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07798A - 반사 방지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반사 방지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07798A
KR20210107798A KR1020217023508A KR20217023508A KR20210107798A KR 20210107798 A KR20210107798 A KR 20210107798A KR 1020217023508 A KR1020217023508 A KR 1020217023508A KR 20217023508 A KR20217023508 A KR 20217023508A KR 20210107798 A KR20210107798 A KR 202101077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n layer
meth
resin
acrylate
partic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235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사키 나츠메
Original Assignee
히가시야마 필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가시야마 필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히가시야마 필름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101077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779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C08J7/042Coating with two or more layers, where at least one layer of a composition contains a polymer bind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specially treated, e.g. irradi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2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synthetic resins not wholly covered by any one of the sub-groups B32B27/30 - B32B27/42
    • B32B27/281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synthetic resins not wholly covered by any one of the sub-groups B32B27/30 - B32B27/42 comprising polyim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2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synthetic resins not wholly covered by any one of the sub-groups B32B27/30 - B32B27/42
    • B32B27/28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synthetic resins not wholly covered by any one of the sub-groups B32B27/30 - B32B27/42 comprising polysulphones; polysulf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32B27/30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comprising aromatic vinyl (co)polymers, e.g. styrenic (c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32B27/3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comprising vinyl halide (co)polymers, e.g. PVC, PVDC, PVF, PVD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32B27/3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comprising vinyl acetate or vinyl alcohol (c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32B27/3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32B27/325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comprising polycycloolef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am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32B27/365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comprising polycarbon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6Interconnection of layers permitting easy separ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C08J7/046Forming abrasion-resistant coatings; Forming surface-hardening coat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1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characterized by their specific function
    • C08K3/013Fillers, pigments or reinforcing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4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08K3/36Silica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7/00Use of ingredients characterised by shape
    • C08K7/22Expanded, porous or hollow particles
    • C08K7/24Expanded, porous or hollow particles inorganic
    • C08K7/26Silicon- containing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8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only;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83/04Polysilox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0Additives non-macromolecular
    • C09D7/61Additives non-macromolecular inorganic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G02B1/11Anti-reflection coatings
    • G02B1/111Anti-reflection coatings using layers comprising organic material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G02B1/14Protective coatings, e.g. hard coa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0/00Layers arrangement
    • B32B2250/24All layers being polymer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1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on synthetic resin layer or on natural or synthetic rubber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20Inorganic co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26Polymeric co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28Multiple coating on one surf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70/00Resin or rubber layer containing a blend of at least two different 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12Transpar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5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mechanical properties
    • B32B2307/584Scratch resistan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32Dimension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48Releasabil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7/00Electrical equipment
    • B32B2457/20Displays, e.g. liquid crystal displays, plasma displays
    • B32B2457/208Touch screen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AREA)

Abstract

손가락 슬라이딩성과 투명성을 양립시킬 수 있는 반사 방지 필름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기재 필름(12)과, 기재 필름(12)의 면 위에 형성된 제1 수지층(14)을 가지며, 제1 수지층(14)이, 제1 수지층(14)의 표면에 볼록부를 형성하는 대직경 입자(18)와, 대직경 입자(18)보다 평균 입자 직경이 작은 중공 실리카 입자(22)와, 바인더 수지를 포함하는 반사 방지 필름(10)으로 한다. 대직경 입자(18)의 함유량은, 제1 수지층(14)의 전량 기준으로 1.0∼3.5 질량%의 범위 내이며, 중공 실리카 입자(22)의 함유량은, 제1 수지층(14)의 전량 기준으로 30∼70 질량%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Description

반사 방지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본 발명은, 반사 방지 필름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카내비게이션 시스템이나 스마트폰 등의 터치 패널의 디스플레이 표면에 이용되는 반사 방지 필름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카내비게이션 시스템 등의 차재 화상 표시 장치나 스마트폰 등의 화상 표시 장치에 있어서, 화면 상의 표시에 접촉하는 것에 의해 기기를 조작하는 것이 가능한 정전 용량 방식의 터치 패널이 보급되고 있다. 정전 용량 방식의 터치 패널에서는, 손가락으로 찍는 「탭 조작」에 더하여, 손가락으로 누르면서 손가락을 슬라이드시키는 「드래그 조작」, 손가락을 털어내듯이 슬라이드시키면서 바로 떼어내는 「플릭 조작」, 2개의 손가락으로 누르면서 손가락의 간격을 좁히거나 넓히거나 하는 「핀치인 조작」 「핀치아웃 조작」 등의 화면 조작이 있다. 정전 용량 방식의 터치 패널에서는, 조작성을 높이기 위해, 손가락이 미끄러지기 쉬운 것(손가락 슬라이딩성)이 요구된다.
예컨대 특허문헌 1에는, 터치 패널의 표면에 설치되는 반사 방지 필름에 있어서, (메트)아크릴 수지, 중공형 실리카 미립자, 반응성 실리카 미립자, 불소계 오염 방지제, 불소-실리콘계 오염 방지제를 함유하는 저굴절률층을 갖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특허문헌 1에서는, 저굴절률층이 불소-실리콘계 오염 방지제를 포함하는 것에 의해, 손가락 슬라이딩성이 우수한 것으로 하고 있다.
특허문헌 1 : 일본 특허 제6070195호 공보
그러나, 특허문헌 1의 반사 방지 필름은, 저굴절률층에 포함되는 오염 방지제에 의해 손가락 슬라이딩성을 좋게 하기 때문에, 손가락 슬라이딩성이 충분히 우수하다고는 하기 어렵다.
또한, 터치 패널의 디스플레이 표면에 배치되는 반사 방지 필름에는, 투명성도 요구된다. 종래 기술에서는, 이러한 손가락 슬라이딩성과 투명성을 양립시키는 기술이 불충분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손가락 슬라이딩성과 투명성을 양립시킬 수 있는 반사 방지 필름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관한 반사 방지 필름은, 터치 패널의 디스플레이 표면에 배치되는 터치 패널용의 반사 방지 필름으로서, 기재 필름과, 상기 기재 필름의 면 위에 형성된 제1 수지층을 가지며, 상기 제1 수지층이, 상기 제1 수지층의 표면에 볼록부를 형성하는 대직경 입자와, 상기 대직경 입자보다 평균 입자 직경이 작은 중공 실리카 입자와, 바인더 수지를 포함하는 것을 요지로 하는 것이다.
상기 대직경 입자의 함유량은, 상기 제1 수지층의 전량 기준으로 1.0∼3.5 질량%의 범위 내이며, 상기 중공 실리카 입자의 함유량은, 상기 제1 수지층의 전량 기준으로 30∼70 질량%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대직경 입자는, 중실 입자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대직경 입자는, 무기 산화물 입자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대직경 입자의 평균 입자 직경은 상기 제1 수지층의 평균 두께 이상이며, 상기 중공 실리카 입자의 평균 입자 직경은 상기 제1 수지층의 평균 두께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수지층은, 폴리실록산을 더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실록산의 함유량은, 상기 제1 수지층의 전량 기준으로 0.05∼25 질량%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기재 필름과 상기 제1 수지층의 사이에, 하드코트층을 더 가져도 좋다. 상기 제1 수지층의 면 위에, 점착제층을 통해 보호 필름을 가져도 좋다. 상기 기재 필름의 상기 제1 수지층과는 반대의 면 위에 투명 점착층을 가져도 좋다.
그리고, 본 발명에 관한 반사 방지 필름의 제조 방법은, 터치 패널의 디스플레이 표면에 배치되는 터치 패널용의 반사 방지 필름의 제조 방법으로서, 기재 필름의 면 위에 제1 수지층을 형성하는 공정을 가지며, 상기 제1 수지층이, 상기 제1 수지층의 표면에 볼록부를 형성하는 대직경 입자와, 상기 대직경 입자보다 평균 입자 직경이 작은 중공 실리카 입자와, 바인더 수지를 포함하는 것을 요지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관한 반사 방지 필름에 의하면, 기재 필름의 면 위에 형성된 제1 수지층이, 제1 수지층의 표면에 볼록부를 형성하는 대직경 입자와 그 대직경 입자보다 평균 입자 직경이 작은 중공 실리카 입자를 포함하기 때문에, 우수한 손가락 슬라이딩성을 가지며, 투명성도 우수하다. 또한, 제1 수지층이 중공 실리카 입자를 포함하기 때문에, 제1 수지층의 굴절률이 낮고, 우수한 반사 방지 기능을 갖는다.
그리고, 제1 수지층이 폴리실록산을 더 함유함으로써, 우수한 투명성을 유지하면서, 손가락 슬라이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기재 필름과 제1 수지층의 사이에 하드코트층을 더 가짐으로써 내찰상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제1 수지층의 면 위에 점착제층을 통해 보호 필름을 가짐으로써, 취급시에 제1 수지층이 손상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관한 반사 방지 필름의 제조 방법에 의하면, 제1 수지층의 표면에 볼록부를 형성하는 대직경 입자와 그 대직경 입자보다 평균 입자 직경이 작은 중공 실리카 입자를 포함하는 제1 수지층을 기재 필름의 면 위에 형성하기 때문에, 얻어진 반사 방지 필름은, 우수한 손가락 슬라이딩성을 가지며, 투명성도 우수하다. 또한, 제1 수지층이 중공 실리카 입자를 포함하기 때문에, 제1 수지층의 굴절률이 낮고, 우수한 반사 방지 기능을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관한 반사 방지 필름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관한 반사 방지 필름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 관한 반사 방지 필름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4 실시형태에 관한 반사 방지 필름의 단면도이다.
