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08048A - 원심 분리 용기 - Google Patents

원심 분리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08048A
KR20210108048A KR1020200022760A KR20200022760A KR20210108048A KR 20210108048 A KR20210108048 A KR 20210108048A KR 1020200022760 A KR1020200022760 A KR 1020200022760A KR 20200022760 A KR20200022760 A KR 20200022760A KR 20210108048 A KR20210108048 A KR 202101080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w path
connection
centrifugal separation
separation vessel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27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동기
강기훈
홍찬우
Original Assignee
(주)시지바이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시지바이오 filed Critical (주)시지바이오
Priority to KR10202000227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08048A/ko
Priority to PCT/KR2020/002742 priority patent/WO2021172616A1/ko
Publication of KR202101080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804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BCENTRIFUGES
    • B04B7/00Elements of centrifuges
    • B04B7/08Rotary bow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BCENTRIFUGES
    • B04B11/00Feeding, charging, or discharging bowls
    • B04B11/02Continuous feeding or discharging; Control arrangement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BCENTRIFUGES
    • B04B7/00Elements of centrifuges
    • B04B7/02Casings; Lids

Landscapes

  • Centrifugal Separators (AREA)

Abstract

원심 분리 용기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심 분리 용기는, 원심 분리기에 고정 장착될 수 있으며, 제 1 연결관과 제 2 연결관을 구비하는 연결부; 상기 원심 분리기에 장착되어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고, 내부에 수용 공간을 구비하며 상기 연결부의 하부에 배치되는 몸체부; 상기 제 1 연결관과 연결되는 제 1 유로체와, 상기 제 2 연결관과 연결되는 제 2 유로체를 구비하고 상기 수용 공간에 배치되는 유로부 및 상기 제 1 연결관 및 제 2 연결관이 관통 배치되는 개구를 구비하고, 상기 수용 공간의 상부를 덮으며 상기 몸체부에 결합되는 덮개부를 포함하고, 상기 원심 분리기의 작동 시, 상기 연결부 및 상기 유로부는 회전하지 않고, 상기 몸체부와 상기 덮개부는 상기 연결부와 비접촉 상태에서 일체로 회전한다.

Description

원심 분리 용기{CENTRIFUGING VESSEL}
본 발명은 원심 분리 용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원심 분리 장치에 장착되어 일부 구성이 회전하며 대상 물질의 성분을 분리하는 원심 분리 용기에 관한 것이다.
대상 물질로부터 특정 성분을 분리하여 얻어내고자 할 때 원심 분리 방식이 많이 사용된다. 예를 들면, 원심 분리를 통해 지방 조직으로부터 SVF(기질혈관획분, stromal vascular fraction)를 분리하여 미용 용도 또는 치료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원심 분리기에 장착되어 사용되는 원심 분리 용기는 회전하는 구성과 회전하지 않고 고정되는 구성을 포함한다. 종래 원심 분리 용기의 경우, 대상 물질이 수용되는 용기 몸체는 원심 분리기에 장착되어 회전하는 반면, 용기 몸체와 연통된 배관들은 회전하지 않도록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에 따라 회전하는 구성과 회전하지 않는 구성 사이의 접촉식 연결을 위한 베어링 등의 사용이 요구된다. 이로 인하여 용기 몸체의 회전 시 마찰과 열이 발생한다. 또한, 원심 분리 과정에서 원심 몸체에 진동이 가해지면서 원심 분리된 층이 다시 혼합되어 분리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한편, 종래의 원심 분리 용기는 용기 몸체 내에 배치되는 유로 구조체의 형상 등의 문제로 인하여 폐기물을 배출하는 과정에서 수집 대상이 되는 성분이 함께 배출되거나 이와 반대로 수집 대상 성분의 배출 과정에서 수집 대상 성분이 배출되지 못하고 용기 몸체 내에 잔존하기도 한다. 이로 인하여 대상 물질로부터 분리하여 수집하고자 하는 성분의 수득률이 저하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한다.
