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09080A - 미세먼지 차단을 위한 탄소 나노섬유를 포함하는 방진망 - Google Patents

미세먼지 차단을 위한 탄소 나노섬유를 포함하는 방진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09080A
KR20210109080A KR1020200023489A KR20200023489A KR20210109080A KR 20210109080 A KR20210109080 A KR 20210109080A KR 1020200023489 A KR1020200023489 A KR 1020200023489A KR 20200023489 A KR20200023489 A KR 20200023489A KR 20210109080 A KR20210109080 A KR 202101090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t
present
fine dust
dustproof net
nanofiber we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34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채태웅
김도경
Original Assignee
유한회사 클리어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한회사 클리어창 filed Critical 유한회사 클리어창
Priority to KR10202000234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09080A/ko
Publication of KR202101090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908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2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insects, e.g. fly screens; Mesh windows for other purpose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9/00Open-work fabric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2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ertain kinds of fibres insofar as this use has no preponderant influence on the consolidation of the fleece
    • D04H1/4209Inorganic fibres
    • D04H1/4242Carbon fibre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101/00Inorganic fibres
    • D10B2101/10Inorganic fibres based on non-oxides other than metals
    • D10B2101/12Carbon; Pitch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2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insects, e.g. fly screens; Mesh windows for other purposes
    • E06B2009/524Mesh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Chemical Or Physical Treatment Of Fibers (AREA)
  • Filtering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반 창호용 방충 및 방진 용도로 가공된 그물망 형태의 미세먼지 차단을 위한 방진망과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미세먼지와 초미세먼지, 황사와 같은 외부 오염물질을 차단할 뿐만 아니라 실내에서 발생하는 석면, 라돈, 세균, 포름알데히드, 취사, 전자기기 사용 등으로 발생하는 각종 실내공기 오염물질을 통과시킬 수 있는, 유해물질 차단 및 통기성이 우수한 방진망을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미세먼지 차단을 위한 탄소 나노섬유를 포함하는 방진망{Dustproof net comprising carbon nano fiber for fine dust filtering}
본 발명은 일반 창호용 방충 및 방진 용도로 가공된 그물망 형태의 미세먼지 차단을 위한 방진망과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탄소 나노섬유를 포함하는 미세먼지 차단용 방진망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택이나 아파트 같은 주거 건물의 창에는 모기, 파리 같은 해충을 차단하고 통기가 가능한 그물망 형태의 방충망이 설치되는 것이 보통이다. 이런 방충망의 소재는 나일론, 폴리에스터 같은 합성 섬유는 물론 알루미늄, 스테인리스 등의 가는 금속망, 최근에는 글라스파이버를 이용한 제품 까지 다양한 소재의 제품들이 개발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최근에는 기존의 방충기능을 가진 방충망을 통해 실내로 유입될 수 있는 유해한 (초)미세먼지의 발생빈도가 잦아지고 이에 따른 미세먼지로 인한 호흡기 계통 질병 발생의 우려가 높아짐에 따라, 기존의 방충망만으로는 안심하고 창문을 열어 환기를 하는 것이 꺼려지고 있는 실정이다. 즉, 실내에서 발생하는 석면, 라돈, 세균, 포름알데히드, 취사, 전자기기 사용 등으로 발생하는 각종 실내 공기오염 물질 문제로, 주거생활시 환기가 필수이나, 미세먼지 등으로 인해 환기가 꺼려지는 실정이다.
따라서 기존의 방충망의 기능인 해충차단은 물론이고 유해한 미세먼지까지를 차단해 줄 수 있는 새로운 기능의 방충/방진망의 개발이 절실하게 필요한 상황이다.
