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04025A - 코 성형기 - Google Patents

코 성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04025A
KR20210104025A KR1020217012919A KR20217012919A KR20210104025A KR 20210104025 A KR20210104025 A KR 20210104025A KR 1020217012919 A KR1020217012919 A KR 1020217012919A KR 20217012919 A KR20217012919 A KR 20217012919A KR 20210104025 A KR20210104025 A KR 202101040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se
tube
machine
rhinoplasty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129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제레미 아담
베노잇 퍼린
고만 호세인 콘사리
Original Assignee
본 3 디
아시스땅스 퍼블리끄-오삐또 드 빠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본 3 디, 아시스땅스 퍼블리끄-오삐또 드 빠리 filed Critical 본 3 디
Publication of KR202101040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402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8Devices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nose ; Devices for enlarging the nostril, e.g. for breathing improve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30Pressure-pa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Nurs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험자의 코에 도입되도록 구성된 코 성형기(1)에 관한 것으로서: 코의 콧구멍에 각각 도입되도록 구성되는 한편, 연결 브리지(50)에 의해 하부 단부에서 함께 연결되는 2 개의 튜브(10), 및 연결 브리지(50)에 부착되어, 튜브(10)에 대해 연결 브리지(50) 반대쪽으로 연장되는 한편, 튜브(10)가 각각 코의 콧구멍에 도입될 때 피험자의 인중에 압력을 가하도록 구성되는 플레이트(2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코 성형기
본 발명은 특히 코 성형술 치료 후 콧구멍을 성형하도록 의도되는 코 성형기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어, 특허 RU 2 477 088에 설명된 것과 같은 코 성형기는 코 성형술 후에 사용되고, 특히 어린이의 구순 구개열 재건 수술의 경우에 이미 알려져 있다. 이러한 성형기는 비교적 만족스러운 방식으로 기능한다. 또한 어떤 흉터도 치유 과정에서 생성되는 튀어나온 부분 또는 움푹 들어간 부분으로 인해 미적이지 않은 외관을 가질 수 있는 것이 알려져 있다. 이것은 입술과 코 사이에서 연장되는 영역, 즉 인중 영역에 배치된 얼굴의 흉터에 대해 특히 문제가 된다.
그러나, 특허 RU 2 477 088에 설명된 코 성형기는 모든 환자에게서 만족스러운 미적 외관의 흉터를 얻을 수는 없다.
본 발명의 목적은 특히 코 성형술 후에 치유력을 향상시키면서, 코 호흡의 회복을 보장하고 부종의 생성과 맞서 싸우기 위한 코 성형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피험자의 코에 도입되도록 구성되고, 다음을 포함하는 코 성형기에 관한 것이다:
- 코의 콧구멍으로 각각 도입되도록 구성되는 한편, 연결 브리지에 의해 하부 단부에서 함께 연결되는 2 개의 튜브, 및
- 연결 브리지에 부착되어, 튜브에 대해 연결 브리지 반대쪽으로 연장되는 한편, 튜브가 각각 코의 콧구멍에 도입될 때 피험자의 인중에 압력을 가하도록 구성되는 플레이트.
따라서, 성형기가 콧구멍 내에 위치된 후에 인중을 가압하도록 설계된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코 성형기가 제안된다. 인중에 가해지는 압력으로 인해, 플레이트는 인중의 흉터를 보호할 뿐만 아니라, 튀어나온 또는 움푹 들어간 흉터를 방지하기 위해 흉터에 충분한 압력을 가할 수도 있다. 따라서, 이러한 플레이트의 작용은 수술 흉터에 대한 이익을 인식한 압력 요법(pressotherapy)의 원리를 따른 것이다.
흉터에 대해 압력을 가하는 이러한 양태로 인해, 성형기가 특히 흥미롭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흉터가 보호될 뿐만 아니라, 치유 과정을 제어하기 위해서도 압력이 가해진다. 따라서, 제안된 플레이트는 인중의 표면과 접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는 것이 이해된다.
