청부 등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표시부(119)는 문자 및/또는 도형의 출력이 가능한 디스플레이 패널, 및 음성신호 및 음향의 출력이 가능한 스피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표시부(119)를 통해서 출력되는 정보를 통해 현재 진행 중인 행정의 상황, 잔여 시간 등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캐비닛(10)의 내부에는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의류(피건조물)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드럼(20)과, 드럼(20)에서 배출된 공기를 드럼(20)으로 재공급하는 유로를 형성하는 덕트부(30)와, 덕트부(30)로 유입된 공기를 제습하고 가열한 뒤 드럼(20)으로 재공급하는 열교환부(40)가 구비된다.
드럼(20)은 전방면이 개방된 원통형상의 드럼 바디(21)를 포함하며, 캐비닛(10)의 내부에는 드럼 바디(21)의 전방면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1 지지부(22), 및 드럼 바디(21)의 후방면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2 지지부(23)를 구비할 수 있다.
제1 지지부(22)는 캐비닛(10)의 내부에 고정된 제1 고정바디(22a)와, 제1 고정바디(22a)를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투입구(111)와 드럼 바디(21) 내부를 연통시키는 드럼 투입구(22b), 제1 고정바디(22a)에 구비되어 드럼 바디(21)의 전방면에 삽입되는 제1 지지바디(22c)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1 지지부(22)는 투입구(111)와 드럼 투입구(22b)를 연결하는 연결바디(22d)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바디(22d)는 드럼 투입구(22b)로부터 투입구(111)를 향해 연장된 파이프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연결바디(22d)에는 덕트부(30)에 연통하는 공기 배출구(22e)가 구비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 배출구(22e)는 드럼 바디(21)의 내부 공기가 덕트부(30)로 이동 가능하게 하는 통로이며, 연결바디(22d)를 관통하도록 구비된 관통홀로 구비될 수 있다.
제2 지지부(23)는, 캐비닛(10) 내부에 고정된 제2 고정바디(23a)와, 제2 고정바디(23a)에 구비되어 드럼 바디(21)의 후방면에 삽입되는 제2 지지바디(23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2 지지부(23)에는 제2 고정바디(23a)를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드럼 바디(21)의 내부를 캐비닛(10) 내부와 연통시키는 공기 유입구(23c)가 구비된다.
이 경우에, 덕트부(30)는 공기 배출구(22e) 및 공기 유입구(23c)를 연결하도록 구성된다.
원통형상의 드럼 바디(21)는 다양한 형태의 구동부(50)를 통해 회전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도 2에는 구동부(50)가 캐비닛(10) 내부에 고정된 드럼 모터(51), 드럼 모터(51)에 의해 회전하는 풀리(52), 풀리(52)의 원주면과 드럼 바디(21)의 원주면을 연결하는 벨트(53)를 포함하는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 경우, 제1 지지부(22)에는 드럼 바디(21)의 원주면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1 롤러(R1)가 구비되고, 제2 지지부(23)에는 드럼 바디(21)의 원주면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2 롤러(R2)가 구비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풀리 및 벨트를 거치지 않고 드럼 모터(51)가 직접 드럼에 연결되어 드럼을 회전시키는 직구동 방식의 구동부도 적용 가능하며, 이는 본 발명의 범위에 당연히 속한다. 편의상 이하에서는 도시된 구동부(50)의 실시예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덕트부(30)는 공기 배출구(22e)에 연결된 배기덕트(31)와, 공기 유입구(23c)에 연결된 공급덕트(32)와, 배기덕트(31) 및 공급덕트(32)를 연결하며 내부에 열교환부(40)가 설치되는 연결덕트(33)를 포함한다.
열교환부(40)는 덕트부(30)로 유입된 공기의 제습과 가열을 순차적으로 진행이 가능한 다양한 장치로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열교환부(40)는 히트펌프 시스템으로 구비될 수 있다.
히트펌프 시스템 방식으로서 열교환부(40)는, 덕트부(30)를 따라 공기를 이동시키는 순환팬(43)과, 덕트부(30)로 유입된 공기의 습도를 낮추어 제습 기능을 수행하는 제1 열교환기(흡열부, 41)와, 덕트부(30)의 내부에 구비되어 제1열교환기(41)를 통과한 공기를 가열하는 제2 열교환기(발열부, 42)를 포함할 수 있다.
순환팬(43)은 덕트부(30) 내부에 구비된 임펠러(43a)와, 임펠러(43a)를 회전시키는 임펠러 모터(43b)를 포함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덕트부(30)를 따라 이동하는 공기에 유동력을 제공한다.
임펠러(43a)는 배기덕트(31), 연결덕트(33), 및 공급덕트(32) 중 임의의 위치에 설치될 수 있는데, 도 2에는 임펠러(43a)가 연결덕트(32)에 구비된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으며,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편의상 이하에서는 임펠러(43a)가 연결덕트(32)에 구비된 실시예를 기준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열교환부(40)는 상기 덕트부(30)를 따라 순환되는 공기와 열교환이 이루어질 수 있다.
흡열부(41)와 발열부(42)는 연결덕트(33)의 내부로서 배기덕트(31)로부터 공급덕트(32)를 향하는 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배치되며, 냉매의 순환유로를 형성하는 냉매관(44)을 통해 서로 연결된다.
흡열부(41)는 배기덕트(31)로 유입된 공기의 열을 냉매로 전달함으로써 공기는 냉각시키고, 냉매는 증발시키는 수단이다.
발열부(42)는 압축기(45)를 통과한 냉매가 가진 열을 공기에 전달함으로써, 공기는 가열하고, 냉매는 응축시키는 수단이다.
압축기(45)는 압축기 모터(45a)에 의하여 회전력을 제공받아 덕트부(30)를 따라 순환되는 공기와 열교환되는 냉매를 압축한다.
이 경우, 공기에 포함된 수분은 흡열부(41)를 통과할 때 흡열부(41)의 표면을 따라 이동되어 연결덕트(33)의 바닥면에 모이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흡열부(41)와 발열부(42)를 포함하는 히트펌프 시스템 방식의 열교환부(40)에 관한 구성은 당업계에 이미 공지된 구성이 적용 가능하며, 이에 관한 세부 구성에 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한편, 흡열부(41)를 통과하는 공기로부터 응축되어 연결덕트(33)의 바닥면에 모이게 된 응축수을 수집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세탁물 건조기(1)에는 집수부(60)가 구비된다.
흡열부(41)에서 응축된 응축수는 집수부(60)에 1차 수집된 후 저수부(70)로 2차 수집될 수 있다. 집수부(6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덕트(33) 내부에 위치되거나, 연결덕트(33)와 이격된 공간에 별도로 마련될 수 있다.
