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08068A - 전도 방지 프리캐스트 모듈 거푸집 및 이를 이용한 매스 콘크리트 구체 시공 방법 - Google Patents

전도 방지 프리캐스트 모듈 거푸집 및 이를 이용한 매스 콘크리트 구체 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08068A
KR20210108068A KR1020200022812A KR20200022812A KR20210108068A KR 20210108068 A KR20210108068 A KR 20210108068A KR 1020200022812 A KR1020200022812 A KR 1020200022812A KR 20200022812 A KR20200022812 A KR 20200022812A KR 20210108068 A KR20210108068 A KR 202101080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mwork
precast module
wall portion
concrete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28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66158B1 (ko
Inventor
박경수
고영곤
천경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Priority to KR10202000228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6158B1/ko
Publication of KR202101080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80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61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61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06Moles; Piers; Quays; Quay walls; Groynes; Breakwaters ; Wave dissipating walls; Quay equip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전도 방지 프리캐스트 모듈 거푸집이 개시되며, 상기 전도 방지 프리캐스트 모듈 거푸집은, 상기 대상영역의 종 방향으로 연장되는 기초부; 상기 대상영역에 대한 매스 콘크리트의 타설에 대응하여 횡 방향 외측의 거푸집 역할을 수행하도록, 상기 기초부의 횡 방향 외측으로부터 상향 연장 형성되는 외측 벽체부; 및 상기 외측 벽체부와의 사이에 물을 수용하는 주수 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기초부의 횡 방향 내측으로부터 상향 연장 형성되는 내측 벽체부를 포함하되, 상기 프리캐스트 모듈 거푸집은, 상기 주수 공간에 수용되는 물에 의해 전도가 방지되도록 구비된다.

Description

전도 방지 프리캐스트 모듈 거푸집 및 이를 이용한 매스 콘크리트 구체 시공 방법{PREVENT OVERTURNING PRECAST MODULE FORMWORK AND CONSTRUCTION METHOD FOR MASS CONCRETE STRUCTURE USING THE SAME}
본원은 전도 방지 프리캐스트 모듈 거푸집 및 이를 이용한 매스 콘크리트 구체 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방파제 구조물에 있어서 해수면 위로 드러나는 상치 구조물은 가장 큰 외력(파압)이 집중되는 구간으로, 큰 횡력에 저항하고 하부 구조물의 안정성 확보를 위하여 큰 자중이 필요하다. 이에 따라, 적합한 구조물이 시공되게 하기 위해, 큰 부피의 일체화 된 매스 콘크리트 구체를 형성하는 것이 일반적인 공법이다.
그런데, 전통적인 방법으로는 거푸집을 설치하여 매스 콘크리트를 타설 하는 방식으로 시공하고 있으나, 해상장비 운용으로 기상 및 파랑의 큰 영향을 받으며 해상에서 거푸집 해체/설치하는 과정에서 불안정한 상황에 인부가 노출되며, 콘크리트 타설 시 측압 불균형으로 거푸집 붕괴되어 안전사고 발생의 가능성이 다소 높았다.
이에 따라, 과거 다양한 거푸집 공법이 개발되어 왔다. 예를 들면, 강재거푸집(갱폼)을 이용하여 해상크레인으로 해체/설치를 반복하는 방식 또는 선제작한 PC 거푸집을 상치하는 PC 상치 공법이 있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거푸집 공법의 경우, 풍하중 또는 돌발적인 돌풍에 의해 거푸집이 전도되거나 밀리는 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철골을 이용하여 종/횡 X자 형태로 크로스하는(가로지르는)-브레이스를 설치하는 보강이 이루어져야 했다.
그러나, 이 같은 기존 브레이스 공법을 따르는 경우, 장비 주행로 확보가 어렵고, 작업공간이 협소해지는 작업 곤란성이 있었으며, 브레이스 설치를 위해 공사비 및 공사기간 또한 늘어나고 시공의 일괄성 또한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원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0934980호에 개시되어 있다.
본원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전도에 대한 안정성 산정이 용이하고, 장비 주행로 및 작업 공간 확보 또한 용이한 전도 방지 프리캐스트 모듈 거푸집 및 매스 콘크리트 구체 시공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다만, 본원의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도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원의 일 측면에 따른 전도 방지 프리캐스트 모듈 거푸집은, 상기 대상영역의 종 방향으로 연장되는 기초부; 상기 대상영역에 대한 매스 콘크리트의 타설에 대응하여 횡 방향 외측의 거푸집 역할을 수행하도록, 상기 기초부의 횡 방향 외측으로부터 상향 연장 형성되는 외측 벽체부; 및 상기 외측 벽체부와의 사이에 물을 수용하는 주수 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기초부의 횡 방향 내측으로부터 상향 연장 형성되는 내측 벽체부를 포함하되, 상기 프리캐스트 모듈 거푸집은, 상기 주수 공간에 수용되는 물에 의해 전도가 방지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일 측면에 따른 매스 콘크리트 구체 시공 방법은, (a) 상기 대상영역의 횡 방향 양 외측부 각각의 상측에 본원의 일 측면에 따른 전도 방지 프리캐스트 모듈 거푸집을 상기 대상영역의 종 방향을 따라 하나 이상 배치하고, 상기 주수 공간에 대해 급수하는 단계; (b) 상기 대상영역의 횡 방향 외측부의 상에 배치되는 상기 프리캐스트 모듈 거푸집의 상기 내측 벽부와 상기 프리캐스트 모듈 거푸집과 횡 방향에 대하여 간격을 두고 대향하는 대향 프리캐스트 모듈 거푸집의 상기 내측 벽부 사이에 콘크리트를 1차 타설하는 단계; (c) 상기 주수 공간에 대한 배수 작업을 실시하는 단계; (d) 상기 프리캐스트 모듈 거푸집의 상기 외측 벽체부와 상기 대향 프리캐스트 모듈 거푸집의 외측 벽체부 사이에 철근망을 배치하고 콘크리트를 후속 타설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과제 해결 수단은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원을 제한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상술한 예시적인 실시예 외에도, 도면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추가적인 실시예가 존재할 수 있다.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전도 방지 프리캐스트 모듈 거푸집의 거치 후, 전도 방지 프리캐스트 모듈 거푸집의 주수 공간에 물이 수용됨으로써, 전도 방지 프리캐스트 모듈 거푸집의 전도, 밀리는 현상 등이 방지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전도 안정성 확보를 위해 브레이스, 가새 등을 이용한 추가 작업이 필요했던 종래 대비 잔도에 대한 안정성 산정이 용이하고 장비 주행로 및 작업 공간 확보 또한 용이하여, 공사비 절감, 일괄적 시공성 확보에 의한 작업일(예를 들면 해상 작업일) 축소 및 공사기간 단축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도 방지 프리캐스트 모듈 거푸집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주수 공간에 물이 수용된 상태인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도 방지 프리캐스트 모듈 거푸집의 개략적인 횡 방향 개념 단면도이다.
도 3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도 방지 프리캐스트 모듈 거푸집 복수 개가 종 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임시 격벽이 구비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도 방지 프리캐스트 모듈 거푸집이 대상영역의 횡방향 외측부 상에 배치되는 것을 도시한 개략적인 개념 사시도이다.
도 5는 배수 홀, 일면 함몰 홈 등이 형성되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도 방지 프리캐스트 모듈 거푸집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6은 콘크리트가 1차 타설되고 주수 공간의 물이 배수된 상태인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도 방지 프리캐스트 모듈 거푸집의 개략적인 횡 방향 개념 단면도이다.