이러한 경우, 튜브의 "하부 단부"는 성형기가 제 위치에 있을 때 콧구멍의 하부 단부에 위치되는 단부를 의미한다.
코 성형기는,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취해질 때, 다음 특징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 플레이트는 연결 브리지에 부착되어,
· 플레이트가, 성형기를 배치하기 전에 튜브 반대쪽에서 코 성형기의 후방을 향해 연장되는 휴지 위치(rest position), 및
· 코 성형기가 코에 도입될 때, 플레이트가 코 성형기의 전방을 향해 연장되는 사용 위치
사이에서 변형 가능하다.
2 개의 위치 사이에서 이동될 수 있는 플레이트의 이러한 구성은 인중에 압력을 가하는데 특히 유리하다.
- 코 성형기는 플레이트를 휴지 위치로 복귀시키는 힘을 가하는 보강 수단, 예를 들어 인서트(insert)를 포함한다. 보강 수단은 플레이트와 일체로 제조되거나 또는 플레이트에 부착될 수 있다. 또한, 이들은 플레이트와 동일한 재료 또는 다른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이러한 보강 수단은 플레이트를 휴지 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해 가해지는 힘을 증가시킴으로써, 인중에 플레이트에 의해 가해지는 압력을 더욱 향상시킨다.
- 각 튜브는 콧구멍에 튜브를 위치 설정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돌기를 상부 전방 부분에 포함한다. 따라서, 하나 이상의 돌기는 성형기를 보다 단단히 유지하기 위해 콧구멍의 상부 전방 단부에 위치된다.
- 각 튜브는 피험자의 비강에서 튜브를 차단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차단 돌기를 그 후방 부분에 포함하고, 바람직하게는 피험자의 비강에서 2 개의 차단 돌기를 포함한다. 이러한 실시예는 특히 유리하다. 따라서, 성형기가 콧구멍 내에 제 위치에 있을 때, 돌기가 갑개(concha) 아래에 위치되어, 성형기를 최적으로 위치 설정하여 유지한다는 것이 이해된다. 기존 성형기, 특히 이러한 돌기가 없는 후방 부분을 갖는 공개 공보 RU2477088에서 제안된 것에서, 성형기는 아래쪽으로 미끄러지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콧구멍 내에 제 위치에 올바르게 유지되지 않는 것으로 관찰되었고, 이는 성형기가 종종 특히 어린이의 경우 피험자의 코에 봉합되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돌기가 튜브의 후방 표면으로부터 돌출하는 볼록한 부분에 해당한다는 것이 이해된다. 튜브가 2 개의 돌기를 포함하는 경우, 실제로는 오목한 부분에 의해 분리된 2 개의 볼록한 부분을 포함한다.
- 각 튜브의 하부 단부는 튜브의 하부 단부와 콧구멍의 바닥 사이에 공간을 남기기 위해 리세스(recess)를 가지며, 바람직하게는 이러한 리세스는 튜브의 후방과 하부 부분을 연결하는 코너를 부드럽게 하기 위해 필렛(fillets)이 제공된 전체적으로 계단 형상을 갖는다. 따라서, 날카로운 코너가 없는 형상을 얻을 수 있고, 이는 고통스럽고 및/또는 스티치(stitches)를 손상시킬 수 있는, 콧구멍의 입구에 형성된 스티치를 문지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 코 성형기는 코에 성형기를 유지하고 튜브의 하부 단부로부터 위쪽으로 연장되는 외부 탭을 추가로 포함하고, 바람직하게는 콧방울에 대해 가압하도록 의도된 2 개의 측면 탭 및/또는 콧등에 대해 가압하도록 의도된 하나의 전방 탭을 추가로 포함한다. 이러한 탭의 존재는 코 성형기가 코에 더 단단히 유지될 수 있게 하고, 유리하게는 수술 중에 분리될 수 있는 콧방울의 다양한 조직 층에 압력을 가할 수 있게 하여, 이에 따라 치유력을 향상시키고 수술 중 의사에 의해 요구되는 형상을 유지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탭은 또한 콧방울을 통해 형성된 스티치를 지지하는데 사용될 수도 있어, 콧방울의 다양한 조직 층 사이의 접촉을 더욱 향상시킨다.
