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06073A - 가전 제품용 복합필름, 복합필름이 부착되는 냉장고 및 복합필름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가전 제품용 복합필름, 복합필름이 부착되는 냉장고 및 복합필름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06073A
KR20210106073A KR1020200020716A KR20200020716A KR20210106073A KR 20210106073 A KR20210106073 A KR 20210106073A KR 1020200020716 A KR1020200020716 A KR 1020200020716A KR 20200020716 A KR20200020716 A KR 20200020716A KR 20210106073 A KR20210106073 A KR 202101060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composite film
layer
adhesive
exhaust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07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현기
최영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207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06073A/ko
Priority to US17/172,966 priority patent/US11650005B2/en
Publication of KR202101060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607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9Laminated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01Combinations of extrusion moulding with other shaping operations
    • B29C48/0011Combinations of extrusion moulding with other shaping operations combined with compression mou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01Combinations of extrusion moulding with other shaping operations
    • B29C48/0022Combinations of extrusion moulding with other shaping operations combined with cut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3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extruded material at extrusion
    • B29C48/07Flat, e.g. panels
    • B29C48/08Flat, e.g. panels flexible, e.g. fil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15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extrusion moulding around inse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15/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15/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5/08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resins; comprising acrylic res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15/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5/09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2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aluminium or copp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65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foa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2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synthetic resins not wholly covered by any one of the sub-groups B32B27/30 - B32B27/4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32B27/30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comprising aromatic vinyl (co)polymers, e.g. styrenic (c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form; Layered products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2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form; Layered products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 B32B3/263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form; Layered products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having non-uniform thickn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form; Layered products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2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form; Layered products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 B32B3/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form; Layered products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formed with recesses or projections, e.g. hollows, grooves, protuberances, ri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4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 B32B37/15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with at least one layer being manufactured and immediately laminated before reaching its stable state, e.g. in which a layer is extruded and laminated while in semi-molten st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8/00Ancillary operations in connection with laminating processes
    • B32B38/06Embos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18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a layer of foamed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2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5/00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e.g. relating to primers
    • C09J5/08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e.g. relating to primers using foamed adhes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3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 adhesive composi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8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6Walls
    • F25D23/065Details
    • F25D23/066L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0/00Layers arrangement
    • B32B2250/055 or more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06Coating on the layer surface on metal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1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on synthetic resin layer or on natural or synthetic rubber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26Polymeric co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6/00Composition of foam
    • B32B2266/02Organic
    • B32B2266/0214Materials belonging to B32B27/00
    • B32B2266/0242Acryl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02Colour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12Transpar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32Dimension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55/00Specific polymers obtained by polymerisation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ne of index codes B32B2323/00 - B32B2333/00
    • B32B2355/02ABS polymers, i.e. 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509/00Household applian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509/00Household appliances
    • B32B2509/10Refrigerators or refrigerating equip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3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 C09J2301/312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parameters being the characterizing fea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17/00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17/06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 F25D2317/067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characterised by air duc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400/00General features of, or devices for 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or fo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ther subclass
    • F25D2400/18Aesthetic features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가전 제품용 복합필름은, 일부가 금속 소재로 형성되며, 외관을 형성하는 제1필름부; 상기 제1필름부의 하면에 형성되며, 수지재로 형성되는 제2필름부; 상기 제2필름부의 하면에 형성되며, 가전제품을 구성하는 사출물에 접착되는 점착부; 상기 점착부의 하면에 함몰되며, 상기 점착부 일단에서 타단까지 연장되어 상기 점착부와 사출물 사이의 공기를 배출하는 다수의 배기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가전 제품용 복합필름, 복합필름이 부착되는 냉장고 및 복합필름의 제조방법{Complex film for home appliance, refrigerator with the complex film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complex film}
본 발명은 가전 제품용 복합필름, 복합필름이 부착되는 냉장고 및 복합필름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와 에어컨, 세탁기, 오븐 등과 같이 가전기기의 외관은 플라스틱 또는 메탈소재로 형성된다. 이와 같은 가전기기들은 최근에 들어 사용자들의 다양한 요구와 트렌드에 맞추어 다양한 색상이나 패턴, 질감을 가지도록 형성되고 있다.
특히, 알루미늄과 같은 메탈 소재를 이용하여 외관을 돋보이도록 한 가전기기들이 선호되고 있는 추세이며, 메탈 소재를 이용하여 가전기기의 외관 전체 또는 일부를 형성한다.
최근에는, 상기 가전기기의 내부를 형성하는 내부 케이스에도 메탈 소재를 사용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냉장실과 냉동실로 구분되며, 상기 냉장실과 냉동실의 냉기를 보존하기 위하여 냉장고의 전면에 도어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냉장고의 고내, 특히 냉장실과 같은 수용공간의 경우에는 냉기가 오랫동안 순환되어야 하는 특징이 있다.
종래의 냉장고 내의 냉장실과 냉동실은 고내가 플라스틱 등의 고분자 물질로 이루어져 있었다. 종래의 냉장고와 같이 고내가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사용자가 고내에 저장물을 넣거나 꺼내는 과정에서 쉽게 오염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수시로 고내를 청소해주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고내에 수용되는 냉기량이 적은 경우, 음식물의 신선도가 오래 지속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최근 고내의 플라스틱에 금속 물질이 도금된 냉장고나, 고내측 벽멱의 일부가 금속으로 이루어진 냉장고가 출시되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80618호에는 냉장고 고내에 금속플레이트가 결합되는 냉장고가 개시되고 있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냉장고는, 금속 플레이트를 일정 두께 사용하게 되므로, 재료비 비율이 높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무게가 무거운 금속 소재로 형성되어 결합을 위한 구조가 추가적으로 필요한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의 해결을 위해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19317호에는 금속질감을 가지는 외장필름이 부착되어 외관을 형성하는 냉장고가 개시되어 있다.
하기만, 상기와 같은 냉장고는 필름이 넓은 면에 부착될 때에 부착면과 필름 사이에 기포의 발생이 필연적이며, 기포의 발생으로 인한 외관의 굴곡 등의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또한, 고온 환경에 노출되거나 온도 변화에 의한 기포의 발생 또는 접착제에 포함된 솔벤트의 팽창으로 인한 기포의 발생으로 외관 굴곡 등의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접착면의 공기 배출을 용이하게 하여 외관 품질이 개선되는 가전 제품용 복합필름, 복합필름이 부착되는 냉장고 및 복합필름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별도의 장비 없이 수작업으로도 복함필름의 부착이 가능하도록 하여 부착 작업성이 개선되는 가전 제품용 복합필름, 복합필름이 부착되는 냉장고 및 복합필름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에는, 절단 가공과 동시에 패턴 가공을 가능하도록 하여 생산성이 향상되도록 하는 가전 제품용 복합필름, 복합필름이 부착되는 냉장고 및 복합필름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가전 제품용 복합필름은, 일부가 금속 소재로 형성되며, 외관을 형성하는 제1필름부; 상기 제1필름부의 하면에 형성되며, 수지재로 형성되는 제2필름부; 상기 제2필름부의 하면에 형성되며, 가전제품을 구성하는 사출물에 접착되는 점착부; 상기 점착부의 하면에 함몰되며, 상기 점착부 일단에서 타단까지 연장되어 상기 점착부와 사출물 사이의 공기를 배출하는 다수의 배기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기홈은 상기 점착부의 전체에 등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배기홈은 1mm의 폭을 가지도록 개구되며, 이웃 하는 배기홈과 5mm 간격을 가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배기홈은 상기 복합필름의 폭이 짧은쪽 방향을 따라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점착부는, 상기 제2필름부 하면에 합지되며, 발포된 아크릴폼에 의해 형성되는 접착제층과, 상기 접착체층의 하면에 부착되어 상기 접착제층을 보호하는 보호필름층을 포함하며, 상기 배기홈은 상기 보호필름층과 접착제층이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점착제층은 0.3mm ~ 0.5mm 두께로 형성되며, 상기 배기홈의 깊이는 0.1mm ~ 0.2mm 깊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배기홈은 상기 점착제층이 상기 사출물에 접착된 상태에서도 유지될 수 있다.