본 발명은 주로 주거용 건물의 창틀에 부착하여 유해한 해충을 차단해주는 기능을 하는 기존의 방충망 기능에 더하여, 최근 새롭게 문제가 되고 있는 미세먼지와 초미세먼지 및 황사와 같은 1급 발암물질의 유입까지 차단이 될 수 있도록 나노 파이버를 방사하여 나노사이즈의 방진망을 형성시키고 이를 방충망의 표면에 단단히 고착시킴으로써, 방충의 기능은 물론이고 미세먼지의 차단기능 까지 가지는 방진망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방충/방진기능에 더하여 통기성이 있고 액체상태의 수분, 즉 빗물이 유입되지 않는 우수한 기능의 창문용 필터망(filtering mesh)으로 사용가능한 방진망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한 바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대전성 고분자 수지가 피복된 폴리에스터실로 형성된 그물형태의 방충망 원단(1)의 한쪽 면에 바인더 수지로서 핫멜트 수지를 부분 도포하고, 그 위에 미세먼지를 차단할 수 있도록 공극 크기가 0.1~100 um 인 탄소 나노섬유웹을 형성시킨 다음(2), 핫멜트 수지가 부분 도포된 추가의 보호용 원단(3)을 2의 탄소 나노섬유웹 위에 겹쳐서 열 접착롤러를 통과시킴으로써, 탄소 나노섬유웹이 핫멜트 수지에 의해 단단히 고착될 수 있도록 제조한, 미세먼지 차단이 가능한 방진망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해 제작된 방진망은 창틀이나 문틀 등에 부착되어 있는 종래의 방충망을 대체하여 창틀에 끼우는 방식으로 사용할 수 있고, 또는 기존의 방충망 위에 덧붙여서 미세먼지 차단의 기능을 갖게 할 수도 있는 등 현재 기관지나 호흡기 계통의 질환을 유발시키는 주범으로 인식되고 있는 미세먼지의 실내 유입을 최대한 차단시켜줄 수 있는 미세먼지 차단용 방진망을 제공한다. 아울러 빗물이 유입되지 않으면서도 통기가 가능하므로 사시사철 창문을 개방하여 자연 통풍이 가능하고 필요시에는 물을 뿌려서 쉽게 청소가 가능한 고기능성의 미세먼지 차단용 방진망이 제공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미세먼지와 초미세먼지, 황사와 같은 외부 오염물질을 차단할 뿐만 아니라 실내에서 발생하는 석면, 라돈, 세균, 포름알데히드, 취사, 전자기기 사용 등으로 발생하는 각종 실내공기 오염물질을 통과시킬 수 있는, 유해물질 차단 및 통기성이 우수한 방진망을 얻을 수 있다.
도 1은 폴리에스터 실로 형성된 그물 형태의 방충망원단의 현미경 사진이다.
도 2는 탄소 나노섬유웹의 전자현미경 이미지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방진망의 단면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4는 탄소 나노섬유웹을 제조하기 위한 전계방사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방진망의 SEM 이미지이다.
도 6은 이산화티타늄이 포함된 탄소 나노섬유웹의 SEM 이미지이다.
이하, 본원의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들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단계가 다른 단계와 “상에”또는 “전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단계가 다른 단계와 직접적 시계열적인 관계에 있는 경우 뿐만 아니라, 각 단계 후의 혼합하는 단계와 같이 두 단계의 순서에 시계열적 순서가 바뀔 수 있는 간접적 시계열적 관계에 있는 경우와 동일한 권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용어 "~ (하는) 단계" 또는 "~의 단계"는 "~를 위한 단계"를 의미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고자 하는 방진망은, 대전성 고분자 수지가 피복된 폴리에스터실로 형성된 그물형태의 방충망 원단(1); 공극 크기가 0.1~100 um 인 탄소 나노섬유웹(2); 및 보호용 원단(3)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대전성 고분자 수지는 필라멘트사가 대전성을 구비하여 미세먼지 및/또는 황사를 정전기적으로 포집하도록 적용된다. 다만, 섬유 자체가 대전성을 구비하면서 일정 강도를 갖는 경우에는 대전성 고분자 수지가 피복되지 않은 양태도 본 발명에 해당하는 것으로 이해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대전성 고분자 코팅액 및/또는 파우더를 이용하여 폴리에스터사를 코팅함으로써 대전성 고분자 수지가 피복된 폴리에스터실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대전성 고분자 코팅액은 대전성 고분자 5 ~ 20 중량부, 바인더 5 ~ 30중량부, 물 또는 유기용매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 40 ~ 80 중량부, 슬립 및 레벨링 첨가제 1 ~ 2중량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대전성 고분자로서는 폴리아닐린, 폴리피롤, 폴리티오펜, 폴리(3,4-에틸렌티오펜) 또는 이들의 유도체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특히 독일 H.C. stock사의 Baytron PH를 사용할 수 있다.
