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10244A - 링빔형 케이블 교량 - Google Patents
링빔형 케이블 교량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10110244A KR20210110244A KR1020210037335A KR20210037335A KR20210110244A KR 20210110244 A KR20210110244 A KR 20210110244A KR 1020210037335 A KR1020210037335 A KR 1020210037335A KR 20210037335 A KR20210037335 A KR 20210037335A KR 20210110244 A KR20210110244 A KR 20210110244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able
- ring beam
- ring
- bridge
- mai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1/00—Suspension or cable-stayed bridges
- E01D11/02—Suspension bridge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6—Suspension cables; Cable clamps for suspension cables ; Pre- or post-stressed cab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링빔형 케이블 교량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분리된 두 지반 상에 각각 설치되어 서로 거리를 두고 위치하는 한 쌍의 주탑들; 상기 한 쌍의 주탑들의 상단부에 각각 걸쳐지며, 각 양단부가 한 쌍의 주탑들에 각각 인접하게 상기 지반 측에 고정되는 주케이블들; 상기 주케이블들의 아래에 위치하도록 상기 한 쌍의 주탑들 사이에 설정된 간격을 두고 위치하는 링 형상의 다수 개의 링빔들; 상기 링빔과 주케이블을 연결하는 링빔지지유닛; 상기 링빔들을 관통하여 상기 분리된 두 지반을 연결하며, 상기 링빔들에 의해 지지되는 교량바닥판; 상기 교량바닥판의 폭방향 양쪽에 각각 구비되는 교량난간들;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교량바닥판을 링빔과 링빔지지유닛을 이용하여 주케이블에 연결함으로써, 교량바닥판을 케이블만으로 주케이블에 연결하던 종래 링빔형 케이블 교량에 비해 링빔형 케이블 교량의 구조적 안정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횡방향 및 연직방향의 출렁거림과 비틀림이 억제되어 보행자의 보행감과 안전성이 향상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링빔형 케이블 교량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케이블 교량은 교각 없이 골짜기나 강을 가로질러 설치되는 다리로서, 산악지역의 협곡 및 계곡과 같이 다리의 설치가 용이하지 않은 곳이나 양쪽 건물 사이에 다리를 설치하면서 교각을 설치할 수 없을 때 주로 사용된다.
이러한 케이블 교량은 통행로 역할을 하는 바닥판이 교각 없이 골짜기 등의 양측에 설치된 지지물에 고정된 주케이블에 의해 지지되어 공중에 뜬 상태로 설치되며, 흔히 출렁다리 또는 구름다리라고도 일컬어진다. 케이블 교량은 교량의 하중과 통과 하중을 케이블을 이용하여 지지하는 방식이다.
종래의 케이블 교량은 바닥판이 골짜기 등의 양측에 설치된 지지물에 고정된 주케이블에 다시 케이블로 연결된다. 따라서 바닥판은 교량 하중에 의해 주케이블에 매달려 지지된다. 이와 같이 바닥판이 케이블만으로 주케이블에 연결된 경우 바람이나 보행자의 통행 등에 의해 케이블 교량의 흔들림이 크고 구조적 안정성이 결여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흔들림이 적고, 구조적 안정성이 향상된, 링빔형 케이블 교량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서로 거리를 두고 위치하는 한 쌍의 주탑들; 상기 한 쌍의 주탑들의 상단부에 각각 걸쳐지며, 각 양단부가 한 쌍의 주탑들에 각각 인접하게 지반 측에 고정되는 주케이블들; 상기 주케이블들의 아래에 위치하도록 상기 한 쌍의 주탑들 사이에 설정된 간격을 두고 위치하는 링 형상의 다수 개의 링빔들; 상기 링빔과 주케이블을 연결하는 링빔지지유닛; 상기 링빔들을 관통하여 상기 분리된 두 지반을 연결하며, 상기 링빔들에 의해 지지되는 교량바닥판; 상기 교량바닥판의 폭방향 양쪽에 각각 구비되는 교량난간들;을 포함하는 링빔형 케이블 교량이 제공된다.
