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04394A - 의류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의류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04394A
KR20210104394A KR1020200019070A KR20200019070A KR20210104394A KR 20210104394 A KR20210104394 A KR 20210104394A KR 1020200019070 A KR1020200019070 A KR 1020200019070A KR 20200019070 A KR20200019070 A KR 20200019070A KR 20210104394 A KR20210104394 A KR 202101043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hing
information
washing machine
dryer
cy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90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주현우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190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04394A/ko
Publication of KR202101043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439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04Signal transfer or data transmission arrangements
    • D06F34/05Signal transfer or data transmission arrangements for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components, e.g. for remote monitoring or control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06F33/30Control of washing machine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33/44Control of the operating time, e.g. reduction of overall operating tim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06F33/50Control of washer-dryer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33/70Control of the operating time, e.g. reduction of overall operating tim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06Tim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28Arrangements for program selection, e.g. control panels therefor; Arrangements for indicating program parameters, e.g. the selected program or its progress
    • D06F34/34Arrangements for program selection, e.g. control panels therefor; Arrangements for indicating program parameters, e.g. the selected program or its progress characterised by mounting or attachment features, e.g. detachable control panels or detachable display pan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ntrol Of Washing Machine And Dry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조기의 예상종료시간과 세탁기의 예상종료시간의 차이를 감소시키기 위해 세탁기의 세탁코스를 변경시키는 세탁기 및 세탁기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의류처리장치{Laundry treating apparatus}
본 발명은 세탁기와 건조기가 상호 인식하여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페어링(pairing)의 설정방법 및 그 이용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류처리장치는 물과 세제의 작용을 통해 세탁물에 묻어 있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장치이다. 의류처리장치는 크게 교반식, 와류식 및 드럼식 의류처리장치로 구분될 수 있다.
교반식 의류처리장치는 세탁조의 중앙에 솟은 세탁봉을 좌우로 회전시켜 세탁하고, 와류식 의류처리장치는 세탁조 하부에 형성된 원판모양의 회전날개를 좌우로 회전시켜 수류와 세탁물 간의 마찰력을 이용하여 세탁하며, 드럼식 의류처리장치는 내부에 물 세제 및 세탁물을 넣고 드럼을 회전시켜 세탁한다.
드럼식 의류처리장치는 의류의 이물질을 분리 및 제거하는 세탁행정을 수행하는 세탁기와, 의류의 수분을 제거하는 건조행정을 수행하는 건조기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세탁기는 의류의 세탁을 수행하기 위해 복수의 세탁코스와 세탁옵션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세탁코스는 의류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세탁행정, 의류의 이물질과 세제를 분리하는 헹굼행정, 의류의 수분을 제거하는 탈수행정을 포함하여 형성하는 싸이클(cycle)을 이룰 수 있다.
상기 세탁옵션은 상기 세탁코스를 수행할 때 드럼의 회전속도(rpm), 수온, 수위, 스팀공급 등의 강도, 정도와, 상기 세탁행정, 헹굼행정 및 탈수행정의 횟수 등을 조절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세탁옵션은 세탁행정, 헹굼행정, 탈수행정을 수행함에 있어서, 각 행정의 반복 횟수, 각 행정을 수행할 때의 강도, 각 행정을 수행할 때의 드럼의 회전속도, 수온 및 수위의 정도, 스팀공급 등의 여부, 각 행정의 지속시간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조절하는 설정된 알고리즘 또는 제어방법일 수 있다.
상기 건조기는 의류의 건조를 수행하기 위해 복수의 건조코스와 건조옵션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건조코스는 의류의 수분을 제거하거나 구김을 제거하기 위해 열풍이나 스팀을 제공하는 건조행정을 포함하여 형성하는 싸이클(cycle)을 이룰 수 있다.
상기 건조옵션은 상기 건조코스를 수행할 때, 드럼의 회전속도, 열풍의 온도, 열풍의 강도, 열풍의 공급 횟수, 건조코스의 수행 시간 등을 조절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근래에는 상기 세탁기와 상기 건조기를 동시에 구비하여, 의류의 세탁이 완료되면 곧바로 의류를 건조하는 가정이 증가하고 있다. 이로써, 의류를 실내 또는 실외의 거치대에서 건조시키는 별도의 과정을 생략하여 공간활용도를 높일 수 있고 의류를 처리하는 데 소요되는 시간을 절약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세탁코스의 종료시간과 상기 건조코스의 종료시간은 일치하지 않을 수 있고, 세탁기와 건조기가 각각 세탁코스와 건조코스를 진행하는 도중에 세탁코스에 소요되는 시간과 건조코스에 소요되는 시간이 변경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세탁기의 작동이 상기 건조기의 작동보다 일찍 끝나게 되는 경우, 상기 세탁기의 내부에 위치한 의류는 상기 건조기의 작동이 종료될 때까지 상기 세탁기의 내부에 방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세탁기 내부에 방치된 세탁물은 마르거나 구김이 발생할 수 있고, 시간에 따라 냄새가 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세탁기와 건조기를 모두 사용하는 사용자에게 건조기의 행정이 종료되는 시간 문제로 세탁이 완료됨에도 즉시 건조를 진행할 수 없는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세탁기의 종료시간과 건조기의 종료시간의 차이가 줄어드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세탁기에 잔류한 세탁물이 마르는 것을 방지하고 구김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고 냄새가 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세탁기와 건조기를 모두 사용하는 사용자로부터 손실되는 시간을 줄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세탁기와 건조기를 페어링하여 동기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세탁기의 행정 중에 세탁코스를 변경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건조기의 완료시간과 초기 완료시간 대비 오차율을 예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설정된 건조기의 초기 완료시간과 건조기의 실제완료시간을 데이터로 구축하고 머신러닝 회귀식을 이용하여 건조기의 초기 완료시간을 예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투입구가 형성된 캐비닛,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드럼, 상기 드럼을 수용하며 세탁수를 저장하는 터브 및 상기 드럼을 회전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세탁기에 있어서, 상기 세탁기는, 의류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세탁행정, 의류의 이물질과 세제를 분리하는 헹굼행정 및 의류의 수분을 제거하는 탈수행정을 포함하는 세탁코스가 저장되는 제어부, 상기 세탁기와 페어링(pairing)된 건조기의 제1정보를 상기 세탁코스의 시작 전에 수신하여 상기 제어부에 송신하는 통신모듈를 포함하며, 상기 통신모듈은 상기 건조기의 제2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제어부에 송신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정보를 수신한 후에 상기 세탁코스를 변경시키는 세탁기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통신모듈은 상기 제1정보를 수신한 후에 상기 제2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정보를 상기 세탁코스의 시작 후에 상기 통신모듈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제1정보와 상기 제2정보는 상기 건조기의 예상종료시간일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세탁코스를 변경시키기 위해 상기 세탁코스 중 상기 세탁행정, 상기 헹굼행정 및 상기 탈수행정 중 적어도 하나의 행정을 추가하거나 삭제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세탁행정이 종료된 후에 상기 제2정보를 상기 통신모듈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세탁코스를 변경시키기 위해 상기 세탁코스 중 상기 헹굼행정 및 상기 탈수행정 중 적어도 하나의 행정을 추가하거나 삭제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정보가 상기 세탁코스의 예상종료시간보다 큰 경우, 상기 헹굼행정 및 상기 탈수행정 중 적어도 하나의 행정을 추가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정보가 상기 세탁코스의 예상종료시간보다 크고 상기 세탁기가 진행중인 행정이 상기 탈수행정인 경우, 상기 탈수행정을 추가할 수 있다.
