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11824A - 비직교 다중 접속(noma) 다중 레이어 전송 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비직교 다중 접속(noma) 다중 레이어 전송 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11824A
KR20210111824A KR1020217024839A KR20217024839A KR20210111824A KR 20210111824 A KR20210111824 A KR 20210111824A KR 1020217024839 A KR1020217024839 A KR 1020217024839A KR 20217024839 A KR20217024839 A KR 20217024839A KR 20210111824 A KR20210111824 A KR 202101118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reading sequence
spreading
sequence group
layer transmission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248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64339B1 (ko
Inventor
샹리 린
정 자오
빈 런
옌핑 싱
Original Assignee
다탕 모바일 커뮤니케이션즈 이큅먼트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탕 모바일 커뮤니케이션즈 이큅먼트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다탕 모바일 커뮤니케이션즈 이큅먼트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101118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118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43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43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4J15/00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13/00Code division multiplex systems
    • H04J13/0007Code type
    • H04J13/004Orthogo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69Spread spectrum techniques
    • H04B1/707Spread spectrum techniques using direct sequence modul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69Spread spectrum techniqu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13/00Code division multiplex systems
    • H04J13/0077Multicode, e.g. multiple codes assigned to one us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13/00Code division multiplex systems
    • H04J13/16Code allocation
    • H04J13/18Allocation of orthogonal c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26Division using four or more dimens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7Inter-user or inter-terminal allo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2Arrangements for optimising operational cond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출원은 비직교 다중 접속(NOMA) 다중 레이어 전송 방법 및 그 장치를 개시한다. 본 출원에서, 단말은 NOMA 다중 레이어 전송을 위한 확산 시퀀스 그룹을 결정하되, 상기 단말은 NOMA 다중 레이어 전송을 지원하도록 설정되며, 상기 확산 시퀀스 그룹에는 N 개의 확산 시퀀스가 포함되되, 상기 N 개의 확산 시퀀스는 N 개의 데이터 레이어와 대응되고, 상기 N 개의 확산 시퀀스는 서로 직교하고, N은 상기 NOMA 다중 레이어 전송의 데이터 레이어 수로서 1보다 큰 정수이며, 상기 단말은 데이터를 송신하되, 상기 데이터는 상기 확산 시퀀스 그룹을 이용한 확산을 거친 N 개의 데이터 레이어를 포함한다. 단말이 상기 확산 시퀀스 그룹 내의 확산 시퀀스를 이용하여 N 개의 데이터 레이어에 대한 확산을 수행한 후, 확산을 거친 데이터 레이어가 서로 직교하도록 보장될 수 있어, 단말의 데이터 전송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Description

비직교 다중 접속(NOMA) 다중 레이어 전송 방법 및 그 장치
본 출원은 2019년 1월 18일에 중국 특허청에 출원된, 출원 번호는 201910048770.6이며, 발명의 명칭은 "NOMA 다중 레이어 전송 방법 및 그 장치"인 중국 특허 출원의 우선권을 주장하며, 그 전체 내용은 인용되어 본 출원에 통합된다.
본 출원은 무선 통신 기술 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비직교 다중 접속(NOMA) 다중 레이어 전송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동통신 서비스 수요의 발전과 변화에 따라, 국제전기통신연합(International Telecommunication Union, ITU) 등 여러 기구들은 미래의 이동통신 시스템을 위한 새로운 무선 통신 시스템(즉, 5G NR, 5 Generation New RAT)에 대한 연구를 시작했다. 기존의 시분할 다중 접속(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FDMA), 코드 분할 다중 접속(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기술과 유사하게, 패턴 분할 다중 접속(Patten Division Multiple Access,PDMA) 기술은 미래 5G의 핵심 기술로서, 다중 사용자가 동일한 시간 도메인, 주파수 도메인 및 공간 도메인 자원에서 데이터를 전송하고 코딩 도메인 및 전력 도메인을 통해 구분할 수 있도록 하여, 셀의 스펙트럼 효율과 에지 사용자의 스펙트럼 효율을 향상시키고 셀의 접속 사용자 수를 늘리는 목적을 달성한다. 마찬가지로, 동일한 사용자가 다중 레이어를 사용하여 전송을 수행할 수 있으며, 다중 레이어의 전송 데이터는 동일한 시간 도메인, 주파수 도메인 및 공간 도메인 자원에서 전송되고 코딩 도메인, 전력 도메인, 위상 등을 통해 구분된다.
비직교 다중 접속(Non-orthogonal Multiple Access, NOMA) 다중 레이어 전송의 경우, 동일한 사용자 기기(User Equipment, UE, 단말이라고도 함)의 다중 레이어 전송 간에 사용되는 확산 시퀀스가 완전히 직교하는 것이 아니면, 성능에 영향을 미치게 되며, 특히 비트율이 비교적 높은 경우에 그러하다.
현재 NOMA 다중 레이어 전송에 사용되는 확산 시퀀스가 완전히 직교하는 것이 아닌 문제에 대한 해결방안이 아직 없는 실정이다.
본 출원의 실시예는 NOMA 다중 레이어 전송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제1 측면으로서, NOMA 다중 레이어 전송을 수행하는 방법으로서,
단말이 NOMA 다중 레이어 전송을 위한 확산 시퀀스 그룹을 결정하는 단계 - 상기 단말은 NOMA 다중 레이어 전송을 지원하도록 설정되며, 상기 확산 시퀀스 그룹에는 N 개의 확산 시퀀스가 포함되되, 상기 N 개의 확산 시퀀스는 N 개의 데이터 레이어와 대응되고, 상기 N 개의 확산 시퀀스는 서로 직교하고, N은 상기 NOMA 다중 레이어 전송의 데이터 레이어 수로서 1보다 큰 정수임 - ; 및
상기 단말이 데이터를 송신하는 단계 - 상기 데이터는 상기 확산 시퀀스 그룹을 이용한 확산을 거친 N 개의 데이터 레이어를 포함함 - 를 포함하는, NOMA 다중 레이어 전송 방법을 제공한다.
일 가능한 실시 형태에서, 상기 단말이 NOMA 다중 레이어 전송을 위한 확산 시퀀스 그룹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이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송신된, 확산 시퀀스 그룹의 설정 정보에 따라, NOMA 다중 레이어 전송을 위한 확산 시퀀스 그룹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확산 시퀀스 그룹의 설정 정보는 상기 단말을 위해 설정된 확산 시퀀스 그룹을 지시하도록 구성된다.
일 가능한 실시 형태에서, 상기 단말이 NOMA 다중 레이어 전송을 위한 확산 시퀀스 그룹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이 확산 시퀀스 풀에서, NOMA 다중 레이어 전송을 위한 확산 시퀀스 그룹을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확산 시퀀스 풀에는 M 개의 확산 시퀀스 그룹이 포함되고, 상기 M 개의 확산 시퀀스 그룹 내의 각 확산 시퀀스 그룹에 포함되는 확산 시퀀스는 서로 직교하고, M은 1보다 큰 정수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방법은, 상기 단말이 선택된 상기 확산 시퀀스 그룹의 설정 정보를 네트워크 기기로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일 가능한 실시 형태에서, 상기 확산 시퀀스 풀은 미리 설정된 것 또는 시스템에 의해 약정된 것이다.
일 가능한 실시 형태에서, 상기 확산 시퀀스 풀에는 48 개의 확산 시퀀스 그룹이 포함되되, 상기 48 개의 확산 시퀀스 그룹 내의 각 확산 시퀀스 그룹에는 2 개의 서로 직교하는 확산 시퀀스가 포함되고, 상기 2 개의 서로 직교하는 확산 시퀀스 내의 각 확산 시퀀스에는 4 개의 벡터 요소가 포함된다.
일 가능한 실시 형태에서, 상기 확산 시퀀스 풀은 하기 표에 나타낸 바와 같다.
Figure pct00001
Figure pct00002
Figure pct00003
Figure pct00004
Figure pct00005
제2 측면으로서, NOMA 다중 레이어 전송을 수행하는 방법으로서, 네트워크 기기가 단말의 NOMA 다중 레이어 전송을 위한 확산 시퀀스 그룹을 결정하는 단계 - 상기 단말은 NOMA 다중 레이어 전송을 지원하도록 설정되며, 상기 확산 시퀀스 그룹에는 N 개의 확산 시퀀스가 포함되되, 상기 N 개의 확산 시퀀스는 N 개의 데이터 레이어와 대응되고, 상기 N 개의 확산 시퀀스는 서로 직교하고, N은 상기 NOMA 다중 레이어 전송의 데이터 레이어 수로서 1보다 큰 정수임 - ; 및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상기 단말에 의해 송신된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데이터는 상기 확산 시퀀스 그룹을 이용한 확산을 거친 N 개의 데이터 레이어를 포함함 - 를 포함하는, NOMA 다중 레이어 전송 방법을 제공한다.
일 가능한 실시 형태에서,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단말의 NOMA 다중 레이어 전송을 위한 확산 시퀀스 그룹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상기 단말을 위해 확산 시퀀스 풀에서, NOMA 다중 레이어 전송을 위한 확산 시퀀스 그룹을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확산 시퀀스 풀에는 M 개의 확산 시퀀스 그룹이 포함되고, 상기 M 개의 확산 시퀀스 그룹 내의 각 확산 시퀀스 그룹에 포함되는 확산 시퀀스는 서로 직교하고, M은 1보다 큰 정수이다.
일 가능한 실시 형태에서, 상기 방법은,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상기 단말을 위해 선택된 상기 확산 시퀀스 그룹의 설정 정보를 상기 단말로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일 가능한 실시 형태에서,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단말의 NOMA 다중 레이어 전송을 위한 확산 시퀀스 그룹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상기 단말에 의해 송신된, 확산 시퀀스 그룹의 설정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확산 시퀀스 그룹의 설정 정보에 따라, 상기 단말의 NOMA 다중 레이어 전송을 위한 확산 시퀀스 그룹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확산 시퀀스 그룹은 상기 단말에 의해 확산 시퀀스 풀에서 선택된 것이며, 상기 확산 시퀀스 풀에는 M 개의 확산 시퀀스 그룹이 포함되고, 상기 M 개의 확산 시퀀스 그룹 내의 각 확산 시퀀스 그룹에 포함되는 확산 시퀀스는 서로 직교하고, M은 1보다 큰 정수이다.