- 코 성형기는 실리콘(silicone)을 포함하며, 바람직하게는 실리콘으로 제조된다.
- 플레이트 및/또는 보강 요소는 튜브의 재료보다 더 강성인 재료로 제조된다.
- 코 성형기는 다른 색상의 재료를 포함한다. 따라서, 성형기는 환자의 피부색에 가장 잘 맞는 색상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성형기에도 장식을 할 수 있다.
- 코 성형기는 다양한 길이의 연결 브리지 또는 콜루멜라(columella)를 갖는다. 연결 브리지의 길이가 다양하기 때문에, 코 성형기는 인간의 인종적 차이와 같은 해부학적 차이에 적응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각각 코의 콧구멍에 도입되기에 적합하고 연결 브리지에 의해 하부 단부에서 함께 연결되는 2 개의 튜브를 포함하는 코 성형기에 관한 것으로서, 각 튜브는 피험자의 비강에서 튜브를 차단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차단 돌기를 후방 부분에 포함하고, 바람직하게는 피험자의 비강에서 2 개의 차단 돌기를 포함한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러한 코 성형기는, 하나 이상의 돌기로 인해, 성형기를 유지하기 위해 콧구멍에 봉합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성형기를 콧구멍에 더 단단히 유지하는 문제를 해결한다는 것이 이해된다. 이러한 코 성형기는,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취해질 때, 위에 설명된 코 성형기의 특징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코 성형기가 연결 브리지에 부착된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도 있고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는 것이 이해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사출 성형 단계를 포함하며, 몰드는 바람직하게는 적층 합성(additive synthesis)에 의해 제조되는, 전술한 바와 같은 코 성형기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적층 합성은 유리하게는 맞춤형 몰드, 이에 따라 맞춤형 코 성형기를 제조하는데 사용될 수 있으며, 이는 성형기가 단단히 유지되고 인중에 정확한 압력이 가해지는 것을 보장하는데 특히 흥미롭다.
본 발명은 오로지 예로서 그리고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주어진 다음의 설명을 읽으면 더 잘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코 성형기의 등각 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코 성형기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코 성형기의 저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코 성형기의 정면도이다.
도 5는 도 2의 코 성형기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2의 코 성형기의 측면도이다.
도 7은 도 1과 유사한 코 성형기를 제조하기 위한 몰드의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코 성형기를 도시하며, 일반 참조 번호 1로 표시된다.
이러한 코 성형기는 일반적으로 코 성형술 후에 사용된다. 코 성형기(1)는 어린이에서 구순 구개열 재건 수술 후에 가장 자주 사용된다. 이런 종류의 수술 후, 코 성형기를 사용하여, 피험자가 숨을 쉬고 또한, 특히 유아의 경우, 먹을 것을 먹을 때 쉽게 빨 수 있게 하면서, 의사에 의해 미리 정의된 형상에 따라 피험자의 콧구멍을 성형한다. 또한, 아래에 설명되는 바와 같이, 압력 요법의 원리에 따라, 이러한 코 성형기는 종래 기술의 성형기로 얻어진 것들보다 더 나은 외관을 갖는 흉터를 얻는 이점을 제공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코 성형기(1)는 피험자의 콧구멍에 도입되도록 의도된 2 개의 튜브(10)를 포함한다. 튜브(10)는 연결 브리지(50)에 의해 함께 연결된다. 튜브(10)가 피험자의 콧구멍 내의 제 위치에 있을 때, 연결 브리지(50)는 일반적으로 피험자의 코의 기부와 실질적으로 접촉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코 성형기(1)는 연결 브리지(50)에 부착된 플레이트(20)를 추가로 포함한다. 플레이트(20)는, 코 성형기(1)가 피험자의 코 내의 제 위치에 있을 때, 즉 튜브(10)가 피험자의 콧구멍에 각각 도입될 때, 플레이트(20)는 피험자의 인중에 평평하게 위치되어, 인중에 압력을 가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압력은 만족스러운 미적인 외관을 갖는 인중 상의 흉터를 얻는데 도움이 된다.
