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95724A - 의류처리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온라인 시스템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의류처리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온라인 시스템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95724A
KR20200095724A KR1020190013430A KR20190013430A KR20200095724A KR 20200095724 A KR20200095724 A KR 20200095724A KR 1020190013430 A KR1020190013430 A KR 1020190013430A KR 20190013430 A KR20190013430 A KR 20190013430A KR 20200095724 A KR20200095724 A KR 202000957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on
change information
course
setting
specif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34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용경
권배근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134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95724A/ko
Priority to US16/777,532 priority patent/US20200248361A1/en
Priority to AU2020216025A priority patent/AU2020216025B2/en
Priority to PCT/KR2020/001398 priority patent/WO2020159240A1/en
Priority to CN202080012034.6A priority patent/CN113366164B/zh
Priority to EP20748655.6A priority patent/EP3918123A4/en
Publication of KR202000957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572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06F33/30Control of washing machine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33/32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06F33/30Control of washing machine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33/44Control of the operating time, e.g. reduction of overall operating tim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06F33/50Control of washer-dryer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33/52Control of the operational steps, e.g.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 D06F33/68Control of the operational steps, e.g.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of the sequence of washing and drying oper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04Signal transfer or data transmission arrangements
    • D06F34/05Signal transfer or data transmission arrangements for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components, e.g. for remote monitoring or control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28Arrangements for program selection, e.g. control panels therefor; Arrangements for indicating program parameters, e.g. the selected program or its progres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28Arrangements for program selection, e.g. control panels therefor; Arrangements for indicating program parameters, e.g. the selected program or its progress
    • D06F34/32Arrangements for program selection, e.g. control panels therefor; Arrangements for indicating program parameters, e.g. the selected program or its progress characterised by graphical features, e.g. touchscree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20Administration of product repair or mainten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1/00User input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1/10Spin speed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1/00User input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1/12Washing temperatur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1/00User input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1/14Time setting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1/00User input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1/20Operation modes, e.g. delicate laundry washing programs, service modes or refreshment cycl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02Water suppl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46Drum speed; Actuation of motors, e.g. starting or interrupting
    • D06F2105/48Drum speed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52Changing sequence of operational steps; Carrying out additional operational steps; Modifying operational steps, e.g. by extending duration of step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04Signal transfer or data transmission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Control Of Washing Machine And Dryer (AREA)
  • Sorting Of Articles (AREA)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탁행정이나 건조행정을 수행하는 임의의 코스 또는 옵션을 제공하는 의류처리장치가 상기 코스 또는 옵션의 종료 후, 상기 코스 또는 옵션의 설정을 변경할 수 있는 피드백을 사용자에게 요청하고, 상기 피드백에 따라 상기 설정을 변경하여 상기 피드백을 반영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온라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의류처리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온라인 시스템의 제어방법{LANDAURY TREAT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OF ON-LINE SYSTEM CONTAINING THE SAME}
본 발명은 의류처리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온라인 시스템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자세하게는 의류처리장치의 작동 종료 후에 의류처리장치의 성능에 관한 피드백을 받고 이를 개선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 및 온라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류처리장치라 함은 의류 등의 세탁, 건조 또는 세탁이나 건조를 수행할 수 있는 장치를 말한다. 여기서 의류처리장치는 세탁이나 건조 기능만을 수행하거나, 세탁이나 건조를 모두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최근에는 스팀 공급 장치가 구비되어 의류 등의 구김 제거, 냄새 제거, 정전기 제거 등 프레쉬(refresh) 기능을 구비한 세탁기가 보급되고 있다.
한편, 종래의 의류처리장치들은 의류의 인출 방향에 따라 프론트 로드(front load) 타입이나 탑 로드(top load)타입으로 나뉜다. 이러한 수평식 타입의 대표적인 예가 드럼 세탁기 또는 드럼 건조기이다.
프론트 로드(front load) 타입의 의류처리장치는 개구부가 전방에 구비되고, 드럼의 회전축이 지면과 나란하거나 일정 경사를 구비한 의류처리장치를 말하며, 탑 로드(top load) 타입 의류처리장치는 개구부가 상부에 구비되고, 드럼의 회전축이 지면에 대해 수직으로 구비된 의류처리장치를 말한다.
이러한 의류처리장치는 의류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세탁행정이나, 의류의 수분을 제거하는 건조행정을 수행하는 복수의 코스 및 옵션이 기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복수의 코스 와 옵션 중에 원하는 특정 코스와 옵션을 지정하여 의류의 세탁이나 건조를 수행할 수 있었다.
그러나, 사용자는 상기 특정 코스와 옵션을 선택하더라도 상기 특정 코스 또는 옵션에서 세탁력, 헹굼력, 탈수력 또는 건조력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성능을 만족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었다.
이러한 상황에서도 이를 대체할 수 있는 코스와 옵션이 없으므로, 사용자는 상기 특정 코스와 옵션을 어쩔 수 없이 수행하는 경우가 있었다.
물론, 사용자가 상기 특정 코스와 옵션에서 세탁력, 헹굼력, 탈수력 또는 건조력이 과다하거나 부족하다고 생각하는 경우에는 특정 코스와 옵션의 지속시간, 수위, 드럼 등의 구동속도, 수온 등을 직접 수정할 수도 있었다.
그러나, 상기 특정 코스와 옵션을 실행할 때 마다 전술한 조건 등을 매번 수정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또한, 사용자가 특정 코스와 옵션이 마음에 들지 않아도, 어떠한 조건을 변경해야 할지에 대한 전문적인 지식이 없어 이를 개선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나아가, 특정 코스와 옵션에 대한 사용자의 요구를 생산자가 파악하지 못하여 상기 코스와 옵션의 실행 조건을 변경하지 못하여 시장의 수요를 따라가지 못할 위험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의류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일련의 세탁행정이나, 의류의 수분을 제거하는 일련의 건조행정을 수행할 수 있는 임의의 코스와 옵션이 종료되면, 상기 코스와 옵션에 대한 사용자의 피드백을 요청하여 저장하거나 서버로 송신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코스와 옵션의 피드백을 받으면 상기 피드백을 반영하여 코스와 옵션을 변경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코스와 옵션에 대한 피드백을 상기 세탁행정과 건조행정의 성능에 대한 증가 또는 감소를 요청하는 방식으로 수신하고, 상기 요청에 대응되는 코스와 옵션을 구동할 수 있도록 특정의 조건이 맞춤형으로 변경되는 의류처리장치와 온라인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코스와 옵션에 대한 피드백으로 사용자의 요구 사항이 개선되었는지에 대한 피드백을 재차 수정하여 최적의 코스와 옵션을 제공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의류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세탁행정(washing cycle) 또는 의류의 수분을 제거하는 건조행정(drying cycle)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수행하는 임의의 코스 또는 옵션이 저장되는 제어부와, 상기 임의의 코스 또는 옵션 중 특정 코스 또는 옵션을 실행하는 명령을 입력하거나, 상기 특정 코스 또는 옵션의 설정을 변경하는 명령을 입력받는 입력부와, 상기 특정 코스 또는 옵션의 설정을 외부에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세탁행정 또는 상기 건조행정이 종료되면, 상기 특정 코스 또는 옵션의 설정을 변경할 것인지를 요청하거나, 상기 설정을 변경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변경정보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피드백요청단계와, 상기 입력부로 상기 변경정보 중 상기 특정 코스 또는 옵션의 설정 중 특정 설정을 변경하는 특정 변경정보를 입력 받는 피드백입력단계와, 상기 특정 변경정보의 입력에 따라 상기 제어부에 저장된 상기 특정 코스 또는 옵션의 설정을 변경하는 변경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의류를 수용하는 의류수용부와, 상기 의류수용부를 회전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변경정보는 상기 코스 또는 옵션에서 설정된 반복횟수, 총 지속시간, 상기 구동부의 rpm, 상기 구동부의 실동률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키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의류수용부에 물을 급수하는 급수밸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변경정보는 상기 코스 또는 옵션에서 설정된 상기 급수밸브의 개방시간이나 상기 의류수용부의 수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키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변경정보는 상기 특정 코스 또는 옵션의 세탁과정과 관련된 반복횟수, 총 지속시간, 상기 구동부의 rpm, 상기 구동부의 실동률, 상기 급수밸브의 개방시간이나 상기 의류수용부의 수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키도록 구비되는 세탁변경정보와, 상기 특정 코스 또는 옵션의 헹굼과정과 관련된 반복횟수, 총 지속시간, 상기 구동부의 rpm, 상기 구동부의 실동률, 상기 급수밸브의 개방시간이나 상기 의류수용부의 수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키도록 구비되는 헹굼변경정보와, 상기 특정 코스 또는 옵션의 탈수과정과 관련된 반복횟수, 총 지속시간, 상기 구동부의 rpm, 상기 구동부의 실동률, 상기 급수밸브의 개방시간이나 상기 의류수용부의 수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키도록 구비되는 탈수변경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피드백요청단계는 상기 표시부에 상기 세탁변경정보와 상기 헹굼변경정보와 상기 탈수변경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와 대응되는 각각의 아이콘으로 표시하고, 상기 피드백입력단계는 상기 각각의 아이콘을 입력받아 상기 세탁변경정보와 상기 헹굼변경정보와 상기 탈수변경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입력받도록 구비될 수 있고, 상기 변경단계는 상기 각각의 아이콘의 입력에 따라 상기 세탁변경정보와 상기 헹굼변경정보와 상기 탈수변경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대응되는 상기 특정 코스 또는 옵션의 설정을 변경할 수 있다.
