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06936A - 발가락 보호장치 - Google Patents

발가락 보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06936A
KR20210106936A KR1020210109150A KR20210109150A KR20210106936A KR 20210106936 A KR20210106936 A KR 20210106936A KR 1020210109150 A KR1020210109150 A KR 1020210109150A KR 20210109150 A KR20210109150 A KR 20210109150A KR 20210106936 A KR20210106936 A KR 202101069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e
enclosure
toes
protection device
blist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091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해하
Original Assignee
김해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해하 filed Critical 김해하
Priority to KR10202101091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06936A/ko
Publication of KR202101069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693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6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specially adapted for feet or legs; Corn-pads; Corn-rings
    • A61F13/064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specially adapted for feet or legs; Corn-pads; Corn-rings for feet
    • A61F13/068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specially adapted for feet or legs; Corn-pads; Corn-rings for feet for the to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19Toe correcting or spread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1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with shock-absorb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6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specially adapted for feet or legs; Corn-pads; Corn-r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102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 A61F5/0127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for the fee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30Pressure-pad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06Knee or foo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urs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 Socks And Pantyhose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발가락 보호장치에는, 발가락이 끼워지는 개공을 가지고 발가락의 분기부에 대응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반대쪽에 놓이는 끝단: 및 상기 베이스와 상기 끝단의 사이에서, 중공으로 발가락의 외면을 면접하여 둘러싸고, 하측부가 두껍게 제공되어 발가락의 물집후보에 가해지는 토션힘을 흡수하는 엔클로저가 포함되고, 연질의 재질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발가락 끝단부의 측부하측에 발생하는 물집을 방지하고 신속하게 제거할 수 있다.

Description

발가락 보호장치{Protecting device for toe}
본 발명은 발가락 보호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발가락 생기는 물집을 방지하는 발가락 보호장치에 관한 것이다.
등산 및 트래킹 등과 같은 장시간 보행 및 격렬한 운동시에는 발의 다양한 개소에 물집이 생긴다. 예를 들어 발의 하면에 맞지 않은 새로운 신발인 경우에는 발바닥에 물집이 생기고, 신발이 너무 작거나 헐렁한 경우에는 발뒷꿈치에 물집에 생긴다.
발뒷꿈치에 생기는 물집을 예방하는 특허로서 대한민국공개특허번호 20150029603, 암벽화전용 사이드 보정패드의 제조방법 등과 같은 기술에는 발뒷꿈치를 보호하는 기술에 제시된 바가 있다.
보행의 불편함을 초래하는 또 하나의 요인으로서 발가락에 발생하는 물집이 있다. 이후에는 이를 발가락 물집이라고 한다. 상기 발가락 물집은 발을 디딜 때마다 불편을 야기하기 때문에 보행자의 큰 불편을 일으킴에도 불구하고 이들 문제를 개선하는 기술은 발가락에 손가락에 맞는 골무를 끼우는 기술만이 인터넷에 소개될 뿐이다. 이들 발가락 골무는 발가락의 부러짐을 보호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에 지나지 않는다.
대한민국공개특허번호 20150029603, 암벽화전용 사이드 보정채드의 제조방법
본 발명은 상기되는 배경하에서 제안되는 것으로서, 발가락에 생기는 물집을 예방할 수 있고, 이미 생긴 물집을 고통없이 제거할 수 있는 발가락 보호장치를 제안한다.
본 발명은 환부가 있는 발가락만 아니라 인접하는 다른 발가락에 대해서도 이물감을 주지 않고 편안하게 사용할 수 있는 발가락 보호장치를 제안한다.
본 발명은 환자와 환부에 적응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발가락 보호장치를 제안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발가락 보호장치에는, 발가락이 끼워지는 개공을 가지고 발가락의 분기부에 대응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반대쪽에 놓이는 끝단: 및 상기 베이스와 상기 끝단의 사이에서, 중공으로 발가락의 외면을 면접하여 둘러싸고, 하측부가 두껍게 제공되어 발가락의 물집후보에 가해지는 토션힘을 흡수하는 엔클로저가 포함되고, 연질의 재질로 제공된다.
