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09072A - 차량의 통합 리저버 탱크 - Google Patents

차량의 통합 리저버 탱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09072A
KR20210109072A KR1020200023405A KR20200023405A KR20210109072A KR 20210109072 A KR20210109072 A KR 20210109072A KR 1020200023405 A KR1020200023405 A KR 1020200023405A KR 20200023405 A KR20200023405 A KR 20200023405A KR 20210109072 A KR20210109072 A KR 202101090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ervoir tank
vehicle
valve
hole
integrated reservo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34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46829B1 (ko
Inventor
김만희
김화연
연제민
Original Assignee
현대위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위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위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234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6829B1/ko
Publication of KR202101090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90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68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68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PCOOL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COOLING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1P1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P1/00 - F01P9/00
    • F01P11/02Liquid-coolant filling, overflow, venting, or draining devices
    • F01P11/029Expansion reservoi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PCOOL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COOLING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1P1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P1/00 - F01P9/00
    • F01P11/02Liquid-coolant filling, overflow, venting, or draining devices
    • F01P11/0204Filling
    • F01P11/0209Closure ca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PCOOL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COOLING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1P1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P1/00 - F01P9/00
    • F01P11/14Indicating devices; Other safety devices
    • F01P11/18Indicating devices; Other safety devices concerning coolant pressure, coolant flow, or liquid-coolant lev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PCOOL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COOLING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1P7/00Controlling of coolant flow
    • F01P7/14Controlling of coolant flow the coolant being liquid
    • F01P2007/146Controlling of coolant flow the coolant being liquid using val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하우징; 하우징의 내부에 마련되어 하우징 내부공간을 복수의 챔버로 분할하는 내부격벽; 및 하우징의 외벽에 각각의 챔버마다 대응되도록 마련되어 냉각수의 유출입을 가이드함으로써 각각의 챔버의 냉각수가 서로 독립적으로 유출입되도록 하는 복수의 냉각수포트;를 포함하는 차량의 통합 리저버 탱크가 소개된다.

Description

차량의 통합 리저버 탱크 {INTEGRATED RESERVOIR TANK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의 통합열관리를 위해 하나의 리저버 탱크에서 복수의 냉각매체를 독립적으로 저장하고 유통할 수 있도록 하며 서로 다른 온도로 냉각매체를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의 통합 리저버 탱크에 관한 것이다.
최근 내연기관 차량의 환경적인 이슈로 인하여 전기차 등이 친환경 차량으로 보급이 확대되는 추세이다. 그러나 기존의 내연기관 차량의 경우 엔진의 폐열을 통하여 실내를 난방할 수 있어 별도의 난방을 위한 에너지가 필요치 않았지만, 전기차 등의 경우 엔진이 없어 열원이 없기 때문에 별도의 에너지를 통하여 난방을 수행하여 하고, 이로 인하여 연비가 하락하는 문제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이 점은 전기차의 주행가능거리를 단축시켜 잦은 충전이 필요하게 되는 등 불편함을 주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한편, 차량의 전동화로 인하여 차량의 실내뿐만 아니라, 고전압배터리, 모터 등의 전장부품들의 열관리 니즈도 새로이 추가되었다. 즉, 전기차 등의 경우 실내공간과 배터리, 전장부품 들의 경우 각각 공조에 대한 니즈가 상이하고, 이들을 독립적으로 대응하면서도 효율적으로 협업하여 에너지를 최대한 절약할 수 있는 기술이 필요한 것이다. 이에 따라 각각의 구성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열관리를 수행하면서 동시에 전체적인 차량의 열관리를 통합하여 열효율을 증대시키고자 차량의 통합 열관리 개념이 제시되고 있다.
이러한 차량의 통합 열관리가 수행되기 위해서는 복잡한 냉각수라인들과 부품들을 통합하여 모듈화 할 필요가 있는데, 복수의 부품들을 모듈화 하면서도 제조가 간단하고 패키지적인 측면에서도 컴팩트한 모듈화의 개념이 필요한 것이다.
