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91554B1 - 석화각에서 추출한 칼슘 성분을 함유하는 액상칼슘 조성물및 그 이용방법 - Google Patents

석화각에서 추출한 칼슘 성분을 함유하는 액상칼슘 조성물및 그 이용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91554B1
KR100491554B1 KR10-2001-0083875A KR20010083875A KR100491554B1 KR 100491554 B1 KR100491554 B1 KR 100491554B1 KR 20010083875 A KR20010083875 A KR 20010083875A KR 100491554 B1 KR100491554 B1 KR 1004915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cium
composition
acid
weight
horticultural crop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838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53852A (ko
Inventor
문병우
허동훈
Original Assignee
문병우
허동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병우, 허동훈 filed Critical 문병우
Priority to KR10-2001-00838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91554B1/ko
Publication of KR200300538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538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915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91554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3/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icroorganisms, viruses, microbial fungi, animals or substances produced by, or obtained from, microorganisms, viruses, microbial fungi or animals, e.g. enzymes or fermentates
    • A01N63/10Animals; Substances produced thereby or obtained therefrom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2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 A01N25/02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containing liquids as carriers, diluents or solven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59/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elements or inorganic compounds
    • A01N59/06Aluminium; Calcium; Magnesium; Compounds thereof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Zoology (AREA)
  • Dentistry (AREA)
  • Plant Pathology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Bio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Virology (AREA)
  • Fertiliz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예작물에서 발생하는 칼슘 결핍증 방제용 액상칼슘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환경 오염성이 없고, 조제가 간편하며 토양 오염이 없는 원예작물의 칼슘 결핍증을 방제하는 액상의 조성물에 관한 것임.
본 발명의 액상 칼슘 조성물은 미세 석화각을 산 반응시켜 추출한 추출물 80∼95중량%, 크산탄 검(Xanthan Gum)1.0∼0.05중량%, 실리콘 오일 0.05∼0.005중량%, 나머지 물을 혼합, 교반, 여과하여 액상으로 형성한 조성물로 구성됨.
본 발명의 조성물은 석화각의 분쇄물과 산을 50 : 50의 비율로 반응조에 투입하여 10∼24시간 반응시킨 다음 크산탄 검, 실리콘 오일 등을 첨가하여 제조함. 본 발명의 액상칼슘 조성물은 재배작물에 따라 적당량의 물로 희석하여 원예작물 재배시 수관살포, 관비재배, 수경재배에 이용할 수 있음. 본 발명에 의하면 원예작물 재배시 발생하는 칼슘결핍증 방지 및 예방 이외에도, 식물체의 칼슘량을 증가, 경도증가, 비타민-C 함량증가, 저장중 신선도 유지, 에틸렌 및 이산화탄소 발생량감소, 세포벽 분해효소 활성 저하, 세포벽 강화, 중층의 용해 감소, 감량억제, 병 예방 등의 효과를 부가시켜 고품질의 원예작물을 안전하게 생산할 수 있으며, 농약의 효과를 유지하면서 농약 사용량과 살포 횟수를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음

Description

석화각에서 추출한 칼슘 성분을 함유하는 액상칼슘 조성물 및 그 이용 방법{LIQUID CALCIUM COMPOSITION EXTRACTED FROM OYSTER SHELL AND ITS USING METHOD}
본 발명은 폐자원으로 분류되고 환경 오염물질로 인식되는 석화각(굴껍질)으로부터 추출한 칼슘 성분을 함유하는 액상 칼슘 조성물에 관계되는 것으로서, 특히 석화각 추출물에 크산탄 검과 실리콘 오일을 첨가하여 액상으로 형성한 석화각에서 추출한 칼슘 성분을 함유하는 액상 칼슘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원예작물에 처리하였을 때 원예작물의 조직내 칼슘 함량을 증진시켜 칼슘 부족으로 나타나는 칼슘 부족현상 방지, 병 방제, 저장력 증진 등에 효과를 지니고 있으며 환경 공해가 나타나지 않는다.
