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03304A - 다양한 배열로 연결가능한 방재벽 - Google Patents

다양한 배열로 연결가능한 방재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03304A
KR20210103304A KR1020200017887A KR20200017887A KR20210103304A KR 20210103304 A KR20210103304 A KR 20210103304A KR 1020200017887 A KR1020200017887 A KR 1020200017887A KR 20200017887 A KR20200017887 A KR 20200017887A KR 20210103304 A KR20210103304 A KR 202101033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de frame
disaster prevention
frame
prevention wall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78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86882B1 (ko
Inventor
정해진
Original Assignee
(주)플러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플러크 filed Critical (주)플러크
Priority to KR10202000178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6882B1/ko
Publication of KR202101033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33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68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68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0Dams; Dykes; Sluice ways or other structures for dykes, dams, or the like
    • E02B3/106Temporary dyk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5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including at least a hing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6Shap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20/00Temporary installations or construc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Abstract

본 발명은, 사각형상의 제1바닥프레임(111)과, 제1바닥프레임(111)에 대향하여 이격된 제1상단프레임(112)과, 제1바닥프레임(111)과 제1상단프레임(112)과 사이 측면에 각각 결합된 망형상의 제1측벽지지체(113)로 구성된 제1본체프레임(110), 제1측벽지지체(113)의 각 모서리에 결합된 와이어 스프링(120), 및 제1본체프레임(110) 내측에 인입되어 충진재가 투입되는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제1측벽막(130)으로 구성되는 제1방재벽(100), 및 ㄷ자 형상의 제2바닥프레임(211)과, 제2바닥프레임(211)에 대향하여 이격된 제2상단프레임(212)과, 제2바닥프레임(211)과 제2상단프레임(212)과 사이 측면에 각각 결합된 망형상의 제2측벽지지체(213)로 구성된 제2본체프레임(210), 제2측벽지지체(213)의 각 모서리에 결합된 와이어 스프링(220), 및 제2본체프레임(210) 내측에 인입되어 충진재가 투입되는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제2측벽막(230)으로 구성되는 제2방재벽(200)을 포함하여, 제1방재벽(100)에 제2방재벽(200)을 순차적으로 밀착 배열시키되, 상호 인접하는 와이어 스프링(120,220)을 중첩시키고 중첩된 공간에 상부로부터 와이어 스틱(300)을 삽입시켜 상호 연결하여 방재벽을 구축하도록 할 수 있는, 다양한 배열로 연결가능한 방재벽을 개시한다.

Description

다양한 배열로 연결가능한 방재벽{Protection Wall capable of Connecting in Various Arrangement}
본 발명은, 방호하고자 하는 지형에 따라 다양한 배열하여 상호 연결하여 홍수범람 또는 토사유출 또는 산사태에 대비한 방재벽을 구축하도록 하고, 상호 연결과 분리 작업이 간편하도록 할 수 있는, 다양한 배열로 연결가능한 방재벽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하천, 강가, 호안, 해안가 또는 절개지에서 홍수, 해수의 범람 또는 산사태를 방지하거나 수로를 유지하기 위해 제방 또는 옹벽을 설치하는데, 설치가 쉽고 유지관리가 비교적 쉬운 콘크리트 구조물을 시공한다.
그러나, 콘크리트 구조물의 시공이 친환경적이 못한 측면이 있어서, 돌망태로 알려진 개비온을 시공한다.
이와 관련된 선행기술로서,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301915호의 적층식 채움재를 구비한 개비온을 이용하여 축벽을 시공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예컨대, 종래의 적층식 채움재를 구비한 개비온 또는 방재벽을 이용하여 축벽을 시공하는 방법에서는, 다면체 형상의 채움재 상하부에 요철부를 형성하여 채움재를 단위 블럭을 적층하여서, 옹벽을 시공하도록 한다.
하지만, 홍수 또는 토사에 의해 가해지는 과도한 압력에 의해 측면방향으로 배열되는 채움재 사이에 유격이 발생하여서 벌어진 틈으로 물이나 토사가 유출될 가능성이 있으며, 육각면체 형상으로 고정 형성되어 이동과 보관이 쉽지 않고, 다양한 배열로 상호 연결구성이 제한되는 측면이 있어서, 이를 보완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301915호 (적층식 채움재를 구비한 개비온을 이용하여 축벽을 시공하는 방법, 2013.08.30)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0746535호 (개비온 벽체, 2007.07.31)
본 발명의 사상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방호하고자 하는 지형에 따라 다양한 배열하여 상호 연결하여 홍수범람 또는 토사유출 또는 산사태에 대비한 방재벽을 구축하도록 하고, 상호 연결과 분리 작업이 간편하도록 할 수 있는, 다양한 배열로 연결가능한 방재벽을 제공하는 데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고자,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사각형상의 제1바닥프레임과, 상기 제1바닥프레임에 대향하여 이격된 제1상단프레임과, 상기 제1바닥프레임과 상기 제1상단프레임과 사이 측면에 각각 결합된 망형상의 제1측벽지지체로 구성된 제1본체프레임; 상기 제1측벽지지체의 각 모서리에 결합된 와이어 스프링; 및 상기 제1본체프레임 내측에 인입되어 충진재가 투입되는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제1측벽막;을 포함하는 제1방재벽과, ㄷ자 형상의 제2바닥프레임과, 상기 제2바닥프레임에 대향하여 이격된 제2상단프레임과, 상기 제2바닥프레임과 상기 제2상단프레임과 사이 측면에 각각 결합된 망형상의 제2측벽지지체로 구성된 제2본체프레임; 상기 제2측벽지지체의 각 모서리에 결합된 와이어 스프링; 및 상기 제2본체프레임 내측에 인입되어 충진재가 투입되는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제2측벽막;을 포함하는 제2방재벽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1방재벽에 상기 제2방재벽을 순차적으로 밀착 배열시키되, 상호 인접하는 상기 와이어 스프링을 중첩시키고 중첩된 공간에 상부로부터 와이어 스틱을 삽입시켜 상호 연결하여 방재벽을 구축하도록 하는, 다양한 배열로 연결가능한 방재벽을 제공한다.