바인더로는 폴리비닐아세테이트,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아크릴레이트, 폴리부틸레이트, 폴리에테르, 폴리에스터, 폴리우레탄, 폴리아크릴-우레탄 공중합 바인더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대전성 고분자 파우더의 경우, 대전성 고분자 폴리아닐린, 폴리피롤 파우더를 제조하여 폴리프로필렌 또는 폴리에틸렌 Resin에 2 ~ 30 중량부를 내첨하여 제조할 수 있다. 대전성 고분자 파우더의 경우, 대한민국등록특허 제 318153호, 제 374719호 등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한편, 나노 섬유(nano fiber)는 대략 1㎛ 이하의 매우 작은 직경을 가진 초미세 섬유로서 의료용 소재, 필터, MEMS, 나노 소자 등 많은 응용분야를 갖는다. 나노 섬유는 단위 질량당 표면적이 매우 크고, 유연하며 미세공간이 많고 단위 면적당 존재하는 섬유의 수가 많아서 다른 소재와의 혼화(blending)가 가능하며 외부의 응력에 대한 분산이 큰 특징을 나타낸다.
탄소나노섬유 제조방법으로는 전기방사법과 기상성장법이 알려져 있다. 전기방사법은 이미 1930년대에 특허등록 되었으나 1990년대까지는 별관심을 끌지 못하다가 2002년에 국내회사인 Nano Technics에서 하루에 200Kg/day 이상 양산에 성공하는 기술 개발에 성공하면서 관심을 끌게 되었다. 그 후 여러 응용분야가 창출되었으며 예를 들면, 필터 전해질 분리막, 투습방수의류 및 탄소섬유 프리커서를 이용하여 탄소나노섬유를 제조하고 그것으로부터 전극소재, 촉매지지체, 흡착제, 에너지 저장재, 보강재료로 사용하기 위한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다. 특히 전기방사는 용액으로 방사하는 것이 일반화되어 있기 때문에 용액을 블렌드해서 각기 다른 특성을 갖는 물질을 복합하고 그 다양한 특성을 이용하는 응용분야도 다양하게 되었다. 전기방사를 통해서 제조된 탄소섬유는 나노크기의 직경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활성화할 경우 상대적으로 효과적으로 비표면적을 크게 할 수 있으며, 전기방사 과정에서 용제의 증발을 통해서 생성된 ultramicropore (< 0.7 nm)가 산화성 기체가 활성화할 수 있는 시발점이 되어 다양한 크기의 다공성 나노섬유가 제조 가능하다. 그리고 프리커서 물질의 산화 특성에 따라서 비표면적이 다양하고 그 세공의 크기도 다르다. 그 중에서도 가장 burn-off가 낮으면서도 비표면적이 큰 것은 피치로부터 제조된 전기방사 탄소섬유이며 세공의 평균직경도 2.1 nm로 크고 비표면적 2,000 m2/g 이상이면서 우수한 전기전도성을 나타내어 이온을 흡착시키는 능력이 뛰어나다.