이에 따르면, 상기 물집후보에 직접 가하여지는 토션힘이 엔클로저가 흡수하여 발가락, 특히 표피 부분에 가하여지는 변형은 없으므로 발가락 끝단의 하측 측면부에 물집이 생기지 않을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하측부는 발가락의 발가락 내측의 아래와 대응되는 부분으로서, 발가락이 밀리는 부분에서 대응하여 엔클로저가 두꺼워짐으로써 그 부분이 토션힘을 흡수하는 동작, 발가락의 연질세포조직을 대신하여 변형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 엔클로저의 내측에는, 상기 물집후보와 대응되는 면에서 안쪽으로 융기되어 해당하는 부분의 상기 엔클로저 두께를 크게 하는 돋움부가 형성됨으로써, 엔클로저의 내측부의 형상을 변형하여, 물집이 생긴 부분을 교정할 수 있고, 특정부위의 엔클로저를 더 두껍게 할 수 있다. 발바닥이 보행방향에서 많이 휘어 있거나 좋지 않은 보행습관을 가지는 사람의 경우에 발가락의 물집을 교정할 수도 있다.
상기 엔클로저의 아래에는, 상기 물집후보에 가해지는 토션힘을 흡수하기 위하여 인접하는 인접발가락으로 연장되는 날개부가 제공됨으로써, 본 발명이 착용되는 곳과 인접하는 발가락에 미치는 영향을 줄일 수 있고, 나아가서 인접하는 발가락의 물집도 함께 예방할 수 있다. 이는 주로 어느 하나 또는 두개의 발가락에 집중적으로 발생하는 발가락 물집을 한꺼번에 효과적으로 막을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 날개부에는, 상기 인접발가락의 측면부의 적어도 일부가 놓이도록, 상기 엔클로저와는 다르게 그 상면이 위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제 1 안착부가 포함되고, 상기 제 1 안착부로부터 상기 인접발가락의 하측부까지 연장되고, 에지로 갈수록 얇게 제공되고, 상기 인접발가락의 외형을 가이드하는 제 2 안착부가 포함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인접발가락에 미치는 영향을 무시할 수 있고, 본 장치가는 회전하는 등의 영향을 방지할 수 있고, 장착감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상기 날개부는 상기 엔클로저의 양측에 각각 제공되는 경우에는 본 장치의 회전을 더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고, 인접 발가락에도 물집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날개부의 중심을 잊는 선은 상기 엔클로저의 연장방향과 수직을 이루지 않도록 하여, 발가락의 형상에 충분히 대응할 수 있다.
한편, 강도를 보강하기 위한 보강부재가 상기 엔클로저의 일측에 마련됨으로써, 장착감을 높이고, 회전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걸음의 누적으로 인하여 발생할 수 있는 발가락의 물집을 방지할 수 있고, 이미 발생한 물집은 신속하게 제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물집이 생긴 발가락에 장착 시에 인접하는 다른 발가락에 대하여 이물감이 없고, 인접하는 다른 발가락의 불편도 제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걸음누적으로 인하여 물집이 생기는 이치를 파악하여 이에 대한 개선을 통하여, 환부에만 적응적으로 기능이 부여됨으로써, 사용에 불편함이 없다.
도 1은 오른발의 끝단에 발가락이 보이는 부위는 개략적으로 보이는 도면.
도 2는 토션힘이 가하여질 때 오른쪽 발 각각의 발가락에 가하여지는 힘의 방향을 보이는 도면.
도 3은 토션힘에 의해서 발가락이 변형되는 곳을 설명하는 도면.
도 4는 보행으로 인한 발가락 연질세포조직의 변형상태를 보이는 도면.
도 5는 실시예에 따른 발가락 보호장치의 사시도.