한국등록특허 제1736374호 "원심 분리기용 용기 및 이를 이용한 SVF 분리 방법"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회전하는 구성과 회전하지 않는 구성이 비접촉식으로 연결되어 원심 분리 시 진동이 감소됨으로써 분리 효율이 향상된 원심 분리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밀폐 없이 비접촉 회전이 이루어지더라도 분리 대상 물질과 첨가물 등의 외부 유출을 효과적으로 차단하는 원심 분리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대상 물질의 원심 분리를 통해 얻어지는 수집 대상 성분의 수득 효율이 높은 원심 분리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원심 분리기에 고정 장착될 수 있으며, 제 1 연결관과 제 2 연결관을 구비하는 연결부; 상기 원심 분리기에 장착되어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고, 내부에 수용 공간을 구비하며 상기 연결부의 하부에 배치되는 몸체부; 상기 제 1 연결관과 연결되는 제 1 유로체와, 상기 제 2 연결관과 연결되는 제 2 유로체를 구비하고 상기 수용 공간에 배치되는 유로부 및 상기 제 1 연결관 및 제 2 연결관이 관통 배치되는 개구를 구비하고, 상기 수용 공간의 상부를 덮으며 상기 몸체부에 결합되는 덮개부를 포함하고, 상기 원심 분리기의 작동 시, 상기 연결부 및 상기 유로부는 회전하지 않고, 상기 몸체부와 상기 덮개부는 상기 연결부와 비접촉 상태에서 일체로 회전하는 원심 분리 용기가 제공된다.
이때, 상기 제 1 연결관은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 2 연결관은 상기 제 1 연결관의 방사상 외측 영역에 독립적으로 형성되되, 상기 제 1 연결관의 상측 단부는 수직 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제 2 연결관의 상측 단부는 수직 방향과 90도 미만의 각도를 이루며 경사져 돌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유로체는 상기 제 1 연결관의 하부에 수직 방향으로 연결되는 관형 부재로 이루어지고, 그 하부 외주면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관통홀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유로체는 상기 제 2 연결관의 하부에 방사상으로 형성되되 내부에 상기 수용 공간과 상기 제 2 연결관을 유체 연통시키는 하나 이상의 유로를 구비하는 디스크 형상의 플레이트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유로체의 상면은 방사상 말단 측으로 하방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유로체는 상하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하나 이상의 관통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덮개부는 상부에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여 상기 개구의 주변을 원형으로 둘러싸며 상부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덮개부 벽체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부는 하부에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여 상기 덮개부 벽체의 주변을 원형으로 둘러싸도록 하부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연결부 벽체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덮개부 벽체는 상기 회전축을 동심으로 하여 상이한 반경으로 2 이상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부 벽체는 인접한 덮개부 벽체 사이의 공간에 삽입되어 내측에 배치된 덮개부 벽체를 둘러싸도록 2 이상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원심 분리기의 작동 시, 일체를 이루어 회전하는 몸체부 및 덮개부가 회전하지 않는 연결부와 비접촉 상태로 연결될 수 있어 진동이 저감되므로 진동으로 인하여 원심 분리 과정에서 원심 분리된 층이 다시 섞이는 것이 방지되어 높은 분리 효율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밀폐 없이 비접촉 회전이 이루어지더라도 덮개부 및 연결부에 구비된 벽체를 통해 분리 대상 물질과 첨가물 등의 외부 유출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연결부와 유로부의 개선된 구조를 통해 수집 대상 성분의 수득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심 분리 용기의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심 분리 용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심 분리 용기를 수직 방향으로 자른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심 분리 용기의 일부를 절개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심 분리 용기의 사용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도면에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설명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과의 