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11125A - 데크플레이트를 이용한 거푸집 시스템 - Google Patents

데크플레이트를 이용한 거푸집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11125A
KR20210111125A KR1020200026235A KR20200026235A KR20210111125A KR 20210111125 A KR20210111125 A KR 20210111125A KR 1020200026235 A KR1020200026235 A KR 1020200026235A KR 20200026235 A KR20200026235 A KR 20200026235A KR 20210111125 A KR20210111125 A KR 202101111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ck plate
formwork
unit
stirrup
wid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62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57056B1 (ko
Inventor
우선애
Original Assignee
우선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선애 filed Critical 우선애
Priority to KR10202000262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7056B1/ko
Publication of KR202101111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111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70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70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3/00Falsework, forms, or shutterings for particular parts of buildings, e.g. stairs, steps, cornices, balconies foundations, sills
    • E04G13/04Falsework, forms, or shutterings for particular parts of buildings, e.g. stairs, steps, cornices, balconies foundations, sills for lintels, beams, or transoms to be encased separately; Special tying or clamping mean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00Bending sheet metal along straight lines, e.g. to form simple curves
    • B21D5/06Bending sheet metal along straight lines, e.g. to form simple curves by drawing procedure making use of dies or forming-rollers, e.g. making profiles
    • B21D5/08Bending sheet metal along straight lines, e.g. to form simple curves by drawing procedure making use of dies or forming-rollers, e.g. making profiles making use of forming-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PLANING; SLOTTING; SHEARING; BROACHING; SAWING; FILING; SCRAPING; LIKE OPERATIONS FOR WORKING METAL BY REMOVING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3/00Planing or slotting machines cutting by relative movement of the tool and workpiece in a vertical or inclined straight line
    • B23D3/02Planing or slotting machines cutting by relative movement of the tool and workpiece in a vertical or inclined straight line for cutting groo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3/00Specially-profiled edge portions of workpieces for making soldering or welding connections; Filling the seams formed thereby
    • B23K33/002Crimping or bending the workpieces at the joining area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01Reinforcing elements of metal, e.g. with non-structural coat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장에서 제조된 데크플레이트를 가공하여 시공이 간편하고 시공인력을 절감할 수 있으며 안전성이 향상된 거푸집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일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는 돌기부를 가지며 일정 단위 폭을 가지는 데크플레이트를 원하는 보의 높이와 보의 폭 만큼 단위 길이로 절단하여 형성되는 단위 데크 플레이트를 복수 개 연결하여 형성하고, 절단된 상기 단위 데크플레이트를 길이 방향에서 보의 높이와 보의 폭에 해당하는 위치에서 상기 데크플레이트의 하단으로부터 상기 데크플레이트의 상기 돌기부의 꺾임돌기 하단까지 컷팅한 후 절곡하여 거푸집의 바닥부와 벽 부를 형성하여 이루어지며, 데크플레이트를 이용하여 별도의 부재 없이도 컷팅 및 절곡하여 보 거푸집을 제작함으로써, 시공이 간편하고 시공인력을 절감할 수 있으며, 보 거푸집 설치시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으므로 안전성이 향상될 수 있고, 공장에서 제작되는 일정 규격의 데크플레이트를 이용하여 보 거푸집을 제작하면서도 구조물에 소요되는 보의 폭과 높이에 따라 다양한 폭과 높이를 가질 수 있는 거푸집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데크플레이트를 이용한 거푸집 시스템{GIRDER FORM SYSTEM USING DECKPLATE}
본 발명은 거푸집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공장에서 제조된 데크플레이트를 가공하여 시공이 간편하고 시공인력을 절감할 수 있으며 안전성이 향상된 거푸집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이나 철골철근콘크리트 구조물 등의 라멘 구조에서는 슬래브(slab)에 가해지는 하중을 보(beam)나 거더(girder) 등의 지지부재에 전달한다. 이러한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을 시공하기 위해서는 기둥을 설치하고, 각각의 기둥은 보로 연결한 후, 보 사이에 슬라브를 설치하게 된다.