한편, 기상성장 탄소나노섬유(VGCF, Vapor Grown Carbon Fiber)는 흑연구조의 벽으로 형성된 길이/직경의 비가 >100인 나노크기의 실린더이다. 이 나노섬유는 촉매의 표면에 탄화수소 기체가 접촉하여 탄소만 응축된 결과이며 그 메커니즘은 촉매가 부유된 상태에서 섬유가 자라게 하는 부유 반응물(floating reactant) 메커니즘, 촉매 입자가 팁(tip)에서 기상성장시키는 팁 성장(tip growth) 메커니즘, 촉매가 뿌리가 되어서 기상성장하게 하는 루트 성장(root growth) 메커니즘이 있다. 이렇게 성장된 탄소나노섬유는 중공이 비어있는 다중벽탄소나노튜브(MWCNT, multi wall carbon nanotube) 형태를 하고 있다.
섬유의 특성을 결정하는 중요 변수는 직경이다. 따라서 마이크로미터에서 나노미터 범위의 직경을 가지는 전기방사 탄소나노섬유 제작에 많은 시도가 진행되었다. 일반적으로 섬유 직경은 전구체 용액의 농도와 용액의 점도, 용액의 전도도, 공급 속도, 인가된 전압과 니들과 콜렉터 사이의 거리와 같은 복잡한 작동변수에 따라 달라진다. 또한 작은 섬유 직경은 고온 전기방사를 통해 만들어질 수 있다. 용액의 온도를 증가시킬 경우, 전구체 용액의 점도와 표면 장력은 감소하는 반면 용액의 전도성은 증가한다. 이러한 용액의 거동을 통해 직경이 작은 섬유를 제작할 수 있다. 섬유 직경과 코어-쉘(core-shell), 비드(bead), 다공성 섬유와 같은 형태 제어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예를 들어, 다공성탄소 나노섬유는 PAN( polyacrylonitrile) 전구체 용액에 poly(L-lactide) (PLLA) 첨가를 통하여 제작되는데, 열분해온도 800℃에서 PLLA는 분해되며, 동시에 공극 용적이 0.114 cm3/g인 다공성 탄소나노섬유가 생성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탄소섬유 전구체인 PAN을 DMF에 용해시켜 만든 고분자 용액을 전기방사법을 이용하여 나노 스케일의 섬유웹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단위면적(1㎡)당 나노파이버의 방사량은 1~10 g 정도가 적당하며 최적으로는 1~3 g 정도가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다.
보호용 원단은 모노 필라멘트사로 편직 또는 제직된 메쉬 구조를 가지며, 상기 메쉬 구조를 구성하는 단위 메쉬가 4각 이상의 다각형 구조를 갖는 것이다. 상기 보호용 원단은 나노섬유웹층 상에 적층되어 나노섬유웹층이 탈리되는 것을 방지하고 다층구조 필터의 마모강도를 향상시킨다. 또한, 보호용 원단은 대전성을 구비하도록 처리되어 미세먼지 및/또는 황사의 포집에 일조할 수 있다.
보호용 원단은 모노 필라멘트사로 편직 또는 제직된다. 보호용 원단이 합사(braid)를 사용하여 편직 또는 제직되는 경우, 다층구조 필터가 사용되는 동안에 합사가 풀리면서 필링(peeling)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다만, 모노 필라멘트사는 합사에 비해 표면적이 적어서 방충망 원단/나노섬유웹층과의 접착성이 합사에 비해 약하기 때문에, 모노 필라멘트사의 단면을 삼각형 단면, C형 단면, Y형 단면과 같은 이형 단면 형태로 제작하여 모노 필라멘트사의 접착성을 보완할 수 있다.