상관 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전방", "후방", "상부" 또는 "하부"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들은 도면 상 도시된 것을 기준으로 정하여진 상대적인 용어들로서 배향에 따라 위치 관계는 반대로 해석될 수도 있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의 "전방", "후방", "상부" 또는 "하부"에 있다는 것은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와 바로 접하여 "전방", "후방", "상부" 또는 "하부"에 배치되는 것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배치되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와 "연결"되어 있다는 것은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서로 직접 연결되는 것뿐만 아니라 간접적으로 서로 연결되는 경우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심 분리 용기의 사시도이다. 또한,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심 분리 용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한편,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심 분리 용기를 수직 방향으로 자른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심 분리 용기의 일부를 절개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심 분리 용기(1)는 원심 분리기(미도시)에 장착되어 사용된다. 원심 분리기는, 회전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 분리 대상 물질과 각종 첨가물, 분리된 물질 또는 폐기물 등을 수용할 수 있도록 원심 분리 용기와 연결되는 복수의 수용부,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동작 상황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원심 분리 용기(1)는 다양한 원심 분리기에 적용될 수 있으므로, 여기서 원심 분리기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심 분리 용기(1)는 연결부(100), 몸체부(200), 유로부(300) 및 덮개부(4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원심 분리기에 장착되어 원심 분리를 수행할 때, 회전축을 중심으로 일체를 이루어 회전하는 구성인 몸체부(200)와 덮개부(400)는 회전하지 않는 구성인 연결부(100) 등과 비첩촉식으로 연결된다. 이를 통해 회전 시 마찰이 작용하지 않게 되어, 원심 분리 과정에서 마찰, 소음 및 진동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그 결과 원심 분리의 효율이 극대화될 수 있다.
연결부(100)는 원심 분리기에 고정 장착되며, 원심 분리 용기(1)를 분리 대상 물질과 각종 첨가물, 분리된 물질 또는 폐기물 등을 수용하는 외부 구성과 연결시켜준다. 연결부(100)는 연결 몸체(110), 제 1 연결관(120), 제 2 연결관(130) 및 연결부 벽체(140)를 포함한다.
연결 몸체(110)는 디스크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연결 몸체(110)는 반경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하나 이상의 걸림턱(111)을 구비할 수 있다. 걸림턱(111)은 원심 분리 용기(1)가 원심 분리기에 장착될 때 걸리는 부분으로 원심 분리 용기(1)가 원심 분리기 내에서 정위치에 배치될 수 있도록 가이드한다. 예를 들면, 원심 분리기의 원심 분리 용기(1) 장착 부위에는 걸림턱(111)과 상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된 홈이 형성되어 있고, 홈에 걸림턱(111)이 삽입됨으로써 원심 분리 용기(1)가 정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제 1 연결관(120) 및 제 2 연결관(130)은 분리 대상 물질과 각종 첨가물, 분리된 물질 또는 폐기물 등을 수용하는 외부 구성과 몸체부(200)의 수용 공간(210) 사이에 유체 연통을 위한 유로를 제공한다. 제 1 연결관(120) 및 제 2 연결관(130)을 통해 분석 대상 물질 또는 첨가물이 수용 공간(210) 내로 주입되거나 분리 완료된 수집 대상 성분 또는 폐기물이 수용 공간(210)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 1 연결관(120)은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 2 연결관(130)은 제 1 연결관(120)의 방사상 외측 영역에 제 1 연결관(120)과 독립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더욱 상세하게, 제 1 연결관(120)은 상기 회전축 상에서 연결 몸체(110)의 중심을 수직 방향으로 관통하며 연결 몸체(110)의 하부로 돌출 연장되고, 제 2 연결관(130)은 제 1 연결관(120)을 감싸는 형태로 제 1 연결관(120)의 외측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 1 연결관(120)은 제 2 연결관(130)에 비하여 하부로 더 길게 돌출 연장되어 있다.