일 가능한 실시 형태에서, 상기 확산 시퀀스 풀은 미리 설정된 것 또는 시스템에 의해 약정된 것이다.
일 가능한 실시 형태에서, 상기 확산 시퀀스 풀에는 48 개의 확산 시퀀스 그룹이 포함되되, 각 확산 시퀀스 그룹에는 2 개의 서로 직교하는 확산 시퀀스가 포함되고, 상기 2 개의 서로 직교하는 확산 시퀀스 내의 각 확산 시퀀스에는 4 개의 벡터 요소가 포함된다.
일 가능한 실시 형태에서, 상기 확산 시퀀스 풀은 하기 표에 나타낸 바와 같다.
Figure pct00006
Figure pct00007
Figure pct00008
Figure pct00009
Figure pct00010
제3 측면으로서, 결정 모듈과 송신 모듈을 포함하는 단말로서, 상기 결정 모듈은 NOMA 다중 레이어 전송을 위한 확산 시퀀스 그룹을 결정하도록 구성되되, 상기 단말은 NOMA 다중 레이어 전송을 지원하도록 설정되며, 상기 확산 시퀀스 그룹에는 N 개의 확산 시퀀스가 포함되되, 상기 N 개의 확산 시퀀스는 N 개의 데이터 레이어와 대응되고, 상기 N 개의 확산 시퀀스는 서로 직교하고, N은 상기 NOMA 다중 레이어 전송의 데이터 레이어 수로서 1보다 큰 정수이며,
상기 송신 모듈은 데이터를 송신하도록 구성되되, 상기 데이터는 상기 확산 시퀀스 그룹을 이용한 확산을 거친 N 개의 데이터 레이어를 포함하는, 단말을 제공한다.
제4 측면으로서, 결정 모듈과 수신 모듈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기기로서,
상기 결정 모듈은 단말의 NOMA 다중 레이어 전송을 위한 확산 시퀀스 그룹을 결정하도록 구성되되, 상기 단말은 NOMA 다중 레이어 전송을 지원하도록 설정되며, 상기 확산 시퀀스 그룹에는 N 개의 확산 시퀀스가 포함되되, 상기 N 개의 확산 시퀀스는 N 개의 데이터 레이어와 대응되고, 상기 N 개의 확산 시퀀스는 서로 직교하고, N은 상기 NOMA 다중 레이어 전송의 데이터 레이어 수로서 1보다 큰 정수이며,
상기 수신 모듈은 상기 단말에 의해 송신된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되, 상기 데이터는 상기 확산 시퀀스 그룹을 이용한 확산을 거친 N 개의 데이터 레이어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기기를 제공한다.
제5 측면으로서, 프로세서, 메모리 및 송수신기를 포함하는 통신 장치로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메모리 내의 컴퓨터 명령을 판독하여 전술한 제1 측면에서의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실행하도록 구성된, 통신 장치를 제공한다.
제6 측면으로서, 프로세서, 메모리 및 송수신기를 포함하는 통신 장치로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메모리 내의 컴퓨터 명령을 판독하여 전술한 제2 측면에서의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실행하도록 구성된, 통신 장치를 제공한다.
제7 측면으로서, 컴퓨터 실행 가능 명령이 저장되어 있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로서, 상기 컴퓨터 실행 가능 명령은 컴퓨터에 의해 전술한 제1 측면에서의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이 실행되게끔 하도록 구성된,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를 제공한다.
제8 측면으로서, 컴퓨터 실행 가능 명령이 저장되어 있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로서, 상기 컴퓨터 실행 가능 명령은 컴퓨터에 의해 전술한 제2 측면에서의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이 실행되게끔 하도록 구성된,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를 제공한다.
본 출원의 전술한 실시예에 있어서, 단말은 NOMA 다중 레이어 전송을 위한 확산 시퀀스 그룹을 결정하되, 확산 시퀀스 그룹에는 N 개의 확산 시퀀스가 포함되며, 상기 N 개의 확산 시퀀스는 N 개의 데이터 레이어와 대응되고, 상기 N 개의 확산 시퀀스는 서로 직교하며, 따라서 단말이 상기 확산 시퀀스 그룹 내의 확산 시퀀스를 이용하여 N 개의 데이터 레이어에 대한 확산을 수행한 후, 확산을 거친 데이터 레이어가 서로 직교하도록 보장될 수 있어, 단말의 데이터 전송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출원 실시예의 기술적 해결수단을 보다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 실시예의 설명에 필요한 도면을 간략히 소개한다. 자명한 점이라면, 하기 설명에서의 도면은 단지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에 불과하며, 해당 분야의 통상적인 기술자라면 통상적인 창작능력을 발휘하여 이들 도면으로부터 다른 도면을 더 획득할 수 있다.
도 1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NOMA 다중 레이어 전송의 송신 단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6명 사용자 단일 레이어 전송의 PDMA 패턴 매트릭스이다.
도 3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6명 사용자 듀얼 레이어 전송의 PDMA 패턴 매트릭스이다.
도 4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단말 측의 NOMA 다중 레이어 전송의 예시적인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네트워크 기기 측의 NOMA 다중 레이어 전송의 예시적인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단말의 예시적인 구성도이다.
도 7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네트워크 기기의 예시적인 구성도이다.
도 8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통신 장치의 예시적인 구성도이다.
도 9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통신 장치의 예시적인 구성도이다.
이하, 해당 분야의 통상적인 기술자의 이해를 돕기 위해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의 일부 용어가 설명된다.
(1)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명사 "네트워크"와 "시스템"은 종종 혼용되지만, 해당 분야의 통상적인 기술자라면 그 의미를 이해할 수 있다 .
(2)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용어 "복수"는 2개 이상을 지칭하며, 다른 수량 단위의 경우도 이와 유사하다.
(3) "및/또는"은 관련 대상의 관련 관계를 설명하는 것으로서 세 가지 관계가 존재할 수 있음을 표시하는바, 예를 들어 A 및/또는 B는, A만 단독으로 존재하는 경우, A와 B가 동시에 존재하는 경우, 및 B 만 단독으로 존재하는 세 가지 경우를 통틀어 표시할 수 있다. 부호 "/"는 일반적으로 앞뒤 관련 대상이 "또는" 관계임을 표시한다.
NOMA 기술에서는, 동일한 시간-주파수 자원에서 상이한 UE의 신호를 구분하기 위해, 송신단에서 다중 접속(MA) 서명을 사용하여 처리함으로써 수신단의 검출을 지원한다. 상기 MA 서명은 코드워드, 코드북, 확산 시퀀스, 인터리빙 패턴, 매핑 패턴, 프리앰블 등이 될 수 있다. 또한, 사용되는 MA 서명이 하나인지 아니면 복수개인지에 따라 추가적으로, NOMA 단일 레이어 전송과 NOMA 다중 레이어 전송으로 나누어진다.
도 1은 NOMA 다중 레이어 전송의 송신 단 블록도를 도시한다. 여기서, 송신단은 UE1의 소스 비트에 대해 채널 코딩 및 레이트 매칭을 수행한 후 디멀티플렉싱을 수행하여 L개 레이어로 분리하고, 제l 레이어(1≤lL)의 서브 데이터 스트림에 대해 각각 변조(Modulation), 확산(Spreading), 전력/위상 가중 인자(Scaling Factor) 처리 및 자원 요소(Resource Element, RE) 매핑(RE Mapping)을 수행한 다음, 모든 L개 레이어의 신호를 서로 합침으로써,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화(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OFDM)심볼을 생성한다. 여기서, 동일한 UE의 상이한 레이어 간의 변조, 확산 시퀀스 및 전력/위상 가중 인자는 완전히 동일하지는 않다.
여기서, 확산은 PDMA 패턴 매트릭스에 따라 처리된다. PDMA 패턴은 데이터 대 자원 매핑 규칙을 정의하는바, 데이터가 몇 개 자원에 매핑되는지, 어느 자원들에 매핑되는지 및 어떻게 매핑되는지를 구체적으로 정의한다. 복수의 UE의 데이터는 상이한 PDMA 패턴을 통해 동일한 그룹의 자원에 매핑되어, 동시 전송이 수행되는 UE의 수가 자원 수보다 많은 것이 지원됨으로써, 비직교 전송이 구현되어, 시스템 성능을 향상시키는 목적이 달성된다.
PDMA 패턴은 하나의 바이너리 벡터를 통해 정의될 수 있는바, 벡터 요소의 길이는 확산 인자와 같고, 벡터 요소의 값은 UE 데이터가 RE에 매핑된 가중 계수 값을 표시한다. 매핑 가중 계수는 0 또는 1 또는 -1이거나, 복소수 i 또는 복소수 -i일 수 있다.
동일한 그룹의 자원에 의해 멀티플렉싱되는 모든 UE의 PDMA 패턴은 함께 배열되어 PDMA 패턴 매트릭스를 형성한다. PDMA 패턴 매트릭스는 일반적으로 희소 매트릭스이다. 도 2에 도시된 매트릭스는 멀티플렉싱되는 UE가 6개이고 확산 시퀀스 길이가 4인 PDMA 패턴 매트릭스를 나타내는바, 각 UE는 단일 레이어 전송에 해당한다. 도 2에 따르면, 사용자 2에 의해 송신되는 데이터 심볼이 s인 경우, PDMA 패턴 매트릭스에 의한 처리를 거친 후, 자원 1 내지 4에서 송신되는 데이터 심볼은 [s, s, -s, -s]T이다.