상기 세탁기는 상기 제1정보와 상기 제2정보와 상기 세탁코스를 외부에 나타내는 표시부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세탁코스를 변경시킨 후 변경된 상기 세탁코스를 상기 표시부에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세탁기의 종료시간과 건조기의 종료시간의 차이를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세탁기에 잔류하는 세탁물 또는 의류가 마르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구김이 생기거나 냄새가 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세탁기와 건조기를 모두 사용하는 사용자의 시간을 절약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와 건조기가 도시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와 건조기가 연결된 상태가 도시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전반적인 제어과정이 도시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와 건조기의 페어링 과정이 도시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동실행 단계 중 다운로드 단계가 도시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동실행 단계 중 시작 단계가 도시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동실행 단계 중 확인 단계가 도시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동실행 단계 중 피드백 단계가 도시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동실행 단계 중 머신러닝 단계가 도시된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방법, 장치 및/또는 시스템에 대한 포괄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된다. 그러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상세한 설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기술하기 위한 것이며, 결코 제한적이어서는 안 된다. 명확하게 달리 사용되지 않는 한, 단수 형태의 표현은 복수 형태의 의미를 포함한다. 본 설명에서, "포함" 또는 "구비"와 같은 표현은 어떤 특성들, 숫자들, 단계들, 동작들, 요소들,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을 가리키기 위한 것이며, 기술된 것 이외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성, 숫자, 단계, 동작, 요소,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의 존재 또는 가능성을 배제하도록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와 건조기를 설명한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100)가 도시된 도면이며, 도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조기(200)가 도시된 도면이다.
세탁기(100)는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110), 캐비닛(110)의 내부에 구비되며 세탁수가 저장되는 터브(120), 터브(120)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세탁물 또는 의류가 저장되는 드럼(130), 드럼(130)에 토크를 인가하여 드럼(130)을 회전시키는 구동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캐비닛(110)에는 일측이 개구되어 형성되는 투입구(141)가 구비되며, 투입구(141)는 캐비닛(1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구비된 도어(140)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터브(120)는 일측이 개구되며 투입구(141)와 연통하는 터브 투입구(121)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터브(120)는 터브지지부(113)에 의해 캐비닛(110) 내부에 고정될 수 있다. 터브지지부(113)를 터브(120)의 진동이나 떨림 등을 흡수할 수 있는 스프링이나 댐퍼 등으로 구비될 수 있다.
터브 투입구(121)와 투입구(141) 사이에는 가스켓(111)이 구비될 수 있으며, 가스켓(111)은 터브(120) 내부에 위치하는 세탁수가 터브(120)의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가스켓(111)은 터브(120)의 진동이 캐비닛(110)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여 세탁기(100)의 내부에서 생성된 진동이 세탁기(100)의 외부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터브(120)는 급수부(170)를 통해 세탁수를 공급받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급수부(170)는 세탁기(100)의 외부에 위치하는 급수원(미도시)과 터브(120)를 연결하는 급수호스(171), 급수호스(171)를 개폐하는 급수밸브(173)를 포함하여 터브(120)에 세탁수를 공급할 수 있다.
급수호스(171)를 통해 유동하는 세탁수는 세제가 저장되는 세제저장부(14)를 거쳐 터브(120)의 내부로 유동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세제저장부(14)는 터브(120)의 상부에 위치할 수 있고, 세제가 저장되는 저장공간(161)과 저장공간(161)을 터브(120)와 연통시키는 공급관(143)을 포함할 수 있다.
급수호스(171)가 저장공간(161)과 연결되는 경우, 급수원(미도시)로부터 공급된 세탁수는 급수호스(171)를 통해 저장공간(161)을 유동하고, 저장공간(161)에 저장된 세제는 세탁수와 접촉되어 세탁수와 함께 터브(120)로 공급될 수 있다.
터브(120)의 내부로 유동한 세탁수는 배수부(180)를 통해 캐비닛(11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배수부(180)는 터브(120)와 연통되어 터브(120)의 내부에 위치한 세탁수를 캐비닛(110)의 외부로 배출하는 배수호스(181)와, 세탁수의 유동을 유발하거나 돕는 배수펌프(183)를 포함할 수 있다.
드럼(130)은 터브 투입구(121)와 연통되는 드럼 투입구(131)를 포함할 수 있다. 이로써, 세탁물 또는 의류는 도어(140), 투입구(141), 터브투입구(121) 및 드럼 투입구(131)를 순차적으로 거쳐 드럼(130)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드럼(130)의 내부에 위치한 세탁물 또는 의류는 드럼(130)에 형성된 복수 개의 관통홀(133)에 의해 세탁수와 접촉할 수 있다. 즉, 터브(120)에 저장된 세탁수는 드럼(130)에 형성된 복수 개의 관통홀(133)을 통해 드럼(130)의 내부로 유동할 수 있다.
드럼(130)은 터브(120)의 외부에 구비되는 구동부(150)에 의해 회전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구동부(150)는 터브(120)에 고정되며 회전자계를 형성하는 스테이터(151), 스테이터(151)의 회전자계에 의해 회전하는 로터(153)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구동부(150)는 로터(153)의 회전력을 드럼(130)에 전달하기 위해 로터(153)와 드럼(130)을 연결하는 회전축(15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회전축(155)은 터브(120)의 배면을 관통하여 드럼(130)과 연결됨이 바람직하고, 이 경우 터브(120)의 배면에는 회전축(155)을 지지하는 베어링(123)이 구비될 수 있다.
건조기(200)는 외관을 형성하는 건조캐비닛(210), 건조캐비닛(210)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세탁물 또는 의류가 저장되는 건조드럼(220), 건조드럼(220)에 회전력 또는 토크를 인가하여 건조드럼(220)을 회전시키는 건조구동부(250)를 포함할 수 있다.
건조캐비닛(210)에는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건조도어(230)가 결합될 수 있으며, 건조도어(230)의 회전에 따라 건조캐비닛(210)에 형성되는 건조투입구(231)는 선택적으로 개폐될 수 있다.
건조드럼(220)은 건조투입구(231)와 연통되어 형성되는 건조드럼투입구(221)를 포함하여 세탁물 또는 의류를 건조기(200)의 외부에서 건조드럼(220)의 내부로 이동시킬 수 있는 통로를 제공할 수 있다.
건조드럼(220)의 내부로 위치한 세탁물 또는 의류는 건조부(240)에 의해 세탁물 또는 의류에 포함되는 수분이 제거될 수 있다.
이를 위해, 건조부(240)는 열에너지를 전달하는 열교환부(243)와, 열교환부(243)에서 건조드럼(220)을 연결하여 건조드럼(220)의 내부로 열에너지가 교환된 공기를 제공하는 공급덕트(241)와, 건조드럼(220)에서 세탁물 또는 의류에 열에너지를 제공한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배출덕트(245)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건조드럼(220)은 배출홀(223)을 더 포함하여 건조드럼(220)의 내부에 위치한 공기를 배출덕트(245)로 안내할 수 있다.
건조드럼(220)은 건조구동부(250)에 의해 회전될 수 있다.
이를 위해 건조구동부(250)는 회전자계를 형성하는 스테이터와 상기 스테이터에 의해 회전하는 로터를 포함하는 모터(251), 상기 모터(251)와 결합되어 로터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모터축(253), 상기 모터축(253)과 연결되어 토크 또는 회전력을 전달받는 풀리(257) 및 상기 풀리(257)와 건조드럼(220)을 연결하여 건조드럼(220)에 토크 또는 회전력을 전달하는 벨트(259)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건조부(240)는 공기의 유동을 형성하는 팬(247)을 더 포함하여 공기의 유동을 형성할 수 있고, 건조구동부(250)는 배출홀(223)과 배출덕트(245)를 연결하는 연결덕트(255)를 더 포함하여 건조드럼(220)에서 배출된 공기를 외부로 안내할 수 있다.
이로써, 세탁기(100)는 세탁행정, 헹굼행정, 탈수행정을 수행할 수 있으며, 건조기(200)는 건조행정을 수행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2를 참조하여 세탁기(100)와 건조기(200)가 페어링(pairing, 상호 연결)되어 데이터를 주고 받는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100)와 건조기(200)가 온라인 시스템을 이용하여 페어링 설정되는 일 실시예가 도시된 도면이다.
상기 온라인 시스템은 세탁기(100)와 건조기(200)를 페어링 설정하기 위해 AP(Access Point, 300), 외부단말기(400) 및 서버(500)를 포함할 수 있다.
AP(300, 공유기)는 세탁기(100)와 건조기(200), 그리고 후술하는 외부단말기(400)가 서버(500) 또는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는 거점(Point)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즉, AP(300)는 세탁기(100) 또는 건조기(200)가 설치된 공간에 설치되어 세탁기(100) 또는 건조기(200)에서 송수신되는 무선 신호를 세탁기(100) 또는 건조기(200)가 설치된 공간에 연결된 인터넷 라인(유선 또는 무선)에 연결시킬 수 있다.
