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03752A - 내화발포재 유닛 및 내화발포재 장치 - Google Patents

내화발포재 유닛 및 내화발포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03752A
KR20210103752A KR1020200018306A KR20200018306A KR20210103752A KR 20210103752 A KR20210103752 A KR 20210103752A KR 1020200018306 A KR1020200018306 A KR 1020200018306A KR 20200018306 A KR20200018306 A KR 20200018306A KR 20210103752 A KR20210103752 A KR 202101037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resistant
foam material
resistant foam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83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해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청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청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청완
Priority to KR10202000183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03752A/ko
Publication of KR202101037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375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92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 E04B1/94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against fire
    • E04B1/948Fire-proof sealings or joi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00Devices for use where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pass through walls or partitions
    • F16L5/02Sealing
    • F16L5/04Sealing to form a firebreak devi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00Devices for use where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pass through walls or partitions
    • F16L5/02Sealing
    • F16L5/10Sealing by using sealing rings or sleeves on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조 단가가 상대적으로 저렴하고, 시공이 편리하며, 사용 편의성이 우수한 내화발포재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내화발포재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내화발포재 유닛은, 내측에 통로가 형성된 통로부재가 통과할 수 있도록 건축물의 바닥 또는 벽에 형성되는 관통구를 차폐하기 위한 내화발포재 유닛에 있어서, 열에 의해 팽창할 수 있는 소재로 이루어지고, 통로부재를 둘러싸면서 관통구를 덮을 수 있는 내화발포재와, 열에 견딜 수 있는 내화 소재로 이루어지며, 내화발포재의 일면에 결합되고, 건축물의 바닥 또는 벽에 고정되어 내화발포재가 관통구를 덮은 상태를 유지하면서 팽창할 수 있도록 내화발포재를 지지하는 지지판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내화발포재 유닛 및 내화발포재 장치{FIREPROOF FOAM UNIT AND FIREPROOF FOAM DEVICE}
본 발명은 내화발포재 유닛 및 내화발포재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배관이나 덕트 등의 내부에 통로가 마련된 통로부재가 통과할 수 있도록 건축물의 바닥 또는 벽에 형성되는 관통구를 차폐할 수 있는 내화발포재 유닛 및 내화발포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의 내부 공간은 바닥과 벽에 의해 복수의 공간으로 구획되고, 바닥이나 벽 등 건축물의 골조에는 각종 배관 또는 덕트가 통과할 수 있는 관통구가 형성된다. 건축물 골조의 관통구는 배관 또는 덕트의 폭보다 큰 크기로 형성됨으로써 배관 또는 덕트의 설치 시 설계 오차가 있더라도 배관 또는 덕트가 관통구를 통과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런데 건축물 골조의 관통구가 배관 또는 덕트의 폭보다 큰 크기로 형성됨에 따라 배관 또는 덕트의 설치 시 건축물 골조와 배관 또는 덕트의 사이에는 틈새가 생길 수밖에 없고, 이러한 틈새는 화재 발생 시 화염이나 연기의 통로가 되어 화재로 인한 피해를 확산시키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현재, 화재 발생 시 화재의 확산이 될 수 있는 건축물 골조의 관통구 부분을 내화성 물질로 막는 것이 법적으로 강제되고 있다. 배관 또는 덕트의 설치를 위한 건축물 골조의 관통구 부분을 막는 장치로는 다양한 것들이 이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도 1에 나타낸 장치는 합성수지 또는 금속으로 이루어지고 중앙 부분이 개방된 덮개부(10)와, 덕트가 통과할 수 있도록 중공형으로 이루어져 덮개부(10)의 중앙 부분에 결합되는 슬리브(20)를 포함한다. 이러한 장치는 슬리브(20)에 덕트가 삽입되도록 덮개부(10)가 나사 등의 고정부재에 의해 벽면에 고정되고, 덮개부(10)의 둘레와 슬리브(20)의 둘레에 내화실란트(30)가 도포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 장치는 제조가 어렵고, 제조 단가가 비싸며, 시공이 어렵고, 시공 비용이 비싼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장치는 건축물 골조에 형성되는 관통구의 크기나, 관통구를 통과하는 배관 또는 덕트의 형상 또는 폭에 맞춰 맞춤 제작되어야 하므로, 호환성이 떨어지고, 생산성이 떨어질 수 밖에 없다.
등록특허공보 제1743932호 (2017. 06. 07)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제조 단가가 상대적으로 저렴하고, 시공이 편리하며, 사용 편의성이 우수한 내화발포재 유닛 및 내화발포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내화발포재 유닛은, 내측에 통로가 형성된 통로부재가 통과할 수 있도록 건축물의 바닥 또는 벽에 형성되는 관통구를 차폐하기 위한 내화발포재 유닛에 있어서, 열에 의해 팽창할 수 있는 소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통로부재를 둘러싸면서 상기 관통구를 덮을 수 있는 내화발포재; 및 열에 견딜 수 있는 내화 소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내화발포재의 일면에 결합되고, 상기 건축물의 바닥 또는 벽에 고정되어 상기 내화발포재가 상기 관통구를 덮은 상태를 유지하면서 팽창할 수 있도록 상기 내화발포재를 지지하는 지지판;을 포함한다.
상기 지지판은 금속 소재로 이루어지고, 그 두께가 0.1 ~ 0.6mm인 것이 좋다.
상기 내화발포재와 상기 지지판 사이에는 접착제가 개재될 수 있다.
상기 지지판은 복수의 통공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내화발포재와 접하는 상기 지지판의 내면에는 상기 내화발포재 속에 박힐 수 있는 복수의 돌기가 상기 내화발포재 측으로 돌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지지판의 가장자리에는 상기 내화발포재의 가장자리를 덮을 수 있는 덮개부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덮개부에는 상기 내화발포재의 가장자리가 삽입될 수 있는 안착홈이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내화발포재 유닛은, 상기 내화발포재 및 상기 지지판의 가장자리가 삽입될 수 있는 슬롯을 구비하고, 상기 내화발포재 및 상기 지지판의 가장자리에 결합되어 상기 내화발포재 및 상기 지지판의 가장자리를 덮는 에지 가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내화발포재 유닛은, 상기 지지판의 외면을 덮는 마감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화발포재는 상기 통로부재가 부분적으로 삽입될 수 있는 내화발포재 홈을 구비하고, 상기 지지판은 상기 통로부재가 부분적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내화발포재 홈에 대응하는 지지판 홈을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내화발포재 유닛은, 복수의 망체 구멍을 구비하고, 상기 내화발포재와 상기 지지판 사이에 개재되는 망체;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내화발포재 장치는, 내측에 통로가 형성된 통로부재가 통과할 수 있도록 건축물의 바닥 또는 벽에 형성되는 관통구를 차폐하기 위한 내화발포재 장치에 있어서, 열에 의해 팽창할 수 있는 소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통로부재를 둘러싸면서 상기 관통구를 덮을 수 있는 평판 형태를 갖는 내화발포재와, 열에 견딜 수 있는 내화 소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내화발포재의 일면에 결합되고, 상기 건축물의 바닥 또는 벽에 고정되어 상기 내화발포재가 상기 관통구를 덮은 상태를 유지하면서 팽창할 수 있도록 상기 내화발포재를 지지하는 지지판을 구비하는 내화발포재 유닛; 및 상기 건축물의 바닥 또는 벽에 결합되어 상기 내화발포재 유닛을 상기 건축물의 바닥 또는 벽에 고정시키는 복수의 고정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내화발포재 유닛은 복수 개가 상기 통로부재의 둘레를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내화발포재 유닛은 각각, 상기 통로부재가 부분적으로 삽입될 수 있는 삽입홈을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내화발포재 장치는, 상기 내화발포재 유닛의 모서리에 결합되어 상기 내화발포재 유닛의 모서리를 보강하는 모서리 보강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내화발포재 장치는, 상기 통로부재와 상기 내화발포재 유닛 사이의 틈새를 실링하는 코킹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내화발포재 유닛을 관통하여 그 끝단이 건축물의 바닥 또는 벽에 속에 박히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통로부재나 상기 건축물의 바닥 또는 벽에 고정되는 고정부재 몸체와, 상기 내화발포재 유닛의 가장자리에 접하여 상기 내화발포재 유닛을 지지하는 걸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걸이부에는 상기 내화발포재 유닛의 가장자리가 삽입될 수 있는 걸이부홈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내화발포재의 가장자리에는 상기 걸이부가 부분적으로 삽입될 수 있는 걸림홈이 마련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내화발포재 장치는, 내측에 통로가 형성된 통로부재가 통과할 수 있도록 건축물의 바닥 또는 벽에 형성되는 관통구를 차폐하기 위한 내화발포재 장치에 있어서, 열에 의해 팽창할 수 있는 소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통로부재를 둘러싸면서 상기 관통구를 덮을 수 있는 내화발포재; 및 상기 통로부재에 고정되어 상기 내화발포재가 상기 관통구를 덮은 상태를 유지하면서 팽창할 수 있도록 상기 내화발포재를 지지하는 고정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유닛은, 열에 견딜 수 있는 내화 소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내화발포재의 가장자리에 결합되는 고정 브라켓과, 상기 통로부재에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고정 브라켓에 결합되는 고정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 브라켓은, 상기 내화발포재의 가장자리가 접하는 에지 지지부와, 상기 내화발포재의 전면에 접할 수 있도록 상기 에지 지지부에 수직으로 연결되는 전면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 브라켓은 상기 내화발포재의 후면에 접할 수 있도록 상기 에지 지지부에 수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전면 지지부와 마주하는 후면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면 지지부와 상기 후면 지지부의 사이에는 상기 내화발포재가 부분적으로 삽입되는 결합홈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에지 지지부는 상호 수직으로 연결되도록 한 쌍이 구비되고, 상기 전면 지지부는 상기 한 쌍의 에지 지지부에 각각 연결되도록 한 쌍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는 자석일 수 있다.
