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9611Y1 - 턱 성형용 보형물 - Google Patents

턱 성형용 보형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9611Y1
KR200459611Y1 KR2020100002174U KR20100002174U KR200459611Y1 KR 200459611 Y1 KR200459611 Y1 KR 200459611Y1 KR 2020100002174 U KR2020100002174 U KR 2020100002174U KR 20100002174 U KR20100002174 U KR 20100002174U KR 200459611 Y1 KR200459611 Y1 KR 20045961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aw
point
molding
close contact
contact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217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08951U (ko
Inventor
송기찬
Original Assignee
송기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기찬 filed Critical 송기찬
Priority to KR202010000217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9611Y1/ko
Publication of KR2010000895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895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961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961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059Cosmetic or alloplastic impl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28Bo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230/00Geometry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 A61F2230/0002Two-dimensional shapes, e.g. cross-sections
    • A61F2230/0004Rounded shapes, e.g. with rounded corners
    • A61F2230/0013Horseshoe-shaped, e.g. crescent-shaped, C-shaped, U-shaped

Abstract

본 고안은 성형용 보형물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보형물 삽입 성형수술 후 외력을 받더라도 시술부위에 안정적으로 위치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턱 성형용 보형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에서는 아래턱뼈의 턱끝점과 턱끝융기점 사이에 대응 밀착되는 밀착면이 형성된 보형물에 있어서, 상기 밀착면의 테두리 일측에 아래턱뼈의 턱끝점과 턱뼈각점 사이에 밀착하기 위한 이탈방지면이 일체로 연장 형성된 턱 성형용 보형물이 개시된다.