상기 링빔은 균일한 두께를 갖는 환형으로 형성되며, 아크(arc) 형상으로 분리된 복수 개의 링빔용 조립체들이 볼트체결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링빔지지유닛은 상기 주케이블에 결합되는 제1 고정유닛과, 상기 링빔에 결합되는 제2 고정유닛과, 상기 제1 고정유닛과 제2 고정유닛에 양단부가 각각 결합되어 제1,2 고정유닛을 연결하는 행어케이블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고정유닛은 내부에 상기 주케이블의 일부분을 감싸는 고정상부몸체와, 상기 고정상부몸체에 결합되어 상기 고정상부몸체와 함께 상기 주케이블을 고정하며 상기 행어케이블의 한쪽 단부가 결합되는 고정하부몸체와, 상기 고정상부몸체와 고정하부몸체를 체결하는 체결유닛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상부몸체는 설정된 길이를 갖는 환봉 형상의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하부에 길이 방향 전체에 걸쳐 형성되는 개구결합홈과, 상기 개구결합홈의 폭방향 양단부에 각각 위치하도록 상기 몸체부의 하부에 연장 돌출되어 상기 체결유닛이 체결되는 결합돌기부들을 포함하며, 상기 개구결합홈은 상기 주케이블의 상부가 접촉 지지되는 상측 반원곡면부와, 상기 상측 반원곡면부의 양쪽에 각각 위치하는 형합홈부들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하부몸체는 상기 개구결합홈에 결합되어 상기 개구결합홈과 함께 상기 주케이블의 일부분을 고정하는 형합부와, 상기 형합부의 하단에 연장 형성되어 상기 결합돌기부들의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결합돌기부들과 함께 상기 체결유닛이 체결되는 체결부와, 상기 체결부의 하단에 연장 형성되어 상기 행어케이블의 한쪽 단부가 고정 결합되는 케이블고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형합부는 상기 주케이블의 하부가 접촉 지지되어 상기 상측 반원곡면부와 함께 상기 주케이블을 가압 고정하는 하측 반원곡면부와, 상기 하측 반원곡면부의 양쪽에 위치하여 상기 형합홈부들에 각각 형합되는 형합돌기들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 고정유닛은 상기 행어케이블의 다른 한쪽 단부가 관통 삽입되는 케이블삽입홀이 구비되며 상기 링빔의 내주면에 지지되는 케이블고정블록과, 상기 케이블삽입홀에 결합되어 상기 케이블삽입홀에 관통 삽입된 상기 행어케이블의 다른 한쪽 단부를 가압 고정하는 제2 앵커콘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링빔들의 양쪽으로 사이드케이블이 각각 위치하고, 상기 사이드케이블과 링빔들을 각각 연결하는 지지케이블이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교량바닥판을 링빔과 링빔지지유닛을 이용하여 주케이블에 연결함으로써 교량바닥판을 케이블만으로 주케이블에 연결하던 종래 링빔형 케이블 교량에 비해 링빔형 케이블 교량의 구조적 안정성을 향상시키게 된다. 이로 인하여, 횡방향 및 연직방향의 출렁거림과 비틀림이 억제되어 보행자가 교량바닥판을 통해 보행할 때 보행감과 안전성을 높이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주케이블에 제1 고정유닛이 결합되고, 링빔에 제2 고정유닛이 결합되고 행어케이블의 양단부가 제1 고정유닛과 제2 고정유닛에 각각 결합되어 링빔을 주케이블에 지지하게 되므로 제1 고정유닛이 주케이블에 미끄럼없이 견고하게 결합될 뿐만 아니라 링빔이 안정적으로 지지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링빔형 케이블 교량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측면도,
도 2는 도 2의 A-A'에서 바라본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링빔형 케이블 교량을 구성하는 링빔지지유닛을 도시한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링빔형 케이블 교량을 구성하는 제1 고정유닛을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링빔형 케이블 교량을 구성하는 제1 고정유닛의 중공홀에 대한 일실시예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링빔형 케이블 교량을 구성하는 제1 고정유닛의 중공홀에 대한 다른 실시예 단면도.
