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05901A - 확장과 비틀림을 위한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확장과 비틀림을 위한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05901A
KR20210105901A KR1020217018981A KR20217018981A KR20210105901A KR 20210105901 A KR20210105901 A KR 20210105901A KR 1020217018981 A KR1020217018981 A KR 1020217018981A KR 20217018981 A KR20217018981 A KR 20217018981A KR 20210105901 A KR20210105901 A KR 202101059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gs
pair
radially
radial
compart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189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시모 폰지오
루비노 꼬르비넬리
Original Assignee
어탑 에스.피.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어탑 에스.피.에이. filed Critical 어탑 에스.피.에이.
Publication of KR202101059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590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5/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5/0056Manufacturing winding connections
    • H02K15/0068Connecting winding sections; Forming leads; Connecting leads to terminals
    • H02K15/0081Connecting winding sections; Forming leads; Connecting leads to terminals for form-wound windings
    • H02K15/0087Connecting winding sections; Forming leads; Connecting leads to terminals for form-wound windings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r apparatus for simultaneously twisting a plurality of hairpins open ends after insertion into the machin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00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06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 H02K1/12Stationary part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16Stator cores with slots for winding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5/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5/0056Manufacturing winding connections
    • H02K15/0068Connecting winding sections; Forming leads; Connecting leads to terminals
    • H02K15/0081Connecting winding sections; Forming leads; Connecting leads to terminals for form-wound winding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00Details of windings
    • H02K3/04Winding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or shape, form or construction, e.g. with bar conductors
    • H02K3/12Winding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or shape, form or construction, e.g. with bar conductors arranged in slo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00Details of windings
    • H02K3/04Winding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or shape, form or construction, e.g. with bar conductors
    • H02K3/12Winding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or shape, form or construction, e.g. with bar conductors arranged in slots
    • H02K3/14Winding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or shape, form or construction, e.g. with bar conductors arranged in slots with transposed conductors, e.g. twisted conduct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2213/00Specific aspec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nd not covered by codes H02K2201/00 - H02K2211/00
    • H02K2213/03Machines characterised by numerical values, ranges, mathematical expressions or similar inform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nufacture Of Motors, Gener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정자 코어의 슬롯에 배치되는 헤어핀 도체의 레그의 단부를 확장시키기 위한 장치(100)와 방법, 및 고정자 코어의 슬롯에 배치되는 헤어핀 도체의 레그의 단부를 비틀기 위한 장치(200)와 방법에 관한 것이다. 확장 장치(100)는 헤어핀 도체의 레그의 단부를 반경 방향으로 움직이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핑거(111), 바람직하게는 복수의 핑거(111)를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핑거(111)는 반경 방향 내측 방향 및 반경 방향 외측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게 배치된다. 적어도 하나의 핑거(111)는 축방향 상측 방향 및 축방향 하측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게 배치된다. 적어도 하나의 핑거(111)는 적어도 하나의 반경 방향 연장 아암(101) 및 이 아암(101)의 바람직하게는 반경 방향 내측 단부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분리 부재(102)를 포함한다. 분리 부재(102)는 헤어핀 도체의 쌍(6, 6')의 반경 방향으로 이웃하는 레그의 두 단부(5a, 5b) 사이에 위치되도록 설계된다. 핑거(111)는 분리 부재(102)에 인접하는 바람직하게는 반경 방향 내측의 제 1 부분(104)을 갖는다. 제 1 부분(104)은 레그의 단부의 적어도 하나의 쌍(6)을 수용하도록 치수 결정된 제 1 반경 방향 폭(114)을 가지며, 또한 핑거(111)가 반경 방향으로 움직일 때 레그의 단부의 쌍(6)을 움직이도록 되어 있다. 핑거(111)는 바람직하게는 반경 방향 외측의 제 2 부분(105)을 가지며, 이 부분은 제 1 부분(104)과 겹치지 않는다. 제 2 부분(105)은 제 2 반경 방향 폭(116)을 갖는다. 제 1 반경 방향 폭(114)은 제 2 반경 방향 폭(116) 보다 작으며, 제 2 부분(105)은, 핑거(111)가 반경 방향으로 움직일 때, 레그의 적어도 하나의 쌍(6)을 움직임 없이 수용하도록 치수 결정된다.

Description

확장과 비틀림을 위한 장치 및 방법
본 발명은 고정자 코어의 슬롯에 배치되는 헤어핀 도체의 레그의 단부를 확장시키기 위한 장치와 방법, 및 고정자 코어의 슬롯에 배치되는 헤어핀 도체의 레그의 단부를 비틀기 위한 장치와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은 다이나모 전기 기계의 코어의 슬롯에 삽입되는 와이어 도체 부재를 정렬시키기 위한 장치 및 공정에 관한 것이다.
다이나모 전기 기계를 위한 고정자 코일의 제조를 위한 장치 및 공정을 사용하는 것이 당업계에 알려져 있다.
전형적인 제조 경우에, 코일 부재는 다이나모 전기 기계의 코어의 슬롯에 삽입된다. 코일 부재로부터 연장되어 있는 와이어 도체의 쌍은 함께 용접되고, 각 도체는 코일 부재에 속한다. 이러한 종류의 코일 부재는 포크 형상을 갖는 코일 부재(통상적으로, 당업계에서 "U-형 코일 부재" 또는 "헤어핀" 이라고 함)일 수 있다. 헤어핀 도체에는 전형적으로 2개의 레그 및 이들 레그 사이에 있는 연결 부분이 제공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도체는 단지 하나의 레그 또는 2개 이상의 레그를 가질 수 있다.
헤어핀 도체의 일부분, 예컨대, 연결 부분이 고정자 코어의 한 축방향 측에서 고정자의 축방향 외측으로 연장되어 있고, 고정자 코어의 반대편 축방향 측에서 레그는 슬롯 밖으로 연장되어 있다. 2개의 연장 레그를 서로 연결함으로써, 권선과 비슷한 연속적인 도체가 생성될 수 있다.
헤어핀 코일 주위에 감기는 고정자는 전형적으로 자동차의 전기 구동기 또는 하이브리드 구동기를 위해 사용된다.
헤어핀 도체는 미리 성형될 수 있으며 그리고/또는 고정자 코어 외부의 부분 또는 완전 네스트(nest) 안으로 미리 조립될 수 있다.
네스트가 코어 안으로 삽입된 후에, 헤어핀 도체의 단부는, 연결될 도체에 속하는 단부의 쌍들이 서로에 가깝도록 배치되어야 한다. 추가 단계에서, 레그는 함께 가압될 수 있고 용접으로 연결될 수 있다.
