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04751A - 카트리지 - Google Patents

카트리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04751A
KR20210104751A KR1020217020701A KR20217020701A KR20210104751A KR 20210104751 A KR20210104751 A KR 20210104751A KR 1020217020701 A KR1020217020701 A KR 1020217020701A KR 20217020701 A KR20217020701 A KR 20217020701A KR 20210104751 A KR20210104751 A KR 202101047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tridge
tape
mounting
ribbon
prin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207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아키오 이시모토
다이시 사사키
Original Assignee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101047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475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7/00Mechanisms for manipulating page-width impression-transfer material, e.g. carbon paper
    • B41J17/32Detachable carriers or holders f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mechanis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31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heat to a heat sensitive printing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 B41J2/32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heat to a heat sensitive printing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using thermal heads
    • B41J2/32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heat to a heat sensitive printing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using thermal heads by selective transfer of ink from ink carrier, e.g. from ink ribbon or she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1/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eet or web form
    • B41J11/02Platens
    • B41J11/04Roller plat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5/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continuous form, e.g. we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5/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continuous form, e.g. webs
    • B41J15/04Supporting, feeding, or guiding devices; Mountings for web rolls or spindles
    • B41J15/044Cassettes or cartridges containing continuous copy material, tape, for setting into prin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7/00Mechanisms for manipulating page-width impression-transfer material, e.g. carbon paper
    • B41J17/22Supply arrangements for webs of impression-transfer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3/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 B41J3/36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for portability, i.e. hand-held printers or laptop prin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32/00Ink-ribbon cartrid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3/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 B41J3/407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for marking on special material
    • B41J3/4075Tape printers; Label printers

Abstract

[과제] 인쇄 테이프와 카트리지를 동시에 테이프 인쇄 장치에 세트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카트리지를 제공한다.
[해결 수단] 테이프 인쇄 장치에 장착되는 카트리지에 있어서, 카트리지 케이스와, 카트리지가 테이프 인쇄 장치의 카트리지 장착부에 장착된 상태에서, 장치측 테이프 도입구로부터 도입된 인쇄 테이프를 카트리지 케이스 내에 도입하는 카트리지측 테이프 도입구와, 인쇄 테이프를 장치측 테이프 배출구를 향하여 카트리지 케이스 외부로 배출하는 카트리지측 테이프 배출구와, 카트리지가 카트리지 장착부에 장착되기 전에, 카트리지측 테이프 도입구와 카트리지측 테이프 배출구 사이의 테이프 경로에 도입된 인쇄 테이프를 보지하는 테이프 보지부를 구비했다.

Description

카트리지
본 발명은 테이프 인쇄 장치에 장착되는 카트리지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특허문헌 1이 개시하는 바와 같이, 측면에 공급부 및 배출부가 개구된 하우징을 구비하고, 공급부로부터 배출부에 도달하는 장착부에 장착된 튜브를 반송하면서, 튜브에 인쇄를 실행하는 인쇄 장치가 알려져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 2017-024324 호 공보
종래의 인쇄 장치에서는, 사용자가 리본 카세트의 장착 전후에, 인쇄 매체인 튜브를 장착부에 장착할 때에, 개폐 레버를 조작하여 반송 롤러를 퇴피 위치로 변위시킨 후, 튜브를 파지하고, 튜브가 공급부로부터 배출부까지 연장되도록 장착부에 장착하고, 재차 개폐 레버를 조작하여, 반송 롤러를 작동 위치로 변위시킨다는 번잡한 조작을 실행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카트리지는 카트리지 장착부와, 카트리지 장착부에 마련되며, 인쇄 테이프에 인쇄하는 인쇄 헤드와, 장치 케이스를 구비하며, 장치 케이스에는, 인쇄 테이프를 장치 케이스 외부로부터 장치 케이스 내에 도입하는 장치측 테이프 도입구와, 인쇄 테이프를 장치 케이스 외부로 배출하는 장치측 테이프 배출구가 마련된 테이프 인쇄 장치에 장착되는 카트리지에 있어서, 카트리지는 카트리지 케이스를 구비하고, 카트리지 케이스에는, 카트리지가 카트리지 장착부에 장착된 상태에서, 장치측 테이프 도입구로부터 도입된 인쇄 테이프를 카트리지 케이스 내에 도입하는 카트리지측 테이프 도입구와, 인쇄 테이프를 장치측 테이프 배출구를 향하여 카트리지 케이스 외부로 배출하는 카트리지측 테이프 배출구가 마련되며, 카트리지는, 카트리지 장착부에 장착되기 전에, 카트리지측 테이프 도입구와 카트리지측 테이프 배출구 사이의 테이프 경로에 미리 도입된 인쇄 테이프를 보지하는 테이프 보지부를 구비했다.
도 1은 테이프 인쇄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테이프 카트리지가 장착된 상태의 테이프 인쇄 장치를 장착방향 바로앞측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도 3은 리본 카트리지가 장착된 상태의 테이프 인쇄 장치를 장착방향 바로앞측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도 4는 테이프 인쇄 장치를 장착방향 바로앞측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도 5는 카트리지 장착부에 장착된 리본 카트리지에 대해, 테이프 카트리지를, 테이프 카트리지가 카트리지 장착부에 장착되는 위치에 대응한 위치가 되도록 장착방향 바로앞측에 중첩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리본 카트리지를 장착방향 바로앞측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도 7은 리본 카트리지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리본 카트리지를 장착방향 안쪽측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도 9는 리본부 바로앞측 케이스 및 테이프 보지부 바로앞측 케이스가 분리된 상태의 리본 카트리지를 장착방향 바로앞측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도 10은 리본 카트리지가 카트리지 장착부에 장착된 상태에서, 테이프 인쇄 장치가 실행하는 인쇄 처리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기판 접속부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테이프 카트리지가 카트리지 장착부에 장착된 상태에 있어서의, 기판 접속부 주위의 단면도이다.
도 13은 리본 카트리지가 카트리지 장착부에 장착된 상태에 있어서의, 기판 접속부 주위의 단면도이다.
도 14는 제 2 회로 기판을 +X측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도 15는 제 2 회로 기판을 +Y측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도 16은 제 2 기판 장착부 주위를 장착방향 바로앞측으로부터 본 부분 확대도이다.
도 17은 제 2 기판 장착부 주위의 부분 확대 사시도이다.
도 18은 테이프 카트리지를 장착방향 바로앞측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도 19는 테이프 카트리지의 사시도이다.
도 20은 테이프 카트리지를 장착방향 안쪽측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도 21은 테이프 카트리지가 카트리지 장착부에 장착된 상태에서, 테이프 인쇄 장치가 실행하는 인쇄 처리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2는 잉크 리본 수용 카트리지 및 테이프 가이드 카트리지가 장착된 상태의 테이프 인쇄 장치를 장착방향 바로앞측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도 23은 테이프 가이드 카트리지의 사시도이다.
도 24는 테이프 가이드 카트리지를 장착방향 안쪽측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이하의 도면에 있어서의 방향에 대해 정의한다. 테이프 인쇄 장치(1)의 상하방향을 Z방향, Z방향에 직교하는 좌우방향을 X방향, Z방향과 X방향에 직교하는 전후방향을 Y방향으로 한다. Z방향은 하부방향 혹은 중력방향을 -Z방향, 상부방향을 +Z방향으로 한다. Y방향은 일방향을 +Y방향, 그 반대방향을 -Y방향으로 한다. 도 1에 있어서, 장착부 커버(5)의 회전축측을 +Y방향으로 하고 있다. X방향은 일방향을 +X방향, 그 반대방향을 -X방향으로 한다. 도 1에 있어서, 평면에서 보아 우측을 +X방향으로 하고 있다. 또한, 이들 방향은 설명의 편의상인 것에 지나지 않으며, 이하의 실시형태를 조금도 한정하는 것이 아닌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테이프 인쇄 장치, 테이프 카트리지, 리본 카트리지의 개요]
도 1 내지 도 3에 근거하여, 테이프 인쇄 장치(1), 테이프 카트리지(101) 및 리본 카트리지(201)의 개요에 대해 설명한다. 테이프 인쇄 장치(1)에는, 테이프 카트리지(101)와 리본 카트리지(201)가 택일적으로 장착된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테이프 카트리지(101)에는, 제 1 인쇄 테이프(103)와, 제 1 잉크 리본(105)이 수용되어 있다. 테이프 카트리지(101)가 카트리지 장착부(7)에 장착된 상태에서는, 테이프 인쇄 장치(1)는 테이프 카트리지(101)에 수용된 제 1 인쇄 테이프(103) 및 제 1 잉크 리본(105)을 이송하면서, 제 1 인쇄 테이프(103)에 인쇄를 실행한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리본 카트리지(201)에는, 제 2 잉크 리본(205)이 수용되어 있다. 리본 카트리지(201)가 카트리지 장착부(7)에 장착된 상태에서는 테이프 인쇄 장치(1)에, 테이프 인쇄 장치(1) 외부에 마련된 테이프 롤(401)로부터 조출된 제 2 인쇄 테이프(403)가 도입된다. 테이프 인쇄 장치(1)는 도입된 제 2 인쇄 테이프(403)와, 리본 카트리지(201)에 수용된 제 2 잉크 리본(205)을 이송하면서, 제 2 인쇄 테이프(403)에 인쇄를 실행한다.
또한, 미사용 상태의 테이프 롤(401)에 있어서의 제 2 인쇄 테이프(403)의 길이 및 리본 카트리지(201)에 수용된 제 2 잉크 리본(205)의 길이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본 실시형태에서는, 미사용 상태의 테이프 카트리지(101)에 수용된 제 1 인쇄 테이프(103)의 길이 및 제 1 잉크 리본(105)의 길이보다 길게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예를 들면, 한번에 대량의 라벨을 작성하는 경우에, 리본 카트리지(201)가 장착된다.
[테이프 인쇄 장치]
도 4에 근거하여, 테이프 인쇄 장치(1)에 대해 설명한다. 테이프 인쇄 장치(1)는 장치 케이스(3)와, 장착부 커버(5)와, 카트리지 장착부(7)를 구비하고 있다. 장치 케이스(3)는 대략 직방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장치 케이스(3)에는 +X측의 면에 테이프 롤(401)로부터 조출되는 제 2 인쇄 테이프(403)용의 장치측 테이프 도입구(9)가 마련되며, -X측의 면에 테이프 카트리지(101)와 리본 카트리지(201) 공용의 장치측 테이프 배출구(11)가 마련되어 있다. 장치측 테이프 도입구(9)는, 제 2 인쇄 테이프(403)를 장치 케이스(3) 외부로부터 장치 케이스(3) 내에 도입한다. 장치측 테이프 배출구(11)는 도입된 제 2 인쇄 테이프(403)를 장치 케이스(3) 외부로 배출한다. 또한, 장치측 테이프 배출구(11)는 카트리지 장착부(7)에 장착된 테이프 카트리지(101)로부터 송출된 제 1 인쇄 테이프(103)를 장치 케이스(3) 외부로 배출한다. 장치측 테이프 도입구(9) 및 장치측 테이프 배출구(11)는 Z방향으로 연장되는 슬릿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테이프 인쇄 장치(1) 내에 있어서의 테이프 이송 경로에 있어서, 제 2 인쇄 테이프(403)가, 장치측 테이프 도입구(9)로부터 장치측 테이프 배출구(11)를 향하는 방향을 하류, 역의 방향을 상류로 한다.
장치 케이스(3)에는, 장치측 테이프 도입구(9)와 카트리지 장착부(7)를 접속하는 테이프 도입로(13)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장치 케이스(3)에는, 카트리지 장착부(7)와 장치측 테이프 배출구(11)를 접속하는 테이프 배출로(15)가 마련되어 있다. 테이프 도입로(13) 및 테이프 배출로(15)는, +Z측이 개방된 홈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테이프 배출로(15)에는 커터(17)가 마련되어 있다. 커터(17)는 테이프 배출로(15)에 있어서, 제 1 인쇄 테이프(103) 혹은 제 2 인쇄 테이프(403)를 절단한다.
장착부 커버(5)는 카트리지 장착부(7)를 개폐한다. 장착부 커버(5)의 내측의 면에는 제 1 가압 돌기(19)와, 제 2 가압 돌기(20)와, 제 3 가압 돌기(21)와, 제 4 가압 돌기(22)와. 제 5 가압 돌기(23)와, 제 6 가압 돌기(24)가 마련되어 있다. 장착부 커버(5)의 외측의 면에는, 도시 생략했지만, 키보드 및 디스플레이가 마련되어 있다. 키보드는 문자열 등 인쇄 정보나, 인쇄 실행 등의 각종 지시의 입력 조작을 받아들인다. 디스플레이는, 키보드로부터 입력된 인쇄 정보 외에, 각종 정보를 표시한다. 디스플레이는 경첩이 되는 회동축을 가지며, 장착부 커버(5)에 수납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디스플레이가 장착부 커버(5) 내에 수납되어 있을 때, 디스플레이의 표시면은 키보드와 대향하고 있다. 테이프 인쇄 장치(1)는 키보드가 인쇄 실행의 입력 조작을 받아들이면, 키보드로부터 입력된 인쇄 정보에 근거하여, 인쇄 처리를 실행한다. 또한, 테이프 인쇄 장치(1)는 키보드 및 디스플레이를 대신하여, 터치 패널식 디스플레이 등의 입력 표시 수단을 구비한 구성이어도 좋다. 또한, 테이프 인쇄 장치(1)는 PC, 스마트 폰 등의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한 인쇄 데이터 및 커멘드에 근거하여, 인쇄 처리를 실행하는 구성이어도 좋다. 환언하면, 테이프 인쇄 장치(1)와, 조작 단말로서의 외부 장치를 조합한 인쇄 시스템을 구성하여도 좋다. 이들 외부 장치와 접속 가능한 구성으로 할 때, 키보드 및 디스플레이는 테이프 인쇄 장치(1)에 마련하여도 좋으며, 마련하지 않아도 좋다.
카트리지 장착부(7)는 +Z측이 개방된 오목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카트리지 장착부(7)의 내주면 중, -X측의 내주면을 제 1 장착 내주면(25)이라 한다. 제 1 장착 내주면(25)의 -Y측의 단부로부터 +X측으로 연장되는 내주면을 제 2 장착 내주면(27)이라 한다. 제 2 장착 내주면(27)의 +X측의 단부로부터 +Y측으로 연장되는 내주면을 제 3 장착 내주면(29)이라 한다. 제 3 장착 내주면(29)의 +Y측의 단부로부터 -X측으로 연장되는 내주면을 제 4 장착 내주면(31)이라 한다. 제 4 장착 내주면(31)의 -X측의 단부로부터 +Y측으로 연장되는 내주면을 제 5 장착 내주면(33)이라 한다. 제 5 장착 내주면(33)의 +Y측의 단부로부터 -X측으로 연장되는 내주면을 제 6 장착 내주면(35)이라 한다. 제 6 장착 내주면(35)의 -X측의 단부는 제 1 장착 내주면(25)의 +Y측의 단부와 연결되어 있다. 테이프 도입로(13)의 하류단은 제 4 장착 내주면(31)에 개구되어 있다. 테이프 배출로(15)의 상류단은 제 1 장착 내주면(25)에 개구되어 있다.
카트리지 장착부(7)의 바닥면, 즉 -Z측의 면인 장착 바닥면(37)에는 -X측으로부터 순서대로 플래튼 축(39)과, 제 1 권취 축(43)과, 제 1 조출 축(41)과, 제 2 조출 축(45)과, 제 2 권취 축(47)이 +Z측으로 돌출되어 마련되어 있다.