여기서, 방호하고자 하는 지형에 따라, 상기 제1방재벽에 상기 제2방재벽을 순차적으로 밀착 배열시키고, 상기 제2방재벽에 배열방향으로 변경하여 다른 제2방재벽을 순차적으로 밀착 배열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바닥프레임과 상기 제2상단프레임은 일자 형상으로 외측으로 펼쳐지거나 내측으로 접혀지도록 연동하여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측벽막 및 상기 제2측벽막의 하단은 상기 제1바닥프레임 및 상기 제2바닥프레임 외곽으로 노출되도록 스커트가 각각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측벽막 또는 상기 제2측벽막은 투수성의 토목섬유천 또는 미세통공이 형성된 판넬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P자 형상의 스틱봉의 상단에 웨빙이 형성된 상기 와이어 스틱을 상호 중첩된 상기 와이어 스프링 상부로부터 중첩된 내부공간으로 삽입하여 결합시켜 고정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사각형상의 제1측면프레임과, 상기 제1측면프레임 내측에 형성된 메쉬망과, 상기 메쉬망의 일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제1측면프레임을 커버하는 토목섬유천과, 상기 제1측면프레임과 힌지결합하는 사각형상의 제2측면프레임과, 상기 제2측면프레임 내측에 형성된 메쉬망과, 상기 메쉬망의 일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제2측면프레임을 커버하는 토목섬유천과, 상기 제1측면프레임과 상기 제2측면프레임의 힌지축 및 상기 제1측면프레임과 상기 제2측면프레임의 일단에 각각 형성된 와이어 스프링으로 구성되어 절첩가능한, 제1부분방재벽; 사각형상의 제1측면프레임과, 상기 제1측면프레임 내측에 형성된 메쉬망과, 상기 메쉬망의 일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제1측면프레임을 커버하는 토목섬유천과, 상기 제1측면프레임과 힌지결합하는 사각형상의 제2측면프레임과, 상기 제2측면프레임 내측에 형성된 메쉬망과, 상기 메쉬망의 일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제2측면프레임을 커버하는 토목섬유천과, 상기 제2측면프레임과 힌지결합하는 사각형상의 제3측면프레임과, 상기 제3측면프레임 내측에 형성된 메쉬망과, 상기 메쉬망의 일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제3측면프레임을 커버하는 토목섬유천과, 상기 제1측면프레임과 상기 제2측면프레임의 힌지축, 상기 제2측면프레임과 상기 제3측면프레임의 힌지축, 및 상기 제1측면프레임과 상기 제3측면프레임의 일단에 각각 형성된 와이어 스프링으로 구성되어 상호 절첩가능한, 제2부분방재벽; 및 사각형상의 제1측면프레임과, 상기 제1측면프레임 내측에 형성된 메쉬망과, 상기 메쉬망의 일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제1측면프레임을 커버하는 토목섬유천과, 상기 제1측면프레임과 힌지결합하는 사각형상의 제2측면프레임과, 상기 제2측면프레임 내측에 형성된 메쉬망과, 상기 메쉬망의 일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제2측면프레임을 커버하는 토목섬유천과, 상기 제2측면프레임과 힌지결합하는 사각형상의 제3측면프레임과, 상기 제3측면프레임 내측에 형성된 메쉬망과, 상기 메쉬망의 일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제3측면프레임을 커버하는 토목섬유천과, 상기 제3측면프레임과 힌지결합하는 사각형상의 제4측면프레임과, 상기 제4측면프레임 내측에 형성된 메쉬망과, 상기 메쉬망의 일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제4측면프레임을 커버하는 토목섬유천과, 상기 제1측면프레임과 상기 제2측면프레임의 힌지축, 상기 제2측면프레임과 상기 제3측면프레임의 힌지축, 상기 제3측면프레임과 상기 제4측면프레임의 힌지축, 및 상기 제1측면프레임과 상기 제4측면프레임의 일단에 각각 형성된 와이어 스프링으로 구성되어 상호 절첩가능한, 제3부분방재벽;을 포함하여, 상기 제1부분방재벽, 상기 제2부분방재벽 또는 상기 제3부분방재벽을 조합하여 방재벽을 구축하는, 다양한 배열로 연결가능한 방재벽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제2부분방재벽을 계단형상으로 절첩하고, 두개의 상기 제1부분방재벽을 ㄱ자 형상으로 절첩하여 상기 와이어 스프링을 상호 중첩시켜 인접하는 두개의 방재벽을 구축하거나, 상기 제2부분방재벽을 ㄴ자 형상으로 절첩하고, 두개의 상기 제1부분방재벽을 ㄱ자 형상으로 절첩하여 상기 와이어 스프링을 상호 중첩시켜 인접하는 두개의 방재벽을 구축하거나, 상기 제3부분방재벽을 ㄴ자 형상으로 절첩하고, 세개의 상기 제1부분방재벽을 ㄱ자 형상으로 절첩하여 상기 와이어 스프링을 상호 중첩시켜 인접하는 세개의 방재벽을 구축하거나, 상기 제3부분방재벽을 ㅁ자 형상으로 절첩하여 한개의 방재벽을 구축하거나, ㅁ자 형상으로 절첩한 상기 제3부분방재벽에 상기 제2부분방재벽을 ㄷ자 형상으로 절첩하고 인접시켜 연결하여 두개의 방재벽을 구축할 수 있다.
