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14846A - 알약에 대한 약물 복용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복용 정보 제공 서버 및 그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알약에 대한 약물 복용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복용 정보 제공 서버 및 그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14846A
KR20230114846A KR1020220010862A KR20220010862A KR20230114846A KR 20230114846 A KR20230114846 A KR 20230114846A KR 1020220010862 A KR1020220010862 A KR 1020220010862A KR 20220010862 A KR20220010862 A KR 20220010862A KR 20230114846 A KR20230114846 A KR 202301148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ll
information
medication
user terminal
mobile ph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108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25815B1 (ko
Inventor
주종화
이승환
강병진
박종하
최정인
Original Assignee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200108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5815B1/ko
Publication of KR202301148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148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58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58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7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references
    • G16H70/4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references relating to drugs, e.g. their side effects or intended usa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0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20Image preprocessing
    • G06V10/255Detecting or recognising potential candidate objects based on visual cues, e.g. shap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0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40Extraction of image or video features
    • G06V10/56Extraction of image or video features relating to colou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0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7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using pattern recognition or machine learning
    • G06V10/86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using pattern recognition or machine learning using syntactic or structural representations of the image or video pattern, e.g. symbolic string recognition; using graph match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30/00Character recognition; Recognising digital ink; Document-oriented image-based pattern recognition
    • G06V30/10Character recognition
    • G06V30/14Image acquisition
    • G06V30/142Image acquisition using hand-held instruments;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instrument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1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drugs or medications, e.g. for ensuring correct administration to pati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06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the encryption apparatus using shift registers or memories for block-wise or stream coding, e.g. DES systems or RC4; Hash functions; Pseudorandom sequence generators
    • H04L9/0643Hash functions, e.g. MD5, SHA, HMAC or f9 MA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08Key distribution or management, e.g. generation, sharing or updating, of cryptographic keys or passwords
    • H04L9/0861Generation of secret information including derivation or calculation of cryptographic keys or passwords
    • H04L9/0869Generation of secret information including derivation or calculation of cryptographic keys or passwords involving random numbers or see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 H04L9/3226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using a predetermined code, e.g. password, passphrase or PIN
    • H04L9/3228One-time or temporary data, i.e. information which is sent for every authentication or authorization, e.g. one-time-password, one-time-token or one-time-ke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Toxicolog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알약에 대한 촬영 이미지로부터 알약의 색상, 형상, 알약에 각인된 문자열을 인식하여, 해당 알약에 매칭되는 약물 복용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복용 정보 제공 서버 및 그 동작 방법을 제시함으로써, 독거 노인과 같은 약물 복용 대상자에 대한 약물 복용 관리를 수행하는 관리자가 올바른 약물 복용 관리를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Description

알약에 대한 약물 복용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복용 정보 제공 서버 및 그 동작 방법{DOSING INFORMATION PROVIDING SERVER THAT CAN PROVIDE MEDICATION TAKING INFORMATION FOR PILLS AND THE OPERAT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알약에 대한 약물 복용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복용 정보 제공 서버 및 그 동작 방법에 대한 것이다.
최근, 노인 인구가 증가하면서, 독거 노인의 수도 증가함에 따라, 이러한 독거 노인을 돌보기 위한 사회복지 시스템 확충의 중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사회복지 시스템의 일환으로, 독거 노인을 돌보기 위한 사회복지사와 같은 돌봄 인력을 각 노인의 거주지로 파견함으로써, 독거 노인의 생활을 돌보는 방식의 사회복지 시스템이 주로 활용되고 있다.
이러한 독거 노인을 돌보는 서비스에는 독거 노인들의 약물 복용 관리를 적절하게 수행해 주는 서비스도 포함된다.
하지만, 사회복지사와 같은 돌봄 인력들은 의약품에 대한 전문 지식을 갖추고 있는 경우가 드물기 때문에, 약물 복용 정보를 정확하게 숙지하지 못하는 상태로 노인들의 약물 복용 관리를 수행할 가능성도 존재한다.
이러한 의약품으로는 알약이 대부분을 차지하는데, 알약의 경우에는 알약의 종류에 따라, 색상, 형상, 알약 표면에 각인된 문자열 등이 서로 다르게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알약의 색상, 형상, 알약 표면에 각인된 문자열을 확인할 수 있다면, 해당 알약이 어떠한 알약인지를 구별할 수 있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이와 관련해서, 최근에는 소정의 이미지로부터 객체를 검출하고, 해당 객체의 색상, 형상, 그리고, 이미지 상에 존재하는 텍스트까지 인식할 수 있는 다양한 인식 기술이 등장함에 따라, 이러한 인식 기술을 활용하여, 알약의 이미지로부터 해당 알약의 색상, 형상, 알약에 각인된 문자열을 인식함으로써, 해당 알약이 어떤 알약인지 구별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의 도입을 고려할 수 있다.