도 6과 도 7에서 발가락 보호장치의 단면도로서 보호장치의 주된 작용을 설명하는 도면.
도 8의 두 개의 날개부가 있는 발가락 보호장치의 평면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사상은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및 추가 등에 의해서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실시예의 설명에 앞서 발가락에 생기는 물집의 요인에 대하여 발명자가 연구한 결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제 1 요인으로서, 사람은 직립보행을 하기 때문에 큰 하중이 단일의 발에 가하여지고, 걸음을 옮기는 동작 중에 특정한 시점에는 모든 하중이 발가락에 집중된다. 예를 들어, 어느 한 발의 발가락에는, 다른 발의 뒷꿈치가 발에 닫기 직전에는 가장 큰 하중이 가하여진다.
제 2 요인으로서, 사람의 발은 일직선으로 나란하지 않고, 소정의 각도로 바깥쪽을 향하여 두 발은 경사지게 놓이는 경우가 많다. 이는 무게중심의 확장 및 기립자세에서의 유지를 위하여 안정된 효과를 가질 수는 있지만, 발가락에 있어서는 동적인 특성을 유발하고 발가락에 더욱 피로를 가중시키는 문제로 작용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 2 요인은 보행자가 진행하는 방향과 발이 향하는 방향의 불일치를 만들어 내고, 발가락이 전체로서 일방향으로 밀리는 힘을 만들어 낸다.
상세하게는, 제 1 요인이 가장 크게 작용하는 순간, 즉, 다른 발의 뒷꿈치가 발에 닫기 직전으로서, 어느 한 발가락에 최대의 힘이 가하여지는 순간(이하에서는 최대토션순간이라고 한다)에는 발가락이 밀리는 힘이 가장 크게 작용할 수 있다. 이때 힘의 방향은, 발목을 중심으로 발바닥이 진행방향의 바깥쪽으로 회전하는 토션힘(torsional force)을 발생시킨다. 따라서, 오른쪽 발은 위에서 볼 때 시계방향의 토션이 발생하고, 왼쪽 발에는 위에서 볼 때 반시계방향의 토션이 발생한다. 이와 같은 현상은 사람의 신체구조에 있어서 특징적으로 나타날 수 있는 현상이다.
상기 최대토션순간은 발가락에 반복적인 충격을 만들어 내고 결국 발가락에 물집을 발생시키는 요인이 된다.
도 1은 오른발의 끝단에 발가락이 보이는 부위는 개략적으로 보이는 도면이다.
한편, 모든 도면의 시점은 객관적 관찰자 기준이 아니라 발가락에 물집이 있는 사람의 시점을 기준으로 하였다. 따라서, 도면을 이해함에 있어서, 발가락의 단면을 진행방향의 뒷쪽에서 관찰하는 도면으로 이해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1은 가장 큰 발가락이고 5는 가장 작은 발가락이다. 또한, 화살표에 있어서 점선은 보행시의 진행방향을 나타내고, 실선은 토션힘의 방향이다.
도 2는 상기 토션힘이 가하여질 때 오른쪽 발 각각의 발가락에 가하여지는 힘의 방향을 나타낸다. 도 2를 참조하면, 사람이 보행할 때, 바닥(6)에 닿아서 발생하는 토션힘은 발가락이 오른쪽으로 밀리는 힘을 야기한다. 이때, 발가락의 중앙에는 발가락 뼈가 있기 때문에, 결국 발가력 뼈를 둘러싸는 연질세포조직이 변형할 수 밖에 없다.
도 3은 상기 토션힘에 의해서 발가락이 변형되는 위치를 나타내는 부분으로서, 도 3을 참조하면 해칭된 부분은 토션힘이 가하여질 때 각 발가락의 연질세포조직이 변형되어 채워지는 곳을 나타낸다. 다시 말하면, 상기 토션힘이 가하여질 때는 헤칭된 곳으로 상기 연질세포조직이 채워지고, 토션힘이 없을 때에는 발가락이 다시 원상태로 돌아간다.