플래튼 축(39)은 제 1 조출 축(41), 제 1 권취 축(43), 제 2 조출 축(45) 및 제 2 권취 축(47)에 비해, 장착방향 바로앞측으로의 돌출량이 크다. 플래튼 축(39)은 테이프 카트리지(101) 혹은 리본 카트리지(201)가 카트리지 장착부(7)에 장착될 때에, 후술하는 제 1 플래튼 롤러(109) 혹은 제 2 플래튼 롤러(203)에 삽통되며, 테이프 카트리지(101) 혹은 리본 카트리지(201)의 장착을 가이드한다. 또한, 이하에서는, 테이프 카트리지(101) 및 리본 카트리지(201)의 장착방향을 간략히 "장착방향"이라 하고, 장착방향은 플래튼 축(39)이 연장되는 방향, 즉 Z방향과 평행이다. 또한, 장착방향 바로앞측은 +Z측을 의미하며, 장착방향 안쪽측은 -Z측을 의미한다.
또한, 장착 바닥면(37)에는 헤드부(49)와, 계합(係合) 볼록부(51)와, 삽입 볼록부(53)가 장착방향 바로앞측으로 돌출되어 마련되어 있다. 헤드부(49)는 플래튼 축(39)의 -Y측에 위치하고 있다. 헤드부(49)는 인쇄 헤드(55)와, 인쇄 헤드(55)의 적어도 +X측, -Y측 및 장착방향 바로앞측을 덮는 헤드 커버(56)를 구비하고 있다. 인쇄 헤드(55)는 발열 소자를 구비한 써멀 헤드이다. 헤드 커버(56)는 장착방향 바로앞측으로부터 보아, 대략 직사각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헤드 커버(56)는 테이프 카트리지(101) 혹은 리본 카트리지(201)가 카트리지 장착부(7)에 장착될 때에, 플래튼 축(39)과 함께, 테이프 카트리지(101) 혹은 리본 카트리지(201)의 장착을 가이드한다. 도 4에서는 인쇄 헤드(55)를 도시하기 위해, 헤드 커버(56)를 이점쇄선에 의해 가상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또한, 헤드 커버(56) 및 상기 플래튼 축(39)은 위치결정부의 일 예이다. 계합 볼록부(51)는 제 5 장착 내주면(33)과 제 6 장착 내주면(35)이 만나는 모서리부에 근접하여 위치하고 있으며, 제 5 장착 내주면(33)과 마주 본 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즉, 계합 볼록부(51)는 장착방향 바로앞측으로부터 보아, Y방향으로 긴 대략 직사각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계합 볼록부(51)는 장착 바닥면(37)으로부터 외팔보 비임 형상으로 돌출되어 있다. 삽입 볼록부(53)는 계합 볼록부(51)와 플래튼 축(39)의 대략 중간부에 위치하고 있으며, 장착방향 안쪽측이 대경으로, 장착방향 바로앞측이 소경이 되는 대략 단을 갖는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장착 바닥면(37)에는 제 1 후크(57)와, 제 2 후크(59)와, 제 3 후크(61)와, 제 4 후크(63)가 장착방향 바로앞측으로 돌출되어 마련되어 있다. 제 1 후크(57)는 플래튼 축(39)의 +Y측, 또한, 장착 바닥면(37)의 -X측의 단부에 위치하고 있다. 제 2 후크(59)는 제 1 조출 축(41)의 +Y측, 또한 X방향에 있어서, 제 1 후크(57)와 대향하는 위치에 위치하고 있다. 제 3 후크(61)는 제 2 조출 축(45)과 제 2 권취 축(47)의 대략 중간 위치의 -Y측, 또한, 장착 바닥면(37)의 -Y측의 단부에 위치하고 있다. 제 4 후크(63)는 제 2 권취 축(47)의 +X측, 장착 바닥면(37)의 +X측의 단부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장착 바닥면(37)에는 복수의 위치결정 핀(65)이, 장착방향 바로앞측으로 돌출되어 마련되어 있다.
제 5 장착 내주면(33)에는 계합 볼록부(51)의 +X측에 있어서, 계합 볼록부(51)와 마주보도록 하여, 기판 접속부(67)가 마련되어 있다. 기판 접속부(67)는 테이프 인쇄 장치(1)의 각 부(部)를 제어하는 제어 회로(도시 생략)에 접속되어 있다.
여기에서, 카트리지 장착부(7) 중, 장착방향 바로앞측으로부터 보아, 테이프 카트리지(101)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영역을 제 1 장착 영역(69)이라 하고, 리본 카트리지(201)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영역을 제 2 장착 영역(71)이라 한다. 제 1 장착 영역(69)은 제 2 장착 내주면(27)의 -X측의 대략 반부(半部), 제 1 장착 내주면(25), 제 6 장착 내주면(35), 및 제 5 장착 내주면(33)으로 둘러싸인 영역에 상당하며, 제 2 장착 영역(71)은 카트리지 장착부(7)의 대략 전역(全域)에 상당한다. 도 4에서는 제 1 장착 영역(69)의 외연 및 제 2 장착 영역(71)의 외연을 각각 이점쇄선으로 나타낸다.
제 1 장착 영역(69)과 제 2 장착 영역(71)이 중첩된 영역, 즉, 제 2 장착 내주면(27)의 -X측의 대략 반부, 제 1 장착 내주면(25), 제 6 장착 내주면(35), 및 제 5 장착 내주면(33)으로 둘러싸인 영역을 중첩 영역(73)이라 한다. 제 1 장착 영역(69)과 제 2 장착 영역(71)이 중첩되어 있지 않으며, 제 2 장착 영역(71)만으로부터 이루어지는 영역, 즉, 제 2 장착 내주면(27)의 +X측의 대략 반부, 제 3 장착 내주면(29), 및 제 4 장착 내주면(31)으로 둘러싸인 영역을 비중첩 영역(75)이라 한다. 중첩 영역(73)에는, 테이프 카트리지(101) 및 리본 카트리지(201)가 공통되게 장착되며, 비중첩 영역(75)에는 리본 카트리지(201)만이 장착된다. 이와 같이, 테이프 카트리지(101) 및 리본 카트리지(201)가 공통되게 장착되는 중첩 영역(73)을 구비한 것에 의해, 테이프 인쇄 장치(1)의 소형화 및 저비용화를 도모할 수 있다.
플래튼 축(39), 제 1 조출 축(41), 제 1 권취 축(43), 헤드부(49), 계합 볼록부(51), 삽입 볼록부(53), 제 1 후크(57), 제 2 후크(59) 및 기판 접속부(67)는 중첩 영역(73)에 위치하고 있다. 헤드부(49)가 중첩 영역(73)에 마련되어 있는 것에 의해, 테이프 카트리지(101) 및 리본 카트리지(201)가 부품 비용이 비싼 인쇄 헤드(55)를 공용할 수 있어서, 테이프 인쇄 장치(1)의 비용 절감을 도모할 수 있다. 한편, 제 2 조출 축(45), 제 2 권취 축(47), 제 3 후크(61) 및 제 4 후크(63)는 비중첩 영역(75)에 위치하고 있다.
도 5는 카트리지 장착부(7)에 장착된 리본 카트리지(201)에 대해, 테이프 카트리지(101)를 테이프 카트리지(101)가 카트리지 장착부(7)에 장착되는 위치에 대응한 위치가 되도록, 장착방향 바로앞측에 중첩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여기에서, 테이프 카트리지(101)가 카트리지 장착부(7)에 장착되는 위치에 대응한 위치란, 테이프 카트리지(101)가 카트리지 장착부(7)에 장착되는 위치로부터, 장착방향 바로앞측으로 이동한 위치를 의미한다.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리본 카트리지(201)는 장착방향 바로앞측으로부터 보아, 테이프 카트리지(101)와 중첩된 중첩 부분(A)과, 테이프 카트리지(101)와 중첩되어 있지 않으며, 리본 카트리지(201)만으로부터 이루어지는 비중첩 부분(B)을 갖는다. 이와 같이, 리본 카트리지(201)가 테이프 카트리지(101)와의 중첩 부분(A)을 갖는 것에 의해, 카트리지 장착부(7)의 일부의 영역에, 테이프 카트리지(101) 및 리본 카트리지(201)를 공통되게 장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에 의해, 테이프 인쇄 장치(1)의 소형화 및 저비용화를 도모할 수 있다.
[리본 카트리지]
도 6 내지 도 8에 근거하여, 리본 카트리지(201)에 대해 설명한다. 리본 카트리지(201)는 제 2 플래튼 롤러(203)와, 제 2 조출 코어(206)와, 제 2 권취 코어(207)와, 보지 선단부(209)와, 이들을 수용한 제 2 카트리지 케이스(211)를 구비하고 있다. 제 2 플래튼 롤러(203), 제 2 조출 코어(206) 및 제 2 권취 코어(207)는 장착방향 바로앞측으로부터 보아, 각각, 카트리지 장착부(7)에 마련된 플래튼 축(39), 제 2 조출 축(45) 및 제 2 권취 축(47)에 대응한 위치에 마련되어 있다. 제 2 플래튼 롤러(203)에는 장착방향으로 관통된 제 2 플래튼 축 삽통 구멍(213)이 마련되어 있다. 제 2 조출 코어(206)에는 제 2 잉크 리본(205)이 권회되어 있다. 제 2 조출 코어(206)로부터 조출된 제 2 잉크 리본(205)은 제 2 권취 코어(207)에 권취된다. 또한, 제 2 카트리지 케이스(211)에는 수용된 제 2 잉크 리본(205)의 폭에 따라서, 두께, 즉 장착방향의 치수가 상이한 복수종의 것이 있다.
제 2 카트리지 케이스(211)는 장착방향 바로앞측으로부터 보아, 카트리지 장착부(7)와 대략 상사형(相似形)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 2 카트리지 케이스(211)는 장착방향 바로앞측으로부터 보아, 제 1 카트리지 케이스(115)와는 상이한 형상을 갖고 있다. 여기에서, 제 2 카트리지 케이스(211)의 주벽부(周壁部) 중, -X측의 주벽부를 리본측 제 1 주벽부(215)라 한다. 리본측 제 1 주벽부(215)의 -Y측의 단부로부터 +X측으로 연장되는 주벽부를, 리본측 제 2 주벽부(217)라 한다. 리본측 제 2 주벽부(217)의 +X측의 단부로부터 +Y측으로 연장되는 주벽부를, 리본측 제 3 주벽부(219)라 한다. 리본측 제 3 주벽부(219)의 +Y측의 단부로부터, 제 1 만곡면(221)을 거쳐서 -X측으로 연장되는 주벽부를, 리본측 제 4 주벽부(223)라 한다. 리본측 제 4 주벽부(223)의 -X측의 단부로부터 +Y측으로 연장되는 주벽부를, 리본측 제 5 주벽부(225)라 한다. 리본측 제 5 주벽부(225)의 +Y측의 단부로부터 -X측으로 연장되는 주벽부를 리본측 제 6 주벽부(227)라 한다. 리본측 제 6 주벽부(227)의 -X측의 단부는 제 2 만곡면(229)을 거쳐서, 리본측 제 1 주벽부(215)의 +Y측의 단부와 연결되어 있다. 리본측 제 4 주벽부(223)와 리본측 제 6 주벽부(227)는, 리본측 제 5 주벽부(225)에 의해 단차가 구성되어 있다. 또한, 장착방향 바로앞측으로부터 보아, 리본측 제 4 주벽부(223)와 리본측 제 5 주벽부(225)가 이루는 내각(α)의 각도는 180°를 초과하고 있으며, 예를 들면, 대략 270°이다. 또한, 리본측 제 4 주벽부(223) 및 리본측 제 5 주벽부(225)는 제 1 주벽부 및 제 2 주벽부의 일 예이다.
제 2 카트리지 케이스(211)에는, 제 2 헤드 삽통 구멍(231)이 장착방향으로 관통되어 마련되어 있다. 제 2 헤드 삽통 구멍(231)은 장착방향 바로앞측으로부터 보아, 리본측 제 1 주벽부(215)와 리본측 제 2 주벽부(217)가 만나는 모서리부에 위치하고 있다. 제 2 헤드 삽통 구멍(231)은 리본측 제 1 주벽부(215)와 리본측 제 2 주벽부(217)를 따라서 배치되어 있다. 제 2 헤드 삽통 구멍(231)은 장착방향 바로앞측으로부터 보아, 헤드 커버(56)와 대응한 형상, 즉 대략 직사각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 2 헤드 삽통 구멍(231) 및 상기 제 2 플래튼 축 삽통 구멍(213)은 리본 카트리지(201)가 카트리지 장착부(7)에 착탈될 때에, 리본 카트리지(201)를 위치결정하고, 리본 카트리지(201)의 착탈을 가이드한다.
제 2 카트리지 케이스(211)는 바로앞측 케이스와, 제 2 안쪽 케이스(237)를 구비하고 있다. 바로앞측 케이스는, 리본부 바로앞측 케이스(233)와, 테이프 보지부 바로앞측 케이스(235)로 분할되어 있다. 리본 카트리지(201)가 카트리지 장착부(7)에 장착될 때에는, 리본부 바로앞측 케이스(233) 및 테이프 보지부 바로앞측 케이스(235)가 장착방향 바로앞측이 되고, 제 2 안쪽 케이스(237)가 장착방향 안쪽측이 된다. 리본부 바로앞측 케이스(233) 및 테이프 보지부 바로앞측 케이스(235)는 투광성을 갖는 수지 성형품이며, 제 2 안쪽 케이스(237)는 투광성을 갖지 않는 수지 성형품이지만, 리본부 바로앞측 케이스(233), 테이프 보지부 바로앞측 케이스(235) 및 제 2 안쪽 케이스(237)의 재질이나 제법은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리본부 바로앞측 케이스(233)는 리본부 바로앞 벽부(239)와, 리본부 바로앞 벽부(239)의 주연부로부터 장착방향 안쪽측으로 돌출된 리본부 바로앞측 주벽부(241)를 구비하고 있다. 테이프 보지부 바로앞측 케이스(235)는 테이프 보지부 바로앞 벽부(243)와, 테이프 보지부 바로앞 벽부(243)의 주연부로부터 장착방향 안쪽측으로 돌출된 테이프 보지부 바로앞측 주벽부(245)를 구비하고 있다. 제 2 안쪽 케이스(237)는 제 2 안쪽 벽부(247)와, 제 2 안쪽 벽부(247)로부터 장착방향 바로앞측으로 돌출된 리본부 안쪽 주벽부(249) 및 테이프 보지부 안쪽 주벽부(251)를 구비하고 있다.
리본부 바로앞측 케이스(233)와 제 2 안쪽 케이스(237)는, 리본부 바로앞측 주벽부(241)와 리본부 안쪽 주벽부(249)를 맞대도록 하여 조립되며, 제 2 잉크 리본(205)을 수용하는 잉크 리본 수용부(253)의 외피를 구성하고 있다. 테이프 보지부 바로앞측 케이스(235)와 제 2 안쪽 케이스(237)는, 테이프 보지부 바로앞측 주벽부(245)와 테이프 보지부 안쪽 주벽부(251)를 맞대도록 하여 조립되며, 제 2 플래튼 롤러(203) 및 보지 선단부(209)를 수용하는 테이프 보지 기구 수용부(255)의 외피를 구성하고 있다. 즉, 잉크 리본 수용부(253)와 테이프 보지 기구 수용부(255)가 제 2 안쪽 벽부(247)를 거쳐서,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테이프 보지 기구 수용부(255)에 수용되는 테이프 보지부(305)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리본부 바로앞측 케이스(233)에는 제 1 주벽 오목부(267)와, 제 2 주벽 오목부(269)와, 제 3 주벽 오목부(271)와, 제 4 주벽 오목부(272)가 마련되어 있다. 제 1 주벽 오목부(267)는 리본측 제 4 주벽부(223)의 +X측의 단부에 있어서, 리본부 바로앞 벽부(239)로부터 장착방향 안쪽측으로 오목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 2 주벽 오목부(269)는, 리본측 제 2 주벽부(217)의 X방향 대략 중간부에 있어서, 장착방향으로 연장되는 홈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 3 주벽 오목부(271)는 리본측 제 3 주벽부(219)의 -Y측의 단부에 있어서, 리본부 바로앞 벽부(239)로부터 장착방향 안쪽측으로 오목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 4 주벽 오목부(272)는 리본측 제 5 주벽부(225)의 +Y측의 단부에 있어서, 테이프 보지부 바로앞 벽부(243)로부터 장착방향 안쪽측으로 오목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리본부 안쪽 주벽부(249)에는 제 2 주벽 오목부(269)에 대응하는 위치에, 주벽 볼록부(273)가 장착방향 바로앞측으로 돌출되어 마련되어 있다.