이렇게, 알약의 색상, 형상, 문자열을 기반으로 해당 알약이 어떠한 알약인지 구별할 수 있다면, 사회복지사와 같은 돌봄 인력들이 독거 노인들의 약물 복용 관리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알약을 촬영하여 이미지를 전송하는 것만으로, 해당 알약에 대한 약물 복용 정보를 돌봄 인력들에게 제공해 줄 수 있다는 점에서, 독거 노인들에 대한 올바른 약물 복용 관리를 유도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알약에 대한 촬영 이미지로부터 알약의 색상, 형상, 알약에 각인된 문자열을 인식하여, 해당 알약에 매칭되는 약물 복용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복용 정보 제공 서버 및 그 동작 방법을 제시함으로써, 독거 노인과 같은 약물 복용 대상자에 대한 약물 복용 관리를 수행하는 관리자가 올바른 약물 복용 관리를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알약에 대한 약물 복용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복용 정보 제공 서버는 복수의 알약들 각각에 대응되는 것으로 사전 지정된 알약 정보 집합 - 상기 복수의 알약들 각각에 대응되는 알약 정보 집합은, 사전 설정된 복수의 색상들 중 각 알약에 대응되는 것으로 지정된 어느 하나의 색상과, 사전 설정된 복수의 도형들 중 각 알약에 대응되는 것으로 지정된 어느 하나의 도형, 및 각 알약에 대응되는 것으로 지정된 문자열로 구성된 집합임 - 과, 각 알약에 대응되는 약물 복용 정보가 대응되어 저장되어 있는 정보 저장부, 사용자 단말로부터, 제1 알약에 대한 촬영 이미지가 수신되면서, 상기 제1 알약에 대응되는 약물 복용 정보의 제공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촬영 이미지로부터, 상기 복수의 색상들 중 상기 제1 알약에 대응되는 제1 색상을 인식하고, 상기 촬영 이미지로부터, 상기 복수의 도형들 중 상기 제1 알약의 형상에 대응되는 제1 도형을 인식하며, 상기 촬영 이미지로부터 상기 제1 알약에 각인되어 있는 제1 문자열을 인식하는 인식부, 상기 제1 색상, 상기 제1 도형, 상기 제1 문자열로 구성된 제1 알약 정보 집합을 구성한 후 상기 정보 저장부로부터, 상기 제1 알약 정보 집합과 동일한 알약 정보 집합에 대응되어 저장되어 있는 제1 약물 복용 정보를 추출하는 정보 추출부 및 상기 제1 약물 복용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정보 제공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알약에 대한 약물 복용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복용 정보 제공 서버의 동작 방법은 복수의 알약들 각각에 대응되는 것으로 사전 지정된 알약 정보 집합 - 상기 복수의 알약들 각각에 대응되는 알약 정보 집합은, 사전 설정된 복수의 색상들 중 각 알약에 대응되는 것으로 지정된 어느 하나의 색상과, 사전 설정된 복수의 도형들 중 각 알약에 대응되는 것으로 지정된 어느 하나의 도형, 및 각 알약에 대응되는 것으로 지정된 문자열로 구성된 집합임 - 과, 각 알약에 대응되는 약물 복용 정보가 대응되어 저장되어 있는 정보 저장부를 유지하는 단계, 사용자 단말로부터, 제1 알약에 대한 촬영 이미지가 수신되면서, 상기 제1 알약에 대응되는 약물 복용 정보의 제공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촬영 이미지로부터, 상기 복수의 색상들 중 상기 제1 알약에 대응되는 제1 색상을 인식하고, 상기 촬영 이미지로부터, 상기 복수의 도형들 중 상기 제1 알약의 형상에 대응되는 제1 도형을 인식하며, 상기 촬영 이미지로부터 상기 제1 알약에 각인되어 있는 제1 문자열을 인식하는 단계, 상기 제1 색상, 상기 제1 도형, 상기 제1 문자열로 구성된 제1 알약 정보 집합을 구성한 후 상기 정보 저장부로부터, 상기 제1 알약 정보 집합과 동일한 알약 정보 집합에 대응되어 저장되어 있는 제1 약물 복용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약물 복용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알약에 대한 촬영 이미지로부터 알약의 색상, 형상, 알약에 각인된 문자열을 인식하여, 해당 알약에 매칭되는 약물 복용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복용 정보 제공 서버 및 그 동작 방법을 제시함으로써, 독거 노인과 같은 약물 복용 대상자에 대한 약물 복용 관리를 수행하는 관리자가 올바른 약물 복용 관리를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알약에 대한 약물 복용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복용 정보 제공 서버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알약에 대한 약물 복용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복용 정보 제공 서버의 동작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이러한 설명은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으며,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본 명세서 상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본 문서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있어서, 각 구성요소들, 기능 블록들 또는 수단들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하부 구성요소로 구성될 수 있고, 각 구성요소들이 수행하는 전기, 전자, 기계적 기능들은 전자회로, 집적회로,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등 공지된 다양한 소자들 또는 기계적 요소들로 구현될 수 있으며, 각각 별개로 구현되거나 2 이상이 하나로 통합되어 구현될 수도 있다.
한편, 첨부된 블록도의 블록들이나 흐름도의 단계들은 범용 컴퓨터, 특수용 컴퓨터, 휴대용 노트북 컴퓨터, 네트워크 컴퓨터 등 데이터 프로세싱이 가능한 장비의 프로세서나 메모리에 탑재되어 지정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들(instructions)을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들은 컴퓨터 장치에 구비된 메모리 또는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기 때문에, 블록도의 블록들 또는 흐름도의 단계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은 이를 수행하는 명령 수단을 내포하는 제조물로 생산될 수도 있다. 아울러, 각 블록 또는 각 단계는 특정된 논리적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명령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다. 또, 몇 가지 대체 가능한 실시예들에서는 블록들 또는 단계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정해진 순서와 달리 실행되는 것도 가능함을 주목해야 한다. 예컨대,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블록들 또는 단계들은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거나, 역순으로 수행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일부 블록들 또는 단계들이 생략된 채로 수행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알약에 대한 약물 복용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복용 정보 제공 서버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복용 정보 제공 서버(110)는 정보 저장부(111), 인식부(112), 정보 추출부(113) 및 정보 제공부(114)를 포함한다.
정보 저장부(111)에는 복수의 알약들 각각에 대응되는 것으로 사전 지정된 알약 정보 집합과, 각 알약에 대응되는 약물 복용 정보가 대응되어 저장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복수의 알약들 각각에 대응되는 알약 정보 집합은, 사전 설정된 복수의 색상들 중 각 알약에 대응되는 것으로 지정된 어느 하나의 색상과, 사전 설정된 복수의 도형들 중 각 알약에 대응되는 것으로 지정된 어느 하나의 도형, 및 각 알약에 대응되는 것으로 지정된 문자열로 구성된 집합을 의미하고, 약물 복용 정보란 알약의 복용 방법, 알약의 효능, 알약의 복용에 따른 부작용 등과 관련된 정보를 의미한다.
관련해서, 정보 저장부(111)에는 하기의 표 1과 같이 정보가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복수의 알약들 알약 정보 집합 약물 복용 정보
알약 1 알약 정보 집합 1
- 색상: 빨간색
- 도형: 타원형
- 문자열: RPCCP
약물 복용 정보 1
알약 2 알약 정보 집합 2
- 색상: 흰색
- 도형: 직사각형
- 문자열: TW
약물 복용 정보 2
알약 3 알약 정보 집합 3
- 색상: 파란색
- 도형: 원형
- 문자열: IRP
약물 복용 정보 3
... ... ...
