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11704A - 직기 및 다층 직물 직조 방법 - Google Patents

직기 및 다층 직물 직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11704A
KR20210111704A KR1020210027762A KR20210027762A KR20210111704A KR 20210111704 A KR20210111704 A KR 20210111704A KR 1020210027762 A KR1020210027762 A KR 1020210027762A KR 20210027762 A KR20210027762 A KR 20210027762A KR 20210111704 A KR20210111704 A KR 202101117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xiliary
weft
main
shed
yar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77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옌스 이그낫지
안드레아스 슈나벨
Original Assignee
슈타우블리 바이로이트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슈타우블리 바이로이트 게엠베하 filed Critical 슈타우블리 바이로이트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2101117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1170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41/00Loo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for weaving chenille yarn; Details peculiar to these looms
    • D03D41/004Looms for three-dimensional fabric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CSHEDDING MECHANISMS; PATTERN CARDS OR CHAINS; PUNCHING OF CARDS; DESIGNING PATTERNS
    • D03C3/00Jacquards
    • D03C3/12Multiple-shed jacquards, i.e. jacquards which move warp threads to several different heights, e.g. for weaving pile fabric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49/00Details or constructional features not specially adapted for looms of a particular type
    • D03D49/24Mechanisms for inserting shuttle in shed
    • D03D49/50Miscellaneous devices or arrangements concerning insertion of weft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41/00Loo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for weaving chenille yarn; Details peculiar to these looms
    • D03D41/008Looms for weaving flat yarn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CSHEDDING MECHANISMS; PATTERN CARDS OR CHAINS; PUNCHING OF CARDS; DESIGNING PATTERNS
    • D03C3/00Jacquards
    • D03C3/24Features common to jacquards of different types
    • D03C3/26General arrangements of jacquards, or disposition in relation to loom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3/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special disposition of the warp or weft threads, e.g. with curved weft threads, with discontinuous warp threads, with diagonal warp or weft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25/00Woven fabr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3D25/005Three-dimensional woven fabric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3/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47/00Looms in which bulk supply of weft does not pass through shed, e.g. shuttleless looms, gripper shuttle looms, dummy shuttle looms
    • D03D47/12Looms in which bulk supply of weft does not pass through shed, e.g. shuttleless looms, gripper shuttle looms, dummy shuttle looms wherein single picks of weft thread are inserted, i.e. with shedding between each pick
    • D03D47/16Looms in which bulk supply of weft does not pass through shed, e.g. shuttleless looms, gripper shuttle looms, dummy shuttle looms wherein single picks of weft thread are inserted, i.e. with shedding between each pick by a gripper needle entering the shed empty and drawing the weft as it retract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47/00Looms in which bulk supply of weft does not pass through shed, e.g. shuttleless looms, gripper shuttle looms, dummy shuttle looms
    • D03D47/27Drive or guide mechanisms for weft inserting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47/00Looms in which bulk supply of weft does not pass through shed, e.g. shuttleless looms, gripper shuttle looms, dummy shuttle looms
    • D03D47/34Handling the weft between bulk storage and weft-inserting mean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49/00Details or constructional features not specially adapted for looms of a particular type
    • D03D49/70Devices for cutting weft thread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JAUXILIARY WEAVING APPARATUS; WEAVERS' TOOLS; SHUTTLES
    • D03J1/00Auxiliary apparatus combined with or associated with looms
    • D03J1/04Auxiliary apparatus combined with or associated with looms for treating weft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3/00Details of fabric structure established in the fabric forming process
    • D10B2403/03Shape feature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5/00Industrial
    • D10B2505/02Reinforcing materials; Prepre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Looms (AREA)

Abstract

삽입 수단(90) 및 메인 날실(12)을 안내하고 메인 하니스 폭(W11)을 형성하도록 쟈카드 유형의 메인 쉐딩 기구에 의해 이동되는 메인 헤들을 포함하는 다층 직물을 직조하는 직기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직기는 보조 날실(22)을 안내하고 메인 하니스 폭(W11) 내에 배치되는 클램핑 영역(W21)을 형성하는 보조 쉐딩 기구에 의해 이동되는 보조 헤들(21)을 포함한다. 제 1 픽에서, 보조 헤들은 메인 쉐드가 개방되어 있는 동안에 삽입된 씨실(100)을 클램핑하도록 보조 날실의 보조 쉐드를 페쇄하도록 된다.

Description

직기 및 다층 직물 직조 방법 {Weaving loom and method for weaving a multilayer fabric}
본 발명은 다층 직물을 직조하기 위한 직기(weaving loom) 및 다층 직물을 직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3 차원 프리폼을 만들기 위해 다층 패턴에 따라 날실과 씨실을 짜는 것이 알려져 있다. 이러한 유형의 프리폼은 팬 블레이드 등과 같은 3 차원 복합 부품 제조에 사용될 수 있다.
EP3121317A1은 직물 직조 방법을 개시하는데, 여기서, 씨실을 날실의 쉐드로 연신(drawing)하는 동안, 소정 그룹의 날실이 삽입된 씨실 주위의 쉐드를 폐쇄하기 위해 반 폐쇄 위치로 이동된다. 따라서 삽입된 씨실은 병진 이동 중에 이 그룹의 원사(yarn)에 의해 안내되거나 클램핑되어 씨실이 직물의 전체 폭에 비해 상대적으로 짧은 길이로 절단되는 경우에도 씨실의 정확하고 정확한 위치를 지정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을 구현하려면 헤들 구동을 위해 하니스 폭을 따라 개별 액추에이터를 포함한 고급 직기를 사용해야 한다. 이 유형의 직기는 복잡하고 비싸다. 또한, 원사 그룹의 유일한 역할은 씨실을 안내하거나 클램핑하여 직조를 용이하게하는 반면, 이러한 원사 그룹은 완성된 직물에 짜여져 있다. 따라서, 완성된 직물에 남아 있고 파손 없이 씨실을 정확하게 안내하거나 클램핑하기에 적합한 원사를 선택하기가 어렵다.
DE102015109785는 3차원 복합 부품 생산에 사용 하기 위하여 직조된 2 차원 직물(fabric)을 개시한다. 직물은 결합사로 묶인 단축 보강사(reinforcing yarn)를 포함한다. 그러나, 직조 중에 보강사가 고정되지 않아 보강사의 위치가 만족스럽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고, 직조 중에 씨실을 클램핑할 수 있게 하면서, 보다 단순한 구조의 새로운 직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날실 및 씨실을 포함하는 다층 직물을 직조하기 위한 직기에 관한 것으로, 상기 직기는 서로 다른 길이를 가지며, 상기 직기는, 직기의 씨실축을 따라 픽업 위치에서 씨실을 픽업하고, 픽업 위치로부터 씨실 축을 따라 날실의 쉐드로 씨실을 끌어 당기고, 씨실 축을 따라 주어진 위치에서 씨실을 풀어주도록 된 삽입 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직기는 메인 날실을 안내하고 씨실 축을 따라 메인 하니스 폭을 정의하도록 구성된 메인 헤들(main heddle)을 포함한다. 상기 직기는 수직 경로를 따라 메인 헤들을 이동하도록 된 쟈카드 유형의 메인 쉐딩 기구를 포함한다. 상기 직기는 제 1 보조 날실을 안내하고 씨실 축을 따라 제 1 클램핑 영역을 형성하도록 된 제 1 보조 헤들 세트를 포함하며, 제 1 클램핑 영역은 메인 하니스 폭 내에 배열된다. 상기 직기는 제 1 보조 헤들을 이동시키도록 된 제 1 보조 쉐딩 기구를 포함한다. 직기는 제 1 픽(first pick)에서 메인 쉐딩 기구에 의해 이동된 메인 헤들에 의해 메인 날실의 메인 쉐드를 정의하고, 상기 삽입 수단에 의해 제 1 씨실의 삽입을 위하여 제 1 보조 쉐딩 기구에 의해 이동되는 제 1 보조 헤들에 의해 제 1 보조 날실의 제 1 보조 쉐드를 개방하도록 되고, 상기 제 1 픽에서, 상기 제 1 보조 쉐딩 기구에 의해 이동되는 제 1 보조 헤들에 의해 제 1 보조 쉐드를 폐쇄하고, 메인 쉐드가 개방된 동안에 제 1 클램핑 영역을 통하여 상기 삽입 수단이 제 1 씨실을 당긴 후에 제 1 클램핑 영역에서 제 1 보조 날실로써 제 1 시실을 클램핑하도록 된다.
본 발명의 직기는 제 1 보조 헤들을 통하여 제 1 보조 날실을 위치시키는 데 전용으로 되는 제 1 보조 쉐딩 기구로 구현되고, 메인 쉐딩 기구와는 별도의 구조로 구현된다. 따라서, 제 1 보조 쉐딩 기구 및 제 1 보조 헤들은 임의의 픽에서 씨실 클램핑에 전용일 수 있다. 제 1 보조 쉐딩 기구는 이러한 목적을 위해 특별히 설계될 수 있지만, 주 쉐딩 기구는 일반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상기 메인 쉐딩 기구는 개별 헤들 액추에이터를 의미하는 기구보다 비용이 적게 드는 메인 헤들을 구동하기 위한 선택 가능한 후크 및 블레이드를 포함하는 기구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제 1 보조 쉐딩 기구는 예를 들어 제 1 보조 헤들을 구동 하기 위한 개별 액추에이터를 포함함으로써 씨실 클램핑 요건에 더 구체적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처음에 씨실 클램핑을 달성할 수 없었던 기존의 직기는 씨실 클램핑을 가능하게하기 위해 보조 쉐딩 기구와 제 1 보조 헤들을 추가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직기로 업그레이드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선택적 특징은 아래에 주어진다.
바람직하게는, 제 1 보조 쉐딩 기구는 삽입 수단이 여전히 제 1 씨실을 메인 쉐드로 당기는 동안 제 1 씨실을 클램핑하기 위해 제 1 보조 쉐드를 폐쇄하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직기는 제 2 보조 날실을 안내하고 씨실 축을 따라 제 2 클램핑 영역을 정의하도록 구성된 제 2 보조 헤들 세트를 포함하며, 제 2 클램핑 영역은 메인 하니스 폭 내에 배열되고; 제 2 보조 헤들을 이동 시키도록 구성된 제 2 보조 쉐딩 기구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제 1 클램핑 영역은 픽업 위치와 제 2 클램핑 영역 사이에 배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직기는, 제 1 픽에서, 상기 삽입 수단에 의해 제 1 씨실의 삽입을 삽입하기 위하여 제 2 보조 쉐딩 기구에 의해 이동된 제 2 보조 헤들에 의해 제 2 보조 날실의 제 2 보조 쉐드를 개방하도록 되고, 제 1 픽에서, 상기 메인 쉐드가 여전이 개방되어 있는 동안에 삽입 수단이 제 2 클램핑 영역을 통하여 제 1 씨실을 당긴 후에, 제 2 클램핑 영역에서 제 2 씨실을 제 2 보조 날실과 클램핑하기 위하여 제 2 보조 쉐딩 기구에 의해 이동되는 제 2 보조 헤들에 의해 제 2 보조 쉐드를 폐쇄하도록 된다.
바람직하게는, 삽입 수단은 제 1 씨실을 제 2 클램핑 영역으로 끌어 당기는 동안, 제 1 보조 쉐딩 기구는 제 1 씨실을 클램핑하기 위해 제 1 보조 쉐드를 폐쇄하도록 된다.
바람직하게는, 직기는 제 1 보조 쉐딩 기구를 지지하는 거더를 포함하고, 제 1 보조 쉐딩 기구는 씨실축에 평행한 거더를 따라 위치에서 조정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제 1 보조 쉐딩 기구는 1 차 왕복 운동에 따라 제 1 보조 헤들 중에서 1 차 보조 헤들을 이동시키기 위한 1 차 액추에이터; 및 조정 가능한 교차점을 갖는 1 차 왕복 운동에 반대되는 2 차 왕복 운동에 따라, 제 1 보조 헤들 중에서 2 차 보조 헤들을 이동시키는 2 차 액추에이터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제 1 보조 쉐딩 기구는 고정자 및 고정자에 대해 회전 구동되는 풀리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액추에이터를 포함하고; 각각의 풀리는 제 1 보조 헤들 중 적어도 하나, 바람직하게는 3 개의 제 1 보조 헤들을 이동시키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메인 쉐딩 기구는 선택 가능한 후크를 포함하고, 각각은 메인 헤들 중 적어도 하나를 구동하며; 위쪽과 아래쪽 위치 사이에서 선택 가능한 후크를 구동 하기 위한 블레이드; 및 블레이드를 구동 하기 위한 메인 샤프트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또한 날실 및 씨실을 포함하는 다층 직물을 직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씨실은 직기에 의해 서로 다른 길이를 갖되, 상기 직기는, 직기의 씨실 축을 따라 픽업 위치에서 씨실을 집기 위해 구성되고, 픽업 위치에서 씨실 축을 따라 날실 쉐드로 씨실을 끌어당기도록 되고, 씨실 축을 따라 주어진 위치에서 씨실을 풀어주도록 된 삽입 수단을 포함한다. 직기는 메인 날실을 안내하고 씨실 축을 따라 메인 하니스 폭을 정의하도록 구성된 메인 헤들을 포함한다. 직기는 수직 경로를 따라 메인 헤들을 수직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된 쟈카드 유형의 주 쉐딩 기구를 포함한다. 직기는 제 1 보조 날실을 안내하고 씨실 축을 따라 제 1 클램핑 영역을 정의하도록 된 제 1 보조 헤들 세트를 포함하며, 제 1 클램핑 영역은 메인 하니스 폭 내에 배열된다. 직기는 제 1 보조 헤들을 이동시키도록 된 제 1 보조 쉐딩 기구를 포함한다.
상기 방법은, 제 1 픽에서, 메인 쉐딩 기구에 의해 이동된 메인 헤들에 의해 메인 날실의 메인 쉐드를 개방하고 제 1 보조 쉐딩 기구에 의해 이동된 제 1 보조 헤들에 의해 보조 날실의 제 1 보조 쉐드를 개방하는 단계; 삽입 수단에 의해, 제 1 씨실을 픽업 위치에서 픽킹하는 단계; 삽입 수단에 의해, 제 1 씨실을 픽업 위치로부터 메인 쉐드 및 제 1 보조 쉐드로 당기는 단계; 메인 쉐드가 여전히 개방되어 있는 상태 동안에 제 1 클램핑 영역을 통하여 삽입 수단이 제 1 씨실을 당긴 후에, 제 1 클램핑 영역에서 제 1 씨실을 제 1 보조 날실과 클램핑하기 위하여 제 1 보조 쉐딩 기구에 의해 이동된 제 1 보조 헤들에 의해 제 1 보조 쉐드를 폐쇄하는 단계; 삽입 수단에 의해, 제 1 씨실을 풀어주는 단계; 및 메인 헤들에 의해 메인 쉐드를 폐쇄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추가 선택적 특징은 아래에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1 픽 동안, 제 1 보조 쉐딩 기구는 삽입 수단이 제 1 클램핑 영역을 통해 제 1 씨실을 당긴 후에 삽입 수단이 여전히 제 1 씨실을 메인으로 당기는 동안, 제 1 씨실을 클램핑 하기 위한 제 1 보조 쉐드를 폐쇄한다.