상기 배기홈은 상기 점착제층의 양면에 형성되며, 상기 제2필름부의 하면 및 사출물의 상면을 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필름부는, 금속층; 상기 금속층의 일면에 접착되어, 상기 금속층의 표면을 보호하는 피이티층; 상기 금속 층의 타면에 도포되어, 상기 제2필름부와 접착되는 프라이머층; 및 상기 피이티 층을 보호하는 코팅층을 포함하고, 상기 피이티 층은 상기 코팅 층과 상기 금속 층의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제2필름부는 ABS수지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제1필름부와 인서트 압출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가전 제품용 복합필름은, 가전제품의 사출물에 부착되어 외관을 형성하는 복합필름에 있어서, 상기 가전 제품의 외관 색상 및 질감을 나타내는 외장부; 상기 외장부의 일면에 접착되며, 가전제품을 구성하는 사출물의 외측면에 접착되는 점착부;를 포함하며, 상기 점착부의 하면에는 함몰 형성되며, 상기 복합필름의 일단에서 타단까지 연장되어 상기 점착부와 사출물 사이의 공기를 배출하는 다수의 배기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장부는, 투시 가능한 유리 또는 플라스틱 소재로 형성되는 투명층과; 상기 투명층에 특정 색상이나, 패턴, 모양, 문자 등이 인쇄되며, 상기 점착층에 접착되는 인쇄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장부는 필름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복합필름이 부착되는 냉장고는, 저장 공간을 형성하는 캐비닛; 상기 저장 공간의 전면을 개폐하며, 상기 캐비닛의 일측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도어; 및 상기 저장 공간의 후벽면을 형성하며, 냉기를 상기 저장 공간으로 배출하는 냉기 토출공이 형성되는 그릴팬을 포함하고, 상기 그릴팬은, 사출물로 구성되는 그릴팬 바디; 및 상기 그릴팬 바디의 전면에 부착되는 제 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복합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복합필름이 부착되는 냉장고는, 저장 공간을 형성하는 캐비닛; 및 상기 저장 공간의 전면을 개폐하며, 상기 캐비닛의 일측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도어;를 포함하며, 상기 도어의 전면에는 제 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복합필름이 부착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복합필름이 부착되는 냉장고는, 저장 공간을 형성하는 캐비닛; 및 상기 저장 공간의 전면을 개폐하며, 상기 캐비닛의 일측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도어;를 포함하며, 상기 저장 공간의 내측면에는 제 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복합필름이 부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가전 제품용 복합필름의 제조방법은, 일부가 금속 소재로 형성되는 제1필름부를 제조하는 단계; [S10] ABS수지재의 제2필름부를 압출시 상기 제1필름부와 접합하여 압출시트를 성형하는 단계; [S20] 상기 압출시트의 하면에 점착부를 합지하여 복합필름 원단을 형성하는 단계; [S30] 상기 복합필름 원단을 프레스장치로 가공하여 상기 점착부에 배기홈을 형성하고 절단하여 복합필름을 성형하는 단계; [S40]를 포함하며, [S40] 단계에서, 상기 배기홈은 상기 복합필름의 일단에서 타단까지 연장되며, 등 간격으로 상기 점착부 전체면에 형성될 수 있다.
[S40] 단계에서, 상기 복합필름 원단은 롤 상태로 연속 공급되어 상기 배기홈의 형성 및 절단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S40] 단계에서, 상기 프레스는 상기 배기홈을 형성하는 패턴금형과 상기 복합필름의 형상으로 절단하는 절단금형이 구비되며, 공급되는 상기 복합필름 원단을 패턴금형으로 프레스 가공후 절단금형으로 연속하여 프레스 가공할 수 있다.
[S40] 단계에서, 상기 프레스 장치는 상기 점착부의 보호필름이 부착된 상태로 상기 배기홈을 형성하며, 상기 보호필름이 제거된 상태에서도 상기 배기홈의 형상이 유지되도록 가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가전 제품용 복합필름, 복합필름이 부착되는 냉장고 및 복합필름의 제조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하면, 복합필름이 표면이 넓은 외관을 구성하는 사출물에 부착될 때 상기 복합필름과 사출물 사이에 발생되는 기포들을 배기홈을 통해 용이하게 배출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넓은 면에 상기 복합필름을 부착하더라도 외관이 기포에 의해 돌출되거나 굴곡되지 않고 표면이 매끄럽고 평탄 형상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외관품질이 개선되는 냉장고를 제공할 수 있다.
특히, 상기 배기홈이 상기 아크릴폼 소재의 점착부상에 형성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어, 상기 복합필름의 표면에 상기 배기홈에 의한 형상 변형이 발생되지 않으면서도 배기 홈을 성형할 수 있도록 하여 외관을 유지하면서 배기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배기홈은 설정된 간격으로 등간격 배치되어 상기 배기홈에 의해 비 접착 부분이 발생되더라도 상기 복합필름이 사출물에 접착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복합필름의 부착시에도 상기 배기홈이 점착부의 전체에 고르게 분포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복합필픔의 짧은 폭 방향으로 배기홈이 연장 형성되어 있어, 별도의 도구 없이도 작업자가 상기 배기홈의 연장방향으로 쓸어서 공기를 배기할 수 있게 되어 부착 작업성이 개선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특히, 상기 복합필름은 넓은 면에 부착되어 기포 발생이 필연적인 구조이지만, 상기 배기홈을 통한 배기작업이 용이하여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상기 복합필름을 부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상기 복합필름의 부착 작업을 별도의 장비 구동 없이 매우 신속하게 할 수 있으며, 제조 비용을 절감하고 생산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잇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복합필름은 연속 공급되는 복합필름 원단을 프레스 가공에 의해 상기 배기홈을 형성하는 패턴가공과, 부착 형상에 맞게 절단하는 절단가공이 가능하게 되어 프레스장치만으로 상기 배기홈의 형성과 절단 가공이 가능하게 되는 이점이 있다.
특히, 상기 복합필름 원단은 롤상태로 상기 프레스장치에 연속 공급될 수 있으며, 상기 프레스장치에 의해 연속적인 패턴가공 및 절단 가공이 가능하게 되어 생산성이 현저하게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복합필름이 적용된 냉장고의 도어가 개방된 도면이다.
도 2는 상기 냉장고의 저장 공간 내부를 보인 도면이다.
도 3은 상기 복합필름이 적용된 그릴팬의 사시도이다.
도 4는 상기 복합필름과 그릴팬 바디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상기 복합필름의 사시도이다.
도 6은 상기 복합필름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상기 복합필름 중 제1필름부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상기 복합필름의 제조 공정을 단계적으로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9는 상기 복합필름 중 제1필름부 및 제2필름부를 제조하는 공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상기 복합필름의 절단 및 패터닝 가공을 위한 공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상기 복합필름의 하면을 보인 도면이다.
도 12는 도 11의 12-12' 단면도이다.
도 13은 상기 복합필름이 그릴팬 바디에 부착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점착부의 다른 예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15는 상기 점착부가 부착된 일 실시 예이다.
도 16은 상기 점착부가 부착된 다른 실시 예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복합필름이 냉장고의 도어에 적용된 모습을 보인 도면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복합필름이 저장 공간의 내측면에 적용된 모습을 보인 도면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복합필름이 조리기기에 적용된 모습을 보인 도면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복합필름이 에어컨에 적용된 모습을 보인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구조나 방법에 한정되지 않는다.
아래에서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저장 공간이 형성되는 냉장고 내부의 후벽면에 복합필름이 적용되는 구조를 설명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복합필름은 냉장고의 냉장실 및 냉동실의 어디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냉장고의 형태에 한정되지 않게 적용 가능함을 밝혀둔다.
추가적으로, 본 발명의 복합필름은 냉장고 외에도 메탈 소재가 이용되는 가전기기에 적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복합필름이 적용된 냉장고의 도어가 개방된 도면이다. 그리고, 도 2는 상기 냉장고의 저장 공간 내부를 보인 도면이다. 그리고, 도 3은 상기 복합필름이 적용된 그릴팬의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4는 상기 복합필름과 그릴팬 바디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1)는 저장 공간(20)이 형성되는 캐비닛(10) 및 상기 캐비닛(10)의 일측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저장 공간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도어(15,1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장 공간(20)은 베리어(3)에 의하여 상하로 구획될 수 있으며, 상기 캐비닛(10)의 상부에는 냉장실(22)이 형성되고, 상기 캐비닛(10)의 하부에는 냉동실(24)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냉장실(22)의 내부에는 선반, 서랍 또는 바스켓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수납 부재(221)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수납 부재(221)는 필요에 따라 상기 도어가 개방된 상태에서 인출입 될 수도 있으며, 인출입에 의하여 저장물을 수납 저장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냉동실(24)의 내부에는 인출입 가능한 서랍 형상의 냉동실 수납부재(241)가 주로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냉동실 수납부재(241)는 상기 도어(15,16)의 개방에 연동하여 인출입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도어(15,16)는 상기 냉장실(22)의 저장 공간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냉장실 도어(15) 및 상기 냉동실(24)의 저장 공간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냉동실 도어(1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캐비닛(10)은 외장을 구성하는 아우터 케이스(11)와, 상기 아우터 케이스(11)와 소정의 공간을 두고 설치되며 상기 냉장실(22) 및 냉동실(24)의 내장을 구성하는 이너 케이스(1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아우터 케이스(11)와 상기 이너 케이스(13) 사이의 공간에는 단열재(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도 1은 냉동실이 하방에 구비된 바텀프리저타입(Bottom freezer type)을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본 발명은 상기 바텀프리저타입의 냉장고 뿐만 아니라 냉장실과 냉동실이 좌우 측으로 구획된 사이드바이사이드타입(Side by side type), 냉동실이 상방에 구비되는 탑마운트타입(Top mount type) 등 다양한 형태에 적용 가능함은 당연할 것이다.
상기 냉장고(1)에는 냉기의 생성을 위한 증발기(미도시)가 구비되는 증발실, 상기 증발실에서 생성된 냉기가 상기 저장 공간으로 이동되는 냉기 유로 및 상기 저장 공간 내부의 냉기가 상기 증발실로 이동되는 냉기 흡입 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증발실, 상기 냉기 유로 및 상기 냉기 흡입 유로는 상기 저장 공간의 내벽의 내측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냉장고(1)는, 상기 저장공간(20)의 일벽을 형성하는 그릴팬(grille pan)(1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그릴팬(100)에 의해 상기 저장공간(20)의 일 벽이 규정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그릴팬(100)은 상기 저장공간(20)의 후벽면을 규정할 수 있다.상세히, 상기 그릴팬(100)은 상기 저장공간(20)과 상기 이너케이스(13)의 후벽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그릴팬(100)이 상기 냉장실(12)에 형성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한다. 다만, 상기 그릴팬(100)은 상기 냉동실(14)에도 형성 가능함을 밝혀둔다.