도 5는 실시예 1의 제1 수지층의 표면의 SEM 사진(a)과, 비교예 3의 제1 수지층의 표면의 SEM 사진(b)이다.
이하, 본 발명에 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관한 반사 방지 필름의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관한 반사 방지 필름(10)은, 기재 필름(12)과, 기재 필름(12)의 면 위에 형성된 제1 수지층(14)과, 기재 필름(12)과 제1 수지층(14) 사이에 형성된 하드코트층(16)을 갖는다. 반사 방지 필름(10)은, 기재 필름(12), 하드코트층(16), 제1 수지층(14)을 이 순으로 갖는다.
기재 필름(12)은, 투명성을 갖고 있다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기재 필름(12)으로는, 투명 고분자 필름, 유리 필름 등을 들 수 있다. 투명성이란, 가시광파장 영역에서의 전광선 투과율이 50% 이상인 것을 말하며, 전광선 투과율은, 보다 바람직하게는 85% 이상이다. 상기 전광선 투과율은, JIS K7361-1(1997)에 준거하여 측정할 수 있다. 기재 필름(12)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취급성이 우수한 등의 관점에서, 2∼500 μm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2∼200 μm의 범위 내이다. 또, 「필름」이란, 일반적으로 두께가 0.25 mm 미만인 것을 말하지만, 두께가 0.25 mm 이상인 것이라도 롤형으로 감는 것이 가능하다면, 두께가 0.25 mm 이상인 것이라도 「필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한다.
기재 필름(12)의 고분자 재료로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수지 등의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폴리(메트)아크릴레이트 수지, 폴리스티렌 수지, 폴리아미드 수지, 폴리이미드 수지, 폴리아크릴로니트릴 수지, 폴리프로필렌 수지, 폴리에틸렌 수지, 폴리시클로올레핀 수지, 시클로올레핀 코폴리머 수지 등의 폴리올레핀 수지, 폴리페닐렌술파이드 수지, 폴리염화비닐 수지, 폴리염화비닐리덴 수지, 폴리비닐알콜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기재 필름(12)의 고분자 재료는, 이들 중의 1종만으로 구성되어 있어도 좋고, 2종 이상의 조합으로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이들 중에서는, 광학 특성이나 내구성 등의 관점에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폴리이미드 수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폴리(메트)아크릴레이트 수지, 폴리시클로올레핀 수지, 시클로올레핀 코폴리머 수지가 보다 바람직하다.
기재 필름(12)은, 상기 고분자 재료의 1종 또는 2종 이상을 포함하는 층으로 이루어진 단층으로 구성되어 있어도 좋고, 상기 고분자 재료의 1종 또는 2종 이상을 포함하는 층과, 이 층과는 상이한 고분자 재료의 1종 또는 2종 이상을 포함하는 층 등, 2층 이상의 층으로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하드코트층(16)은, 반사 방지 필름(10)의 내찰상성의 향상에 기여한다. 하드코트층(16)은, 연필 경도 H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연필 경도는, JIS K5600-5-4에 준거하여 측정할 수 있다. 하드코트층(16)은, 터치 패널에 형성되는 반사 방지 필름 등의 필름의 하드코트층의 재료로서 이용되는 공지의 재료를 이용할 수 있다. 하드코트층(16)은, 내찰상성, 생산성 등의 관점에서, 자외선 경화성 수지를 포함하는 경화성 조성물의 경화물로 구성하는 것이 좋다.
자외선 경화성 수지로는, 자외선 반응성의 반응성기를 갖는 모노머, 올리고머, 프리폴리머 등을 들 수 있다. 자외선 반응성의 반응성기로는, 아크릴로일기, 메타크릴로일기, 알릴기, 비닐기 등의 에틸렌성 불포화 결합을 갖는 라디칼 중합형의 반응성기나 옥세타닐기 등의 양이온 중합형의 반응성기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는, 아크릴로일기, 메타크릴로일기, 옥세타닐기가 보다 바람직하고, 아크릴로일기, 메타크릴로일기가 특히 바람직하다. 즉, (메트)아크릴레이트가 특히 바람직하다. 또, 본 명세서에서 「(메트)아크릴레이트」는 「아크릴레이트 및 메타크릴레이트의 적어도 한쪽」을 말한다. 「(메트)아크릴로일」은 「아크릴로일 및 메타크릴로일의 적어도 한쪽」을 말한다. 「(메트)아크릴」은 「아크릴 및 메타크릴의 적어도 한쪽」을 말한다.
(메트)아크릴레이트로는, 우레탄(메트)아크릴레이트, 실리콘(메트)아크릴레이트,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 아릴(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는, 유연성이 우수한 등의 관점에서, 우레탄(메트)아크릴레이트가 특히 바람직하다. 하드코트층(16)을 형성하기 위한 경화성 조성물이 자외선 경화성 수지로서 우레탄(메트)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하는 경우에는, 예컨대 기재 필름(12)이 폴리시클로올레핀이나 시클로올레핀 코폴리머 등으로 형성되며, 비교적 깨지기 쉬운 것이라도, 기재 필름(12)의 균열을 억제하기 쉽다.
하드코트층(16)을 형성하는 경화성 조성물에는, 자외선 경화성 수지에 더하여, 비자외선 경화성 수지가 포함되어 있어도 좋고, 포함되어 있지 않아도 좋다. 또한, 하드코트층(16)을 형성하는 경화성 조성물에는 광중합 개시제가 포함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필요에 따라, 경화성 조성물에 첨가하는 첨가제 등이 포함되어 있어도 좋다. 이러한 첨가제로는, 분산제, 레벨링제, 소포제, 요변제, 오염 방지제, 항균제, 난연제, 슬립제, 무기 입자, 수지 입자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용제가 포함되어 있어도 좋다.
비자외선 경화성 수지로는, 열가소성 수지, 열경화성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열가소성 수지로는,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에테르 수지, 폴리올레핀 수지, 폴리아미드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열경화성 수지로는,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에폭시 수지, 알키드 수지, 페놀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광중합 개시제로는, 알킬페논계, 아실포스핀옥사이드계, 옥심에스테르계 등의 광중합 개시제를 들 수 있다. 알킬페논계 광중합 개시제로는, 2,2'-디메톡시-1,2-디페닐에탄-1-온, 1-히드록시-시클로헥실-페닐-케톤, 2-히드록시-2-메틸-1-페닐-프로판-1-온, 1-[4-(2-히드록시에톡시)-페닐]-2-히드록시-2-메틸-1-프로판-1-온, 2-히드록시-1-{4-[4-(2-히드록시-2-메틸-프로피오닐)-벤질]페닐}-2-메틸-프로판-1-온, 2-메틸-1-[4-(메틸티오)페닐]-2-모르폴리노프로판-1-온, 2-벤질메틸-2-(디메틸아미노)-1-(4-모르폴리노페닐)-1-부타논, 2-(디메틸아미노)-2-[(4-메틸페닐)메틸]-1-(4-모르폴리노페닐)-1-부타논, 2-(4-메틸벤질)-2-(디메틸아미노)-1-(4-모르폴리노페닐)-1-부타논, N,N-디메틸아미노아세토페논 등을 들 수 있다. 아실포스핀옥사이드계 광중합 개시제로는, 2,4,6-트리메틸벤조일디페닐포스핀옥사이드, 비스(2,4,6-트리메틸벤조일)-페닐포스핀옥사이드, 비스(2,6-디메톡시벤조일)-2,4,4-트리메틸-펜틸포스핀옥사이드 등을 들 수 있다. 옥심에스테르계 광중합 개시제로는, 1,2-옥탄디온, 1-[4-(페닐티오)페닐]-2-(O-벤조일옥심), 에타논-1-[9-에틸-6-(2-메틸벤조일)-9H-카르바졸-3-일]-1-(O-아세틸옥심) 등을 들 수 있다. 광중합 개시제는, 이들의 1종 단독으로 이용되어도 좋고, 2종 이상 조합되어 이용되어도 좋다.
광중합 개시제의 함유량은, 경화성 조성물의 고형분 전량 기준으로 0.1∼10 질량%의 범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1∼5 질량%의 범위이다.
무기 입자 및 수지 입자는, 예컨대 하드코트층(16)에 블로킹을 방지하거나, 하드코트층(16)을 고굴절률로 조정하거나 하는 등의 목적으로 첨가된다. 또한, 수지 입자는, 예컨대 하드코트층(16)에 블로킹을 방지하는 등의 목적으로 첨가된다. 하드코트층(16)에 미세한 표면 요철을 형성함으로써, 제1 수지층(14)을 형성하기 전의, 기재 필름(12) 및 하드코트층(16)으로 이루어진 하드코트 필름을 롤형으로 감았을 때에, 표면과 이면이 접착하는 블로킹을 억제하기 쉽다. 하드코트층(16)을 고굴절률로 함으로써, 제1 수지층(14)을 적층했을 때에, 반사 방지 기능을 보다 높일 수 있다. 고굴절률이란, 측정 파장 589.3 nm에서의 굴절률이 1.50 이상인 것을 말하며, 바람직하게는 1.55∼1.80의 범위 내, 보다 바람직하게는 1.60∼1.70의 범위 내이다.