바람직하게는, 직기는, 제 2 보조 날실을 안내하고 씨실 축을 따라 제 2 클램핑 영역을 정의하도록 구성된 제 2 보조 헤들 세트로서, 제 2 클램핑 영역은 메인 하니스 폭 내에 배열되는 제 2 보조 헤들 세트; 및 제 2 보조 헤들을 이동 시키도록 된 제 2 보조 쉐딩 기구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제 1 클램핑 영역은 픽업 위치와 제 2 클램핑 영역 사이에 배치된다. 이 경우, 상기 방법은, 상기 제 1 픽에서, 제 2 보조 쉐딩 기구에 의해 이동 된 제 2 보조 헤들에 의해 제 2 보조 쉐드를 개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으며, 삽입 수단에 의해 제 1 씨실을 당기는 단계는 제 1 씨실을 제 2 보조 쉐드로 당기는 단계, 및 상기 삽입 수단이 제 2 클램핑 영역으로 제 1 씨실을 당긴 후에, 메인 쉐드가 여전히 개방되어 있고, 삽입 수단이 제 1 씨실을 풀어주기 이전에, 제 1 씨실을 제 2 클램핑 영역에서 제 2 보조 날실과 클램핑하도록 제 2 보조 쉐딩 기구에 의해 이동된 제 2 보조 헤들에 의해 제 2 보조 훼드를 폐쇄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방법은 상기 제 1 픽에서, 제 1 씨실을 픽킹한 후, 씨실 축을 따라 제 1 클램핑 영역으로부터 제 2 클램핑 영역까지의 거리와 동일한 주어진 길이로 제 1 씨실을 절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방법은 제 1 픽 이후에 실행되는 제 2 픽에서, 메인 쉐딩 기구에 의해 이동된 메인 헤들에 의해 메인 쉐드를 개방하고, 제 1 보조 쉐딩 기구에 의해 이동된 제 1 보조 헤들에 의해 제 1 보조 쉐드를 개방하는 단계; 삽입 수단에 의해, 픽업 위치에서 제 2 씨실을 픽킹하는 단계; 삽입 수단에 의해, 픽업 위치로부터 제 2 씨실을 메인 쉐드로 그리고 제 1 보조 쉐드로 당기는 단계; 삽입 수단이 제 1 클램핑 영역을 통하여 제 1 씨실을 당긴 후에 메인 쉐드가 여전히 개방되어 있는 동안에 제 2 씨실을 제 1 클램핑 영역에서 제 1 보조 날실과 클램핑하도록 제 1 보조 쉐딩 기구에 의해 이동된 제 1 보조 헤들에 의해 제 1 보조 쉐드를 폐쇄하는 단계; 삽입 수단에 의해 제 2 씨실을 풀어주는 단계; 메인 헤들에 의해 메인 쉐드를 폐쇄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 2 픽에서 제 1 보조 쉐드를 개방하는 단계는 제 1 픽 동안에 제 1 씨실 주위에서 교차된 임의의 제 1 보조 날실을 교차되지 않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 2 픽의 말미에서, 제 1 씨실 및 제 2 씨실은 임의의 제 1 보조 날실에 의해 분리되지 않고서 서로 적층된다.
바람직하게는, 직기는: 제 3 보조 날실을 안내하고 씨실 축을 따라 제 3 클램핑 영역을 정의하도록 구성된 제 3 보조 헤들 세트로서, 제 3 클램핑 영역은 메인 하니스 폭 내에 배열되는, 제 3 보조 헤들 세트; 제 3 보조 헤들을 이동시키도록 구성된 제 3 보조 쉐딩 기구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방법은 제 1 픽 이후에 실행되는 중간 픽에서, 메인 쉐딩 기구에 의해 이동되는 메인 헤들에 의해 메인 쉐드를 개방하여 제 1 씨실이 메인 쉐드 위 또는 아래에 위치하도록하는 단계; 삽입 수단에 의해, 픽업 위치에서 중간 씨실을 픽킹하는 단계; 삽입 수단에 의해, 픽업 위치에서 메인 쉐드로 중간 씨실을 당기는 단계; 삽입 수단을 사용하여 중간 씨실을 해제하는 단계; 그리고 메인 쉐딩 기구에 의해 이동된 메인 헤들에 의해, 메인 쉐드를 폐쇄하여 제 1 씨실과 중간 씨실이 동일한 픽 스택에 중첩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방법은 중간 픽 이후에 실행되는 제 3 픽에서, 메인 쉐딩 기구에 의해 이동되는 메인 헤들에 의해 메인 쉐드를 개방하고, 메인 쉐딩 기구에 의해 이동하고, 제 3 보조 훼딩 기구에 의해 이동된 제 2 보조 헤들에 의해 제 3 보조 날실의 제 1 보조 쉐드를 개방하여 중간 씨실이 제 1 씨실과 메인 쉐드 사이에 위치하게 되는 단계; 삽입 수단에 의해 픽업 위치에서 제 3 씨실을 픽킹하는 단계; 삽입 수단에 의해, 픽업 위치로부터 제 3 씨실을 메인 쉐드 및 제 3 보조 쉐드로 당기는 단계; 삽입 수단이 제 3 씨실을 제 3 클램핑 영역을 통해 당긴 후 메인 쉐드가 여전히 개방되어 있는 동안에 제 3 씨실을 제 3 클램핑 영역에서 제 3 보조 날실과 클램핑하도록 제 3 보조 쉐딩 기구에 의해 이동되는 제 3 보조 헤들에 의해 제 3 보조 쉐드를 폐쇄하는 단계; 삽입 수단에 의해, 제 3 씨실을 풀어주는 단계; 및 메인 헤들에 의해, 메인 쉐드를 폐쇄하여, 제 1 씨실, 중간 씨실, 및 제 3 씨실은 중간 씨실이 제 1 씨실과 제 3 씨실 사이에 있는 동일한 픽 적층 상태로 중첩되게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방법은. 중간 픽 동안, 씨실 축 위에 제 1 보조 헤들을 유지하는 단계; 및 씨실 축 아래에 제 3 보조 헤들을 유지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방법은, 중간 픽에서, 제 1 보조 쉐딩 기구에 의해 이동 된 제 1 보조 헤들에 의해 제 1 보조 쉐드를 개방하여 중간 씨실이 삽입 수단에 의해 제 1 보조 쉐드에 삽입되게 하는 단계; 및/또는 제 3 보조 쉐딩 기구에 의해 이동 된 제 3 보조 헤들에 의해 제 3 보조 쉐드를 개방하여 중간 씨실이 삽입 수단에 의해 제 3 보조 쉐드에 삽입되도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방법은, 제 1 픽에서, 인장된 제 1 보조 날실로 제 1 씨실을 클램핑하기 위해 제 1 보조 쉐드를 폐쇄하면서 제 1 보조 날실의 장력을 증가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목적을 제한하지 않고 첨부된 도면에 대응하여 예시적인 예로서 제공되는 다음 설명에 기초하여 더 잘 이해 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직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직기의 일부 부분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직기의 상세 부분 사시도이다.
도 4는 직기에 의해 직조되는 다층 직물의 부분 세로 단면을 보여주는, 도 1 내지 도 3의 직기의 일부의 개략도이다.
도 5는 도 1 내지 도 4의 직기의 일부에 대한 혼성도로서, 상부는 직기에 의해 직조되는 다층 직물의 평면도이고, 하부는 직조된 직물의 횡방향 단면을 보여주며, 하부에서 직물은 동일한 실척으로 도시되고, Y1을 따라 동일한 좌표에 위치하는 것을 도시한다.
도 6은 도 1 내지 도 5의 직기의 움직이는 헤들 프로파일의 개략도이다.
도 7 내지 도 11은 도 1 내지 도 6의 직조기로 구현될 수 있는 방법의 연속 단계 동안 본 발명에 따른 다층 직물의 다른 실시예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7 내지 도 11의 다층 직물의 상세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다층 직물의 다른 실시예의 상세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직기(2)를 도시한다. 상기 직기(2)는 도 4 및 도 5에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된 직조된 연속적인 원사로 된 다층 직물(1)을 형성하기 위해 날실 및 씨실을 함께 직조하는데 사용된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층 직물(1)은 도 4의 단면에 도시된 직조된 씨실(inwoven weft yarn) 및 도 5의 횡단면에 도시된 날실을 포함한다. 직물(1)은 날실 방향(X1), 씨실 방향(Y1)및 레이어 방향(Z1)을 정의한다. 날실은 일반적으로 날실 방향(X1)을 따라 배향된다. 씨실은 일반적으로 씨실 방향(Y1)을 따라 배향된다.
다층 직물(1)은 기술 직물의 자격을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다층 직물(1)은 강화 수지 등이 함침된 상기 프리폼을 포함하는 복합 재료의 3 차원 부품의 제조를 위한 3 차원 프리폼을 구성하도록 구성된다. 제조되는 부품은 팬 블레이드 등일 수 있다.
도 4에서, 다층 직물(1)은 직조 중인 것으로 도시된다. 이러한 상황에서, 마무리되지 않은 직물(1)은 클로오드 펠(3: cloth fell), 즉 원사가 직조되는 방향 Y1에 평행하게 배향된 전방 에지를 포함한다.
도 4 및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층 직물(1)은 방향 X1 및 Y1에 평행하게 배향되고 방향 Z1에 평행하게 분포된 연속적인 층을 포함하며, 각 층은 직조 씨실 및 날실에 의해 형성되고, 인접한 층은 상기 층의 날실과 씨실을 서로 직조하여 직조된다. 도 4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물(1)의 층(L0, L1, L2, L3, L4, L5 및 L7)이 식별된다.
다층 직물(1)에서, 주어진 층에 포함된 씨실은 다음 층에 포함된 씨실의 길이와 다른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층(L0)의 씨실(100)은 층(L0) 아래에 있는 층(L2)의 씨실보다 짧다. 따라서, 다층 직물(1)은 망사에 유사한 프리폼을 구성하도록 성형될 수 있다.
다층 직물(1)은 방향 Y1 및 Z1에 평행하게 배향되고 방향 X1에 평행하게 분포된 연속적인 픽 스택을 포함하며, 각각의 픽 스택은 직조 씨실 및 날실로 만들어지며, 인접한 픽 스택은 픽 스택의 날실과 씨실을 직조함으로써 삽입된다. 픽 스택(P1)은 6 개의 중첩된 씨실을 포함하는 도 4에서 도시된다. 픽 스택(P1)은 클로오드 펠(3)에 위치된다. 연속적인 픽 스택(P2)는 도 4에 도시되고 있다.
원사 패키지, 날실 빔 스탠드 또는 기타 날실 전달 장치를 포함하는 크릴(creel)은 날실로 직기(2)에 공급한다. 직기에 공급되는 날실은 클로오드 펠(3)에서 직물(1)에 진입하게 된다. 날실 전달 장치는 직물(1)에 대해 X1 방향과 반대 방향에 있다. 클로오드 빔 또는 다른 수신부(미도시)는 클로오드 펠(3)에 맞은편의 직물(1)의 모서리에서 직기(2)에 의해 직조된 직물(1)을 수용하도록 운송부에 대하여 방향 (X1)으로 구현된다.
직기(2)는 도 4 및 5에 도시된 보조 헤들(21, 31, 41)을 포함하는 메인 헤들(11)과 보조 헤들을 포함한다. 메인 및 보조 헤들(11, 21, 31, 41)은 날실 전달 유닛과 클로오드 펠(3) 사이에서 클로오드 펠(3)에 대하여 X1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위치한다. 메인 헤들(11)은 날실 전달 유닛에 의해 공급된 메인 날실(12)을 클로오드 펠(3)로 특히 수직 경로를 따라 안내하도록 구성된다. 보조 헤들은 날실 전달 유닛에 의해 공급된 보조 날실을 직물 하향(3), 특히 수직 경로를 따라 안내하도록 구성된다. 메인 날실은 "제품 날실"이라고도 한다. 보조 날실은 "공정 날실"또는 "공정 및 제품 날실"이라고도 불릴 수 있다.
특히, 보조 헤들(21, 31 및 41)은 각각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보조 날실(22, 32 및 42)을 안내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각각의 메인 헤들(11)은 이동 된 메인 날실(12)을 수용하는 메인 아일릿(13)을 포함한다. 헤들(21)과 같은 각각의 보조 헤들은 이러한 헤들(21)에 의해 이동되는 날실(22)과 같은 보조 날실을 수용하는 보조 아일릿(23)과 같은 보조 아일릿을 포함한다.
메인 헤들(11)은 연속적인 직조 픽 동안 메인 날실(12)의 메인 쉐드(14)를 연속적으로 개방 및 폐쇄하기 위해, 여기서 수직인 방향(Z1)에 평행한 경로를 따라 선택적으로 왕복 이동될 수 있다.
메인 쉐드(14)의 개방은 메인 헤들(11)이 교차점 위치로부터 각각의 메인 날실(12)을 선택적으로 위로 또는 아래로 끌어 당김으로써 달성된다. 메인 쉐드(14)의 폐쇄는 메인 헤들(11)이 메인 날실(12)을 교차점으로 다시 선택적으로 당기는 것에 의해 달성된다. 각각의 픽에서, 개방된 메인 쉐드(14)는 이전 픽에서와 다른 형태 일 수 있으며, 즉 의도된 직조에 따라 위로 당겨진 메인 날실(12)과 아래로 당겨진 메인 날실(12)의 상이한 조합을 의미할 수 있다.
메인 헤들(11)은 도 5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씨실 축(Y90)을 따라 메인 하니스 폭(W11)을 따라 분포된다.
메인 하니스 폭(W11)은 2 개의 극단 메인 헤들(11) 중 하나에서 다른 쪽까지 또는 2 개의 극단 메인 날실(12) 중 하나에서 다른쪽으로 측정 된 씨실 축(Y90)을 따른 거리에 대응한다. 메인 하니스 폭(W11)은 또한 씨실 방향(Y1)에 평행하게 측정된 직기(2)로 직조될 수 있는 직물의 최대 폭에 대응한다.
씨실 축(Y90)은 씨실 방향(Y1)에 평행하다. 도 4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클로오드 펠(3)은 씨실 축 Y90에 대해 X1 방향으로 배치되고, 씨실 축(Y90)은 씨실 방향(Y1)에 평행하고 메인 헤들(11)에 대해 X1 방향으로 배치된다.
메인 헤들(11)은 이동되는데, 즉, 도 1에서 볼 수 있는 직기(2)의 메인 쉐딩 기구(15)에 의해 작동된다. 메인 쉐딩 기구(15)는 헤들(11)에 대해 Z1 방향으로, 즉 헤들(11) 위에 위치한다. 작동되면, 메인 헤들(11)은 직기(2)의 메인 하니스(16)에 의해 쉐딩 기구(15)에 연결되고, 메인 하니스(16)는 복수의 하니스 코드를 포함하고, 각각의 하니스 코드는 하나 또는 그룹의 헤들(11)을 쉐딩 기구(15)에 연결한다. 하니스(16)는 유리하게는 메인 쉐딩 기구(15)과 메인 헤들(11) 사이에 개재된 메인 컴버보드(17: cumberboard)를 포함하고, 각각의 메인 헤들(11)은 컴버보드(17)에 의해 안내되기 위해 컴버 보드(17)의 각각의 개구를 통과한다. 따라서, 컴버보드(17)는 정확한 위치를 보장하고 헤들(11)의 이동을 안내한다. 컴버보드(17)는 바람직하게 방향(Y1 및 X1)에 평행하게 배향된다.