도 7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도 방지 프리캐스트 모듈 거푸집의 몰탈 또는 콘크리트 주입에 의해 형성되는 연결부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8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도 방지 프리캐스트 모듈 거푸집의 트랜지션 모듈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9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도 방지 프리캐스트 모듈 거푸집이 트랜지션 모듈에 의해 연결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도 방지 프리캐스트 모듈 거푸집에 대한 후속 콘크리트 타설을 설명하기 위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도 방지 프리캐스트 모듈 거푸집의 개략적인 횡 방향 개념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스 콘크리트 구체 시공 방법의 대상영역이 배치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스 콘크리트 구체 시공 방법의 대상영역 상에 주행로가 형성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스 콘크리트 구체 시공 방법의 레벨링 콘크리트층이 형성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 사시도이다.
도 14 및 도 15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스 콘크리트 구체 시공 방법의 대상영역의 횡 방향 양 외측부 중 하나에 대해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도 방지 프리캐스트 모듈 거푸집이 배치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 사시도이다.
도 16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스 콘크리트 구체 시공 방법의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도 방지 프리캐스트 모듈 거푸집의 임시 격벽이 배치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 사시도이다.
도 17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스 콘크리트 구체 시공 방법의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도 방지 프리캐스트 모듈 거푸집의 주수 공간에 물이 수용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 사시도이다.
도 18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스 콘크리트 구체 시공 방법의 대상영역의 횡 방향 양 외측부 중 다른 하나에 대해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도 방지 프리캐스트 모듈 거푸집이 배치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 사시도이다.
도 19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스 콘크리트 구체 시공 방법의 대상영역의 횡 방향 양 외측부 중 다른 하나에 배치되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도 방지 프리캐스트 모듈 거푸집의 주수 공간에 물이 수용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 사시도이다.
도 20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스 콘크리트 구체 시공 방법의 1차 콘크리트 타설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 사시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원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원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원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상부에", "상단에", "하에", "하부에", "하단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본원의 실시예에 관한 설명 중 방향이나 위치와 관련된 용어(상측, 상부, 상단, 하측, 하부, 하단 등)는 도면에 나타나 있는 각 구성의 배치 상태를 기준으로 설정한 것이다. 예를 들면, 도 1 내지 도 6을 보았을 때, 전반적으로 12시 방향이 상측, 전반적으로 12시 방향을 향하는 부분이 상부, 전반적으로 12시 방향을 향하는 단부가 상단, 전반적으로 6시 방향이 하측, 전반적으로 6시 방향을 향하는 부분이 하부, 전반적으로 6시 방향을 향하는 단부가 하단 등이 될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실시예에 관한 설명 중 방향이나 위치와 관련된 용어 중 내측, 내측부, 외측, 외측부 등은 대상영역을 기준으로 설정한 것인데, 예를 들어, 도 4를 보았을 때, 대상영역 전체에서 횡 방향(도 4 참조, 2시-8시 방향) 기준 안쪽을 향하는 방향이 내측이고, 대상영역 전체에서 횡 방향 안쪽을 향하는 부분이 내측부이며, 대상영역 전체에서 횡 방향 바깥쪽을 향하는 방향이 외측이고, 대상영역 전체에서 횡 방향 바깥쪽을 향하는 부분이 외측부 등이 될 수 있다.
본원은 전도 방지 프리캐스트 모듈 거푸집 및 이를 이용한 매스 콘크리트 구체 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먼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도 방지 프리캐스트 모듈 거푸집(이하 '본 거푸집'이라 함)(1)에 대해 설명한다.
본 거푸집은 매스 콘크리트가 타설되는 대상영역의 횡 방향 외측부 상에 배치되는 프리캐스트 모듈 거푸집이다.
예를 들어, 본원은 방파제 건설 공사의 필수 공종인 상치콘크리트 타설 뿐만 아니라, 호안/안벽 조성, 차수벽 조성 등에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원이 방파제 건설 공사에 적용되는 경우, 대상영역(9)은 케이슨일 수 있다. 또한, 도 2를 참조하면, 대상영역(9) 상에는 덮개(91)가 구비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거푸집(1)은 기초부(11)를 포함한다. 도 4를 참조하면, 기초부(11)는 대상영역(9)의 횡 방향 외측부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기초부(11)는 대상영역(9)의 종 방향으로 연장된다. 또한, 기초부(11), 후술하는 외측 벽체부(12) 및 내측 벽체부(13)는 시멘트질 재료(이를 테면, 콘크리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거푸집(1)은 철근망 등과 같은 철근 구조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거푸집(1)은 작업장에서 미리 제작(프리캐스트)된 것일 수 있다.
또한,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거푸집(1)은 외측 벽체부(12)를 포함한다. 도 2 및 도 4를 참조하면, 외측 벽체부(12)는 대상영역(9)에 대한 매스 콘크리트의 타설에 대응하여 횡 방향 외측의 거푸집 역할 수행하도록, 기초부(11)의 횡 방향 외측으로부터 상향 연장 형성된다. 도 2를 참조하면, 후술하겠지만, 본 거푸집(1)이 대상영역(9)의 횡 방향 양 외측부 각각의 상측에 배치되면, 본 거푸집(1)의 외측 벽체부(12)와 본 거푸집(1)과 횡 방향으로 대향하는 대향 본 거푸집(1)의 외측 벽체부(대향 외측 벽체부)(12) 사이에는 대상영역(9)에 대한 매스 콘크리트의 타설이 이루어질 수 있고, 이때, 본 거푸집(1)의 외측 벽체부(12)와 대향 본 거푸집(1)의 대향 외측 벽체부(12)는 대상영역(9)에 타설되는 매스 콘크리트의 적어도 일부에 대한 거푸집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외측 벽체부(12)의 높이는 대상영역(9)에 타설되는 매스 콘크리트의 타설 높이를 고려하여 설정될 수 있다.
참고로, 기초부(11)의 횡 방향 외측이라 함은, 기초부(11)의 외측 끝단만을 한정하여 의미하는 것이 아닐 수 있고, 외측 끝단을 포함하는 영역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거푸집(1)은 내측 벽체부(13)를 포함한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내측 벽체부(13)는 외측 벽체부(12)와의 사이에 물을 수용하는 주수 공간(14)이 형성되도록, 기초부(11)의 횡 방향 내측으로부터 상향 연장 형성된다. 이에 따라, 기초부(11) 상에 내측 벽체부(13)와 외측 벽체부(12) 사이에는 물이 수용되는 주수 공간(14)이 형성될 수 있다. 내측 벽체부(13)의 높이는 주수 공간(14)에 수용되는 물의 높이를 고려하여 설정될 수 있다. 또한, 후술하겠지만, 내측 벽체부(13)와 대향 본 거푸집(1)의 내측 벽체부(대향 내측 벽체부)(13) 사이에는 대상영역(9)에 타설되는 매스 콘크리트의 적어도 일부가 타설될 수 있고, 내측 벽체부(13)와 대향 내측 벽체부(13)는 대상영역(9)에 타설되는 매스 콘크리트의 적어도 일부에 대한 거푸집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내측 벽체부(13)의 높이는 내측 벽체부(13)와 대향 내측 벽체부(13) 사이에 타설되는 매스 콘크리트(후술할 매스 콘크리트의 1차 타설)의 타설 높이를 고려하여 설정될 수 있다.
참고로, 주수 공간(14)에 주수되는 물은 해수일 수 있다. 다만, 주수 공간(14)에 주수되는 것은 물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현장 상황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액체가 주수 공간(14)에 주수될 수 있다.