이러한 측면에서, 리저버 탱크 역시 하나의 탱크로 제조하고 관리하면서도 실내, 배터리, 전장부품 등이 갖는 다양한 열관리 니즈를 충족하고, 그에 따라 서로 상이한 냉각수의 온도를 분리하여 관리할 필요가 있었던 것이다.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KR 10-2019-0143089 A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차량의 통합열관리를 위해 하나의 리저버 탱크에서 복수의 냉각매체를 독립적으로 저장하고 유통할 수 있도록 하며 서로 다른 온도로 냉각매체를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의 통합 리저버 탱크를 제공하고자 함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통합 리저버 탱크는, 내부에 냉각수가 저장되고 상단에 냉각수 보충캡이 마련된 하우징; 하우징의 내부에 마련되어 하우징 내부공간을 복수의 챔버로 분할하고, 중력방향인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복수의 챔버가 측방으로 인접하여 배치되도록 하며, 테두리가 하우징의 내측벽에 연결됨으로써 각각의 챔버의 냉각수가 서로 분리되어 저장되고 혼합되지 않도록 하는 내부격벽; 및 하우징의 외벽에 각각의 챔버마다 대응되도록 마련되어 냉각수의 유출입을 가이드함으로써 각각의 챔버의 냉각수가 서로 독립적으로 유출입되도록 하는 복수의 냉각수포트;를 포함한다.
내부격벽은 일측 챔버의 내부면을 구성하는 일측벽 및 타측 챔버의 내부면을 구성하는 타측벽으로 구성된 이중벽 구조일 수 있다.
내부격벽의 일측벽과 타측벽은 서로 일정거리 이격되어 일측벽과 타측벽의 사이에 에어갭(air gap)이 형성될 수 있다.
내부격벽의 일측벽과 타측벽은 서로 일정거리 이격되며 이격된 공간에 단열재가 마련될 수 있다.
내부격벽의 일측벽과 타측벽은 서로 일정거리 이격되어 이격공간을 형성하고, 이격공간은 밀폐된 구조일 수 있다.
내부격벽의 일측벽과 타측벽은 서로 일정거리 이격되어 이격공간을 형성하고, 이격공간에는 보강리브가 형성되며, 보강리브는 양 단부가 각각 일측벽과 타측벽에 연결되어 이격공간의 강성을 유지할 수 있다.
내부격벽의 하부에는 관통홀이 형성되고 관통홀에는 개폐밸브가 마련되며 개폐밸브의 개방시 관통홀을 통하여 양측 챔버의 냉각수가 레벨링 될 수 있다.
보충캡은 일측 챔버의 상부에 마련되며, 일측 챔버는 보충캡을 통해 냉각수가 보충되고, 타측 챔버는 관통홀을 통해 일측 챔버로부터 냉각수를 보충받을 수 있다.
관통홀에는 하방으로 분기되어 연장됨으로써 내부격벽의 하방으로 개방된 설치홀이 형성되고, 개폐밸브는 설치홀에 삽입되며, 개폐밸브의 상하 슬라이딩 운동에 의해 관통홀이 개폐될 수 있다.
내부격벽은 복수의 파트로 분할되고 각각의 파트는 서로 일정거리 이격되며, 이격된 파트는 서로 연결벽으로 연결되고, 분할된 내부격벽의 파트들과 연결벽에 의하여 하우징의 챔버가 구분될 수 있다.
연결벽 하부에는 관통홀이 형성되고 관통홀에 개폐밸브가 마련되며, 개폐밸브의 개방시 관통홀을 통하여 양측 챔버의 냉각수가 레벨링 될 수 있다.
하우징의 외벽에는 밸브포트가 형성되고 개폐밸브는 밸브포트 및 관통홀에 끼워진 상태에서 슬라이딩 운동에 의해 개폐동작을 수행하며, 개폐밸브는 폐쇄상태에서 밸브포트 및 관통홀과 각각 실링될 수 있다.
개폐밸브의 단부에는 스토퍼가 돌출 형성되고, 개폐밸브의 개방 상태에서 스토퍼가 관통홀에 걸림으로써 개폐밸브가 개방되는 방향으로의 이탈이 방지될 수 있다.
내부격벽의 각각의 파트는 일정거리 이격된 이중벽 구조이고, 연결벽은 단일벽 구조일 수 있다.
하우징, 내부격벽, 냉각수포트는 플라스틱 재질로서 일체로 사출 성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차량의 통합 리저버 탱크에 따르면, 차량의 통합열관리를 위해 하나의 리저버 탱크에서 복수의 냉각매체를 독립적으로 저장하고 유통할 수 있도록 하며 서로 다른 온도로 냉각매체를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리저버 탱크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통합 리저버 탱크를 측방에서 바라본 도면.