도 2는 도 2의 A-A'에서 바라본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링빔형 케이블 교량을 구성하는 링빔지지유닛을 도시한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링빔형 케이블 교량을 구성하는 제1 고정유닛을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링빔형 케이블 교량을 구성하는 제1 고정유닛의 중공홀에 대한 일실시예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링빔형 케이블 교량을 구성하는 제1 고정유닛의 중공홀에 대한 다른 실시예 단면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링빔형 케이블 교량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링빔형 케이블 교량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A-A'에서 바라본 정면도이다.
도 1,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링빔형 케이블 교량(1)의 일실시예는, 주탑(100), 주케이블(200), 링빔(300), 링빔지지유닛(400), 교량바닥판(500), 교량난간(600)을 포함한다.
주탑(100)은 한 쌍이 분리된 두 지반 상에 각각 설치되어 서로 거리를 두고 위치한다. 주탑(100)들은 세 개 이상이 될 수도 있다. 주탑(100)의 일예로, 주탑(100)은 지반에 콘크리트로 타설되는 바닥기초(110)와, 그 바닥기초(110)에 서로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두 개의 기둥(120)들과, 그 기둥(120)들의 상단부를 연결하는 연결지지대(130)를 포함한다. 주탑(100)은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주케이블(200)들은 한 쌍의 주탑(100)들의 상단부에 각각 걸쳐지며, 각 양단부가 한 쌍의 주탑(100)들에 각각 인접하게 지반 측에 고정된다. 주케이블(200)은 두 개인 것이 바람직하며, 두 개의 주케이블(200)은 한 쌍의 주탑(100)들의 상단부에 서로 간격을 두고 위치함이 바람직하다. 주케이블(200)들의 양단부는 앵커를 통해 지반에 고정됨이 바람직하다.
링빔(300)은 다수 개가 구비되며, 주케이블(200)들의 아래에 위치하도록 한 쌍의 주탑(100)들 사이에 설정된 간격을 두고 위치한다. 링빔(300)의 일예로, 링빔(300)은 균일한 두께를 갖는 환형링 형상으로 형성된다. 황형링 형상의 링빔은 원호 형상으로 형성된 복수 개의 아크형 부재(3100들이 환형을 이루도록 서로 연결유닛에 의해 연결된다. 아크형 부재(310)들은 동일한 크기의 중심각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링빔(300)이 3개의 링빔용 조립체(310)로 구성된다. 이 경우 각 링빔용 조립체(310)의 중심각의 크기는 120도가 된다. 링빔용 조립체(310)의 개수는 변경될 수 있다. 링빔용 조립체(310)의 양단부는 복수 개의 체결공(미도시)들이 형성된 벽체(311)가 구비되어 서로 이웃하는 링빔용 조립체(310)의 양단부를 맞댄 후 각 체결공(미도시)들에 볼트를 삽입하고 너트로 조여 각 아크형 부재(310)를 서로 결합한다. 행어케이블(430)이 연결되는 링빔용 조립체(310)에는 행어케이블(430)이 관통 삽입되는 삽입공(미도시)이 구비된다. 링빔(300)은 육각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링빔지지유닛(400)은 링빔(300)과 주케이블(200)을 연결한다. 링빔지지유닛(400)의 일예로, 링빔지지유닛(400)은 제1 고정유닛(410), 제2 고정유닛(420), 행어케이블(430), 링빔보강유닛(440)을 포함한다.
제1 고정유닛(410)은 주케이블(200)에 결합된다. 제1 고정유닛(410)의 제1 실시예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고정유닛(410)은 내부에 주케이블(200)의 일부분을 감싸는 고정상부몸체(411)와, 고정상부몸체(411)에 결합되어 고정상부몸체(411)와 함께 주케이블(200)을 고정하며 행어케이블(430)의 한쪽 단부가 결합되는 고정하부몸체(412)와, 고정상부몸체(411)와 고정하부몸체(412)를 체결하는 체결유닛(413)을 포함한다.
