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04479A - 펌프 - Google Patents

펌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04479A
KR20210104479A KR1020200019276A KR20200019276A KR20210104479A KR 20210104479 A KR20210104479 A KR 20210104479A KR 1020200019276 A KR1020200019276 A KR 1020200019276A KR 20200019276 A KR20200019276 A KR 20200019276A KR 20210104479 A KR20210104479 A KR 202101044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ffle
disposed
housing
baffles
su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92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유준
손민수
백승조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192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04479A/ko
Priority to DE102021201337.6A priority patent/DE102021201337A1/de
Priority to US17/176,287 priority patent/US11661953B2/en
Publication of KR202101044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447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40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 F04D29/42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for radi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 F04D29/426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for radi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especially adapted for liquid pumps
    • F04D29/4273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for radi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especially adapted for liquid pumps suction ey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40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 F04D29/42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for radi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 F04D29/44Fluid-guiding means, e.g. diffusers
    • F04D29/445Fluid-guiding means, e.g. diffusers especially adapted for liquid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40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 F04D29/42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for radi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 F04D29/426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for radi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especially adapted for liquid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40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 F04D29/42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for radi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 F04D29/426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for radi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especially adapted for liquid pumps
    • F04D29/4293Details of fluid inlet or outle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40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 F04D29/42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for radi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 F04D29/44Fluid-guiding means, e.g. diffusers
    • F04D29/445Fluid-guiding means, e.g. diffusers especially adapted for liquid pumps
    • F04D29/448Fluid-guiding means, e.g. diffusers especially adapted for liquid pumps bladed diffus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DINDEXING SCHEME FOR ASPECTS RELATING TO 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GAS-TURBINES OR JET-PROPULSION PLANTS
    • F05D2210/00Working fluids
    • F05D2210/10Kind or type
    • F05D2210/11Kind or type liquid, i.e. incompressib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DINDEXING SCHEME FOR ASPECTS RELATING TO 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GAS-TURBINES OR JET-PROPULSION PLANTS
    • F05D2250/00Geometry
    • F05D2250/50Inlet or outlet
    • F05D2250/51Inle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 Jet Pumps And Other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펌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펌프는, 내측으로 흡입챔버와 배출챔버를 형성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흡입챔버와 연통하는 흡입노즐과, 상기 하우징의 다른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배출챔버와 연통하는 배출노즐과, 상기 흡입챔버와 상기 배출챔버를 구획하고, 중앙부에 상기 흡입챔버와 상기 배출챔버를 연통시키는 연통홀이 형성되는 격벽과, 상기 흡입챔버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흡입노즐을 통해 유입되는 유체를 연통홀로 안내하는 복수의 베플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베플은, 서로 다른 길이를 가지고, 상기 격벽의 상측에서 원주방향으로 이격배치되고, 상기 흡입노즐로부터 유입되는 유체가 유동하는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증가하도록 형성된다.

Description

펌프{Pump}
본 발명은 펌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의류처리장치 등에 사용되는 물을 순환시키는 펌프에 관한 것이다.
순환펌프의 경우, 임펠러가 배치되는 상측의 공간으로 별도의 챔버가 구비된다. 이러한 챔버에는, 유체가 유입되고, 임펠러가 배치되는 공간으로 유체가 유동함에 있어, 기체를 분리하거나, 유체의 회전성분을 줄이기 위한 별도의 장치가 배치될 수 있다.
특히, 유입되는 유체는, 챔버의 외측 둘레면을 따라 유입되므로, 회전성분을 가지고, 챔버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이러한 회전성분은, 챔버 중앙에 형성되어 임펠러가 배치되는 공간과 연통되는 연통홀로 유체가 유입되는 것을 방해할 수 있다.
유럽특허 EP01024292B1는, 펌프 상부 하우징 구조로서 유입유로를 구분하여 버블 분리 목적으로 환형 벽면을 설치하고, 메쉬형태의 구조물을 설치하는 내용을 개시하고 있다.