또한,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거푸집(1)은 임시 격벽(15)을 포함할 수 있다. 임시 격벽(15)은 주수 공간(14)을 종 방향 일측 및 타측으로 분할(구획)하도록 주수 공간(14)을 횡 방향으로 가로지르게 배치되되, 외측 벽체부(12)와 내측 벽체부(13)에 대하여 탈거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임시 격벽(15)은 주수 공간(14)에 물이 수용될 수 있도록, 주수 공간(14)의 종방향 일측 또는 타측을 폐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임시 격벽(15)은 종 방향으로 이웃하는 이웃 임시 격벽(15)과의 사이에 물이 수용될 수 있도록 구비 및 설치될 수 있다. 여기에서, 이웃 임시 격벽(15)은 본 거푸집(1)과 종 방향으로 바로 이웃하는 본 거푸집(1)에 구비되는 임시 격벽(15)일 수 있다. 또는, 이웃 임시 격벽(15)은 본 거푸집(1)과 종방향으로 하나 이상의 본 거푸집(1)을 사이에 두고 이웃하는 본 거푸집(1)에 구비되는 임시 격벽(15)을 의미할 수 있다. 또는, 본 거푸집(1)에 임시 격벽(15)이 종 방향으로 복수 개 구비되는 경우, 본 거푸집(1) 내에서 임시 격벽(15)과 종 방향으로 이웃하는 임시 격벽(15)이 이웃 임시 격벽(15)이 될 수 있다.
임시 격벽(15)은 주수 공간(14)에 대한 급수 작업시 설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주수 공간(14)에 대한 급수 작업이 이루어지기 전에 임시 격벽(15)의 설치가 이루어질 수 있고, 주수 공간(14)에 대한 급수 작업시 임시 격벽(15)은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이에 따라, 급수 작업시 주수 공간(14)에는 물이 수용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거푸집(1)은 주수 공간(14)에 수용되는 물에 의해 전도가 방지되도록 구비된다. 본 거푸집(1)이 대상영역(9)에 설치된 후, 본 거푸집(1)의 주수 공간(14)에 물이 수용되면, 물의 하중이 기초부(11)에 작용하므로 본 거푸집(1)이 전도(외측 방향으로의 전도)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종래에는 거푸집이 풍하중 또는 돌발적인 돌풍에 의해 전도되거나 밀리는 사고가 발생하였다. 또한, 이를 막기 위해 바닥 앵커 볼트와 가새 등으로 거푸집을 가거치 하는 경우도 있었으나, 이에 따르면, 거푸집 사이에 장비 주행로 확보가 어렵고, 작업 공간이 협소해지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반면에, 본 거푸집(1)에 의하면, 주수 공간(14)에 물이 수용되어 물의 하중이 본 거푸집(1)에 작용되므로 본 거푸집(1)과 대향 본 거푸집(1) 사이에 장비 주행로, 작업 공간 등이 확보되며, 본 거푸집(1)의 전도, 밀리는 현상 등이 용이하게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임시 격벽(15)은 주수 공간(14)에 대한 배수 작업시 제거될 수 있다. 임시 격벽(15)의 제거시 주수 공간(14)은 임시 격벽(15)이 제거된 부분을 통해 개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주수 공간(14) 내의 물은 임시 격벽(15)이 제거된 부분을 통해 주수 공간(14)으로부터 배수될 수 있다. 따라서, 배수 작업시 임시 격벽(15)은 제거되면, 주수 공간(14) 내의 물은 주 배수 방향을 종 방향으로 하여 흐를 수 있고, 임시 격벽(15)이 제거되어 형성된 개방된 부분을 통해 배수될 수 있다.
참고로, 배수 작업시 제거되는 임시 격벽(15)은 주수 공간(14)의 주 배수방향을 고려하여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수 공간(14)의 주 배수 방향이 종방향 일측이면, 주수 공간(14)의 종 방향 일측을 폐쇄하는 임시 격벽(15)이 제거되어 주 배수 방향이 종 방향 일측으로 형성되게 할 수 있다.
또한, 후술하겠지만, 내측 벽체부(13)와 대향 내측 벽체부(13) 사이에 매스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매스 콘크리트에 의해 본 거푸집(1)의 전도가 방지될 수 있게 되면, 주수 공간(14)에 대한 배수 작업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기초부(11) 상면(주수 공간의 바닥면)에는 구배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거푸집(1)이 배치되는 대상영역(9) 자체(예시적으로 케이슨 상면)에 구배가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예로, 기초부(11) 상면 자체가 구배가 갖도록 기초부(11)가 사전 제작될 수도 있을 것이다.
구배는 종방향으로 임시 격벽(15)이 제거되는 부분을 향할수록, 다시 말해, 계획된 주 배수 방향으로 높이가 낮아지는 구배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임시 격벽(15)이 제거되었을 때, 주수 공간(14) 내의 물은 구배가 형성되는 기초부(11)의 상면을 따라 용이하게 배수될 수 있다. 이러한 배수를 위한 구배는 당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알려진 다양한 방법 또는 향후 개발된 방법에 의해 부여될 수 있다.
또한, 도 2를 참조하면, 외측 벽체부(12) 및 기초부(11) 중 적어도 일부에는 주수 공간(14)에 수용된 물을 외측 벽체부(12)의 횡 방향 외측으로 배수 가능하도록 배수홀(116)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주수 공간(14)에 수용된 물은 배수홀(116)을 통해 배수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임시 격벽(15)의 제거에 따른 배수 이후에 기초부(11) 상의 일부 잔여하는 물은 배수 홀(116)을 통해 제거될 수 있다. 또한, 배수홀(116)을 통한 용이한 배수를 위해, 배수홀(116)의 바닥면은 외측을 향할수록 높이가 낮아지는 구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참고로, 배수 홀(116)은 주수 공간(14)에 대한 주수 시에는, 배수가 이루어지지 않도록, 폐쇄될 수 있고, 주수 공간(14)에 대한 배수 시에는, 배수가 이루어지도록 개방될 수 있다.
또한, 기초부(11) 상면(주수 공간의 바닥면)에는 배수홀(116)을 향할수록, 외측을 향할수록 높이가 낮아지는 구배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거푸집(1)이 배치되는 대상영역(9) 자체(예시적으로 케이슨 상면)에 상기 구배가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예로, 기초부(11) 상면 자체가 상기 구배를 갖도록 기초부(11)가 사전 제작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러한 배수를 위한 구배는 당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알려진 다양한 방법 또는 향후 개발된 방법에 의해 부여될 수 있다.