상기 고정유닛은, 상기 고정 브라켓에 연결되는 연결 브라켓과, 상기 내화발포재의 모서리를 보강하기 위해 상기 내화발포재의 후면 모서리에 접할 수 있도록 상기 연결 브라켓에 연결되는 모서리 지지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유닛은, 상기 내화발포재의 모서리를 보강하기 위해 상기 내화발포재의 전면 모서리에 접할 수 있도록 상기 모서리 지지부재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모서리 보강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내화발포재 장치는, 열에 견딜 수 있는 내화 소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내화발포재의 전면에 결합되어 상기 내화발포재를 덮는 지지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판은 복수의 통공을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내화발포재 장치는, 상기 내화발포재가 부분적으로 삽입될 수 있는 슬릿을 구비하고, 상기 내화발포재의 가장자리에 결합되어 상기 내화발포재의 가장자리를 덮는 에지 가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내화발포재 장치는, 상기 내화발포재의 전면에 결합되어 상기 내화발포재를 덮는 마감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내화발포재 장치는, 복수의 망체 구멍을 구비하고, 상기 내화발포재의 전면에 결합되는 망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내화발포재 장치는, 상기 통로부재와 상기 내화발포재 사이의 틈새를 실링하는 코킹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화발포재는 복수 개가 상기 통로부재의 둘레를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열에 의해 쉽게 파손되지 않는 지지판이 벽이나 바닥 등의 건축물의 골조에 고정되어 열에 의해 팽창하는 내화발포재를 지지하므로, 화재 발생 시 내화발포재가 건축물의 골조나 통로부재에서 분리되지 않고 건축물 골조의 관통구를 덮은 상태로 팽창할 수 있으며, 건축물 골조의 관통구를 통한 화염이나 연기의 전파를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내화발포재 유닛은 구조가 간단하고, 제조 단가가 저렴하며, 시공이 편리하고, 시공 비용이 낮은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내화발포재 장치는 통로부재에 간단히 고정될 수 있는 고정유닛을 이용하여 내화발포재를 통로부재의 둘레에 배치하여 건축물 골조의 관통구를 차폐할 수 있다. 따라서, 시공이 쉽고, 시공 시간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장치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내화발포재 유닛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내화발포재 장치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내화발포재 장치가 건축물의 벽에 시공된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내화발포재 유닛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내화발포재 유닛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내화발포재 유닛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내화발포재 유닛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내화발포재 장치를 나타낸 것이다.
도 10 내지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내화발포재 유닛의 다양한 변형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내화발포재 장치를 나타낸 것이다.
도 15는 도 14에 나타낸 내화발포재 장치가 건축물의 벽에 시공된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내화발포재 장치를 나타낸 것이다.
도 17은 도 16에 나타낸 내화발포재 장치가 건축물의 벽에 시공된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내화발포재 장치를 나타낸 것이다.
도 19는 도 18에 나타낸 내화발포재 장치의 고정유닛을 나타낸 것이다.
도 20 및 도 21은 도 18에 나타낸 내화발포재 장치를 건축물의 벽에 시공하는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도 22 내지 도 25는 본 발명에 따른 내화발포재 장치의 다양한 변형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26은 고정유닛의 변형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2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내화발포재 장치가 건축물의 벽에 시공된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도 28은 도 27에 나타낸 내화발포재 장치의 고정유닛을 나타낸 것이다.
도 29 및 도 30은 도 27에 나타낸 내화발포재 장치를 건축물의 벽에 시공하는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내화발포재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내화발포재 장치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내화발포재 유닛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면에 나타낸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내화발포재 유닛(100)은 열에 의해 팽창할 수 있는 내화발포재(110)와, 내화발포재(110)의 일면에 결합되는 지지판(120)을 포함한다. 내화발포재(110)와 지지판(120)의 사이에는 접착제(130)가 도포되어 내화발포재(110)와 지지판(120)은 접착제(130)에 의해 접합될 수 있다
이러한 내화발포재 유닛(100)은 내측에 통로가 형성된 통로부재가 통과할 수 있도록 건축물의 바닥 또는 벽에 형성되는 관통구를 차폐함으로써, 화재 발생 시 화염이나 연기가 관통구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통로부재로는 배관이나 덕트, 전기 케이블, 통신 케이블 등 건축물 골조에 형성된 관통구를 통과하도록 설치되는 다양한 것이 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내화발포재 유닛(100)이 덕트 형태의 통로부재(60)가 통과할 수 있도록 건축물의 벽(50)에 형성되는 관통구(55)를 차폐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한다.
내화발포재(110)는 열에 의해 팽창할 수 있는 열팽창성 소재로 이루어진다. 내화발포재(110)는 관통구(55)를 덮을 수 있는 평판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내화발포재(110)는 화재 발생 시, 열을 받아 팽창함으로써 벽(50)과 통로부재(60) 사이의 틈새와, 관통구(55)를 효과적으로 차폐할 수 있다.
지지판(120)은 금속이나 내화 섬유 등 열에 견딜 수 있는 다양한 내화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지지판(120)은 고정부재에 의해 벽(50)에 고정됨으로써, 내화발포재(110)가 관통구(55)를 덮은 상태를 유지하도록 내화발포재(110)를 지지할 수 있다. 지지판(120)이 금속 소재로 이루어지는 경우, 지지판(120)의 두께는 내화발포재(110)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되 가위 등의 공구에 의해 어렵지 않게 절단될 수 있는 두께를 갖는 것이 좋다.
구체적으로, 금속판 형태의 지지판(120)은 그 두께가 0.1 ~ 0.6mm인 것이 바람직하다. 지지판(120)의 두께가 0.1mm 미만인 경우, 지지판(120)이 내화발포재(110)를 지지하는 지지력이 약하여 지지판(120)이 원활한 기능을 발휘하기 어렵다. 반면, 지지판(120)의 두께가 0.6mm를 초과하는 경우, 지지판(120)이 가위 등의 공구에 의해 절단되기 어려워 사용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내화발포재 유닛(100)은 내화발포재(110)의 일면에 결합된 지지판(120)이 외부로 드러나고 내화발포재(110)의 타면이 벽(50)과 마주하도록 고정부재(170)를 통해 벽(50)에 고정될 수 있다. 화재 발생 시, 열이 지지판(120)을 통해 내화발포재(110)에 전달되므로, 내화발포재(110)가 열팽창하여 벽(50)과 통로부재(60) 사이의 틈새와, 관통구(55)를 차폐할 수 있다. 지지판(120)은 화재 발생 시 열에 의해 쉽게 파손되지 않는 소재로 이루어짐으로써, 화재가 발생하더라도 고정부재에 의해 벽(50)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내화발포재(110)가 팽창하는 동안 내화발포재(110)를 벽(50)으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지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내화발포재 유닛(100)은 지지판(120)이 벽(50)에 고정되어 열에 의해 팽창하는 내화발포재(110)를 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화재 발생 시 내화발포재(110)가 벽(50)의 관통구(55)를 덮은 상태를 유지하면서 팽창할 수 있고, 벽(50)의 관통구(55)를 통한 화염이나 연기의 전파를 안정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이러한 내화발포재 유닛(100)은 내화발포재(110) 및 지지판(120)이 가위 등의 공구에 의해 어렵지 않게 절단될 수 있으며, 벽(50)의 관통구(55)에 설치되는 통로부재(60)의 모양에 맞춰 재단되어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내화발포재 유닛(100)은 다양한 모양으로 재단되어 사용될 수 있으므로, 다양한 형태의 통로부재가 설치된 관통구를 차폐하는데 범용적으로 사용될 수 있고, 시공이 편리하다.
도 3은 내화발포재 유닛을 구비하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내화발포재 장치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에 나타낸 내화발포재 장치(150)는 벽(50)에 형성된 관통구(55)를 차폐하기 위한 한 쌍의 내화발포재 유닛(160)과, 내화발포재 유닛(160)을 벽(50)에 고정하기 위한 복수의 고정부재(170)를 포함한다.