상기 각각의 아이콘은 상기 세탁변경정보를 변경하여 상기 세탁과정에서 세탁력을 강화하거나 감소하는 세탁력 증감 아이콘과, 상기 헹굼변경정보를 변경하여 상기 헹굼과정에서 헹굼력을 강화하거나 감소하는 헹굼력 증감 아이콘과, 상기 탈수변경정보를 변경하여 상기 탈수과정에서 탈수력을 강화하거나 감소하는 탈수력 증감 아이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반영단계는 상기 세탁력 증감 아이콘, 상기 헹굼력 증감아이콘 또는 상기 탈수력 증감아이콘이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입력되면, 이와 대응되는 반복횟수, 총 지속시간, 상기 구동부의 rpm, 상기 구동부의 실동률, 상기 급수밸브의 개방시간이나 상기 의류수용부의 수위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단계적으로 증가되거나 감소될 수 있다.
상기 피드백 입력단계가 수행되면, 상기 특정 변경정보를 입력하였을 때 변경되는 상기 특정 코스 또는 옵션의 설정을 미리 반영하여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미리보기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입력부로 상기 변경된 상기 특정 코스 또는 옵션의 설정을 승인하거나 거부의 명령을 입력받는 승인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서버, 상기 서버와 통신하여 상기 의류처리장치를 원격으로 제어하며 사용자에게 정보를 표시하거나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는 표시패널을 구비하는 외부단말, 상기 외부단말 또는 상기 서버와 통신할 수 있는 통신모듈을 구비하고, 상기 의류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세탁행정(washing cycle) 또는 의류의 수분을 제거하는 건조행정(drying cycle)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수행하는 임의의 코스 또는 옵션이 저장되어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포함하는 온라인 시스템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의류처리장치에서 상기 세탁행정 또는 상기 건조행정이 종료되면, 상기 통신모듈을 통해 상기 임의의 코스 또는 옵션 중 수행된 특정 코스 또는 옵션의 설정을 전송하는 전송단계와, 상기 설정이 수신되면 상기 외부단말의 표시패널에 상기 특정 코스 또는 옵션의 설정을 변경할 수 있는 변경정보를 상기 표시패널에 표시하는 요청단계와, 상기 표시패널을 통해 상기 변경정보 중 상기 특정 코스 또는 옵션의 설정 중 특정 설정을 변경하는 특정 변경정보를 입력 받는 입력단계와, 상기 특정 변경정보를 통해 설정이 변경된 상기 특정 코스와 옵션을 상기 통신모듈로 수신하는 수신단계와, 상기 의류처리장치의 저장된 상기 특정 코스와 옵션의 설정을 상기 통신모듈에서 수신된 상기 특정 코스와 옵션의 설정으로 변경하는 교체단계를 포함하는 온라인 시스템의 제어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피드백입력단계에서 상기 특정 변경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특정 변경정보를 서버에 전달하는 전달단계와, 상기 서버에서 상기 특정 변경정보에 따라 상기 특정 코스와 옵션의 설정을 변경하는 결정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신단계는 상기 서버에서 전송된 상기 특정 코스와 옵션의 설정을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입력단계가 수행되면, 상기 특정 변경정보를 입력하였을 때 변경되는 상기 특정 코스 또는 옵션의 설정을 상기 표시패널에 미리 표시해주는 확인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패널로 상기 변경된 특정 코스 또는 옵션의 설정을 승인하거나 거부의 명령을 입력받는 점검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의류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일련의 세탁행정이나, 의류의 수분을 제거하는 일련의 건조행정을 수행할 수 있는 임의의 코스와 옵션이 종료되면, 상기 코스와 옵션에 대한 사용자의 피드백을 요청하여 저장하거나 서버로 송신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코스와 옵션의 피드백을 받으면 상기 피드백을 반영하여 코스와 옵션을 변경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코스와 옵션에 대한 피드백을 상기 세탁행정과 건조행정의 성능에 대한 증가 또는 감소를 요청하는 방식으로 수신하고, 상기 요청에 대응되는 코스와 옵션을 구동할 수 있도록 특정의 조건이 맞춤형으로 변경되는 의류처리장치와 온라인 시스템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코스와 옵션에 대한 피드백으로 사용자의 요구 사항이 개선되었는지에 대한 피드백을 재차 수정하여 최적의 코스와 옵션을 제공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1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유형들을 도시한 것이다.
도2는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3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를 포함한 온라인 시스템을 도시한 것이다.
도4는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를 제어하는 컨트롤패널을 도시한 것이다.
도5는 상기 컨트롤패널로 코스와 옵션의 상기 피드백을 입력받는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6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를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는 외부단말로 상기 피드백을 입력받는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7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을 도시한 것이다.
도8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를 포함하는 온라인 시스템의 제어방법을 도시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됨을 유의해야 한다.
의류처리장치는 일반적으로 사용자의 편의에 맞추어 다양한 코스와 옵션을 제공한다. 상기 코스는 세탁기에서 사용되는 세탁코스와 건조기에서 사용되는 건조코스를 모두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코스가 세탁기에 적용되는 세탁코스를 기초로 하여 설명하나 이는 설명을 위한 것일 뿐, 상기 코스는 건조기에 사용되는 건조코스도 포함하는 개념으로 이해해야 할 것이다.
상기 코스는 의류처리장치를 통해 의류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세탁행정, 의류의 이물질과 세제를 분리하는 헹굼행정, 의류의 수분을 제거하는 탈수행정을 포함하는 일련의 구동이며, 의류의 세탁을 처음부터 끝까지 수행하는 설정된 알고리즘 또는 제어방법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코스는 건조행정을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는 의류가 투입되는 개구부를 구비하며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21)과,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도어(22)를 포함할 수 있다.
도1(a)를 참조하면,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는 상기 개구부 및 도어(22)가 캐비닛(21) 상부에 구비되어 있는 탑로드 타입(top load type) 의류처리장치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도1(b)를 참조하면,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개구부 및 도어(22)가 캐비닛(21) 전방에 구비되어 있는 프론트 로드 타입(front load type) 의류처리장치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도1(c) 또는 도1(d)를 참조하면,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는 의류의 세탁과 건조를 수행할 수 있는 프론트로드 타입 의류처리장치와, 탑로드 타입의류처리장치가 적층되어 구비될 수 있다. 예를들어,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는 프론트 타입 의류처리장치의 상부에 탑로드 타입의류처리장치가 구비될 수 있고(도1(c) 참조), 프론트 타입 의류처리장치의 하부에 탑로드 타입 의류처리장치가 구비될 수 있다. (도1(d) 참조)
이렇게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가 복수의 처리장치가 적층되어 구비된 경우, 하나의 캐비닛(21)을 공유할 수 있고, 상기 캐비닛(21)은 복수의 개구부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개구부를 개폐하는 도어(22,22a)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일련의 작동명령을 입력 받거나, 표시하거나, 수행하는 컨트롤패널(10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작동명령은 의류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세탁행정이나, 의류의 수분을 제거하는 건조행정을 수행하도록 설정된 임의의 코스 또는 옵션일 수 있다.
상기 컨트롤패널(100)에는 상기 임의의 코스 또는 옵션을 수행하도록 의류처리장치의 모든 구성을 제어하는 제어부(11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10)에는 의류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세탁행정(washing cycle)과 수분이 함유된 의류를 건조하는 건조행정(drying cycle)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과정을 수행할 수 있는 일련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임의의 코스 또는 옵션이 미리 저장되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의류처리장치(1)가 세탁기인 경우에는 상기 임의의 코스는 의류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세탁단계와, 상기 의류의 이물질과 세제를 분리하는 헹굼단계와, 상기 의류의 수분을 제거하는 탈수단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의류처리장치(1)가 건조기로 구비되는 경우에 상기 임의의 옵션은 의류의 수분을 제거하는 복수의 건조단계로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110)에는 상기 코스를 수행할 때 상기 코스의 부가적인 조건을 변경하는 임의의 옵션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의류처리장치(1)가 세탁기로 구비되는 경우에는, 상기 임의의 옵션은 세탁단계, 헹굼단계, 탈수단계의 횟수, 각 단계을 수행할 때의 드럼회전속도, 일정시간 동안 드럼이 회전하는 시간의 비율(실동률), 급수밸브의 개방시간 또는 물의 양(수위), 전기의 사용량, 수온, 스팀공급 등의 여부, 각 단계의 지속시간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조절하는 일련의 제어방법일 수 있다.