도 2 내지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통합 리저버 탱크의 하우징 내부를 바라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통합 리저버 탱크의 단면도.
도 5 내지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통합 리저버 탱크의 개폐밸브의 동작을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통합 리저버 탱크의 하우징 내부를 바라본 도면.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통합 리저버 탱크를 측방에서 바라본 도면이고, 도 2 내지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통합 리저버 탱크의 하우징 내부를 바라본 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통합 리저버 탱크의 단면도이고, 도 5 내지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통합 리저버 탱크의 개폐밸브의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통합 리저버 탱크의 하우징 내부를 바라본 도면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통합 리저버 탱크를 측방에서 바라본 도면이고, 도 2 내지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통합 리저버 탱크의 하우징 내부를 바라본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통합 리저버 탱크는 전기차 등에 있어서 통합열관리가 필요한 모든 경우에 적용할 경우 효과가 높다. 예를 들어, 차량의 내터리와 실내공조 및 모터 등의 전장부품은 서로 다른 냉각수 온도의 니즈를 가지고 있어 하나의 리저버 탱크에서 이들에 사용되는 각각의 냉각수를 함께 관리할 경우 열효율적인 측면에서 떨어지며 적절한 성능을 내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경우 이와 같이 서로 다른 온도의 냉각수를 하나의 탱크에서 분리하여 저장하고 공급하며 관리함으로써 에너지효율과 열관리성능을 모두 충족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차량의 통합 리저버 탱크에는 내부에 냉각수가 저장되고 상단에 냉각수 보충캡(180)이 마련된 하우징(100)이 구비된다. 그리고 특히 하우징(100)의 경우 하우징(100)의 내부에 마련되어 하우징(100) 내부공간을 복수의 챔버(300,500)로 분할하고, 중력방향인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복수의 챔버(300,500)가 측방으로 인접하여 배치되도록 하며, 테두리가 하우징(100)의 내측벽에 연결됨으로써 각각의 챔버(300,500)의 냉각수가 서로 분리되어 저장되고 혼합되지 않도록 하는 내부격벽(700)이 마련된다.
따라서, 하우징(100)은 하나이지만 하우징(100) 내부에 내부격벽(700)이 마련되어 독립된 복수의 챔버(300,500)로 구성된다.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하나의 내부격벽(700)을 통해 2개의 챔버(300,500)를 구성하는 경우이다. 이 경우 2개의 챔버(300,500)에는 각각 냉각수가 저장되고 서로 섞이지 않아 상이한 온도를 갖는 냉각수가 각각 분리되어 독립적으로 저장될 수 있다.
또한, 하우징(100)의 외벽에 각각의 챔버(300,500)마다 대응되도록 마련되어 냉각수의 유출입을 가이드함으로써 각각의 챔버(300,500)의 냉각수가 서로 독립적으로 유출입되도록 하는 복수의 냉각수포트(P)가 마련된다. 그에 따라 본 발명의 경우 서로 다른 온도의 냉각수를 분리하여 저장이 가능하고, 독립적으로 유출입이 될 수 있도록 하여 완벽히 분리된 상이한 냉각라인을 독립적으로 운용할 수 있고, 그러면서도 리저버 자체는 하나를 이용하도록 함으로써 전체 열관리 시스템의 사이즈가 컴팩트해지고 냉각수의 보충 과정이 한 번만 이루어짐으로써 편리하며 성능과 효율을 모두 보장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통합 리저버 탱크의 단면도로서, 도 1 내지 4를 함께 참조한다. 내부격벽(700)은 일측 챔버(300)의 내부면을 구성하는 일측벽(720) 및 타측 챔버(500)의 내부면을 구성하는 타측벽(740)으로 구성된 이중벽 구조일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내부격벽(700)의 일측벽(720)과 타측벽(740)은 서로 일정거리 이격되어 일측벽(720)과 타측벽(740)의 사이에 에어갭(air gap, G)이 형성될 수 있다. 또는 내부격벽(700)의 일측벽(720)과 타측벽(740)은 서로 일정거리 이격되며 이격된 공간에 단열재(T)가 마련될 수 있다.