고정상부몸체(411)의 일예로, 고정상부몸체(411)는 설정된 길이를 갖는 환봉 형상의 몸체부(10)와, 몸체부(10)의 하부에 길이 방향 전체에 걸쳐 형성되는 개구결합홈(20)과, 개구결합홈(20)의 폭방향 양단부에 각각 위치하도록 몸체부(10)의 하부에 연장 돌출되어 체결유닛(413)이 체결되는 결합돌기부(30)들을 포함한다. 개구결합홈(20)의 일예로, 개구결합홈(20)은 주케이블(200)의 상부가 접촉 지지되는 상측 반원곡면부(21)와, 상측 반원곡면부(21)의 양쪽에 각각 위치하는 형합홈부(22)들을 포함한다. 상측 반원곡면부(21)는 길이 방향 전체에 걸쳐 곡률 반경이 균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측 반원곡면부(21)는 길이 방향 한쪽끝에서 다른 한쪽끝으로 갈수록 곡률반경이 점점 선형적으로 작아지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형합홈부(22)들은 몸체부(10) 내부에 길이 방향 전체에 걸쳐 형성된 개구로서 개구결합홈(20)의 상부 즉, 상측 반원곡면부(21)의 양쪽에 연장 형성된다. 형합홈부(22)의 일예로, 형합홈부(22)는 길이 방향 전체에 걸쳐 내경이 균일한 형상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형합홈부(22)의 다른 일예로, 형합홈부(22)는 길이 방향 한쪽 끝에서 다른 한쪽 끝으로 갈수록 내경이 선형적으로 점점 작아지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결합돌기부(30)들은 일정간격으로 위치하여 체결유닛(413)이 체결되는 복수 개의 체결공(A)들을 포함한다.
고정하부몸체(412)의 일예로, 고정하부몸체(412)는 개구결합홈(20)에 결합되어 개구결합홈(20)과 함께 주케이블(200)의 일부분을 고정하는 형합부(40)와, 형합부(40)의 하단에 연장 형성되어 결합돌기부(30)들의 사이에 위치하며 결합돌기부(30)들과 함께 체결유닛(413)이 체결되는 체결부(50)와, 체결부(50)의 하단에 연장 형성되어 행어케이블(430)의 한쪽 단부가 고정 결합되는 케이블고정부(60)를 포함한다. 고정하부몸체(412)는 고정상부몸체(411)와 동일한 길이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형합부(40)의 일예로, 형합부(40)는 주케이블(200)의 하부가 접촉 지지되어 상측 반원곡면부(21)와 함께 주케이블(200)을 가압 고정하는 하측 반원곡면부(41)와, 하측 반원곡면부(41)의 양쪽에 위치하여 형합홈부(22)들에 각각 형합되는 형합돌기(42)들을 포함한다. 하측 반원곡면부(41)는 길이 방향 전체에 걸쳐 곡률 반경이 균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하측 반원곡면부(41)는 길이 방향 한쪽끝에서 다른 한쪽끝으로 갈수록 곡률반경이 점점 선형적으로 작아지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형합돌기(42)는 길이 방향 전체에 걸쳐 외경이 균일한 형상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형합돌기(42)의 다른 일예로, 형합돌기(42)는 길이 방향 한쪽 끝에서 다른 한쪽 끝으로 갈수록 외경이 선형적으로 점점 작아지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고정상부몸체의 결합개구홈에 고정하부몸체의 형합부가 형합된 상태에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상부몸체(411)의 상측 반원곡면부(21)와 고정하부몸체(412)의 하측 반원곡면부(41)가 주케이블(200)이 삽입되는 중공홀(H1)이 형성되며, 상측 반원곡면부(21)와 하측 반원곡면부(41)의 내경이 각각 같은 경우 중공홀(H1)은 길이 방향 전체에 걸쳐 내경이 균일하게 형성된다. 