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09950A - 약품선별장치 및 선별방법 - Google Patents

약품선별장치 및 선별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09950A
KR20210109950A KR1020200025243A KR20200025243A KR20210109950A KR 20210109950 A KR20210109950 A KR 20210109950A KR 1020200025243 A KR1020200025243 A KR 1020200025243A KR 20200025243 A KR20200025243 A KR 20200025243A KR 20210109950 A KR20210109950 A KR 202101099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ug
information
unit
database
image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52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94693B1 (ko
Inventor
조훈휘
박종구
박진우
이성민
한승수
이지우
Original Assignee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0252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4693B1/ko
Publication of KR202101099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99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46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46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7/00Devices for administering medicines orally, e.g. spoons; Pill counting devices; 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 A61J7/0076Medicament distribution means
    • A61J7/0084Medicament distribution means for multiple medica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03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for pills or tablets
    • G06K9/2063
    • G06K9/3241
    • G06K9/78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0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20Image preprocessing
    • G06V10/255Detecting or recognising potential candidate objects based on visual cues, e.g. shap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0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7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using pattern recognition or machine learning
    • G06V10/74Image or video pattern matching; Proximity measures in feature spaces
    • G06V10/75Organisation of the matching processes, e.g. simultaneous or sequential comparisons of image or video features; Coarse-fine approaches, e.g. multi-scale approaches; using context analysis; Selection of dictionar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30/00Character recognition; Recognising digital ink; Document-oriented image-based pattern recognition
    • G06V30/10Character recognition
    • G06V30/14Image acquisition
    • G06V30/1444Selective acquisition, locating or processing of specific regions, e.g. highlighted text, fiducial marks or predetermined fields
    • G06V30/1448Selective acquisition, locating or processing of specific regions, e.g. highlighted text, fiducial marks or predetermined fields based on markings or identifiers characterising the document or the area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1/00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 G09B21/001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blind persons
    • G09B21/006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blind persons using audible presentation of the information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1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drugs or medications, e.g. for ensuring correct administration to pati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Abstract

본 발명은 약품선별장치 및 선별방법에 관한 것으로, 약을 거치하는 거치부; 상기 거치부에 거치된 약을 촬영하여 외부기기로 전송하는 스캔부; 상기 스캔부에서 촬영된 정보를 수신하면, 약의 형태 및 정보가 저장된 데이터베이스와 비교하고, 선택되는 정보를 음성데이터로 변환하여 외부기기로 전송하는 시스템부; 및 상기 시스템부가 전송한 상기음성데이터를 수신하여 외부로 출력하는 음향출력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약의 형태 또는 색상을 구별하기 어려운 시각장애인들에게 약품의 정보를 음성으로 전달하여 약품의 정보를 제공하는 장치이다.

Description

약품선별장치 및 선별방법{Drug selection device and selec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약품선별장치 및 선별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조제약의 외형을 촬영하여 약을 구분하고, 해당 조제약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음성으로 제공하여 약의 오남용을 예방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처방전을 통해 약국에서 조제 받은 의약품들은 해당 의약품에 대한 별도의 정보지가 첨부되어 있지 않는 약품의 종류 및 효능을 알 수 없으며, 의사의 진단에 의해 조제 받았다 해도 상황에 따라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복용해야할 때 각각의 조제된 약의 복용방법, 효과 및 작용에 대한 정보를 알 수 없다.