상기 의류처리장치(1)가 건조기로 구비되는 경우에는, 상기 임의의 옵션은 건조단계의 횟수, 건조단계을 수행할 때의 드럼회전속도, 일정시간 동안 드럼이 회전하는 시간의 비율(실동률), 전기의 사용량, 스팀공급 등의 여부, 건조단계의 지속시간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조절하는 일련의 제어방법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컨트롤패널(100)은 상기 의류처리장치(1)의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130)와, 상기 의류처리장치에 전원을 입력하는 전원부(120)와, 상기 의류처리장치를 구동시키는 명령을 입력받는 상기 입력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컨트롤패널(100)에는 상기 표시부(130)와 입력부(150)가 별도로 구비되어 상기 표시부(130)가 디스플레이 액정으로 구비되고, 입력부(150)는 별도의 버튼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도1(a),(c),(d) 참조) 또한, 상기 컨트롤패널(100)은 터치 디스플레이로 구비되어 상기 표시부(130)와 입력부(150)의 기능이 하나의 화면에서 동시에 구현될 수 있다. (도1(b) 참조)
또한, 본 발명의류처리장치(1)는 추가적으로 상기 의류처리장치가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하는 마이크(300)와, 상기 의류처리장치가 사용자의 동작을 인식하는 카메라(2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마이크(300)와 카메라(200)를 통해 어린아이 등이 상기 캐비닛(21) 내부에 들어가는 경우 등을 인지하여 사용자에게 알리거나 도어(22)의 잠금을 해제함으로써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도2는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 일실시예의 내부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도2는 도1(d)의 의류처리장치의 세부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다만,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가 프론트 로드 타입 의류처리장치, 탑로드 타입 의류처리장치, 또는 프론트 로드 타입 및 탑로드 타입 의류처리장치의 적층 구조로 구비되어 있을 때는 도2의 게시된 기본 구조 중 일부만을 차용하거나 설치 위치만을 변경하는 것과 대응될 수 있을 것이다.
즉, 도2는 중복되는 설명을 피하기 위해 도1(d)의 구조를 예시로 하는 것일 뿐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면 어떠한 구조로 구비되어도 무방하다.
도2를 참조하면,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는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21)과, 상기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어 의류를 수용하는 의류수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의류처리장치가 세탁기로 구비되는 경우에는 상기 의류수용부는 상기 캐비닛(21) 내부에 구비되어 물을 저장하는 터브(23), 상기 터브(23)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드럼(24)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는 상기 터브(23)에 결합되어 상기 드럼(24)을 회전시키는 구동부(25), 상기 터브(23)에 물을 공급하는 급수부(26), 상기 터브(23)의 물을 배수하는 배수부(27)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의류처리장치(1)가 건조기로 구비되는 경우에는 상기 의류수용부는 상기 캐비닛(21) 내부에서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드럼(24)만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는 상기 터브(23)에 열풍을 공급하는 열풍공급부 또는 히터(29)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터브(23)의 투입구 및 캐비닛(21)의 개구부를 개폐하는 도어(2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급수부(26)는 급수밸브(262)와 급수관(261)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배수부(27)는 배수펌프(271)와 배수관(27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25)는 상기 터브(23)에 결합되어 회전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스테이터(251)과, 상기 회전자기장에 의해 회전하는 로터(252)와, 상기 로터(252)와 함께 회전하여 상기 드럼(24)을 회전시키는 회전축(25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터브(23)는 상기 캐비닛(21)에 지지부(28)에 의해 진동이 감쇠되며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28)는 상기 캐비닛(21)과 상기 터브(23)를 연결하여 진동을 감쇠할 수 있는 댐퍼(282)와 스프링(281)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20)가 복합의류처리장치로 구비되는 경우, 상기 터브(23)의 하부 또는 상부에 구비되어 물을 저장하는 제2터브(23a)와, 상기 제2터브(23)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2드럼(24a)과, 상기 제2터브에 결합되어 상기 제2드럼(24a)을 회전시키는 제2구동부(25a), 상기 제2터브(23a)에 물을 공급하는 제2급수부(26a), 상기 제2터브(23a)에 물을 배수하는 제2배수부(27a)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터브(23a)가 상기 터브(23)의 하부에 구비되고 탑로드 타입으로 구비되는 경우에는 상기 제2터브(23a)는 상기 캐비닛(21)에서 인출입 되도록 구비되는 드로워(21b)에 수용되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급수부(26a)는 제2급수밸브(262a)와 제2급수관(261a)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2배수부(27a)는 제2배수펌프(271a)와 제2배수관(272a)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구동부(25a)는 상기 제2터브(23a)에 결합되어 회전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제2스테이터(251a)과, 상기 회전자기장에 의해 회전하는 제2로터(252a)와, 상기 제2로터(252a)와 함께 회전하여 상기 제2드럼(24a)을 회전시키는 제2회전축(253a)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터브(23a)는 상기 캐비닛(21)에 제2지지부(28a)에 의해 진동이 감쇠되며 지지될 수 있다.
상기 구동부(25,25a), 상기 급수부(26,26a), 상기 배수부(27,27a), 열풍공급부(29)는 상기 의류처리장치의 컨트롤패널(100) 또는 제어부(110)에 설정된 코스와 옵션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따라 구동과 정지를 반복할 수 있다.
예를들어, 입력된 코스와 옵션에 따라 상기 급수밸브(261,261a)가 개방되고, 상기 구동부(25,25a)를 회전시키며, 상기 배수펌프(271,271a)를 가동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는 후술할 서버(10) 또는 외부단말(4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통신할 수 있는 통신모듈(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가 복합의류처리장치로 구비되는 경우, 상기 컨트롤패널(100)은 상부 의류처리장치를 제어하는 컨트롤패널과, 하부 의류처리장치를 제어하는 제2컨트롤패널로 각각 구획되어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는 하나의 컨트롤패널(100)로 복합의류처리장치 전체를 제어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를 제어할 수 있는 온라인 시스템을 도시한 것이다.
의류처리장치(1)에 무선 인터넷 통신모듈이 적용되어 AP(Access Point, 공유기, 30)를 통해 인터넷망을 거쳐 서버(10)와 통신하는 예를 도시하고 있다.
의류처리장치(1)는 서버(10) 또는 외부단발(40)에 의해 원격으로 제어되거나, 추가적인 정보를 업데이트 하기 위해서는 궁극적으로 서버(10)와 통신하며, 이를 위해서는 먼저 가정 내의 AP(30)와 통신하여야 한다. 따라서, 의류처리장치(1)에는 AP와 직접적으로 통신할 수 있는 통신 모듈(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통신 모듈(60)은 와이파이 통신 모듈일 수 있다.
의류처리장치의 통신 연결을 위해, 상기 통신 모듈(60)은 통신 연결을 위한 설정모드와 통신 가능한 사용모드를 지원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설정모드는 AP와 통신 가능하게 하기 위한 모드이다. 따라서, AP 모드라고도 할 수 있다. 또한, 사용모드는 AP를 통해 의류처리장치가 서버와 통신 가능한 상태로서 언제든 원격 관리 서비스 수행을 위해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는 상태이다. 즉, 원격 서비스 수행을 위한 대기 상태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모드를 연결모드 또는 대기 모드라 할 수도 있다.
다시말해, 상기 통신모듈(60)이 통신 연결되기 위해서는 초기 설정모드를 수행하여야 하고, 설정모드에서 통신 연결되면 이후에는 항상 사용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상기 설정모드의 동작을 위해서 입력수단이 상기 통신 모듈(60)에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많은 경우 상기 통신 모듈(60)은 의류처리장치(1)에 내장되거나 단순한 형태로 구비되어 상기 의류처리장치(1)에 장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입력수단은 상기 의류처리장치(1)의 입력부(150)가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통신모듈(60)이 AP(30)를 통해 서버(10)와 통신 연결되면, 상기 통신모듈(60)은 서버(10)와 지속적으로 통신하기 위해 항상 전원이 인가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한편, 의류처리장치(1)을 시작점으로 하여 서버(10)까지의 통신 경로를 고려할 때, AP 이후는 공용 인터넷망이며, AP 이전은 사설 인터넷망에 해당할 수 있다. 의류처리장치(1)는 AP(30)로부터 사설 IP를 부여받게 되며, AP(30) 자체는 고유한 IP를 가지게 된다.