중공홀(H1)에 삽입되는 주케이블(200)은 상,하측 반원곡면부(21)(41)에 의해 가압 고정된다. 또한, 상측 반원곡면부(21)와 하측 반원곡면부(41)의 내경이 각각 선형적으로 작아지는 경우,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공홀(H2)은 길이 방향 한쪽끝에서 다른 한쪽끝으로 갈수록 내경이 점점 선형적으로 작아진다. 이와 같은 경우 중공홀(H2)에 주케이블 앵커콘(414)이 결합된다. 주케이블 앵커콘(414)의 일예로, 주케이블 앵커콘(414)은 원추 형상의 콘부(414a)와 콘부(414a)의 중심선상을 관통 형성되는 삽입구멍(414b)을 포함한다. 콘부(414a)는 복수 개의 조각으로 구성되며, 바람직하게는 세 개의 조각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주케이블 앵커콘(414)의 삽입구멍(414b)에 주케이블(200)이 삽입되고, 주케이블 앵커콘(414)은 상,하측 반원곡면부(21)(41)에 의해 가압되고 주케이블(200)은 주케이블 앵커콘(414)에 의해 가압된다. 이와 같이, 주케이블(200)을 주케이블 앵커콘(414)을 이용하여 제1 고정유닛(410)에 삽입 고정함으로써, 주케이블(200)의 미끄러짐과 이동을 방지하여 체결력을 강화하고, 주케이블(200)의 마모를 방지한다.
체결부(50) 일예로, 체결부(50)는 일정간격으로 위치하여 체결유닛(413)이 체결되는 복수 개의 체결공(A)들을 포함한다. 케이블고정부(60)의 일예로, 케이블고정부(60)는 체결부(50)의 하단에 연장 형성되는 고정몸체부(61)와, 고정몸체부(61)의 양측면에 연장 형성되어 행어케이블(430)의 한쪽 단부가 관통 삽입되는 케이블삽입홀(C1)이 구비되는 케이블연결부(62)들과, 케이블삽입홀(C1)에 결합되어 케이블삽입홀(C1)에 관통 삽입된 행어케이블(430)의 한쪽 단부를 가압 고정하는 제1 앵커콘(63)을 포함한다.
체결유닛(413)의 일예로, 체결유닛(413)은 볼트와 너트를 포함한다. 체결유닛(413)은 체결부(50)를 결합돌기부(30)들의 사이에 위치시킨 후 결합돌기부(30)에 형성된 체결공(A)들과 체결부(50)에 형성된 체결공(A)들에 볼트를 관통 삽입하고 너트로 조여 결합돌기부(30)와 체결부(50)를 결합한다.
제2 고정유닛(420)은 링빔(300)에 결합된다. 제2 고정유닛(420)의 일예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고정유닛(420)은 행어케이블(430)의 다른 한쪽 단부가 관통 삽입되는 케이블삽입홀(C2)이 구비되며 링빔(300)의 내주면에 지지되는 케이블고정블록(421)과, 케이블삽입홀(C2)에 결합되어 케이블삽입홀(C2)에 관통 삽입된 행어케이블(430)의 다른 한쪽 단부를 가압 고정하는 제2 앵커콘(422)을 포함한다.
행어케이블(430)은 제1 고정유닛(410)과 제2 고정유닛(420)에 양단부가 각각 결합되어 제1,2 고정유닛(410)(420)을 연결한다. 한 개의 제1 고정유닛(410)과 한 개의 제2 고정유닛(420)은 두 개의 행어케이블(430)로 연결됨이 바람직하다. 행어케이블(430)의 한쪽 단부를 케이블연결부(62)의 케이블삽입홀(C1)에 관통 삽입한 후 행어케이블(430)의 한쪽 단부에 제1 앵커콘(63)을 결합하면 행어케이블(430)의 한쪽 단부는 제1 앵커콘(63)에 의해 케이블연결부(62)에 걸려 지지된다. 행어케이블(430)의 다른 한쪽 단부를 링빔(300)에 형성된 삽입공(미도시)에 관통 삽입하고, 이어 링빔(300)의 내주면 쪽에서 케이블고정블록(421)의 케이블삽입홀(C2)에 관통 삽입한 후 행어케이블(430)의 다른 한쪽 단부에 제2 앵커콘(422)을 결합하면 행어케이블(430)의 다른 한쪽 단부는 제2 앵커콘(422)에 의해 케이블고정블록(421)에 걸려 지지된다.
