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11273A - 과일의 생리 장애 및 해충에 대해 영속적인 친환경 비료 - Google Patents

과일의 생리 장애 및 해충에 대해 영속적인 친환경 비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11273A
KR20210111273A KR1020217023842A KR20217023842A KR20210111273A KR 20210111273 A KR20210111273 A KR 20210111273A KR 1020217023842 A KR1020217023842 A KR 1020217023842A KR 20217023842 A KR20217023842 A KR 20217023842A KR 20210111273 A KR20210111273 A KR 202101112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rtilizer
pests
crops
calcium
aqueous suspen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238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고 아르카디오 프리에토
Original Assignee
에스.에이. 레베르떼 프로덕토스 미네랄레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에이. 레베르떼 프로덕토스 미네랄레스 filed Critical 에스.에이. 레베르떼 프로덕토스 미네랄레스
Publication of KR202101112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1127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DIN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FERTILISERS PRODUCING CARBON DIOXIDE
    • C05D3/00Calcareous fertilisers
    • C05D3/02Calcareous fertilisers from limestone, calcium carbonate, calcium hydrate, slaked lime, calcium oxide, waste calcium produc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2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2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 A01N25/02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containing liquids as carriers, diluents or solven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2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 A01N25/02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containing liquids as carriers, diluents or solvents
    • A01N25/04Dispersions, emulsions, suspoemulsions, suspension concentrates or ge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59/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elements or inorganic compounds
    • A01N59/06Aluminium; Calcium; Magnesium; Compounds thereof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20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in agriculture, e.g. CO2
    • Y02P60/21Dinitrogen oxide [N2O], e.g. using aquaponics, hydroponics or efficiency measur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Dentistry (AREA)
  • Zoology (AREA)
  • Plant Patholog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Toxicolog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Fertilizers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 Cultivation Of Plants (AREA)
  • Fertilizing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탄산칼슘을 98.5중량% 초과하여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일생리 장애 및 해충에 대해 적합한 영속적인 고형 칼슘 비료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해충으로부터의 농작물의 보호 및 바람직하게는 배 및/또는 사과 작물의 보호를 위한 상기 비료의 용도이다.

Description

과일의 생리 장애 및 해충에 대해 영속적인 친환경 비료
본 발명은 화학 분야, 특히 과일 생리 장애 및 해충에 대해 적합한 신규의 칼슘 비료에 관한 것이다.
지난 수십 년 동안, 화학 살충제는 식물의 보호 및 해충의 방제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화학 살충제는 그 사용과 관련하여 인간의 건강 및 환경에 미치는 위험 및 영향에 대해서 알려져 있다. 이러한 위험을 줄이기 위해서, 살충제의 지속 가능한 사용을 달성하기 위한 공통 법적 제도(지침 2009/128/EC)가 수립되었다. 이 지침은 소정 지역에서 화학 살충제의 사용을 최소화하거나 또는 금지했다.
지침 2009/128/EC는 살충제 사용에 대한 의존도를 줄이기 위해 대안적 접근 방식 또는 기술의 개발을 권장했다. 따라서, 지난 수십 년 동안 중요한 역할을 했던 합성 살충제의 대안으로서 농해충의 방제에 적합한 신규의 천연 제품의 개발이 필요했다.
이와 관련하여, 본 발명은 작물 해충에 대해 보호 활성을 갖는 신규의 천연 비료에 관한 것이다. 놀랍게도, 이 신규의 제품은 해충을 방제하는 것 이외에도 비상한 비료 특성뿐만 아니라, 과일의 생리 장애를 방지하는 능력을 갖는 것이 밝혀졌다.
최근 몇 년 동안, 신규의 살충제 처리의 개발에 있어서 현저한 증가가 있었지만, 오늘날까지 해충으로부터 농작물을 보호하고, 동시에 식물 전체에 걸친 영양분의 확산을 포함한 식물의 엽면 영양공급을 달성할 수 있는 능력을 갖는 제품에 대해서는 효과적인 해결책이 발견되지 않았다.
본 발명은 해충에 대한 보호제로서와 칼슘 비료로서 놀라운 시너지 효과를 갖는 탄산칼슘에 기초한 신규의 제제에 관한 것이다.