여기에서, 제 1 주벽 오목부(267)의 바닥면, 주벽 볼록부(273)의 돌출 선단면, 및 제 3 주벽 오목부(271)의 바닥면을 각각, 제 1 가압부(275), 제 2 가압부(277) 및 제 3 가압부(279)라 한다. 제 1 가압부(275), 제 2 가압부(277) 및 제 3 가압부(279)는 장착방향 바로앞측으로부터 보아, 제 2 조출 코어(206) 및 제 2 권취 코어(207)를 둘러싸도록 마련되어 있다. 또한, 제 1 가압부(275), 제 2 가압부(277) 및 제 3 가압부(279)는 각각, 장착부 커버(5)에 마련된 제 1 가압 돌기(19), 제 2 가압 돌기(20) 및 제 3 가압 돌기(21)에 대응하는 위치에 마련되어 있다. 또한, 제 4 주벽 오목부(272)의 바닥면, 및 카트리지측 테이프 배출구(261)의 +Z측의 장착방향 바로앞측의 면을 각각, 제 4 가압부(280) 및 제 5 가압부(282)라 한다. 제 4 가압부(280) 및 제 5 가압부(282)는, 각각, 장착부 커버(5)에 마련된 제 4 가압 돌기(22) 및 제 5 가압 돌기(23)에 대응하는 위치에 마련되어 있다.
리본 카트리지(201)가 카트리지 장착부(7)에 장착된 상태에서, 장착부 커버(5)가 닫히면, 장착부 커버(5)에 마련된 제 1 가압 돌기(19), 제 2 가압 돌기(20) 및 제 3 가압 돌기(21)가, 각각 제 1 주벽 오목부(267), 제 2 주벽 오목부(269) 및 제 3 주벽 오목부(271)에 안내되고, 제 1 가압부(275), 제 2 가압부(277) 및 제 3 가압부(279)에 부딪친다. 즉, 제 1 가압 돌기(19), 제 2 가압 돌기(20) 및 제 3 가압 돌기(21)에 의해, 제 2 조출 코어(206) 및 제 2 권취 코어(207)의 주위가 가압된다. 이에 의해, 제 2 조출 코어(206) 및 제 2 권취 코어(207)가, 카트리지 장착부(7)에 마련된 제 2 조출 축(45) 및 제 2 권취 축(47)에 대해 경사지는 것이 억제된다. 따라서, 제 2 잉크 리본(205)이 제 2 조출 코어(206)로부터 제 2 권취 코어(207)로 이송될 때에, 제 2 잉크 리본(205)에 주름이 생기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리본 카트리지(201)는 잉크 리본 폭이 큰, 예를 들면, 폭 50㎜의 잉크 리본을 수용할 수 있다. 한편, 잉크 리본 폭이 50㎜보다 작은, 예를 들면, 폭 24㎜ 이하의 잉크 리본을 수용하기 위해, 리본부 바로앞측 케이스(233) 및 테이프 보지부 바로앞측 케이스(235)의, Z방향에 있어서의 치수를 축소한 리본 카트리지(201)로 하여도 좋다. 이 때, 제 1 주벽 오목부(267) 및 제 3 주벽 오목부(271) 중, 쌍방 또는 어느 한쪽을 마련하지 않고, 제 1 가압 돌기(19) 및 제 3 가압 돌기(21)의 쌍방 또는 어느 한쪽은, 리본부 바로앞 벽부(239)를 가압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리본 카트리지(201)가 카트리지 장착부(7)에 장착된 상태에서, 장착부 커버(5)가 닫히면, 장착부 커버(5)에 마련된 제 4 가압 돌기(22)가 제 4 주벽 오목부(272)에 안내되고, 제 4 가압부(280)에 부딪친다. 이에 의해, 제 4 가압부(280)가 제 4 가압 돌기(22)에 의해 장착방향 안쪽측으로 가압되어, 제 4 가압부(280)의 근방에 마련된 제 2 회로 기판(327)의 제 2 전극부(330)를 접촉 단자부(83)에 적절히 접촉시킬 수 있다. 또한, 리본 카트리지(201)가 카트리지 장착부(7)에 장착된 상태에서, 장착부 커버(5)가 닫히면, 장착부 커버(5)에 마련된 제 5 가압 돌기(23)가 제 5 가압부(282)에 부딪친다. 이에 의해, 제 5 가압부(282)가 제 5 가압 돌기(23)에 의해 장착방향 안쪽측으로 가압되어, 제 5 가압부(282)의 근방에 마련된 제 2 플래튼 롤러(203)를 인쇄 헤드(55)에 적절히 대향시킬 수 있다. 또한, 제 5 가압부(282)는 제 2 플래튼 롤러(203) 및 인쇄 헤드(55)의 근방에 위치한다. 그 때문에, 테이프 인쇄 장치(1)가 인쇄 동작을 실행할 때에, 제 5 가압 돌기(23)에 의한 부하가 걸리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래서, 리본 카트리지(201)를 카트리지 장착부(7)에 장착한 후, 제 5 가압 돌기(23)와 제 5 가압부(282) 사이에 간극이 생기도록 구성하여도 좋다.
리본부 안쪽 주벽부(249) 중, 리본측 제 1 주벽부(215)에는 리본측 제 1 후크 계합부(321)가 마련되며, 리본측 제 2 주벽부(217)에는 리본측 제 2 후크 계합부(323)가 마련되며, 리본측 제 3 주벽부(219)에는 리본측 제 3 후크 계합부(325)가 마련되어 있다. 리본 카트리지(201)가 카트리지 장착부(7)에 장착된 상태에서는, 리본 카트리지(201)에 마련된 리본측 제 1 후크 계합부(321), 리본측 제 2 후크 계합부(323) 및 리본측 제 3 후크 계합부(325)가, 각각 카트리지 장착부(7)에 마련된 제 1 후크(57), 제 3 후크(61) 및 제 4 후크(63)와 계합된다. 이에 의해, 리본 카트리지(201)가 장착 바닥면(37)으로부터 부상한 상태로 장착되는 것이 억제된다.
또한, 리본부 안쪽 주벽부(249) 중, 리본측 제 5 주벽부(225)에는, 제 2 회로 기판(327)이 장착되어 있다. 즉, 제 2 회로 기판(327)은 카트리지측 테이프 배출구(261)가 마련된 리본측 제 1 주벽부(215)와 대략 평행하게 마련된 리본측 제 5 주벽부(225)에 장착되어 있다. 리본측 제 5 주벽부(225)에는, 제 2 회로 기판(327)이 장착되는 제 2 기판 장착부(337)가 마련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리본측 제 5 주벽부(225)는 장착방향 바로앞측으로부터 보아, 리본측 제 4 주벽부(223)에 대해 내각(α)이 180°를 초과하여 굴곡되어 있다. 이 때문에, 리본 카트리지(201)가 마루 등에 낙하한 경우에는, 리본측 제 3 주벽부(219)와 리본측 제 4 주벽부(223) 사이의 제 1 만곡면(221), 혹은, 리본측 제 5 주벽부(225)와 리본측 제 6 주벽부(227)가 만나는 코너부가 마루 등에 부딪치게 되어, 리본측 제 4 주벽부(223) 및 리본측 제 5 주벽부(225)가 마루 등에 부딪치는 것이 억제된다. 따라서, 리본 카트리지(201)가 마루 등에 낙하한 경우에, 제 2 회로 기판(327)에 마련된 제 2 전극부(330)가 마루 등에 부딪치는 것이 억제되어, 기계 강도가 약한 제 2 전극부(330)가 파손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제 2 회로 기판(327)이 리본측 제 4 주벽부(223)에 장착된 구성에 있어서도, 마찬가지의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2 안쪽 벽부(247)에 있어서, 조출측 통부(283)의 +Y측에는 후크 삽통 구멍(299)이 형성되어 있다. 리본 카트리지(201)가 카트리지 장착부(7)에 장착된 상태에서는, 리본 카트리지(201)에 마련된 후크 삽통 구멍(299)에, 카트리지 장착부(7)에 마련된 제 2 후크(59)가 삽통된다. 이에 의해, 리본 카트리지(201)가 카트리지 장착부(7)에 장착될 때에, 제 2 후크(59)가 리본 카트리지(201)와 간섭하는 것이 억제된다.
도 6, 도 7 및 도 9에 근거하여, 제 2 테이프 경로(257)에 대해 설명한다. 제 2 테이프 경로(257)는, 리본부 바로앞측 케이스(233)와 테이프 보지부 바로앞측 케이스(235) 사이에 마련되어 있다. 제 2 테이프 경로(257)는, 리본측 제 5 주벽부(225)에 마련된 카트리지측 테이프 도입구(259)와, 리본측 제 1 주벽부(215)에 마련된 카트리지측 테이프 배출구(261)를 접속하고 있다. 또한, 카트리지측 테이프 도입구(259)는 잉크 리본 수용부(253)와, 제 2 회로 기판(327) 사이에 마련되어 있다. 즉, 카트리지측 테이프 도입구(259)는, 제 2 회로 기판(327)보다 리본측 제 4 주벽부(223)측에 위치하고 있다. 도 6 및 도 9에서는, 카트리지측 테이프 도입구(259)는, 리본측 제 5 주벽부(225)의 제 2 회로 기판(327)으로부터 거리를 두고 리본측 제 4 주벽부(223)와 교차하는 영역에 마련되어 있다. 카트리지측 테이프 도입구(259)는 리본측 제 4 주벽부(223)에 마련하여도 좋다. 그 경우는, 리본측 제 5 주벽부(225)와 리본측 제 4 주벽부(223)와 교차하는 영역에 가까운 편이, 간단한 배치 구조로 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카트리지측 테이프 도입구(259)는, 리본 카트리지(201)가 카트리지 장착부(7)에 장착된 상태에서, 장치측 테이프 도입구(9)로부터 도입된 제 2 인쇄 테이프(403)를 제 2 카트리지 케이스(211) 내에 도입한다. 카트리지측 테이프 배출구(261)는 리본 카트리지(201)가 카트리지 장착부(7)에 장착된 상태에서, 제 2 인쇄 테이프(403)를 장치측 테이프 배출구(11)를 향하여 제 2 카트리지 케이스(211) 외부로 배출한다. 카트리지측 테이프 도입구(259) 및 카트리지측 테이프 배출구(261)는 장착방향을 따르는 슬릿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제 2 카트리지 케이스(211) 내에 도입된 제 2 인쇄 테이프(403)는 제 2 인쇄 테이프(403)의 폭방향이 장착방향과 대략 평행이 되도록 하여 이송된다.
제 2 테이프 경로(257)의 측벽부 중, 잉크 리본 수용부(253)측의 측벽부를, 리본측 경로 측벽부(263)라 하고, 테이프 보지 기구 수용부(255)측의 측벽부를, 테이프 보지 기구측 경로 측벽부(265)라 한다. 카트리지측 테이프 도입구(259)의 부근에서는, 제 2 인쇄 테이프(403)가 원활하게 도입되도록, 제 2 테이프 경로(257)의 폭, 즉 리본측 경로 측벽부(263)와 테이프 보지 기구측 경로 측벽부(265)의 간격이 넓게 되어 있다.
제 2 테이프 경로(257)에는, 카트리지측 테이프 배출구(261)에 가까운 측으로부터 순서대로, 제 2 플래튼 롤러(203)와, 보지 선단부(209)가 마련되어 있다. 테이프 보지 기구측 경로 측벽부(265) 중, 보지 선단부(209)에 대응한 개소는, 보지 선단부(209)가 제 2 테이프 경로(257)에 도입된 제 2 인쇄 테이프(403)를 리본측 경로 측벽부(263)와의 사이에서 보지할 수 있도록 절결되어 있다. 또한, 제 2 테이프 경로(257)의 카트리지측 테이프 배출구(261)측의 단부는, 후술하는 제 2 리본 노출부(291)를 거쳐서 제 2 헤드 삽통 구멍(231)에 연결되어 있다.
도 9에 근거하여, 제 2 안쪽 케이스(237)에 대해 설명한다. 제 2 안쪽 케이스(237)의 제 2 안쪽 벽부(247)에는, 제 2 헤드 주연 볼록부(281)와, 조출측 통부(283)와, 권취측 통부(285)와, 제 1 리본 가이드(287)와, 제 2 리본 가이드(289)가 장착방향 바로앞측으로 돌출되어 마련되어 있다. 제 2 헤드 주연 볼록부(281)는 제 2 헤드 삽통 구멍(231)의 주연부에 마련되어 있다. 제 2 헤드 주연 볼록부(281)는 +Y측, 즉 제 2 플래튼 롤러(203)측의 일부가 절결되어 있으며, 그 절결된 개소가, 제 2 잉크 리본(205)이 노출되는 제 2 리본 노출부(291)로 되어 있다. 이에 의해, 리본 카트리지(201)가 카트리지 장착부(7)에 장착된 상태에서는, 제 2 헤드 삽통 구멍(231)에 삽통된 인쇄 헤드(55)가, 제 2 잉크 리본(205) 및 제 2 인쇄 테이프(403)를 사이에 두고 제 2 플래튼 롤러(203)와 대향한다.
조출측 통부(283) 및 권취측 통부(285)는, 장착방향 바로앞측으로부터 보아, 각각, 카트리지 장착부(7)에 마련된 제 1 조출 축(41) 및 제 1 권취 축(43)에 대응한 위치에 마련되어 있다. 리본 카트리지(201)가 카트리지 장착부(7)에 장착된 상태에서는, 리본 카트리지(201)에 마련된 조출측 통부(283) 및 권취측 통부(285)에, 각각, 카트리지 장착부(7)에 마련된 제 1 조출 축(41) 및 제 1 권취 축(43)이 삽입된다. 이에 의해, 리본 카트리지(201)가 카트리지 장착부(7)에 장착될 때에, 제 1 조출 축(41) 및 제 1 권취 축(43)이 리본 카트리지(201)와 간섭하는 것이 억제된다.
제 2 조출 코어(206)로부터 조출된 제 2 잉크 리본(205)은 조출측 통부(283), 제 2 헤드 주연 볼록부(281), 권취측 통부(285), 제 1 리본 가이드(287) 및 제 2 리본 가이드(289)의 순서로 가이드되면서, 제 2 권취 코어(207)에 권취된다. 즉, 조출측 통부(283) 및 권취측 통부(285)는, 제 1 조출 축(41) 및 제 1 권취 축(43)이 삽입될 뿐만 아니라, 제 2 잉크 리본(205)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부재로서도 기능한다.
또한, 제 2 안쪽 벽부(247)에는 제 2 통형상 축부(293)가 장착방향 바로앞측으로 돌출되어 마련되어 있다. 제 2 통형상 축부(293)는, 대략 단(段)을 갖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리본 카트리지(201)가 카트리지 장착부(7)에 장착된 상태에서는, 리본 카트리지(201)에 마련된 제 2 통형상 축부(293)에 카트리지 장착부(7)에 마련된 삽입 볼록부(53)가 삽입된다.