집수부(60)를 통해 1차 수집된 응축수는 응축수 공급관(61)을 통해 저수부(70)로 공급된다. 이 때, 응축수 공급관(61)에는 응축수의 원활한 배출을 위해서 드레인 펌프(62)가 구비된다.
저수부(70)는 전방패널(11)의 일측에서 외부로 인출 가능하게 구비되는 저수탱크(72)를 구비한다. 저수탱크(72)는 후술하는 집수부(60)로부터 전달된 응축수를 수집하도록 구성된다.
사용자는 저수탱크(72)를 캐비닛(10)으로부터 인출하여 응축수를 제거한 뒤, 다시 캐비닛(10)에 장착할 수 있다. 이로써, 본 발명에 따른 세탁물 건조기는 하수구 등이 설치되지 않는 장소에도 얼마든지 배치될 수 있다.
보다 상세히는, 저수부(70)는 캐비닛(10)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어 물이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저수탱크(72)와, 저수탱크(72)를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응축수 공급관(61)에서 배출되는 물을 저수탱크(72) 내부로 유입시키는 유입구(72a)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저수탱크(72)는 캐비닛(10)에서 인출되는 드로워 형태의 탱크로 구비될 수 있는데, 이 경우 캐비닛의 전방패널(11)에는 저수탱크(72)가 삽입되는 저수부 장착홀이 구비된다.
저수탱크(72)의 전방면에는 패널(71)이 고정되는데, 패널(71)은 저수부 장착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여 전방패널(11)의 일부를 형성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패널(71)에는 사용자의 손이 삽입되어 파지되는 홈부(71a)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패널(71)은 저수탱크(72)를 캐비닛으로부터 인출하거나 캐비닛으로 삽입하는 핸들의 기능도 수행하게 된다.
유입구(72a)는 캐비닛(10)에 고정된 응축수 노즐(63)에서 배출되는 응축수를 공급받도록 형성된다. 응축수 노즐(63)은 저수탱크(72)가 캐비닛(10)에 삽입된 때 유입구(72a)의 상부에 위치되도록, 캐비닛(10)의 상부패널(13)에 고정될 수 있다.
사용자는 저수탱크(72)를 캐비닛(10)에서 인출한 뒤 저수탱크(72)를 유입구(72a)가 위치된 방향을 향해 뒤집거나 기울임으로써 저수탱크(72) 내부의 물을 버릴 수 있다. 저수탱크(72) 내부의 물이 유입구(72a)를 통해 쉽게 배출되도록, 저수탱크(72)의 상부면을 관통하도록 구비된 연통홀(72b)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세탁물 건조기(1)는 의류 등의 세탁물의 건조 과정에서 생성되는 린트와 먼지 등의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제1 여과부(F1)와 제2 여과부(F2)를 구비한다.
제1 여과부(F1)는 드럼(20)으로부터 배출되는 공기 중에 포함된 이물질을 1차적으로 필터링할 수 있도록 배기덕트(31)에 구비된다.
제2 여과부(F2)는 제1 여과부(F1)를 통과한 공기 중에 포함된 이물질을 2차적으로 필터링할 수 있도록 공기의 유동 방향으로 제1 여과부(F1)의 하류에 배치된다. 보다 상세히는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여과부(F2)는 연결덕트(33)의 내부로서 제1 열교환기(41)의 상류측에 배치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공기 중에 포함된 이물질이 흡열부로서 작용하는 제1 열교환기(41)에 축적되어 제1 열교환기(41)를 오염시키거나 성능 저하를 일으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제1 여과부(F1) 및 제2 여과부(F2)에 관한 세부 구성은 당업계에 공지된 임의의 수단이 적용가능한 바 세부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세탁물 건조기(1)는, 내부급수부(81)와 외부급수부(82)를 포함하는 급수부(80)와, 급수부(80)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스팀을 생성하는 스팀부(90)를 더 포함한다.
스팀부(90)는 응축수가 아닌 신선한 물을 공급받아 스팀을 생성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스팀부(90)는 물을 가열하거나, 초음파를 이용하거나, 기화하여 스팀을 생성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스팀부(90)는 필요에 따라 내부급수부(81) 뿐만 아니라 외부급수부(82)를 통해 물을 공급받아 드럼 바디(21)의 내부로 스팀을 공급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외부급수부(82)는 배면패널(13)에 인접하거나 배면패널(13)에 고정되는 직수밸브(82a)와, 직수밸브(82a)에서 전달되는 물을 스팀부(90)로 공급하는 직수관(82b)을 포함할 수 있다.
직수밸브(82a)는 외부급수원과 결합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직수밸브(82a)는 캐비닛의 배면으로 연장되는 급수관(미도시)과 결합될 수 있다. 이로써, 스팀부(90)는 직수밸브(82a)를 통해 직접 물을 공급받도록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내부급수부(81)가 생략되거거나, 내부급수부(81)에 물이 저장되어 있지 않더라도, 스팀부(90)는 필요시 직수밸브(82a)를 통해 스팀 생성을 위한 물을 공급받을 수 있다.
직수밸브(82a)는 제어부(100)에 의해 직접 제어될 수 있다.
제어부(100)는 컨트롤패널(117)에 설치될 수 있으나,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트롤패널(117)의 과부하를 방지하고 제조비를 상승시키지 않기 위해 별도의 제어패널로 구비될 수 있다.
이 때, 제어부(100)는 스팀부(90)와 인접하여 구비될 수 있다. 제어부(100)는 스팀부(90)가 설치되는 측면패널(14)에 구비되어 스팀부(90)와 연결되는 제어선 등의 길이를 축소시킬 수 있다.
한편, 스팀부(90)는 직수밸브(82a)에 인접하여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직수관(82b)에 불필요하게 잔수가 잔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필요시 즉각적으로 물을 공급받을 수 있다.
제어부(100)는 입력부(118)를 통해 인가되는 사용자의 입력에 근거하여 세탁물 건조기(1)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형성된다. 제어부(100)는 인쇄회로기판과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실장된 소자들로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가 입력부(118)를 통해 의류 처리 코스를 선택, 세탁물 건조기(1)의 작동 등 제어명령을 입력하면, 제어부(100)는 미리 설정된 알고리즘에 따라 세탁물 건조기(1)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어부(100)의 구체적인 제어 내용은 후술하기로 한다.