특히, 본 발명은 미세한 석화각 분말을 산과 반응시킨 추출물 80∼95중량%, 계면활성제 크산탄 검 1.0∼0.05중량%, 소포제인 실리콘 오일 0.05∼0.005중량% 및 나머지 물로 혼합된 석화각에서 추출한 칼슘 성분을 함유하는 액상 칼슘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최근 서해와 남해안에서는 굴 양식업이 발달하고 있으나, 종패로 사용되는 다량의 굴에서 부산물로 생산되는 굴 껍질이 환경 오염을 일으킬 위험성이 있으므로 그 처리가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폐기되는 굴 껍질의 일부를 배수가 불량한 농지에 암거 배수용 재료로 이용하거나 분쇄하여 토양개량제로 가공하여 이용하고 있고, 또한 최근에는 굴 껍질을 분쇄하고 분쇄물을 원예작물에 칼슘을 공급하기 위하여 엽면시비용 비료로 이용하는 방법도 연구되고 있다. 그러나, 굴 껍질 자체는 토양개량제 및 암거 배수용으로는 활용성이 높은 것으로 알려졌으나, 분말화하여 엽면 시비용으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칼슘의 용해도가 극히 낮아서 작물체내에 흡수가 거의 안되므로 작물의 칼슘 성분 증대에는 큰 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굴 껍질의 분말을 그대로 물로 희석하여 원예작물에 살포할 경우 과채류에서 열과 및 동녹방지에는 어느 정도 효과가 있지만, 작물체 표면에 백색의 잔존물이 수확시까지 남아 있어서 작물에 농약이 묻어 있는 것과 같은 오해를 받을 수 있어서 작물의 상품성을 저하시키는 요인이 되기도 한다. 따라서 굴 껍질을 이용하여 식물체내 흡수가 용이한 액상칼슘을 개발하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원예작물에 발생되는 칼슘 결핍증은 작물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피해를 줄 뿐만 아니라 고품질, 다수확 재배에 큰 영향을 줄 수 있다.
원예작물에 공급되는 석회질비료의 종류는 소석회, 석회석, 석회고토, 부산 소석회, 부산석회, 패화석, 생석회 등이 있으며, 이러한 비료들은 토양의 pH 조절, 완충력, 식물체의 칼슘 공급 등 토양 물리성과 화학성을 개선할 목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전술한 비료들은 용해도가 극히 낮아서 토양 시비용으로는 적합하지만 엽면 살포용으로는 부적합하여 엽면 살포에는 염화칼슘, 질산칼슘, 초산칼슘, 인산칼슘, 탄산칼슘 등을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엽면 살포용 비료들은 화공약품을 주로 이용하고 있어서 약해발생의 위험이 있을 뿐만 아니라 과다한 질산염 사용에 따른 축적량 과다로 인하여 발암성물질을 유발할 위험성이 있으며 농약과 혼용이 불가능하고 가격이 비싸다는 단점이 있으며, 이러한 칼슘염들은 검증이 안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석회는 작물이 생장하기 위하여 없어서 안 될 4대 필수원소중 하나이며, 산성 토양을 개량한다. 이외에도 염기포화도의 증대, 간척지 토양의 제염, 토양중의 중금속 등 유해물질의 흡수 억제 및 피해의 경감, 미생물의 번식 촉진, 유기물의 분해촉진, 토양입자를 단립구조로 하는 등의 역할을 한다.
삭제
원예작물 뿌리로부터 흡수된 칼슘이 과실 또는 잎으로 전류되는 양상은 생육조건, 토양상태, 즉 지나친 고온, 저온, 건조, 다습, 질소과다, 인산과다, 칼륨과다 및 기상조건 등에 따라 달라진다. 칼슘의 흡수와 축적이 불량한 조건에서 칼슘 부족으로 수확 전후에 과실에서 발생하는 생리장해는 원예작물에서 크게 문제가 되고 있는 실정이다. 실제로 사과나무 재배시 석회암 지역에서도 칼슘결핍 증상이 나타나고 있다. 칼슘이 부족한 원예작물은 저장력이 떨어지게 되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칼슘염을 생장기간 동안 엽면살포(수관살포)를 하거나, 수확 후에 과실을 칼슘용액에 담가서 칼슘을 침투시키기도 한다. 이때 사용되는 칼슘염은 주로 염화칼슘, 탄산칼슘, 질산칼슘 및 수산화칼슘 등이다. 그러나 이러한 칼슘염은 농약과 혼용하여 살포할 수가 없으며, 특히 고온기 살포시에는 약해가 발생하여 치명적인 피해를 입을 수 있다. 반면 용해성이 낮은 칼슘염은 백색의 잔존물이 수확시까지 남아 상품성을 저하시키는 요인이 된다. 질산염이 들어 있는 칼슘염은 흡수는 잘되나, 인체에 해로운 발암성 물질이 들어 있어 외국에서는 2500 ppm 이상 축적이 될 때에는 규제를 하고 있다. 또한 이러한 칼슘염은 지하수를 오염시키는 주 원인이 되기도 한다. 칼슘염을 수확된 과일의 표면에 처리하는 방법은 처리작업 도중 표피에 찰과상을 입을 가능성이 있고, 이 경우 저장중 병해 발생의 원인이 제공될 수 있어서 상품성과 저장력을 저하시키는 요인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생육기간 동안 엽면살포(수관살포)를 하는 방법이 많이 이용되고 있다.