제 2 안쪽 벽부(247)의 장착방향 안쪽측의 면에는, 복수의 제 2 위치결정 구멍(295)이 마련되어 있다. 리본 카트리지(201)가 카트리지 장착부(7)에 장착된 상태에서는, 리본 카트리지(201)에 마련된 제 2 위치결정 구멍(295)이, 카트리지 장착부(7)에 마련된 위치결정 핀(65)과 계합된다. 이에 의해, 리본 카트리지(201)가 카트리지 장착부(7)에 대해 위치결정된다.
제 2 안쪽 벽부(247)에는, 리본측 제 5 주벽부(225)와 리본측 제 6 주벽부(227)가 만나는 모서리부에 위치하는, 제 2 볼록부 수납부(297)가 마련되어 있다. 리본 카트리지(201)가 카트리지 장착부(7)에 장착된 상태에서는, 리본 카트리지(201)에 마련된 제 2 볼록부 수납부(297)가, 카트리지 장착부(7)에 마련된 계합 볼록부(51)를 수납한다.
테이프 보지 기구 수용부(255)에는, 보지 선단부(209)를 구비한 테이프 보지부(305)가 수용되어 있다. 테이프 보지부(305)는, 리본 카트리지(201)가 카트리지 장착부(7)에 장착될 때에, 제 2 테이프 경로(257)에 미리 도입된 제 2 인쇄 테이프(403)를 보지하기 위한 것이다.
도 6 및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테이프 보지부(305)는 보지 선단부(209)와, 아암 지축(307)과, 아암부(309)와, 계합 핀(311)과, 슬라이드 플레이트(313)를 구비하고 있다. 보지 선단부(209)는 아암부(309)의 한쪽의 단부에 마련되어 있다. 보지 선단부(209)는 리본측 경로 측벽부(263)와의 사이에서 제 2 테이프 경로(257)에 도입된 제 2 인쇄 테이프(403)를 보지한다. 보지 선단부(209)에 의해 제 2 인쇄 테이프(403)를 보지하는 것에 의해, 제 2 테이프 경로(257)에 도입된 제 2 인쇄 테이프(403)가 제 2 테이프 경로(257)로부터 빠져나와 버리는 것이 억제되는 동시에, 제 2 인쇄 테이프(403)가 제 2 테이프 경로(257)로 이송될 때에, 제 2 인쇄 테이프(403)에 미치는 마찰 저항을 줄일 수 있다.
아암 지축(支軸)(307)은 제 2 안쪽 벽부(247)로부터 장착방향 바로앞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아암부(309)는 장착방향 바로앞측으로부터 보아 대략 "L"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아암부(309)의 보지 선단부(209)가 마련된 단부와는 반대측의 단부에는 아암 지축(307)이 삽통되어 있다. 아암부(309)는 아암 지축(307)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즉, 아암부(309)는 아암부(309)에 마련된 보지 선단부(209)가 리본측 경로 측벽부(263)에 근접하며, 리본측 경로 측벽부(263)와의 사이에서 제 2 테이프 경로(257)에 도입된 제 2 인쇄 테이프(403)를 보지하는 근접 위치와, 아암부(309)에 마련된 보지 선단부(209)가 리본측 경로 측벽부(263)로부터 이격된 이격 위치와의 사이에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다. 또한, 아암 지축(307)에는 테이프 보지 스프링(315)이 마련되어 있다. 테이프 보지 스프링(315)은 아암부(309)에 대해, 근접 위치를 향하여 힘을 부여하고 있다. 또한, 테이프 보지 스프링(315)으로서는, 예를 들면, 비틀림 코일 스프링을 이용할 수 있다. 계합 핀(311)은 아암부(309)의 보지 선단부(209)가 마련된 단부와 아암부(309)의 굴곡부 사이에 마련되어 있다. 계합 핀(311)은 아암부(309)로부터 장착방향 바로앞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슬라이드 플레이트(313)는, 테이프 보지부 바로앞 벽부(243)에 대해 Y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슬라이드 플레이트(313)는, 플레이트 본체(317)와, 손잡이부(319)를 구비하고 있다. 플레이트 본체(317)는 테이프 보지부 바로앞 벽부(243)의 내측, 즉 -Z측에 있어서 테이프 보지부 바로앞 벽부(243)와 대략 평행하게 마련되어 있다. 플레이트 본체(317)는 계합 핀(311)의 선단부와 계합되어 있다. 즉, 플레이트 본체(317)는 계합 핀(311)을 거쳐서, 아암부(309)와 접속되어 있다. 또한, 플레이트 본체(317)는 제 2 플래튼 롤러(203)와 계합되어 있다. 손잡이부(319)는 플레이트 본체(317)로부터 장착방향 바로앞측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장착방향 바로앞측으로부터 보아, X방향으로 긴 대략 직사각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슬라이드 플레이트(313)는 테이프 보지부 바로앞측 케이스(235)와 마찬가지로, 투광성을 갖는 수지 성형품이지만, 슬라이드 플레이트(313)의 재질이나 제법은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사용자가 손잡이부(319)를 잡고 슬라이드 플레이트(313)를 +Y측의 비보지 위치로 슬라이드시키면, 계합 핀(311)을 거쳐서 플레이트 본체(317)와 접속된 아암부(309)가 테이프 보지 스프링(315)에 저항하여 이격 위치로 회전하는 동시에, 제 2 플래튼 롤러(203)의 +Z측의 선단부가 +Y측으로 이동한다. 환언하면, 슬라이드 플레이트(313)를 +Y측의 비보지 위치로 슬라이드시키면, 제 2 플래튼 롤러(203)는 그 +Z측의 선단부가 제 2 리본 노출부(291)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경사진다. 이에 의해, 아암부(309)에 마련된 보지 선단부(209)가 리본측 경로 측벽부(263)로부터 이격되는 동시에, 제 2 플래튼 롤러(203)가 제 2 리본 노출부(291)에 노출된 제 2 잉크 리본(205)으로부터 이격된다.
한편, 사용자가 슬라이드 플레이트(313)를 -Y측의 보지 위치로 슬라이드시키면, 아암부(309)가 근접 위치로 회전하는 동시에, 제 2 플래튼 롤러(203)의 +Z측의 선단부가 -Y측으로 이동한다. 이에 의해, 보지 선단부(209)가 리본측 경로 측벽부(263)와의 사이에서 제 2 인쇄 테이프(403)를 보지하는 동시에 제 2 플래튼 롤러(203)가 제 2 리본 노출부(291)에 노출된 제 2 잉크 리본(205)에 가까워진다.
이와 같이 구성된 테이프 보지부(305)를 구비한 것에 의해, 리본 카트리지(201)가 카트리지 장착부(7)에 장착될 때에, 미리 제 2 테이프 경로(257)에 도입된 제 2 인쇄 테이프(403)가 제 2 테이프 경로(257)로부터 빠져나와 버리는 것이 억제된다. 이 때문에, 사용자는 미리 제 2 테이프 경로(257)에 제 2 인쇄 테이프(403)가 도입된 리본 카트리지(201)를 카트리지 장착부(7)에 장착한다는 간단한 조작으로, 제 2 인쇄 테이프(403)와 리본 카트리지(201)를 동시에 테이프 인쇄 장치(1)에 세트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리본 카트리지(201)를 카트리지 장착부(7)에 장착하는 조작과, 제 2 인쇄 테이프(403)를 카트리지 장착부(7)에 도입하는 조작을 개별로 실행할 필요가 없다.
제 2 인쇄 테이프(403)가 리본 카트리지(201)의 제 2 테이프 경로(257)에 도입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사용자는 리본 카트리지(201)를 카트리지 장착부(7)에 장착하기 전에, 제 2 인쇄 테이프(403)를 제 2 테이프 경로(257)에 도입한다. 즉, 사용자는 슬라이드 플레이트(313)를 비보지 위치로 슬라이드하는 것에 의해, 보지 선단부(209)를 리본측 경로 측벽부(263)로부터 이격시키는 동시에, 제 2 플래튼 롤러(203)를 제 2 잉크 리본(205)으로부터 이격시킨다. 이 상태에서, 제 2 인쇄 테이프(403)가 제 2 플래튼 롤러(203)와 제 2 잉크 리본(205) 사이를 지나도록, 카트리지측 테이프 도입구(259)로부터, 혹은, 개방된 제 2 테이프 경로(257)의 장착방향 바로앞측으로부터, 제 2 인쇄 테이프(403)를 제 2 테이프 경로(257)에 도입한다. 이어서, 사용자는 슬라이드 플레이트(313)를 보지 위치로 슬라이드하는 것에 의해, 보지 선단부(209)를 리본측 경로 측벽부(263)에 가까이 하는 동시에, 제 2 플래튼 롤러(203)를 제 2 잉크 리본(205)에 가까이 한다. 이에 의해, 제 2 테이프 경로(257)에 도입된 제 2 인쇄 테이프(403)가 보지 선단부(209)에 의해 보지된다.
또한, 리본 카트리지(201)가 카트리지 장착부(7)에 장착된 상태에서는, 제 2 플래튼 축 삽통 구멍(213)에 플래튼 축(39)이 삽통되어 있기 때문에, 제 2 플래튼 롤러(203)와 계합된 슬라이드 플레이트(313)가 보지 위치로부터 비보지 위치로 슬라이드 불가능하게 된다. 이 때문에, 리본 카트리지(201)가 카트리지 장착부(7)에 장착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실수로 슬라이드 플레이트(313)를 비보지 위치로 슬라이드하는 것에 의해, 제 2 인쇄 테이프(403)의 보지 상태가 해제되어, 제 2 인쇄 테이프(403)가 제 2 테이프 경로(257)로부터 빠져나와 버리는 것이 억제되어 있다.
[리본 카트리지 장착시의 인쇄 처리]
도 10에 근거하여, 리본 카트리지(201)가 카트리지 장착부(7)에 장착된 상태에서, 테이프 인쇄 장치(1)가 실행하는 인쇄 처리에 대해 설명한다. 리본 카트리지(201)가 카트리지 장착부(7)에 장착된 상태에서는, 리본 카트리지(201)에 마련된 제 2 플래튼 롤러(203)의 제 2 플래튼 축 삽통 구멍(213), 제 2 조출 코어(206) 및 제 2 권취 코어(207)에 각각, 카트리지 장착부(7)에 마련된 플래튼 축(39), 제 2 조출 축(45) 및 제 2 권취 축(47)이 삽통된다. 이에 의해, 테이프 인쇄 장치(1)에 마련된 이송 모터의 구동력이 제 2 플래튼 롤러(203), 제 2 조출 코어(206) 및 제 2 권취 코어(207)에 전달 가능해진다.
또한, 리본 카트리지(201)가 카트리지 장착부(7)에 장착된 상태에서는, 리본 카트리지(201)에 마련된 제 2 헤드 삽통 구멍(231)에 카트리지 장착부(7)에 마련된 헤드부(49)가 삽통된다. 리본 카트리지(201)가 카트리지 장착부(7)에 장착된 후, 장착부 커버(5)가 닫히면, 헤드 이동 기구에 의해, 인쇄 헤드(55)가 플래튼 축(39)을 향하여 이동한다. 이에 의해, 인쇄 헤드(55)와 제 2 플래튼 롤러(203) 사이에, 제 2 인쇄 테이프(403) 및 제 2 잉크 리본(205)이 협지된다. 또한, 제 2 플래튼 롤러(203)가 인쇄 헤드(55)와의 사이에서 제 2 인쇄 테이프(403) 및 제 2 잉크 리본(205)을 협지한 부분을 제 2 이송 부분(79)이라 한다.
이 상태에서, 이송 모터가 정방향으로 회전하면, 제 2 플래튼 롤러(203)가 정방향으로 회전하는 동시에, 제 2 권취 코어(207)가 권취방향으로 회전한다. 이에 의해, 장치측 테이프 도입구(9)로부터 도입된 제 2 인쇄 테이프(403)가, 장치측 테이프 배출구(11)를 향하여 이송되는 동시에, 제 2 조출 코어(206)로부터 조출된 제 2 잉크 리본(205)이 제 2 권취 코어(207)에 권취된다.
또한, 이송 모터가 되감기 방향으로 회전하면, 제 2 플래튼 롤러(203)가 되감기 방향으로 회전하는 동시에, 제 2 조출 코어(206)가 되감기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에 의해, 제 2 인쇄 테이프(403)가, 카트리지측 테이프 배출구(261)로부터 배출된 제 2 인쇄 테이프(403)가 제 2 카트리지 케이스 내로 되돌려지는 동시에, 제 2 조출 코어(206)로부터 조출된 제 2 잉크 리본(205)이, 제 2 조출 코어(206)에 되감긴다. 이와 같이, 제 2 조출 코어(206)에 삽통되는 제 2 조출 축(45)과, 제 2 권취 코어(207)에 삽통하는 제 2 권취 축(47)은, 제 2 잉크 리본(205)을 이송하는 제 2 잉크 리본 반송 기구를 구성하고 있다.
테이프 인쇄 장치(1)는 이송 모터를 정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동시에, 인쇄 헤드(55)를 발열시키는 것에 의해, 제 2 인쇄 테이프(403) 및 제 2 잉크 리본(205)을 이송하면서, 키보드 등으로부터 입력된 인쇄 정보를 제 2 인쇄 테이프(403)에 인쇄한다. 인쇄 종료 후, 테이프 인쇄 장치(1)는 커터(17)를 절단 동작시켜, 제 2 인쇄 테이프(403)의 인쇄가 종료된 부분을 떼어낸다. 그 후, 테이프 인쇄 장치(1)는, 이송 모터를 되감기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제 2 인쇄 테이프(403)의 선단이 인쇄 헤드(55)와 제 2 플래튼 롤러(203)의 협지 위치의 근방에 올 때까지, 제 2 인쇄 테이프(403)를 되돌린다. 이에 의해, 다음에 인쇄되는 제 2 인쇄 테이프(403)의 길이방향 전방에 생기는 여백을 짧게 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 2 이송 부분(79)에 있어서 제 2 플래튼 롤러(203)가 제 2 인쇄 테이프(403)에 부여하는 힘을 제 2 이송력(Fc)이라 한다. 제 2 이송력(Fc)의 방향, 즉, 장치측 테이프 배출구(11)를 향하여 제 2 인쇄 테이프(403)가 이송될 때에, 제 2 이송 부분(79)에 있어서 제 2 인쇄 테이프(403)가 이송되는 방향을 제 2 이송방향이라 한다. 제 2 이송방향은 인쇄 헤드(55)가 제 2 플래튼 롤러(203)와의 사이에서 제 2 인쇄 테이프(403)를 사이에 두는 방향과 직교한다. 또한, 제 2 이송력(Fc)의 반력으로서, 리본 카트리지(201)에 작용하는 힘을 제 2 이송 반력(Fd)이라 한다. 제 2 인쇄 테이프(403)의 이송 속도가 가속될 때에는, 제 2 이송 반력(Fd)이 증가한다. 한편, 제 2 인쇄 테이프(403)의 이송 속도가 감속할 때에는, 제 2 인쇄 테이프(403)의 장력이 없어지기 때문에, 제 2 이송 반력(Fd)도 없어진다.
장착방향 바로앞측으로부터 보아, 제 2 회로 기판(327)이 기판 접속부(67)의 접촉 단자부(83)로부터 받는 힘의 방향, 즉 -X방향에 대해, 제 2 이송방향이 이루는 각도를 제 2 이송 각도(θc)라 한다. 또한, 장착방향 바로앞측으로부터 보아, 제 2 회로 기판(327)이 접촉 단자부(83)로부터 받는 힘의 방향에 대해, 제 2 이송 부분(79)에서의 제 2 테이프 경로(257)의 방향이 이루는 각도를, 제 2 경로 각도(θd)라 한다. 제 2 경로 각도(θd)는 제 2 이송 각도(θc)와 대략 동일하다.