당업계에 있어서, 탄산칼슘을 식물 비료 및 해충에 대한 보호제로서 사용하는 것과 관련하여 다양한 발명이 개시되어 있다.
AU7601491은 쉘, 산호 등으로 구성되는 퇴적 석회로서, 강 및 하천 부지 또는 이러한 석회가 퇴적되었을 수 있는 기타 장소를 따라 절벽에서 발견되는 퇴적 석회를 포함하는 액체 비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실시예에 개시된 탄산칼슘의 양은 84.30%, 83.75% 또는 81.8%이다.
DE10021029는 석회석 분말을 적어도 하나의 결합제 및 선택적으로 다른 첨가제와 교반함으로써 얻어진 식물 성장 개선제 및/또는 살충제 잔류물 저감제를 제조하는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JP2013087091은 코들링 나방을 안전하고 경제적으로 방제하기 위한 방제제에 관한 것이다. 방제제는 코들링 나방이 알을 낳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과일 표면에 적용된다. 상기 제품은 탄산칼슘 또는 탄산마그네슘과, 과일 표면에 상기 방제제를 고정하기 위한 고착제를 포함한다. 이 무기분말의 평균 입경은 0.1∼3㎛의 범위 내이다.
EP3033944는 식물 성장 동안 해충에 대한 식물 보호제로서 탄산칼슘의 사용을 개시하고 있다. 탄산칼슘은 0.1∼200㎛의 입자 크기를 갖는 입자의 형태로 사용된다.
WO9838867은 표면을 유효량의 미분된 소성 카올린, 소수성 소성 카올린, 함수 카올린, 소수성 함수 카올린, 소수성 탄산칼슘, 탄산칼슘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처리하는 것을 포함하는, 절지동물의 침입으로부터 표면을 보호하는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JPH0680511은 분말형 탄산칼슘을 포함하는 해충 퇴치 제품에 관한 것이다.
당업계에 개시된 발명에 기초하여, 탄산칼슘이 효과적인 비료로서 기재되었다고 해도, 이미 공지되어 있고 현재 이용 가능한 비료 제품은 작물에서의 짧은 영속성, 또는 그 적용 방법과 관련된 위험성과 같은 상이한 문제점을 갖는다. 짧은 영속성은 강한 바람, 이슬 또는 비와 같은 악천후 조건이 있을 때마다, 조성물이 손실된다는 것을 시사하기 때문에 중요한 문제점이다. 이것은 조성물이 손실될 때마다 적용해야 해서, 그에 따른 비용에 의해 중요한 경제적 결과를 갖는다. 본 발명의 제품 목적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여 조성물을 다수의 적용으로 작물에 적용할 필요를 회피한다. 본 발명은 1회 적용만으로 조성물이 악천후에서도 작물에 잔류할 수 있다는 이점을 제공한다.
또한, 당업계에 공지된 대안은 수확 후 백색 반점으로 잔류하여 과일의 물리적 외관에 영향을 미치는 문제점을 갖는다. 본 발명은 과일의 외관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고 농작물에 영향을 미치는 해충을 방제하기 때문에, 이러한 문제를 해결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신규의 제품은 다음과 같은 문제에 대한 해결책을 제공한다:
·특히 악천후 후에도, 다수의 적용으로 적용할 필요성이 없는 제품의 영속성;
·백색 반점의 형태로 임의의 잔류물이 잔류하는 것을 회피하는, 과일의 물리적 외관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그 적용;
·농작물에 영양을 공급하는 동시에 해충으로부터 보호하는 시비 능력. 특히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액체 비료(염화칼슘, CaCl2)보다 더욱 효과적이고, 또한 습도 조건 하에서 연속적인 방식으로 칼슘을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인 제품은 시비 활성을 달성하기 위해 필요한 적용 횟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확인된 문제에 대한 해결책을 제공하여 당업계에 공지된 비료와 관련된 문제점을 회피할 목적으로, 본 발명은 98.5중량%를 초과하는 탄산칼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일 생리 장애 및 해충에 대해 적합한 신규의 고형 칼슘 비료에 관한 것이다 .
