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04218A -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04218A
KR20210104218A KR1020200018561A KR20200018561A KR20210104218A KR 20210104218 A KR20210104218 A KR 20210104218A KR 1020200018561 A KR1020200018561 A KR 1020200018561A KR 20200018561 A KR20200018561 A KR 20200018561A KR 20210104218 A KR20210104218 A KR 202101042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hesive
heat dissipation
layer
adhesive layer
auxili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85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부균
김윤재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185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04218A/ko
Priority to US17/089,701 priority patent/US11216029B2/en
Priority to EP21154912.6A priority patent/EP3865972B1/en
Priority to CN202110159556.5A priority patent/CN113270030A/zh
Publication of KR202101042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4218A/ko
Priority to US17/536,065 priority patent/US11797047B2/en
Priority to US18/371,417 priority patent/US20240012448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G06F1/16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folding flat displays, e.g. laptop computers or notebooks having a clamshell configuration,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1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flexible foldable or roll-able electronic displays, e.g. thin LCD, OL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2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lexible, e.g. mimicking a sheet of paper, or rollabl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20Cooling means
    • G06F1/203Cooling means for portable computers, e.g. for laptop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04M1/0216Foldable in one direction, i.e. using a one degree of freedom hin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 H04M1/0268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including a flexible display panel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H05K7/20954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for display panel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2Flexible digitiser, i.e. constructional details for allowing the whole digitising part of a device to be flexed or rolled like a sheet of pap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표시장치는, 폴딩축을 기반으로 폴딩되는 폴딩 영역, 상기 폴딩 영역을 사이에 두고 마주하는 제1 비폴딩 영역 및 제2 비폴딩 영역을 정의하는 표시모듈, 상기 표시모듈 하부에 배치된 방열 시트를 포함하고, 상기 방열 시트는, 상기 제1 비폴딩 영역에 중첩한 제1 접착 부분 및 상기 제2 비폴딩 영역에 중첩한 제2 접착 부분을 포함한 제1 방열 접착층, 상기 제1 접착 부분에 중첩한 제3 접착 부분 및 상기 제2 접착 부분에 중첩한 제4 접착 부분을 포함한 제2 방열 접착층, 상기 제1 접착 부분 및 상기 제3 접착 부분 사이에 배치된 제1 방열 부분 및 상기 제2 접착 부분 및 상기 제4 접착 부분 사이에 배치된 제2 방열 부분을 포함한 방열층, 상기 제1 접착 부분 및 상기 제3 접착 부분 사이에 배치되며 평면상에서 상기 제1 방열 부분을 에워싸는 제1 보조 접착 부분, 및 상기 제2 접착 부분 및 상기 제4 접착 부분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평면상에서 상기 제2 방열 부분을 에워싸는 제2 보조 접착 부분을 포함한 보조 접착층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표시장치{DISPLAY DEVICE}
본 발명은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폴딩이 가능한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텔레비전, 휴대 전화, 태블릿 컴퓨터, 네비게이션, 게임기 등과 같은 멀티 미디어 장치에 사용되는 다양한 표시장치들이 개발되고 있다. 표시장치는 영상을 표시하며 외부의 입력을 감지하는 표시모듈, 표시패널 상에 배치된 편광층, 및 윈도우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모듈은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패널과 외부 입력을 감지하는 입력 감지층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표시장치는 표시모듈 하부에 배치되어, 표시장치 내부의 열을 방출하는 방열층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방열층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는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실시 예에 따른 표시장치는, 폴딩축을 기반으로 폴딩되는 폴딩 영역, 상기 폴딩 영역을 사이에 두고 마주하는 제1 비폴딩 영역 및 제2 비폴딩 영역을 정의하는 표시모듈, 상기 표시모듈 하부에 배치된 방열 시트를 포함하고, 상기 방열 시트는, 상기 제1 비폴딩 영역에 중첩한 제1 접착 부분 및 상기 제2 비폴딩 영역에 중첩한 제2 접착 부분을 포함한 제1 방열 접착층, 상기 제1 접착 부분에 중첩한 제3 접착 부분 및 상기 제2 접착 부분에 중첩한 제4 접착 부분을 포함한 제2 방열 접착층, 상기 제1 접착 부분 및 상기 제3 접착 부분 사이에 배치된 제1 방열 부분 및 상기 제2 접착 부분 및 상기 제4 접착 부분 사이에 배치된 제2 방열 부분을 포함한 방열층, 상기 제1 접착 부분 및 상기 제3 접착 부분 사이에 배치되며 평면상에서 상기 제1 방열 부분을 에워싸는 제1 보조 접착 부분, 및 상기 제2 접착 부분 및 상기 제4 접착 부분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평면상에서 상기 제2 방열 부분을 에워싸는 제2 보조 접착 부분을 포함한 보조 접착층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방열 부분은 상기 제1 접착 부분, 상기 제3 접착 부분, 및 상기 제1 보조 접착 부분에 의해 밀봉되고, 상기 제2 방열 부분은 상기 제2 접착 부분, 상기 제4 접착 부분, 및 상기 제2 보조 접착 부분에 의해 밀봉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방열 부분 및 상기 제1 보조 접착 부분은 서로 이격되고, 상기 제2 방열 부분 및 상기 제2 보조 접착 부분은 서로 이격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보조 접착 부분 및 상기 제2 보조 접착 부분 각각은, 기재층, 상기 기재층 및 상기 제1 방열 접착층 사이에 배치된 제1 점착층, 상기 기재층 및 상기 제2 방열 접착층 사이에 배치된 제2 점착층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방열 접착층 및 상기 제2 방열 접착층 각각은 단일 점착층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접착 부분, 상기 제3 접착 부분, 및 상기 제1 보조 접착 부분을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 개구부가 정의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방열 시트 및 상기 표시모듈 사이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커버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센서 개구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커버 부재를 관통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방열 부분은 서로 이격된 복수 개의 제1 개구부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접착 부분 및 상기 제3 접착 부분은 상기 제1 개구부들을 통해 서로 접착되고, 상기 제2 방열 부분은 서로 이격된 복수 개의 제2 개구부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접착 부분 및 상기 제4 접착 부분은 상기 제2 개구부들을 통해 서로 접착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개구부들에 중첩한 상기 제1 접착 부분 및 상기 제3 접착 부분 각각은 함몰된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2 개구부들에 중첩한 상기 제2 접착 부분 및 상기 제4 접착 부분 각각은 함몰된 형상을 갖는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표시모듈의 두께 방향에서, 상기 방열층은 상기 제1 방열 접착층 및 상기 제2 방열 접착층 두께의 합보다 큰 두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접착 부분 및 상기 제2 접착 부분은 상기 폴딩축을 사이에 두고 서로 이격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방열 시트는 상기 폴딩 영역에 비중첩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보조 접착 부분 및 상기 제2 보조 접착 부분 각각의 적어도 일 부분은 상기 폴딩 영역에 중첩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방열 부분 및 상기 제2 방열 부분 각각의 적어도 일 부분은 상기 폴딩 영역에 중첩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방열 부분 및 상기 제2 방열 부분 각각은 상기 폴딩 영역에 비중첩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표시장치는, 상기 표시모듈 및 상기 제1 방열 접착층 사이에 배치된 플레이트, 상기 제2 방열 접착층 하부에 배치된 절연 필름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플레이트는 상기 제1 접착 부분에 중첩한 제1 플레이트 및 상기 제1 플레이트와 이격되며 상기 제2 접착 부분에 중첩한 제2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절연 필름은 상기 제1 플레이트에 중첩한 제1 절연 필름 및 상기 제1 절연 필름과 이격되며 상기 제2 플레이트에 중첩한 제2 절연 필름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방열 부분은 상기 제1 보조 접착 부분과 적어도 일 부분에서 서로 접촉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방열층은 폴리이미드 물질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방열 접착층 및 상기 제2 방열 접착층 각각은 감압 접착제이고, 상기 보조 접착층은 양면 테이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방열 시트는, 제1 방열 접착층, 제2 방열 접착층, 및 제1 방열 접착층과 제2 방열 접착층 사이에 배치된 방열층 및 보조 접착층을 포함한다. 특히, 방열층은 제1 방열 접착층, 제2 방열 접착층, 및 보조 접착층에 의해 밀봉될 수 있다. 방열층이 제1 방열 접착층, 제2 방열 접착층, 및 보조 접착층에 의해 밀봉됨에 따라, 방열층의 유동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제1 방열 접착층 및 제2 방열 접착층이 보조 접착층을 통해 서로 접착됨에 따라, 제1 방열 접착층 및 제2 방열 접착층 사이의 접착력이 더 향상될 수 있다. 그 결과, 제1 방열 접착층 및 제2 방열 접착층 사이의 들뜸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도 1a에 도시된 A-A'을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패널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2 하부 부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2 하부 부재의 평면도이다.