이러한 보행동작이 반복되면 결국에는 발가락의 연질세포조직이 변형된다. 특히, 표피세포는 박리가 발생하여 체액이 누설되고 발가락 물집이 생기게 된다. 여기서 상기 발가락 물집은 발가락의 가장 끝마디에 주로 발생하게 된다. 해당하는 부분에 상기 제 1 요인 및 상기 제 2 요인에 의해서 하중이 집중하기 때문이다.
도 4는 계속되는 보행으로 인하여 발가락의 연질세포조직이 변형된 상태를 보이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각 발가락에 가하여지는 반복하중이 발가락의 연질세포조직의 변형을 만들어 내고, 물집후보(21)(31)(41)(51)가 발생한 것을 볼 수 있다. 상기 물집후보 중에서 실제로 물집까지 발전하는 것은, 사람의 보행습관이나 외과적 형태에도 의존하지만, 주로 네번째 발가락(4) 및 세번째 발가락(3)에서 볼 수 있다.
여기서, 물집후보는 발가락 끝단의 바로 밑에 위치하는 볼록한 부분이 해당한다. 예를 들어, 발가락 끝단 뼈의 첫번째 관절이 놓이는 부분과 인접할 수 있다. 물론 사람마다 물집후보의 정확한 위치는 약간씩 달라질 수 있지만, 끝단의 바로 안쪽에 놓이는 것은 알 수 있다. 본 개시에서 물집후보의 위치는 명세서의 내용을 흐르는 중요한 포인트로서, 본 개시의 내용에 의해서만 정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발가락에 물집에 발생한 다음에는 보행자에게 큰 불편을 야기하기 때문에 더 운동을 할 수 없는 지경에 이르게 된다.
실시예는 상기되는 배경하에서 제안되는 것으로서, 발가락에 물집이 발생하지 않거나 발생한 물집도 통증없이 편안하게 제거할 수 있는 발가락 보호장치라고 할 수 있다.
도 5는 실시예에 따른 발가락 보호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발가락 보호장치는 발가락이 끼워지기 시작하는 입구단으로서 개공(100)을 가지는 베이스와, 상기 입구단의 반대쪽에 제공되는 끝단(110)과, 상기 베이스와 끝단(110)의 사이에 발가락을 둘러싸는 엔클로저(120)가 포함된다. 상기 엔클로저의 내부는 비어 있어서 발가락이 상기 엔클로저의 안으로 들어가서 그 내면이 발가락에 면접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발가락 보호장치의 재질은 연질의 실리콘 등과 같은 재질이 바람직하다.
사용자는 상기 개공(100)을 통하여 발가락을 끼워넣고, 상기 베이스가 발가락이 서로 분지되는 밑단에 닿도록 삽입할 수 있다. 즉, 상기 발가락 보호장치의 전체 길이(L1)는 각 발가락의 길이와 비슷하게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끝단(110)은 닫혀있을 수도 있고, 열려있을 수도 있다. 상기 끝단(110)이 열려있는 경우에는, 통풍, 및 발가락 간섭에 의한 이물감 축소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 끝단(110)이 닫혀있는 경우에는, 발가락의 보호장치의 삽입위치를 더 정확하게 정하고, 보행중에도 위치가 변하지 않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상기 발가락 보호장치의 엔클로저(120)의 형상은, 베이스단(S1)과 팁(S3)은 발가락의 원래 형상과 동일하게 제공될 수 있다. 이에 반하여 대략 가운데의 작용 부분(S2)은 물집후보(21내지 51)를 안쪽으로 밀어들일 수 있도록 돋움부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돋움부는 엔클로저(120)의 내부에서 왼쪽 아랫부분이 해당할 수 있다. 도 6과 도 7에서 실선으로 헤칭된 엔클로저 내부 공간의 왼쪽 아랫부분이 그에 해당할 수 있다.