한편, 도 3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건조기에서 제어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가 개시되어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건조기(1)는 입력부(118), 출력부(119), 통신부(115), 감지부(116), 모터(51, 43b, 45a), 드레인 펌프(62), 스팀부(90) 및 제어부(10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18)는 사용자로부터 세탁물 건조기(1)의 동작과 관련된 제어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입력부(118)는 복수의 버튼으로 구성될 수도 있고,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입력부(118)는 의류처리장치의 운전 코스를 선택받거나, 선택된 운전 코스의 실행과 관련된 제어입력을 입력 받을 수 있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출력부(119)는 세탁물 건조기(1)의 동작과 관련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출력부(119)는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출력부(119)에 의해 출력되는 정보는, 세탁물 건조기(1)의 동작 상태와 관련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출력부(119)는 선택된 운전 코스, 고장 발생 여부, 운전완료시간 및 드럼(20) 내에 수용된 포량 중 적어도 하나와 관련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일 예로, 출력부(119)는 입력부(118)와 일체로 형성되는 터치스크린일 수 있다.
통신부(115)는 외부 네트워크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통신부(115)는 외부 네트워크로부터 의류처리장치의 동작과 관련된 제어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115)는 외부 네트워크를 통하여, 외부 단말기에서 발송된 세탁물 건조기의 동작 제어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는 원격으로 세탁물 건조기를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통신부(115)는 외부 네트워크를 통하여, 소정의 서버로 의류처리장치의 동작 결과와 관련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115)는 사물 인터넷(Internet Of Things, IOT) 환경을 구축하기 위하여, 다른 전자장치와 통신을 수행할 수도 있다.
감지부(116)는 세탁물 건조기의 동작과 관련된 정보를 감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감지부(116)는 전류센서, 전압센서, 진동센서, 소음센서, 초음파센서, 압력센서, 적외선센서, 시각센서(카메라센서), 전극센서 및 온도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감지부(116)의 전류센서는, 세탁물 건조기(1)의 제어 회로의 일지점에 흐르는 전류를 감지할 수 있다.
다른 예로, 감지부(116)의 온도센서는 덕트부(30) 내의 온도를 감지할 수 있고, 실시예에 따라 드럼(20) 내의 온도를 감지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감지부(116)의 전극센서는 드럼(20) 내부의 수분을 감지할 수 있다.
감지부(116)는 열교환부(40)의 온도를 감지하여, 감지 결과를 상기 제어부(100)에 전달하는 하나 이상의 온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감지부(116)는 하나 이상의 온도 센서를 포함하여, 제1 열교환기(41) 및 제2 열교환기(42) 각각에 순환되는 공기 및 냉매의 온도 중 하나 이상을 감지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감지부(116)는 하나 이상의 온도 센서를 포함하여, 압축기(45)에 순환되는 냉매의 온도를 감지할 수 있다.
감지부(116)는 또한, 상기 드럼(20)에 유입 또는 유출되는 공기의 온도를 감지하는 복수의 온도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처럼 상기 복수의 온도 센서를 포함하는 감지부(116)는, 온도를 감지하는 센싱모듈이 열교환부(40)에 구비되고, 상기 복수의 온도 센서의 센싱 결과를 전달받아 온도를 감지하는 감지모듈이 제어부(100)에 구비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위와 같이, 감지부(116)는 다양한 종류의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세탁물 건조기(1)가 구비하는 센서의 종류는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각 센서의 개수나 설치 위치도 목적에 따라 다양하게 설계할 수 있다.
모터(51, 43b, 45a)는 드럼 모터(51), 임펠러 모터(43b) 및 압축기 모터(45a)를 포함하며, 제어부(100)의 제어명령(지령)에 의하여 전력, 전류, 전압 및 속도 중 적어도 하나를 가변할 수 있다.
일 예로, 드럼 모터(51)는 제어부(100)의 제어명령에 의하여 드럼(20)의 회전 속도(rpm)을 가변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임펠러 모터(43b)는 제어부(100)의 제어명령에 의하여 순환팬(43)의 회전 속도(rpm)을 가변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압축기 모터(45a)는 제어부(100)의 제어명령에 의하여 압축기(45)의 주파수(Hz)를 가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제어부(100)는, 세척 및 살균 과정에서 응축된 응축수를 배수시키기 위하여
드레인 펌프(62)는 집수부(60)에 모인 응축수를 저수부(70)로 이송시키는 역할을 한다. 즉 드레인 펌프(62)는 캐비닛에 집수된 응축수에 유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제어부(100)는, 드레인 펌프(62)의 구동 속도(rpm)을 제어하여 세척 및 살균에 사용된 후 저수된 응축수를 배수시킬 수 있다.
스팀부(90)는 필요에 따라 내부급수부(81) 뿐만 아니라 외부급수부(82)를 통해 물을 공급받아 드럼 바디(21)의 내부로 스팀을 공급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스팀부(90)는 공급 받은 물을 가열하여 스팀을 발생시키는 스팀 제너레이터(91)와 발생된 스팀이 유동하는 스팀 배관(92) 및 스팀을 드럼 바디(21) 내부로 분사하는 스팀 노즐(93)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스팀 제너레이터(91)는 내부에 수용된 일정량의 물을 히터(도면 미기재)로 가열하여 스팀을 발생시키는 방식(이하 편의상 '통가열 방식'이라 함)으로 표현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어부(100)는 세탁물 건조기(1)에 포함된 구성요소를 제어할 수 있다.
먼저, 제어부(100)는 드럼 모터(51), 임펠러 모터(43b) 및 압축기 모터(45a)의 회전을 제어하기 위하여 전력 지령치, 전류 지령치, 전압 지령치 및 속도 지령치 중 적어도 하나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에서 제어부(100)는 드럼 모터(51)와 임펠러 모터(43b) 및 압축기 모터(45a)를 각각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100)는 입력부(118)에 입력된 제어입력에 근거하여, 드럼(20), 순환팬(43) 및 열교환부(40)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즉, 제어부(100)는 입력부(118)에 입력된 사용자의 제어입력에 근거하여, 드럼(20)의 회전 속도 및 회전 패턴을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00)는 입력부(118)에 입력된 사용자의 제어입력에 근거하여, 순환팬(43)의 회전 속도나 동작 시점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00)는 입력부(118)에 입력된 사용자의 제어입력에 근거하여, 드럼(20) 내부의 온도를 조절하기 위해 열교환부(40)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예로, 제어부(100)는 입력부(118)에 입력된 사용자의 제어입력에 근거하여, 압축기(45)의 구동 주파수(Hz)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00)는 스팀 제너레이터(91)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하여 전력 지령치, 전류 지령치 및 전압 지령치 중 적어도 하나를 생성할 수 있다.