Description

턱 성형용 보형물{Chin implants}
본 고안은 성형용 보형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보형물 삽입 성형수술 후 잦은 움직임이나 충격 등의 외력을 받더라도 시술부위에 안정적으로 위치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턱 성형용 보형물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외모를 중시하는 사회적 흐름과 아름다움에 대한 가치기준이 점점 달라지면서 외과적 수술을 통해 외모를 변화시키고 보완하는 이른바 성형수술이 성행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현대인들은 사회생활에 따른 자신감을 회복하고 보다 나은 삶을 영위 및 행복을 추구하고 있다.
특히 턱 성형은 미적 기준의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얼굴의 전체적인 이미지를 좌우하는 안면윤곽의 조화와 균형미에 지대한 영향을 주므로 인해 다양한 방식의 성형술이 알려져 있으며, 그 가운데 턱이 짧거나 돌출이 부족하여 나이가 원래보다 들어 보이면서 어딘지 좀 모자라는 듯한 인상을 주기 쉬운 일명 무턱을 교정하는 성형술은 보편적으로 입속을 통해 아래턱뼈를 수평으로 잘라 앞쪽으로 이동시켜 고정하거나 턱끝점과 턱끝융기점 사이에 실리콘 재질의 보형물을 삽입하여 턱선에 갸름한 볼륨감을 부여하는 방식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그런데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진 종래의 턱 성형용 보형물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얼굴 아래턱뼈의 턱끝점(gn)과 턱끝융기점(pg) 사이가 측면에서 볼 때 호형으로 라운딩되어 있는 형태적 특성상 시술 후 음식을 씹는 등 턱관절을 과도하게 움직이거나 턱 부위에 외부 충격을 받을 경우 그 시술위치 즉, 턱끝점(gn)과 턱끝융기점(pg) 사이에 안정적으로 위치되어 있지 못하고 자유로이 이동되거나 자칫 턱끝융기점(pg) 위로 쉽게 이탈되는 등 성형 후 심각한 부작용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자는 상술한 제반 사항을 감안 및 문제점 해결에 역점을 두어 턱끝점과 턱끝융기점 사이에 정확하게 위치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턱 성형용 보형물을 개발하고자 부단히 연구하여 왔으며, 그 결과로써 본 고안을 창안하여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시술 위치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턱 성형용 보형물을 제공하는 데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아래턱뼈의 턱끝점과 턱끝융기점 사이에 대응 밀착되는 밀착면이 형성된 보형물에 있어서, 상기 밀착면의 테두리 일측에 아래턱뼈의 턱끝점과 턱뼈각점 사이에 밀착하기 위한 이탈방지면이 일체로 연장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턱 성형용 보형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밀착면에는 아래턱뼈의 좌우 방향으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유동방지홈이 다수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턱 성형용 보형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밀착면의 테두리와 상기 이탈방지면의 테두리 사이에는 이탈방지면이 탄력적으로 변형될 수 있도록 보완하는 변형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턱 성형용 보형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밀착면의 내측에는 인체의 피부와 유착될 수 있도록 관통구멍이 다수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턱 성형용 보형물을 제공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과제 해결 수단을 갖는 본 고안은 밀착면과 유동방지홈에 의해 아래턱뼈의 턱끝점과 턱끝융기점 사이에 긴밀하게 대응 밀착되고, 이와 동시에 이탈방지면이 아래턱뼈의 턱끝점과 턱뼈각점 사이에 긴밀하게 대응 밀착되면서 시술 위치를 견고하게 잡아주기 때문에 턱관절을 심하게 움직이거나 시술부위에 외력을 받더라도 몸체가 턱끝융기점의 상방으로 이동되거나 좌우 양방향으로 유동되지 않고 턱끝점과 턱끝융기점 사이에 안정적으로 자리잡힌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시술 후 몸속에서 보형물의 위치이동으로 인한 턱 모양이 변하는 등의 성형부작용을 줄여주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인체의 아래턱뼈를 나타낸 측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제1실시례에 따른 턱 성형용 보형물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제1실시례에 따른 턱 성형용 보형물을 나타낸 측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제1실시례에 따른 턱 성형용 보형물의 사용상태도,
도 5는 본 고안의 제2실시례에 따른 턱 성형용 보형물을 나타낸 구성도,
도 6은 본 고안의 제3실시례에 따른 턱 성형용 보형물을 나타낸 구성도,
이하, 본 고안의 실시례에 따른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에 앞서, 후술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것으로서, 이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개념 및 기술 분야에서 통용되는 고유의 의미로 해석되어야 함을 명시한다.
또한 본 고안과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먼저, 도 2는 본 고안의 제1실시례에 따른 턱 성형용 보형물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제1실시례에 따른 턱 성형용 보형물을 나타낸 측단면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의 제1실시례에 따른 턱 성형용 보형물의 사용상태도로써,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1실시례에 따른 턱 성형용 보형물(10)은 아래턱뼈의 턱끝점(gnathion/gn)과 턱끝융기점(pogonion/pg) 사이에 대응 밀착되는 밀착면(11)이 형성되어 있고, 그 밀착면(11)의 테두리 일측에 아래턱뼈의 턱끝점(gn)과 턱뼈각점(gonion/go) 사이에 밀착하기 위한 이탈방지면(12)이 일체로 연장 형성되어 있다.