고굴절률로 광학 조정 가능한 무기 입자로는, 티탄, 지르코늄, 주석, 아연, 규소, 니오븀, 알루미늄, 크롬, 마그네슘, 게르마늄, 갈륨, 안티몬, 백금 등의 금속의 산화물로 이루어진 금속 산화물 입자를 들 수 있다. 이들은, 광학 조정 가능한 무기 입자로서 1종 단독으로 이용되어도 좋고, 2종 이상 조합하여 이용되어도 좋다. 이들 중에서는, 고굴절률과 투명성의 양립이 우수한 등의 관점에서, 티탄산화물, 지르코늄산화물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수지 입자로는, 예컨대, (메트)아크릴 수지, 스티렌 수지, 스티렌-(메트)아크릴 수지, 우레탄 수지, 폴리아미드 수지, 실리콘 수지, 에폭시 수지, 페놀 수지, 폴리에틸렌 수지, 셀룰로오스 등의 수지로 이루어진 수지 입자를 들 수 있다. 이들은, 수지 입자로서 1종 단독으로 이용되어도 좋고, 2종 이상 조합하여 이용되어도 좋다.
하드코트층(16)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충분한 경도를 갖는 등의 관점에서, 0.5 μm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0.75 μm 이상이다. 또한, 기재 필름(12)과의 열수축차에 기인하는 컬이 억제되기 쉬운 등의 관점에서, 10 μ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5 μm 이하이다. 하드코트층(16)의 두께는, 두께 방향에서 무기 입자나 수지 입자에 기인하는 요철이 없는 부분에서의 비교적 평활한 부분의 두께이다.
하드코트층(16)의 표면 요철이 형성되어 있는 표면의 산술 평균 거칠기 Ra는, 블로킹 등의 관점에서, 0.3∼20 nm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0.5∼10 nm의 범위 내이다.
하드코트층(16)을 형성하는 경화성 조성물에 있어서 이용되는 용제로는, 에탄올, 이소프로필알콜(IPA), n-부틸알콜(NBA), 에틸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EGM), 에틸렌글리콜모노이소프로필에테르(IPG),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PGM), 디에틸렌글리콜모노부틸에테르 등의 알콜계 용제나, 메틸에틸케톤(MEK), 메틸이소부틸케톤(MIBK), 시클로헥사논, 아세톤 등의 케톤계 용제, 톨루엔, 크실렌 등의 방향족계 용제, 아세트산에틸(EtAc), 아세트산프로필, 아세트산이소프로필, 아세트산부틸(BuAc) 등의 에스테르계 용제, N-메틸피롤리돈, 아세트아미드, 디메틸포름아미드 등의 아미드계 용제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용제로서 1종 단독으로 이용되어도 좋고, 2종 이상 조합하여 이용되어도 좋다.
경화성 조성물의 고형분 농도(용제 이외의 성분의 농도)는, 도공성, 막두께 등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정하면 된다. 예컨대, 1∼90 질량%, 1.5∼80 질량%, 2∼70 질량% 등으로 하면 된다.
제1 수지층(14)은, 대직경 입자(18), 중공 실리카 입자(22), 바인더 수지를 포함한다.
바인더 수지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제1 수지층(14)의 내찰상성 등의 관점에서, 열경화성 화합물의 경화물이나 자외선 경화성 화합물의 경화물 등이 바람직하다. 또한, 생산성 등의 관점에서, 자외선 경화성 화합물의 경화물이 보다 바람직하다.
자외선 경화성 수지로는, 자외선 반응성의 반응성기를 갖는 모노머, 올리고머, 프리폴리머 등을 들 수 있다. 자외선 반응성의 반응성기로는, 아크릴로일기, 메타크릴로일기, 알릴기, 비닐기 등의 에틸렌성 불포화 결합을 갖는 라디칼 중합형의 반응성기나 옥세타닐기 등의 양이온 중합형의 반응성기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는, 아크릴로일기, 메타크릴로일기, 옥세타닐기가 보다 바람직하고, 아크릴로일기, 메타크릴로일기가 특히 바람직하다. 즉, (메트)아크릴레이트가 특히 바람직하다.
(메트)아크릴레이트로는, 우레탄(메트)아크릴레이트, 실리콘(메트)아크릴레이트,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 아릴(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메트)아크릴레이트는, 단작용 (메트)아크릴레이트만으로 구성되어 있어도 좋고, 다작용 (메트)아크릴레이트로 구성되어 있어도 좋고, 단작용 (메트)아크릴레이트와 다작용 (메트)아크릴레이트의 조합으로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메트)아크릴레이트로는, 다작용 (메트)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단작용 (메트)아크릴레이트로는, 메틸(메트)아크릴레이트, 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아밀(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t-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펜틸(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아밀(메트)아크릴레이트, 헥실(메트)아크릴레이트, 헵틸(메트)아크릴레이트, 옥틸(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옥틸(메트)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메트)아크릴레이트, 노닐(메트)아크릴레이트, 데실(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데실(메트)아크릴레이트, 운데실(메트)아크릴레이트, 도데실(메트)아크릴레이트, 라우릴(메트)아크릴레이트, 스테아릴(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스테아릴(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보르닐(메트)아크릴레이트, 1-아다만틸(메트)아크릴레이트, 2-메틸-2-아다만틸(메트)아크릴레이트, 2-에틸-2-아다만틸(메트)아크릴레이트, 보르닐(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시클로데카닐(메트)아크릴레이트, 디시클로펜타닐(메트)아크릴레이트, 디시클로펜테닐(메트)아크릴레이트, 시클로헥실(메트)아크릴레이트, 벤질(메트)아크릴레이트, 1-나프틸메틸(메트)아크릴레이트, 2-나프틸메틸(메트)아크릴레이트, 페녹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페녹시-2-메틸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페녹시에톡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3-페녹시-2-히드록시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2-페닐페녹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4-페닐페녹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3-(2-페닐페닐)-2-히드록시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테트라히드로푸르푸릴(메트)아크릴레이트, 부톡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에톡시디에틸렌글리콜(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모노(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트)아크릴레이트, 메톡시에틸렌글리콜(메트)아크릴레이트, 에톡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메톡시폴리에틸렌글리콜(메트)아크릴레이트, 메톡시폴리프로필렌글리콜(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다작용 (메트)아크릴레이트로는, 2작용 (메트)아크릴레이트, 3작용 (메트)아크릴레이트, 4작용 (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1,4-부탄디올디(메트)아크릴레이트, 1,6-헥산디올디(메트)아크릴레이트, 1,9-노난디올디(메트)아크릴레이트, 에틸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테트라에틸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테트라(메트)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펜타(메트)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헥사(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펜타에리트리톨테트라(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펜타에리트리톨펜타(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펜타에리트리톨헥사(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펜타에리트리톨헵타(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펜타에리트리톨옥타(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대직경 입자(18)는, 제1 수지층(14)에 포함됨으로써, 제1 수지층(14)의 표면에 볼록부를 형성하는 것이다. 대직경 입자(18)에 의해 제1 수지층(14)의 표면에 볼록부가 형성됨으로써, 제1 수지층(14)은 양호한 동마찰계수(μk)를 가질 수 있다.
대직경 입자(18)는, 중실 입자이어도 좋고, 중공 입자이어도 좋다. 중실 입자란, 입자의 내부에 실질적으로 공동을 갖지 않는 입자이며, 공동의 비율이 중실 입자의 체적의 5% 미만인 입자를 말한다. 중공 입자는, 입자의 내부에 공동을 갖고 있는 입자이며, 공동의 비율이 중공 입자의 체적의 5% 이상인 입자를 말한다. 대직경 입자(18)가 중공 입자이면, 제1 수지층(14)의 굴절률을 낮게 하여, 광의 반사를 저감할 수 있다. 중공 입자에 있어서, 공동의 비율은 중공 입자의 체적의 10∼80%인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20∼60%, 더욱 바람직하게는 30∼60%이다. 공동의 비율이 10% 이상이면, 굴절률을 낮게 하여 광의 반사를 저감할 수 있다. 공동의 비율이 80% 이하이면, 대직경 입자(18)의 분산성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대직경 입자(18)는, 무기 입자이어도 좋고, 유기 입자이어도 좋다. 무기 입자로는, 티탄, 지르코늄, 규소, 알루미늄, 칼슘 등의 금속의 산화물로 이루어진 금속 산화물 입자를 들 수 있다. 이들은, 무기 입자로서 1종 단독으로 이용되어도 좋고, 2종 이상 조합하여 이용되어도 좋다. 또한, 수지 입자로는, 예컨대, (메트)아크릴 수지, 스티렌 수지, 스티렌-(메트)아크릴 수지, 우레탄 수지, 폴리아미드 수지, 실리콘 수지, 에폭시 수지, 페놀 수지, 폴리에틸렌 수지, 셀룰로오스 등의 수지로 이루어진 수지 입자를 들 수 있다. 이들은, 수지 입자로서 1종 단독으로 이용되어도 좋고, 2종 이상 조합하여 이용되어도 좋다. 이들 중에서는, 무기 입자가 바람직하고, 굴절률이 낮고 투명성이 우수한 등의 관점에서, 실리카 입자가 특히 바람직하다.
대직경 입자(18)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구형, 바늘형, 인편형, 막대형, 섬유형, 부정형 등이어도 좋다. 이들 중에서는, 구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대직경 입자(18)는, 제1 수지층(14)의 표면에 볼록부를 형성하기 쉬운 등의 관점에서, 그 평균 입자 직경은, 제1 수지층(14)의 평균 두께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형성되는 볼록부의 높이를 억제하여, 투명성을 유지하는 등의 관점에서, 그 평균 입자 직경은, 제1 수지층(14)의 평균 두께의 1.2배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1.1배 이하이다. 그리고, 대직경 입자(18)의 평균 입자 직경은, 제1 수지층(14)의 평균 두께에 따라 다르지만, 60∼400 nm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70∼200 nm의 범위 내, 더욱 바람직하게는 80∼160 nm의 범위 내이다. 평균 입자 직경은, JIS Z8825에 따르는 레이저 회절·산란법에 의해 얻어지는 체적 기준의 평균 산술치이다.
