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05675A - 서버 랙의 고밀도 및 고가용성 확보를 위한 스위치 박스 및 스위치 박스가 설치된 서버 랙 - Google Patents

서버 랙의 고밀도 및 고가용성 확보를 위한 스위치 박스 및 스위치 박스가 설치된 서버 랙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05675A
KR20210105675A KR1020200020447A KR20200020447A KR20210105675A KR 20210105675 A KR20210105675 A KR 20210105675A KR 1020200020447 A KR1020200020447 A KR 1020200020447A KR 20200020447 A KR20200020447 A KR 20200020447A KR 20210105675 A KR20210105675 A KR 202101056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rack
switch
unit boxes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04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지연
김재필
노상민
이민국
Original Assignee
네이버클라우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네이버클라우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네이버클라우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204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05675A/ko
Publication of KR202101056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567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14Mounting supporting structure in casing or on frame or rack
    • H05K7/1485Servers; Data center rooms, e.g. 19-inch computer racks
    • H05K7/1488Cabinets therefor, e.g. chassis or racks or mechanical interfaces between blades and support structures
    • H05K7/1491Cabinets therefor, e.g. chassis or racks or mechanical interfaces between blades and support structures having cable management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18Construction of rack or fram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atch Boards (AREA)

Abstract

서버 랙의 고밀도 및 고가용성 확보를 위한 스위치 박스 및 스위치 박스가 설치된 서버 랙을 제공한다. 일실시예에 따른 스위치 박스는 각각 복수의 스위치 장비들의 수납 공간을 형성하는 복수의 단위 박스들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단위 박스들은 서버 장비를 수납하는 랙(rack)과는 별도의 구조물로서, 상기 복수의 단위 박스들이 서로 결합된 형태로 상기 랙의 상면에 설치 될 수 있다.

Description

서버 랙의 고밀도 및 고가용성 확보를 위한 스위치 박스 및 스위치 박스가 설치된 서버 랙{SWICH BOX FOR HIGH DENSITY AND HIGH AVAILABILITY OF SERVER RACK AND THE SERVER RACK INSTALLED THE SWICH BOX}
아래의 설명은 서버 랙의 고밀도 및 고가용성 확보를 위한 스위치 박스 및 스위치 박스가 설치된 서버 랙에 관한 것이다.
데이터 센터와 같은 서버실 등의 기본 플랫폼인 랙(rack)은 전산장비를 내부에 수납 및 보관하는 장치이다. 일례로 한국공개특허 제10-2013-0131266호는 데이터 센터의 복수의 서버를 구비하는 데이터센터의 온도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복수의 서버를 지지하기 위한 복수의 지지체로서의 랙을 개시하고 있다.
서버 랙에 설치되는 스위치 박스를 통해 스위치 장비(일례로, 엑세스 스위치(Access Switch, AS))를 위한 별도의 설치 공간을 확보하여 서버 랙에서의 서버 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스위치 박스 및 상기 스위치 박스가 설치된 서버 랙을 제공한다.