본 발명의 목적인 제품의 주요 이점은 엽면 수준에서, 과일 작물의 경우에는 과일의 외피에 걸쳐서 작물에 칼슘을 영양공급하기에 적합한 효과적인 고체상의 생태 비료라는 것이다. 또한, 비료의 고형 상태로 인해 작물에서 영속성이 긴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것은 식물이나 나무의 뿌리를 통해 시비 효과를 달성하는, 당업계의 다른 비료와 비교할 때 중요한 이점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농해충으로부터 작물을 보호하기 위한 이 비료의 용도이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이 제품은 농사 과정의 모든 단계 동안에 적용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비료는 친환경 농업, 보다 바람직하게는 배 및 사과 작물에 영향을 미치는 해충 및 질병의 방제에 사용될 것이다.
적용 방법은 수성 현탁액 중에 분산된 비료 1중량%∼12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2중량%∼6중량%를 적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비료의 12% 수성 현탁액 중의 생물이용 가능한 칼슘의 양은 62ppm∼132ppm 범위일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이 양은 92ppm일 수 있다.
신규의 비료는 과수에 영향을 미치는 해충을 80% 초과하여 감소시킬 수 있다는 것이 입증되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비료는 프실라(psila)로부터 배 작물을 보호하기 위해 사용될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비료는 카르포카프사(carpocapsa)(시디아 포모넬라(cydia pomonella))로부터 사과 작물을 보호하기 위해 사용될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인 비료의 주요 이점은 다음과 같다.
·전체 농사 주기 동안 지속적인 사비 작용 및 보호 작용을 가능하게 하는 연속성. 이것은 필요한 적용 횟수뿐만 아니라, 피토케미컬 제품의 소비를 감소시켜서, 농작물의 처리와 관련된 비용을 줄인다;
·작물에서의 위치: 잎 기공 내부로 침투하여 전체 과일 외피를 따라 분포된다. 따라서, 염화칼슘과 같은 칼슘 농약의 효과적인 대안이며, 헥타르당 필요로 되는 해충으로부터의 보호제 및 비료의 양과 관련된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게 한다;
·비료 입자의 표면 활성: 칼슘을 지속적인 방식으로 또한 고형 상태로 제공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습도 조건(이슬, 비) 동안 높은 이온 표면 활성을 가지며, 과일 과육에서 칼슘 생물 이용률을 증가시킨다;
·영구적인 엽면 칼슘 비료 및 해충으로부터의 보호제 모두로서의 이중 작용을 가능하게 한다.
도 1은 작물에서의 비료의 분포를 나타낸다. 특히, 비료가 적용되는 잎의 기공 내부에 칼슘 입자가 어떻게 분포되어 있는지를 나타낸다. 이것은 그 크기로 인하여 식물의 기공 내부로 침투할 수 없는 당업계에 공지된 다른 비료와 비교하여 본 발명의 청구된 비료의 중요한 이점이다;
도 2는 잎의 기공의 보호 세포에서의 칼슘 입자의 분포를 나타낸다.
도 3은 황금 사과의 각피와 외피의 칼슘 입자의 분포를 나타낸다.
도 4는 황금 사과의 외피 내부를 관통하는 칼슘 입자의 상세도이다.
도 5는 컨퍼런스 배(conference pear)의 각피에 분포된 칼슘 입자의 상세도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목적인 비료의 주요 이점 중 하나는, 당업계에 공지된 다른 칼슘 비료와 비교했을 때, 모든 기상 조건하에서 전체 농사 주기 동안에 작물에 있어서 영속성이 높다는 것이다. 따라서, 주요 이점 중 하나는 연속 칼슘 펌프로서 작동한다는 것이다. 이것에 의해, 염화칼슘과 같은 칼슘 액체 비료의 사용시 요구되는 바와 같은 다수의 엽면 적용으로의 칼슘의 적용이 필요없어진다.
신규의 비료의 이러한 유리한 효과는 Ca2 + 또는 C03 2- 이외에, CaOH+, CO3H- 또는 C03CaOH-과 같은 다른 이온종을 포함하는 비료의 표면의 화학적 조성 때문이다(XPS 또는 TOF-SIMS 측정에 의해 확인됨). 이들 모두는 습도 조건(비, 이슬) 하에서 활성화되고, 칼슘 생물 이용률을 증가시킨다. 특히, 본 발명의 목적인 비료에 의해 제공되는 칼슘의 유효량이 당업계의 다른 비료에 의해 제공되는 칼슘보다 훨씬 더 높다는 것이 놀랍게도 발견되었다. 62ppm∼132ppm 범위 내의 칼슘 생물 이용률을 달성하는, 놀랍게도 높은 시너지적 시비 효과를 얻는 것은 실제로 예상치 못한 일이었다.