도 6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도 5에 도시된 I-I'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6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도 5에 도시된 I-I'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도 5에 도시된 접착 시트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도 5에 도시된 II-II'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9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도 5에 도시된 III-III'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AA 영역을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폴딩 동작에 따른 제2 하부 부재의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제2 하부 부재의 평면도이다.
도 13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도 12에 도시된 IV-IV'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3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접착 시트의 단면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또는 영역, 층, 부분 등)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 "연결 된다", 또는 "결합된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직접 배치/연결/결합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3의 구성요소가 배치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들의 두께, 비율, 및 치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및/또는"은 연관된 구성들이 정의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조합을 모두 포함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하부에", "하측에", "위에", "상측에" 등의 용어는 도면에 도시된 구성들의 연관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다. 상기 용어들은 상대적인 개념으로, 도면에 표시된 방향을 기준으로 설명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모든 용어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서 정의된 용어와 같은 용어는 관련 기술의 맥락에서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고, 이상적인 또는 지나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 한, 명시적으로 여기에서 정의됩니다.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a는 표시장치(1000)가 언폴딩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1b는 표시장치(1000)가 폴딩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면, 표시장치(1000)는 전기적 신호에 따라 활성화되는 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장치(1000)는 휴대폰, 태블릿, 자동차 내비게이션, 게임기, 또는 웨어러블 장치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1a에서는 표시장치(1000)가 휴대폰인 것을 예시적으로 도시하였다.
표시장치(1000)는 액티브 영역(1000A)을 통해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표시장치(1000)가 언폴딩된 상태에서, 액티브 영역(1000A)은 제1 방향(DR1) 및 제2 방향(DR2)에 의해 정의된 평면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장치(1000)의 두께 방향은 제1 방향(DR1) 및 제2 방향(DR2)과 교차하는 제3 방향(DR3)과 나란할 수 있다. 따라서, 표시장치(1000)를 구성하는 부재들의 전면(또는 상면)과 배면(또는 하면)은 제3 방향(DR3)을 기준으로 정의될 수 있다.
액티브 영역(1000A)은 제1 영역(1000A1), 제2 영역(1000A2), 및 제3 영역(1000A3)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영역(1000A2)은 제2 방향(DR2)을 따라 연장하는 폴딩축(FX)을 기준으로 휘어질 수 있다. 따라서, 제1 영역(1000A1)은 제1 비폴딩 영역으로, 제3 영역(1000A3)은 제2 비폴딩 영역으로, 제2 영역(1000A2)은 폴딩 영역으로 지칭될 수 있다.
표시장치(1000)가 폴딩되면, 제1 영역(1000A1)과 제3 영역(1000A3)은 서로 마주할 수 있다. 따라서, 완전히 폴딩된 상태에서, 액티브 영역(1000A)은 외부로 노출되지 않을 수 있으며, 이는 인-폴딩(in-folding)으로 지칭될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표시장치(1000)의 동작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표시장치(1000)가 폴딩되면, 제1 영역(1000A1)과 제3 영역(1000A3)은 서로 대향(opposing)할 수 있다. 따라서, 폴딩된 상태에서, 액티브 영역(1000A)은 외부로 노출될 수 있으며, 이는 아웃-폴딩(out-folding)으로 지칭될 수 있다.
표시장치(1000)는 인-폴딩 또는 아웃-폴딩 중 어느 하나의 동작만 가능할 수 있다. 또는 표시장치(1000)는 인-폴딩 동작 및 아웃-폴딩 동작이 모두 가능할 수 있다. 이 경우, 표시장치(1000)의 동일한 영역, 예를 들어, 제2 영역(1000A2)이 인-폴딩 및 아웃 폴딩될 수 있다. 또는, 표시장치(1000)의 일부 영역은 인-폴딩되고, 다른 일부 영역은 아웃-폴딩될 수도 있다.
도 1a 및 도 1b에서는 하나의 폴딩 영역과 두 개의 비폴딩 영역이 예를 들어 도시되었으나, 폴딩 영역과 비폴딩 영역의 개수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표시장치(1000)는 2개보다 많은 복수 개의 비폴딩 영역들 및 서로 인접한 비폴딩 영역들 사이에 배치된 복수의 폴딩 영역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a 및 도 1b에서는 폴딩축(FX)이 표시장치(1000)의 단축과 나란한 것을 예시적으로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폴딩축(FX)은 표시장치(1000)의 장축, 예를 들어, 제1 방향(DR1)과 나란한 방향을 따라 연장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1 영역(1000A1), 제2 영역(1000A2), 및 제3 영역(1000A3)은 제2 방향(DR2)을 따라 순차적으로 배열될 수 있다.
표시장치(1000)에는 복수의 센싱 영역들(100SA1, 100SA2, 100SA3)이 정의될 수 있다. 도 1a에서는 3 개의 센싱 영역들(100SA1, 100SA2, 100SA3)이 예시적으로 도시되었으나, 복수의 센싱 영역들(100SA1, 100SA2, 100SA3)의 개수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복수의 센싱 영역들(100SA1, 100SA2, 100SA3)은 제1 센싱 영역(100SA1), 제2 센싱 영역(100SA2), 및 제3 센싱 영역(100SA3)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센싱 영역(100SA1)은 카메라 모듈과 중첩할 수 있고, 제2 센싱 영역(100SA2) 및 제3 센싱 영역(100SA3)은 근접 조도 센서와 중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카메라 모듈 및 다양한 센서들에 대응한 전자 모듈들은 제1 센싱 영역(100SA1), 제2 센싱 영역(100SA2), 또는 제3 센싱 영역(100SA3)을 통해 전달되는 외부 입력을 수신하거나, 제1 센싱 영역(100SA1), 제2 센싱 영역(100SA2), 또는 제3 센싱 영역(100SA3)을 통해 출력을 제공할 수 있다.
제1 센싱 영역(100SA1)은 액티브 영역(1000A)에 의해 에워싸일 수 있고, 제2 센싱 영역(100SA2) 및 제3 센싱 영역(100SA3)은 액티브 영역(1000A)에 포함될 수 있다. 즉, 제2 센싱 영역(100SA2) 및 제3 센싱 영역(100SA3)은 영상을 표시할 수도 있다. 제1 센싱 영역(100SA1), 제2 센싱 영역(100SA2) 및 제3 센싱 영역(100SA3) 각각의 투과율은 액티브 영역(1000A)의 투과율보다 높을 수 있다. 또한, 제1 센싱 영역(100SA1)의 투과율은 제2 센싱 영역(100SA2)의 투과율, 및 제3 센싱 영역(100SA3)의 투과율 각각보다 높을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도 1a에 도시된 A-A'을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패널의 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표시장치(1000)는 표시모듈(100), 상부 기능층들, 및 하부 기능층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표시모듈(100)은 영상을 생성하고, 외부에서 인가되는 입력을 감지하는 구성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모듈(100)은 표시패널(110) 및 입력 감지층(120)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모듈(100)의 두께는 30 마이크로미터일 수 있으며, 표시모듈(100)의 두께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표시패널(110)은 영상을 실질적으로 생성하는 구성일 수 있다. 표시패널(110)은 발광형 표시층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표시패널(110)은 유기발광 표시층, 퀀텀닷 표시층, 또는 마이크로 엘이디 표시층일 수 있다.