한편, 제 1 연결관(120)의 상측 단부는 수직 방향으로 돌출되고, 제 2 연결관(130)의 상측 단부는 수직 방향과 90도 미만의 각도를 이루며 경사지어 돌출되어 있다. 종래의 원심 분리 용기에서 연결관들은 그 상측 단부가 수평하게 형성되는 경우가 많았으며, 이로 인하여 연결관에 튜브를 연결할 때 공간 효율성이 떨어졌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할 경우 제 1 연결관(120) 및 제 2 연결관(130)에 튜브를 연결할 때 원심 분리 용기(1)의 반경 방향 외측 공간의 사용을 최소화할 수 있어 공간 효율성이 향상된다.
연결부 벽체(140)는 연결 몸체(110)의 하부에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여 하측으로 돌출 형성된다. 연결부 벽체(140)는 후술되는 덮개부 벽체(430)를 둘러싸도록 형성된다. 원심 분리기 작동 시 연결부(100)는 덮개부(400)와 비접촉하므로 연결부 벽체(140)와 덮개부 벽체(430)도 상호 접촉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심 분리 용기(1)는 원심 분리기 작동 시 연결부(100) 및 유로부(300)는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몸체부(200)와 덮개부(400)가 일체로 회전한다. 이때, 덮개부(400)의 개구(420)와 연결부(100) 사이에는 이격이 존재하게 되는데, 해당 이격을 통해 몸체부(200)의 수용 공간(210) 내부의 물질이 유출되어 원심 분리기로 유입될 위험이 있다. 연결부 벽체(140)는 덮개부 벽체(430)와 함께 이와 같은 위험을 차단한다.
연결부 벽체(140)는 2 이상의 동심원의 형태로 다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덮개부(400)는 상기 회전축을 동심으로 하여 상이한 반경으로 형성된 2 이상의 덮개부 벽체(430)를 구비할 수 있으며, 이에 대응되어 연결부 벽체(140)는 인접한 덮개부 벽체(430) 사이의 공간에 삽입되어 내측에 배치된 덮개부 벽체(430)를 둘러싸도록 2 이상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덮개부 벽체(430)는 상기 회전축을 동심으로 하여 상이한 3개의 반경으로 형성된 제 1 덮개부 벽체(430a), 제 2 덮개부 벽체(430b) 및 제 3 덮개부 벽체(430c)를 포함하고 있다. 이에 대응되어 연결부 벽체(140)는 제 1 덮개부 벽체(430a)와 제 2 덮개부 벽체(430b) 사이의 공간에 삽입되어 배치되는 제 1 연결부 벽체(140a) 및 제 2 덮개부 벽체(430b)와 제 3 덮개부 벽체(430c) 사이의 공간에 삽입되어 배치되는 제 2 연결부 벽체(140b)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다중 배치를 통해 원심 분리 과정에서 수용 공간(210) 내부의 물질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확실하게 차단할 수 있다.
몸체부(200)는 원심 분리기에 장착되어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고, 내부에 수용 공간(210)을 구비한다. 몸체부(200)는 연결부(100)의 하부에 배치된다. 몸체부(200)는 상기 회전축으로부터 방사상으로 회전 대칭을 이루며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몸체부(200)는 상광 하협의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몸체부(200)의 상단은 개방되어 있되, 개방된 부분은 덮개부(400)에 의해 커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몸체부(200)는 몸체 상부(201), 몸체 중간부(202) 및 몸체 하부(203)로 구분될 수 있다. 또한, 몸체부(200)는 하나 이상의 교반 부재(204)를 포함할 수 있다.