메인 쉐딩 기구(15)은 쟈카드 유형이다. 즉, 상기 기구(15)는 사용자 정의된 비-반복된 순서에 따라 각각의 메인 헤들(11) 또는 메일 헤들(11)의 그룹은 다른 헤들(11) 또는 헤들 그룹(11)과 독립적으로 작동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메인 쉐딩 기구(15)는 기계식 또는 전자식 쟈카드 기계이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유형의 쉐딩 기구는 링 벨 프로파일에 따라 메인 헤들을 구동할 수 있게만 하거나, 상부 위치, 하부 위치 및 때때로는 중간 위치, 즉 고정된 패턴의 운동에 따라 중첩된 레이피어(rapier) 경우와 같은 제한된 다른 개수의 위치로 헤들의 움직임을 프로그램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메인 쉐딩 기구(15)은 단일 메인 헤들(11) 또는 메인 헤들 그룹(11)을 구동하는 선택 가능한 후크, 각각의 후크 또는 후크 쌍을 포함한다. 각각의 메인 헤들(11) 또는 메인 헤들 그룹(11)은 하나의 후크 또는 메인 하니스(16)의 코드들 중 하나를 통하여 한 쌍의 후크에 매달린다. 후크는 예를 들어 전자기 선택 수단을 통해 씨실 방향(Y1)에 평행한 메인 쉐딩 기구(15)의 두 평행 블레이드에 선택적으로 매달려 있다. 각 블레이드는 반대편으로의 왕복 운동에 따라 작동되어 위쪽과 아래쪽 위치 사이에서 선택 가능한 후크를 구동한다. 메인 쉐딩 기구(15)는 또한 블레이드를 구동 하기 위한 공통 메인 샤프트 또는 액추에이터를 포함한다. 메인 샤프트는 직기의 메인 샤프트과 동기화된다. 메인 쉐딩 기구(15)가 메인 헤들을 선택적으로 구동 하기 위한 단일 액추에이터를 포함하는 이러한 실시예에서, 상기 기구(15)는 여러 개의 개별 액추에이터를 통한 헤들의 작동을 의미하는 쉐딩 기구보다 덜 비싸고 덜 복잡하게 유지된다.
보조 헤들은 별도의 세트로 배포된다. 예를 들어, 보조 헤들(21)의 세트, 보조 헤들(31)의 세트 및 보조 헤들(41)의 세트를 포함하는 직기(2)에 대해 8개의 세트의 복수의 보조 헤들이 구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보조 헤들 세트는 적어도 3 개의 보조 헤들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보조 헤들 세트는 20 개 미만, 바람직하게는 10 개 미만, 바람직하게는 5 개 미만, 바람직하게는 정확히 3 개의 보조 헤들을 포함한다.
각 세트에 대해, 보조 헤들은 각각의 연속적인 직조 픽 동안, 보조 날실의 보조 쉐드를 연속적으로 개방 및 폐쇄하기 위해 방향 Z1(여기서는 수직)에 평행한 경로를 따라 선택적으로 이동될 수 있다. 각 보조 쉐드는 한 세트의 보조 헤들에 해당하며 항상 동일한 보조 날실 세트와 관련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 헤들(21)은 보조 날실(22)의 보조 쉐드(24)를 개폐한다.
보조 쉐드의 개방은 각각의 보조 헤들 세트에 의해 이루어진다. 이러한 보조 헤들은 교차점 위치에서 이러한 세트의 각 보조 날실을 선택적으로 끌어 올리거나 내린다. 보조 쉐드의 폐쇄는 이러한 세트의 보조 헤들에 의해 달성되며, 이러한 세트의 보조 날실을 선택적으로 교차점으로 되돌려 당긴다. 각 픽에서 주어진 세트에 대해 개방된 보조 쉐드는 이전 픽과 다른 모양 일 수 있다. 즉, 의도된 직조에 따라 당겨진 보조 날실과 당겨진 보조 날실의 다른 조합을 의미할 수 있다.
각 세트에 대해, 보조 헤들은 도 5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씨실 축(Y90)을 따라 클램핑 영역을 따라 분포된다. 특히, 보조 헤들(21)은 클램핑 영역(W21)을 정의하고, 보조 헤들(31)은 클램핑 영역(W31)을 정의하고 보조 헤들(41)은 클램핑 영역(W41)을 정의한다. 각 클램핑 영역을 따라 동일한 세트의 보조 헤들이 그룹화되어, 각 클램핑 영역이 하니스 너비(W11)에 비해 작은데, 예를 들어, 하니스 너비(W11) 크기의 10 분의 1에서 1,000 분의 1 또는 그 이하이다. 바람직하게는, 각 세트에 대해, 보조 헤들은 서로 바로 인접해 있다. 각 세트에 대해, 클램핑 영역은, 씨실 축(Y90)을 따라, 두 개의 극단 보조 헤들 중 하나에서 다른 쪽까지 또는 이러한 세트의 두 극단 보조 날실 중 하나에서 다른 쪽으로 측정된 거리에 해당한다.
각 클램핑 영역은 전체적으로 메인 하니스 폭(W11) 내에 배열되며, 즉 메인 하니스 폭(W11)의 끝을 넘어 연장되지 않고 메인 하니스 폭(W11)의 작은 부분만을 덮는다. 클램핑 영역은 서로 분리되거나 겹치거나 중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클램핑 영역(W21)은 씨실 축(Y90)을 따라 클램핑 영역(W31)으로부터 분리된다. 클램핑 영역(W31 및 W41)은 씨실 축(Y90)을 따라 중첩된다.
각 세트에 대해 보조 헤들이 이동되는데, 즉, 직기(2)의 각각의 보조 쉐딩 기구에 의해 작동된다. 상기 보조 쉐딩 기구는 메인 쉐딩 기구보다는 동일한 메인 제어 유닛 또는 직기(2)의 메인 제어 유닛과 동기화된 별도의 보조 제어 유닛에 의해 제어 될 수 있다.
도 3에서 볼 수 있듯이, 보조 헤들(21)은 보조 쉐딩 기구(25)에 의해 이동되고, 보조 헤들(31)은 보조 쉐딩 기구(35)에 의해 이동되고, 보조 헤들(41)은 보조 쉐딩 기구(45)에 의해 이동된다. 각각의 세트에서, 보조 쉐딩 기구는 그것이 구동하는 보조 헤들에 대해 Z1 방향으로 위치한다. 작동을 위해, 보조 헤들은 세트에 각각 직기(2)의 보조 하니스를 통해 관련 세트의 쉐딩 기구에 연결된다. 예를 들어, 헤들(21)은 보조 하니스(26)에 의해 구동되고, 헤들(31)은 보조 하니스(36)에 의해 구동되고, 헤들(41)은 보조 하니스(46)에 의해 구동된다. 각 보조 하니스는 복수의 하니스 코드를 포함하며, 각각의 하니스 코드는 해당 세트의 하나 또는 그룹의 보조 헤들을 동일한 세트의 쉐딩 기구에 연결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컴버보드(17)는 보조 컴버보드(27 및 37)를 포함하는 보조 컴버보드와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각각의 세트에 대해, 각각의 보조 헤들은 그에 의해 안내되기 위해 보조 컴버보드 중 하나의 각각의 개구를 통과한다. 따라서, 보조 컴버보드는 보조 헤들과 하니스 코드의 올바른 위치 설정과 안내를 보장한다. 바람직하게는, 각 보조 헤들 세트는 단 하나의 보조 컴버 보드에 의해 호스팅된다. 하나의 보조 컴버 보드에는 여러 개의 보조 헤들 세트가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조 헤들(21)은 모두 보조 컴버 보드(27)를 통과하고, 보조 헤들(31, 41)은 모두 보조 컴버 보드(37)의 각 부분을 통과한다. 여기서, 컴버보드(37)는 헤들(31, 41)에 의해 공유된다.
보조 컴버보드의 위치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응하는 클램핑 영역의 위치를 정의한다. 예를 들어, 보조 컴버보드(27)는 축(Y90)을 따라 클램핑 영역(W21)과 동일한 위치에 위치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보조 컴버보드는 메인 컴버보드(17)의 가장자리에 제거 가능하게 또는 영구적으로 부착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의 장점은 보조 헤들 세트의 필요에 따라 보조 컴버 보드의 추가 및/또는 제거 및/또는 위치 조정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대안으로, 보조 컴버보드는 메인 컴버보드에 통합될 수 있는데, 즉, 모든 메인 및 보조 헤들은 단일 공통 컴버보드를 통과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보조 쉐딩 기구는 바람직하게는 별도의 구조로 되어 있고 다른 보조 쉐딩 기구의 액추에이터로부터 독립적인 작동을 생성하기 위해 독립적으로 제어될 수 있는 1 차 액추에이터(81) 및 2 차 액추에이터(82)를 포함한다. 각각의 액추에이터(81, 82)는 바람직하게는 전기 서보 모터이다. 구체적으로, 각각의 액추에이터(81, 82)는 바람직하게는 고정자(83) 및 전기 구동 및 제어하에, 회전자자에 대한 고정자의 전기적인 상호 작용에 의해 회전자에 대하여 회전구동하게 되는 액추에이터의 회전자 상에 장착되는 풀리(84)를 포함한다.
각각의 풀리(84)는 3 개의 각각의 보조 헤들을 구동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보조 하니스 코드, 바람직하게는 3 개의 하니스 코드를 구동한다. 3 개 이상의 보조 헤들이 보조기구의 각 액추에이터에 의해 구동되어, 아래에 설명 된 바와 같이 삽입된 씨실을 만족스럽게 클램핑하기 위해 상당한 보조 쉐드가 구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각 세트에 대해, 보조 헤들은 1 차 액추에이터(81)에 의해 구동되는 1차 보조 헤들 및 2차 액추에이터(82)에 의해 구동되는 2차 보조 헤들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도 4에서 좌측 보조 헤들(21)은 1 차 액추에이터 중 하나이며, 우측 보조 헤들(21)은 헤들 세트(21)의 2차 보조 헤들 중 하나이다. 각 세트에 대해, 1차 보조 헤들은 보조 쉐드의 1 차 측면, 예를 들어 쉐드의 상부를 형성하기 위한 1 차 왕복 운동에 따라 구동되며, 2차 보조 헤들은 보조 쉐드의 반대편, 예를 들어 쉐드의 하부를 형성하도록 2차 왕복 운동에 따라 구동된다. 2 차 왕복 운동은 1 차 왕복 운동과 반대이다. 1 차 및 2 차 보조 헤들은 두 개의 독립적인 액추에이터(81, 82)에 의해 구동되므로, 왕복 운동의 교차점은 필요에 따라 직조 중에 조정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각각의 보조 쉐딩 기구는 고정자와 풀리를 포함하는 단 하나의 액추에이터를 가질 수 있으며, 상기 풀리는 1 차 및 2 차 보조 헤들을 작동시킨다. 이 경우 교차점은 직조 중에 고정된 위치에 있다.
대안적으로, 보조 기구의 액추에이터에 의해 구동되는 제 1 보조 헤들에 의해 안내되는 제 1 보조 날실은 메인 날실과 함께 보조 쉐드를 형성 할 수 있어, 보조 날실은 삽입 수단이 클램핑 영역을 통하여 시실을 당긴 후에 클램핑 영역에서 씨실을 클램핑하기 위하여 메인 날실을 향해 이동 될 수 있다.
임의의 경우에, 직기(2)는 바람직하게는 적은 수의 액추에이터, 즉, 메인 쉐딩 기구의 메인 액추에이터, 및 보조 쉐딩 기구를 위한 더 많은 액추에이터를 포함한다.
보조 하니스의 각 코드는 하나 이상의 보조 헤들을 구동할 수 있으므로, 실제로는 더 많은 보조 헤들이 구동되지만, 각 액추에이터(81, 82)에 대해 세 개 미만의 코드가 구현될 수 있다. 보다 일반적으로, 3 개 이하의 보조 하니스 코드가 각각의 액추에이터(81, 82)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또한, 3 개 이하의 보조 헤들이 각각의 액추에이터(81, 82)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대안으로, 액추에이터(81 또는 82)의 풀리(84)는 보조 하니스 코드에 연결된 2 개 이상의 보조 헤들을 구동하는 보조 코드를 구동하여, 풀리는 유사한 왕복 운동으로 보조 날실을 안내하는 대응하는 보조 헤들의 세트를 구동한다. 예를 들어, 대표되지 않은 상부 플라스틱 커플링은 보조 헤들의 대응하는 인접한 상단부 쌍을 수용하는 2 개의 하우징을 포함한다.
대안으로, 두 개 이상의 보조 헤들이 그 아일릿 아래에서 비대표적인 커플링 수단, 예를 들어 보조 헤들의 대응하는 인접한 하부 말단을 수용 하기 위한 각각의 수직 수신 홈이 있은 하부 플라스틱 커플링 및 하나의 코드를 연결하는 홈에 연결되어, 유사한 반환 수단, 예를 들어, 강한 부하가 있는 반환 수단의 이점을 누릴 수 있다. 유리하게는, 코드는 매듭으로 하부 플라스틱 커플 링에 연결되어, 보조 헤들과 아일릿의 높이가 원하는 대로 설정될 수 있다.
헤들은 중량이나 탄성 수단과 같은 잘 알려진 반환 수단, 예를 들어, 기계 바닥의 고정 프레임에 연결된 수직 스프링을 사용하여 뒤로 당겨진다.
다른 대안으로, 두 개의 인접한 스프링은 대표되지 않은 하부 플라스틱 커플링에 연결된 단일 스프링으로 대체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기는 바람직하게 방향(Y1)에 평행하게 배향된 2 개의 거더(85 및 86)를 포함한다. 거더(85, 86)는 보조 하니스의 코드에 대한 최소 각도를 얻기 위해 바람직하게는 메인 하니스(16)에 가깝게 배치된다. 보다 정확하게는, 방향(Y1)에 평행하게, 거더(85 및 86)는 유리하게는 메인 하니스 폭(W11)에 대응하여 위치된다. 거더(85, 86)는 바람직하게는 메인 컴버 보드(17) 및/또는 보조 컴버 보드에 대해 Z1 방향으로 위치된다. 거더(85 및 86)는 유리하게는 선회 연결에 의해 직기(2)의 고정 부분에 연결되어, 유지 보수 또는 점검을 위해 거더(85 및 86)가 메인 하니스(16)로부터 멀리 선회될 수 있다.
각 보조 쉐딩 기구는 거더(85, 86) 중 하나에 의해 지지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구(25 및 35)은 거더(85)에 의해 지지되는 반면 기구(45)은 거더(86)에 의해 지지된다. 이러한 예에서, 거더는 각각 총 4 개의 보조 쉐딩 기구를 지지한다. 방향 Y1에 평행하게, 각 보조 쉐딩 기구는 관련 보조 쉐딩 기구에 의해 구동되는 보조 헤들에 의해 정의된 클램핑 영역과 대략 일치하게 배치되어, 보조 하니스의 코드에 대한 최소 각도를 얻는다.