칼슘의 토양내에서 작물체로의 이동은 중등류에 따른 매스플로우와 이온 확산에 의하여 뿌리 표면에 도달한 후에 확산 및 프리 스페이스에서의 이온교환 또는 이들의 복합작용에 의한 뿌리의 피층으로 흡수 이동이 이루어진다고 알려져 있다.
작물체 내에서 과실로의 칼슘이동은 사부를 통하여 이루어지고 일단 과실내에 들어올 때에는 목부 이동으로 전환되는데 이 위치는 나중에 탈리층이 생기는 지점이 과경의 가지에 붙어 있는 부위이며, 이동속도는 다른 무기염보다 상당히 느리다.
칼슘축적 양상은 두 시기가 있다. 제 1기는 과실발육기 및 세포 분열기에 매우 짧은 기간 지속되는데 이 시기에 총량의 90%정도를 급격히 흡수한다. 제 2기는 칼슘흡수가 매우 낮은 비율로 계속되거나 약 10% 정도가 흡수되며 생장기간 중 특히 세포비대기에는 타 조직으로 유출되기도 한다.
칼슘흡수는 이외에도 환경요인 즉 상대습도, 기온, 광도, 과실크기, 작물체 상태에 따라 흡수 정도가 다르며, 타 무기양분 원소와 생장조절제의 함량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칼슘을 엽면살포할 경우 칼슘 흡수는 주로 기공, 과점, 어린조직 등으로 흡수되어 잎, 줄기, 과실 등으로 이동 역할을 분담하게 된다.
칼슘은 흡수 이행속도가 매우 느리며, 한번 흡수된 조직에서는 다른 조직으로 이동이 거의 안되고 극성이동을 하는 특성을 지니고 있어 칼슘부족으로 나타나는 생리장해 현상이 발생한다.
현재 국내외에서 많이 사용되는 석회비료는 pH 조정 목적으로 사용되어 왔고 그 효과도 있어 토양의 물리 화학성 개선에 기여하여 온 것은 사실이다. 엽면시비용 칼슘비료는 식물체내 칼슘을 공급하기 위하여 화공약품을 사용하는바, 화공약품의 사용은 환경오염, 음용수 오염 등을 유발시키는 원인이 되고 있다. 이미 선진국에서는 비료염 사용에 있어서는 엄격히 규제하여 왔고, 사용자도 감소하고 있는 추세이다. 최근에는 화학비료염을 대체하기 위하여 많은 노력을 하고 있다.
이러한 화학염 비료의 대체물 중 하나로 탄산칼슘이 40.1∼55.5% 함유되어 있는 굴 껍질을 활용할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산업폐기물로 분류되는 굴 껍질, 일명 석화각은 미세하게 분쇄하여 산과 반응시키면 산의 종류에 따라 음이온이 다른 칼슘염이 생성된다.
본 발명자는 화학비료염을 줄이고 친환경 자재를 개발하는 과정에서 폐기물인 석화각을 산과 반응시켜 칼슘염을 포함하는 액상칼슘을 추출하고 이 추출물을 작물에 엽면살포하면 과실내 칼슘농도를 증가시켜 칼슘부족으로 나타나는 생리현상을 줄이고 저장력이 좋아진다는 사실을 발견하게 되었다.