즉, 제어부(100)는 입력부(118)에 입력된 사용자의 제어입력에 근거하여, 스팀 제너레이터(91)의 가열 시간을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00)는 외부의 온도 또는 포량 등의 정보를 이용하여 스팀 제너레이터(91)의 가열 시간을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종래의 세탁물 건조기의 경우, 하나의 모터에 드럼 및 순환팬이 연결되었다. 따라서, 드럼 및 순환팬은 동시에 회전하고 동시에 회전을 정지하였다.
이때, 세탁물 건조기에 스팀을 분사할 경우, 분사된 스팀을 피건조물에 충분히 공급시키기 위하여 순환팬의 회전을 정지시킬 필요가 있었고, 순환팬의 정지를 위하여 드럼도 함께 회전을 정지하였다.
그러나, 드럼의 회전이 정지되면, 피건조물을 뒤집을 수 없고, 스팀이 피건조물에 공급된다고 하더라도, 스팀이 분사되는 방향에 놓여있는 피건조물에만 스팀이 공급되므로, 피건조물 전체에 고르게 스팀을 공급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건조기(1)에서는, 드럼 모터(51)와 임펠러 모터(43b)를 별도로 구비한다. 또한, 제어부(100)는 드럼 모터(51)와 임펠러 모터(43b) 및 압축기 모터(45a)를 각각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00)는, 드럼(20)의 회전을 유지시키면서, 스팀부(90)에서 스팀이 분사될 때, 순환팬(43)의 회전은 정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어부(100)는, 세탁물 건조기(1) 전체의 순간적인 소비 전력이 급상승하여 전원 공급이 차단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스팀부(90)를 작동시킬 때, 압축기(45)의 구동을 중지시킬 수 있다.
상세하게는, 제어부(100)는 스팀 제너레이터(91)를 작동시켜 물을 예열하거나 스팀을 발생시킬 때, 압축기 모터(45a)의 회전을 정지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제어부(100)는, 캐비닛(10) 내부의 온도를 상승시켜 드럼(20) 및 덕트부(30) 내부를 살균 및 건조시킨 후, 스팀부(90)를 작동시켜 드럼(20) 내부에 스팀을 공급하여 드럼(20) 및 덕트부(30) 내부를 살균할 있다.
드럼(20) 및 덕트부(30) 내부를 살균 및 건조시키는 동안, 제어부(100)는, 캐비닛(10) 내부의 온도를 상승시키기 위하여 압축기(45)를 작동시킬 수 있다.
이때, 제어부(100)는, 압축기(45)를 작동시키는 중, 드럼(20) 및 순환팬(43)을 회전(작동)시킬 수 있다.
한편, 제어부(100)는, 압축기(45)의 작동을 중지시킨 후, 스팀부(90)를 작동시켜, 드럼(20) 내부에 스팀을 공급하여 드럼(20) 및 덕트부(30) 내부를 살균할 있다.
스팀부(90)를 작동시키는 동안, 제어부(100)는, 드럼(20) 내부에 스팀을 고르게 공급시키기 위하여 드럼(20)은 회전시키고, 스팀을 드럼(20)에 충분히 공급시키기 위하여 순환팬(43)의 회전을 중지시킬 수 있다.
한편, 제어부(100)는 스팀부(90)에 미리 설정된 양의 물을 공급하고, 스팀부(90)를 작동시켜 전원이 인가되면 저장된 물을 가열하여 미리 설정된 스팀 분사 시간(ts) 동안 스팀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때, 제어부(100)는 순환팬(43)의 작동을 중지된 후, 스팀부(90)에서 스팀을 분사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00)는, 스팀부(90)의 작동을 중지시킨 후, 순환팬(43)을 다시 작동시킬 수 있다.
한편 제어부(100)는, 스팀부(90)의 작동을 중지시킨 후, 미리 설정된 배수 시간 동안 드레인 펌프(62)를 작동시켜 응축수를 배수시킬 수 있다.
한편, 시간의 흐름에 따른 제어부(100)의 제어에 대해서는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도 4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건조기(1)의 제어방법의 순서를 나타낸 순서도가 개시되어 있고, 도 5a 및 도 5b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된 스팀 건조 방법의 구체적인 적용 예에 따른 예시도가 개시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건조기(1)의 제어방법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건조기(1)의 제어방법은, 코스 입력 단계(S10), 살균 건조 단계(S20), 스팀 세척 단계(S30) 및 송풍 단계(S40)를 포함할 수 있다.
코스 입력 단계(S10)에서는 드럼(20)과 제1 여과부(F1)와 제2 여과부(F2)를 포함하는 필터(F) 및 열교환부(40)를 살균하는 통살균 코스 수행에 대한 제어입력이 입력된다.
즉, 본 발명의 세탁물 건조기(1)의 전원이 켜지면, 사용자는 입력부(118)에 제어입력을 입력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세탁물 건조기(1)의 장기간 사용에 의하여 드럼(20)과 필터(F) 및 열교환부(40)에 존재할 수 있는 미생물 등을 살균시키기 위하여 통살균 코스를 입력할 수 있다.
이때, 미생물은 황색포도산구균(Staphylococcus), 녹농균(Pseudomonas aeruginosa), 대장균(Escherichia coli) 및 집먼지 진드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통살균 코스는 의류, 타월 등을 포함한 건조 대상물(이하 피건조물이라고 부를 수 있다.)이 드럼(20)에 미수용된 상태에서 드럼(20)과 필터(F) 및 열교환부(40)에 대한 살균 동작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건조기(1)의 제어방법은, 무부하 조건에서 드럼(20)과 필터(F) 및 열교환부(40)에 대한 살균 동작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살균 건조 단계(S20)는 살균을 위하여 캐비닛(10) 내부의 온도를 상승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살균 건조 단계(S20)는 미리 설정된 건조 시간(td) 동안 캐비닛(10) 내부를 가열할 수 있다.
일 예로, 살균 건조 단계(S20)는 100분 이상, 140분 이하의 시간 동안 캐비닛(10) 내부를 가열할 수 있다.
살균 건조 단계(S20)에서 제어부(100)는, 드럼 모터(51)를 미리 입력된 기준 속도(Wr)로 회전시킬 수 있다(S21). 일 예로, 제어부(100)는 드럼 모터(51)의 회전 속도를 3000rpm 이상, 3300rpm 이하로 유지하면서 계속하여 회전시켜, 드럼(20)을 일정한 속도로 계속하여 회전시킬 수 있다.
이는. 드럼(20)을 일정한 속도로 회전시키면서 열풍을 공급시켜 드럼(20)의 내부를 고르게 가열시키기 위함이다.
살균 건조 단계(S20)에서 제어부(100)는 드럼(20)의 내부 온도를 상승시키기 위하여 압축기(45)를 구동(회전)시킬 수 있다(S32).