각각 복수의 스위치 장비들의 수납 공간을 형성하는 복수의 단위 박스들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단위 박스들은 서버 장비를 수납하는 랙(rack)과는 별도의 구조물로서, 상기 복수의 단위 박스들이 서로 결합된 형태로 상기 랙의 상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박스를 제공한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복수의 단위 박스들은 상기 복수의 단위 박스들에 수납되는 스위치 장비들과 상기 랙에 수납되는 서버 장비들의 방향이 동일하도록 상기 랙의 상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복수의 단위 박스들 각각은 상기 랙의 전면에 대응하는 상기 복수의 단위 박스들 각각의 전면에 상기 스위치 장비의 업링크(uplink)를 위한 제1 케이블 및 상기 스위치 장비들과 상기 서버 장비간에 연결되는 제2 케이블 중 적어도 하나를 위한 케이블 인입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복수의 단위 박스들 각각은 상기 랙의 전면에 대응하는 상기 복수의 단위 박스들 각각의 전면에 상기 케이블 인입구로 들어가는 케이블의 관리를 위한 케이블 매니지먼트 유닛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복수의 단위 박스들 각각은 상면에 상기 스위치 장비들에 연결되는 전원 케이블 및 통신 케이블 중 적어도 하나를 위한 케이블 루트가 형성되고, 상기 케이블 루트에는, 상기 전원 케이블 및 상기 통신 케이블 중 적어도 하나의 설치 후 상기 케이블 루트의 틈새를 최소화하기 위해, 상기 케이블 루트를 오픈 및 클로즈하는 브러시(brush) 형태의 덮개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복수의 단위 박스들 각각은 상면에 전원 케이블 및 통신 케이블 중 적어도 하나를 위한 케이블 트레이를 고정하는 부속 자재의 설치를 위한 상부 홀 타공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단위 박스들 중 서로 다른 두 단위 박스들에 포함된 상위 홀 타공들을 통해 하나의 상기 부속 자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복수의 단위 박스들 각각은 복수의 스위치 장비들 각각의 수납을 위한 가이드 앵글이 내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복수의 단위 박스들 각각은, 상기 랙의 후면에 대응하는 상기 복수의 단위 박스들 각각의 후면에 적어도 하나의 콘센트가 형성되고, 상기 랙의 상면 후단에 배치된 전원 케이블 루트를 통해 연결되는 전원 케이블이 상기 복수의 단위 박스들 각각의 하단에 형성되는 공간을 통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콘센트에 연결되고, 상기 스위치 장비의 전원 플러그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콘센트에 연결되어 상기 전원 케이블을 통해 제공되는 전원이 상기 스위치 장비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스위치 박스가 상면에 설치된 랙을 제공한다.
서버 랙에 설치되는 스위치 박스를 통해 스위치 장비(일례로, 엑세스 스위치(Access Switch, AS))를 위한 별도의 설치 공간을 확보하여 서버 랙에서의 서버 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서버 랙에 수납되는 서버 장비와 스위치 박스에 수납되는 스위치 장비의 공조 방향을 단일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랙의 제1 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랙의 상단에 설치된 스위치 박스의 제1 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랙의 상단에 설치된 스위치 박스의 제2 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랙의 상단에 설치된 스위치 박스의 제3 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단위 박스의 구조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단위 박스의 제1 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단위 박스의 제2 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랙의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랙(110)은 제1 측면 프레임(121), 제2 측면 프레임(122), 제3 측면 프레임(123) 및 제4 측면 프레임(124)을 포함하는 복수의 측면 프레임들(121 내지 124), 복수의 측면 프레임들(121 내지 124)의 상부에 연결되는 상면 프레임(130), 그리고 복수의 측면 프레임들(121 내지 124)의 하부에 연결되는 하측 프레임(14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랙(110)은 복수의 측면 프레임들(121 내지 124), 상면 프레임(130) 및 하측 프레임(140)에 의해 형성되는 제1 공간(150)상에 서버 장비와 같은 전산 장비를 수납 및 보관하기 위한 장비일 수 있다.
종래의 서버 랙에 수납되는 서버 장비들은 스위치 장비들과 연결될 필요성을 가지며, 이에 서버 랙에 다수의 스위치 장비들이 포함됨에 따라 스위치 장비들이 포함되는 공간만큼 서버 장비들을 수납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는 랙(110)과는 별도의 구조물로서의 랙(110)의 상면에 결합되어 스위치 장비들을 수납할 수 있는 스위치 박스를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랙의 상단에 설치된 스위치 박스의 제1 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랙의 상단에 설치된 스위치 박스의 제2 뷰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랙의 상단에 설치된 스위치 박스의 제3 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에서는 도 1을 통해 설명한 랙(110)을 개괄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이때, 도 2 내지 도 4의 실시예들에 따른 스위치 박스(210)는 랙(110)의 상면(일례로, 도 1에서 설명한 상면 프레임(130)의 상면)에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스위치 박스(210)는 랙(110)과는 별도의 구조물로서 랙(110)의 상면에 결합되는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상면 프레임(130)의 제1 홀(160)과 스위치 박스(210)를 통과하는 볼트, 그리고 이러한 볼트에 결합되는 너트를 통해 랙(110)의 제1 상면 프레임(130)에 스위치 박스(210)가 설치될 수 있다. 볼트와 너트를 이용한 결합은 도 1에 도시된 복수의 홀들 중 둘 이상을 통해 이루어질 수도 있다. 볼트와 너트를 이용하는 결합 예는 하나의 실시예일뿐, 랙(110)의 제1 상면 프레임(130)에 스위치 박스(210)를 결합할 수 있는 방법이라면 제한되지 않는다.