이로써, 세탁기(100) 또는 건조기(200)는 AP(300)를 통해 상호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그러나, 세탁기(100)와 건조기(200)가 상호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해서는 상호 정보가 우선적으로 등록(등록 단계, R)되어야 한다. 즉, 세탁기(100)는 건조기(200)를 특정해야 하고, 건조기(200)는 세탁기(100)를 특정해야 상호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세탁기(100)와 건조기(200)가 페어링되어 상호 정보를 송수신하기 전의 등록 단계(R)를 위해 서버(500)를 이용할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외부단말기(400)를 더 이용할 수 있다.
등록 단계(R)를 위해 서버(500)는 세탁기(100)와 건조기(200)를 포함하는 가전제품에 직접 접근하는 것이 가능하게 만들어 질 수 있고, 세탁기(100)와 건조기(200)를 포함하는 복수 개의 가전제품에 관한 정보가 등록될 수 있다.
따라서, 세탁기(100)와 건조기(200)를 상호 특정하기 위해 사용자가 서버(500)에 접근하면, 서버(500)는 세탁기(100)에 건조기(200)의 정보를 제공하고, 건조기(200)에 세탁기(100)의 정보를 제공하여 세탁기(100)와 건조기(200)를 상호 연결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서버(500)는 세탁기(100)와 건조기(200)에 고유식별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서버(500)로부터 고유식별정보를 요청 받은 세탁기(100)와 건조기(200)는 서버(500)에 고유식별정보를 제공할 수 있고, 여기에서 고유식별정보란 세탁기(100) 또는 건조기(200)의 제품명, 제품의 시리얼 넘버, 세탁기(100) 또는 건조기(200)가 정보를 송수신하기 위해 사용되는 AP(300)의 주소를 포함할 수 있다.
이로써, 서버(500)는 등록의 대상이 되는 세탁기(100)와 건조기(200)를 특정하여 세탁기(100)와 건조기(200)에 접근하는 경로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세탁기(100)와 건조기(200)를 서버(500)에 등록하는 등록단계(R)는 세탁기(100) 또는 건조기(200)에서 실행될 수도 있으나, 외부단말기(400)를 통해서도 실행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외부단말기(400)는 통신모듈, 문자입력수단, 표시수단, 중앙처리장치(CPU), 운영체제(OS) 그리고 저장수단을 포함하는 기기임이 바람직하다. 일 예시로, 외부단말기(400)는 노트북이나 스마트폰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외부단말기(400)를 이용하여 사용자 사이트에 접근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자 사이트란, 세탁기(100)와 건조기(200)를 포함하는 다양한 가전제품을 서버(500)에 등록하기 위한 수단으로, 서버(500)에 접근하려는 사용자를 특정하기 위해 사용자로 하여금 특정을 위한 일련의 과정을 요구할 수 있다.
상기 일련의 과정은 사용자의 id를 생성하여 사용자 사이트에 등록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는 외부단말기(400)를 통해 사용자 사이트에 접근하여 등록하고자 하는 가전제품을 등록할 수 있다.
다만, 외부단말기(400)를 통해 세탁기(100)와 건조기(200)를 포함하는 가전제품을 서버(500)에 등록하는 경우, 서버(500)는 사용자의 특정을 위해 사용자에게 외부단말기(400)로 AP(300)를 통해 사용자 사이트에 접속하도록 요구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외부단말기(400)를 통해 사용자 사이트에 접속하지 않고 응용프로그램(Application)을 통해 세탁기(100) 또는 건조기(200)를 포함하는 가전제품을 서버(500)에 등록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서버(500)는 사용자에게 사용자를 특정하기 위한 일련의 과정을 거치도록 요구할 수 있으며, AP(300)를 통해 응용프로그램에 접근하도록 요구할 수 있다.
한편, 세탁기(100)와 건조기(200)는 전술한 등록 단계(R)와 후술하는 페어링 단계(P) 등을 위해 요구되는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세탁기(100)는 세탁기(100)의 정보를 외부에 표시하는 세탁표시부(191), 사용자로부터 세탁코스 등의 입력을 받는 세탁버튼(193), 영상신호를 수신하는 세탁카메라(195) 및 음성신호를 수신하는 세탁마이크(197)를 포함하는 세탁입력표시부(1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세탁기(100)는 전술한 등록 단계(R)에서 송수신된 정보를 제어하거나 저장하며, 드럼(130)의 내부에 위치한 세탁물 또는 의류의 양을 감지하고 세탁코스 별로 드럼(130)의 회전수를 제어하는 제어부(100a)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건조기(200)는 건조기(200)의 정보를 외부에 표시하는 건조표시부(261), 사용자로부터 건조코스 등의 입력을 받는 건조버튼(263), 영상신호를 수신하는 건조카메라(265) 및 음성신호를 수신하는 건조마이크(267)를 포함하는 건조입력표시부(2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건조기(200)는 전술한 등록 단계(R)에서 송수신된 정보를 제어하거나 저장하며, 건조드럼(220)의 내부에 위치한 세탁물 또는 의류의 양을 감지하고 건조코스 별로 건조드럼(220)의 회전수를 제어하는 건조제어부(200a)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더불어, 세탁기(100)에는 외부와 통신 가능한 통신모듈(100b)이 구비되고, 건조기(200)에는 외부와 통신 가능한 건조통신모듈(200b)이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세탁기(100)와 건조기(200)는 페어링되기 전에 서버(500)에 등록될 수 있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등록 단계(R) 이후의 전반적인 과정을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전반적인 제어 과정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100)는 등록 단계(R) 이후에 페어링 단계(P), 페어링 단계(P) 이후에 연동실행 단계(I)를 거쳐 제어될 수 있다.
상기 연동실행 단계(I)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100)가 건조기(200)와 송수신된 정보를 이용하여 제어되는 단계를 의미할 수 있으며, 세탁기(100) 외의 가전제품(예컨대, 건조기)의 정보를 토대로 제어되므로 페어링 단계(P) 이후에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상기 연동실행 단계(I)는 세탁기(100)의 종료시간과 건조기(200)의 종료시간의 차이를 줄이기 위해, 세탁코스의 작동 전에 세탁코스를 추천하는 시작 단계(S), 세탁코스의 진행 도중 건조기로부터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신하여 세탁코스를 변경하는 피드백 단계(F)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100)는 건조기(200)의 예상종료시간을 수신하여 세탁코스를 형성(S)할 수 있고, 세탁코스가 진행되는 도중에도 건조기(200)의 예상종료시간을 수신하여 세탁코스를 변경(F)할 수 있다.
따라서, 연동실행 단계(I)를 거친 세탁기(100)는 세탁코스의 종료에도 세탁물 또는 의류가 드럼(130)에 오랜 시간 동안 잔류하여 마르거나, 구김이 발생하거나, 냄새를 유발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도 4 내지 9를 참조하여 페어링 단계(P), 연동실행 단계(I)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100)와 건조기(200)의 페어링 단계(P)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100)와 건조기(200)는 외부단말기(400)를 통하여 페어링 될 수 있다.
페어링 단계(P)는 전술한 등록 단계(R) 이후의 과정으로, 등록 단계(R)에서 서버(500)에 저장된 세탁기(100)와 건조기(200)의 고유식별정보를 사용할 수 있다.
사용자는 외부단말기(400)에서 응용프로그램(Application)을 실행시킬 수 있다(P1). 다만, 등록 단계(R)에서와 달리 사용자가 외부단말기(400)를 통해 응용프로그램에 접근함에 있어, 세탁기(100) 또는 건조기(200)와 연결된 AP(300)를 통하지 않을 수 있다. 등록 단계(R)를 거친 후면, 세탁기(100) 또는 건조기(200)의 위치가 AP(300)에 의해 특정된 상태이기 때문이다. 예컨대, 사용자는 3G, LTE, 4G 등 기지국 또는 통신망을 통하여 응용프로그램에 접근할 수 있다.
응용프로그램에 접근한 사용자는 사용자 특정을 위한 일련의 과정(예컨대, 로그인)을 거칠 수 있다. 이로써, 특정된 사용자는 서버(500)에 페어링 가능한 기기목록을 요청(P2)할 수 있다.