인식부(112)는 사용자 단말(10)로부터, 제1 알약에 대한 촬영 이미지가 수신되면서, 상기 제1 알약에 대응되는 약물 복용 정보의 제공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촬영 이미지로부터, 상기 복수의 색상들 중 상기 제1 알약에 대응되는 제1 색상을 인식하고, 상기 촬영 이미지로부터, 상기 복수의 도형들 중 상기 제1 알약의 형상에 대응되는 제1 도형을 인식하며, 상기 촬영 이미지로부터 상기 제1 알약에 각인되어 있는 제1 문자열을 인식한다.
이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인식부(112)는 색상 인식부(115), 도형 인식부(116) 및 문자열 인식부(117)를 포함할 수 있다.
색상 인식부(115)는 사용자 단말(10)로부터 상기 촬영 이미지가 수신되면, 알약 객체를 식별하기 위한 사전 설정된 객체 인식 모델을 기초로 상기 촬영 이미지로부터 상기 제1 알약에 대응되는 제1 객체를 식별한 후, 상기 제1 객체를 구성하는 화소값을 확인함으로써, 상기 제1 알약에 대응되는 상기 제1 색상을 인식한다.
여기서, 상기 객체 인식 모델은 소정의 이미지로부터 알약에 해당되는 객체를 인식하기 위한 인공지능 기반의 객체 인식 모델로서, YOLO(You Only Look Once) 기반의 객체 인식 모델이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색상 인식부(115)는 상기 제1 객체를 구성하는 화소값을 확인하여, 상기 제1 객체를 구성하는 화소들 중 사전 설정된 비율 이상의 화소들의 화소값이 상기 복수의 색상들 중 어느 하나인 제1 색상에 근접한 색상을 갖는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상기 제1 색상을 상기 제1 알약에 대응되는 색상으로 인식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사전 설정된 비율이 70%라고 하고, 상기 제1 객체를 구성하는 화소들 중 70% 이상의 화소들의 화소값이 '빨간색'에 근접하는 색상을 갖는 것으로 확인되었다고 하는 경우, 색상 인식부(115)는 '빨간색'을 상기 제1 알약에 대응되는 색상으로 인식할 수 있다.
도형 인식부(116)는 상기 복수의 도형들의 형상과 상기 제1 객체의 형상을 서로 비교하여, 상기 복수의 도형들 중 상기 제1 객체의 형상과 최대의 유사도를 갖는 형상의 도형을 상기 제1 도형으로 인식한다.
예컨대, 상기 복수의 도형들이 '타원형, 원형, 정사각형, 직사각형'이 있다라고 하고, 상기 제1 객체의 형상이 '타원형'에 가까운 형상이라고 하는 경우, 도형 인식부(116)는 상기 제1 객체의 형상과 최대의 유사도를 갖는 형상의 도형인 '타원형'을 상기 제1 객체에 대응되는 상기 제1 도형으로 인식할 수 있다.
문자열 인식부(117)는 상기 촬영 이미지를 흑백 이미지로 이진화 처리한 후, 이진화 처리된 상기 촬영 이미지로부터, 사전 설정된 OCR(Optical Character Recognition) 모델을 기초로 텍스트 인식을 수행함으로써, 상기 제1 알약에 각인되어 있는 상기 제1 문자열을 인식한다.
이렇게, 인식부(112)를 통해, 상기 제1 알약에 대응되는 상기 제1 색상, 상기 제1 도형, 상기 제1 문자열이 인식되면, 정보 추출부(113)는 상기 제1 색상, 상기 제1 도형, 상기 제1 문자열로 구성된 제1 알약 정보 집합을 구성한 후 정보 저장부(111)로부터, 상기 제1 알약 정보 집합과 동일한 알약 정보 집합에 대응되어 저장되어 있는 제1 약물 복용 정보를 추출한다.
예컨대, 인식부(112)를 통해 인식된 상기 제1 색상이 '빨간색', 상기 제1 도형이 '타원형', 상기 제1 문자열이 'RPCCP'라고 하는 경우, 정보 추출부(113)는 '빨간색', '타원형', 'RPCCP'로 구성된 제1 알약 정보 집합을 구성한 후, 상기 표 1과 같은 정보 저장부(111)로부터, 상기 제1 알약 정보 집합과 동일한 알약 정보 집합에 대응되어 저장되어 있는 제1 약물 복용 정보로 '약물 복용 정보 1'을 추출할 수 있다.
정보 제공부(114)는 상기 제1 약물 복용 정보의 추출이 완료되면, 상기 제1 약물 복용 정보를 사용자 단말(10)로 전송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정보 제공부(114)는 상기 제1 약물 복용 정보를 사용자 단말(10)로 전송할 때, 상기 제1 약물 복용 정보는 약물 복용자의 개인 정보라고 볼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제1 약물 복용 정보를 암호화하여 사용자 단말(10)에 전송하기 위한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해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정보 제공부(114)는 휴대폰 번호 저장부(118), 해시 함수 저장부(119), 이벤트 발생부(120), 확인부(121), 연산부(122), 암호화부(123), 인증번호 생성부(124), 문자 메시지 발송부(125) 및 암호화 전송부(126)를 포함할 수 있다.
휴대폰 번호 저장부(118)에는 알약에 대한 약물 복용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는 권한이 있는 사람으로 사전 지정된 복수의 사용자들 각각에 대한 사전 설정된 휴대폰 번호가 저장되어 있다.
예컨대, 휴대폰 번호 저장부(118)에는 독거 노인에 대한 돌봄 서비스를 제공하는 소정의 사회복지사들에 대한 휴대폰 번호가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해시 함수 저장부(119)에는 사용자 단말(10)과 사전 공유하고 있는 해시 함수가 저장되어 있다.
이벤트 발생부(120)는 정보 추출부(113)를 통해, 상기 제1 약물 복용 정보가 추출되면, 상기 제1 약물 복용 정보를 암호화하여 사용자 단말(10)로 전송하기 위한 암호화 전송 이벤트를 발생시킨다.
확인부(121)는 상기 암호화 전송 이벤트가 발생되면, 사용자 단말(10)의 소유자에 대한 휴대폰 번호를 입력하여 전송할 것을 안내하는 번호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10)로 전송한 후, 사용자 단말(10)로부터 제1 휴대폰 번호가 회신되면, 상기 제1 휴대폰 번호가 휴대폰 번호 저장부(118)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복수의 사용자들에 대한 휴대폰 번호 중 하나인지 여부를 확인한다.