이러한 환형 형태의 벽면을 적용했을 경우 챔버 내의 스월이 발생한다. 이는, 임펠러가 배치되는 공간으로 이동하는 유체의 유동에 회전 속도성분이 크게 증가시킬 수 있다. 이러한 회전 속도 성분은 임펠러가 회전함으로써 발생시키는 펌프의 양정을 저감시키는 요인이 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흡입챔버로 흡입된 유체가 원활하게 임펠러가 배치되는 배출챔버로 이동하는 펌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는 흡입챔버로 유입되는 유체의 회전성분을 저감하여, 효율이 극대화되는 펌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펌프는, 내측으로 흡입챔버와 배출챔버를 형성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흡입챔버와 연통하는 흡입노즐과, 상기 하우징의 다른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배출챔버와 연통하는 배출노즐과, 상기 흡입챔버와 상기 배출챔버를 구획하고, 중앙부에 상기 흡입챔버와 상기 배출챔버를 연통시키는 연통홀이 형성되는 격벽과, 상기 흡입챔버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흡입노즐을 통해 유입되는 유체를 연통홀로 안내하는 복수의 베플을 포함한다.
여기서, 복수의 베플은, 서로 다른 길이를 가지고, 상기 격벽의 상측에서 원주방향으로 이격배치되고, 상기 흡입노즐로부터 유입되는 유체가 유동하는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증가하도록 형성되어, 흡입노즐로부터 유입되는 유체의 회전력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베플은, 상기 흡입노즐로 유입되는 유체가 유동하는 방향으로 볼록한 곡면을 형성하여, 유입되는 유체의 회전력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베플 각각은, 상기 하우징의 중심과 인접하게 배치되는 일측단부가 상기 하우징의 중심에서 반경방향으로 동일하게 이격배치된다.
상기 복수의 베플 각각은, 상기 하우징의 중심에 가깝게 배치되는 일측단부에서 연장되는 가상의 선이 상기 연통홀을 향하도록 형성되어, 흡입챔버로 유입되는 유체를 연통홀 방향으로 안내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은, 상기 흡입챔버를 형성하는 상부하우징과, 상기 배출챔버를 형성하는 하부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하우징과 상기 하부하우징 사이에는, 상기 격벽이 형성되어, 상기 흡입챔버와 상기 배출챔버를 구획한다.
상기 상부하우징은, 동일반경을 가지고,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둘레면과, 상기 둘레면의 상측을 커버하는 상부면을 포함하고, 상기 둘레면 일측에는, 상기 흡입노즐이 배치되어, 흡입노즐이 둘레면의 일측에 배치되어, 흡입챔버로 유입되는 유체가 회전성분을 가지는 구조를 가지며, 본 발명의 복수의 베플 구조로 흡입되는 유체의 회전성분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베플은, 상기 격벽으로부터 상기 상부하우징의 상부면까지 상측으로 연장되어, 흡입챔버로 유입되는 유체모두를 가이드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베플은, 상기 격벽의 상측에 배치되고, 소정의 길이를 가지고,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제1베플과, 상기 격벽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1베플보다 긴 길이를 가지고,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제2베플과, 상기 격벽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1베플보다 길고 상기 제2베플보다 짧은 길이를 가지고,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3베플을 포함하여, 제1베플과, 제3베플과 제2베플이 순차적으로 길이가 증가하도록 배치된다.
상기 제2베플의 외측단부는, 상기 상부하우징의 둘레면에 접하도록 배치된다.
상기 흡입노즐과 상기 하우징이 연결되는 부분에서, 상기 흡입노즐 내부에 형성되는 흡입유로와 상기 흡입챔벌를 연통시키는 흡입노즐 연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1베플과 상기 제2베플은, 상기 흡입노즐 연통홀에 인접하게 배치된다.
상기 흡입노즐 연통홀은, 상기 제1베플과 상기 제2베플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흡입노즐은, 상기 제1베플이 배치되는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연장되어, 제1베플이 배치되는 방향으로 유체가 유입된다.
상기 흡입노즐 연통홀로부터 상기 흡입노즐로부터 상기 흡입챔버로 유입된 유체가 유동하는 방향으로 상기 제1베플,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3베플, 및 상기 제2베플이 순차적으로 배치되어, 복수의 베플의 길이가 순차적으로 길어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베플은, 상기 제1베플보다 길고 상기 제2베플보다 짧은 길이를 가지는 복수의 제3베플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제3베플은, 서로 다른 길이를 가진다.