표시패널(110)은 베이스층(111), 회로층(112), 발광소자층(113), 및 봉지층(114)을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층(111)은 합성수지 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합성수지층은 열 경화성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층(111)은 다층구조를 가질 수 있다. 예컨대 베이스층(111)은 합성수지층, 접착층, 및 합성수지층의 3층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특히, 합성수지층은 폴리이미드계 수지층일 수 있고, 그 재료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합성수지층은 아크릴계 수지, 메타크릴계 수지, 폴리이소프렌, 비닐계 수지, 에폭시계 수지, 우레탄계 수지, 셀룰로오스계 수지, 실록산계 수지, 폴리아미드계 수지 및 페릴렌계 수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밖에 베이스층(111)은 유리 기판, 또는 유/무기 복합재료 기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회로층(112)은 베이스층(111) 위에 배치될 수 있다. 회로층(112)은 절연층, 반도체 패턴, 도전 패턴, 및 신호 라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코팅, 증착 등의 방식으로 절연층, 반도체층, 및 도전층이 베이스층(111) 위에 형성되고, 이후, 복수 회의 포토리소그래피 공정을 통해 절연층, 반도체층, 및 도전층이 선택적으로 패터닝될 수 있다. 이 후, 회로층(112)에 포함된 반도체 패턴, 도전 패턴, 및 신호 라인 이 형성될 수 있다.
발광 소자층(113)은 회로층(112) 위에 배치될 수 있다. 발광 소자층(113)은 발광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발광 소자층(113)은 유기 발광 물질, 퀀텀닷, 퀀텀 로드, 또는 마이크로 엘이디를 포함할 수 있다.
봉지층(114)은 발광 소자층(113) 위에 배치될 수 있다. 봉지층(114)은 순차적으로 적층된 무기층, 유기층, 및 무기층을 포함할 수 있으나, 봉지층(114)을 구성하는 층들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무기층들은 수분 및 산소로부터 발광 소자층(113)을 보호하고, 유기층은 먼지 입자와 같은 이물질로부터 발광 소자층(113)을 보호할 수 있다. 무기층들은 실리콘나이트라이드층, 실리콘옥시 나이트라이드층, 실리콘옥사이드층, 티타늄옥사이드층, 또는 알루미늄옥사이드층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유기층은 아크릴 계열 유기층을 포함할 수 있고,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입력 감지층(120)은 표시패널(110) 위에 배치될 수 있다. 입력 감지층(120)은 외부에서 인가되는 외부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외부 입력은 사용자의 입력일 수 있다. 사용자의 입력은 사용자 신체의 일부, 광, 열, 펜, 또는 압력 등 다양한 형태의 외부 입력들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 감지층(120)은 연속된 공정을 통해 표시패널(110) 위에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입력 감지층(120)은 표시패널(110) 위에 직접 배치된다고 표현될 수 있다. 직접 배치된다는 것은 입력 감지층(120)과 표시패널(110) 사이에 제3 의 구성요소, 예컨대 접착 부재가 배치되지 않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또는, 입력 감지층(120)은 표시패널(110)과 접착 부재를 통해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접착 부재는 통상의 접착제 또는 점착제를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상부 기능층들은 표시모듈(100) 위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부 기능층들은 반사 방지 부재(200) 및 상부 부재(300)를 포함할 수 있다.
반사 방지 부재(200)는 반사 방지층으로 지칭될 수 있다. 반사 방지 부재(200)는 외부로부터 입사되는 외부광의 반사율을 감소시킬 수 있다. 반사 방지 부재(200)는 연신형 합성수지 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반사 방지 부재(200)는 폴리비닐알콜필름(PVA 필름)에 요오드 화합물을 염착하여 제공될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반사 방지 부재(200)를 구성하는 물질이 상기 예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반사 방지 부재(200)의 두께는 31 마이크로미터일 수 있으며, 반사 방지 부재(200)의 두께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반사 방지 부재(200)는 제1 접착층(1010)을 통해 표시모듈(100)과 결합될 수 있다. 제1 접착층(1010)은 감압접착필름(PSA, Pressure Sensitive Adhesive film), 광학투명접착필름(OCA, Optically Clear Adhesive film) 또는 광학투명접착수지(OCR, Optically Clear Resin)와 같은 투명한 접착층일 수 있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접착층은 통상의 접착제 또는 점착제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접착층(1010)의 두께는 25 마이크로미터일 수 있으며, 제1 접착층(1010)의 두께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1 접착층(1010)은 생략될 수 있고, 이 경우, 반사 방지 부재(200)는 표시모듈(100) 위에 직접 배치될 수 있다. 표시모듈(100)이 경우, 반사 방지 부재(200)와 표시모듈(100) 사이에 별도의 접착층이 배치되지 않을 수 있다.
상부 부재(300)는 반사 방지 부재(200) 위에 배치될 수 있다. 상부 부재(300)는 제1 하드 코팅층(310), 보호층(320), 제1 상부 접착층(330), 윈도우(340), 제2 상부 접착층(350), 차광층(360), 충격 흡수층(370), 및 제2 하드 코팅층(380)을 포함할 수 있다. 상부 부재(300)가 포함하는 구성 요소들은 상술된 구성 요소들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술된 구성 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가 생략될 수도 있으며, 다른 구성 요소들이 추가될 수도 있다.
제1 하드 코팅층(310)은 표시장치(1000)의 최외면에 배치되는 층일 수 있다. 제1 하드 코팅층(310)은 표시장치(1000)의 사용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기능층으로, 보호층(320) 위에 코팅되어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하드 코팅층(310)에 의해 지문 방지 특성, 오염 방지 특성, 스크래치 방지 특성 등이 향상될 수 있다.
보호층(320)은 제1 하드 코팅층(310)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보호층(320)은 보호층(320)의 하부애 배치된 구성들은 보호층(320)에 의해 보호될 수 있다. 보호층(320)에는 내약품, 내마모 등의 특성을 향상시키 위해 제1 하드 코팅층(310), 지문 방지층 등이 추가로 제공될 수 있다. 보호층(320)은 상온에서의 탄성계수가 15GPa 이하인 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보호층(320)의 두께는 55 마이크로미터일 수 있으나, 보호층(320)의 두께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일 실시예에서, 보호층(320)은 생략될 수도 있다.
제1 상부 접착층(330)은 보호층(320)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상부 접착층(330)에 의해 보호층(320)과 윈도우(340)가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제1 상부 접착층(330)의 두께는 25 마이크로미터일 수 있으나, 제1 상부 접착층(330)의 두께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윈도우(340)는 제1 상부 접착층(330)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윈도우(340)는 광학적으로 투명한 절연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윈도우(340)는 유리 기판 또는 합성수지 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윈도우(340)가 유리 기판인 경우, 윈도우(340)의 두께는 80마이크로미터이하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30 마이크로미터일 수 있으나, 윈도우(340)의 두께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윈도우(340)가 합성수지필름인 경우, 윈도우(340)는 폴리이미드(polyimide, Pl) 필름 또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윈도우(340)는 다층구조 또는 단층구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윈도우(340)는 접착제로 결합된 복수 개의 합성수지 필름을 포함하거나, 접착제로 결합된 유리 기판과 합성수지 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상부 접착층(350)은 윈도우(340)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상부 접착층(340)에 의해 윈도우(340)와 충격 흡수층(370)이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제2 상부 접착층(350)의 두께는 35 마이크로미터일 수 있으나, 제2 상부 접착층(350)의 두께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윈도우(340)의 측벽(340S)과 제2 상부 접착층(350)의 측벽(350S)은 다른 층들의 측벽, 예를 들어, 표시모듈(100)의 측벽(100S) 및 보호층(320)의 측벽(320S)보다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내측에 배치된다는 것은 다른 비교 대상보다 액티브 영역(1000A)에 가깝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표시장치(1000)의 폴딩 동작에 의해, 각 층 들 사이의 위치 관계가 변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윈도우(340)의 측벽(340S)이 표시모듈(100)의 측벽(100S) 및 보호층(320)의 측벽(320S)보다 내측에 배치되기 때문에, 각 층들 사이의 위치 관계가 변형되더라도, 윈도우(340)의 측벽(340S)이 보호층(320)의 측벽(320S)보다 돌출될 확률이 감소될 수 있다. 따라서, 윈도우(340)의 측벽(340S)을 통해 외부 충격이 전달될 가능성이 감소될 수 있다. 그 결과, 윈도우(340)에 크랙이 발생될 확률이 감소될 수 있다.