내화발포재 유닛(160)은 열에 의해 팽창할 수 있는 내화발포재(110)와, 내화발포재(110)의 일면에 결합되는 지지판(120)을 포함한다. 내화발포재(110)와 지지판(120)은 상술한 것과 같다. 내화발포재(110)의 일측에는 통로부재(60)가 부분적으로 삽입될 수 있는 내화발포재 홈(161)이 마련되고, 지지판(120)의 일측에는 통로부재(60)가 부분적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내화발포재 홈(161)에 대응하는 지지판 홈(163)이 마련된다. 내화발포재(110)의 내화발포재 홈(161)과 지지판(120)의 지지판 홈(163)은 내화발포재 유닛(160)의 삽입홈(165)을 이룬다. 삽입홈(165)은 내화발포재 유닛(160)의 일측 가장자리로부터 외측으로 개방됨으로써 통로부재(60)가 삽입홈(165) 속에 부분적으로 삽입될 수 있다. 내화발포재 유닛(160)은 도 2에 나타낸 평판 형상의 내화발포재 유닛(100)을 통로부재(60) 모양에 맞춰 재단하는 방식, 또는 다른 방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고정부재(170)는 내화발포재 유닛(160)을 관통하여 그 끝단이 벽(50) 속에 박힘으로써 내화발포재 유닛(160)을 벽(50)에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이러한 내화발포재 장치(150)는 한 쌍의 내화발포재 유닛(160)을 통로부재(60)를 사이에 두고 마주하도록 배치하여 관통구(55)를 덮은 후, 복수의 고정부재(170)로 각각의 내화발포재 유닛(160)을 벽(50)에 고정하는 방식으로 시공될 수 있다. 한 쌍의 내화발포재 유닛(160)을 관통구(55)를 덮도록 배치하는 과정에서, 한 쌍의 내화발포재 유닛(160) 각각의 삽입홈(165)에 통로부재(60)가 부분적으로 삽입되도록 하고, 각 내화발포재 유닛(160)의 상호 마주하는 가장자리를 밀착시켜 한 쌍의 내화발포재 유닛(160) 사이에 틈새가 생기지 않게 하는 것이 좋다.
그리고 한 쌍의 내화발포재 유닛(160)이 벽(50)에 고정된 후, 통로부재(60)와 각 내화발포재 유닛(160) 사이의 틈새와, 각 내화발포재 유닛(160)과 벽(50) 사이의 틈새와, 한 쌍의 내화발포재 유닛(160) 사이는 코킹재(180)로 마감처리된다. 코킹재(180)로는 다양한 내화물질, 또는 틈새를 막을 수 있는 다양한 물질이 이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가장자리가 부분적으로 절개된 사각 평판 형상의 내화발포재 유닛(160) 한 쌍이 통로부재(60)의 둘레를 둘러싸도록 배치되는 것으로 나타냈으나, 통로부재(60)의 둘레를 둘러싸는 내화발포재 유닛의 개수나 형상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다른 예로, 내화발포재 유닛은 직사각형이나, 사다리꼴, 'ㄱ'자형, 또는 그 밖의 다양한 다른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다양한 개수가 이웃하는 것끼리 가장자리가 접하도록 통로부재(60)의 둘레에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내화발포재 장치(150)는 내화발포재 유닛(160)을 통로부재(60)의 모양에 맞춰 재단하여 통로부재(60)의 둘레에 배치하고, 고정부재(170)를 이용하여 내화발포재 유닛(160)을 벽(50)에 고정시키는 간단한 방법으로 벽(50)의 관통구(55)를 차폐할 수 있다. 그리고 화재 발생 시 관통구(55)를 통해 화염이나 연기가 확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열에 의해 쉽게 파손되지 않는 지지판(120)이 벽(50)에 고정되어 열에 의해 팽창하는 내화발포재(110)를 지지하므로, 화재 발생 시 내화발포재(110)가 벽(50)이나 통로부재(60)에서 분리되지 않고 벽(50)의 관통구(55)를 덮은 상태로 팽창할 수 있다. 따라서, 벽(50)의 관통구(55)를 통한 화염이나 연기의 전파를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한편,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내화발포재 유닛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내화발포재 유닛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에 나타낸 내화발포재 유닛(200)은 열에 의해 팽창할 수 있는 내화발포재(110)와, 내화발포재(110)의 일면에 결합되는 지지판(210)을 포함한다. 내화발포재(110)는 상술한 것과 같다.
지지판(210)은 금속이나 내화 섬유 등 열에 견딜 수 있는 다양한 내화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지지판(210)의 가장자리에는 내화발포재(110)의 가장자리를 덮을 수 있는 복수의 덮개부(211)가 구비된다. 지지판(210)은 내화발포재(110)의 일면을 덮도록 내화발포재(110)와 결합될 때 덮개부(211)가 내화발포재(110)의 가장자리를 덮을 수 있다.
이러한 내화발포재 유닛(200)은 지지판(210)이 내화발포재(110)의 가장자리를 덮을 수 있는 덮개부(211)를 구비함으로써, 내화발포재(110)와 지지판(210)의 결합력이 우수하며, 접착제없이 내화발포재(110)와 지지판(210)이 결합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내화발포재(110)와 지지판(210) 사이에는 접착제가 도포될 수 있다.
도면에는 사각 형상의 지지판(210)이 네 개의 덮개부(211)를 갖는 것으로 나타냈으나, 덮개부(211)의 개수는 지지판(210)의 형상 등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내화발포재 유닛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에 나타낸 내화발포재 유닛(220)은 내화발포재(110)와, 내화발포재(110)의 일면에 결합되는 지지판(230)을 포함한다. 내화발포재(110)는 상술한 것과 같다.
지지판(230)은 금속이나 내화 섬유 등 열에 견딜 수 있는 다양한 내화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지지판(230)의 가장자리에는 내화발포재(110)의 가장자리를 덮을 수 있는 복수의 덮개부(231)가 구비된다. 덮개부(231)에는 내화발포재(110)의 가장자리가 삽입될 수 있는 안착홈(232)이 마련된다. 지지판(230)은 내화발포재(110)의 일면을 덮도록 내화발포재(110)와 결합될 때 덮개부(231)가 내화발포재(110)의 가장자리를 덮을 수 있다.
이러한 내화발포재 유닛(200)은 지지판(230)이 내화발포재(110)의 가장자리를 덮을 수 있는 덮개부(231)를 구비함으로써, 내화발포재(110)와 지지판(230)의 결합력이 우수하며, 접착제없이 내화발포재(110)와 지지판(230)이 결합될 수 있다.
한편,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내화발포재 유닛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에 나타낸 내화발포재 유닛(240)은 열에 의해 팽창할 수 있는 내화발포재(110)와, 내화발포재(110)의 일면에 결합되는 지지판(250)을 포함한다. 내화발포재(110)는 상술한 것과 같다.
지지판(250)은 금속이나 내화 섬유 등 열에 견딜 수 있는 다양한 내화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지지판(250)은 복수의 통공(251)을 구비하고, 내화발포재(110)의 일면에 결합된다. 지지판(250)은 내화발포재(110)의 일면에 압착되는 방식이나 접착제에 의한 접착 방식 등 다양한 방식으로 내화발포재(110)와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내화발포재 유닛(240)은 열이 지지판(250)의 통공(251)을 통해 내화발포재(110)에 원활하게 전달될 수 있으므로, 화재 발생 시 내화발포재(110)가 신속하게 팽창할 수 있다.
한편,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내화발포재 장치를 나타낸 것이다.
도 9에 나타낸 내화발포재 장치(260)는 벽(50)에 형성된 관통구(55)를 차폐하기 위한 한 쌍의 내화발포재 유닛(270)과, 내화발포재 유닛(270)을 벽(50)에 고정하기 위한 복수의 고정부재(170)를 포함한다.
내화발포재 유닛(270)은 열에 의해 팽창할 수 있는 내화발포재(110)와, 내화발포재(110)의 일면에 결합되는 내화 지지판(250)을 포함한다. 내화발포재(110)와 지지판(250)은 도 8에 나타낸 것과 같다. 내화발포재 유닛(270)의 가장자리에는 통로부재(60)가 부분적으로 삽입될 수 있는 삽입홈(271)이 마련된다.
고정부재(170)는 내화발포재 유닛(270)을 관통하여 그 끝단이 벽(50) 속에 박힘으로써 내화발포재 유닛(270)을 벽(50)에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내화발포재 유닛(270)의 지지판(250)에는 복수의 통공(251)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고정부재(170)는 지지판(250)의 통공(251)을 통과하여 내화발포재(110)를 뚫고 벽(50) 속에 박힐 수 있다.
이러한 내화발포재 장치(260)는 한 쌍의 내화발포재 유닛(270)이 벽(50)에 고정된 후, 통로부재(60)와 각 내화발포재 유닛(270) 사이의 틈새와, 각 내화발포재 유닛(270)과 벽(50) 사이의 틈새와, 한 쌍의 내화발포재 유닛(270) 사이가 코킹재로 마감처리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내화발포재 장치(260)는 화재 발생 시, 열이 내화 지지판(250)의 통공(251)을 통해 내화발포재(110)에 원활하게 전달될 수 있으므로, 내화발포재(110)가 신속하게 팽창하여 벽(50)과 통로 부재(60) 사이의 틈새와, 관통구(55)를 빠르게 차폐할 수 있다.
한편, 도 10 내지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내화발포재 유닛의 다양한 변형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면에 나타낸 내화발포재 유닛에 구비되는 지지판은 그 두께가 가위 등의 공구에 의해 어렵지 않게 절단될 수 있는 두께를 갖는 것으로, 다양한 변형예에 따른 내화발포재 유닛은 통로 부재의 형상 등에 따라 가위 등의 공구에 의해 절단되어 사용될 수 있다.
먼저, 도 10에 나타낸 내화발포재 유닛(300)은 열에 의해 팽창할 수 있는 내화발포재(110)와, 내화발포재(110)의 일면에 결합되는 지지판(310)을 포함한다. 내화발포재(110)는 상술한 것과 같다.