최근 건축물의 시공에 있어서, 현장에서의 인력이 부족하고 인력관리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시공시의 안전사고의 발생을 줄이기 위해 인력을 절감하기 위한 기술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종래에는 슬라브의 시공의 경우, 시스템 거푸집이나 와플 폼 등의 거푸집을 이용하여 시공인력을 절감하고 경제적인 기술이 제안되고 있다. 이러한 노력의 일환으로 보 거푸집의 경우에도 프리캐스트 보가 제안되고 있으나, 중량이 무거운 프리캐스트 보의 경우 미리 공장에서 제작하여야 할 뿐만 아니라 양중에 소요되는 장비가 대형화되어야 하며, 가격이 비싼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보 거푸집으로서 시공인력을 적게 필요로 할 뿐만 아니라 제작이 용이하고 현장에서의 설치가 간편한 보 거푸집이 필요한 실정이다.
한국특허 제 10-1677150호(보 거푸집 유격 마감용 시스템 폼)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공장에서 미리 제조되어 시판되는 데크플레이트를 이용하여 간단한 가공만으로도 제조할 수 있고 시공이 간편하고 시공인력을 절감할 수 있으며 안전성이 향상된 거푸집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데크 플레이트를 이용하여 거푸집을 제작하면서도 구조물에 소요되는 보의 폭과 높이에 따라 다양한 폭과 높이를 가질 수 있는 거푸집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데크플레이트를 이용한 거푸집 시스템은, 일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는 돌기부를 가지며 일정 단위 폭을 가지는 데크플레이트를 원하는 보의 높이와 보의 폭 만큼 단위 길이로 절단하여 형성되는 단위 데크 플레이트를 복수 개 연결하여 형성하고, 절단된 상기 단위 데크플레이트를 길이 방향에서 보의 높이와 보의 폭에 해당하는 위치에서 상기 데크플레이트의 하단으로부터 상기 데크플레이트의 상기 돌기부의 꺾임돌기 하단까지 컷팅한 후 절곡하여 거푸집의 바닥부와 벽 부를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컷팅된 상기 거푸집의 하단 모서리에는 지지앵글이 체결되며, 상기 지지앵글은 L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컷팅된 상기 거푸집의 상기 바닥부 및 상기 벽부와 오버랩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지지앵글은 끝단에서 접혀지도록 절곡되고 상기 거푸집의 상기 바닥부 및 상기 벽부에 용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벽부의 끝단부분에는 상기 데크플레이트의 바닥부분을 제거한 후 절곡하여 스터럽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스터럽부는 상기 데크플레이트의 폭방향의 양측 끝단에서 상기 데크플레이트의 상기 돌기부 사이의 상기 데크플레이트의 바닥부분과, 상기 돌기부의 꺽임돌기 하단까지의 부분을 절개하고 제거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벽부의 상부끝단에는 슬래브 연결앵글을 구비하며, 상기 슬래브 연결앵글은 기다란 플레이트를 복수회 절곡하여 형성되며, 슬래브 거푸집의 끝단을 지지하는 슬래브 거푸집 지지부와, 상기 벽부에 맞닿아 체결되는 체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체결부는 끝단부분에서 접혀지도록 절곡되고 상기 벽부에 용접되며, 상기 슬래브 거푸집 지지부의 내측끝단은 상기 벽부의 내측 상부끝단을 감싸도록 절곡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데크플레이트를 이용한 거푸집 시스템은, 일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는 돌기부를 가지며 일정 단위 폭을 가지는 데크플레이트를 원하는 보의 높이와 보의 폭 만큼 단위 길이로 절단하여 형성되는 단위 데크 플레이트를 복수 개 연결하여 형성하고, 절단된 상기 단위 데크플레이트를 길이 방향에서 보의 높이와 보의 폭에 해당하는 위치에서 상기 데크플레이트의 상단으로부터 상기 데크플레이트의 상기 돌기부를 일정 폭을 가지는 컷팅롤러에 의해 일정 깊이까지 컷팅한 후 가압롤러에 의해 가압하여 내측절곡부를 형성한 후 절곡하여 거푸집의 바닥부와 벽 부를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가압롤러는 외주면에 경사부를 가지고 외주면 중앙부에 가압첨단을 가지도록 구성되어 상기 돌기부를 가압할 때에 상기 내측절곡부에 경사면과 절곡첨단을 형성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컷팅된 상기 거푸집의 하단 내측 모서리에는 내부 지지앵글이 체결되며, 상기 내부 지지앵글은 L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컷팅된 상기 거푸집의 상기 바닥부 및 상기 벽부와 오버랩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전단력을 받는 보의 길이방향의 단부에 배치되며 상기 거푸집 내부에 설치되는 추가 스터럽부를 구비하며, 상기 추가 스터럽부는 일정 길이만큼 미리 제조되고 복수개가 적층될 수 있는 스터럽 유닛으로 구성되며, 상기 스터럽 유닛은 일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U자형 