링빔보강유닛(440)은 행어케이블(430)들이 관통 삽입되는 링빔(300) 주변을 보강한다. 링빔보강유닛(440)의 일예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빔보강유닛(440)은 행어케이블(430)이 관통 삽입되는 링빔(300)의 외주면과 내주면에 부착되는 보강판(441)과, 보강판(441)을 링빔(300)에 결합하는 보강체결유닛(442)을 포함한다.
교량바닥판(500)은 링빔(300)들을 관통하여 분리된 두 지반을 연결하며, 링빔(300)들에 의해 지지된다. 교량바닥판(500)은 단위바닥판들이 링빔(300)을 관통하여 서로 연결되어 두 지반에 연결됨이 바람직하다.
교량난간(600)들은 교량바닥판(500)의 폭방향 양쪽에 각각 구비되다. 교량난간(600)들의 일예로, 교량난간(600)들은 교량바닥판(500)의 폭방향 양쪽에 일정간격으로 배치되는 다수 개의 난간지주(610)들과, 이웃한 난간지주(610)들을 서로 연결하되 상하 일정간격으로 위치하는 다수 개의 난간케이블(620)들과, 이웃한 난간지주(610)들의 상부에 연결되는 핸드레일(630)을 포함한다.
링빔(300)들의 양쪽 외측으로 각각 사이드케이블(700)이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사이드케이블(700)은 링빔(300)들의 양쪽 외측으로 각각 위치하며 각 양단부가 한 쌍의 주탑(100)들에 각각 인접하게 지반측에 고정된다. 사이드케이블(700)과 링빔(300)들은 각각 지지케이블(800)에 의해 연결된다. 사이드케이블(700)들과 지지케이블(800)들은 림빔(300)들의 양측에서 림빔(300)들을 지지하게 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링빔형 케이블 교량의 작용과 효과를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링빔형 케이블 교량은 서로 분리된 두 지반을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 먼저 분리된 두 지반 상에 서로 거리를 두고 위치하도록 한 쌍의 주탑(100)들을 설치한다. 한 쌍의 주탑(100)들의 상단부에 주케이블(200)들을 걸쳐 고정하고 각 주케이블(200)의 양단부를 주탑(100)들에 인접하게 지반측에 고정한다. 한 쌍의 주탑(100)들 사이에 걸쳐진 주케이블(200)들 아래에 설정된 간격을 두고 다수 개의 링빔(300)들이 위치하도록 주케이블(200)과 링빔(300)을 링빔지지유닛(400)으로 연결한다. 링빔(300)은 링빔지지유닛(400)에 의해 주케이블(200)에 매달려 지지된다. 링빔(300)들을 관통하여 교량바닥판(500)이 설치되어 분리된 두 지반을 연결한다. 교량바닥판(500)은 링빔(300)들에 의해 지지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교량바닥판(500)을 링빔(300)과 링빔지지유닛(400)을 이용하여 주케이블(200)에 연결함으로써, 교량바닥판(500)을 케이블만으로 주케이블(200)에 연결하던 종래 링빔형 케이블 교량(1)에 비해 링빔형 케이블 교량(1)의 구조적 안정성을 향상시키게 된다. 이로 인하여, 횡방향 및 연직방향의 출렁거림과 비틀림이 억제되어 보행자가 교량바닥판을 통해 보행할 때 보행감과 안전성을 높이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주케이블에 제1 고정유닛이 결합되고, 링빔에 제2 고정유닛이 결합되고 행어케이블의 양단부가 제1 고정유닛과 제2 고정유닛에 각각 결합되어 링빔을 주케이블에 지지하게 되므로 제1 고정유닛이 주케이블에 미끄럼없이 견고하게 결합될 뿐만 아니라 링빔이 안정적으로 지지된다.