지지판(310)은 금속이나 내화 섬유 등 열에 견딜 수 있는 다양한 내화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지지판(310)은 복수의 통공(311)을 구비하고, 내화발포재(110)의 일면에 결합된다. 이러한 지지판(310)은 통공(311)이 다각형 모양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통공(251) 형상이 원형인 도 8의 지지판(250)과 차이가 있다. 지지판(310)은 내화발포재(110)의 일면에 압착되는 방식이나 접착제에 의한 접착 방식 등 다양한 방식으로 내화발포재(110)와 결합될 수 있다.
이 밖에, 지지판에 구비되는 통공의 형상은 도시된 것과 같은 원형이나, 다각형, 또는 그 밖의 다양한 형상으로 변경될 수 있다.
도 11은 내화발포재 유닛의 다른 변형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12는 도 11에 나타낸 내화발포재 유닛의 단면도이다.
도 11 및 도 12에 나타낸 내화발포재 유닛(320)은 열에 의해 팽창할 수 있는 내화발포재(110)와, 내화발포재(110)의 일면에 결합되는 지지판(330)을 포함한다. 내화발포재(110)는 상술한 것과 같다.
지지판(330)은 금속이나 내화 섬유 등 열에 견딜 수 있는 다양한 내화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지지판(330)은 복수의 통공(331)과, 복수의 돌기(332)를 포함한다. 복수의 돌기(332)는 지지판(330)의 내면에 돌출 구비된다. 여기에서, 지지판(330)의 내면은 내화발포재(110)와 접하는 면을 나타낸다. 복수의 돌기(332)는 복수의 통공(331) 각각의 둘레에 배치된다. 지지판(330)의 내면이 내화발포재(110)의 일면에 압착될 때 복수의 돌기(332)가 내화발포재(110) 속에 박힐 수 있다.
이러한 지지판(330)은 복수의 돌기(332)가 내화발포재(110) 속에 박힘으로써 접착제없이 내화발포재(110)와 지지판(330)이 안정적인 결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내화발포재(110)와 지지판(330) 간의 결합력이 우수하고, 내화발포재(110)와 지지판(330)의 결합 작업이 용이하다.
지지판(330)이 금속 소재로 이루어지는 경우, 복수의 돌기(332)는 펀치로 지지판(330)을 가압하여 통공(331)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형성될 수 있다. 도면에는 돌기(332)가 끝단으로 갈수록 폭이 감소하는 삼각 돌기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나타냈으나, 돌기의 형상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그리고 도면에는 복수의 돌기(332)가 통공(331)의 둘레에 배치되는 것으로 나타냈으나, 돌기(332)의 개수나 배치 구조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도 13에 나타낸 내화발포재 유닛(340)은 열에 의해 팽창할 수 있는 내화발포재(110)와, 내화발포재(110)의 일면에 결합되는 지지판(120)과, 내화발포재(110)와 지지판(120) 사이에 배치되는 망체(350)를 포함한다. 내화발포재(110)는 상술한 것과 같다.
망체(350)는 복수의 망체 구멍(351)을 구비하고, 내화발포재(110)의 일면에 결합된다. 망체(350)는 금속이나 내화 섬유 등 열에 견딜 수 있는 다양한 내화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망체(350)는 내화발포재(110)와 압착 방식으로 상호 접합될 수 있다. 내화발포재(110)와 망체(350)의 압착 과정에서 망체(350)의 적어도 일부분이 내화발포재(110) 속에 묻혀 내화발포재(110)와 망체(350)가 견고한 결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러한 내화발포재 유닛(340)은 지지판(120)과 망체(350)가 고정부재에 의해 벽(50)에 고정됨으로써, 지지판(120)과 망체(350)가 내화발포재(110)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화재 발생 시 내화발포재(110)가 벽(50)으로부터 분리되지 않고 팽창하여 관통구(55)를 안정적으로 차폐할 수 있다.
한편,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내화발포재 장치를 나타낸 것이고, 도 15는 도 14에 나타낸 내화발포재 장치가 건축물의 벽에 시공된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도 14 및 도 15에 나타낸 내화발포재 장치(360)는 벽(50)에 형성된 관통구(55)를 차폐하기 위한 한 쌍의 내화발포재 유닛(370)과, 한 쌍의 내화발포재 유닛(370)을 벽(50)에 고정하기 위한 복수의 고정부재(170)와, 각 내화발포재 유닛(370)의 모서리 부분에 결합되는 모서리 보강재(400)와, 한 쌍의 내화발포재 유닛(370)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재(410)와, 각 내화발포재 유닛(370)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대(420)를 포함한다.
한 쌍의 내화발포재 유닛(370)은 통로부재(60)의 둘레를 둘러싸도록 배치되어 관통구(55)를 차폐할 수 있다. 각각의 내화발포재 유닛(370)은 열에 의해 팽창할 수 있는 내화발포재(110)와, 내화발포재(110)의 일면에 결합되는 지지판(120)과, 내화발포재(110)의 일측 가장자리에 결합되는 에지 가드(380)와, 지지판(120)의 외면을 덮는 마감재(390)를 포함한다. 각 내화발포재 유닛(370)의 일측에는 통로부재(60)가 부분적으로 삽입될 수 있는 삽입홈(165)이 형성된다. 삽입홈(165)은 내화발포재 유닛(100)의 일측 가장자리로부터 외측으로 개방된다. 내화발포재(110)와 지지판(120)은 앞서 설명한 것과 같다.
에지 가드(380)는 내화발포재(110)의 가장자리가 삽입될 수 있는 슬롯(381)을 구비한다. 에지 가드(380)는 내화발포재(110)의 가장자리가 슬롯(381)에 삽입되도록 내화발포재(110)의 가장자리에 결합되어 내화발포재(110)의 가장자리를 덮는다.
마감재(390)는 내화발포재(110)의 일면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내화발포재(110)의 일면을 덮는다. 마감재(390)는 종이판, 금속 포일, 내화 테이프 등 지지판(120)이 결합된 내화발포재(110)의 일면을 덮을 수 있는 다양한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마감재(390)는 내화발포재(110)나 지지판(120)이 외부로 드러나지 않게 하고, 외관 장식 기능을 갖는다. 마감재(390)가 내화 소재로 이루어지는 경우, 마감재(390)에는 화재 발생 시 열을 내화발포재(110)로 신속하게 전달시킬 수 있는 구멍이 형성될 수 있다. 마감재(390)는 지지판(120)이 내화발포재(110)의 일면에 결합된 후 지지판(120)에 접합되거나, 지지판(120)에 먼저 접합된 후 지지판(120)과 함께 내화발포재(110)에 결합될 수 있으며, 그 재질 등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지지판(120)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마감재(390)는 내화 페인트로 이루어질 수 있다. 지지판(120)의 외면에 내화 페이트를 도포하고 건조시킴으로써, 지지판(120)을 덮는 마감재를 형성할 수 있다.
한 쌍의 내화발포재 유닛(370)은 각각의 삽입홈(165)에 통로부재(60)가 부분적으로 삽입되도록 통로부재(60)를 사이에 두고 마주하도록 배치되어 복수의 고정부재(170)를 통해 벽(50)에 고정될 수 있다. 이때, 고정부재(170)는 내화발포재 유닛(370)의 에지 가드(380)를 관통하여 벽(50)에 결합될 수 있다.
모서리 보강재(400)는 내화발포재 유닛(370)의 모서리에 결합되어 내화발포재 유닛(370)의 모서리를 보강한다. 모서리 보강재(400)는 내화발포재 유닛(370)의 모서리를 덮음으로써 다른 부분에 비해 상대적으로 취약할 수 있는 내화발포재 유닛(370)의 모서리를 보호할 수 있다. 모서리 보강재(400)에는 고정부재(170)가 통과할 수 있는 복수의 구멍(401)이 마련된다.
내화발포재 유닛(370)을 복수의 고정부재(170)로 벽에 고정하는 과정에서 하나 이상의 고정부재(170)를 모서리 보강재(400)를 관통하도록 벽(50)에 결합할 수 있다. 이 경우, 모서리 보강재(400)가 내화발포재 유닛(370)의 모서리를 지지하게 되므로 내화발포재 유닛(370)의 고정력이 증대될 수 있다. 모서리 보강재(400)는 금속 등 열에 견딜 수 있는 내화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모서리 보강재(400)가 내화 소재로 이루어지면, 화재 발생 시 지지판(120)이 모서리 보강재(400)에 의해 벽(50)에 더욱 안정적으로 고정되어 있을 수 있으므로, 지지판(120)이 팽창하는 내화발포재(110)를 더욱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도면에는 모서리 보강재(400)가 복수의 구멍(401)이 형성된 부채꼴 모양으로 이루어져 각 내화발포재 유닛(370)의 네 모서리 중에서 외측 두 개의 모서리를 감싸는 것으로 나타냈으나, 모서리 보강재(400)의 형상이나 설치 개수, 설치 위치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연결재(410)는 한 쌍의 내화발포재 유닛(370)을 연결한다. 연결재(410)가 한 쌍의 내화발포재 유닛(370)을 연결함으로써 한 쌍의 내화발포재 유닛(370)은 각각의 가장자리가 들뜸없이 서로 맞닿은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연결재(410)의 작용으로 통로부재(60)를 둘러싸는 한 쌍의 내화발포재 유닛(370)은 서로 맞닿은 가장자리가 벌어지지 않고 더욱 안정적으로 관통구(55)를 덮을 수 있다. 연결재(410)는 각 내화발포재 유닛(370)의 내화발포재(110) 타면에 압착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즉, 내화발포재(110)의 타면에 연결재(410)를 대고 가압함으로써, 연결재(410)를 부분적으로 내화발포재(110) 속으로 압입시켜 연결재(410)에 결합할 수 있다.