서버(10)도 IP를 가지는데, 서버의 IP는 고유의 IP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의류처리장치의 통신모듈(60), 예를 들어 와이파이 모듈은 상기 서버의 고유IP가 미리 저장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외부단말 등을 통한 활성화 절차를 통해 상기 의류처리장치의 통신모듈(60)은 상기 서버의 IP로 접속하여 양자간의 통신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AP(30)는 해당 의류처리장치가 연결된 포트정보와 자신의 고유 IP정보를 서버(10)에 보내주게 되며, 이를 통해 서버(10)는 의류처리장치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한편, 의류처리장치(1)가 고유의 디바이스ID 정보를 함께 서버로 전송하면, 서버는 어떠한 의류처리장치가 어디에 위치하고 있는지 알고 있게 되며, 그 정보를 이용하여 의류처리장치에 억세스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사용자 아이디 및 패스워드가 입력되어 있다면 이러한 정보도 함께 서버(10)에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서버(10)는 특정 사용자의 특정 의류처리장치(1)가 어디에 위치하는지 매칭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의류처리장치(1)나 사용자의 외부 단말(40)을 통해 특정 서비스가 서버에 요청되었을 때, 상기 서버(10)는 특정 의류처리장치(1)를 결정하여 이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서버(10)는 고유의 IP와 네트워크 망을 통해 외부단말(40)과 통신 연결을 수행할 수 있으며, 외부단말(40)에는 선택적으로 상기 서버(10)와 통신연결되기 위한 원거리 통신모듈과, 어플리케이션(APP)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외부단말(40)은 상기 어플레이케이션을 통해 상기 원거리 통신모듈로 상기 서버(10)에 접속하여 상기 의류처리장치(1)를 원격에서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외부단말(40)에 터치 패널 등으로 구비된 표시패널을 통해 상기 의류처리장치(1)의 상태정보를 상기 서버(10)에서 수신할 수 있고, 상기 의류처리장치(1)의 작동명령을 상기 서버(10)에 전송할 수 있다.
도4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에 구비된 컨트롤패널(100)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4(a)를 참조하면, 상기 표시부(130)만 디스플레이패널로 구비되고 상기 입력부(150)는 별도로 입력될 수 있는 물리적인 버튼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입력부(150)는 는 의류처리장치(1)의 세탁, 헹굼, 탈수 행정을 포함하는 일련의 세탁과정을 수행하는 임의의 코스 중 어느 하나의 코스를 선택하는 입력을 받도록 구비되는 코스입력부(140)와, 상기 코스의 강도 및 정도를 조절하는 임의의 옵션 중 어느 하나의 옵션을 선택하는 입력받도록 구비되는 옵션선택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의류처리장치(1)가 세탁기로 구비되는 경우는 상기 코스는 일반적인 의류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세탁방법 또는 그 집합으로 구비되는 제1코스와, 상기 의류의 살균을 수행하는 세탁방법 또는 그 집합 제2코스와, 상기 의류의 재질을 고려하여 이물질을 제거하는 세탁방법 또는 그 집합 제3코스로 분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옵션은 상기 선택된 코스에서 세탁강도를 조절하는 제1옵션과, 헹굼의 횟수를 조절하는 제2옵션과, 탈수강도를 조절하는 제3옵션과, 의류와 물을 수용하는 터브의 물온도를 결정하는 제4옵션으로 분류될 수 있다. 상기 세탁강도와 상기 탈수강도를 조절하는 것은 세탁행정과 탈수행정에서 상기 드럼의 rpm, 상기 드럼의 회전방향변경 주기 등을 조절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제1코스는 의류를 세척하는 일반적인 코스를 분류한 것이므로 매일코스라고 명칭될 수 있고, 상기 제2코스는 살균에 간한 코스를 분류한 것이므로 위생코스라고 명칭될 수 있으며, 제3코스는 의류의 재질, 포량 등을 고려하는 코스를 분류하는 것이므로 맞춤코스라고 명칭될 수 있다.
상기 코스선택부(140)가 반복적으로 입력되면 순차적으로 설정된 또는 표시된 코스가 선택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코스선택부(140)는 상기 제1코스 중 어느하나가 선택되도록 구비되는 제1코스선택부(141)와, 상기 제2코스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도록 구비되는 제2코스선택부(142)와, 상기 제3코스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도록 구비되는 제3코스선택부(14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옵션선택부(160)도 상기 코스선택부(140)와 같이 반복적으로 입력되어 순차적으로 설정되거나 표시된 코스가 선택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옵션선택부(160)는 상기 선택된 코스에서 세탁강도를 조절하는 제1옵션선택부(161)과, 헹굼의 횟수를 조절하는 제2옵션선택부(162)과, 탈수강도를 조절하는 제3옵션선택부(163)과, 의류와 물을 수용하는 터브의 물 온도를 결정하는 제4옵션선택부(16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옵션선택부(160)는 각각의 옵션선택부를 순차적으로 입력하여 원하는 옵션이 선택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표시부(130)는 디스플레이(display) 액정으로 구비될 수도 있고, 불빛을 반사하는 전등, 소리를 발산하는 스피커 등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표시부(130)는 상기 코스입력부(140)에서 선택된 코스를 표시하는 제1표시부(131)와, 상기 옵션선택부(160)에서 선택된 옵션을 표시하는 제2표시부(13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표시부(131)는 상기 선택된 코스를 표시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선택된 코스에 해당하는 부분이 점등하거나, 상기 코스의 명칭을 디스플레이부에 표현할 수 있다.
상기 제2표시부(132)는 상기 선택된 옵션을 표시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선택된 옵션에 해당하는 부분이 점등하거나, 상기 옵션의 명칭을 디스플레이부에 표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표시부(131)는 상기 코스조절부(140)가 입력되면 해당되는 코스를 점등하는 방식으로 구비될 수도 있고, 상기 코스조절부(140)가 입력되면 해당되는 코스를 액정에 표시하거나, 소리로 발산하는 방식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제1표시부(131)는 디스플레이 패널로 구비될 수도 있고, 상기 코스 내용이 기재된 글 옆에 발광하는 램프로 구비될 수도 있다.
사용자가 상기 매일코스(141)를 클릭하면 순차적으로 상기 일반적인 코스가 순서대로 점등하여 해당 코스를 사용자에게 인지시킬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상기 위생코스를 클릭하면 순차적으로 상기 위생코스에 해당하는 코스가 순서대로 점등하고, 상기 맞춤코스를 클릭하면 순차적으로 상기 맞춤코스에 해당하는 코스가 순차적으로 점등할 수 있다.
상기 제2표시부(132)는 상기 옵션선택부(160)가 입력되면 해당하는 옵션을 점등하는 방식으로 구비될 수도 있고, 상기 옵션선택부(160)가 입력되면 해당되는 옵션을 액정에 표시하거나, 소리로 발산하는 방식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제2표시부(132)는 디스플레이 패널로 구비될 수도 있고, 상기 옵션내용이 기재된 글 옆에 발광하는 램프로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옵션선택부(160)도 반복적으로 클릭 또는 터치하여 상기 제1,2,3,4옵션이 순차적으로 점등할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는 원하는 옵션을 선택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옵션선택부(160)는 상기 세탁, 헹굼, 탈수, 물온도 이외에 의류처리장치(1)에 부가적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스위치 또는 터치구역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옵션선택부(160)는 상기 의류처리장치(20) 내부에 스팀을 공급하는 옵션을 추가하는 스팀 조절부(160a)와, 상기 의류처리장치(20)의 운전시간을 미리 결정하는 예약부(160b)와, 상기 의류처리장치(20)의 작동 중 의류를 추가하기 위해 클릭하는 추가설정부(160d)와, 의류처리장치(20)의 드럼 rpm을 순간적으로 상승시켜 강한 수류를 형성하는 옵션을 추가하는 터보부(160e), 강한 열풍을 공급하는 옵션을 추가하는 터보건조부(160f), 열풍이 아닌 온풍 또는 냉풍을 공급하는 옵션을 추가하는 바람건조부(160g), 드럼만을 일정속도로 회전시켜 자연건조를 수행하는 옵션을 추가하는 시간건조부(160h)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표시부(132)는 코스 또는 옵션이 결정되는 순간에는 상기 코스의 옵션의 세부내용을 표시할 수 있으나, 건조행정이나 세탁행정이 진행되는 경우나 예약설정이 수행되는 경우, 또는 건조행정이나 세탁행정이 종료된 경우 등 코스 또는 옵션을 입력하는 과정 외에는 의류처리장치(1)의 상태정보를 표시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부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구조는 일실시예일 뿐, 상기 컨트롤패널(100)은 의류처리장치를 구동시키는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는 입력부(150)와, 상기 의류처리장치의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130)를 구비할 수 있다면 어떠한 형태로 구비되어도 무방하다.
도4(b)를 참조하면,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에서 의류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일련의 세탁행정과 의류의 수분을 제거하는 건조행정 중 어느 하나를 수행하는 특정 코스와 옵션의 수행이 완료되면,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사용자에게 상기 코스와 옵션의 만족도에 대한 피드백을 요청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표시부(130)에 특정 코스와 옵션에 대한 직접적인 피드백을 요청할 수도 있고, “다음에도 똑같이 수행할까요?” 같은 문구(G1)를 띄워 간접적인 피드백을 요청할 수도 있다.