윈도우(340)의 측벽(340W)과 보호층(320)의 측벽(320S) 사이의 제1 거리(340W)는 소정의 거리 이상일 수 있다. 여기서 제1 거리(340W)는 제1 방향(DR1)과 나란한 방향의 거리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제1 거리(340W)는 평면 상에서 보았을 때, 측벽(340S)과 측벽(320S)사이의 거리에 대응될 수 있다.
제1 거리(340W)는 196마이크로미터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1 거리(340W)는 50마이크로미터 이상일 수 있으며, 300마이크로미터일 수도 있다. 제1 거리(340W)가 커지면 커질수록 보호층(320)은 윈도우(340)보다 더 돌출되고, 보호층(320)의 일부분은 벤딩되어 다른 구성 요소들, 예를 들어 케이스 등에 부착될 수 있다. 또한, 보호층(320)의 면적이 넓을수록 보호층(320)의 상부로부터 유입되는 이물이 보호층(320) 하부로 유입될 확률이 감소될 수 있다.
또한, 윈도우(340)와 제2 상부 접착층(350)은 라미네이션 공정을 통해, 충격 흡수층(370)에 접착될 수 있다. 라미네이션 공정 공차를 고려하여 윈도우(340) 및 제2 상부 접착층(350)의 면적이 충격 흡수층(370)의 면적보다 작을 수 있다. 또한, 제2 상부 접착층(350)의 면적은 윈도우(340)의 면적보다 작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윈도우(340)를 부착하는 공정에서 제2 상부 접착층(350)에는 압력이 가해질 수 있다. 제2 상부 접착층(350)은 압력을 받아 제1 방향(DR1) 및 제2 방향(DR2)과 나?爭? 방향으로 늘어날 수 있다. 이 때, 제2 상부 접착층(350)이 윈도우(340)보다 돌출되지 않도록 제2 상부 접착층(350)의 면적이 윈도우(340)의 면적보다 작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와 달리, 제1 상부 접착층(330)과 제2 상부 접착층(350)이 부착되는 경우, 표시장치(1000)의 폴딩 동작 시 윈도우(340)가 슬립(Slip)되지 못해 윈도우(340)에 버클링 현상이 발생될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상부 접착층(350)의 면적이 윈도우(340)의 면적보다 작다. 따라서, 제2 상부 접착층(350)에 제1 상부 접착층(330)이 부착되지 않을 수 있으며, 제2 상부 접착층(350)에 이물이 달라 붙을 확률이 감소될 수 있다.
제2 상부 접착층(350)의 측벽(350W)과 보호층(320)의 측벽(320S) 사이의 제2 거리(350W)는 소정의 거리 이상일 수 있다. 여기서 제2 거리(350W)는 제1 방향(DR1)과 나란한 방향의 거리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제2 거리(350W)는 평면 상에서 보았을 때, 측벽(350S)과 측벽(320S)사이의 거리에 대응될 수 있다.
제2 거리(350W)는 392마이크로미터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2 거리(350W)는 292 마이크로미터 내지 492마이크로미터 사이의 범위 중 선택될 수 있으며, 이 범위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차광층(360)은 충격 흡수층(370)과 제2 상부 접착층(35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차광층(360)은 충격 흡수층(370)의 상면에 인쇄되어 제공될 수 있다. 차광층(360)은 주변 영역(1000NA)과 중첩할 수 있다. 차광층(360)은 유색의 층으로써 코팅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차광층(360)은 유색의 유기물 또는 불투명한 금속을 포함할 수 있으며, 차광층(360)을 구성하는 물질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2에서는 차광층(360)이 충격 흡수층(370)의 상면에 배치된 것을 예시적으로 도시하였으나, 차광층(360)의 위치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차광층(360)은 보호층(320)의 상면, 보호층(320)의 하면, 윈도우(340)의 상면, 또는 윈도우(340)의 하면에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차광층(360)은 복수의 층들로 제공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일부는 충격 흡수층(370)의 상면, 다른 일부는 보호층(320)의 상면, 보호층(320)의 하면, 윈도우(340)의 상면, 또는 윈도우(340)의 하면에 제공될 수 있다.
충격 흡수층(370)은 외부 충격으로부터 표시모듈(100)을 보호하기 위한 기능층일 수 있다. 충격 흡수층(370)은 상온에서 1GPa 이상의 탄성계수를 갖는 필름 중에 선택될 수 있다. 충격 흡수층(370)은 광학 기능을 포함하는 연신 필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충격 흡수층(370)은 광축이 제어된 필름(Optical axis control film)일 수 있다. 충격 흡수층(370)의 두께는 41 마이크로미터 일 수 있으나, 충격 흡수층(370)의 두께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충격 흡수층(370)은 생략될 수도 있다.
제2 하드 코팅층(380)은 충격 흡수층(370)의 표면에 제공될 수 있다. 충격 흡수층(370)은 굴곡진 표면을 포함할 수 있다. 충격 흡수층(370)의 상면은 제2 상부 접착층(350)과 접촉될 수 있다. 따라서, 충격 흡수층(370)의 상면의 굴곡은 제2 상부 접착층(350)에 의해 메워질 수 있다. 따라서, 충격 흡수층(370)의 상면에서 광학적 이슈는 발생되지 않을 수 있다. 충격 흡수층(370)의 하면은 제2 하드 코팅층(380)에 의해 평탄화될 수 있다. 제2 하드 코팅층(380)이 충격 흡수층(370)의 표면을 커버함에 따라, 충격 흡수층(370)의 표면에서 발생될 수 있는 헤이즈가 방지될 수 있다.
상부 부재(300)는 제2 접착층(1020)을 통해 반사 방지 부재(200)와 결합될 수 있다. 제2 접착층(1020)은 통상의 접착제 또는 점착제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접착층(1020)의 두께는 25마이크로미터일 수 있으며, 제2 접착층(1020)의 두께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하부 기능층들은 표시모듈(100)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자세하게, 하부 기능층들은 하부 보호 필름(400), 쿠션 부재(500), 제1 하부 부재(600), 제2 하부 부재(700), 단차 보상 부재(800)를 포함할 수 있다. 하부 기능층들이 포함하는 구성 요소들은 상술된 구성 요소들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술된 구성 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가 생략될 수도 있으며, 다른 구성 요소들이 추가될 수도 있다.
하부 보호 필름(400)은 표시모듈(100)의 배면에 제3 접착층(1030)을 통해 결합될 수 있다. 하부 보호 필름(400)은 표시모듈(100) 제조 공정 중에 표시모듈(100)의 배면에 스크래치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하부 보호 필름(400)은 유색의 폴리이미드 필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부 보호 필름(400)은 불투명한 황색 필름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하부 보호 필름(400)의 두께는 40 마이크로미터일 수 있고, 제3 접착층(1030)의 두께는 18 마이크로미터일 수 있다. 다만, 하부 보호 필름(400)의 두께 및 제3 접착층(1030)의 두께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쿠션 부재(500)는 하부 보호 필름(400)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쿠션 부재(500)는 하부로부터 전달되는 충격으로부터 표시모듈(100)을 보호할 수 있다. 쿠션 부재(500)에 의해 표시장치(1000)의 내충격 특성이 개선될 수 있다.
쿠션 부재(500)는 제1 쿠션 접착층(510), 배리어 필름(520), 쿠션층(530), 및 제2 쿠션 접착층(540)을 포함할 수 있다. 쿠션 부재(500)가 포함하는 구성 요소들은 상술된 구성 요소들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술된 구성 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가 생략될 수도 있으며, 다른 구성 요소들이 추가될 수도 있다.