이러한 천연 액상칼슘을 작물에 이용한 경우는 거의 없으며, 액상칼슘의 생산 방법 개발에 대한 실용적인 기술 개발도 미흡한 실정이다. 액상칼슘은 일반 화공약품의 비료염과 달리 석화각에 추출하여 얻은 물질로 환경 친화적이고 공해가 전혀 나타나지 않는다. 따라서 석화각에서 추출한 칼슘 성분을 함유하는 액상 칼슘은 종래의 작물재배 기술 중 생리장해 현상 방제 기술과 저장 기술을 발전시킬 수 있다는데 착안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주요 원예작물 재배시 발생되는 칼슘부족 현상 방지 및 병해 등과 저장중 과실의 저장력을 향상시켜 고품질의 안전한 농산물을 생산하고 생산비를 절감하여 고소득을 올릴 수 있는 인체에 무해하고 환경 친화적인 기능성 액상 칼슘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기능성 조성물을 농약과 함께 엽면 살포하여 작물체에서 발생되는 칼슘결핍증을 방지하고 병해를 경감시켜 작물을 보호하며, 농약의 사용량을 현저히 줄이고 노동력을 절감할 수 있도록 농약과 혼용살포하는 전술한 조성물의 처리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석화각을 산과 반응시켜 추출한 칼슘 성분을 함유하는 액상 칼슘 조성물에 의하여 달성된다.
본 발명은 미세한 석화각 분말을 산 반응시켜 추출한 추출물 80∼95중량%, 계면활성제인 크산탄 검(Xanthan Gum)1.0∼0.05중량%, 소포제인 실리콘 오일 0.05∼0.005중량% 및 나머지 물로 조성된 칼슘 성분을 포함하는 액상 칼슘 조성물로 구성된다.본 발명에 사용되는 크산탄 검은 분자량이 4×106인 다당류로서 점성을 갖고있으며, 계면활성을 갖고 있어서 계면활성제로 사용되며 칼슘성분이 엽과 과실의 표면에 고착되도록 하는 역활을 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원예작물 재배시 처리하면 칼슘부족으로 나타나는 생리장해 현상 방지 및 병해 발생을 예방하고, 저장력을 증진시키며, 농약과 혼용 살포할 수 있어서 농약과 혼용 살포하는 경우 농약사용량을 줄일 수 있으며, 생산비를 절감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전술한 액상 칼슘 조성물을 얻기 위하여 폐기된 석화각을 깨끗이 세척 건조하여 미세하게 분쇄한 후 10∼30중량%의 산용액이 들어있는 반응조에 교반하면서 서서히 분쇄물을 넣는후 pH가 4∼5&가 될때까지 반응 시킨다. 반응시간은 분쇄정도에 따라 다르나 12∼24시간 소요된다. 추출물을 여과기를 이용 여과한 후 크산탄 검을 반응액 중량을 기준으로 0.05∼1중량% 범위로 첨가 혼합하여 교반하고, 소포제인 실리콘 오일 0.05∼0.005중량% 첨가하고 여과하여 액상으로 형성된 칼슘으로 원예작물 재배시 칼슘부족으로 나타나는 생리장해 방지용 조성물을 얻을 수 있다. 전술한 석화각과 반응시키는 산으로는 염산, 황산, 질산, 구연산, 초산, 젓산, 능금산, 글루콘산 등을 사용한다. 이러한 산을 10∼35중량%의 농도로 사용하는바, 무기산은 10∼15중량%의 농도 범위를 사용하고 유기산은 20∼35중량%의 농도 범위를 사용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원예작물의 노지재배, 시설재배, 수경재배, 관비재배 등에 사용하는데 적합하도록 조성되었다. 따라서 상기 조성물로 원예작물을 재배하는 방법도 본 발명을 구성한다. 본 발명에 의한 액상칼슘 조성물은 상기 재배방법에 이용할 경우 화학비료와 달리 환경 오염 및 토양 잔류성이 없으면서 효과가 우수한 장점을 갖추고 있다.