상기 표시부(130)에는 사용자가 이러한 피드백을 수행할지 여부를 입력 받을 수 있는 피드백 승인버튼(A)과 피드백 거부버튼(B)이 표시될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는 상기 승인버튼(A)을 입력하면 상기 표시부(130)에는 구체적으로 상기 코스 또는 옵션의 어떠한 피드백을 요청할지에 관한 목록이 표시되며, 상기 거부버튼(B)을 입력하거나 일정시간 이상 대기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코스와 옵션은 최종 종료되어 의류처리장치의 전원이 OFF 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승인버튼(A)과 피드백 거부 버튼(B)은 상기 입력부(130) 중 어느 하나의 버튼으로 대체될 수 있다.
도5는 상기 컨트롤패널(100)에서 피드백을 입력할 수 있는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코스 또는 옵션은 세탁행정과 건조행정을 수행하기 위한 다양한 설정이 구비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설정은 상기 코스 또는 옵션을 수행할 때의 상기 구동부의 총 회전시간, 상기 구동부의 rpm, 상기 구동부의 실동률, 상기 급수밸브의 개방시간이나 상기 터브의 수위일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표시부(130)에는 상기 설정을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변경할 수 있는 변경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상기 변경정보는 상기 코스 또는 옵션을 수행의 반복횟수, 총 지속시간, 반복횟수, 상기 구동부의 rpm, 상기 구동부의 실동률, 상기 급수밸브의 개방시간이나 상기 터브의 수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변경하는 버튼 또는 아이콘으로 구비될 수 있다.
도5(a)를 참조하면, 상기 코스 또는 옵션이 종료되면 상기 표시부(130)에는 변경정보(C)가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코스 또는 옵션이 종료되어 표시부(130)에서 표시된 피드백 요청을 승인하면 상기 표시부(130)에 상기 변경정보(C)가 표시될 수 있다.
상기 변경정보(C)는 상기 코스 또는 옵션의 설정 중에서 총 지속시간, 상기 구동부의 rpm, 상기 구동부의 실동률, 상기 급수밸브의 개방시간이나 상기 터브의 수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변경시키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변경정보(C)는 상기 코스 또는 옵션의 현재 설정상태와, 상기 설정상태를 변경시킬 수 있는 테이블(C1)의 형태로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테이블(C1)에서 변경하고자 하는 설정을 직접 입력하여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테이블(C1)에는 단계적으로 설정이 변화되도록 변경될 수 있는 설정값이 표시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테이블(C1)에서 지속시간에 관련된 설정 부분이 입력되면 상기 테이블(C1)에는 지속시간을 단계적으로 변경할 수 있는 지속시관과 관련된 설정들이 표시될 수 있고, 사용자는 그 중 원하는 지속시간을 선택할 수 있다. 기존 코스 또는 옵션의 지속시간이 20분 이라면 15분, 25분, 30분 등의 설정값이 상기 테이블(C1)에 표시될 수 있고 사용자는 이 중 하나를 선택하여 지속시간에 관련된 설정을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변경정보(c)는 상기 특정 코스 또는 옵션의 전체 설정을 변경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특정 코스 또는 옵션의 일부 과정의 설정만을 변경하도록 구비될 수 도 있다. 예를들어, 상기 특정 코스 또는 옵션이 세탁과정, 헹굼과정, 탈수 과정의 연속적으로 구비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과정들 중 일부만을 변경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특정 코스 또는 옵션의 일부만을 변경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의사를 확실하게 반영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의류처리장치(1)가 세탁기로 구비되는 경우에는, 상기 변경정보는 상기 특정 코스 또는 옵션의 세탁과정과 관련된 반복횟수, 총 지속시간, 상기 구동부의 rpm, 상기 구동부의 실동률, 상기 급수밸브의 개방시간이나 상기 의류수용부의 수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키도록 구비되는 세탁변경정보(w)와, 상기 특정 코스 또는 옵션의 헹굼과정과 관련된 반복횟수, 총 지속시간, 상기 구동부의 rpm, 상기 구동부의 실동률, 상기 급수밸브의 개방시간이나 상기 의류수용부의 수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키도록 구비되는 헹굼변경정보(r)와, 상기 특정 코스 또는 옵션의 탈수과정과 관련된 반복횟수, 총 지속시간, 상기 구동부의 rpm, 상기 구동부의 실동률, 상기 급수밸브의 개방시간이나 상기 의류수용부의 수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키도록 구비되는 탈수변경정보(d)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130)는 상기 변경창(c1)에 기존 설정과 변경된 설정을 비교할 수 있도록 전부 표시할 수 있다. 즉, 변경된 설정을 제어부가 확정하기 전에 사용자가 미리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변경창(c1)은 변경된 설정을 함께 표시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부(130)에는 상기 변경된 설정으로 코스 또는 옵션의 설정을 변경할 것을 승인하는 저장버튼(F)과, 취소버튼(E)이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저장버튼(F)이 입력되면 상기 코스 또는 옵션의 설정은 변경되어 상기 제어부(110) 또는 서버(10)에 저장될 수 있다. 이로써, 다음 코스와 옵션을 수행할 때 변경된 설정이 반영될 수 있다. 상기 취소버튼(E)이 입력되면 상기 변경된 내용이 해제될 수 있고, 추가적으로 입력되면 피드백을 반영하는 절차가 완전히 종료될 수 있다.
한편, 사용자는 상기 설정 중 무엇을 변경해야 할지 정확히 숙지하지 못할 수 있다. 예를들어, 헹굼력을 강화하길 원하는 경우, 상기 설정 중에서 어떤 것을 증가시키거나 감소시켜야 할지를 정확히 숙지하지 못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설정 중에서 하나만을 변경해야 할지 두 가지 이상을 변경해야 할지도 숙지하지 못할 수도 있다. 또한, 사용자가 임의로 설정을 과도하게 변경하게 되면 의류처리장치의 기능이 발휘되지 못하거나 의류가 손상될 우려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와 이를 포함하는 온라인 시스템은 사용자에게 코스 또는 옵션의 기능에 대한 피드백만을 받고, 이를 개선할 수 있도록 자동으로 상기 설정을 변경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5(b)를 참조하면, 상기 표시부(130)에는 상기 변경정보(c)가 아이콘으로 표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변경정보(c)가 세탁변경정보(w)와, 헹굼변경정보(r)와, 탈수변경정보(d)를 포함하는 경우에는 상기 세탁변경정보(w)는 세탁력을 증감시킬 수 있는 세탁증감아이콘(w1,w2)으로 표시되고, 상기 헹굼변경정보(r)는 헹굼력을 증감시킬 수 있는 헹굼증감아이콘(r1,r2)으로 표시되고, 상기 탈수변경정보(d)는 탈수력을 증감시킬 수 있는 탈수증감아이콘(d1,d2)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10) 또는 서버(10)에는 상기 각각의 아이콘이 입력되었을 때 변경될 설정이 대응되어 저장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세탁증감아이콘은 세탁력을 증가시키는 세탁증가아이콘(w1)과, 세탁력을 감소시키는 세탁감소아이콘(w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헹굼증감아이콘은 헹굼력을 증가시키는 헹굼증가아이콘(r1)과, 헹굼력을 감소시키는 헹굼감소아이콘(r2)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탈수증감아이콘은 탈수력을 증가시키는 탈수증가아이콘(d1)과, 탈수력을 감소시키는 탈수감소아이콘(d2)을 포함할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는 상기 아이콘들을 입력하는 것만으로도 충분히 상기 코스 또는 옵션의 설정 변경을 요청할 수 있고, 상기 제어부(110) 또는 서버(10)는 상기 사용자의 변경 요청에 최적화된 설정으로 코스 또는 옵션을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의류처리장치(1)에 대한 충분한 지식이 없거나, 코스 또는 옵션의 설정 내용을 모른다고 하더라도, 상기 아이콘화 된 변경정보(c)를 입력함으로써 직관적으로 원하는 피드백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표시부(130)에는 상기 아이콘화 된 변경정보(c)의 입력을 유도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피드백을 할 수 있도록 안내문구(G2)가 함께 표시될 수 있다.
도5(c)와 도5(d)는 사용자가 상기 헹굼증가아이콘(r1)을 입력한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헹굼증가아이콘(r1)이 입력되면 상기 표시부(130)는 상기 헹굼력을 강화할 수 있는 설정을 표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표시부(130)에는 상기 코스 또는 옵션의 기존 설정과 상기 헹굼증가아이콘(r1)의 입력으로 변경된 상기 코스 또는 옵션의 변경 설정이 표시될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는 구체적으로 어떤 설정이 변경되어 헹굼력이 강화될 수 있는지를 인지할 수 있다.
