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05621A - 커버 스크린부가 설치된 복합 방충망 - Google Patents

커버 스크린부가 설치된 복합 방충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05621A
KR20210105621A KR1020200020307A KR20200020307A KR20210105621A KR 20210105621 A KR20210105621 A KR 20210105621A KR 1020200020307 A KR1020200020307 A KR 1020200020307A KR 20200020307 A KR20200020307 A KR 20200020307A KR 20210105621 A KR20210105621 A KR 202101056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cover
frame
insect
insect scre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03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현
Original Assignee
김성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현 filed Critical 김성현
Priority to KR10202000203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05621A/ko
Publication of KR202101056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562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2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insects, e.g. fly screens; Mesh windows for other purpos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2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insects, e.g. fly screens; Mesh windows for other purposes
    • E06B2009/524Mesh detail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2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insects, e.g. fly screens; Mesh windows for other purposes
    • E06B2009/527Mounting of screens to window or do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커버 스크린부가 설치된 복합 방충망이 개시된다. 커버 스크린부가 설치된 복합 방충망은, 창문틀에 설치된 레일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방충망 프레임과, 방충망 프레임에 설치되는 스크린부와, 방충망 프레임의 둘레를 따라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되어 스크린부를 덮는 커버 스크린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커버 스크린부가 설치된 복합 방충망{INSECT COMPLEX SCREEN WITH COVER CEREEN}
본 발명은 방충망의 전면 위치에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커버 스크린부가 설치된 복합 방충망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통상 건물의 벽면에 환풍 및 조망을 위해 설치 시공되는 창문틀은 방음과 단열효과를 높이기 위해 금속재질의 알루미늄 새시와 목재로 이루어지는 이중 창호로서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창문틀(창문틀)에 결속되는 창문(출입문)이 이중 창호구조 뿐만 아니라 단일 창호구조라 하더라도 모기와 같은 각종 벌레들의 실내로 유입이 차단될수 있도록 하는 방충망을 설치하고 있는 것이 보통이다.
창문틀에 창문이 개방된 공간을 채우게 되는 방충망은 통상 통풍이 되면서 작은 해충들, 특히 모기가 통과하여 침입하는 것을 구조적으로 막을 수 있도록 방충망의 통기공들이 2㎜ 이하(보통은 1.8㎜)로 형성되어 모기의 출입이 차단될 수 있다.
그러나, 벌레의 차단이 필요 없는 겨울 등의 온도가 낮은 기후 환경에서는 방충망의 기능을 수행하지 못하는 기능상의 한계가 있는 문제점이 있다.
등록실용공보 20-0476490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벌레의 차단이 필요 없는 겨울 등의 온도가 낮은 기후 조건에서 방풍과 단열 기능이 가능한 커버 스크린부가 설치된 복합 방충망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창문틀에 설치된 레일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방충망 프레임과, 방충망 프레임에 설치되는 스크린부와, 방충망 프레임의 둘레를 따라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되어 스크린부를 덮는 커버 스크린부를 포함한다.
방충망 프레임에는 커버 스크린부의 가장자리를 고정하는 고정부가 형성될 수 있다.
고정부는, 방충망 프레임의 전면측의 둘레를 따라 인입된 상태로 형성되는 삽입홈일 수 있다.
커버 스크린부는, 삽입홈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는 고정 돌부가 형성되고, 스크린부의 면적 크기로 개구되는 개구부가 형성된 커버 프레임과, 개구부를 밀폐하도록 고정되며 투명 또는 불투명 재질의 커버 윈도우를 포함할 수 있다.
방충망 프레임의 내부에는 단열 충진재가 삽입될 수 있다.