NOMA 다중 레이어 전송의 경우, 하나의 UE는 각 레이어에 대한 확산을 위해 2개 이상의 확산 시퀀스를 점용한다. 도 3은 6명 사용자 듀얼 레이어의 PDMA 패턴 매트릭스를 도시하는바, 여기서 각 UE는 2개의 레이어를 사용하여 전송을 수행하고, 각 UE는 2개의 확산 시퀀스를 점용한다. 도 3을 기반으로, 일부 UE에서 2개 레이어에 사용되는 확산 시퀀스가 완전히 직교하는 것이 아니므로, 해당 UE의 전송 성능에 영향을 미치게 되고, 특히 비트율이 비교적 높은 경우 전송 성능에 대한 영향이 더 심각함을 알 수 있다. 현재 NOMA의 다중 레이어 전송에 사용되는 확산 시퀀스 코드북이 완전히 직교하는 것이 아닌 문제에 대한 명확한 해결방안이 아직 없는 실정이다.
본 출원의 실시예는 하나의 UE의 복수의 레이어에 사용되는 확산 시퀀스가 서로 직교하도록 보장하여 해당 UE의 데이터 전송 성능을 보장할 수 있는, NOMA 다중 레이어 전송 방안을 제공한다.
여기서, 시퀀스가 직교하는 정의는 하기와 같다.
각각 seq1={q1, q2, q3, …, qn} 및 seq2={s1, s2, s3, …, sn}으로 표시되는 2개의 시퀀스(seq1 및 seq2)이 존재한다고 가정하면, 다음과 같은 조건이 충족되는 경우 seq1과 seq2는 완전히 직교한다.
Figure pct00011
…………(1)
식 (1)에서 sum은 가산을 의미하고, 윗줄은 켤레를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출원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단말 측에서 구현되는 NOMA 다중 레이어 전송 방법의 예시적인 흐름도로서, 해당 프로세스는 단말 측에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단말은 사용자에게 음성 및/또는 데이터 연결성을 제공하는 기기로서, 무선 통신 기능을 구비한 다양한 핸드헬드 기기, 차량 탑재 기기, 착용 가능 기기, 컴퓨팅 기기, 드론, 무선 모뎀에 연결되는 다른 처리 기기 및 다양한 형태의 사용자 기기(User Equipment, UE), 이동국(Mobile Station, MS), 단말(Terminal Equipment), 전송 포인트(Transmission and Receiver Point, TRP 또는 Transmission Point, T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프로세스는 하기와 같은 단계들을 포함할 수 있다.
S401: 단말이 NOMA 다중 레이어 전송을 위한 확산 시퀀스 그룹을 결정하되, 상기 단말은 NOMA 다중 레이어 전송을 지원하도록 설정되며, 상기 확산 시퀀스 그룹에는 N 개의 확산 시퀀스가 포함되되, 상기 N 개의 확산 시퀀스는 N 개의 데이터 레이어와 대응되는바, 즉 N 개의 확산 시퀀스와 N 개의 데이터 레이어 사이에는 일대일 대응 관계가 존재하고, 하나의 데이터 레이어에 하나의 확산 시퀀스가 사용되어 확산이 수행된다. 상기 N 개의 확산 시퀀스는 서로 직교하고, N은 상기 NOMA 다중 레이어 전송의 데이터 레이어 수로서 1보다 큰 정수이다.
상기 확산 시퀀스 내의 벡터 요소의 값은 가중 계수이고, 상기 확산 시퀀스 내의 벡터 요소의 길이는 확산 인자와 같다.
여기서, 상기 가중 계수는 0, 1, -1, i, -i 중 하나이다.
예를 들어, 해당 단말이 듀얼 레이어 전송을 지원하는 것으로 설정되고 각 레이어는 4개 RE에 매핑되면, 해당 단말에 의해 결정되는, 듀얼 레이어 전송을 위한 확산 시퀀스 그룹에는 확산 시퀀스 1과 확산 시퀀스 2가 포함되되, 확산 시퀀스 1은 레이어 1의 확산에 사용되고, 확산 시퀀스 2는 레이어 2의 확산에 사용된다. 확산 시퀀스 1과 확산 시퀀스 2는 각각 4개의 벡터 요소를 포함하는 벡터로 표시될 수 있는바, 확산 시퀀스 1은 [1, i, -1, -i]T이고, 확산 시퀀스 2는 [1, -i, -1, i]T이다.
확산 시퀀스 1과 확산 시퀀스 2는 식(1)에 기술된 조건을 충족하므로, 서로 직교한다. 확산 시퀀스 1 내의 각 가중 계수는 해당 단말의 레이어 1 데이터가 매핑되는 하나의 RE와 대응되고, 확산 시퀀스 2 내의 각 가중 계수는 해당 단말의 레이어 2 데이터가 매핑되는 하나의 RE와 대응된다.
S402: 단말이 데이터를 송신하되, 상기 데이터는 상기 확산 시퀀스 그룹을 이용한 확산을 거친 N 개의 데이터 레이어를 포함한다.
구체적인 실시에 있어서, 단말이 송신할 소스 비트에 대해 채널 코딩 및 레이트 매칭을 수행한 후 디멀티플렉싱을 수행하여 L개(L은1보다 큰 정수) 레이어로 분리하고, 제l 레이어(1≤lL)의 서브 데이터 스트림에 대해 각각 변조(Modulation), 확산(Spreading), 전력/위상 가중 인자(Scaling Factor) 처리 및 RE 매핑(RE Mapping)을 수행한 다음, 모든 L개 레이어의 신호를 서로 합침으로써, OFDM 심볼을 생성하여 송신한다.
여기서, 확산을 수행함에 있어서, 각 레이어에 확산 시퀀스 그룹 내의 하나의 확산 시퀀스가 사용되고, 상이한 레이어에 사용되는 확산 시퀀스가 상이하다. 확산 시퀀스 그룹 내의 확산 시퀀스들은 서로 직교하므로, 동일한 단말의 상이한 레이어가 확산을 거친 후의 데이터는 서로 직교하게 되며, 이로써 해당 단말의 데이터 전송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본 출원의 상기 프로세스에 있어서, 단말은 NOMA 다중 레이어 전송을 위한 확산 시퀀스 그룹을 결정하되, 확산 시퀀스 그룹에는 N 개의 확산 시퀀스가 포함되며, 상기 N 개의 확산 시퀀스는 N 개의 데이터 레이어와 대응되고, 상기 N 개의 확산 시퀀스는 서로 직교하며, 따라서 단말이 상기 확산 시퀀스 그룹 내의 확산 시퀀스를 이용하여 N 개의 데이터 레이어에 대한 확산을 수행한 후, 확산을 거친 데이터 레이어가 서로 직교하도록 보장될 수 있어, 단말의 데이터 전송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프로세스를 바탕으로, 일 가능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 NOMA 다중 레이어 전송을 위한 확산 시퀀스 그룹은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미리 설정된 것이다.
이와 상응하게, 도 4의 S401에서, 단말은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송신된, 확산 시퀀스 그룹의 설정 정보에 따라, NOMA 다중 레이어 전송을 위한 확산 시퀀스 그룹을 결정한다. 여기서, 상기 확산 시퀀스 그룹의 설정 정보는 상기 단말을 위해 설정된 확산 시퀀스 그룹을 지시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네트워크 기기가 단말을 위해 확산 시퀀스 풀에서 확산 시퀀스 그룹을 선택하고, 선택된 확산 시퀀스 그룹의 설정 정보를 해당 단말로 송신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확산 시퀀스 그룹의 설정 정보는, 상기 단말을 위해 설정된 확산 시퀀스 그룹의 그룹 식별자를 포함할 수 있되, 해당 그룹 식별자는 하나의 확산 시퀀스 그룹이 유일하게 식별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확산 시퀀스 그룹의 설정 정보는, 확산 시퀀스 그룹 내 각 확산 시퀀스의 식별자를 포함할 수도 있되, 하나의 확산 시퀀스의 식별자는 하나의 확산 시퀀스가 유일하게 식별되도록 구성된다.
도 4에 도시된 프로세스를 바탕으로, 다른 일 가능한 실시 형태에서, 상기 다중 레이어 확산 시퀀스는 확산 시퀀스 풀에서 선택된 것이다. 이와 상응하게, 도 4의 S401에서, 상기 단말은 확산 시퀀스 풀에서, NOMA 다중 레이어 전송을 위한 확산 시퀀스 그룹을 선택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방법은, 단말이 선택된 상기 확산 시퀀스 그룹의 설정 정보를 네트워크 기기로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네트워크 기기가 해당 확산 시퀀스 그룹에 따라, 해당 단말에 의해 송신된 데이터에 대한 역확산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확산 시퀀스 그룹의 설정 정보는, 단말에 의해 선택된 확산 시퀀스 그룹의 그룹 식별자를 포함할 수 있되, 해당 그룹 식별자는 하나의 확산 시퀀스 그룹이 유일하게 식별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확산 시퀀스 그룹의 설정 정보는, 확산 시퀀스 그룹 내 각 확산 시퀀스의 식별자를 포함할 수도 있되, 하나의 확산 시퀀스의 식별자는 하나의 확산 시퀀스가 유일하게 식별되도록 구성된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네트워크 기기 측에서 구현되는 NOMA 다중 레이어 전송 방법의 예시적인 흐름도로서, 해당 프로세스는 네트워크 기기 측에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네트워크 기기는 단말을 무선 네트워크에 접속시키는 기기로서, 진화형 노드 B(evolved Node B, eNB), 무선 네트워크 컨트롤러(Radio Network Controller, RNC), 노드 B(Node B, NB), 기지국 컨트롤러(Base Station Controller, BSC), 베이스 트랜시버 스테이션(Base Transceiver Station, BTS), 홈 기지국(예를 들어, Home evolved Node B 또는 Home Node B, HNB), 베이스밴드 유닛(Base Band Unit, BBU), 무선 충실도(Wireless Fidelity, WIFI)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AP), 전송 포인트(Transmission and Receiver Point, TRP 또는 Transmission Point, TP), 계속하여 진화하는 노드 B(gNB) 등이 포함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프로세스는 하기와 같은 단계들을 포함할 수 있다.