상기 돋움부는 상기 발가락 물집이 생기는 위치에서 발가락 물집을 일으키는 밀림 현상이 발가락까지는 미치지 못하도록 발가락 내측의 아래와 대응되는 엔클로저를 두껍게 하기 위한 일방편이 된다.
상기 돋움부는 상기 토션힘이 가하여지더라도 상기 물집후보를 애초에 없애는 역할을 수행하고, 이미 생긴 물집에 대하여는 전체 범위로 약한 압박을 가하여 신속하게 물집이 제거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발가락 보호장치의 엔클로저(120)의 직경은, 베이스단(S1)과 팁(S3)에 비하여, 상기 작용부분(S2)이 가장 크게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작용부분(S2)의 내부에는 상기 돋움부가 제공될 뿐만 아니라, 그 외부에도 발가락을 물집후보가 물집으로 되는 현상을 막기 위하여 날개부(121)(122)가 제공된다.
도 6은 어느 실시예에 따른 작용부분의 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물집후보가 발생하는 측의 인접발가락과 발가락 보호장치가 장착되는 발가락의 사이에서, 상기 엔클로저의 두께는 두껍게 제공되어 토션힘을 상기 엔클로저가 흡수하여 물집후보가 물집이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발가락에 물집이 생기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엔클로저가 두껍게 되는 부분은 물집후보가 놓이는 곳과 대응되는 곳으로서, 엔클로저의 좌우측의 하부가 해당할 수 있다.
상기 엔클로저(120)의 내측에는 돋움부가 다른 부분에 비하여 융기되는 형상으로 제공된다. 상기 돋움부의 바깥쪽으로는 하나의 날개부(121)가 외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상기 날개부(121)는 상기 엔클로저의 하측부에 제공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날개부(121)는 돋움부의 바깥쪽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날개부는 상기 발가락 물집이 생기는 위치에서 발가락 물집을 일으키는 밀림 현상이 발가락까지는 미치지 못하도록 엔클로저를 두껍게 하기 위한 일방편이 된다.
상기 날개부(121)는 바깥쪽으로 갈수록 얇아지는 형상으로서 인접하는 발가락이 이물감이 없이 편안하게 놓일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날개부(121)와 상기 돋움부의 사이에 두껍게 제공되는 부분은 상기 토션힘이 가하여질 때 변형을 흡수하는 부분으로 작용할 수 있다. 따라서, 발가락에서 물집후보(21 내지 51)는 처음부터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날개부(121)의 하면은 편평하게 제공될 수 있다.
위와 같은 특징을 더 얻기 위하여, 상기 날개부(121)의 상측부는 변곡방향이 엔클로저의 다른 부분과는 반대쪽으로 위로 오목하고 인접발가락의 측면부가 놓이는 제 1 안착부(124)를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 1 안착부(121)와 상기 돋움부의 사이 두께는 두껍게 마련되어 발가락의 물집후보에는 변형이 가하져지지 않고, 물집이 생기지 않을 수 있다. 상기 날개부(121)는 에지부로 갈수록 얇게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날개부(121)의 하측부는 인접하는 발가락의 하측부까지 연장되는 제 2 안착부(123)를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제 2 안착부(123)가 인접하는 발가락의 외형과 유사한 곡면으로 제공되어 변형을 가이드하여, 인접하는 발가락의 물집후보의 반대쪽에 생길 수 있는 물집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날개부(121)의 형상이 인접 발가락과 대응됨으로써, 상기 엔클로저(120)가 발가락에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참고로, 도면에서 점선 화살표는 인접하는 발가락을 나타낸다.
한편, 보강부재(140)는 연질로 제공되는 발가락 보호장치의 재질로 인하여, 상기 엔클로저가 틀어지거나 돌아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보강부재(140)는 상기 토션힘이 가하여지는 날개부를 보강하도록 비교적 경질의 플라스틱 판을 일부에 체결하거나, 엔클로저를 제공하는 연질부재 그 자체의 두께를 두껍게 하는 것에 의해서 달성될 수 있다.