스터럽 철근과, 복수의 상기 U자형 스터럽 철근을 가로질러 배치되고 상기 거푸집의 상기 돌기부에 맞닿도록 배치되는 하부 연결철선과, 상기 U자형 스터럽 철근의 상부를 가로질러 배치되는 상부 연결철선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상부연결철선은 상기 U자형 스터럽 철근의 상부 끝단 절곡부분의 외측 하부에 위치하고, 상기 하부 연결철선은 상기 U자형 스터럽 철근의 하부 모서리부분으로부터 일정 거리만큼의 위치에 배치되되 상기 U자형 스터럽 철근의 상부 끝단 절곡부분의 길이보다 큰 거리를 갖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데크플레이트를 이용한 거푸집 시스템에 의하면, 데크플레이트를 이용하여 별도의 부재 없이도 컷팅 및 절곡하여 보 거푸집을 제작함으로써, 유로폼이나 목재로 인력에 의해 일일이 보 거푸집을 설치하는 종래 기술에 비하여 시공이 간편하고 시공인력을 절감할 수 있으며, 보 거푸집 설치시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으므로 안전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공장에서 제작되는 일정 규격의 데크플레이트를 이용하여 보 거푸집을 제작하면서도 구조물에 소요되는 보의 폭과 높이에 따라 다양한 폭과 높이를 가질 수 있는 거푸집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데크플레이트의 돌기부를 스터럽으로 이용할 수 있고, 상기 돌기부에 의해 보의 하부 철근을 배치할 때에 용이하게 피복두께를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보의 설치시 시공이 간편하고 소요되는 인력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스터럽 유닛을 미리 제조하고 복수개를 적층하여 운반 및 보관할 수 있으므로, 설치 및 보관에 소요되는 인력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단위 데크플레이트를 이용하여 거푸집으로 구성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2는 복수의 단위 데크플레이트를 연결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해 데크플레이트를 컷팅 및 절곡하여 거푸집을 형성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도 3의 A부분을 절곡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3에 의해 형성된 거푸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5의 단면도이다.
도 7a 내지 도 7d은 본 발명에 의해 데크플레이트를 컷팅 및 절곡하여 형성되는 스터럽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스터럽부를 형성한 거푸집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해 데크플레이트를 이용한 거푸집을 제조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거푸집의 하단부 및 내부 지지앵글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1a 내지 도 11e는 본 발명에 의한 추가 스터럽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데크플레이트를 이용한 거푸집 시스템에 대하여 실시예로써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거푸집(1)은 데크플레이트(10)를 이용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거푸집은 보 또는 거더 형성용 거푸집인 것을 예로 하며, 상기 거푸집(1)은 기둥과 기둥 사이에 설치되는 것을 예로 하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보와 보 사이에 마련되는 서브 보의 보 거푸집으로 설치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상기 거푸집(1)은 일정 단위 폭(w)을 가지는 데크플레이트를 이용하여 형성된다. 일반적으로 데크플레이트는 일정한 폭의 강판을 접어서 제작하므로 보의 단면크기에 따른 변화를 수용하기 어렵다. 그러므로 데크플레이트의 길이방향과 보의 길이방향을 일치하게 하지 않고 데크플레이트의 길이로 보 단면크기에 대응하고 일정폭을 갖는 데크플레이트를 복수개 설치하여 보 길이에 근접하게 제작한 후 연결부에서 세부길이를 맞추는 방법으로 구성한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거푸집(1)은 일정 단위 폭(w)을 가지는 데크플레이트를 원하는 길이(L)만큼 절단하여 이를 단위 길이로써 사용한다. 상기 길이(L)는 거푸집의 벽부가 되는 보의 높이(a, c)와 거푸집의 바닥부가 되는 보의 폭(b)을 합한 길이에 상응한다. 이로써, 공장에서 제작되는 데크플레이트 등 일정한 폭을 가지는 데크플레이트를 이용하여 보 거푸집을 제작하면서도 구조물에 소요되는 보의 폭과 높이에 따라 다양한 폭과 높이를 가질 수 있는 데크플레이트를 이용한 보 거푸집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일정 폭(w)을 가지며 단위 길이 L만큼 절단된 데크플레이트를 접어서 형성된 데크플레이트(10)는 복수 개 연결하여 형성된다. 이 때, 보의 길이(l)은 일정 폭 w를 복수 개 연결하여 n x w에 상응하는 길이가 된다.