제1 쿠션 접착층(510) 및 제2 쿠션 접착층(540)은 통상의 접착제 또는 점착제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쿠션 접착층(510)은 하부 보호 필름(400)에 부착되고, 제2 쿠션 접착층(540)은 제1 하부 부재(600)에 부착될 수 있다. 제1 쿠션 접착층(510)의 두께는 25 마이크로미터일 수 있고, 제2 쿠션 접착층(540)의 두께는 8 마이크로미터일 수 있다. 다만, 제1 쿠션 접착층(510) 및 제2 쿠션 접착층(520)의 두께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배리어 필름(520)은 내충격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제공될 수 있다. 배리어 필름(520)은 표시모듈(100)의 변형을 막아주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배리어 필름(520)은 합성수지필름, 예를 들어, 폴리이미드 필름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배리어 필름(520)의 두께는 35 마이크로미터일 수 있으나, 배리어 필름(520)의 두께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쿠션층(530)은 예를 들어 발포폼 또는 스펀지를 포함할 수 있다. 발포폼을 폴리우레탄폼 또는 열가소성 폴리 우레탄 폼을 포함할 수 있다. 쿠션층(530)이 발포폼을 포함하는 경우, 쿠션층(530)은 배리어 필름(520)을 기저층으로 하여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리어 필름(520) 위에 발포제를 발포하여 쿠션층(530)을 형성할 수 있다.
쿠션층(530)의 두께는 100 마이크로미터일 수 있으나, 쿠션층(530)의 두께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배리어 필름(520) 및 쿠션층(53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광을 흡수하는 색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배리어 필름(520) 및 쿠션층(53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검정색일 수 있다. 이 경우, 쿠션 부재(500) 하부에 배치된 구성 요소들이 외부에서 시인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제1 하부 부재(600)는 쿠션 부재(500)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하부 부재(600)는 플레이트(610), 하부 접착층(620), 및 커버층(63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하부 부재(600)가 포함하는 구성 요소들은 상술된 구성 요소들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술된 구성 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가 생략될 수도 있으며, 다른 구성 요소들이 추가될 수도 있다.
플레이트(610)는 상온에서의 탄성계수가 60GPa 이상인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레이트(610)는 SUS304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플레이트(610)는 상부에 배치된 구성들을 지지할 수 있다. 또한, 플레이트(610)에 의해 표시장치(1000)의 방열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플레이트(610)의 일부분에는 개구부(611)가 정의될 수 있다. 개구부(611)는 제2 영역(1000A2)과 중첩하는 영역에 정의될 수 있다. 평면 상에서, 예를 들어, 제3 방향(DR3)에서 보았을 때, 개구부(611)는 제2 영역(1000A2)과 중첩할 수 있다. 개구부(611)에 의해 플레이트(610)의 일부분의 형상이 보다 용이하게 변형될 수 있다.
커버층(630)이 하부 접착층(620)에 의해 플레이트(610)에 부착될 수 있다. 하부 접착층(620)은 통상의 접착제 또는 점착제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층(630)은 플레이트(610)의 개구부(611)를 커버할 수 있다. 따라서, 개구부(611)로 이물이 유입되는 것을 추가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커버층(630)은 플레이트(610)의 탄성 계수보다 낮은 탄성 계수를 갖는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커버층(630)은 열가소성 폴리 우레탄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플레이트(610)의 두께는 150 마이크로미터일 수 있고, 하부 접착층(620)의 두께는 8 마이크로미터일 수 있고, 커버층(630)의 두께는 8 마이크로미터일 수 있다. 다만, 플레이트(610)의 두께, 하부 접착층(620)의 두께, 및 커버층(630)의 두께가 상술된 수치들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2 하부 부재(700)는 제1 하부 부재(600)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제2 하부 부재(700)는 폴딩축(FX)을 사이에 두고 이격된 제1 부분 및 제2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부분은 제1 영역(1000A1)에 중첩하고, 제2 부분은 제3 영역(1000A3)에 중첩할 수 있다. 일 예로, 제1 부분 및 제2 부분은 제2 영역(1000A2)을 사이에 두고 이격될 수 있다. 이 경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하부 부재(700)는 제2 영역(1000A2)에 비중첩한 구조일 수 있다.
제2 하부 부재(700)는 제4 접착층들(1040)에 의해 제1 하부 부재(600)에 부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제4 접착층(1040)은 제1 영역(1000A1)과 중첩하는 제1 하부 부재(600)의 하면에 부착되고, 다른 하나의 제4 접착층(1040)은 제3 영역(100A3)과 중첩하는 제1 하부 부재(600)의 하면에 부착될 수 있다. 즉, 제4 접착층들(1040)은 제2 영역(1000A2)과 비중첩할 수 있다. 제4 접착층들(1040) 각각의 두께는 8 마이크로미터일 수 있으나, 제4 접착층들(1040) 각각의 두께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시되지 않았으나, 제2 하부 부재(700)와 제1 하부 부재(600) 사이에는 단차 보상 필름이 더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차 보상 필름은 제2 영역(1000A2)과 중첩하는 영역에 제공될 수 있다. 단차 보상 필름의 일면의 접착력은 다른 일면의 접착력보다 낮은 접착력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일면은 접착력을 갖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일면은 제1 하부 부재(600)와 마주하는 면일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2 하부 부재의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 도 2 및 도 4를 참조하여, 제2 하부 부재(700)에 대해 보다 자세히 설명한다.
제2 하부 부재(700)는 하부 플레이트(710), 방열 시트(720), 및 절연 필름(730)을 포함할 수 있다.
하부 플레이트(710)는 제1 하부 부재(600) 및 방열 시트(720) 사이에 배치된다. 하부 플레이트(710)는 제1 영역(1000A1)에 중첩한 제1 플레이트(711) 및 제3 영역(1000A3)에 중첩한 제2 플레이트(712)를 포함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플레이트(711) 및 제2 플레이트(712)는 제2 영역(1000A2)을 사이에 두고 서로 이격될 수 있다.
하부 플레이트(710)는 제2 하부 부재(700) 하부에 배치된 구성에 의해 제2 하부 부재(700) 상에 배치된 구성 요소들의 형상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하부 플레이트(710)는 금속 합금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컨대 구리 합금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하부 플레이트(710)를 구성하는 물질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하부 플레이트(710)의 두께는 80 마이크로미터 일 수 있으며, 하부 플레이트(710)의 두께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방열 시트(720)는 하부 플레이트(710) 및 절연 필름(73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방열 시트(720)는 하부 플레이트(710)의 하부에 부착되고, 절연 필름(730)의 상부에 부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방열 시트(720)는 높은 열 전도성을 갖는 열 전도시트일 수 있다.
자세하게, 방열 시트(720)는 방열층(721), 제1 방열 접착층(722), 제2 방열 접착층(723), 및 보조 접착층(72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방열 접착층(722)은 하부 플레이트(710) 하부에 배치되며, 하부 플레이트(710)의 하면에 부착될 수 있다. 제1 방열 접착층(722)은 제1 영역(1000A1)에 중첩한 제1 접착 부분(722a) 및 제3 영역(1000A3)에 중첩한 제2 접착 부분(722b)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접착 부분(722a) 및 제2 접착 부분(722b)은 제2 영역(1000A2)을 사이에 두고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제2 방열 접착층(723)은 절연 필름(730) 상부에 배치되며, 절연 필름(730)의 상면에 부착될 수 있다. 제2 방열 접착층(723)은 제1 영역(1000A1)에 중첩한 제3 접착 부분(723a) 및 제3 영역(1000A3)에 중첩한 제4 접착 부분(723b)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접착 부분(723a)은 제1 접착 부분(722a)에 대응하고, 제4 접착 부분(723b)은 제2 접착 부분(722b)에 중첩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3 접착 부분(723a) 및 제4 접착 부분(723b)은 제2 영역(1000A2)을 사이에 두고 서로 이격될 수 있다.