또한, 도 1,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외측 벽체부(12)의 내면에는 임시 격벽(15)의 외측 단부가 맞물리는 외측 가이드 홈(121)이 상하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고, 내측 벽체부(13)의 외면에는 임시 격벽(14)의 내측 단부가 맞물리는 내측 가이드 홈(131)이 상하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3을 참조하면, 내측 가이드 홈(131)은 임시 격벽(15)이 상측으로부터 하향 이동하여 진입 가능하도록 상단이 개구될 수 있다. 또한, 외측 가이드 홈(121)은 내측 벽체부(13)보다 상측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외측 가이드 홈(121)은 내측 벽체부(13)보다 임시 격벽(15)의 상하 방향으로의 길이 이상 연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임시 격벽(15)은 횡 방향 외측 방향으로의 이동을 통해 외측 가이드 홈(121)에 끼워지고(삽입되고), 이후 하측 방향으로 이동하여 내측 가이드 홈(131)에 진입할 수 있으며, 하측 방향으로 더 이동됨으로써, 외측 단부가 외측 가이드 홈(121)에 삽입(맞물림 결합)되고 내측 단부가 내측 가이드 홈(131)에 삽입되는 형태로 외측 벽체부(12) 및 외측 벽체부(13)에 대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로서, 도 5를 참조하면, 외측 가이드 홈(121) 및 내측 가이드 홈(131)은 임시 격벽(15)이 상측으로부터 하향 이동하여 진입 가능하도록 상단이 개구되고, 진입한 임시 격벽(15)의 상하 방향 이동을 가이드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임시 격벽(15)은 외측 가이드 홈(121)의 상측으로부터 하측 방향으로의 이동을 통해 외측 가이드 홈(121)에 진입(삽입)되고, 이후 하측 방향으로 이동하여 내측 가이드 홈(131)에 진입할 수 있으며, 하측 방향으로 더 이동되어 외측 단부가 외측 가이드 홈(121)에 삽입(맞물림 결합)되고 내측 단부가 내측 가이드 홈(131)에 삽입되는 형태로 외측 벽체부(12) 및 외측 벽체부(13)에 대해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임시 격벽(15)은 외측 단부 및 내측 단부 각각이 외측 가이드 홈(121) 및 내측 가이드 홈(131) 각각에 삽입되는 상태로 내측 벽체부(13)와 외측 벽체부(12) 사이에 구비될 수 있어, 주수 공간(14)에 대한 수밀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주수 공간(14)에 수용되는 물에 의해 임시 격벽(15)에 작용되는 하중(응력)에도 임시 격벽(15)이 설치된 위치로부터 이탈되지 않고(밀리지 않고)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도 1,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기초부(11)에는 임시 격벽(15)이 삽입되는 홈(도면부호 미부여)이 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임시 격벽(15)은 하단부가 기초부(11)의 홈에 삽입되도록 내측 벽체부(13)와 외측 벽체부(12)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임시 격벽(15)은 외측 단부 및 내측 단부 각각이 외측 가이드 홈(121) 및 내측 가이드 홈(131) 각각에 삽입되고, 하단부가 기초부(11)의 홈에 삽입되는 상태로 내측 벽체부(13)와 외측 벽체부(12) 사이에 구비될 수 있어, 주수 공간(14)에 대한 수밀성이 보다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임시 격벽(15)과 기초부(11), 외측 벽체부(12) 및 내측 벽체부(13) 각각과의 결합력이 증가될 수 있어, 주수 공간(14)에 수용되는 물에 의해 임시 격벽(15)에 작용되는 하중에도 임시 격벽(15)이 설치된 위치로부터 이탈되지 않고(밀리지 않고) 구비된 상태를 보다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주수 공간(14)의 크기는 임시 격벽(15)의 설치 위치에 따라 임의로 조절 될 수 있다. 이를 테면, 종 방향으로 이웃하는 한 쌍의 임시 격벽(15) 사이의 거리가 멀어질수록 주수 공간(14)의 크기는 커질 수 있고, 한 쌍의 임시 격벽(15) 사이의 거리가 가까워질 수록 주수 공간(14)의 크기는 작아질 수 있다. 작업자는 시공 공정에 따라 일거에 배치되는 거푸집 개수(단위 그룹)를 고려하여 주수 공간(14)의 크기를 설정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임시 격벽(15)의 배치 위치를 설정하여 해당 위치의 거푸집(1)마다 임시 격벽(15)을 설치하고 주수 공간(14)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도 6을 참조하면, 내측 벽체부(13)는 본 거푸집(1)과 횡 방향에 대하여 간격을 두고 대향하는 대향 프리캐스트 모듈 거푸집(1)의 내측 벽체부(13)와의 사이에 매스 콘크리트의 적어도 일부가 1차 타설(99)되는 것을 고려하여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술한 바와 같이, 내측 벽체부(13)의 높이는 내측 벽체부(13)와 대향 내측 벽체부(13) 사이에 타설되는 매스 콘크리트의 1차 타설되는 높이를 고려하여 설정될 수 있다.
또한,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기초부(11)에는 내측 벽체부(13)보다 횡 방향 내측으로 내측 발굽부(113)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내측 발굽부(113)는 본 거푸집의 횡 방향 외측 방향으로의 전도를 방지하도록, 1차 타설 콘크리트(99)에 의해 덮인 상태에서 1차 타설 콘크리트(99)와 일체화되게 구비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내측 발굽부(113)에 의하면, 1차 타설 콘크리트(99)에 의한 하향 누름 하중이 내측 발굽부(113)에 작용될 수 있으므로, 본 거푸집(1)의 전도가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내측 벽체부(13)와 대향 내측 벽체부(13) 사이에 매스 콘크리트가 1차 타설(99)되면, 내측 발굽부(113)에 의해 본 거푸집(1)과 1차 타설 콘크리트(99)가 보다 안정적으로 일체화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내측 발굽부(113)는 콘크리트 1차 타설시 본 거푸집(1)과 1차 타설된 콘크리트(99)가 신속하게 일체화되게 하여 안정성을 확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도 2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거푸집(1)과 대상영역(9) 사이에는 레벨링 콘크리트층(8)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기초부(11)의 하면에는 전단키(112)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2 및 도 4를 참조하면, 레벨링 콘크리트층(8)의 상면에는 전단키(112)와 맞물리는 전단키 맞물림 홈(81)이 형성될 수 있다. 전단키(Shear key)(112)와 전단키 맞물림 홈(81)의 맞물림은 주수 공간(14) 내의 물(유체)의 무게와 함께 본 거푸집(1)의 횡 저항을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도 5를 참조하면, 기초부(11)에는 기초부(11)의 상측에서 기초부(11)의 하측으로 몰탈 또는 콘크리트를 주입할 수 있도록 주입구(113)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단키 맞물림 홈(81)은 본 거푸집(1)의 배치시 전단키(112)의 전단키 맞물림 홈(81)에 대한 삽입이 용이하도록 전단키(112) 대비 폭, 깊이 등이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본 거푸집(1)의 인양 및 거치시 발생될 수 있는 시공오차 등을 고려하여, 전단키 맞물림 홈(81)은 전단키(112) 대비 좀 더 여유있는 크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본 거푸집(1)은 전단키(112)가 전단키 맞물림 홈(81) 내에 배치되도록 레벨링 콘크리트층(8) 상에 구비될 수 있고, 이후 주입구(113)를 통해 몰탈 또는 콘크리트가 주입되면, 전단키 맞물림 홈(81)의 내면과 전단키(112)의 외면 사이의 빈 공간이 충진될 수 있다. 이러한 주입구(113)를 통한 충진에 의해, 시공오차, 제작오차 등을 고려함에 따라 발생될 수 있는 전단키(112)와 전단키 맞물림 홈(81) 사이의 유격 부분이 메꾸어질 수 있어, 전단키(112)의 ?嗔Η? 기능이 보다 충실하게 재현될 수 있다. 본 거푸집(1)은 레벨링 콘크리트층(8) 상에 거치되는 형태로 시공될 수 있고, 주입구(113)를 통해 몰탈 또는 콘크리트를 하향 주입함으로써, 레벨링 콘크리트층(8)의 상면 측에 형성된 전단키 맞물림 홈(81)과 전단키(112)의 맞물림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도 5를 참조하면, 외측 벽체부(12)의 종 방향 일면에는, 종 방향 타측으로 함몰되고 상하 방향을 따라 연장되되 상측이 상향 개구되는 일면 함몰 홈(123)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외측 벽체부(12) 또는 이웃 외측 벽체부(12)의 종 방향 타면에는 종 방향 일측으로 함몰되고 상하 방향을 따라 연장되되 상측이 상향 개구되는 타면 함몰 홈(123)이 형성될 수 있다. 타면 함몰 홈(123)과 일면 함몰 홈(123)은 서로 동일 내지 대응되는 구성일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일면 함몰 홈(123) 및 본 거푸집(1)과 종 방향 일측으로 이웃하는 이웃 본 거푸집(1)의 이웃 타면 함몰 홈(123) 각각에 맞물림 결합되는 연결부(17)에 의해, 본 거푸집(1)과 이웃 본 거푸집(1)은 연결될 수 있다.