상기 데크플레이트(10)는 바닥플레이트(11)와, 상기 바닥플레이트(11)로부터 상부로 세워설치되는 돌기부(12)를 가지며, 상기 돌기부(12)는 상부 끝단에서 다시 절곡되어 꺽임돌기를 형성하여 상기 꺽임돌기가 인접한 데크플레이트의 꺽임돌기를 감싸도록 하여 서로 인접한 단위 데크플레이트가 체결되거나 점 용접되어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이로써,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위 데크플레이트를 복수 개 연결하여 기둥과 기둥 사이를 연결하는 원하는 길이의 보 거푸집을 조립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거푸집은 상기 데크플레이트(10)를 하부로부터, 즉 상기 데크플레이트의 상기 바닥플레이트측으로부터 상기 꺽임돌기를 향하여 컷팅하고 절곡하여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데프플레이트(10)의 일정위치에서, 즉 보의 높이(a, c)와 보의 폭(b)을 고려한 위치에서 상기 데크플레이트의 하부로부터 상부를 향하여 컷팅라인 C1을 따라 컷팅한다. 이 때, 상기 돌기부(12)의 상기 꺽임돌기의 바로 아래부분까지만 컷팅한다. 그런 다음, 컷팅된 부분에서 도 3의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상부를 향하여 절곡하여, 도 4a에 나타낸 바와 같이, 거푸집의 바닥부와 벽 부를 형성한다.
절곡되어 형성된 상기 거푸집에서 상기 데크플레이트의 바닥플레이트는 상기 거푸집의 바닥부와 벽부의 면을 형성하고, 상기 돌기부(12)는 상기 거푸집의 스터럽바의 기능을 수행함과 동시에 상부에 배치되는 철근에 대하여 스페이서로서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보의 하부 철근을 배치할 때에 용이하게 피복두께를 확보할 수 있고 보의 설치시 시공이 간편하고 소요되는 인력을 절감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컷팅된 상기 거푸집의 하단 모서리에는 지지앵글(20)이 체결된다. 상기 지지앵글(20)은 L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컷팅된 상기 거푸집의 상기 바닥부 및 상기 벽부와 오버랩되게 배치되어, 상기 데크플레이트의 컷팅되어 절곡된 부분을 보호함과 동시에 보에 작용하는 처짐 하중에 대하여 보강한다. 상기 지지앵글(20)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거푸집의 길이방향을 따라 기다랗게 형성된다.
상기 지지앵글(20)은, 도 4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거푸집의 상기 바닥부 및 상기 벽부와 체결되는 부분에서 끝단에서 접혀지도록 절곡되어 접힘부(20a)를 형성한다. 상기 지지앵글(20)은 상기 접힘부(20a)에서 상기 거푸집의 상기 바닥부 및 상기 벽부에 용접 등의 방법에 의해 체결된다. 상기 접힘부(20a)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거푸집에 콘크리트를 타설할 때에, 시멘트 페이스트가 상기 거푸집의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부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벽부의 상부끝단에는 슬래브 연결앵글(30)을 설치한다. 상기 슬래브 연결앵글(30)은 상기 보의 상단에 일체로 형성되는 슬래브를 시공하기 위한 슬래브 거푸집이 얹혀 놓여져서 지지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슬래브 연결앵글(30)은 기다란 플레이트를 복수회 절곡하여 형성된다.
상기 슬래브 연결앵글(30)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슬래브 거푸집 지지부(32a)와, 체결부(32b)를 포함한다.
상기 슬래브 거푸집 지지부(32a)의 상부면에는 상부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슬래브 연결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기다랗게 돌출지지부를 설치하여, 슬래브 거푸집이 상기 돌출지지부에 집중적이고 안정적으로 접촉하게 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슬래브 거푸집에 일부 변형이 있을 경우, 면접촉시에는 접촉에 공극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 그러나, 상기 돌출지지부의 설치에 의해 슬래브 거푸집과 선접촉을 하게 되고, 선첩촉으로 인해 접촉되는 부분에 중량이 커지게 되어 공극이 발생할 가능성이 줄어들게 된다. 또한, 상기 돌출지지부에 의해 슬래브 거푸집이 맞닿아 있으므로, 슬래브에 콘크리트를 타설할 때에, 타설된 콘크리트가 공극에 의해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체결부(32b)는 상기 슬래브 거푸집 지지부(32a)로부터 하부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며, 상기 거푸집의 상기 벽부의 바깥면에 점 용접 등의 수단에 의해 체결된다.