시력이 저하된 사용자나 시각장애인은 약물정보를 읽는데 어려움을 겪으므로 잘못된 약물을 복용하거나 약물을 부적절한 용량으로 복용하여 치료보다 건강을 잃게 되는 심각한 결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사용자들은 정제형 의약품의 구분이 어려우며 약물관리에 도움이 필요하고, 의약품 찾기, 의약품 용기 식별, 액상 약품 관리의 어려움, 부정확 투약, 약물누락 등의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 따라서 이들은 보호자 또는 보조 장치가 있지 않으면 복용 때마다 약국에 방문하거나 의약품의 종류, 복용량과 복용기간에 대해 한번 듣고 기억하여 구분해야 하며, 또한 추후에 그 내용에 대해 다시 확인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종래는 처방전에 의해 약을 조제하기 위해 분류하는 장치가 있으나, 이는 약국에 구비하여 사용되기 위해 개발된 장치로 구성요소가 복잡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개별로 장치를 구비하여 사용하기 어려우며, 약에 대한 정보를 알려주기보다, 주로 처방된 약과 포장되는 약의 외형이 일치하는지를 판단하기 위한 장치이다.
일본특허공개 제2018-128931호("화상 처리 장치, 화상 처리 방법 및 프로그램")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양한 종류가 섞여 조제되는 약에 대해서 사용자가 분별하여 복용할 수 있도록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약품의 오남용을 예방할 수 있으며, 약의 형태 또는 색상을 구별하기 어려운 시각장애인들에게 약품의 정보를 음성으로 전달하여 약품의 정보를 제공하는 약품선별장치 및 선별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약품선별장치 및 선별방법은 약을 거치하는 거치부; 상기 거치부에 거치된 약을 촬영하여 외부기기로 전송하는 스캔부; 상기 스캔부에서 촬영된 정보를 수신하면, 약의 형태 및 정보가 저장된 데이터베이스와 비교하고, 선택되는 정보를 음성데이터로 변환하여 외부기기로 전송하는 시스템부; 및 상기 시스템부가 전송한 상기음성데이터를 수신하여 외부로 출력하는 음향출력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시스템부는, 상기 스캔부로부터 수신된 촬영정보를 분석하여 영상데이터로 변환하여 외부로 전송하는 영상변환부; 상기 영상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영상데이터와 저장된 정보를 비교 검색하여 검색된 의약정보를 외부로 전송하는 상기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수신된 의약정보를 음성데이터로 변환하여 상기 음향출력부로 전송하는 음성변환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영상데이터는 색을 구분하는 RGB 계수, 도형의 꼭지점 개수 및 새겨진 문자를 구분하는 OCR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거치부는, 약과 상기 거치부가 접하는 약의 하단면도 촬영되도록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약품선별장치는, 상기 거치부, 상기 스캔부, 상기 시스템부 및 상기 음향출력부가 내장되는 챔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챔버는, 상기 거치부에 약품을 거치하도록 개폐문을 더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챔버는 상기 거치부가 슬라이드 이동하며 상기 챔버와 분리 또는 결합되도록 슬라이드 유닛으로 상기 챔버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약품선별장치의 선별방법에 있어서, 상기 약품선별장치에 약을 거치하도록 구비되는 거치부에 약을 거치하고, 약의 외형을 스캔하는 스캔부가 상기 거치부에 거치된 약을 촬영하고, 촬영정보로 변환하여 외부로 전송하는 약품촬영단계; 상기 스캔부가 전송하는 상기 촬영정보를 영상변환부가 수신하고, 상기 영상변환부가 상기 촬영정보를 영상데이터로 변환하여 외부로 전송하는 영상데이터 변환단계; 상기 영상변환부가 전송하는 상기 영상데이터를 다수의 약품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데이터베이스가 수신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영상데이터와 일치하는 정보가 검색되면,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의약정보를 외부로 전송하는 데이터베이스 검색단계;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영상데이터와 일치하는 정보가 검색되면, 상기 의약정보를 음성변환부가 수신하고, 상기 음성변환부가 음성데이터로 변환하여 외부로 전송하는 음성데이터 변환단계; 상기 음성변환부가 전송하는 상기 음성데이터를 음향출력부가 수신하고, 상기 