이러한 스위치 박스(210)는 복수의 단위 박스들(211, 212 및 213)이 결합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복수의 단위 박스들(211, 212 및 213) 각각은 복수의 스위치 장비들이 수납 및 보관되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일례로, 도 2의 실시예에서는 복수의 단위 박스들(211, 212 및 213) 각각에 최대 세 개의 스위치 장비들이 수납 가능한 구조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스위치 박스(210)가 세 개의 단위 박스들(211, 212 및 213)이 결합된 형태로 구현되는 예를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스위치 박스(210)가 두 개의 단위 박스씩 두 개의 층으로 이루어진 총 네 개의 단위 박스들이 결합된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러한 스위치 박스(210)를 구현하기 위해 사용되는 단위 박스들의 수에 따라 하나의 랙(210)과 연관하여 수납 가능한 스위치 장비들의 수가 조절될 수 있다. 일례로, 본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단위 박스는 최대 세 개의 스위치 장비들을 수납할 수 있으며, 따라서 스위치 박스(210)는 최대 아홉 개의 스위치 장비들을 수납할 수 있다.
이처럼, 스위치 장비들이 랙(110)과는 별도의 구조물인 스위치 박스(210)에 수납 및 보관됨에 따라 랙(110)상에서의 서버 장비들의 밀도와 가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복수의 단위 박스들(211, 212 및 213)은 복수의 단위 박스들(211, 212 및 213)에 수납되는 스위치 장비들과 랙(110)에 수납되는 서버 장비들의 방향이 동일하도록 랙(110)의 상면에 설치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인프라장비의 구성상 장비 내부의 발열은 전면에서 들어오는 차가운 공기가 장비 내부를 식혀주고 식혀준 공기는 장비의 후면을 통해 배기된다. 또한 서버실 내부는 공조효율을 높이기 위해서 핫존은 차폐되어 콜드존으로 뜨거운 공기가 넘어오지 못하는 구조로 설계될 수 있다. 이 경우, 여기서 스위치 장비들이 서버 장비들과 반대 방향으로 수납되는 경우에는 스위치 장비들이 수납되는 스위치 박스(210)의 전면으로 핫존의 뜨거운 공기가 인입될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단위 박스들(211, 212 및 213)에 수납되는 스위치 장비들과 랙(110)에 수납되는 서버 장비들의 방향이 동일하도록 복수의 단위 박스들(211, 212 및 213)을 랙(110)의 상면에 설치함에 따라 콜드존의 차가운 공기를 스위치 장비들로 인입시킬 수 있다.
또한, 스위치 박스(210)는 스위치 박스(210)에 수납된 스위치 장비들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구성요소와, 랙(100)에 수납 및 보관되는 전산 장비들을 연결하기 위한 케이블들의 고정 및 포설을 위한 구성요소 그리고 전원 케이블의 고정 및 포설을 위한 구성요소 등을 더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의 실시예에서는 랙(110)의 전면에 대응하는 복수의 단위 박스들(211, 212 및 213) 각각의 전면에 스위치 장비의 업링크(uplink)를 위한 제1 케이블(일례로, 광케이블(fiber cable)) 및 상기 스위치 장비들과 상기 서버 장비간에 연결되는 제2 케이블(일례로, UTP 케이블(unshielded twisted pair cable)) 중 적어도 하나를 위한 케이블 인입구가 형성된 예를 나타내고 있다. 케이블 인입구는 실질적으로 사용자가 랙(110)의 전면에서 스위치 장비들을 관리할 수 있도록 복수의 단위 박스들(211, 212 및 213) 각각의 전면에 형성된 단위 박스들의 입구를 의미할 수 있다. 이러한 케이블 인입구에 대해서는 도 5를 통해 더욱 자세히 설명한다. 또한, 랙(110)의 전면에 대응하는 복수의 단위 박스들(211, 212 및 213) 각각의 전면에 케이블 인입구로 들어가는 케이블의 관리를 위한 케이블 매니지먼트 유닛(214)이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복수의 단위 박스들(211, 212 및 213) 각각마다 네 개의 케이블 매니지먼트 유닛들이 형성된 예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스위치 박스(210)는 상면에는 전원 케이블 및 통신 케이블 중 적어도 하나를 고정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케이블 트레이(215)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케이블 트레이(215)는 부속 자재(216)를 통해 스위치 박스(210)의 상면에 설치될 수 있다.