연산부(122)는 상기 제1 휴대폰 번호가 휴대폰 번호 저장부(118)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복수의 사용자들에 대한 휴대폰 번호 중 하나인 것으로 확인되면, t(t는 2이상의 자연수임)비트의 제1 랜덤 코드와 t비트의 제2 랜덤 코드를 랜덤하게 생성한 후, 상기 제1 랜덤 코드를 상기 해시 함수에 입력으로 인가하여 해시값을 연산하고, 상기 제1 랜덤 코드와 상기 제2 랜덤 코드 간의 배타적 논리합 연산을 수행함으로써, t비트의 연산 코드를 생성한다.
예컨대, t를 '5'라고 하고, 상기 제1 랜덤 코드가 '11000', 제2 랜덤 코드가 '10110'으로 생성되었다고 하는 경우, 연산부(122)는 상기 제1 랜덤 코드인 '11000'을 상기 해시 함수에 입력으로 인가하여 해시값을 연산하고, 상기 제1 랜덤 코드인 '11000'과 상기 제2 랜덤 코드인 '10110' 간의 배타적 논리합 연산을 수행함으로써, 5비트의 연산 코드를 '01110'과 같이 생성할 수 있다.
암호화부(123)는 상기 해시값으로 상기 제1 약물 복용 정보를 암호화한다.
인증번호 생성부(124)는 상기 암호화된 제1 약물 복용 정보의 복호화를 위한 t자릿수의 인증번호를 생성하되, 상기 제2 랜덤 코드를 구성하는 t개의 비트값들 중, '0'에 해당되는 비트값이 위치하는 자리와 동일한 자리에 짝수인 랜덤 번호를 지정하고, '1'에 해당되는 비트값이 위치하는 자리와 동일한 자리에 홀수인 랜덤 번호를 지정함으로써, 상기 인증번호를 생성한다.
예컨대, 전술한 예와 같이, 상기 제2 랜덤 코드가 '10110'라고 하는 경우, 인증번호 생성부(124)는 상기 제2 랜덤 코드에서 '0'에 해당되는 비트값이 위치하는 자리와 동일한 자리에 짝수인 랜덤 번호를 지정하고, '1'에 해당되는 비트값이 위치하는 자리와 동일한 자리에 홀수인 랜덤 번호를 지정함으로써, '32574'와 같은 5자릿수의 인증번호를 생성할 수 있다.
문자 메시지 발송부(125)는 상기 인증번호가 생성되면, 상기 제1 휴대폰 번호를 수신측으로 하여, 상기 인증번호를 사용자 단말(10)에 입력할 것을 지시하는 내용이 포함된 문자 메시지를 발송한다.
그리고, 암호화 전송부(126)는 상기 문자 메시지가 발송되면, 사용자 단말(10)로 상기 암호화된 제1 약물 복용 정보와 함께 상기 연산 코드를 전송한다.
이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10)은 메모리 상에 상기 해시 함수를 저장하고 있고, 복용 정보 제공 서버(110)로부터 상기 암호화된 제1 약물 복용 정보와 상기 연산 코드가 수신되고, 사용자 단말(10)의 소유자에 의해, 상기 제1 휴대폰 번호를 수신측으로 하여 수신된 상기 문자 메시지 상에 포함된 상기 인증번호가 사용자 단말(10) 상에 입력되면, 상기 인증번호와 상기 연산 코드를 기초로 상기 제1 랜덤 코드를 복원하고, 상기 제1 랜덤 코드를 상기 메모리 상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해시 함수에 입력으로 인가하여 상기 해시값을 연산한 후, 상기 해시값을 기초로 상기 암호화된 제1 약물 복용 정보를 복호화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10)은 복용 정보 제공 서버(110)로부터 상기 암호화된 제1 약물 복용 정보와 상기 연산 코드가 수신되고, 사용자 단말(10)의 소유자에 의해, 상기 제1 휴대폰 번호를 수신측으로 하여 수신된 상기 문자 메시지 상에 포함된 상기 인증번호가 사용자 단말(10) 상에 입력되면, 상기 인증번호를 구성하는 t개의 숫자들 각각에 대해 모듈로(modulo)-2 연산을 수행하였을 때의 결과값을 비트열로 구성함으로써, t비트의 상기 제2 랜덤 코드를 생성한 후, 상기 연산 코드와 상기 제2 랜덤 코드 간의 배타적 논리합 연산을 수행함으로써, t비트의 상기 제1 랜덤 코드를 복원하고, 상기 제1 랜덤 코드가 복원되면, 상기 제1 랜덤 코드를 상기 메모리 상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해시 함수에 입력으로 인가하여 상기 해시값을 연산한 후, 상기 해시값을 기초로 상기 암호화된 제1 약물 복용 정보를 복호화할 수 있다.
관련해서, 전술한 예와 같이, 상기 인증번호가 '32574'라고 하고, 상기 연산 코드가 '01110'라고 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10)은 복용 정보 제공 서버(110)로부터 상기 암호화된 제1 약물 복용 정보와 상기 연산 코드인 '01110'이 수신되고, 사용자 단말(10)의 소유자에 의해, 상기 인증번호인 '32574'가 사용자 단말(10)에 입력되면, 상기 인증번호를 구성하는 5개의 숫자들인 '3', '2', '5', '7', '4' 각각에 대해 모듈로-2 연산을 수행하여, '1', '0', '1', '1', '0'이라고 하는 결과값을 생성한 후, 이 결과값을 비트열로 구성함으로써, '10110'이라고 하는 상기 5비트의 제2 랜덤 코드를 생성할 수 있다.
그러고 나서, 사용자 단말(10)은 복용 정보 제공 서버(110)로부터 수신된 상기 연산 코드인 '01110'과 상기 제2 랜덤 코드인 '10110' 간의 배타적 논리합 연산을 수행함으로써, '11000'이라고 하는 상기 5비트의 제1 랜덤 코드를 복원할 수 있다.