S501: 네트워크 기기가 단말의 NOMA 다중 레이어 전송을 위한 확산 시퀀스 그룹을 결정하되, 상기 단말은 NOMA 다중 레이어 전송을 지원하도록 설정되며, 상기 확산 시퀀스 그룹에는 N 개의 확산 시퀀스가 포함되되, 상기 N 개의 확산 시퀀스는 N 개의 데이터 레이어와 대응되는바, 즉 N 개의 확산 시퀀스와 N 개의 데이터 레이어 사이에는 일대일 대응 관계가 존재하고, 하나의 데이터 레이어에 하나의 확산 시퀀스가 사용되어 확산이 수행되고, 상기 N 개의 확산 시퀀스는 서로 직교하고, N은 상기 NOMA 다중 레이어 전송의 데이터 레이어 수로서 1보다 큰 정수이다.
상기 확산 시퀀스 내의 벡터 요소의 값은 가중 계수이고, 상기 확산 시퀀스 내의 벡터 요소의 길이는 확산 인자와 같다.
여기서, 상기 가중 계수는 0, 1, -1, i, -i 중 하나이다.
예를 들어, 해당 단말이 듀얼 레이어 전송을 지원하는 것으로 설정되고 각 레이어는 4개 RE에 매핑되면, 해당 단말에 의해 결정되는, 듀얼 레이어 전송을 위한 확산 시퀀스 그룹에는 확산 시퀀스 1과 확산 시퀀스 2가 포함되되, 확산 시퀀스 1은 레이어 1의 확산에 사용되고, 확산 시퀀스 2는 레이어 2의 확산에 사용된다. 확산 시퀀스 1과 확산 시퀀스 2는 각각 4개의 벡터 요소를 포함하는 벡터로 표시될 수 있는바, 확산 시퀀스 1은 [1, i, -1, -i]T이고, 확산 시퀀스 2는 [1, -i, -1, i]T이다.
확산 시퀀스 1과 확산 시퀀스 2는 식(1)에 기술된 조건을 충족하므로, 서로 직교한다. 확산 시퀀스 1 내의 각 가중 계수는 해당 단말의 레이어 1 데이터가 매핑되는 하나의 RE와 대응되고, 확산 시퀀스 2 내의 각 가중 계수는 해당 단말의 레이어 2 데이터가 매핑되는 하나의 RE와 대응된다.
S502: 네트워크 기기가 상기 단말에 의해 송신된 데이터를 수신하되, 상기 데이터는 상기 확산 시퀀스 그룹을 이용한 확산을 거친 N 개의 데이터 레이어를 포함한다.
구체적인 실시에 있어서, 네트워크 기기는 수신된 OFDM 심볼을 L개 레이어로 분할하고, 제l 레이어(1≤lL)의 서브 데이터 스트림에 대해 역-RE 매핑, 역확산, 복조 및 디코딩 등 처리를 수행하여 제l 레이어의 서브 데이터 스트림의 소스 비트를 획득한다.
여기서, 역확산을 수행함에 있어서, 각 레이어에 확산 시퀀스 그룹 내의 하나의 확산 시퀀스가 사용되어 역확산이 수행되고, 상이한 레이어에 사용되는 확산 시퀀스가 상이하다. 확산 시퀀스 그룹 내의 확산 시퀀스들은 서로 직교하므로, 동일한 단말의 상이한 레이어가 확산을 거친 후의 데이터는 서로 직교하게 되며, 이로써 해당 단말의 데이터 전송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프로세스를 바탕으로, 일 가능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 NOMA 다중 레이어 전송을 위한 확산 시퀀스 그룹은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미리 설정된 것이다. 이와 상응하게, 도 5의 S501에서,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단말을 위해 확산 시퀀스 풀에서, NOMA 다중 레이어 전송을 위한 확산 시퀀스 그룹을 선택하되, 상기 확산 시퀀스 풀에는 M 개의 확산 시퀀스 그룹이 포함되고, 각 확산 시퀀스 그룹 내의 확산 시퀀스는 서로 직교하고, M은 1보다 큰 정수이다.
선택적으로, 네트워크 기기가 단말을 위해 확산 시퀀스 풀에서 확산 시퀀스 그룹을 선택하고, 선택된 상기 확산 시퀀스 그룹의 설정 정보를 해당 단말로 송신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확산 시퀀스 그룹의 설정 정보는, 상기 단말을 위해 설정된 확산 시퀀스 그룹의 그룹 식별자를 포함할 수 있되, 해당 그룹 식별자는 하나의 확산 시퀀스 그룹이 유일하게 식별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확산 시퀀스 그룹의 설정 정보는, 확산 시퀀스 그룹 내 각 확산 시퀀스의 식별자를 포함할 수도 있되, 하나의 확산 시퀀스의 식별자는 하나의 확산 시퀀스가 유일하게 식별되도록 구성된다.
도 5에 도시된 프로세스를 바탕으로, 다른 일 가능한 실시 형태에서, 상기 다중 레이어 확산 시퀀스는 확산 시퀀스 풀에서 선택된 것이다. 이와 상응하게, 도 5의 S501에서,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상기 단말에 의해 송신된, 확산 시퀀스 그룹의 설정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확산 시퀀스 그룹의 설정 정보에 따라, 상기 단말의 NOMA 다중 레이어 전송을 위한 확산 시퀀스 그룹을 결정한다. 여기서, 상기 확산 시퀀스 그룹은 상기 단말에 의해 확산 시퀀스 풀에서 선택된 것이며, 상기 확산 시퀀스 풀에는 M 개의 확산 시퀀스 그룹이 포함되고, 각 확산 시퀀스 그룹 내의 확산 시퀀스는 서로 직교하고, M은 1보다 큰 정수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확산 시퀀스 그룹의 설정 정보는, 확산 시퀀스 그룹의 그룹 식별자를 포함할 수 있되, 해당 그룹 식별자는 하나의 확산 시퀀스 그룹이 유일하게 식별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확산 시퀀스 그룹의 설정 정보는, 확산 시퀀스 그룹 내 각 확산 시퀀스의 식별자를 포함할 수도 있되, 하나의 확산 시퀀스의 식별자는 하나의 확산 시퀀스가 유일하게 식별되도록 구성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상기 확산 시퀀스 풀은 미리 설정된 것 또는 시스템에 의해 약정된 것이다.
여기서, 상기 확산 시퀀스 풀에는 M 개의 확산 시퀀스 그룹이 포함되고, 각 확산 시퀀스 그룹 내의 확산 시퀀스는 서로 직교하고, M은 1보다 큰 정수이다.
하나의 확산 시퀀스 내의 하나의 벡터 요소(즉 가중 계수)의 값이 0, 1, -1, i, -i 중 하나일 수 있다는 점을 감안하면, 하나의 단말이 최대 듀얼 레이어 전송을 지원하는 경우, 서로 직교하는 조건을 충족할 수 있는 확산 시퀀스 그룹의 수가 비교적 많다. 이러한 확산 시퀀스 그룹 각각은 시뮬레이션 테스트에 사용될 수 있으며, 그 중에서 전송 성능이 비교적 훌륭한 일부 확산 시퀀스 그룹이 선택되거나 또는 미리 설정된 조건을 충족하는 확산 시퀀스 그룹이 선택되어 확산 시퀀스 풀이 형성될 수 있다. 확산 시퀀스 풀에 포함된 확산 시퀀스 그룹의 수는 시스템에서 지원하는 최대 사용자 멀티플렉싱 수 이상이다.
예를 들어, 하나의 단말이 최대 듀얼 레이어 전송을 지원하고, 각 레이어의 데이터가 4개 RE에 매핑되면, 상기 확산 시퀀스 풀에는 48 개의 확산 시퀀스 그룹이 포함되되, 각 확산 시퀀스 그룹에는 2 개의 서로 직교하는 확산 시퀀스가 포함되고, 각 확산 시퀀스에는 4 개의 벡터 요소가 포함된다. 표 1은 해당 확산 시퀀스 풀을 예시적으로 나타낸다.
표 1: 확산 시퀀스 풀
Figure pct00012
Figure pct00013
Figure pct00014
Figure pct00015
Figure pct00016
Figure pct00017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확산 시퀀스 그룹 1에는 각각 [1, i, -1, -i]T 및 [1, -i, -1, i]T로 표시된 2개의 확산 시퀀스가 포함된다. 다른 확산 시퀀스 그룹에 포함된 확산 시퀀스는 표에 나타낸 바와 같으므로, 더 이상 일일이 설명하지 않는다.본 출원의 상기 실시예를 보다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이하 몇몇 구체적인 실예를 들어 본 출원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실예 1
네트워크 내에, NOMA 전송을 지원하도록 설정된 4개의 UE, 즉 UE1, UE2, UE3 및 UE4가 존재한다. 모든 UE가 듀얼 레이어 전송을 지원하도록 설정된 경우, 이 4개의 UE는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은, 듀얼 레이어 전송을 위한 확산 시퀀스 풀에서 확산 시퀀스 그룹을 선택한다. 여기서, UE1은 1번 확산 시퀀스 그룹을 선택하고, UE2는 3번 확산 시퀀스 그룹을 선택하고, UE3은 4번 확산 시퀀스 그룹을 선택하고, UE4는 39번 확산 시퀀스 그룹을 선택하면, 이 4개의 UE에 의해 사용된 듀얼 레이어 확산 시퀀스 매트릭스는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다.
표 2: 실예 1의 4명 사용자 듀얼 레이어 확산 시퀀스 매트릭스
Figure pct00018
표 2에서, UE1의 레이어 1과 대응되는 서브 데이터 스트림에 사용되는 확산 시퀀스는 [1, i, -1, -i]T이고, UE1의 레이어 2와 대응되는 서브 데이터 스트림에 사용되는 확산 시퀀스는 [1, -i, -1, i]T이다. 다른 UE에 의해 사용되는 확산 시퀀스 그룹은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으므로, 여기서 더 이상 상세히 설명하지 않는다.