도 7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작용부분의 단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여, 돋움부가 제공되는 반대쪽에도 상기 날개부가 제공되는 것이 특징으로 다르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다른 쪽 날개부(122)는 자기와 대응되는 발가락의 물집후보에 가하여지는 토션힘을 흡수하기 때문에, 하나의 발가락 보호장치로 두 개의 발가락에 발생하는 물집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두 날개부(121)(122)의 형상은 전체로서 동일하다고 할 수 있다.
상기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날개부(121)(122)의 형상은 서로 다른 것을 알 수 있는데, 이는, 날개부의 위치가 서로 다르기 때문이다. 도 8의 발가락 보호장치의 평면도를 참조하여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8을 참조하면, 발가락의 방향(일점쇄선)과 물집후보(21 내지 51)를 서로 잊는 방향(실선)은 서로 직각이 아닌, 각도 알파로 교차한다. 따라서, 날개부(121)(122)를 잊는 선은 그에 따라서 비슷듬히 제공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많은 보행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발가락의 물집을 편리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저렴한 비용으로 편리하게 제작할 수 있으므로 그 사용이 크게 기대된다고 할 수 있다.
엔클로저: 120
날개부 : 121, 122
안착부: 123, 124

Claims (4)

  1. 개공을 가지고 발가락의 분기부에 대응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반대쪽에 놓이는 끝단;
    발가락의 내측 아랫부분에 발생하는 물집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베이스와 상기 끝단과 연결되고 그 사이에서 상기 발가락을 감싸는 엔클로저; 및
    상기 발가락의 내측 아랫부분과 대응하는 상기 엔클로저의 일부는, 상기 발가락의 외측 아랫부분과 대응하는 상기 엔클로저의 일부보다, 상기 엔클로저의 벽두께가 두껍게 제공되는 돋움부가 포함되고,
    상기 발가락의 내측은 상기 발가락 중에서 엄지발가락을 바라보는 쪽이고,
    상기 발가락의 외측은 상기 발가락 중에서 새끼발가락을 바라보는 쪽이고,
    상기 발가락의 아랫부분은 발가락의 바닥이 닫는 발가락의 아래쪽이고,
    상기 돋움부는 보행시에 상기 발가락에 가하여지는 토션힘에 의한 상기 발가락의 연질세포조직의 변형을 흡수하는 발가락 보호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돋움부는 상기 엔클로저의 벽이 발가락을 향하는 안쪽으로 융기되어 제공되는 발가락 보호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엔클로저의 아래에는, 상기 물집후보에 가해지는 토션힘을 흡수하기 위하여 인접하는 인접발가락으로 연장되는 날개부가 제공되는 발가락 보호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엔클로저의 강도를 보강하기 위한 보강부재가 상기 엔클로저의 일측에 마련되는 발가락 보호장치.
KR1020210109150A 2018-11-22 2021-08-19 발가락 보호장치 KR2021010693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9150A KR20210106936A (ko) 2018-11-22 2021-08-19 발가락 보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5313A KR102293738B1 (ko) 2018-11-22 2018-11-22 발가락 보호장치
KR1020210109150A KR20210106936A (ko) 2018-11-22 2021-08-19 발가락 보호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5313A Division KR102293738B1 (ko) 2018-11-22 2018-11-22 발가락 보호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6936A true KR20210106936A (ko) 2021-08-31

Family

ID=70773901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5313A KR102293738B1 (ko) 2018-11-22 2018-11-22 발가락 보호장치
KR1020210109150A KR20210106936A (ko) 2018-11-22 2021-08-19 발가락 보호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5313A KR102293738B1 (ko) 2018-11-22 2018-11-22 발가락 보호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20007753A1 (ko)
JP (1) JP7153138B2 (ko)