헤어핀 도체의 배치는 일반적으로 비틀림 장치로 달성된다. 비틀림 장치는 일반적으로, 적어도 서로 동축이고 비틀림 축선 주위로 연장되어 있는 적어도 제 1 및 제 2 링을 포함한다. 링은 포켓의 제 1 및 제 2 원형 어레이를 각각 포함한다. 링은 제 1 및 제 2 어레이의 각각의 포켓이 비틀림 축선에 대해 쌍으로 반경 방향으로 서로 정렬되는 적어도 제 1 구성과 제 2 구성을 취하기 위해 비틀림 축선 주위로 서로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 가능하다.
비틀림 장치가 제 1 구성으로 있을 때, 고정자로부터 돌출하는 헤어핀 도체의 레그의 단부는 포켓에 삽입될 수 있다. 링을 제 2 구성으로 회전시킨 후에, 제 1 구성에서 반경 방향으로 정렬된 2개의 레그는, 제 2 구성에서 미리 정해진 피치로 서로 반경 방향으로 오프셋된다.
연결 작업의 기본적인 요건은, 도체 단부들의 서로에 대한 또한 비틀림 장치에 대한 정확하고 반복 가능한 위치 설정이다. 다음 용접 공정을 위해, 단부들은 서로 가까이 위치되어야 한다.
이들 고정자의 증가된 시간당 제조는 용접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이용 가능한 시간의 감소를 필요로 한다. 이는 도체의 쌍의 단부를 위치시키기 위한 시간을 더 적게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 기술의 단점을 피하고 또한 특히 용접 단계를 준비할 때 헤어핀 도체의 단부를 신속하게 또한 정밀하게 배치하기 위한 장치와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들 및 다른 목적은 독립 특허 청구항에 따른 장치와 방법으로 달성된다.
본 발명의 제 1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고정자 코어의 슬롯에 배치되는 헤어핀 도체의 레그의 단부를 확장시키는 데에 적합하다.
전형적으로, 헤어핀 도체는 고정자 코어의 슬롯에 삽입되며, 헤어핀 도체의 레그의 단부는 축방향으로 고정자 코어로부터 돌출한다. 슬롯은 도체의 레그의 쌍이 반경 방향으로 정렬되도록 원주 방향으로 배치된다.
레그의 단부를 비틀림 장치의 포켓 안으로 삽입하기 위해, 단부는 서로로부터 거리를 두어야 하다. 이 단계를 확장이라고 한다. 바람직하게는 고정자의 각각의 층에 속하는 레그의 단부의 쌍은 이웃하는 층의 레그의 한쌍의 단부에 대해 거리를 두어야 한다. 층은 고정자 축선에 대한 제 1 거리를 갖는 레그의 단부의 제 1 그룹 및 고정자 축선에 대한 제 2 거리를 갖는 단부의 제 2 그룹을 포함하고, 연장 레그 중의 2개(하나는 제 1 그룹에 속하고 다른 하나는 제 2 그룹에 속함)가 서로 연결된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헤어핀 도체의 레그의 단부를 반경 방향으로 움직이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핑거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본 장치는 복수의 핑거를 포함하며, 그래서 레그의 복수의 단부는 독립적으로 그리고/또는 동시에 움직일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핑거는 반경 방향 내측 방향 및 반경 방향 외측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게 배치된다. 적어도 하나의 핑거는 축방향 상측 방향 및 축방향 하측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게 배치된다.
적어도 하나의 핑거는 적어도 하나의 반경 방향 연장 아암 및 분리 부재를 포함하다.
바람직하게는 아암은 헤어핀 도체의 원주 방향으로 서로 인접하는 두 레그 사이에 위치되도록 설계된다.
분리 부재는 아암의 바람직하게는 반경 방향 내측 단부에 인접하여 배치된다.
분리 부재는 아암에 연결될 수 있다. 이 아암과 분리 부재는 일체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분리 부재는 아암과 분리 분재가 90°의 각도를 포함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분리 부재는 바람직하게는 원주 방향 연장을 갖는다. 분리 부재의 원주 방향 치수는 바람직하게는 헤어핀 도체의 레그의 원주 방향 치수에 대응하고, 헤어핀 도체는 고정자에 배치된다.
분리 부재는 바람직하게는 축방향 연장을 가지며, 이 축방향 연장은 연결을 위해 이용 가능한 레그의 단부의 길이에 대응한다.
분리 부재는 헤어핀 도체의 쌍의 반경 방향으로 이웃하는 레그의 두 단부 사이에 위치되도록 설계된다.
분리 부재는 테이퍼형 축방향 단부를 포함할 수 있고, 이러한 단부는 분리 부재를 축방향으로 레그의 단부 사이에 도입할 수 있게 해준다.
핑거는 분리 부재에 인접하는 바람직하게는 반경 방향 내측의 제 1 부분을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제 1 부분은 분리 부재와 아암으로 둘러싸인 공간의 일부분이다.
제 1 부분은 레그의 적어도 하나의 쌍을 수용하도록 치수 결정된 제 1 반경 방향 폭을 가지며, 또한 핑거가 반경 방향으로 움직일 때 레그의 쌍을 움직이도록 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 1 부분은 레그의 단부의 쌍을 수용하도록 치수 결정되어 있고, 그 단부를 움직이도록 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 1 반경 방향 폭은 레그의 정확히 하나의 쌍을 수용하도록 치수 결정되어 있다.
도체의 레그의 반경 방향 연장은 2 mm 내지 5 mm이다. 도체의 레그의 원주 방향 연장 또한 2 mm 내지 5 mm이다.
따라서, 제 1 부분은 4.5 mm 내지 10.5 mm의 반경 방향 폭을 갖는다.
핑거는 바람직하게는 반경 방향 외측의 제 2 부분을 가지며, 이 부분은 제 1 부분과 겹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제 2 부분 또한 분리 부재와 아암으로 둘러싸인 공간의 일부분이다.
바람직하게는, 분리 웨브가 제 1 부분과 제 2 부분 사이에 배치된다. 제 2 부분은 웨브와 아암으로 둘러싸인 공간의 일부분이다.
제 2 부분은 제 2 반경 방향 폭을 가지며, 제 1 반경 방향 폭은 제 2 반경 방향 폭 보다 작다.
바람직하게는 제 2 부분은 11 mm 내지 23 mm의 반경 방향 폭을 갖는다.
아암은 제 1 부분의 반경 방향 폭과 제 2 부분의 반경 방향 폭의 합 보다 큰 반경 방향 길이를 갖는다.