실예 2
네트워크 내에, NOMA 전송을 지원하도록 설정된 6개의 UE, 즉 UE1, UE2, UE3, UE4, UE5 및 UE6가 존재한다. 모든 UE가 듀얼 레이어 전송을 지원하도록 설정된 경우, 이 6개의 UE는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은 확산 시퀀스 풀에서 확산 시퀀스 그룹을 선택한다. 여기서, UE1은 34번 확산 시퀀스 그룹을 선택하고, UE2는 1번 확산 시퀀스 그룹을 선택하고, UE3은 16번 확산 시퀀스 그룹을 선택하고, UE4는 25번 확산 시퀀스 그룹을 선택하고, UE5는 26번 확산 시퀀스 그룹을 선택하고, UE6은 33번 확산 시퀀스 그룹을 선택하면, 이 6개의 UE에 의해 사용된 듀얼 레이어 확산 시퀀스 매트릭스는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다.
표 3: 실예 2의 6명 사용자 듀얼 레이어 확산 시퀀스 매트릭스
Figure pct00019
표 3에서, UE1의 레이어 1과 대응되는 서브 데이터 스트림에 사용되는 확산 시퀀스는 [1, i, -i, 0]T이고, UE1의 레이어 2와 대응되는 서브 데이터 스트림에 사용되는 확산 시퀀스는 [1, 0, i, -i]T이다. 다른 UE에 의해 사용되는 확산 시퀀스 그룹은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으므로, 여기서 더 이상 상세히 설명하지 않는다.
실예 3
현재 네트워크 내에, NOMA 전송을 지원하도록 설정된 8개의 UE, 즉 UE1, UE2, UE3, UE4, UE5, UE6, UE7 및 UE8이 존재한다. 모든 UE가 듀얼 레이어 전송을 지원하도록 설정된 경우, 이 8개의 UE는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은 확산 시퀀스 풀에서 확산 시퀀스 그룹을 선택한다. 여기서, UE1은 2번 확산 시퀀스 그룹을 선택하고, UE2는 7번 확산 시퀀스 그룹을 선택하고, UE3은 8번 확산 시퀀스 그룹을 선택하고, UE4는 11번 확산 시퀀스 그룹을 선택하고, UE5는 12번 확산 시퀀스 그룹을 선택하고, UE6은 31번 확산 시퀀스 그룹을 선택하고, UE7은 36번 확산 시퀀스 그룹을 선택하고, UE8은 46번 확산 시퀀스 그룹을 선택하면, 이 8개의 UE에 의해 사용된 듀얼 레이어 확산 시퀀스 매트릭스는 표 4에 나타낸 바와 같다.
표 4: 실예 3의 8명 사용자 듀얼 레이어 확산 시퀀스 매트릭스
Figure pct00020
Figure pct00021
표 4에서, UE1의 레이어 1과 대응되는 서브 데이터 스트림에 사용되는 확산 시퀀스는 [1, -1, 1, -1]T이고, UE1의 레이어 2와 대응되는 서브 데이터 스트림에 사용되는 확산 시퀀스는 [1, -1, -1, 1]T이다. 다른 UE에 의해 사용되는 확산 시퀀스 그룹은 표 4에 나타낸 바와 같으므로, 여기서 더 이상 상세히 설명하지 않는다.
실예 4
네트워크 내에, NOMA 전송을 지원하도록 설정된 10개의 UE, 즉 UE1, UE2, UE3, UE4, UE5, UE6, UE7, UE8, UE9 및 UE10이 존재한다. 모든 UE가 듀얼 레이어 전송을 지원하도록 설정된 경우, 이 10개의 UE는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은 확산 시퀀스 풀에서 확산 시퀀스 그룹을 선택한다. 여기서, UE1은 39번 확산 시퀀스 그룹을 선택하고, UE2는 1번 확산 시퀀스 그룹을 선택하고, UE3은 2번 확산 시퀀스 그룹을 선택하고, UE4는 3번 확산 시퀀스 그룹을 선택하고, UE5는 4번 확산 시퀀스 그룹을 선택하고, UE6은 23번 확산 시퀀스 그룹을 선택하고, UE7은 24번 확산 시퀀스 그룹을 선택하고, UE8은 25번 확산 시퀀스 그룹을 선택하고, UE9는 29번 확산 시퀀스 그룹을 선택하고, UE10은 36번 확산 시퀀스 그룹을 선택하면, 이 10개의 UE에 의해 사용된 듀얼 레이어 확산 시퀀스 매트릭스는 표 5에 나타낸 바와 같다.
표 5: 실예 4의 10명 사용자 듀얼 레이어 확산 시퀀스 매트릭스
Figure pct00022
Figure pct00023
표 5에서, UE1의 레이어 1과 대응되는 서브 데이터 스트림에 사용되는 확산 시퀀스는 [1, -1, 1, 1]T이고, UE1의 레이어 2와 대응되는 서브 데이터 스트림에 사용되는 확산 시퀀스는 [1, 1, -1, 1]T이다. 다른 UE에 의해 사용되는 확산 시퀀스 그룹은 표 5에 나타낸 바와 같으므로, 여기서 더 이상 상세히 설명하지 않는다.
실예 5
네트워크 내에, NOMA 전송을 지원하도록 설정된 12개의 UE, 즉 UE1, UE2, UE3, UE4, UE5, UE6, UE7, UE8, UE9, UE10, UE11 및 UE12가 존재한다. 모든 UE가 듀얼 레이어 전송을 지원하도록 설정된 경우, 이 12개의 UE는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은 확산 시퀀스 풀에서 확산 시퀀스 그룹을 선택한다. 여기서, UE1은 1번 확산 시퀀스 그룹을 선택하고, UE2는 2번 확산 시퀀스 그룹을 선택하고, UE3은 3번 확산 시퀀스 그룹을 선택하고, UE4는 4번 확산 시퀀스 그룹을 선택하고, UE5는 23번 확산 시퀀스 그룹을 선택하고, UE6은 24번 확산 시퀀스 그룹을 선택하고, UE7은 25번 확산 시퀀스 그룹을 선택하고, UE8은 29번 확산 시퀀스 그룹을 선택하고, UE9는 36번 확산 시퀀스 그룹을 선택하고, UE10은 39번 확산 시퀀스 그룹을 선택하고, UE11는 44번 확산 시퀀스 그룹을 선택하고, UE12은 48번 확산 시퀀스 그룹을 선택하면, 이 12개의 UE에 의해 사용된 듀얼 레이어 확산 시퀀스 매트릭스는 표 6-1과 표 6-2에 나타낸 바와 같다.
표 6-1: 실예 5의 12명 사용자 듀얼 레이어 확산 시퀀스 매트릭스
Figure pct00024
표 6-2: 실예 5의 12명 사용자 듀얼 레이어 확산 시퀀스 매트릭스
Figure pct00025
실예 5의 12명 사용자 듀얼 확산 시퀀스 매트릭스 표 6-1과 표 6-2에서, UE1의 레이어 1과 대응되는 서브 데이터 스트림에 사용되는 확산 시퀀스는 [1, i, -1, - i]T이고, UE1의 레이어 2와 대응되는 서브 데이터 스트림에 사용되는 확산 시퀀스는 [1, - i, -1, i]T이다. 다른 UE에 의해 사용되는 확산 시퀀스 그룹은 표 6에 나타낸 바와 같으므로, 여기서 더 이상 상세히 설명하지 않는다.
동일한 기술적 구상을 바탕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는 또한 단말을 더 제공한다. 해당 단말은 전술한 실시예에서의 단말 측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단말의 예시적인 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단말(600)은 결정 모듈(601)과 송신 모듈(602)을 포함할 수 있다.
결정 모듈(601)은 NOMA 다중 레이어 전송을 위한 확산 시퀀스 그룹을 결정하도록 구성되되, 상기 단말은 NOMA 다중 레이어 전송을 지원하도록 설정되며, 상기 확산 시퀀스 그룹에는 N 개의 확산 시퀀스가 포함되되, 상기 N 개의 확산 시퀀스는 N 개의 데이터 레이어와 대응되고, 상기 N 개의 확산 시퀀스는 서로 직교하고, N은 상기 NOMA 다중 레이어 전송의 데이터 레이어 수로서 1보다 큰 정수이며,
송신 모듈(602)은 데이터를 송신하도록 구성되되, 상기 데이터는 상기 확산 시퀀스 그룹을 이용한 확산을 거친 N 개의 데이터 레이어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결정 모듈(601)은 구체적으로,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송신된, 확산 시퀀스 그룹의 설정 정보에 따라, NOMA 다중 레이어 전송을 위한 확산 시퀀스 그룹을 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되, 상기 확산 시퀀스 그룹의 설정 정보는 상기 단말을 위해 설정된 확산 시퀀스 그룹을 지시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결정 모듈(601)은 구체적으로, 확산 시퀀스 풀에서, NOMA 다중 레이어 전송을 위한 확산 시퀀스 그룹을 선택하도록 구성될 수 있되, 상기 확산 시퀀스 풀에는 M 개의 확산 시퀀스 그룹이 포함되고, 각 확산 시퀀스 그룹 내의 확산 시퀀스는 서로 직교하고, M은 1보다 큰 정수이다.
추가적으로, 결정 모듈(601)은 또한, 선택된 상기 확산 시퀀스 그룹의 설정 정보를 송신 모듈(602)을 통해 네트워크 기기로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확산 시퀀스 풀은 미리 설정된 것 또는 시스템에 의해 약정된 것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확산 시퀀스 풀에는 48 개의 확산 시퀀스 그룹이 포함되되, 각 확산 시퀀스 그룹에는 2 개의 서로 직교하는 확산 시퀀스가 포함되고, 각 확산 시퀀스에는 4 개의 벡터 요소가 포함된다. 상기 확산 시퀀스 풀의 일 예는 상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을 수 있다.