도5(c)를 참조하면, 상기 헹굼증가아이콘(r1)이 입력되면 상기 설정이 모두 증가할 수 있다. 또한, 도5(d)를 참조하면, 상기 헹굼증가아이콘(r1)이 입력되면 상기 설정 중 헹굼력에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치는 설정부터 가장 작게 영향을 미치는 설정까지 순차적으로 또는 일부가 동시에 단계적으로 변경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코스 또는 옵션의 헹굼 횟수가 상기 헹굼증가아이콘(r1)의 입력될 때 마다 먼저 증가될 수 있다. 이후, 헹굼 시간과 헹굼 수위가 증가될 수 있고, 마지막으로 헹굼단계에서 구동부의 rpm 및 실동율이 증가할 수 있다.
상기 변경 순서와 정도는 상기 제어부(110)나 서버(10)에 미리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반대로, 상기 헹굼감소아이콘(r2)이 입력되면 상기 설정 값이 작아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세탁증감아이콘(w)과 상기 탈수증감아이콘(d)도 동일한 방식으로 적용될 수 있으나, 세탁력과 탈수력은 횟수 및 rpm 과 실동률이 더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상기 아이콘(w,d)의 입력되면 횟수, rpm과 실동률이 가장 먼저 변경되고 이후에는 수위나 지속시간이 변경될 수도 있다.
이처럼, 상기 사용자는 상기 코드 또는 옵션의 기능에 대한 증감을 선택하는 것만으로 상기 코스 또는 옵션의 설정을 원하는 만큼 변경시킬 수 있다. 즉, 상기 코스 또는 옵션의 세탁력, 헹굼력, 탈수력에 영향을 미치는 설정에 대한 피드백을 이와 대응되는 아이콘의 입력에 따라 입력받고 이를 반영할 수 있다.
물론, 상기 변경정보의 입력이나 상기 아이콘들의 입력은 상기 입력부(130) 중 어느 하나의 버튼으로 대체될 수 있다.
도6은 상기 의류처리장치(1)를 제어하는 외부단말(40)로 코스 또는 옵션 설정의 피드백을 받는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의류처리장치에서 수행된 코스 또는 옵션이 종료되면 의류처리장치는 통신모듈(60)을 통해 서버(10)에 코스 또는 옵션의 종료된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상기 서버(10)는 상기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외부단말(40)에 피드백을 받을 수 있는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도6(a)를 참조하면, 상기 외부단말(40)은 상기 서버(10)에서 상기 의류처리장치(1)에서 수행된 코스 또는 옵션의 설정에 관한 내용을 수신하여 표시할 수 있고, 동시에 피드백을 요청할 수 있는 변경버튼(41)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변경버튼(41)이 입력되면, 상기 서버(10) 또는 외부단말(40)은 사용자가 피드백을 원하는 것으로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외부단말(40)에는 상기 코스 또는 옵션의 전체적인 설정표(c2)가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설정표(c2)에는 세탁, 헹굼, 탈수 의 횟수 또는 강도가 기능적으로 표시되어 있고, 그 외 추가적인 기능(수온이나 터보샷 등의 특수 기능)이 표시될 수 있다.
도6(b)를 참조하면, 상기 변경버튼(41)이 입력되면 상기 외부단말(40)의 표시부에는 현재 코스 또는 옵션의 기능을 알 수 있는 상기 설정표(c2)과, 상기 설정을 변경할 수 있는 변경정보(c)가 표시될 수 있다.
상기 변경정보(c)는 상기 코스 또는 옵션의 각종 기능을 강화하거나 약화할 수 있는 내용을 담은 각종 아이콘으로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아이콘들은 상기 의류처리장치(1)가 세탁기로 구비되는 경우에는 상기 코스 또는 옵션의 세탁력에 관련된 상기 세탁증감아이콘(w)과, 헹굼력에 관련된 상기 헹굼증감아이콘(r)과, 상기 탈수력에 관련된 탈수증감아이콘(d)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는 세탁증가 아이콘(w1)을 입력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설정테이블은 세탁에 관한 설정을 표시할 수 있다.
도6(c)를 참조하면, 상기 외부단말(40)의 표시부에는 상기 코스 또는 옵션의 세탁력에 관한 설정이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설정이 세탁력에 관한 것임을 표시하는 기능문구(G3)가 표시될 수 있다. 상기 기능문구(G3)는 예를들어, “세탁력” 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세탁력에 관한 구체적인 설정테이블(c3)이 함께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설정테이블(c3)에는 기존설정과 더불어 상기 세탁증가아이콘(w1)의 입력으로 인해 변화되는 설정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설정테이블(c3)외에 상기 세탁증가아이콘(w1)의 입력으로 기능상 어떤 변화가 있는지를 표시하는 다이아그램(d4)도 함께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세탁증가아이콘(w1)이 입력되면 상기 설정테이블(c3)에서 상기 코스 또는 옵션이 수행하는 세탁단계의 반복횟수, 드럼의 rpm, 실동율, 수위, 세탁지속시간이 순차적으로 또는 적어도 어느 하나가 동시에 단계적으로 가변될 수 있다.
상기 설정이 가변되는 변화량은 상기 서버(10)에 기 설정 되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사용자는 상기 코드 또는 옵션의 기능에 대한 증감을 선택하는 것만으로 상기 코스 또는 옵션의 설정을 원하는 만큼 변경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설정테이블(c2)에 변경된 설정은 아직 의류처리장치(1)에 반영된 설정이 아니라 미리 표시된 것이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설정으로 코스 또는 옵션을 변경시키기 위해서 상기 변경된 설정을 저장시키는 명령을 입력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외부단말(40)의 표시부에는 상기 변경된 내용을 저장하는 저장버튼(F)과, 이를 취소하는 취소버튼(E)이 추가적으로 표시될 수 있다.
도6(d)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각각의 변경정보(C)를 입력한 후에 상기 저장버튼(F)을 입력하면, 상기 외부단말(40)에는 상기 코스 또는 옵션의 변경된 설정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부단말(40)에는 상기 설정변화로 변화된 설정표(c2)가 표시될 수도 있다. 상기 서버(10)는 상기 변경된 설정을 저장하고 의류처리장치(1)의 제어부에 전달하여 상기 코스 또는 옵션의 설정을 영구적으로 변경시킬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이후 변경된 설정을 상기 코스 또는 옵션을 이용할 수 있다.
도7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의 제어방법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의 제어부(110)는 입력부(130)의 입력을 받아 의류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세탁행정(washing cycle) 또는 의류의 수분을 제거하는 건조행정(drying cycle)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수행하는 임의의 코스 또는 옵션 중에서 특정 코스 또는 옵션이 결정되고, 상기 동작부(170)의 입력을 받아 상기 코스 또는 옵션이 수행되는 수행단계(s1)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수행단계(s1)가 종료되면,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특정 코스 또는 옵션의 설정을 변경할 것인지를 요청하거나, 상기 설정을 변경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변경정보를 상기 표시부(130)에 표시하는 피드백요청단계(s2)를 수행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피드백요청단계(s2)를 무시하거나, 별도의 입력부(130)를 입력하여 상기 피드백을 하지 않을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그러나, 사용자가 의류의 상태 등을 점검함을 통해 상기 코스 또는 옵션의 설정을 변경하고 싶은 경우에는 입력부(130)의 입력을 통해 상기 피드백에 응할 수 있다.
사용자가 피드백을 응하는 입력을 상기 입력부(130)를 통해 입력하면,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입력부(130)를 통해 상기 변경정보 중 상기 특정 코스 또는 옵션의 설정 중 특정 설정을 변경하는 특정 변경정보를 입력받는 피드백입력단계(s3)를 수행할 수 있다.
만약, 상기 피드백입력단계(s3)에서 사용자가 피드백 의사를 입력하지 않거나, 일정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제어부(110)는 의류처리장치의 작동을 종료할 수 있다.
상기 변경정보는 상기 코스 또는 옵션의 설정을 직접적으로 변경하는 내용일 수 있고, 상기 코스 또는 옵션의 기능을 변경하는 내용일 수도 있다. 상기 특정 변경정보의 입력이 수행되면,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변경정보의 입력과 대응되는 코스 또는 옵션의 변경된 설정을 미리 반영하여 상기 표시부(130)에 표시하는 미리보기단계(s4)가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미리보기단계(S4)가 완전히 종료될 때까지, 상기 피드백 입력단계(S3)는 반복 및 지속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피드백입력단계(S3)에서 각종 변경정보를 입력하여 코스 또는 옵션의 설정이 변경되는 것을 미리보기단계(S4)로 계속 확인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제어부(110)는 사용자가 원하는 피드백을 입력받을 수 있다.
상기 미리보기단계(s4)에서 상기 표시부(130)에는 상기 코스 또는 옵션의 변경된 설정 뿐만 아니라, 상기 코스 또는 옵션의 변경을 저장하거나 이를 취소하는 버튼들도 함께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입력부로 상기 변경된 상기 특정 코스 또는 옵션의 설정을 승인하거나 거부하는 명령을 입력받는 승인단계(s5)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승인단계(s5)에서 상기 입력부(130)를 입력하거나, 상기 표시부(130)에 표시된 저장버튼(A)을 입력하면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특정 코스 또는 옵션의 설정을 변경하는 변경단계(s7)를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입력부(130)를 입력하거나, 상기 표시부(130)에 표시된 취소버튼(B)을 입력하면 상기 제어부(110)는 의류처리장치의 작동을 종료할 수 있다.