상기 냉장실(22)의 후벽면은 상기 그릴팬(100)에 의하여 전체 또는 적어도 일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그릴팬(100)의 후측에는 상기 냉기 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그릴팬(100)에는, 상기 냉기유로를 통해서 이동된 냉기가 토출되는 냉기 토출공(102)이 천공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냉기 토출공(102)은 상하로 복수 개 형성될 수 있으며, 좌우 양측으로 복수 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그릴팬(100)에는, 상단에 형성되는 냉기 토출구(104)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냉기 토출구(104)는 좌우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냉기 유로를 통해서 이동된 냉기는 상기 냉기 토출구(104)를 통하여 상기 냉장실(22)의 상방으로 토출될 수 있다.
상기 그릴팬(100)은 상기 냉장실(22)의 후벽면을 대략 사각형의 판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다만, 사각형의 형상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상기 저장 공간(20)의 후벽면을 형성하는 형상이면 족하다.
상기 그릴팬(100)은, 상기 그릴팬(100)의 형상을 가지는 그릴팬 바디(grille pan body)(200) 및 상기 그릴팬 바디(200)의 상면에 결합되는 복합필름(30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그릴팬(100)은 수직하게 세워진 상태로 냉장고에 조립되며, 상기 그릴팬 바디의 상면은 냉장실의 후면을 형성한다. 따라서, 상기 그릴팬(100)의 상면은, 조립 후 상기 도어(15,16)에 의하여 개방되는 냉장고(1)의 전방을 향하는 면으로 이해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상면은 상기 그릴팬(100)이 상기 저장 공간(20)을 향하는 방향이고, 상기 그릴팬(100)의 상면과 반대 방향을 향하는 면이 하면이다.
이하에서는, 상기 도어(15,16)를 기준으로 고외측을 향하는 방향을 전방, 고내측을 향하는 방향을 후방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그릴팬(100)은 상기 냉장실(22)의 수납부재(221)보다 후방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냉장고(1)는, 상기 그릴팬 바디(200)의 하방에 위치되는 냉기팬 어셈블리(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냉기팬 어셈블리(150)는 상기 증발실의 냉기를 흡입하여 상기 냉기유로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냉기팬 어셈블리(150)는 상기 그릴팬 바디(200)의 하단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냉기팬 어셈블리(150)는 냉기팬 모터(미도시) 및 냉기팬(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냉기팬의 구동에 의해서 흡입된 냉기는 상기 냉기유로로 안내될 수 있다.
상기 그릴팬 바디(200)와 상기 냉기팬 어셈블리(150)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그릴팬 바디(200)는 상기 저장 공간(20)의 일 벽면을 형성하는 형태의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즉, 상기 그릴팬 바디(200)의 형상에 의하여 상기 저장 공간(20)의 일 벽면의 형상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그릴팬 바디(200)는 사출 성형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그릴팬 바디(200)는 플라스틱 소재로 사출 성형될 수 있다.
상기 그릴팬 바디(200)에는, 상기 그릴팬(100)의 냉기 토출공(102) 및 냉기 토출구(104)를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냉기 토출공(102) 및 냉기 토출구(104)에 대응되는 위치에 냉기 토출공(202) 및 냉기 토출구(204)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복합필름(300)에는, 상기 그릴팬(100)의 냉기 토출공(102) 및 냉기 토출구(104)를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냉기 토출공(102) 및 냉기 토출구(104)에 대응되는 위치에 냉기 토출공(302) 및 냉기 토출구(304)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그릴팬 바디(200)에 상기 복합필름(300)을 부착시, 상기 냉기 토출공(302) 및 상기 냉기 토출공(202)이 정렬되어 상기 그릴팬(100)의 냉기 토출공(102)을 형성하고, 상기 냉기 토출구(304) 및 상기 냉기 토출구(204)가 정렬되어 상기 그릴팬(100)의 냉기 토출구(104)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그릴팬(100)은, 상단에 구비되는 라운드부(10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라운드부(106)는 상방으로 갈수록 전방을 향하여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라운드부(106)는 상기 냉기 토출구(104)의 양측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라운드부(106)에 의해 상기 그릴팬(100)이 상기 냉장실(22)의 후벽면이 아닌 다른 벽면과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라운드부(106)에 의하여 상기 냉기가 상기 저장 공간(20)이 아닌 곳으로 유출되는 것이 방지되고, 상기 저장 공간(20)으로 배출된 냉기의 유동이 원활해질 수 있다.
상기 복합필름(300) 및 상기 그릴팬 바디(200)는, 상단에 라운드부(306,20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라운드부(306,206)는 상기 복합필름(300) 및 상기 그릴팬 바디(200)의 접합 시 상기 그릴팬(100)의 라운드부(106)를 형성하도록 각각 상기 냉기 토출구(304,204)의 양측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라운드부(306,206)는 상기 그릴팬(100)의 라운드부(106)를 형성하도록 상방으로 갈수록 전방을 향하여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도 5는 상기 복합필름의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6은 상기 복합필름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그리고, 도 7은 상기 복합필름 중 제1필름부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복합필름(300)은 시트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복합필름(300)은 제1필름부(320), 제2필름부(330) 및 점착부(3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필름부(320)는 상기 제2필름부(330)의 상면에 위치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복합필름(300)이 상기 그릴팬 바디(200)에 부착되었을 때, 상기 제2필름부(330)는 상기 제1필름부(320)와 상기 그릴팬 바디(200)의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제1필름부(320) 및 제2필름부(330)는 인서트 압출에 의하여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인서트 압출의 방법은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제1필름부(320)는 상기 제2필름부(330)보다 상대적으로 얇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필름부(320)는 금속 질감의 구현이 가능할 정도의 최소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필름부(320)는 대략 34~67㎛의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1필름부(320)는 49㎛의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필름부(320)는 코팅층(321), 상기 코팅층(321)의 하면에 위치되는 피이티층(322), 상기 피이티층(322)의 하면에 위치되는 접착제(323)층, 상기 접착제층(323)의 하면에 위치되는 금속층(324) 및 상기 금속층(324)의 하면에 형성되는 프라이머층(325)을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금속층(324)은 상기 프라이머층(325)을 덮고, 상기 접착제층(323)은 상기 금속층(324)을 덮고, 상기 피이티층(322)은 상기 접착제층(324)을 덮고, 상기 코팅층(321)은 상기 피이티층(322)을 덮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상기 코팅층(321)은 상기 제1필름부(320) 중 가장 전방 또는 상방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코팅층(321)에 의하여 후술할 상기 제1필름부(320)의 헤어라인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되며, 상기 복합필름(300)의 내스크래칭성과 경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코팅층(321)은 아크릴계 수지 코팅액의 코팅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아크릴계 수지는 가공을 필요로 하는 재료의 코팅 처리가 용이하다.
상기 코팅층(321)은 상기 피이티층(322)보다 얇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코팅층(321)은 대략 1 ~ 4㎛의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코팅층(321)은 1㎛의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피이티층(322)은 상기 금속층(324)을 보호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피이티층(322)에 의하여 상기 금속층(324)으로 수분이 침투되어 상기 금속층(324)이 부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피이티층(322)에 의하여 상기 금속층(324)의 표면이 보호될 수 있다. 사용자가 상기 수납부재(221)의 상방으로 저장물이 담긴 바스켓을 인출입 하는 과정에서 상기 바스켓과 상기 제1필름부(320)가 충돌되기 쉬운데, 상기 피이티층(322)에 의하여 상기 금속층(324)의 손상을 방지될 뿐 아니라 금속 질감을 보다 우수하게 발휘할 수 있다.
상기 피이티층(322)은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피이티층(322)은 상기 코팅층(321)보다 두껍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피이티층(322)의 두께는 대략 20 ~ 40㎛로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피이티층(322)은 30㎛의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접착제층(323)은 상기 피이티층(322)과 상기 금속층(324)의 접착을 위한 것으로, 상기 피이티층(322)의 하면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피이티층(322)과 상기 금속층(324)의 합지를 위해서 상기 접착제층(323)은 6-10㎛ 두께로 도포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피이티층(322)과 상기 금속층(324)의 접착 상태 유지가 가능할 수 있다. 물론, 상기 금속층(324)이 증착 등으로 형성되는 경우라면 상기 접착제층(323)은 생략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금속층(324)은 상기 피이티층(322)보다 얇은 두께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금속층(324)은 상기 복합필름(300)의 금속 질감을 나타낼 수 있도록 대략 12 ~ 22 ㎛의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금속층(324)은 17㎛의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금속층(324)은 알루미늄층으로 구성될 수 있다.
종래 금속 플레이트를 플라스틱 사출물에 부착하여 그릴팬의 금속 질감을 구현하였는데, 이 경우 금속 플레이트는 밀도가 상대적으로 높으므로, 무게가 무거울 뿐 아니라 상기 무게를 견디면서 플라스틱 사출물에 부착하기 위하여 벤딩부, 홀 등 상기 금속 플레이트에 상기 플라스틱 사출물과 결합되기 위한 지지구조가 필수적으로 필요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실시예와 같이 얇은 두께의 금속층(324)을 이용하여 그릴팬(100)의 금속 질감을 구현하면, 재료비가 크게 감소될 뿐 아니라 금속 질감의 구현을 위한 무게가 크게 감소하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상기 플라스틱 사출물로 이루어진 그릴팬 바디(200)와의 별도의 결합의 구조가 필요하지 않고, 시트 형상으로 간결하게 성형된 복합필름(300)이 상기 그릴팬 바디(200)에 부착되는 것으로 상기 그릴팬(100)의 구성이 가능하게 된다.