보호용 원단을 구성하는 모노 필라멘트사는 정전기가 대전되기 쉬운 합성섬유, 예컨대, 폴리올레핀(Polyolefin), 폴리에스터 및 폴리아마이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으로부터 제조될 수 있다. 또한, 모노필라멘트사는 1 내지 100㎛ 두께를 갖는 것일 수 있으며 10 내지 30메쉬의 눈 크기를 가지도록 직조 혹은 편직될 수 있으나, 두께 및 눈 크기가 상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호용 원단을 구성하는 단위 메쉬는 사각 이상의 다각형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다층구조 방진망에서 나노섬유웹층은 대전성 메쉬 기재와 보호용 사이에 위치하지만, 나노섬유웹층이 매우 얇은 나노섬유로 형성되어 있고 그 평량 또한 비교적 적기 때문에 보호용 원단은 나노섬유웹층뿐만 아니라 대전성 메쉬 기재와 직접 접촉되는 부분이 있으며, 방진망의 내구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보호용 원단이 방충망 및 나노섬유웹층에 견고하게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보호용 원단이 나노섬유웹층 및 방충망 원단과 접촉되는 면적을 증가시킬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보호용 원단를 구성하는 단위 메쉬 형태를 사각 이상의 다각형이 되도록 모노 필라멘트사를 편직 또는 제직할 경우, 대전성 메쉬 기재의 메쉬 1칸 당 보호용 원단와의 접점이 4개 이상인 구조를 얻을 수 있게 되어 접착 강도가 높아진다. 그 결과, 방진망의 효율적 관리가 가능해진다.
보호용 원단은 또한 대전성을 갖도록 처리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보호용 원단에 사용되는 모노 필라멘트사를 미리 정전 물질로 처리하거나 혹은 모노 필라멘트사로 편직 또는 제직된 보호용 원단에 정전 물질을 처리할 수 있다. 정전 물질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칼리자레인(Calixarenes)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탄소 나노섬유웹에는 광촉매 미세입자가 포함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이산화티타늄을 사용할 수 있다.
보다 쾌적한 실내 공기 환경의 조성을 위해 광촉매의 광활성을 이용하여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방법이 적용될 수 있으며, 그 중에서도 이산화티타늄 광촉매는 상온에서 광에너지를 화학에너지로 변환시키는 환경친화형의 재료로서 각광받고 있다. 이산화티타늄 광촉매는 산소, 수분과 반응하여 복합산소이온을 발생시키고, 이 복합산소이온들이 작용하여 실내의 건축자재나 가구에서 발생하는 VOCs, 포름알데히드 등을 분해, 제거시킨다. 또한 항균, 항곰팡이, 항박테리아, 항바이러스 등의 탁월한 효과가 있어 깨끗한 생활환경을 만들어준다. 광활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법으로 이산화티타늄을 나노단위로 초미립자화시키는 방법과 백금, 은, 니켈 등의 금속을 이산화티타늄에 첨가시키는 방법 등을 고려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진망은 대전성 고분자 수지가 피복된 폴리에스터실로 형성된 그물형태의 방충망 원단의 한쪽 면에 핫멜트 바인더 수지를 부분 도포하고(1), 그 위에 탄소 나노섬유를 방사하여 미세먼지를 차단할 수 있도록 공극 크기가 0.1~100 um 인 탄소 나노섬유웹(2)을 형성시킨 다음, 핫멜트 수지가 부분 도포된 추가의 보호용 원단(3)을 탄소 나노섬유웹(2) 위에 겹쳐서 열 접착롤러를 통과시킴으로써, 방사된 탄소 나노섬유웹(2)이 핫멜트 수지에 의해 폴리에스터 메쉬에 단단히 고착될 수 있도록 제조할 수 있다.