직기(2)를 사용하면 각 보조 쉐딩 기구가 거더에 의해 고정적으로 지지된다. 직조 전에, 각 보조 쉐딩 기구의 위치는 씨실 축(Y90)에 평행한 쉐딩 기구의 위치를 조정하기 위해 지지 거더를 따라 조정될 수 있다. 또한 직조하기 전에 각 보조 쉐딩 기구를 거더에서 제거하거나 추가 보조 쉐딩 기구를 거더에 추가할 수 있다. 따라서 상응하는 보조 헤들 세트는 획득되는 직물에 따라 또는 직물을 작동하는 프로세스에 따라 편리하게 제거되거나 직기(2)에 추가될 수 있다. 따라서 보조 헤들 및 쉐딩 기구는 매우 다양하다. 또한 기존 직기에는 보조 쉐딩 기구가 용이하게 제공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2 개의 보조 쉐딩 기구(35 및 45)는 축(Y90)을 따라 대응하는 위치에서 2 개의 거더(85 및 86) 상에 각각 분포되어, 보조 컴버 보드(37)를 공유하고, 중첩된 클램핑 영역(W31 및 W41)을 정의할 수 있다. 도 3 및 5의 예에서, 8 개의 보조 쉐딩 기구는 씨실축(Y90)에 평행하게 분포된 4 쌍의 쉐딩 기구를 정의하며, 여기서 각 쌍에 대해, 보조 쉐딩 기구 중 하나는 거더(85)에 의해 지지되고, 다른 하나는 거더(86)에 의해 지지된다. 각 쌍에 대해, 한 쌍의 보조 쉐딩 기구를 구동하는 보조 헤들은 동일한 보조 컴버 보드를 공유하고, 중첩된 클램핑 영역을 정의한다. 따라서, 본 예에서는 4 개의 클램핑 영역만 정의될 수 있으며, 각 클램핑 영역은 2 개의 보조 헤들 세트와 연관된다. 이 원칙은 보조 헤들 세트의 수와 보조 쉐딩 기구에 관계없이 적용될 수 있다.
또는 모든 보조 흘림 기구를 지원하는 하나의 거더만 구현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2 개 이상의 거더가 그 위에 보조 쉐딩 기구의 임의의 적절한 분포로 구현될 수 있다.
직기(2)는 직물(1)을 직조하기 위해 메인 및 보조 날실의 개방된 메인 및 보조 쉐드에 씨실을 삽입 하기위한 단일 레이피어 시스템 또는 임의의 다른 적절한 삽입 수단(90)을 포함한다. 삽입 수단(90)은 직기(2)의 씨실 축(Y90)을 따라 위치한다. 본 예에서, 삽입 수단(90)은 도 5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레이피어(91)를 포함하는 단일 레이피어 시스템이되, 단일 레이피어 시스템의 경우, 단일 씨실이 각 픽에 삽입된다. 이중 또는 다중 레이피어의 경우, 여러 개의 새로운 씨실을 각 픽에 병렬로 삽입할 수 있다.
삽입 수단(90)은, 각각의 픽에서, 즉 각각의 직조 사이클에서, 직조(inwoven)될 새로운 씨실을 픽킹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새로운 씨실(100)이 씨실 전달 유닛(94)으로부터 픽킹된다. 씨실(100)는 씨실 축(Y90)을 따라 픽업 위치(P94)에서 픽킹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픽업 위치(P94)는 메인 하니스 폭(W11)으로부터 외부, 즉 방향 Y1에서 메인 날실(12)의 메인 쉐드(14) 옆에 위치한다. 씨실(100)를 픽킹하기 위해, 레이피어(91)에는 바람직하게는 도 5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터미널 클램프(92)가 제공된다.
씨실 전달 유닛(94)의 예가 도 1에 도시되고, 픽업 위치(P94)에서 피킹 될 새로운 씨실을 전달하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달 유닛(94)은 상이한 씨실 패키지를 포함하고, 각 씨실 패키지는 탄소, 케블라, 아라미드 또는 유리와 같은 주어진 유형의 강화 섬유를 갖는 씨실 또는 상이한 공칭 직경을 갖는 씨실을 포함한다. 이 경우, 씨실 전달 유닛(94)은 씨실 선택기를 포함하여 필요한 씨실을 각 픽에서 픽킹할 수 있다.
삽입 수단(90)은 씨실(100)의 전방 말단을 방향 Y1과 반대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축 Y90 주위에서 개방된 임의의 날실 쉐드를 통해, 씨실 축(Y90)을 따라 픽업 위치(P94)로부터 씨실(100)를 당기도록 구성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이피어(91)는 터미널 클램프(92)가 씨실(100)의 전방 끝을 잡고있는 방향 Y1과 반대 방향으로 당겨진다. 레이피어(91) 및 씨실(100)의 궤적은 축(Y90)을 따른다.
삽입 수단(90)은 픽업 위치(P94)와 동일한 측면에서 메인 하니스 폭(W11)의 외측에 축(Y90)을 따라 위치된 가위와 같은 절단 수단(93)을 포함한다. 연신(drawing) 중 또는 후에, 연신된 씨실(100)는 절단 수단(93)에 의해 적절한 길이로 절단된다. 연신된 씨실의 길이는 씨실 축(Y90)을 따라 레이피어(91)의 다른 위치에 대해 전달 유닛(94)에서 씨실(100)를 절단함으로써 변경될 수 있다.
연신 후, 삽입 수단(90)은 도 5에 도시된 위치(P91)과 같은 씨실 축 (Y90)을 따라 주어진 위치에서 씨실(100)를 해제한다. 이 해제된 주어진 위치(P91)에서, 연신된 씨실(100)는 전체적으로 메인 하니스 폭(W11) 내에 배열된다. 특히, 씨실(100)의 2 개의 씨실 단부는 메인 하니스 폭(W11) 내에 배열된다. 씨실(100)를 해제하기 위해, 터미널 클램프(92)가 개방된다. 씨실(100)를 해제하면 방향 Y1에 평행한 직물(1)에서 씨실(100)의 미래 위치가 결정된다.
픽킹, 연신 및 해제의 이러한 하위 단계는 씨실을 날실의 열린 쉐드에 삽입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직기(2)는 유리하게는 표시되지 않은 슬레이에 의해 작동되고 헤들과 클로오드 펠(3) 사이에서 움직일 수 있는 리드(95)를 포함한다. 도 4에서 리드(95)는 초기 위치에서 연속 선으로 표시되고, 박동 위치에서 파선으로 표시된다. 상기 리드(95)는 직물(1)에 대해 X1 방향을 따라 씨실(100)의 위치를 설정하기 위해, 각 픽의 끝에서 클로오드 펠(3)에 대해 삽입된 씨실(100)를 두들기도록 구성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물(1)의 각각의 픽 스택은 직조된 씨실 및 메인 날실(12)을 포함하고 보조 날실이 없는 메인 부분(111)을 포함한다. 즉, 보조 날실은 직물(1)의 메인 부분(111)에서 직조되지 않는다. 메인 부분(111)은 메인 헤들(11) 및 메인 쉐딩 기구(15)에 의해 직조된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은, 직물(1)의 픽 스택 중 적어도 일부에 대해, 직물(1)은 도 5에 도시된 클램핑 부분(112, 113 및 114)과 같은 클램핑 부분을 포함한다. 각 클램핑 부분은 메인 부분(111)에 인접하고, 클램핑 영역 중 하나 위에 형성된다. 예를 들어, 클램핑 부분(112)은 클램핑 영역(W21)에 형성되고, 클램핑 부분(113)은 클램핑 영역(W31)에 형성되고, 클램핑 부분(114)은 클램핑 영역(W41)에 형성된다. 각각의 클램핑 부분은 직조 된 씨실 말단 및 보조 날실을 포함하고, 바람직하게는 메인 날실이 없다. 특히, 클램핑 부분(112)은 헤들(21) 및 기구(25)에 의해 보조 날실(22)로 직조되고, 클램핑 부분(113)은 원사(32), 헤들(31) 및 기구(35)로써 직조되는 반면, 부분(114)은 원사(42), 헤들(41) 및 기구(45)로써 직조된다.
각 클램핑 부분은 상기 말단 또는 말단이 메인 하니스 폭(W11)의 말단에 도달하지 않을 때, 하나의 씨실 또는 여러 연속 씨실의 말단에 형성된다. 즉, 상기 씨실의 적어도 하나의 말단에 대해 해당 씨실이 메인 하니스 폭보다 짧을 때, 클램핑 부분이 형성된다. 상기 씨실의 다른 말단이 메인 하니스 폭(W11)의 다른 말단에 도달하면, 메인 부분(111)의 말단에 클램핑 부분이 형성되지 않는다. 각 클램핑 부분은 단 하나의 층 또는 여러 개의 연속적인 층에 대해 형성되되, 씨실 말단은 축(Y90)을 따라, 즉 동일한 클램핑 영역 내에서 동일한 위치에 위치한다. 하나의 클램핑 부분은 씨실 축 Y90을 따라 동일한 위치에 위치한 연속적인 씨실의 여러 말단을 재편성할 수 있다.
2 개의 클램핑 부분을 포함하는 각 층에서, 메인 부분(111)은 클램핑 부분을 넘어 연장되지 않고 클램핑 부분 사이에서만 연장된다. 예를 들어, 층(L0)에서, 클램핑 부분(112, 113)은 메인 부분(111)의 양측에 직조되어 있고, 메인 부분(111)은 클램핑 부분(112, 113) 사이에서만 연장된다.
단 하나의 클램핑 부분을 포함하는 각 층에서, 메인 부분(111)은 메인 하니스 폭(W11)의 타단까지 연장된다. 예를 들어, 클램핑 부분(115)은 층(L2)의 좌측 단부를 형성하고, 메인 부분(111)은 클램핑 부분(115)으로부터 층(L2)의 반대쪽 단부로 연장되며, 상기 반대 단부는 메인 하니스 폭(W11)의 단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있다.
씨실이 하니스 폭(W11)과 동일한 길이를 갖는 각 층에서, 클램핑 부분이 제공되지 않고, 메인 부분이 해당 층의 한쪽 끝에서 다른 쪽 끝으로 연장된다.
바람직하게는, 동일한 클램핑 영역에서 중복되거나 중첩되지만 보조 헤들(31 및 41)과 같이 방향 Z1에 대한 직물(1)의 대향 측면에 관한 두 클램핑 부품과 관련된 보조 헤들은 동일한 보조 컴버 보드를 통해, 예를 들어 컴버보드(37)을 통해 호스팅된다. 바람직하게는, 기구(25 및 35)과 같은 직물(1)의 상부 측의 클램핑 부분에 전용된 보조 쉐딩 기구는 상부 거더(85)에 의해 지지되는 반면, 기구(45)과 같은 직물(1)의 하부 측의 클램핑 부분에 전용되는 보조 쉐딩 기구는 하부 거더(86)에 의해 지지된다.
클램핑 부분은 메인 쉐딩 기구와는 별도로 보조 헤들 및 쉐딩 기구 덕분에 직조되기 때문에, 다른 유형의 원사, 다른 직조 패턴 및/또는 클램핑 부품에 대한 다른 직조 매개 변수를 메인 부품보다 쉽게 선택할 수 있다. 유리하게는, 메인 날실의 클램핑 기능을 최적화하기 위한 보조 날실로서 저렴한 폴리 프로필렌 원사가 메인 날실로서만 사용되는 고가의 탄소 날실 물질을 사용하는 것을 대신하여 사용될 수 있다.
직기(2)는 다층 직물(1)을 짜는 방법을 실행할 수 있게 한다.
직기(2)는 여러 연속 픽을 구현하도록 구성되며, 각 픽은 직물(1)에 추가 씨실을 짜는 것에 해당한다.
연속 픽 중에서 직기(2)는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제 1 픽"으로 지정된 픽을 구현하도록 구성된다.
메인 헤들(11)과 보조 헤들(21, 31)의 이동 프로파일은 도 6에 도시되어 있다.
도 6에서, 수평축은 메인 쉐딩 기구 15의 메인 샤프트의 회전 각도
Figure pat00001
θ를 나타낸다. 단일 픽 동안, 메인 샤프트는 제 1 픽의 시작인 0°(도)로부터 제 1 픽의 끝부분인 360˚까지 1 회전한다. 도 6은 왼쪽의 제 1 픽을 포함하여 두 개의 전체적으로 연속적인 픽을 도시한다.
도 6에서, 수직 축은 방향 Z1에 평행한 관련 헤들의 위치 Z를 나타내며, 여기서 0은 교차점 위치를 나타낸다.
도 6에서, 곡선(G11)은 메인 헤들(11)을 나타낸다. 곡선(G21)은 보조 헤들(21)을 나타낸다. 곡선(G31)은 보조 헤들(31)을 나타낸다. 라인(G100)은 삽입 수단(90)에 의해 쉐드 내부로 씨실(100)이 삽입되는 것을 나타낸다. 선 G100의 시작은 삽입 수단이 씨실(100)를 막 픽킹한 시간을 나낸다. 선 G100의 두께는 씨실(100)를 고정하기 위한 보조 쉐드의 구성을 상징적으로 나타낸다. 선 G100의 끝은 픽의 끝을 나타낸다.
"IV"기호는 도 4 및 도 5의 평면도에 해당하는 타이밍을 나타낸다.
보조 헤들(21, 31)은 축(Y90)에 분포되어 클램핑 영역(W21)은 클램핑 영역(W31)과 픽업 위치(P94) 사이에 배열된다. 이들 2 개의 클램핑 영역(W21 및 W31)은 축(Y90)을 따라 분리되어, 여러 개의 메인 날실(12) 및 대응하는 메인 헤들(11)이 헤들(21)에 의해 이동되는 보조 날실(22)과 헤들(31)에 의해 이동되는 보조 날실(32) 사이에 배열된다.
도 6의 곡선 G11로 도시된 바와 같이, θ = 0°에서 시작되는 초기 단계 S1 동안, 메인 쉐드(14)는 메인 쉐딩 기구(15)에 의해 이동되는 메인 헤들(11)에 의해 개방된다. 메인 쉐드(14)의 개구는 θ = 180°에서 최대로 된다. 도 6의 기준(S1)은 단계 S1의 시작 시간을 나타낸다.
다른 단계(S6)에서, 단계(S1)에 이어, 여기서 θ = 180°에서 시작되고, 메인 쉐드(14)는 메인 쉐딩 기구(15)에 의해 이동되는 메인 헤들(11)에 의해 폐쇄된다. 메인 쉐드(14)의 폐쇄는 θ = 360°에서 달성된다. 메인 헤들(11)의 개방 및 폐쇄 프로파일은 바람직하게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벨 프로파일, 즉 사인 곡선 프로파일이다.
도 6의 곡선 G21에 의해 도시된 바와 같이, θ = 0°에서 시작된 단계 S1 동안, 보조 쉐드(24)는 대응하는 보조 쉐딩 기구(25)에 의해 이동된 보조 헤들(21)에 의해 개방된다. 보조 쉐드(24)의 개방은 약 θ = 180°이전에 차단된다. 여기서, 보조 쉐드(24)의 개방은 대략 θ = 120°에서 차단된다. 이 값은 씨실 축(Y90)을 따라 클램핑 영역(W21)의 위치에 따라 달라진다. 클램핑 영역(W21)이 픽업 위치(P94)에 가까울수록, 헤들(21)의 개방을 차단하는 각도가 더 작아진다. 단계(S1)에 이어 단계(S6) 이전에 실행되는 다른 단계(S4)에서, 여기서는 θ = 120°에서 시작하는 단계에서, 보조 쉐드(24)는 관련 보조 쉐딩 기구(25)에 의해 이동되는 보조 헤들(21)에 의해 폐쇄된다. 보조 쉐드(24)의 폐쇄는 메인 헤들(11)이 메인 쉐드(14)의 폐쇄를 달성하기 전에 또는 심지어 메인 헤들(11)이 메인 쉐드(14)의 폐쇄를 시작하기 전에 달성된다.