참고로, 본 거푸집(1)은 거치와 동시에 이웃 본 거푸집(1)과 연결될 수 있다. 즉, 본 거푸집(1)에 의하면, 하나 이상의 본 거푸집(1)이 거치된 후, 임시 격벽(15)이 설치됨과 동시에 주수 공간(14)에 대한 주수가 이루어져 빠른 시간안에 본 거푸집(1)의 설치 및 본 거푸집(1)의 안정화가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을 참조하면, 연결부(17)는 일면 함몰 홈(123)과 이웃 타면 함몰 홈(123)이 서로 대향하게 배치되어 형성되는 사이 공간에 대한 몰탈 또는 콘크리트의 주입(17a)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7을 참조하면, 외측 벽체부(12)의 철근 구조체의 철근(129)은 일면 함몰 홈(123) 내로 돌출될 수 있는데, 철근(129)은 일면 함몰 홈(123)과 이웃 타면 함몰 홈(123) 사이에 주입되는 몰탈 또는 콘크리트(17a)에 대하여 스터드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도4,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연결부(17)는 종 방향으로의 타단부가 일면 함몰 홈(123)에 삽입되고, 종 방향으로의 일단부가 이웃 타면 함몰 홈(123)에 삽입되는 트랜지션 모듈일(17b)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트랜지션 모듈(17b)은 횡 방향으로 서로 어긋나게 배치되는 외측 벽체부(12)와 이웃 본 거푸집(1)의 이웃 외측 벽체부(12)를 일면 함몰 홈(123) 및 이웃 타면 함몰 홈(123) 각각에 대한 맞물림 결합을 통해 상호 연결하도록 외측 벽체부(12)와 이웃 외측 벽체부(12)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트랜지션 모듈(17b)은 외측 벽체부(12)와 이웃 외측 벽체부(12) 사이에 개재되는 외측 몸체부(173), 외측 몸체부(173)의 종 방향 일단으로부터 종 방향 타측으로 돌출되어 이웃 타면 함몰 홈(123)에 삽입되는 제1 삽입부(172), 외측 몸체부(173)의 종 방향 타단으로부터 종 방향 일측으로 돌출되어 일면 함몰 홈(123)에 삽입되는 제2 삽입부(171)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트랜지션 모듈(17b)은 몸체부(173)로부터 횡 방향 내측으로 돌출되어 본 거푸집(1)의 기초부(11)와 이웃 본 거푸집(1)의 기초부 (이웃 기초부)(11) 사이에 개재되는 기초 연결부(174)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트랜지션 모듈(17b)은 기초 연결부(174)로부터 상향 연장되어 내측 벽체부(13)와 이웃 내측 벽체부(13) 사이에 개재되는 내측 몸체부(175)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 되지 않았지만, 내측 벽체부(13)의 종 방향 일면에는, 종 방향 타측으로 함몰되고 상하 방향을 따라 연장되되 상측이 상향 개구되는 일면 함몰 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내측 벽체부(13) 또는 이웃 내측 벽체부(13)의 종 방향 타면에는 종 방향 일측으로 함몰되고 상하 방향을 따라 연장되되 상측이 상향 개구되는 타면 함몰 홈(123)이 형성될 수 있다(타면 함몰 홈(123)과 일면 함몰 홈(123)은 서로 동일 내지 대응되는 구성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트랜지션 모듈(17b)은 내측 몸체부(175)의 종 방향 일단으로부터 종 방향 타측으로 돌출되어 이웃 타면 함몰 홈에 삽입되는 제2 삽입부, 내측 몸체부(175)의 종 방향 타단으로부터 종 방향 일측으로 돌출되어 일면 함몰 홈에 삽입되는 제4 삽입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9를 참조하면, 본 거푸집(1)의 기초부(11)의 횡 방향 폭과 이웃 본 거푸집(1)의 이웃 기초부(11)의 횡 방향 폭이 서로 다를 수 있고, 이러한 경우, 외측 벽체부(12)와 이웃 외측 벽체부(12)(또는 내측 벽체부(11)와 이웃 내측 벽체부(11))는 횡 방향으로 서로 어긋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외측 벽체부(12)와 이웃 외측 벽체부(12)(또는 내측 벽체부(11)와 이웃 내측 벽체부(11))는 트랜지션 모듈(17b)에 의해 상호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도 2, 도 6 및 도 10을 참조하면, 본 거푸집(1)은 외측 벽체부(12)로부터 횡 방향 내측으로 돌출되어 외측 벽체부(12)의 내측에 구비되는 벽체 부착철근망(96)의 설치를 가이드하는 스터드 철물(122)을 포함할 수 있다. 벽체 부착철근망(96)은 스터드 철물(122)에 용접 고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벽체 부착철근망(96)은 콘크리트에 의해 본 거푸집(1)과 일체화되기 전에 가고정될 수 있다. 또한, 스터드 철물(122)은 균열제어를 도울 수 있다.
또한, 외측 벽체부(12)의 내면, 내측 벽체부(12)의 내면 또는 외면, 기초부(11)의 상면에는 타설되는 콘크리트와 본 거푸집(1)의 부착을 돕는 요철 홈 또는 스터드 철근이 형성될 수 있다.
종래의 강재거푸집과 동바리 공법을 이용하여 형장타설하는 공법은, 시공시 거푸집, 비계, 동바리 등 발생되는 폐자재가 많았고, 강재 거푸집 해체 작업 난이도가 높으며, 안전 사고 발생 확률이 높을 수 있었다. 또한, 해상 작업에 따른 철근 등의 자재 운반비가 과다했고, 가설재(거푸집, 동바리, 비계 등)가 파랑에 취약한 측면이 있엇으며, 기상 여견에 따른 공기 지연 발생 우려가 컸고, 고질적인 안전 사고가 발생할 수 있었다.