스위치 박스(210)의 다른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이후 도 5 내지 도 7을 통해 더욱 자세히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단위 박스의 구조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앞서 설명한 복수의 단위 박스들(211, 212 및 213) 중 하나의 단위 박스(211)의 구조의 예를 나타내고 있다. 단위 박스(211)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 프레임(510), 후방 프레임(520), 상부 프레임(530) 및 하부 프레임(540)으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전방 프레임(510)은 사각형의 네 개의 변을 형성하는 네 개의 프레임들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이러한 네 개의 프레임에 의해 케이블 인입구(511)가 형성될 수 있다.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케이블 인입구(511)는 사람의 스위치 박스(210)에 수납된 스위치 장비들로의 물리적 접근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공간을 겸할 수 있으며, 앞서 설명한 케이블 매니지먼트 유닛(214)이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케이블 매니지먼트 유닛(214)은 실질적으로는 전방 프레임(510)에 결합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전방 프레임(510)에 후방 프레임(520), 상부 프레임(530) 및 하부 프레임(540)이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전방 프레임(510)의 하부, 후방 프레임(520)의 하부 및 하부 프레임(540)의 하부 중 적어도 하나에는 랙(110)과의 결합을 위한 구성요소가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랙(110)의 상면 프레임(130)에 형성되는 홀들(일례로, 제1 홀(160))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볼트 및 너트를 이용하여 단위 박스(211)를 랙(110)의 상면 프레임(130)에 결합하기 위해, 전방 프레임(510)의 하부, 후방 프레임(520)의 하부 및 하부 프레임(540)의 하부 중 적어도 하나에도 홀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후방 프레임(520)의 상부 또는 상부 프레임(530)의 상부에는 앞서 설명한 케이블 트레이(215)를 고정하는 부속 자재(216)를 설치하기 위한 상부 홀 타공(일례로, 제2 홀(53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단위 박스들(211, 212 및 213) 중 서로 다른 두 단위 박스들(일례로, 단위 박스(211)와 단위 박스(212) 및/또는 단위 박스(212)와 단위 박스(213))에 포함된 상위 홀 타공들을 통해 하나의 부속 자재(216)가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부속 자재(216)는 케이블 트레이(215)를 고정하는 역할 뿐만 아니라, 서로 다른 두 단위 박스들을 보다 강하게 결합시키기 위한 역할까지 포함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단위 박스의 제1 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단위 박스의 제2 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 및 도 7에서는 단위 박스(211)의 전방 프레임(510)에 케이블 매니지먼트 유닛(214)이 결합된 예를 나타내고 있으며, 내부 측면에 복수의 스위치 장비들 각각의 수납을 위한 가이드 앵글(620)이 설치된 예를 나타내고 있다. 스위치 장비는 이러한 가이드 앵글(620)을 따라 단위 박스(211) 내부에 수납될 수 있다.