또한, P자 형상의 스틱봉의 상단에 웨빙이 형성된 와이어 스틱을 상호 중첩된 상기 와이어 스프링 상부로부터 중첩된 내부공간으로 삽입하여 결합시켜 고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방호하고자 하는 지형에 따라 다양한 배열하여 상호 연결하여 홍수범람 또는 토사유출 또는 산사태에 대비한 방재벽을 구축하도록 하며, 상호 연결과 분리 작업이 간편하도록 하며, 방재벽 분리 후 재사용이 용이하도록 하며, 스커트에 의해 충진재 외부 유실을 방지하며, 와이어 스틱에 의한 체결에 의해 홍수 또는 토사에 의해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서도 상호 이탈하지 않도록 하여 안정적인 방호 효과를 제공하고, 크기 또는 부피를 줄여 이동시 또는 보관시에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다양한 배열로 연결가능한 방재벽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2 및 도 3은 도 1의 다양한 배열로 연결가능한 방재벽의 연결 배열을 각각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도 1의 다양한 배열로 연결가능한 방재벽의 제2방재벽의 절첩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도 1의 다양한 배열로 연결가능한 방재벽의 설치예를 예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다양한 배열로 연결가능한 방재벽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도 6의 다양한 배열로 연결가능한 방재벽의 연결 배열을 각각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도 6의 다양한 배열로 연결가능한 방재벽의 연결 배열에 의해 구축된 방재벽을 각각 예시한 것이다.
도 9는 도 6의 다양한 배열로 연결가능한 방재벽의 와이어 스틱에 의한 연결구성을 예시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전술한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다양한 배열로 연결가능한 방재벽은, 전체적으로, 사각형상의 제1바닥프레임(111)과, 제1바닥프레임(111)에 대향하여 이격된 제1상단프레임(112)과, 제1바닥프레임(111)과 제1상단프레임(112)과 사이 측면에 각각 결합된 망형상의 제1측벽지지체(113)로 구성된 제1본체프레임(110), 제1측벽지지체(113)의 각 모서리에 결합된 와이어 스프링(120), 및 제1본체프레임(110) 내측에 인입되어 충진재가 투입되는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제1측벽막(130)으로 구성되는 제1방재벽(100), 및 ㄷ자 형상의 제2바닥프레임(211)과, 제2바닥프레임(211)에 대향하여 이격된 제2상단프레임(212)과, 제2바닥프레임(211)과 제2상단프레임(212)과 사이 측면에 각각 결합된 망형상의 제2측벽지지체(213)로 구성된 제2본체프레임(210), 제2측벽지지체(213)의 각 모서리에 결합된 와이어 스프링(220), 및 제2본체프레임(210) 내측에 인입되어 충진재가 투입되는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제2측벽막(230)으로 구성되는 제2방재벽(200)을 포함하여, 제1방재벽(100)에 제2방재벽(200)을 순차적으로 밀착 배열시키되, 상호 인접하는 와이어 스프링(120,220)을 중첩시키고 중첩된 공간에 상부로부터 와이어 스틱(300)을 삽입시켜 상호 연결하여 방재벽을 구축하도록 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우선, 도 1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바닥프레임(111)과 제1상단프레임(112)과 제1측벽지지체(113)로 구성된 제1본체프레임(110), 제1측벽지지체(113)의 각 모서리에 결합된 와이어 스프링(120), 및 제1측벽막(130)으로 구성되는, 제1방재벽(100)을 구체적으로 상술하면 다음과 같다.
제1본체프레임(110)은, 금속재질로 구성된, 제1바닥프레임(111)과 제1상단프레임(112)과 제1측벽지지체(113)의 육각면체 형상으로 구성되고, 그 내부공간에는 모래, 흙 또는 자갈의 충진재가 투입되어 수용되도록 하여서, 식생의 생장환경을 제공하거나 홍수를 방지하거나 여과기능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제1측벽지지체(113)는 망형상 또는 그물형상의 철제보강재로 구성되어 충진재의 고하중을 지지하여 배불림현상을 방지하도록 할 수 있다.
와이어 스프링(120)은, 제1측벽지지체(113)의 각 모서리에 수직방향으로 결합되는데, 이웃하여 연결 배열되는 제2측벽지지체(213)의 와이어 스프링(220)과 중첩되도록 구성된다.
제1측벽막(130)은, 제1본체프레임(110) 내측에 인입 결합되어 충진재가 투입되는 내부공간을 형성하는데, 투수성의 편물과 직물과 부직포의 토목섬유천 또는 미세통공이 형성된 판넬로 구성되고, 사용목적에 따라, 여과효과 또는 토양과 물의 분리효과 또는 흙구조물의 보강효과 또는 배수효과 또는 방수효과를 구현하도록 선택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스커트(131)가 제1측벽막(130)의 하단으로부터 제1바닥프레임(111) 외곽으로 노출되도록 연장 형성되고, 스커트(131)가 제1바닥프레임(111) 하단 내측으로 밀어 넣어져, 충진재의 외부 유실을 방지하도록 할 수 있다.