100: 주탑
200: 주케이블
300: 링빔 400: 링빔지지유닛
410: 제1 고정유닛 420: 제2 고정유닛
430: 행어케이블 440: 링빔보강유닛
500: 교량바닥판 600: 교량난간
700: 사이드케이블 800: 지지케이블
300: 링빔 400: 링빔지지유닛
410: 제1 고정유닛 420: 제2 고정유닛
430: 행어케이블 440: 링빔보강유닛
500: 교량바닥판 600: 교량난간
700: 사이드케이블 800: 지지케이블
Claims (7)
- 서로 거리를 두고 위치하는 한 쌍의 주탑들;
상기 한 쌍의 주탑들의 상단부에 각각 걸쳐지며, 각 양단부가 한 쌍의 주탑들에 각각 인접하게 지반 측에 고정되는 주케이블들;
상기 주케이블들의 아래에 위치하도록 상기 한 쌍의 주탑들 사이에 설정된 간격을 두고 위치하는 링 형상의 다수 개의 링빔들;
상기 링빔과 주케이블을 연결하는 링빔지지유닛;
상기 링빔들을 관통하여 상기 분리된 두 지반을 연결하며, 상기 링빔들에 의해 지지되는 교량바닥판;
상기 교량바닥판의 폭방향 양쪽에 각각 구비되는 교량난간들;을 포함하는 링빔형 케이블 교량.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링빔은 균일한 두께를 갖는 환형으로 형성되며, 아크(arc) 형상으로 분리된 복수 개의 링빔용 조립체들이 볼트체결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빔형 케이블 교량.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링빔지지유닛은 상기 주케이블에 결합되는 제1 고정유닛과, 상기 링빔에 결합되는 제2 고정유닛과, 상기 제1 고정유닛과 제2 고정유닛에 양단부가 각각 결합되어 제1,2 고정유닛을 연결하는 행어케이블을 포함하는 링빔형 케이블 교량.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유닛은 내부에 상기 주케이블의 일부분을 감싸는 고정상부몸체와, 상기 고정상부몸체에 결합되어 상기 고정상부몸체와 함께 상기 주케이블을 고정하며 상기 행어케이블의 한쪽 단부가 결합되는 고정하부몸체와, 상기 고정상부몸체와 고정하부몸체를 체결하는 체결유닛을 포함하는 링빔형 케이블 교량.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상부몸체는 설정된 길이를 갖는 환봉 형상의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하부에 길이 방향 전체에 걸쳐 형성되는 개구결합홈과, 상기 개구결합홈의 폭방향 양단부에 각각 위치하도록 상기 몸체부의 하부에 연장 돌출되어 상기 체결유닛이 체결되는 결합돌기부들을 포함하며, 상기 개구결합홈은 상기 주케이블의 상부가 접촉 지지되는 상측 반원곡면부와, 상기 상측 반원곡면부의 양쪽에 각각 위치하는 형합홈부들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하부몸체는 상기 개구결합홈에 결합되어 상기 개구결합홈과 함께 상기 주케이블의 일부분을 고정하는 형합부와, 상기 형합부의 하단에 연장 형성되어 상기 결합돌기부들의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결합돌기부들과 함께 상기 체결유닛이 체결되는 체결부와, 상기 체결부의 하단에 연장 형성되어 상기 행어케이블의 한쪽 단부가 고정 결합되는 케이블고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형합부는 상기 주케이블의 하부가 접촉 지지되어 상기 상측 반원곡면부와 함께 상기 주케이블을 가압 고정하는 하측 반원곡면부와, 상기 하측 반원곡면부의 양쪽에 위치하여 상기 형합홈부들에 각각 형합되는 형합돌기들을 포함하는 링빔형 케이블 교량.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고정유닛은 상기 행어케이블의 다른 한쪽 단부가 관통 삽입되는 케이블삽입홀이 구비되며 상기 링빔의 내주면에 지지되는 케이블고정블록과, 상기 케이블삽입홀에 결합되어 상기 케이블삽입홀에 관통 삽입된 상기 행어케이블의 다른 한쪽 단부를 가압 고정하는 제2 앵커콘을 포함하는 링빔형 케이블 교량.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링빔들의 양쪽으로 사이드케이블이 각각 위치하고, 상기 사이드케이블과 링빔들을 각각 연결하는 지지케이블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빔형 케이블 교량.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37335A KR20210110244A (ko) | 2020-02-28 | 2021-03-23 | 링빔형 케이블 교량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25197 | 2020-02-28 | ||