유리하게는, 플레이트(20)는 휴지 위치와 사용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다. 그 휴지 위치에서, 플레이트(20)는 튜브(10) 반대편에서 코 성형기(1)의 후방을 향해 연장된다. 플레이트(20)의 이러한 휴지 위치는 일반적으로 코 성형기를 제조한 후에 얻어지는 플레이트(20)의 위치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레이트의 평면과 연결 브리지(50)의 하부 부분을 통과하는 평면에 의해 형성되는 각도(α)는 0° 내지 90°이다.
플레이트(20)가 코 성형기(1)가 피험자의 코 내의 제 위치에 있는 위치에 대응하는 사용 위치에 있을 때, 플레이트(20)는 연결 브리지(50)에 대해 튜브(10) 반대편에서 코 성형기(1)의 전방을 향해 연장된다. 플레이트(20)는, 코 성형기(1)가 피험자의 코 상에 위치될 때, 플레이트가 치유를 개선하기에 충분한 것으로 간주되는 압력을 가하도록 구성된다.
유리하게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 성형기(1)는 플레이트(20)를 그 사용 위치로부터 그 휴지 위치로 복귀시키는데 사용되는 힘을 증가시키는 보강 수단(60)을 포함한다. 이러한 보강 수단(60)은 플레이트(20) 및 연결 브리지(50)의 하부 부분에 배치되거나 또는 플레이트(20)의 나머지 부분과 일체로 제조될 수 있는 인서트일 수 있다. 이러한 보강 수단(60)은 플레이트(20)를 연결 브리지(50)에 부착하는 요소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보강 수단(60)의 존재는 피험자의 인중에 가하는 압력을 증가시킴으로써 플레이트(20)의 작용을 향상시킨다.
일 실시예에서, 코 성형기(1)의 튜브(10)는 튜브(10)의 전방 및 상부 부분에 위치되어 콧구멍의 전방 및 상부 부분에 위치되도록 의도되는 도 2에 도시된 돌기(16)를 포함하고, 이는 코 성형기(1)를 피험자의 코 내에 더 단단히 유지하는 이점을 제공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각 튜브(10)에는 특히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튜브의 후방 부분에 위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차단 돌기(12, 14)가 제공된다. 이러한 차단 돌기는 코 성형기가 제 위치에 있을 때 피험자의 비강 내에 위치되며, 보다 정확하게는 갑개 아래에 위치된다. 이러한 차단 돌기(12, 14)의 존재는 코 성형기를 최적으로 위치 설정하여 유지하는 것을 허용한다. 이것은 특히 기존 성형기의 빈번하고 주요한 단점이었던, 피험자의 코에 코 성형기를 봉합할 필요성을 회피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각 튜브(10)에는, 튜브(10)의 하부 단부와 콧구멍의 바닥 사이에 공간을 남기기 위해 도 2에 도시된 리세스(18)가 하부 전방 단부에 제공된다. 유리하게는, 이러한 리세스는 코너를 부드럽게 하기 위해 필렛이 제공된 전체적으로 계단 형상을 갖는다. 즉, 리세스는 실질적으로 "S 자형" 섹션을 가지며, S의 단부는 각각 튜브(10) 및 연결 브리지(50)에 접선이다.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다른 실시예에서, 코 성형기(1)는 피험자의 코 내의 제 위치에 코 성형기(1)를 유지하도록 의도된 외부 유지 탭(30, 40)을 추가로 포함한다. 이들 탭(30, 40)은 튜브(10)의 하부 단부로부터 위쪽으로 연장된다. 이들 탭은 각각 콧방울의 일 측면을 가압하도록 의도된 2 개의 외부 측면 탭(30)일 수 있다. 콧등을 가압하도록 의도된 전방 탭(40)도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측면 탭(30) 및 전방 탭(40)은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코 성형기(1)를 피험자의 코에 더 단단히 유지하는 것 외에도, 이러한 탭은 일반적으로 수술 중에 분리되는 콧방울의 다양한 조직 층에 압력을 가할 수 있게 한다. 이것은 치유를 향상시키고, 수술 중에 의사에 의해 콧구멍에 제공된 형상을 유지할 수 있게 한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탭은 또한 콧방울를 통해 형성된 스티치를 지지하는데 사용될 수 있으며, 콧방울의 다양한 조직 층 사이의 접촉을 더욱 향상시킨다.