참고로, 충진재로는 흙, 모래, 자갈 또는 바위가 사용되어, 제1측벽막(130)의 내부공간에 2회 이상으로 나누어 채워지고, 채우는 과정에서 충진재를 고르게 정리하고, 설치상태를 정렬하도록 다짐작업을 진행할 수 있다.
와이어 스틱(300)은, 도 1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재벽을 설치하도록 제1본체프레임(110)과 제2본체프레임(210)이 상호 밀착 배열되어 형성된 상태에서, 상호 인접하는 와이어 스프링(120,220)을 중첩시키고 중첩된 공간에 상부로부터 와이어 스틱(300)을 삽입시켜 인접하는 제1본체프레임(110)과 제2본체프레임(210)을 상호 연결한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맞물리도록 배치된 와이어 스프링(120,220)의 교차지점의 중심으로 와이어 스틱(300)을 꽂아줘서, 인접하여 배치된 제1본체프레임(110)과 제2본체프레임(210)을 상호 결합 고정시켜서 연결된 하나의 방호 벽체를 형성하도록 하여서, 홍수 또는 토사에 의해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서도 제1본체프레임(110)과 제2본체프레임(210)이 상호 이탈하여 유격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여 안정적인 방호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와이어 스틱(300)의 상단부는 P자 형상으로 절곡 형성되어서, 제1상단프레임(112) 상부 또는 제1측벽막(130) 상부에 안정적으로 거치되도록 할 수 있다.
다음, 도 1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바닥프레임(211)과 제2상단프레임(212)과 제2측벽지지체(213)로 구성된 제2본체프레임(210), 제2측벽지지체(213)의 각 모서리에 결합된 와이어 스프링(220), 및 제2측벽막(230)으로 구성되는, 제2방재벽(200)을 구체적으로 상술하면 다음과 같다.
제2본체프레임(210)은, 금속재질로 구성된, 제2바닥프레임(211)과 제2상단프레임(212)과 제2측벽지지체(213)의 일측면이 개방된 육각면체 형상으로 구성되고, 그 내부공간에는 모래, 흙 또는 자갈의 충진재가 투입되어 수용되도록 하여서, 식생의 생장환경을 제공하거나 홍수를 방지하거나 여과기능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제2측벽지지체(213)는 망형상 또는 그물형상의 철제보강재로 구성되어 충진재의 고하중을 지지하여 배불림현상을 방지하도록 할 수 있다.
와이어 스프링(220)은, 제2측벽지지체(213)의 각 모서리에 수직방향으로 결합되는데, 이웃하여 연결 배열되는 제2측벽지지체(213)의 와이어 스프링(220)과 중첩되도록 구성된다.
제2측벽막(230)은, 제2본체프레임(210) 내측에 인입 결합되어 충진재가 투입되는 내부공간을 형성하는데, 투수성의 편물과 직물과 부직포의 토목섬유천 또는 미세통공이 형성된 판넬로 구성되고, 사용목적에 따라, 여과효과 또는 토양과 물의 분리효과 또는 흙구조물의 보강효과 또는 배수효과 또는 방수효과를 구현하도록 선택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제1방재벽(100)의 스커트(131)와 동일하게, 제2측벽막(230)의 하단으로부터 제2바닥프레임(211) 외곽으로 노출되도록 연장 형성되고, 스커트가 제2바닥프레임(211) 하단 내측으로 밀어 넣어져, 충진재의 외부 유실을 방지하도록 할 수 있다.
참고로, 충진재로는 흙, 모래, 자갈 또는 바위가 사용되어, 제2측벽막(230)의 내부공간에 2회 이상으로 나누어 채워지고, 채우는 과정에서 충진재를 고르게 정리하고, 설치상태를 정렬하도록 다짐작업을 진행할 수 있다.
와이어 스틱(3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재벽을 설치하도록 제2본체프레임(210)과 인접하는 다른 제2본체프레임(210)이 상호 밀착 배열되어 형성된 상태에서, 상호 인접하는 와이어 스프링(220)을 중첩시키고 중첩된 공간에 상부로부터 와이어 스틱(300)을 삽입시켜 인접하는 제2본체프레임(210)과 다른 제2본체프레임(210)을 상호 연결한다.
즉, 맞물리도록 배치된 와이어 스프링(220)의 교차지점의 중심으로 와이어 스틱(300)을 꽂아줘서, 인접하여 배치된 복수의 제2본체프레임(210)을 상호 결합 고정시켜서 연결된 하나의 방호 벽체를 형성하도록 하여서, 홍수 또는 토사에 의해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서도 복수의 제2본체프레임(210)이 상호 이탈하여 유격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여 안정적인 방호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와이어 스틱(300)의 상단부는 P자 형상으로 절곡 형성되어서, 제2상단프레임(212) 상부 또는 제2측벽막(230) 상부에 안정적으로 거치되도록 할 수 있는데,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P자 형상의 스틱봉(301)의 상단에 웨빙(webbing)(302)이 형성된 와이어 스틱(300)을 상호 중첩된 와이어 스프링(S) 상부로부터 중첩된 내부공간으로 삽입하여 결합시켜 고정할 수 있고, 웨빙(302)을 통해 와이어 스틱(300)을 인출하여 제거하여서 방재벽의 상호 분리를 쉽게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호하고자 하는 지형에 따라, 제1방재벽(100)에 제2방재벽(200)을 순차적으로 직선방향으로 밀착 배열시키고, 제2방재벽(200)에 수직한 배열방향으로 변경하여 다른 제2방재벽(200)을 순차적으로 밀착 배열시켜서, 다양한 배열로 연결가능할 수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바닥프레임(211)과 제2상단프레임(212)은 일자 형상으로 외측으로 펼쳐지거나 내측으로 접혀지도록 연동하여 힌지축(214)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구성하여서, 크기 또는 부피를 줄여 이동시 또는 보관시에 편의성을 제공할 수도 있다.