KR1020210037335A KR20210110244A (ko) | 2020-02-28 | 2021-03-23 | 링빔형 케이블 교량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025197 Division | 2020-02-28 | 2020-02-28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110244A true KR20210110244A (ko) | 2021-09-07 |
Family
ID=777972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037335A KR20210110244A (ko) | 2020-02-28 | 2021-03-23 | 링빔형 케이블 교량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10110244A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3224700A (zh) * | 2021-02-03 | 2021-08-06 | 华能江阴燃机热电有限责任公司 | 一种燃机电厂线路布设用桥架及其制备加工装置 |
-
2021
- 2021-03-23 KR KR1020210037335A patent/KR20210110244A/ko unknow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3224700A (zh) * | 2021-02-03 | 2021-08-06 | 华能江阴燃机热电有限责任公司 | 一种燃机电厂线路布设用桥架及其制备加工装置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1578492B2 (en) | Concrete anchor | |
JP2684223B2 (ja) | モジュール スペース フレーム耐震構造 | |
CA2314218C (en) | Tension and compression members for erecting structures | |
KR101618787B1 (ko) | 방사형 행어 및 타정식 케이블을 이용한 복합케이블 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 | |
CN110820545A (zh) | 装配式混凝土桥墩 | |
KR20210110244A (ko) | 링빔형 케이블 교량 | |
CN108385506B (zh) | 索塔与斜塔斜拉桥 | |
KR101664284B1 (ko) | 케이블과 벤트 일체형 구조의 교량 시공 공법 | |
KR20190014813A (ko) | 거더교의 캔틸레버 시공 방법 | |
AU744021B2 (en) | Method of installing conduit or the like on mountain surface using steel cable | |
CN106400688A (zh) | 主塔及其施工方法 | |
KR100832100B1 (ko) | 주탑 기부 응력저감 가설구조 및 주탑 기부 응력저감 공법 | |
KR101896450B1 (ko) | 세미아치교 구조 및 그 시공방법 | |
US4615063A (en) | Box girder and suspension assembly | |
KR20140048487A (ko) | 포스트텐션 강재 정착구 및 이를 채용한 철근콘크리트 구조물 | |
KR100386478B1 (ko) | 피에스강선 정착장치, 피에스강선 지지장치, 피에스강선연결장치 및 이를 이용한 포스트텐셔닝 방법 | |
KR102164241B1 (ko) | 케이블 교량 | |
KR102315853B1 (ko) | 데크용 난간의 설치구조 | |
CN211874076U (zh) | 用于输电线安装的拉线抱箍铁附件 | |
KR102272347B1 (ko) | 와이어 앵커가 구비된 복합 앵커 및 이의 시공 방법 | |
KR101588161B1 (ko) | 리브 피씨 슬래브 및 리브 피씨 슬래브의 폭방향 연결방법 | |
KR20200016135A (ko) | 디자인형 울타리의 지주와 난간 고정구조 | |
JP2754526B2 (ja) | アーチ形構造における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部材の繋ぎ部位 | |
US6530101B1 (en) | Strand bridge | |
CN219990997U (zh) | 一种塔式起重机附着固定连接底座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