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01110A - 서랍형 칫솔 살균 양치대 및 그 서랍형 칫솔 살균 양치대를 이용한 양치방법 - Google Patents

서랍형 칫솔 살균 양치대 및 그 서랍형 칫솔 살균 양치대를 이용한 양치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01110A
KR20210101110A KR1020200050000A KR20200050000A KR20210101110A KR 20210101110 A KR20210101110 A KR 20210101110A KR 1020200050000 A KR1020200050000 A KR 1020200050000A KR 20200050000 A KR20200050000 A KR 20200050000A KR 20210101110 A KR20210101110 A KR 202101011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wer
type toothbrush
toothbrush
toothbrush holder
ty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00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79728B1 (ko
Inventor
박길재
Original Assignee
박길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길재 filed Critical 박길재
Priority to KR10202000500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9728B1/ko
Publication of KR202101011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11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97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97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7/00Accessories for brushes
    • A46B17/06Devices for cleaning brushes after use
    • A46B17/065Sterilising brushes; products integral with the brush for sterilising, e.g. tablets, rinse, disinfectant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5/00Other brushes; Brushes with additional arrangements
    • A46B15/0085Brushes provided with an identification, marking device or design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5/00Other brushes; Brushes with additional arrangements
    • A46B15/0095Brushes with a feature for storage after u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4Heat
    • A61L2/06Hot ga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61L2/10Ultraviolet 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26Accessories or devices or components used for biocidal treat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21Devices for positioning or connecting of water supply lin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04M1/72412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using two-way short-range wireless interface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2200/00Brushes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s, uses or applications
    • A46B2200/10For human or animal care
    • A46B2200/1066Toothbrush for cleaning the teeth or dentu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1Apparatus for generating biocidal substances, e.g. vaporisers, UV lamp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rushes (AREA)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서랍형 칫솔 살균 양치대 및 그 서랍형 칫솔 살균 양치대를 이용한 양치방법에 관한 것으로, 칫솔의 신속한 건조가 가능하며, 칫솔로부터 낙수된 오염수가 열풍건조 함에 따라 항시 청결한 상태가 유지될 수 있으며, 다수의 칫솔이 서로 맞닿지 않도록 구획되어 효과적인 위생관리가 가능하며, 칫솔이 누구의 것인지를 용이하게 인지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칫솔 살균 룸을 밀폐 공간으로 형성하므로 좁은 공간 안에서 자외선을 집중시켜서 살균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고, 칫솔 살균 룸의 내면에 반사막이 설치되는 경우, 반사막이 UV 램프의 자외선을 반사시켜서 칫솔의 치모 구석 구석을 살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개인마다 서랍형 칫솔 거치대를 별도로 구비하고, 그 서랍형 칫솔 거치대 안에 칫솔을 보관 및 거치하므로, 칫솔 간에 전염될 염려를 사전에 차단하고 위생을 더욱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서랍형 칫솔 살균 양치대 및 그 서랍형 칫솔 살균 양치대를 이용한 양치방법{DRAWER TYPE STERILIZATION TOOTH BRUSHING BASIN AND TOOTH BRUSHING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서랍형 칫솔 살균 양치대 및 그 서랍형 칫솔 살균 양치대를 이용한 양치방법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 서랍형 칫솔 거치대 안에 칫솔을 보관하고 살균처리할 수 있으므로 항상 칫솔을 청결하게 유지하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양치대 본체의 칫솔 살균 룸을 밀폐 공간으로 형성하므로 좁은 공간 안에서 자외선을 집중시켜서 살균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고, 개인마다 서랍형 칫솔 거치대를 별도로 구비하고 그 서랍형 칫솔 거치대 안에 각자의 칫솔을 보관 및 거치하므로 칫솔 간에 세균이 전염될 염려가 전혀 없어 위생을 더욱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는 서랍형 칫솔 살균 양치대 및 그 서랍형 칫솔 살균 양치대를 이용한 양치방법에 관한 것이다.
근래의 연구결과에 의하면, 칫솔 치모(brush)에는 소정의 습기와 미세한 음식물 찌꺼기로 인해 각종 세균이 서식하기에 가장 알맞은 환경을 제공하므로, 때때로 인체에 치명적인 병원균을 옮기는 세균 전염 원으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음을 경고하고 있다.
칫솔질의 목적은 구강 내 음식물 찌꺼기나 프라그 제거에 있으며, 이 과정 중 구강 유해 세균이 칫솔질 후 칫솔에 부착되어 잔류하거나 보관 중 공기 중 유해 세균의 부착 등으로 칫솔의 위생적인 보관이 잘 이루어지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칫솔 살균을 고려하는 사용자들은 UV 발생 살균소독기를 통해 칫솔에 잔존하는 유해 세균을 소독하고 있으며, 대다수의 유치원이나 초등학교 등 단체 시설에서도 보급되어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유치원 및 초등학교에 공급된 칫솔 살균기는 수도시설의 부족으로 인해 주어진 시간 내에 모든 인원이 양치하기에 어려움이 있으며, 치약만으로는 치아건강을 위한 구강 내 세균을 살균하는데 한계가 있다.