상기 체결부(32b)는 끝단부분에서 접혀지도록 절곡되어 제 2 접힘부(32c)를 형성한다. 또한, 상기 슬래브 거푸집 지지부의 내측끝단은 절곡형성되어 내측접힘부(31)를 마련하고, 상기 내측접힘부(31)는 상기 벽부의 내측 상부끝단을 감싸도록 절곡형성된다.
한편, 도 3 및 도 7a 내지 도 7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단위 데크플레이트의 길이방향의 양 끝단부분을 제거하여 스터럽부(40)를 형성할 수 있다.
도 7a 내지 도 7d은 본 발명에 의해 데크플레이트를 컷팅 및 절곡하여 형성되는 스터럽부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 7a는 상기 데크플레이트를 길이방향에서 본 측면도, 도 7b는 그 평면도, 도 7c는 상기 데크플레이트를 폭 방향에서 본 측면도, 도 7d는 상기 스터럽부(40)를 절곡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a 내지 도 7d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스터럽부(40)는, 상기 데크플레이트의 바닥판 부분(도 7b의 D2 영역)과 상기 바닥판 부분부터 상기 돌기부의 꺽임돌기 하부까지의 부분(도 3 및 도 7a의 D1 영역), 즉 도 3 및 도 7c의 컷팅라인 C2까지를 제거하여 형성한다.
상기 D1영역과 상기 D2 영역을 제거함으로써, 상기 단위 데크플레이트의 길이방향의 양끝단에서 상기 돌기부의 꺾임부분만을 남겨놓은 상태에서,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데크플레이트를 소정의 위치에서 절곡함으로써, 일정 간격으로마련되는 상기 스터럽부(40)를 형성할 수 있다.
그런 다음, 상기 스터럽부(40)를 보 철근이나 슬라브 철근(2)을 감싸도록 절곡한다. 이 때, 상기 스터럽부(40)가 형성되는 부분에는 상기 슬래브 연결앵글(30)의 상기 내측접힘부(31)는 형성하지 않고, 상기 스터럽부(40)와 맞닿도록 형성되는 슬래브 연결앵글(30')을 형성한다.
여기서, 상기 슬래브 연결앵글(30, 30')이나 상기 지지앵글(20)은 상기 데크플레이트(10)에 점용접이나 tox접합, 레이저 용접 등의 방법에 의해 접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실시예에서는, 상기 데크플레이트(10)의 하부로부터 절개하고 절곡하여 거푸집을 형성하였으나, 도 9a 및 도 9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데크플레이트(10)를 상부로부터 절개하고 절곡하여 거푸집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단위 데크플레이트를 길이 방향에서 보의 높이와 보의 폭에 해당하는 위치에서 상기 데크플레이트(10)의 상단으로부터 상기 데크플레이트의 상기 돌기부(12)를 일정 깊이까지 컷팅하여 절곡라인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데크플레이트(10)의 바닥판으로부터 일정 높이까지를 제외한 컷팅라인 C3를 따라 상기 돌기부(12)를 상부로부터 컷팅롤러(3)에 의해 컷팅한다. 그런 다음, 도 9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압롤러(4)에 의해 가압하여 상기 돌기부를 상기 바닥판으로 가압하여, 내측절곡부를 형성한다.
이 때, 상기 가압롤러(4)는 외주면에 경사부(4a)를 가지고 외주면 중앙부에 가압첨단(4b)을 가지도록 구성되어, 상기 가압롤러(4)에 의해 상기 돌기부(12)를 가압하면, 상기 데크플레이트의 상기 내측절곡부에 경사면(12a)과 절곡첨단(12b)이형성된다.
그런 다음, 상기 내측절곡부를 형성한 후 절곡하여,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절곡첨단(12b)이 상기 거푸집의 하단 모서리를 형성하면서 상기 데크플레이트가 상기 거푸집의 바닥부와 벽 부를 형성한다.