방사도포된 나노크기의 탄소 나노섬유웹이 방충망 원단의 표면에 고착 될 수 있도록, 방사된 탄소 나노섬유웹 위에 보호용 원단(3)을 겹친 다음 이 전체를 열접착이 가능한 열접착 롤러를 통과시키면, 열 접착롤러의 열에 의해 상하 원단에 도포된 핫멜트 수지가 열에 의해 녹아서 방충망 원단, 탄소 나노섬유웹층 및 보호용 원단을 융착 시키게 되므로 견고한 방진망을 형성하게 된다. 즉 두 장의 폴리에스터 원단 사이에 나노 방사된 방진층이 견고하게 부착됨으로써 최종적으로 완전한 방진망이 완성되게 된다. 완성된 방진망은 와인더에 의해 권취되어 롤 형태로 포장되어서 필요한 길이와 폭으로 가공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실시예는 방진망을 구성하는 재료의 일례를 제시한 것으로서, 방진망을 구성하는 방충망 원단으로는 금속재질을 제외한 다양한 종류, 즉 폴리에스터를 비롯하여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나일론, 천연 면사, 인조견사 등 망 형태를 구성할 수 있는 어떠한 재료도 사용이 가능하며, 나노방사되는 물질도 나일론을 비롯하여 Polyvinylidene Fluoride(PVdF), Polyvinyl Alcohol(PVA), Polyethylene Oxide(PEO), Polyurethane(PU/TPU), Polyaniline(PA), Polysulfone(PSU/PES), Polyacrylonitrile(PAN), Polybenzimidazole(PBI), Polyimides(PI), Polystirene(PS), Polyvinyl Chloride(PVC), PGA, PLA, PCL, Silk, Collagen, Cellusose Acetate 등, 나노섬유형태로 방사가 가능한 재료는 전부 사용이 가능하므로 본 발명상의 방진망을 만드는 재료는 본 실시 예에 한정 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라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나, 이들이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대전성 방충망 원단의 제조
폴리에스터사에 폴리염화비닐을 피복시켜 0.4mm 직경을 갖는 필라멘트사를 제조하여, 인치당 WP 50, WF 50의 비율 및 약 30g/㎡의 평량으로 메쉬를 제조하였다. 메쉬의 두께는 130±5㎛, 간극은 420±10㎛, 개구율은 65±1.6%로 하였다.
2. 나노섬유웹층의 형성
PAN을 DMF 용매에 소량씩 첨가하여 용해시켜 5∼15 wt%로 방사용액을 제조하였으며 용액을 균일한 상태에서 사용하기 위하여 제조한 용액을 hot plate와 교반용 자석을 이용하여 50 ℃에서 12 h 가열하여 용해시켰다. 이후 전기방사 방법을 통하여 상기 제조된 폴리에스터 메쉬에 1.5g/㎡ 평량으로 방사하여 탄소 나노섬유 웹층을 형성시켰다. 이후, 이산화티타늄 10% 용액을 스프레이 하였다.
3. 보호용 원단의 제조
10㎛ 두께의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모노 필라멘트사를 이용하여, 단위 메쉬가 육각 형상을 갖도록 메쉬 구조로 보호용 원단을 편직하였다.
[실시예 1] 방진망의 제조
상기 보호용 원단의 표면에 바인더 수지로서 폴리우레탄을 1g/㎡ 양으로 부분 도포하고, 이를 상기 탄소 나노섬유웹층이 형성된 대전성 방충망 원단에 적층한 후 열융착 롤러에 통과시켜 단단히 고정하여 방진망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이산화티타늄 스프레이를 사용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방진망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
방충망 원단에 폴리염화비닐이 피복되지 않고, 이산화티타늄 스프레이를 사용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방진망을 제조하였다.
상기 제조된 방진망의 물성은 아래와 같이 평가되었다.
실시예 1 비교예 1 비교예 2
공기투과도(㎤/㎠/s) 428.0 408 405
분진포집효율(%) 92.8 89 88
상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방진망은 이산화티타늄 광촉매를 포함하지 않는 비교예 1이나 대전성 수지로 피복되지 않은 비교예 2에 비해 공기투과도 및 분진포집효율이 크게 향상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표현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고, 그와 동등하거나, 균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방충망 원단 (1)
2: 탄소 나노섬유웹 (2)
3: 보호용 원단 (3)

Claims (3)

  1. 대전성 고분자 수지가 피복된 폴리에스터실로 형성된 그물형태의 방충망 원단(1);
    공극 크기가 0.1~100 um 인 탄소 나노섬유웹(2); 및
    보호용 원단(3)
    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진망.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소 나노섬유웹에 이산화티타늄 미세입자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진망.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대전성 고분자 수지가 피복된 폴리에스터실은, 대전성 고분자 5 ~ 20 중량부, 바인더 5 ~ 30중량부, 물 또는 유기용매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 40 ~ 80 중량부, 슬립 및 레벨링 첨가제 1 ~ 2중량부를 포함하는 대전성 고분자 코팅액에 의해 코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진망.