더불어, 상기 그릴팬 바디(200) 또한 별도의 결합 구조가 필요하지 않게 되므로, 그릴팬 바디(200)의 구조 또한 간결하게 되는 이점이 있다.
상기 프라이머층(325)은 상기 금속층(324)의 하면에 제공되어 상기 제2필름부(330)와의 결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상기 제1필름부(320) 및 제2필름부(330)를 접착제를 이용하여 결합시키는 경우에는, 상기 프라이머층(325)의 하면에 접착제가 구비되어야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합필름(300)의 제1필름부(320) 및 제2필름부(330)는 후술할 인서트 압출에 의하여 일체로 결합되므로, 상기 제1필름부(320)에 접착제가 불필요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제1필름부(320)에 접착제가 제공될 필요가 없어 상기 복합필름(300)의 두께가 상대적으로 얇아질 수 있고, 무게가 감소될 수 있다.
즉, 상기 복합필름(300)이 상기 그릴팬 바디(200)에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을 뿐 아니라 상기 복합필름(300)이 오래 유지될 수 있다.
상기 프라이머층(325)은 대략 1㎛ 이하의 두께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필름부(320)에는, 사용자가 상기 도어(15,16)를 개방하였을 때 보여지는 냉장실(22)의 내부를 고급스럽게 구현하기 위하여 금속의 질감을 극대화하도록 헤어라인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헤어라인은 상기 금속층(324)에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금속층(324)의 표면을 긁어내어 형성할 수 있다.
또는, 상기 헤어라인은 상기 피이티층(322)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피이티층(322)에 상기 헤어라인을 직접 형성할 수 있다.
또는, 상기 헤어라인은 상기 피이티층(322)에 도포된 자외선(UV) 경화형 수지 조성물에 헤어라인이 형성된 성형롤러로 임프린팅(imprinting)한 후 자외선 경화시켜 형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피이티층(322)의 표면에 액상의 UV 경화성 수지를 도포한 다음, 원하는 패턴이 양각으로 형성된 몰드와 상기 피이티층(322)을 정렬시키고 상기 도포된 UV 경화성 수지에 압착한다. 그 후, UV를 투사하면서 가열하여 경화시키게 되면, 상기 피이티층(322)의 표면에 음각으로 헤어라인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헤어라인을 형성하면, 금속 특유의 광택을 일부 감소시켜 기스 등이 발생하여도 눈에 띄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헤어라인의 미세한 굴곡에 의해 빛의 난반사를 일으켜 외관이 미려해보이도록 하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상기 제1필름부(320)는 상기 금속층(324)에 의하여 금속 질감을 구현하므로, "금속 필름부"로 정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1필름부(320)에 의하여 상기 냉장고(1)의 고내가 외관상 우수해보이는 효과가 발휘될 뿐 아니라 상기 고내의 냉기가 용이하게 순환 되도록 하여 고내 온도를 유지하기 용이하다.
상기 이너 케이스(13)가 플라스틱 수지의 소재만으로 이루어지면 냉기 보존이 취약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냉장고(1)의 도어(15,16)를 개방하였을 때, 상기 냉장고(1)의 고내 온도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외부 공기가 고내로 유입되게 되고, 상기 유입되는 외부 공기가 고내의 냉기와 혼합되어 고내의 온도가 상승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같이 상기 제1필름부(320)에 금속층(324)이 구비되면, 상기 냉기 유로를 통하여 유입된 냉기가 고내를 용이하게 순환할 뿐 아니라 냉기가 고내에 축적되어 외부 공기가 고내로 유입되더라도 상기 축적된 냉기와의 열교환을 통하여 고내 온도가 상승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2필름부(330)는 상기 복합필름(300)의 베이스를 이루는 구성으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제2필름부(330)는 ABS 수지로 구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2필름부(330)는 ABS 레진이 압출 형성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필름부(330)는 상기 복합필름(300)의 강도 및 형태를 유지하기 위한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필름부(330)는 0.40mm ~ 0.60mm의 두께로 구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2필름부(330)는 0.5mm의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필름부(330)에 의하여 상기 제1필름부(320)의 손상이 방지되고 용이하게 유지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복합필름(300)의 외관으로 나타나는 금속 질감은 상기 제1필름부(320)에서 구현되고, 상기 복합필름(300)의 강도 및 형태 유지는 상기 제2필름부(330)에 의해 주로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1필름부(320)는 금속 질감의 구현이 가능한 최소 두께를 가지며 상대적으로 상기 제2필름부(330)보다 얇게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2필름부(330)는 적정 두께를 유지함으로써, 복합필름(300)을 상기 그릴팬 바디(200)(사출물)에 부착시 상기 제1필름부(320)가 구겨지거나 접히게 되는 등 외관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2필름부(330)는 인서트 압출에 의해 상기 제1필름부(320)와 압착되는 과정에서 상기 제1필름부(320)의 프라이머층(325)과 접촉될 수 있다. 상기 프라이머층(325)에 의하여 상기 인서트 압출 과정에서 압출 열에 의한 압착시 상기 제2필름부(330)와 상기 금속층(324)이 용이하게 열 융착될 수 있다.
상기 제2필름부(330)가 상기 제2필름부(310)와 함께 압출 열에 의해 열 융착되어 상기 복합필름(300)은 시트 형상으로 구현되므로, 상기 복합필름(300)의 가공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2필름부(330)는 베이스 레진(ABS)이 압출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제2필름부(330)는 이하 "플라스틱필름"으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점착부(340)는 상기 제2필름부(330)의 하면에 위치되는 점착제층(341) 및 상기 점착제층(341)의 하면에 위치되어 상기 점착제층(341)을 보호하는 보호필름층(34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점착부(340)는 상기 제1필름부(320) 및 제2필름부(330)를 후술할 인서트 압출 공정에 의하여 형성한 이후 형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점착부(340)는 점착제층(341)이 상기 제2필름부(330)의 하면에 부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점착제층(341)은 일면이 상기 보호필름(342)에 의해 부착된 상태가 될 수 있다.
상기 점착제층(341)은 아래에서 설명할 절단 및 패터닝 가공시 배기홈(343)을 형성할 수 있도록 압축성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점착제층(341)은 아크릴폼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발포성형에 의해 가공되어 상기 제2필름부(330)의 하면에 부착될 수 있다. 상기 점착제층(341)은 상기 배기홈(343)의 성형을 보장하고 충분한 부착력을 제공하기 위해서 대략 0.30mm ~ 0.50mm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점착제층(341)은 0.40mm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보호필름(342)은 상기 점착부(340)가 상기 제2필름부(330)의 하면에 부착될 때 함께 부착될 수 있으며, 상기 복합필름(300)을 상기 그릴팬 바디(200)에 부착하기 위해서 제거될 수 있다.
상기 점착부(340)는 상기 점착제층(341)이 상기 제2필름부(330)의 하면에 효과적으로 부착될 수 있도록 프레스 롤에 의해 상기 압출시트(310)과 합지되될 수 있다.
도 8은 상기 복합필름의 제조 공정을 단계적으로 나타낸 블럭도이다. 그리고, 도 9는 상기 복합필름 중 제1필름부 및 제2필름부를 제조하는 공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그리고, 도 10은 상기 복합필름의 절단 및 패터닝 가공을 위한 공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복합필름(300)의 제조를 위해서는 먼저 제1필름부(320)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 제1필름부(320)를 구성하는 각각의 층들을 형성한 후 서로 접착되도록 형성하게 된다. [S10]
그리고, 성형된 상기 제1필름부(320)는 롤 상태로 연속 공급되면서 아래에서 설명할 압출장치(400)에 의해 상기 제2필름부(330)와 함께 인서트 압출되어 상기 압출시트(310)을 성형하게 된다. [S20]
성형된 상기 압출시트(310) 또한 롤 상태로 제공될 수 있으며, 성형된 상기 압출시트(310)은 아크릴폼 소재의 상기 점착제층(341)과 보호필름(342)으로 구성된 점착부(340)와 합지되어 롤상태의 복합필름 원단(300a)을 형성할 수 있다. 물론, 상기 점착부(340)와 압출시트(310)의 합지는 연속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S30]
롤 상태의 상기 복합필름 원단(300a)은 아래에서 설명할 프레스장치(500)를 통과하여 상기 그릴팬 바디(200)에 부착되기 위한 최종 형상으로 절단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프레스장치(500)에 의해 절단과 함께 패터닝 작업이 수행될 수 있으며, 상기 복합필름 원단(300a)의 배면 즉, 상기 점착부(340)를 눌러서 배기홈(343)을 형성할 수 있다. [S40]
상기 복합필름 원단(300a)은 상기 그릴팬 바디(200)에 부착가능한 형상으로 절단되어 복합필름(300)을 성형 완료하게 되고, 또한 배면에 배기홈(343)이 형성된 상태에서 상기 보호필름(342)을 제거하여 사용자가 수작업으로 상기 그릴팬 바디(200)에 부착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사용자는 상기 복합필름(300)을 부착하면서 상기 배기홈(343)을 통해 상기 복합필름(300) 부착시 발생되는 공기를 배기하여 매끈한 형태로 상기 그릴팬(100)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게 된다. [S50]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주요 공정인 압출 공정과, 절단 및 패터닝 공정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복합필름(300) 중 제1필름부(320) 및 제2필름부(330)는 압출장치(400)에 의하여 인서트 압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압출장치(400)에 의한 상기 제2필름부(330)의 압출 성형시 상기 제2필름부(330)에 상기 제1필름부(320)가 열 융착된 것을 압출시트(도 9 참조, 310)라고 정의할 수 있다. 상기 압출시트(310)가 제조되는 과정은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압출장치(400)는 압출기(410), 상기 압출기(410)에 형성되는 투입구(415), 상기 압출기(410)의 후단에 형성되는 티다이(430), 가이드 롤러 유닛(441,442,445,447) 및 상기 제1필름부 투입장치(4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압출기(410)는, 압출 재료를 압출하기 위한 스크류가 회전축 상에 장치되어 회전되는 스크류 방식의 압출기를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투입구(415)는 상기 압출기(410)의 상단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투입구(415)를 통하여 압출 재료를 투입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압출 재료는 베이스 레진(ABS)일 수 있다.