컷팅된 상기 거푸집의 하단 내측 모서리에는 내부 지지앵글(50)이 체결된다. 상기 내부 지지앵글(50)은 상기 지지앵글(20)과 유사하게, L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컷팅된 상기 거푸집의 상기 바닥부 및 상기 벽부와 오버랩되게 배치되어 상기 거푸집의 바닥부와 벽부를 보강하고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데크플레이트(10)를 컷팅하고 절곡하여 거푸집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데크플레이트의 상기 돌기부(12)가 상기 거푸집의 스터럽바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나, 보나 거더의 끝단부분 등 전단력을 많이 받는 부분에서는 스터럽 철근을 더욱 배치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거푸집 시스템은 전단력을 받는 보의 길이방향의 단부에 배치되며 상기 거푸집 내부에 설치되는 추가 스터럽부를 더욱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추가스터럽부는, 도 11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일정 길이만큼 미리 제조되고 복수개가 적층될 수 있는 스터럽 유닛(60)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터럽 유닛(60)은 예를 들면 대략 1~1.5m 정도의 길이를 갖도록 미리 조립,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스터럽 유닛(60)은, 도 11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일정 크기의 철근을 미리 정해진 소정 위치 T에서 절곡한 U자형 스터럽 철근(61)을 복수 개 일정간격 이격되어 배치하여 마련된다.
상기 스터럽 유닛은 복수의 상기 U자형 스터럽 철근을 가로질러 배치되는 하부 연결철선(6)을 구비한다. 상기 하부 연결철선(6)은 상기 스터럽 유닛이 거푸집 내부에 배치될 때에 상기 거푸집의 상기 돌기부에 맞닿도록 배치된다.
또한, 상기 스터럽 유닛은 상기 U자형 스터럽 철근(61)의 상부를 가로질러 배치되는 상부 연결철선(61a)을 갖는다. 상기 상부 연결철선(61a)은 상기 U자형 스터럽 철근(60)의 상부 끝단 절곡부분의 외측 하부에 위치하고, 상기 하부 연결철선은 상기 U자형 스터럽 철근의 하부 모서리부분으로부터 일정 거리만큼의 위치에 배치되되 상기 U자형 스터럽 철근의 상부 끝단 절곡부분의 길이보다 큰 거리를 갖도록 배치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스터럽 유닛(60)은, 도 11e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수 개의 스터럽 유닛을 용이하게 적층할 수 있다. 상기 스터럽 유닛(60)은 상기 상부 연결철선 및 상기 하부연결철선에 의해 맞닿아 적층되므로, 상하로 상기 U자형 스터럽 철근(61)을 피해서 배치하면 되므로, 상기 U자형 스터럽 철근(61)의 간격이 200mm이고 상기 U자형 스터럽 철근(61)의 단면 직경이 10mm일 경우, 대략 19단의 적층이 가능하다.
이로써,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스터럽 유닛을 미리 제조하고 복수개를 적층하여 운반 및 보관할 수 있으므로, 설치 및 보관에 소요되는 인력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명확하게 나타내고 있는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예와 구체적인 실시예는 모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포함되는 것은 자명하다.
1 : 거푸집
10 : 데크플레이트
20 : 지지앵글
30 : 슬래브 연결앵글
40 : 스터럽부
50 : 내부지지앵글
60 : 스터럽 유닛

Claims (12)

  1. 일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는 돌기부를 가지며 일정 단위 폭을 가지는 데크플레이트를 원하는 보의 높이와 보의 폭 만큼 단위 길이로 절단하여 형성되는 단위 데크플레이트를 복수 개 연결하여 형성하고,
    절단된 상기 단위 데크플레이트를 길이 방향에서 보의 높이와 보의 폭에 해당하는 위치에서 상기 데크플레이트의 하단으로부터 상기 데크플레이트의 상기 돌기부의 꺾임돌기 하단까지 컷팅한 후 절곡하여 거푸집의 바닥부와 벽 부를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크플레이트를 이용한 거푸집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컷팅된 상기 거푸집의 하단 모서리에는 지지앵글이 체결되며,
    상기 지지앵글은 L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컷팅된 상기 거푸집의 상기 바닥부 및 상기 벽부와 오버랩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크플레이트를 이용한 거푸집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앵글은 끝단에서 접혀지도록 절곡되고 상기 거푸집의 상기 바닥부 및 상기 벽부에 용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크플레이트를 이용한 거푸집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벽부의 끝단부분에는 상기 데크플레이트의 바닥부분을 제거한 후 절곡하여 스터럽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크플레이트를 이용한 거푸집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스터럽부는 상기 데크플레이트의 폭방향의 양측 끝단에서 상기 데크플레이트의 상기 돌기부 사이의 상기 데크플레이트의 바닥부분과, 상기 돌기부의 꺽임돌기 하단까지의 부분을 절개하고 제거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크플레이트를 이용한 거푸집 시스템.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벽부의 상부끝단에는 슬래브 연결앵글을 구비하며,
    상기 슬래브 연결앵글은, 기다란 플레이트를 복수회 절곡하여 형성되며, 슬래브 거푸집의 끝단을 지지하는 슬래브 거푸집 지지부와, 상기 벽부에 맞닿아 체결되는 체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크플레이트를 이용한 거푸집 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끝단부분에서 접혀지도록 절곡되고 상기 벽부에 용접되며,
    상기 슬래브 거푸집 지지부의 내측끝단은 상기 벽부의 내측 상부끝단을 감싸도록 절곡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크플레이트를 이용한 거푸집 시스템.