즉, 보형물(10)은 인체의 아래턱뼈 형상을 고려하여 평면에서 볼 때 대략 타원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정면에서 볼 때 대략 역아치형으로 상부가 일정 깊이로 움푹진 알파벳 'U'자 또는 'V'자 형태로 하부가 호형으로 자연스럽게 라운딩되면서 돌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보형물(10)은 정면에서 볼 때 상면이 아래턱뼈의 턱끝점(gn)과 턱끝융기점(pg) 사이에 긴밀하게 대응 밀착되는 밀착면(11)이 자연스럽게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밀착면(11)의 후방측 테두리에는 아래턱뼈의 턱끝점(gn)과 턱뼈각점(go) 사이에 밀착하기 위한 이탈방지면(12)이 외향으로 돌출되는 형태로 밀착면에서 일체로 연장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이탈방지면(12)은 정면에서 볼 때 밀착면(11)의 양측 테두리의 끝단을 지나는 가상의 수평선에 대해 움푹 들어간 밀착면(11)의 후방측 테두리에서 약 1/2지점까지 돌출되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밀착면(11)의 테두리와 이탈방지면(12)의 테두리가 서로 마주 닿는 즉, 이탈방지면 양측의 밀착면 테두리에는 이탈방지면(12)이 외력에 대응하여 보다 유연하고 탄력적으로 변형될 수 있도록 보완하는 변형홈(13)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밀착면(11)의 내측에는 인체의 피부와 유착되도록 상하로 관통되게 관통구멍(14)이 다수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관통구멍(14)을 통해 수술 후 살이 차오르도록 하여 보형물(10)이 자유로이 유동되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혈액순환 저하로 인해 턱 부위가 붉게 달아오르는 홍조현상을 예방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관통구멍(14)은 밀착면(11)의 표면에 오목한 홈 형태로 다수 형성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은 보형물(100)은 인체의 부분 손상이나 기형의 교정 또는 미용을 위하여 사용하며 이물감이 없고 인체 적합성이 뛰어난 의료용 실리콘으로써, 그 외면에는 생체적합성이 아주 뛰어나면서 사람의 피부와 흡사한 쿠션감이나 탄력성있는 감촉을 제공하는 ePTFE(expanded-polytetrafluoroethylene, 발포용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소재가 코팅된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ePTFE는 피브릴(fibril)의 미세구조에 의해 특성화된 고도의 다공성 물질로서, 인체 내에 삽입한 경우 미세한 구멍을 통해 인체의 조직이 자라 들어가 밀착되게 된다. 또한 불투명하므로 밝은 곳 등에서 투영되어 보이지 않고, 피부가 붉어지거나 변색됨이 없으며 이물반응에 의한 염증 등의 부작용이 발생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아울러 시술 후 오랜 시간이 지나도 원래의 모양이 변형되거나 높이가 낮아지지 않으므로 형태적인 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다.
여기서, ePTFE는 의료용 실리콘의 표면으로부터 1mm ~ 5mm 정도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제1실시례에 따른 턱 성형용 보형물(10)은 수술용 메스 등을 이용하여 세밀한 조각이 가능하므로 환자의 뼈 모양과 자연스럽게 조화시킬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안면윤곽의 매끈하고 부드러운 곡선미가 연출되어 환자의 만족도 높일 수 있으면서 자신감을 심어줄 수 있게 된다.
그뿐만 아니라 이탈방지면(12)이 아래턱뼈의 턱끝점(gn)과 턱뼈각점(go) 사이에 긴밀하게 대응 밀착됨으로써 보형물의 본체를 견고하게 잡아주기 때문에 기존의 보형물이 갖는 한계점을 극복하여 턱 부위에 외력을 받더라도 턱끝점(gn)과 턱끝융기점(pg)사이에서 이탈됨 없이 안정적으로 위치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도 5 및 도 6은 본 고안의 제2 및 제3실시례에 따른 턱 성형용 보형물을 나타낸 구성도로써 (a) 및 (b)는 사시도, (c)는 평면도, (d)는 측단면도를 각각 나타내고 있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2 및 제3실시례에 따른 턱 성형용 보형물(100)은 이른바 짧은 턱과 같이 환자의 시술부위가 갖는 형태적 특성에 따라 선택적으로 적용되는 것으로, 전술한 제1실시례와 마찬가지로 아래턱뼈의 턱끝점(gnathion/gn)과 턱끝융기점(pogonion/pg) 사이에 대응 밀착되는 밀착면(11)이 형성되어 있고, 그 밀착면(11)의 테두리 일측에 아래턱뼈의 턱끝점(gn)과 턱뼈각점(gonion/go) 사이에 밀착하기 위한 이탈방지면(12)이 일체로 연장 형성되어 있다.
특히 밀착면(11)에는 시술 후 보형물이 아래턱뼈의 좌우 방향으로 자유로이 유동되거나 밀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유동방지홈(15)이 전후 방향으로 일정길이를 가진 슬롯형태로 다수 형성되어 있고, 이를 통해 보형물의 고정력이 한층 강화되어 더욱 안정적인 위치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탈방지면(12)은 정면에서 볼 때 밀착면(11)의 양측 테두리의 끝단을 연결하는 가상의 수평선 중심으로부터 그 수평선의 길이에 대하여 1/5 범위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본 고안의 제2 및 제3실시례에 따른 보형물의 구성요소 중 상술한 제1실시례와 동일 또는 유사한 작용효과를 갖는 것은 제1실시례와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며, 그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본 고안은 상술한 실시례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안에서 치환 및 균등한 타 실시례로 변경할 수 있음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10: 보형물 11: 밀착면
12: 이탈방지면 13: 변형홈
14: 관통구멍 15: 유동방지홈