몸체 상부(201)는 내측에 수용 공간(210)의 상부를 형성하며, 덮개부(400)와 결합되는 부분이다. 원심 분리기의 동작 시 몸체 상부(201)에 의해 형성되는 수용 공간(210)의 상부에는 원심력에 의해 분리된 물질이 축적될 수 있다. 몸체 상부(201) 측에 축적된 물질은 원심 분리기의 회전이 멈추면 중력에 의해 하부로 유동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몸체 상부(201)는 방사상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 돌출부(201a)를 구비한다. 돌출부(201a)에 의해 수용 공간(210)의 상부에 방사상 외측으로 연장된 측부 수용 공간(211)이 형성될 수 있다. 측부 수용 공간(211)은 폐기물의 배출 시 수집 대상이 되는 성분이 머무를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여 수집 대상 성분의 수득률을 높이는 데에 도움을 줄 수 있다. 이때, 측부 수용 공간(211)은 방사상 전 방향(다시 말하면, 360도) 외측으로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몸체 중간부(202)는 몸체 상부(201)의 하부에 연결되어 수용 공간(210)의 중간 부분을 형성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몸체 중간부(202)는 그 하단이 상기 회전축을 향해 하방향 경사진 형태로 형성되어 분리 대상이 되는 물질이 몸체 하부(203)로 집중될 수 있게 해준다.
몸체 하부(203)는 몸체 중간부(202)의 하단의 중앙 부분에서 하부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으며, 수용 공간(210)의 하단을 형성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몸체 하부(203)는 몸체 상부(201) 및 몸체 중간부(202)에 비하여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어 있다. 몸체 하부(203)에 의해 형성되는 수용 공간(210)의 하단 부분에는 원심 분리된 물질의 축적이 이루어지게 된다.
교반 부재(204)는 몸체 중간부(202)의 하단 내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교반 부재(204)는 다수개가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교반 부재(204)는 상기 회전축을 향하는 열을 다수 개 이루도록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교반 부재(204)는 원심 분리 시 성분의 첨가물의 혼합 및 성분의 분리를 촉진한다.
유로부(300)는 연결부(100)의 제 1 연결관(120) 및 제 2 연결관(130)이 수용 공간(210)과 유체 연통될 수 있도록 유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유로부(300)는 제 1 연결관(120)과 연결되는 제 1 유로체(310)와, 제 2 연결관(130)과 연결되는 제 2 유로체(320)를 구비하고 수용 공간에 배치된다.
제 1 유로체(310)는 제 1 연결관(120)의 하부에 수직 방향으로 연결되는 관형 부재로 이루어진다. 제 1 유로체(310)의 상측 단부는 제 1 연결관(120)에 결합되고, 하측 단부는 몸체 하부(203)에 의해 형성되는 수용 공간(210)의 하단 부분에 배치된다. 제 1 유로체(310)는 이와 같이 수용 공간(210)과 제 1 연결관(120)을 유체 연통시켜 준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 1 유로체(310)는 그 하부 외주면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관통홀(311)을 포함한다. 원심 분리 대상이 되는 물질에 섬유질과 같은 이물질이 포함된 경우 제 1 유로체(310)의 하단이 이물질에 의해 막히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는데, 관통홀(311)은 제 1 유로체(310)의 하단이 막히는 경우에도 유체의 연통을 가능하게 해줌으로써 원심 분리 용기(1)의 정상적인 작동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해준다.
제 2 유로체(320)는 제 2 연결관(130)의 하부에 방사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제 2 유로체(320)는 내부에 수용 공간(210)과 제 2 연결관(130)을 유체 연통시키는 하나 이상의 유로(320a)를 구비하는 디스크 형상의 플레이트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 2 유로체(320)의 상면(320b)은 방사상 말단 측으로 하방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원심 분리기 작동 과정에서 몸체부(200)가 회전할 때, 분리 대상 물질이 제 2 유로체(320)의 상면에 위치될 수 있는데, 이와 같이 제 2 유로체(320)의 상면(320b)에 분리 대상 물질이 머무르게 되면 분리 대상 물질이 수집되지 않고 몸체부(200) 내에 잔존하게 되므로 수득률이 저하된다. 그러나 제 2 유로체(320)의 상면(320b)이 방사상 말단 측으로 하방향 경사지게 형성될 경우 분리 대상 물질이 제 2 유로체(320)의 상면(320b)에 위치되더라도 경사를 타고 유동하여 다시 수용 공간(210)의 하부로 낙하할 수 있게 되므로 이러한 문제가 해결될 수 있다.