즉, 내부격벽(700)이 단지 양측 챔버(300,500)의 냉각수를 분리시키는 것에만 머무르지 않고, 양측 챔버(300,500)의 냉각수 사이에 단열이 유지되도록 함으로써 서로 다른 온도의 냉각수가 서로 열교환되지 않고 서로 다른 온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도 수행하도록 한다. 그리고 이와 같이 에어갭(G)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리저버의 융착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내부격벽(700)이 성형될 필요가 있다.
즉, 본 발명의 하우징(100), 내부격벽(700), 냉각수포트(P)는 플라스틱 재질로서 일체로 사출 성형될 수 있는데, 이를 통하여 제조원가의 절감이 가능하다. 그리고 하우징(100)의 경우 내부에 구조설계가 있어야 하는바, 도시된 것과 같이 하우징(100)의 상부에는 어퍼커버(140)가 상부가 개방된 형상의 하우징 바디(120)에 융착된다. 그리고 내부격벽(700)은 어퍼커버(140)에 하우징 바디(120)의 테두리와 함께 융착되도록 함으로써 한번의 공정을 통하여 내부격벽(700)의 에어갭(G) 역시 동시에 형성되도록 한다.
이를 위해 내부격벽(700)은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패널 형상으로 함으로써 좌우로 챔버(300,500)를 나누고, 동시에 내부격벽(700)을 이루는 일측벽(720)과 타측벽(740)의 사이에 공간이 형성됨으로써 어퍼커버(140)의 융착이 에어갭(G) 역시 완성되며 에어갭(G)은 밀폐된 구조로서 단열 역할을 충실히 수행하도록 하는 것이다. 즉, 내부격벽(700)의 일측벽(720)과 타측벽(740)은 서로 일정거리 이격되어 이격공간을 형성하고, 이격공간은 밀폐된 구조일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에어갭(G)의 경우 도 3과 같이 측방으로 개방된 형상으로 할 경우 그 이격된 공간에 단열재(T)를 충전하여 단열성능을 더욱 극대화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한편, 내부격벽(700)의 일측벽(720)과 타측벽(740)은 서로 일정거리 이격되어 이격공간을 형성하고, 이격공간에는 보강리브(760)가 형성되며, 보강리브(760)는 양 단부가 각각 일측벽(720)과 타측벽(740)에 연결되어 에어갭(G)의 강성을 유지할 수 있다. 도시된 것과 같이 에어갭(G)이 형성되는 이격공간의 중앙지점에는 수직 방향으로 보강리브(760)가 일체로 성형될 수 있다. 이러한 보강리브(760)를 통하여 리저버 탱크 전체의 강성을 유지하고, 그러한 보강리브(760)에 개폐밸브(V)를 설치함으로써 리저버 탱크 양 챔버(300,500)의 냉각수 보충을 원활하게 하고 사용시에는 서로 냉각수를 분리할 수 있도록 한다.
도시된 것과 같이 내부격벽(700)의 하부에는 관통홀(780)이 형성되고 관통홀(780)에는 개폐밸브(V)가 마련되며 개폐밸브(V)의 개방시 관통홀(780)을 통하여 양측 챔버(300,500)의 냉각수가 레벨링 될 수 있다. 즉, 도 4에서와 같이 개폐밸브(V)를 아래로 위치시킬 경우에는 내부격벽(700)과 보강리브(760)의 관통홀(780)을 통하여 양측 챔버(300,500)의 냉각수가 중력에 의해 서로 유통되고 자연스럽게 레벨링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 경우는 냉각수의 보충이 필요한 경우로서, 보충캡(180)은 일측 챔버(300)의 상부에 마련되며, 일측 챔버(300)는 보충캡(180)을 통해 냉각수가 보충되고, 타측 챔버(500)는 관통홀(780)을 통해 일측 챔버(300)로부터 냉각수를 보충받을 수 있다. 그리고 냉각수 보충이 완료된 경우에는 다시 개폐밸브(V)를 상승시키고, 그에 따라 관통홀(780)이 폐쇄되며 양측 챔버(300,500)의 냉각수는 완벽히 분리되어 관리되는 것이다.
한편, 관통홀(780)에는 하방으로 분기되어 연장됨으로써 내부격벽의 하방으로 개방된 설치홀이 형성되고, 개폐밸브(V)는 설치홀에 삽입되며, 개폐밸브(V)의 상하 슬라이딩 운동에 의해 관통홀(780)이 개폐될 수 있다.
