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08783A - 나노 및 다공성 재료가 코팅된 모헤어에 의해 대기 전구물질 및 미세먼지를 저감시키는 무전력 기반 차선 경계봉 - Google Patents

나노 및 다공성 재료가 코팅된 모헤어에 의해 대기 전구물질 및 미세먼지를 저감시키는 무전력 기반 차선 경계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08783A
KR20210108783A KR1020200023828A KR20200023828A KR20210108783A KR 20210108783 A KR20210108783 A KR 20210108783A KR 1020200023828 A KR1020200023828 A KR 1020200023828A KR 20200023828 A KR20200023828 A KR 20200023828A KR 20210108783 A KR20210108783 A KR 202101087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ne boundary
mohair
boundary bar
nano
coating ag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38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10058B1 (ko
Inventor
양근혁
Original Assignee
경기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기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기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0238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0058B1/ko
Publication of KR202101087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87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00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00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003Individual devices arranged in spaced relationship, e.g. buffer boll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28Plant or installations without electricity supply, e.g. using electrets
    • B03C3/30Plant or installations without electricity supply, e.g. using electrets in which electrostatic charge is generated by passage of the gases, i.e. tribo-electricity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3/00Compositions of epoxy resin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epoxy res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based on inorganic substan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0Additives non-macromolecular
    • C09D7/61Additives non-macromolecular in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5Additives macromolecular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04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 E01F9/608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for guiding, warning or controlling traffic, e.g. delineator posts or mileston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Solid-Sorbent Or Filter-Aiding Compositions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로에 설치되는 차선 경계봉에 나노 및 다공성 재료가 코팅된 모헤어를 구비하여 대기 전구물질 및 미세먼지를 흡착 및 제거하도록 한 무전력 기반 차선 경계봉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차선 경계봉은, 차선 경계봉의 외주면에 모헤어가 설치되고, 상기 모헤어는 나노 코팅제에 의해 코팅되며, 나노 코팅제는 Ce, Fe, Si, Mn, Mg, Co, Zn, Sn, In, Ti, Ge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물질에 의한 금속산화물 기반의 베이스 소재에 상기 Ce, Fe, Si, Mn, Mg, Co, Zn, Sn, In, Ti, Ge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금속산화물을 코팅 또는 성장시켜 다중의 구조체로 형성된다.

Description

나노 및 다공성 재료가 코팅된 모헤어에 의해 대기 전구물질 및 미세먼지를 저감시키는 무전력 기반 차선 경계봉{Lane boundary rod for reducing atmospheric precursors and fine dust by mohair coated with nano and porous materials}
본 발명은 차선 경계봉에 관한 것으로, 특히 나노 및 다공성 재료가 코팅된 모헤어를 구비하여 미세먼지 및 대기 전구물질을 흡착 및 제거할 수 있도록 한 무전력 기반 차선 경계봉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운행시 발생하는 매연, 타이어 마모, 도로상의 먼지 등의 부유물 등에 의한 미세먼지의 증가로 인하여 도로변의 공기질은 매우 나빠지고, 이로 인하여 대기 환경 또한 매우 나빠지고 있지만, 이를 극복하기 위한 대책으로는 차량 운행의 제한, 도로에 물을 뿌려서 먼지가 부유하지 못하도록 하는 매우 제한적인 방법만이 제시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018464호에서는 도로에서 발생하는 미세먼지를 포함한 유해물질을 저감하기 위하여 도로의 공기를 송풍기에 의해 흡입하여 전기집진에 의해 집진한 다음 그라파이트 필터에 의해 공기에 포함된 유분과 먼지입자를 제거하고, 이산화티타늄 촉매에 의해 전구물질인 NOx와 SOx를 제거하며, 활성탄 필터에 의해 미세먼지를 입자를 제거한 후 인도측으로 배출하도록 하는 유해물질 저감장치를 제안하였다.
또한, 상기 전기집진기를 구성하는 방전극 및 집진전극을 물에 의해 세척하기 위하여 펌프와 분사노즐이 추가로 구비되어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기술에 따르면, 도로변 즉 인도에 유해물질 저감장치 구조물이 설치됨으로써 보행자의 통행에 불편함을 주게 되고, 또한 송풍기, 펌프 등을 구동시키기 위한 전력을 사용함으로써 이를 유지하기 위한 비용이 꾸준히 발생하게 되며, 아울러 그 구조가 매우 복잡하고 고가의 부속물이 내장되어 있게 됨으로써 설치비용이 크게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도로측의 공기를 흡입하여 인도측으로 배출시킴으로써 보행자에게 매우 불쾌감을 주는 문제점도 가지고 있다.