상기 압출기(410)의 후단에는 상기 티다이(43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티 다이(430)는 상기 압출 재료를 일정한 형태로 성형 압출할 수 있다.
상기 압출장치(400)는 상기 압출기(410)의 후단 및 상기 티다이(430)의 사이에 위치되는 분배기(43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압출기(410)의 압출 재료는 상기 분배기(435)를 먼저 통과하여 상기 티다이(430)로 공급될 수 있다. 상기 분배기(435)에 의하여 상기 압출기(410)로부터 일정한 양의 압출 재료가 상기 티다이(430)로 분배될 수 있다.
상기 티다이(430)는 대략 T자 형상으로 구성된다. 상세히, 상기 티다이(430)의 일부는 직선 형태로 길게 형성되어 시트 또는 필름을 성형하기에 용이하다.
상기 압출기(410)에서 상기 분배기(435)를 통하여 상기 티다이(430)로 인입되는 압출 재료는 상기 직선 형태의 형상에 의하여 상기 티다이(430)의 내부에서 좌우로 확산된 후, 상기 티다이(430)의 출력부(미도시)를 향하여 횡방향으로 압출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2필름부(330)는 상기 압출 재료가 상기 티다이(430)의 출력부에서 출력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롤러 유닛(441,442,445,447)은 상기 티다이(430)의 출력부의 후단에 위치될수 있다. 상기 가이드 롤러 유닛(441,442,445,447)을 통과하면서 상기 제2필름부(330) 및 상기 제1필름부 투입장치(450)로부터 투입되는 제1필름부(320)가 열 융착되어 시트 형태로 압착되어 출력될 수 있다.
상기 제2필름부(330)에 상기 제1필름부(320)에 열 융착됨으로써, 시트 형태의 상기 압출시트(31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롤러 유닛(441,442,445,447)은 제1가이드롤러(441), 제2가이드롤러(443) 및 제3가이드롤러(44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가이드롤러(441)는 상기 제2가이드롤러(443)의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3가이드롤러(445)는 상기 제2가이드롤러(443)의 타측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제2가이드롤러(443)는 상기 제1가이드롤러(441) 및 상기 제3가이드롤러(445)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티다이(430)의 출력부에서 출력되는 압출 재료(제2필름부)는 상기 제1가이드 롤러(441)와 상기 제2가이드롤러(443)의 사이를 향하여 제1방향으로 인입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1방향은 상하 방향일 수 있다.
상기 제1가이드롤러(441)와 상기 제3가이드롤러(445)는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1가이드롤러(441) 및 제3가이드롤러(445)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제2가이드롤러(443)는 상기 제1가이드롤러(441) 및 제3가이드롤러(445)와 반대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2가이드롤러(443)는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제2가이드롤러(443)는 상기 제1가이드롤러(441) 및 상기 제3가이드롤러(445)보다 반경이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티다이(430)의 출력부에서 출력되는 압출 재료(제2필름부)는 상기 제1가이드롤러(441) 및 제2가이드롤러(443)의 사이로 인입되어 상기 제2가이드롤러(443)의 표면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롤러 유닛(441,442,445,447)은 상기 제1필름부 투입장치(450)의 배출구(미도시) 측에 위치되는 제4가이드롤러(44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필름부 투입장치(450)에서 배출된 상기 제1필름부(320)는 상기 제4가이드 롤러(447)의 표면을 따라 이동 후 상기 제1가이드 롤러(441) 및 제2가이드롤러(443)의 사이로 인입될 수 있다.
상기 제4가이드롤러(447)에 의하여 상기 제1필름부(320)는 상기 제1가이드롤러(441) 및 제2가이드롤러(443)의 사이로 장력이 조절되며 인입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필름부(320)는 상기 제4가이드롤러(447)에 의하여 팽팽하게 인입될 수 있으므로, 상기 제1필름부(320)와 상기 제2필름부(330)가 일정한 두께로 합지될 수 있다.
상기 제1필름부(320)는 상기 제1가이드롤러(441) 및 제2가이드롤러(443)의 사이를 향하여 제2방향으로 인입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2방향은 사선 방향일 수 있다.
상기 제1가이드롤러(441) 및 상기 제2가이드롤러(443)의 사이를 향하여 상기 제1방향으로 인입되는 압출 재료(제2필름부)와 상기 제2방향으로 인입되는 제1필름부(320)는 상기 제1가이드 롤러(441) 및 상기 제2가이드롤러(443)의 사이에 위치되는 일 지점에서 합지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일 지점을 상기 제2필름부(330)와 상기 제1필름부(320)의 합지점으로 규정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2필름부(330)와 상기 제1필름부(320)의 합지점은 상기 제2가이드롤러(443)의 표면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제2필름부(330)와 상기 제1필름부(320)는 상기 합지점에서부터 합지된 후 상기 제2가이드롤러(443)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2가이드롤러(443)의 표면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제2필름부(330)와 상기 제1필름부(320)는 상기 압출기(410)의 압출 과정에서 작용되는 압출 열에 의하여 열융착될 수 있다. 상기 압출 열은 대략 180℃ 일 수 있다.
상기 제1필름부(320) 및 상기 제2필름부(330)는 서로 다른 재질이므로, 접착제를 이용하여 접합할 수 있으나 이 경우 접착제를 이용한 접합 공정이 필수적이다.
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압출 장치(400)에 의하여 상기 제1필름부(320)와 상기 제2필름부(330)를 상기 압출 열에 의하여 열 융착하는 경우 접합을 위한 공정 단계가 생략될 수 있으므로, 제조 비용 및 제조 시간이 감소되어 생산성이 증대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압출 재료를 상기 제2필름부(330)로 압출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압출 열을 이용하여, 상기 제2필름부(330)와 상기 제1필름부(320)가 융착/접착된 압출시트(310)를 제조할 수 있으므로, 추가적인 열 공급이 불필요하다는 장점이 있다.
여기서, 상기 압출시트(310)는 상기 제1필름부(320) 및 제2필름부(330)가 융착되어 형성되는 것이므로, "열융착 시트"로 정의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압출 재료를 상기 제2필름부(330)로 압출하는 과정에서 상기 제1필름부(320)와 열 융착시키면, 상기 제1필름부(320)와 상기 제2필름부(330)가 일체로 형성될 수 있어 결합 성능이 증대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필름부(320)와 제2필름부(330)의 접합은 접착제를 이용한 접합에 비하여 보다 높은 접합이 이루어질 수 있고, 접합된 제1,2필름부(310,350)의 평탄도가 증대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압출시트(310)는 접착제에 의해 접합되는 경우에 비하여 결합력 및 평탄도가 높아 품질이 우수하며, 이에 따라 장기간의 사용 및 유지가 가능하다.
상기 제2가이드롤러(443)의 표면을 따라 이동되는 제1필름부(320) 및 제2필름부(330)가 합지된 압출시트(310)는 상기 제3가이드롤러(445)를 따라 이동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2가이드롤러(443)와 상기 제3가이드롤러(445)의 회전 방향이 반대이므로, 상기 제2가이드롤러(443)의 표면을 따라 이동되는 압출시트(310)는 상기 제3가이드롤러(445)의 표면으로 안착되어 이동된다.
상기 압출 장치(400)는 상기 가이드 롤러 유닛(441,442,445,447)의 후단에 설치되는 압착 롤러유닛(미도시) 및 이송 유닛(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가이드롤러(445)의 표면을 따라 이동되는 압출시트(310)는 상기 압착 롤러유닛을 통과하면서 추가적으로 압착되어 평탄도가 보다 더 증대될 수 있다.
상기 압출시트(310)는 상기 제1필름부(320) 및 제2필름부(330)가 열융착된 것으로 추가적인 접착제 등이 불필요하므로, 상기 제1필름부(320)의 두께 및 제2필름부(330)의 두께를 더한 값보다 작거나 같은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압출시트(310)는 대략 434 ㎛ ~ 567 ㎛의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압출시트(310)는 50mm의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압출시트(310)는 롤 상태로 권취될 수 있으며, 상기 점착부(340)가 합지된 후 절단 및 패터닝 공정을 위해 이송되어 연속적인 절단 및 패터닝 가공이 가능할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것과 같이, 롤상태로 권취된 상기 복합필름 원단(300a)은 상기 프레스장치(500)에 의해 상기 그릴팬 바디(200)에 부착 가능한 형상으로 절단되고, 동시에 배기홈(343)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프레스장치(500)는 상기 복합필름 원단(300a)을 공급 및 배출하는 제5가이드롤러(510) 및 제6가이드롤러(530)와, 상기 제5가이드롤러(510)와 제6가이드롤러(530) 사이에서 상기 복합필름 원단(300a)을 절단 및 패터닝 형성하는 프레스(5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세히, 롤 상태로 권취된 상기 복합필름 원단(300a)은 제5가이드롤러(510)에 의해 프레스(520)로 공급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복합필름 원단(300a)은 상기 압출시트(310)에 점착부(340)가 부착된 상태로 상기 배기홈(343)이 형성되지 않은 형태를 지칭할 수 있다.