상기 복수의 제3베플 각각은, 상기 제1베플에서 상기 흡입노즐로부터 상기 흡입챔버로 유입된 유체가 유동하는 방향으로 갈수록 길이가 증가하여, 제1베플과 제2베플 사이에 배치되는 복수의 제3베플의 길이가 순차적으로 증가할 수 있다.
상기 격벽은, 상기 하우징과 접하는 외측단부에서 상기 연통홀이 형성되는 일측단부로 갈수록 상기 흡입챔버 방향으로 경사진 형태를 가진다.
상기 격벽은, 상기 하우징의 둘레면과 접하는 외측단부에서 상기 연통홀이 형성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테두리면과, 상기 테두리면에서 상기 연통홀 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흡입챔버 방향으로 경사진 경사면과, 상기 경사면에서 상기 배출챔버 방향으로 절곡되는 배출가이드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1베플은, 상기 경사면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2베플과 상기 제3베플은, 상기 경사면에서부터 상기 테두리면에 걸쳐서 배치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펌프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첫째, 복수의 베플이 흡입노즐로부터 유입되는 유체를 가이드하도록, 순차적으로 길이가 증가하는 구조를 가짐으로써, 흡입챔버로 유입되는 유체의 회전성분이 저감되어, 흡입챔버로 유입된 유체가 임펠러가 배치되는 배출챔버로 원활하게 유동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둘째, 복수의 베플은, 유체가 유동하는 방향에 반대방향으로 볼록한 형상을 가짐으로써, 유체의 회전성분 감소를 극대화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셋째, 복수의 베플은, 흡입챔버 내부에서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구조를 가짐으로써, 흡입챔버 내부로 유입되는 유체를 전반적으로 가이드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펌프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펌프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펌프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Ⅳ-Ⅳ’를 자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격벽과 복수의 베플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격벽과 복수의 베플의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4의 Ⅶ-Ⅶ’를 자른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흡입챔버 내부의 유체의 유동량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첨부도면은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름과 같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펌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펌프(10)는, 내측으로 흡입챔버(14a)와 배출챔버(20a)를 형성하는 하우징(12), 하우징(12)의 일측에 배치되고, 흡입챔버(14a)와 연통하는 흡입노즐(50), 하우징(12)의 일측에 배치되고, 배출챔버(20a)와 연통하는 배출노즐(62), 흡입챔버(14a)와 배출챔버(20a)를 구획하고, 중앙부에 흡입챔버(14a)와 배출챔버(20a)를 연통하는 연통홀(24a)이 형성되는 격벽(24), 흡입챔버(14a) 내부에 배치되고, 흡입노즐(50)을 통해 유입되는 유체를 연통홀(24a)로 안내하는 복수의 베플(40, 42, 44a, 44b, 44c, 44d, 44e), 배출챔버(20a)에 배치되어, 회전으로 하우징(12) 내부의 유체를 유동시키는 임펠러(66)를 포함한다.
하우징(12)은, 흡입챔버(14a)를 형성하는 상부하우징(14)과, 배출챔버(20a)를 형성하는 하부하우징(20)을 포함한다. 도 1를 참조하면, 상부하우징(14)과 하부하우징(20)은, 하나의 구성으로 형성된다. 다만, 이와 달리, 상부하우징(14)과 하부하우징(20)의 별개의 구성으로 연결되는 구조를 가지는 것도 가능하다.
상부하우징(14)과 하부하우징(20) 사이에는, 격벽(24)이 형성되어, 흡입챔버(14a)와 배출챔버(20a)를 구획할 수 있다.
상부하우징(14)은, 원통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부하우징(14)은, 동일반경을 가지고,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둘레면(16)과, 둘레면(16)의 상측을 커버하는 상부면(18)을 포함한다. 상부하우징(14)의 둘레면(16) 일측에는, 흡입노즐(50)이 배치된다. 상부면(18)은, 상측으로 볼록한 돔형상을 가질 수 있다.