그래서 제 2 부분은 적어도 단부의 하나의 쌍을 수용하도록 치수 결정된다.
또한 제 2 부분은 레그의 적어도 하나의 쌍을 수용하도록 치수 결정되고, 핑거는 제 2 부분에 수용되는 레그의 쌍을 움직임이 없이 반경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다.
핑거가 각각의 반경 방향 위치로 보내졌고 또한 분리 요소가 레그의 단부의 제 1 쌍과 제 2 쌍 사이에 위치되도록 축방향으로 움직였을 때, 레그의 제 2 쌍 및 제 3 쌍으로부터 반경 방향 외측에 위치되는 레그의 단부의 제 1 쌍이 제 1 부분에 수용될 수 있다. 그런 다음에, 핑거는 반경 방향 외측으로 움직일 수 있고, 그래서 레그의 단부의 제 1 쌍과 제 2 쌍은 더 큰 거리를 두게 된다.
그런 다음에 핑거는 레그의 제 1 쌍을 제 1 부분으로부터 해제시키기 위해 축방향 운동을 수행할 수 있다. 이제 분리 부재는 레그의 단부의 제 2 쌍과 제 3 쌍 사이에 위치될 수 있고, 그래서 단부의 제 2 쌍은 제 1 부분에 수용되고 단부의 제 1 쌍은 제 2 부분에 수용된다. 제 2 부분은 충분한 반경 방향 폭을 가지며, 그래서, 핑거가 제 2 쌍과 제 3 쌍을 이격시키기 위해 반경 방향으로 움직일 때, 제 1 쌍은 그의 반경 방향 위치에 유지된다. 아암은 안내면으로 역할할 수 있고, 그래서 레그의 단부의 원주 방향 위치가 또한 유지된다.
바람직하게는, 제 2 부분의 반경 방향 폭은 서로 거리를 두고 있는 레그의 단부의 적어도 두 쌍을 수용하기에 충분히 크다.
적어도 하나의 핑거는, 반경 방향 운동 거리에 걸쳐 한 쌍의 레그의 단부를 반경 방향으로 움직이도록 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레그의 반경 방향 최외측 쌍이 반경 외측 방향으로 움직인다.
바람직하게는 아암의 반경 방향 길이는, 반경 방향 운동 거리와 레그의 단부의 반경 방향 연장의 적어도 2배의 합 보다 크다.
레그의 한쌍의 단부들은 서로 가까이 배치되므로, 레그의 단부의 한 쌍의 반경 방향 연장은 레그의 단부의 반경 방향 연장의 2배에 대응한다.
본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 적어도 하나의 핑거는 헤어핀 도체의 레그의 단부를 축방향으로 수용하기 위한 시트를 갖는다.
시트는, 제 1 부분을 제공하고 레그의 단부의 적어도 하나의 쌍을 수용하도록 치수 결정된 제 1 반경 방향 격실 폭을 갖는 바람직하게는 반경 방향 내측의 제 1 격실을 포함한다.
제 1 반경 방향 격실 폭은 제 1 부분의 반경 방향 폭에 대응한다.
시트는, 제 2 부분을 제공하고 제 2 반경 방향 격실 폭을 갖는 바람직하게는 반경 방향 외측의 제 2 격실을 더 포함한다. 제 2 반경 방향 격실 폭은 제 2 부분의 반경 방향 폭에 대응한다.
그래서, 제 1 반경 방향 격실 폭은 제 2 반경 방향 격실 폭 보다 작다.
바람직하게는 시트 및 격실은 핑거에 단단히 부착되고 일체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분리 부재는 벽 중의 하나, 바람직하게는 반경 방향 내측 단부에 배치되는 벽으로 형성될 수 있고, 제 1 격실을 반경 방향으로 에워싼다.
제 1 격실과 제 2 격실 사이의 벽은 제 1 부분과 제 2 부분 사이에 분리 웨브를 형성할 수 있다.
핑거는 격실의 측벽을 형성하는 2개의 반경 방향 연장 아암을 포함할 수 있다.
격실은 적어도 레그의 단부로 향하는 하나의 축방향으로 개방되어 있다. 격실의 횡방향 측벽은, 레그의 이웃하는 단부의 운동 동안과 같은 레그의 운동 동안에도 레그의 단부의 원주 방향 운동을 방지하는 횡방향 안내면을 제공할 수 있다.
격실은 바닥 판을 포함할 수 있고, 또는 레그의 단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향하는 축방향으로 개방되어 있을 수 있다.
핑거가 레그의 방향으로 축방향으로 움직일 때, 레그의 적어도 하나의 쌍은 제 1 격실에 수용될 수 있고, 레그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쌍은 제 2 격실에 수용될 수 있다.
핑거가 반경 방향으로 움직일 때, 제 1 격실에 수용되는 레그의 단부의 쌍은 격실과 함께 움직이며, 제 2 격실에 수용되는 레그의 적어도 다른 쌍은 움직이지 않는다.
제 1 격실은 정확히 한 쌍의 단부를 수용하도록 치수 결정될 수 있다.
레그의 단부의 쌍은 고정자 권선의 층에 속할 수 있고, 연결은 추가 단계에서 이루어진다.
제 2 격실은 단부의 적어도 2개의 쌍을 수용하도록 치수 결정된다. 그래서, 장치는 레그의 적어도 세 쌍을 분리시키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레그의 마지막 쌍이 장치에 의해 움직이지 않을 때, 일 열로 반경 방향으로 정렬되는 레그의 최대 네 쌍이 서로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고정자 축선으로부터 동일한 거리로 있는 복수의 원주 방향 배치 쌍 각각은 층을 형성한다. 그래서, 도체는 최대 4개의 층을 갖는 고정자 권선을 위한 용접을 위해 준비될 수 있다.
핑거는 원주 방향으로 고정자 축선 주위로 회전 가능하고, 다른 것 뒤에 있는 레그의 단부의 하나의 반경 방향 정렬된 열을 분리시킨다.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 기계는 복수의 원형 배치 핑거들을 포함하고, 이 핑거들은 독립적으로 움직일 수 있다. 핑거들은 동시에 움직일 수 있고, 그래서 레그의 복수의 반경 방향 정렬된 단부가 동일한 단계에서 확장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레그의 단부의 모든 반경 방향 정렬된 열을 위한 핑거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고정자 코어의 슬롯에 배치되는 헤어핀 도체의 레그의 단부를 확장시키는 데에 적합하다.
본 방법은 바람직하게는 전술한 바와 같은 장치를 사용하고 이하의 단계를 포함한다.