방열층(721)은 제1 방열 접착층(722) 및 제2 방열 접착층(723)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방열층(721)은 제1 접착 부분(722a) 및 제3 접착 부분(723a) 사이에 배치된 제1 방열 부분(721a)과 제2 접착 부분(722b) 및 제4 접착 부분(723b) 사이에 배치된 제2 방열 부분(721b)을 포함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방열 부분(721a) 및 제2 방열 부분(721b)은 제2 영역(1000A2)을 사이에 두고 서로 이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방열층(721)은 그라파이트화된 고분자 필름일 수 있다. 고분자 필름은 예를 들어, 폴리이미드 필름일 수 있다. 다만, 방열층(721)의 재료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른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방열층(721)은 흑연(Graphite), 알루미늄(Al), 니켈(Ni), 백금(Pt), 은(Ag), 금(Au)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방열 부분(721a)은 적어도 하나의 제1 개구부(OP1)를 정의하며, 제2 방열 부분(721b)은 적어도 하나의 제2 개구부(OP2)를 정의할 수 있다. 제1 접착 부분(722a) 및 제3 접착 부분(723a)은 제1 개구부(OP1)를 통해 서로 접착될 수 있으며, 제2 접착 부분(722b) 및 제4 접착 부분(723b)은 제2 개구부(OP2)를 통해 서로 접착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추후 도 9 및 도 10을 통해 보다 자세히 설명한다.
보조 접착층(724)은 제1 방열 접착층(722) 및 제2 방열 접착층(723)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보조 접착층(724)은 제1 영역(1000A1)에 중첩한 제1 보조 접착 부분(724a) 및 제3 영역(1000A3)에 중첩한 제2 보조 접착 부분(724b)을 포함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보조 접착 부분(724a) 및 제2 보조 접착 부분(724b)은 제2 영역(1000A2)을 사이에 두고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제1 보조 접착 부분(724a)은 제1 접착 부분(722a) 및 제3 접착 부분(723a) 사이에 배치되며 평면상에서 제1 방열 부분(721a)을 에워쌀 수 있다. 제2 보조 접착 부분(724b)은 제2 접착 부분(722b) 및 제4 접착 부분(723b) 사이에 배치되며 평면상에서 제2 방열 부분(721b)을 에워쌀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제1 보조 접착 부분(724a) 및 제2 보조 접착 부분(724b) 각각은 양면 접착 테이프일 수 있다. 제1 보조 접착 부분(724a)의 상면은 제1 접착 부분(722a)에 부착되고, 제1 보조 접착 부분(724a)의 하면은 제3 접착 부분(723a)에 접착될 수 있다. 제2 보조 접착 부분(724b)의 상면은 제2 접착 부분(722b)에 부착되고, 제2 보조 접착 부분(724b)의 하면은 제4 접착 부분(723b)에 접착될 수 있다.
즉, 제1 방열 접착층(722) 및 제2 방열 접착층(723)은 보조 접착층(724)을 통해 서로 접착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특히, 보조 접착층(724)을 통해 즉, 제1 방열 접착층(722) 및 제2 방열 접착층(723)이 서로 접착됨에 따라, 제1 방열 접착층(722) 및 제2 방열 접착층(723) 사이의 접착력이 더 향상될 수 있다. 그 결과, 제1 방열 접착층(722) 및 제2 방열 접착층(723) 사이의 들뜸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방열 부분(721a)은 제1 접착 부분(722a), 제3 접착 부분(723a), 및 제1 보조 접착 부분(724a)에 의해 밀봉될 수 있다. 제2 방열 부분(721b)은 제2 접착 부분(722b), 제4 접착 부분(723b), 및 제2 보조 접착 부분(724b)에 의해 밀봉될 수 있다.
또한, 제1 방열 접착층(722) 및 제2 방열 접착층(723) 각각의 두께는 5 마이크로미터일 수 있고, 방열층(721) 및 보조 접착층(724) 각각의 두께는 17 마이크로미터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방열층(721)은 제1 방열 접착층(722) 및 제2 방열 접착층(723) 두께의 합보다 큰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다만, 제1 방열 접착층(722), 제2 방열 접착층(723), 방열층(721) 및 보조 접착층(724) 각각의 두께가 상술된 수치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술된 바에 의하면, 방열층(721)은 제1 방열 접착층(722)에 의해 하부 플레이트(710)의 하면에 부착되고, 제2 방열 접착층(723)에 의해 절연 필름(730)의 상면에 부착될 수 있다.
절연 필름(730)은 방열 시트(720) 하부에 부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절연 필름(730)은 제2 방열 접착층(723)에 부착될 수 있다. 절연 필름(730)은 제3 접착 부분(723a)에 중첩한 제1 절연 필름(731) 및 제4 접착 부분(723b)에 중첩한 제2 절연 필름(732)을 포함한다. 절연 필름(730)에 의해 표시장치(1000)에 이음(Rattle)이 발생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절연 필름(731) 및 제2 절연 필름(732)은 제2 영역(1000A2)을 사이에 두고 서로 이격될 수 있다. 또한, 절연 필름(730)의 두께는 15 마이크로미터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단차 보상 부재(800)는 플레이트(610) 하부에 부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레이트(610)의 일부분의 하부에는 하부 접착층(620)이 부착되고, 플레이트(610)의 다른 일부분의 하부에는 단차 보상 부재(800)가 부착될 수 있다.
단차 보상 부재(800)는 제1 보상 접착층(810), 단차 보상 필름(820), 및 제2 보상 접착층(83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보상 접착층(810)은 플레이트(610)의 하면에 부착될 수 있다. 단차 보상 필름(820)은 합성수지 필름일 수 있다. 제2 보상 접착층(830)은 단차 보상 필름(820)의 하면 및 세트(미도시)와 부착될 수 있다.
한편, 도 4를 통해 제2 하부 부재에 포함된 구성들의 형상이 일 예로 도시되었으나, 제2 하부 부재에 포함된 구성들의 형상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2 하부 부재의 평면도이다. 도 6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도 5에 도시된 I-I'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6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도 5에 도시된 I-I'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5에서는 도 4에 도시된 방열 시트(720)의 구성 중 방열층(721) 및 보조 접착층(724)의 구성이 도시되었다.
도 5를 참조하면, 제1 보조 접착 부분(724a)은 평면상에서 제1 방열 부분(721a)을 에워싸고, 제2 보조 접착 부분(724b)은 평면상에서 제2 방열 부분(721b)을 에워쌀 수 있다. 제1 보조 접착 부분(724a)은 제2 영역(1000A2)을 사이에 두고 제2 보조 접착 부분(724b)과 이격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보조 접착 부분(724a) 및 제2 보조 접착 부분(724b)이 제2 영역(1000A2)에 비중첩한 구조를 갖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1 보조 접착 부분(724a) 및 제2 보조 접착 부분(724b) 각각의 적어도 일부는 제2 영역(1000A2)에 중첩한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이는 추후 도 12를 통해 설명된다.
도 6a를 참조하면, 제1 방열 부분(721a) 및 제1 보조 접착 부분(724a)은 제1 접착 부분(722a) 및 제3 접착 부분(723a) 사이에 배치된다. 제1 보조 접착 부분(724a)은 제1 방열 부분(721a)에 비중첩하며 평면상에서 제1 방열 부분(721a)을 에워쌀 수 있다.
제2 방열 부분(721b) 및 제2 보조 접착 부분(724b)은 제2 접착 부분(722b) 및 제4 접착 부분(723b) 사이에 배치된다. 제2 보조 접착 부분(724b)은 제2 방열 부분(721b)에 비중첩하며 평면상에서 제2 방열 부분(721b)을 에워쌀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제1 보조 접착 부분(724a)은 제1 접착 부분(722a) 또는 제3 접착 부분(723a)의 테두리 부근에 중첩된 구조를 가지고, 제2 보조 접착 부분(724b)은 제2 접착 부분(722b) 또는 제4 접착 부분(723b)의 테두리 부근에 중첩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보조 접착층(724)은 방열층(721)과 이격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예컨대, 제1 방열 부분(721a)은 제1 보조 접착 부분(724a)과 소정 간격(SD)을 두고 이격되고, 제2 방열 부분(721b)은 제2 보조 접착 부분(724b)과 소정 간격(SD)을 두고 이격될 수 있다. 그 결과, 제1 방열 부분(721a) 및 제1 보조 접착 부분(724a) 사이와, 제2 방열 부분(721b) 및 제2 보조 접착 부분(724b) 사이에 내부 공간이 정의될 수 있다.