흡입노즐(50)은, 상부하우징(14)의 둘레면(16) 일측으로 연결된다. 흡입노즐(50)은, 상부하우징(14)의 둘레면(16)과 연결되는 부분에서 둘레면(16)의 접선방향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흡입노즐(50)에서 상부하우징(14) 내부로 유입되는 유체는, 흡입챔버(14a)의 중심보다 둘레면(16)의 내부면 방향으로 유동할 수 있다.
흡입노즐(50)은, 일단부에서 외부와 연통하는 흡입구(52)가 형성되고, 흡입구(52)가 형성하는 개구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흡입유로(54)가 형성된다. 흡입노즐(50)에 형성되는 흡입유로(54)는, 둘레면(16)과 접하는 부분에서, 대략 둘레면(16)의 접선과 동일한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흡입노즐(50)은, 원통형상을 가지고, 내측으로 흡입유로를 형성하는 흡입노즐 둘레면(16)과, 흡입노즐 둘레면(16)의 단부에 배치되고, 흡입노즐 둘레면(16)에 수직한 면을 형성하는 흡입노즐 단부면(58)을 포함한다. 흡입노즐 단부면(58)은, 흡입노즐 단부면(58)이 접하는 하우징(12)의 둘레면(16)에서 형성되는 가상의 접선에 수직하게 배치될 수 있다.
흡입노즐(50)은, 일측에서 상부하우징(14)의 둘레면(16)에 접한다. 흡입노즐(50)과 상부하우징(14)의 둘레면이 접하는 부분에서, 흡입유로(54)와 흡입챔버(14a)를 연통시키는 흡입노즐 연통홀(60)이 형성된다. 흡입노즐 연통홀(60)은, 흡입노즐 단부면(58)의 일측에서부터 흡입노즐 둘레면(16)의 일측으로 형성된다.
흡입노즐 연통홀(60)은, 이하에서 설명하는, 제1베플(40)과 제2베플(42) 사이에서 형성된다. 흡입유로(54)는, 제2베플(42)이 배치된 방향에서 제1베플(40)이 배치된 방향으로 유체가 유동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흡입유로(54)를 통해 흡입챔버(14a)로 유입된 유체는, 제1베플(40)이 배치된 방향으로 유동한다.
하부하우징(20)은, 상부하우징(14)의 하측에 배치된다. 하부하우징(20)은, 내부에 임펠러(66)가 배치되는 배출챔버(20a)를 형성한다. 하부하우징(20)은, 상측으로 격벽(24)이 배치되고, 하측이 개방될 수 있다. 하부하우징(20)의 하측으로는, 임펠러(66)를 회전시키는 모터(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다.
하부하우징(20)의 둘레면(16) 일측으로 배출챔버(20a) 내부의 유체가 외부로 배출되는 배출노즐(62)이 배치될 수 있다. 배출노즐(62)은, 임펠러(66)의 회전방향에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배출유로(64)는, 흡입유로(54)와 반대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임펠러(66)는, 연통홀(24a) 하측에 배치되고, 흡입챔버(14a)의 유체를 하측으로 이동하여, 반경방향으로 보내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하우징(12) 내부에는, 흡입챔버(14a)와 배출챔버(20a)를 구획하는 격벽(24)이 형성된다. 격벽(24)의 중심에는, 원형형상의 연통홀(24a)이 형성된다. 연통홀(24a)은, 흡입챔버(14a)와 배출챔버(20a)를 연통시킨다.