특정된 사용자로부터 페어링 가능한 기기목록을 요청받은 서버(500)는 페어링 가능한 기기목록을 생성할 수 있고, 생성된 기기목록을 외부단말기(400)에 전달(P3)할 수 있다.
서버(500)로부터 페어링 가능한 기기목록을 전달받은 외부단말기(400)는 외부단말기(400)의 표시부에 페어링 가능한 기기목록을 제공할 수 있으며, 동시에 페어링의 대상이 되는 기기목록을 입력받을 수 있다.
사용자가 외부단말기(400)에 페어링의 대상이 되는 기기목록(본 문서에서는 세탁기와 건조기)을 설정 입력(P4)하면, 외부단말기(400)는 페어링의 설정정보를 생성(P5)할 수 있고, 이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서버(500)에 페어링을 요청(P6)할 수 있다.
상기 페어링의 설정정보는 기기목록 중 선택된 기기들의 고유식별번호, 시리얼 넘버 등의 정보일 수 있다. 또한, 외부단말기(400)는 서버(500)에 페어링을 요청(P6)하면서 상기 페어링의 설정정보를 함께 제공할 수 있다.
페어링을 요청받은 서버(500)는 페어링의 설정정보를 저장(P7)한 후, 페어링 설정을 개시(P8)할 수 있다.
서버(500)에서 페어링 설정이 개시(P8)된 후, 서버(500)는 세탁기(100)와 건조기(200)의 통신 연결상태를 확인(P9)할 수 있다. 따라서, 서버(500)는 세탁기(100)와 건조기(200) 각각에 통신 여부를 확인하는 정보를 송신할 수 있고, 세탁기(100)와 건조기(200)는 서버(500)에 회신하여 통신 가능여부를 서버(500)에 알릴 수 있다.
서버(500)는 세탁기(100)와 건조기(200) 중 적어도 하나의 기기가 서버(500)와 통신이 불가능한 상태라고 판단하면, 외부단말기(400)에 상기 상태를 송신하고, 외부단말기(400)는 사용자로 하여금 세탁기(100)와 건조기(200) 중 적어도 하나의 기기가 통신이 불가능한 상태임을 표시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세탁기(100)와 건조기(200)의 통신 연결상태를 우선적으로 확인 한 후 페어링 단계(P)를 거칠 수 있다.
서버(500)는 세탁기(100)와 건조기(200) 모두가 서버(500)와 통신이 가능한 상태라고 판단하면, 세탁기(100) 및 건조기(200)에 페어링등록 명령을 송신(P10)할 수 있다.
상기 페어링등록 명령에는 세탁기(100)와 건조기(200)의 페어링을 위한 고유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서버(500)로부터 페어링등록 명령을 수신한 세탁기(P11a)는 페어링등록에 관한 정보를 저장(P12a)할 수 있다. 또한, 페어링등록에 관한 정보를 저장한 세탁기(100)는 페어링등록에 관한 정보를 토대로 페어링을 설정(P13a)할 수 있고, 페어링의 설정여부에 대한 정보를 외부에 표시(P14a)할 수 있다. 페어링의 설정여부를 외부에 표시하기 위해, 세탁기(100)는 LED와 같은 조명을 이용할 수도 있고 입력표시부(190)를 통해 외부에 표시할 수 있다.
이로써, 세탁기(100)는 페어링이 완료되었다는 정보를 서버(500)에 송신(P15a)할 수 있다.
서버(500)로부터 페어링등록 명령을 수신한 건조기(P11b)는 페어링 등록에 관한 정보를 저장(P12b)할 수 있다. 또한, 페어링등록에 관한 정보를 저장한 건조기(200)는 페어링등록에 관한 정보를 토대로 페어링을 설정(P13b)할 수 있고, 페어링의 설정여부에 대한 정보를 외부에 표시(P14b)할 수 있다. 페어링의 설정여부를 외부에 표시하기 위해, 건조기(200)는 LED와 같은 조명을 이용할 수 있고 건조입력표시부(260)를 통해 외부에 표시할 수 있다.
이로써, 건조기(200)는 페어링이 완료되었다는 정보를 서버(500)에 송신(P15b)할 수 있다.
세탁기(100)와 건조기(200)로부터 페어링이 완료되었다는 정보를 수신한 서버(500)는 페어링에 관한 정보를 서버(500)에 저장하고 페어링을 유지(P16)할 수 있다.
물론, 도 4에 명시되진 않았지만, 세탁기(100)와 건조기(200)는 AP(400)를 거쳐 서버(500)와 통신할 수 있다.
한편, 세탁기(100)는 건조기(200)와 상호 연결되는 페어링 단계(P)를 거친 후, 건조기(200)의 예상종료시간을 수신하여 세탁코스를 형성(S)하기 위한 다운로드 단계(D)를 거칠 수 있다.
상기 다운로드 단계(D)는 연동실행 단계(I)에 포함되나, 연동실행 단계(I)에 필연적인 과정은 아닐 수 있으며, 상기 다운로드 단계(D)에서 다운로드 된 정보를 통해 사용자는 건조기(200)의 예상종료시간을 수신하여 세탁코스를 변경시킬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세탁기(100)에 건조기(200)의 예상종료시간을 수신하여 기 설정된 세탁코스를 변경시킬 수 있는 코스가 저장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다운로드 단계(D)는 연동실행 단계(I)에서 필수적인 과정이 아닐 수 있다. 그러나, 세탁기(100)와 페어링될 건조기(200)는 다양한 종류의 건조기일 수 있다는 점, 다양한 건조기별로 세탁기(100)에 제공할 수 있는 예상종료시간의 산출 방법이 상이하다는 점 등을 고려하면, 세탁기(100)는 다운로드 단계(D)를 통해 후술하는 시작 단계(S)와 피드백 단계(F)를 제어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할 수 있다.
도 5를 통해 다운로드 단계(D)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사용자는 외부단말기(400)를 통해 다운로드 단계(D)를 진행할 수 있다. 사용자는 외부단말기(400)에서 응용프로그램을 실행(D1)하여 다운로드 단계(D)를 시작할 수 있다.
사용자는 응용프로그램을 통해 서버(500)에게 다운로드 가능한 코스를 요청(D2)할 수 있다.
사용자로부터 다운로드 가능한 코스를 요청 받은 서버(500)는 사용자에게 다운로드 가능한 코스목록을 제공(D3)할 수 있다.
외부단말기(400)는 서버(500)로부터 다운로드 가능한 코스목록을 전달받아 외부에 표시할 수 있고, 사용자로부터 다운로드 할 코스를 입력 받을 수 있다(D4).
사용자로부터 다운로드 할 코스를 입력 받은 외부단말기(400)는 서버(500)에 입력된 코스를 요청할 수 있고, 서버(500)는 입력된 코스를 세탁기(100)에 제공(D5)할 수 있다.
세탁기(100)는 서버(500)로부터 다운로드 된 코스를 저장(D6)하여 후술하는 연동실행 단계(I)를 시작할 수 있다.
다만, 도 5에는 외부단말기(400)를 통해 서버(500)로부터 코스를 다운로드 하는 세탁기(100)의 모습이 도시되나, 세탁기(100)는 외부단말기(400)를 거치지 않고 직접 서버(500)로부터 코스를 다운로드 받을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외부단말기(400)의 조작을 대신해 세탁기(100)를 통해 서버(500)에 접근할 수 있고, 서버(500)로부터 코스를 다운로드 받을 수 있다. 당연히, 세탁기(100)에는 사용자에게 다운로드 할 코스를 제시하고,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코스를 입력할 수 있는 표시부와 입력부가 구비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서버(500)로부터 다운로드 되는 코스는 기 저장된 코스를 변경하는 제어방법이 포함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세탁기(100)에는 의류의 세탁을 수행하기 위해 복수의 세탁코스와 세탁옵션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세탁코스는 의류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세탁행정, 의류의 이물질과 세제를 분리하는 헹굼행정, 의류의 수분을 제거하는 탈수행정을 포함하여 형성하는 싸이클(cycle)을 이룰 수 있다.