이렇게, 상기 제1 랜덤 코드가 복원되면, 사용자 단말(10)은 상기 제1 랜덤 코드를 사용자 단말(10)의 메모리 상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해시 함수에 입력으로 인가하여 상기 해시값을 연산한 후, 상기 해시값으로, 상기 암호화된 제1 약물 복용 정보를 복호화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 단말(10)의 소유자는, 암호화되어 있는 제1 약물 복용 정보를, 복호화된 원본 정보로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알약에 대한 약물 복용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복용 정보 제공 서버의 동작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단계(S210)에서는 복수의 알약들 각각에 대응되는 것으로 사전 지정된 알약 정보 집합(상기 복수의 알약들 각각에 대응되는 알약 정보 집합은, 사전 설정된 복수의 색상들 중 각 알약에 대응되는 것으로 지정된 어느 하나의 색상과, 사전 설정된 복수의 도형들 중 각 알약에 대응되는 것으로 지정된 어느 하나의 도형, 및 각 알약에 대응되는 것으로 지정된 문자열로 구성된 집합임)과, 각 알약에 대응되는 약물 복용 정보가 대응되어 저장되어 있는 정보 저장부를 유지한다.
단계(S220)에서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제1 알약에 대한 촬영 이미지가 수신되면서, 상기 제1 알약에 대응되는 약물 복용 정보의 제공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촬영 이미지로부터, 상기 복수의 색상들 중 상기 제1 알약에 대응되는 제1 색상을 인식하고, 상기 촬영 이미지로부터, 상기 복수의 도형들 중 상기 제1 알약의 형상에 대응되는 제1 도형을 인식하며, 상기 촬영 이미지로부터 상기 제1 알약에 각인되어 있는 제1 문자열을 인식한다.
단계(S230)에서는 상기 제1 색상, 상기 제1 도형, 상기 제1 문자열로 구성된 제1 알약 정보 집합을 구성한 후 상기 정보 저장부로부터, 상기 제1 알약 정보 집합과 동일한 알약 정보 집합에 대응되어 저장되어 있는 제1 약물 복용 정보를 추출한다.
단계(S240)에서는 상기 제1 약물 복용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한다.
이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단계(S220)에서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촬영 이미지가 수신되면, 알약 객체를 식별하기 위한 사전 설정된 객체 인식 모델을 기초로 상기 촬영 이미지로부터 상기 제1 알약에 대응되는 제1 객체를 식별한 후, 상기 제1 객체를 구성하는 화소값을 확인함으로써, 상기 제1 알약에 대응되는 상기 제1 색상을 인식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도형들의 형상과 상기 제1 객체의 형상을 서로 비교하여, 상기 복수의 도형들 중 상기 제1 객체의 형상과 최대의 유사도를 갖는 형상의 도형을 상기 제1 도형으로 인식하는 단계 및 상기 촬영 이미지를 흑백 이미지로 이진화 처리한 후, 이진화 처리된 상기 촬영 이미지로부터, 사전 설정된 OCR 모델을 기초로 텍스트 인식을 수행함으로써, 상기 제1 알약에 각인되어 있는 상기 제1 문자열을 인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단계(S240)에서는 알약에 대한 약물 복용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는 권한이 있는 사람으로 사전 지정된 복수의 사용자들 각각에 대한 사전 설정된 휴대폰 번호가 저장되어 있는 휴대폰 번호 저장부를 유지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과 사전 공유하고 있는 해시 함수가 저장되어 있는 해시 함수 저장부를 유지하는 단계, 상기 제1 약물 복용 정보가 추출되면, 상기 제1 약물 복용 정보를 암호화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기 위한 암호화 전송 이벤트를 발생시키는 단계, 상기 암호화 전송 이벤트가 발생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의 소유자에 대한 휴대폰 번호를 입력하여 전송할 것을 안내하는 번호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한 후,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제1 휴대폰 번호가 회신되면, 상기 제1 휴대폰 번호가 상기 휴대폰 번호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복수의 사용자들에 대한 휴대폰 번호 중 하나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제1 휴대폰 번호가 상기 휴대폰 번호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복수의 사용자들에 대한 휴대폰 번호 중 하나인 것으로 확인되면, t(t는 2이상의 자연수임)비트의 제1 랜덤 코드와 t비트의 제2 랜덤 코드를 랜덤하게 생성한 후, 상기 제1 랜덤 코드를 상기 해시 함수에 입력으로 인가하여 해시값을 연산하고, 상기 제1 랜덤 코드와 상기 제2 랜덤 코드 간의 배타적 논리합 연산을 수행함으로써, t비트의 연산 코드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해시값으로 상기 제1 약물 복용 정보를 암호화하는 단계, 상기 암호화된 제1 약물 복용 정보의 복호화를 위한 t자릿수의 인증번호를 생성하되, 상기 제2 랜덤 코드를 구성하는 t개의 비트값들 중, '0'에 해당되는 비트값이 위치하는 자리와 동일한 자리에 짝수인 랜덤 번호를 지정하고, '1'에 해당되는 비트값이 위치하는 자리와 동일한 자리에 홀수인 랜덤 번호를 지정함으로써, 상기 인증번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인증번호가 생성되면, 상기 제1 휴대폰 번호를 수신측으로 하여, 상기 인증번호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입력할 것을 지시하는 내용이 포함된 문자 메시지를 발송하는 단계 및 상기 문자 메시지가 발송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로 상기 암호화된 제1 약물 복용 정보와 함께 상기 연산 코드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사용자 단말은 메모리 상에 상기 해시 함수를 저장하고 있고, 상기 복용 정보 제공 서버로부터 상기 암호화된 제1 약물 복용 정보와 상기 연산 코드가 수신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의 소유자에 의해, 상기 제1 휴대폰 번호를 수신측으로 하여 수신된 상기 문자 메시지 상에 포함된 상기 인증번호가 상기 사용자 단말 상에 입력되면, 상기 인증번호와 상기 연산 코드를 기초로 상기 제1 랜덤 코드를 복원하고, 상기 제1 랜덤 코드를 상기 메모리 상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해시 함수에 입력으로 인가하여 상기 해시값을 연산한 후, 상기 해시값을 기초로 상기 암호화된 제1 약물 복용 정보를 복호화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복용 정보 제공 서버로부터 상기 암호화된 제1 약물 복용 정보와 상기 연산 코드가 수신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의 소유자에 의해, 상기 제1 휴대폰 번호를 수신측으로 하여 수신된 상기 문자 메시지 상에 포함된 상기 인증번호가 상기 사용자 단말 상에 입력되면, 상기 인증번호를 구성하는 t개의 숫자들 각각에 대해 모듈로-2 연산을 수행하였을 때의 결과값을 비트열로 구성함으로써, t비트의 상기 제2 랜덤 코드를 생성한 후, 상기 연산 코드와 상기 제2 랜덤 코드 간의 배타적 논리합 연산을 수행함으로써, t비트의 상기 제1 랜덤 코드를 복원하고, 상기 제1 랜덤 코드가 복원되면, 상기 제1 랜덤 코드를 상기 메모리 상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해시 함수에 입력으로 인가하여 상기 해시값을 연산한 후, 상기 해시값을 기초로 상기 암호화된 제1 약물 복용 정보를 복호화할 수 있다.