음향출력부가 외부로 음성을 출력하는 음성출력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데이터베이스 검색단계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영상데이터와 일치하는 정보를 검색하지 못하면,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저장된 데이터를 관리하는 관리서버에 상기 영상데이터를 전송하는 데이터추가단계;가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영상데이터 변환단계에서, 상기 영상데이터는, 색을 구분하는 RGB 계수, 도형의 꼭지점 개수 및 새겨진 문자를 구분하는 OCR 정보 중에 어느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약품선별장치는, 상기 거치부, 상기 스캔부, 상기 시스템부 및 상기 음향출력부가 내장되는 챔버로 형성되며, 상기 챔버는 상기 거치부에 약품을 거치할 수 있도록 개폐문을 더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약품선별장치 및 선별방법은 작업 단계를 최소화하기위해 구성요소를 단순화시켜 구성함으로써 제조비용을 낮춰 휴대하거나 집에 쉽게 구비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약의 정보를 음성으로 바로 출력하기 때문에 약을 복용하는 사용자 또는 시각장애인에게 약을 구분하여 복용할 수 있도록 지속적인 정보를 제공할 수 있어 약물의 오남용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 시스템부의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도의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방법 순서도1
도 7은 본 발명의 방법 순서도2
이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된 도면을 사용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된 도면을 사용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일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첨부된 도면의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사시도이며, 참고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은 약(100)을 거치하는 거치부(200), 상기 거치부(200)에 거치된 상기 약(100)을 촬영하여 외부기기로 전송하는 스캔부(300), 상기 스캔부(300)에서 촬영된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약(100)의 형태 및 정보가 저장된 데이터베이스(420)와 비교하고, 선택되는 정보를 음성데이터(D)로 변환하여 외부기기로 전송하는 시스템부(400) 및 상기 시스템부(400)가 전송한 상기 음성데이터(D)를 수신하여 외부로 출력하는 음향출력부(5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2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상기 거치부(200)는 분별하고자 하는 상기 약(100)을 거치하기 위해 구비되는 것으로 평평한 판으로 형성되거나, 상기 약(100)을 끼워 넣을 수 있도록 함몰 형성되는 등, 상기 약(100)을 거치할 수 있는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면 상관없다. 상기 거치부(200)는 상기 스캔부(300)가 거치된 상기 약(100)을 360도로 스캔하도록 사방에서 관찰 가능하게 형성되는 것이 적절하며, 상기 거치부(200)가 투명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거치부(200)의 하측에서도 상기 약(100)을 관찰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2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상기 스캔부(300)는 상기 거치부(200)에 거치된 상기 약(100)의 외형을 스캔하기 위한 장치이며, 상기 스캔부(300)는 상기 약(100)의 형태를 파악할 수 있는 장비를 이용해 상기 약(100)을 스캔한 후, 스캔한 정보를 촬영정보(A)로 외부기기에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것이면 상관없이 사용 가능하다. 상기 스캔부(300)는 고체촬상소자나 상보성금속산화물반도체 등의 이미지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촬영정보(A)를 디지털 신호로 정보를 전송하는 스캔일 수 있고, 또한 상기 스캔부(300)는 카메라여서, 상기 거치부(200)에 거치된 상기 약(100)의 모든 면을 촬영하여 상기 촬영정보(A)로 전송하는 스캔일 수 있으며, 카메라는 상기 약(100)을 촬영할 수 있는 기기이면 상관없이 사용가능하다.