상기 세탁옵션은 상기 세탁코스를 수행할 때 드럼의 회전속도(rpm), 수온, 수위, 스팀공급 등의 강도, 정도와, 상기 세탁행정, 헹굼행정 및 탈수행정의 횟수 등을 조절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세탁옵션은 세탁행정, 헹굼행정, 탈수행정을 수행함에 있어서, 각 행정의 반복 횟수, 각 행정을 수행할 때의 강도, 각 행정을 수행할 때의 드럼의 회전속도, 수온 및 수위의 정도, 스팀공급 등의 여부, 각 행정의 지속시간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조절하는 설정된 알고리즘 또는 제어방법일 수 있다.
여기에서 기 저장된 코스라 함은 세탁기(100)의 자체에 저장된 복수 개의 행정들, 행정들로 이루어진 세탁코스들, 세탁코스들을 일부 또는 전부를 변경 가능한 세탁옵션을 의미할 수 있다.
따라서, 서버(500)로부터 다운로드 된 코스에 의해 기 저장된 세탁코스가 변경되거나 기 저장된 세탁코스의 세탁옵션이 변경됨은, 변경된 코스를 세탁기(100)가 자체적으로 사용자에게 제시(시작 단계, S)하고, 세탁코스의 진행 도중 건조기(200)의 예상종료시간을 전달받아 진행중인 세탁코스를 세탁기(100)의 자체에서 변경(피드백 단계, F)시키는 제어방법을 의미할 수 있다.
이로써, 연동실행 단계(I)는 사용자의 개입 전에 건조기(200)로부터 건조기(200)의 예상종료시간을 전달받아 건조기(200)의 예상종료시간과 세탁기(100)의 예상종료시간의 차이가 줄어들도록 할 수 있다.
이하, 도 6을 참조하여 세탁코스의 진행 전 사용자에게 변경된 세탁코스를 추천하는 시작 단계(S)를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작 단계(S)의 과정이 도시된 도면이다.
사용자는 다운로드 단계(D)에서 다운된 코스를 세탁기(100)에 입력(S1)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는 세탁기(100)의 입력표시부(190)를 통해 다운된 코스를 입력할 수 있고, 외부단말기(400)를 통해 다운된 코스를 입력할 수 있다. 물론, 외부단말기(400)를 통해 입력된 코스는 서버(500)를 거쳐 세탁기(100)로 전달될 수 있다.
세탁기(100)에 다운된 코스가 입력된 후, 세탁기(100)는 연산 단계(S2)를 거칠 수 있다.
연산 단계(S2)는 다운된 코스의 입력(S1) 후 세탁기(100)의 예상종료시간과 건조기(200)의 예상종료시간을 비교하기 전까지의 과정을 의미할 수 있다.
연산 단계(S2)는 드럼(130)의 내부에 위치한 세탁물 또는 의류의 양을 감지하는 포량감지 단계(S2a), 드럼(130)의 내부에 위치한 세탁물 또는 의류의 양을 통해 세탁기(100)의 예상종료시간을 산출하는 예상종료시간 생성 단계(S2b), 건조기(200)로부터 예상종료시간을 수신하여 저장하는 단계(S2c 내지 S2f)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에는 포량감지 단계(S2a), 예상종료시간 생성 단계(S2b) 후에 건조기(200)로부터 예상종료시간을 수신하는 과정이 도시되나, 반드시 이에 제한되지 않을 것이다. 예컨대, 세탁기(100)는 건조기(200)로부터 예상종료시간을 수신한 후에 포량감지 단계(S2a)를 실시 할 수 있고, 건조기(200)로부터 예상종료시간을 수신함과 동시에 포량감지 단계(S2a)를 실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건조기(200)로부터 예상종료시간을 수신하여 저장하는 단계(S2c 내지 S2f)는, 세탁기(100)에서 서버(500)로 건조기(200)의 예상종료시간을 요청하는 단계(S2c), 서버(500)가 건조기(200)로 예상종료시간을 전달하면, 건조기(200)가 서버(500)에 건조기(200)의 예상종료시간을 송신하는 단계(S2d), 건조기(200)의 예상종료시간을 수신하는 단계(S2e), 수신된 건조기(200)의 예상종료시간을 저장하는 단계(s2f)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세탁기(100)가 건조기(200)에 건조기(200)의 예상종료시간을 요청함에 있어서, 서버(500)를 통할 수 있다.
후에, 세탁기(100)는 세탁기(100)의 예상종료시간과 건조기(200)의 예상종료시간을 비교하는 단계(S3)를 거칠 수 있다.
한편, 세탁기(100)의 예상종료시간은 전술한 포량감지 단계(S2a)에서 산출된 자료를 토대로 정해질 수 있고, 건조기(200)의 예상종료시간도 건조드럼(220) 내부의 세탁물 또는 의류의 양을 토대로 정해질 수 있다.
세탁기(100)의 예상종료시간이 건조기(200)의 예상종료시간보다 큰 경우, 세탁기(100)는 제어부(100a)에 저장된 세탁코스 중 어느 하나를 추천(S4a)할 수 있다.
달리 말하면, 세탁기(100)가 세탁코스를 실행하고 종료되는 시간이 건조기(200)가 건조코스를 실행하고 종료되는 시간보다 느려 세탁기(100)가 더 늦게 작동이 중지되는 경우, 제어부(100a)는 제어부(100a)에 기 저장된 세탁코스 중 어느 하나를 추천(S4a)할 수 있다.
이 때, 제어부(100a)는 표시부(191)를 통해 제어부(100a)에 저장된 세탁코스 중 어느 하나를 표시할 수 있고, 사용자는 세탁버튼(193), 세탁카메라(195), 세탁마이크(197) 중 적어도 하나에 세탁코스를 입력(S5a)할 수 있다.
사용자로부터 세탁코스를 입력 받은 후에 제어부(100a)는 입력 받은 코스를 실행(S6a) 할 수 있다.
세탁기(100)의 예상종료시간이 건조기(200)의 예상종료시간보다 작거나, 세탁기(100)가 종료되는 시간이 건조기(200)가 종료되는 시간보다 빠른 경우, 제어부(100a)는 제어부(100a)에 저장된 세탁코스에서 세탁옵션을 변경하여 추천(S4b)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00a)는 저장된 세탁코스에서 세탁행정, 헹굼행정 또는 탈수행정 중 적어도 하나의 행정을 추가하거나, 세탁행정, 헹궁행정 또는 탈수행정 중 적어도 하나의 행정의 구동시간을 늘려 제어부(100a)에 저장된 세탁코스를 변경시킬 수 있다.
즉, 제어부(100a)는 제어부(100a)에 저장된 세탁코스의 예상종료시간보다 변경된 세탁코스의 예상종료시간이 더 길어지도록 제어부(100a)에 저장된 세탁코스의 옵션을 변경시킬 수 있다.
또한, 제어부(100a)는 표시부(191)를 통해 변경된 세탁코스를 외부에 표시할 수 있고, 사용자는 세탁버튼(193), 세탁카메라(195), 세탁마이크(197) 중 적어도 하나에 변경된 세탁코스를 확인하거나 변경된 세탁코스를 재변경하도록 요청(S5b)할 수 있다.
변경된 세탁코스가 확인되면 제어부(100a)는 변경된 세탁코스를 실행(S6b)할 수 있고, 변경된 세탁코스가 사용자로부터 허가되거나 확인되지 않는 경우 제어부(100a)는 제어부(100a)에 저장된 세탁코스의 세탁옵션을 다르게 변경하여 외부에 표시할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는 건조기(200)의 예상종료시간을 직접 세탁기(100)의 예상종료시간과 비교하지 않고도, 세탁기(100)의 예상종료시간과 건조기(200)의 예상종료시간의 차이가 줄어들도록 변경된 세탁코스를 추천 받을 수 있다.
특히, 세탁기(100)의 예상종료시간이 건조기(200)의 예상종료시간보다 작아 건조기(200)의 작동보다 일찍 종료되는 것이 예상되는 경우라 하더라도, 제어부(100a)는 세탁기(100)의 작동시간을 늘려 세탁코스를 구성할 수 있고, 이로써, 세탁기(100)가 건조기(200)보다 일찍 종료되어 세탁물 또는 의류에 생기는 문제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시작 단계(S)에서 전술한 예상종료시간은 예상종료시간을 요청한 시점부터 요청된 기기(예컨대, 세탁기 또는 건조기)가 세탁코스 또는 건조코스를 실행하고 종료될 때까지의 시간을 포함할 수 있고, 세탁코스 또는 건조코스가 종료되는 시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세탁기의 예상종료시간은 세탁코스가 진행하기 전의 예상종료시간으로 세탁코스가 진행되면 세탁코스의 진행에 따라 점차 줄어들 수 있다.