도 6의 곡선 G31에 의해 도시된 바와 같이, θ = 0°에서 시작되는 단계(S7) 동안, 보조 날실(32)의 보조 쉐드는 해당 보조 쉐딩 기구(35)에 의해 이동된 보조 헤들(31)에 의해 개방된다. 이 보조 쉐드는 θ = 180° 전에 중단된다. 여기에서 이러한 보조 쉐드의 개방은 대략 θ = 160°에서 차단된다. 이 값은 씨실 축(Y90)을 따라 클램핑 영역(W31)의 위치에 따라 달라진다. 클램핑 영역(W31)이 픽업 위치(P94)에 가까울수록 개방을 차단하는 각도가 작아진다. 단계(S7)에 계속되지만 단계(S6) 이전에 실행되는 단계(S9), 여기서 θ = 160°에서 시작되는 단계에서, 이러한 보조 쉐드는 관련 보조 쉐딩 기구(35)에 의해 이동되는 보조 헤들(31)에 의해 폐쇄된다. 이러한 보조 쉐드의 폐쇄는 메인 헤들(11)이 메인 쉐드(14)의 폐쇄를 달성하기 전에 또는 메인 헤들(11)이 메인 쉐드(14)의 폐쇄를 시작하기 전에 달성된다. 보조 날실(32)의 보조 쉐드의 폐쇄는 날실(22)의 보조 쉐드(24)의 폐쇄 후에 달성된다. 대안적으로 보조 쉐드의 개방 또는 폐쇄는 180° 후에 발생한다.
액추에이터(81 및 82)를 포함하여 위에서 정의된 보조 쉐딩 기구는 도 6에 표시된 보조 쉐드의 개폐 프로파일이 링 벨 프로파일과 다를 수 있게 한다. 따라서, 보조 헤들에 의한 보조 쉐드의 폐쇄는 특히 메인 헤들에 의해 메인 쉐드가 폐쇄되기 전에 원하는 타이밍에 달성될 수 있다. 보조 쉐드를 닫는다는 것은 두 개의 보조 날실을 교차점에 가깝게 접근, 구동 또는 당기는 것을 의미한다. 보조 쉐드 내에 씨실이 있으면 씨실이 고정된다. 씨실의 두께에 따라, 쉐드는 씨실 주위에서 약간 열려있어, 쉐드가 "반 폐쇄"상태가 된다. 용어 "폐쇄"는 그러한 약간의 개방 또는 반 개방 구성을 포함하도록 의도된다.
전술한 단계(S1, S4, S6, S7 및 S9) 동안, 다른 보조 헤들은 층(L0)의 직조를 방해하지 않도록 폐쇄되고 교차점에서 멀리 떨어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도 6의 곡선 G4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 헤들(41)은 메인 쉐드(14)가 완전히 개방될 때 하부 메인 헤들(11)의 최대 위치보다 낮은 하단 위치에 위치하여, 대응하는 보조 쉐드는 메인 쉐드(14) 하에서 페쇄되고 위치된다. 클램핑 부분(115)을 형성하기 위한 것과 같은 다른 보조 헤들이 제공되는 경우, 곡선(G51)에 의해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쉐드(14)가 완전 개방되어 있을 때 상부 메인 헤들(11)의 최대 위치보다 높게 위치될 수도 있다.
헤들 및 쉐딩 기구에 의한 단계(S1, S4, S6, S7 및 S9)의 실행과 병행하여, 삽입 수단(90)은 픽업 위치(P94)에서 씨실(100)를 픽킹하는 단계(S2)를 실행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이러한 단계(S2)는 바람직하게는 100°에서 시작된다.
단계(S2)는 바람직하게는 전달 유닛(94)의 씨실 선택기에 의해 필요한 씨실 패키지를 선택하는 단계가 선행되고, 여기서 씨실(100)이 선택된다. 일 실시예에서, 일단 쉐드가 헤들에 의해 충분히 개방되면, 레이피어(91)는 픽업 위치(P94)에 도달하기 위해 단계 S1 이후 및 단계 S2 전에 씨실 축(Y90)을 따라 삽입 수단(90)의 액추에이터에 의해 신속하게 이동된다. 그 다음 단계(S2)는 픽킹, 즉 터미널 클램프(92)에 의한 씨실(100)의 픽킹하는 것을 포함한다. 픽킹하는 단계(S2)는 헤들(21)이 개방되기 약간 전에, 즉 단계(S4)가 시작되기 전에 달성된다.
픽킹하는 단계(S2) 직후, 삽입 수단(90)은 씨실 축(Y90)을 따라 방향(Y1)과 반대 방향으로 피킹된 씨실(100)를 연신(drawing)하는 단계(S3)를 시작한다. 이를 위해, 예를 들어, 레이피어(91)는 방향(Y1)과 반대 방향으로 상기 액추에이터에 의해 당겨지고, 따라서 터미널 클램프(92)에 걸린 말단부에 의해 씨실(100)이 당겨진다.
연신하는 동안, 씨실(100)는 먼저 클램핑 영역(W21)을 통과하게 되는데 즉, 헤들(21)에 의해 개방된 보조 날실(22)의 보조 쉐드(24)에 삽입된다. 씨실(100)가 보조 쉐드(24)을 통과하는 동안, 쉐드(24)의 폐쇄 단계(S4)가 시작되어, 씨실(100)의 선단과 레이피어(91)가 클램핑 영역(W21)에서 벗어나 자마자 보조 쉐드(24)가 폐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보조 쉐드(24)의 폐쇄는 메인 쉐드(14)의 폐쇄 이전과 씨실(100)가 완전히 연신되기 전에 작동되어, 클램핑, 즉 클램핑 영역(W21)에서 씨실(100)의 병진 운동을 보조 날실(22)로써 안내하게 된다. 클램핑되는 씨실(100)은 연신되는 동안 정밀하게 안내되고 위치된다. 즉, 씨실은 메인 쉐드가 열려있는 동안 또는 쉐드가 닫히기 전에 고정된다. 즉, 씨실은 메인 쉐드가 닫히기 전에 제자리에서 안정화된다. 즉, 보조 날실(22)의 보조 쉐드(24)은 픽 과정에서 메인 날실(12)의 움직임을 예상하고, 메인 날실 처럼, 삽입 수단이 씨실을 풀고 나서 일정 시간이 지나면 메인 날실이 메인 쉐드를 닫을 것인데, 이는 직물(1) 내에서 삽입된 씨실의 신뢰할 수 있은 위치를 얻는데 유리하다. 즉, 삽입된 씨실은 클램핑 영역의 보조 날실 덕분에 직물에서 늘어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보조 날실(22)의 장력은 장력 보조 날실(22)로 씨실(100)를 더 강하게 클램핑하기 위해 보조 쉐드(24)이 작동되는 동안 증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장력의 증가는 천 빔(cloth beam)을 통하여, 또는 프로그램되는 추가적인 기구를 통하여 날실 전달 수단을 통해 얻을 수 있다.
씨실(100)을 연신하는 단계(S3)는 보조 쉐드(24)이 폐쇄됨에 따라 계속되어, 씨실(100)이 클램핑 영역(W21, W31) 사이의 개방된 메인 쉐드(14)를 통해 삽입되고, 보조 날실(22)에 의해 클램핑 된다. 즉, 보조 쉐딩 기구(25)는 삽입 수단(90)이 제 1 클램핑 영역(W21)을 통해 제 1 씨실(100)를 연신한 후에 삽입 수단(90)이 여전히 씨실을 개방된 메인 쉐드(14) 내부로 당기는 동안 보조 날실(22)로써 씨실(100)를 클램핑 하기 위한 보조 쉐드(24)를 폐쇄한다.
바람직하게는, 보조 쉐딩 기구(25)는 씨실(100)가 클램핑 영역(W31)을 통해 당겨지는 동안 씨실(100)이 클램핑 영역(W21)에 클램핑되도록 보조 쉐드(24)를 폐쇄하도록 구성된다.
씨실(100)의 전방 단부가 클램핑 영역(W31)에 도달하면, 보조 날실(32)의 제 2 보조 쉐드가 개방된다. 그리고, 연신하는 단계(S3)는 클램핑 영역(W31)의 제 2 보조 쉐드로 씨실(100)을 연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씨실(100)이 보조사(32)의 보조사(32)의 보조 쉐드를 통과하는 동안 또는 통과하기 전에, 상기 보조 쉐드를 폐쇄하는 단계(S9)가 시작되어, 보조사(32)의 보조 쉐드는 바람직하게는 씨실(100)의 앞쪽 끝 부분 및 따라서 레이피어(91)가 클램핑 영역(W31)으로부터 벗어나자 마자 폐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단계(S9)는 도 4 및 도 5의 상부에 도시되어 있다. 따라서, 보조 날실(32)의 보조 쉐드의 폐쇄는 메인 쉐드(14)의 폐쇄가 달성되기 전 또는 심지어 시작되기 전, 그리고 씨실(100)이 완전이 연신되기 이전에 작동되어, 클램핑하기 위해, 즉 보조 날실(32)로 클램핑 영역(W31)에서 씨실(100)의 병진 운동을 안내하게 된다. 씨실(100)은 양쪽 말단에서 클램핑되고, 연신되는 동안 정확하게 안내되고 위치된다. 클램핑 영역(W21)에서 보조 쉐드의 폐쇄는 레이피어가 클램핑 영역에서 빠져나가기 약간 전에 발생할 수 있으므로, 터미널 클램프가 클램핑 영역에서 빠져나가자 마자 보조 날실이 씨실을 클램핑 할 수 있다.
피킹(S2) 후, 바람직하게는 연신하는 단계(S3) 동안, 씨실(100)를 절단하는 단계(S8)는 절단 수단(93)에 의해 작동된다. 씨실(100)이 클램핑 영역(W21)으로부터 클램핑 영역(W31)까지 연장되는 거리, 즉 메인 하니스 폭(W11)보다 짧은 길이와 동일한 주어진 길이가 되도록 절단이 작동된다. 따라서, 일단 두 클램핑 영역(W21 및 W31)을 통해 당겨지면, 씨실(100)의 각 말단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램핑 영역(W21 및 W31) 중 하나에 위치한다. 씨실(100)은 바람직하게는 연장되지 않거나 클램핑 영역(W21, W31)을 넘어서 약간만 연장된다. 따라서 씨실의 경제성이 얻어진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씨실(100)은 클램핑 영역(W21 및 W31)의 양쪽 말단에서 클램핑되기 때문에 정밀하고 정확하게 위치된다.
대안적으로, 씨실은 미리 정해진 길이로 절단되어 연신 단계 전에 매거진에 저장될 수 있다.
연신하는 단계(S3)가 완료되고, 씨실(100)이 씨실 축(Y90)을 따라 필요한 위치에 있으면, 즉 씨실(100)의 앞쪽 끝이 위치(P91)에 있으면, 삽입 수단(90)은 단계 S5에서, 메인 쉐드(14)는 S6에서 닫히기 시작하지만 메인 쉐드(14)가 완전히 닫히기 전에 바람직하게는 씨실(100)를 해제한다. 해제는 보조 날실(32)의 보조 쉐드가 완전히 닫힌 후에 작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따라서 씨실(100)이 영역(W31)에 클램핑 된다. 이를 위해, 터미널 클램프(92)가 개방된다. 해제하는 단계(S5) 이후 메인 쉐드(14)가 완전히 폐쇄되기 전에, 삽입 수단(90)은, 예를 들어 레이피어(91)가 메인 하니스 폭(W11)으로부터 완전히 외부에 있을 때까지 레이피어(91)를 방향(Y1)로 당김으로써 메인 하니스 폭(W11)으로부터 인출된다.
씨실(100)은 삽입 수단(90)이 인출된 이후 및 메인 쉐드(14)가 완전히 폐쇄되기 전에 리드(95)에 의해 두들겨진다.
제 1 픽의 끝에서 클램핑 부분(112)이 클램핑 영역(W21)에 형성되고, 클램핑 부분(113)이 영역(W31)에 형성되고, 메인 부분(111)의 일부가 층(L0)의 부분(112, 113) 사이에 형성된다.
그 다음, 동일한 패턴에 따른 연속적인 픽이 도 5에 도시된 층(L1)과 같은 연속적인 층에 대해 그리고 동일한 픽 스택 또는 연속적인 픽 스택에 대해 삽입될 다른 씨실로 실행될 수 있다. 형성될 층이 두 개의 클램핑 부분을 포함하는 경우, 두 세트의 보조 헤들은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연속적으로 열리고 닫히며, 다른 보조 헤들은 멀리 배치된다. 상기 층이 도 5의 층(L2)의 클램핑 부분(115)과 같이 하나의 클램핑 부분만 포함해야 하는 경우, 한 세트의 보조 헤들만 연속적으로 열리고 닫히며, 다른 보조 헤들은 멀리 배치된다. 상기 층에 클램핑 부품이 없는 경우(예: 층(L3)), 모든 보조 헤들은 멀리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층(L0)과 동일한 픽 스택의 층(L1)을 직조하고 층(L0)에 바로 연속적으로 직조하기 위해, 바로 연속적인 픽이 유리하게는 "제 2 픽"으로 지정된 제 1 픽 이후에 실행된다. 제 2 픽은 θ = 360°에서 θ = 720°까지 도 6에 나와 있다. 도 6에서, 선(G101)은 씨실(100)를 쉐드에 삽입하는 것을 나타낸다. 제 2 선택은 제 1 픽 중에 실행되는 단계와 유사한 단계로 구성되며 아래에 요약된다.
상기 제 2 픽은 메인 쉐드(14)를 개방하는 단계(S10)를 포함한다. 메인 쉐드(14)는 제 1 픽과 다른 패턴으로 개방되어 층(L1)의 씨실(101)이 씨실(100) 아래의 동일한 픽 스택에 삽입될 수 있다. 보다 정확하게는, 메인 쉐드(14)가 씨실(100) 아래에서 개방된다. 따라서, 직물(1)의 메인 부분(111)에서 씨실(100 및 101)은 층(L0 및 L1)을 한정하는 메인 날실(12)에 의해 분리된다.
단계(S10)는 또한 보조 헤들(21, 31)에 의해 보조 날실(22 및 32)의 보조 쉐드를 개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 2 픽은 단계(S11)를 포함하며, 삽입 수단(90)은 단계(S10)의 시작 이후에 삽입 수단이 쉐드를 통과한 후 삽입 수단(90)이 픽업 위치(P94)에서 제 2 씨실(101)를 픽킹하고, 상기 제 2 픽은 단계(S12)를 포함하되, 여기서 삽입 수단(90)은 씨실(101)를 픽업 위치(P94)로부터 메인 쉐드로 그리고 다시 재개방된 보조 날실(22, 32)의 2 개의 보조 쉐드로 끌어 당긴다. 단계(S13)에서, 보조 날실(22)의 보조 쉐드는 씨실(101)이 클램핑 영역(W21)을 통과한 이후 그리고 씨실(101)이 여전히 연신되는 동안에, 바람직하게는 씨실(101)가 제 2 클램핑 영역(W31)에 도달하기 전에, 보조 헤들(21)에 의해 폐쇄된다. 이때, 메인 쉐드는 아직 개방되어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메인 쉐드가 부분적으로 열려 있도록 닫히기 시작할 수 있다. 단계(S13')에서, 씨실(101)가 클램핑 영역(W31)을 통과한 후, 보조 날실(32)의 보조 쉐드는 보조 헤들(31)에 의해 폐쇄된다. 이때, 메인 쉐드는 아직 열려 있다. 대안적으로, 메인 쉐드가 여전히 부분적으로 열려 있도록 폐쇄되지 시작할 수 있다. 메인 쉐드는 단계(S15)에서, 바람직하게는 두 개의 보조 쉐드를 완전히 닫은 후 닫히기 시작하고 θ = 720°에서 폐쇄된다. 메인 쉐드가 폐쇄되기 이전 그리고 보조 쉐드가 폐쇄된 후, 제 2 픽은 씨실(101)가 축(Y90)을 따라 주어진 위치에 도달할 때, 삽입 수단(90)이 제 2 씨실(101)를 해제하는 단계(S14)를 포함한다. 씨실(101)을 삽입한 후, 씨실(101)은 씨실(100)과 동일한 픽 스택에서 클로오드 펠(3)으로 가져오도록 리드(95)에 의해 두들겨진다.