격벽(24)은, 상부하우징(14)의 둘레면(16)과 접하는 외측단부에서 연통홀(24a)이 형성되는 일측단부로 갈수록 흡입챔버(14a) 방향으로 경사진 형태를 가질 수 있다. 격벽(24)은, 상부하우징(14)의 둘레면(16)과 접하는 외측단부에서 연통홀(24a)이 형성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테두리면(26)과, 테두리면(26)부에서 연통홀(24a) 방향으로 형성되며, 흡입챔버(14a) 방향으로 경사진 경사면(28)과, 경사면(28)에서 배출챔버(20a) 방향으로 절곡되는 배출가이드부(30)를 포함한다. 테두리면(26)은, 상부하우징(14)의 둘레면(16)과 수직한 면을 형성할 수 있다. 경사면(28)이 반경방향으로 형성하는 폭(28W)은, 테두리면(26)이 반경방향으로 형성하는 폭(26W)보다 크게 형성된다. 경사면(28)이 테두리면(26)과 형성하는 경사각은, 5 내지 30도의 범위로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베플(40, 42, 44a, 44b, 44c, 44d, 44e) 각각은, 서로 다른 길이를 가진다. 복수의 베플(40, 42, 44a, 44b, 44c, 44d, 44e)은, 흡입노즐(50)로 유입되는 유체가 유동하는 방향으로 볼록한 곡면을 형성한다. 여기서, 흡입노즐(50)로 유입되는 유체가 유동하는 방향이란, 흡입노즐 연통홀(60)을 통해 흡입챔버(14a)로 유입되는 대부분의 유체가 유동하는 방향을 의미한다. 흡입노즐(50)은, 이하에서 설명하는 제1베플(40)이 배치되는 반대방향으로 연장되는 구조를 가지므로, 흡입노즐 연통홀(60)을 통해 흡입챔버(14a)로 유입되는 대부분의 유체는, 제1베플(40)이 배치되는 방향으로 유체가 유동할 수 있다.
복수의 베플(40, 42, 44a, 44b, 44c, 44d, 44e)은, 격벽(24)으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며, 상부하우징(14)의 상부면(18)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복수의 베플(40, 42, 44a, 44b, 44c, 44d, 44e)과 격벽(24)은, 하나의 구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베플(40, 42, 44a, 44b, 44c, 44d, 44e)은, 주로 경사면(28)에 배치된다. 제1베플(40)은, 경사면(28)에 배치된다. 제2베플(42)과 복수의 제3베플(44a, 44b, 44c, 44d, 44e)은, 경사면(28)과 테두리면(26)에 배치될 수 있다.
경사면(28)은, 배출가이드부(30)와 접하는 일측단부에서 테두리면(26)과 평행한 편을 형성할 수 있다.
배출가이드부(30)는, 내부가 중공인 원통형상을 가질 수 있다. 배출가이드부(30)에는, 흡입챔버(14a)와 배출챔버(20a)를 연통시키는 연통홀(24a)이 형성된다. 배출가이드부(30)는, 흡입챔버(14a)의 유체를 임펠러(66) 상측으로 보낼 수 있다.
복수의 베플(40, 42, 44a, 44b, 44c, 44d, 44e)은, 격벽(24)에서 상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복수의 베플(40, 42, 44a, 44b, 44c, 44d, 44e) 각각은, 하측단부가 격벽(24)에 연결되고, 상측단부가 상부하우징(14)의 상부면(18)에 연결된다. 복수의 베플(40, 42, 44a, 44b, 44c, 44d, 44e)은, 격벽(24)의 중앙으로부터 방사형으로 형성된다. 복수의 베플(40, 42, 44a, 44b, 44c, 44d, 44e)은, 원주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배치된다.
복수의 베플(40, 42, 44a, 44b, 44c, 44d, 44e)은 일측방향으로 볼록한 곡면을 형성한다. 복수의 베플(40, 42, 44a, 44b, 44c, 44d, 44e)은, 흡입노즐(50)로부터 유체가 유입되는 방향으로 볼록한 곡면을 형성할 수 있다. 복수의 베플(40, 42, 44a, 44b, 44c, 44d, 44e)은, 동일한 방향으로 볼록한 곡면을 형성할 수 있다.