도 5 내지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통합 리저버 탱크의 개폐밸브의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통합 리저버 탱크의 하우징 내부를 바라본 도면이다.
이 경우 내부격벽(700)은 복수의 파트(701)로 분할되고 각각의 파트(701)는 서로 일정거리 이격되며, 이격된 파트(701)는 서로 연결벽(702)으로 연결되고, 분할된 내부격벽의 파트(701)들과 연결벽(702)에 의하여 하우징의 챔버(300,500)가 구분될 수 있다.
개폐밸브(V)의 경우 하방으로 조립되어 상하 슬라이딩되는 경우 중력에 대응한 실링이 매우 어려울 수 있다. 그리고 개폐밸브(V)의 두께만큼 에어갭(G)도 증대되어야 하는바, 불필요한 부피가 증대되는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개폐밸브(V)를 측방에서 슬라이딩되도록 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개폐밸브(V)를 측방으로 슬라이딩시킬 경우에는 개폐밸브(V)가 이중벽 구조의 내부격벽(700)을 관통해야 하고, 이 경우 내부격벽(700)의 에어갭(G) 내부로 냉각수가 리크될 염려가 있다.
따라서, 이 경우 내부격벽(700)은 도시된 것과 같이 에어갭(G)을 갖는 2개의 분할된 파트(701)로 나누고, 그 사이를 단일벽의 연결벽(702)으로 연결하도록 하며, 연결벽(702)에 개폐밸브(V)가 측방에서 관통하도록 함으로써 에어갭(G) 내부로의 리크의 위험을 줄이고 냉각수 분리관리의 성능 역시 동시에 만족하도록 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연결벽(702)의 하부에는 관통홀(780)이 형성되고 관통홀(780)에 개폐밸브(V)가 마련되며, 개폐밸브(V)의 개방시 관통홀(780)을 통하여 양측 챔버의 냉각수가 레벨링 될 수 있다. 그리고 하우징(100)의 외벽에는 밸브포트(VP)가 형성되고 개폐밸브(V)는 밸브포트(VP) 및 관통홀(780)에 끼워진 상태에서 슬라이딩 운동에 의해 개폐동작을 수행하며, 개폐밸브(V)는 폐쇄상태에서 밸브포트(VP) 및 관통홀(780)과 각각 실링(S)될 수 있다. 그에 따라 냉각수의 리크 위험을 줄인다.
또한 개폐밸브(V)의 단부에는 스토퍼(VS)가 돌출 형성되고, 개폐밸브(V)의 개방 상태에서 스토퍼(VS)가 관통홀(780)에 걸림으로써 개폐밸브(V)가 개방되는 방향으로의 이탈이 방지될 수 있다. 그리고 내부격벽(700)의 각각의 파트(701)는 일정거리 이격된 이중벽 구조이고, 연결벽(702)은 단일벽 구조일 수 있다.
이러한 구조를 통하여 개폐밸브(V)를 측방으로 슬라이딩시키며 개폐동작을 구현하고, 이를 통해 에어갭(G)이 불필요하게 두꺼워지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단열 성능을 최대한 만족하기 위해서는 연결벽(702)이 단일벽 구조이기 때문에 연결벽(702)의 폭을 최소한으로 하는 것이 필요하고, 이를 위해 연결벽(702)은 개폐밸브(V)를 위한 관통홀(780)보다 아주 약간만 크게 설계하도록 함으로써 열교환이 될 수 있는 면적을 최소화하고 양측 챔버(300,500)는 대부분이 이중벽의 에어갭(G)을 통해 마주하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리고 연결벽(702) 역시 마찬가지로 분할된 이중벽의 파트(701)들과 함께 어퍼커버(140)에 동시 융착되도록 함으로써 양 챔버(300,500)를 확실히 분리하며 단열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 융착 공정을 1회만 실시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연결벽(702)의 상부에는 양측 챔버(300,500)간의 공기가 유통될 수 있는 에어홀이 형성되도록 한다. 따라서, 분리된 각각의 냉각수 라인에 발생되는 기포를 모두 동시에 제거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리고 이러한 공기 빼기 과정을 위해 연결벽(702)을 관통시킴으로써, 이중벽 구조의 내부격벽은 완전히 밀폐되어 단열성능을 유지하고 냉각수가 리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차량의 통합 리저버 탱크에 따르면, 차량의 통합열관리를 위해 하나의 리저버 탱크에서 복수의 냉각매체를 독립적으로 저장하고 유통할 수 있도록 하며 서로 다른 온도로 냉각매체를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리저버 탱크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00 : 하우징 120 : 바디