Claims (4)

  1. 아래턱뼈의 턱끝점과 턱끝융기점 사이에 대응 밀착되는 밀착면이 형성된 보형물에 있어서, 상기 밀착면의 테두리 일측에 아래턱뼈의 턱끝점과 턱뼈각점 사이에 밀착하기 위한 이탈방지면이 일체로 연장 형성된 턱 성형용 보형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밀착면에는 아래턱뼈의 좌우 방향으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유동방지홈이 다수 형성된 턱 성형용 보형물.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밀착면의 테두리와 상기 이탈방지면의 테두리 사이에는 이탈방지면이 외력에 대응하여 탄력적으로 변형될 수 있도록 보완하는 변형홈이 형성된 턱 성형용 보형물.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밀착면의 내측에는 인체의 피부와 유착되도록 관통구멍이 다수 형성된 턱 성형용 보형물.
KR2020100002174U 2009-03-03 2010-03-03 턱 성형용 보형물 KR20045961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2174U KR200459611Y1 (ko) 2009-03-03 2010-03-03 턱 성형용 보형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2400 2009-03-03
KR2020100002174U KR200459611Y1 (ko) 2009-03-03 2010-03-03 턱 성형용 보형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8951U KR20100008951U (ko) 2010-09-13
KR200459611Y1 true KR200459611Y1 (ko) 2012-04-04

Family

ID=441995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2174U KR200459611Y1 (ko) 2009-03-03 2010-03-03 턱 성형용 보형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9611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8489B1 (ko) 2016-07-26 2017-01-20 원유건 골반골 성형용 보형물
KR102117415B1 (ko) * 2019-10-30 2020-06-09 안태환 비순각 개선 수술용 삽입물
KR102240412B1 (ko) * 2020-10-05 2021-04-15 바이오코엔 주식회사 골반 엉덩이 성형용 보형물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95951A (en) 1991-03-25 1993-03-23 Giampapa Vincent C Chin implant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95951A (en) 1991-03-25 1993-03-23 Giampapa Vincent C Chin impla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8951U (ko) 2010-09-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19463Y1 (ko) 코 인공 삽입물
US9844424B2 (en) Dental appliance with repositioning jaw elements
JP5763103B2 (ja) 湾曲した回転ブレードを有する外科用開創器
US20150148902A1 (en) Nasal Implant
US9936792B2 (en) Facial lift
US4790849A (en) Malar implant and method of inserting the prothesis
KR200459611Y1 (ko) 턱 성형용 보형물
US20160367393A1 (en) Nasal implant for correction
KR20180001168U (ko) 코 보형물
RU2489113C2 (ru) Верхнечелюстной протез-обтуратор
KR102117415B1 (ko) 비순각 개선 수술용 삽입물
KR200425370Y1 (ko) ePTFE 소재를 코팅한 실리콘 보형물
KR101068503B1 (ko) 부비강 주위 융기술용 보형물
EP3171823B1 (en) Prothesis for temporomandibular joint
CN113662687A (zh) 一种无托槽隐形矫治器
KR200395980Y1 (ko) 융비술용 코보형 세트
CN211704939U (zh) 蝶翼形鼻假体
Manoj Modified impression technique for fabrication of a custom made ocular prosthesis
CN212755995U (zh) 一种肌功能保存型全颞下关节假体
Aeran et al. DYNESTHETIC INTERPRETATION OF ESTHETICS IN COMPLETE DENTURE.
CN208910582U (zh) 一种船型隆鼻假体
Shafy Part III: Clinical Case 2
CN214679109U (zh) 有效改善面中部凹陷及上唇前突的填充假体及假体模型
Dipoyono et al. Prosthetic Rehabilitation for the Missing Bulbus Oculi Due to Eye Enucleation (Fabricated and Non-Fabricated)
Van den Heever et al. The scope of maxillofacial prosthodontics: clinical review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3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