구순 구개열 재건 수술 후, 의사는 유리하게는, 다음 며칠 동안, 탭(30, 40)을 포함하지 않는 코 성형기(1)를 사용하고, 그 후 다음 몇 주 동안, 외부 측면 탭(30) 및/또는 전방 외부 탭(40)을 갖는 코 성형기(1)를 사용한다. 따라서 콧구멍은 더 잘 치유되고, 필요에 따라 성형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연결 브리지(50)의 길이는 가변적이며, 각 피험자의 해부학적 구조에 맞게 조정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튜브(10)는 유연한 재료로 제조되어, 이들은 콧구멍에 더 쉽게 도입될 수 있고 피험자에게 덜 불편하다. 실리콘이 특히 튜브(10)에 적합한 재료이다. 이는 실제로 매우 유연하고, 생물학적으로 불활성이며, 신체에 잘 견딘다. 유사하게, 연결 브리지(50)는 바람직하게는 유연하고, 실리콘이 특히 적합하다. 유리하게는, 연결 브리지(50)는 튜브(10)와 일체로 제조된다.
바람직하게는, 플레이트(20)는 또한 실리콘을 포함한다. 또한, 플레이트(20)는 충분하고 실질적으로 균일한 압력이 인중에 가해질 수 있도록 구성되며, 특히 흉터가 위치되는 인중의 영역에 가해질 수 있으며, 이를 수행하기에 적합한, 즉 비교적 높은 강성을 갖는다.
따라서, 유리하게는, 플레이트(20)는 튜브(10) 및 연결 브리지(50)보다 강성이다. 튜브(10)를 사용하기 쉽고 더 편안하게 제조하기 위해, 이들은 바람직하게는 매우 유연해야 한다. 그러나, 만족스럽게 작동하기 위해서는, 플레이트(20)가 강성이어야 한다.
보강 수단(60)은 또한 유리하게는 실리콘을 포함하거나, 또는 실리콘으로 제조된다. 이들은 플레이트(20)에 가해지는 복귀력을 증가시키는데 도움을 주어야 하기 때문에, 이들의 강성은 일반적으로 상대적으로 높으며, 예를 들어 플레이트(20)의 강성과 동일하다. 일 실시예에서, 보강 수단(60)은 플레이트(20)와 일체로 제조되고, 연결 브리지(50)에 부착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보강 수단(60)은, 플레이트(20)의 하부 부분에 배치되고 연결 브리지(50)에 연결되는 인서트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코 성형기(1)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코 성형기(1)는 사출 성형에 의해 제조된다. 유리하게는, 사용되는 재료는 실리콘이다.
특히 유리한 실시예에서, 사출 성형에 사용되는 몰드는 그 자체로 적층 합성에 의해 제조된다. 이러한 제조 방법은 선택적으로 맞춤형 몰드를 제조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도 7은 코 성형기(1)를 제조하는데 사용되는 몰드의 일 예를 보여준다. 몰드(100)는 2 개의 외부 부분(110, 120) 및 하나의 내부 부분(130)을 포함한다. 부분(110)은 상부 부분이고, 실리콘(또는 다른 적절한 재료)을 주입하기 위한 오리피스(112)를 포함한다. 부분(120)은 몰드의 하부 부분이다. 몰드(100)는 또한 특히 코 성형기(1)의 튜브(10)가 성형되는 2 개의 러그(132)를 포함하는 내부 부분(130)을 포함한다.