  8. 일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는 돌기부를 가지며 일정 단위 폭을 가지는 데크플레이트를 원하는 보의 높이와 보의 폭 만큼 단위 길이로 절단하여 형성되는 단위 데크 플레이트를 복수 개 연결하여 형성하고,
    절단된 상기 단위 데크플레이트를 길이 방향에서 보의 높이와 보의 폭에 해당하는 위치에서 상기 데크플레이트의 상단으로부터 상기 데크플레이트의 상기 돌기부를 일정 폭을 가지는 컷팅롤러에 의해 일정 깊이까지 컷팅한 후 가압롤러에 의해 가압하여 내측절곡부를 형성한 후 절곡하여 거푸집의 바닥부와 벽 부를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크플레이트를 이용한 거푸집 시스템.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롤러는 외주면에 경사부를 가지고 외주면 중앙부에 가압첨단을 가지도록 구성되어 상기 돌기부를 가압할 때에 상기 내측절곡부에 경사면과 절곡첨단을 형성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크플레이트를 이용한 거푸집 시스템.
  10. 제 8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컷팅된 상기 거푸집의 하단 내측 모서리에는 내부 지지앵글이 체결되며,
    상기 내부 지지앵글은 L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컷팅된 상기 거푸집의 상기 바닥부 및 상기 벽부와 오버랩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크플레이트를 이용한 거푸집 시스템.
  11. 제 1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전단력을 받는 보의 길이방향의 단부에 배치되며 상기 거푸집 내부에 설치되는 추가 스터럽부를 구비하며,
    상기 추가 스터럽부는 일정 길이만큼 미리 제조되고 복수개가 적층될 수 있는 스터럽 유닛으로 구성되며,
    상기 스터럽 유닛은 일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U자형 스터럽 철근과, 복수의 상기 U자형 스터럽 철근을 가로질러 배치되고 상기 거푸집의 상기 돌기부에 맞닿도록 배치되는 하부 연결철선과, 상기 U자형 스터럽 철근의 상부를 가로질러 배치되는 상부 연결철선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크플레이트를 이용한 거푸집 시스템.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연결철선은 상기 U자형 스터럽 철근의 상부 끝단 절곡부분의 외측 하부에 위치하고,
    상기 하부 연결철선은 상기 U자형 스터럽 철근의 하부 모서리부분으로부터 일정 거리만큼의 위치에 배치되되 상기 U자형 스터럽 철근의 상부 끝단 절곡부분의 길이보다 큰 거리를 갖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크플레이트를 이용한 거푸집 시스템.