<선행기술문헌>
-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018464호
(도로에서 발생하는 미세먼지를 포함한 유해불질 저감장치)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도로에 설치되는 차선 경계봉에 나노 및 다공성 재료가 코팅된 모헤어를 구비하여 대기 전구물질 및 미세먼지를 흡착 및 제거하도록 한 무전력 기반 차선 경계봉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나노 및 다공성 재료가 코팅된 모헤어에 의해 대기 전구물질 및 미세먼지를 저감시키는 무전력 기반 차선 경계봉은,
바닥에 고정되는 고정부로부터 상하방향으로 입설되는 본체의 외주면에 모헤어가 설치되고, 상기 모헤어는 나일론 또는 폴리프로필렌 재질로 되면서, 그 길이가 3.5 ~ 12mm 이며, 직경은 1,000 ~ 1,500 데니어를 가져서 정전기에 의해 대기 전구물질 및 미세먼지를 흡착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모헤어는 대기 전구물질 및 미세먼지를 제거하기 위하여 나노 코팅제에 의해 코팅되고, 그 나노 코팅제는 Ce, Fe, Si, Mn, Mg, Co, Zn, Sn, In, Ti, Ge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물질에 의한 금속산화물 기반의 베이스 소재에 상기 Ce, Fe, Si, Mn, Mg, Co, Zn, Sn, In, Ti, Ge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물질을 코팅 또는 성장시켜 다중의 구조체로 형성된다.
또 다른 형태로서, 상기 나노 코팅제는 실리카계 나노기공소재, 실리카 에어로겔, 알루미나계 기공소재, 타이타니아계 기공소재, 지르코니아계 기공소재, 탄소계 기공소재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다공성 나노 구조체에 Ce, Fe, Si, Mn, Mg, Co, Zn, Sn, In, Ti, Ge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금속산화물을 코팅 또는 성장시켜 다중의 구조체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의 나노 코팅제들은 IPA에 의해 희석되어 액체화된 다음 모헤어에 끝부분에 코팅된다.
또 다른 형태로서, 상기 나노 코팅제는 물리적 흡착을 위하여 활성탄, 제올라이트, 펄라이트, 팽장질석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물질을 포함한다.
또 다른 형태로서, 상기 나노 코팅제는 활성탄, 제올라이트, 펄라이트, 팽장질석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제1 물질과 아세톤, 에폭시 수지, 그리고 경화촉매제가 혼합되어 구성된 제2 물질을 혼합하여 구성되며, 모헤어의 끝부분에 코팅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에는 상기 모헤어가 스파이럴 형태로 부착된다.
또 다르게는 상기 모헤어가 부착된 철사를 상기 본체의 외경보다 큰 내경을 갖는 스파이럴 형태로 연속으로 감아 상기 본체의 외측으로 끼워서 장착하는 지지부;를 포함하여 모헤어가 본체의 외측에 고정되도록 하되, 상기 지지부는 상기 본체의 백색 반사지가 부착되는 않는 부위에서는 링 형태로 복수회 감기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은 도로상에 설치되어 차량으로부터 배출되는 먼지와 차량의 주행에 따라 발생되는 먼지와의 접촉빈도가 큰 차선 경계봉에 나노 및 다공성 재료가 코팅된 모헤어를 고정시킴으로써 정전기에 의해 (초)미세먼지를 무전력으로 흡착하고, 광촉매에 의한 화학적 분해, 나노급 다공성 재료에 의한 물리적 제거에 기반하여 NOx, SOx 등의 대기 전구물질을 무전력으로 제거할 수 있으므로 전력소모가 전혀 발생하지 않는 장점이 있다.
또한, 차선 경계봉에 모헤어가 고정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별도의 공간을 차지하지 않게 되어 보행 및 차량 통행에 전혀 지장을 주지 않는 장점도 갖는다.