상기 촬영정보(A)는 상기 약(100)의 색상, 형태 및 글자 등을 포함한 상기 약(100)의 외형 특징을 구별할 수 있는 정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실시예로, 상기 스캔부(300)는 라즈베리파이 카메라여서, 상기 거치부(200)에 거치된 상기 약(100)의 모형, 색깔 및 글씨를 선별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스캔부(300)는 하나로 형성되어 상기 거치부(200) 주위를 회전하며 상기 약(100)을 스캔하거나, 하나 이상의 복수개로 형성되어 상기 거치부(200)를 다각도에서 스캔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캔부(300)는 촬영한 상기 약(100)의 외형을 상기 촬영정보(A)로 상기 시스템부(400)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3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상기 시스템부(400)는 상기 스캔부(300)로부터 정보를 전달받고, 상기 음향출력부(600)에게 정보를 전송하기 위해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시스템부(400)는 상기 스캔부(300)로부터 전달받은 상기 촬영정보(A)를 분석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420)에서 상기 촬영정보(A)와 같은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상기 약(100)을 검색하고, 검색되는 상기 약(100)의 정보를 외부로 전달하기 위해 구비되는 것이다. 상기 시스템부(400)는 영상변환부(410), 데이터베이스(420) 및 음성변환부(430)를 더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영상변환부(410)는 상기 스캔부(300)로부터 수신한 상기 촬영정보(A)로부터 얻을 수 있는 정보를 분석하여 영상데이터(B)로 변환하고, 상기 영상데이터(B)를 상기 데이터베이스(420)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영상데이터(B)는 상기 촬영정보(A)에 포함된 상기 약(100)의 모양, 색깔 및 각인된 글씨 등, 상기 약(100)을 구분할 수 있는 정보를 데이터로 변환 시킨 것일 수 있다. 일실시예로, 상기 영상변환부(410)는 Open CV(Open Source Computer Vision) 모듈 및 Tesseract OCR(Optical Character Recognition)의 프로그램을 통해 상기 촬영정보(A)를 분석할 수 있으며, Open CV모듈을 이용하여 색을 구분하는 RGB 계수의 정보 및 도형의 꼭짓점 개수의 정보를 파악할 수 있고, Tesseract OCR을 통해 상기 약(100)에 새겨진 문자를 구분한 OCR 정보 등으로 분석할 수 있으며, 분석한 정보들을 통해 상기 영상데이터(B)로 구성시켜 상기 데이터베이스(420)에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영상변환부(410)는 도형의 꼭짓점 개수를 꼭짓점의 위치에 대한 위치값으로 데이터화하여 상기 영상데이터(B)로 변환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영상데이터(B)는 RGB 계수, 꼭짓점 개수 및 OCR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에 언급된 정보 이외도 상기 촬영정보(A)로부터 얻을 수 있는 정보 또는, 상기 데이터베이스(420)가 필요로 하는 정보를 포함하면 상관없이 구성되어 상기 영상데이터(B)로 변환될 수 있다. 상기 영상변환부(410)를 통해 약품의 형태를 보다 명확하게 분석할 수 있고, 데이터에 의해 의약품의 정보를 비교할 수 있기 때문에 약품 선별의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데이터베이스(420)는 다수의 약품에 대한 모양, 색 및 새겨진 글씨 등 형태정보와, 해당 상기 약(100)에 대한 복용방법, 효과 및 부작용 등의 의약정보(C)를 포함하여 구축된 데이터베이스(420)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데이터베이스(420)는 무수한 데이터를 구조화하여 저장하고 있는 소프트웨어이며, 또한 입력되는 새로운 정보를 저장할 수 있으며, 특징별로 분류하거나 중복되는 정보를 관리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데이터베이스(420)는 상기 영상변환부(410)가 전송한 상기 영상데이터(B)를 수신하면, 상기 데이터베이스(420)에 포함되어있는 정보 중 상기 영상데이터(B)의 정보와 일치하는 상기 형태정보를 가지는 상기 약(100)을 검색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420)는 입력된 상기 영상데이터(B)와 일치하는 상기 형태정보가 검색되면, 해당 상기 형태정보를 가지는 상기 약(100)의 상기 의약정보(C)를 선택하여 상기 음성변환부(430)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데이터베이스(420)가 수신한 상기 영상데이터(B)가 상기 