대직경 입자(18)의 함유량은, 제1 수지층(14)의 전량 기준으로 1.0∼3.5 질량%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대직경 입자(18)의 함유량이 1.0 질량% 이상이면, 특히 동마찰계수(μk)를 억제할 수 있어, 손가락 슬라이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이 관점에서, 대직경 입자(18)의 함유량은, 제1 수지층(14)의 전량 기준으로 보다 바람직하게는 1.5 질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1.9 질량% 이상이다. 한편, 대직경 입자(18)의 함유량이 3.5 질량% 이하이면, 높은 투명성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이 관점에서, 대직경 입자(18)의 함유량은, 제1 수지층(14)의 전량 기준으로 보다 바람직하게는 2.3 질량%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2.2 질량% 이하이다.
중공 실리카 입자(22)는, 제1 수지층(14)의 표면에 볼록부를 형성하는 대직경 입자(18)보다 평균 입자 직경이 작은 입자이다. 중공 실리카 입자(22)는, 제1 수지층(14)의 표면 요철의 형성에 실질적으로 기여하지 않는 입자이다. 중공 실리카 입자(22)는, 입자의 내부에 공동을 갖고 있는 입자이며, 공동의 비율이 체적의 5% 이상인 입자를 말한다. 중공이란, 외각과 그 내부의 공동으로 이루어진 코어 셸 구조인 것이나, 다수의 공동을 갖는 다공질 구조인 것 등을 말한다. 중공 실리카 입자(22)는, 중공 구조인 것에 의해, 제1 수지층(14)의 굴절률을 낮게 하여, 광의 반사를 저감시킬 수 있다. 중공 실리카 입자(22)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구형, 방추형, 난(卵)형, 평판형, 입방체형, 부정형 등이 바람직하다. 이들 중에서는, 구형, 평판형, 입방체형 등이 특히 바람직하다.
중공 실리카 입자(22)는, 대직경 입자(18)와 함께 제1 수지층(14)에 함유함으로써, 투명성을 손상하지 않고, 손가락을 슬라이드시키는 조작을 시작할 때 걸리는 느낌을 느낄 우려가 있는 정마찰계수(μs)를 저하시킬 수 있다. 제1 수지층(14)은, 대직경 입자(18)만이 포함되는 경우, 손가락 슬라이딩성은 우수하지만 투명성이 불충분해진다. 제1 수지층(14)은, 대직경 입자(18)보다 평균 입자 직경이 작은 중공 실리카 입자(22)만이 포함되는 경우, 투명성은 높지만, 동마찰계수(μk) 및 정마찰계수(μs)가 커서 손가락 슬라이딩성이 불충분하다. 예컨대 오염 방지제 등의 성분을 제1 수지층(14)에 첨가하더라도, 그다지 손가락 슬라이딩성의 개선 효과가 보이지 않는다. 제1 수지층(14)이 대직경 입자(18)와 함께 중공 실리카 입자(22)를 소정의 범위에서 함유하는 것에 의해, 투명성과 손가락 슬라이딩성을 양립시킬 수 있다. 중공 실리카 입자(22)는, 대직경 입자(18) 사이에 배치되어, 대직경 입자(18)의 응집을 억제하는 기능도 갖는다. 이것에 의해, 제1 수지층(14)에 있어서, 적은 배합량의 대직경 입자(18)의 분산성의 저하가 억제되는 것도, 투명성과 손가락 슬라이딩성을 양립시키는 요인의 하나라고 생각된다.
중공 실리카 입자(22)에 있어서, 공동의 비율은, 체적의 10∼80%인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체적의 20∼60%, 더욱 바람직하게는 체적의 30∼60%이다. 공동의 비율이 체적의 10% 이상이면, 굴절률을 낮게 하여 광의 반사를 저감할 수 있다. 공동의 비율이 체적의 80% 이하이면, 중공 실리카 입자(22)의 분산성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중공 실리카 입자(22)는, 제1 수지층(14)의 표면 요철의 형성에 실질적으로 기여하지 않는 것으로서의 관점에서, 그 평균 입자 직경은, 제1 수지층(14)의 평균 두께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중공 실리카 입자(22)의 평균 입자 직경은, 제1 수지층(14)의 평균 두께에 따라 다르지만, 5∼100 nm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20∼80 nm의 범위 내, 더욱 바람직하게는 40∼70 nm의 범위 내이다. 중공 실리카 입자(22)의 평균 입자 직경이 이들 바람직한 범위 내이면, 제1 수지층(14)의 우수한 반사 방지 효과와 투명성을 얻을 수 있다. 평균 입자 직경은, JIS Z8825에 따르는 레이저 회절·산란법에 의해 얻어지는 체적 기준의 평균 산술치이다.
중공 실리카 입자(22)의 굴절률은, 1.01∼1.45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1.15∼1.38의 범위 내, 더욱 바람직하게는 1.15∼1.35의 범위 내이다. 이 범위 내이면, 우수한 반사 방지 효과가 얻어진다.
중공 실리카 입자(22)의 함유량은, 제1 수지층(14)의 전량 기준으로 30∼70 질량%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중공 실리카 입자(22)의 함유량이 30 질량% 이상이면, 정마찰계수(μs)를 보다 저하시킬 수 있어, 손가락을 슬라이드시키는 조작을 시작할 때 걸리는 느낌을 느끼기 어렵게 함과 더불어, 헤이즈를 낮게 할 수 있어, 투명성이 향상된다. 이 관점에서, 중공 실리카 입자(22)의 함유량은, 제1 수지층(14)의 전량 기준으로 보다 바람직하게는 35 질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40 질량% 이상이다. 한편, 중공 실리카 입자(22)의 함유량이 70 질량% 이하이면, 제1 수지층(14)의 경도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이 관점에서, 중공 실리카 입자(22)의 함유량은, 제1 수지층(14)의 전량 기준으로 보다 바람직하게는 65 질량%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62 질량% 이하이다.
제1 수지층(14)의 평균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40∼160 nm의 범위 내, 보다 바람직하게는 70∼140 nm의 범위 내, 더욱 바람직하게는 80∼120 nm의 범위 내이다. 이 범위 내이면, 양호한 시감도 반사율을 얻을 수 있고, 광의 반사를 경감할 수 있다. 제1 수지층(14)의 평균 두께는, 두께 방향에서 대직경 입자(18)가 존재하지 않는 부분에서의 비교적 평활한 부분의 두께이다.
제1 수지층(14)은, 폴리실록산을 더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수지층(14)이 폴리실록산을 더 함유함으로써, 제1 수지층(14)의 손가락 슬라이딩성이 향상된다. 폴리실록산은, 손가락 슬라이딩성의 향상의 관점에서, 25℃에서 액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폴리실록산은, 제1 수지층(14)의 표면측에 석출하기 쉽게 하여 손가락 슬라이딩성의 향상에 기여하기 쉬운 등의 관점에서, 중합에 의해 바인더 수지에 고정화되지 않도록, (메트)아크릴로일기 등의 광중합성 작용기를 갖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실록산으로는, 폴리디메틸실록산(미변성의 폴리디메틸실록산), 폴리메틸알킬실록산(미변성의 폴리메틸알킬실록산), 폴리에테르 변성 폴리디메틸실록산 등의 폴리에테르 변성 폴리실록산, 폴리에스테르 변성 폴리디메틸실록산 등의 폴리에스테르 변성 폴리실록산, 아미노 변성 폴리디메틸실록산 등의 아미노 변성 폴리실록산, 페닐 변성 폴리디메틸실록산 등의 페닐 변성 폴리실록산, 탄소수 4 이상의 장쇄 알킬 변성 폴리디메틸실록산 등의 장쇄 알킬 변성 폴리실록산, 플루오로알킬 변성 폴리디메틸실록산 등의 플루오로알킬 변성 폴리실록산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폴리실록산으로서 1종 단독으로 이용해도 좋고, 2종 이상 조합하여 이용해도 좋다. 이들 중에서는, 손가락 슬라이딩성의 향상 효과가 특히 우수한 등의 관점에서, 폴리에테르 변성 폴리실록산이 특히 바람직하다.
폴리에테르 변성 폴리실록산으로는, 아이카 공업 제조 「레벨링제 F」, 도레이·다우 코닝 제조 「DOWSIL 11 Additive」 「DOWSIL 14 Additive」 「DOWSIL 29 Additive」 「DOWSIL 54 Additive」, 「XIAMETER OFX-0190 Fluid」 「XIAMETER OFX-0193 Fluid」 「DOWSIL 204SL」 「DOWSIL 205SL」, 쿠스모토 화성 제조 「디스팔론 LS-460」 「디스팔론 LS-480」, 모멘티브·퍼포먼스·마테리알즈·재팬 제조 「CoatOSil 2812」 「CoatOSil 2816」 「CoatOSil 3500」 「CoatOSil 3501」 「CoatOSil 3505」 「CoatOSil 3575」 등을 들 수 있다.
폴리실록산은, 25℃에서의 점도가 10∼3000 mPa·s인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80∼1500 Pa·s이다. 점도가 이 범위 내에 있으면, 손가락 슬라이딩성의 향상 효과가 특히 우수하다. 점도는, 공축 원통형 점도계로 측정된다.
폴리실록산의 함유량은, 손가락 슬라이딩성의 향상 효과에 우수한 등의 관점에서, 제1 수지층(14)의 전량 기준으로 0.05 질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질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5 질량%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9 질량% 이상이다. 또한, 폴리실록산의 함유량은, 반사 방지성의 저하가 억제되는 등의 관점에서, 제1 수지층(14)의 전량 기준으로 25 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질량%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5 질량% 이하이다.