제 2 이송 각도(θc) 및 제 2 경로 각도(θd)는 45°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며, 본 실시형태에서는, 25° 이상 30° 이하로 설계되어 있다. 제 2 이송 각도(θc) 및 제 2 경로 각도(θd)가 45° 미만인 것에 의해, 상기 제 2 이송 반력(Fd)의 벡터 성분 중, X방향의 벡터 성분(Fdx), 즉 제 2 회로 기판(327)을 접촉 단자부(83)로 가압하는 방향의 벡터 성분이, Y방향의 벡터 성분(Fdy), 즉 제 2 회로 기판(327)을 접촉 단자부(83)에 대해 위치를 어긋나게 하는 방향의 벡터 성분보다 커진다. 이에 의해, 제 2 회로 기판(327)이 접촉 단자부(83)에 대해 Y방향으로 위치를 어긋나게 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제 2 이송 각도(θc)는, 제 2 인쇄 테이프(403)의 제 2 플래튼 롤러(203)로의 진입 각도로 치환할 수도 있다. 제 2 경로 각도(θd)는, 제 2 테이프 경로(257)를 구성하는 리본측 경로 측벽부(263)와 테이프 보지 기구측 경로 측벽부(265) 중 어느 하나를 기준으로 하여도 좋다. 혹은, 제 2 테이프 경로(257)의 중심을 기준으로 하여도 좋다. 또한, 제 2 테이프 경로(257)는, 카트리지측 테이프 도입구(259)를 넓게 하고 있지만, 카트리지측 테이프 도입구(259)로부터 제 2 플래튼 롤러(203)까지 순차 경로가 좁아지도록 구성하여도 좋다.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리본 카트리지(201)가 카트리지 장착부(7)에 장착된 상태에 있어서, 테이프 인쇄 장치(1)가 인쇄 처리를 실행할 때, 제 2 인쇄 테이프(403)는, 장치측 테이프 도입구(9)로부터 제 2 테이프 경로(257)를 거쳐서, 장치측 테이프 배출구(11)로부터 배출된다. 즉, 제 2 인쇄 테이프(403)는 테이프 인쇄 장치(1)가 인쇄 처리를 실행할 때, 장착방향 바로앞측으로부터 보아, +X측으로부터 -X측으로 반송된다. 한편, 제 2 회로 기판(327), 나아가서는, 리본 카트리지(201)가 접촉 단자부(83)로부터 받는 힘의 방향은, 장착방향 바로앞측으로부터 보아 +X측으로부터 -X측을 향하는 방향이다. 환언하면, 제 2 인쇄 테이프(403)의 반송방향과, 리본 카트리지(201)가 접촉 단자부(83)로부터 받는 힘의 방향은 동일방향이 된다.
[기판 접속부]
도 11 내지 도 13에 근거하여, 기판 접속부(67)에 대해 설명한다. 기판 접속부(67)는 접속 기판(81)과, 복수의 접촉 단자부(83)와, 단자 커버(84)를 구비하고 있다. 복수의 접촉 단자부(83)는 Y방향으로 일렬로 나열되도록 배열되어 있다. 접촉 단자부(83)는 되접혀 대략 "U"자 형상으로 만곡된 형상을 갖는 금속제의 탄성 부재이며, 한쪽의 단부가 접속 기판(81)에 접속되며, 다른쪽의 단부에는, -Y측으로부터 보아 -X측이 예각이 된 대략 직각 삼각 형상으로 형성된 접촉 선단부(85)가 마련되어 있다. 접촉 단자부(83)는 외력을 받고 있지 않을 때에는, 단자 커버(84)에 마련된 슬릿 형상의 단자 개구(도시 생략)로부터 -X측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외력을 받는 것에 의해 +X방향으로 탄성 변위한다. 이 때문에, 접촉 단자부(83)는 그 탄성 변위에 따른 가압력에 의해, 제 1 회로 기판(165)이나 제 2 회로 기판(327)을 -X측으로 가압한다. 접촉 단자부(83)가 제 1 회로 기판(165)이나 제 2 회로 기판(327)을 가압하는 위치, 즉 접촉 선단부(85)의 위치는 장착방향에 있어서, 계합 볼록부(51)와 일부가 중첩되어 있어도 좋다.
접촉 단자부(83)는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테이프 카트리지(101)가 카트리지 장착부(7)에 장착된 상태에서는, 장착방향에 있어서, 제 1 회로 기판(165)이 마련된 제 1 안쪽 케이스(139)와 중첩되는 위치에 마련되어 있다. 또한, 접촉 단자부(83)는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리본 카트리지(201)가 카트리지 장착부(7)에 장착된 상태에서는, 장착방향에 있어서, 제 2 회로 기판(327)이 마련된 제 2 안쪽 케이스(237)와 중첩되는 위치에 마련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접촉 단자부(83)는 테이프 카트리지(101)가 카트리지 장착부(7)에 장착된 상태에서는, 제 1 회로 기판(165)에 마련된 제 1 전극부(169)(도 19 참조)와 접촉되며, 리본 카트리지(201)가 카트리지 장착부(7)에 장착된 상태에서는, 제 2 회로 기판(327)에 마련된 제 2 전극부(330)와 접촉된다. 이 때, 접촉 단자부(83)는 제 1 전극부(169) 또는 제 2 전극부(330)와 접촉되는 것에 의해, +X방향으로 탄성 변위한다. 도 12는 장착방향에 있어서, 접촉 단자부(83)가 제 1 회로 기판(165)과 중첩되는 위치에 배설되어 있는 것을 강조하는 도면으로 하고 있다. 따라서, 테이프 카트리지(101) 및 리본 카트리지(201)가 부품 비용이 비싼 기판 접속부(67)를 공용할 수 있어서, 테이프 인쇄 장치(1)의 비용 절감을 도모할 수 있다.
[제 2 회로 기판]
도 14 및 도 15에 근거하여, 제 2 회로 기판(327)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제 1 회로 기판(165)은 제 2 회로 기판(327)과 마찬가지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그 설명을 생략한다. 제 2 회로 기판(327)의 외면이 되는 +X측의 면, 즉 제 1 면(329)에는 제 2 전극부(330)가 마련되어 있다. 제 2 전극부(330)에는, 복수의 제 2 전극(331)이 포함된다. 복수의 제 2 전극(331)은 Y방향으로 일렬로 나열되도록 배열되어 있다. 이 때문에, 복수의 제 2 전극(331)이 복수열로 나누어져 배열된 구성과는 상이하게, 접촉 단자부(83)의 가압력이 복수열 사이에서 불균일한 일이 없기 때문에, 제 2 전극(331)과 접촉 단자부(83)의 전기적인 접촉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복수의 제 2 전극(331)에는 VCC 전극(331a)과, A2 전극(331b)과, GND 전극(331c)과, SCL 전극(331d)과, SDA 전극(331e)이 포함된다. VCC 전극(331a)은 전원 전압용의 전극이다. A2 전극(331b)은 슬레이브 주소 설정용의 전극이다. GND 전극(331c)은 기준 전압용의 전극이다. SCL 전극(331d)은 시리얼 클락 입력용의 전극이다. SDA 전극(331e)은 시리얼 데이터 입출력용의 전극이다. 복수의 제 2 전극(331)의 중앙에 배치된 GND 전극(331c)은, 다른 제 2 전극(331)에 비해, 장착방향 안쪽측으로 연신되어 있다. 이에 대해, 상기한 복수의 접촉 단자부(83)는, 장착방향에 있어서 동일한 위치에 나열되어 있다. 이 때문에, 리본 카트리지(201)가 카트리지 장착부(7)에 장착될 때에는, 복수의 제 2 전극(331) 중에서 GND 전극(331c)이 최초로 접촉 단자부(83)와 접촉된다. 또한, 리본 카트리지(201)가 카트리지 장착부(7)로부터 분리될 때에는, 복수의 제 2 전극(331) 중에서 GND 전극(331c)이 마지막에 접촉 단자부(83)로부터 이격된다. 이 때문에, 후술하는 제 2 전기 소자(335)의 동작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제 2 전극(331)의 개수나 그 나열 순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후술하는 제 2 전기 소자(335)의 사양이나, 제 2 회로 기판(327)의 설계 방법에 맞추어 변경 가능하다.
제 2 회로 기판(327)의 제 1 면(329)과는 반대측의 면인 제 2 면(333)에는, 제 2 전기 소자(335)가 실장되어 있다. 제 2 전기 소자(335)는 제 2 면(333)의 장착방향에 있어서, 중앙보다 장착방향 바로앞측에 실장되어 있다. 제 2 전기 소자(335)가 제 2 회로 기판(327)의 내면이 되는 제 2 면(333)에 실장되어 있는 것에 의해, 리본 카트리지(201)가 마루 등에 낙하한 경우에, 제 2 전기 소자(335)가 마루 등에 부딪치는 것이 억제되어, 기계 강도가 약한 제 2 전기 소자(335)가 파손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제 2 전기 소자(335)는 제 2 회로 기판(327)의 제 2 면(333)이 아닌, 제 1 면(329)에 실장되어도 좋으며, 예를 들면, 제 2 전극부(330)의 장착방향 바로앞측에 실장 가능하다. 또한, 제 2 전극부(330)와 전기적으로 접속된 제 2 전기 소자(335)가, 제 2 회로 기판(327)과는 별도로, 리본측 제 4 주벽부(223) 혹은 리본측 제 5 주벽부(225)에 마련되어도 좋다.
제 2 전기 소자(335)는 메모리 소자이며, 제 2 전기 소자(335)에는 예를 들면, 제 2 잉크 리본(205)의 폭, 제 2 조출 코어(206)에 권회되어 있는 제 2 잉크 리본(205)의 잔량 등의 정보가 기억된다. 제 2 전기 소자(335)의 실장 형태로서는, 예를 들면 IC 패키지나 IC 칩을 이용할 수 있다. IC 칩을 이용하는 경우, 제 2 회로 기판(327)에 실장한 IC 칩을 수지로 코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실장 높이를 낮게 할 수 있으며, 코팅 수지로 실장 부분이 고정되기 때문에, 내충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 2 기판 장착부]
도 16 및 도 17에 근거하여, 리본 카트리지(201)에 있어서 제 2 회로 기판(327)이 장착되는 제 2 기판 장착부(337)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테이프 카트리지(101)에 있어서 제 1 회로 기판(165)이 장착되는 제 1 기판 장착부(167)는 제 2 기판 장착부(337)와 마찬가지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그 설명을 생략한다. 제 2 기판 장착부(337)는 주벽 장착부(339)와, 돌출 장착부(341)를 구비하고 있다.
주벽 장착부(339)는 테이프 보지부 안쪽 주벽부(251) 중 리본측 제 5 주벽부(225)의 일부를 절결하도록 하여 형성되어 있다. 주벽 장착부(339)는 제 2 회로 기판(327)에 대해, -Y측에 위치하는 제 1 주벽 장착 벽부(343)와, +Y측에 위치하는 제 2 주벽 장착 벽부(345)와, +X측에 위치하는 제 3 주벽 장착 벽부(347) 및 제 4 주벽 장착 벽부(349)를 구비하고 있다.
제 1 주벽 장착 벽부(343)와 제 2 주벽 장착 벽부(345)의 간격은, 장착방향 안쪽측일수록 좁게 되어 있으며, 장착방향 안쪽측의 단부에서는, 제 2 회로 기판(327)의 폭, 즉 Y방향의 치수와 대략 동일하다. 이 때문에, 제 2 회로 기판(327)은 Y방향으로 위치결정된 상태에서, 제 2 기판 장착부(337)에 장착된다.
제 3 주벽 장착 벽부(347)는, 제 1 주벽 장착 벽부(343)의 +X측의 단부로부터 +Y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제 3 주벽 장착 벽부(347)의 -X측의 면은, 제 2 안쪽 벽부(247)에 수직인 면에 대해, 장착방향 안쪽측이 -X측이 되도록 경사진 제 3 주벽 경사면(351)으로 되어 있다. 제 4 주벽 장착 벽부(349)는, 제 2 주벽 장착 벽부(345)의 +X측의 단부로부터 -Y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제 4 주벽 장착 벽부(349)의 -X측의 면은 제 2 안쪽 벽부(247)에 수직인 면에 대해, 장착방향 안쪽측이 -X측이 되도록 경사진 제 4 주벽 경사면(353)으로 되어 있다.
돌출 장착부(341)는 주벽 장착부(339)의 -X측에 위치하며, 제 2 안쪽 벽부(247)로부터 장착방향 바로앞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돌출 장착부(341)는 장착방향 바로앞측으로부터 보아, Y방향으로 긴 대략 직사각형의 환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그 구멍 형상 부분이 상기 제 2 볼록부 수납부(297)로 된다. 돌출 장착부(341)는 제 2 볼록부 수납부(297)에 대해, -Y측에 위치하는 제 1 돌출 장착 벽부(355)와, +Y측에 위치하는 제 2 돌출 장착 벽부(357)와, +X측에 위치하는 제 3 돌출 장착 벽부(359)와, -X측에 위치하는 제 4 돌출 장착 벽부(361)를 구비하고 있다. 제 1 돌출 장착 벽부(355)의 장착방향 바로앞측으로의 돌출량과, 제 2 돌출 장착 벽부(357)의 장착방향 바로앞측으로의 돌출량은 대략 동일하다. 제 1 돌출 장착 벽부(355) 및 제 2 돌출 장착 벽부(357)는, 제 3 돌출 장착 벽부(359)에 비해, 장착방향 바로앞측으로의 돌출량이 크고, 제 3 돌출 장착 벽부(359)는 제 4 돌출 장착 벽부(361)에 비해, 장착방향 바로앞측으로의 돌출량이 크다.
제 1 돌출 장착 벽부(355)는 장착방향 바로앞측으로부터 보아, X방향으로 긴 대략 직사각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 1 돌출 장착 벽부(355)의 +Y측의 면에는, 제 3 돌출 장착 벽부(359)의 -Y측의 단부에 연결되는 제 1 단차부(363)가 마련되어 있다. 제 1 돌출 장착 벽부(355)의 +X측의 면은, 제 2 안쪽 벽부(247)에 수직인 면에 대해, 장착방향 안쪽측이 -X측이 되도록 경사진 제 1 돌출 경사면(365)으로 되어 있다. 제 2 돌출 장착 벽부(357)는 장착방향 바로앞측으로부터 보아, X방향으로 긴 대략 직사각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 2 돌출 장착 벽부(357)의 -Y측의 면에는, 제 3 돌출 장착 벽부(359)의 +Y측의 단부에 연결되는 제 2 단차부(367)가 마련되어 있다. 제 2 돌출 장착 벽부(357)의 +X측의 면은, 제 2 안쪽 벽부(247)에 수직인 면에 대해, 장착방향 안쪽측이 -X측이 되도록 경사진 제 2 돌출 경사면(369)으로 되어 있다.