데이터베이스(420)에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데이터베이스에서 찾을 수 없는 경우), 상기 데이터베이스(420)는 상기 데이터베이스(420)를 관리하는 관리서버에 상기 영상데이터(B) 정보를 송신할 수 있고,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영상데이터(B)를 수신하면, 알람을 통해 인지하도록 설정되어 있을 수 있으며, 해당되는 약품을 찾아 상기 형태정보 및 상기 의약정보(C)를 입력하는 것으로 상기 데이터베이스(420)의 정보를 업그레이드 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음성변환부(430)는 상기 데이터베이스(420)에서 전송한 상기 의약정보(C)를 수신하여, 음성데이터(D)로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실시예로 상기 음성변환부(430)는 상기 데이터베이스(420)에 상기 의약정보(C)가 텍스트로 저장되어 있을 때, TTS(text to speech)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텍스트를 음성메세지로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음향출력부(600)는 음향장치로 형성되어, 상기 음성변환부(430)가 전송한 변환된 상기 음성데이터(D)를 수신하고, 상기 음성데이터(D)를 음향장치를 통해 외부에 소리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음향출력부(600)를 통해 시력이 저하되거나, 시각장애인들에게 상기 약(100)에 대한 정보를 음향으로 제공함으로써 약의 남용 및 오용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및 4를 참고하면, 상기 약품선별장치(1000)는, 상기 언급된 구성요소들을 포함하도록 형성되거나, 각 구성요소들이 연결되어 서로 작용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면 형태 상관없이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 상기 약품선별장치(1000)는 내부가 빈 챔버(1000)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챔버(1000) 내부에 상기 거치부(200), 상기 스캔부(300), 상기 시스템부(400) 및 상기 음향출력부(600)를 모두 구비한 것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챔버(1000)의 외부에는 장치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는 전원(610) 및 검색 결과가 화면으로 출력되도록 하는 화면출력부(670)를 더 구비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약품선별장치(1000)는 상기 챔버(1000)가 위치변경에 용이하게 또는 휴대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사용자의 필요시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편의성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 및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약품선별장치(1000)가 상기 챔버(1000)로 형성될 때, 상기 챔버(1000) 내부에 구비되는 상기 거치부(200)에 상기 약(100)을 거치하기 위해 상기 챔버(1000)는 개폐문(630)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개폐문(630)은 내장된 상기 거치부(200)에 접근하기 용이한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면 위치 및 형태 상관없이 상기 챔버(1000)에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개폐문(630)으로 상기 챔버(1000)를 개방하여 상기 거치부(200)에 상기 약(100)을 거치할 수 있으며, 상기 개폐문(630)으로 상기 챔버(1000)를 폐쇄하여 상기 챔버(1000) 내부에 구비된 약 및 구성품 들을 보호할 수 있다.
또한, 도 4 및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약품선별장치(1000)가 상기 챔버(1000)로 형성될 때, 상기 거치부(200)에 상기 약(100)을 거치하는데 용이하게 형성되기 위해 상기 거치부(200)가 상기 챔버(1000)로부터 슬라이드 이동하며 분리 또는 결합되도록 슬라이드 유닛(650)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거치부(200)는 상기 챔버(1000)와 결합되는 부분에 상기 슬라이드 유닛(650)을 구비하여 상기 거치부(200)가 슬라이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6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상기 약품선별장치(1000)의 선별방법에 있어서, 약품촬영단계(S10), 영상데이터 변환단계(S20), 데이터베이스 검색단계(S30), 음성데이터 변환단계(S40) 및 음성출력단계(S50)를 포함하여 수행될 수 있다.