KR1020200023489A 2020-02-26 2020-02-26 미세먼지 차단을 위한 탄소 나노섬유를 포함하는 방진망 KR2021010908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3489A KR20210109080A (ko) 2020-02-26 2020-02-26 미세먼지 차단을 위한 탄소 나노섬유를 포함하는 방진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3489A KR20210109080A (ko) 2020-02-26 2020-02-26 미세먼지 차단을 위한 탄소 나노섬유를 포함하는 방진망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9080A true KR20210109080A (ko) 2021-09-06

Family

ID=777826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3489A KR20210109080A (ko) 2020-02-26 2020-02-26 미세먼지 차단을 위한 탄소 나노섬유를 포함하는 방진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109080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78344A (ko) * 2021-11-26 2023-06-02 주식회사 클리어창 3층 구조 방진망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648734B1 (ko) * 2023-01-06 2024-03-18 (주) 텍스토머 방충창용 프레임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78344A (ko) * 2021-11-26 2023-06-02 주식회사 클리어창 3층 구조 방진망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648734B1 (ko) * 2023-01-06 2024-03-18 (주) 텍스토머 방충창용 프레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13590B1 (ko) 미세먼지 차단을 위한 방진망
US10137394B2 (en) Interlaced filtration barrier
JP5400330B2 (ja) 光触媒含有極細繊維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6479143B1 (en) Heat-meltable fluororesin fibers
JP4742126B2 (ja) 触媒担持繊維構造体の製造方法
KR101747322B1 (ko) 자연 환기형 멤브레인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 창호
CN106541683A (zh) 一种用于空气中颗粒物过滤的多层次结构纳米纤维复合膜的制备方法
CN101318090A (zh) 纳米纤维过滤面罩和舱室过滤器
Ke et al. Electroactive, antibacterial, and biodegradable poly (lactic acid) nanofibrous air filters for healthcare
KR20110023683A (ko) 화학작용제 흡착제거를 위한 기능성 재료가 도입된 화학작용제 보호포 및 그 제조방법과 이를 사용하는 화학작용제 보호의
KR20210109080A (ko) 미세먼지 차단을 위한 탄소 나노섬유를 포함하는 방진망
JP2014145140A (ja) 抗菌性不織布の製造方法およびこれにより得られる抗菌性不織布
CN110404339A (zh) 一种高效低阻pm2.5抗菌防霉过滤材料及其制备方法
Habibi et al. Application of nanofibers in virus and bacteria filtration
KR100987136B1 (ko) 탄소나노튜브를 포함하는 나노섬유 벽지
KR20150079096A (ko) Ptfe 필터 매체 및 그 제조 방법
US20230233967A1 (en) Air filtration material, filters comprising the sam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CN118179145B (zh) 一种超细网状纤维过滤材料及其制备方法
KR102538786B1 (ko) 3층 구조 방진망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564746B1 (ko) 3층 구조 방진망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00030798A (ko) 멀티 전기 방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기 방사 방법
KR102564736B1 (ko) 3층 구조 방진망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652940B1 (ko) 3층 구조 방진망 및 이의 제조방법
Wang et al. Polyvinylidene Fluoride-co-hexafluoropropyle Electrospun Nanofiber Membranes for PM0. 3 Filtration
JP2010053471A (ja) 光触媒含有極細繊維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