이상,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알약에 대한 약물 복용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복용 정보 제공 서버의 동작 방법에 대해 설명하였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알약에 대한 약물 복용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복용 정보 제공 서버의 동작 방법은 도 1을 이용하여 설명한 알약에 대한 약물 복용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복용 정보 제공 서버(110)의 동작에 대한 구성과 대응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알약에 대한 약물 복용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복용 정보 제공 서버의 동작 방법은 컴퓨터와의 결합을 통해 실행시키기 위한 저장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알약에 대한 약물 복용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복용 정보 제공 서버의 동작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10: 알약에 대한 약물 복용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복용 정보 제공 서버
111: 정보 저장부 112: 인식부
113: 정보 추출부 114: 정보 제공부
115: 색상 인식부 116: 도형 인식부
117: 문자열 인식부 118: 휴대폰 번호 저장부
119: 해시 함수 저장부 120: 이벤트 발생부
121: 확인부 122: 연산부
123: 암호화부 124: 인증번호 생성부
125: 문자 메시지 발송부 126: 암호화 전송부
10: 사용자 단말

Claims (10)

  1. 알약에 대한 약물 복용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복용 정보 제공 서버에 있어서,
    복수의 알약들 각각에 대응되는 것으로 사전 지정된 알약 정보 집합 - 상기 복수의 알약들 각각에 대응되는 알약 정보 집합은, 사전 설정된 복수의 색상들 중 각 알약에 대응되는 것으로 지정된 어느 하나의 색상과, 사전 설정된 복수의 도형들 중 각 알약에 대응되는 것으로 지정된 어느 하나의 도형, 및 각 알약에 대응되는 것으로 지정된 문자열로 구성된 집합임 - 과, 각 알약에 대응되는 약물 복용 정보가 대응되어 저장되어 있는 정보 저장부;
    사용자 단말로부터, 제1 알약에 대한 촬영 이미지가 수신되면서, 상기 제1 알약에 대응되는 약물 복용 정보의 제공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촬영 이미지로부터, 상기 복수의 색상들 중 상기 제1 알약에 대응되는 제1 색상을 인식하고, 상기 촬영 이미지로부터, 상기 복수의 도형들 중 상기 제1 알약의 형상에 대응되는 제1 도형을 인식하며, 상기 촬영 이미지로부터 상기 제1 알약에 각인되어 있는 제1 문자열을 인식하는 인식부;
    상기 제1 색상, 상기 제1 도형, 상기 제1 문자열로 구성된 제1 알약 정보 집합을 구성한 후 상기 정보 저장부로부터, 상기 제1 알약 정보 집합과 동일한 알약 정보 집합에 대응되어 저장되어 있는 제1 약물 복용 정보를 추출하는 정보 추출부; 및
    상기 제1 약물 복용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정보 제공부
    를 포함하는 복용 정보 제공 서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식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촬영 이미지가 수신되면, 알약 객체를 식별하기 위한 사전 설정된 객체 인식 모델을 기초로 상기 촬영 이미지로부터 상기 제1 알약에 대응되는 제1 객체를 식별한 후, 상기 제1 객체를 구성하는 화소값을 확인함으로써, 상기 제1 알약에 대응되는 상기 제1 색상을 인식하는 색상 인식부;
    상기 복수의 도형들의 형상과 상기 제1 객체의 형상을 서로 비교하여, 상기 복수의 도형들 중 상기 제1 객체의 형상과 최대의 유사도를 갖는 형상의 도형을 상기 제1 도형으로 인식하는 도형 인식부; 및
    상기 촬영 이미지를 흑백 이미지로 이진화 처리한 후, 이진화 처리된 상기 촬영 이미지로부터, 사전 설정된 OCR(Optical Character Recognition) 모델을 기초로 텍스트 인식을 수행함으로써, 상기 제1 알약에 각인되어 있는 상기 제1 문자열을 인식하는 문자열 인식부
    를 포함하는 복용 정보 제공 서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제공부는
    알약에 대한 약물 복용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는 권한이 있는 사람으로 사전 지정된 복수의 사용자들 각각에 대한 사전 설정된 휴대폰 번호가 저장되어 있는 휴대폰 번호 저장부;
    상기 사용자 단말과 사전 공유하고 있는 해시 함수가 저장되어 있는 해시 함수 저장부;
    상기 제1 약물 복용 정보가 추출되면, 상기 제1 약물 복용 정보를 암호화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기 위한 암호화 전송 이벤트를 발생시키는 이벤트 발생부;
    상기 암호화 전송 이벤트가 발생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의 소유자에 대한 휴대폰 번호를 입력하여 전송할 것을 안내하는 번호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한 후,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제1 휴대폰 번호가 회신되면, 상기 제1 휴대폰 번호가 상기 휴대폰 번호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복수의 사용자들에 대한 휴대폰 번호 중 하나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확인부;
    상기 제1 휴대폰 번호가 상기 휴대폰 번호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복수의 사용자들에 대한 휴대폰 번호 중 하나인 것으로 확인되면, t(t는 2이상의 자연수임)비트의 제1 랜덤 코드와 t비트의 제2 랜덤 코드를 랜덤하게 생성한 후, 상기 제1 랜덤 코드를 상기 해시 함수에 입력으로 인가하여 해시값을 연산하고, 상기 제1 랜덤 코드와 상기 제2 랜덤 코드 간의 배타적 논리합 연산을 수행함으로써, t비트의 연산 코드를 생성하는 연산부;
    상기 해시값으로 상기 제1 약물 복용 정보를 암호화하는 암호화부;
    상기 암호화된 제1 약물 복용 정보의 복호화를 위한 t자릿수의 인증번호를 생성하되, 상기 제2 랜덤 코드를 구성하는 t개의 비트값들 중, '0'에 해당되는 비트값이 위치하는 자리와 동일한 자리에 짝수인 랜덤 번호를 지정하고, '1'에 해당되는 비트값이 위치하는 자리와 동일한 자리에 홀수인 랜덤 번호를 지정함으로써, 상기 인증번호를 생성하는 인증번호 생성부;
    상기 인증번호가 생성되면, 상기 제1 휴대폰 번호를 수신측으로 하여, 상기 인증번호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입력할 것을 지시하는 내용이 포함된 문자 메시지를 발송하는 문자 메시지 발송부; 및
    상기 문자 메시지가 발송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로 상기 암호화된 제1 약물 복용 정보와 함께 상기 연산 코드를 전송하는 암호화 전송부
    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은