연결재(410)의 구체적인 구조나, 설치 개수, 내화발포재 유닛(370)에서의 결합 위치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연결재(410)와 내화발포재 유닛(370) 간의 결합 구조도 압착 방식 이외의 다양한 다른 방식으로 변경될 수 있다.
지지대(420)는 내화발포재 유닛(370)의 타면에 결합되어 내화발포재 유닛(370)을 지지한다. 지지대(420)는 내화발포재 유닛(370)을 지지할 수 있도록 금속이나 플라스틱 등 쉽게 변형되지 않는 강성을 갖는 소재로 이루어지고, 관통구(55)의 폭보다 큰 길이를 갖는 것이 좋다. 지지대(420)에는 고정부재(170)가 삽입될 수 있는 복수의 구멍(421)이 마련된다. 지지대(420)는 고정부재(170)에 의해 내화발포재 유닛(370)의 타면에 결합될 수 있고, 내화발포재 유닛(370)이 벽(50)에 고정될 때, 벽(50)과 내화발포재 유닛(370)의 사이에 개재된 상태로 고정부재(170)에 의해 벽(50)에 고정될 수 있다.
도 15에 나타낸 것과 같이, 지지대(420)는 관통구(55)를 가로지르도록 그 양단부가 고정부재(170)에 의해 벽(50)에 고정되어 내화발포재 유닛(370)을 지지할 수 있다. 내화발포재 유닛(370)이 관통구(55)를 덮은 상태에서 지지대(420)에 지지됨으로써, 내화발포재 유닛(370)은 더욱 안정적으로 관통구(55)를 차폐할 수 있다.
벽(50)과 통로부재(60) 사이의 틈새가 큰 경우, 내화발포재 유닛(370)은 관통구(55)를 덮은 상태에서 그 안쪽 부분이 외부 충격이나 온도 변화 등에 의한 변형에 취약하다. 지지대(420)는 벽(50)과 내화발포재 유닛(370) 사이에 배치되어 내화발포재 유닛(370)을 지지함으로써, 외부 충격이나 온도 변화 등에 의한 내화발포재 유닛(370)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지지대(420)의 구체적인 구조나, 설치 개수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지지대(420)와 내화발포재 유닛(370) 간의 결합 방식도 고정부재(170)를 이용하는 방식 이외의 다양한 다른 방식으로 변경될 수 있다.
복수의 고정부재(170)를 이용하여 한 쌍의 내화발포재 유닛(370)을 관통구(55)를 덮도록 벽(50)에 고정한 후, 통로부재(60)와 각 내화발포재 유닛(370) 사이의 틈새나, 각 내화발포재 유닛(370)과 벽(50) 사이의 틈새, 한 쌍의 내화발포재 유닛(370) 사이의 틈새는 내화실란트 등의 코킹재로 마감처리될 수 있다.
한편, 도 1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내화발포재 장치를 나타낸 것이고, 도 17은 도 16에 나타낸 내화발포재 장치가 건축물의 벽에 시공된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도 16 및 도 17에 나타낸 내화발포재 장치(430)는 벽(50)에 형성된 관통구(55)를 차폐하기 위한 한 쌍의 내화발포재 유닛(440)과, 내화발포재 유닛(440)을 벽(50)에 고정하기 위한 복수의 고정부재(450)를 포함한다.
내화발포재 유닛(440)은 열에 의해 팽창할 수 있는 내화발포재(110)와, 내화발포재(110)의 일면에 결합되는 지지판(120)을 포함한다. 내화발포재(110)와 지지판(120)은 상술한 것과 같다.
각 내화발포재 유닛(370)의 일측에는 통로부재(60)가 부분적으로 삽입될 수 있는 삽입홈(165)이 형성된다. 또한, 각 내화발포재 유닛(370)에는 걸림홈(441)이 각각 형성된다. 걸림홈(441)은 내화발포재 유닛(370)의 가장자리에 마련된다.
고정부재(450)는 건축물의 벽(50)에 고정되는 고정부재 몸체(451)와, 내화발포재 유닛(440)의 가장자리에 접하여 내화발포재 유닛(440)을 지지하는 걸이부(452)를 포함한다. 걸이부(452)에는 내화발포재 유닛(440)의 가장자리가 삽입될 수 있는 걸이부홈(453)이 마련된다. 고정부재 몸체(451)는 체결부재(460)에 의해 벽(50)에 단단히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고정부재(450)는 벽(50)의 관통구(55)를 사이에 두고 복수 개가 상하로 배치되어 내화발포재 유닛(440)을 관통구(55)를 덮도록 지지할 수 있다. 즉, 한 쌍의 내화발포재 유닛(440)은 각각의 가장자리가 고정부재(450)에 걸쳐 관통구(55)를 덮을 수 있다. 내화발포재 유닛(440)이 고정부재(450)에 걸칠 때, 내화발포재 유닛(440)의 가장자리가 걸이부홈(453)에 삽입되고 고정부재(450)의 걸이부(452)가 내화발포재 유닛(440)의 걸림홈(441)에 삽입됨으로써, 내화발포재 유닛(440)이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도 17에 나타낸 것과 같이, 한 쌍의 내화발포재 유닛(440)이 벽(50)에 고정된 후, 통로부재(60)와 각 내화발포재 유닛(440) 사이의 틈새와, 각 내화발포재 유닛(440)과 벽(50) 사이의 틈새 등은 코킹재(180)로 마감처리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고정부재(450)는 도시된 구조 이외에, 다양한 방식으로 건축물의 바닥이나 벽, 또는 통로부재에 고정되어 내화발포재 유닛을 지지할 수 있는 다양한 다른 구조로 변경될 수 있다.
한편, 도 1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내화발포재 장치를 나타낸 것이고, 도 19는 도 18에 나타낸 내화발포재 장치의 고정유닛을 나타낸 것이며, 도 20 및 도 21은 도 18에 나타낸 내화발포재 장치를 건축물의 벽에 시공하는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도면에 나타낸 것과 같이, 도 18 내지 도 21에 나타낸 내화발포재 장치(1100)는 한 쌍의 내화발포재 유닛(1110)과, 내화발포재 유닛(1110)을 고정하기 위한 복수의 고정유닛(1130)을 포함한다. 내화발포재 유닛(1110)은 열에 의해 팽창할 수 있는 내화발포재(1120)를 포함한다. 이러한 내화발포재 유닛(1100)은 내측에 통로가 형성된 통로부재가 통과할 수 있도록 건축물의 바닥 또는 벽에 형성되는 관통구를 차폐함으로써, 화재 발생 시 화염이나 연기가 관통구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내화발포재(1120)는 관통구(55)를 덮을 수 있는 평판 형태로 이루어지고, 열에 의해 팽창할 수 있는 열팽창성 소재로 이루어진다. 내화발포재(1120)는 화재 발생 시, 열을 받아 팽창함으로써 벽(50)과 통로부재(60) 사이의 틈새와, 관통구(55)를 효과적으로 차폐할 수 있다. 내화발포재(1120)의 일측에는 통로부재(60)가 부분적으로 삽입될 수 있는 내화발포재 홈(1121)이 마련된다.
고정유닛(1130)은 통로부재(60)에 고정되어 내화발포재(1120)가 관통구(55)를 덮은 상태를 유지하면서 팽창할 수 있도록 내화발포재(1120)를 지지한다. 고정유닛(1130)은 열에 견딜 수 있는 내화 소재로 이루어지고 내화발포재(1120)의 가장자리에 결합되는 고정 브라켓(1131)과, 통로부재(60)에 고정될 수 있도록 고정 브라켓(1131)에 결합되는 고정부재(1138)를 포함한다. 고정부재(1138)는 자석으로 이루어져 통로부재(60)의 외면에 분리 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다.
고정 브라켓(1131)은 내화발포재(1120)의 안쪽 가장자리가 접할 수 있는 한 쌍의 고정부(1132)(1133)를 포함한다. 한 쌍의 고정부(1132)(1133)는 상호 수직으로 배치되어 내화발포재(1120)의 내화발포재 홈(1121) 둘레에 상호 수직으로 연결되는 한 쌍의 가장자리 부분과 결합될 수 있다. 각 고정부(1132)(1133)는 내화발포재(1120)의 가장자리가 접하는 에지 지지부(1134)와, 내화발포재(1120)의 전면에 접할 수 있도록 에지 지지부(1134)에 수직으로 연결되는 전면 지지부(1135)와, 내화발포재(1120)의 후면에 접할 수 있도록 에지 지지부(1134)에 수직으로 연결되어 전면 지지부(1135)와 마주하는 후면 지지부(1136)를 포함한다. 각 고정부(1132)(1133)의 에지 지지부(1134)는 상호 수직으로 연결되고, 각 에지 지지부(1134)에 고정부재(1138)가 결합된다. 여기에서, 내화발포재(1120)의 후면은 내화발포재(1120)의 양쪽 면 중에서 벽(50)과 마주하는 면이고, 내화발포재(1120)의 전면은 벽(50)의 전면으로부터 드러나는 면을 나타낸다. 전면 지지부(1135)와 후면 지지부(1136)의 사이에는 내화발포재(1120)의 가장자리가 삽입될 수 있는 결합홈(1137)이 마련된다.