상기약품촬영단계(S10)는, 사용자가 구분하고자 하는 상기 약(100)을 상기 거치대에 거치하면, 상기 스캔부(300)를 이용하여 상기 약(100)의 외형을 스캔하고, 스캔한 정보를 상기 촬영정보(A)로 변환하여 상기 영상변환부(410)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약품촬영단계(S10) 이후, 상기 영상데이터 변환단계(S20)가 수행된다. 상기 영상데이터 변환단계(S20)는, 상기 영상변환부(410)가 상기 스캔부(300)가 전송하는 상기 촬영정보(A)를 수신하면, 상기 촬영정보(A)에 포함된 정보들을 상기 영상데이터(B)로 변환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420)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영상데이터(B)는 색을 구분하는 RGB 계수, 도형의 꼭지점 개수 및 새겨진 문자를 구분하는 OCR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영상데이터 변환단계(S20) 이후, 상기 데이터베이스 검색단계(S30)가 수행된다. 상기 데이터베이스 검색단계(S30)는 상기 영상변환부(410)가 전송하는 상기 영상데이터(B)를 상기 데이터베이스(420)가 수신하면, 상기 데이터베이스(420)에서 상기 영상데이터(B)와 일치하는 정보를 검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데이터베이스(420)에서 상기 영상데이터(B)와 일치하는 정보가 검색되면, 검색된 약정보에 저장되어있는 의약정보(C)를 상기 음성변환부(430)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7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상기 데이터베이스 검색단계(S30)에서, 상기 영상데이터(B)와 일치하는 정보가 상기 데이터베이스(420)에서 검색되면, 상기 음성데이터 변환단계(S40)가 수행된다. 상기 음성데이터 변환단계(S40)는, 상기 데이터베이스(420)가 전송한 상기 의약정보(C)를 상기 음성변환부(430)가 수신하고, 상기 음성변환부(430)가 상기 의약정보(C)를 상기 음성데이터(D)로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7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상기 데이터베이스 검색단계(S30)에서, 상기 영상데이터(B)와 일치하는 정보가 상기 데이터베이스(420)에서 검색되지 않으면, 데이터추가단계(S41)가 수행된다. 상기 데이터추가단계(S41)는, 상기 데이터베이스(420)에서 상기 영상데이터(B)와 일치하는 정보를 검색하지 못하면, 상기 데이터베이스(420)는 저장된 상기 약(100)의 정보 데이터를 관리하는 상기 관리서버에 상기 영상데이터(B)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영상데이터(B)가 도착하면 경고알람을 통해 인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관리서버에서 상기 영상데이터(B)에 해당되는 상기 약(100)의 상기 형태정보 및 상기 의약정보(C)를 입력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420)로 전송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상기 데이터베이스(420)를 업그레이드 할 수 있다.
상기 음성데이터 변환단계(S40) 이후, 상기 음성출력단계(S50)가 수행된다. 상기 음성출력단계(S50)는 상기 음성변환부(430)가 전송하는 상기 음성데이터(D)를 수신하며, 수신된 음성데이터(D)를 음향장비가 구비된 상기 음향출력부(600)를 통해 음성으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약품선별장치(1000)의 선별방법은, 상기 약(100)의 형태를 통해 상기 약(100)을 검색하고, 검색된 정보를 사용자에게 음성으로 전달함으로써, 시력이 저하된 사용자나 시각장애인에게 약의 효능, 복용법, 부작용 등의 정보를 제공하여, 약의 오남용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데이터베이스(420)를 구축함에 있어서, 검색되지 않는 상기 약(100)의 정보를 지속적으로 관리서버에 전달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420)에 포함된 정보를 지속적으로 업그레이드 할 수 있기 때문에, 검색의 정확도를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으며, 보다 다양한 약품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게 된다는 장점이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소자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 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일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 청구 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 청구 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0 : 약품선별장치, 챔버
100 : 약 200 : 거치부
300 : 스캔부
400 : 시스템부 410 : 영상변환부
420 : 데이터베이스 430 : 음성변환부
500 : 음향출력부
610 : 전원 630 : 개폐문