상기 제5가이드롤러(510)는 상하 한쌍이 배치되며, 한쌍의 상기 제5가이드롤러(510)의 사이로 상기 복합필름 원단(300a)가 통과되면서 상기 프레스(520)로 공급될 수 있다.
즉, 한쌍의 상기 제5가이드롤러(510)는 상기 복합필름 원단(300a)을 상기 프레스(520)에 정밀 공급할 수 있으며, 상기 제6가이드롤러(530)와 함게 상기 압출시트(310)의 정밀한 이송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프레스(520)는 상하 이동되는 금형에 의해 상기 복합필름 원단(300a)를 절단 및 패터닝 가공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금형은 패턴금형(521)과 절단금형(522)을 포함 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프레스(520)로 이송된 복합필름 원단(300a)은 상기 프레스(520)에 의해 패턴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복합필름 원단(300a)의 하면 즉, 상기 점착부(340)에 상기 복합필름(300)의 접착시 발생되는 공기를 배기하기 위한 패턴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패턴은 배기홈(343)이라 부를 수 있다.
상기 배기홈(343)은 상기 프레스(520)의 상기 패턴금형(521)에 의해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하 이동되는 상기 프레스(520)에 의해 상기 패턴금형(521)은 상기 복합필름 원단(300a)의 점착부(340)를 누르게 된다. 상기 패턴금형(521)에 의해 상기 복합필름 원단(300a)의 하면 즉, 상기 점착부(340)에는 전체적으로 상기 배기홈(343)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패턴금형(521)의 형상에 따라서 상기 배기홈(343)은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기본적으로, 상기 압출시트(310)의 짧은 폭 방향을 따라서 상기 압출시트(310)의 일단에서 타단까지 연장되는 홈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패턴금형(521)이 누르게 되는 상기 복합필름(300)의 하면 즉, 상기 점착부(340)는 발포 성형된 우레탄폼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패턴금형(521)의 가압에 의해서 상기 배기홈(343)이 성형될 수 있으며, 성형된 배기홈(343)은 상기 그릴팬 바디(200)에 상기 복합필름(300)이 부착된 후에도 유지될 수 있다.
상기 프레스(520)의 패턴금형(521)에 의해 상기 배기홈(343)이 성형 완료되면, 상기 제5가이드롤러(510)와 제6가이드롤러(530)에 의해 상기 복합필름 원단(300a)이 상기 절단금형(522)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절단금형(522)의 위치로 이송된 상기 압출시트(310)는 상기 프레스(520)의 절단금형(522)에 의해 절단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압출시트(310)의 절단은 완전한 조각의 형태로 잘라내는 것이 아니라, 작업자가 뜯어서 스크랩(300b)과 분리 가능한 정도로 자르는 톰슨 가공일 수 있다. 물론, 상기 압출시트(310)는 부착 가능한 형상의 완전히 잘려지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상기 프레스(520)에 의해 상기 복합필름 원단(300a)은 상기 냉기 토출구(302)와 같은 홀 형상과 상기 그릴팬 바디(200)의 형상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한번에 절단 가공될 수 있다. 즉, 상하 이동되는 절단금형(522)에 의해 전체적인 형상이 한번에 성형될 수 있다.
물론, 상기 프레스(520)는 패턴금형(521)과 절단금형(522)이 단일 금형의 형태로 구성되는 경우 상기 프레스(520) 내에서 상기 복합필름 원단(300a)이 이송되지 않고 한번에 상기 배기홈(343)의 형성과 절단이 동시에 가능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프레스(520)가 상기 제5가이드롤러(510)와 제6가이드롤러(530)의 사이에 병렬로 복수개 구성되는 경우 각각의 프레스(520)에 상기 패턴금형(521)과 절단금형(522)이 차례로 배치되어 순차적으로 가공 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한편, 상기 프레스(520)에 의해 상기 배기홈(343)의 성형 및 상기 그릴팬 바디(200)에 부착 가능한 형상으로 절단된 상태의 복합필름 원단(300a)은 상기 제6가이드롤러(530)에 의해 연속적으로 배출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복합필름 원단(300a)은 상기 프레스(520)의 톰슨 가공에 의해 부분적으로 절단된 상태로, 상기 제6가이드롤러(530)에 의해 배출된 후 스크랩(300b)과 분리되어 최종적으로 복합필름(300)이 완성될 수 있다. 상기 스크랩(300b)과 분리된 복합필름(300)은 상기 그릴팬 바디(200)에 부착가능한 낱장의 시트의 형태로 성형 완료될 수 있으며, 성형 완료되어 상기 그릴팬 바디(200)에 부착하기 직전의 상태의 복합필름을 복합시트 또는 복합필름 시트라 부를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가공이 완료된 복합필름(300)의 구조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11은 상기 복합필름의 하면을 보인 도면이다. 그리고, 도 12는 도 11의 12-12'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13은 상기 복합필름이 그릴팬 바디에 부착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가공이 완료된 상기 복합필름(300)은 상기 그릴팬(100)에 부착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복합필름(300)의 하면은 점착부(340)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복합필름(300)의 하면 전체에는 상기 배기홈(343)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배기홈(343)은 상기 복합필름(300)의 하면을 형성하는 점착부(340)에 형성되며, 상기 점착부(340)를 구성하는 상기 점착제층(341) 및 보호필름(342)에 모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복합필름(300)은 상기 그릴팬 바디(200)와 같은 넓은 면을 가지는 부분에 부착되는 것으로 부착 과정에서 발생될 수 있는 기포의 배기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배기홈(343)이 가로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세로 방향으로 일정 간격마다 연속 형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배기홈(343)은 상기 복합필름(300)의 가로와 세로 방향 중 폭이 짧은 가로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배기홈(343)은 상기 복합필름(300)의 길이가 짧은 쪽 방향을 따라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배기홈(343)은 상기 복합필름(300)의 일단에서 타단까지 연장될 수 있으며, 상기 배기홈(343)의 양단이 상기 복합필름(300)의 양단을 통해 노출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배기홈(343)의 깊이(H1)는 대략 0.1mm ~ 0.2mm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배기홈(343)의 직경(D1)은 대략 1mm의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배기홈(343)은 상기 복합필름(300)이 상기 그릴팬 바디(200)에 부착된 상태에서도 기포의 배기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홈 형상을 유지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배기홈(343)은 상기 복합필름(300)이 부착된 상태에서는 상기 복합필름(300)의 부착시 압력에 의해 대략 10% ~ 20% 가량 그 크기가 줄어들 수 있지만, 상기 복합필름(300)과 상기 그릴팬 바디(200) 사이의 기포와 공기의 배기는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배기홈(343)은 다수개가 일정 간격으로 연속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배기홈(343)은 상기 점착제층(341)의 접착 능력을 보장하기 위해서 대략 4mm ~ 6mm의 간격(D2)을 가질 수 있다. 즉, 상기 배기홈(343)은 상기 복합필름(300)의 하면에서 일정 간격(D2)마다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복합필름(300)의 하면은 상기 배기홈(343)과 상기 배기홈(343) 사이의 접착면(344)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배기홈(343)이 형성되지 않은 상기 접착면(344)은 상기 그릴팬 바디(200)와 완전히 밀착되어 상기 복합필름(300)이 상기 그릴팬 바디(200)와 접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복합필름(300)이 상기 그릴팬 바디(200)에 부착되기 위해서는 먼저 상기 보호필름(342)을 제거하게 된다. 상기 보호필름(342)이 제거되면, 상기 배기홈(343)이 형성된 상태의 점착제층(341)이 노출될 수 있으며, 상기 점착제층(341)이 상기 그릴팬 바디(200)의 전면에 접하도록 상기 복합필름(300)을 배치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복합필름(300)을 눌러 상기 그릴팬 바디(200)에 접착시키게 된다.
도 1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복합필름(300)이 상기 그릴팬 바디(200)에 부착된 상태에서도 상기 배기홈(343)은 상기 그릴팬 바디(200)의 전면과 이격된 공간을 유지하게 되며, 상기 접착면(344)이 상기 그릴팬 바디(200)와 접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복합필름(300)의 접착시 작업자는 상기 배기홈(343)을 통해 기포 또는 공기를 배기 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복합필름(300)이 상기 그릴팬 바디(200)의 전면에 부착되는 과정에서, 넓은 면에 상기 복합필름(300)이 부착되는 구조적인 특성상 기포가 발생되지만, 도 1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복합필름(300)의 하면에 형성되는 배기홈(343)을 따라서 기포와 공기의 배기가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배기홈(343)은 폭이 짧은 가로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작업자는 상기 복합필름(300)을 누르면서 가로 방향으로 기포 또는 공기를 쓸어서 상기 복합필름(300)의 외측 단부로 간단히 배출시킬 수 있게 된다.