이에, 도 5에 예시된 바와 같이, 방재벽(100,200)을 설치하도록 밀착 배열되어 형성되되, 제1본체프레임(110)과 복수의 제2본체프레임(210)을 유격없이 상호 연결하여 강가 뚝의 홍수범람 또는 토사유출 또는 산사태에 대비한 방재벽을 구축하도록 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다양한 배열로 연결가능한 방재벽을 구체적으로 상술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부분방재벽(410)은, 사각형상의 제1측면프레임(411)과, 제1측면프레임(411) 내측에 형성된 메쉬망(M)과, 메쉬망(M)의 일측면에 형성되어 제1측면프레임(411)을 커버하는 토목섬유천(T)과, 제1측면프레임(411)과 힌지결합하는 사각형상의 제2측면프레임(412)과, 제2측면프레임(412) 내측에 형성된 메쉬망(M)과, 메쉬망(M)의 일측면에 형성되어 제2측면프레임(412)을 커버하는 토목섬유천(T)과, 제1측면프레임(411)과 제2측면프레임(412)의 힌지축 및 제1측면프레임(411)과 제2측면프레임(412)의 일단에 각각 형성된 와이어 스프링(S)으로 구성되어 절첩가능하게 형성된다.
이에, 제1부분방재벽(410)은 일자 형상으로 펼쳐지거나 접혀져 포개지거나 90°로 접혀져서, 보관과 이동을 쉽게하고, 제2부분방재벽(420) 또는 제3부분방재벽(430)과 다양한 방식으로 조합하여 방재벽을 구축할 수 있다.
다음,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부분방재벽(420)은, 사각형상의 제1측면프레임(411)과, 제1측면프레임(411) 내측에 형성된 메쉬망(M)과, 메쉬망(M)의 일측면에 형성되어 제1측면프레임(411)을 커버하는 토목섬유천(T)과, 제1측면프레임(411)과 힌지결합하는 사각형상의 제2측면프레임(412)과, 제2측면프레임(412) 내측에 형성된 메쉬망(M)과, 메쉬망(M)의 일측면에 형성되어 제2측면프레임(412)을 커버하는 토목섬유천(T)과, 제2측면프레임(412)과 힌지결합하는 사각형상의 제3측면프레임(413)과, 제3측면프레임(413) 내측에 형성된 메쉬망(M)과, 메쉬망(M)의 일측면에 형성되어 제3측면프레임(413)을 커버하는 토목섬유천(T)과, 제1측면프레임(411)과 제2측면프레임(412)의 힌지축, 제2측면프레임(412)과 제3측면프레임(413)의 힌지축, 및 제1측면프레임(411)과 제3측면프레임(413)의 일단에 각각 형성된 와이어 스프링(S)으로 구성되어 상호 절첩가능하게 형성된다.
이에, 제2부분방재벽(420)은 일자 형상으로 펼쳐지거나 접혀져 상호 포개지거나 하나 이상의 측면프레임이 90°로 접혀져서, 보관과 이동을 쉽게하고, 제1부분방재벽(410) 또는 제3부분방재벽(430)과 다양한 방식으로 조합하여 방재벽을 구축할 수 있다.
다음, 도 6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부분방재벽(430)은, 사각형상의 제1측면프레임(411)과, 제1측면프레임(411) 내측에 형성된 메쉬망(M)과, 메쉬망(M)의 일측면에 형성되어 제1측면프레임(411)을 커버하는 토목섬유천(T)과, 제1측면프레임(411)과 힌지결합하는 사각형상의 제2측면프레임(412)과, 제2측면프레임(412) 내측에 형성된 메쉬망(M)과, 메쉬망(M)의 일측면에 형성되어 제2측면프레임(412)을 커버하는 토목섬유천(T)과, 제2측면프레임(412)과 힌지결합하는 사각형상의 제3측면프레임(413)과, 제3측면프레임(413) 내측에 형성된 메쉬망(M)과, 메쉬망(M)의 일측면에 형성되어 제3측면프레임(413)을 커버하는 토목섬유천(T)과, 제3측면프레임(413)과 힌지결합하는 사각형상의 제4측면프레임(414)과, 제4측면프레임(414) 내측에 형성된 메쉬망(M)과, 메쉬망(M)의 일측면에 형성되어 제4측면프레임(414)을 커버하는 토목섬유천(T)과, 제1측면프레임(411)과 제2측면프레임(412)의 힌지축, 제2측면프레임(412)과 제3측면프레임(413)의 힌지축, 제3측면프레임(413)과 제4측면프레임(414)의 힌지축, 및 제1측면프레임(411)과 제4측면프레임(414)의 일단에 각각 형성된 와이어 스프링(S)으로 구성되어 상호 절첩가능하게 형성된다.
이에, 제3부분방재벽(430)은 일자 형상으로 펼쳐지거나 접혀져 상호 포개지거나 하나 이상의 측면프레임이 90°로 접혀져서, 보관과 이동을 쉽게하고, 제1부분방재벽(410) 또는 제2부분방재벽(420)과 다양한 방식으로 조합하여 방재벽을 구축할 수 있다.