140 : 어퍼커버 700 : 내부격벽
V : 개폐밸브

Claims (15)

  1. 내부에 냉각수가 저장되고 상단에 냉각수 보충캡이 마련된 하우징;
    하우징의 내부에 마련되어 하우징 내부공간을 복수의 챔버로 분할하고, 중력방향인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복수의 챔버가 측방으로 인접하여 배치되도록 하며, 테두리가 하우징의 내측벽에 연결됨으로써 각각의 챔버의 냉각수가 서로 분리되어 저장되고 혼합되지 않도록 하는 내부격벽; 및
    하우징의 외벽에 각각의 챔버마다 대응되도록 마련되어 냉각수의 유출입을 가이드함으로써 각각의 챔버의 냉각수가 서로 독립적으로 유출입되도록 하는 복수의 냉각수포트;를 포함하는 차량의 통합 리저버 탱크.
  2. 청구항 1에 있어서,
    내부격벽은 일측 챔버의 내부면을 구성하는 일측벽 및 타측 챔버의 내부면을 구성하는 타측벽으로 구성된 이중벽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통합 리저버 탱크.
  3. 청구항 2에 있어서,
    내부격벽의 일측벽과 타측벽은 서로 일정거리 이격되어 일측벽과 타측벽의 사이에 에어갭(air gap)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통합 리저버 탱크.
  4. 청구항 2에 있어서,
    내부격벽의 일측벽과 타측벽은 서로 일정거리 이격되며 이격된 공간에 단열재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통합 리저버 탱크.
  5. 청구항 2에 있어서,
    내부격벽의 일측벽과 타측벽은 서로 일정거리 이격되어 이격공간을 형성하고, 이격공간은 밀폐된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통합 리저버 탱크.
  6. 청구항 2에 있어서,
    내부격벽의 일측벽과 타측벽은 서로 일정거리 이격되어 이격공간을 형성하고, 이격공간에는 보강리브가 형성되며, 보강리브는 양 단부가 각각 일측벽과 타측벽에 연결되어 이격공간의 강성을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통합 리저버 탱크.
  7. 청구항 1에 있어서,
    내부격벽의 하부에는 관통홀이 형성되고 관통홀에는 개폐밸브가 마련되며 개폐밸브의 개방시 관통홀을 통하여 양측 챔버의 냉각수가 레벨링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통합 리저버 탱크.
  8. 청구항 7에 있어서,
    보충캡은 일측 챔버의 상부에 마련되며, 일측 챔버는 보충캡을 통해 냉각수가 보충되고, 타측 챔버는 관통홀을 통해 일측 챔버로부터 냉각수를 보충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통합 리저버 탱크.
  9. 청구항 7에 있어서,
    관통홀에는 하방으로 분기되어 연장됨으로써 내부격벽의 하방으로 개방된 설치홀이 형성되고, 개폐밸브는 설치홀에 삽입되며, 개폐밸브의 상하 슬라이딩 운동에 의해 관통홀이 개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통합 리저버 탱크.
  10. 청구항 2에 있어서,
    내부격벽은 복수의 파트로 분할되고 각각의 파트는 서로 일정거리 이격되며, 이격된 파트는 서로 연결벽으로 연결되고, 분할된 내부격벽의 파트들과 연결벽에 의하여 하우징의 챔버가 구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통합 리저버 탱크.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연결벽 하부에는 관통홀이 형성되고 관통홀에 개폐밸브가 마련되며, 개폐밸브의 개방시 관통홀을 통하여 양측 챔버의 냉각수가 레벨링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통합 리저버 탱크.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하우징의 외벽에는 밸브포트가 형성되고 개폐밸브는 밸브포트 및 관통홀에 끼워진 상태에서 슬라이딩 운동에 의해 개폐동작을 수행하며, 개폐밸브는 폐쇄상태에서 밸브포트 및 관통홀과 각각 실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통합 리저버 탱크.