도 6b를 참조하면, 보조 접착층(724) 및 방열층(721)과 적어도 일 부분에서 접촉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예컨대, 제1 방열 부분(721a)은 제1 보조 접착 부분(724a)과 적어도 일 영역에서 접촉한 구조를 가지며, 제2 방열 부분(721b)은 제2 보조 접착 부분(724b)과 적어도 일 영역에서 접촉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도 5에 도시된 접착 시트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제1 보조 접착 부분(724a) 및 제2 보조 접착 부분(724b) 각각은 복수 개의 층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도 7을 통해선 제1 보조 접착 부분(724a)의 층 구조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나, 제2 보조 접착 부분(724b)의 구조 역시 제1 보조 접착 부분(724a)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제1 보조 접착 부분(724a)은 기재층(MS), 제1 점착층(CSa), 및 제2 점착층(CSb)을 포함한다. 제1 점착층(CSa)은 제1 접착 부분(722a)에 부착되는 기재층(MS)의 상면에 배치되고, 제2 점착층(CSb)은 제3 접착 부분(723a)에 부착되는 기재층(MS)의 하면에 배치될 수 있다.
한편, 도 4를 통해 설명된 제1 방열 접착층(722) 및 제2 방열 접착층(723) 각각은 단일 점착층으로 이뤄질 수 있다. 예컨대, 제1 방열 접착층(722) 및 제2 방열 접착층(723) 각각은 제1 보조 접착 부분(724a)에 포함된 제1 점착층(CSa) 및 제2 점착층(CSb) 중 어느 하나의 점착층에 대응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도 5에 도시된 II-II'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도 5에 도시된 제1 보조 접착 부분(724a)은 적어도 하나의 센서 개구부(SOP1, SOP2)를 정의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센서 개구부(SOP1, SOP2)는 제1 센서 개구부(SOP1) 및 제2 센서 개구부(SOP2)를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적으로 설명된다.
제1 센서 개구부(SOP1) 및 제2 센서 개구부(SOP2)는 도 1a에 도시된 복수의 센싱 영역들(100SA1, 100SA2, 100SA3) 중 제2 센싱 영역(100SA2) 및 제3 센싱 영역(100SA3)에 각각 대응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제1 센싱 영역(100SA1)은
도 8을 참조하면, 제1 센서 개구부(SOP1) 및 제2 센서 개구부(SOP2) 각각은 제1 보조 접착 부분(724a)에 중첩하며, 쿠션 부재(500), 제1 하부 부재(600), 및 제2 하부 부재(700)를 관통한 개구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제1 센서 개구부(SOP1) 및 제2 센서 개구부(SOP2) 각각은 방열층(721)에 비중첩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제1 센서 개구부(SOP1)에 중첩한 제2 하부 부재(700)의 하부엔 제1 센서가 배치되고, 제2 센서 개구부(SOP2)에 중첩한 제2 하부 부재(700)의 하부엔 제2 센서가 배치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제1 센서 조도 센서일 수 있으며, 제2 센서는 근접 센서일 수 있다.
도 9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도 5에 도시된 III-III'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AA 영역을 확대한 확대도이다.
먼저, 도 5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제1 방열 부분(721a)은 서로 이격된 복수 개의 제1 개구부들(OP1)을 포함하고, 제2 방열 부분(721b)은 서로 이격된 복수 개의 제2 개구부들(OP2)을 포함한다.
도 9를 참조하면, 제1 접착 부분(722a) 및 제3 접착 부분(723a)은 제1 개구부들(OP1)을 통해 서로 접착될 수 있다. 제2 접착 부분(722b) 및 제4 접착 부분(723b)은 제2 개구부들(OP2)을 통해 서로 접착될 수 있다.
제1 접착 부분(722a) 및 제3 접착 부분(723a)이 제1 개구부들(OP1)을 통해 직접적으로 접촉됨에 따라, 제1 접착 부분(722a) 및 제3 접착 부분(723a) 사이에 배치된 제1 방열 부분(721a)의 유동이 방지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 접착 부분(722b) 및 제4 접착 부분(723b)이 제2 개구부들(OP2)을 통해 직접적으로 접촉됨에 따라, 제2 접착 부분(722b) 및 제4 접착 부분(723b) 사이에 배치된 제2 방열 부분(721b)의 유동이 방지될 수 있다.
특히, 도 10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제1 개구부들(OP1)에 중첩한 제1 접착 부분(722a)은 함몰된 제1 형상(PT1)을 가지고, 제1 개구부들(OP1)에 중첩한 제3 접착 부분(723a)은 함몰된 제2 형상(PT2)을 가질 수 있다. 함몰된 제1 형상(PT1) 및 함몰된 제2 형상(PT2)은 제1 개구부들(OP1)에 제1 접착 부분(722a) 및 제3 접착 부분(723a)이 가압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제2 개구부들(OP2)에 중첩한 제2 접착 부분(722b) 및 제4 접착 부분(723b) 역시 함몰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폴딩 동작에 따른 제2 하부 부재의 단면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도 1a에 도시된 표시장치(1000)의 폴딩 시에 따른 제1 하부 부재(600) 및 제2 하부 부재(700)가 도시되었다.
제1 하부 부재(600)는 제1 내지 제3 영역들(1000A1, 1000A2, 1000A3) 각각에 중첩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제2 하부 부재(700)는 제1 영역(1000A1) 및 제3 영역(1000A3)에 중첩된 구조를 가지며, 제2 영역(1000A2)에 비중첩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즉, 표시장치(1000)가 폴딩된 구조에서, 제2 하부 부재(700)는 제1 영역(1000A1) 및 제3 영역(1000A3)에만 중첩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제2 하부 부재의 평면도이다. 도 13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도 12에 도시된 IV-IV'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3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접착 시트의 단면도이다.
도 12에 도시된 제2 하부 부재(700-1)는 도 5에 도시된 제2 하부 부재(700)와 비교하여, 제2 영역(1000A2)의 범위가 변형되었을 뿐, 나머지 구성들의 구조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폴딩축(FX)에 인접한 제2 하부 부재(700-1)의 적어도 일 부분은 제2 영역(1000A2)에 중첩될 수 있다. 자세하게, 하부 플레이트(710), 방열 시트(720), 및 절연 필름(730) 각각은 도 4를 통해 설명된 바와 같이, 폴딩축(FX)을 사이에 두고 이격된 제1 부분 및 제2 부분의 형상으로 구획될 수 있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제2 하부 부재(700)의 하부 플레이트(710), 방열 시트(720), 및 절연 필름(730) 각각은 제2 영역(1000A2)에 비중첩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에 반해, 도 12에 도시된 제2 하부 부재(700-1)의 하부 플레이트(710), 방열 시트(720), 및 절연 필름(730) 각각은 적어도 일 부분이 제2 영역(1000A2)에 중첩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도 13a를 참조하면, 일 예로, 폴딩축(FX)을 사이에 두고 마주하는 제1 보조 접착 부재(724a)의 일 부분 및 제2 보조 접착 부재(724b)의 일 부분은 제2 영역(1000A2)에 중첩될 수 있다. 또한, 폴딩축(FX)을 사이에 두고 마주하는 제1 방열 부분(721a)의 일 부분 및 제2 방열 부분(721b)의 일 부분 역시 제2 영역(1000A2)에 중첩될 수 있다.