이로써, 시작 단계(S)에서는 세탁기(100)의 예상종료시간과 건조기(200)의 예상종료시간을 비교하여 세탁기(100)의 세탁코스를 추천할 수 있다.
한편, 시작 단계(S)에서 연산단계(S2) 및 연산단계(S2) 이후의 과정들(S3 내지 S6)은 모두 제어부(100a)에서 실행될 수 있다. 즉, 제어부(100a)는 드럼(130)에 위치한 세탁물 또는 의류의 양을 감지하여 세탁코스의 예상종료시간을 생성하고, 건조기(200)의 예상종료시간과 비교하여 세탁코스의 옵션을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00a)는 드럼(130)에 위치한 세탁물 또는 의류의 양을 감지하여 세탁코스의 예상종료시간을 제1시간으로 생성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100a)는 통신모듈(100b)로부터 건조기(200)의 예상종료시간을 수신 한 뒤에 세탁코스의 예상종료시간을 제2시간으로 변경할 수 있다. 통신모듈(100b)은 건조기(200)의 예상종료시간을 수신하여 제어부(100a)로 송신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시작 단계(S)에서 통신모듈(100b)이 수신하는 건조기(200)의 예상종료시간은 제1정보로 칭할 수 있다.
결국, 제어부(100a)는 제1정보와 제1시간을 비교하여 제1정보가 더 크면(세탁기가 건조기보다 일찍 종료되는 경우), 제1시간을 제2시간으로 변경하여 세탁코스의 진행 시간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제1시간을 제2시간으로 변경함에 있어 세탁코스를 이루는 세탁행정, 헹굼행정 및 탈수행정 중 적어도 하나를 추가하여 세탁코스를 형성할 수 있다. 더불어, 제어부(100a)는 변경된 세탁코스를 입력표시부(190)를 통해 외부에 나타낼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는 변경된 세탁코스를 확인할 수 있고, 변경된 세탁코스로 진행할지 혹은 변경된 세탁코스를 다시 변경할지를 입력할 수 있다. 달리 말하면, 제어부(100a)는 입력표시부(190)에 제2시간을 나타낼 수 있고, 사용자는 상기 제2시간을 확인한 후, 제2시간을 변경하거나 유지하여 세탁코스를 진행시킬 수 있다.
또한, 제어부(100a)는 제1정보와 제1시간을 비교하여 제1정보가 더 작으면(세탁기가 건조기보다 늦게 종료되는 경우), 제1시간을 제2시간으로 변경하지 않고 제1시간을 유지시킬 수 있다. 이는, 제어부(100a)가 기 설정된 세탁코스에서 세탁옵션을 변경하지 않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로부터 세탁코스의 시작이 입력되면 제어부(100a)는 세탁행정, 헹굼행정 및 탈수행정 각각에서 드럼(130)의 회전수를 다르게 설정하여 드럼(130)을 제어할 수 있다.
세탁코스의 진행 전 세탁코스를 변경하여 사용자에게 추천하는 시작 단계(S)의 이후에는 세탁코스의 진행 중 세탁코스를 변경하는 피드백 단계(F)가 진행될 수 있다. 다만, 건조기(200)의 예상종료시간이 지속적으로 바뀔 수 있는 점과 건조기(200)의 작동이 종료되었을 수 있다는 점 등을 고려하여 피드백 단계(F) 전에는 건조기(200)와 연동을 위한 확인 단계(C)가 선행됨이 바람직하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확인 단계(C)의 과정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세탁기(100)는 세탁코스가 진행 중인지 여부를 확인(C1)할 수 있다. 즉, 세탁기(100)는 시작 단계(S)를 지나 세탁코스가 입력되고, 입력된 세탁코스에 따라 세탁코스가 시작되었는지를 확인(C1) 할 수 있다.
세탁코스가 시작되면, 세탁기(100)는 건조기(200)의 작동여부를 확인(C2)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세탁기(100)가 서버(500)에 건조기(200)의 작동여부를 확인하고, 서버(500)는 세탁기(100)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건조기(200)에 전달 할 수 있다. 또한, 건조기(200)는 건조기(200)의 작동여부를 서버(500)에 송신(C3)하고, 서버(500)는 이를 세탁기(100)에 전달할 수 있다.
세탁기(100)는 건조기(200)의 작동 여부에 대한 정보를 수신(C4)하여, 건조기(200)가 작동되면 피드백정보를 서버(500)에 요청(C5)할 수 있다. 이 때, 세탁기(100)는 고유의 KEY를 서버(500)에 전송할 수 있고, 서버(500)는 세탁기(100)의 KEY를 전달받아 등록(C6)시킬 수 있다.
이로써, 세탁기(100)는 KEY를 기준으로 건조기(200)의 예상종료시간을 지속적으로 받거나 실시간으로 받을 수 있다.
이후, 서버(500)는 건조기(200)에 건조기(200)의 예상종료시간이 변경되는 경우 변경된 예상종료시간을 요청할 수 있다. 이로써, 건조기(200)는 건조코스의 예상종료시간이 변경됨에 따라 변경된 예상종료시간을 서버(500)에 송신(C7)할 수 있고, 서버(500)는 이를 세탁기(100)에 전달(C8)할 수 있다.
다만, 서버(500)는 건조기(200)의 예상종료시간이 변경될 때마다 세탁기(100)에 전달하지 않고, 변경 전의 건조코스의 예상종료시간과 변경 후의 건조코스의 예상종료시간의 차이를 계산하여 일정 시간(예컨대, 5분) 차이가 나면 변경 후의 예상종료시간을 세탁기(100)에 전달 할 수 있다.
이로써, 확인 단계(C)에서는 피드백 단계(F)의 진행 전 세탁기의 작동 상태, 건조기의 작동 상태 등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확인 단계(C)에서 지칭한 세탁기(100) 또는 건조기(200)는 각각 제어부(100a)와 건조제어부(200a)를 지칭할 수 있다.
또한, 세탁코스의 진행 후, 건조기(200)로부터 수신된 건조기(200)의 예상종료시간은 제2정보로 지칭될 수 있다.
이하,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드백 단계(F)를 설명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세탁코스는 세탁행정, 헹굼행정 및 탈수행정을 포함하며, 세탁코스를 형성하는 행정들은 나열된 순서대로 진행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한, 시작 단계(S)에서 건조기(200)로부터 제1정보를 수신한 세탁기(100)는 세탁코스를 변경하거나 유지하여 이미 건조기(200)의 예상종료시간을 고려했었다.
따라서, 세탁기(100)는 피드백 단계(F)에서 일정 시간이 경과 한 후 건조기(200)로부터 제2정보를 수신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세탁기(100)는 현재 진행 중인 세탁코스 중 세탁행정이 종료되었는지를 확인(F1)할 수 있다.
세탁기(100)는 세탁행정이 종료되었으면, 서버(500)로부터 제2정보가 수신되었는지를 확인(F2)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서버(500)는 건조기(200)로부터 제2정보가 변경될 때마다 제2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나, 서버(500)는 제2정보가 제1정보와 일정 시간 차이가 나야만 세탁기(100)에 전달할 수 있기 때문이다. 즉, 건조기(200)의 예상종료시간이 실시간으로 변경된다 하더라도 세탁기(100)는 건조기(200)의 예상종료시간을 전달받지 못할 수도 있다.
세탁기(100)가 제2정보를 서버(500)로부터 수신하면, 세탁기(100)는 제1정보와 제2정보를 비교(F3)할 수 있다.
세탁코스가 진행되고 나서 수신한 건조기(200)의 예상종료시간이 세탁코스가 진행되기 전 수신한 건조기(200)의 예상종료시간보다 작은 경우(제1정보가 제2정보보다 큰 경우), 세탁기(100)는 서버(500)로부터 수신한 제2정보를 저장(F4a)할 수 있다.