제1 수지층(14)에 있어서, 폴리실록산의 함유량이, 제1 수지층(14)의 전량 기준으로 5 질량% 이상의 고농도라 하더라도, 제1 수지층(14)은, 비교적 고농도의 중공 실리카 입자(22)를 함유하고 있기 때문에, 달라붙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손가락 슬라이딩성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제1 수지층(14)은, 필요에 따라서, 경화성 조성물에 첨가하는 첨가제 등이 포함되어 있어도 좋다. 이러한 첨가제로는, 오염 방지제, 분산제, 레벨링제, 소포제, 요변제, 항균제, 난연제, 슬립제, 굴절률 조정제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제1 수지층(14)은, 자외선 경화성 수지에 더하여, 비자외선 경화성 수지가 포함되어 있어도 좋고, 포함되어 있지 않아도 좋다.
오염 방지제로는, 함불소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함불소 화합물로는, 퍼플루오로알킬기를 함유하는 (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화합물로는, 신에츠 화학 제조 「KY-1203」, DIC 제조 「메가팍 RS-75」, 다이킨 공업 제조 「옵툴 DAC-HP」, 네오스 제조 「프터젠트 601AD」 등을 들 수 있다. 이와 같은 함불소 화합물에 의해, 오염이나 지문의 부착을 억제하고, 오염이나 지문의 제거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함불소 화합물의 함유량은, 제1 수지층(14)의 전량 기준으로 0.01∼15 질량%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0.05∼10 질량%의 범위 내, 더욱 바람직하게는 0.2∼5 질량%의 범위 내이다. 함불소 화합물의 함유량이 적합한 범위 내이면, 우수한 오염 방지성, 지문 방지성을 가짐과 더불어, 내찰상성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비자외선 경화성 수지로는, 열가소성 수지, 열경화성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열가소성 수지로는,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에테르 수지, 폴리올레핀 수지, 폴리아미드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열경화성 수지로는,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에폭시 수지, 알키드 수지, 페놀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제1 수지층(14)은, 대직경 입자(18), 중공 실리카 입자(22), 바인더 수지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제1 수지층(14)의 형성용 조성물은, 바인더 수지로서 자외선 경화성 수지를 포함하는 경우, 광중합 개시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수지층(14)의 형성용 조성물은, 필요에 따라 용제가 포함되어 있어도 좋다.
광중합 개시제로는, 알킬페논계, 아실포스핀옥사이드계, 옥심에스테르계 등의 광중합 개시제를 들 수 있다. 알킬페논계 광중합 개시제로는, 2,2'-디메톡시-1,2-디페닐에탄-1-온, 1-히드록시-시클로헥실-페닐-케톤, 2-히드록시-2-메틸-1-페닐-프로판-1-온, 1-[4-(2-히드록시에톡시)-페닐]-2-히드록시-2-메틸-1-프로판-1-온, 2-히드록시-1-{4-[4-(2-히드록시-2-메틸-프로피오닐)-벤질]페닐}-2-메틸-프로판-1-온, 2-메틸-1-[4-(메틸티오)페닐]-2-모르폴리노프로판-1-온, 2-벤질메틸-2-(디메틸아미노)-1-(4-모르폴리노페닐)-1-부타논, 2-(디메틸아미노)-2-[(4-메틸페닐)메틸]-1-(4-모르폴리노페닐)-1-부타논, 2-(4-메틸벤질)-2-(디메틸아미노)-1-(4-모르폴리노페닐)-1-부타논, N,N-디메틸아미노아세토페논 등을 들 수 있다. 아실포스핀옥사이드계 광중합 개시제로는, 2,4,6-트리메틸벤조일디페닐포스핀옥사이드, 비스(2,4,6-트리메틸벤조일)-페닐포스핀옥사이드, 비스(2,6-디메톡시벤조일)-2,4,4-트리메틸-펜틸포스핀옥사이드 등을 들 수 있다. 옥심에스테르계 광중합 개시제로는, 1,2-옥탄디온, 1-[4-(페닐티오)페닐]-2-(O-벤조일옥심), 에타논-1-[9-에틸-6-(2-메틸벤조일)-9H-카르바졸-3-일]-1-(O-아세틸옥심) 등을 들 수 있다. 광중합 개시제는, 이들의 1종 단독으로 이용되어도 좋고, 2종 이상 조합되어 이용되어도 좋다.
광중합 개시제의 함유량은, 제1 수지층(14)의 형성용 조성물의 고형분 전량 기준으로 0.1∼10 질량%의 범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1∼5 질량%의 범위이다.
제1 수지층(14)의 형성용 조성물에 있어서 이용되는 용제로는, 에틸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EGM),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PGM), 디에틸렌글리콜모노부틸에테르 등의 알콜계 용제나, 메틸에틸케톤(MEK), 메틸이소부틸케톤(MIBK), 시클로헥사논, 아세톤 등의 케톤계 용제, 톨루엔, 크실렌 등의 방향족계 용제, N-메틸피롤리돈, 아세트아미드, 디메틸포름아미드 등의 아미드계 용제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용제로서 1종 단독으로 이용되어도 좋고, 2종 이상 조합하여 이용되어도 좋다.
반사 방지 필름(10)은, 기재 필름(12)의 면 위에 하드코트층(16)을 형성하는 조성물을 도공하고, 필요에 따라서 건조후, 자외선 조사에 의해 경화시켜, 기재 필름(12)의 면 위에 하드코트층(16)을 형성한 후, 하드코트층(16)의 면 위에 제1 수지층(14)을 형성하는 조성물을 도공하고, 필요에 따라서 건조후, 자외선 조사에 의해 경화시켜, 하드코트층(16)의 면 위에 제1 수지층(14)을 형성하는 것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이 때, 기재 필름(12)과 하드코트층(16)의 밀착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기재 필름(12)의 표면에는, 도공전에 표면 처리가 되어도 좋다. 표면 처리로는, 코로나 처리, 플라즈마 처리, 열풍 처리, 오존 처리, 자외선 처리 등을 들 수 있다.
하드코트층(16)을 형성하는 조성물이나 제1 수지층(14)을 형성하는 조성물의 도공에는, 예컨대, 리버스 그라비아 코트법, 다이렉트 그라비아 코트법, 다이코트법, 바코트법, 와이어바코트법, 롤코트법, 스핀코트법, 딥코트법, 스프레이 코트법, 나이프 코트법, 키스 코트법 등의 각종 코팅법이나, 잉크젯법, 옵셋 인쇄, 스크린 인쇄, 플렉소 인쇄 등의 각종 인쇄법을 이용하여 행할 수 있다.
건조 공정은, 도공액에 이용한 용제 등을 제거할 수 있으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50∼150℃의 온도에서 10초∼180초 정도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건조 온도는 50∼120℃이 바람직하다.
자외선 조사에는, 고압 수은 램프, 무전극(마이크로파 방식) 램프, 크세논 램프, 메탈할라이드 램프, 기타 임의의 자외선 조사 장치를 이용할 수 있다. 자외선 조사는, 필요에 따라서, 질소 등의 불활성 가스 분위기하에 행해도 좋다. 자외선 조사량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50∼800 mJ/㎠이 바람직하고, 100∼300 mJ/㎠이 보다 바람직하다.
제1 수지층(14)의 표면에서의 동마찰계수(μk)는, 손가락을 슬라이드시킬 때의 가벼운 미끄러짐을 유지하는 손가락 슬라이딩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1.2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0.7 이하이다. 또한, 제1 수지층(14)의 표면에서의 정마찰계수(μs)는, 손가락을 슬라이드시키는 조작을 시작할 때 걸리는 느낌을 느끼게 하지 않는 손가락 슬라이딩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1.4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2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이하이다.
제1 수지층(14)의 표면에서의 2차원에서의 산술 평균 거칠기 Ra는, 양호한 손가락 슬라이딩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3.0∼30 nm, 보다 바람직하게는 6.0∼20 nm, 더욱 바람직하게는 12∼20 nm이다.
반사 방지 필름(10)에서의 헤이즈는, 양호한 시인성 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2.3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5 이하이다.
이상의 구성의 반사 방지 필름(10)에 의하면, 기재 필름(12)의 면 위에 형성된 제1 수지층(14)이, 제1 수지층(14)의 표면에 볼록부를 형성하는 대직경 입자(18)와 그 대직경 입자(18)보다 평균 입자 직경이 작은 중공 실리카 입자(22)를 포함하기 때문에, 손가락을 슬라이드시키는 조작을 시작할 때 걸리는 느낌을 느끼지 않고 가볍게 조작할 수 있고, 투명성도 우수하다. 또한, 제1 수지층(14)이 중공 실리카 입자(22)를 포함하기 때문에, 제1 수지층(14)의 굴절률이 낮고, 우수한 반사 방지 기능을 갖는다. 또한, 제1 수지층(14)이 폴리실록산을 더 함유함으로써, 우수한 투명성을 유지하면서, 손가락 슬라이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기재 필름(12)과 제1 수지층(14) 사이에 하드코트층(16)을 더 가짐으로써, 내찰상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반사 방지 필름은, 제1 실시형태에 관한 반사 방지 필름(10)의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 본 발명에 관한 반사 방지 필름의 다른 실시형태에 관해 설명한다.
도 2에는, 제2 실시형태에 관한 반사 방지 필름(20)을 도시하고 있다. 제2 실시형태에 관한 반사 방지 필름(20)은, 기재 필름(12)과, 기재 필름(12)의 면 위에 형성된 제1 수지층(14)을 갖는다. 반사 방지 필름(20)은, 기재 필름(12)측으로부터 순서대로, 기재 필름(12), 제1 수지층(14)을 갖고 있다.