    메모리 상에 상기 해시 함수를 저장하고 있고, 상기 복용 정보 제공 서버로부터 상기 암호화된 제1 약물 복용 정보와 상기 연산 코드가 수신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의 소유자에 의해, 상기 제1 휴대폰 번호를 수신측으로 하여 수신된 상기 문자 메시지 상에 포함된 상기 인증번호가 상기 사용자 단말 상에 입력되면, 상기 인증번호와 상기 연산 코드를 기초로 상기 제1 랜덤 코드를 복원하고, 상기 제1 랜덤 코드를 상기 메모리 상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해시 함수에 입력으로 인가하여 상기 해시값을 연산한 후, 상기 해시값을 기초로 상기 암호화된 제1 약물 복용 정보를 복호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용 정보 제공 서버.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복용 정보 제공 서버로부터 상기 암호화된 제1 약물 복용 정보와 상기 연산 코드가 수신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의 소유자에 의해, 상기 제1 휴대폰 번호를 수신측으로 하여 수신된 상기 문자 메시지 상에 포함된 상기 인증번호가 상기 사용자 단말 상에 입력되면, 상기 인증번호를 구성하는 t개의 숫자들 각각에 대해 모듈로(modulo)-2 연산을 수행하였을 때의 결과값을 비트열로 구성함으로써, t비트의 상기 제2 랜덤 코드를 생성한 후, 상기 연산 코드와 상기 제2 랜덤 코드 간의 배타적 논리합 연산을 수행함으로써, t비트의 상기 제1 랜덤 코드를 복원하고, 상기 제1 랜덤 코드가 복원되면, 상기 제1 랜덤 코드를 상기 메모리 상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해시 함수에 입력으로 인가하여 상기 해시값을 연산한 후, 상기 해시값을 기초로 상기 암호화된 제1 약물 복용 정보를 복호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용 정보 제공 서버.
  5. 알약에 대한 약물 복용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복용 정보 제공 서버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알약들 각각에 대응되는 것으로 사전 지정된 알약 정보 집합 - 상기 복수의 알약들 각각에 대응되는 알약 정보 집합은, 사전 설정된 복수의 색상들 중 각 알약에 대응되는 것으로 지정된 어느 하나의 색상과, 사전 설정된 복수의 도형들 중 각 알약에 대응되는 것으로 지정된 어느 하나의 도형, 및 각 알약에 대응되는 것으로 지정된 문자열로 구성된 집합임 - 과, 각 알약에 대응되는 약물 복용 정보가 대응되어 저장되어 있는 정보 저장부를 유지하는 단계;
    사용자 단말로부터, 제1 알약에 대한 촬영 이미지가 수신되면서, 상기 제1 알약에 대응되는 약물 복용 정보의 제공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촬영 이미지로부터, 상기 복수의 색상들 중 상기 제1 알약에 대응되는 제1 색상을 인식하고, 상기 촬영 이미지로부터, 상기 복수의 도형들 중 상기 제1 알약의 형상에 대응되는 제1 도형을 인식하며, 상기 촬영 이미지로부터 상기 제1 알약에 각인되어 있는 제1 문자열을 인식하는 단계;
    상기 제1 색상, 상기 제1 도형, 상기 제1 문자열로 구성된 제1 알약 정보 집합을 구성한 후 상기 정보 저장부로부터, 상기 제1 알약 정보 집합과 동일한 알약 정보 집합에 대응되어 저장되어 있는 제1 약물 복용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약물 복용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복용 정보 제공 서버의 동작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인식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촬영 이미지가 수신되면, 알약 객체를 식별하기 위한 사전 설정된 객체 인식 모델을 기초로 상기 촬영 이미지로부터 상기 제1 알약에 대응되는 제1 객체를 식별한 후, 상기 제1 객체를 구성하는 화소값을 확인함으로써, 상기 제1 알약에 대응되는 상기 제1 색상을 인식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도형들의 형상과 상기 제1 객체의 형상을 서로 비교하여, 상기 복수의 도형들 중 상기 제1 객체의 형상과 최대의 유사도를 갖는 형상의 도형을 상기 제1 도형으로 인식하는 단계; 및
    상기 촬영 이미지를 흑백 이미지로 이진화 처리한 후, 이진화 처리된 상기 촬영 이미지로부터, 사전 설정된 OCR(Optical Character Recognition) 모델을 기초로 텍스트 인식을 수행함으로써, 상기 제1 알약에 각인되어 있는 상기 제1 문자열을 인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복용 정보 제공 서버의 동작 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하는 단계는
    알약에 대한 약물 복용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는 권한이 있는 사람으로 사전 지정된 복수의 사용자들 각각에 대한 사전 설정된 휴대폰 번호가 저장되어 있는 휴대폰 번호 저장부를 유지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과 사전 공유하고 있는 해시 함수가 저장되어 있는 해시 함수 저장부를 유지하는 단계;
    상기 제1 약물 복용 정보가 추출되면, 상기 제1 약물 복용 정보를 암호화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기 위한 암호화 전송 이벤트를 발생시키는 단계;
    상기 암호화 전송 이벤트가 발생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의 소유자에 대한 휴대폰 번호를 입력하여 전송할 것을 안내하는 번호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한 후,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제1 휴대폰 번호가 회신되면, 상기 제1 휴대폰 번호가 상기 휴대폰 번호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복수의 사용자들에 대한 휴대폰 번호 중 하나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제1 휴대폰 번호가 상기 휴대폰 번호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복수의 사용자들에 대한 휴대폰 번호 중 하나인 것으로 확인되면, t(t는 2이상의 자연수임)비트의 제1 랜덤 코드와 t비트의 제2 랜덤 코드를 랜덤하게 생성한 후, 상기 제1 랜덤 코드를 상기 해시 함수에 입력으로 인가하여 해시값을 연산하고, 상기 제1 랜덤 코드와 상기 제2 랜덤 코드 간의 배타적 논리합 연산을 수행함으로써, t비트의 연산 코드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해시값으로 상기 제1 약물 복용 정보를 암호화하는 단계;
    상기 암호화된 제1 약물 복용 정보의 복호화를 위한 t자릿수의 인증번호를 생성하되, 상기 제2 랜덤 코드를 구성하는 t개의 비트값들 중, '0'에 해당되는 비트값이 위치하는 자리와 동일한 자리에 짝수인 랜덤 번호를 지정하고, '1'에 해당되는 비트값이 위치하는 자리와 동일한 자리에 홀수인 랜덤 번호를 지정함으로써, 상기 인증번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인증번호가 생성되면, 상기 제1 휴대폰 번호를 수신측으로 하여, 상기 인증번호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입력할 것을 지시하는 내용이 포함된 문자 메시지를 발송하는 단계; 및