  13. 청구항 11에 있어서,
    개폐밸브의 단부에는 스토퍼가 돌출 형성되고, 개폐밸브의 개방 상태에서 스토퍼가 관통홀에 걸림으로써 개폐밸브가 개방되는 방향으로의 이탈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통합 리저버 탱크.
  14. 청구항 10에 있어서,
    내부격벽의 각각의 파트는 일정거리 이격된 이중벽 구조이고, 연결벽은 단일벽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통합 리저버 탱크.
  15. 청구항 1에 있어서,
    하우징, 내부격벽, 냉각수포트는 플라스틱 재질로서 일체로 사출 성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통합 리저버 탱크.
KR1020200023405A 2020-02-26 2020-02-26 차량의 통합 리저버 탱크 KR1023468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3405A KR102346829B1 (ko) 2020-02-26 2020-02-26 차량의 통합 리저버 탱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3405A KR102346829B1 (ko) 2020-02-26 2020-02-26 차량의 통합 리저버 탱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9072A true KR20210109072A (ko) 2021-09-06
KR102346829B1 KR102346829B1 (ko) 2022-01-03

Family

ID=777826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3405A KR102346829B1 (ko) 2020-02-26 2020-02-26 차량의 통합 리저버 탱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682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28393A1 (ko) * 2021-12-29 2023-07-06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냉각수 리저버 탱크
WO2023177060A1 (ko) * 2022-03-17 2023-09-21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냉각수 매니폴드를 포함하는 냉각수 모듈
WO2024048980A1 (ko) * 2022-08-29 2024-03-07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통합 냉각수 모듈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36633A (ko) * 2017-06-15 2018-12-2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통합 리저버를 구비한 냉각시스템
JP2019143505A (ja) * 2018-02-19 2019-08-2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リザーブタンク
KR20190143089A (ko) 2018-06-20 2019-12-30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차량용 리저버 탱크
JP2020007953A (ja) * 2018-07-06 2020-01-16 株式会社デンソー リザーブタンク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36633A (ko) * 2017-06-15 2018-12-2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통합 리저버를 구비한 냉각시스템
JP2019143505A (ja) * 2018-02-19 2019-08-2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リザーブタンク
KR20190143089A (ko) 2018-06-20 2019-12-30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차량용 리저버 탱크
JP2020007953A (ja) * 2018-07-06 2020-01-16 株式会社デンソー リザーブタンク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28393A1 (ko) * 2021-12-29 2023-07-06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냉각수 리저버 탱크
WO2023177060A1 (ko) * 2022-03-17 2023-09-21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냉각수 매니폴드를 포함하는 냉각수 모듈
WO2024048980A1 (ko) * 2022-08-29 2024-03-07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통합 냉각수 모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46829B1 (ko) 2022-0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46829B1 (ko) 차량의 통합 리저버 탱크
CN105932341B (zh) 铅蓄电池
CN104602948A (zh) 蓄电装置
JP2023502457A (ja) 電池、電池モジュール、電池パック及び電気自動車
KR20200111353A (ko)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모듈 조립체
CN103262295A (zh) 蓄电装置
CN111180623A (zh) 电池模块和电池组
JP2017033900A (ja) 鉛蓄電池
CN115602978A (zh) 具有浸没式调温的电池装置和机动车辆
JP2010015951A (ja) 蓄電装置
US20210020896A1 (en) Battery pack
CN115214295A (zh) 用于车辆的集成热管理模块
CN103712507A (zh) 热交换器
US20230311707A1 (en) Reservoir tank for integrated heat management, and integrated heat management module comprising same
WO2019019963A1 (zh) 电池组件和动力电池
US20060048924A1 (en) Fluid reservoir for modular systems
JP2015050114A (ja) 蓄電池用栓、蓄電池
KR102299298B1 (ko) 차량의 유로 일체형 리저버
CN111602285A (zh) 集成有用于传输传热流体的通道的电池组的保护壳体
JP7000844B2 (ja) 鉛蓄電池
KR20220118218A (ko) 냉각수 리저버
CN105609674A (zh) 燃料电池系统
US20230061262A1 (en) Device for cooling an electrical and/or electronic component liable to release heat during operation
CN220042036U (zh) 电池及电池装置
US20240123792A1 (en) Vehicle tank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vehicle tan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