도8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를 포함하는 온라인 시스템의 제어방법을 도시한 것이다.
의류처리장치(1)에서 상기 상기 세탁행정 또는 상기 건조행정이 수행되는 수행단계(S1)가 완료될 수 있다. 상기 수행단계(S1)가 종료되면, 상기 의류처리장치(1)는 통신모듈(60)을 통해 상기 수행된 특정 코스 또는 옵션의 설정을 상기 서버(10) 또는 상기 외부단말(40)에 전송하는 전송단계(A1)가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서버(10)는 상기 설정에 관한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외부단말(40)과 통신하여 상기 외부단말(40)의 표시패널에 상기 특정 코스 또는 옵션의 설정을 변경할 수 있는 변경정보(C)를 상기 표시패널에 표시하는 요청단계(A2)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요청단계(S2)는 실질적으로 사용자에게 상기 코스 또는 옵션의 피드백을 요청하는 단계로서, 상기 코스 또는 옵션의 설정 및 이를 변경할지 여부를 묻는 팝업창이 푸쉬알림으로 외부단말(40)에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외부단말(40)에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켜야만 상기 설정 및 상기 설정을 변경할지 여부를 묻는 내용이 표시될 수도 있다.
상기 요청단계(S2)가 수행되면, 상기 외부단말(40)에는 상기 피드백을 수행할지 또는 거절할지를 요청하는 버튼이 같이 표시될 수 있다. 상기 피드백을 수행할지를 요청하는 버튼은 상기 코스 또는 옵션의 설정을 변경할 수 있는 변경 버튼일 수 있다.
상기 변경버튼이 입력되면, 상기 표시패널을 통해 상기 특정코스 또는 옵션의 설정 중 특정 설정을 변경하는 특정 변경정보를 입력받는 입력단계(A3)가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변경정보는 상기 코스 또는 옵션의 설정을 직접적으로 변경하는 내용일 수 있고, 상기 코스 또는 옵션의 기능을 변경하는 내용일 수도 있다.
상기 입력단계(A3)가 수행되면, 상기 외부단말(40)의 표시패널에는 상기 변경정보의 입력과 대응되는 코스 또는 옵션의 변경된 설정을 미리 반영하여 표시하는 확인단계(A4)가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입력단계(A3)와 상기 확인단계(A4)는 상기 확인단계(A4)가 완전히 종료될 때까지 반복 및 지속될 수 있다. 상기 확인단계(A4)에서 상기 외부단말(40)의 표시패널에는 상기 코스 또는 옵션의 변경된 설정 뿐만 아니라, 상기 코스 또는 옵션의 변경을 저장하거나 이를 취소하는 버튼들도 함께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외부단말(40)은 변경정보의 입력으로 상기 변경된 특정 코스 또는 옵션의 설정을 승인하거나 거부하는 명령을 입력받는 점검단계(A5)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점검단계(A5)에서 승인하는 버튼을 입력받으면 상기 외부단말(40)은 이러한 정보를 서버(10)에 전달하는 전달단계(A4)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외부단말(40)은 상기 코스와 옵션의 변경된 설정을 직접 상기 서버(10)에 전달하거나, 상기 코스와 옵션을 변경하는 특정 정보만을 상기 서버(10)에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서버(10)는 상기 특정 변경정보에 따라 상기 특정 코스와 옵션의 설정을 최종 결정하고 변경하는 결정단계(A7)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결정단계(A7)는 외부단말(40)과 연계된 의류처리장치(1)도 특정할 수 있다.
이후, 의류처리장치(1)는 상기 코스 또는 옵션의 변경된 설정을 상기 통신모듈(60)로 수신하는 수신단계(A8)를 수행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의류처리장치(1)는 상기 저장된 상기 특정 코스와 옵션의 설정을 상기 통신모듈에서 수신된 상기 특정 코스와 옵션의 설정으로 변경하는 교체단계(A9)를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점검단계(A5)에서 거부하는 버튼을 입력받으면 상기 피드백을 요청하는 요청단계(A2)가 다시 수행될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일정시간 대기하거나, 피드백을 거절하는 버튼을 입력하면 상기 외부단말(40)은 피드백 절차가 종료되었음을 상기 서버(10)에 전달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을 것인바 상술한 실시예에 그 권리범위가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변형된 실시예가 본 발명 특허청구범위의 구성요소를 포함하고 있다면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 : 의류처리장치 10 : 서버 30 : AP 40 : 외부 단말

Claims (15)

  1. 의류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세탁행정(washing cycle) 또는 의류의 수분을 제거하는 건조행정(drying cycle)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수행하는 임의의 코스 또는 옵션이 저장되는 제어부와,
    상기 임의의 코스 또는 옵션 중 특정 코스 또는 옵션을 실행하는 명령을 입력하거나, 상기 특정 코스 또는 옵션의 설정을 변경하는 명령을 입력받는 입력부와,
    상기 특정 코스 또는 옵션의 설정을 외부에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세탁행정 또는 상기 건조행정이 종료되면, 상기 특정 코스 또는 옵션의 설정을 변경할 것인지를 요청하거나, 상기 설정을 변경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변경정보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피드백요청단계;
    상기 입력부로 상기 변경정보 중 상기 특정 코스 또는 옵션의 설정 중 특정 설정을 변경하는 특정 변경정보를 입력 받는 피드백입력단계;
    상기 특정 변경정보의 입력에 따라 상기 제어부에 저장된 상기 특정 코스 또는 옵션의 설정을 변경하는 변경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의류를 수용하는 의류수용부와, 상기 의류수용부를 회전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변경정보는
    상기 코스 또는 옵션에서 설정된 반복횟수, 총 지속시간, 상기 구동부의 rpm, 상기 구동부의 실동률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키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의류수용부에 물을 급수하는 급수밸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변경정보는
    상기 코스 또는 옵션에서 설정된 상기 급수밸브의 개방시간이나 상기 의류수용부의 수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키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변경정보는
    상기 특정 코스 또는 옵션의 세탁과정과 관련된 반복횟수, 총 지속시간, 상기 구동부의 rpm, 상기 구동부의 실동률, 상기 급수밸브의 개방시간이나 상기 의류수용부의 수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키도록 구비되는 세탁변경정보와,
    상기 특정 코스 또는 옵션의 헹굼과정과 관련된 반복횟수, 총 지속시간, 상기 구동부의 rpm, 상기 구동부의 실동률, 상기 급수밸브의 개방시간이나 상기 의류수용부의 수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키도록 구비되는 헹굼변경정보와,
    상기 특정 코스 또는 옵션의 탈수과정과 관련된 반복횟수, 총 지속시간, 상기 구동부의 rpm, 상기 구동부의 실동률, 상기 급수밸브의 개방시간이나 상기 의류수용부의 수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키도록 구비되는 탈수변경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피드백요청단계는 상기 표시부에 상기 세탁변경정보와 상기 헹굼변경정보와 상기 탈수변경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와 대응되는 각각의 아이콘으로 표시하고,
    상기 피드백입력단계는 상기 각각의 아이콘을 입력받아 상기 세탁변경정보와 상기 헹굼변경정보와 상기 탈수변경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입력받도록 구비될 수 있고,
    상기 변경단계는 상기 각각의 아이콘의 입력에 따라 상기 세탁변경정보와 상기 헹굼변경정보와 상기 탈수변경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대응되는 상기 특정 코스 또는 옵션의 설정을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아이콘은
    상기 세탁변경정보를 변경하여 상기 세탁과정에서 세탁력을 강화하거나 감소하는 세탁력 증감 아이콘과,
    상기 헹굼변경정보를 변경하여 상기 헹굼과정에서 헹굼력을 강화하거나 감소하는 헹굼력 증감 아이콘과,
    상기 탈수변경정보를 변경하여 상기 탈수과정에서 탈수력을 강화하거나 감소하는 탈수력 증감 아이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변경단계는
    상기 세탁력 증감 아이콘, 상기 헹굼력 증감아이콘 또는 상기 탈수력 증감아이콘이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입력되면,
    이와 대응되는 반복횟수, 총 지속시간, 상기 구동부의 rpm, 상기 구동부의 실동률, 상기 급수밸브의 개방시간이나 상기 의류수용부의 수위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단계적으로 증가되거나 감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드백 입력단계가 수행되면,
    상기 특정 변경정보를 입력하였을 때 변경되는 상기 특정 코스 또는 옵션의 설정을 미리 반영하여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미리보기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로 상기 변경된 상기 특정 코스 또는 옵션의 설정을 승인하거나 거부의 명령을 입력받는 승인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10. 서버;
    상기 서버와 통신할 수 있는 통신모듈을 구비하고, 의류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세탁행정(washing cycle) 또는 의류의 수분을 제거하는 건조행정(drying cycle)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수행하는 임의의 코스 또는 옵션이 저장되어 있는 의류처리장치;
    상기 서버와 통신하여 상기 의류처리장치를 원격으로 제어하며 사용자에게 정보를 표시하거나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는 표시패널을 구비하는 외부단말;을 포함하는 온라인 시스템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의류처리장치에서 상기 세탁행정 또는 상기 건조행정이 종료되면, 상기 통신모듈을 통해 상기 임의의 코스 또는 옵션 중 수행된 특정 코스 또는 옵션의 설정을 전송하는 전송단계;
    상기 설정이 수신되면 상기 외부단말의 표시패널에 상기 특정 코스 또는 옵션의 설정을 변경할 수 있는 변경정보를 상기 표시패널에 표시하는 요청단계;
    상기 표시패널을 통해 상기 변경정보 중 상기 특정 코스 또는 옵션의 설정 중 특정 설정을 변경하는 특정 변경정보를 입력 받는 입력단계;
    상기 특정 변경정보를 통해 설정이 변경된 상기 특정 코스와 옵션을 상기 통신모듈로 수신하는 수신단계;
    상기 의류처리장치의 저장된 상기 특정 코스와 옵션의 설정을 상기 통신모듈에서 수신된 상기 특정 코스와 옵션의 설정으로 변경하는 교체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시스템의 제어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단계에서 상기 특정 변경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특정 변경정보를 서버에 전달하는 전달단계;