이처럼, 상기 복합필름(300)의 접착은 사용자의 수작업에 의해 간단히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프레스 롤러를 이용한 합지와 같은 복잡한 공정을 거치지 않고 작업자가 직접 상기 복합필름(300)을 부착할 수 있어 생산성을 높이고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복합필름(300)은 전술한 실시 예 외에도 다양한 다른 실시 예가 가능할 것이다 .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점착부의 다른 예를 보인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15는 상기 점착부가 부착된 일 실시 예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복합시트(300')는 사출물에 부착되는 점착부(340)와, 상기 점착부(340) 상면의 외장부(3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외장부(350)는 금속외 다양한 질감을 가지는 필름 또는 박판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외장부(350)는 상기 점착부(340)에 점착 가능하고 가전 제품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는 다양한 소재가 가능할 것이다. 일 예로, 상기 외장부(350)는 우드 필름, 유리 박판 등 다양한 소재가 가능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점착부(340)는 전술한 점착제층(341)과 동일한 점착제층(341)과, 상기 점착제층(341)의 상면과 하면을 보호하는 상부 보호필름(343)과 하부 보호필름(342)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점착부(340)는 상기 외장부(350)에 프레스 롤에 의한 합지 공정으로 부착되지 않고, 별도 성형된 후에 사용자의 수작업에 의해 상기 외장부(350)에 부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점착부(340)는 전술한 실시 예에 서와 같은 프레스장치(500)에 의해 각각 배기홈(343)의 패턴 성형과 절단이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상기 점착부(340)에는 상면에 상면 배기홈(346)이 형성되고, 하면에 하면 배기홈(343)이 형성되어 상기 점착부(340)의 양면에 모두 배기홈(343)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상면 배기홈(346)과 하면 배기홈(343)의 직경(D1)은 전술한 실시 예와 동일할 수 있으며, 상기 배기홈(343) 사이의 접착면(344,347)의 폭 즉, 상기 배기홈(343, 346) 사이의 간격(D2) 또한 동일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배기홈(343, 346)의 깊이(H1,H2) 또한 서로 동일할 수 있다.
다만, 상기 상면 배기홈(346)과 하면 배기홈(343)은 서로 중첩되지 않도록 엇갈리게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연속되는 상면 배기홈(346)들의 사이 중앙부와 대응하는 후면에 하면 배기홈(343)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점착부(340)는 상면 보호필름(345)을 제거하여 상기 외장부(350)에 접착되고, 하면 보호필름(342)을 제거하여 가전기기를 구성하는 상기 사출물(200')에 부착할 수 있다. 상기 사출물(200')은 전술한 실시 예의 그릴팬 바디(200)와 같은 가전 기기의 외관 형상을 형성하는 다양한 구성일 수 있다 .
상기 점착부(340)는 상면과 하면에 모두 상기 상면 배기홈(346)과 하면 배기홈(343)이 형성되어 있 상태이므로. 작업자의 수작업에 의해 간단히 상기 외장부(350)와 사출물(200') 사이의 접착면 상에 기포와 공기를 배기할 수 있다.
도 16은 상기 점착부가 부착된 다른 실시 예이다.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복합시트(300'')는 사출물(200')에 부착되는 점착부(340)와, 상기 점착부(340) 상면의 외장부(35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외장부(350')는 유리 또는 투명 플라스틱 소재로 형성되는 투명층(351)과, 상기 투명층(351)의 하면에 형성되는 인쇄층(35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쇄층(352)은 특정 색상 또는 패턴, 글자, 그림 등이 인쇄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외부에서 보이는 가전 기기의 외관을 보다 다채롭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기 외장부(350')의 하면에는 상기 점착부(340)가 부착될 수 있다. 상기 점착부(340)의 구조 및 부착 방식은 도 14 및 도 15에서 설명하고 있는 구조와 완전히 동일하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전술한 실시 예들에서와 같은 복합필름(300) 또는 복합시트(300',300'')는 다양한 가전 제품에 적용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대표적인 예들에 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복합필름이 냉장고의 도어에 적용된 모습을 보인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냉장고(1)는 전술한 실시 예에서와 같이 저장 공간을 형성하는 캐비닛(10)과 도어(15,16)에 의해 외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캐비닛(10)의 저장 공간은 상부 저장 공간과 하부 저장 공간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도어는 상기 상부 저장 공간을 개폐하는 상부 도어(15)와 상기 하부 저장 공간을 개폐하는 하부 도어(16)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도어(15,16)는 닫힌 상태에서 상기 냉장고(1)의 전면 외관을 형성하게 되며, 상기 냉장고(1)가 설치된 상태에서는 상기 도어(15,16)가 전면으로 노출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도어(15,16)의 외관 형상에 의해 상기 냉장고(1)의 전체적인 외관이 좌우 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복합필름(300)은 상기 냉장고(1)의 도어의 외측면에 제공될 수 있다. 즉, 상기 냉장고(1)의 도어(15,16)는 외관을 형성하는 플레이트의 전면에 상기 복합필름(300)이 전체적으로 부착되어 상기 냉장고 도어(15,16)의 외관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복합필름(300)의 부착을 통해서 상기 냉장고 도어(15,16)는 전체적으로 다양한 색상과 질감 나타낼 수 있으며, 고급스러운 질감이 나타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복합필름이 저장 공간의 내측면에 적용된 모습을 보인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냉장고(1)는 전술한 실시 예에서와 같이 저장 공간(22,23)을 형성하는 캐비닛(10)과 도어에 의해 외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캐비닛(10)의 저장 공간(22,23)은 상부 저장 공간(22)과 하부 저장 공간(23)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도어(15,16)는 상기 상부 저장 공간(22)을 개폐하는 상부 도어(15)와 상기 하부 저장 공간(23)을 개폐하는 하부 도어(16)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캐비닛(10)은 외관을 형성하는 아웃 케이스(11)와, 상기 저장 공간의 내부를 형성하는 이너 케이스(13) 그리고, 상기 아웃 케이스(11)와 이너 케이스(13) 사이를 채우는 단열재(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이너 케이스(13)는 플라스틱 사출에 의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복합필름(300)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복합필름(300)은 이너 케이스의 형상을 형성하는 사출물의 외측면에 부착되어 상기 이너 케이스(13)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너 케이스(13)에 의해 형성되는 저장 공간(22,23)의 내부는 상기 복합필름(300)에 의해 외관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복합필름(300)은 전술한 실시 예에서와 같이 금속과 같은 외관 및 질감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저장 공간(22,23)의 내부가 금속 특히 스테인레스와 같은 질감을 가지게 될 경우 내부가 보다 깔끔하게 보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금속 특유의 질감을 통해 내부가 보다 낮은 온도를 유지하고 있는 것과 같이 보이도록 할 수 잇다.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복합필름이 조리기기에 적용된 모습을 보인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복합필름(300)이 적용된 조리기기(600)는 일 예로 가스 오븐과 같은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조리기기(600)는 본체(610)에 조리 공간이 형성될 수 있으며, 조리 공간의 전면에 상기 조리 공간을 개폐하는 도어(620)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세하게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본체(610)의 상면에는 가스레인지와 같은 쿡탑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조리기기(600)는 가열에 의해 식품을 조리하는 구조의 특성상 상기 본체(610)과 도어(620)가 금속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조리기기(600)의 상면에는 조작부(630)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조작부(630)는 상기 조리기기(600)의 동작 상태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와 동작 설정을 할 수 있는 다수의 버튼 등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조작부(630)는 상기 조리기기(600) 상면의 후측단에서 상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조작부(630)는 다수의 전장부품이 배치되고, 돌출되는 구조의 특성상 플라스틱 소재로 사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조작부(630)의 전면에는 상기 복합필름(30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복합필름(300)은 사출 형성된 조작부(630)의 전면을 형성하는 것으로, 전술한 실시 예에서와 같이 금속 질감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조작부(630)의 외관은 금속과 같이 보일 수 있으며, 금속 소재로된 상기 본체(610) 및 도어(620)와 일체감을 가지는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조리기기(600)는 가열을 통해 식품을 조리하는 특성상 열이 발생될 수 있으며, 이러한 열에 의해 상기 복합필름(300) 또한 고온 환경에 노출될 수 있다. 따라스, 상기 복합필름(300)을 구성하는 접착제층(323) 또는 점착제층(341)에 포함된 솔벤트 성분이 온도 상승에 의해 기화되면서 상기 복합필름(300)을 팽창시킬 수도 있다. 하지만, 상기 복합필름(300)은 상기 배기홈(343)을 통한 공기 배출이 가능한 구조를 가지게 되어 상기 복합필름(300)이 부풀어 오르거나 굴곡이 생기지 않고 접착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상기 복합필름(300)이 부착된 외관을 매끈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복합필름이 에어컨에 적용된 모습을 보인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복합필름(300)이 적용된 에어컨(700)은, 내부에 열교환기와 팬이 수용되는 케이스(710)와, 상기 케이스(710)의 전면에 장착되어 전면 외관을 형성하는 프론트 패널(720)에 의해 외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프론트 패널(720)은 복수의 패널이 서로 결합되어 상기 에어컨(700)의 전면 외관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프론트 패널(720)에는 열교환된 공기를 실내 공간으로 토출하는 토출구(730)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세하게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프론트 패널(720) 또는 상기 케이스(710)에 실내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구(미도시)가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에어컨(700)은 고급스러운 외관을 형성하기 위해서 상기 프론트 패널(720)의 전면이 복합필름(300)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프론트 패널(720)은 플라스틱 사출물에 의해 형상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플라스틱 사출물의 전면에 상기 복합필름(300)이 부착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복합필름(300)은 전술한 실시 예에서와 같이 금속 질감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전체적으로 넓은 면을 형성하는 상기 프론트 패널(720) 전체에 상기 복합필름(300)이 부착될 때에 상기 배기홈(343)을 통한 기포 및 공기의 배기가 가능하여 상기 프론트 패널(720)의 외관이 깔끔하게 보이도록 할 수 있다.
물론, 상기 프론트 패널(720) 뿐만 아니라 필요에 따라 사출 형성되는 상기 케이스(710)의 외측면에도 상기 복합필름(300)이 부착되어 외관을 형성할 수도 있다.