한편, 단위 박스(211)의 상면에는 스위치 장비들에 연결되는 전원 케이블 및 통신 케이블 중 적어도 하나를 위한 케이블 루트(611 및 612)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위 박스(211) 내부에서 케이블 루트(611)를 통해 단위 박스(211) 외부로 나오는 전원 케이블 및/또는 통신 케이블은 앞서 설명한 케이블 트레이(215)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예로, 단위 박스(211)의 전면 방향에서 스위치 장비에 연결된 전원 케이블은 단위 박스(211)의 내부에서 상부 프레임(530)에 형성되는 케이블 루트(611)를 통해 단위 박스(211)의 외부로 인출될 수 있으며, 단위 박스(211)의 후방 프레임(520)의 상부에 형성되는 케이블 루트(612)를 통해 다시 단위 박스(211)로 인입될 수 있다. 이때, 전원 케이블은 단위 박스(211)의 상면에서 케이블 트레이(215)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케이블 루트(611)의 틈새를 최소화하기 위해 케이블 루트(611)를 오픈(open) 및 클로즈(close)하는 브러시(brush) 형태의 덮개(510)가 케이블 루트(611)에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전원 케이블이 포함하는 전원 플러그가 단위 박스(211)의 후방 프레임(520)의 내부 측면에 형성된 콘센트에 연결됨에 따라 해당 스위치 장비로 전원이 공급될 수 있다. 이때, 콘센트는 후방 프레임(520)의 내부 좌측면과 우측면에 각각 하나씩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복수의 콘센트들은 UPS(Uninterruptible Power Supply) 이중화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A/B 회로로 구현된 수 있다. 예를 들어, 랙(11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제1 라인과 제2 라인의 두 개의 전원 라인이 공급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라인은 A 회로에 연결되고, 제2 라인은 B 회로에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서로 다른 전원 라인의 A/B 회로를 포함하는 듀얼 파워서플라이(Power Supply Unit, PSU)는 하나의 회로에 장애가 발생하는 경우 다른 하나의 회로를 통해 안정적인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활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위 박스(211)의 전면을 기준으로 후방 프레임(520)의 내부 좌측면에 형성된 콘센트로서의 멀티탭(710)이 A 회로에 대응될 수 있고,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후방 프레임(520)의 내부 우측면에 형성될 수 있는 콘센트로서의 다른 멀티탭이 B 회로에 대응될 수 있다. 이때, 랙(110)에 전원을 공급하는 두 개의 전원 라인은 랙의 후면에 상면 후단에 배치될 수 있는 전원 케이블 루트와 단위 박스(211)의 하단에 형성되는 공간을 통해 상술한 콘센트들에 연결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7에서는 하나의 단위 박스(211)에 대해서만 설명하고 있으나, 이는 하나의 스위치 박스(210)를 형성하기 위해 결합된 모든 단위 박스들 각각에 대해 적용될 수 있음을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도 2 내지 도 4에서 설명한, 단위 박스(212) 및 단위 박스(213)에도 동일한 구조가 적용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있어서, 서버 랙과는 별도의 구조물로서 서버 랙에 설치되는 스위치 박스는 스위치 장비들(일례로, 엑세스 스위치(Access Switch, AS))를 위한 별도의 설치 공간을 확보하여 서버 랙에서의 서버 밀도와 가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존 하나의 19 인치 표준형의 서버 랙을 기준으로 40대의 서버 장치가 설치 가능했던 것에 비해, 스위치 박스를 설치한 서버 랙은 51대의 서버 장치와 9대의 스위치 장비의 설치가 가능해졌다. 예를 들어, 기존의 서버 랙에서는 낮은 서버 밀도로 인해 랙에 할당된 전력을 모두 사용하지 못했던 것과 달리, 본 실시예에서는 랙당 할당된 전력을 모두 사용할 수 있을 뿐만 랙당 사용 가능한 전력량의 증가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서버 랙에 수납되는 서버 장비와 스위치 박스에 수납되는 스위치 장비의 공조 방향을 단일화할 수 있고, 스위치를 위한 전용 전원 공급부를 제공할 수 있으며, 통신 케이블 및/또는 전원 케이블의 운영 및 정리 공간의 확보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속한다.

Claims (9)

  1. 각각 복수의 스위치 장비들의 수납 공간을 형성하는 복수의 단위 박스들
    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단위 박스들은 서버 장비를 수납하는 랙(rack)과는 별도의 구조물로서, 상기 복수의 단위 박스들이 서로 결합된 형태로 상기 랙의 상면에 설치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박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단위 박스들은 상기 복수의 단위 박스들에 수납되는 스위치 장비들과 상기 랙에 수납되는 서버 장비들의 방향이 동일하도록 상기 랙의 상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박스.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단위 박스들 각각은 상기 랙의 전면에 대응하는 상기 복수의 단위 박스들 각각의 전면에 상기 스위치 장비의 업링크(uplink)를 위한 제1 케이블 및 상기 스위치 장비들과 상기 서버 장비간에 연결되는 제2 케이블 중 적어도 하나를 위한 케이블 인입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박스.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단위 박스들 각각은 상기 랙의 전면에 대응하는 상기 복수의 단위 박스들 각각의 전면에 상기 케이블 인입구로 들어가는 케이블의 관리를 위한 케이블 매니지먼트 유닛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박스.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단위 박스들 각각은 상면에 상기 스위치 장비들에 연결되는 전원 케이블 및 통신 케이블 중 적어도 하나를 위한 케이블 루트가 형성되고,