반경 방향 연장 아암의 바람직하게는 반경 방향 내측 단부에 연결되는 분리 부재가 헤어핀 도체의 레그의 반경 방향으로 이웃하는 쌍의 두 단부 사이에 위치된다. 분리 부재는 바람직하게는 아암과 분리 부재를 축방향으로 움직여 위치된다.
분리 부재를 반경 방향으로 움직여, 헤어핀 도체의 레그의 적어도 하나의 제 1 쌍이 반경 방향으로 움직인다.
레그의 적어도 하나의 제 1 쌍이 분리 부재로부터 결합 해제된다. 바람직하게는 레그의 쌍은 아암과 분리 부재를 축방향으로 움직여 결합 해제된다.
분리 부재는 레그의 적어도 하나의 제 2 쌍의 반경 방향 위치에 대응하는 반경 방향 위치로 반경 방향으로 움직이고, 레그의 적어도 하나의 제 1 쌍은 움직이지 않게 유지된다.
분리 부재는 바람직하게는 반경 방향 내측에서, 바람직하게는 축방향 운동으로 레그의 제 2 쌍에 인접하여 위치된다.
바람직하게는, 레그의 적어도 하나의 제 1 쌍이 움직이지 않게 유지되면서, 분리 부재를 반경 방향으로 움직여 레그의 제 2 쌍이 반경 방향으로 움직인다.
유리한 실시 형태에서, 이미 움직인 쌍은 움직이지 않게 유지되면서, 단부의 추가 쌍은 차례 대로 반경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 고정자 축선 주위에 원주 방향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쌍은 동일한 작업 단계에서 복수의 분리 부재에 의해 반경 방향으로 움직인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 레그의 적어도 하나의 제 1 쌍이 핑거의 시트의 바람직하게는 반경 방향 내측의 제 1 격실에 삽입되며, 제 1 반경 방향 격실은 제 1 반경 방향 격실 폭을 갖는다.
제 1 격실의 원주 방향 연장 벽은 분리 부재로서 역할한다. 벽은 바람직하게는 반경 방향 내측 벽이다.
핑거를 반경 방향으로 움직여 레그의 단부의 적어도 하나의 제 1 쌍은 반경 방향으로 움직인다.
바람직하게는, 레그의 단부의 제 1 쌍은 단부의 제 2 쌍으로부터 거리를 두도록 반경 방향 외측 방향으로 움직인다.
레그의 단부의 적어도 하나의 제 1 쌍이 바람직하게는 핑거의 축방향 운동에 의해 제 1 격실로부터 결합 해제된다.
그런 다음에 핑거는, 단부의 제 1 쌍에 반경 방향으로 인접하는, 레그의 단부의 적어도 하나의 제 2 쌍의 반경 방향 위치에 대응하는 반경 방향 위치로 반경 방향으로 움직인다.
레그의 단부의 적어도 하나의 제 2 쌍은 제 1 격실 안으로 삽입되고 또한 레그의 적어도 하나의 제 1 쌍은, 제 1 반경 방향 격실 폭 보다 큰 제 2 반경 방향 폭을 갖는 바람직하게는 반경 방향 외측의 제 2 격실에 삽입된다. 단부의 제 1 쌍은 그의 위치에 유지된다.
레그의 단부의 적어도 하나의 제 1 쌍은 움직이지 않게 유지되면서, 핑거를 반경 방향으로 움직여 레그의 단부의 제 2 쌍이 반경 방향으로 움직인다.
바람직하게는, 단부의 제 1 쌍이 움직이지 않는 중에 레그의 단부의 제 2 쌍은 반경 방향 외측 방향으로 움직인다. 제 1 쌍과 제 2 쌍은 서로 가깝게 되지만, 단부의 제 1 쌍을 반경 방향으로 움직이기 전에 보다 더 큰 거리를 갖는다.
반경 방향 운동의 각 단계는 레그의 단부의 쌍의 정학한 위치 설정을 제공하며, 이는 추가 쌍을 위치시키기 위한 추가 운동 단계 동안에 유지된다.
확장 공정 후에 레그의 단부의 쌍들은 분리되고 그래서 비틀림 장치의 포켓에 삽입될 준비가 된다.
본 발명의 제 2 양태는 고정자 코어의 슬롯에 배치되는 헤어핀 도체의 레그의 단부를 비틀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헤어핀 도체의 레그의 단부의 쌍은 전술한 바와 같은 단부를 확장시키기 위한 장치 및/또는 방법에 의해 분리되었다.
비틀림 장치는 반경 방향 외측 링과 반경 방향 내측 링을 갖는 적어도 한 쌍의 인접하는 링을 포함한다.
내측 및 외측 링은 직접 이웃하고, 내측 및 외측 링 사이에는 중간 링이 배치되지 않는다.
내측 및 외측 링 중의 적어도 하나는 다른 링에 대해 원주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내측 링과 외측 링은 반대 원주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다.
본 장치는 추가 쌍의 링을 포함할 수 있다. 각 쌍의 링은 고정자 권선의 도체 층을 위치시키기 위한 것이다.
내측 링과 외측 링 각각은 헤어핀 도체의 레그의 단부를 수용하기 위한 개방 포켓을 포함한다. 각 개방 포켓은 레그의 정확히 하나의 단부를 수용하도록 치수 결정된다.
반경 방향 외측 링에 있는 개방 포켓은 반경 방향 외측 벽 및 반경 방향 내측 개방 단부를 갖는다.
반경 방향 내측 링에 있는 개방 포켓은 반경 방향 내측 벽 및 반경 방향 외측 개방 단부를 갖는다.
개방 포켓은 측벽을 가지며 또한 바닥판을 가질 수 있다. 원주 방향으로 인접하는 개방 포켓의 측벽 사이에는 반경 방향 안내면이 있다.
내측 링의 각 개방 포켓은, 내측 링 및 외측 링이 원주 방향으로 정렬되면, 외측 링의 각각의 개방 포켓과 함께, 레그의 한쌍의 단부를 수용하기 위한 공동 폐쇄 포켓을 형성한다. 내측 및 외측 링의 반경 방향 안내면은 또한 반경 방향으로 정렬되며 이 위치에서 서로 접촉할 수 있다.
공동 폐쇄 포켓 각각은 외측 링의 개방 포켓의 반경 방향 외측 벽 및 내측 링의 개방 포켓의 반경 방향 내측 벽을 갖는다. 공동 폐쇄 포켓은 개방 포켓의 측벽으로 형성되는 측벽을 가질 수 있다.
공동 폐쇄 포켓은, 서로 가까이 배치되는 레그의 단부의 정확히 하나의 쌍을 수용하도록 치수 결정된다.