KR1020200026235A 2020-03-02 2020-03-02 데크플레이트를 이용한 거푸집 시스템 KR1023570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6235A KR102357056B1 (ko) 2020-03-02 2020-03-02 데크플레이트를 이용한 거푸집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6235A KR102357056B1 (ko) 2020-03-02 2020-03-02 데크플레이트를 이용한 거푸집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1125A true KR20210111125A (ko) 2021-09-10
KR102357056B1 KR102357056B1 (ko) 2022-01-27

Family

ID=777773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6235A KR102357056B1 (ko) 2020-03-02 2020-03-02 데크플레이트를 이용한 거푸집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5705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1077B1 (ko) * 2021-12-14 2022-07-15 주식회사 반석티브이에스 철근콘크리트 보용 일체형 강판 거푸집의 제작 방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01338A (ja) * 1992-09-18 1994-04-12 Kajima Corp 梁用型枠
JP2001073452A (ja) * 1999-09-03 2001-03-21 Shimizu Corp 打込型枠
JP2003213786A (ja) * 2002-01-22 2003-07-30 Kyo Fujiwara スラブと梁一体施工用打ち込み型枠の袖付パネルランナー
JP2009156004A (ja) * 2007-12-28 2009-07-16 Nankai Kogyo Kk コンクリート構造物製造用型枠及びその組み立て方法
KR101677150B1 (ko) 2015-04-14 2016-11-17 삼진건설(주) 보거푸집 유격 마감용 시스템 폼
KR102081028B1 (ko) * 2019-08-08 2020-02-24 (주)티케이이엔지 철근콘크리트보의 전단보강용 선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철근콘크리트보의 전단보강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01338A (ja) * 1992-09-18 1994-04-12 Kajima Corp 梁用型枠
JP2001073452A (ja) * 1999-09-03 2001-03-21 Shimizu Corp 打込型枠
JP2003213786A (ja) * 2002-01-22 2003-07-30 Kyo Fujiwara スラブと梁一体施工用打ち込み型枠の袖付パネルランナー
JP2009156004A (ja) * 2007-12-28 2009-07-16 Nankai Kogyo Kk コンクリート構造物製造用型枠及びその組み立て方法
KR101677150B1 (ko) 2015-04-14 2016-11-17 삼진건설(주) 보거푸집 유격 마감용 시스템 폼
KR102081028B1 (ko) * 2019-08-08 2020-02-24 (주)티케이이엔지 철근콘크리트보의 전단보강용 선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철근콘크리트보의 전단보강 시공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1077B1 (ko) * 2021-12-14 2022-07-15 주식회사 반석티브이에스 철근콘크리트 보용 일체형 강판 거푸집의 제작 방법
KR20230090212A (ko) * 2021-12-14 2023-06-21 주식회사 반석티브이에스 철근콘크리트 보용 일체형 강판 거푸집의 제작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57056B1 (ko) 2022-0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81603B1 (ko) 거푸집 선조립형 보 구조물
US20110192108A1 (en) Grid-type drop-panel structure, and a construction method therefor
KR102177975B1 (ko) 데크플레이트를 이용한 보 거푸집 시스템 및 보 거푸집 제작설치방법
KR101125917B1 (ko)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된 강콘크리트 합성보
KR102440826B1 (ko) 데크플레이트 거푸집을 가진 선조립기둥 시스템 및 설치방법
KR102357050B1 (ko) 데크플레이트 거푸집을 가진 선조립기둥 시스템
KR100947340B1 (ko) 슬래브와 기둥 접합부의 전단보강체 및 그 제조방법
KR100918983B1 (ko) 대형 티에스씨 보 및 그 제조방법
KR102357056B1 (ko) 데크플레이트를 이용한 거푸집 시스템
JP2014095256A (ja) リブ付き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板と、それを用いた合成床スラブと梁のコンクリート打ち分け方法
JP2001081729A (ja) 合成床版
KR102374295B1 (ko) 합성보 및, 바닥구조체
JP2002266317A (ja) 橋梁用連続桁
KR100340115B1 (ko) 티형 피씨 슬래브 댑단부 및 이를 이용하여 구조물을 축조하는 방법
KR102289263B1 (ko) 스틸플레이트를 이용한 보 거푸집 시스템 및 보 거푸집 제조시스템
EP1416101A1 (en) Composite beam
KR102211478B1 (ko) 무해체 보 거푸집
KR102060342B1 (ko) 트러스형 데크 플레이트에 적용되는 채움 지지 보강 트러스 거더
KR102628550B1 (ko) 조립형 데크플레이트 보 거푸집
KR100658831B1 (ko) 래티스 철선 단부에 수직 고정봉이 부착된 트러스형 데크플레이트
KR102280901B1 (ko) 반단면 슬래브와 거더의 합성구조
KR20110046708A (ko) 래티스형 철선을 이용한 슬래브-기둥 접합부의 펀칭전단 보강구조
KR20240027960A (ko) 복합 데크보 어셈블리
KR102658814B1 (ko) 모서리가 보강된 철근콘크리트 보 타설용 데크 거푸집 및 이의 제작 방법
KR20220151595A (ko) 단열재가 내부에 구비된 무해체 거푸집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보 구조물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