동일한 기술적 구상을 바탕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는 또한 네트워크 기기를 더 제공한다. 해당 네트워크 기기는 전술한 실시예에서의 네트워크 기기 측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해당 네트워크 기기는 기지국일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네트워크 기기의 예시적인 구성도이다. 해당 네트워크 기기(700)는 결정 모듈(701)과 수신 모듈(702)을 포함할 수 있으며, 추가적으로 송신 모듈(도면에 미도시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결정 모듈(701)은 단말의 NOMA 다중 레이어 전송을 위한 확산 시퀀스 그룹을 결정하도록 구성되되, 상기 단말은 NOMA 다중 레이어 전송을 지원하도록 설정되며, 상기 확산 시퀀스 그룹에는 N 개의 확산 시퀀스가 포함되되, 상기 N 개의 확산 시퀀스는 N 개의 데이터 레이어와 대응되고, 상기 N 개의 확산 시퀀스는 서로 직교하고, N은 상기 NOMA 다중 레이어 전송의 데이터 레이어 수로서 1보다 큰 정수이며,
수신 모듈(702)은 상기 단말에 의해 송신된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되, 상기 데이터는 상기 확산 시퀀스 그룹을 이용한 확산을 거친 N 개의 데이터 레이어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결정 모듈(701)은 구체적으로, 상기 단말을 위해 확산 시퀀스 풀에서, NOMA 다중 레이어 전송을 위한 확산 시퀀스 그룹을 선택하도록 구성되되, 상기 확산 시퀀스 풀에는 M 개의 확산 시퀀스 그룹이 포함되고, 각 확산 시퀀스 그룹 내의 확산 시퀀스는 서로 직교하고, M은 1보다 큰 정수이다.
추가적으로, 결정 모듈(701)은 또한, 상기 단말을 위해 선택된 상기 확산 시퀀스 그룹의 설정 정보를 상기 송신 모듈을 통해 상기 단말로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결정 모듈(701)은 구체적으로, 상기 단말에 의해 송신된, 확산 시퀀스 그룹의 설정 정보를 수신 모듈(702)을 통해 수신하고, 상기 확산 시퀀스 그룹의 설정 정보에 따라, 상기 단말의 NOMA 다중 레이어 전송을 위한 확산 시퀀스 그룹을 결정하도록 구성되되, 상기 확산 시퀀스 그룹은 상기 단말에 의해 확산 시퀀스 풀에서 선택된 것이며, 상기 확산 시퀀스 풀에는 M 개의 확산 시퀀스 그룹이 포함되고, 각 확산 시퀀스 그룹 내의 확산 시퀀스는 서로 직교하고, M은 1보다 큰 정수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확산 시퀀스 풀은 미리 설정된 것 또는 시스템에 의해 약정된 것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확산 시퀀스 풀에는 48 개의 확산 시퀀스 그룹이 포함되되, 각 확산 시퀀스 그룹에는 2 개의 서로 직교하는 확산 시퀀스가 포함되고, 각 확산 시퀀스에는 4 개의 벡터 요소가 포함된다. 상기 확산 시퀀스 풀의 일 예는 상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을 수 있다.
동일한 기술적 구상을 바탕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는 또한 통신 장치를 더 제공한다. 해당 통신 장치는 단말일 수 있으며,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의 단말 측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통신 장치의 예시적인 구성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통신 장치는 프로세서(801), 메모리(802), 송수신기(803) 및 버스 인터페이스(804)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801)는 버스 아키텍처 관리 및 통상적인 처리를 담당하고, 메모리(802)는 프로세서(801)에 의한 동작 실행 시에 사용되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송수신기(803)는 프로세서(801)의 제어 하에 데이터 송신 및 수신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버스 아키텍처는 임의의 수의 상호 연결된 버스 및 브리지를 포함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프로세서(801)로 나타낸 하나 또는 복수의 프로세서 및 메모리(802)로 나타낸 메모리의 다양한 회로가 서로 연결된다. 버스 아키텍처는 또한, 예를 들어 주변 기기, 전압 조정기 및 전력 관리 회로 등과 같은 다양한 다른 회로를 서로 연결시킬 수 있으며, 이들 모두 해당 분야에 잘 알려진 것으로서, 본 명세서에서 이에 대해 더 이상 추가로 설명하지 않을 것이다. 버스 인터페이스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프로세서(801)는 버스 아키텍처 관리 및 통상적인 처리를 담당하고, 메모리(802)는 프로세서(801)에 의한 동작 실행 시에 사용되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개시된 프로세스는 프로세서(801)에 응용되거나 또는 프로세서(801)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구현 과정에서, 신호 처리 프로세스의 각 단계는 프로세서(801) 내의 하드웨어의 집적 논리 회로 또는 소프트웨어 형태의 명령을 통해 완성될 수 있다. 프로세서(801)는 범용 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 주문형 집적 회로,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 또는 다른 프로그램 가능한 논리 소자, 이산 게이트 또는 다이오드 논리 소자, 이산 하드웨어 컴포넌트 등일 수 있으며,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개시된 각 방법, 단계 및 논리 블록도를 구현할 수 있다. 범용 프로세서는 마이크로 프로세서 또는 임의의 통상적인 프로세서 등일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개시된 방법의 단계는 직접 하드웨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완료되거나, 또는 프로세서 내의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모듈의 조합에 의해 실행 완료되는 것으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랜덤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읽기 전용 메모리, 프로그램 가능한 읽기 전용 메모리 또는 전기적 소거 및 프로그램 가능 메모리, 레지스터 등과 같이 해당 분야에서 성숙된 저장 매체에 위치될 수 있다. 해당 저장 매체는 메모리(802)에 위치되고, 프로세서(801)가 메모리(802) 내의 정보를 판독하여, 그의 하드웨어와 결합하여 신호 처리 프로세스의 단계를 완성한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801)는 메모리(802) 내의 컴퓨터 명령을 판독하여 도 4에 도시된 프로세스에서의 단말 측에서 구현된 기능을 실행하도록 구성된다.
동일한 기술적 구상을 바탕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는 또한 통신 장치를 더 제공한다. 해당 통신 장치는 기지국과 같은 네트워크 기기일 수 있으며,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의 네트워크 측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통신 장치의 예시적인 구성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통신 장치는 프로세서(901), 메모리(902), 송수신기(903) 및 버스 인터페이스(904)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901)는 버스 아키텍처 관리 및 통상적인 처리를 담당하고, 메모리(902)는 프로세서(901)에 의한 동작 실행 시에 사용되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송수신기(903)는 프로세서(901)의 제어 하에 데이터 송신 및 수신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버스 아키텍처는 임의의 수의 상호 연결된 버스 및 브리지를 포함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프로세서(901)로 나타낸 하나 또는 복수의 프로세서 및 메모리(902)로 나타낸 메모리의 다양한 회로가 서로 연결된다. 버스 아키텍처는 또한, 예를 들어 주변 기기, 전압 조정기 및 전력 관리 회로 등과 같은 다양한 다른 회로를 서로 연결시킬 수 있으며, 이들 모두 해당 분야에 잘 알려진 것으로서, 본 명세서에서 이에 대해 더 이상 추가로 설명하지 않을 것이다. 버스 인터페이스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프로세서(901)는 버스 아키텍처 관리 및 통상적인 처리를 담당하고, 메모리(902)는 프로세서(901)에 의한 동작 실행 시에 사용되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개시된 프로세스는 프로세서(901)에 응용되거나 또는 프로세서(901)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구현 과정에서, 신호 처리 프로세스의 각 단계는 프로세서(901) 내의 하드웨어의 집적 논리 회로 또는 소프트웨어 형태의 명령을 통해 완성될 수 있다. 프로세서(901)는 범용 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 주문형 집적 회로,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 또는 다른 프로그램 가능한 논리 소자, 이산 게이트 또는 다이오드 논리 소자, 이산 하드웨어 컴포넌트 등일 수 있으며,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개시된 각 방법, 단계 및 논리 블록도를 구현할 수 있다. 범용 프로세서는 마이크로 프로세서 또는 임의의 통상적인 프로세서 등일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개시된 방법의 단계는 직접 하드웨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완료되거나, 또는 프로세서 내의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모듈의 조합에 의해 실행 완료되는 것으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랜덤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읽기 전용 메모리, 프로그램 가능한 읽기 전용 메모리 또는 전기적 소거 및 프로그램 가능 메모리, 레지스터 등과 같이 해당 분야에서 성숙된 저장 매체에 위치될 수 있다. 해당 저장 매체는 메모리(902)에 위치되고, 프로세서(901)가 메모리(902) 내의 정보를 판독하여, 그의 하드웨어와 결합하여 신호 처리 프로세스의 단계를 완성한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901)는 메모리(902) 내의 컴퓨터 명령을 판독하여 도 5에 도시된 프로세스에서의 네트워크 기기 측에서 구현된 기능을 실행하도록 구성된다.
동일한 기술적 구상을 바탕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는 또한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를 더 제공한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에는 컴퓨터 실행 가능 명령이 저장되어 있되, 상기 컴퓨터 실행 가능 명령은 컴퓨터에 의해, 도 4에서의 단말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세스가 실행되게끔 하도록 구성된다.
동일한 기술적 구상을 바탕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는 또한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를 더 제공한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에는 컴퓨터 실행 가능 명령이 저장되어 있되, 상기 컴퓨터 실행 가능 명령은 컴퓨터에 의해, 도 5에서의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세스가 실행되게끔 하도록 구성된다.
본 출원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 기기(시스템) 및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흐름도 및/또는 블록도를 참조하여 설명된다.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을 통해 흐름도 및/또는 블록도의 각 절차 및/또는 블록, 및 흐름도 및/또는 블록도의 절차 및/또는 블록의 결합을 구현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을 범용 컴퓨터, 전용 컴퓨터, 삽입식 프로세서 또는 다른 프로그래밍 가능 데이터 처리 기기의 프로세서에 제공하여 하나의 머신을 생성함으로써, 컴퓨터 또는 다른 프로그래밍 가능 데이터 처리 기기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명령을 통해, 흐름도의 하나 또는 복수의 절차 및/또는 블록도의 하나 또는 복수의 블록에서 지정되는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장치가 생성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은 또한, 컴퓨터 또는 다른 프로그래밍 가능 데이터 처리 기기가 특정된 방식으로 작동하도록 가이드할 수 있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됨으로써, 해당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 내에 저장된 명령을 통해 명령 장치를 포함하는 제조품이 생성되도록 할 수 있으며, 해당 명령 장치는 흐름도의 하나 또는 복수의 절차 및/또는 블록도의 하나 또는 복수의 블록에서 지정된 기능을 구현한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은 또한, 컴퓨터 또는 다른 프로그래밍 가능 데이터 처리 기기에 로딩됨으로써, 컴퓨터 또는 다른 프로그래밍 가능 기기 상에서 일련의 동작 단계가 실행되어 컴퓨터적으로 구현되는 처리가 생성되도록 할 수도 있으며, 이로써 컴퓨터 또는 다른 프로그래밍 가능 기기 상에서 실행되는 명령은 흐름도의 하나 또는 복수의 절차 및/또는 블록도의 하나 또는 복수의 블록에서 지정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단계를 제공한다.