제 3 돌출 장착 벽부(359)는 장착방향 바로앞측으로부터 보아, Y방향으로 긴 대략 직사각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 3 돌출 장착 벽부(359)는, 제 1 돌출 장착 벽부(355)의 +X측의 단부와 제 2 돌출 장착 벽부(357)의 +X측의 단부 사이에 마련되어 있다. 제 3 돌출 장착 벽부(359)의 +X측의 면은, 제 2 안쪽 벽부(247)에 수직인 면에 대해, 장착방향 안쪽측이 -X측이 되도록 경사진 제 3 돌출 경사면(371)으로 되어 있다. 제 4 돌출 장착 벽부(361)는, 장착방향 바로앞측으로부터 보아, Y방향으로 긴 대략 직사각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 4 돌출 장착 벽부(361)는 제 1 돌출 장착 벽부(355)의 -X측의 단부와 제 2 돌출 장착 벽부(357)의 -X측의 단부 사이에 마련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 2 전기 소자(335)는 제 3 돌출 장착 벽부(359)와 간섭하지 않는 위치에 마련되어 있다(도 13 참조). 이 때문에, 제 2 전기 소자(335)가 마련된 제 2 회로 기판(327)의 제 2 면(333)을 제 3 돌출 장착 벽부(359)에 접촉시킬 수 있다. 또한, 제 2 전기 소자(335)는 접촉 단자부(83)에 의해 가압되는 위치보다, 장착방향 바로앞측에 위치하고 있다. 이 때문에, 접촉 단자부(83)의 가압력이 제 2 전기 소자(335)에 직접 작용하는 것이 억제되어, 제 2 전기 소자(335)에 동작 불량이나 전기적 접촉 불량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제 2 기판 장착부(337)에 대해, 제 2 회로 기판(327)은 테이프 보지부 바로앞측 케이스(235)와 제 2 안쪽 케이스(237)가 조립되기 전에, 주벽 장착부(339)와 돌출 장착부(341) 사이에, 장착방향 바로앞측으로부터 삽입된다. 그 후, 테이프 보지부 바로앞측 케이스(235)와 제 2 안쪽 케이스(237)가 조립되면, 테이프 보지부 바로앞측 주벽부(245)로부터 장착방향 안쪽측으로 돌출된 빠짐방지부(375)(도 7 참조)에 의해, 제 2 회로 기판(327)이 장착방향 바로앞측으로 빠짐방지된 상태가 된다.
여기에서, 제 1 돌출 경사면(365) 및 제 2 돌출 경사면(369)은 제 3 돌출 경사면(371)에 비해, 더 +X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제 2 회로 기판(327)은 제 3 주벽 경사면(351) 및 제 4 주벽 경사면(353)과, 제 1 돌출 경사면(365) 및 제 2 돌출 경사면(369) 사이에 압입되도록 하여 삽입된다. 이에 의해, 제 2 회로 기판(327)의 제 1 면(329)의 Y방향 양 연부(緣部)는 제 3 주벽 경사면(351) 및 제 4 주벽 경사면(353)과 접촉된다. 환언하면, 제 2 회로 기판(327)은, 제 1 면(329)의 Y방향 양 연부가 제 3 주벽 경사면(351) 및 제 4 주벽 경사면(353)과 접촉되도록 X방향으로 위치결정된 상태에서, 제 2 기판 장착부(337)에 장착된다. 이에 의해, 복수의 리본 카트리지(201) 사이에 있어서의, 기판 접속부(67)의 접속 기판(81)과 제 2 회로 기판(327)의 제 1 면(329) 사이의 거리의 편차를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제 3 주벽 경사면(351), 제 4 주벽 경사면(353), 제 1 돌출 경사면(365), 제 2 돌출 경사면(369) 및 제 3 돌출 경사면(371)은 제 2 안쪽 벽부(247)에 수직인 면에 대해, 장착방향 안쪽측이 -X측이 되도록 경사져 있다. 이 때문에, 제 2 회로 기판(327)은 제 1 면(329)이 제 2 안쪽 벽부(247)에 수직인 면에 대해, 장착방향 안쪽측이 -X측이 되도록 경사진 자세로, 제 2 기판 장착부(337)에 장착된다. 이에 의해, 리본 카트리지(201)가 카트리지 장착부(7)로부터 분리될 때에, 접촉 단자부(83)가 제 2 회로 기판(327)의 제 1 면(329)에 걸리는 것이 억제되어, 접촉 단자부(83)가 파손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제 2 회로 기판(327)의 경사 각도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4°이다.
또한, 제 2 기판 장착부(337)는 제 2 안쪽 케이스(237)에 마련되어 있다. 즉, 제 2 기판 장착부(337)에 장착된 제 2 회로 기판(327)의 제 2 전극부(330)는 리본측 제 5 주벽부(225) 중, 장착방향 안쪽측에 가까운 위치에 마련되어 있다. 리본 카트리지(201)는 장착 바닥면(37)에 외팔보 지지된 플래튼 축(39)이나 헤드부(49) 등에 의해 위치결정되어 있기 때문에, 장착방향 안쪽측일수록 덜컥거림이 적다. 이 때문에, 제 2 전극부(330)가 장착방향 안쪽측에 가까운 위치에 마련되는 것에 의해, 접촉 단자부(83)에 대한 제 2 전극부(330)의 위치 편차량을 저감할 수 있다.
[제 2 볼록부 수납부]
도 13, 도 16 및 도 17에 근거하여, 제 2 볼록부 수납부(297)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제 1 볼록부 수납부(159)는 제 2 볼록부 수납부(297)와 마찬가지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그 설명을 생략한다. 제 2 볼록부 수납부(297)는 장착방향 바로앞측으로부터 보아, 계합 볼록부(51)의 형상에 대응하는 개구 형상, 즉 Y방향으로 긴 대략 직사각 형상을 갖고 있다. 이 때문에, 계합 볼록부(51)에 대해 제 2 볼록부 수납부(297)가 위치결정된 상태에서, 리본 카트리지(201)가 카트리지 장착부(7)에 장착된다. 또한, 장착방향 바로앞측으로부터 본 제 2 볼록부 수납부(297)의 형상은, 대략 직사각형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계합 볼록부(51)를 수납 가능한 형상이면 좋다. 제 2 볼록부 수납부(297)의 장착방향 안쪽측의 주연부에는 수납 면취부(373)(도 8 참조)가 형성되어 있다. 이 수납 면취부(373)에 의해, 리본 카트리지(201)가 카트리지 장착부(7)에 장착될 때에, 계합 볼록부(51)가 제 2 볼록부 수납부(297)에 원활하게 삽입된다.
제 1 돌출 장착 벽부(355)와 제 2 돌출 장착 벽부(357)의 간격은, 계합 볼록부(51)를 수납 가능한 정도로, 계합 볼록부(51)의 Y방향의 치수와 대략 동일하다. 이 때문에, 계합 볼록부(51)에 대해 제 2 볼록부 수납부(297)가 Y방향으로 위치결정된 상태에서, 계합 볼록부(51)가 제 2 볼록부 수납부(297)에 수납된다. 한편, 제 3 돌출 장착 벽부(359)와 제 4 돌출 장착 벽부(361)의 간격은, 계합 볼록부(51)의 X방향의 치수보다 크다. 계합 볼록부(51)가 제 2 볼록부 수납부(297)에 수납된 상태에서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 3 돌출 장착 벽부(359)가 접촉 단자부(83)의 가압력에 의해 -X측으로 가압되는 것에 의해, 계합 볼록부(51)와 접촉된다. 이에 의해, 계합 볼록부(51)에 대해 제 3 돌출 장착 벽부(359)가 X방향으로 위치결정된다.
리본 카트리지(201)가 카트리지 장착부(7)에 장착되는 도중에는, 리본 카트리지(201)의 장착방향 안쪽측으로의 이동에 따라서, 제 2 회로 기판(327)의 제 1 면(329)이 카트리지 장착부(7)에 마련된 기판 접속부(67)의 접촉 단자부(83)와 서로 맞스치면서, 접촉 단자부(83)를 그 가압력에 저항하여 +X측으로 변위시킨다.
그리고, 리본 카트리지(201)가 장착 바닥면(37)에 부딪쳐, 리본 카트리지(201)가 카트리지 장착부(7)에 장착되면, 제 2 회로 기판(327)의 제 2 전극부(330)가 접촉 단자부(83)와 접촉되며, 제 2 회로 기판(327)이 접촉 단자부(83)의 가압력에 의해 -X측으로 가압된 상태가 된다. 또한, 이 때, 계합 볼록부(51)가, 제 2 볼록부 수납부(297)에 수납된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는, 제 2 회로 기판(327)이 접촉 단자부(83)의 가압력에 의해 -X측, 즉 제 3 돌출 장착 벽부(359) 측에 가압되고, 제 3 돌출 장착 벽부(359)와 접촉된다. 또한, 제 3 돌출 장착 벽부(359)가 접촉 단자부(83)의 가압력에 의해, 제 2 회로 기판(327)을 거쳐서 -X측, 즉 계합 볼록부(51)측에 가압되고, 계합 볼록부(51)와 접촉된다. 이에 의해, 접촉 단자부(83)의 가압력이, 제 2 회로 기판(327) 및 제 3 돌출 장착 벽부(359)를 거쳐서, 계합 볼록부(51)에 의해 받아들여진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접촉 단자부(83)가 제 2 회로 기판(327)을 가압하는 위치는, 장착방향에 있어서, 계합 볼록부(51)와 중첩되어 있기 때문에, 계합 볼록부(51)가 접촉 단자부(83)의 가압력을 효과적으로 받아들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제 2 볼록부 수납부(297)가 계합 볼록부(51)를 수납하는 것에 의해, 계합 볼록부(51)가 접촉 단자부(83)의 가압력에 대한 받이부로서 기능한다. 이에 의해, 접촉 단자부(83)의 가압력을 받은 제 2 회로 기판(327)이 휨 변형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접촉 단자부(83)의 가압력이 계합 볼록부(51)에 의해 받아들여지는 것에 의해, 제 2 카트리지 케이스(211)가 접촉 단자부(83)의 가압력을 받아 회전하는 것이 억제되어, 제 2 카트리지 케이스(211)가 장착 바닥면(37)에 대해 경사지는 것이 억제된다. 이에 의해, 제 2 카트리지 케이스(211)에 수용된 제 2 조출 코어(206) 및 제 2 권취 코어(207)가, 제 2 조출 축(45) 및 제 2 권취 축(47)에 대해 경사지는 것이 억제된다. 따라서, 제 2 잉크 리본(205)이 제 2 조출 코어(206)로부터 제 2 권취 코어(207)로 이송될 때에, 제 2 잉크 리본(205)에 주름이 생기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 2 잉크 리본(205)이 제 2 권취 코어(207)로부터 제 2 조출 코어(206)에 되감길 때에, 제 2 잉크 리본(205)에 주름이 생기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접촉 단자부(83)에 의해 -X측으로 가압된 제 3 돌출 장착 벽부(359)가 계합 볼록부(51)와 접촉되는 것에 의해, 계합 볼록부(51)에 대해 제 3 돌출 장착 벽부(359)가 X방향으로 위치결정되며, 이에 의해, 제 2 회로 기판(327)이 접촉 단자부(83)에 대해 X방향으로 위치결정된다. 이 때문에, 복수의 리본 카트리지(201) 사이에 있어서의, 기판 접속부(67)의 접속 기판(81)과 제 2 회로 기판(327)의 제 1 면(329) 사이의 거리의 편차를 저감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접촉 단자부(83)의 변위량을 줄일 수 있기 때문에, 접촉 단자부(83)가 제 2 회로 기판(327)을 가압하는 힘을 저감할 수 있으며, 또한, 리본 카트리지(201)의 착탈 조작에 대한 접촉 단자부(83)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테이프 카트리지]
도 18 내지 도 20에 근거하여, 테이프 카트리지(101)에 대해 설명한다. 테이프 카트리지(101)는 테이프 코어(107)와, 제 1 플래튼 롤러(109)와, 제 1 조출 코어(111)와, 제 1 권취 코어(113)와, 이들을 회전 가능하게 수용한 제 1 카트리지 케이스(115)를 구비하고 있다. 테이프 코어(107), 제 1 플래튼 롤러(109), 제 1 조출 코어(111) 및 제 1 권취 코어(113)는 장착방향 바로앞측으로부터 보아, 각각, 카트리지 장착부(7)에 마련된 삽입 볼록부(53), 플래튼 축(39), 제 1 조출 축(41) 및 제 1 권취 축(43)에 대응한 위치에 마련되어 있다. 제 1 플래튼 롤러(109)에는 장착방향으로 관통된 제 1 플래튼 축 삽통 구멍(117)이 마련되어 있다.
테이프 코어(107)에는, 제 1 인쇄 테이프(103)가 권회되어 있다. 테이프 코어(107)로부터 조출된 제 1 인쇄 테이프(103)는 후술하는 테이프측 제 1 주벽부(123)에 마련된 테이프 송출구(119)로부터, 제 1 카트리지 케이스(115) 외부로 송출된다. 또한, 테이프 송출구(119)는 테이프 배출구의 일 예이다. 제 1 카트리지 케이스(115) 내에는, 테이프 코어(107)로부터 테이프 송출구(119)에 도달하는 제 1 테이프 경로(121)가 마련되어 있다. 제 1 조출 코어(111)에는, 제 1 잉크 리본(105)이 권회되어 있다. 제 1 조출 코어(111)로부터 조출된 제 1 잉크 리본(105)은 제 1 권취 코어(113)에 권취된다. 또한, 제 1 카트리지 케이스(115)에는, 수용한 제 1 인쇄 테이프(103) 및 제 1 잉크 리본(105)의 폭에 따라서, 두께, 즉 장착방향의 치수가 상이한 복수종의 것이 있다.
제 1 카트리지 케이스(115)는 장착방향 바로앞측으로부터 보아, 직사각형에 있어서의 장변의 양 단부가, 동일방향, 또한 직각으로 굽힌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제 1 카트리지 케이스(115)의 주벽부 중, -X측의 주벽부를 테이프측 제 1 주벽부(123)라 한다. 테이프측 제 1 주벽부(123)의 -Y측의 단부로부터 +X측으로 연장되는 주벽부를 테이프측 제 2 주벽부(125)라 한다. 테이프측 제 2 주벽부(125)의 +X측의 단부로부터 +Y측으로 연장되는 주벽부를 -Y측으로부터 순서대로, 테이프측 제 3 주벽부(127), 테이프측 제 4 주벽부(129) 및 테이프측 제 5 주벽부(131)라 한다. 테이프측 제 4 주벽부(129)는, 테이프측 제 3 주벽부(127) 및 테이프측 제 5 주벽부(131)에 대해 오목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테이프측 제 5 주벽부(131)의 +Y측의 단부로부터 -X측으로 연장되는 주벽부를, 테이프측 제 6 주벽부(133)라 한다. 테이프측 제 6 주벽부(133)의 -X측의 단부는, 테이프측 제 1 주벽부(123)의 +Y측의 단부와 연결되어 있다.
제 1 카트리지 케이스(115)에는, 제 1 헤드 삽통 구멍(135)이 장착방향으로 관통되어 마련되어 있다. 제 1 헤드 삽통 구멍(135)은, 장착방향 바로앞측으로부터 보아, 테이프측 제 1 주벽부(123)와 테이프측 제 2 주벽부(125)가 만나는 모서리부에 위치하고 있다. 제 1 헤드 삽통 구멍(135)은 장착방향 바로앞측으로부터 보아, 헤드 커버(56)에 대응한 형상, 즉 대략 직사각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 1 헤드 삽통 구멍(135) 및 상기 제 1 플래튼 축 삽통 구멍(117)은, 테이프 카트리지(101)가 카트리지 장착부(7)에 착탈될 때에, 테이프 카트리지(101)를 위치결정하고, 테이프 카트리지(101)의 착탈을 가이드한다.
제 1 카트리지 케이스(115)는 제 1 바로앞측 케이스(137)와, 제 1 안쪽 케이스(139)를 구비하고 있다. 테이프 카트리지(101)가 카트리지 장착부(7)에 장착될 때에는, 제 1 바로앞측 케이스(137)가 장착방향 바로앞측이 되고, 제 1 안쪽 케이스(139)가 장착방향 안쪽측이 된다. 제 1 바로앞측 케이스(137)는 투광성을 갖는 수지 성형품이며, 제 1 안쪽 케이스(139)는 투광성을 갖지 않는 수지 성형품이지만, 제 1 바로앞측 케이스(137) 및 제 1 안쪽 케이스(139)의 재질이나 제법은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 1 바로앞측 케이스(137)는 제 1 바로앞 벽부(141)와, 제 1 바로앞 벽부(141)의 주연부로부터 장착방향 안쪽측으로 돌출된 제 1 바로앞측 주벽부(143)를 구비하고 있다. 제 1 안쪽 케이스(139)는 제 1 안쪽 벽부(145)와, 제 1 안쪽 벽부(145)의 주연부로부터 장착방향 바로앞측으로 돌출된 제 1 안쪽 주벽부(147)를 구비하고 있다. 제 1 바로앞측 케이스(137)와 제 1 안쪽 케이스(139)는 제 1 바로앞측 주벽부(143)와 제 1 안쪽 주벽부(147)를 맞대도록 하여 조립된다.