Claims (20)

  1. 일부가 금속 소재로 형성되며, 외관을 형성하는 제1필름부;
    상기 제1필름부의 하면에 형성되며, 수지재로 형성되는 제2필름부;
    상기 제2필름부의 하면에 형성되며, 가전제품을 구성하는 사출물에 접착되는 점착부;
    상기 점착부의 하면에 함몰되며, 상기 점착부 일단에서 타단까지 연장되어 상기 점착부와 사출물 사이의 공기를 배출하는 다수의 배기홈을 포함하는 가전 제품용 복합필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홈은 상기 점착부의 전체에 등 간격으로 배치되는 가전 제품용 복합필름.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홈은 1mm의 폭을 가지도록 개구되며, 이웃 하는 배기홈과 5mm 간격을 가지도록 배치되는 가전 제품용 복합필름.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홈은 상기 복합필름의 폭이 짧은쪽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가전 제품용 복합필름.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부는,
    상기 제2필름부 하면에 합지되며, 발포된 아크릴폼에 의해 형성되는 접착제층과,
    상기 접착체층의 하면에 부착되어 상기 접착제층을 보호하는 보호필름층을 포함하며,
    상기 배기홈은 상기 보호필름층과 접착제층이 함몰되어 형성되는 가전 제품용 복합필름.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층은 0.3mm ~ 0.5mm 두께로 형성되며,
    상기 배기홈의 깊이는 0.1mm ~ 0.2mm 깊이로 형성되는 가전 제품용 복합필름.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홈은 상기 점착제층이 상기 사출물에 접착된 상태에서도 유지되는 가전 제품용 복합필름.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홈은 상기 점착제층의 양면에 형성되며, 상기 제2필름부의 하면 및 사출물의 상면을 향하도록 형성되는 가전 제품용 복합필름.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필름부는,
    금속층;
    상기 금속층의 일면에 접착되어, 상기 금속층의 표면을 보호하는 피이티층;
    상기 금속 층의 타면에 도포되어, 상기 제2필름부와 접착되는 프라이머층; 및
    상기 피이티 층을 보호하는 코팅층을 포함하고,
    상기 피이티 층은 상기 코팅 층과 상기 금속 층의 사이에 위치되는 가전 제품용 복합필름.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필름부는 ABS수지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제1필름부와 인서트 압출에 의해 형성되는 가전 제품용 복합필름.
  11. 가전제품의 사출물에 부착되어 외관을 형성하는 복합필름에 있어서,
    상기 가전 제품의 외관 색상 및 질감을 나타내는 외장부;
    상기 외장부의 일면에 접착되며, 가전제품을 구성하는 사출물의 외측면에 접착되는 점착부;를 포함하며,
    상기 점착부의 하면에는 함몰 형성되며, 상기 복합필름의 일단에서 타단까지 연장되어 상기 점착부와 사출물 사이의 공기를 배출하는 다수의 배기홈을 포함하는 가전 제품용 복합필름.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외장부는,
    투시 가능한 유리 또는 플라스틱 소재로 형성되는 투명층과;
    상기 투명층에 특정 색상이나, 패턴, 모양, 문자 등이 인쇄되며, 상기 점착층에 접착되는 인쇄층을 포함하는 가전 제품용 복합필름.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외장부는 필름 소재로 형성되는 가전 제품용 복합필름.
  14. 저장 공간을 형성하는 캐비닛;
    상기 저장 공간의 전면을 개폐하며, 상기 캐비닛의 일측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도어; 및
    상기 저장 공간의 후벽면을 형성하며, 냉기를 상기 저장 공간으로 배출하는 냉기 토출공이 형성되는 그릴팬을 포함하고,
    상기 그릴팬은,
    사출물로 구성되는 그릴팬 바디; 및
    상기 그릴팬 바디의 전면에 부착되는 제 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복합필름을 포함하는 냉장고.
  15. 저장 공간을 형성하는 캐비닛; 및
    상기 저장 공간의 전면을 개폐하며, 상기 캐비닛의 일측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도어;를 포함하며,
    상기 도어의 전면에는 제 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복합필름이 부착되는 냉장고.
  16. 저장 공간을 형성하는 캐비닛; 및
    상기 저장 공간의 전면을 개폐하며, 상기 캐비닛의 일측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도어;를 포함하며,
    상기 저장 공간의 내측면에는 제 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복합필름이 부착되는 냉장고.
  17. 일부가 금속 소재로 형성되는 제1필름부를 제조하는 단계; [S10]
    ABS수지재의 제2필름부를 압출시 상기 제1필름부와 접합하여 압출시트를 성형하는 단계; [S20]
    상기 압출시트의 하면에 점착부를 합지하여 복합필름 원단을 형성하는 단계; [S30]
    상기 복합필름 원단을 프레스장치로 가공하여 상기 점착부에 배기홈을 형성하고 절단하여 복합필름을 성형하는 단계; [S40]를 포함하며,
    [S40] 단계에서, 상기 배기홈은 상기 복합필름의 일단에서 타단까지 연장되며, 등 간격으로 상기 점착부 전체면에 형성되는 가전제품용 복합필름의 제조방법.
  18. 제 17 항에 있어서,
    [S40] 단계에서, 상기 복합필름 원단은 롤 상태로 연속 공급되어 상기 배기홈의 형성 및 절단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지는 가전제품용 복합필름의 제조방법.
  19. 제 17 항에 있어서,
    [S40] 단계에서, 상기 프레스는 상기 배기홈을 형성하는 패턴금형과 상기 복합필름의 형상으로 절단하는 절단금형이 구비되며,
    공급되는 상기 복합필름 원단을 패턴금형으로 프레스 가공후 절단금형으로 연속하여 프레스 가공하는 가전제품용 복합필름의 제조방법.
  20. 제 17 항에 있어서,
    [S40] 단계에서, 상기 프레스 장치는 상기 점착부의 보호필름이 부착된 상태로 상기 배기홈을 형성하며,
    상기 보호필름이 제거된 상태에서도 상기 배기홈의 형상이 유지되도록 가압하는 복합필름의 제조방법.
KR1020200020716A 2020-02-19 2020-02-19 가전 제품용 복합필름, 복합필름이 부착되는 냉장고 및 복합필름의 제조방법 KR20210106073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0716A KR20210106073A (ko) 2020-02-19 2020-02-19 가전 제품용 복합필름, 복합필름이 부착되는 냉장고 및 복합필름의 제조방법
US17/172,966 US11650005B2 (en) 2020-02-19 2021-02-10 Composite film for home appliance and refrigerator with composite film attache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0716A KR20210106073A (ko) 2020-02-19 2020-02-19 가전 제품용 복합필름, 복합필름이 부착되는 냉장고 및 복합필름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6073A true KR20210106073A (ko) 2021-08-30

Family

ID=772725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0716A KR20210106073A (ko) 2020-02-19 2020-02-19 가전 제품용 복합필름, 복합필름이 부착되는 냉장고 및 복합필름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1650005B2 (ko)
KR (1) KR20210106073A (ko)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56963B2 (ja) * 2002-11-14 2008-03-05 松下冷機株式会社 昇華転写模様付き金属装飾板と金属装飾板の製造方法と断熱パネルと断熱パネルの製造方法と冷蔵庫用ドアと冷蔵庫用ドアの製造方法
KR20090019317A (ko) 2007-08-20 2009-02-25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전기기용 외장필름 및 이를 이용한 가전기기
KR20090045448A (ko) * 2007-11-02 2009-05-08 엘지전자 주식회사 기포배출구조가 형성된 가전기기용 접착 필름
KR101541187B1 (ko) 2008-01-22 2015-08-06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US10093084B2 (en) * 2014-02-26 2018-10-09 Jowat Se Laminating process employing grid-like adhesive application
EP3357988A4 (en) * 2015-09-28 2019-06-12 Lintec Corporation ADHESIVE SHEET AND PROCESS FOR PRODUCING ADHESIVE SHEE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650005B2 (en) 2023-05-16
US20210254885A1 (en) 2021-08-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660429B1 (en) Refrigerator
EP2762816B1 (en) Door for refrigerator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the same
US20080309210A1 (en) Method for Producing Appliance Cabinets and Appliance Cabinet Produced by Such Method
CN110140019B (zh) 冰箱
JP2010071565A (ja) 冷蔵庫
EP2626658B1 (en) Door for refrigerator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KR100980896B1 (ko) 쇼케이스
US11168934B2 (en) Extruded plastic front frame profiles for cooling appliances
US20100189935A1 (en) Film for electric home appliance and home appliance using the same
JP2016090193A (ja) 家電機器およびこれに用いる装飾外装板
JP2016038142A (ja) 冷蔵庫用扉
KR20210106073A (ko) 가전 제품용 복합필름, 복합필름이 부착되는 냉장고 및 복합필름의 제조방법
CA2411318C (en) Domestic refrigerator with improved thermal insulation
KR102375122B1 (ko) 냉장고
KR20210071520A (ko) 복합필름, 복합필름이 부착되는 냉장고 및 복합필름의 제조방법
KR102441799B1 (ko) 냉장고 아웃 플레이트
CN208959332U (zh) 冰箱
KR100905563B1 (ko) 필름 접착용 지그
CN210018685U (zh) 一种方便展示的连接支撑式柜体
KR20200087046A (ko) 냉장고
CN205221514U (zh) 一种食品配送柜
CN104620066A (zh) 冷藏库
JP2020122633A (ja) 冷蔵庫、ガラス部材
KR20080026327A (ko) 냉장고 도어용 강판 및 그 제조 방법
KR20090045445A (ko) 주름형 피브이씨를 이용한 금속센딩을 구현한 필름 및 이를이용한 가전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