레그의 단부의 쌍을 수용하기 위한 공동 폐쇄 포켓은 2개의 개방 포켓으로 형성되므로, 단부의 쌍의 한 단부를 수용하기 위한 포켓과 단부의 쌍의 다른 단부를 수용하기 위한 포켓 사이에는 분리 벽이 없다.
링 중의 적어도 하나를 원주 방향으로 움직일 때, 레그의 단부는 각 헤어핀 도체가 추가 피치를 가지도록 구부려진다.
비틀림 동안에 개방 포켓에 수용되는 레그의 단부의 반경 방향 위치는, 개방 포켓의 벽 및 반대편 링의 안내면에 의해 유지될 수 있다.
각각의 층의 도체의 레그의 단부는 용접 바로 직전이 아닌 이미 비틀림 전에 서로 가까워질 수 있다. 레그의 단부는 비틀림 장치 안으로 삽입되기 전에 확장되어야 하기 때문에, 비틀림 후에 층의 단부를 함께 모으는 추가 단계가 필요치 않다.
링 중의 적어도 하나는 원주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고, 그래서 내측 링의 개방 포켓과 외측 링의 개방 포켓은 시작 위치에서 제 1 공동 폐쇄 포켓을 형성하며 끝 위치에서 제 2 공동 폐쇄 포켓을 형성한다.
따라서, 시작 위치에서 레그의 단부의 쌍은 공동 폐쇄 포켓 안으로 삽입될 수 있다. 비틀림 후에, 즉 링 중의 적어도 하나를 원주 방향으로 움직인 후에, 레그의 단부의 새로운 쌍이 제 2 공동 폐쇄 포켓에 결합된다.
링을 회전시키는 정도가 도체의 피치를 규정하게 된다. 예컨대, 제 1 레그의 단부와 동일 헤어핀 도체의 다른 레그의 단부 사이에 있는 개방 포켓의 수에 1을 더한 것은 도체의 피치에 대응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고정자 코어에서 헤어핀 도체의 레그의 단부를 비트는 데에 적합하고 전술한 바와 같은 비틀림 장치를 사용한다.
본 방법은 다음과 같은 단계를 포함한다.
헤어핀 도체의 레그의 적어도 한 쌍의 단부가 내측 링의 개방 포켓과 외측 링의 개방 포켓으로 형성되는 공동 폐쇄 포켓 안에 삽입된다.
내측 링과 외측 링 중의 적어도 하나는 원주 방향으로 회전되고, 레그의 단부의 쌍의 한 단부는 내측 링의 개방 포켓에 유지되고, 쌍의 단부 중의 하나는 외측 링의 개방 포켓에 유지된다. 원래 삽입되는 쌍의 단부는 서로 거리를 두며 단부는 이 공정 단계로 구부려지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고정자의 축선에 대해 원주 방향으로 배치되는 레그의 단부의 복수의 쌍이 내측 링의 개방 포켓과 외측 링의 개방 포켓으로 형성되는 대응하는 복수의 공동 폐쇄 포켓 안에 삽입된다. 하나 보다 많은 쌍의 내측 및 외측 링이 있을 수 있다.
본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 헤어핀 도체의 레그의 단부의 복수의 쌍의 각 쌍은 공동 폐쇄 포켓 안으로 삽입되고, 원주 방향 회전 후에 레그의 단부의 새로운 쌍이 공동 폐쇄 포켓에 배치된다. 바람직하게는 레그의 모든 단부가 새로운 쌍의 일부분이다.
특수한 도체의 추가 단부가 또한 공동 포켓에 삽입될 수 있다. 모든 단부가 한 쌍의 일부분일 필요는 없다. 비틀림 후에도, 도체의 레그의 한 단부만 수용하는 공동 폐쇄 포켓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레그의 단부는 용접되고 권선을 형성할 준비가 된다.
이하,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한 설명 및 각각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한다.
도 1은 헤어핀 도체의 레그의 단부를 확장시키기 위한 장치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2는 헤어핀 도체의 레그의 단부를 확장시키기 위한 장치의 세부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3은 헤어핀 도체의 레그의 단부를 확장시키기 위한 장치의 핑거의 세부의 추가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4a - 4c는 헤어핀 도체의 레그의 단부를 확장시키기 위한 방법의 단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5는 헤어핀 도체의 레그의 단부를 비틀기 위한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6은 헤어핀 도체의 레그의 단부를 비틀기 위한 장치의 세부의 사시도이다.
도 7은 헤어핀 도체의 레그의 단부를 비틀기 위한 장치의 추가 세부의 사시도이다.
도 1은 헤어핀 도체의 레그의 단부를 확장시키기 위한 장치(100)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본 장치는 헤어핀 도체의 레그의 단부(5a, 5b)를 반경 방향으로 움직이기 위한 복수의 핑거(111)를 포함한다(도 3 참조).
핑거(111)는 고정자(도면에는 나타나 있지 않음)의 축선에 대응하는 시스템 축선(T)에 대해 원주 방향으로 배치된다.
핑거(111)는 반경 방향(106)으로 움직일 수 있게 배치되며 또한 축선 방향(107)으로 움직일 수 있게 배치된다.
핑거(111)는 독립적으로 움직일 수 있다.
도 2는 헤어핀 도체의 레그의 단부(5a, 5b)를 확장시키기 위한 장치(100)의 세부의 사시도를 나타낸다(도 3 참조).
각 핑거(111)는 적어도 하나의 반경 방향 연장 아암(101) 및 이 아암(101)의 반경 방향 내측 단부(108)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분리 부재(102)를 포함한다.
분리 부재(102)는 헤어핀 도체의 쌍의 반경 방향으로 이웃하는 레그의 두 단부(5a, 5b)(도 3 참조) 사이에 위치되도록 설계되어 있다.
각 핑거(111)는 분리 부재(102)에 인접하는 제 1 반경 방향 내측 부분(104)을 갖는다. 제 1 부분(104)은 적어도 한쌍의 레그(5a, 5b)를 수용하도록 치수 결정된 제 1 반경 방향 폭(114)(도 3 참조)을 가지며, 핑거(111)가 반경 방향으로 움직일 때 상기 쌍의 레그(5a, 5b)(도 3 참조)를 움직이도록 되어 있다.
각 핑거(111)는 제 2 반경 방향 외측 부분(105)을 가지며, 이 외측 부분은 제 1 부분(104)과 겹치지 않는다. 제 2 부분(105)은 제 2 반경 방향 폭(116)을 갖는다.