이러한 고정 브라켓(1131)은 내화발포재(1120)의 가장자리가 결합홈(1137)에 삽입되는 방식으로 내화발포재(1120)와 결합될 수 있다. 결합홈(1137)은 내화발포재(1120)가 억지 끼움될 수 있는 크기의 폭을 갖는 것이 좋다. 내화발포재(1120)는 두께 방향으로 압축될 수 있으므로, 내화발포재(1120)가 압축되면서 결합홈(1137) 속에 삽입됨으로써 고정 브라켓(1131)과 내화발포재(1120)가 안정적인 결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내화발포재(1120)가 결합홈(1137) 속에 삽입될 때, 에지 지지부(1134)가 내화발포재(1120)의 가장자리에 접하고, 전면 지지부(1135)가 내화발포재(1120)의 전면에 밀착되며, 후면 지지부(1136)가 내화발포재(1120)의 후면에 밀착되어 내화발포재(1120)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고정유닛(1130)은 한 쌍의 고정부재(1138)에 의해 통로부재(60)의 모서리 부분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도시된 것과 같이, 고정유닛(1130)은 네 개가 통로부재(60)의 네 모서리 부분에 각각 고정됨으로써 한 쌍의 내화발포재 유닛(1110)을 지지할 수 있다.
이러한 내화발포재 장치(1100)는 도 20에 나타낸 것과 같이, 복수의 고정유닛(1130)을 통로부재(60)에 고정하고, 한 쌍의 내화발포재 유닛(1110)을 통로부재(60)를 사이에 두고 마주하도록 배치하여 관통구(55)를 덮도록 복수의 고정유닛(1130)에 결합하는 방식으로 시공될 수 있다.
그리고 한 쌍의 내화발포재 유닛(1110)이 복수의 고정유닛(1130)에 결합된 후, 도 21에 나타낸 것과 같이, 통로부재(60)와 각 내화발포재 유닛(1110) 사이의 틈새와, 각 내화발포재 유닛(1110)과 벽(50) 사이의 틈새는 코킹재(1140)로 마감처리될 수 있다. 코킹재(1140)로는 다양한 내화물질, 또는 틈새를 막을 수 있는 다양한 물질이 이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가장자리가 부분적으로 절개된 사각 평판 형상의 내화발포재 유닛(1110) 한 쌍이 통로부재(60)의 둘레를 둘러싸도록 배치되는 것으로 나타냈으나, 통로부재(60)의 둘레를 둘러싸는 내화발포재 유닛의 개수나 형상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다른 예로, 내화발포재 유닛은 직사각형이나, 사다리꼴, 'ㄱ'자형, 또는 그 밖의 다양한 다른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다양한 개수가 이웃하는 것끼리 가장자리가 접하도록 통로부재(60)의 둘레에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내화발포재 장치(1100)는 통로부재(60)에 간단히 고정될 수 있는 고정유닛(1130)을 이용하여 내화발포재 유닛(1110)을 통로부재(60)의 둘레에 배치하여 벽(50)의 관통구(55)를 차폐할 수 있다. 따라서, 시공이 쉽고, 시공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도면에는, 고정부재(1138)가 고정 브라켓(1131)의 고정부(1132)(1133) 일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각 고정부(1132)(1133)에 결합되는 것으로 나타냈으나, 고정부(1132)(1133)에 고정부재(1138)가 수용될 수 있는 홈이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고정부재(1138)가 각 고정부(1132)(1133)의 홈에 수용됨으로써 각 고정부(1132)(1133)로부터 돌출되지 않도록 각 고정부(1132)(1133)에 결합될 수 있다.
한편, 도 22 내지 도 25는 본 발명에 따른 내화발포재 장치의 다양한 변형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22에 나타낸 내화발포재 장치(1200)는 한 쌍의 내화발포재 유닛(1210)과, 내화발포재 유닛(1210)을 고정하기 위한 복수의 고정유닛(1130)을 포함한다. 여기에서, 고정유닛(1130)은 상술한 것과 같다. 내화발포재 유닛(1210)은 열에 의해 팽창할 수 있는 내화발포재(1120)와, 내화발포재(1120)의 일면을 덮는 마감재(1220)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내화발포재(1120)는 상술한 것과 같다.
마감재(1220)는 내화발포재(1120)의 일면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내화발포재(1120)의 일면을 덮는다. 마감재(1220)는 종이판, 금속 포일, 내화 테이프, 내화 페인트 등 내화발포재(1120)의 일면을 덮을 수 있는 다양한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마감재(1220)는 내화발포재(1120)가 외부로 드러나지 않게 하고, 내화발포재(1120)의 외관을 장식할 수 있다. 마감재(1220)가 내화 소재로 이루어지는 경우, 마감재(1220)에는 화재 발생 시 열을 내화발포재(1120)로 신속하게 전달시킬 수 있는 구멍이 형성될 수 있다. 마감재(1220)는 그 재질 등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내화발포재(1120)에 결합될 수 있다.
도 23에 나타낸 내화발포재 장치(1250)는 한 쌍의 내화발포재 유닛(1260)과, 내화발포재 유닛(1260)을 고정하기 위한 복수의 고정유닛(1130)을 포함한다. 여기에서, 고정유닛(1130)은 상술한 것과 같다. 내화발포재 유닛(1260)은 열에 의해 팽창할 수 있는 내화발포재(1120)와, 내화발포재(1120)의 가장자리에 결합되는 에지 가드(1270)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내화발포재(1120)는 상술한 것과 같다.
에지 가드(1270)는 내화발포재(1120)의 가장자리가 삽입될 수 있는 슬롯(1271)을 구비한다. 에지 가드(1270)는 내화발포재(1120)의 가장자리가 슬롯(1271)에 삽입되도록 내화발포재(1120)의 가장자리에 결합되어 내화발포재(1120)의 가장자리를 덮는다. 에지 가드(1270)는 내화발포재(1120)의 가장자리를 덮어 내화발포재(1120)의 가장자리를 보고하고, 내화발포재(1120)의 변형을 막을 수 있으며, 내화발포재(1120)가 벽(50)에 더욱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도 24에 나타낸 내화발포재 장치(1300)는 한 쌍의 내화발포재 유닛(1310)과, 내화발포재 유닛(1310)을 고정하기 위한 복수의 고정유닛(1130)을 포함한다. 여기에서, 고정유닛(1130)은 상술한 것과 같다. 내화발포재 유닛(1310)은 열에 의해 팽창할 수 있는 내화발포재(1120)와, 내화발포재(1120)의 일면에 결합되는 망체(1320)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내화발포재(1120)는 상술한 것과 같다.
망체(1320)는 복수의 망체 구멍(1321)을 구비하고, 내화발포재(1120)의 일면에 결합된다. 망체(1320)는 금속이나 내화 섬유 등 열에 견딜 수 있는 다양한 내화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망체(1320)는 내화발포재(1120)와 압착 방식으로 상호 접합될 수 있다. 내화발포재(1120)와 망체(1320)의 압착 과정에서 망체(1320)의 적어도 일부분이 내화발포재(1120) 속에 묻혀 내화발포재(1120)와 망체(1320)가 견고한 결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망체(1320)는 내화발포재(1120)에 결합되어 내화발포재(1120)의 변형을 막고 내화발포재(1120)의 강도를 증대시킨다. 또한, 망체(1320)는 화재 발생 시 내화발포재(1120)를 지지함으로써 내화발포재(1120)가 통로부재(60)로부터 떨어지지 않고 팽창하여 관통구(55)를 안정적으로 차폐할 수 있도록 한다.
도 25에 나타낸 내화발포재 장치(1350)는 한 쌍의 내화발포재 유닛(1360)과, 내화발포재 유닛(1360)을 고정하기 위한 복수의 고정유닛(1130)을 포함한다. 여기에서, 고정유닛(1130)은 상술한 것과 같다. 내화발포재 유닛(1360)은 열에 의해 팽창할 수 있는 내화발포재(1120)와, 내화발포재(1120)의 일면에 결합되는 지지판(1370)을 포함한다. 여기에서, 내화발포재(1120)는 상술한 것과 같다.