예컨대, 도 7의 (a) 및 도 8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부분방재벽(420)을 계단형상으로 절첩하고, 두개의 제1부분방재벽(410)을 ㄱ자 형상으로 절첩하여 와이어 스프링(S)을 상호 중첩시켜 인접하는 두개의 방재벽을 구축하거나, 도 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부분방재벽(420)을 ㄴ자 형상으로 절첩하고, 두개의 제1부분방재벽(410)을 ㄱ자 형상으로 절첩하여 연속적으로 와이어 스프링(S)을 상호 중첩시켜 인접하는 두개의 방재벽을 구축하거나, 도 7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부분방재벽(430)을 ㄴ자 형상으로 절첩하고, 세개의 제1부분방재벽(410)을 ㄱ자 형상으로 절첩하여 연속적으로 와이어 스프링(S)을 상호 중첩시켜 인접하는 세개의 방재벽을 구축하거나, 도 7의 (d) 및 도 8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부분방재벽(430)을 ㅁ자 형상으로 절첩하여 한개의 방재벽을 구축하거나, 도 7의 (e) 및 도 8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ㅁ자 형상으로 절첩한 제3부분방재벽(430)에 제2부분방재벽(420)을 ㄷ자 형상으로 절첩하고 인접시켜 연결하여 두개의 방재벽을 구축할 수 있다.
즉, 방재벽 구축환경에 따라, 제1부분방재벽(410), 제2부분방재벽(420) 또는 제3부분방재벽(430)을 다양한 방식으로 조합하여 방재벽을 구축할 수 있다.
한편, 상호 중첩된 와이어 스프링(S) 상부로부터 와이어 스틱(300)을 삽입하여 결합시켜 고정하거나, 인접하는 측면프레임의 모서리 또는 모서리 일측으로부터 굽어진 후크를 클립이나 끈에 의해 상호 고정할 수도 있는데,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P자 형상의 스틱봉(301)의 상단에 웨빙(302)이 형성된 와이어 스틱(300)을 상호 중첩된 와이어 스프링(S) 상부로부터 중첩된 내부공간으로 삽입하여 결합시켜 고정할 수 있다.
이에, 중첩된 부분방재벽의 교차된 와이어 스프링 내부공간에 와이어 스틱(300)을 삽입하여 부분방재벽을 상호 고정시키고, 웨빙(302)을 통해 와이어 스틱(300)을 인출하여 제거하여서 부분방재벽의 상호 분리를 쉽게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와이어 스프링(120,220,S)의 양단(S1)은, 도 9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은 하방으로 굽어지고, 하단은 상방으로 굽어져 형성되어, 본체프레임 또는 측면프레임으로부터 와이어 스프링(120,220,S)이 이탈되지 않도록 하고, 별도의 클립이나 와이어에 의해 인접하는 본체프레임 또는 측면프레임을 상호 결합 고정시킬 수도 있다.
또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앞선 제1부분방재벽(410), 제2부분방재벽(420) 또는 제3부분방재벽(430)의 다양한 절첩에 따른 조합시에 외측으로 메쉬망(M)이 노출되도록 배치되고, 내측으로 토목섬유천(T)이 위치하도록 배치되도록, 변형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은 다양한 배열로 연결가능한 방재벽의 구성에 의해서, 방호하고자 하는 지형에 따라 다양한 배열하여 상호 연결하여 홍수범람 또는 토사유출 또는 산사태에 대비한 방재벽을 구축하도록 하며, 상호 연결과 분리 작업이 간편하도록 하며, 방재벽 분리 후 재사용이 용이하도록 하며, 스커트에 의해 충진재 외부 유실을 방지하며, 와이어 스틱에 의한 체결에 의해 홍수 또는 토사에 의해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서도 상호 이탈하지 않도록 하여 안정적인 방호 효과를 제공하고, 크기 또는 부피를 줄여 이동시 또는 보관시에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00 : 제1방재벽
110 : 제1본체프레임 111 : 제1바닥프레임
112 : 제1상단프레임 113 : 제1측벽지지체
120 : 와이어 스프링 130 : 제1측벽막
131 : 스커트 200 : 제2방재벽
210 : 제2본체프레임 211 : 제2바닥프레임
212 : 제2상단프레임 213 : 제2측벽지지체
214 : 힌지축 220 : 와이어 스프링
230 : 제2측벽막 300 : 와이어 스틱
301 : 스틱봉 302 : 웨빙
410 : 제1부분방재벽
420 : 제2부분방재벽 430 : 제3부분방재벽
411 : 제1측면프레임 412 : 제2측면프레임
413 : 제3측면프레임 414 : 제4측면프레임
M : 메쉬망 T : 토목섬유천
S : 와이어 스프링

Claims (9)

  1. 사각형상의 제1바닥프레임과, 상기 제1바닥프레임에 대향하여 이격된 제1상단프레임과, 상기 제1바닥프레임과 상기 제1상단프레임과 사이 측면에 각각 결합된 망형상의 제1측벽지지체로 구성된 제1본체프레임; 상기 제1측벽지지체의 각 모서리에 결합된 와이어 스프링; 및 상기 제1본체프레임 내측에 인입되어 충진재가 투입되는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제1측벽막;을 포함하는 제1방재벽과,
    ㄷ자 형상의 제2바닥프레임과, 상기 제2바닥프레임에 대향하여 이격된 제2상단프레임과, 상기 제2바닥프레임과 상기 제2상단프레임과 사이 측면에 각각 결합된 망형상의 제2측벽지지체로 구성된 제2본체프레임; 상기 제2측벽지지체의 각 모서리에 결합된 와이어 스프링; 및 상기 제2본체프레임 내측에 인입되어 충진재가 투입되는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제2측벽막;을 포함하는 제2방재벽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1방재벽에 상기 제2방재벽을 순차적으로 밀착 배열시키되, 상호 인접하는 상기 와이어 스프링을 중첩시키고 중첩된 공간에 상부로부터 와이어 스틱을 삽입시켜 상호 연결하여 방재벽을 구축하도록 하는, 다양한 배열로 연결가능한 방재벽.