본 발명의 칼슘 함유 추출물로는 굴 껍질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있고 조개껍질, 가리비 껍질, 게 껍질, 새우껍질, 계란 껍질 등과 함께 사용할 수도 있다. 반응시 사용되는 산으로는 염산, 황산, 인산, 질산, 구연산, 초산, 젖산, 능금산, 글루콘산 등이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전술한 석화각 추출물과 함께 소포제인 실리콘 오일과 계면활성제인 크산탄 검을 포함한다. 계면활성제는 전술한 성분 외에 유기 점착제 및 표면장력 강하제를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투명갈색 또는 암갈색의 액상칼슘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원예작물에 처리할 때는 물로 100배에서 3000배까지 희석하여 작물의 지상부 또는 지하부에 살포한다. 본 조성물은 식물체의 칼슘 함량을 증가시켜 주어 자기 방어 능력을 향상시키는 작용을 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원예작물 생육기간 동안 처리하면 잎, 기공, 어린조직, 표면조직을 통하여 흡수되어 수확시에 세포막조직에 도달하고 칼슘펙테이트를 형성하여 호흡량 및 에틸렌 생성량을 줄이고, 세포벽 분해효소의 발생을 억제하여 결국 연화작용 및 노화작용을 억제하게 된다. 따라서 저장동안 신선한 과실을 오래 유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원예작물에 엽면 살포할 경우 잎, 수피, 과피, 과육조직의 칼슘함량을 증대시키고, 칼슘부족으로 나타나는 생리장해 현상인 사과의 고두병, 배꼽부근 괴사현상, 콕스포트, 밀병, 내부갈변, 열과 및 낙과; 배의 배꼽부근 바람들이 현상과 엽소현상; 복숭아의 바람들이 현상, 엽소현상 및 봉합선 이상발육현상; 단감의 과정부 갈변현상, 과피흑변, 녹반현상, 고추 및 토마토의 배꼽썩음병, 참외 및 멜론의 발효과, 오이의 갈색 심부과 등의 방지에 효과가 우수하다. 또한 병에 대한 내성을 증가시키고 방제 효과를 나타내어 예를 들면 사과의 겹무늬썩음병, 갈색무늬병, 점무늬낙엽병 등에 대한 방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농약과 함께 살포할 수 있어서, 농약의 살포량 및 횟수를 줄일 수 있고 농약살포시 첨가할 경우 전착제가 필요 없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칼슘이 다량 함유된 원예작물을 공급할 수 있는 간접적인 효과가 있어 성인병 예방에 효과가 있는 작물을 얻을 수 있으며, 생산비가 저렴하여 원예작물의 생산비를 현저히 줄일 수 있고, 토양오염, 지하수오염, 인체에 대한 독성, 어독성, 생태계 파괴가 나타나지 않게 된다.
이하 실시 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실시예〕
액상칼슘의 조성물 제조
표 1에 기재된 화합물들을 배합하여 액상칼슘의 조성물을 얻는다.
[표 1] 조성물의 배합비료
물성시험
[표 2] 조성물의 물성
색 깔 pH(1%수용액) 칼슘 함량(%) 비중(15℃) 수용성
암갈색 ∼ 갈색 5.0±5 15.0±3.0 1.35±0.05 우수
조성물의 색, 비중, pH, 수용성 칼슘 함량을 조사한 결과는 표 2와 같다. 이론치와 비슷하게 칼슘 함량이 나타났다.
재배시험
[표 3] 원예작물에서 조성물의 엽면살포가 부위별 칼슘함량에 미치는 영향
작 물 처 리 잎(%) 과피(ppm/%) 과육(ppm)
고추(이천년) 신규조성물 1.90a - 709a
무처리 1.52b - 635b
참외(금싸라기) 신규조성물 4.75a 0.675a 37.5a
무처리 4.23b 0.673 30.3b
딸기(여홍) 신규조성물 2.15a - 120.6a
무처리 1.66b - 80.1b
상추(청치마) 신규조성물 0.91a - -
무처리 0.86b - -
시금치(파로그) 신규조성물 0.30a - -
무처리 0.24b - -
배(신고) 신규조성물 1.73a 561a 69.4a
무처리 1.56b 464b 59.9b
단감(부유) 신규조성물 1.84a 1.05a 715a
무처리 1.63b 0.99b 678b
사과(후지) 신규조성물 1.14a 0.068a 160a
무처리 0.97b 0.054b 128b
포도(거봉) 신규조성물 1.73a 749 -
무처리 1.52b 725 -
*(): 품종임.
**살포횟수: 작물에 따라 다르나 2∼4회 살포.
***통계처리: RCB DMRT, 5%.
표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고추 외 8개 작물에서 엽면살포 후 잎, 과피, 과육의 칼슘함량이 현저히 높았다.