지지판(1370)은 금속이나 내화 섬유 등 열에 견딜 수 있는 다양한 내화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지지판(1370)에는 복수의 통공(1371)이 형성된다. 지지판(1370)은 내화발포재(1120)가 관통구(55)를 덮은 상태를 유지하도록 내화발포재(1120)를 지지할 수 있다. 지지판(1370)이 금속 소재로 이루어지는 경우, 지지판(1370)의 두께는 내화발포재(1120)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되 가위 등의 공구에 의해 어렵지 않게 절단될 수 있는 두께를 갖는 것이 좋다. 구체적으로, 금속판 형태의 지지판(1370)은 그 두께가 0.1 ~ 0.6mm인 것이 바람직하다. 지지판(1370)의 두께가 0.1mm 미만인 경우, 지지판(1370)이 내화발포재(1120)를 지지하는 지지력이 약하여 지지판(1370)이 원활한 기능을 발휘하기 어렵다. 반면, 지지판(1370)의 두께가 0.6mm를 초과하는 경우, 지지판(1370)이 가위 등의 공구에 의해 절단되기 어려워 사용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내화발포재 유닛(1360)은 지지판(1370)이 외부를 향하고 내화발포재(1120)의 타면이 벽(50)과 마주하도록 고정유닛(1130)을 통해 벽(50)에 고정된다. 화재 발생 시, 열이 지지판(1370)의 통공(1371)을 통해 내화발포재(1120)에 원활하게 전달될 수 있으므로, 내화발포재(1120)가 신속하게 팽창하여 벽(50)과 통로부재(60) 사이의 틈새와, 관통구(55)를 빠르게 차폐할 수 있다. 지지판(1370)은 화재 발생 시 열에 의해 쉽게 파손되지 않는 소재로 이루어짐으로써, 화재가 발생하더라도 통로부재(60)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내화발포재(1120)가 팽창하는 동안 내화발포재(1120)를 벽(50)으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지지할 수 있다.
지지판(1370)에 형성되는 통공(1371)의 형상이나 개수, 배치 구조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그리고 지지판은 통공을 갖지 않는 평판 형상으로 변경될 수 있다.
한편, 도 26은 고정유닛의 변형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26에 나타낸 고정유닛(1380)은 통로부재(60)에 고정되어 내화발포재(1120)가 관통구(55)를 덮은 상태를 유지하면서 팽창할 수 있도록 내화발포재 유닛을 지지할 수 있다. 고정유닛(1380)은 열에 견딜 수 있는 내화 소재로 이루어지고 내화발포재(1120)의 가장자리에 결합되는 고정 브라켓(1131)과, 통로부재(60)에 고정될 수 있도록 고정 브라켓(1131)에 결합되는 고정부재(1381)를 포함한다. 고정 브라켓(1131)은 내화발포재(1120)의 안쪽 가장자리가 접할 수 있는 한 쌍의 고정부(1132)(1133)를 포함하는 것으로, 그 구체적인 구성은 상술한 것과 같다. 고정부재(1381)는 접착부재(1382)와, 접착부재(1382)를 덮는 보호필름(1383)을 포함한다.
이러한 고정유닛(1380)은 보호필름(1383)이 제거되고 접착부재(1382)가 통로부재(60)에 접착되는 방식으로 통로부재(60)에 간단히 고정될 수 있다.
한편, 도 2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내화발포재 장치가 건축물의 벽에 시공된 모습을 나타낸 것이고, 도 28은 도 27에 나타낸 내화발포재 장치의 고정유닛을 나타낸 것이다.
도 27에 나타낸 내화발포재 장치(1400)는 한 쌍의 내화발포재 유닛(1110)과, 내화발포재 유닛(1110)을 고정하기 위한 복수의 고정유닛(1410)을 포함한다. 내화발포재 유닛(1110)은 열에 의해 팽창할 수 있는 내화발포재(1120)를 포함하는 것으로, 그 구체적인 구성은 상술한 것과 같다.
고정유닛(1410)은 통로부재(60)에 고정되어 내화발포재(1120)가 관통구(55)를 덮은 상태를 유지하면서 팽창할 수 있도록 내화발포재 유닛(1110)을 지지한다. 고정유닛(1410)은 고정 브라켓(1131)과, 고정 브라켓(1131)에 결합되는 고정부재(1138)와, 고정 브라켓(1131)에 연결되는 연결 브라켓(1411)과, 연결 브라켓(1411)에 연결되는 모서리 지지부재(1413)와, 모서리 지지부재(1413)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모서리 보강재(1415)를 포함한다. 고정 브라켓(1131)과 고정부재(1138)는 상술한 것과 같다.
연결 브라켓(1411)은 고정 브라켓(1131)의 후면 지지부(1136)에 연결되어 외측으로 연장된다. 연결 브라켓(1411)에는 복수의 구멍(1412)이 마련된다. 연결 브라켓(1411)은 내화발포재(1120)의 후면에 접하여 내화발포재(1120)를 지지할 수 있다.
모서리 지지부재(1413)는 내화발포재(1120)의 후면 모서리에 접할 수 있도록 연결 브라켓(1411)의 끝단에 연결된다. 모서리 지지부재(1413)의 가장자리에는 내화발포재(1120)의 가장자리를 덮을 수 있는 덮개부(1414)가 구비된다. 덮개부(1414)는 한 쌍이 수직으로 배치되어 내화발포재(1120)의 모서리 부분 가장자리를 덮을 수 있다. 이러한 모서리 지지부재(1413)는 내화발포재(1120)의 모서리에 접함으로써 내화발포재(1120)의 모서리를 보강할 수 있다.
모서리 보강재(1415)는 모서리 지지부재(1413)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모서리 지지부재(1413)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내화발포재(1120)의 모서리를 덮을 수 있다. 모서리 보강재(1415)의 가장자리에는 내화발포재(1120)의 가장자리를 덮을 수 있는 덮개부(1417)가 구비된다. 덮개부(1417)는 한 쌍이 수직으로 배치되어 내화발포재(1120)의 모서리 부분 가장자리를 덮을 수 있다. 모서리 보강재(1415)는 내화발포재(1120)의 후면 모서리에 접함으로써 다른 부분에 비해 상대적으로 취약할 수 있는 내화발포재(1120)의 모서리를 보호할 수 있다.
도면에는 모서리 보강재(1415)가 복수의 구멍(1416)이 형성된 부채꼴 모양으로 이루어져 내화발포재(1120)의 모서리를 감싸는 것으로 나타냈으나, 모서리 보강재(1415)의 형상이나 설치 개수, 설치 위치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그리고 모서리 지지부재(1413) 역시 다양한 다른 구조로 변경될 수 있다.
이러한 내화발포재 장치(1400)는 도 29에 나타낸 것과 같이, 복수의 고정유닛(1410)을 통로부재(60)에 결합한 후, 도 30에 나타낸 것과 같이, 한 쌍의 내화발포재 유닛(1110)을 통로부재(60)를 사이에 두고 마주하도록 배치하여 관통구(55)를 덮도록 복수의 고정유닛(1410)에 결합하는 방식으로 시공될 수 있다. 그리고 복수의 모서리 보강재(1415)를 모서리 지지부재(1413)에 결합하여 내화발포재(1120)의 모서리를 덮음으로써 내화발포재(1120)의 모서리를 벽(50)으로부터 들뜨지 않게 고정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에 대해 바람직한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앞에서 설명되고 도시되는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도면에는 본 발명에 따른 내화발포재 유닛이 덕트 구조의 통로부재가 통과할 수 있도록 건축물의 벽에 형성된 관통구를 차폐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내화발포재 유닛은 건축물의 벽 이외에, 바닥 등 건축물 골조의 다양한 부분에 형성된 관통구를 차폐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는 내화발포재 유닛 복수 개가 통로부재의 둘레를 둘러싸도록 배치되되, 복수의 내화발포재 유닛 각각이 통로부재가 부분적으로 삽입될 수 있는 삽입홈을 구비하는 것으로 나타냈으나, 복수의 내화발포재 유닛은 삽입홈을 구비하지 않고 통로부재의 둘레를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통로부재(60)에 결합되어 내화발포재를 지지하는 고정유닛의 구조는 도시된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고정유닛에 구비되는 고정부재는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이 자력이나, 접착력을 이용하는 방식 이외에, 다양한 다른 방식으로 통로부재(60)에 결합될 수 있는 다른 구조로 변경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위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160, 200, 220, 240, 270, 300, 320, 340, 370, 440, 1110, 1210, 1260, 1310, 1360 : 내화발포재 유닛
110, 1120 : 내화발포재
120, 210, 230, 250, 280, 310, 330, 1370 : 지지판
130 : 접착제
150, 260, 360, 430, 1100, 1200, 1300, 1350, 1400 : 내화발포재 장치
165 : 삽입홈 170, 450, 1138, 1381 : 고정부재
180, 1140 : 코킹재 211, 231 : 덮개부
251, 311, 331 : 통공 332 : 돌기
350, 1320 : 망체 380, 1270 : 에지 가드
381 : 슬롯 390, 1220 : 마감재
400, 1415 : 모서리 보강재 410 : 연결재
420 : 지지대 451 : 고정부재 몸체
452 : 걸이부 460 : 체결부재
1130, 1380, 1410 : 고정유닛 1131 : 고정 브라켓

Claims (34)

  1. 내측에 통로가 형성된 통로부재가 통과할 수 있도록 건축물의 바닥 또는 벽에 형성되는 관통구를 차폐하기 위한 내화발포재 유닛에 있어서,
    열에 의해 팽창할 수 있는 소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통로부재를 둘러싸면서 상기 관통구를 덮을 수 있는 내화발포재; 및
    열에 견딜 수 있는 내화 소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내화발포재의 일면에 결합되고, 상기 건축물의 바닥 또는 벽에 고정되어 상기 내화발포재가 상기 관통구를 덮은 상태를 유지하면서 팽창할 수 있도록 상기 내화발포재를 지지하는 지지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화발포재 유닛.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은 금속 소재로 이루어지고, 그 두께가 0.1 ~ 0.6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화발포재 유닛.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내화발포재와 상기 지지판 사이에는 접착제가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화발포재 유닛.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은 복수의 통공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화발포재 유닛.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화발포재와 접하는 상기 지지판의 내면에는 상기 내화발포재 속에 박힐 수 있는 복수의 돌기가 상기 내화발포재 측으로 돌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화발포재 유닛.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의 가장자리에는 상기 내화발포재의 가장자리를 덮을 수 있는 덮개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화발포재 유닛.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에는 상기 내화발포재의 가장자리가 삽입될 수 있는 안착홈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화발포재 유닛.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화발포재 및 상기 지지판의 가장자리가 삽입될 수 있는 슬롯을 구비하고, 상기 내화발포재 및 상기 지지판의 가장자리에 결합되어 상기 내화발포재 및 상기 지지판의 가장자리를 덮는 에지 가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화발포재 유닛.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의 외면을 덮는 마감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화발포재 유닛.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화발포재는 상기 통로부재가 부분적으로 삽입될 수 있는 내화발포재 홈을 구비하고,
    상기 지지판은 상기 통로부재가 부분적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내화발포재 홈에 대응하는 지지판 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화발포재 유닛.