이때, 제어부(100)는 압축기(45)의 운전 주파수(f)를 살균 주파수(fs) 범위 내에서 조절하여 구동시킬 수 있다.
일 예로, 제어부(100)는 압축기(45)를 100Hz 이상의 살균 주파수(fs)로 운전 주파수(f)를 구동시킬 수 있다.
살균 건조 단계(S20)에 진입 시, 제어부(100)는 드럼(20)의 내부 온도를 빠르게 상승시키기 위하여 압축기(45)의 운전 주파수(f)를 살균 주파수(fs)로 구동시킬 수 있다.
이때, 제어부(100)는 압축기(45)를 구동시키는 출력을 상기 살균 주파수(fs)까지 한 번에 상승시키도록 제어명령할 수 있으나, 압축기 모터(45a)의 과부하에 의한 고장을 방지하기 위하여 여러 단계에 걸쳐 압축기 모터(45a)의 회전 속도를 상승시키도록 제어명령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예로, 제어부(100)는 일차적으로 압축기(45)의 주파수를 55Hz 이상, 65Hz 이하로 구동시키는 제어명령을 생성한 후, 이차적으로 압축기(45)의 주파수를 75Hz 이상, 85Hz이하로 구동시키는 제어명령을 생성하고, 최종적으로 압축기(45)를 상기한 살균 주파수(fs)로 구동시키는 제어명령을 생성할 수 있다.
따라서, 압축기(45)의 구동에 의하여 열교환부(40)의 냉매는 고온고압으로 압축되고, 덕트부(30) 내의 공기와 열교환될 수 있다. 그 결과 덕트부(30) 내의 공기는 온도가 상승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제어부(100)는 압축기(45)의 소비 전력이 과도하게 상승하여 오작동 또는 전원 공급의 차단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압축기(45)의 냉매 토출 온도 또는 압축기의 온도를 측정하여, 미리 설정된 기준 온도에 도달할 경우, 압축기(45)의 운전 주파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일 예로, 제어부(100)는 압축기(45)의 상측 표면 온도를 측정하여, 측정된 압축기(45)의 온도가 섭씨 100도에 도달하면, 압축기(45)의 운전 주파수(f)를 20Hz 이상, 40Hz 이하로 낮출 수 있고, 압축기(45)의 온도가 낮아지면 다시 상기 살균 주파수(fs)로 구동시킬 수 있다.
살균 건조 단계(S20)에서 제어부(100)는, 가열 중의 공기를 순환시키기 위하여 순환팬(43)을 작동시킬 수 있다(S23).
상세하게는, 살균 건조 단계(S20)에서 제어부(100)는, 압축기(45)가 구동되는 동안, 순환팬(43)을 미리 설정된 순환 속도(V)로 구동시킬 수 있다.
일 예로, 살균 건조 단계(S20)에서 제어부(100)는 압축기(45)가 구동되는 동안, 3500rpm 이상 4500rpm 이하의 속도로 순환팬(43)을 구동(회전)시킬 수 있다.
따라서, 압축기(45)의 구동으로 인하여 가열된 공기는 순환팬(43)의 회전에 의하여 드럼(20) 및 덕트부(30)를 유동하면서 순환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압축기(45)와 순환팬(43)의 구동에 의하여 캐비닛(10) 내부의 온도(T)는, 드럼(20) 및 덕트부(30)에 존재하는 미생물 등을 살균하기 위한 살균 온도(Ts) 이상으로 상승될 수 있다(T≥Ts).
일 예로, 살균 건조 단계(S20)에서는, 드럼(20)에서부터 공기가 유입되는 방향의 열교환기(증발기(41)를 의미할 수 있다.)의 온도가 섭씨 60도 이상일 때까지 캐비닛(10) 내부의 온도를 상승시킬 수 있다.
살균 건조 단계(S20)에서 제어부(100)는, 급수부(80)에서 스팀부(90)로 물을 공급시킬 수 있다(S24).
이때, 제어부(100)는, 스팀 제너레이터(91) 내부의 수위를 측정하여 물의 공급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즉, 제어부(100)는, 스팀 제너레이터(91)에 저장된 물이 후술할 스팀 세척 단계(S30)에서 분사할 양 이상인 경우에는, 스팀 제너레이터(91)에 물을 공급시키지 않으나, 스팀 제너레이터(91)에 저장된 물이 후술할 스팀 세척 단계(S30)에서 분사할 물의 양 미만인 경우에는, 급수부(80)에서 스팀 제너레이터(91)로 물을 공급시킨다.
스팀 제너레이터(91)에 물을 공급할 필요가 있을 경우, 제어부(100)는 실시예에 따라 내부급수부(81)에 구비된 급수펌프를 작동시켜 스팀 제너레이터(91)의 내부로 물을 공급시킬 수 있고, 외부급수부(82)에 구비된 직수밸브(82a)를 개방하여 스팀 제너레이터(91)의 내부로 물을 공급시킬 수도 있다.
일 예로, 제어부(100)는 50cc 이상의 물을 급수부(80)에서 스팀 제너레이터(91)로 공급시킬 수 있고, 급수부(80)의 물을 스팀 제너레이터(91)에 공급하는 데에 필요한 시간은 20초 이상, 40초 이하의 시간일 수 있다.
충분한 물을 공급하기 위한 다른 예로, 제어부(100)는 150cc 이상 250cc 이하의 물을 급수부(80)에서 스팀 제너레이터(91)로 공급시킬 수 있고, 급수부(80)의 물을 스팀 제너레이터(91)에 공급하는 데에 필요한 시간은 40초 이상, 1분 20초 이하의 시간일 수 있다.
그러므로, 살균 건조 단계(S20)에서 제어부(100)는, 드럼(20)과 압축기(45) 및 순환팬(43)을 작동시켜 드럼(20) 및 덕트부(30)를 포함한 캐비닛(10) 내부의 온도를 상승시킬 수 있고, 드럼(20)과 필터(F) 및 열교환부(40)의 온도를 살균 온도(Ts) 이상으로 상승시킬 수 있다.
스팀 세척 단계(S30)는 살균 건조 단계(S20) 후, 드럼(20) 및 덕트부(30) 내부의 살균을 위하여 드럼(20)의 내부에 스팀을 공급할 수 있다.
스팀 세척 단계(S30)에서 제어부(100)는, 드럼 모터(51)를 미리 입력된 기준 속도(Wr)로 계속하여 회전시킬 수 있다(S31). 일 예로, 제어부(100)는 드럼 모터(51)의 회전 속도를 3000rpm 이상, 3300rpm 이하로 유지하면서 계속하여 회전시켜, 드럼(20)을 일정한 속도로 계속하여 회전시킬 수 있다.