아울러, 매우 저렴한 가격에 대비하여 대기 전구물질과 (초)미세먼지의 제거효율이 매우 높아 설치비용이 매우 저렴하며, 아울러 대기 전구물질과 (초)미세먼지가 흡착된 모헤어는 빗물에 의해 세정됨으로써 별도의 유지비용이 소요되지 않아 비용절감의 효과가 매우 큰 장점이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의한 차선 경계봉의 구조 및 (초)미세먼지를 흡착하고 세정하는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
도2는 대기 전구물질의 제거를 위하여 차선 경계봉에 고정된 모헤어에 나노 복합소재 및 다공성 소재가 코팅된 구조를 보인 도.
도3은 모헤어에 나노 복합소재 및 다공성 소재를 코팅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
도4는 철사에 부착된 모헤어를 차선 경계봉의 외측에 고정시키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
도5는 도4의 구조에 의해 차선 경계봉의 외측에 모헤어가 감긴 상태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다음에 예시하는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다음에 상술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에 의한 차선 경계봉의 구조 및 (초)미세먼지를 흡착하고 세정하는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이고, 도2는 차선 경계봉에 고정된 모헤어에 나노 복합소재 및 다공성 소재가 코팅된 구조를 보인 도이며, 도3은 모헤어에 나노 복합소재 및 다공성 소재를 코팅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1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차선 경계봉(100)은 도로 바닥에 앵커볼트에 의해 고정되는 고정부(110)와, 상기 고정부(110)에 결합되어 상하방향으로 입설된 오렌지 색상의 본체(120)와, 상기 본체(120)의 둘레를 따라서 일정간격마다 부착된 백색 반사지(121)로 크게 구성되어 있다.
일반적인 차선 경계봉은 교차로 진입 대기 차선과 신호가 없는 차선으로의 이동이 빈번한 곳의 불법유턴 차단과 회전반경이 큰 곳이나 사고위험이 높은 곳에 설치되고, 고속도로나 일반도로에서는 중앙분리대와 같이 중앙선을 분리시키거나 차선의 침입을 방지하는데 사용하거나, 또는 공사현장에서 차선을 구획하여 차량의 진행방향을 표시함으로써 차량의 소통을 원할히 하게 된다.
특히 도로에 설치된 차선 경계봉은 차량으로 배출된 먼지, 차량의 주행에 따른 비산먼지 등과의 접촉빈도가 매우 높으므로, 이러한 차선 경계봉에 의해 미세먼지 또는 초미세먼지의 흡착, 그리고 NOx, SOx와 같은 대기 전구물질까지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할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차선 경계봉(100)의 외측에 모헤어(200)를 고정시킴으로써 도로에서 발생하는 (초)미세먼지를 흡착하여 제거하도록 한다.
상기 모헤어(mohair)(200)는 나이론 또는 폴리프로필렌 재질로 된 극세사의 인조 모헤어로서, 차량의 주행에 의한 바람 또는 자연바람에 의해 마찰을 일으키고, 그 마찰에 의한 정전기에 의해 (초)미세먼지를 흡착하게 되는데, 이러한 모헤어(200)는 각 모헤어의 길이가 3.5 ~ 12mm 이며, 그 굵기는 1,000 ~ 1,500 데니어(denier), 바람직하게는 1,350 데니어를 갖는 것이 좋다.
여기서 데니어는 실의 굵기를 표시하는 단위로서, 1데니어는 1g당 9,000m의 길이를 가지는 실의 굵기를 나타낸다.
따라서, 차량의 주행에 따라 발생된 바람, 자연적인 바람에 의해 모헤어가 서로 마찰을 일으킴으로써 정전기가 발생하게 되고, 그 정전기에 의해 미세먼지와 초미세먼지가 모헤어(200)에 흡착되어 제거된다.
결국, 무전력으로 (초)미세먼지를 흡착시켜 제거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모헤어(200)에 흡착된 (초)미세먼지는 빗물에 의해 쓸려내려가게 되므로 자연적으로 세정이 이루어지게 됨으로써, 이 또한 세정을 위한 별도의 유지보수가 필요없게 되고, 무전력으로 계속하여 (초)미세먼지의 흡착 및 제거, 그리고 빗물에 의한 모헤어(200)의 세정이 연속하여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한편, 모헤어(200)에 의해 (초)미세먼지뿐만 아니라 질소산화물(NOx), 황산화물(SOx), 휘발성 유기화합물(VOCs) 등의 대기오염의 원인물질인 대기 전구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데, 이러한 대기 전구물질은 초미세먼지의 발생 원인은 물론, 오존(O3) 발생의 원인이 되므로 인체에 매우 유해한 물질이다.