[표 4] 채소작물에서 조성물의 엽면살포가 수량에 미치는 영향
처 리 상추(㎏/10a) 시금치(㎏/10a) 풋고추(㎏/10a) 건고추(㎏/10a)
신규조성물 450(110.8) 1,455(110.1) 2,890(108.5) 714(109.3)
무처리 406(100) 1,322(100) 2,662(100) 653(100)
*(): 지수임
**상추:청치마, 시금치:파로그, 고추: 금탑
표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무처리에 비하여 상추 10.8%, 시금치 10.1%, 풋고추 8.5%, 건고추 9.3%를 수량 증대 시킬 수 있었다.
[표 5] 채소작물에서 조성물의 엽면살포가 칼슘부족으로 나타나는 생리장해 발생에 미치는 영향
처 리 참외발효과(%) 참외과피오점과(%) 상추팁번(%) 고추배꼽썩음과(%)
신규조성물 48.3 8.6 7.4 2.3
무처리 85.9* 15.7* 9.5 13.2*
*품종: 참외;금싸라기, 상추;청치마, 고추;금탑
**통계처리: t-test, 5%
[표 6] 과수작물에서 조성물의 엽면살포가 생리장해 발생에 미치는 영향
처 리 고두병(%) 열과(%) 낙과(%) 겹무늬썩음병(%) 녹반과(%) 과정부갈변과(%)
사과쓰가루 신규조성물 - 4.1 15.4 - - -
무처리 - 13.1* 43.6* - - -
사과조나골드 신규조성물 5.2 - - - - -
무처리 14.9* - - - - -
사과후지 신규조성물 2.9 - - 3.7 - -
무처리 17.6* - - 11.3* - -
단감부유 신규조성물 - - - - 4.6 24.7
무처리 - - - - 14.8* 50.8*
*통계처리: t-test, 5%
** 발생율=이병과수/총과수×100
5와 표 6은 채소작물과 과수작물에 신규 조성물을 엽면살포한 후 생리장해를 조사한 결과, 참외의 발효과 및 과피오점과는 44∼45%, 상추의 팁번은 19%, 고추의 배꼽썩음과는 82.5%, 사과의 고두병은 64∼84%, 열과는 69%, 낙과는 65%, 겹무늬썩음병은 67%, 단감의 녹반과는 69%, 과정부갈변과는 51% 줄일 수 있었다.
표 7] 배나무에서 조성물의 엽면살포에 따른 낙엽율에 미치는 영향
처 리 전 체(%) 신초잎(%) 과총잎(%)
조성물 4회 살포 8.8b 9.0 7.2c
조성물 2회 살포 9.9b 9.5 11.0bc
조성물 1회 살포 11.5ab 10.9 13.3b
무 처 리 13.2a 11.2 `19.8a
*품종: 행수
**통계처리: RCB DMRT, 5%
표 7은 배나무에서 조성물 엽면살포 횟수별 낙엽율을 조사한 결과, 4회 살포가 가장 효과가 좋았으며 신초잎 보다 과총잎이 효과적 이었다. 낙엽율을 33∼36% 줄일 수 있었다.
[표 8] 조성물 엽면살포에 따른 수확시 과실 품질에 미치는 영향
처 리 과중(g) 경도(㎏) 당도(%) 산도(%)
딸기(여홍) 조성물 13.6 0.49* 11.8 -
무처리 16.9 0.39 10.8 -
사과(후지) 조성물 299 1.69* 15.4 0.23
무처리 286 1.57 14.9 0.23
배(신고) 조성물 841 1.09* 11.0 0.09
무처리 825 0.91 11.2 0.08
단감(부유) 조성물 - 2.98* 13.7 -
무처리 - 2.65 14.5 -
*통계처리; t-test, 5%
8의 조성물 엽면살포에 따른 수확시 과실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보면,과중,당도,산도에는 큰 차이가 없었으나, 과실 경도는 현저한 차이를 보여 과실의 견고성을 높혀 저장력을 높일 수 있었다.