위와 같은 관점에서, 제 2 유로체(320)는 상하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하나 이상의 관통부(321)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 2 유로체(320)의 방사상 말단 테두리(320c)는 하단이 상단보다 반경 방향 내측으로 테이퍼지게 형성될 수 있다(도 2 참조). 다시 말하면, 관통부(321)와 테이퍼 형상은 모두 원심 분리기의 작동 과정에서 제 2 유로체(320)의 상면으로 이동한 분리 대상 물질이 다시금 수용 공간(210)의 하부 부분으로 이동하도록 유도한다.
덮개부(400)는 몸체부(200)의 개방된 상단을 커버하며 몸체부(200)에 결합되어 몸체부(200)와 일체로 회전한다. 덮개부(400)는 덮개 몸체(410), 개구(420) 및 덮개부 벽체(430)를 포함한다.
덮개 몸체(410)는 디스크 형상으로 이루어져 몸체부(200)의 개방된 상단을 커버하며 결합된다. 덮개 몸체(410)는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대칭을 형성한다.
개구(420)는 제 1 연결관(120) 및 제 2 연결관(130)이 관통 배치되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개구(420)는 덮개 몸체(410)의 중심에 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개수(420)는 제 1 연결관(120) 및 제 2 연결관(130)과 접촉하지 않는 직경으로 형성되어, 몸체부(200)와 덮개부(400)가 회전 시 연결부(100)와 비접촉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해준다.
덮개부 벽체(430)는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여 개구(420)의 주변을 원형으로 둘러싸며 덮개 몸체(410)의 상부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개구(420)와 연결부(100) 사이 즉, 개구(420)와 제 1 연결관(120) 및 제 2 연결관(130)의 외주면 사이에는 이격이 존재하며, 원심 분리 수행 시 해당 이격을 통해 수용 공간(210) 내부의 물질이 외부로 유출될 수 있다. 앞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덮개부 벽체(430)는 연결부 벽체(140)와 더불어 이와 같은 위험을 차단하여 준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덮개부 벽체(430)는 상기 회전축을 동심으로 하여 상이한 3개의 반경으로 형성된 제 1 덮개부 벽체(430a), 제 2 덮개부 벽체(430b) 및 제 3 덮개부 벽체(430c)를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다중 배치를 통해 수용 공간(210) 내부의 물질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확실하게 차단할 수 있다.
도 6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심 분리 용기의 사용 과정이 나타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심 분리 용기(1)는 지방 조직으로부터 SVF(기질혈관획분, stromal vascular fraction)를 분리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그 과정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지방 조직이 제 1 연결관(120)을 통하여 몸체부(200) 내측으로 공급된다(도 6의 (a)). 다음으로, 세척액이 제 1 연결관(120)을 통하여 몸체부(200) 내측으로 공급되고 원심 분리기가 작동하여 회전 및 교반이 소정 시간 동안 이루어진다(도 6의 (b)).
회전 및 교반이 완료되면 세척된 지방 조직과 혈액 등을 포함하는 오염물이 각각 상부와 하부로 분리된다. 하부의 분리된 오염물은, 하부 수용 공간에 그 말단이 위치하는 제 1 유로체(310)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어 제거된다(도 6의 (c)).
이어서, 콜라게나아제와 같은 효소(분리 대상 물질에 따라 트립신, 디스파제 등의 다른 효소들도 사용될 수 있음 또한 지방 분해를 위한 효소의 공급없이 원심 분리가 진행되는 것도 가능함)가 공급되고 원심 분리기가 작동하여 회전 및 교반이 소정 시간 동안 이루어진다(도 6의 (d)). 회전 및 교반이 완료되면 효소에 의하여 소화된 지방 조직과 1차 수용액이 각각 방사상 내측과 외측으로 분리된다. 방사상 내측의 소화된 지방 조직은, 하부 수용 공간에 그 말단이 위치하는 제 2 유로체(320)의 유로(320a)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어 제거된다(도 6의 (e)).