제 1 반경 방향 폭(114)은 제 2 반경 방향 폭(116) 보다 작다. 제 2 부분(105)은, 핑거(111)가 반경 방향으로 움직일 때 적어도 한쌍의 레그(5a, 5b)(도 3 참조)를 움직임 없이 수용하도록 치수 결정된다.
분리 웨브(118)가 제 1 부분(104)과 제 2 부분(105) 사이에 배치된다.
도 3은 헤어핀 도체의 레그의 단부(5a, 5b)를 확장시키기 위한 장치(100)의 핑거(111)의 세부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각 핑거(111)는 헤어핀 도체의 레그의 단부(5a, 5b)를 축방향으로 수용하기 위한 시트(112)를 갖는다. 이 시트(112)는, 제 1 부분(103)을 제공하고 레그의 한쌍(6)을 수용하도록 치수 결정된 제 1 반경 방향 격실 폭(114)을 갖는 제 1 반경 방향 내측 격실(113), 및 제 2 부분(105)을 제공하고 제 2 반경 방향 격실 폭(116)을 갖는 제 2 반경 방향 외측 격실(115)을 포함한다. 제 1 반경 방향 격실 폭(114)은 제 2 반경 방향 격실 폭(116) 보다 작다.
제 2 격실(115)은 단부(5a, 5b)의 적어도 두 쌍(6)을 수용하도록 치수 결정된다.
도 4a - 4c는 헤어핀 도체의 레그의 단부를 확장시키기 위한 방법의 단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핑거(111)는 반경 방향 운동 거리(117)에 걸쳐 레그의 단부의 쌍(6)의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반경 방향 최외측 단부(5a, 5b)를 반경 방향으로 움직이도록 되어 있다.
제 2 반경 방향 폭(116)은 반경 방향 운동 거리(117)와 레그의 단부의 쌍의 반경 방향 연장(110)의 적어도 2배의 합 보다 크다.
제 2 반경 방향 폭(116)은 바람직하게는 11 mm 내지 23 mm 이다.
제 1 부분(104)의 반경 방향 폭(119)은 바람직하게는 4.5 mm 내지 10.5 mm 이다.
제 1 부분(104)과 제 2 부분(105)의 원주 방향 폭(120)은 바람직하게는 2.5 mm 내지 5.5 mm 이다.
아암(101)의 반경 방향 길이(103)는 반경 방향 운동 거리(117)와 레그의 단부의 쌍의 반경 방향 연장(110)의 적어도 2배의 합 보다 크다.
제 1 단계에서, 분리 부재(102)가 헤어핀 도체의 레그의 반경 방향으로 이웃하는 쌍(6, 6')의 두 단부 사이에 위치된다(도 4a 참조).
분리 부재(102)를 반경 방향으로 움직일 때 헤어핀 도체의 레그의 제 1 쌍(6)이 반경 방향으로 움직인다. 레그의 단부의 제 1 쌍(6)은 분리 부재(102)로부터 결합 해제된다. 그런 다음에 분리 부재(102)는, 레그의 적어도 하나의 제 1 쌍(6)을 움직이지 않게 유지하면서, 레그의 적어도 하나의 제 2 쌍(6')의 반경 방향 위치에 대응하는 반경 방향 위치로 반경 방향으로 움직인다(도 4b 참조).
레그의 제 2 쌍(6')은, 레그의 제 1 쌍(6)을 움직이지 않게 유지하면서, 분리 부재(102)를 반경 방향으로 움직여 반경 방향으로 움직인다.
도 5는 헤어핀 도체의 레그의 단부(5a, 5b)를 비틀기 위한 장치(200)의 사시도를 나타낸다(도 7 참조).
장치(200)는 인접하는 링(202, 203)의 복수의 쌍(201, 201', 201'')을 포함한다(도 6 참조). 장치(200)는 링(202, 203)을 원주 방향(204, 205)으로 독립적으로 움직이기 위한 작동 장치(214)를 포함한다.
도 6은 헤어핀 도체의 레그의 단부(5a, 5b)를 비틀기 위한 장치의 세부의 사시도를 나타낸다(도 7 참조).
인접하는 링의 각 쌍(201, 201', 201'')은 반경 방향 외측 링(203) 및 반경 방향 내측 링(202)을 포함하다.
내측 링(202) 및 외측 링(203) 각각은 헤어핀 도체의 레그의 단부(5a, 5b)를 수용하기 위한 개방 포켓(206, 207)을 포함한다(도 7 참조).
반경 방향 외측 링(203)에 있는 개방 포켓(207)은 반경 방향 외측 벽(208) 및 반경 방향 내측 개방 단부(209)를 갖는다.
반경 방향 내측 링(202)에 있는 개방 포켓(206)은 반경 방향 내측 벽(210) 및 반경 방향 외측 개방 단부(211)를 갖는다.
내측 링(202)의 각 개방 포켓(206)은, 내측 링(202) 및 외측 링(203)이 원주 방향으로 정렬되면, 외측 링(203)의 각각의 개방 포켓(207)과 함께 공동 폐쇄 포켓(212)을 형성한다. 공동 폐쇄 포켓(212) 각각은 외측 링(203)의 개방 포켓(207)의 반경 방향 외측 벽(208) 및 내측 링(202)의 개방 포켓(206)의 반경 방향 내측 벽(210)을 갖는다.
도 7은 헤어핀 도체의 레그의 단부를 비틀기 위한 장치의 추가 세부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내측 링(202)과 외측 링(203) 중의 적어도 하나는 다른 링(202, 203)에 대해 원주 방향(204)으로 움직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내측 링(203) 및 외측 링(202)은 반대 원주 방향(204, 205)으로 움직일 수 있다.
내측 링(202)의 각 개방 포켓(206)은, 내측 링(202) 및 외측 링(203)이 원주 방향으로 정렬되면, 외측 링(203)의 각각의 개방 포켓(207)과 함께, 레그(5a, 5b)의 단부의 쌍(6)을 수용하기 위한 공동 공동 폐쇄 포켓(212)을 형성한다.
링(202, 203)은 원주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으며, 그래서 내측 링(202)의 개방 포켓(206) 및 외측 링(203)의 개방 포켓(207)은 시작 위치에서 제 1 공동 폐쇄 포켓(212)을 형성하며 끝 위치에서 제 2 공동 폐쇄 포켓을 형성한다. 레그의 단부의 새로운 쌍이 형성되는데, 이는 제 2 공동 폐쇄 포켓에 수용된다.