[표 9] 사과에서 조성물 엽면살표에 따른 저장동안 과실의 생리적인 변화
처 리 저장 후 일수
0 10 20 30 60 90 120
과육칼슘 조성물 - 197* 265* 255 - - -
무처리 - 177 248 251 - - -
세포벽칼슘 조성물 602* - - 637* 451 504* -
무처리 437 - - 476 430 303 -
펙틴 조성물 224* - - 268* 266 - 249*
무처리 188 - - 228 256 - 190
에틸렌 조성물 - 56.5 73.9 87.1 - - -
무처리 4.1 41.6 82.1* 93.0* - - -
이산화탄소 조성물 - 565 93.0* 467 - - -
무처리 472 611* 87.1 572* - - -
*통계처리; t-test, 5%
9는 사과에서 조성물을 엽면살포한 다음 수확 저장하여 과실의 생리변화를 본 결과 과육 및 세포벽의 칼슘함량, 펙틴함량이 유지되었고, 에틸렌 및 이산화탄소 발생량을 줄일 수 있었다.
무처리과 조성물처리과 무처리과 조성물처리과
▷수확시 세포벽 중층(ML)의 용해정도 저장 120일 후 세포벽 중층(ML)의 용해정도
*배품종: 금풍 *사과품종: 후지
배와 사과에 신규조성물을 엽면살포하여 수확시 및 저장 120일에 전자현미경으로 세포벽을 관찰한 결과, 흡수된 칼슘이 유지되면서 세포벽 중층의 붕괴가 되지 않아 저장력을 증진시킬 수 있었다.

Claims (6)

  1. 원예작물의 생리장해 방지용 조성물에 있어서,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석화각에서 추출한 추출물 80∼95중량%을 소포제인 실리콘 오일 0.05∼0.005중량%과크산탄 검 1.0%∼0.05중량%을 나머지 부분의 물과 혼합하여서 된 칼슘 성분을 함유하는 액상 칼슘 조성물.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석화각 추출물이 석화각 분말을 염산, 황산, 인산, 질산, 구연산, 초산, 젖산, 능금산, 글루콘산 중에서 선택한 산과 반응시켜 생성한 반응물로부터 얻어진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전술한 조성물이 총중량을 기준으로 굴 껍질을 산 처리하여 추출한 추출물 95.0중량%, 실리콘 오일 0.05중량%, 크산탄 검 1.0중량%, 물 3.95%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6. 제1항 내지 5항에 기제된 조성물을 물로 10배 내지 3000배로 희석하여 농약과 함께 재배 중의 원예작물의 지상부 및 지하부에 처리함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원예작물의 칼슘 부족현상 방지 방법.
KR10-2001-0083875A 2001-12-24 2001-12-24 석화각에서 추출한 칼슘 성분을 함유하는 액상칼슘 조성물및 그 이용방법 KR1004915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83875A KR100491554B1 (ko) 2001-12-24 2001-12-24 석화각에서 추출한 칼슘 성분을 함유하는 액상칼슘 조성물및 그 이용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83875A KR100491554B1 (ko) 2001-12-24 2001-12-24 석화각에서 추출한 칼슘 성분을 함유하는 액상칼슘 조성물및 그 이용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53852A KR20030053852A (ko) 2003-07-02
KR100491554B1 true KR100491554B1 (ko) 2005-05-31

Family

ID=322125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83875A KR100491554B1 (ko) 2001-12-24 2001-12-24 석화각에서 추출한 칼슘 성분을 함유하는 액상칼슘 조성물및 그 이용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9155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5554B1 (ko) 2007-09-28 2008-01-21 문병우 과실류의 열과 방지 및 병 방제용 조성물
KR100933724B1 (ko) * 2007-10-02 2009-12-24 서정근 화훼류 선도 유지 및 병 방제용 코팅 전처리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7487B1 (ko) * 2012-01-31 2014-02-10 문경시 사과의 동녹 방지용 조성물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70165A (en) * 1981-04-13 1982-10-20 Akira Nakajima Active calcium fortifier
KR910004857A (ko) * 1989-08-26 1991-03-29 이시자와 가즈아사 이수축혼섬사의 제법, 이에 사용되는 보조장치 및 방사헤드
JPH06319487A (ja) * 1993-05-10 1994-11-22 Morio Tokoro 液体カルシウムとその製造方法
KR960001421A (ko) * 1994-06-27 1996-01-25 엄재풍 자동차 엔진 및 산업용 연소기의 대기오염 및 소음방지 시스템
KR960017512A (ko) * 1994-11-30 1996-06-17 임한진 게. 새우 껍질로부터 칼슘 회수 방법
KR19990015741A (ko) * 1997-08-09 1999-03-05 김세권 키토산 올리고당을 함유하는 굴 껍질 유래의 칼슘 제제
KR20010078832A (ko) * 2001-04-12 2001-08-22 조남수 패각류 껍질을 이용한 젖산칼슘의 제조방법