비록 본 출원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해당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가 일단 기본적인 창의성 컨셉을 알게 되면, 이 실시예들에 대해 다른 변경과 수정을 행할 수 있다. 따라서,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은 바람직한 실시예 및 본 출원 범위 내에 속하는 모든 변경과 수정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도록 의도된다.
자명한 점이라면, 해당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라면 본 출원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출원에 대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을 행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출원의 이러한 수정 및 변형이 본 출원의 특허청구범위 및 그와 균등한 기술의 범위 내에 속한다면, 본 출원은 이러한 수정 및 변형도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Claims (28)

  1. 비직교 다중 접속(NOMA) 다중 레이어 전송을 수행하는 방법으로서,
    단말이 NOMA 다중 레이어 전송을 위한 확산 시퀀스 그룹을 결정하는 단계 - 상기 단말은 NOMA 다중 레이어 전송을 지원하도록 설정되며, 상기 확산 시퀀스 그룹에는 N 개의 확산 시퀀스가 포함되되, 상기 N 개의 확산 시퀀스는 N 개의 데이터 레이어와 대응되고, 상기 N 개의 확산 시퀀스는 서로 직교하고, 상기 N은 상기 NOMA 다중 레이어 전송의 데이터 레이어 수로서 1보다 큰 정수임 - ; 및
    상기 단말이 데이터를 송신하는 단계 - 상기 데이터는 상기 확산 시퀀스 그룹을 이용한 확산을 거친 N 개의 데이터 레이어를 포함함 -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직교 NOMA 다중 레이어 전송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단말이 NOMA 다중 레이어 전송을 위한 확산 시퀀스 그룹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이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송신된, 확산 시퀀스 그룹의 설정 정보에 따라, NOMA 다중 레이어 전송을 위한 확산 시퀀스 그룹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확산 시퀀스 그룹의 설정 정보는 상기 단말을 위해 설정된 확산 시퀀스 그룹을 지시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직교 NOMA 다중 레이어 전송 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단말이 NOMA 다중 레이어 전송을 위한 확산 시퀀스 그룹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이 확산 시퀀스 풀에서, NOMA 다중 레이어 전송을 위한 확산 시퀀스 그룹을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확산 시퀀스 풀에는 M 개의 확산 시퀀스 그룹이 포함되고, 상기M 개의 확산 시퀀스 그룹 내의 각 확산 시퀀스 그룹에 포함되는 확산 시퀀스는 서로 직교하고, 상기 M은 1보다 큰 정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직교 NOMA 다중 레이어 전송 방법.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단말이 선택된 상기 확산 시퀀스 그룹의 설정 정보를 네트워크 기기로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직교 NOMA 다중 레이어 전송 방법.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확산 시퀀스 풀은 미리 설정된 것 또는 시스템에 의해 약정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직교 NOMA 다중 레이어 전송 방법.
  6.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확산 시퀀스 풀에는 48 개의 확산 시퀀스 그룹이 포함되되, 상기 48 개의 확산 시퀀스 그룹 내의 각 확산 시퀀스 그룹에는 2 개의 서로 직교하는 확산 시퀀스가 포함되고, 상기 2 개의 서로 직교하는 확산 시퀀스 내의 각 확산 시퀀스에는 4 개의 벡터 요소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직교 NOMA 다중 레이어 전송 방법.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확산 시퀀스 풀은 하기 표에 나타낸 바와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직교 NOMA 다중 레이어 전송 방법:
    Figure pct00026

    Figure pct00027

    Figure pct00028

    Figure pct00029

    Figure pct00030
  8. 비직교 다중 접속(NOMA) 다중 레이어 전송을 수행하는 방법으로서,
    네트워크 기기가 단말의 NOMA 다중 레이어 전송을 위한 확산 시퀀스 그룹을 결정하는 단계 - 상기 단말은 NOMA 다중 레이어 전송을 지원하도록 설정되며, 상기 확산 시퀀스 그룹에는 N 개의 확산 시퀀스가 포함되되, 상기 N 개의 확산 시퀀스는 N 개의 데이터 레이어와 대응되고, 상기 N 개의 확산 시퀀스는 서로 직교하고, 상기 N은 상기 NOMA 다중 레이어 전송의 데이터 레이어 수로서 1보다 큰 정수임 - ; 및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상기 단말에 의해 송신된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데이터는 상기 확산 시퀀스 그룹을 이용한 확산을 거친 N 개의 데이터 레이어를 포함함 -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직교 NOMA 다중 레이어 전송 방법.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단말의 NOMA 다중 레이어 전송을 위한 확산 시퀀스 그룹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상기 단말을 위해 확산 시퀀스 풀에서, NOMA 다중 레이어 전송을 위한 확산 시퀀스 그룹을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확산 시퀀스 풀에는 M 개의 확산 시퀀스 그룹이 포함되고, 상기 M 개의 확산 시퀀스 그룹 내의 각 확산 시퀀스 그룹에 포함되는 확산 시퀀스는 서로 직교하고, 상기 M은 1보다 큰 정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직교 NOMA 다중 레이어 전송 방법.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상기 단말을 위해 선택된 상기 확산 시퀀스 그룹의 설정 정보를 상기 단말로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직교 NOMA 다중 레이어 전송 방법.
  11.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단말의 NOMA 다중 레이어 전송을 위한 확산 시퀀스 그룹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상기 단말에 의해 송신된, 확산 시퀀스 그룹의 설정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확산 시퀀스 그룹의 설정 정보에 따라, 상기 단말의 NOMA 다중 레이어 전송을 위한 확산 시퀀스 그룹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확산 시퀀스 그룹은 상기 단말에 의해 확산 시퀀스 풀에서 선택된 것이며, 상기 확산 시퀀스 풀에는 M 개의 확산 시퀀스 그룹이 포함되고, 상기 M 개의 확산 시퀀스 그룹 내의 각 확산 시퀀스 그룹에 포함되는 확산 시퀀스는 서로 직교하고, 상기 M은 1보다 큰 정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직교 NOMA 다중 레이어 전송 방법.
  12. 청구항 9 내지 청구항 11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확산 시퀀스 풀은 미리 설정된 것 또는 시스템에 의해 약정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직교 NOMA 다중 레이어 전송 방법.
  13. 청구항 9 내지 청구항 11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확산 시퀀스 풀에는 48 개의 확산 시퀀스 그룹이 포함되되, 상기 48 개의 확산 시퀀스 그룹 내의 각 확산 시퀀스 그룹에는 2 개의 서로 직교하는 확산 시퀀스가 포함되고, 상기 2 개의 서로 직교하는 확산 시퀀스 내의 각 확산 시퀀스에는 4 개의 벡터 요소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직교 NOMA 다중 레이어 전송 방법.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확산 시퀀스 풀은 하기 표에 나타낸 바와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직교 NOMA 다중 레이어 전송 방법:
    Figure pct00031

    Figure pct00032

    Figure pct00033

    Figure pct00034

    Figure pct00035
  15. 결정 모듈과 송신 모듈을 포함하는 단말로서,
    상기 결정 모듈은 NOMA 다중 레이어 전송을 위한 확산 시퀀스 그룹을 결정하도록 구성되되, 상기 단말은 NOMA 다중 레이어 전송을 지원하도록 설정되며, 상기 확산 시퀀스 그룹에는 N 개의 확산 시퀀스가 포함되되, 상기 N 개의 확산 시퀀스는 N 개의 데이터 레이어와 대응되고, 상기 N 개의 확산 시퀀스는 서로 직교하고, 상기 N은 상기 NOMA 다중 레이어 전송의 데이터 레이어 수로서 1보다 큰 정수이며,
    상기 송신 모듈은 데이터를 송신하도록 구성되되, 상기 데이터는 상기 확산 시퀀스 그룹을 이용한 확산을 거친 N 개의 데이터 레이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6. 결정 모듈과 수신 모듈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기기로서,
    상기 결정 모듈은 단말의 NOMA 다중 레이어 전송을 위한 확산 시퀀스 그룹을 결정하도록 구성되되, 상기 단말은 NOMA 다중 레이어 전송을 지원하도록 설정되며, 상기 확산 시퀀스 그룹에는 N 개의 확산 시퀀스가 포함되되, 상기 N 개의 확산 시퀀스는 N 개의 데이터 레이어와 대응되고, 상기 N 개의 확산 시퀀스는 서로 직교하고, 상기 N은 상기 NOMA 다중 레이어 전송의 데이터 레이어 수로서 1보다 큰 정수이며,
    상기 수신 모듈은 상기 단말에 의해 송신된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되, 상기 데이터는 상기 확산 시퀀스 그룹을 이용한 확산을 거친 N 개의 데이터 레이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기기.