예시된 예에서, 씨실(100 및 101)의 각각의 제 1 말단이 모두 클램핑 부분(112)에 걸리고, 각각의 씨실(100, 101)의 제 2 말단이 모두 직물(1)의 클램핑 부분(113)에 걸리게 되도록 하기 위하여, 제 2 픽은 아래에 따라 제 1 픽과 상이하다. 아래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제 1 픽과 제 2 픽은 보조 쉐드가 제 1 픽의 끝에서 풀리고 제 2 픽의 끝에서 교차한다는 점에서 서로 다르다.
단계(S10)에서, 제 1 픽 동안 씨실(100) 주위에 교차된 보조 날실을 가로 지르지 않도록 날실(22, 32)의 보조 쉐드를 개방하여, 씨실(100)은 제 1 층에서 바인딩되는 보조 날실로부터 일시적으로 해방된다. 즉, 1 차 및 2 차 보조 날실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1 차 픽에서 2 차 픽으로 반전되지 않는다. 그러나, 씨실(100)는 바람직하게는 전체 제 2 픽 동안 층(L0)의 메인 날실(12)에 의해 직물(1) 내에 직조된 상태로 유지되며, 제 1 픽 동안 씨실(100) 주위에 교차된 메인 날실(12) 중 적어도 일부는 제 2 픽에서도 교차한 상태로 남게 된다. 씨실(101)을 삽입한 후, 리드(95)는 씨실(101)를 씨실(100)에 대해 두들긴다. 따라서, 클램핑 부분(112, 113)에서는 도 5에 도시된 동일한 픽 스택에 함께 쌓인 씨실(100, 101)를 분리하는 보조 날실이 없다. 따라서 동일한 클램핑 부분(112 및 113)이 서로 다른 층 및 동일한 픽 스택의 2 개의 씨실의 말단부를 클램핑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는 씨실(100 및 101)의 해당 말단부가 동일한 클램핑 영역, 예를 들어 클램핑 영역(W21)에 위치되는 경우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층(L0 및 L1)의 중첩된 제 1 씨실(100) 및 제 2 씨실(101)이 보이는 도 5의 단면에서 층(L3)을 직조하기 위해, 위에서 언급 한 제 1 픽 및 제 2 픽에 이어 "중간 픽"으로 지칭되는 다른 픽이 실행된다.
이 중간 픽은, 단계(S16)에서, 메인 쉐딩 기구(15)에 의해 이동 된 메인 헤들(11)에 의한 메인 쉐드(14)의 개방을 포함한다. 이러한 개방은 이미 직조된 씨실(100)이 새롭게 개방된 메인 쉐드(14) 위에 위치하는 방식으로 수행된다. 이를 위해, 중간 픽에서 열린 메인 쉐드(14)는 제 1 및 제 2 픽을 포함하여 동일한 픽 스택에 대해 실행된 이전 픽에서 와는 다른 모양을 갖는다. 예를 들어, 층(L1)에서 씨실(101)를 포착하는 모든 메인 날실(12)은 메인 헤들(11)에 의해 위로 이동되어, 씨실(100, 101)를 언바인딩 하지 않고서 이들 메인 날실(12) 아래에서 메인 쉐드(14)가 개방된다. 중간 픽 동안, 단계(S20)에서, 메인 쉐딩 기구(15)에 의해 이동된 메인 헤들(11)은 메인 쉐드(14)를 폐쇄하여, 중간 픽의 끝에서 메인 쉐드가 완전히 폐쇄된다.
층(L3)에는 클램핑 부품이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모든 보조 쉐드는 중간 픽 중에 폐쇄된다. 특히, 층(L3)이 보조 헤들(21, 31)과 관련된 층(L0 및/또는 L1) 아래에 배열되고 층(L3)이 이러한 보조 헤들과 관련이 없기 때문에, 이러한 모든 보조 헤들은 씨실 축(Y90)으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게 되는데, 즉 씨실 축(Y90) 위에 유지된다. 특히, 층(L3)이 보조 헤들(41)과 관련된 층(L7) 위에 배열되고 층(L3)이 이러한 보조 헤들(41)과 관련되지 않기 때문에, 이러한 모든 보조 헤들은 씨실 축(Y90)으로부터 멀어지는데, 즉, 씨실 축(Y90) 아래에 유지된다. 보다 일반적으로, 층(L7) 아래의 층에 전용되는 모든 보조 헤들은 중간 픽 동안 또는 연속적인 중간 픽 동안 씨실 축(Y90) 아래에 유지된다.
단계(S17)은 메인 쉐드(14)가 개방되기 시작한 후에 픽업 위치(P94)에서 "중간 씨실"로 지칭된 씨실(102)를 픽킹하는 것을 포함하되 삽입 수단(90)에 의해 실행된다. 추가 단계(S18)에서, 삽입 수단(90)에 의해, 중간 씨실(102)은 픽업 위치(P94)로부터 개방된 메인 쉐드(14)로 씨실 축(Y90)을 따라 연신된다. 씨실(102)의 전방 말단이 메인 하니스 너비 W11의 반대쪽 끝에 도달할 때까지 연신이 실행된다. 임의의 지점에서, 씨실(102)은 씨실(102)이 메인 하니스 폭(W11)과 동일한 길이를 갖도록 절단된다. 씨실(102)이 씨실 축(Y90)을 따라 필요한 위치에 도달하면, 삽입 수단(90)은 단계(S19)에서 씨실(102)을 해제한다. 삽입 수단(90)을 빼낸 후, 메인 쉐드(14)가 완전히 폐쇄되기 전에 씨실(102)이 두들겨진다.
중간 픽의 끝에서, 씨실(100, 101 및 102)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일한 픽 스택에서 중첩되고, 각각 층(L0, L1 및 L3)의 직물(1)의 상이한 층에 위치한다. 층(L3)에서, 이러한 픽 스택에서 클램핑 부분이 형성되지 않고 메인 부분(111)이 전체 하니스 폭(W11)을 차지한다.
전술한 중간 픽과 유사한 중간 픽이 동일한 패턴에 따라 층을 짜기 위해 구현될 수 있는데, 여기서 중간 씨실은 동일한 픽 스택에서 씨실(100) 아래가 아니라 씨실(100) 위에 중첩될 것이다. 이 경우, 중간 픽 동안에, 단계(S16)에서 메인 쉐드(14)가 개방되어 씨실(100)이 메인 쉐드(14) 위가 아닌 메인 쉐드(14) 아래에 위치하게 된다.
층(L0)에 대한 제 1 픽 이후에, 씨실(103)의 직조에 의해 동일한 픽 스택에 층(L7)을 형성 하기 위한 층(L3)에 대한 중간 픽, 제 3 픽이 구현될 수 있다.
제 3 픽은 단계 S21에서, 메인 헤들(11)에 의한 메인 쉐드(14)의 개방 및 클램핑 부분(114, 116)을 형성하기 위하여 보조 헤들(41)에 의한 보조 날실(42)의 보조 쉐드를 포함하는 2 개의 보조 쉐드의 개방을 포함한다. 이러한 메인 및 보조 쉐드는 중간 씨실(102)이 씨실(100 및 101)과 개방 쉐드 사이에 위치하도록 개방되어, 씨실(103)이 직조되면 씨실(102)은 씨실(101)과 씨실(103) 사이에 위치하며, 씨실(100, 101, 102 및 103)은 동일한 픽 스택에 중첩된다. 단계(S22)에서, 삽입 수단(90)은 픽업 위치(P94)에서 씨실(103)를 픽킹한다. 단계(S23)에서, 삽입 수단(90)은 씨실(103)을 픽업 위치(P94)로부터 메인 및 보조 쉐드로 연신한다. 연신하는 동안, 각 보조 쉐드는 연신된 씨실(103)를 통과한 후 메인 쉐드(14)이 폐쇄되기 전에 폐쇄된다. 특히, 원사(42)의 보조 쉐드는 삽입 수단(90)이 클램핑 영역(W41)을 통하여 씨실(103)을 연신한 이후에 메인 쉐드(14)가 여전히 개방되어 있는 동안에 씨실(103)을 클램핑 영역(W41)에서 보조 날실(42)로 클램핑하기 위하여 보조 쉐딩 기구(45)에 의해 이동된 제 3 보조 헤들(41)에 의해 폐쇄된다. 씨실(103)이 씨실 축(Y90)을 따라 필요한 위치에 도달하면, 두 보조 쉐드의 폐쇄 후, 삽입 수단(90)은 단계(S25)에서 씨실(103)를 해제한다. 제 1 및 제 2 보조 쉐드의 폐쇄는 레이피어(91)의 통로, 특히 터미널 클램프(92)의 통로에 대응한다. 보조 날실에 대한 클램핑 작동은 레이피어 축을 따라 터미널 클램프(92)의 위치를 따른다. 픽이 끝나면 메인 쉐드(14)가 폐쇄된다. 완성된 직물(1)에서, 도 5의 하단에 도시된 바와 같이, 씨실(100, 101, 102 및 103)는 씨실(100, 101, 102 및 103)이 씨실(100)와 씨실(103) 사이에 씨실(102)와 함께 동일한 픽 스택에 중첩된다.
일 실시예에서, 중간 픽 또는 임의의 다른 픽과 같은 픽 중 하나에서, 상기 방법은 보조 쉐드(24)을 개방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러한 픽의 삽입된 씨실, 예를 들어 중간 씨실(102)은 삽입 수단에 의해 보조 쉐드(24) 내부로 삽입된다. 이 경우, 씨실(100 및 102) 모두는 보조 날실(22)에 의해 분리되거나 분리되지 않고 직물(1)의 동일한 클램핑 부분에 직조될 것이다. 이것은 도 5에 도시된 층(L5 및 L6)의 경우인데, 여기서 층(L5)의 씨실 및 층(L6)의 씨실은 둘 다 클램핑 부분(116)에서 직조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방법은 날실(42)의 보조 쉐드를 개방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씨실(102)은 삽입 수단(90)에 의해 날실(42)의 보조 쉐드에 삽입된다. 이 경우, 층(L7)의 씨실과 씨실(102)은 직물(1)의 동일한 클램핑 부분에 직조된다.
직물(1)이 완성되거나 적어도 부분적으로 완성될 때, 클램핑 부분은 망사에 유사한 프리폼을 쉽게 얻기 위해 메인 부분(111)에서 절단될 수 있다. 따라서, 직물(1)의 메인 부분(111)의 최종 구조 및 형상은 메인 부분(111)의 제조에 도움이 되는 클램핑 부분과 독립적으로 설계될 수 있다.
도 7-12의 실시예로 돌아가서, 기술적 다층 직물(201)이 도 1 내지 도 6의 실시예 중 하나와 유사한 직기로 직조되고 있다. 도 1 내지 도 6의 실시예에서와 유사한 특징을 지정하기 위해 동일한 용어가 사용된다. 이 특정 실시예에서, 직기(2)는 삽입 수단(90)으로서 단일 레이피어 시스템 대신 이중 레이피어 시스템을 가지며, 따라서 직물(201)의 양쪽에 동일한 픽 스택에 대해 2 개의 중첩된 씨실이 각각의 픽에 삽입될 수 있다. 그러나, 도 7 내지 도 12에 대해 개시된 방법은 도 1 내지 도 6에서와 마찬가지로 각 픽에 단 하나의 씨실만 삽입되는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물(201)은 직조된 씨실 및 날실을 포함한다. 단순화를 위해 씨실과 날실 중 일부만 표시된다. 직물(201)은 직조 된 메인 날실 및 씨실을 포함하는 메인 부분(311)을 포함한다. 직물(201)은 또한 부직 씨실 및 보조 날실(322)을 포함하는 클램핑 부분(312), 및 부직 씨실 및 보조 날실(332)을 포함하는 클램핑 부분(313)을 포함한다. 클램핑 부분(312)은 전체적으로 메인 하니스 폭(W211) 내에 배치된, 씨실 축(Y290)을 따라 클램핑 영역(W221) 위로 연장된다. 클램핑 부분(312)은 클램핑 부분(313)과 중첩되어 동일한 클램핑 영역(W221) 위로 연장된다. 도 1 내지 도 6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메인 날실은 메인 헤들에 의해 이동되는 반면, 보조 날실(322)은 대응하는 보조 쉐딩 기구를 가진 제 1 세트의 보조 헤들에 의해 이동되며, 상기 보조 날실(332)은 대응하는 보조 쉐딩 기구를 가진 제 2 세트의 보조 헤들에 의해 이동된다.
도 7 내지 도 12의 실시예에서, 직기는 도 1 내지 도 6의 제 1 픽과 유사한 제 1 픽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픽에서, 2 개의 씨실(301)이 삽입 수단에 의해 병렬로 삽입되고, 각각의 씨실(301)은 각각의 레이피어에 의해 각각의 픽업 위치에서 픽킹되고, 각각의 씨실 축(Y290)을 따라 날실의 개방 된 쉐드로 당겨진다. 바람직하게는, 2 개의 축(Y290)은 방향 Z1 및 Y1에 평행 한 동일한 평면에 배열된다.
날실로 돌아가서, 제 1 픽에서, 메인 날실의 두 개의 중첩된 메인 쉐드(314)가 직기의 메인 헤들에 의해 개방된다. 각각의 메인 쉐드(314)는 삽입된 씨실(301) 중 하나의 삽입 전용이다. 따라서, 각각의 메인 쉐드(314)는 각각의 씨실 축(Y290) 중 하나 주위에서 개방된다. 쉐드(314)는 도 6에 부분적으로만 도시되어 있다. 특히, 축(Y290)들 사이의 쉐드(314)의 메인 날실은 도시되지 않았다. 제 1 픽에서, 보조 날실의 두 개의 중첩된 보조 쉐드도 각각의 보조 헤들 세트에 의해 개방된다. 구체적으로, 보조 날실(322)의 보조 쉐드(324)는 클램핑 영역(W221)을 따라 배열된 보조 헤들 세트에 의해 축(Y290) 중 하나를 중심으로 개방되고, 보조 날실(332)의 보조 쉐드(334)는 클램핑 영역(W221)을 따라 배열된 다른 세트의 보조 헤들에 의해 다른 축(Y290) 주위에 개방된다. 삽입된 씨실(301)의 층 사이의 층에 관한 메인 날실은 상기 쉐드들 사이, 예를 들어 수직 축을 따라 중간 위치에서 쉐드(314, 324, 333)로부터 멀리 위치되되, 수직 축에서, 메인 날실은 이들이 동일한 스택에 있다면 쉐드와 간섭되지 않게 되어, 메인 날실은 클램핑 영역(W211)의 클램핑 부분 중 일부가 되지 않는다. 유리하게는, 클램핑 부분은 메인 직물에 묶이지 않고 직조 후에 쉽게 절단 및 제거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 수단은 각각의 보조 쉐드(324 또는 334) 및 각각의 메인 쉐드(314)를 통해 각각의 씨실(301)를 끌어 당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씨실(301)이 클램핑 영역(W221)을 통과하면, 보조 쉐드(324, 334)는 메인 쉐드(314)를 폐쇄하기 전에 대응하는 보조 헤들에 의해 폐쇄되어, 씨실(301)이 클램핑된다. 하나의 씨실(301)이 쉐드(324)를 닫음으로써 보조 날실(322)에 의해 클램핑되고, 다른 씨실(301)는 쉐드(334)를 폐쇄함으로써 보조 날실(332)에 의해 클램핑된다. 일단 씨실(301)이 씨실 축(Y290)을 따라 미리 결정된 최종 위치에 있게 되면, 둘 다 삽입 수단에 의해 해제된다. 삽입 수단을 빼낸 후, 메인 쉐드(314)는 닫히고, 씨실(301)은 직물(201)의 클로오드 펠에 대해 두들겨진다. 제 1 픽이 달성된다.