본 발명의 청구된 비료의 연속적인 칼슘 공급과 관련된 화학적 메커니즘은 다음과 같다:
a) 우선, 고형 칼슘 화합물의 표면의 이온종 Ca2 + 및 CO3 2-는 수성 현탁액에서 활성화되고 유리된다:
비료 + H20 ↔ Ca2 + + C03 2- + H20
b) 그 다음, 유리된 C03 2-는 가수분해되어, CO3H-로 변환된다:
C03 2- + H2O ↔ CO3H- + OH- + H20
c) 마지막으로, 중탄산염 음이온 CO3H-는 수성 매질에서 CO2로 변환된다:
CO3H- + H2O ↔ CO2 + OH- + H20
본 발명의 청구된 비료의 높은 표면 활성은 Ca2 + 및 CO2의 연속적인 공급이 얻어지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이는 이들 이온종이 습도 조건(비 또는 이슬) 하에서 유리되어, 과일의 과육에 도달할 때까지 작물의 목질부를 가로질러 수송되기 때문이다. 작물에 의한 CO2 흡수는 C03H-의 더욱 높은 생성으로 평형을 이동시켜서, 동시에 Ca2+와 CO2로 변환된다.
따라서, 작물(줄기, 잎 및 과일)의 표면에 비료를 적용하고, 비 또는 이슬의 영향으로 중탄산칼슘의 생성이 증가하고, 이는 수용액 중에서 Ca2 +와 CO2로 분해된다.
비료 + H20 + C02(g) ↔ 비료 + C03H2 ↔ Ca(HC03)2 ↔ Ca2 + + C02 + H20 + CO3 2-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해충으로부터의 보호를 위한 농작물에 있어서의 본 발명의 청구된 비료의 용도이다. 잎/과일의 표면에 비료를 분포하는 것은 칼슘 비료로서의 후속 활성에 필수적이다: 얇은 단일층 구조를 형성하는 그 퇴적물은 비료의 피복 효과를 극대화한다.
게다가, 이것에 의해, 비료로 처리되는 나무 둥치, 식물의 줄기, 잎 또는 과일에 있어서의 비료 입자의 접촉 표면적이 증가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모든 기상 조건(비, 이슬 또는 바람) 하에서 비료의 영구성이 보장된다.
비료는 사비 활동 이외에도 농해충에 대해 적합하다. 특히, 신규의 비료는 일광 화상 및 해충으로부터 나무와 과일 모두를 보호한다. 신규의 비료는 나무에 영향을 미치는 해충을 80% 초과하여 감소시킬 수 있다는 것이 입증되었다. 이것은 비료가 나무의 표면에 분포되는 방식뿐만 아니라 장기간의 영속성 때문이다.
따라서, 전체 농사 주기 동안, 농작물에 비료를 적용하는 것도 본 발명의 목적이다. 비료의 퇴적은 비료의 수성 현탁액을 고압(바람직하게는 7bar∼10bar)에서 미세 분쇄함으로써, 바람직하게는 80㎛ 이하의 직경을 갖는 미세 액적의 스프레이를 생성함으로써 달성된다. 이어서 입자에 포함된 수분의 증발은 비료가 적용된 과일이나 잎의 표면에 균일한 층을 분산 형성시켜서, 비료의 피복 효과를 극대화한다.
실험
본 발명의 주장된 제품의 효과를 입증하기 위해서, 배와 사과 작물을 처리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다양한 실험이 수행되었다.
시비 처리는 4월 마지막 주에 물 중의 6중량% 비료의 현탁액(60kg 비료/Ha)을 사용하고 이것을 8bar의 압력으로 분쇄하여 수행했다.
도 1 및 2는 잎 상의 비료의 분포를 나타낸다. 특히, 도면은 비료가 잎 기공 내부로 어떻게 침투 가능한지를 나타내고(도 1), 또는 잎 외피에 위치한 보호 세포에서 기공의 구멍 주변에 어떻게 분포되는지를 나타낸다(도 2).
도 3∼5는 과일 상에서의 비료의 분포를 나타낸다.