도 13b를 참조하면, 다른 예로, 폴딩축(FX)을 사이에 두고 마주하는 제1 보조 접착 부재(724a)의 일 부분 및 제2 보조 접착 부재(724b)의 일 부분은 제2 영역(1000A2)에 중첩될 수 있다. 다만, 제1 방열 부분(721a) 및 제2 방열 부분(721b)은 제2 영역(1000A2)에 비중첩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실시 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표시모듈
110: 표시패널
120: 입력 감지층
200: 반사 방지 부재
300: 상부 부재
400: 하부 보호 필름
500: 쿠션 부재
600: 제1 하부 부재
700: 제2 하부 부재
710: 하부 플레이트
720: 방열 시트
721: 방열층
722: 제1 방열 접착층
723: 제2 방열 접착층
730: 절연 필름
740: 보조 접착층
800: 단차 보상 부재

Claims (20)

  1. 폴딩축을 기반으로 폴딩되는 폴딩 영역, 상기 폴딩 영역을 사이에 두고 마주하는 제1 비폴딩 영역 및 제2 비폴딩 영역을 정의하는 표시모듈; 및
    상기 표시모듈 하부에 배치된 방열 시트를 포함하고,
    상기 방열 시트는,
    상기 제1 비폴딩 영역에 중첩한 제1 접착 부분 및 상기 제2 비폴딩 영역에 중첩한 제2 접착 부분을 포함한 제1 방열 접착층;
    상기 제1 접착 부분에 중첩한 제3 접착 부분 및 상기 제2 접착 부분에 중첩한 제4 접착 부분을 포함한 제2 방열 접착층;
    상기 제1 접착 부분 및 상기 제3 접착 부분 사이에 배치된 제1 방열 부분 및 상기 제2 접착 부분 및 상기 제4 접착 부분 사이에 배치된 제2 방열 부분을 포함한 방열층; 및
    상기 제1 접착 부분 및 상기 제3 접착 부분 사이에 배치되며 평면상에서 상기 제1 방열 부분을 에워싸는 제1 보조 접착 부분, 및 상기 제2 접착 부분 및 상기 제4 접착 부분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평면상에서 상기 제2 방열 부분을 에워싸는 제2 보조 접착 부분을 포함한 보조 접착층을 포함하는 표시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방열 부분은 상기 제1 접착 부분, 상기 제3 접착 부분, 및 상기 제1 보조 접착 부분에 의해 밀봉되고,
    상기 제2 방열 부분은 상기 제2 접착 부분, 상기 제4 접착 부분, 및 상기 제2 보조 접착 부분에 의해 밀봉되는 표시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방열 부분 및 상기 제1 보조 접착 부분은 서로 이격되고, 상기 제2 방열 부분 및 상기 제2 보조 접착 부분은 서로 이격되는 표시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보조 접착 부분 및 상기 제2 보조 접착 부분 각각은,
    기재층;
    상기 기재층 및 상기 제1 방열 접착층 사이에 배치된 제1 점착층; 및
    상기 기재층 및 상기 제2 방열 접착층 사이에 배치된 제2 점착층을 포함하는 표시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방열 접착층 및 상기 제2 방열 접착층 각각은 단일 점착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착 부분, 상기 제3 접착 부분, 및 상기 제1 보조 접착 부분을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 개구부가 정의되는 표시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 시트 및 상기 표시모듈 사이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커버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센서 개구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커버 부재를 관통하는 표시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방열 부분은 서로 이격된 복수 개의 제1 개구부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접착 부분 및 상기 제3 접착 부분은 상기 제1 개구부들을 통해 서로 접착되고,
    상기 제2 방열 부분은 서로 이격된 복수 개의 제2 개구부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접착 부분 및 상기 제4 접착 부분은 상기 제2 개구부들을 통해 서로 접착된 표시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개구부들에 중첩한 상기 제1 접착 부분 및 상기 제3 접착 부분 각각은 함몰된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2 개구부들에 중첩한 상기 제2 접착 부분 및 상기 제4 접착 부분 각각은 함몰된 형상을 갖는 표시장치.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모듈의 두께 방향에서, 상기 방열층은 상기 제1 방열 접착층 및 상기 제2 방열 접착층 두께의 합보다 큰 두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착 부분 및 상기 제2 접착 부분은 상기 폴딩축을 사이에 두고 서로 이격되는 표시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 시트는 상기 폴딩 영역에 비중첩하는 표시장치.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보조 접착 부분 및 상기 제2 보조 접착 부분 각각의 적어도 일 부분은 상기 폴딩 영역에 중첩하는 표시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방열 부분 및 상기 제2 방열 부분 각각의 적어도 일 부분은 상기 폴딩 영역에 중첩하는 표시장치.
  15.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방열 부분 및 상기 제2 방열 부분 각각은 상기 폴딩 영역에 비중첩하는 표시장치.
  16.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모듈 및 상기 제1 방열 접착층 사이에 배치된 플레이트; 및
    상기 제2 방열 접착층 하부에 배치된 절연 필름을 더 포함하는 표시장치.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는 상기 제1 접착 부분에 중첩한 제1 플레이트 및 상기 제1 플레이트와 이격되며 상기 제2 접착 부분에 중첩한 제2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절연 필름은 상기 제1 플레이트에 중첩한 제1 절연 필름 및 상기 제1 절연 필름과 이격되며 상기 제2 플레이트에 중첩한 제2 절연 필름을 포함하는 표시장치.
  1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방열 부분은 상기 제1 보조 접착 부분과 적어도 일 부분에서 서로 접촉하는 표시장치.
  1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층은 폴리이미드 물질을 포함하는 표시장치.
  2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방열 접착층 및 상기 제2 방열 접착층 각각은 감압 접착제이고, 상기 보조 접착층은 양면 테이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KR1020200018561A 2020-02-14 2020-02-14 표시장치 KR20210104218A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8561A KR20210104218A (ko) 2020-02-14 2020-02-14 표시장치
US17/089,701 US11216029B2 (en) 2020-02-14 2020-11-04 Display device
EP21154912.6A EP3865972B1 (en) 2020-02-14 2021-02-03 Display device
CN202110159556.5A CN113270030A (zh) 2020-02-14 2021-02-05 显示设备
US17/536,065 US11797047B2 (en) 2020-02-14 2021-11-28 Display device
US18/371,417 US20240012448A1 (en) 2020-02-14 2023-09-21 Display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8561A KR20210104218A (ko) 2020-02-14 2020-02-14 표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4218A true KR20210104218A (ko) 2021-08-25

Family

ID=745504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8561A KR20210104218A (ko) 2020-02-14 2020-02-14 표시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3) US11216029B2 (ko)
EP (1) EP3865972B1 (ko)
KR (1) KR20210104218A (ko)
CN (1) CN113270030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73147A (ko) * 2019-12-10 2021-06-1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USD964306S1 (en) * 2020-04-09 2022-09-20 Beijing Xiaomi Mobile Software Co., Ltd. Mobile phone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29112B1 (ko) 2003-09-26 2005-11-15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다공성 열전달 시트를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
JP2010266777A (ja) 2009-05-18 2010-11-25 Victor Co Of Japan Ltd 折り畳み式ディスプレイ
KR102276380B1 (ko) * 2015-01-15 2021-07-1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접이식 표시 장치
KR102272355B1 (ko) * 2015-01-19 2021-07-0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1743022B1 (ko) * 2016-10-31 2017-06-02 신화인터텍 주식회사 방열 시트 및 그 제조 방법
CN109699151B (zh) 2017-10-20 2020-02-14 华为技术有限公司 膜状散热构件、可折弯显示装置以及终端设备
KR102546713B1 (ko) * 2018-04-26 2023-06-2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폴더블 표시 장치
KR102452238B1 (ko) * 2018-05-11 2022-10-0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N208607859U (zh) * 2018-07-26 2019-03-15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柔性显示装置
US10932376B2 (en) * 2019-02-08 2021-02-23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20100229A1 (en) 2022-03-31
US11216029B2 (en) 2022-01-04
US11797047B2 (en) 2023-10-24
US20240012448A1 (en) 2024-01-11
US20210255665A1 (en) 2021-08-19
EP3865972A1 (en) 2021-08-18
CN113270030A (zh) 2021-08-17
EP3865972B1 (en) 2023-1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10157946A (ko) 표시 장치
KR20220007751A (ko) 표시 장치
US20240012448A1 (en) Display device
US20230152845A1 (en) Electronic device
KR20220061305A (ko) 전자장치
KR20220019898A (ko) 전자 장치
KR20220030512A (ko) 전자 장치
CN113342129A (zh) 电子设备
KR20220037007A (ko) 전자 장치
KR20220042022A (ko)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210104517A (ko) 전자 장치
CN217655639U (zh) 显示设备
KR20210104516A (ko) 전자 장치
CN116635810A (zh) 电子装置
EP3913463B1 (en) Electronic device
CN217740539U (zh) 显示装置
US20230127915A1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providing the same
US20240085954A1 (en) Anti-corrosion and waterproofing structure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JP2024521557A (ja) 表示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