커버 스크린부의 표면에는 손잡이부가 돌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방충망 프레임의 전면 위치에 커버 스크린부가 탈부착 가능하게 고정되는 바, 방충망의 미사용 상태에서 방충망 프레임의 스크린부를 선택적으로 덮어 벌레의 차단이 필요 없는 겨울 등의 온도가 낮은 기후 조건에서 방풍과 단열 기능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커버 스크린부가 설치된 복합 방충망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커버 스크린부가 설치된 복합 방충망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커버 스크린부가 설치된 복합 방충망의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방충망 프레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커버 스크린부에 고정 돌부가 돌출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커버 스크린부가 설치된 복합 방충망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커버 스크린부가 설치된 복합 방충망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커버 스크린부가 설치된 복합 방충망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커버 스크린부가 설치된 복합 방충망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커버 스크린부가 설치된 복합 방충망의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방충망 프레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커버 스크린부에 고정 돌부가 돌출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커버 스크린부가 설치된 복합 방충망(100)은, 창문틀(11)에 설치된 레일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방충망 프레임(10)과, 방충망 프레임(10)에 설치되는 스크린부(20)와, 방충망 프레임(10)의 둘레를 따라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되어 스크린부(20)를 덮는 커버 스크린부(30)를 포함한다.
방충망 프레임(10)은 창문틀(11)에서 창문의 전면 또는 후면에 이격된 상태로 창문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방충망 프레임(10)은 창문틀(11)에 설치된 상태에서 모기 또는 날파리 등의 벌레가 창문틀(11)과의 사이로 유입되지 않도록 하여 벌레의 유입을 효과적으로 차단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방충망 프레임(10)은, 스크린의 가장자리가 고정되는 스크린 고정부(12)가 형성된 프레임 바디(14)를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 바디(14)는 창문틀(11)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표면에는 벌레의 유입을 방지하는 방충을 위한 스크린부(20)가 설치되는 스크린 고정부(12)가 형성될 수 있다.
스크린부(20)는 가장자리 둘레가 프레임 바디(14)에 형성된 스크린 고정부(12)에 삽입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스크린부(20)는 공기의 유출입을 위한 메쉬 타입의 복수개의 홀이 형성되는 것으로 가장자리가 스크린 고정부(12)의 내부에 일정깊이 삽입된 상태로 가압 고정될 수 있다.
스크린 고정부(12)는 프레임 바디(14)의 전면의 표면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것으로, 스크린부(20)의 가장자리 부분이 삽입된 상태로 고정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스크린 고정부(12)는 프레임 바디(14)의 표면의 내부로 인입 형성된 것으로 스크린부(20)의 가장자리의 일부분이 내부로 삽입된 상태에서 소정의 고정부재에 의해 가압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한편, 프레임 바디(14)의 둘레를 따라 스크린부(20)를 덮는 커버 스크린부(30)가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커버 스크린부(30)를 프레임 바디(14)에 탈부착을 위해 프레임 바디(14)의 전면 위치의 표면에는 고정부(16)가 형성될 수 있다.
고정부(16)는 프레임 바디(14)의 전면측의 둘레를 따라 인입된 상태로 형성되는 삽입홈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 고정부와 삽입홈은 동일 참조 번호를 사용한다.
삽입홈(16)은 프레임 바디(14)의 전면에서 프레임 바디(14)의 둘레를 따라 긴 길이로 형성된 상태로 프레임 바디(14)의 내부로 인입된 상태로 형성될 수 있다.
삽입홈(16)은 프레임 바디(14)의 전면 둘레를 따라 내부에 일정 깊이 인입된 상태로 형성되는 것으로, 커버 스크린부(30)의 가장자리 부분이 삽입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삽입홈(16)은 오목한 라운드 형상으로 프레임 바디(14)의 내부에 인입된 상태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고, 내부에 커버 스크린부(30)의 가장자리가 걸림 고정되는 걸림 돌기(미도시)가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삽입홈(16)은 후술하는 커버 스크린부(30)가 미고정시에 삽입홈(16)을 메우는 커버부(미도시)가 부착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삽입홈(16)에는 커버 스크린부(30)가 착탈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
커버 스크린부(30)는, 삽입홈(16)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며 스크린부(20)의 면적 크기로 개구되는 개구부(31a)가 형성된 커버 프레임(31)과, 개구부(31a)를 밀폐하도록 고정되며 투명 또는 불투명 재질의 커버 윈도우(33)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 프레임(31)은 프레임 바디(14)의 크기와 동일 또는 유사 크기로 형성되어 프레임 바디(14)의 전면 위치에 탈부착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커버 프레임(31)의 내측 표면에는 고정 돌부(35)가 돌출될 수 있다.