도 3은 황금 사과의 각피와 외피 상에 비료 입자가 어떻게 분포되는지를 나타낸다.
도 4는 일부 비료 입자가 황금 사과 외피의 다각형 세포 내부로 어떻게 침투하는지를 나타낸다. 황금 사과의 각피보다 더 두꺼운 각피를 가진 컨퍼런스 배를 사용하여 유사한 실험을 수행했다. 컨퍼런스 배의 세포는 다각형이 아니다. 그들은 둥근 형상을 가지며, 사과 세포보다 덜 정돈된 분포를 갖는다.
도 5는 다른 비료 입자가 무질서한 다층 구조로 컨퍼런스 배의 외피 세포와 세포를 연결하는 각피 구멍에 근접하여 배의 전체 각피 표면을 따라 어떻게 분포되는지를 나타낸다. 외피 아래에는 주피가 있고, 그 아래에는 유세포에 의해 형성되는 과육이 있다.
습도 조건(이슬 또는 비) 하에서, 비료는 과일에 사용 가능하고 과육에 축적되는 Ca2 +를 더욱 유리할 수 있다. 따라서, 습도 조건하에서, 비료는 외피에서 "원 위치"에, 또한 외피로부터 과육으로 Ca2 + 및 CO2의 공급을 선호한다.
또한, 수행된 실험은 본 발명의 청구된 비료의 특징으로 인한 시너지 효과를 입증했다. 특히, 과일에 공급된 Ca2 +의 고용량으로 인해, 비료는 과일의 단단함을 유지하면서 고두병 또는 렌티셀 브롯치 피트(lenticel blotch pit)와 같은 과일의 생리 장애를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청구된 비료의 추가 이점은 수확된 후 과일로부터 쉽게 제거된다는 것이다. 따라서, 소성 카올린과 같은 잘 알려진 다른 비료와 비교하여, 과일의 물리적 외관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신규의 비료의 적용은 전체 농사 주기 동안 수행될 수 있으며, 유효량의 칼슘을 작물에 영양공급하고 또한 농해충으로부터 작물을 보호할 수 있게 한다. 상기 처리는 기상 조건에 따라 농사 주기 동안에 상이한 순간에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이러한 처리는 다음과 같이 수행될 수 있다:
. 휴면기 처리(겨울):
과일나무의 수확 전 보호: 1월에 5%(w/w) 비료의 수성 현탁액을 50kg/Ha의 양으로 적용하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제 1 처리;
. 봄, 여름, 가을의 처리:
6%(w/w) 비료의 수성 현탁액을 60kg/Ha의 양으로 적용하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4월 말부터 5월 초까지의 2차 처리로 일광 화상 및 해충으로부터의 과일 보호를 포함하는, Ca 및 CO2로의 과일의 엽면 시비;
2%(w/w) 비료의 수성 현탁액을 20kg/Ha의 양으로 적용하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6월의 제 3 처리 및 1%(w/w) 비료의 수성 현탁액을 10kg/Ha의 양으로 적용하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7월의 추가 적용으로 일광 화상 및 해충으로부터의 과일 보호를 포함하는, Ca 및 CO2로의 과일의 각피 시비;
1%(w/w) 비료의 수성 현탁액을 10kg/Ha의 양으로 적용하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10월부터 11월까지의 제 4 처리로 해충으로부터의 과수의 수확후 보호.
이것은 바람직한 실시형태이지만, 작물 위치의 기상 조건에 따라 비료가 작물에 적용되는 시기를 변경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그러나, 칼슘은 보다 쉽게 흡수되기 때문에, 과일 세포 분열(개화 후 6∼8주 동안)에 맞춰서 지속적인 방식으로, 이 기간 동안 과일의 과육의 제 1 엽면 처리를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게다가, 잎과 열매 사이에는 작물에서 이용 가능한 칼슘에 대한 강력한 반응력이 존재한다. 이러한 이유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본 발명의 청구된 바와 같은 신규의 비료는 칼슘이 식물 또는 나무의 각피 및 외피를 가로질러 과육 내부로 직접 침투하도록 다중 엽면 적용으로 적용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과일이 생장시 대략 6∼8cm의 직경에 도달하면, 이 프로세스는 과일의 과육에 칼슘의 공급(엽면 및 각피 모두에)을 강화시키기 위해, 비료를 10kg/Ha∼30kg/Ha의 더 낮은 농도로 한 번 더 적용하는 것을 포함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인 비료는 당업계에서 이용 가능한 액체 비료(예를 들면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CaCl2)의 적용시 일반적인 염류 지수의 증가와 관련된 부작용 없이 시비 활성을 제공하는 이점을 갖는다. 신규의 비료는 염도가 낮기 때문에, 염화칼슘과 같은 칼슘염 사용과 관련된 토양의 pH 증가를 방지한다. 따라서, 염화칼슘의 "염류 지수"가 87인 반면, 신규의 비료의 "염류 지수"는 0.8이다. 이것은 토양의 삼투압이 증가하는 것을 방지하기 때문에 중요한 이점이다.