    상기 서버에서 상기 특정 변경정보에 따라 상기 특정 코스와 옵션의 설정을 변경하는 결정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신단계는 상기 서버에서 전송된 상기 특정 코스와 옵션의 설정을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시스템의 제어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단계가 수행되면,
    상기 특정 변경정보를 입력하였을 때 변경되는 상기 특정 코스 또는 옵션의 설정을 상기 표시패널에 미리 표시해주는 확인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패널로 상기 변경된 특정 코스 또는 옵션의 설정을 승인하거나 거부의 명령을 입력받는 점검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의류를 수용하는 의류수용부와, 상기 의류수용부를 회전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변경정보는
    상기 코스 또는 옵션에서 설정된 반복횟수, 총 지속시간, 상기 구동부의 rpm, 상기 구동부의 실동률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키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의류를 수용하는 의류수용부에 물을 급수하는 급수밸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변경정보는
    상기 특정 코스 또는 옵션의 세탁과정과 관련된 반복횟수, 총 지속시간, 상기 구동부의 rpm, 상기 구동부의 실동률, 상기 급수밸브의 개방시간이나 상기 의류수용부의 수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키도록 구비되는 세탁변경정보와,
    상기 특정 코스 또는 옵션의 헹굼과정과 관련된 반복횟수, 총 지속시간, 상기 구동부의 rpm, 상기 구동부의 실동률, 상기 급수밸브의 개방시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키도록 구비되는 헹굼변경정보와,
    상기 특정 코스 또는 옵션의 탈수과정과 관련된 반복횟수, 총 지속시간, 상기 구동부의 rpm, 상기 구동부의 실동률, 상기 급수밸브의 개방시간이나 상기 의류수용부의 수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키도록 구비되는 탈수변경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요청단계는 상기 표시패널에 상기 세탁변경정보와 상기 헹굼변경정보와 상기 탈수변경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각각의 아이콘으로 표시하고,
    상기 입력단계는 상기 각각의 아이콘의 입력을 통해 상기 세탁변경정보와 상기 헹굼변경정보와 상기 탈수변경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입력받고,
    상기 결정단계는 상기 아이콘과 대응되는 상기 세탁변경정보와 상기 헹굼변경정보와 상기 탈수변경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상기 특정 코스 또는 옵션의 설정을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시스템의 제어방법.
KR1020190013430A 2019-02-01 2019-02-01 의류처리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온라인 시스템의 제어방법 KR20200095724A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3430A KR20200095724A (ko) 2019-02-01 2019-02-01 의류처리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온라인 시스템의 제어방법
US16/777,532 US20200248361A1 (en) 2019-02-01 2020-01-30 Laundry treating apparats and control method of on-line system containing the same
AU2020216025A AU2020216025B2 (en) 2019-02-01 2020-01-30 Laundry treat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of on-line system containing the same
PCT/KR2020/001398 WO2020159240A1 (en) 2019-02-01 2020-01-30 Laundry treat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of on-line system containing the same
CN202080012034.6A CN113366164B (zh) 2019-02-01 2020-01-30 衣物处理设备及包含该衣物处理设备的在线系统的控制方法
EP20748655.6A EP3918123A4 (en) 2019-02-01 2020-01-30 LAUNDRY TREATMENT DEVICE AND CONTROL METHOD OF AN ONLINE SYSTEM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3430A KR20200095724A (ko) 2019-02-01 2019-02-01 의류처리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온라인 시스템의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5724A true KR20200095724A (ko) 2020-08-11

Family

ID=718374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3430A KR20200095724A (ko) 2019-02-01 2019-02-01 의류처리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온라인 시스템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00248361A1 (ko)
EP (1) EP3918123A4 (ko)
KR (1) KR20200095724A (ko)
CN (1) CN113366164B (ko)
AU (1) AU2020216025B2 (ko)
WO (1) WO202015924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32164A (ko) * 2021-08-30 2023-03-07 신농(주) IoT 기반의 스마트 의류 건조기 및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30134144A1 (en) * 2021-11-04 2023-05-04 Haier Us Appliance Solution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adjusting a washing operation based on feedback from a drying operation
EP4206379A1 (en) * 2021-12-30 2023-07-05 Arçelik Anonim Sirketi A washing machine control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1096645A2 (en) 2000-06-12 2001-12-20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ethod and system for optimizing performance of consumer appliances
KR101029802B1 (ko) * 2003-12-01 2011-04-20 엘지전자 주식회사 홈 네트워크를 이용한 스마트 세탁기의 제어 방법
EP3088593A1 (en) * 2015-04-27 2016-11-02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Method for improving washing machine performance
US10054911B2 (en) * 2015-11-17 2018-08-21 Haier Us Appliance Solutions, Inc. Appliance consumer feedback system
EP3187645B1 (en) * 2015-12-29 2020-02-12 Electrolux Appliances Aktiebolag Laundry washing machine provided with a control panel
CN105970547B (zh) * 2016-05-31 2018-10-16 无锡小天鹅股份有限公司 洗衣机的控制方法及洗衣机的控制系统
CN108570793B (zh) * 2017-03-07 2021-03-30 青岛海尔洗涤电器有限公司 一种洗衣机的远程控制方法
KR102070783B1 (ko) * 2017-04-25 2020-01-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사용자가 수행한 코스 및 옵션의 패턴을 인공지능을 통해 학습하여 맞춤형 코스와 옵션을 추천하는 의류처리장치와 그 제어방법 및 상기 의류처리장치를 포함하는 온라인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32164A (ko) * 2021-08-30 2023-03-07 신농(주) IoT 기반의 스마트 의류 건조기 및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20216025A1 (en) 2021-09-30
AU2020216025B2 (en) 2023-09-21
CN113366164B (zh) 2023-10-03
US20200248361A1 (en) 2020-08-06
WO2020159240A1 (en) 2020-08-06
EP3918123A1 (en) 2021-12-08
CN113366164A (zh) 2021-09-07
EP3918123A4 (en) 2022-1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84673B2 (en) Method of controlling a multi-tub washing machine
KR20200095724A (ko) 의류처리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온라인 시스템의 제어방법
US8499391B2 (en) Laundry machine and method of controlling operation thereof
US20030024057A1 (en) Laundry appliance having automatic start feature
JP6253237B2 (ja) ランドリー機器
US11591737B2 (en) Washing machin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102229975B1 (ko)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EP3301214A1 (en) Electronic equipment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KR102229976B1 (ko) 의류처리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US9945060B2 (en) Method to determine fabric type in a laundry treating appliance using motor current signature during agitation
KR102099177B1 (ko)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KR20110016189A (ko) 세탁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세탁방법
KR20220120365A (ko)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KR102628097B1 (ko) 의류처리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온라인 시스템의 제어방법
KR102609775B1 (ko) 의류처리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온라인 시스템
KR20210075534A (ko) 세탁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2557579B1 (ko) 의류 처리장치의 제어방법
KR101709486B1 (ko) 세탁물 처리기기 및 세탁물 처리 시스템
KR102352398B1 (ko) 의류처리장치
JP2021007635A (ja) 衣類処理装置
KR102578675B1 (ko) 세탁기의 제어방법
KR102369592B1 (ko) 비젼 기반으로 부하를 인식하고 자동코스를 제공하는 인공지능 세탁기
JP2018027445A (ja) ランドリー機器
US11220775B2 (en) Washing machin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2583513B1 (ko) 의류처리장치, 의류처리시스템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