도 9 내지 도 11은 도 7 내지 도 8에 도시된 제 1 픽 이후, 바람직하게는 제 1 픽과 제 2 픽 사이에 어떤 픽도 없이 제 1 픽 직후에 실행되는 제 2 픽에 관한 것이다.
제 2 픽에서, 두 개의 추가 씨실(302)이 삽입 수단에 의해 나란하게 삽입되고, 각 씨실(302)는 두 개의 각각의 레이피어에 의해 두 개의 각각의 픽업 위치에서 픽킹되고, 두 개의 각각의 씨실 축(Y290)을 따라 날실의 개방 쉐드 내부로 당겨진다.
날실의 경우에 있어서, 제 2 픽에서, 상기 방법은 메인 날실의 중첩된 메인 쉐드(314)를 개방하는 것을 포함하여 씨실 축(Y290) 주위에 쉐드를 개방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각 메인 쉐드(314)는 각각의 씨실(302)의 삽입을 위해 축(Y290) 주위에 각각 개방된다. 쉐드를 개방하는 것은 또한 두 개의 씨실(302)의 삽입을 위해 각각 클램핑 영역(W221)에서 중첩된 보조 쉐드(324 및 334)를 개방하는 것을 포함한다. 제 2 픽에서, 보조 쉐드(324)는, 클램핑 영역(W221)에서 보조 쉐드를 닫음으로써 클램핑 된 클로오드 펠에서 위치된 씨실(301)의 말단을 해제하기 위해 상부 씨실(301) 주위에 교차된 임의의 보조 날실(322)은 교차되지 않는 패턴에 따라 개방된다. 유사하게, 보조 쉐드(334)는, 보조 쉐드를 폐쇄함으로써 클램핑되는 하부 시실(301)의 말단을 해제하기 위하여 하부 씨실(301) 주위에서 교차하는 보조 날실(332)가 교차하지 않는 패턴으로 개방된다. 바람직하게는, 씨실(301)은 클로오드 펠에서 그들 주위에 교차된 상태로 남아있는, 도시되지 않은, 메인 날실의 적어도 일부에 의해 클로오드 펠에 부착 된 채로 유지된다. 예를 들어, 이는 제 1 픽에서 메인 쉐드(314)의 폐쇄가 씨실(301) 주위의 메인 날실을 교차하고, 메인 쉐드(314)의 패턴이 제 1 픽에서보다 제 2 픽에서 다른 경우에 얻어진다. 즉, 일부 메인 날실이 제 1 픽과 후속하는 제 2 픽 사이에서 씨실 축에 대해 수직 위치를 변경할 때 얻어진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 수단은 각각의 보조 쉐드(324 또는 334) 및 각각의 메인 쉐드(314)를 통해 각각의 씨실(302)를 끌어 당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씨실(302)이 클램핑 영역(W221)을 통과하면, 보조 쉐드(324 및 334)는 메인 쉐드(314)를 폐쇄하기 전에 대응하는 보조 헤들에 의해 폐쇄되어, 씨실(302)이 보조 날실(322) 및 보조 날실(332)에 의해 각각 클램핑된다. 보조 날실(322)이 제 2 픽의 시작 부분에서 교차되지 않았기 때문에, 상부 씨실(301 및 302)는 보조 날실에 의해 분리되지 않고 함께 잡힌다. 유사하게, 보조 날실(332)이 제 2 픽의 시작 부분에서 교차되지 않았기 때문에, 하부 씨실(301, 302)은 보조 날실에 의해 분리되지 않고 함께 잡힌다. 상부 씨실(301 및 302)은 클램핑 부분이 있는 최종 직물의 동일한 쉐드 개구에서 직조되거나 결속된다. 하부 씨실(301 및 302)은 클램핑 부분이 있은 최종 직물의 동일한 쉐드 개구에서 부직되거나 결속된다.
씨실(302)이 씨실 축(Y290)을 따라 미리 정해진 최종 위치로 당겨지면, 둘 다 삽입 수단에 의해 해제된다. 삽입 수단을 인출하고 메인 쉐드(314)을 닫은 후, 씨실(302)은 직물(201)의 클로오드 펠에 대하여 두들겨진다. 도 11 및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씨실(301 및 302)은 보조 날실에 의해 분리되지 않고 이들을 둘러싸는 교차된 보조 날실(322)에 의해 묶여져서 서로 스택된다. 유사하게, 하부 씨실(301 및 302)은 임의의 보조 날실에 의해 분리되지 않고 함께 적층되고, 그들을 둘러싸는 교차된 보조 날실(332)에 의해서만 묶여진다. 직물의 메인 부분의 직조에 따라, 씨실(301 및 302)은 보조 날실에 의해 분리되지 않기 때문에 단일 픽 스택에 통합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X1 방향과 평행하게 직물의 클램핑 부분이 메인 부분에 비해 너무 길거나 짧아서 직물에 내부 응력을 생성하여 일부 가장자리 부분이 찢어지는 위험을 높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12의 실시예에서, 2 개의 씨실이 각 픽에 삽입된다. 그러나, 각 픽에 씨실 하나만 삽입되는 도 1 내지 도 6의 경우 또는 각 픽이 2 개 이상의 씨실을 동시에 삽입하는 경우에도 유사한 단계가 적용될 수 있다.
도 13은 직물(401)의 각각의 층(L1 및 L2)에 분포된 2 개의 클램핑 부분(512 및 513)을 포함하는 직물(401)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클램핑 부분(512 및 513)은 각각 부직 보조 날실(522 및 532)을 포함한다. 각각의 층(L1 및 L2)에 대하여, 4 개의 씨실 그룹(501, 502, 503, 504)은 임의의 보조 날실에 의해 분리되지 않고 클램핑 부분(512 및 513)에서 함께 적층된다. 이것은 씨실(301 및 302)와 같은 4 개의 씨실이 적층될 때까지 도 7 내지 도 12의 실시예에 대해 개시된 일련의 단계를 반복함으로써 얻어진다. 이 직물은 하나 또는 두 개의 중첩 또는 그 이상의 삽입 수단이 있는 직기에서 얻을 수 있다. 유리하게는, 셔닐 보빈에 의해 제공된 것과 같은 두꺼운 씨실 또는 탄성 씨실을 클램핑 부분에 클램핑할 수 있다. 유리하게는, X1 방향에 평행하게 직물(401)을 직조하는 동안 클램핑 부분(512 및 513)의 권취(take up)는 직물(401)을 직물 빔으로 권취하는 것과 거의 동일하다.
직물(401)은 또한 두 층(L1 및 L2)에서 연장되는 메인 부분(511)을 포함한다. 클램핑 부분(512 및 513)은 메인 부분(511)에 대해 오프셋 방식으로 도시되어, 메인 부분(511)이 전체적으로 보이도록 한다.
각 층(L1 및 L2)에 대해, 씨실(501, 502, 503 및 504)은 메인 부분(511)으로 연장되고, 메인 부분(511)의 메인 날실(412)과 함께 짜여진다. 또한, 메인 부분(511)은 층(L1)의 씨실(502) 및 층(L2)의 씨실(501)를 사용하여 짜여진 바인딩 날실(412A)을 포함하여, 2 개의 층(L1 및 L2)를 함께 결합한다.
일 실시예에서, 직물의 씨실의 한면은 각 픽에서 씨실 축을 따라 국부적으로 위치하여, 씨실의 제 1 씨실 말단 하나가 씨실 축을 따라 국부적으로 위치하지만, 씨실의 제 2 씨실 말단은 픽업 측의 반대편에 있는 하니스 측에 있는 셀비지 장치(selvedge device)에 의해 구동되는 추가 날실 또는 픽업 측의 하니스 측에 있는 셀비지 장치에 의해 구동되는 추가 날실에 의해 클램핑된다.
직기는 메인 쉐드를 닫기 전에 국부 씨실을 클램핑 하기 위한 셀비지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셀비지 장치는 전굴한 보조 쉐딩 기구 및 관련 보조 헤들 세트와 동일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그렇지 않으면, 셀비지 장치는 전통적인 구조일 수 있는데, 즉 직기에 의해 기계적으로 구동되며, 메인 쉐드를 닫기 전에 씨실을 클램핑하기 위해 하니스의 측면에 설정된다.
직기는 씨실 축을 따라 클램핑 영역의 다른 수 및/또는 배열을 얻기 위해 보조 쉐딩 기구, 보조 헤들 세트의 수 및/또는 배열을 갖추고 있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다층 직물의 클램핑 부분 중 하나는 다층 직물의 윤곽을 날실 방향으로 따를 수 있어서 직물의 여러 층이 보조 날실에 의해 직조되고, 다층은 방향(Y1, Z1)에 나란한 평면에서 좁아지는 프로파일을 갖는다.
특정 실시예의 맥락에서 위에 개시된 임의의 특징은 기술적으로 가능할 때 다른 개시된 실시예에서 구현될 수 있다.
1: 직물 2: 직기
3: 클로오드 펠 11: 메인 헤들
12: 메인 날실 13: 메인 아일릿
14: 메인 쉐드 17: 컴버보드
22: 날실 23: 보조 아일릿

Claims (18)

  1. 날실과 씨실을 포함하는 다증 직물(1; 201; 401)을 직조하는 직기(2)에 있어서, 씨실은 서로 상이한 길이로 되되, 상기 직기(2)는,
    직기(2)의 씨실 축(Y90)을 따라 픽업 위치(P94)에서 씨실을 픽킹(picking)하고,
    픽업 위치(P94)로부터 씨실 축(Y90)을 따라 날실의 쉐드로 씨실을 끌어 당기고(drawing),
    씨실 축(Y90)을 따라 주어진 위치(P91)에서 씨실을 해제하도록(releasing) 된,
    삽입 수단(90);
    메인 날실(12)을 안내하고 씨실 축(Y90)을 따라 메인 하니스 폭(W11)을 정의하도록 된 메인 헤들(main heddle); 및
    수직 경로를 따라 메인 헤들(11)을 이동하도록 된 쟈카드 유형의 메인 쉐딩 기구(15)를 포함하며,
    상기 직기(2)는,
    제 1 보조 날실(22)을 안내하고 씨실 축(Y90)을 따라 제 1 클램핑 영역(W21)을 형성하도록 된 제 1 보조 헤들(21)의 세트로서, 제 1 클램핑 영역(W21)은 메인 하니스 폭(W11) 내에 배열되는, 제 1 보조 헤들의 세트;
    제 1 보조 헤들(21)을 이동시키도록 된 제 1 보조 쉐딩 기구(25)를 포함하며,
    상기 직기(2)는, 제 1 픽(first pick)에서,
    메인 쉐딩 기구(15)에 의해 이동되는 메인 헤들(11)에 의해 메인 날실(12)의 메인 쉐드(14)를 개방하고, 상기 삽입 수단(90)에 의해 제 1 씨실(100)의 삽입을 위하여 제 1 보조 쉐딩 기구(25)에 의해 이동되는 제 1 보조 헤들(21)에 의해 제 1 보조 날실(22)의 제 1 보조 쉐드(24)를 개방하도록 되고,
    제 1 보조 쉐딩 기구(25)에 의해 이동되는 제 1 보조 헤들(21)에 의해 제 1 보조 쉐드(24)를 폐쇄하고, 메인 쉐드(14)가 개방된 동안에 제 1 클램핑 영역(W21)을 통하여 상기 삽입 수단(90)이 제 1 씨실(100)을 당긴 후에 제 1 클램핑 영역(W21)에서 제 1 보조 날실)22_로써 제 1 씨실(100)을 클램핑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제 1 보조 쉐딩 기구(25)는 삽입 수단(90)이 제 1 씨실(100)을 메인 쉐드(14) 내부로 당기는 동안에 제 1 씨실(100)을 클램핑하도록 제 1 보조 쉐드(24)를 폐쇄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직기(2)는,
    제 2 보조 날실(3)을 안내하고 씨실 축(Y90)을 따라 제 2 클램핑 영역(W31)을 형성하도록 된 제 2 보조 헤들(31)의 세트로서, 상기 제 2 클램핑 영역(W31)은 메인 하니스 폭(W11) 내에 배치되는, 제 2 보조 헤들의 세트; 및
    제 2 보조 헤들(31)을 이동시키도록 된 제 2 보조 쉐딩 기구(35);를 포함하되,
    상기 직기(2)는, 제 1 픽에서,
    삽입 수단(90)에 의하여 제 1 씨실(100)을 삽입하기 위하여 제 2 보조 쉐딩 기구(35)에 의해 이동되는 제 2 보조 헤들(31)에 의해 제 2 보조 날실(32)의 제 2 보조 쉐드를 개방하고,
    삽입 기구(90)가 제 2 클램핑 영역(W31)을 통하여 제 1 씨실(100)을 당긴 후에 메인 쉐드(14)가 여전히 개방되어 있는 동안에, 제 2 클램핑 영역(W31)에서 제 1 씨실(100)을 제 2 보조 날실(32)로 클램핑하도록, 제 2 보조 쉐딩 기구(35)에 의해 이동되는 제 2 보조 헤들(31)에 의해 제 2 보조 쉐드를 폐쇄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제1 보조 쉐딩 기구(25)는 삽입 수단(90)이 제 1 씨실(100)을 제 2 클램핑 영역(W31)으로 당기는 동안에 제 1 씨실(100)을 클램핑하도록 제 1 보조 쉐드(24)를 폐쇄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기.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직기(2)는
    제 1 보조 쉐딩 기구(25)를 지지하는 거더(85, 86)를 포함하되,
    제 1 보조 쉐딩 기구(25)는 씨실 축(Y90)에 나란하게 거더(85, 86)를 따라 위치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기.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제 1 보조 쉐딩 기구(25)는,
    1차 왕복 운동에 따라, 제 1 보조 헤들(21) 중에서 1차 보조 헤들을 이동시키는 1차 액추에이터(81); 및
    조절가능한 교차 지점으로써, 1차 왕복 운동에 반대되는 2차 왕복 운동에 따라, 제 1 보조 헤들(21) 중에서 2차 보조 헤들을 이동시키는 2차 액추에이터(8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기.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제 1 보조 쉐딩 기구(25)는 고정자(83) 및 상기 고정자(83)에 대하여 회전 구동하는 풀리(84)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액추에이터(81, 82)를 포함하며,
    각각의 풀리(84)는 제 1 보조 헤들(21) 중 적어도 하나를 이동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기.
  8. 제 7 항에 있어서,
    각각의 풀리는 3개의 제 1 보조 헤들(21)을 이동시키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기.
  9.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메인 쉐딩 기구(15)는,
    적어도 하나의 메인 헤들(11)을 각각 구동하는 선택가능한 후크;
    상향 위치와 하향 위치 사이에서 선택가능한 후크를 구동하는 블레이드; 및
    블레이드를 구동하는 메인 샤프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기.