따라서, 드럼(20)이 계속하여 회전하는 중에 스팀이 분사되면, 스팀이 드럼(20) 내부에 고르게 공급되고, 드럼(20) 내부는 고르게 살균될 수 있다.
스팀 세척 단계(S30)에서 제어부(100)는, 세탁물 건조기(1)의 순간적인 소비 전력 상승을 방지하기 위하여 압축기(45)를 구동시키지 않는다(S32).
스팀 세척 단계에서 제어부(100)는, 살균 건조 단계(S20)에서 작동 중이던 순환팬(43)의 작동을 정지시킬 수 있다(S33).
따라서, 드럼(20) 및 덕트부(30) 내부를 순환하던 공기의 순환은 멈출 수 있고, 스팀부(90)에서 분사되는 스팀은 드럼(20)에 충분히 공급될 수 있다.
스팀 세척 단계(S30)에서 제어부(100)는, 스팀부(90)를 작동시켜 드럼(20) 내부로 스팀을 공급할 수 있다(S34).
스팀 세척 단계(S30)는 스팀 예열 단계(S34a) 및 스팀 분사 단계(S34b)를 포함한다.
스팀 예열 단계(S34a)에서 제어부(100)는, 스팀부(90)에 전원을 인가하여 스팀 발생을 위해 공급된 물을 미리 설정된 예열 시간(th) 동안 가열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스팀 예열 단계(S34a)에서 제어부(100)는 스팀 제너레이터(91)에 구비된 히터(도면 미기재)에 전원을 인가하여 스팀 제너레이터(91)에 공급된 물을 가열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00)는 상기 예열 시간(th) 동안 히터에 전원을 인가할 수 있고, 상기 예열 시간(th)은 물이 끓는점에 도달하는데 소요되는 시간 이상으로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팀 예열 단계(S34a)에서 제어부(100)는 2분 30초 이상, 3분 30초 이하의 시간 동안 스팀부(90)에 전원을 인가시키도록 제어명령을 생성시킬 수 있다.
스팀 분사 단계(S34b)에서 제어부(100)는, 스팀 예열 단계(S34a) 후, 스팀부(90)에서 발생된 스팀을 미리 설정된 분사량 만큼 드럼(20) 내부로 분사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스팀 분사 단계(S34b)에서 제어부(100)는 스팀 제너레이터(91)에서 가열되어 끓기 시작한 물이 스팀 배관(92)을 유동하여 스팀 노즐(93)을 통해 드럼 바디(21)의 내부로 분사되도록 스팀 제너레이터(91)에 제어명령을 생성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팀 분사 단계(S34b)에서 제어부(100)는, 스팀 제너레이터(91)에서 50cc 이상, 70cc 이하의 물을 드럼(20) 내부로 분사시킬 수 있다. 이때, 스팀을 분사하는 데에 필요한 시간은 1분 30초 이상, 2분 30초 이하일 수 있다.
따라서, 스팀 세척 단계(S30)에서 제어부(100)는, 드럼(20) 및 스팀부(90)를 작동시켜, 드럼(90) 내부에 고온의 스팀을 고르게 공급하여 세균 등을 살균할 수 있다.
송풍 단계(S40)는 스팀 세척 단계(S30) 후, 드럼(20) 내부의 공기를 순환시켜 덕트부(30)에 구비된 필터(F) 및 열교환부(40) 전체를 고온 살균할 수 있다.
일 예로, 송풍 단계(S40)는 20분 이상, 40분 이하의 시간 동안 드럼(20) 및 덕트부(30) 내부의 공기를 순환시켜, 필터(F) 및 열교환부(40)에 열량 및 엔탈피를 공급할 수 있다.
송풍 단계(S40)에서 제어부(100)는, 드럼 모터(51)를 미리 입력된 기준 속도(Wr)로 계속하여 회전시킬 수 있다(S41). 일 예로, 제어부(100)는 드럼 모터(51)의 회전 속도를 3000rpm 이상, 3300rpm 이하로 유지하면서 계속하여 회전시켜, 드럼(20)을 일정한 속도로 계속하여 회전시킬 수 있다.
따라서, 드럼(20) 및 덕트부(30)를 순환하는 공기가 드럼(20) 내부를 고르게 살균시킬 수 있다.
송풍 단계(S40)에서 제어부(100)는, 전력 효율 향상시키기 위하여 압축기(45)를 구동시키지 않을 수 있다(S42).
송풍 단계(S40)에서 제어부(100)는, 살균 건조 단계(S20) 및 스팀 세척 단계(S30)에서 높은 열량 또는 높은 엔탈피를 얻게된 공기를 순환시키기 위하여 순환팬(43)을 회전시킬 수 있다(S43).
상세하게는, 송풍 단계(S40)에서 제어부(100)는, 순환팬(43)을 미리 설정된 순환 속도(V)로 구동시킬 수 있다.
일 예로, 송풍 단계(S40)에서 제어부(100)는 압축기(45)가 구동되는 동안, 3500rpm 이상 4500rpm 이하의 속도로 순환팬(43)을 구동(회전)시킬 수 있다.
송풍 단계(S40)에서 제어부(100)는, 피건조물에 충분한 수분을 공급한 이후이므로, 스팀부(90)를 작동시키지 않을(작동을 중지) 수 있다(S44).
따라서, 살균 건조 단계(S20) 및 스팀 세척 단계(S30)에서 높은 열량 또는 높은 엔탈피를 얻게된 공기는 순환팬(43)의 회전에 의하여 드럼(20) 및 덕트부(30)를 유동하면서 순환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송풍 단계(S40)에 의하면, 드럼(20)과 필터(F) 및 열교환부(40)의 표면 온도는, 미생물 등을 살균하기 위한 살균 온도(Ts) 이상으로 상승될 수 있고, 살균을 위한 기준 시간(ts) 이상 동안 유지될 수 있다.
일 예로, 송풍 단계(S40)는 드럼(20)과 필터(F) 및 열교환부(40)의 표면 온도를 10분 이상 동안, 섭씨 60도 이상으로 유지시킬 수 있다.
한편, 송풍 단계(S40)에서 제어부(100)는, 캐비닛(10)에 집수된 응축수를 배출시키기 위하여 드레인 펌프(62)를 작동시킬 수 있다(S45).
송풍 단계(S40)에 제어부(100)는, 송풍 단계(S40)에 진입 시, 미리 설정된 배수 시간(td) 동안 응축수를 배수시킬 수 있다.
즉, 제어부(100)는, 드레인 펌프(62)를 작동시켜 집수부(60)에 집수된 응축수를 저수 탱크(72)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때, 배수 시간(td)은 50초 이상, 70초 이하일 수 있다.