  17. 프로세서, 메모리 및 송수신기를 포함하는 통신 장치로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메모리 내의 컴퓨터 명령을 판독하여,
    NOMA 다중 레이어 전송을 위한 확산 시퀀스 그룹을 결정하는 동작 - 상기 단말은 NOMA 다중 레이어 전송을 지원하도록 설정되며, 상기 확산 시퀀스 그룹에는 N 개의 확산 시퀀스가 포함되되, 상기 N 개의 확산 시퀀스는 N 개의 데이터 레이어와 대응되고, 상기 N 개의 확산 시퀀스는 서로 직교하고, 상기 N은 상기 NOMA 다중 레이어 전송의 데이터 레이어 수로서 1보다 큰 정수임 - ; 및
    상기 송수신기를 통해 데이터를 송신하는 동작 - 상기 데이터는 상기 확산 시퀀스 그룹을 이용한 확산을 거친 N 개의 데이터 레이어를 포함함 - 을 실행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18.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송신된, 확산 시퀀스 그룹의 설정 정보에 따라, NOMA 다중 레이어 전송을 위한 확산 시퀀스 그룹을 결정하도록 구성되되, 상기 확산 시퀀스 그룹의 설정 정보는 상기 단말을 위해 설정된 확산 시퀀스 그룹을 지시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19.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확산 시퀀스 풀에서, NOMA 다중 레이어 전송을 위한 확산 시퀀스 그룹을 선택하도록 구성되되, 상기 확산 시퀀스 풀에는 M 개의 확산 시퀀스 그룹이 포함되고, 상기 M 개의 확산 시퀀스 그룹 내의 각 확산 시퀀스 그룹에 포함되는 확산 시퀀스는 서로 직교하고, M은 1보다 큰 정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20. 청구항 19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또한,
    선택된 상기 확산 시퀀스 그룹의 설정 정보를 상기 송수신기를 통해 네트워크 기기로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21. 청구항 19에 있어서,
    상기 확산 시퀀스 풀은 미리 설정된 것 또는 시스템에 의해 약정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22. 프로세서, 메모리 및 송수신기를 포함하는 통신 장치로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메모리 내의 컴퓨터 명령을 판독하여,
    단말의 NOMA 다중 레이어 전송을 위한 확산 시퀀스 그룹을 결정하는 동작 - 상기 단말은 NOMA 다중 레이어 전송을 지원하도록 설정되며, 상기 확산 시퀀스 그룹에는 N 개의 확산 시퀀스가 포함되되, 상기 N 개의 확산 시퀀스는 N 개의 데이터 레이어와 대응되고, 상기 N 개의 확산 시퀀스는 서로 직교하고, 상기 N은 상기 NOMA 다중 레이어 전송의 데이터 레이어 수로서 1보다 큰 정수임 - ; 및
    상기 송수신기를 통해 상기 단말에 의해 송신된 데이터를 수신하는 동작 - 상기 데이터는 상기 확산 시퀀스 그룹을 이용한 확산을 거친 N 개의 데이터 레이어를 포함함 - 을 실행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23. 청구항 22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단말을 위해 확산 시퀀스 풀에서, NOMA 다중 레이어 전송을 위한 확산 시퀀스 그룹을 선택하도록 구성되되, 상기 확산 시퀀스 풀에는 M 개의 확산 시퀀스 그룹이 포함되고, 상기 M 개의 확산 시퀀스 그룹 내의 각 확산 시퀀스 그룹에 포함되는 확산 시퀀스는 서로 직교하고, M은 1보다 큰 정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24. 청구항 23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또한,
    상기 단말을 위해 선택된 상기 확산 시퀀스 그룹의 설정 정보를 상기 송수신기를 통해 상기 단말로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25. 청구항 22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단말에 의해 송신된, 확산 시퀀스 그룹의 설정 정보를 상기 송수신기를 통해 수신하고, 상기 확산 시퀀스 그룹의 설정 정보에 따라, 상기 단말의 NOMA 다중 레이어 전송을 위한 확산 시퀀스 그룹을 결정하도록 구성되되, 상기 확산 시퀀스 그룹은 상기 단말에 의해 확산 시퀀스 풀에서 선택된 것이며, 상기 확산 시퀀스 풀에는 M 개의 확산 시퀀스 그룹이 포함되고, 상기 M 개의 확산 시퀀스 그룹 내의 각 확산 시퀀스 그룹에 포함되는 확산 시퀀스는 서로 직교하고, M은 1보다 큰 정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26. 청구항 23 내지 청구항 2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확산 시퀀스 풀은 미리 설정된 것 또는 시스템에 의해 약정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27. 컴퓨터 실행 가능 명령이 저장되어 있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로서, 상기 컴퓨터 실행 가능 명령은 컴퓨터에 의해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7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이 실행되게끔 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
  28. 컴퓨터 실행 가능 명령이 저장되어 있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로서, 상기 컴퓨터 실행 가능 명령은 컴퓨터에 의해 청구항 8 내지 청구항 14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이 실행되게끔 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
KR1020217024839A 2019-01-18 2020-01-13 비직교 다중 접속(noma) 다중 레이어 전송 방법 및 그 장치 KR10256433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910048770.6 2019-01-18
CN201910048770.6A CN111464207B (zh) 2019-01-18 2019-01-18 一种noma多层传输方法及其装置
PCT/CN2020/071833 WO2020147693A1 (zh) 2019-01-18 2020-01-13 一种非正交多址接入noma多层传输方法及其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1824A true KR20210111824A (ko) 2021-09-13
KR102564339B1 KR102564339B1 (ko) 2023-08-04

Family

ID=716144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24839A KR102564339B1 (ko) 2019-01-18 2020-01-13 비직교 다중 접속(noma) 다중 레이어 전송 방법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923891B2 (ko)
EP (1) EP3913815A4 (ko)
JP (1) JP7223149B2 (ko)
KR (1) KR102564339B1 (ko)
CN (1) CN111464207B (ko)
WO (1) WO2020147693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70238261A1 (en) * 2014-08-21 2017-08-17 Ntt Docomo, Inc. Base station, user equipment, and radio communication system
WO2018182233A1 (ko) * 2017-03-30 2018-10-04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직교 또는 비직교 부호 다중 접속 기법을 사용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434000B1 (en) * 2016-05-20 2020-09-16 Huawei Technologies Co., Ltd. Method for flexible sparse code multiple access codebook design, transmission and detection
CN107508661B (zh) * 2016-06-14 2020-07-21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数据处理的方法、网络设备和终端
US20180083666A1 (en) 2016-09-21 2018-03-22 Huawei Technologies Co., Ltd. Methods for multiple access transmission
CN108462556B (zh) * 2017-02-22 2021-04-09 华为技术有限公司 传输数据的方法和装置
CN108737307B (zh) * 2017-04-14 2023-03-10 北京三星通信技术研究有限公司 一种多址接入的方法、发射机及接收机
JP2020123757A (ja) 2017-05-31 2020-08-13 シャープ株式会社 端末装置および基地局装置
CN107294659B (zh) * 2017-07-21 2019-08-09 电子科技大学 一种基于交叉验证非正交多址系统多用户检测方法
CN107276960B (zh) * 2017-07-27 2020-04-17 重庆邮电大学 一种scma优化码本设计方法
JP2021010043A (ja) 2017-09-28 2021-01-28 シャープ株式会社 通信装置
US11089598B2 (en) * 2018-08-30 2021-08-10 Qualcomm Incorporated Multiple access signatures for non-orthogonal multiple access (NOMA) wireless communications
US11336328B2 (en) * 2018-12-06 2022-05-17 Huawei Technologie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non-orthogonal multiple access communication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70238261A1 (en) * 2014-08-21 2017-08-17 Ntt Docomo, Inc. Base station, user equipment, and radio communication system
WO2018182233A1 (ko) * 2017-03-30 2018-10-04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직교 또는 비직교 부호 다중 접속 기법을 사용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비특허문헌1(CATT, 3GPP, 2018.08.24) *
비특허문헌2(CATT, 3GPP, 2018.11.16)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913815A1 (en) 2021-11-24
CN111464207A (zh) 2020-07-28
US20220085845A1 (en) 2022-03-17
CN111464207B (zh) 2021-04-02
WO2020147693A1 (zh) 2020-07-23
EP3913815A4 (en) 2022-03-16
US11923891B2 (en) 2024-03-05
KR102564339B1 (ko) 2023-08-04
JP7223149B2 (ja) 2023-02-15
JP2022518718A (ja) 2022-03-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729213C1 (ru) Способ для указания информации конфигурации опорного сигнала, базовая станция и терминал
CN110574433B (zh) 在无线网络上发送测量报告的方法和装置
CN107027181B (zh) 一种上行控制信息的传输方法及装置
CN108112076B (zh) 配置上行信号的方法及装置
CN111769918B (zh) Dmrs端口的指示方法及装置
JP2018505614A (ja) 非直交多元接続送信方法、基地局、及びue
KR20210074350A (ko) 업링크 전력 제어 방법, 단말 장치 및 네트워크 장치
CN104104468A (zh) 一种上下行配置信息传输方法和设备
US11159288B2 (en) Reference signal transmission mapping rule, related device, and communications system
JP7259951B2 (ja) ネットワーク装置、端末、及び方法
KR102299133B1 (ko) 방송 신호 송신 방법, 방송 신호 수신 방법, 네트워크 장치, 및 단말 장치
CN111865855A (zh) 生成参考信号的方法、检测参考信号的方法和通信装置
CN108880606B (zh) 传输同步信号的方法和装置
JP7004012B2 (ja) 端末デバイス、ネットワークデバイス、端末デバイスの方法、及びネットワークデバイスの方法
CN114828252A (zh) 多传输点数据传输的方法及装置
CN112968756B (zh) 参考信号配置方法和装置
JP6041999B2 (ja) ダウンリンク電力パラメータの設定方法及び装置
EP3317995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using existing constellation for superposed transmission
CN106850163B (zh) 一种phich反馈信息的传输方法和相关设备
US20130279620A1 (en) Methods of transmitting coordinate multiple point data based on ortogonal covering codes
CN108880741B (zh) 一种数据处理方法及其装置
KR102564339B1 (ko) 비직교 다중 접속(noma) 다중 레이어 전송 방법 및 그 장치
JP2021502787A (ja) バンドリングサイズ決定方法、ユーザ端末およびネットワーク側機器
WO2024061236A1 (zh) 发送和接收参考信号的方法、通信装置
CN115473617B (zh) 参考信号配置方法和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