    상기 케이블 루트에는, 상기 전원 케이블 및 상기 통신 케이블 중 적어도 하나의 설치 후 상기 케이블 루트의 틈새를 최소화하기 위해, 상기 케이블 루트를 오픈 및 클로즈하는 브러시(brush) 형태의 덮개가 설치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박스.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단위 박스들 각각은 상면에 전원 케이블 및 통신 케이블 중 적어도 하나를 위한 케이블 트레이를 고정하는 부속 자재의 설치를 위한 상부 홀 타공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단위 박스들 중 서로 다른 두 단위 박스들에 포함된 상위 홀 타공들을 통해 하나의 상기 부속 자재가 설치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박스.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단위 박스들 각각은 복수의 스위치 장비들 각각의 수납을 위한 가이드 앵글이 내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박스.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단위 박스들 각각은,
    상기 랙의 후면에 대응하는 상기 복수의 단위 박스들 각각의 후면에 적어도 하나의 콘센트가 형성되고,
    상기 랙의 상면 후단에 배치된 전원 케이블 루트를 통해 연결되는 전원 케이블이 상기 복수의 단위 박스들 각각의 하단에 형성되는 공간을 통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콘센트에 연결되고,
    상기 스위치 장비의 전원 플러그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콘센트에 연결되어 상기 전원 케이블을 통해 제공되는 전원이 상기 스위치 장비로 제공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박스.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의 스위치 박스가 상면에 설치된 랙.
KR1020200020447A 2020-02-19 2020-02-19 서버 랙의 고밀도 및 고가용성 확보를 위한 스위치 박스 및 스위치 박스가 설치된 서버 랙 KR2021010567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0447A KR20210105675A (ko) 2020-02-19 2020-02-19 서버 랙의 고밀도 및 고가용성 확보를 위한 스위치 박스 및 스위치 박스가 설치된 서버 랙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0447A KR20210105675A (ko) 2020-02-19 2020-02-19 서버 랙의 고밀도 및 고가용성 확보를 위한 스위치 박스 및 스위치 박스가 설치된 서버 랙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5675A true KR20210105675A (ko) 2021-08-27

Family

ID=775045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0447A KR20210105675A (ko) 2020-02-19 2020-02-19 서버 랙의 고밀도 및 고가용성 확보를 위한 스위치 박스 및 스위치 박스가 설치된 서버 랙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105675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32678B2 (en) Modular, scalable, expandable, rack-based information handling system
US20170257970A1 (en) Rack having uniform bays and an optical interconnect system for shelf-level, modular deployment of sleds enclosing information technology equipment
EP3817531B1 (en) Server system
TWI461136B (zh) 機櫃式電腦系統及其線纜管理機構
JP2991886B2 (ja) 電子交換機システムのシェルフアセンブリ
US8410364B2 (en) Universal rack cable management system
US6836030B2 (en) Rack mountable computer component power distribution unit and method
US8425287B2 (en) In-row air containment and cooling system and method
JPH05267860A (ja) 電子装置モジュール・ハウジング
US2003022319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ack mounting computer components
US9537291B1 (en) Elevated automatic transfer switch cabinet
US20030223196A1 (en) Rack mountable computer component fan cooling arrangement and method
US20090147944A1 (en) Vertical Patching System
JP2008102966A (ja) コンピュータ構成要素を装着する方法および装置
CN102598890A (zh) 管理电缆的系统和方法
KR100859760B1 (ko) 스케일러블 인터넷 엔진
KR102099404B1 (ko) 서버 및 네트워크장비 겸용랙
US20110279964A1 (en) Storage device
US10440852B1 (en) Cable management system in an air-cooled housing
US10869405B1 (en) Routing power and data cables to information handling system racks in a data center
KR20210105675A (ko) 서버 랙의 고밀도 및 고가용성 확보를 위한 스위치 박스 및 스위치 박스가 설치된 서버 랙
JP2008009648A (ja) ブレードサーバ
KR102291524B1 (ko) 서버 랙의 밀도 향상을 위한 스위치 박스 및 스위치 박스가 설치된 서버 랙
JP4593727B2 (ja) 分電盤ユニット
US9750157B1 (en) Rack door for mounting power distribution uni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2101000181;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220127

Effective date: 202205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