반면에, 본 거푸집(1)을 이용한 시공 공법에 의하면, 공장 등에서 사전 제작된 본 거푸집을 현장조립하여 매스 콘크리트 구체 시공할 수 있으므로, 우수한 품질이 확보될 수 있고, 단위 블록 조립으로 획기적 공기 단축 및 순차 시공이 가능하며, 공기 단축에 따른 해상 공사비 절감이 가능하고, 시공시 거푸집, 비계, 동바리 등의 폐자재 발생이 없으며, 가설재 사용이 거의 없으며 중량의 콘크리트로 이루어진 본 거푸집(1) 사용으로 인해 파랑에 유리할 수 있고, 거푸집 인력시공 대체공법으로 안전사고 위험이 배제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에 따르면, 주수 공간(14)에 물이 수용되어 물의 하중이 본 거푸집(1)에 작용되므로 본 거푸집(1)과 대향 본 거푸집(1) 사이에 장비 주행로, 작업 공간 등이 확보되며, 전도에 대한 안정성 산정이 용이할 수 있으며, 본 거푸집(1)의 전도, 밀리는 현상 등이 용이하게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본 거푸집(1)은 1차 콘크리트 타설(99)에 의해 1차 타설된 콘크리트(99)와 일체화된 이후에는 임시 격벽(15) 제거, 배수 홀(116) 등을 통해 주수 공간(14) 내의 물이 용이하게 배수될 수 있다. 또한, 본 거푸집(1)은 주수 공간(14)을 포함함으로써, 철근망(이를 테면, 벽체 부착 철근망(96)) 시공이 용이한 단면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거푸집(1)에 의하면, 매스 콘크리트 구체 시공 작업의 직접 공사비 절감이 이루어질 수 있고, 일괄시공이 이루어질 수 있어, 해상 작업일 축소, 공기 단축이 용이하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도 방지 프리캐스트 모듈 거푸집(1)을 이용한 매스 콘크리트 구체 시공 방법(이하 '본 시공 방법'이라 함)에 관해 설명한다. 다만, 본 시공 방법은 전술한 본 거푸집(1)을 이용하는 것으로서, 본 거푸집(1)과 동일하거나 상응하는 기술적 특징 및 구성을 공유한다. 따라서, 본 거푸집(1)에서 설명한 내용과 중복되는 설명은 간략히 하거나 생략하며, 동일 내지 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먼저, 본 시공 방법에 의하면 후술하는 제1 단계 이전에 다음과 같은 작업이 수행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대상영역(9)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도 12를 참조하면, 대상영역(9)에 크레인 장비의 주행로(95)가 형성될 수 있다. 주행로(95)는 대상영역(9)의 중앙부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13을 참조하면, 레벨링 콘크리트층(8)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레벨링 콘크리트층(8)의 상면에는 전단키 맞물림 홈(81)이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1 단계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시공 방법은 대상영역(9)의 횡 방향 양 외측부 각각의 상측에 전술한 본 거푸집(1)을 대상영역(9)의 종 방향을 따라 하나 이상 배치하고, 주수 공간에 대해 급수하는 단계(제1 단계)를 포함한다.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면, 제1 단계는, 대상영역(9)의 횡 방향 외측부 상에 본 거푸집(1)을 대상영역(9)의 종 방향을 따라 하나 이상 배치하는 단계(제1-1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행로(95)를 따라 주행하는 크레인에 의해 본 거푸집(1)이 거치될 수 있다. 또한, 제1-1 단계는 대상영역(9)의 횡 방향 양 외측부에 대해 본 거푸집(1)을 거치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1-1 단계는 본 거푸집(1) 하나 이상 및 대향 본 거푸집(1) 하나 이상을 거치할 수 있다. 또한, 제1-1 단계는 본 거푸집(1)을 거치하고, 선 배치된 이웃 본 거푸집(1)과 본 거푸집(1)을 일체화 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1 단계는, 본 거푸집(1)이 거치되면, 선 배치된 이웃 본 거푸집(1)과의 사이에 연결부(17)를 형성하고 주입구(113)를 통해 몰탈 또는 콘크리트를 본 거푸집(1)의 하측에 주입할 수 있다. 참고로, 연결부(17)가 몰탈 또는 콘크리트 주입에 의해 형성되는 경우, 제1-1 단계는 본 거푸집(1)을 거치한 후, 선 배치된 이웃 본 거푸집(1)과의 사이에 몰탈 또는 콘크리트를 주입하여 연결부(17)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연결부(17)가 트랜지션 모듈(17b)인 경우, 제1-1 단계는 트랜지션 모듈(17b)을 선 배치된 이웃 본 거푸집(1)과 맞물림 결합시키며 배치하고, 이후, 본 거푸집(1)을 트랜지션 모듈(17b)에 맞물림 결합시키며 배치할 수 있다. 또는, 제1-1 단계는, 트랜지션 모듈(17b)을 선 배치하고, 본 거푸집(1) 또는 이웃 본 거푸집(1) 중 하나를 트랜지션 모듈(17b)에 맞물림 결합시키며 배치하고, 다른 하나를 트랜지션 모듈(17b)에 맞물림 결합시키며 배치할 수 있다. 이외 에도, 제1-1 단계는 시공 여건에 따라 본원에 기재되지 않은 다양한 형태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도 16을 참조하면, 제1 단계는, 주수 공간(14)이 종방향 일측 또는 타측으로 분할되도록, 외측 벽체부(12)와 내측 벽체부(13)에 대하여 탈거 가능하게 설치되는 임시 격벽을 하나 이상의 본 거푸집(1) 중 종 방향 일측에 위치하는 본 거푸집(1) 및 종 방향 타측에 위치하는 본 거푸집(1) 각각에 설치하고, 도 17을 참조하면, 주수 공간(14)에 급수하는 단계(제1-2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제1-1 단계에서 하나 이상의 본 거푸집(1)이 배치되면, 하나 이상의 본 거푸집 중, 주수 공간(14)에 급수되는 물에 의해 전도가 방지되어야 하는 하나 이상의 본 거푸집(1)이 있을 수 있고, 제1-2 단계는, 주수 공간(14)에 급수되는 물에 의해 전도가 방지되어야 하는 하나 이상의 본 거푸집(1) 중 종 방향 일측에 위치하는 본 거푸집(1) 및 종 방향 타측에 위치하는 본 거푸집(1) 각각에 임시 격벽(15)을 설치하고 종 방향으로 폐쇄되는 주수 공간(14)에 급수할 수 있다.
제1-2 단계는 2-3개 이상의 본 거푸집(1)이 거치 완료되면 즉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제1 단계는, 제1-2 단계 이후에, 제1-1 단계 및 제1-2 단계를 반복하는 단계(제1-3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1 단계에서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본 거푸집(1)과 종 방향으로 이웃하게 하나 이상의 본 거푸집(1)이 추가로 배치되고, 추가로 배치되는 본 거푸집(1)의 전도가 방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1 단계는, 2-3개 이상의 본 거푸집(1)을 거치할 수 있고, 제1-2 단계는 제1-1 단계에서 거치된 2-3개 이상의 본 거푸집(1)의 주수 공간(14)에 주수할 수 있다. 이후, 제1-3 단계는, 제1-1 단계에 거치된 2-3개 이상의 본 거푸집(1)과 종 방향으로 이웃하게 2-3 개 이상의 본 거푸집(1)을 거치하고, 거치된 2-3개 이상의 본 거푸집(1)의 주수 공간(14)에 주수할 수 있다.
또한, 도 18 및 도 19를 참조하면, 제1 단계는, 제1-1 단계 내지 제1-3 단계를 대상영역(9)의 횡 방향 양 외측부에 대해 수행할 수 있다. 참고로, 본원의 도면에는, 제1 단계가 대상영역(9)의 횡 방향 양 외측부 중 하나에 대해 수행하고, 이후 대상영역(9)의 횡 방향 양 외측부 중 다른 하나에 대해 수행되는 것이 도시되었으나, 제1 단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제1 단계는, 대상영역(9)의 횡 방향 양 외측부에 동시에 수행될 수 있다.