  2. 제1항에 있어서,
    방호하고자 하는 지형에 따라, 상기 제1방재벽에 상기 제2방재벽을 순차적으로 밀착 배열시키고, 상기 제2방재벽에 배열방향으로 변경하여 다른 제2방재벽을 순차적으로 밀착 배열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양한 배열로 연결가능한 방재벽.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바닥프레임과 상기 제2상단프레임은 일자 형상으로 외측으로 펼쳐지거나 내측으로 접혀지도록 연동하여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양한 배열로 연결가능한 방재벽.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측벽막 및 상기 제2측벽막의 하단은 상기 제1바닥프레임 및 상기 제2바닥프레임 외곽으로 노출되도록 스커트가 각각 연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양한 배열로 연결가능한 방재벽.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측벽막 또는 상기 제2측벽막은 투수성의 토목섬유천 또는 미세통공이 형성된 판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양한 배열로 연결가능한 방재벽.
  6. 제1항에 있어서,
    P자 형상의 스틱봉의 상단에 웨빙이 형성된 상기 와이어 스틱을 상호 중첩된 상기 와이어 스프링 상부로부터 중첩된 내부공간으로 삽입하여 결합시켜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양한 배열로 연결가능한 방재벽.
  7. 사각형상의 제1측면프레임과, 상기 제1측면프레임 내측에 형성된 메쉬망과, 상기 메쉬망의 일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제1측면프레임을 커버하는 토목섬유천과, 상기 제1측면프레임과 힌지결합하는 사각형상의 제2측면프레임과, 상기 제2측면프레임 내측에 형성된 메쉬망과, 상기 메쉬망의 일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제2측면프레임을 커버하는 토목섬유천과, 상기 제1측면프레임과 상기 제2측면프레임의 힌지축 및 상기 제1측면프레임과 상기 제2측면프레임의 일단에 각각 형성된 와이어 스프링으로 구성되어 절첩가능한, 제1부분방재벽;
    사각형상의 제1측면프레임과, 상기 제1측면프레임 내측에 형성된 메쉬망과, 상기 메쉬망의 일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제1측면프레임을 커버하는 토목섬유천과, 상기 제1측면프레임과 힌지결합하는 사각형상의 제2측면프레임과, 상기 제2측면프레임 내측에 형성된 메쉬망과, 상기 메쉬망의 일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제2측면프레임을 커버하는 토목섬유천과, 상기 제2측면프레임과 힌지결합하는 사각형상의 제3측면프레임과, 상기 제3측면프레임 내측에 형성된 메쉬망과, 상기 메쉬망의 일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제3측면프레임을 커버하는 토목섬유천과, 상기 제1측면프레임과 상기 제2측면프레임의 힌지축, 상기 제2측면프레임과 상기 제3측면프레임의 힌지축, 및 상기 제1측면프레임과 상기 제3측면프레임의 일단에 각각 형성된 와이어 스프링으로 구성되어 상호 절첩가능한, 제2부분방재벽;
    사각형상의 제1측면프레임과, 상기 제1측면프레임 내측에 형성된 메쉬망과, 상기 메쉬망의 일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제1측면프레임을 커버하는 토목섬유천과, 상기 제1측면프레임과 힌지결합하는 사각형상의 제2측면프레임과, 상기 제2측면프레임 내측에 형성된 메쉬망과, 상기 메쉬망의 일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제2측면프레임을 커버하는 토목섬유천과, 상기 제2측면프레임과 힌지결합하는 사각형상의 제3측면프레임과, 상기 제3측면프레임 내측에 형성된 메쉬망과, 상기 메쉬망의 일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제3측면프레임을 커버하는 토목섬유천과, 상기 제3측면프레임과 힌지결합하는 사각형상의 제4측면프레임과, 상기 제4측면프레임 내측에 형성된 메쉬망과, 상기 메쉬망의 일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제4측면프레임을 커버하는 토목섬유천과, 상기 제1측면프레임과 상기 제2측면프레임의 힌지축, 상기 제2측면프레임과 상기 제3측면프레임의 힌지축, 상기 제3측면프레임과 상기 제4측면프레임의 힌지축, 및 상기 제1측면프레임과 상기 제4측면프레임의 일단에 각각 형성된 와이어 스프링으로 구성되어 상호 절첩가능한, 제3부분방재벽;을 포함하여,
    상기 제1부분방재벽, 상기 제2부분방재벽 또는 상기 제3부분방재벽을 조합하여 방재벽을 구축하는, 다양한 배열로 연결가능한 방재벽.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부분방재벽을 계단형상으로 절첩하고, 두개의 상기 제1부분방재벽을 ㄱ자 형상으로 절첩하여 상기 와이어 스프링을 상호 중첩시켜 인접하는 두개의 방재벽을 구축하거나,
    상기 제2부분방재벽을 ㄴ자 형상으로 절첩하고, 두개의 상기 제1부분방재벽을 ㄱ자 형상으로 절첩하여 상기 와이어 스프링을 상호 중첩시켜 인접하는 두개의 방재벽을 구축하거나,
    상기 제3부분방재벽을 ㄴ자 형상으로 절첩하고, 세개의 상기 제1부분방재벽을 ㄱ자 형상으로 절첩하여 상기 와이어 스프링을 상호 중첩시켜 인접하는 세개의 방재벽을 구축하거나,
    상기 제3부분방재벽을 ㅁ자 형상으로 절첩하여 한개의 방재벽을 구축하거나,
    ㅁ자 형상으로 절첩한 상기 제3부분방재벽에 상기 제2부분방재벽을 ㄷ자 형상으로 절첩하고 인접시켜 연결하여 두개의 방재벽을 구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양한 배열로 연결가능한 방재벽.