실험 1. 황금 사과 과육의 엽면 시비
황금 사과의 엽면 시비를 측정하기 위해 제 1 실험을 수행했다.
이 처리는 물 중의 본 발명의 청구된 비료의 현탁액 3중량%(30kg/1000L 물/Ha)를 사용하여 4월 마지막 주에 행했다. 기준 처리(블랭크)는 3% CaCl2 용액(30kg/1000L 물/Ha)이었다.
본 발명의 청구된 비료는 CaCl2 처리로 달성된 칼슘 공급과 비교하여, 과육에 칼슘 공급에 50% 더 효과적인 것으로 입증되었다.
이 제 1 실험의 결과는 하기 표 1에 나타내어져 있다.
Figure pct00001
이 실험은 본 발명의 청구된 신규의 비료가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비료(CaCl2)보다 더욱 효과적이라는 것을 입증한다. 특히, 본 발명의 청구된 비료가 황금 사과에 물 중의 3% 농도(30kg 비료/1,000L 물/Ha)로 적용되었을 때, 과육에 대한 칼슘 공급이 CaCl2 처리로 달성한 칼슘 공급과 비교하여 50% 더 높다는 것이 입증되었다.
실험 2. 컨퍼런스 배의 과육의 엽면 시비
콘퍼런스 배의 엽면 시비를 측정하기 위해 제 2 실험을 수행했다.
이 처리는 물 중의 비료의 현탁액 3중량%(30kg/1000L 물/Ha)를 사용하여 4월 마지막 주에 수행했다. 블랭크는 미처리 과일이었다.
블랭크(처리하지 않은 과일)와 비교하여, 본 발명의 청구된 비료는 과육에 칼슘을 공급하는 데 24% 더 효과적인 것으로 입증되었다.
이 제 2 실험의 결과는 하기 표 2에 나타내어져 있다.
Figure pct00002
해충으로부터의 작물 보호에 있어서, 비료의 효과를 입증하기 위해 추가 실험을 수행했다.
프실라(psila)에 대해 배나무를 신규의 비료로 처리하여 비교 시험을 수행했다. 프실라 점유 비율을 1Ha의 총 작물 면적으로부터 샘플링된 200그루의 흡반을 육안으로 검사하여 계산했다. 이들 나무는 45%의 프실라 이환율을 가진 미처리 나무와 비교하여, 5%의 프실라 이환율만을 가졌다.
진딧물(green aphid)에 대해 배나무를 신규의 비료로 처리하여 추가 비교 시험을 수행했다. 진딧물 점유율은 1Ha의 총 작물 면적으로부터 샘플링된 200그루의 흡반을 육안으로 검사하여 계산했다. 이들 나무는 60%의 비율로 감염된 미처리 나무와 비교하여 감염되지 않았다.

Claims (7)

  1. 탄산칼슘을 98.5중량% 초과하여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일 생리 장애 및 해충에 대해 적합한 고형 칼슘 비료.
  2. 제 1 항에 기재된 비료의 용도로서,
    해충으로부터 농작물을 보호하기 위한 비료의 용도.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농작물은 배 및/또는 사과 작물인 비료의 용도.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용도는 수성 현탁액에 분산된 1중량%∼12중량%의 비료를 작물에 적용하는 것을 포함하는 비료의 용도.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비료의 적용은 80㎛ 이하의 직경을 갖는 미세 액적의 분무를 생성하는 7∼10bar의 압력에서의 미세 분쇄에 의한 것인 비료의 용도.