Claims (11)

  1. 고정자 코어의 슬롯에 배치되는 헤어핀 도체의 레그의 단부(5a, 5b)를 확장시키기 위한 장치(100)로서, 상기 장치는 헤어핀 도체의 레그의 단부를 반경 방향으로 움직이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핑거(111), 바람직하게는 복수의 핑거(111)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핑거(111)는 반경 방향 내측 방향 및 반경 방향 외측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게 배치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핑거(111)는 축방향 상측 방향 및 축방향 하측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게 배치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핑거(111)는 적어도 하나의 반경 방향 연장 아암(101) 및 이 아암(101)의 바람직하게는 반경 방향 내측 단부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분리 부재(102)를 포함하며,
    상기 분리 부재(102)는 헤어핀 도체의 쌍(6, 6')의 반경 방향으로 이웃하는 레그의 두 단부(5a, 5b) 사이에 위치되도록 설계되며,
    상기 핑거(111)는 분리 부재(102)에 인접하는 바람직하게는 반경 방향 내측의 제 1 부분(104)을 가지며,
    상기 제 1 부분(104)은 레그의 단부의 적어도 하나의 쌍(6)을 수용하도록 치수 결정된 제 1 반경 방향 폭(114)을 가지며, 또한 핑거(111)가 반경 방향으로 움직일 때 레그의 단부의 상기 쌍(6)을 움직이도록 되어 있고,
    상기 핑거(111)는 바람직하게는 반경 방향 외측의 제 2 부분(105)을 가지며, 제 2 부분은 제 1 부분(104)과 겹치지 않으며,
    상기 제 2 부분(105)은 제 2 반경 방향 폭(116)을 가지며,
    상기 제 1 반경 방향 폭(114)은 제 2 반경 방향 폭(116) 보다 작으며, 상기 제 2 부분(105)은, 핑거(111)가 반경 방향으로 움직일 때, 레그의 적어도 하나의 쌍(6)을 움직임 없이 수용하도록 치수 결정되어 있는, 헤어핀 도체의 레그의 단부를 확장시키기 위한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분리 웨브(118)가 상기 제 1 부분(112)과 제 2 부분(115) 사이에 배치되는, 헤어핀 도체의 레그의 단부를 확장시키기 위한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핑거(111)는 반경 방향 운동 거리(117)에 걸쳐 레그의 쌍(6)의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반경 방향 최외측 단부를 반경 방향으로 움직이도록 되어 있고, 상기 아암(101)의 반경 방향 길이(103)는, 상기 반경 방향 운동 거리(117)와 레그의 단부의 쌍(6, 6')의 반경 방향 연장 치수(110)의 적어도 2배의 합 보다 큰, 헤어핀 도체의 레그의 단부를 확장시키기 위한 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핑거(111)는 헤어핀 도체의 레그의 단부를 축방향으로 수용하기 위한 시트(112)를 가지며, 이 시트(112)는, 상기 제 1 부분을 제공하고 레그의 적어도 하나의 쌍(6)을 수용하도록 치수 결정된 제 1 반경 방향 격실 폭(114)을 갖는 바람직하게는 반경 방향 내측의 제 1 격실(113), 및 상기 제 2 부분을 제공하고 제 2 반경 방향 격실 폭(116)을 갖는 바람직하게는 반경 방향 외측의 제 2 격실(115)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반경 방향 격실 폭(114)은 제 2 반경 방향 격실 폭(116) 보다 작은, 헤어핀 도체의 레그의 단부를 확장시키기 위한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격실(115)은 단부의 정확히 하나의 쌍(6)을 수용하도록 치수 결정되어 있는, 헤어핀 도체의 레그의 단부를 확장시키기 위한 장치.
  6.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격실(115)은 단부의 적어도 2개의 쌍(6, 6')을 수용하도록 치수 결정되어 있는, 헤어핀 도체의 레그의 단부를 확장시키기 위한 장치.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기계는 원형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핑거들(111)을 포함하고, 핑거들(111)은 독립적으로 움직일 수 있는, 헤어핀 도체의 레그의 단부를 확장시키기 위한 장치.
  8. 고정자 코어의 슬롯에 배치되는 헤어핀 도체의 레그의 단부(5a, 5b)를 확장시키기 위한 방법으로서,
    반경 방향 연장 아암(101)의 바람직하게는 반경 방향 내측 단부에 연결되는 분리 부재(102)를 헤어핀 도체의 레그의 반경 방향으로 이웃하는 쌍(6, 6')의 두 단부 사이에 위치시키는 단계;
    상기 분리 부재(102)를 반경 방향으로 움직여 헤어핀 도체의 레그의 적어도 하나의 제 1 쌍(6)을 반경 방향으로 움직이는 단계;
    레그의 단부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쌍(6)을 상기 분리 부재(102)로부터 결합 해제시키는 단계;
    상기 레그의 적어도 하나의 제 1 쌍(6)을 움직이지 않게 유지하면서, 레그의 적어도 하나의 제 2 쌍(6')의 반경 방향 위치에 대응하는 반경 방향 위치로 분리 부재(102)를 반경 방향으로 움직이는 단계; 및
    상기 레그의 적어도 하나의 제 1 쌍(6)을 움직이지 않게 유지하면서, 상기 분리 부재(102)를 반경 방향으로 움직여 레그의 상기 제 2 쌍(6')을 바람직하게는 반경 방향으로 움직이는 단계를 포함하는, 헤어핀 도체의 레그의 단부를 확장시키기 위한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레그의 단부의 적어도 하나의 제 1 쌍(6)을 핑거(111)의 시트(112)의 바람직하게는 반경 방향 내측의 제 1 격실(113)에 삽입하는 단계 - 상기 제 1 반경 방향 격실(113)은 제 1 반경 방향 격실 폭(114)을 가짐 -;
    상기 핑거(111)를 반경 방향으로 움직여 레그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쌍(6)을 반경 방향으로 움직이는 단계;
    레그의 단부의 적어도 하나의 제 1 쌍(6)을 상기 제 1 격실(113)로부터 결합 해제시키는 단계;
    레그의 단부의 적어도 하나의 제 2 쌍(6')의 반경 방향 위치에 대응하는 반경 방향 위치로 상기 핑거(111)를 반경 방향으로 움직이는 단계;
    레그의 단부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 쌍(6')을 상기 제 1 격실(113)에 삽입하고 또한 레그의 단부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쌍(6)을, 제 1 반경 방향 폭(114) 보다 큰 제 2 반경 방향 격실 폭(116)을 갖는 바람직하게는 반경 방향 외측의 제 2 격실(115)에 삽입하는 단계; 및
    상기 레그의 단부의 적어도 하나의 제 1 쌍(6)을 움직이지 않게 유지하면서, 상기 핑거(111)를 반경 방향으로 움직여 레그의 단부의 상기 제 2 쌍(6')을 반경 방향으로 움직이는 단계를 포함하는, 헤어핀 도체의 레그의 단부를 확장시키기 위한 방법.