Figure pct00001
본 발명은 설명된 실시예들에 제한되지 않으며, 다른 실시예도 당업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특히, 코 성형기(1)는 플레이트(20)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튜브에 하나 또는 2 개의 차단 돌기(12, 14)가 제공된다는 단순한 사실만으로도 코에 더 단단히 유지될 수 있는 코 성형기, 특히 코에 봉합될 필요가 없는 성형기를 제공한다.
즉, 코 성형기(1)는 피험자의 코에 도입되도록 구성되며:
- 코의 콧구멍에 각각 도입되기에 적합하고, 연결 브리지(50)에 의해 하부 단부에서 함께 연결되는 2 개의 튜브(10)를 포함하고,
- 각 튜브(10)는 피험자의 비강에서 튜브(10)를 차단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차단 돌기(12, 14)를 후방 부분에 포함하고, 바람직하게는 피험자의 비강에서 2 개의 차단 돌기(12, 14)를 포함한다.
이러한 유형의 코 성형기는 예를 들어 인중에 스티치가 형성되지 않은 코 성형술에 유용하다. 성형기가 콧구멍 내에서 제 위치에 있을 때, 돌기는 성형기를 최적으로 위치 설정하여 유지하기 위해, 갑개 아래에 위치된다. 실제로, 기존 성형기, 특히 이러한 돌기가 제공되지 않은 공개 공보 RU 2477088에서 제안된 것에서는, 성형기는 아래쪽으로 미끄러지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콧구멍 내에서 제 위치에 올바르게 유지되지 않는 것으로 관찰되었고, 이는 성형기가 종종 코에 봉합되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코 성형기(1)는 플레이트(20)를 포함하지 않고, 피험자의 코에 성형기를 유지하기 위한 외부 탭을 포함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코 성형기(1)는 피험자의 코에 도입되도록 구성되고, 다음을 포함한다:
- 코의 콧구멍에 각각 도입되기에 적합하고, 연결 브리지(50)에 의해 하부 단부에서 함께 연결되는 2 개의 튜브(10), 및
- 코에 성형기를 유지하고, 튜브의 하부 단부로부터 위쪽으로 연장되는 외부 탭(30, 40), 바람직하게는 콧방울에 대해 가압하도록 의도된 2 개의 측면 탭(30) 및/또는 콧등을 가압하도록 의도된 하나의 전방 탭(40).
이러한 유형의 코 성형기는 예를 들어 인중에 스티치가 형성되지 않는 코 성형술에 유용하다. 탭(30, 40)의 존재는 성형기가 더 단단히 유지될 수 있게 하고, 또한 이들이 수술 중 분리되면, 콧방울의 다양한 조직 층에 압력이 가해질 수 있게 하여, 이에 따라 치유력이 향상되고 수술 중에 의사에 의해 요구되는 형상을 유지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탭(30, 40)은 또한 콧방울을 통해 형성된 스티치를 지지하는데 사용될 수 있어, 콧방울의 다양한 조직 층 사이의 접촉을 더욱 향상시킨다.
또한, 상기 2 개의 실시예가 결합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본 발명의 대상은 코 성형기(1)로서:
- 코의 콧구멍에 각각 도입되기에 적합하고, 연결 브리지(50)에 의해 하부 단부에서 함께 연결되는 2 개의 튜브(10)를 포함하고,
- 각 튜브(10)는 피험자의 비강에서 튜브(10)를 차단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차단 돌기(12, 14)를 후방 부분에 포함하고, 바람직하게는 피험자의 비강에서 2 개의 차단 돌기(12, 14)를 포함하며,
- 코에 성형기를 유지하고, 튜브의 하부 단부로부터 위쪽으로 연장되는 외부 탭(30, 40), 바람직하게는 콧방울에 대해 가압하도록 의도된 2 개의 측면 탭(30) 및/또는 콧등에 대해 가압하도록 의도된 하나의 전방 탭(40)을 포함한다.