제2 실시형태에 관한 반사 방지 필름(20)은, 제1 실시형태에 관한 반사 방지 필름(10)과 비교하여, 기재 필름(12)과 제1 수지층(14) 사이에 하드코트층(16)을 갖지 않은 점이 상이하고, 그 외에는 제1 실시형태에 관한 반사 방지 필름(10)과 동일하며, 동일한 구성에 관해서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3에는, 제3 실시형태에 관한 반사 방지 필름(30)을 도시하고 있다. 제3 실시형태에 관한 반사 방지 필름(30)은, 기재 필름(12)과, 기재 필름(12)의 한쪽 면 위에 형성된 제1 수지층(14)과, 기재 필름(12)과 제1 수지층(14) 사이에 형성된 하드코트층(16)을 갖는다. 또한, 기재 필름(12)의 다른쪽 면 위에 투명 점착층(24)을 갖는다. 투명 점착층(24)의 면 위에는, 필요에 따라 이형 필름(26)이 배치된다. 이형 필름(26)은, 사용전에 투명 점착층(24)의 보호층으로서 기능하며, 사용시에는 투명 점착층(24)으로부터 박리된다.
제3 실시형태에 관한 반사 방지 필름(30)은, 제1 실시형태에 관한 반사 방지 필름(10)과 비교하여, 기재 필름(12)의 다른쪽 면 위에 투명 점착층(24)을 갖는 점이 상이하고, 그 외에는 제1 실시형태에 관한 반사 방지 필름(10)과 동일하며, 동일한 구성에 관해서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투명 점착층(24)은, 반사 방지 필름(30)을 터치 패널의 디스플레이 표면에 밀착성 좋게 접착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반사 방지 필름(30)은, 투명 점착층(24)을 가짐으로써, 터치 패널의 디스플레이의 유리의 비산을 방지하는 효과를 갖는다. 즉, 반사 방지 필름(30)은 비산 방지 필름으로서의 기능도 갖는다.
투명 점착층(24)을 형성하는 점착제 조성물은, 아크릴계 점착제, 실리콘계 점착제, 우레탄계 점착제 등의 공지의 점착성 수지를 함유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광학적인 투명성이나 내열성의 관점에서, 아크릴계 점착제가 바람직하다. 점착제 조성물은, 투명 점착층(24)의 응집력을 높이기 위해 가교제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교제로는,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 에폭시계 가교제, 아지리딘계 가교제, 킬레이트계 가교제 등을 들 수 있다.
점착제 조성물에는, 필요에 따라서 첨가제를 포함해도 좋다. 첨가제로는, 가소제, 실란 커플링제, 계면 활성제, 산화 방지제, 충전제, 경화 촉진제, 경화 지연제 등의 공지의 첨가제를 들 수 있다. 또한, 생산성 등의 관점에서, 유기 용제를 사용하여 희석해도 좋다.
투명 점착층(24)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5∼100 μm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10∼50 μm의 범위 내이다.
투명 점착층(24)은, 기재 필름(12)의 다른쪽 면 위에 점착제 조성물을 직접 도포하여 형성하는 방법, 이형 필름(26)의 면 위에 점착제 조성물을 도포하여 형성한 후, 기재 필름(12)의 다른쪽 면 위에 전사하는 방법, 제1 이형 필름의 면 위에 점착제 조성물을 도포하여 형성한 후, 제2 이형 필름을 붙여 접합하고, 어느 한쪽의 이형 필름을 박리하여 기재 필름(12)의 다른쪽 면 위에 전사하는 방법 등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투명 점착층(24)은, 유리의 비산 방지 효과의 관점에서, 유리에 대한 점착력이 4 N/25 mm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6 N/25 mm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N/25 mm 이상이다.
도 4에는, 제4 실시형태에 관한 반사 방지 필름(40)을 도시하고 있다. 제4 실시형태에 관한 반사 방지 필름(40)은, 기재 필름(12)과, 기재 필름(12)의 한쪽 면 위에 형성된 제1 수지층(14)과, 기재 필름(12)과 제1 수지층(14) 사이에 형성된 하드코트층(16)과, 제1 수지층(14)의 면 위에 점착제층(28)을 통해 배치된 보호 필름(32)을 갖는다. 또한, 기재 필름(12)의 다른쪽 면 위에 투명 점착층(24)을 갖는다. 투명 점착층(24)의 면 위에는, 필요에 따라 이형 필름(26)이 배치된다.
제4 실시형태에 관한 반사 방지 필름(40)은, 제3 실시형태에 관한 반사 방지 필름(30)과 비교하여, 제1 수지층(14)의 면 위에 점착제층(28)을 통해 보호 필름(32)을 갖는 점이 상이하고, 그 외에는 제3 실시형태에 관한 반사 방지 필름(30)과 동일하며, 동일한 구성에 관해서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보호 필름(32)은, 예컨대 롤프로세스 등으로 연속 가공하거나 터치 패널 등에 접합되거나 하는 등의 취급시에 있어서, 제1 수지층(14)의 표면이 손상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것이다. 보호 필름(32)은, 점착제층(28)을 통해 제1 수지층(14)의 면에 접착되어 있다. 보호 필름(32)은, 가공후 등에 있어서는, 점착제층(28)과 함께 제1 수지층(14)의 면으로부터 박리된다. 이 때문에, 점착제층(28)은, 제1 수지층(14)과 점착제층(28) 사이의 접착력보다 보호 필름(32)과 점착제층(28) 사이의 접착력이 강하며, 제1 수지층(14)과 점착제층(28)의 사이에서 계면 박리 가능한 접착력으로 조정된다.
보호 필름(32)을 구성하는 재료는, 기재 필름(12)을 구성하는 재료로서 예시한 것 등을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다. 보호 필름(32)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2∼500 μm의 범위 내, 2∼200 μm의 범위 내로 할 수 있다.
점착제층(28)을 형성하는 점착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아크릴계 점착제, 실리콘계 점착제, 우레탄계 점착제 등을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다. 특히, 아크릴계 점착제는, 투명성이나 내열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적합하다. 아크릴계 점착제는, (메트)아크릴 중합체 및 가교제를 포함하는 점착제 조성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메트)아크릴 중합체는, (메트)아크릴 모노머의 단독 중합체 혹은 공중합체이다. (메트)아크릴 모노머로는, 알킬기 함유 (메트)아크릴 모노머, 카르복실기 함유 (메트)아크릴 모노머, 수산기 함유 (메트)아크릴 모노머 등을 들 수 있다.
알킬기 함유 (메트)아크릴 모노머로는, 탄소수 2∼30의 알킬기를 갖는 (메트)아크릴 모노머를 들 수 있다. 탄소수 2∼30의 알킬기는, 직쇄형이어도 좋고, 분기쇄형이어도 좋고, 고리형이어도 좋다. 알킬기 함유 (메트)아크릴 모노머로는, 보다 구체적으로는, 예컨대, (메트)아크릴산이소스테아릴, (메트)아크릴산스테아릴, (메트)아크릴산라우릴, (메트)아크릴산도데실, (메트)아크릴산데실, (메트)아크릴산이소노닐, (메트)아크릴산노닐, (메트)아크릴산이소옥틸, (메트)아크릴산옥틸, (메트)아크릴산이소부틸, (메트)아크릴산 n-부틸, (메트)아크릴산펜틸, (메트)아크릴산헥실, (메트)아크릴산시클로헥실, (메트)아크릴산 2-에틸헥실, (메트)아크릴산프로필, (메트)아크릴산에틸, (메트)아크릴산메틸 등을 들 수 있다.
카르복실기 함유 (메트)아크릴 모노머로는, (메트)아크릴산, (메트)아크릴산카르복시에틸, (메트)아크릴산카르복시펜틸 등을 들 수 있다. 카르복실기는, 알킬쇄의 말단에 위치하고 있어도 좋고, 알킬쇄의 중간에 위치하고 있어도 좋다.
수산기 함유 (메트)아크릴 모노머로는, (메트)아크릴산히드록시라우릴, (메트)아크릴산히드록시데실, (메트)아크릴산히드록시옥틸, (메트)아크릴산히드록시헥실, (메트)아크릴산히드록시부틸, (메트)아크릴산히드록시프로필, (메트)아크릴산히드록시에틸 등을 들 수 있다. 수산기는, 알킬쇄의 말단에 위치하고 있어도 좋고, 알킬쇄의 중간에 위치하고 있어도 좋다.
(메트)아크릴 중합체를 형성하는 (메트)아크릴 모노머는, 상기 어느 1종이어도 좋고, 2종 이상의 조합이어도 좋다.
가교제로는,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 에폭시계 가교제, 금속 킬레이트계 가교제, 금속 알콕시드계 가교제, 카르보디이미드계 가교제, 옥사졸린계 가교제, 아지리딘계 가교제, 멜라민계 가교제 등을 들 수 있다. 가교제는, 이들의 1종을 단독으로 이용해도 좋고,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이용해도 좋다.
점착제 조성물에는, (메트)아크릴 중합체, 가교제 이외에 기타 첨가제를 포함해도 좋다. 그 밖의 첨가제로는, 가교 촉진제, 가교 지연제, 점착성 부여 수지(tackifier), 대전 방지제, 실란 커플링제, 가소제, 박리 조제, 안료, 염료, 습윤제, 증점제, 자외선 흡수제, 방부제, 산화 방지제, 금속 불활성제, 알킬화제, 난연제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점착제의 용도나 사용 목적에 따라서 적절하게 선택하여 사용된다.