KR20010098992A (ko) * 2001-07-30 2001-11-09 박성식 석회석 또는 패각류를 이용한 수소구연산칼슘과구연산칼슘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70165A (en) * 1981-04-13 1982-10-20 Akira Nakajima Active calcium fortifier
KR910004857A (ko) * 1989-08-26 1991-03-29 이시자와 가즈아사 이수축혼섬사의 제법, 이에 사용되는 보조장치 및 방사헤드
JPH06319487A (ja) * 1993-05-10 1994-11-22 Morio Tokoro 液体カルシウムとその製造方法
KR960001421A (ko) * 1994-06-27 1996-01-25 엄재풍 자동차 엔진 및 산업용 연소기의 대기오염 및 소음방지 시스템
KR960017512A (ko) * 1994-11-30 1996-06-17 임한진 게. 새우 껍질로부터 칼슘 회수 방법
KR19990015741A (ko) * 1997-08-09 1999-03-05 김세권 키토산 올리고당을 함유하는 굴 껍질 유래의 칼슘 제제
KR20010078832A (ko) * 2001-04-12 2001-08-22 조남수 패각류 껍질을 이용한 젖산칼슘의 제조방법
KR20010098992A (ko) * 2001-07-30 2001-11-09 박성식 석회석 또는 패각류를 이용한 수소구연산칼슘과구연산칼슘 제조 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한국원예학회지 Vol.40(5) pp.571-573, 1999, 동일 출원인 발표논문 *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5554B1 (ko) 2007-09-28 2008-01-21 문병우 과실류의 열과 방지 및 병 방제용 조성물
KR100933724B1 (ko) * 2007-10-02 2009-12-24 서정근 화훼류 선도 유지 및 병 방제용 코팅 전처리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53852A (ko) 2003-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ilson et al. Alley cropping: trees as sources of green-manure and mulch in the tropics
KR100779756B1 (ko) 해조류 부산물을 이용한 농업용 육묘상토 제조방법
KR100741818B1 (ko) 항진균성 유기농 상토 조성물 및 제조방법
KR101482038B1 (ko) 유황비료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유황비료
Naik et al. Feasibility of organic farming in guava (Psidium guajava L.)
CN106358671B (zh) 非洲菊的种植方法
Franco et al. Effect of two irrigation rates on yield, incidence of blossom-end rot, mineral content and free amino acid levels in tomato cultivated under drip irrigation using saline water
Hajrasuliha Accumulation and toxicity of chloride in bean plants
CN109121952A (zh) 综合防治柑橘黄龙病的种植方法
KR100698282B1 (ko) 천기토를 함유하는 비료 조성물
KR100444653B1 (ko) 셀레늄이 함유된 고칼슘 미나리의 재배방법
US3712803A (en) Composition and method for treating plants and trees
CN105175188B (zh) 一种黄腐酸钙镁肥料的制备方法
KR100491554B1 (ko) 석화각에서 추출한 칼슘 성분을 함유하는 액상칼슘 조성물및 그 이용방법
KR100865032B1 (ko) 가축 분뇨를 이용한 친환경 기능성 유기질 비료 제조제
Hasan et al. Effect of soil coverage with organic mulching and spraying with seaweed extract on some vegetative and productive traits of cucumber grown in greenhouses
JP2001302426A (ja) 抗菌性植物活性剤
KR102094460B1 (ko) 숯분말, 풀빅산 및 미생물제제를 포함하는 염류장해 방지용 뿌리작물 영양제 및 그 제조방법
KR100433785B1 (ko) 불가사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식물영양제 및 유기질 비료및 이들의 제조방법
KR100496529B1 (ko) 잔디 영양제 및 그 제조방법
KR101722422B1 (ko) 토양개량제 조성물
JP2023525361A (ja) カルシウム系ベントナイト及びそれを含む土壌改善剤
Ismail et al. Improving fruit cracking resistance of wonderful pomegranates
RU2348148C1 (ru) Субстрат для выращивания растений в защищенном грунте
Fleurence Algae in Agrobiology: Realities and Perspectiv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7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6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0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9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