국내 특허등록 제10-0478756호 국내 특허공개 제10-2007-0079285호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양치대 본체의 전면에 서랍형태로 서랍형 칫솔 거치대가 설치되어 그 서랍형 칫솔 거치대 안에 칫솔을 보관하여 두고 살균처리할 수 있으므로 사용이 매우 편리하고 항상 칫솔을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으며, 양치대 본체의 칫솔 살균 룸이 밀폐 공간을 형성하므로 그 좁은 공간 안에서 자외선을 집중시켜서 살균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고, 개인마다 서랍형 칫솔 거치대를 별도로 구비하고 그 서랍형 칫솔 거치대 안에 각자의 칫솔을 보관 및 거치하므로 칫솔 간에 발생할 수 있는 세균 전염을 사전에 차단하여 위생을 더욱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는 서랍형 칫솔 살균 양치대 및 그 서랍형 칫솔 살균 양치대를 이용한 양치방법을 제공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서랍형 칫솔 살균 양치대는 전면에 다수의 관통 안내홀이 전후방향으로 형성된 원통관이 설치되고, 상기 관통 안내홀의 후방에 칫솔 살균 룸이 형성되는 양치대 본체; 상기 관통 안내홀 안에 수납되고 선택적으로 인출 가능하며, 내부에 칫솔을 거치할 수 있는 서랍형 칫솔 거치대; 및 상기 관통 안내홀 안에 상기 서랍형 칫솔 거치대를 수납한 상태에서, 상기 칫솔 살균 룸 안으로 유입된 상기 칫솔의 치모(brush)를 살균할 수 있도록 상기 칫솔 살균 룸에 설치되는 UV 램프;를 포함한다.
상기 양치대 본체의 전방에 양치용 물을 취수할 수 있는 취수대가 더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서랍형 칫솔 살균 양치대는 상기 관통 안내홀 안에서 상기 서랍형 칫솔 거치대가 로킹되고 임의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서랍형 칫솔 거치대 위치 제한 유닛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서랍형 칫솔 거치대 위치 제한 유닛은, 상기 관통 안내홀 내주면에 전후방향으로 형성되는 이탈방지 장홈; 및 상기 서랍형 칫솔 거치대의 인출시, 상기 이탈방지 장홈 안에 걸려서 상기 서랍형 칫솔 거치대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서랍형 칫솔 거치대의 외면에 설치되는 후크(hook);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서랍형 칫솔 거치대 위치 제한 유닛은, 상기 관통 안내홀 내주면에 전후방향으로 형성되는 이탈방지 장홈; 상기 관통 안내홀 내주면에 전후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이탈방지 장홈 뒤쪽에 형성되는 로킹홈; 상기 서랍형 칫솔 거치대의 전후진을 탄력적으로 하기 위한 스프링; 상기 서랍형 칫솔 거치대의 수납시, 상기 로킹홈 안에 로킹되도록 하고, 상기 서랍형 칫솔 거치대의 인출시, 상기 이탈방지 장홈 안에 걸려서 상기 서랍형 칫솔 거치대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서랍형 칫솔 거치대의 외면에 힌지를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후크; 및 상기 힌지에 설치되어 상기 후크를 탄력적으로 회동 가능하게 하는 토션 스프링;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서랍형 칫솔 거치대 위치 제한 유닛은, 상기 서랍형 칫솔 거치대를 상기 관통 안내홀 안에 수납하고 인출하는 원터치 방식으로 하되, 상기 서랍형 칫솔 거치대를 한번 누르면 로킹되고, 다시 한 번 더 누르면 로킹해제 되는 구성일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서랍형 칫솔 거치대 위치 제한 유닛은, 서랍형 칫솔 거치대의 외면에 조인트 힌지를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후크; 상기 서랍형 칫솔 거치대의 전후진을 탄력적으로 하기 위한 스프링; 상기 관통 안내홀 내주면에 형성되는 이탈방지 걸림턱; 상기 관통 안내홀 내주면에 형성되고 상기 걸림턱 뒤쪽에 형성되는 로킹턱; 상기 서랍형 칫솔 거치대의 전진시, 상기 후크의 진행을 가이드 하도록 상기 걸림턱과 상기 로킹턱을 연결하는 제1 가이드장홈; 및 상기 서랍형 칫솔 거치대의 후진시, 상기 후크의 진행을 가이드 하도록 상기 걸림턱과 상기 로킹턱을 연결하는 제2 가이드장홈;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칫솔 살균 룸은 밀폐 공간을 형성하고, 내면에는 반사막이 설치되어 UV가 반사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칫솔 살균 룸 내부에는 상기 칫솔의 치모를 열풍 건조하기 위한 열풍 건조기가 설치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서랍형 칫솔 살균 양치대를 이용한 양치방법은, 양치대 본체의 전면에 설치된 다수의 서랍형 칫솔 거치대 중에서 해당 서랍형 칫솔 거치대를 전진시켜서 인출하는 제1단계; 인출한 상기 서랍형 칫솔 거치대 안에 거치된 칫솔을 상기 서랍형 칫솔 거치대 밖으로 꺼내는 제2단계; 상기 칫솔에 치약을 묻혀서 양치질을 한 후에, 상기 취수대의 작동버튼을 눌러서 수전구로부터 직수(直水)를 공급받아 