한편, 도 6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세탁물 건조기의 제어방법에 따른 살균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그림이 개시되어 있고, 도 7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세탁물 건조기의 제어방법에 따른 필터의 온도에 대한 그래프가 개시되어 있으며, 도 8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세탁물 건조기의 제어방법에 따른 증발기 전단의 온도에 대한 그래프가 개시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살균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의 구성별 효과는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건조기(1)의 제어방법에 의하면 본 발명의 드럼(20)은 살균 건조 단계(S20), 스팀 세척 단계(S30) 및 송풍 단계(S40)에서 일정한 속도를 유지하면서 회전되도록 제어된다(S21, S31, S41).
즉, 드럼(20)은 살균 건조 단계(S20) 이후 계속하여 회전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살균을 위한 열풍 및 스팀이 드럼(20) 내부의 표면에 고르게 공급될 수 있고, 드럼(20)은 고르게 살균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압축기(45)는 살균 건조 단계(S20)에서 구동되어(S22), 드럼(20) 및 덕트부(30) 내부의 공기를 가열시킨 후, 소비 전력을 낮추기 위하여 구동이 종료된다(S32, S42).
압축기(45)는 드럼(20) 및 덕트부(30) 내부를 유동하는 공기를 가열하여 드럼(20) 및 덕트부(30) 내부로 공급되는 열풍(열량)을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따라서, 압축기(45)의 구동을 통하여 드럼(20)과 필터(F) 및 열교환부(40)의 표면이 가열되고, 고온의 열량 공급으로 드럼(20)과 필터(F) 및 열교환부(40)의 표면이 살균되는 효과가 발생한다.
한편, 본 발명의 순환팬(43)은 살균 건조 단계(S20)에서 회전을 시작하고(S23), 스팀 세척 단계(S30)에서는 회전이 정지되며(S33), 송풍 단계(S40)에서 다시 회전된다(S43).
본 발명의 순환팬(43)은 드럼(20)의 회전과는 무관하게 제어되고, 압축기(45)의 구동에 의하여 가열된 공기를 순환시킬 경우에 회전되며, 공기의 유동이 불필요한 스팀 분사 시에는 회전이 정지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순환팬(43)에 의하면 스팀의 공급 효율이 향상되어 드럼(20)의 살균 효율이 향상된다.
본 발명의 스팀부(90)는 스팀 세척 단계(S30)에서 스팀 발생을 위한 예열 및 스팀 분사를 위하여 작동된다(S34).
본 발명에서 스팀 분사에 따른 살균 효과는 다음과 같다.
살균 건조 단계(S20)에서 열풍이 드럼(20) 및 덕트부(30)에 공급되면, 드럼(20) 내부의 온도가 살균에 필요한 살균 온도(섭씨 60도 이상일 수 있다.)에 도달하게 된다. 이때, 본 발명의 스팀 세척 단계(S30)에서 스팀부(90)가 고온의 스팀을 드럼(20)에 분사하면 드럼(20) 내부 공기의 엔탈피(enthalpy)가 증가되고, 세균을 포함한 미생물은 높은 열량에 노출되어 살균된다.
즉, 스팀 세척 단계(S30)에 의하면, 살균 온도(Ts) 이상으로 가열된 드럼(20)의 내부에 높은 열용량을 갖는 스팀을 공급함에 따라 세균 등의 미생물이 높은 엔탈피(enthalpy)에 노출되고, 결과적으로 세균 등의 미생물은 세포막이 파괴되어 사멸하게 된다(도 6 참조).
그 후, 송풍 단계(S40)를 통하여 드럼(20) 및 덕트부(30)의 공기를 순환시켜 드럼(20)과 필터(F) 및 열교환부(40)의 표면 온도를 살균 온도(섭씨 60도) 이상으로 살균을 위한 기준 시간(ts : 10분) 이상 동안 유지시킬 수 있다(도 7 및 도 8 참조). 따라서, 드럼(20)과 필터(F) 및 열교환부(40)의 표면에 존재하는 미생물 등은 고열량의 에너지에 노출되어 세포가 파괴될 수 있고, 미생물 등은 사멸하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 : 세탁물 건조기
20 : 드럼
30 : 덕트부
40 : 열교환부
43 : 순환팬
43b : 임펠러 모터
45 : 압축기
45a : 압축기 모터
51 : 드럼 모터
62 : 드레인 펌프
90 : 스팀부
91 : 스팀 제너레이터
100 : 제어부
116 : 감지부
118 : 입력부

Claims (20)

  1.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피건조물을 수용하는 드럼;
    상기 드럼에서 배출된 공기를 상기 드럼으로 재공급하도록 구비되는 덕트부;
    상기 덕트부를 따라 이동하는 공기에 유동력을 제공하는 순환팬;
    상기 덕트부 상에 구비되어, 상기 덕트부를 따라 순환되는 공기와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열교환부;
    상기 덕트부를 따라 순환되는 공기와 열교환되도록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
    상기 드럼 내부로 스팀(steam)을 공급하는 스팀부; 및
    상기 드럼, 상기 순환팬, 상기 압축기 및 상기 스팀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압축기를 구동하여 상기 캐비닛 내부의 온도를 상승시킨 후, 상기 드럼 내부의 열량을 증가시켜 상기 드럼 내부를 살균하도록 상기 스팀부를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 건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드럼에 무부하 조건에서 상기 드럼에 대한 살균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 건조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압축기를 작동시키는 중, 상기 드럼 및 상기 순환팬을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 건조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압축기의 작동을 중지시킨 후, 상기 스팀부를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 건조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팀부를 작동시키는 동안, 상기 드럼을 함께 회전시키고, 상기 순환팬의 회전을 중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 건조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스팀부는,
    미리 설정된 양의 물을 공급받아 저장하고, 전원이 인가되면 저장된 물을 가열하여 미리 설정된 스팀 분사 시간 동안 스팀을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 건조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스팀부는,
    상기 순환팬의 작동이 중지되면, 전원이 인가되어 저장된 물을 가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 건조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팀부의 작동을 중지시킨 후, 상기 순환팬을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 건조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닛에 집수된 응축수에 유동력을 제공하는 드레인 펌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드레인 펌프를 더 제어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팀부의 작동을 중지시킨 후, 미리 설정된 배수 시간 동안 상기 드레인 펌프를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 건조기.