    상기 문자 메시지가 발송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로 상기 암호화된 제1 약물 복용 정보와 함께 상기 연산 코드를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은
    메모리 상에 상기 해시 함수를 저장하고 있고, 상기 복용 정보 제공 서버로부터 상기 암호화된 제1 약물 복용 정보와 상기 연산 코드가 수신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의 소유자에 의해, 상기 제1 휴대폰 번호를 수신측으로 하여 수신된 상기 문자 메시지 상에 포함된 상기 인증번호가 상기 사용자 단말 상에 입력되면, 상기 인증번호와 상기 연산 코드를 기초로 상기 제1 랜덤 코드를 복원하고, 상기 제1 랜덤 코드를 상기 메모리 상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해시 함수에 입력으로 인가하여 상기 해시값을 연산한 후, 상기 해시값을 기초로 상기 암호화된 제1 약물 복용 정보를 복호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용 정보 제공 서버의 동작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복용 정보 제공 서버로부터 상기 암호화된 제1 약물 복용 정보와 상기 연산 코드가 수신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의 소유자에 의해, 상기 제1 휴대폰 번호를 수신측으로 하여 수신된 상기 문자 메시지 상에 포함된 상기 인증번호가 상기 사용자 단말 상에 입력되면, 상기 인증번호를 구성하는 t개의 숫자들 각각에 대해 모듈로(modulo)-2 연산을 수행하였을 때의 결과값을 비트열로 구성함으로써, t비트의 상기 제2 랜덤 코드를 생성한 후, 상기 연산 코드와 상기 제2 랜덤 코드 간의 배타적 논리합 연산을 수행함으로써, t비트의 상기 제1 랜덤 코드를 복원하고, 상기 제1 랜덤 코드가 복원되면, 상기 제1 랜덤 코드를 상기 메모리 상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해시 함수에 입력으로 인가하여 상기 해시값을 연산한 후, 상기 해시값을 기초로 상기 암호화된 제1 약물 복용 정보를 복호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용 정보 제공 서버의 동작 방법.
  9. 제5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컴퓨터와의 결합을 통해 실행시키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10. 제5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컴퓨터와의 결합을 통해 실행시키기 위한 저장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220010862A 2022-01-25 2022-01-25 알약에 대한 약물 복용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복용 정보 제공 서버 및 그 동작 방법 KR1026258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0862A KR102625815B1 (ko) 2022-01-25 2022-01-25 알약에 대한 약물 복용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복용 정보 제공 서버 및 그 동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0862A KR102625815B1 (ko) 2022-01-25 2022-01-25 알약에 대한 약물 복용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복용 정보 제공 서버 및 그 동작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14846A true KR20230114846A (ko) 2023-08-02
KR102625815B1 KR102625815B1 (ko) 2024-01-15

Family

ID=875666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10862A KR102625815B1 (ko) 2022-01-25 2022-01-25 알약에 대한 약물 복용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복용 정보 제공 서버 및 그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5815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71465A (ko) * 2010-12-23 2012-07-03 경기대학교 산학협력단 약 영상 검색 방법 및 장치
KR20210109950A (ko) * 2020-02-28 2021-09-07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약품선별장치 및 선별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71465A (ko) * 2010-12-23 2012-07-03 경기대학교 산학협력단 약 영상 검색 방법 및 장치
KR20210109950A (ko) * 2020-02-28 2021-09-07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약품선별장치 및 선별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25815B1 (ko) 2024-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43041B2 (en) Technologies for private key recovery in distributed ledger systems
KR102560512B1 (ko) 데이타 확인
US11216627B2 (en) 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and verifying two-dimensional code
US10313338B2 (en) Authentication method and device using a single-use password including biometric image information
CN1091329C (zh) 向图象嵌入鉴定信息的系统及图象改变检测系统
CN1281608A (zh) 利用生物统计数据生成密码密钥
CN107925581A (zh) 1:n生物体认证、加密、署名系统
CN1860724A (zh) 用于标识的方法
KR20010023602A (ko) 디지털서명 생성서버 및 디지털서명 생성방법
WO2019134236A1 (zh) 密码管理方法、装置、终端设备及存储介质
RU2316120C2 (ru) Биометрическая система аутентификации
CN112398920A (zh) 一种基于区块链技术的医疗隐私数据保护方法
JP7236042B2 (ja) 準同型暗号を用いた顔認証のアプリケーション
CN112069479B (zh) 一种基于区块链的人脸数据调用方法及装置
CN113626816A (zh) 一种信息安全管理系统
KR102625815B1 (ko) 알약에 대한 약물 복용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복용 정보 제공 서버 및 그 동작 방법
TWI623894B (zh) 票券認證方法與票券認證裝置
JP2005209018A (ja) 生体認証システム及び生体認証方法
CN102413148A (zh) 基于可视密码的生物特征远程认证方法
Chand et al. Biometric Authentication using SaaS in Cloud Computing
CN115001687A (zh) 一种基于秘密共享的身份隐私数据分布式存储方法和系统
JP2001005784A (ja) パスワード照合装置および方法
CN110084329A (zh) 央信码的套码方法
Yan et al. Applying QR code to secure medical management
CN111898968A (zh) 一种基于电子公证系统的内网电子文书签署方法及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