복수의 베플(40, 42, 44a, 44b, 44c, 44d, 44e)은, 서로 다른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복수의 베플(40, 42, 44a, 44b, 44c, 44d, 44e) 각각은, 하우징(12)의 중심에 가깝게 배치되는 일측단부(401, 421, 44a1, 44b1, 44c1, 44d1, 44e1)가 하우징(12)의 중심에서 반경방향으로 동일하게 이격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베플(40, 42, 44a, 44b, 44c, 44d, 44e) 각각은, 하우징(12)의 둘레면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타측단부(402, 422, 44a2, 44b2, 44c2, 44d2, 44e2)가 하우징(12)의 중심에서 반경방향으로 이격된 거리는 서로 상이하게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베플(40, 42, 44a, 44b, 44c, 44d, 44e) 각각은, 하우징(12)의 중심에 가깝게 배치되는 일측단부(401, 421, 44a1, 44b1, 44c1, 44d1, 44e1)에서 연장되는 가상의 선이 연통홀(24a)을 향하도록 형성된다. 복수의 베플(40, 42, 44a, 44b, 44c, 44d, 44e) 각각의 일측단부(401, 421, 44a1, 44b1, 44c1, 44d1, 44e1)에서 연장되는 가상의 선은, 연통홀(24a)의 중심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베플(40, 42, 44a, 44b, 44c, 44d, 44e)은, 격벽(24)의 상측에 배치되고, 소정의 길이를 가지고,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제1베플(40), 격벽(24)의 상측에 배치되고, 제1베플(40)보다 긴 길이를 가지고,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제2베플(42), 격벽(24)의 상측에 배치되고, 제1베플(40)보다 길고 제2베플(42)보다 짧은 길이를 가지고,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3베플을 포함한다.
복수의 베플(40, 42, 44a, 44b, 44c, 44d, 44e)은, 격벽(24)에 수직하게 배치되고, 반경방향 외측단부가 상부하우징(14)의 둘레면(16)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된 제1베플(40), 격벽(24)에 수직하게 배치되고, 반경방향 외측단부가 상부하우징(14)의 둘레면(16)에 접하는 제2베플(42), 원주방향으로 제1베플(40)과 제2베플(42) 사이에 배치되고, 제1베플(40)보다 길고, 제2베플(42)보다 짧은 길이를 가지는 복수의 제3베플을 포함한다.
제1베플(40)과 제2베플(42)은, 복수의 제3베플(44a, 44b, 44c, 44d, 44e)보다 흡입노즐 연통홀(60)에 인접하게 배치된다. 제1베플(40)은, 흡입노즐 연통홀(60)에서 제1원주방향으로 이격 배치된다. 제2베플(42)은, 흡입노즐 연통홀(60)에서 제2원주방향으로 이격배치된다. 여기서, 제1원주방향과 제2원주방향은, 하우징(12)의 중심을 기준으로 형성되는 원주방향을 의미하고, 서로 반대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즉, 도 7을 참조하면, 제1원주방향은, 시계방향으로 설정되고, 제2원주방향은 반시계방향으로 설정될 수 있다. 제1베플(40)의 제2원주방향에 제2베플(42)이 배치된다. 제1베플(40)의 제1원주방향으로 복수의 제3베플(44a, 44b, 44c, 44d, 44e)이 배치된다.
복수의 베플(40, 42, 44a, 44b, 44c, 44d, 44e)은, 흡입노즐 연통홀(60)을 기준으로 제1원주방향으로 제1베플(40), 복수의 제3베플(44a, 44b, 44c, 44d, 44e), 및 제2베플(42)이 순차적으로 배치된다. 복수의 제3베플(44a, 44b, 44c, 44d, 44e) 각각의 길이는, 제1원주방향으로 갈수록 길어진다.
복수의 베플(40, 42, 44a, 44b, 44c, 44d, 44e)은, 제1원주방향으로 볼록한 곡면을 형성한다. 제1베플(40)은, 흡입노즐 연통홀(60)을 통해 유입된 유체와 맞닿는 압력면(40a)이 반대면(40b) 방향으로 볼록한 곡면을 형성한다. 흡입노즐 연통홀(60)을 통해 흡입챔버(14a)로 유입된 유체는, 제1원주방향으로 이동한다. 복수의 베플(40, 42, 44a, 44b, 44c, 44d, 44e)은, 흡입챔버(14a) 내부의 세척수가 유동하는 제1원주방향으로 볼록한 곡면을 형성한다.
도 8을 참조하면, 흡입노즐(50)을 통해 흡입챔버(14a)로 유입되는 유체는, 복수의 베플(40, 42, 44a, 44b, 44c, 44d, 44e) 각각의 압력면을 따라 유동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베플(40, 42, 44a, 44b, 44c, 44d, 44e)의 길이가 순차적으로 증가하도록 형성되므로, 복수의 베플(40, 42, 44a, 44b, 44c, 44d, 44e)을 따라 이동하는 유체의 량이 유사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흡입노즐(50)을 통해 유입되는 유체의 회전성분은, 복수의 베플(40, 42, 44a, 44b, 44c, 44d, 44e)을 따라 이동하면서 감소되고, 연통홀(24a)로 이동할 수 있다.