  10. 살균을 위하여 캐비닛 내부의 온도를 상승시키는 살균 건조 단계;
    상기 살균 건조 단계 후, 드럼의 살균을 위하여 상기 드럼의 내부에 스팀을 공급하는 스팀 세척 단계; 및
    상기 스팀 세척 단계 후, 상기 드럼 내부의 공기를 순환시키는 송풍 단계;
    를 포함하는 세탁물 건조기의 제어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 건조 단계에서는,
    상기 캐비닛 내부의 온도를 상승시키기 위하여 압축기를 구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 건조기의 제어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 건조 단계에서는,
    가열 중의 공기를 순환시키기 위하여 순환팬을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 건조기의 제어방법.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 건조 단계에서는,
    상기 드럼 내부를 고르게 가열시키기 위하여 드럼을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 건조기의 제어방법.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스팀 세척 단계에서는,
    스팀부를 작동시켜 상기 드럼 내부로 스팀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 건조기의 제어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스팀 세척 단계에서는,
    상기 스팀 발생 장치를 예열하는 스팀 예열 단계; 및
    상기 드럼 내부로 스팀을 분사하는 스팀 분사 단계;
    를 포함하는 세탁물 건조기의 제어방법.
  16.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스팀 세척 단계에서는,
    상기 드럼 내부를 고르게 살균시키기 위하여 상기 드럼을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 건조기의 제어방법.
  17.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스팀 세척 단계에서는,
    상기 드럼 내부를 살균시키기 위하여 상기 드럼을 회전시키고, 상기 살균 건조 단계에서부터 작동 중이던 순환팬의 작동을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 건조기의 제어방법.
  18.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 단계에서는,
    가열된 공기를 순환시키기 위하여 순환팬을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 건조기의 제어방법.
  19.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 단계에서는,
    상기 캐비닛에 집수된 응축수를 배출시키기 위하여 드레인 펌프를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 건조기의 제어방법.
  20.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 건조 단계에서는,
    상기 드럼에서부터 공기가 유입되는 방향의 열교환부의 온도가 섭씨 60도 이상일 때까지 온도를 상승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 건조기의 제어방법.
KR1020200027379A 2020-03-04 2020-03-04 세탁물 건조기 및 세탁물 건조기의 제어방법 KR20210112168A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7379A KR20210112168A (ko) 2020-03-04 2020-03-04 세탁물 건조기 및 세탁물 건조기의 제어방법
AU2021229883A AU2021229883B2 (en) 2020-03-04 2021-02-26 Laundry dryer and laundry dryer control method
CN202180018783.4A CN115279966A (zh) 2020-03-04 2021-02-26 洗涤物烘干机及洗涤物烘干机的控制方法
US17/909,261 US20230087630A1 (en) 2020-03-04 2021-02-26 Laundry dryer and laundry dryer control method
EP21764747.8A EP4116483A4 (en) 2020-03-04 2021-02-26 DRYERS AND DRYER CONTROL METHODS
PCT/KR2021/002436 WO2021177671A1 (ko) 2020-03-04 2021-02-26 세탁물 건조기 및 세탁물 건조기의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7379A KR20210112168A (ko) 2020-03-04 2020-03-04 세탁물 건조기 및 세탁물 건조기의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2168A true KR20210112168A (ko) 2021-09-14

Family

ID=776129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7379A KR20210112168A (ko) 2020-03-04 2020-03-04 세탁물 건조기 및 세탁물 건조기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30087630A1 (ko)
EP (1) EP4116483A4 (ko)
KR (1) KR20210112168A (ko)
CN (1) CN115279966A (ko)
AU (1) AU2021229883B2 (ko)
WO (1) WO2021177671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39097A1 (ko) * 2022-08-18 2024-02-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WO2024039096A1 (ko) * 2022-08-18 2024-02-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06263A (ko) * 2020-02-20 2021-08-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53584A (ja) * 2004-03-10 2005-09-22 Sanyo Electric Co Ltd 洗濯乾燥機
KR20060061974A (ko) * 2004-12-02 2006-06-09 삼성전자주식회사 의류의 구김제거장치 및 그 방법
KR100624719B1 (ko) * 2005-01-25 2006-09-20 엘지전자 주식회사 건조 겸용 세탁기의 통 살균 제어 방법
KR100698304B1 (ko) * 2005-03-22 2007-03-23 엘지전자 주식회사 드럼 세탁기의 세척조 세정 방법
KR101455774B1 (ko) * 2008-04-02 2014-11-04 삼성전자 주식회사 건조기 및 그 청소 운전 제어 방법
KR101919887B1 (ko) 2012-05-15 2018-11-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건조기
WO2017036560A1 (en) * 2015-09-04 2017-03-09 Arcelik Anonim Sirketi Laundry machine with improved steam generation safety
KR20180013535A (ko) * 2016-07-29 2018-02-07 엘지전자 주식회사 히트펌프를 구비한 세탁건조기 및 그의 건조운전제어방법
JP2020028542A (ja) * 2018-08-24 2020-02-27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洗濯機
KR20210106196A (ko) * 2020-02-20 2021-08-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 처리장치의 제어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39097A1 (ko) * 2022-08-18 2024-02-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WO2024039096A1 (ko) * 2022-08-18 2024-02-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177671A1 (ko) 2021-09-10
CN115279966A (zh) 2022-11-01
EP4116483A4 (en) 2024-04-03
US20230087630A1 (en) 2023-03-23
AU2021229883A1 (en) 2022-10-27
AU2021229883B2 (en) 2024-05-09
EP4116483A1 (en) 2023-0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4116483A1 (en) Laundry dryer and laundry dryer control method
EP4116484A1 (en) Laundry dry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laundry dryer
US7997006B2 (en) Laundry machine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9194076B2 (en) Method for controlling laundry machine
KR101507783B1 (ko) 가전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EP2333147B1 (en) Misting control method of clothing dryer
KR100902900B1 (ko) 건조기
TWI639744B (zh) 洗衣烘乾機
KR101476185B1 (ko)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JP4384203B2 (ja) 衣類乾燥機
JP2013128541A (ja) 衣類乾燥機
WO2009020320A2 (en) Clothes treating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AU2008200122B2 (en) Laundry machine and control method thereof
EP3875675A1 (en) Laundry drying machine and controlling method of laundry drying machine
KR20210111594A (ko) 세탁물 건조기 및 세탁물 건조기의 제어방법
JP2013153934A (ja) 衣類乾燥機
JP2013244032A (ja) 衣類乾燥機
KR20210111593A (ko) 세탁물 건조기 및 세탁물 건조기의 제어방법
JP2017185191A (ja) 洗濯乾燥機
JP5297314B2 (ja) 洗濯乾燥機
JP2017164369A (ja) 洗濯乾燥機
JP2966732B2 (ja) ドライクリーナの液温制御方法及び液温制御装置並びにドライクリーナ
JP2021008980A (ja) 乾燥装置
JP2012075818A (ja) 洗濯機
JP2000140492A (ja) 衣類乾燥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