고정 돌부(35)는 커버 프레임(31)의 내측 표면에 돌출된 상태로 프레임 바디(14)에 형성된 삽입홈(16)에 삽입 고정되도록 돌출 형성될 수 있다.
고정 돌부(35)는 커버 프레임(31)의 내측 둘레를 따라 긴 길이로 돌출되는 것도 가능하고, 커버 프레임(31)의 내측 둘레를 따라 복수개가 서로간에 이격된 상태로 돌출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고정 돌부(35)가 커버 프레임(31)의 내측에 돌출되어 삽입홈(16)에 삽입되는 바, 커버 프레임(31)을 프레임 바디(14)의 전면 위치에 선택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이러한 커버 프레임(31)에는 개구부(31a)가 관통 형성될 수 있다.
개구부(31a)는 커버 프레임(31)에서 스크린부(20)의 면적 크기에 대응하는 크기로 관통 형성될 수 있다.
물론, 개구부(31a)는 스크린부(20)의 면적 크기로 관통 형성되는 것으로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메쉬 타입 또는 복수개로 관통홀로 구획된 상태로 형성되는 것으로 적절하게 변경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개구부(31a)에는 커버 윈도우(33)가 결합될 수 있다.
커버 윈도우(33)는 개구부(31a)의 크기에 대응하는 크기로 형성되는 개구부(31a)를 밀??도록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커버 윈도우(33)가 개구부(31a)에 결합되는 것은, 개구부(31a)를 통해 외기가 스크린부(20)로 유입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커버 윈도우(33)는 방충망 프레임(10)의 스크린부(20)를 밀폐하도록 커버 프레임(31)에 결합되는 바, 벌레의 차단이 필요 없는 겨울 등의 온도가 낮은 기후 조건에서 방풍과 단열 기능을 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커버 윈도우(33)는 투명 또는 불투명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커버 윈도우(33)는 유리 재질 또는 플라스틱 등의 불투명 재질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커버 윈도우(33)는 시야 확보를 위해 투명의 유리 재질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고, 단열 및 시야 차단을 위해 불투명의 플라스틱 재질로 적절하게 변경 적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커버 스크린부가 설치된 복합 방충망(100)은, 방충망 프레임(10)의 전면 위치에 커버 스크린부(30)가 탈부착 가능하게 고정되는 바, 방충망의 미사용 상태에서 방충망 프레임(10)의 스크린부(20)를 선택적으로 덮어 벌레의 차단이 필요 없는 겨울 등의 온도가 낮은 기후 조건에서 방풍과 단열 기능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커버 스크린부가 설치된 복합 방충망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5와 동일 참조 번호는 동일 또는 유사 기능의 동일 또는 유사 부재를 말한다. 이하에서 동일 참조 번호에 대해서는 그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커버 스크린부가 설치된 복합 방충망(20)은, 방충망 프레임(10)의 프레임 바디(14)의 내부에는 단열 충진재(110)가 충진될 수 있다.
단열 충진재(110)는 프레임 바디(14)의 내부에 발포폼 타입으로 충진되는 바, 단열 작용과 내구성의 향상이 가능하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커버 스크린부가 설치된 복합 방충망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6과 동일 참조 번호는 동일 또는 유사 기능의 동일 또는 유사 부재를 말한다. 이하에서 동일 참조 번호에 대해서는 그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커버 스크린부가 설치된 복합 방충망(300)의 커버 스크린부(30)의 표면에는 손잡이부(210)가 돌출될 수 있다.