다양한 실시예의 특성의 다른 조합 또는 삭제가 고려될 수 있다.

Claims (13)

  1. 피험자의 코에 도입되도록 구성된 코 성형기(1)로서,
    - 코의 콧구멍에 각각 도입되도록 구성되는 한편, 연결 브리지(50)에 의해 하부 단부에서 함께 연결되는 2 개의 튜브(10) 및
    - 상기 연결 브리지(50)에 부착되어, 상기 튜브(10)에 대해 상기 연결 브리지(50) 반대쪽으로 연장되는 한편, 상기 튜브(10)가 각각 코의 콧구멍에 도입될 때 상기 피험자의 인중에 압력을 가하도록 구성되는 플레이트(2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 성형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20)는, 상기 연결 브리지(50)에 부착되어,
    - 상기 플레이트(20)가, 상기 성형기를 배치하기 전에 상기 튜브(10) 반대쪽에서 상기 코 성형기(1)의 후방을 향해 연장되는 휴지 위치(rest position), 및
    - 상기 코 성형기(1)가 코에 도입될 때, 상기 플레이트가 상기 코 성형기(1)의 전방을 향해 연장되는 사용 위치
    사이에서 변형 가능한 것인, 코 성형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20)를 휴지 위치로 복귀시키는 힘을 가하는 보강 수단(60), 예를 들어 인서트(insert)를 포함하는 것인, 코 성형기.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 튜브(10)는 상기 튜브(10)를 상기 콧구멍에 위치 설정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돌기(16)를 상부 전방 부분에 포함하는 것인, 코 성형기.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 튜브(10)는 상기 피험자의 비강에서 상기 튜브(10)를 차단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차단 돌기(12, 14)를 후방 부분에 포함하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피험자의 상기 비강에서 2 개의 차단 돌기(12, 14)를 포함하는 것인, 코 성형기.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 튜브(10)의 상기 하부 단부는 상기 튜브(10)의 상기 하부 단부와 상기 콧구멍의 바닥 사이에 공간을 남기기 위해 리세스(recess)를 가지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리세스는 상기 튜브(10)의 후방과 하부 부분을 연결하는 코너를 부드럽게 하기 위해 필렛(fillets)이 제공된 전체적으로 계단 형상을 갖는 것인, 코 성형기.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코에 상기 성형기를 유지하고 상기 튜브의 상기 하부 단부로부터 위쪽으로 연장되는 외부 탭(30, 40)을 추가로 포함하고, 바람직하게는 콧방울에 대해 가압하도록 의도된 2 개의 측면 탭(30) 및/또는 콧등에 대해 가압하도록 의도된 하나의 전방 탭(40)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인, 코 성형기.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실리콘(silicone)을 포함하고, 바람직하게는 실리콘으로 제조되는 것인, 코 성형기.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20)는 상기 튜브(10)의 재료보다 더 강성인 재료로 제조되는 것인, 코 성형기.
  10. 제 3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요소(60)는 상기 튜브(10)의 재료보다 더 강성인 재료로 제조되는 것인, 코 성형기.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이한 색상의 재료를 포함하는 것인, 코 성형기.
  12.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가변 길이의 연결 브리지를 갖는 것인, 코 성형기.
  13.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코 성형기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사출 성형 단계를 포함하고, 몰드는 바람직하게는 적층 합성(additive synthesis)에 의해 제조되는, 코 성형기를 제조하는 방법.