  11. 제 1 항에 있어서,
    복수의 망체 구멍을 구비하고, 상기 내화발포재와 상기 지지판 사이에 개재되는 망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화발포재 유닛.
  12. 내측에 통로가 형성된 통로부재가 통과할 수 있도록 건축물의 바닥 또는 벽에 형성되는 관통구를 차폐하기 위한 내화발포재 장치에 있어서,
    열에 의해 팽창할 수 있는 소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통로부재를 둘러싸면서 상기 관통구를 덮을 수 있는 평판 형태를 갖는 내화발포재와, 열에 견딜 수 있는 내화 소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내화발포재의 일면에 결합되고, 상기 건축물의 바닥 또는 벽에 고정되어 상기 내화발포재가 상기 관통구를 덮은 상태를 유지하면서 팽창할 수 있도록 상기 내화발포재를 지지하는 지지판을 구비하는 내화발포재 유닛; 및
    상기 건축물의 바닥 또는 벽에 결합되어 상기 내화발포재 유닛을 상기 건축물의 바닥 또는 벽에 고정시키는 복수의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화발포재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내화발포재 유닛은 복수 개가 상기 통로부재의 둘레를 둘러싸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화발포재 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내화발포재 유닛은 각각, 상기 통로부재가 부분적으로 삽입될 수 있는 삽입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화발포재 장치.
  1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내화발포재 유닛의 모서리에 결합되어 상기 내화발포재 유닛의 모서리를 보강하는 모서리 보강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화발포재 장치.
  16.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통로부재와 상기 내화발포재 유닛 사이의 틈새를 실링하는 코킹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화발포재 장치.
  17.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내화발포재 유닛을 관통하여 그 끝단이 건축물의 바닥 또는 벽에 속에 박히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화발포재 장치.
  18.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통로부재나 상기 건축물의 바닥 또는 벽에 고정되는 고정부재 몸체와,
    상기 내화발포재 유닛의 가장자리에 접하여 상기 내화발포재 유닛을 지지하는 걸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화발포재 장치.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걸이부에는 상기 내화발포재 유닛의 가장자리가 삽입될 수 있는 걸이부홈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화발포재 장치.
  20.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내화발포재의 가장자리에는 상기 걸이부가 부분적으로 삽입될 수 있는 걸림홈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화발포재 장치.
  21. 내측에 통로가 형성된 통로부재가 통과할 수 있도록 건축물의 바닥 또는 벽에 형성되는 관통구를 차폐하기 위한 내화발포재 장치에 있어서,
    열에 의해 팽창할 수 있는 소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통로부재를 둘러싸면서 상기 관통구를 덮을 수 있는 내화발포재; 및
    상기 통로부재에 고정되어 상기 내화발포재가 상기 관통구를 덮은 상태를 유지하면서 팽창할 수 있도록 상기 내화발포재를 지지하는 고정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유닛은,
    열에 견딜 수 있는 내화 소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내화발포재의 가장자리에 결합되는 고정 브라켓과,
    상기 통로부재에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고정 브라켓에 결합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화발포재 장치.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브라켓은,
    상기 내화발포재의 가장자리가 접하는 에지 지지부와,
    상기 내화발포재의 전면에 접할 수 있도록 상기 에지 지지부에 수직으로 연결되는 전면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화발포재 장치.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브라켓은 상기 내화발포재의 후면에 접할 수 있도록 상기 에지 지지부에 수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전면 지지부와 마주하는 후면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면 지지부와 상기 후면 지지부의 사이에는 상기 내화발포재가 부분적으로 삽입되는 결합홈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화발포재 장치.
  24.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에지 지지부는 상호 수직으로 연결되도록 한 쌍이 구비되고,
    상기 전면 지지부는 상기 한 쌍의 에지 지지부에 각각 연결되도록 한 쌍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화발포재 장치.
  25.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자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화발포재 장치.
  26.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유닛은,
    상기 고정 브라켓에 연결되는 연결 브라켓과,
    상기 내화발포재의 모서리를 보강하기 위해 상기 내화발포재의 후면 모서리에 접할 수 있도록 상기 연결 브라켓에 연결되는 모서리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화발포재 장치.
  27.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유닛은,
    상기 내화발포재의 모서리를 보강하기 위해 상기 내화발포재의 전면 모서리에 접할 수 있도록 상기 모서리 지지부재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모서리 보강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화발포재 장치.
  28. 제 21 항에 있어서,
    열에 견딜 수 있는 내화 소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내화발포재의 전면에 결합되어 상기 내화발포재를 덮는 지지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화발포재 장치.
  29.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은 복수의 통공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화발포재 장치.
  30.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내화발포재가 부분적으로 삽입될 수 있는 슬릿을 구비하고, 상기 내화발포재의 가장자리에 결합되어 상기 내화발포재의 가장자리를 덮는 에지 가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화발포재 장치.
  31.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내화발포재의 전면에 결합되어 상기 내화발포재를 덮는 마감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화발포재 장치.
  32. 제 21 항에 있어서,
    복수의 망체 구멍을 구비하고, 상기 내화발포재의 전면에 결합되는 망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화발포재 장치.
  33.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통로부재와 상기 내화발포재 사이의 틈새를 실링하는 코킹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화발포재 장치.
  34.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내화발포재는 복수 개가 상기 통로부재의 둘레를 둘러싸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화발포재 장치.
KR1020200018306A 2020-02-14 2020-02-14 내화발포재 유닛 및 내화발포재 장치 KR2021010375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8306A KR20210103752A (ko) 2020-02-14 2020-02-14 내화발포재 유닛 및 내화발포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8306A KR20210103752A (ko) 2020-02-14 2020-02-14 내화발포재 유닛 및 내화발포재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3752A true KR20210103752A (ko) 2021-08-24

Family

ID=775070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8306A KR20210103752A (ko) 2020-02-14 2020-02-14 내화발포재 유닛 및 내화발포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103752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43932B1 (ko) 2016-12-20 2017-06-07 주식회사 청완 내화 충전재가 내장된 고정구 일체형 관통 슬리브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43932B1 (ko) 2016-12-20 2017-06-07 주식회사 청완 내화 충전재가 내장된 고정구 일체형 관통 슬리브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20416B2 (en) Drywall and sealing device for sealing a connection joint of a drywall
JP2008144474A (ja) 既設ドア枠利用の防火改装ドア
KR102257905B1 (ko) 외단열 층간 화재 확산 방지용 방화 배리어 구조 및 이의 시공 방법
KR102186911B1 (ko) 내화발포재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내화발포재 장치와, 내화발포재 유닛의 제조방법 및 내화발포재 장치의 시공방법
JP2018201764A (ja) 耐火部材、防火構造体および防火構造体の施工方法
CA3089383A1 (en) Use of flame resistant material with audio/video,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equipment enclosure
KR20210103752A (ko) 내화발포재 유닛 및 내화발포재 장치
JP2006254571A (ja) 電気接続ボックス及び電気接続ボックス用ボックスカバー
EP3783159B1 (en) An outer frame element, a set of parts, a wall construction and a method for mounting the wall construction
KR20220032844A (ko) 내화발포재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내화발포재 장치
US20170239500A1 (en) Fire barrier insert for membrane penetrations
KR102417503B1 (ko) 내화발포재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내화발포재 장치
KR102193077B1 (ko) 관통 슬리브유닛
JP5449658B2 (ja) 延焼防止構造及び延焼防止部材
JP6212166B2 (ja) 遮音カバー及び遮音構造
WO2008093056A1 (en) Fire resistant back box
AU2017101778B4 (en) A firestopping device and associated method
KR102493714B1 (ko) 내화발포재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내화발포재 장치
KR102403870B1 (ko) 내화발포재 유닛
JP6509048B2 (ja) バスダクトの貫通部構造及びバスダクトの貫通部の施工方法
JP5937902B2 (ja) 耐火処理具及び貫通部の耐火構造
JPH0673828A (ja) 天井の換気構造
JP6916349B1 (ja) 耐火部材、耐火構造
KR102505564B1 (ko) 내화발포재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내화발포재 장치
KR20200086888A (ko) 내화 큐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