점착제층(28)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1∼10 μm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2∼7 μm의 범위 내이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해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전혀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가지 개변이 가능하다.
예컨대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기재 필름(12)의 표면에 표면 처리를 해도 좋다고 기재하고 있지만, 표면 처리 대신에, 기재 필름(12)의 표면에 이접착층을 형성하는 구성이어도 좋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대직경 입자(18)의 평균 입자 직경이 제1 수지층(14)의 평균 두께 이상이며, 대직경 입자(18)에 의해 제1 수지층(14)에 표면 요철을 형성하는 것이 기재되어 있지만, 예컨대 대직경 입자(18)에 표면 처리를 하거나 계면 활성제를 병용함으로써 대직경 입자(18)의 표면 자유 에너지를 작게 하고, 제1 수지층(14)의 표면에 대직경 입자(18)를 편재시키고, 대직경 입자(18)에 의해 제1 수지층(14)에 표면 요철을 형성하는 등, 대직경 입자(18)의 평균 입자 직경이 제1 수지층(14)의 평균 두께 미만이라 하더라도, 대직경 입자(18)에 의해 제1 수지층(14)에 표면 요철을 형성하는 것은 가능하다.
또한, 도 1에 도시하는 제1 실시형태의 반사 방지 필름(10)은, 기재 필름(12), 하드코트층(16), 제1 수지층(14)을 이 순으로 갖는 구성이지만, 본 발명에 관한 반사 방지 필름은, 예컨대, 반사 방지 필름(10)의 하드코트층(16)과 제1 수지층(14) 사이에, 하드코트층(16)과 제1 수지층(14)의 두 층보다 굴절률이 높은 고굴절률층을 갖는 것이어도 좋다. 굴절률은, 측정 파장 589.3 nm에서의 굴절률이다. 고굴절률층은, 하드코트층(16)에 이용한 재료와 동일한 재료를 이용할 수 있다. 고굴절률층의 측정 파장 589.3 nm에서의 굴절률은, 바람직하게는 1.55∼1.80의 범위 내, 보다 바람직하게는 1.60∼1.70의 범위 내이다. 고굴절률층의 두께는, 굴절률에 따라서 다르지만, 예컨대 50 nm 이상 200 nm 이하의 범위 내로 함으로써 반사 방지 기능을 더욱 높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보호 필름(32)은,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도 3에 도시하는 제3 실시형태의 반사 방지 필름(30)에 추가하는 형태로 나타내고 있지만, 도 1에 도시하는 제1 실시형태의 반사 방지 필름(10)이나, 도 2에 도시하는 제2 실시형태의 반사 방지 필름(20)에 추가하는 형태이어도 좋다.
그리고, 기재 필름(12)의 표면에는, 각 층을 형성하기 전에, 가스 배리어성 향상층, 대전 방지층, 올리고머 블록층 등의 각종 기능층을 미리 형성해도 좋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를 이용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하드코트층 형성용 조성물 1의 조제>
자외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 Z-735-3L(아이카 공업 제조, (메트)아크릴 수지, 용제(MEK, EtAc), 고형분 농도 50 질량%)를, 고형분 농도 37 질량%가 되도록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PGM)를 가하여, 하드코트층 형성용 조성물 1을 조제했다.
<하드코트층 형성용 조성물 2의 조제>
자외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 Z-607-5HL(아이카 공업 제조, (메트)아크릴 수지, 용제(MEK, 아세트산부틸,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고형분 농도 40 질량%)을, 고형분 농도 25 질량%가 되도록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PGM)를 가하여, 하드코트층 형성용 조성물 2를 조제했다.
<하드코트층 A의 제작>
기재 필름(도요보 제조 PET 필름, 「코스모샤인 SRF」, 두께 80 μm)에 #10의 와이어바를 이용하여 하드코트층 형성용 조성물 1을 도포하고, 80℃×60초로 건조후, 무전극(마이크로파 방식) 램프를 이용하여 광량 80 mJ/㎠의 자외선을 조사하여 하드코트층 A(두께 4.3 μm)를 형성했다.
<하드코트층 B의 제작>
기재 필름(에스카보시트 제조, PMMA와 PC의 2층으로 이루어진 복합 필름, 「테크놀로이 C003」, 두께 200 μm)의 PMMA층 위에, #12의 와이어바를 이용하여 하드코트층 형성용 조성물 2를 도포하고, 110℃×60초로 건조후, 160 W 고압 수은 램프를 이용하여 광량 200 mJ/㎠의 자외선을 조사하여 하드코트층 B(두께 3.5 μm)를 형성했다.
<제1 수지층 형성용 조성물의 조제>
표 1에 기재된 배합 조성(전체 고형분 중의 질량%)으로 각 성분을 배합하고, 용제를 이용하여 고형분 농도 3 질량%로 조정하는 것에 의해, 제1 수지층 형성용 조성물을 조제했다.
<반사 방지 필름의 제작>
하드코트층의 면 위에, 제1 수지층 형성용 수지 조성물을, #5의 와이어바를 이용하여 도포하고, 80℃×60초로 건조후, 질소 분위기하, 무전극(마이크로파 방식) 램프를 이용하여 광량 80 mJ/㎠의 자외선을 조사하여 제1 수지층(두께 0.1 μm)을 형성했다. 이상에 의해 반사 방지 필름을 제작했다.
제1 수지층 형성용 조성물의 재료로서 이용한 재료는 이하와 같다.
·바인더 수지 : 다작용 아크릴레이트(디펜타에리트리톨헥사아크릴레이트)
·광중합 개시제 : BASF 재팬 제조 「IRGACURE127」
·대직경 입자(중실 실리카 입자) : 평균 입자 직경 100 nm
·중공 실리카 입자 : 닛키 촉매 화성 공업 제조 「슬라리아 4320」, 평균 입자 직경 60 nm
·폴리실록산 : 아이카 공업 제조 「레벨링제 F」, 에테르 변성 폴리실록산
·함불소 화합물 : 퍼플루오로알킬기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신에츠 화학 제조 「KY-1203」의 함불소 화합물)
제작한 반사 방지 필름에 관해, 제1 수지층의 표면의 마찰계수(μs, μk), 제1 수지층의 표면의 산술 평균 거칠기(Ra)를 측정하고, 반사 방지 필름 전체의 헤이즈(Hz) 및 시감 반사율을 측정했다. 측정 방법은 이하에 나타낸 바와 같다. 측정 결과 및 제1 수지층의 조성을 합쳐서 표 1에 나타낸다. 또한, 실시예 1과 비교예 3에 관해, 제1 수지층의 표면의 SEM 사진을 도 5에 도시한다. 도 5의 (a)는, 실시예 1의 SEM 사진이며, 도 5의 (b)는, 비교예 3의 SEM 사진이다.
(정마찰계수 및 동마찰계수)
정동마찰 측정기(트리니티라보 제조 「트라이보마스터 TL201Ts」)를 이용하여, 제1 수지층의 표면과 촉각 접촉자의 마찰력으로부터 제1 수지층의 표면의 정마찰계수 μs 및 동마찰계수 μk를 얻었다. 측정 조건은, 하중 50 g, 속도 10 mm/s, 거리 30 mm로 했다.
(산술 평균 거칠기 Ra)
미쓰비시 케미컬 시스템 제조 「비접촉 표면·층단면 형상 계측 시스템 Vert Scan2.0(모델 : R5300GL-L-A100-AC)」을 이용하여, 제1 수지층의 표면의 산술 평균 거칠기 Ra를 측정했다.
(헤이즈)
니뽄덴쇼쿠 공업 제조 「Haze Meter NDH7000」를 이용하여, JIS-K7136의 방법으로, 반사 방지 필름 전체의 헤이즈를 측정했다.
(시감도 반사율)
제작한 반사 방지 필름의 이면(제1 수지층과는 반대측의 면)을 #400의 샌드페이퍼로 거칠게 하여 흑색 도료로 전면에 칠하고, 자외 가시 근적외 분광 광도계(시마즈 제작소사 제조 「UV-3600」)를 이용하여 제1 수지층의 표면의 5° 정반사율을 측정하고, 이 측정치에 비시감도값을 곱하여 시감도 반사율을 산출했다.
(층두께)
하드코트층, 제1 수지층의 각 두께는, 필메트릭스 제조 「Filmetrics F20 막두께 측정 시스템」을 이용하여, 분광 간섭법에 의해 측정했다.
[표 1]
Figure pct00001
실시예 및 비교예로부터, 기재 필름의 면 위에 형성된 제1 수지층이, 제1 수지층의 표면에 볼록부를 형성하는 대직경 입자(중실 실리카 입자)와 그 대직경 입자보다 평균 입자 직경이 작은 중공 실리카 입자를 포함함으로써, 손가락을 슬라이드시키는 조작을 시작할 때 걸리는 느낌을 느끼지 않고 가볍게 조작할 수 있고, 투명성도 우수하다. 또한, 제1 수지층이 중공 실리카 입자를 포함하기 때문에, 제1 수지층의 굴절률이 낮고, 우수한 반사 방지 기능을 갖는 것을 알 수 있다.
비교예 1은, 제1 수지층에 대직경 입자(중실 실리카 입자)와 중공 실리카 입자가 모두 포함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폴리실록산을 함유하고 있더라도, μk, μs가 모두 값이 높아, 손가락 슬라이딩성이 떨어진다. 비교예 2는, 제1 수지층에 대직경 입자(중실 실리카 입자)가 포함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μs의 값과 μk의 값이 모두 높아, 손가락 슬라이딩성이 떨어진다. 비교예 3은, 제1 수지층에 중공 실리카 입자가 포함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헤이즈가 높아 투명성이 떨어진다.