KR (2) KR102293738B1 (ko)
WO (1) WO202010608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7951B1 (ko) 2020-12-18 2022-08-29 임희정 발가락 보호패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29603A (ko) 2014-11-06 2015-03-18 임시룡 암벽화전용 사이즈 보정패드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471997A (en) * 1945-07-04 1949-05-31 Bella M Baltor Device for straightening toes
US2868197A (en) * 1956-09-11 1959-01-13 Alan E Murray Form-fitting footwear
JPS5139676U (ko) * 1974-09-20 1976-03-24
US4940046A (en) * 1981-01-19 1990-07-10 Jacoby Richard P Post-operative bunion splint
JP3116048B2 (ja) * 1991-11-09 2000-12-11 ローム株式会社 強誘電体層を有する半導体素子及びその製法
KR200356728Y1 (ko) * 2004-04-23 2004-07-19 김필준 발가락 건강보조구
JP3116048U (ja) * 2005-08-24 2005-11-24 千枝 大木 靴擦れ防止具
JP2007167122A (ja) * 2005-12-19 2007-07-05 Jex Inc 足指用サポートリング
KR100776706B1 (ko) * 2007-03-22 2007-11-28 주식회사 조운거 발가락 간격 유지구
US20090093345A1 (en) * 2007-10-07 2009-04-09 Kurt Findeisen Apparatus for the Separating and Stretching of Toes and Fingers
KR100996980B1 (ko) * 2009-03-28 2010-12-01 이대우 발가락 무좀 방지 기구
KR20130044519A (ko) * 2011-10-24 2013-05-03 지용규 발가락 교정기
KR20130004315U (ko) * 2012-01-03 2013-07-11 정효철 기능성 발가락 밴드
US9066790B1 (en) * 2012-02-10 2015-06-30 David Newman Fisher Orthopedic toe device
JP2017064204A (ja) * 2015-09-30 2017-04-06 渡辺 育子 巻き爪予防具
JP6321093B2 (ja) * 2016-02-16 2018-05-09 株式会社 イースマイル 足指間パッド
KR101846473B1 (ko) * 2016-07-28 2018-04-09 주식회사 참좋은행복 발가락 교정기 제조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발가락 교정기
KR200490584Y1 (ko) * 2017-01-17 2019-12-05 임화목 발가락 지압 교정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29603A (ko) 2014-11-06 2015-03-18 임시룡 암벽화전용 사이즈 보정패드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93738B1 (ko) 2021-08-26
JP7153138B2 (ja) 2022-10-13
WO2020106080A1 (ko) 2020-05-28
US20220007753A1 (en) 2022-01-13
JP2022519973A (ja) 2022-03-28
KR20200059944A (ko) 2020-05-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10252665A1 (en) Soft and elastic shoe pad
JP5646006B1 (ja) 足指間パッド
KR20210106936A (ko) 발가락 보호장치
KR101136716B1 (ko) 신발
JP3635006B2 (ja) 靴底
KR102340933B1 (ko) 발가락 보호장치
KR101458770B1 (ko) 기능성 발가락 양말
WO2022130537A1 (ja) シューズ
KR20110019062A (ko) 기능성 건강 신발 깔창
JP3129336U (ja) 運動靴
JP2016214809A (ja) 外反拇趾用中敷き及び履物
KR200226004Y1 (ko) 신발의 완충장치.
JP2009050636A (ja)
KR200467885Y1 (ko) 착용감을 편안하게 하는 신발
CN111616464A (zh) 一种减震鞋底及其匹配的鞋楦和鞋底的制作方法
KR100910400B1 (ko) 신발 밑창
KR102618264B1 (ko) 발가락 교정기
KR200454328Y1 (ko) 과내전 및 외전 방지용 신발 깔창
KR101693773B1 (ko) 보행의 특성을 고려한 신발
KR102175901B1 (ko) 연질부재 및 이를 구비한 토우캡 조립체
CN113260272A (zh)
ES2942295T3 (es) Mejoras en o relacionadas con el calzado
KR102618263B1 (ko) 다양한 자극의 마사지가 가능한 발가락 교정기
KR102437951B1 (ko) 발가락 보호패드
KR200433570Y1 (ko) 양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