제 1 바로앞 벽부(141)에는, 테이프측 제 2 주벽부(125)와 테이프측 제 3 주벽부(127)가 만나는 모서리부에 위치하는, 탄성부(149)가 마련되어 있다. 탄성부(149)는 장착방향 바로앞측으로부터 보아, 제 1 바로앞 벽부(141)를 "U"자 형상으로 제거한 대략 직사각형 부분으로 하여 형성되어 있다. 테이프 카트리지(101)가 카트리지 장착부(7)에 장착된 상태에서, 장착부 커버(5)가 닫히면, 장착부 커버(5)에 마련된 제 2 가압 돌기(20)가 탄성부(149)에 부딪쳐, 탄성부(149)가 장착방향 안쪽측으로 변위한다. 탄성부(149)의 탄성 변위에 따른 가압력은 제 2 가압 돌기(20)에 받아지고, 그 결과, 테이프 카트리지(101)가 장착방향 안쪽측으로 가압된다. 이에 의해, 테이프 카트리지(101)가 장착 바닥면(37)으로부터 부상한 상태로 장착되는 것이 억제된다.
제 1 안쪽 벽부(145)에는 제 1 헤드 주연 볼록부(151)가, 제 1 헤드 삽통 구멍(135)의 주연부로부터 장착방향 바로앞측을 향하여 돌출되어 마련되어 있다. 제 1 헤드 주연 볼록부(151)는 +Y측, 즉 제 1 플래튼 롤러(109)측의 일부가 절결되어 있으며, 그 절결된 개소가, 제 1 잉크 리본(105)이 노출되는 제 1 리본 노출부(153)로 되어 있다. 단, 제 1 리본 노출부(153)를 도시한 도 19에서는, 제 1 잉크 리본(105)이 도시 생략되어 있다. 테이프 카트리지(101)가 카트리지 장착부(7)에 장착된 상태에서는, 제 1 헤드 삽통 구멍(135)에 삽통된 인쇄 헤드(55)가, 제 1 잉크 리본(105) 및 제 1 인쇄 테이프(103)를 사이에 두고 제 1 플래튼 롤러(109)와 대향한다.
제 1 안쪽 벽부(145)에는, 제 1 통형상 축부(155)가 장착방향 바로앞측으로 돌출되어 마련되어 있다. 제 1 통형상 축부(155)는 대략 단(段)을 갖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테이프 코어(107)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있다. 테이프 카트리지(101)가 카트리지 장착부(7)에 장착된 상태에서는, 테이프 카트리지(101)에 마련된 제 1 통형상 축부(155)에, 카트리지 장착부(7)에 마련된 삽입 볼록부(53)가 삽입된다.
또한, 제 1 안쪽 벽부(145)의 장착방향 안쪽측의 면에는, 복수의 제 1 위치결정 구멍(157)이 대각선 상에 마련되어 있다. 테이프 카트리지(101)가 카트리지 장착부(7)에 장착된 상태에서는, 테이프 카트리지(101)에 마련된 제 1 위치결정 구멍(157)이 카트리지 장착부(7)에 마련된 위치결정 핀(65)과 계합된다. 이에 의해, 테이프 카트리지(101)가 카트리지 장착부(7)에 대해 위치결정된다.
또한, 제 1 안쪽 벽부(145)에는 테이프측 제 5 주벽부(131)와 테이프측 제 6 주벽부(133)가 만나는 모서리부에 위치하며, 제 1 볼록부 수납부(159)가 마련되어 있다. 테이프 카트리지(101)가 카트리지 장착부(7)에 장착된 상태에서는, 테이프 카트리지(101)에 마련된 제 1 볼록부 수납부(159)가, 카트리지 장착부(7)에 마련된 계합 볼록부(51)를 수납한다.
제 1 안쪽 주벽부(147) 중, 테이프측 제 1 주벽부(123)에는, 테이프측 제 1 후크 계합부(161)가 마련되며, 테이프측 제 4 주벽부(129)에는, 테이프측 제 2 후크 계합부(163)가 마련되어 있다. 테이프 카트리지(101)가 카트리지 장착부(7)에 장착된 상태에서는, 테이프 카트리지(101)에 마련된 테이프측 제 1 후크 계합부(161) 및 테이프측 제 2 후크 계합부(163)가, 각각, 카트리지 장착부(7)에 마련된 제 1 후크(57) 및 제 2 후크(59)와 계합된다. 이에 의해, 테이프 카트리지(101)가 장착 바닥면(37)으로부터 부상한 상태로 장착되는 것이 억제된다. 또한, 제 1 안쪽 주벽부(147) 중, 테이프측 제 5 주벽부(131)에는, 제 1 회로 기판(165)이 장착되어 있다. 즉, 제 1 회로 기판(165)은 테이프 송출구(119)가 마련된 테이프측 제 1 주벽부(123)와 대략 평행하게 마련된 테이프측 제 5 주벽부(131)에 장착되어 있다. 테이프측 제 5 주벽부(131)에는, 제 1 회로 기판(165)이 장착되는 제 1 기판 장착부(167)가 마련되어 있다.
테이프측 제 1 주벽부(123)로부터는, 제 1 파지부(173)가 -X측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테이프측 제 4 주벽부(129)로부터는, 제 2 파지부(175)가 돌출되어 있다. 제 1 파지부(173) 및 제 2 파지부(175)는 장착방향 바로앞측으로부터 보아, 제 1 카트리지 케이스(115) 전체에 있어서, Y방향의 대략 중간부에 마련되어 있다. 제 1 파지부(173) 및 제 2 파지부(175)는, 사용자가 테이프 카트리지(101)를 파지할 때에 손잡이가 된다. 여기에서, 제 1 파지부(173)의 장착방향 바로앞측의 면을 제 6 가압부(177)라 한다. 리본 카트리지(201)가 카트리지 장착부(7)에 장착된 상태에서, 장착부 커버(5)가 닫히면, 장착부 커버(5)에 마련된 제 6 가압 돌기(24)(도 2 참조)가 제 6 가압부(177)에 부딪친다. 이에 의해, 제 6 가압부(177)가 제 6 가압 돌기(24)에 의해 장착방향 안쪽측으로 가압된다.
[테이프 카트리지 장착시의 인쇄 처리]
도 21에 근거하여, 테이프 카트리지(101)가 카트리지 장착부(7)에 장착된 상태에서, 테이프 인쇄 장치(1)가 실행하는 인쇄 처리에 대해 설명한다. 테이프 카트리지(101)가 카트리지 장착부(7)에 장착된 상태에서는, 테이프 카트리지(101)에 마련된 제 1 플래튼 롤러(109)의 제 1 플래튼 축 삽통 구멍(117), 제 1 조출 코어(111) 및 제 1 권취 코어(113)에 각각, 카트리지 장착부(7)에 마련된 플래튼 축(39), 제 1 조출 축(41) 및 제 1 권취 축(43)이 삽통된다. 이에 의해, 테이프 인쇄 장치(1)에 마련된 이송 모터(도시 생략)의 구동력이, 제 1 플래튼 롤러(109), 제 1 조출 코어(111) 및 제 1 권취 코어(113)에 전달 가능하게 된다.
또한, 테이프 카트리지(101)가 카트리지 장착부(7)에 장착된 상태에서는, 테이프 카트리지(101)에 마련된 제 1 헤드 삽통 구멍(135)에, 카트리지 장착부(7)에 마련된 헤드부(49)가 삽통된다. 테이프 카트리지(101)가 카트리지 장착부(7)에 장착된 후, 장착부 커버(5)가 닫히면, 헤드 이동 기구(도시 생략)에 의해, 인쇄 헤드(55)가 플래튼 축(39)을 향하여 이동한다. 이에 의해, 인쇄 헤드(55)와 제 1 플래튼 롤러(109) 사이에, 제 1 인쇄 테이프(103) 및 제 1 잉크 리본(105)이 협지된다. 또한, 제 1 플래튼 롤러(109)가 인쇄 헤드(55)와의 사이에서 제 1 인쇄 테이프(103) 및 제 1 잉크 리본(105)을 협지한 부분을 제 1 이송 부분(77)이라 한다.
이 상태에서, 이송 모터가 정방향으로 회전하면, 제 1 플래튼 롤러(109)가 정방향으로 회전하는 동시에, 제 1 권취 코어(113)가 권취방향으로 회전한다. 이에 의해, 테이프 코어(107)로부터 조출된 제 1 인쇄 테이프(103)가, 테이프 송출구(119)를 지나 장치측 테이프 배출구(11)를 향하여 이송되는 동시에, 제 1 조출 코어(111)로부터 조출된 제 1 잉크 리본(105)이 제 1 권취 코어(113)에 권취된다.
또한, 이송 모터가 정방향과는 역의 되감기 방향으로 회전하면, 제 1 플래튼 롤러(109)가 정방향과는 역의 되감기 방향으로 회전하는 동시에, 제 1 조출 코어(111)가 되감기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에 의해, 테이프 송출구(119)로부터 배출된 제 1 인쇄 테이프(103)가 제 1 카트리지 케이스 내로 되돌려지는 동시에, 제 1 조출 코어(111)로부터 조출된 제 1 잉크 리본(105)이 제 1 조출 코어(111)에 되감긴다. 이와 같이, 제 1 조출 코어(111)에 삽통되는 제 1 조출 축(41)과, 제 1 권취 코어(113)에 삽통되는 제 1 권취 축(43)은, 제 1 잉크 리본(105)을 이송하는 제 1 잉크 리본 반송 기구를 구성하고 있다.
테이프 인쇄 장치(1)는 이송 모터를 정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동시에, 인쇄 헤드(55)를 발열시키는 것에 의해, 제 1 인쇄 테이프(103) 및 제 1 잉크 리본(105)을 이송하면서, 키보드 등으로부터 입력된 인쇄 정보를 제 1 인쇄 테이프(103)에 인쇄한다. 인쇄 종료 후, 테이프 인쇄 장치(1)는 커터(17)를 절단 동작시켜, 제 1 인쇄 테이프(103)의 인쇄가 종료된 부분을 떼어낸다. 그 후, 테이프 인쇄 장치(1)는, 이송 모터를 되감기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제 1 인쇄 테이프(103)의 선단이, 인쇄 헤드(55)와 제 1 플래튼 롤러(109)의 협지 위치의 근방, 즉, 인쇄 위치의 근방에 올 때까지, 제 1 인쇄 테이프(103)를 되돌린다. 이에 의해, 인쇄 헤드(55)와 커터(17)가 이격되어 있는 것에 기인하여, 다음에 인쇄되는 제 1 인쇄 테이프(103)의 길이방향 전방에 생기는 여백을 짧게 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 1 이송 부분(77)에 있어서 제 1 플래튼 롤러(109)가 제 1 인쇄 테이프(103)에 부여하는 힘을 제 1 이송력(Fa)이라 한다. 제 1 이송력(Fa)의 방향, 즉, 장치측 테이프 배출구(11)를 향하여 제 1 인쇄 테이프(103)가 이송될 때에, 제 1 이송 부분(77)에 있어서, 제 1 인쇄 테이프(103)가 이송되는 방향을 제 1 이송방향이라 한다. 제 1 이송방향은 인쇄 헤드(55)가 제 1 플래튼 롤러(109)와의 사이에서 제 1 인쇄 테이프(103)를 사이에 두는 방향과 직교한다. 또한, 제 1 이송력(Fa)의 반력으로서, 테이프 카트리지(101)에 작용하는 힘을 제 1 이송 반력(Fb)이라 한다. 제 1 인쇄 테이프(103)의 이송 속도가 가속될 때에는, 제 1 이송 반력(Fb)이 증가한다. 한편, 제 1 인쇄 테이프(103)의 이송 속도가 감속할 때에는, 제 1 인쇄 테이프(103)의 장력이 없어지기 때문에, 제 1 이송 반력(Fb)도 없어진다.
장착방향 바로앞측으로부터 보아, 제 1 회로 기판(165)이 기판 접속부(67)의 접촉 단자부(83)(도 11 참조)로부터 받는 힘의 방향, 즉 -X방향에 대해, 제 1 이송방향이 이루는 각도를 제 1 이송 각도(θa)라 한다. 또한, 장착방향 바로앞측으로부터 보아, 제 1 회로 기판(165)이 접촉 단자부(83)로부터 받는 힘의 방향에 대해, 제 1 이송 부분(77)에서의 제 1 테이프 경로(121)의 방향이 이루는 각도를, 제 1 경로 각도(θb)라 한다. 제 1 경로 각도(θb)는 제 1 이송 각도(θa)와 대략 동일하다.
제 1 이송 각도(θa) 및 제 1 경로 각도(θb)는, 45°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 1 이송 각도(θa) 및 제 1 경로 각도(θb)가 45° 미만인 것에 의해, 상기 제 1 이송 반력(Fb)의 벡터 성분 중, X방향의 벡터 성분(Fbx), 즉 제 1 회로 기판(165)을 접촉 단자부(83)로 가압하는 방향의 벡터 성분이, Y방향의 벡터 성분(Fby), 즉 제 1 회로 기판(165)을 접촉 단자부(83)에 대해 위치를 어긋나게 하는 방향의 벡터 성분보다 커진다. 이에 의해, 제 1 회로 기판(165)이 접촉 단자부(83)에 대해 Y방향으로 위치가 어긋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제 1 이송 각도(θa)는 제 1 인쇄 테이프(103)의 제 1 플래튼 롤러(109)로의 진입 각도로 치환할 수도 있다. 진입 각도는 제 1 인쇄 테이프(103)의 미사용의 단계에서는, 테이프 코어(107)에 권회되는 제 1 인쇄 테이프(103)는 대경이다. 제 1 인쇄 테이프(103)의 사용에 따라서, 테이프 코어(107)에 권회되는 제 1 인쇄 테이프(103)는 소경으로 변화한다. 그 때문에, 진입 각도는 제 1 인쇄 테이프(103)의 사용에 의해, 각도가 커지도록 변화한다. 진입 각도는 변화하여도 45° 미만으로 설정되어 있다. 그러나, 테이프 코어(107)를 소경으로 한 경우, 제 1 인쇄 테이프(103)의 마지막 쪽에서는, 45°를 초과하는 경우가 있지만, 그것까지는, 45° 미만이므로, 본 발명을 포함하는 것이다.
[그 외의 변형예]
테이프 인쇄 장치(1), 테이프 카트리지(101) 및 리본 카트리지(201)는 상기 실시형태로 한정되지 않으며, 그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의 구성을 채용 가능한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예를 들면, 상기 실시형태는 상술한 것 외에, 이하와 같은 형태로 변경할 수 있다.
테이프 카트리지(101)는 제 1 회로 기판(165)을 구비하고 있지 않은 구성이어도 좋다. 마찬가지로, 리본 카트리지(201)는 제 2 회로 기판(327)을 구비하고 있지 않은 구성이어도 좋다.
리본 카트리지(201)는 잉크 리본 수용부(253)와 테이프 보지 기구 수용부(255)가 일체로 형성된 구성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잉크 리본 수용부(253)와 테이프 보지 기구 수용부(255)로 분리 가능한 구성이어도 좋다. 또한, 도 2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카트리지 장착부(7)에 대해, 리본 카트리지(201)를 대신하여, 잉크 리본 수용 카트리지(501)와 테이프 가이드 카트리지(503)가 장착되는 구성이어도 좋다. 잉크 리본 수용 카트리지(501)는 리본 카트리지(201)의 잉크 리본 수용부(253)와 대략 마찬가지로 구성되어 있으며, 테이프 가이드 카트리지(503)는 리본 카트리지(201)의 테이프 보지 기구 수용부(255)와 대략 마찬가지로 구성되어 있다.