남아 있는 1차 수용액에 세척액이 추가로 공급된 후 회전 및 교반이 소정 시간 동안 이루어진다(도 6의 (f) 및 (g)). 이에 따라, 2차 수용액과 SVF가 각각 방사상 내측과 외측으로 분리된다. 방사상 내측의 2차 수용액은, 상부 수용 공간에 그 말단이 위치하는 제 2 유로체(320)의 유로(320a)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어 제거된다(도 6의 (h)).
이에 따라 SVF만 상부 수용 공간의 측부 수용 공간(211)에 잔존하게 된다. SVF의 점착성으로 인하여 측부 수용 공간(211)에 위치하고 자중으로 하부로 내려오지는 않는 상태이다. 이에 따라, 제 1 연결관(120)을 통하여 세척액을 미량 공급한 후 상기 원심 분리기용 용기의 회전과 정지를 반복한다. 세척액은 회전에 의한 원심력으로 측부 수용 공간(211)에 널리 퍼지는데, 회전과 정지를 반복할 경우 세척액에 부가된 관성에 의하여 점착된 SVF를 몸체 하부(203)에 침전시킨다. 다음, 제 1 연결관(120)을 통하여, 몸체 하부(203)에 침전된 SVF가 추출되어 수집된다(도 6의 (i) 및 (j)).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심 분리 용기(1)의 사용 과정을 설명하였으나 이것은 다양한 사용예 중 하나를 예시한 것에 불과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심 분리 용기(1)는 지방 세포 외에도 단백질의 성분 분리 등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지방 세포의 분리도 위에서 설명한 방식과 다른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00: 연결부 200: 몸체부
300: 유로부 400: 덮개부

Claims (10)

  1. 원심 분리기에 고정 장착될 수 있으며, 제 1 연결관과 제 2 연결관을 구비하는 연결부;
    상기 원심 분리기에 장착되어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고, 내부에 수용 공간을 구비하며 상기 연결부의 하부에 배치되는 몸체부;
    상기 제 1 연결관과 연결되는 제 1 유로체와, 상기 제 2 연결관과 연결되는 제 2 유로체를 구비하고 상기 수용 공간에 배치되는 유로부 및
    상기 제 1 연결관 및 제 2 연결관이 관통 배치되는 개구를 구비하고, 상기 수용 공간의 상부를 덮으며 상기 몸체부에 결합되는 덮개부를 포함하고,
    상기 원심 분리기의 작동 시, 상기 연결부 및 상기 유로부는 회전하지 않고, 상기 몸체부와 상기 덮개부는 상기 연결부와 비접촉 상태에서 일체로 회전하는 원심 분리 용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연결관은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 2 연결관은 상기 제 1 연결관의 방사상 외측 영역에 독립적으로 형성되되, 상기 제 1 연결관의 상측 단부는 수직 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제 2 연결관의 상측 단부는 수직 방향과 90도 미만의 각도를 이루며 경사져 돌출되는 원심 분리 용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유로체는 상기 제 1 연결관의 하부에 수직 방향으로 연결되는 관형 부재로 이루어지고, 그 하부 외주면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관통홀을 포함하는 원심 분리 용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유로체는 상기 제 2 연결관의 하부에 방사상으로 형성되되 내부에 상기 수용 공간과 상기 제 2 연결관을 유체 연통시키는 하나 이상의 유로를 구비하는 디스크 형상의 플레이트로 이루어지는 원심 분리 용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유로체의 상면은 방사상 말단 측으로 하방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원심 분리 용기.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유로체는 상하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하나 이상의 관통부를 포함하는 원심 분리 용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는 상부에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여 상기 개구의 주변을 원형으로 둘러싸며 상부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덮개부 벽체를 구비하는 원심 분리 용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하부에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여 상기 덮개부 벽체의 주변을 원형으로 둘러싸도록 하부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연결부 벽체를 구비하는 원심 분리 용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 벽체는 상기 회전축을 동심으로 하여 상이한 반경으로 2 이상 형성되는 원심 분리 용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 벽체는 인접한 덮개부 벽체 사이의 공간에 삽입되어 내측에 배치된 덮개부 벽체를 둘러싸도록 2 이상 형성되는 원심 분리 용기.