이후, 세탁기(100)는 제1정보와 제2정보의 차이를 계산하고 제1기준시간과 비교(F5a)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1기준 시간은 기 설정된 값일 수 있다.
제1정보와 제2정보의 차이가 제1기준시간보다 작으면 세탁기(100)는 현재 진행중인 세탁코스를 유지하여 진행(F6a)할 수 있다.
제1정보와 제2정보의 차이가 제1기준시간보다 큰 경우, 세탁기(100)는 현재 행정이 헹굼행정인지를 확인(F7a)할 수 있다. 여기에서, 헹굼행정을 확인함은 드럼(130)의 회전수를 확인하거나, 배수펌프의 온/오프 여부, 세탁행정의 종료여부 등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세탁기(100)는 현재 진행 중인 행정이 헹굼행정이면, 시작 단계(S)에서 추가된 행정이 있는지를 확인(F8a)할 수 있다.
시작 단계(S)에서 추가된 행정이 없다면, 세탁기(100)는 현재 진행중인 세탁코스를 유지하여 진행(F9a)할 수 있다.
그러나, 시작 단계(S)에서 추가된 행정이 있다면, 세탁기(100)는 현재 진행중인 세탁코스에서 추가된 행정을 삭제(F10a)할 수 있다.
만일, 진행중인 행정이 헹굼행정이 아닌 경우(F7a), 세탁기(100)는 시작 단계(S)에서 추가된 탈수행정이 있는지를 확인(F11a)할 수 있다.
세탁기(100)는 시작 단계(S)에서 추가된 탈수행정이 없는 경우, 현재 진행중인 세탁코스를 유지하여 진행(F12a)할 수 있다.
다만, 시작 단계(S)에서 추가된 탈수행정이 없는 경우, 현재 진행중인 세탁코스에서 추가된 탈수행정(F13a)을 삭제하여 세탁코스를 진행(F13a)할 수 있다.
이로써, 제1정보가 제2정보보다 커 건조기(200)가 시작 단계(S)에서 예상된 종료시간보다 일찍 끝나는 경우, 세탁기(100)는 추가된 행정이 있는지를 검토하고, 추가된 행정이 있는 경우에만 추가된 행정을 삭제하여 세탁기(100)의 예상종료시간과 건조기(200)의 예상종료시간의 차이를 줄일 수 있다.
한편, 제1정보가 제2정보보다 작아 시작 단계(S)에서 예상된 건조기의 종료시간이 세탁코스의 진행 도중에 길어진 경우, 세탁기(100)는 제2정보를 저장(F4b)할 수 있다.
세탁기(100)는 제2정보와 제1정보의 차이를 제1기준시간과 비교(F5b)할 수 있다.
만일, 제2정보와 제1정보의 차이가 제1기준시간보다 작은 경우. 세탁기(100)는 현재 진행중인 세탁코스를 유지하여 진행(F6b)할 수 있다. 즉, 세탁기(100)가 건조기(200)보다 일찍 종료되더라도, 제1기준시간 미만의 차이로 종료되는 경우라면 드럼(130) 내부의 세탁물 또는 의류에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적기 때문에 진행중인 세탁코스를 유지할 수 있다.
제2정보와 제1정보의 차이가 제1기준시간보다 큰 경우, 세탁기(100)는 제2정보와 제1정보의 차이를 제2기준시간과 비교(F7b)할 수 있다.
제2정보와 제1정보의 차이가 제2기준시간보다 큰 경우, 세탁기(100)는 현재 진행중인 행정이 헹굼행정인지를 확인(F8b)할 수 있다.
현재 진행중인 행정이 헹굼행정인 경우, 세탁기(100)는 현재 진행중인 세탁코스에서 헹굼행정 및 탈수행정을 추가(F9b)하여 세탁코스의 진행시간을 증가시킬 수 있다.
그러나, 현재 진행중인 행정이 헹굼행정이 아닌 경우, 세탁기(100)는 현재 진행중인 세탁코스에서 탈수행정만 추가(F10b)할 수 있다. 이 경우, 탈수행정을 복수 회 추가할 수 있으나, 지나친 탈수행정은 세탁물 또는 의류를 손상케 할 수 있으므로, 최대 2회만 추가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한편, 제2정보와 제1정보의 차이가 제2기준시간보다는 작은 경우, 세탁기(100)는 현재 진행중인 행정이 헹굼행정인지를 확인(F11b)할 수 있다. 즉, 세탁기(100)는 제2정보와 제1정보의 차이가 제1기준시간보다 크고 제2기준시간보다 작은 경우, 현재 진행중인 행정이 헹굼행정인지를 확인(F11b)할 수 있다.
현재 진행중인 행정이 헹굼행정인 경우, 세탁기(100)는 현재 진행중인 세탁코스에서 헹굼행정을 추가(F12b)할 수 있다. 이 경우, 보다 바람직하게 헹굼행정을 1회만 추가할 수 있다.
현재 진행중인 행정이 헹굼행정이 아닌 경우, 세탁기(100)는 현재 진행중인 세탁코스에서 탈수행정을 추가(F13b)할 수 있다. 이 경우, 보다 바람직하게 헹굼행정을 1회만 추가할 수 있다.
또한, 도 8에는 제2정보와 제1정보의 차이를 제1기준시간 또는 제2기준시간과 비교하는 과정이 도시되나, 반드시 이에 제한되지 않을 수 있다. 예컨대, 제2정보와 제1정보의 차이는 제2기준시간보다 크게 형성되며 기 설정된 값인 제3기준시간과 비교될 수 있고, 제2정보와 제1정보의 차이는 제3기준시간보다 크게 형성되며 기 설정된 값인 제4기준시간과 비교될 수 있다. 따라서, 제2정보와 제1정보의 차이가 제2기준시간 보다 크고 제3기준시간 보다 작은 경우 추가되는 행정의 횟수가 증가될 수 있고, 제2정보와 제1정보의 차이가 제3기준시간 보다 크고 제4기준시간 보다 작은 경우 추가되는 행정의 횟수는 더 증가될 수 있다.
또한, 도 8에 도시된 내용은 세탁코스의 진행 시간을 증가시키기 위해 행정의 횟수를 증가시켰지만, 반드시 이에 제한되지 않을 수 있다. 예컨대, 세탁코스의 진행 시간을 증가시키기 위해 제어부(100a)는 세탁코스를 형성하는 행정의 시간을 늘릴 수 있고(세탁 옵션의 변경), 세탁행정 또는 헹굼행정 또는 탈수행정을 추가하지 않고 다른 행정을 추가할 수도 있다. 상기 다른 행정은 예컨대, 섬세탈수 행정이거나 구김방지 행정일 수 있다. 상기 섬세탈수 행정과 상기 구김방지 행정은 제어부(100a)에 저장된 행정으로 타 행정과 드럼의 회전수, 스팀의 공급 여부, 세탁수의 온도 등에서 구별될 수 있다.
한편, 피드백 단계(F)에서 세탁기(100)를 지칭함은 세탁기(100)의 제어부(100a)를 지칭할 수 있다. 또한, 제2기준시간은 기 설정된 값으로 제1기준시간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확인 단계(C) 및 피드백 단계(F)에서 지칭하는 제2정보는 제2정보를 요청하는 시점부터 건조코스의 종료시까지 소요되는 시간을 포함할 수 있고, 건조코스가 종료될 예상시각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제1정보와 제2정보는 모두 건조기(200)의 예상종료시간과 관련된 정보이나, 제1정보는 세탁코스가 진행되기 전에 수신한 건조기(200)의 예상종료시간일 수 있으며, 제2정보는 세탁코스의 진행 도중 수신한 건조기(200)의 예상종료시간일 수 있어 세탁코스의 진행 여부에 따라 분류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100a)는 제1정보를 수신 한 후에 제2정보를 서버(500)로부터 수신할 수 있고, 제2정보를 수신한 후 변경의 대상이 되는 세탁코스는 진행 중인 세탁코스일 수 있다.