따라서, 이러한 대기 전구물질을 제거하기 위하여 도2에서와 같이 모헤어(200)는 화학적 흡착 및 물리적 흡착을 하게 되는데, 광촉매에 기반한 다중(2중 또는 3중)의 나노복합소재 및 나노 공극을 갖는 다공성 소재에 모헤어(200)를 코팅함으로써 대기 전구물질은 물론 (초)미세먼지까지 좀 더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게 된다.
화학적 흡착 Ⅰ
화학적 흡착은 광촉매에 기반하여 물리적 및 화학적으로 결합된 나노급의 다중 결합구조에 의해 대기 전구물질과 (초)미세먼지를 흡착시켜 제거함으로써 모헤어(200)의 효율을 증가시키도록 하는데, 도2에서와 같이 유연한 재질로 된 평판의 베이스(300)의 상부면에 다수의 모헤어(200)가 식재되고, 그 모헤어(200)에 2중 또는 3중의 다중 나노복합소재가 코팅된다.
이러한 나노복합소재는 Ce, Fe, Si, Mn, Mg, Co, Zn, Sn, In, Ti, Ge 중 어느 하나의 물질을 포함하며, 이러한 물질 중 어느 하나로 된 금속산화물 기반의 베이스 소재에 또 다른 금속산화물을 반복적으로 코팅하거나 또는 성장시킴으로써 물리적 및 화학적으로 결합된 나노급의 다중(2중 또는 3중)의 광촉매에 기반한 구조체를 형성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Ti로 된 금속산화물을 기반으로 하여 차례로 Fe, Mg을 코팅함으로써 3중의 광촉매에 기반한 나노급의 구조체를 형성할 수 있는 것이다.
이렇게 형성된 화학적 흡착을 위한 나노급의 구조체는 다중 코팅이 이루어진 파우더 형태의 입자로서, IPA(IsoPropyl Alcohol)와 함께 혼합하여 나노 코팅제로 용액화한 다음 도3(a)에서와 같이 모헤어(200)의 일부분 바람직하게는 끝부분에 분사하여 코팅하게 된다.
그러므로, 이러한 다중의 화학적 및 물리적으로 결합된 다중 코팅의 광촉매에 기반한 입자 구조체에 의해 대기 전구물질 및 (초)미세먼지가 흡착되어 대기중으로부터 제거되는 것이다.
이로 인하여 대기 전구물질 및 (초)미세먼지의 흡착 효율성을 증가시키게 되고, 모헤어(200)의 코팅되지 않은 부위에서는 (초)미세먼지를 흡착시킴으로써 결과적으로 대기 전구물질과 (초)미세먼지의 흡착 및 제거 성능이 뛰어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이렇게 흡착된 대기 전구물질과 (초)미세먼지는 빗물에 의해 씻겨나가게 되어 흡착성능을 계속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화학적 흡착 Ⅱ
또 다른 화학적 흡착은 실리카계 나노기공소재, 실리카 에어로겔, 알루미나계 기공소재, 타이타니아계 기공소재, 지르코니아계 기공소재 또는 탄소계 기공소재중 하나인 다공성의 나노 구조체에 금속산화물을 반복적으로 코팅 또는 성장시킴으로써 물리적·화학적으로 결합된 나노 사이즈의 다중(2중 또는 3중)의 구조체를 형성시킬 수 있다.
여기서, 금속산화물은 Ce, Fe, Si, Mn, Mg, Co, Zn, Sn, In, Ti, Ge 중 어느 하나의 물질로 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나노 구조체는 일예를 들어 실리카계 나노기공소재를 기반으로 하여 차례로 Fe, Mg을 코팅함으로써 3중의 나노급 구조체를 형성할 수 있는 것이다.
이렇게 형성된 화학적 흡착을 위한 나노급의 구조체도 마찬가지로 파우더 형태의 입자로서, IPA(IsoPropyl Alcohol)와 함께 혼합하여 액체화한 다음 도3(a)에서와 같이 모헤어(200)의 일부분, 바람직하게는 끝부분에 분사하여 코팅함으로써 이러한 나노 구조체의 기공을 통해 대기 전구물질 및 (초)미세먼지가 흡착되어 대기중으로부터 제거되는 것이다.