KR1020200022760A 2020-02-25 2020-02-25 원심 분리 용기 KR20210108048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2760A KR20210108048A (ko) 2020-02-25 2020-02-25 원심 분리 용기
PCT/KR2020/002742 WO2021172616A1 (ko) 2020-02-25 2020-02-26 원심 분리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2760A KR20210108048A (ko) 2020-02-25 2020-02-25 원심 분리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8048A true KR20210108048A (ko) 2021-09-02

Family

ID=774917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2760A KR20210108048A (ko) 2020-02-25 2020-02-25 원심 분리 용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10108048A (ko)
WO (1) WO2021172616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6374B1 (ko) 2016-06-07 2017-05-17 (주)시지바이오 원심 분리기용 용기 및 이를 이용한 svf 분리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078020B2 (ja) * 2008-02-13 2012-11-21 オリンパス株式会社 遠心分離容器
KR101679671B1 (ko) * 2009-10-27 2016-11-28 도병록 재생성 세포 추출 시스템
KR101466923B1 (ko) * 2013-01-17 2014-12-04 주식회사 휴림바이오셀 재생성 세포 추출장치, 재생성 세포 추출 시스템, 이를 이용한 재생성 세포 추출방법
EP3384993B1 (en) * 2017-04-07 2020-12-16 Alfa Laval Corporate AB Centrifugal separator with a seal assembly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6374B1 (ko) 2016-06-07 2017-05-17 (주)시지바이오 원심 분리기용 용기 및 이를 이용한 svf 분리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172616A1 (ko) 2021-09-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457046B2 (ja) 流体用遠心分離機
US5222933A (en) Centrifual discharge of concentrate
US20120214659A1 (en) Regenerative cell extraction unit and regenerative cell extraction system
JPH0683801B2 (ja) 血液と生化学的薬液の遠心沈殿セル
US5935051A (en) Blood separation device
WO2010035709A1 (ja) 遠心分離容器
RU2372995C2 (ru) Саморазгружающийся сепаратор с пакетом тарелок
AU2019398290B2 (en) Exchangeable separation insert
KR101736374B1 (ko) 원심 분리기용 용기 및 이를 이용한 svf 분리 방법
US20020016243A1 (en) Automatic solids discharge tubular bowl centrifuge
KR20210108048A (ko) 원심 분리 용기
US11021829B2 (en) Washing machine
KR970004702B1 (ko) 원심 분리기
US20060104863A1 (en) Sample preparation system for a laboratory apparatus
JP2017012398A (ja) 洗濯機用の攪拌翼および洗濯機
US3365128A (en) Industrial process and apparatus
CN105102957B (zh) 离心涂抹装置及密闭旋转容器
JP2022512173A (ja) 交換可能な分離インサート、モジュール式遠心分離機および方法
KR20180015872A (ko) 세탁기
JP2012044939A (ja) 生体組織処理容器および生体組織処理装置
JP6250212B2 (ja) 洗濯機用の攪拌翼
JP2018503513A (ja) 分離機
JP2012096154A (ja) 遠心分離ユニットおよび遠心分離装置
JP2010063440A (ja) 遠心分離容器
CN220027376U (zh) 一种用于细胞离心杯的锁紧装置及离心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