달리 말하면, 통신모듈(100b)은 제1정보를 수신하고 이를 제어부(100a)에 송신할 수 있고, 통신모듈(100b)은 제2정보를 수신하고 이를 제어부(100a)에 송신할 수 있다. 따라서, 통신모듈(100b)은 제1정보를 수신한 후에 제2정보를 서버(5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특히, 통신모듈(100b)은 피드백 단계(F)에서는 세탁행정이 종료된 후에 제2정보를 제어부(100a)에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00a)는 진행 중인 세탁코스를 입력표시부(190)를 통해 외부에 나타낼 수 있으며, 진행 중인 세탁코스가 변경되면, 변경된 세탁코스를 입력표시부(190)에 나타낼 수 있다.
이로써, 피드백 단계(F)는 진행 중인 세탁코스를 유동적으로 변경시켜, 세탁기(100)의 예상종료시간과 건조기(200)의 예상종료시간의 차이를 줄일 수 있다.
피드백 단계(F)가 종료된 후에는 머신러닝 단계(M)가 진행될 수 있다.
이하, 도 9를 참조하여 머신러닝 단계(M)를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다른 머신러닝 단계(M)의 과정이 도시된 도면이다.
머신러닝 단계(M)는 제1정보와 제2정보 등을 종합하여 건조기(200)의 예상종료시간을 건조기(200)의 실제 종료시간과 비교하여 건조기(200)의 예상종료시간과 건조기(200)의 실제 종료시간의 오차를 줄이는 과정으로 요약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세탁기(100)는 세탁코스가 종료되었는지를 확인(M1)할 수 있다.
세탁코스가 종료되었으면, 세탁기(100)는 서버(500)에 세탁코스가 종료되었음을 알리고, 제3정보를 요청(M2)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3정보란, 건조기(200)가 건조코스를 진행한 시점부터 종료된 시점까지의 시간을 계산하여, 실제로 건조기(200)가 작동한 시간에 관한 정보일 수 있다. 즉, 제3정보는 건조기(200)의 실제 작동시간에 관한 정보로 예상종료시간인 제1정보 및 제2정보와는 구분될 수 있다. 또한, 제3정보는 건조코스가 작동한 시점부터 종료된 시점까지의 시간을 포함할 수 있고, 제2정보를 요청한 시점부터 실제 종료된 시점까지의 시간을 포함할 수 있다.
세탁기(100)로부터 제3정보를 요청 받은 서버(500)는 이를 건조기(200)에 전달할 수 있고, 건조기(200)는 제3정보를 서버(500)에 송신(M3)할 수 있다.
서버(500)는 건조기(200)로부터 제3정보를 수신하여 저장(M4)할 수 있다.
또한, 세탁기(100)도 서버(500)로부터 제3정보를 수신하여 저장(M5)할 수 있다.
이로써, 서버(500)는 제3정보를 저장하고, 제3정보와 제1정보 또는 제3정보와 제2정보와의 차이를 계산할 수 있다. 또한, 제3정보와 제1정보의 차이 또는 제3정보와 제2정보와의 차이에 관한 데이터를 누적시켜 추후 제1정보와 제2정보를 보다 정확하게 제시(M6)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세탁기(100)의 예상종료시간과 건조기(200)의 예상종료시간의 차이를 줄이기 위해 세탁코스의 진행 전에 시작 단계(S)와 세탁코스의 진행 도중에 피드백 단계(F)를 거칠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는 직접 건조기(200)의 종료시간을 고려하지 않고도 세탁기(100)의 종료시간을 건조기(200)의 종료시간에 근접시켜, 세탁코스가 종료됨에 따라 드럼(130) 내부에 위치한 세탁물 또는 의류가 방치되는 문제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세탁기(100)의 세탁코스가 종료되는 시점을 기준으로 보다 빠르게 건조기(200)의 건조코스를 실행할 수 있어 시간을 절약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대표적인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세탁기 : 100 캐비닛 : 110
터브 : 120 드럼 : 130
도어 : 140 구동부 : 150
세제저장부 : 160 급수부 : 170
배수부 : 180 입력표시부 : 190
건조기 : 200 건조캐비닛 : 210
건조드럼 : 220 건조도어 : 230
건조부 : 240 건조구동부 : 250
건조입력표시부 : 260 AP : 300
외부단말기 : 400 서버 : 500
등록 단계 : R 페어링 단계 : P
연동실행 단계 : I

Claims (10)

  1. 투입구가 형성된 캐비닛,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드럼, 상기 드럼을 수용하며 세탁수를 저장하는 터브 및 상기 드럼을 회전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세탁기에 있어서,
    상기 세탁기는,
    의류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세탁행정, 의류의 이물질과 세제를 분리하는 헹굼행정 및 의류의 수분을 제거하는 탈수행정을 포함하는 세탁코스가 저장되는 제어부; 및
    상기 세탁기와 페어링(pairing)된 건조기의 제1정보를 상기 세탁코스의 시작 전에 수신하여 상기 제어부에 송신하는 통신모듈;를 포함하며,
    상기 통신모듈은 상기 건조기의 제2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제어부에 송신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정보를 수신한 후에 상기 세탁코스를 변경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모듈은 상기 제1정보를 수신한 후에 상기 제2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정보를 상기 세탁코스의 시작 후에 상기 통신모듈로부터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정보와 상기 제2정보는 상기 건조기의 예상종료시간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세탁코스를 변경시키기 위해 상기 세탁코스 중 상기 세탁행정, 상기 헹굼행정 및 상기 탈수행정 중 적어도 하나의 행정을 추가하거나 삭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세탁행정이 종료된 후에 상기 제2정보를 상기 통신모듈로부터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세탁코스를 변경시키기 위해 상기 세탁코스 중 상기 헹굼행정 및 상기 탈수행정 중 적어도 하나의 행정을 추가하거나 삭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정보가 상기 세탁코스의 예상종료시간보다 큰 경우, 상기 헹굼행정 및 상기 탈수행정 중 적어도 하나의 행정을 추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정보가 상기 세탁코스의 예상종료시간보다 크고 상기 세탁기가 진행중인 행정이 상기 탈수행정인 경우, 상기 탈수행정을 추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세탁기는,
    상기 제1정보와 상기 제2정보와 상기 세탁코스를 외부에 나타내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세탁코스를 변경시킨 후 변경된 상기 세탁코스를 상기 표시부에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KR1020200019070A 2020-02-17 2020-02-17 의류처리장치 KR2021010439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9070A KR20210104394A (ko) 2020-02-17 2020-02-17 의류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9070A KR20210104394A (ko) 2020-02-17 2020-02-17 의류처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4394A true KR20210104394A (ko) 2021-08-25

Family

ID=774952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9070A KR20210104394A (ko) 2020-02-17 2020-02-17 의류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104394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220681B (zh) 洗涤物处理装置及洗涤物处理系统
KR102209509B1 (ko) 건조기 및 그의 제어 방법
US20210297280A1 (en) Home appliance and online system that performs pairing of the same
KR102535270B1 (ko) 의류 처리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KR20110128005A (ko) 세탁물 처리기기 및 세탁물 처리 시스템
KR20080057711A (ko) 코스 세탁별 드럼 세탁기 구동 방법
JP2024026402A (ja) 情報処理方法、及び、情報処理装置
KR20200095724A (ko) 의류처리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온라인 시스템의 제어방법
KR20210104394A (ko) 의류처리장치
KR20210104393A (ko) 의류처리장치
US11692299B2 (en) Dryer appliance and methods for improved operation
JP4197619B2 (ja) 洗濯乾燥機
KR102628097B1 (ko) 의류처리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온라인 시스템의 제어방법
KR101709486B1 (ko) 세탁물 처리기기 및 세탁물 처리 시스템
JP7486075B2 (ja) 洗濯機、制御方法、及び、制御システム
JP7390606B2 (ja) 洗濯機、及び、制御システム
WO2021256430A1 (ja) 洗濯機、制御方法、及び、制御システム
KR20170000387A (ko) 세탁물 처리기기의 제어방법
EP4332291A1 (en) Method and system for preparing and performing a laundry drying cycle
CN114541087B (zh) 一种衣物处理设备及其控制方法
KR102583513B1 (ko) 의류처리장치, 의류처리시스템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US20240167213A1 (en) Clothes treating apparatus and clothes treating system
US20230134144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djusting a washing operation based on feedback from a drying operation
US20240165544A1 (en) Filter apparatus and method of managing the same
JP2023089508A (ja) シート類処理装置、制御方法、及び、制御システ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