  9. 제7항에 있어서,
    P자 형상의 스틱봉의 상단에 웨빙이 형성된 와이어 스틱을 상호 중첩된 상기 와이어 스프링 상부로부터 중첩된 내부공간으로 삽입하여 결합시켜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양한 배열로 연결가능한 방재벽.
KR1020200017887A 2020-02-13 2020-02-13 다양한 배열로 연결가능한 방재벽 KR1024868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7887A KR102486882B1 (ko) 2020-02-13 2020-02-13 다양한 배열로 연결가능한 방재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7887A KR102486882B1 (ko) 2020-02-13 2020-02-13 다양한 배열로 연결가능한 방재벽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3304A true KR20210103304A (ko) 2021-08-23
KR102486882B1 KR102486882B1 (ko) 2023-01-10

Family

ID=774994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7887A KR102486882B1 (ko) 2020-02-13 2020-02-13 다양한 배열로 연결가능한 방재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688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43287A (ko) 2022-04-05 2023-10-12 (주)플러크 조립식 방호방재벽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6535B1 (ko) 2007-03-22 2007-08-06 (주)대호철망한국산재장애인복지진흥회 개비온 벽체
JP2013044113A (ja) * 2011-08-22 2013-03-04 Aomori Showa Sangyo Kk ドレンカゴ
KR101301915B1 (ko) 2013-01-08 2013-08-30 박이근 적층식 채움재를 구비한 개비온을 이용하여 축벽을 시공하는 방법
KR20150019110A (ko) * 2013-08-12 2015-02-25 이평우 경사면용 계단식 식생옹벽 및 그 시공방법
KR101647433B1 (ko) * 2015-12-01 2016-08-10 김동옥 식생 방호벽
KR20180009069A (ko) * 2016-07-18 2018-01-26 이중형 재사용 가능한 접이식 개비온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6535B1 (ko) 2007-03-22 2007-08-06 (주)대호철망한국산재장애인복지진흥회 개비온 벽체
JP2013044113A (ja) * 2011-08-22 2013-03-04 Aomori Showa Sangyo Kk ドレンカゴ
KR101301915B1 (ko) 2013-01-08 2013-08-30 박이근 적층식 채움재를 구비한 개비온을 이용하여 축벽을 시공하는 방법
KR20150019110A (ko) * 2013-08-12 2015-02-25 이평우 경사면용 계단식 식생옹벽 및 그 시공방법
KR101647433B1 (ko) * 2015-12-01 2016-08-10 김동옥 식생 방호벽
KR20180009069A (ko) * 2016-07-18 2018-01-26 이중형 재사용 가능한 접이식 개비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43287A (ko) 2022-04-05 2023-10-12 (주)플러크 조립식 방호방재벽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86882B1 (ko) 2023-0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136001B1 (en) Gabion
US7097390B1 (en) Fine-grained fill reinforcing apparatus and method
US9074337B2 (en) Gabion system
RU2432431C2 (ru) Длинномер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морских и речных гидротехнических сооружений и способ его изготовления
KR101221944B1 (ko) 적층식 채움재를 구비한 개비온
KR20210103304A (ko) 다양한 배열로 연결가능한 방재벽
KR101666626B1 (ko) 프레임과 토목섬유를 이용한 호안 구조물 및 이의 시공 방법
JP4835940B2 (ja) 堤脚保護擁壁およびその構築工法
KR100753045B1 (ko) 패브릭 직물포대와 이것을 이용한 경사면의 시공방법
KR101633853B1 (ko) 토압 저항력과 구조 일체화가 개선된 옹벽 시공용 친환경 개비블럭
KR20150061712A (ko) 제방차수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제방축조공법
KR100666908B1 (ko) 2중 접철식 상자형 게비온
KR102329872B1 (ko) 플러크 개비온
KR102251750B1 (ko) 다기능 플라스틱 상자를 이용한 식생 활착용 게비온 구조물 시공방법
KR20160109206A (ko) 콘크리트 구조물과 철망조립체의 경합으로 이루어진 개비온
KR100641287B1 (ko) 사방 또는 호안 공사용 조립식 프레임 축조 구조체
JP4892204B2 (ja) 堤体の防災強化方法
JPS6046213B2 (ja) 急勾配斜面を有する地山または既設盛土の安定工法
JPH11107238A (ja) 傾斜地用構造壁及びその施工方法
KR101012653B1 (ko) 옹벽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2437778B1 (ko) 게비온 옹벽블록
KR100959677B1 (ko) 친환경 매트리스형 돌망태 및 그 설치 방법
KR101404471B1 (ko) 제체 시공시 부력 및 수압에 의한 부상방지 및 억지 기능이 있는 저면, 필터 용 매트와 그 시공방법
JP4620408B2 (ja) 築堤用土嚢及びそれを用いた築堤工法
KR20230143287A (ko) 조립식 방호방재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