손잡이부(210)는 커버 스크린부(30)의 외측 표면에 하나 또는 복수개로 돌출되는 바, 사용자가 커버 스크린부(30)의 탈부착을 보다 용이하게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을 통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10...방충망 프레임 11...창문틀
12...스크린 고정부 14...프레임 바디
16...고정부 20...스크린부
30...커버 스크린부 31...커버 프레임
31a..개구부 33...커버 윈도우
35...고정돌부 110..단열 충진재
210..손잡이부

Claims (5)

  1. 창문틀에 설치된 레일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방충망 프레임;
    상기 방충망 프레임에 설치되는 스크린부; 및
    상기 방충망 프레임의 둘레를 따라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스크린부를 덮는 커버 스크린부;
    를 포함하는, 커버 스크린부가 설치된 복합 방충망.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충망 프레임에는 상기 커버 스크린부의 가장자리를 고정하는 고정부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방충망 프레임의 전면측의 둘레를 따라 인입된 상태로 형성되는 삽입홈인, 커버 스크린부가 설치된 복합 방충망.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스크린부는,
    상기 삽입홈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는 고정 돌부가 형성되고, 상기 스크린부의 면적 크기로 개구되는 개구부가 형성된 커버 프레임; 및
    상기 개구부를 밀폐하도록 고정되며 투명 또는 불투명 재질의 커버 윈도우;
    를 포함하는, 커버 스크린부가 설치된 복합 방충망.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충망 프레임의 내부에는 단열 충진재가 삽입되는, 커버 스크린부가 설치된 복합 방충망.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스크린부의 표면에는 손잡이부가 돌출되는, 커버 스크린부가 설치된 복합 방충망.
KR1020200020307A 2020-02-19 2020-02-19 커버 스크린부가 설치된 복합 방충망 KR2021010562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0307A KR20210105621A (ko) 2020-02-19 2020-02-19 커버 스크린부가 설치된 복합 방충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0307A KR20210105621A (ko) 2020-02-19 2020-02-19 커버 스크린부가 설치된 복합 방충망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5621A true KR20210105621A (ko) 2021-08-27

Family

ID=775044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0307A KR20210105621A (ko) 2020-02-19 2020-02-19 커버 스크린부가 설치된 복합 방충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105621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6490Y1 (ko) 2013-01-18 2015-03-06 이홍석 섀시 배수구멍용 방충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6490Y1 (ko) 2013-01-18 2015-03-06 이홍석 섀시 배수구멍용 방충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03964B1 (ko) 커튼월 이중 외피 시스템창호 및 이의 시공방법
US20050076588A1 (en) Double-glazed thermoinsulated external wall
KR101308759B1 (ko) 방한용 롤스크린 구조물
KR20210105621A (ko) 커버 스크린부가 설치된 복합 방충망
KR101981600B1 (ko) 빗물차단부재를 구비하는 창구조
KR101546809B1 (ko) 온실의 지붕창용 방충장치
US2336765A (en) Ventilator
KR101162922B1 (ko) 다기능 창호 조립체
US2823429A (en) Doorway construction
KR100602182B1 (ko) 환기구가 형성된 창문 프레임
JP7453089B2 (ja) 建具
JP7453088B2 (ja) 建具
JP2002013359A (ja) 自然換気用建具
KR100907365B1 (ko) 통풍구가 형성된 창호
JP7451353B2 (ja) 建具
KR200249221Y1 (ko) 환기용창문프레임
KR200340532Y1 (ko) 다기능 도어
KR200322035Y1 (ko) 방충용 도어
KR20210069490A (ko) 솔부가 설치된 복합 방충망
KR200258023Y1 (ko) 여닫이창
KR200313795Y1 (ko) 자동차문의 방충망장치
DK3034769T3 (en) Window system with a ventilating passage in a profile element
JP3076786U (ja) 網戸用鎧板
JP3117618U (ja) 着脱交換戸付きドア
JPS5819273Y2 (ja) ル−バ−付ドア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0101002978;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201207

Effective date: 202110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