이 또한, 이렇게 흡착된 대기 전구물질과 (초)미세먼지는 빗물에 의해 씻겨나가게 되어 흡착성능을 계속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물리적 흡착
물리적 흡착은 대기 전구 물질인 SOx와 NOx의 입자와 비슷한 크기를 갖는 미세 나노공극을 지니고 있는 소재를 이용하게 되는데, 이러한 소재는 나노 공극이 0.0025∼0.0065㎛인 활성탄, 제올라이트, 펄라이트 및 팽창질석이며, 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물질을 포함한다.
이러한 물질도 마찬가지로 파우더 형태로서, 모헤어(200)에 분사되어 코팅되도록 하기 위하여, 용제, 바인더, 경화촉매제가 혼합되어 분무를 위한 용액화된다.
여기서 용제는 아세톤, 바인더로서는 에폭시 수지를 들 수 있으며, 만약 소재가 제올라이트를 기반으로 한다면, 제올라이드와 에폭시 수지의 혼합비는 3:2가 바람직하며, 다른 소재와 에폭시 수지의 혼합비도 이와 동일하거나 유사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도3(b)에서와 같이 모헤어(200)의 일부분, 바람직하게는 끝부분에 분사하여 코팅함으로써 이러한 나노 구조체의 기공을 통해 대기 전구물질 및 (초)미세먼지가 흡착되어 대기중으로부터 제거되는 것이다.
여기서도 마찬가지로, 흡착된 대기 전구물질과 (초)미세먼지는 빗물에 의해 씻겨나가게 되어 흡착성능을 계속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모헤어의 설치
대기 전구물질 및 (초)미세먼지의 화학적 또는 물리적인 흡착을 위하여 모헤어(200)에 코팅이 이루어진 다음, 이를 차선 경계봉(100)에 부착하거나 고정시켜야 된다.
이를 위하여 도2에서와 같이 일정길이를 갖는 베이스(300)의 하부면에 양면 테이프를 부착한 다음 차선 경계봉(100)의 백색 반사지(121)가 부착된 이외의 부위에 둘레를 따라서 부착시킬 수 있을 것이다.
즉, 차선 경계봉(100)의 오렌지 색상 부위에 부착되며, 이때 모헤어(200)도 오랜지 색상을 가지게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차선 경계봉(100)은 운전자의 눈에 잘 띠도록 오랜지 색상의 본체(120)에 백색 반사지(121)가 부착되어 빛을 반사하게 되므로, 백색 반사지(121) 부위는 그대 로 노출시키고, 오렌지 색상(120)의 본체에 모헤어(200)를 부착시키게 되며, 이때 모헤어(200)가 오렌지 색상을 가져야만 본체(120)의 오렌지 색상을 대체하면서 부착될 수 있으므로, 운전자의 눈에 잘 보일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모헤어(200)의 부착은 양면 테이프 대신 글루 또는 실리콘 등의 접착제에 의해 점 접착이 될 수 있다.
도4는 모헤어를 차선 경계봉(100)에 설치하는 또 다른 형태로서, (a)에서와 같이 베이스(300)의 상부면에 모헤어(200)를 식재하고, (b)와 같이 베이스(300)의 상부면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철사(400)를 위치시킨 다음, (c)와 같은 고정부(500)에 의해 일정간격마다 철사(400)를 베이스(300)에 고정시킴으로써 (d)와 같은 지지부(600)를 형성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고정부(500)는 스태플러로서 철사(400)를 베이스(300)에 고정시킴으로써 철사(300)가 유연한 재질의 베이스(300)에 심재로 작용하게 되며, 이러한 철사(300)는 0.1 ~ 2mm의 직경을 가져서 유연하면서도, 휘어진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고정부(500)는 50 ~ 200mm 간격으로 베이스(300)에 고정되어 제조된다.
이렇게 제조된 지지부(600)는 (e)에서와 같이 스파이럴 형태를 형성되는데, 이때 스파이럴 형태로 된 지지부(600)의 내경은 적어도 차선 경계봉 본체(120)의 외경과 동일하거나 조금 크게 형성되어 본체(120)의 외측으로 끼워져서 장착된다.