도 22 내지 도 2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테이프 가이드 카트리지(503)는 제 3 플래튼 롤러(505)와, 테이프 협지부(507)와, 제 3 카트리지 케이스(509)를 구비하고 있다. 제 3 플래튼 롤러(505)는 제 2 플래튼 롤러(203)와 마찬가지로, 인쇄 헤드(55)와의 사이에 제 2 인쇄 테이프(403)를 협지하고, 제 2 인쇄 테이프(403)를 이송한다. 테이프 협지부(507)는 제 3 카트리지 케이스(509)의 주벽부와의 사이에 제 2 인쇄 테이프(403)를 협지한다. 테이프 가이드 카트리지(503)는 테이프 협지부(507)에 의해 제 2 인쇄 테이프(403)를 보지한 상태에서, 카트리지 장착부(7)에 장착된다.
제 3 카트리지 케이스(509)에는 테이프 가이드(511)와, 제 3 기판 장착부(513)와, 제 3 볼록부 수납부(515)와, 제 4 주벽 오목부(517)가 마련되어 있다. 테이프 가이드(511)는 장치측 테이프 도입구(9)로부터 도입된 제 2 인쇄 테이프(403)를 가이드한다. 테이프 가이드(511)와 제 3 카트리지 케이스(509)의 주벽부 사이는, 제 2 인쇄 테이프(403)가 이송되는 제 3 테이프 경로(512)로 되어 있다. 제 3 기판 장착부(513)는 제 1 기판 장착부(167)나 제 2 기판 장착부(337)와 마찬가지로 구성되어 있으며, 제 3 기판 장착부(513)에는, 제 1 회로 기판(165)이나 제 2 회로 기판(327)과 마찬가지로 구성된 제 3 회로 기판(519)이 장착되어 있다. 테이프 가이드 카트리지(503)가 카트리지 장착부(7)에 장착되면, 접촉 단자부(83)가 제 3 회로 기판(519)의 제 3 전극부(521)에 접촉된다. 제 3 볼록부 수납부(515)는 제 1 볼록부 수납부(159)나 제 2 볼록부 수납부(297)와 마찬가지로, 계합 볼록부(51)를 수납한다. 제 4 주벽 오목부(517)는 리본 카트리지(201)에 마련된 제 4 주벽 오목부(272)와 마찬가지로 구성되어 있다. 즉, 제 4 주벽 오목부(517)의 장착방향 바로앞측의 면은, 장착부 커버(5)가 닫혔을 때에 제 4 가압 돌기(22)에 의해 가압되는 제 4 가압부(523)로 되어 있다.
도 2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3 이송 각도(θe) 및 제 3 경로 각도(θf)는 45°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 3 이송 각도(θe)는 제 1 이송 각도(θa)나 제 2 이송 각도(θc)와 마찬가지로 정의되며, 제 3 경로 각도(θf)는 제 1 경로 각도(θb)나 제 2 경로 각도(θd)와 마찬가지로 정의된다.
리본 카트리지(201)가 카트리지 장착부(7)에 장착된 상태에서, 제 2 회로 기판(327)과 계합 볼록부(51) 사이에, 제 3 돌출 장착 벽부(359)가 마련된 구성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제 2 회로 기판(327)과 계합 볼록부(51)가 직접 접촉된 구성이어도 좋다.
카트리지는 본 실시형태의 테이프 카트리지(101)나 리본 카트리지(201)와 같이, 인쇄 테이프나 잉크 리본을 수용한 구성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테이프 인쇄 장치(1)에 장착 가능한 구성이면 좋다.
리본 카트리지(201)는 테이프 보지부(305)를 갖고 있지 않아도 좋다. 이 때, 제 2 테이프 경로(257)에 있어서, 제 2 인쇄 테이프의 폭방향이 되는 양단, 즉, 제 2 인쇄 테이프의 +Z측 및 -Z측의 양쪽을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부를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이드부를 마련하는 것에 의해, 리본 카트리지(201)가 카트리지 장착부(7)에 장착될 때에, 미리 제 2 테이프 경로(257)에 도입된 인쇄 테이프(403)가 제 2 테이프 경로(257)로부터 빠져나와 버리는 것이 억제된다.
또한, 상기한 실시형태나 변형예를 각각 조합한 구성이어도 좋다.
[부기]
이하, 카트리지에 대해 부기한다.
카트리지 장착부와, 카트리지 장착부에 마련되며, 인쇄 테이프에 인쇄하는 인쇄 헤드와, 장치 케이스를 구비하고, 장치 케이스에는 인쇄 테이프를 장치 케이스 외부로부터 장치 케이스 내에 도입하는 장치측 테이프 도입구와, 인쇄 테이프를 장치 케이스 외부로 배출하는 장치측 테이프 배출구가 마련된 테이프 인쇄 장치에 장착되는 카트리지에 있어서, 카트리지는 카트리지 케이스를 구비하고, 카트리지 케이스에는 카트리지가 카트리지 장착부에 장착된 상태에서, 장치측 테이프 도입구로부터 도입된 인쇄 테이프를 카트리지 케이스 내에 도입하는 카트리지측 테이프 도입구와, 인쇄 테이프를 장치측 테이프 배출구를 향하여 카트리지 케이스 외부로 배출하는 카트리지측 테이프 배출구가 마련되며, 카트리지는 카트리지 장착부에 장착되기 전에, 카트리지측 테이프 도입구와 카트리지측 테이프 배출구 사이의 테이프 경로에 미리 도입된 인쇄 테이프를 보지하는 테이프 보지부를 구비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카트리지가 카트리지 장착부에 장착될 때에, 미리 테이프 경로에 도입된 인쇄 테이프가 테이프 경로로부터 빠져나와 버리는 것이 억제된다. 이 때문에, 사용자는 미리 테이프 경로에 인쇄 테이프가 도입된 카트리지를 카트리지 장착부에 장착한다는 간단한 조작으로, 인쇄 테이프와 카트리지를 동시에 테이프 인쇄 장치에 세트할 수 있다.
이 경우, 테이프 보지부는 보지 선단부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테이프 경로에 도입된 인쇄 테이프가 테이프 경로로부터 빠져나와 버리는 것이 억제되는 동시에, 인쇄 테이프가 테이프 경로로 이송될 때에, 인쇄 테이프에 부여되는 마찰 저항을 줄일 수 있다.
이 경우, 잉크 리본을 수용하는 잉크 리본 수용부와, 보지 선단부를 포함하는 테이프 보지 기구를 수용하는 테이프 보지 기구 수용부를 구비하고, 테이프 경로는 잉크 리본 수용부와, 테이프 보지 기구 수용부 사이에 마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테이프 경로에 도입된 인쇄 테이프를, 테이프 보지 기구 수용부에 수용된 보지 선단부와 잉크 리본 수용부 사이에 보지할 수 있다.
이 경우, 카트리지 케이스는 잉크 리본 수용부의, 카트리지의 장착방향 바로앞측을 구성하는 제 1 케이스와, 테이프 보지 기구 수용부의, 장착방향 바로앞측을 구성하는 제 2 케이스와, 잉크 리본 수용부 및 테이프 보지 기구 수용부의, 장착방향 안쪽측을 구성하는 제 3 케이스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잉크 리본 수용부를 구성하는 제 1 케이스와, 테이프 보지 기구 수용부를 구성하는 제 2 케이스 사이에 테이프 경로를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인쇄 테이프를 이송하는 플래튼 롤러를 구비하고, 플래튼 롤러에는, 카트리지가 카트리지 장착부에 장착될 때에, 카트리지 장착부에 마련된 플래튼 축이 삽통되는 플래튼 축 삽통 구멍이 마련되며, 카트리지 케이스에는 카트리지가 카트리지 장착부에 장착될 때에, 인쇄 헤드가 삽통되는 헤드 삽통 구멍이 마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플래튼 축 삽통 구멍 및 헤드 삽통 구멍은, 카트리지가 카트리지 장착부에 장착될 때에 카트리지를 위치결정하고, 카트리지의 착탈을 가이드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테이프 경로에 인쇄 테이프가 도입된 상태에서도, 카트리지를 적절한 위치에 장착하고, 또한, 카트리지를 원활하게 착탈할 수 있다.
이 경우, 카트리지측 테이프 도입구 및 카트리지측 테이프 배출구는, 카트리지의 장착방향을 따르는 슬릿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테이프 경로에 도입된 인쇄 테이프는, 인쇄 테이프의 폭방향이 장착방향과 대략 평행이 되도록 하여 이송된다.
1: 테이프 인쇄 장치 3: 장치 케이스
7: 카트리지 장착부 9: 장치측 테이프 도입구
11: 장치측 테이프 배출구 39: 플래튼 축
55: 인쇄 헤드 201: 리본 카트리지
203: 제 2 플래튼 롤러 205: 제 2 잉크 리본
209: 보지 롤러 211: 제 2 카트리지 케이스
213: 제 2 플래튼 축 삽통 구멍 231: 제 2 헤드 삽통 구멍
233: 리본부 바로앞측 케이스 235: 롤러부 바로앞측 케이스
237: 제 2 안쪽 케이스 253: 잉크 리본 수용부
255: 롤러 수용부 257: 제 2 테이프 경로
259: 카트리지측 테이프 도입구 261: 카트리지측 테이프 배출구
305: 테이프 보지부 403: 제 2 인쇄 테이프

Claims (6)

  1. 카트리지 장착부와, 상기 카트리지 장착부에 마련되며, 인쇄 테이프에 인쇄하는 인쇄 헤드와, 장치 케이스를 구비하고, 상기 장치 케이스에는, 상기 인쇄 테이프를 상기 장치 케이스 외부로부터 상기 장치 케이스 내에 도입하는 장치측 테이프 도입구와, 상기 인쇄 테이프를 상기 장치 케이스 외부로 배출하는 장치측 테이프 배출구가 마련된 테이프 인쇄 장치에 장착되는 카트리지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는 카트리지 케이스를 구비하고, 상기 카트리지 케이스에는, 상기 카트리지가 상기 카트리지 장착부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장치측 테이프 도입구로부터 도입된 상기 인쇄 테이프를 상기 카트리지 케이스 내에 도입하는 카트리지측 테이프 도입구와, 상기 인쇄 테이프를 상기 장치측 테이프 배출구를 향하여 상기 카트리지 케이스 외부로 배출하는 카트리지측 테이프 배출구가 마련되며,
    상기 카트리지는 상기 카트리지 장착부에 장착되기 전에, 상기 카트리지측 테이프 도입구와 상기 카트리지측 테이프 배출구 사이의 테이프 경로에 미리 도입된 상기 인쇄 테이프를 보지하는 테이프 보지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프 보지부는 보지 선단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
  3. 제 2 항에 있어서,
    잉크 리본을 수용하는 잉크 리본 수용부와,
    상기 보지 선단부를 포함하는 테이프 보지 기구를 수용하는 테이프 보지 기구 수용부를 구비하고,
    상기 테이프 경로는 상기 잉크 리본 수용부와, 상기 테이프 보지 기구 수용부 사이에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 케이스는 상기 잉크 리본 수용부의, 상기 카트리지의 장착방향 바로앞측을 구성하는 제 1 케이스와, 상기 테이프 보지 기구 수용부의, 상기 장착방향 바로앞측을 구성하는 제 2 케이스와, 상기 잉크 리본 수용부 및 상기 테이프 보지 기구 수용부의, 상기 장착방향 안쪽측을 구성하는 제 3 케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 테이프를 이송하는 플래튼 롤러를 구비하고,
    상기 플래튼 롤러에는, 상기 카트리지가 상기 카트리지 장착부에 장착될 때에, 상기 카트리지 장착부에 마련된 플래튼 축이 삽통되는 플래튼 축 삽통 구멍이 마련되고,
    상기 카트리지 케이스에는, 상기 카트리지가 상기 카트리지 장착부에 장착될 때에, 상기 인쇄 헤드가 삽통되는 헤드 삽통 구멍이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측 테이프 도입구 및 상기 카트리지측 테이프 배출구는, 상기 카트리지의 장착방향을 따르는 슬릿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
KR1020217020701A 2018-12-26 2019-12-23 카트리지 KR2021010475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8-243216 2018-12-26
JP2018243216A JP7142565B2 (ja) 2018-12-26 2018-12-26 カートリッジ
PCT/JP2019/050323 WO2020137958A1 (ja) 2018-12-26 2019-12-23 カートリッ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4751A true KR20210104751A (ko) 2021-08-25

Family

ID=711293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20701A KR20210104751A (ko) 2018-12-26 2019-12-23 카트리지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1958287B2 (ko)
EP (1) EP3904110A4 (ko)
JP (1) JP7142565B2 (ko)
KR (1) KR20210104751A (ko)
CN (2) CN211918118U (ko)
TW (1) TWI767171B (ko)
WO (1) WO202013795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142565B2 (ja) * 2018-12-26 2022-09-27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カートリッジ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024324A (ja) 2015-07-24 2017-02-02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印刷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80936A (en) * 1983-01-24 1984-11-06 K-Sun Corporation Two-piece tape/ribbon cartridge
JPS63156762U (ko) * 1987-04-02 1988-10-14
JPH03215066A (ja) * 1990-01-19 1991-09-20 Fuji Xerox Co Ltd 熱転写記録装置
US5358351A (en) * 1992-09-30 1994-10-25 Casio Computer Co., Ltd. Printing apparatus and printing tape cassette used therefor
JP3015367U (ja) 1995-03-03 1995-08-29 日本タイプライター株式会社 チューブおよびラベルテープ・プリンタ用リボンカセット
JP2001315386A (ja) 2000-05-08 2001-11-13 Casio Comput Co Ltd 印刷装置および印刷媒体
JP4556827B2 (ja) * 2004-10-13 2010-10-06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印字装置
JP2010120211A (ja) 2008-11-18 2010-06-03 Seiko Epson Corp 印刷装置及びカートリッジ
US8540442B2 (en) 2010-07-30 2013-09-24 Brady Worldwide, Inc. Adjustable print media path system and method
JP6852473B2 (ja) 2017-03-10 2021-03-31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テープ印刷装置
CN207028532U (zh) * 2017-07-07 2018-02-23 珠海纳思达企业管理有限公司 带盒及带打印装置
EP4324655A3 (en) 2018-03-29 2024-03-20 Seiko Epson Corporation Ribbon cartridge and printing device
JP7213678B2 (ja) 2018-12-26 2023-01-27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テープ印刷装置、カートリッジのセット
JP7142565B2 (ja) * 2018-12-26 2022-09-27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カートリッジ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024324A (ja) 2015-07-24 2017-02-02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印刷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20016915A1 (en) 2022-01-20
CN211918118U (zh) 2020-11-13
US11958287B2 (en) 2024-04-16
EP3904110A4 (en) 2022-08-31
CN111376617B (zh) 2022-04-01
EP3904110A1 (en) 2021-11-03
TWI767171B (zh) 2022-06-11
WO2020137958A1 (ja) 2020-07-02
TW202023844A (zh) 2020-07-01
JP7142565B2 (ja) 2022-09-27
JP2020104324A (ja) 2020-07-09
CN111376617A (zh) 2020-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467697B2 (ja) カートリッジ
JP7213678B2 (ja) テープ印刷装置、カートリッジのセット
CN111376618A (zh) 装配于带印刷装置的盒
KR20210104751A (ko) 카트리지
KR20210104753A (ko) 카트리지
CN111376621B (zh) 带印刷装置以及盒的组件
CN111376620B (zh) 装配于带印刷装置的盒
JP7213680B2 (ja) カートリッジ
KR20210102293A (ko) 카트리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