제1 단계에 의하면, 본 거푸집(1)은 거치와 동시에 이웃 본 거푸집(1)과 연결될 수 있다. 즉, 본 거푸집(1)에 의하면, 하나 이상의 본 거푸집(1)이 거치된 후, 임시 격벽(15)이 설치됨과 동시에 주수 공간(14)에 대한 주수가 이루어져 빠른 시간안에 본 거푸집(1)의 설치 및 본 거푸집(1)의 안정화가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도 20을 참조하면, 본 시공 방법은 대상영역(9)의 횡 방향 외측부 상에 배치되는 본 거푸집(1)의 내측 벽부와 본 거푸집(1)과 횡 방향에 대하여 간격을 두고 대향하는 대향 본 거푸집(1)의 내측 벽부(13) 사이에 콘크리트(99)를 1차 타설(중앙부 1차 콘크리트 타설)하는 단계(제2 단계)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1차 타설되는 콘크리트(99)에 의해 거치된 본 거푸집(1)은 신속하게 안정화될 수 있다.
또한, 도 6을 참조하면, 본 시공 방법은 주수 공간(14)에 대한 배수 작업을 실시하는 단계(제3 단계)를 포함한다.
제3 단계는, 제1 단계에서 배치되는 본 거푸집(1) 중 종 방향 일측에 위치하는 본 거푸집(1)에 설치되는 임시 격벽(15) 또는 종 방향 타측에 위치하는 본 거푸집(1)에 설치되는 임시 격벽(15)을 제거하여 주수 공간(14)에 대한 배수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3 단계는 전술한 배수홀(116)을 통해 주수 공간(14)에 대한 배수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3 단계는 1차 타설(제2 단계) 후, 임시 격벽(15) 해체로 주수 공간(14) 내의 대량의 물을 짧은 시간에 배수 완료하여 다음 공정을 대비할 수 있고, 잔여하는 물은 단면 방향 배수 홀(116)과 구배를 이용하여 남김없이 배수할 수 있다.
또한, 본 시공 방법은, 본 거푸집(1)의 외측 벽체부(12)와 대향 본 거푸집(1)의 외측 벽체부(12) 사이에 철근망을 배치하고 콘크리트를 후속 타설하는 단계(제4 단계)를 포함한다.
도 10을 참조하면, 제4 단계는, 주수 공간(14)에 일부가 삽입되는 형태로 벽체 부착철근망(96)을 배치하고 주수 공간(14)에 대응하여 콘크리트를 2차 타설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참고로, 본원에 의하면, 1차 타설이 이루어지는 공간과 벽체 부착철근망(96)이 배치되는 공간(주수 공간(14)이 내부 벽체부(113)에 의해 분리될 수 있으므로, 1차 타설과 벽체 부착철근망(96)의 간섭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1차 타설 이후의 다음 시공이 용이할 수 있다.
또한, 도 10을 참조하면, 제4 단계는, 표면 철근망(97)이 배치될 벽체 상측 공간을 제외하고 콘크리트를 3차 타설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10을 참조하면, 제4 단계는 표면 철근망(97)을 배치하고 콘크리트를 4차 타설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원은 상술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도 방지 프리캐스트 모듈 거푸집을 이용한 매스 콘크리트 구체 시공 방법에 의해 시공(제조)된 매스 콘크리트 구조체를 제공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스 콘크리트 구조체는 방파제 등의 역할을 수행하는 케이슨 또는 이러한 케이슨에 포함되는 상치 콘크리트부일 수 있다. 다만, 상기 매스 콘크리트 구조체는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예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스 콘크리트 구조체는 호안/안벽 조성이나 차수벽 조성을 위한 구조체일 수 있다. 즉,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스 콘크리트 구조체는 케이슨 구조, 호안 구조, 안벽 구조, 차수벽 구조 등의 다양한 매시브한 콘크리트 구조에 포함되는 구조체일 수 있다.
전술한 본원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원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원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원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전도 방지 프리캐스트 모듈 거푸집
11: 기초부
112: 전단키
113: 주입구
116: 배수 홀
12: 외측 벽체부
121: 외측 가이드 홈
122: 스터드 철물
123: 일면 함몰 홈
13: 내측 벽체부
131: 내측 가이드 홈
14: 주수 공간
15: 임시 격벽
17: 연결부
8: 레벨링 콘크리트층
81: 전단키 맞물림 홈
9: 대상영역
91: 덮개

Claims (11)

  1. 매스 콘크리트가 타설되는 대상영역의 횡 방향 외측부 상에 배치되는 프리캐스트 모듈 거푸집으로서,
    상기 대상영역의 종 방향으로 연장되는 기초부;
    상기 대상영역에 대한 매스 콘크리트의 타설에 대응하여 횡 방향 외측의 거푸집 역할을 수행하도록, 상기 기초부의 횡 방향 외측으로부터 상향 연장 형성되는 외측 벽체부; 및
    상기 외측 벽체부와의 사이에 물을 수용하는 주수 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기초부의 횡 방향 내측으로부터 상향 연장 형성되는 내측 벽체부를 포함하되,
    상기 프리캐스트 모듈 거푸집은, 상기 주수 공간에 수용되는 물에 의해 전도가 방지되도록 구비되는 것인, 전도 방지 프리캐스트 모듈 거푸집.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수 공간을 종 방향 일측 및 타측으로 분할하도록 상기 주수 공간을 횡 방향으로 가로지르게 배치되되, 상기 외측 벽체부와 상기 내측 벽체부에 대하여 탈거 가능하게 설치되는 임시 격벽을 더 포함하고,
    상기 임시 격벽은, 종 방향으로 이웃하는 이웃 임시 격벽과의 사이에 물이 수용될 수 있도록 구비 및 설치되는 것인, 전도 방지 프리캐스트 모듈 거푸집.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임시 격벽은,
    상기 주수 공간에 대한 급수 작업시 설치되고,
    상기 주수 공간에 대한 배수 작업시 제거되는 것인, 전도 방지 프리캐스트 모듈 거푸집.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벽체부 및 상기 기초부 중 적어도 일부에는, 상기 주수 공간에 수용된 물을 상기 외측 벽체부의 횡 방향 외측으로 배수 가능하도록 배수홀이 형성되는 것인, 전도 방지 프리캐스트 모듈 거푸집.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벽체부의 내면에는 상기 임시 격벽의 외측 단부가 맞물리는 외측 가이드 홈이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내측 벽체부의 외면에는 상기 임시 격벽의 내측 단부가 맞물리는 내측 가이드 홈이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외측 가이드 홈 및 상기 내측 가이드 홈은, 상기 임시 격벽이 그 상측으로부터 하향 이동하여 진입 가능하도록 상단이 개구되고, 진입한 임시 격벽의 상하 방향 이동을 가이드하도록 형성되는 것인, 전도 방지 프리캐스트 모듈 거푸집.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벽체부는, 상기 프리캐스트 모듈 거푸집과 횡 방향에 대하여 간격을 두고 대향하는 대향 프리캐스트 모듈 거푸집의 내측 벽체부와의 사이에 상기 매스 콘크리트의 적어도 일부가 1차 타설되는 것을 고려하여 구비되고,
    상기 기초부에는, 상기 내측 벽체부보다 횡 방향 내측으로 내측 발굽부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내측 발급부는, 상기 프리캐스트 모듈 거푸집의 횡 방향 외측 방향으로의 전도를 방지하도록, 1차 타설 콘크리트에 의해 덮인 상태에서 상기 1차 타설 콘크리트와 일체화되게 구비되는 것인, 전도 방지 프리캐스트 모듈 거푸집.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벽체부의 종 방향 일면에는, 종 방향 타측으로 함몰되고 상하 방향을 따라 연장되되 상측이 상향 개구되는 일면 함몰 홈이 형성되고,
    상기 일면 함몰 홈, 및 상기 프리캐스트 모듈 거푸집과 종 방향 일측으로 이웃하는 이웃 프리캐스트 모듈 거푸집의 이웃 타면 함몰 홈 각각에 맞물림 결합되는 연결부에 의해, 상기 프리캐스트 모듈 거푸집과 상기 이웃 프리캐스트 모듈 거푸집이 연결되는 것인, 전도 방지 프리캐스트 모듈 거푸집.