KR1020217012919A 2018-10-01 2019-09-27 코 성형기 KR2021010402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18/59085 2018-10-01
FR1859085A FR3086531B1 (fr) 2018-10-01 2018-10-01 Conformateur narinaire
PCT/EP2019/076319 WO2020070028A1 (fr) 2018-10-01 2019-09-27 Conformateur narinair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4025A true KR20210104025A (ko) 2021-08-24

Family

ID=662863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12919A KR20210104025A (ko) 2018-10-01 2019-09-27 코 성형기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20220039993A1 (ko)
EP (1) EP3860532B1 (ko)
JP (1) JP2022514110A (ko)
KR (1) KR20210104025A (ko)
CN (1) CN113164276A (ko)
BR (1) BR112021006015A2 (ko)
FR (1) FR3086531B1 (ko)
MA (1) MA53803B1 (ko)
WO (1) WO2020070028A1 (ko)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65104A (en) * 1996-08-20 1997-09-09 Lee; Chi Hao Edwin Breathing enhancer
US8403954B2 (en) * 2001-05-22 2013-03-26 Sanostec Corp. Nasal congestion, obstruction relief, and drug delivery
TW200300002A (en) * 2002-11-11 2003-05-01 Dennis Internatioan Co Ltd Nasal filtration device
AU2004100927B4 (en) * 2004-11-01 2005-03-24 Richard Benson Snorenomore (anti-snoring device)
JP3787636B1 (ja) * 2005-08-26 2006-06-21 国立大学法人 岡山大学 構音障害改善用鼻孔栓
RU2477088C1 (ru) 2011-07-22 2013-03-10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Айсенс Групп" Эндоназальный активатор
ES2376440B2 (es) * 2011-11-28 2012-11-12 David Orts Paya Dispositivo para aliviar los síntomas de alergias nasales.
US9663975B2 (en) * 2014-08-29 2017-05-30 Leatherman Tool Group, Inc. Flexible cut-resistant lock
WO2016205874A1 (en) * 2015-06-22 2016-12-29 Tuan Anh Le Pty Ltd A nasal splint
AU2016302387B2 (en) * 2015-07-31 2020-12-24 Asap Breatheassist Pty Ltd Nasal devic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2514110A (ja) 2022-02-09
EP3860532B1 (fr) 2023-02-22
MA53803B1 (fr) 2023-06-28
US20220039993A1 (en) 2022-02-10
WO2020070028A1 (fr) 2020-04-09
CN113164276A (zh) 2021-07-23
MA53803A (fr) 2022-01-05
EP3860532A1 (fr) 2021-08-11
BR112021006015A2 (pt) 2021-06-29
FR3086531A1 (fr) 2020-04-03
FR3086531B1 (fr) 2020-10-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74898B2 (en) Palatal expanders and methods of expanding a palate
US9498593B2 (en) Customized medical devices and apparel
KR101661639B1 (ko) 구강에서 공기 공간을 제거하기 위한 구강 장치
EP0362617B1 (en) Orthodontic positioner and method of making same
JP4994396B2 (ja) 足装具サポート・デバイス方法及び装置
US20180344508A1 (en) Custom-fit dental guard
CN108289752A (zh) 牙齿矫正器、生产方法以及包括这种矫正器的矫形器
KR20190131796A (ko) 코 보형물 제작방법
KR20210104025A (ko) 코 성형기
KR101443247B1 (ko) 팔자주름 교정기구
KR200459611Y1 (ko) 턱 성형용 보형물
KR101518710B1 (ko) 투명 교정 장치 제조 방법
KR101518711B1 (ko) 투명 교정 장치 제조 방법
CN113662687A (zh) 一种无托槽隐形矫治器
RU145249U1 (ru) Заготовка для индивидуальной ортопедической стельки
KR101684151B1 (ko) 코숨장치
CN105407831A (zh) 正畸矫正器
US11285035B2 (en) Single arch dental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e
CN216702736U (zh) 一种基于增材制造技术的个性化鼻矫形装置
CN213190359U (zh) 一种定位式床上足部矫形器
CN211213778U (zh) 一种胸外科用术后创口保护装置
CN211095102U (zh) 3d打印拇外翻矫正器
KR200389126Y1 (ko) 코 인공 삽입물
KR20220128802A (ko) 발가락 교정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
CN115192279A (zh) 接受腔内腔结构和假肢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