한편, 도5에서와 같이 이러한 스파이럴 형태로 연속 감겨진 지지부(600)가 백색 반사지(121) 부위를 가리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본체(120)에 상하방향으로 부착된 백색 반사지(121) 사이에 위치하는 부위에서는 링 형태로 복수회 감겨지는 구조를 가지게 된다.
(f)에서와 같이 상측은 수평방향의 링 형태로 감겨진 후 하측으로 스파이럴 형태로 감겨지되, 백색 반사지(121)가 없는 부위에 해당하는 위치에서는 링 형태로 복수회 감겨지게 되고, 가장 하측부위는 수평방향의 링 형태로 감겨진다.
예를 들면, 지지부(600)는 전체적으로 스파이럴 형태로 감겨지되, 50 ~ 200mm 간격을 가지면서 링 형태로 복수회 감겨지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이렇게 형성된 지지부(600)가 본체(120)의 외측으로 끼워져 장착되고, 상측부위와 하측부위가 본체(120)에 접착제 등에 의해 고정됨으로써 모헤어가 넓은 비표면적으로 본체(120)의 둘레에서 대기 전구물질 및 (초)미세먼지와 접촉하여 효율적으로 흡착시켜 제거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으로 본 발명 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 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 예일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100 : 차선 경계봉 110 : 고정부
120 : 본체 121 : 백색 반사지
200 : 모헤어 300 : 베이스
400 : 철사 500 : 고정부
600 : 지지부

Claims (17)

  1. 바닥에 고정되는 고정부로부터 상하방향으로 입설되는 본체의 외주면에 모헤어가 설치되어 정전기에 의해 대기 전구물질 및 미세먼지를 흡착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선 경계봉.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헤어는 유연한 재질의 베이스의 상부면에 식재되어 상기 본체의 외주면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선 경계봉.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헤어는 나일론 또는 폴리프로필렌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선 경계봉.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헤어의 길이는 3.5 ~ 12mm 이며, 굵기는 1,000 ~ 1,500 데니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선 경계봉.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헤어는 나노 코팅제에 의해 코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선 경계봉.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 코팅제는 Ce, Fe, Si, Mn, Mg, Co, Zn, Sn, In, Ti, Ge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물질에 의한 금속산화물 기반의 베이스 소재에 상기 Ce, Fe, Si, Mn, Mg, Co, Zn, Sn, In, Ti, Ge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금속산화물을 코팅 또는 성장시켜 다중의 구조체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선 경계봉.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 코팅제는 실리카계 나노기공소재, 실리카 에어로겔, 알루미나계 기공소재, 타이타니아계 기공소재, 지르코니아계 기공소재, 탄소계 기공소재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다공성 나노 구조체에 Ce, Fe, Si, Mn, Mg, Co, Zn, Sn, In, Ti, Ge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금속산화물을 코팅 또는 성장시켜 다중의 구조체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선 경계봉.
  8. 제6항 또는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 코팅제는 IPA에 의해 희석되어 액체화된 다음 모헤어에 코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선 경계봉.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화된 나노 코팅제는 모헤어의 끝부분에 코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선 경계봉.
  1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 코팅제는 물리적 흡착을 위하여 활성탄, 제올라이트, 펄라이트, 팽장질석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물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선 경계봉.
  11.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 코팅제는 활성탄, 제올라이트, 펄라이트, 팽장질석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제1 물질과 아세톤, 에폭시 수지, 그리고 경화촉매제가 혼합되어 구성된 제2 물질을 혼합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선 경계봉.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 코팅제는 상기 제1물질과 상기 에폭시 수지가 3:2 비율로 혼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선 경계봉.
  13. 제10항 또는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 코팅제는 모헤어의 끝부분에 코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선 경계봉.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헤어는 스파이럴 형태로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선 경계봉
  1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의 하부면에 양면 테이프가 구비되어 상기 본체의 외측면에 부착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선 경계봉.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헤어가 부착된 철사를 상기 본체의 외경보다 큰 내경을 갖는 스파이럴 형태로 연속으로 감아 상기 본체의 외측으로 끼워서 장착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선 경계봉.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본체의 백색 반사지가 부착되는 않는 부위에서는 링 형태로 복수회 감기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선 경계봉.