  10. 용접을 위해 고정자 코어에서 헤어핀 도체의 레그의 단부를 준비하기 위한 시스템으로서,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확장시키기 위한 장치 및 비틀림 장치를 포함하는 시스템.
  11. 용접을 위해 고정자 코어에서 헤어핀 도체의 레그의 단부를 준비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제 8 항 또는 제 9 항에 따른 방법의 단계들 및 비틀림 방법의 단계들을 포함하는, 헤어핀 도체의 레그의 단부를 준비하기 위한 방법.
KR1020217018981A 2018-12-21 2019-12-19 확장과 비틀림을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21010590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8215154.8 2018-12-21
EP18215154 2018-12-21
PCT/EP2019/086288 WO2020127718A1 (en) 2018-12-21 2019-12-19 Device and method for widening and twistin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5901A true KR20210105901A (ko) 2021-08-27

Family

ID=647554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18981A KR20210105901A (ko) 2018-12-21 2019-12-19 확장과 비틀림을 위한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20060091A1 (ko)
EP (1) EP3900166A1 (ko)
KR (1) KR20210105901A (ko)
CN (1) CN113196633B (ko)
WO (1) WO202012771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202000030824A1 (it) * 2020-12-15 2022-06-15 Tecnomatic Spa Apparato e procedimento per la deformazione di conduttori di almeno un gruppo di avvolgimento, sporgenti da un lato di uno statore o di un rotore di una macchina elettrica
DE102021203925A1 (de) 2021-04-20 2022-10-20 Robert Bosch Gesellschaft mit beschränkter Haftung Verfahren zur Aufweitung eines Wicklungskopfes einer Wicklung einer elektrischen Maschine sowie Werkzeug hierfür
KR20220162291A (ko) * 2021-06-01 2022-12-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헤어핀 타입 고정자 코일의 와이드닝 장치
KR102663177B1 (ko) * 2021-07-01 2024-05-02 현대위아 주식회사 헤어핀 레그 트위스팅 기구
FR3128075A1 (fr) * 2021-09-20 2023-04-14 Nidec Psa Emotors Procédé de fabrication et stator de machine électrique tournante avec bobinage asymétrique
WO2023062313A1 (fr) * 2021-10-12 2023-04-20 Nidec Psa Emotors Procédé de fabrication et stator de machine électrique tournante avec bobinage asymétrique
EP4239868B1 (de) * 2022-03-04 2024-05-08 Grob-Werke GmbH & Co. K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umformen von leiterenden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24028A (ja) * 2004-02-06 2005-08-18 Toyota Motor Corp セグメントコイル接合装置および方法
MX2013005968A (es) * 2011-01-04 2013-07-29 Tecnomatic Spa Metodo y artefacto de torcido de porciones de extremo de conductores de barra, en particular para devanados de barra de maquinas electricas.
US9917494B2 (en) * 2012-07-12 2018-03-13 Honda Motor Co., Ltd. Electrical conductor aligning device
JP2015035922A (ja) * 2013-08-09 2015-02-19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回転電機のコイル接合方法
JP6203085B2 (ja) * 2014-03-07 2017-09-27 平田機工株式会社 位置決め部材、位置決め装置及びステータの製造方法
DE102015217922A1 (de) * 2015-09-18 2017-03-23 Continental Automotive Gmbh Verfahren und zweiteilige Werkzeuganordnung zum Herstellen eines Stators für eine elektrische Maschine
DE102015217936A1 (de) * 2015-09-18 2017-03-23 Continental Automotive Gmbh Verfahren und einteilige Werkzeuganordnung zum Herstellen eines Stators für eine elektrische Maschine
DE102017004538A1 (de) * 2017-05-11 2018-11-15 Gehring E-Tech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Umformen von U-förmigen elektrischen Leiter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20060091A1 (en) 2022-02-24
EP3900166A1 (en) 2021-10-27
CN113196633A (zh) 2021-07-30
WO2020127718A1 (en) 2020-06-25
CN113196633B (zh) 2024-0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10105901A (ko) 확장과 비틀림을 위한 장치 및 방법
CN108702071B (zh) 用于定位铜杆的装置和方法
US7293350B2 (en) Coil forming apparatus of forming coils of a stator of a rotary electric machine
KR101704867B1 (ko) 특히 전기 기계들의 바 권선들을 위한, 바 도체들의 단부 부분들을 비틀기 위한 고정장치 및 방법
KR101652564B1 (ko) 전기 기계를 위한 고정자 또는 회전자 권선을 만들기 위해 다수의 전기 바 도체들을 동시에 비틀도록 맞춰진 비틀림 디바이스 및 상기 비틀림 디바이스와 상조하기에 적합한 추출기 어셈블리
WO2013153594A1 (ja) ステータ製造方法及びコイル籠形成装置
EP3118978B1 (en) Stator manufacturing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JP2008524976A (ja) 多相回転電気機器のためのステータ内にコイルを挿入する方法およびステータ
JP7158481B2 (ja) 発電機の連続的なバー状の巻き線を形成するための加工法
US8127430B2 (en) Method of assembling split core type stator of inner rotor type rotary electric machine
US20220069679A1 (en) Device and method for positioning ends of at least first pair of legs of hairpin conductors
US20180331605A1 (en) Coil forming device and coil forming method
US7868507B2 (en) Phase winding for a rotating electrical machine stator and stator equipped with same
US20180198353A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stato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rotating electrical machine
KR101803879B1 (ko) 회전전기기계의 스테이터 및 그의 제조방법
CN114051687A (zh) 用于制造用于插入到电机的定子或转子的径向开口槽中的线圈绕组的方法
JP2017046373A (ja) コイルのスロットへの挿入方法、及びコイル挿入装置
JP2003134751A (ja) コイルの形成方法およびコイルの形成に用いられる治具
JP3928400B2 (ja) 回転電機のコイル製造装置
PL206829B1 (pl) Sposób i urządzenie do montażu uzwojenia oraz stojan
CN115208105A (zh) 具有打印的端部线匝的定子及其制造方法
US20190305621A1 (en) Wound coil, coil for electrical rotating machine, electrical rotating machine, method for manufacturing wound coil,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wound coil
EP1168584A1 (en) Winding method for armature and winder
JP3226170B2 (ja) 回転電機の巻線製造方法
JP7487697B2 (ja) ステータ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