  8. 제1항에 따른 전도 방지 프리캐스트 모듈 거푸집을 이용한 매스 콘크리트 구체 시공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대상영역의 횡 방향 양 외측부 각각의 상측에 상기 프리캐스트 모듈 거푸집을 상기 대상영역의 종 방향을 따라 하나 이상 배치하고, 상기 주수 공간에 대해 급수하는 단계;
    (b) 상기 대상영역의 횡 방향 외측부의 상에 배치되는 상기 프리캐스트 모듈 거푸집의 상기 내측 벽부와 상기 프리캐스트 모듈 거푸집과 횡 방향에 대하여 간격을 두고 대향하는 대향 프리캐스트 모듈 거푸집의 상기 내측 벽부 사이에 콘크리트를 1차 타설하는 단계;
    (c) 상기 주수 공간에 대한 배수 작업을 실시하는 단계;
    (d) 상기 프리캐스트 모듈 거푸집의 상기 외측 벽체부와 상기 대향 프리캐스트 모듈 거푸집의 외측 벽체부 사이에 철근망을 배치하고 콘크리트를 후속 타설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매스 콘크리트 구체 시공 방법.
  9.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a1) 상기 대상영역의 횡 방향 외측부 상에 상기 프리캐스트 모듈 거푸집을 상기 대상영역의 종 방향을 따라 하나 이상 배치하는 단계;
    (a2) 상기 주수 공간이 종방향 일측 또는 타측으로 분할되도록, 상기 외측 벽체부와 상기 내측 벽체부에 대하여 탈거 가능하게 설치되는 임시 격벽을 상기 하나 이상의 프리캐스트 모듈 거푸집 중 종 방향 일측에 위치하는 프리캐스트 모듈 거푸집 및 종 방향 타측에 위치하는 프리캐스트 모듈 거푸집 각각에 설치하고, 상기 주수 공간에 급수하는 단계; 및
    (a3) 상기 (a1) 단계와 상기 (a2) 단계를 반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c) 단계는, 상기 (a) 단계에서 배치되는 상기 프리캐스트 모듈 거푸집 중 종 방향 일측에 위치하는 프리캐스트 모듈 거푸집에 설치되는 임시 격벽 또는 종 방향 타측에 위치하는 프리캐스트 모듈 거푸집에 설치되는 임시 격벽을 제거하여 상기 주수 공간에 대한 배수 작업을 수행하는 것인, 매스 콘크리트 구체 시공 방법.
  10.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는,
    (d1) 상기 주수 공간에 일부가 삽입되는 형태로 벽체 부착철근망을 배치하고 상기 주수 공간에 대응하여 콘크리트를 2차 타설하는 단계;
    (d2) 표면 철근망이 배치될 벽체 상측 공간을 제외하고 콘크리트를 3차 타설하는 단계; 및
    (d3) 상기 표면 철근망을 배치하고 콘크리트를 4차 타설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매스 콘크리트 구체 시공 방법.
  11. 제8항에 따른 매스 콘크리트 구체 시공 방법에 의해 시공된 매스 콘크리트 구조체.
KR1020200022812A 2020-02-25 2020-02-25 전도 방지 프리캐스트 모듈 거푸집 및 이를 이용한 매스 콘크리트 구체 시공 방법 KR1023661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2812A KR102366158B1 (ko) 2020-02-25 2020-02-25 전도 방지 프리캐스트 모듈 거푸집 및 이를 이용한 매스 콘크리트 구체 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2812A KR102366158B1 (ko) 2020-02-25 2020-02-25 전도 방지 프리캐스트 모듈 거푸집 및 이를 이용한 매스 콘크리트 구체 시공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8068A true KR20210108068A (ko) 2021-09-02
KR102366158B1 KR102366158B1 (ko) 2022-02-21

Family

ID=777942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2812A KR102366158B1 (ko) 2020-02-25 2020-02-25 전도 방지 프리캐스트 모듈 거푸집 및 이를 이용한 매스 콘크리트 구체 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615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55135A (ja) * 2003-11-25 2005-06-16 Hokukon Co Ltd 擁壁の構築工法及び擁壁ユニット
KR100785908B1 (ko) * 2007-07-13 2007-12-17 이형훈 경사 지지부재를 이용한 옹벽 및 옹벽시공방법
KR101571056B1 (ko) * 2014-12-24 2015-11-23 현대건설 주식회사 케이슨 구조물의 상부 구조물 시공방법
KR20150138771A (ko) * 2014-06-02 2015-12-10 정창현 이중벽체형 저수옹벽 및 그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55135A (ja) * 2003-11-25 2005-06-16 Hokukon Co Ltd 擁壁の構築工法及び擁壁ユニット
KR100785908B1 (ko) * 2007-07-13 2007-12-17 이형훈 경사 지지부재를 이용한 옹벽 및 옹벽시공방법
KR20150138771A (ko) * 2014-06-02 2015-12-10 정창현 이중벽체형 저수옹벽 및 그 시공방법
KR101571056B1 (ko) * 2014-12-24 2015-11-23 현대건설 주식회사 케이슨 구조물의 상부 구조물 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66158B1 (ko) 2022-0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60340855A1 (en) Modular construction mold apparatus and method for constructing concrete buildings and structures
US4982544A (en) Module and method for constructing sealing load-bearing retaining wall
WO2012096639A1 (en) Modular construction mold apparatus and method for constructing concrete buildings and structures
CN210127485U (zh) 一种混凝土吸力式沉箱基础与薄壁墩柱连接结构
CN113481944B (zh) 一种大坝表孔连接大梁支撑结构的施工方法
KR102366158B1 (ko) 전도 방지 프리캐스트 모듈 거푸집 및 이를 이용한 매스 콘크리트 구체 시공 방법
KR100562686B1 (ko) 강널말뚝과 현장타설 콘크리트를 이용한 지하 구조체 및그의 시공방법
KR100422216B1 (ko) 교량의 우물통 기초의 지수막이 그라우팅 공법
CN214272076U (zh) 一种格构梁
CN211973398U (zh) 一种组合式拦砂坝
CN210887256U (zh) 挡水围堰平直组合板桩地连墙式框架
CN113235645A (zh) 一种塔吊基础预留插筋装配式胎模施工方法
CN114075830A (zh) 预制混凝土的锁扣件及支护组件
KR101384750B1 (ko) 친환경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중간벽체 구조물
JP3399924B2 (ja) 護岸法覆構造
CN203049893U (zh) 一种节模现浇预制件
CN214301864U (zh) 一种集水坑与后浇带碰撞节点
CN218436906U (zh) 一种水下浇筑固床拦砂坝结构
CN220768145U (zh) 一种预制地基梁及预制基础
CN116575496B (zh) 一种桥梁全预制桩基承台连接结构和施工方法
JP7416438B2 (ja) 浸水防止壁、浸水防止壁の構築方法及び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製の壁体
KR101190129B1 (ko) 경사지에 설치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암거 박스의 조립식 낙차부 접속구
CN215925951U (zh) 一种支护用预制桩
CN218466561U (zh) 一种装配式边坡防护结构
JP7480069B2 (ja) 既設護岸の補強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