  6. 제 2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비료는 전체 농사 주기 동안에 적용되는 것인 비료의 용도.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적용은:
    a) 5% w/w 비료의 수성 현탁액을 50kg/Ha의 양으로 작물에 적용하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1월의 제 1 처리;
    b) 6% w/w 비료의 수성 현탁액을 60kg/Ha의 양으로 작물에 적용하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4월 말부터 5월 초까지의 제 2 처리;
    c) 2% w/w 비료의 수성 현탁액을 20kg/Ha의 양으로 작물에 적용하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6월의 제 3 처리 및 1% w/w 비료의 수성 현탁액을 10kg/Ha의 양으로 작물에 적용하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7월의 추가 적용; 및
    d) 1% w/w 비료의 수성 현탁액을 10kg/Ha의 양으로 작물에 적용하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10월에서 11월까지의 제 4 처리를 포함하는 비료의 용도.
KR1020217023842A 2019-01-11 2019-12-30 과일의 생리 장애 및 해충에 대해 영속적인 친환경 비료 KR2021011127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9382016.4A EP3679797B1 (en) 2019-01-11 2019-01-11 Permanent eco-fertilizer against fruit physiological disorders and pests
EP19382016.4 2019-01-11
PCT/EP2019/087130 WO2020144076A1 (en) 2019-01-11 2019-12-30 Permanent eco-fertilizer against fruit physiological disorders and pest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1273A true KR20210111273A (ko) 2021-09-10

Family

ID=652007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23842A KR20210111273A (ko) 2019-01-11 2019-12-30 과일의 생리 장애 및 해충에 대해 영속적인 친환경 비료

Country Status (23)

Country Link
US (1) US20220073436A1 (ko)
EP (1) EP3679797B1 (ko)
JP (1) JP7297903B2 (ko)
KR (1) KR20210111273A (ko)
CN (1) CN113507836B (ko)
AU (1) AU2019420812B2 (ko)
BR (1) BR112021012534B1 (ko)
CL (1) CL2021001771A1 (ko)
CO (1) CO2021008777A2 (ko)
CR (1) CR20210421A (ko)
DK (1) DK3679797T3 (ko)
EC (1) ECSP21052246A (ko)
ES (1) ES2881232T3 (ko)
HU (1) HUE055809T2 (ko)
IL (1) IL284428B2 (ko)
MA (1) MA53764B1 (ko)
MX (1) MX2021007958A (ko)
PE (1) PE20211891A1 (ko)
PL (1) PL3679797T3 (ko)
PT (1) PT3679797T (ko)
SI (1) SI3679797T1 (ko)
WO (1) WO2020144076A1 (ko)
ZA (1) ZA20210457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243180A (zh) * 2021-05-31 2021-08-13 山西农业大学 一种用于苹果有机肥定量替代化学氮肥的高效施肥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630806B2 (en) 1990-11-19 1992-11-05 Herbert Roy Bubb Liquid fertilizer incorporating deposit lime and methods for use
JP3259856B2 (ja) * 1992-09-04 2002-02-25 尚明 山本 害虫駆除材
JP2957365B2 (ja) * 1992-10-12 1999-10-04 備北粉化工業株式会社 植物用カルシウム付与剤
NZ280358A (en) * 1995-10-31 1997-07-27 Gavin Frank Murdoch Use of precipitated calcium carbonate in fertilisers
US6069112A (en) * 1997-03-05 2000-05-30 Englehard Corporation Method for preventing physiological disorders without diminishing photosynthesis
TW529906B (en) 1997-03-05 2003-05-01 Engelhard Corp Method for protecting surfaces from arthropod infestation
DE10021029B4 (de) 2000-05-02 2004-07-15 Waldbast Gmbh Verfahren zum Schützen von lagerndem Holz
US20030061758A1 (en) * 2001-09-28 2003-04-03 Wilson Harold W. Composition and method for exterminating subterranean burrowing air-breathing pests
US7695541B1 (en) * 2008-03-24 2010-04-13 Frizzell Raymond B Non-acidic, high calcium load aqueous fertilizer
JP5777999B2 (ja) 2011-10-19 2015-09-16 白石カルシウム株式会社 シンクイムシ類の防除剤及び防除方法
ES2668688T3 (es) * 2014-12-16 2018-05-21 Omya International Ag Carbonato de calcio para protección vegetal