그리고, 실시예 1, 8, 10의 비교에서는, 제1 수지층이 폴리실록산을 더 함유함으로써, μs의 값이 향상되어, 손가락 슬라이딩성이 향상되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도 5의 (a)(b)로부터, 제1 수지층에서의 대직경 입자(중실 실리카 입자)의 함유량이 동일한 실시예 1과 비교예 3의 SEM 사진을 비교하면, 중공 실리카 입자와 함께 대직경 입자(중실 실리카 입자)를 갖는 실시예 1에서는, SEM 사진에 있어서 휘점으로서 관측되는 대직경 입자(중실 실리카 입자)의 휘점이 적게 보이고, SEM 사진에 있어서 미소한 입자로서 관측되는 중공 실리카 입자에 의해, 대직경 입자(중실 실리카 입자)의 응집이 억제되어 있기 때문으로 추찰된다. 한편, 중공 실리카 입자를 포함하지 않는 비교예 3에서는, SEM 사진에 있어서 휘점이 크게 관측되어 있고, 응집한 대직경 입자(중실 실리카 입자)가 집단을 더 형성하고 있다. 이것으로부터, 중공 실리카 입자는, 대직경 입자(중실 실리카 입자)의 분산성의 향상에도 기여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해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전혀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가지 개변이 가능하다.
10, 20, 30, 40 : 반사 방지 필름
12 : 기재 필름
14 : 제1 수지층
16 : 하드코트층
18 : 대직경 입자
22 : 중공 실리카 입자
24 : 투명 점착층
26 : 박리 필름
28 : 점착제층
32 : 보호 필름

Claims (11)

  1. 터치 패널의 디스플레이 표면에 배치되는 터치 패널용의 반사 방지 필름으로서,
    기재 필름과, 상기 기재 필름의 면 위에 형성된 제1 수지층을 가지며,
    상기 제1 수지층이, 상기 제1 수지층의 표면에 볼록부를 형성하는 대직경 입자와, 상기 대직경 입자보다 평균 입자 직경이 작은 중공 실리카 입자와, 바인더 수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 방지 필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직경 입자의 함유량이, 상기 제1 수지층의 전량 기준으로 1.0∼3.5 질량%의 범위 내이며,
    상기 중공 실리카 입자의 함유량이, 상기 제1 수지층의 전량 기준으로 30∼70 질량%의 범위 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 방지 필름.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대직경 입자는, 중실 입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 방지 필름.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대직경 입자는, 무기 산화물 입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 방지 필름.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대직경 입자의 평균 입자 직경이 상기 제1 수지층의 평균 두께 이상이며, 상기 중공 실리카 입자의 평균 입자 직경이 상기 제1 수지층의 평균 두께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 방지 필름.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지층이 폴리실록산을 더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 방지 필름.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실록산의 함유량이, 상기 제1 수지층의 전량 기준으로 0.05∼25 질량%의 범위 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 방지 필름.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 필름과 상기 제1 수지층의 사이에 하드코트층을 더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 방지 필름.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지층의 면 위에, 점착제층을 통해 보호 필름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 방지 필름.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 필름의 상기 제1 수지층과는 반대의 면 위에 투명 점착층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 방지 필름.
  11. 터치 패널의 디스플레이 표면에 배치되는 터치 패널용의 반사 방지 필름의 제조 방법으로서,
    기재 필름의 면 위에 제1 수지층을 형성하는 공정을 가지며,
    상기 제1 수지층이, 상기 제1 수지층의 표면에 볼록부를 형성하는 대직경 입자와, 상기 대직경 입자보다 평균 입자 직경이 작은 중공 실리카 입자와, 바인더 수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 방지 필름의 제조 방법.
KR1020217023508A 2018-12-26 2019-12-19 반사 방지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KR2021010779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8-243426 2018-12-26
JP2018243426 2018-12-26
PCT/JP2019/049792 WO2020137786A1 (ja) 2018-12-26 2019-12-19 反射防止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7798A true KR20210107798A (ko) 2021-09-01

Family

ID=711286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23508A KR20210107798A (ko) 2018-12-26 2019-12-19 반사 방지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3904078A4 (ko)
JP (1) JP7299631B2 (ko)
KR (1) KR20210107798A (ko)
CN (1) CN113226742A (ko)
WO (1) WO202013778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77320A1 (ja) * 2020-03-03 2021-09-10 デクセリアルズ株式会社 画像表示装置の製造方法
KR102621489B1 (ko) * 2021-02-26 2024-01-09 율촌화학 주식회사 저반사 코팅층을 포함하는 저반사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WO2022230789A1 (ja) * 2021-04-30 2022-11-03 三菱瓦斯化学株式会社 反射防止フィルム及びそれを用いた樹脂成形品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070195B2 (ja) 2011-01-14 2017-02-01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反射防止フィルム、反射防止フィルムの製造方法、偏光板及び画像表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452309B1 (en) * 2001-12-10 2012-03-21 Teijin Dupont Films Japan Limited Adhesive polyester film for optical use
JP2005004163A (ja) * 2002-09-30 2005-01-06 Fuji Photo Film Co Ltd 光学機能性フィルム、偏光板及び画像表示装置
TWI388876B (zh) * 2003-12-26 2013-03-11 Fujifilm Corp 抗反射膜、偏光板,其製造方法,液晶顯示元件,液晶顯示裝置,及影像顯示裝置
WO2007058093A1 (ja) * 2005-11-21 2007-05-24 Konica Minolta Opto, Inc. 光学フィルムの処理方法、光学フィルムの処理装置及び光学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2007322877A (ja) 2006-06-02 2007-12-13 Dainippon Printing Co Ltd 光学積層体
KR20090118724A (ko) * 2008-05-14 2009-11-18 도레이새한 주식회사 내찰상성 및 표면 슬립성이 우수한 반사방지필름
EP2592119B1 (en) * 2010-07-08 2016-04-13 LG Chem, Ltd. Antireflection film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JP2013008025A (ja) 2011-05-26 2013-01-10 Jsr Corp 反射防止用積層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硬化性組成物
CN103732390B (zh) 2011-08-16 2015-07-01 三菱丽阳株式会社 带保护膜的微细凹凸结构体及其制造方法
JP6268692B2 (ja) 2012-09-14 2018-01-31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光学積層体、偏光板及び画像表示装置
KR102083679B1 (ko) * 2013-01-25 2020-03-02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정전용량방식 터치패널용 고투과 복합필름
JP2015176466A (ja) * 2014-03-17 2015-10-05 東レフィルム加工株式会社 タッチパネル用透明導電性フィルムのベースフィルムおよびタッチパネル用透明導電性フィルム
JP6661286B2 (ja) 2014-06-30 2020-03-11 三星電子株式会社Samsung Electronics Co.,Ltd. 樹脂膜、光学部材および偏光部材
TWI728053B (zh) * 2016-03-02 2021-05-21 日商琳得科股份有限公司 硬殼劑以及積層膜
JP2017181694A (ja) 2016-03-29 2017-10-05 東ソー株式会社 反射防止膜及び反射防止膜形成用コーティング液
JP6971558B2 (ja) 2016-10-26 2021-11-24 日東電工株式会社 透明導電性フィルム及びタッチ機能付き表示装置
JP6884045B2 (ja) * 2017-06-13 2021-06-09 リンテック株式会社 防眩性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及び防眩性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の製造方法
CN114690921A (zh) 2020-12-25 2022-07-01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面板、显示装置及制作显示面板的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070195B2 (ja) 2011-01-14 2017-02-01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反射防止フィルム、反射防止フィルムの製造方法、偏光板及び画像表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7299631B2 (ja) 2023-06-28
CN113226742A (zh) 2021-08-06
EP3904078A4 (en) 2022-03-02
WO2020137786A1 (ja) 2020-07-02
EP3904078A1 (en) 2021-11-03
JPWO2020137786A1 (ko) 2020-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53520B2 (en) Display device with capacitive touch panel, capacitive touch panel
TWI756760B (zh) 抗反射膜
JP6328984B2 (ja) 両面透明導電性フィルムおよびタッチパネル
JP6115650B2 (ja) 光学用シートおよび導電性シート、並びに前記光学用シートを備える表示装置
KR20210107798A (ko) 반사 방지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CN111531973A (zh) 硬涂膜和硬涂膜卷绕体
KR20140027440A (ko) 투명 도전성 필름 및 터치 패널
KR102099677B1 (ko) 적층체, 도전성 적층체, 터치패널, 도료 조성물, 및 상기 도료 조성물을 사용하는 적층체의 제조 방법
JP6325324B2 (ja) 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ハードコート層形成用塗工液および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2018128541A (ja) 反射防止光学フィルム及び低屈折率層用組成物
TWI828895B (zh) 轉印片及其製造方法、使用該轉印片之成形體之製造方法與成形體、以及使用該成形體之前面板與影像顯示裝置
JP2013022843A (ja) 透明導電性フィルムおよびタッチパネル
TW201441064A (zh) 加飾用轉印薄膜
JP5825055B2 (ja) 反射防止体、静電容量式タッチパネルおよび静電容量式タッチパネル付き表示装置
JP4351450B2 (ja) 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6288666B2 (ja) ハードコート転写媒体
JP6003550B2 (ja) 成形材料および成形材料の製造方法
CN113242792B (zh) 透明导电层形成用基材、透明导电性膜、触摸面板以及透明导电层形成用基材的制造方法
JP2022189257A (ja) 防眩性反射防止フィルム、防眩性反射防止フィルムの評価方法、および防眩性反射防止フィルム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