650 : 슬라이드 유닛 670 : 화면출력부
A : 촬영정보 B : 영상데이터
C : 의약정보 D : 음성데이터

Claims (11)

  1. 약을 거치하는 거치부;
    상기 거치부에 거치된 약을 촬영하여 외부기기로 전송하는 스캔부;
    상기 스캔부에서 촬영된 정보를 수신하면, 약의 형태 및 정보가 저장된 데이터베이스와 비교하고, 선택되는 정보를 음성데이터로 변환하여 외부기기로 전송하는 시스템부; 및
    상기 시스템부가 전송한 상기 음성데이터를 수신하여 외부로 출력하는 음향출력부;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약품선별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부는,
    상기 스캔부로부터 수신된 촬영정보를 분석하여 영상데이터로 변환하여 외부로 전송하는 영상변환부;
    상기 영상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영상데이터와 저장된 정보를 비교 검색하여 검색된 의약정보를 외부로 전송하는 상기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수신된 의약정보를 음성데이터로 변환하여 상기 음향출력부로 전송하는 음성변환부;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품선별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데이터는
    색을 구분하는 RGB 계수, 도형의 꼭지점 개수 및 새겨진 문자를 구분하는 OCR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품선별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는,
    약과 상기 거치부가 접하는 약의 하단면도 촬영되도록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품선별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약품선별장치는,
    상기 거치부, 상기 스캔부, 상기 시스템부 및 상기 음향출력부가 내장되는 챔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품선별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챔버는,
    상기 거치부에 약품을 거치하도록 개폐문을 더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품선별장치.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챔버는
    상기 거치부가 슬라이드 이동하며 상기 챔버와 분리 또는 결합되도록 슬라이드 유닛으로 상기 챔버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품선별장치.
  8. 약품선별장치의 선별방법에 있어서,
    상기 약품선별장치에 약을 거치하도록 구비되는 거치부에 약을 거치하고, 약의 외형을 스캔하는 스캔부가 상기 거치부에 거치된 약을 촬영하고, 촬영정보로 변환하여 외부로 전송하는 약품촬영단계;
    상기 스캔부가 전송하는 상기 촬영정보를 영상변환부가 수신하고, 상기 영상변환부가 상기 촬영정보를 영상데이터로 변환하여 외부로 전송하는 영상데이터 변환단계;
    상기 영상변환부가 전송하는 상기 영상데이터를 다수의 약품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데이터베이스가 수신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영상데이터와 일치하는 정보가 검색되면,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의약정보를 외부로 전송하는 데이터베이스 검색단계;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영상데이터와 일치하는 정보가 검색되면, 상기 의약정보를 음성변환부가 수신하고, 상기 음성변환부가 음성데이터로 변환하여 외부로 전송하는 음성데이터 변환단계;
    상기 음성변환부가 전송하는 상기 음성데이터를 음향출력부가 수신하고, 상기 음향출력부가 외부로 음성을 출력하는 음성출력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품선별장치의 선별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 검색단계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영상데이터와 일치하는 정보를 검색하지 못하면,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저장된 데이터를 관리하는 관리서버에 상기 영상데이터를 전송하는 데이터추가단계;가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품선별장치의 선별방법.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데이터 변환단계에서,
    상기 영상데이터는, 색을 구분하는 RGB 계수, 도형의 꼭지점 개수 및 새겨진 문자를 구분하는 OCR 정보 중에 어느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품선별장치의 선별방법.
  11.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약품선별장치는,
    상기 거치부, 상기 스캔부, 상기 시스템부 및 상기 음향출력부가 내장되는 챔버로 형성되며,
    상기 챔버는 상기 거치부에 약품을 거치할 수 있도록 개폐문을 더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품선별장치의 선별방법.