  10. 직기(2)에 의해 날실과 씨실을 포함하는 다층 직물(1; 201; 401)을 직조하는 직조 방법으로서, 씨실은 서로 다른 길이로 되고, 상기 직기(2)는,
    직기(2)의 씨실 축(Y90)을 따라 픽업 위치(P94)에서 씨실을 픽킹하고;
    씨실 축(Y90)을 따라 픽업 위치(P94)로부터 날실의 쉐드 내부로 씨실을 당기고;
    씨실 축(Y90)을 따라 주어진 위치(P91)에서 씨실을 해제하도록 된,
    삽입 수단(90);
    메인 날실(12)을 안내하고 씨실 축(Y90)을 따라 메인 하니스 폭(W11)을 형성하도록 된 메인 헤들(11); 및
    수직 경로를 따라 메인 헤들(11)을 수직으로 이동시키도록 된, 쟈카트 유형의 메인 쉐딩 기구(15);를 포함하며,
    상기 직기(2)는,
    제 1 보조 날실(22)을 안내하고 씨실 축(Y90)을 따라 제 1 클램핑 영역(W21)을 형성하도록 된 제 1 보조 헤들(21)의 세트로서, 제 1 클램핑 영역(W21)은 메인 하니스 폭(W11) 내에서 배치되는, 제 1 보조 헤들의 세트; 및
    제 1 보조 헤들(21)을 이동시키도록 된 제 1 보조 쉐딩 기구(25);를 포함하며,
    상기 방법은, 제 1 픽에서,
    메인 쉐딩 기구(15)에 의해 이동되는 메인 헤들(11)에 의해 메인 날실(12)의 메인 쉐드(14)를 개방하고, 제 1 보조 쉐딩 기구(25)에 의해 이동되는 제 1 보조 헤들(21)에 의해 보조 날실의 제 1 보조 쉐드(24)를 개방하는 단계(S1);
    삽입 수단(90)에 의해, 픽업 위치(P94)에서 제 1 씨실(100)을 픽킹하는 단계(S2);
    삽입 수단(90)에 의해, 제 1 씨실(100)을 픽업 위치(P94)로부터 메인 쉐드(14) 내부 및 제 1 보조 쉐드(24) 내부로 당기는 단계(S3);
    삽입 수단(90)이 제 1 클램핑 영역(W21)을 통하여 제 1 씨실(100)을 당긴 후에 메인 쉐드(14)가 여전히 개방되어 있는 동안에, 제 1 클램핑 영역(W21)에서 제 1 씨실(100)을 제 1 보조 날실(22)로 클램핑하도록, 제 1 보조 쉐딩 기구(25)에 의해 이동되는 제 1 보조 헤들(21)에 의해 제 1 보조 쉐드(24)를 폐쇄하는 단계(S4);
    삽입 수단(90)에 의해, 제 1 씨실(100)을 해제하는 단계(S5);
    메인 헤들(90)에 의해, 메인 쉐드(14)를 폐쇄하는 단계(S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조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제 1 픽 동안에, 제 1 보조 쉐딩 기구(25)는,
    삽입 수단(90)이 제 1 클램핑 영역(W21)을 통하여 제 1 씨실(100)을 당긴 이후에,
    삽입 수단(90)이 제 1 씨실(100)을 메인 쉐드(14) 내부로 여전히 당기는 동안,
    제 1 씨실(100)을 클램핑하도록 제 1 보조 쉐드(24)를 폐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조 방법.
  12. 제 10 항 또는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직기(2)는,
    제 2 보조 날실(32)을 안내하고 씨실 축(Y90)을 따라 제 2 클램핑 영역(W31)을 형성하도록 된 제 2 보조 헤들(31)의 세트로서, 제 2 클램핑 영역(W31)은 메인 하니스 폭(W11) 내에서 배치되는, 제 2 보조 헤들의 세트; 및
    제 2 보조 헤들(31)을 이동하도록 된 제 2 보조 쉐딩 기구(35);를 포함하며,
    제 1 클램핑 영역(W21)은 픽업 위치(P94) 및 제 2 클램핑 영역(W31)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직조 방법은, 제 1 픽에서,
    제 2 보조 쉐딩 기구(35)에 의해 이동되는 제 2 보조 헤들(31)에 의해 제 2 보조 쉐드를 개방하는 단계(S7)로서, 삽입 수단(90)에 의해 제 1 씨실(100)을 당기는 단계는 제 1 씨실(100)을 제 2 보조 쉐드 내부로 당기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 2 보조 쉐드를 개방하는 단계(S7); 및
    삽입 수단(90)이 제 2 클램핑 영역(W31) 내부로 제 1 씨실(100)을 당긴 후에, 삽입 수단(90)이 제 1 씨실(100)을 해제하는 동안에, 제 2 클램핑 영역(W31) 에서 제 1 씨실(100)을 제 2 보조 날실(32)로 클램핑하기 위하여, 제 2 보조 쉐딩 기구(35)에 의해 이동되는 제 2 보조 헤들(31)에 의해 제 2 보조 쉐드를 폐쇄하는 단계(S9);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조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직조 방법은, 제 1 픽에서,
    제1 씨실(100)을 픽킹한 이후에, 씨실 축(Y90)을 따라 제 1 클램핑 영역(W21)로부터 제 2 클램핑 영역(W31)까지 거리와 동일한 주어진 길이로 제 1 씨실(100)을 절단하는 단계(S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조 방법.
  14. 제 10 항 또는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직조 방법은, 제 1 픽 이후에 행해지는 제 2 픽에서,
    메인 쉐딩 기구(15)에 의해 이동되는 메인 헤들(11)에 의해 메인 쉐드(14)를 개방하고, 제 1 보조 쉐딩 기구(25)에 의해 이동되는 제 1 보조 헤들(21)에 의해 제 1 보조 쉐드(24)를 개방하는 단계(S10);
    삽입 수단(90)에 의해, 픽업 위치(P94)에서 제 2 씨실(101)을 픽킹하는 단계(S11);
    삽입 수단(90)에 의해, 제 2 씨실(101)을 픽업 위치(P94)로부터 메인 쉐드(14) 내부로 그리고 제 1 보조 쉐드(24) 내부로 당기는 단계(S12);
    삽입 수단(90)이 제 1 클램핑 영역(W21)을 통하여 제 2 씨실(101)을 당긴 후에, 메인 쉐드(140가 여전히 개방되어 있는 동안, 제 1 클램핑 영역(W21)에서 제 2 씨실(101)을 제 1 보조 날실(22)로써 클램핑하도록 제 1 보조 쉐딩 기구(25)에 의해 이동되는 제 1 보조 헤들(21)에 의해 제 1 보조 쉐드(24)를 폐쇄하는 단계(S13);
    삽입 수단(90)에 의해, 제 2 씨실(101)을 해제하는 단계(S14); 및
    메인 헤들(11)에 의해, 메인 쉐드(14)를 폐쇄하는 단계(S15);를 포함하되,
    제 2 픽에서 제 1 보조 쉐드(24)를 개방하는 것은 제 1 픽 동안에 제 1 씨실(100) 주위에서 교차되었던 임의의 제 1 보조 날실(22) 교차하지 않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 2 픽의 말미에서, 제 1 씨실(100) 및 제 2 씨실(101)은 임의의 보조 날실(22)에 의해 분리되지 않고서 서로 적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조 방법.
  15. 제 10 항 또는 제 11 항에서,
    상기 직기(2)는,
    제 3 보조 날실(42)을 안내하고 씨실 축(Y90)을 따라 제 3 클램핑 영역(W41)을 형성하도록 된 제 3 보조 헤들(41)의 세트로서, 제 3 클램핑 영역(W41)은 메인 하니스 폭(W11) 내에 배치되는, 제 3 보조 헤들의 세트;
    제 3 보조 헤들(41)을 이동하도록 된 제 3 보조 쉐딩 기구(45);를 포함하되,
    상기 직조 방법은, 제 1 픽 이후에 행해지는 중간 픽에서,
    제 1 씨실(100)이 메인 쉐드(14) 위나 아래에 위치되도록 메인 쉐딩 기구(15)에 의해 이동되는 메인 헤들(11)에 의해 메인 쉐드(14)를 개방하는 단계(S16);
    삽입 수단(90)에 의해, 픽업 위치(P94)에서 중간 씨실(102)를 픽킹하는 단계(S17);
    삽입 수단(90)에 의해, 중간 씨실(102)을 픽업 위치(P94)로부터 메인 쉐드(14) 내부로 당기는 단계(S18);
    삽입 수단(90)에 의해, 중간 씨실(102)을 해제하는 단계(S19); 및
    메인 헤들(11)에 의해, 제 1 씨실(100) 및 중간 씨실(102)이 동일한 픽 스택에서 중첩되도록, 메인 쉐딩 기구(15)에 의해 이동되고 메인 쉐드(14)를 폐쇄하는 단계(S20);를 포함하며,
    상기 직조 방법은, 중간 픽 이후에 행해지는 제 3 픽에서,
    메인 쉐딩 기구(15)에 의해 이동되는 메인 헤들(11)에 의해 메인 쉐드(14)를 개방하고, 중간 씨실(102)이 제 1 씨실(100) 및 메인 쉐드(14) 사이에 배치되도록, 제 3 보조 쉐딩 기구(45)에 의해 이동되는 제 3 보조 헤들(45)에 의해 제 3 보조 날실(42)의 제 3 보조 쉐드를 개방하는 단계(S21);
    삽입 수단(90)에 의해, 픽업 위치(P94)에서 제 3 씨실(103)을 픽킹하는 단계(S22);
    삽입 수단(90)에 의해, 제 3 씨실(103)을 픽업 위치(P94)로부터 메인 쉐드(14) 내부로, 그리고 제 3 보조 쉐드 내부로 당기는 단계(S23);
    삽입 수단(90)이 제 3 씨실(103)을 제 3 클램핑 영역(W41)을 통하여 당긴 후에, 메인 쉐드(14)가 여전히 개방되어 있는 동안에, 제 3 클램핑 영역(W41)에서 제 3 씨실(103)을 제 3 보조 날실(42)로써 클램핑하도록 제 3 보조 쉐딩 기구(45)에 의해 이동되는 제 3 보조 헤들(41)에 의해 제 3 보조 쉐드를 폐쇄하는 단계(S24);
    삽입 수단(90)에 의해, 제 3 씨실(103)을 해제하는 단계(S25); 및
    메인 헤들(11)에 의해, 제 1 씨실(100), 중간 씨실(102), 및 제 3 씨실(103)이 동일한 픽 스택에 중첩되고 중간 씨실(102)은 제 1 씨실(100) 및 제 3 씨실(103) 사이에 있도록, 메인 쉐드(14)를 폐쇄하는 단계(S2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조 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직조 방법은, 중간 픽 동안에,
    씨실 축(Y90) 상에서 제 1 보조 헤들(21)을 유지하는 단계; 및
    씨실 축(Y90)하에서 제 3 보조 헤들(41)을 유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조 방법.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직조 방법은, 중간 픽에서,
    중간 씨실(102)이 삽입 수단(90)에 의해 제 1 보조 쉐드(24) 내부로 삽입되도록, 제 1 보조 쉐딩 기구(25)에 의해 이동되는 제 1 보조 헤들(21)에 의해 제 1 보조 쉐드(24)를 개방하는 단계; 및/또는
    중간 씨실(102)이 삽입 수단(90)에 의해 제 3 보조 쉐드 내부로 삽입되도록, 제 3 보조 쉐딩 기구(45)에 의해 이동도는 제 3 보조 헤들(41)에 의해 제 3 보조 쉐드를 개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조 방법.
  18. 제 10 항 또는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직조 방법은, 제 1 픽에서,
    제 1 보조 날실(22)의 장력을 증가시키면서, 장력이 주어진 제 1 보조 날실(22)로써 제 1 씨실(100)을 클램핑하도록 제 1 보조 쉐드(24)를 폐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조 방법.
KR1020210027762A 2020-03-03 2021-03-02 직기 및 다층 직물 직조 방법 KR2021011170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20305225.3A EP3875649B1 (en) 2020-03-03 2020-03-03 Weaving loom and method for weaving a multilayer fabric
EP20305225.3 2020-03-0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1704A true KR20210111704A (ko) 2021-09-13

Family

ID=698453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7762A KR20210111704A (ko) 2020-03-03 2021-03-02 직기 및 다층 직물 직조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486066B2 (ko)
EP (1) EP3875649B1 (ko)
JP (1) JP2021139091A (ko)
KR (1) KR20210111704A (ko)
CN (1) CN113337940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875649B1 (en) * 2020-03-03 2022-10-26 STÄUBLI BAYREUTH GmbH Weaving loom and method for weaving a multilayer fabric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014504A (en) * 1957-10-30 1961-12-26 Sulzer Ag Demountable device in a loom for weaving
US6742547B2 (en) * 2000-09-20 2004-06-01 Bally Ribbon Mills Three-dimensional woven forms with integral bias fibers and bias weaving loom
DE102015109785A1 (de) 2015-06-18 2016-12-22 Groz-Beckert Kg Zweidimensionales Gewebe und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EP3121317B1 (en) * 2015-07-23 2021-01-06 STÄUBLI BAYREUTH GmbH Method for weaving a fabric, near-net shape fabric woven via such a method and weaving loom for implementing this method
EP3875649B1 (en) * 2020-03-03 2022-10-26 STÄUBLI BAYREUTH GmbH Weaving loom and method for weaving a multilayer fabric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1139091A (ja) 2021-09-16
EP3875649A1 (en) 2021-09-08
EP3875649B1 (en) 2022-10-26
CN113337940A (zh) 2021-09-03
US11486066B2 (en) 2022-11-01
US20210277550A1 (en) 2021-09-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367877B (zh) 编织织物的方法,该方法编织的网形的织物和编织机
JP5819097B2 (ja) 3次元製織のための織機およびその製織方法
CN102844482B (zh) 用于制造带有附加纬面花纹的织物的方法和织机
JP2017025467A5 (ko)
JP5129256B2 (ja) 連続アングルを製織するためのシステム
US7520303B2 (en) Method for weaving a fabric, fabric woven by means of such a method and weaving machine for weaving such a fabric
JP4567205B2 (ja) バイアス織物、かかる織物を連続的に製造するための製造方法と織機
US10400365B2 (en) Two-dimensional fabric and method for the production thereof
CZ12299A3 (cs) Způsob výroby tkaniny s okraji a s alespoň jedním dočasným záchytným okrajem a zařízení k provádění tohoto způsobu
EP1746190A1 (en) Method for weaving a fabric, fabric woven by means of such a method and weaving machine for weaving such a fabric
KR20210111704A (ko) 직기 및 다층 직물 직조 방법
CN109208158B (zh) 在片梭织机中不使用假边的纬纱操作装置
US7694697B2 (en) Apparatus for forming a selvedge on a gripper weaving machine
TW201943907A (zh) 距離織物、形成該距離織物之方法及執行該方法之織機
US1651812A (en) Knotting and weaving loom
JP6113912B2 (ja) 追加の緯糸エフェクトを有する織機で緯糸端部を挿入する方法
JP4447049B6 (ja) 種糸としての経糸の自動引込み装置、及び種糸としての経糸の自動引込み方法
JP4447049B1 (ja) 種糸としての経糸の自動引込み装置、及び種糸としての経糸の自動引込み方法
GB2400862A (en) Loom for weaving fabric with full woven selvedge
JPH11279900A (ja) サンプル織機の自動緯糸選択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