복수의 제3베플(44a, 44b, 44c, 44d, 44e)은, 서로 다른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복수의 제3베플(44a, 44b, 44c, 44d, 44e) 각각은, 제1베플(40)에서 제1원주방향으로 갈수록 길이가 증가한다. 복수의 제3베플(44a, 44b, 44c, 44d, 44e)의 배치에 따른 길이의 증가비율은, 제1베플(40)의 길이와, 제2베플(42)의 길이 차이와, 복수의 제3베플의 개수를 고려하여 설정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서는, 제3베플은, 모두 5개로 구성될 수 있다. 다만, 이는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것으로, 펌프의 크기에 따라 제3베플의 개수가 달라질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10 : 펌프 12 : 하우징
14 : 상부하우징 14a : 흡입챔버
16 : 둘레면 18 : 상부면
20 : 하부하우징 20a : 배출챔버
24 : 격벽 24a : 연통홀
26 : 테두리면 28 : 경사면
30 : 배출가이드부 40 : 제1베플
40a : 압력면 40b : 반대면
42 : 제2베플
44a, 44b, 44c, 44d, 44e : 복수의 제3베플
50 : 흡입노즐 52 : 흡입구
54 : 흡입유로 58 : 흡입노즐 단부면
60 : 흡입노즐 연통홀 62 : 배출노즐
64 : 배출유로 66 : 임펠러

Claims (18)

  1. 내측으로 흡입챔버와 배출챔버를 형성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흡입챔버와 연통하는 흡입노즐;
    상기 하우징의 다른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배출챔버와 연통하는 배출노즐;
    상기 흡입챔버와 상기 배출챔버를 구획하고, 중앙부에 상기 흡입챔버와 상기 배출챔버를 연통시키는 연통홀이 형성되는 격벽; 및
    상기 흡입챔버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흡입노즐을 통해 유입되는 유체를 연통홀로 안내하는 복수의 베플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베플은, 서로 다른 길이를 가지고, 상기 격벽의 상측에서 원주방향으로 이격배치되고,
    상기 흡입노즐로 유입되는 유체가 유동하는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증가하는 펌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베플은, 상기 흡입노즐로 유입되는 유체가 유동하는 방향으로 볼록한 곡면을 형성하는 펌프.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베플 각각은, 상기 하우징의 중심과 인접하게 배치되는 일측단부가 상기 하우징의 중심에서 반경방향으로 동일하게 이격배치되는 펌프.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베플 각각은, 상기 하우징의 중심에 가깝게 배치되는 일측단부에서 연장되는 가상의 선이 상기 연통홀을 향하도록 형성되는 펌프.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흡입챔버를 형성하는 상부하우징과,
    상기 배출챔버를 형성하는 하부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하우징과 상기 하부하우징 사이에는, 상기 격벽이 형성되어, 상기 흡입챔버와 상기 배출챔버를 구획하는 펌프.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하우징은, 동일반경을 가지고,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둘레면과, 상기 둘레면의 상측을 커버하는 상부면을 포함하고,
    상기 둘레면 일측에는, 상기 흡입노즐이 배치되는 펌프.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베플은, 상기 격벽으로부터 상기 상부하우징의 상부면까지 상측으로 연장되는 펌프.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베플은,
    상기 격벽의 상측에 배치되고, 소정의 길이를 가지고,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제1베플;
    상기 격벽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1베플보다 긴 길이를 가지고,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제2베플; 및
    상기 격벽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1베플보다 길고 상기 제2베플보다 짧은 길이를 가지고,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3베플을 포함하는 펌프.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베플의 외측단부는, 상기 상부하우징의 둘레면에 접하도록 배치되는 펌프.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노즐과 상기 하우징이 연결되는 부분에서, 상기 흡입노즐 내부에 형성되는 흡입유로와 상기 흡입챔벌를 연통시키는 흡입노즐 연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1베플과 상기 제2베플은, 상기 흡입노즐 연통홀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펌프.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노즐 연통홀은, 상기 제1베플과 상기 제2베플 사이에 배치되는 펌프.