KR1020200023828A 2020-02-26 2020-02-26 나노 및 다공성 재료가 코팅된 모헤어에 의해 대기 전구물질 및 미세먼지를 저감시키는 무전력 기반 차선 경계봉 KR1023100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3828A KR102310058B1 (ko) 2020-02-26 2020-02-26 나노 및 다공성 재료가 코팅된 모헤어에 의해 대기 전구물질 및 미세먼지를 저감시키는 무전력 기반 차선 경계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3828A KR102310058B1 (ko) 2020-02-26 2020-02-26 나노 및 다공성 재료가 코팅된 모헤어에 의해 대기 전구물질 및 미세먼지를 저감시키는 무전력 기반 차선 경계봉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8783A true KR20210108783A (ko) 2021-09-03
KR102310058B1 KR102310058B1 (ko) 2021-10-08

Family

ID=777851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3828A KR102310058B1 (ko) 2020-02-26 2020-02-26 나노 및 다공성 재료가 코팅된 모헤어에 의해 대기 전구물질 및 미세먼지를 저감시키는 무전력 기반 차선 경계봉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10058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99522A (ja) * 1993-02-19 1994-10-25 Nippon Mektron Ltd 道路標識柱
KR20140037942A (ko) * 2011-06-30 2014-03-27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캄파니 부직 일렉트릿 섬유질 웨브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KR20170134112A (ko) * 2016-05-27 2017-12-06 (주)우리엠엔에스 나노섬유 필터를 이용한 방진망
KR20180069716A (ko) * 2016-12-15 2018-06-25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필터여재,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필터유닛
KR20190027036A (ko) * 2017-09-05 2019-03-14 경기대학교 산학협력단 미세 먼지 포집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99522A (ja) * 1993-02-19 1994-10-25 Nippon Mektron Ltd 道路標識柱
KR20140037942A (ko) * 2011-06-30 2014-03-27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캄파니 부직 일렉트릿 섬유질 웨브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KR20170134112A (ko) * 2016-05-27 2017-12-06 (주)우리엠엔에스 나노섬유 필터를 이용한 방진망
KR20180069716A (ko) * 2016-12-15 2018-06-25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필터여재,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필터유닛
KR20190027036A (ko) * 2017-09-05 2019-03-14 경기대학교 산학협력단 미세 먼지 포집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10058B1 (ko) 2021-10-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006026B2 (ja) 固体粒子を充填させた中空繊維
TW399112B (en) The road with the air-purifying function and the method of purifying the polluted air at the road
CN108160064B (zh) 一种石墨烯/二氧化钛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和应用
Paz Application of TiO2 photocatalysis for air treatment: Patents’ overview
CN101780288B (zh) 含有纳米矿物质的复合空气净化剂及其制备方法
CN1218778C (zh) 负载型光催化净化网块的制备方法
US11571644B2 (en) Cyclonic vehicular traffic pollution control system
CN108410221A (zh) 自清洁的涂层
KR102310058B1 (ko) 나노 및 다공성 재료가 코팅된 모헤어에 의해 대기 전구물질 및 미세먼지를 저감시키는 무전력 기반 차선 경계봉
JPH09225319A (ja) 光触媒粒子及びその製造方法
JPH11226422A (ja) 光触媒体粉末、光触媒用組成物、光触媒体及びその用途
CN101780289A (zh) 一种含有纳米矿物质的复合空气净化剂及其制备方法
EP1797936B1 (en) Covering for air pollution abatement and method for making the covering
JP2007190533A (ja) 光触媒シート及び同光触媒シートを使用したエアーフィルタ
JP2003268945A (ja) 内装材
JP3124491B2 (ja) 遮音壁の洗浄方法
KR200496352Y1 (ko) 자연 친화적 공기정화 열주등
CN202266315U (zh) 一种尾气净化装置
KR102318413B1 (ko) 나노 코팅된 극세사 모헤어를 이용한 무전력 기반 대기정화형 도로 울타리
JP2005193118A (ja) 光触媒性粒子、光触媒性溶液、噴霧器、空気清浄器及び光触媒性基体
JP3740597B2 (ja) 空気浄化機能を備えた道路
KR102097917B1 (ko) 무전원 및 무필터식 공기 청정기
KR20200012442A (ko) 도로 중앙분리대용 미세먼지 흡착 장치
CN210109766U (zh) 一种具有除醛功能的鼠标垫
CN108730891A (zh) 一种有效除尘的高速公路专用路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