EP3045042A1 (en) * 2015-01-15 2016-07-20 Omya International AG Use of surface-reacted calcium carbonate as carrier for agrochemical compound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PL3679797T3 (pl) 2021-12-06
US20220073436A1 (en) 2022-03-10
BR112021012534A2 (pt) 2021-09-14
PE20211891A1 (es) 2021-09-22
MA53764A1 (fr) 2021-09-30
DK3679797T3 (da) 2021-09-27
EP3679797A1 (en) 2020-07-15
CR20210421A (es) 2021-09-23
CO2021008777A2 (es) 2021-07-30
MX2021007958A (es) 2021-08-16
ECSP21052246A (es) 2021-09-30
IL284428B2 (en) 2024-05-01
CL2021001771A1 (es) 2022-02-11
ES2881232T3 (es) 2021-11-29
CN113507836B (zh) 2022-09-30
SI3679797T1 (sl) 2021-09-30
BR112021012534B1 (pt) 2022-09-13
JP7297903B2 (ja) 2023-06-26
IL284428A (en) 2021-08-31
CN113507836A (zh) 2021-10-15
AU2019420812A1 (en) 2021-09-02
HUE055809T2 (hu) 2021-12-28
JP2022517996A (ja) 2022-03-11
PT3679797T (pt) 2021-07-30
EP3679797B1 (en) 2021-06-30
ZA202104575B (en) 2023-01-25
IL284428B1 (en) 2024-01-01
MA53764B1 (fr) 2022-02-28
AU2019420812B2 (en) 2023-06-22
WO2020144076A1 (en) 2020-07-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Zodape Seaweeds as a biofertilizer
Yamane Foliar calcium applications for controlling fruit disorders and storage life in deciduous fruit trees
CN104788199B (zh) 一种茄果类促花保果生物肥料
KR20210111273A (ko) 과일의 생리 장애 및 해충에 대해 영속적인 친환경 비료
CN107455377B (zh) 一种促进植物生长持效期长的落叶果树清园用农药水剂及其制备方法
Christensen Timing of zinc foliar sprays. I. Effects of application intervals preceding and during the bloom and fruit-set stages. II. Effects of day vs. night application
RU2804372C2 (ru) Устойчивое экологически безвредное удобрение, предназначенное для борьбы с физиологическими нарушениями плодов и с вредителями
TWI487484B (zh) A plant growth regulating composition that enhances plant drought resistance
JP2023525361A (ja) カルシウム系ベントナイト及びそれを含む土壌改善剤
KR102122971B1 (ko) 수목의 동해방지용 친환경 조성물
JP2004307359A (ja) 植物の生育調節剤
Qaoud et al. Using Boron, Magnesium and some Amino Acids to Improve Yield and Fruit Quality of Roomy Red Grapevines
CN109704870A (zh) 一种核苷多肽氨基酸多功能生物肥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100491554B1 (ko) 석화각에서 추출한 칼슘 성분을 함유하는 액상칼슘 조성물및 그 이용방법
KR20150011623A (ko) 천연 식물 생장 촉진제
Smith et al. Osmotic effects on performance and fruit quality of kiwifruit vines
RU2779305C2 (ru) Пестицид и агрохимикат на основе ионов серебра и ионов меди в хелатной форме
Abd-Elall Spraying of garlic extract, fructose and salicylic acid accelerates bud burst and improves productivity and fruit quality of superior grapevines
HU207201B (en) Process and composition for increasing yields of plants and/or protecting them against stress
CN106718406A (zh) 一种防治月季白粉病的方法
Gaafar et al. EFFECT OF IRRIGATION INTERVALS AND SOME ANTITRANSPIRANTS ON GROWTH AND YIELD OF SNAP BEAN (PHASEOLUS VULGARIS L) UNDER DRIP IRRIGATION SYSTEM IN CLAY LOAM SOIL
RU2245040C2 (ru) Фунгицидный состав
CN114208850A (zh) 一种防治桃流胶病混配剂的制备与使用方法
Paikra et al. Effect of fertigation scheduling, mulching technique and plant growth regulator on physico-chemical changes in three cultivars of guava under ultra HDP-a review.
DE824347C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Spritzmittels zur Foerderung des Pflanzenwachstum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