  1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노즐은, 상기 제1베플이 배치되는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연장되는 펌프.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노즐 연통홀로부터 상기 흡입노즐로부터 상기 흡입챔버로 유입된 유체가 유동하는 방향으로 상기 제1베플,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3베플, 및 상기 제2베플이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펌프.
  14.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베플은, 상기 제1베플보다 길고 상기 제2베플보다 짧은 길이를 가지는 복수의 제3베플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제3베플은, 서로 다른 길이를 가지는 펌프.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3베플 각각은, 상기 제1베플에서 상기 흡입노즐로부터 상기 흡입챔버로 유입된 유체가 유동하는 방향으로 갈수록 길이가 증가하는 펌프.
  16.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은,
    상기 하우징과 접하는 외측단부에서 상기 연통홀이 형성되는 일측단부로 갈수록 상기 흡입챔버 방향으로 경사진 형태를 가지는 펌프.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은,
    상기 하우징의 둘레면과 접하는 외측단부에서 상기 연통홀이 형성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테두리면;
    상기 테두리면에서 상기 연통홀 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흡입챔버 방향으로 경사진 경사면; 및
    상기 경사면에서 상기 배출챔버 방향으로 절곡되는 배출가이드부포함하는 펌프.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베플은, 상기 경사면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2베플과 상기 제3베플은, 상기 경사면에서부터 상기 테두리면에 걸쳐서 배치되는 펌프.
KR1020200019276A 2020-02-17 2020-02-17 펌프 KR20210104479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9276A KR20210104479A (ko) 2020-02-17 2020-02-17 펌프
DE102021201337.6A DE102021201337A1 (de) 2020-02-17 2021-02-12 Pumpe
US17/176,287 US11661953B2 (en) 2020-02-17 2021-02-16 Pump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9276A KR20210104479A (ko) 2020-02-17 2020-02-17 펌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4479A true KR20210104479A (ko) 2021-08-25

Family

ID=770610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9276A KR20210104479A (ko) 2020-02-17 2020-02-17 펌프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661953B2 (ko)
KR (1) KR20210104479A (ko)
DE (1) DE102021201337A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024292B1 (de) 1999-01-26 2004-08-04 Wilo Ag Kreiselpumpe mit Gasabscheidekammer
DE10118336B4 (de) * 2001-04-12 2016-03-24 Robert Bosch Gmbh Gebläse für eine Gas-Brennwertkesseltherme
US7578870B2 (en) * 2004-12-17 2009-08-25 Hamilton Sundstrand Corporation Fluid separating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10254631A1 (en) 2021-08-19
DE102021201337A1 (de) 2021-08-19
US11661953B2 (en) 2023-05-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283772B1 (en) An impeller for a centrifugal headbox feed pump
EP2899405A1 (en) Rotary machine
KR102647125B1 (ko) 공기청정기
US4355954A (en) Pump impeller
JP2008154863A (ja) 洗濯機
KR20210104479A (ko) 펌프
WO2021154053A1 (ko) 펌프
JP6712245B2 (ja) 洗濯機
JP2000342878A (ja) 攪拌翼およびこれを備えた洗濯機
JP6767765B2 (ja) 洗濯機
US20230078088A1 (en) Pump
KR20180097389A (ko) 임펠러 및 이를 가지는 의류처리장치용 배수펌프
TWI692583B (zh) 具有消音殼體之排水泵
CN220433243U (zh) 离心分离器和衣物处理装置
CN110578232B (zh) 衣物处理设备、用于衣物处理设备的平衡环
CN110578230B (zh) 衣物处理设备、用于衣物处理设备的平衡环
KR102316724B1 (ko) 원심펌프
KR20190096497A (ko) 송풍기
JP2005248732A (ja) ドレンポンプ及びそれを備えた空気調和装置
CN217438491U (zh) 水泵以及衣物处理装置
JP6487179B2 (ja) 送風機
JP6582086B1 (ja) ポンプ装置及びポンプケーシング
JP7474929B2 (ja) 排水ポンプ、およびこれを備える洗濯機
KR102313450B1 (ko) 원심펌프
CN116103890A (zh) 一种桶体组件及衣物处理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