KR1020200025243A 2020-02-28 2020-02-28 약품선별장치 및 선별방법 KR1024946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5243A KR102494693B1 (ko) 2020-02-28 2020-02-28 약품선별장치 및 선별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5243A KR102494693B1 (ko) 2020-02-28 2020-02-28 약품선별장치 및 선별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9950A true KR20210109950A (ko) 2021-09-07
KR102494693B1 KR102494693B1 (ko) 2023-02-02

Family

ID=777970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5243A KR102494693B1 (ko) 2020-02-28 2020-02-28 약품선별장치 및 선별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9469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14846A (ko) * 2022-01-25 2023-08-02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알약에 대한 약물 복용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복용 정보 제공 서버 및 그 동작 방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96645A (ko) * 2011-02-23 2012-08-31 (주)터보소프트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약물 정보 검색 및 제공 방법
KR20150092811A (ko) * 2014-02-05 2015-08-17 주식회사 바이오사운드랩 영상의 음향 변환 장치 및 그에 의한 시각 장애인용 음향 변환 방법
KR20170110268A (ko) * 2016-03-23 2017-10-11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약품 검색 장치 및 방법
JP2018128931A (ja) 2017-02-09 2018-08-16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943217B1 (ko) * 2017-08-31 2019-01-30 정혜원 의약품 식별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의약품 식별 장치
KR102009721B1 (ko) * 2018-02-20 2019-08-12 재단법인 아산사회복지재단 약품 이미지와 약품 정보를 이용한 복수의 약품 식별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96645A (ko) * 2011-02-23 2012-08-31 (주)터보소프트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약물 정보 검색 및 제공 방법
KR20150092811A (ko) * 2014-02-05 2015-08-17 주식회사 바이오사운드랩 영상의 음향 변환 장치 및 그에 의한 시각 장애인용 음향 변환 방법
KR20170110268A (ko) * 2016-03-23 2017-10-11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약품 검색 장치 및 방법
JP2018128931A (ja) 2017-02-09 2018-08-16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943217B1 (ko) * 2017-08-31 2019-01-30 정혜원 의약품 식별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의약품 식별 장치
KR102009721B1 (ko) * 2018-02-20 2019-08-12 재단법인 아산사회복지재단 약품 이미지와 약품 정보를 이용한 복수의 약품 식별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14846A (ko) * 2022-01-25 2023-08-02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알약에 대한 약물 복용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복용 정보 제공 서버 및 그 동작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94693B1 (ko) 2023-0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10457B1 (en) System and method for storing medication and alerting users and caregivers for timely intake
US20190133888A1 (en) System, method, and module for integrated medication management
US9235690B2 (en) Medication dispenser with integrated monitoring system
CN106415251B (zh) 药剂拍摄装置
US20060249423A1 (en) Method and apparatus to identify and separate medicinal preparations and dosages thereof
KR102387495B1 (ko) 이미지 처리 방법 및 장치, 전자 기기 및 기억 매체
JP2023521616A (ja) 光センシングベースのインベントリ管理システムおよび方法
WO2009043047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biometric identification
US20090006126A1 (en) Prescription transmission system and method
US20130169798A1 (en) Checking device and method based on image processing
CN108257676A (zh) 一种医案信息的处理方法、装置和设备
JP7016209B2 (ja) 医療情報提供システム、サーバ、端末装置、医療情報提供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2494693B1 (ko) 약품선별장치 및 선별방법
JP2024015271A (ja) 薬剤撮影補助装置、薬剤撮影装置、薬剤鑑別方法及び薬剤鑑別システム
KR20110124931A (ko) 약품 정보 제공 서비스 방법
JP4254489B2 (ja) 調剤情報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2023054062A5 (ko)
US20110206238A1 (en) Pharmaceutical recognition and identification system and method of use
JP7088441B1 (ja) 服薬管理装置、服薬管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Voltolini Varieties of cognitive phenomenology
CN114822753A (zh) 一种处方审核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JP3208257U (ja) 医療情報処理システム及びサーバ
KR20210094827A (ko) 약 인식 장치 및 방법
KR20120096645A (ko)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약물 정보 검색 및 제공 방법
US20220401308A1 (en) Methods and devices for dispensing medic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