사용자의 입 안을 헹굼하는 제3단계; 상기 서랍형 칫솔 거치대 안에 상기 칫솔을 다시 거치하는 제4단계; 상기 서랍형 칫솔 거치대를 원위치로 후진시켜서 수납하는 제5단계; UV 램프가 상기 서랍형 칫솔 거치대를 수납한 상태에서, 상기 칫솔 살균 룸 안으로 유입된 상기 칫솔의 치모를 살균하는 제6단계; 및 상기 칫솔의 치모를 열풍 건조하는 제7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제1단계에서는, 서랍형 칫솔 거치대 위치 제한 유닛에 의해서 상기 서랍형 칫솔 거치대가 로킹되고 임의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칫솔을 보관 및 살균하여 항상 청결을 유지할 수 있으며, 종래에는 화장실 내에서 양치하고 별도의 장소에 칫솔을 보관하던 불편함에서 벗어나, 취수대와 칫솔 거치대가 일체로 구성됨으로써, 칫솔 보관과 양치질을 동일 장소에서 간편하고 신속하며 청결하게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칫솔의 신속한 건조가 가능하며, 칫솔로부터 낙수된 오염수가 열풍건조 함에 따라 항시 청결한 상태가 유지될 수 있으며, 다수의 칫솔이 서로 맞닿지 않도록 구획되어 효과적인 위생관리가 가능하며, 칫솔이 누구의 것인지를 용이하게 인지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칫솔 살균 룸을 밀폐 공간으로 형성하므로, 좁은 공간 안에서 자외선을 집중시켜서 살균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고, 칫솔 살균 룸의 내면에 반사막이 설치되는 경우, 반사막이 UV 램프의 자외선을 반사시켜서 칫솔의 치모 구석 구석을 살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개인마다 서랍형 칫솔 거치대를 별도로 구비하고, 그 서랍형 칫솔 거치대 안에 각자의 칫솔을 보관 및 거치하므로, 칫솔 간에 전염될 염려를 사전에 차단하고 위생을 더욱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서랍형 칫솔 살균 양치대를 도시한 정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서랍형 칫솔 살균 양치대의 내부를 보인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서랍형 칫솔 살균 양치대를 도시한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서랍형 칫솔 거치대를 도시한 정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서랍형 칫솔 거치대를 도시한 배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서랍형 칫솔 거치대를 도시한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서랍형 칫솔 거치대를 도시한 측면도로서, 제1 실시 예에 따른 서랍형 칫솔 거치대 위치 제한 유닛을 설명하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서랍형 칫솔 거치대를 도시한 저면도로서, 제1 실시 예에 따른 서랍형 칫솔 거치대 위치 제한 유닛을 설명하는 도면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서랍형 칫솔 살균 양치대에서, 제2 실시 예에 따른 서랍형 칫솔 거치대 위치 제한 유닛을 설명하는 측면도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서랍형 칫솔 살균 양치대에서, 제3 실시 예에 따른 서랍형 칫솔 거치대 위치 제한 유닛을 설명하는 평면도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의 서랍형 칫솔 거치대에서, 근거리 센서 및 액추에이터의 설치를 도시한 측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서랍형 칫솔 살균 양치대를 이용한 양치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서랍형 칫솔 살균 양치대 및 그 서랍형 칫솔 살균 양치대를 이용한 양치방법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서랍형 칫솔 살균 양치대를 도시한 정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서랍형 칫솔 살균 양치대의 내부를 보인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서랍형 칫솔 살균 양치대를 도시한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서랍형 칫솔 거치대를 도시한 정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서랍형 칫솔 거치대를 도시한 배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서랍형 칫솔 거치대를 도시한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서랍형 칫솔 거치대를 도시한 측면도로서, 제1 실시 예에 따른 서랍형 칫솔 거치대 위치 제한 유닛을 설명하는 도면, 및 도 8은 본 발명의 서랍형 칫솔 거치대를 도시한 저면도로서, 제1 실시 예에 따른 서랍형 칫솔 거치대 위치 제한 유닛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위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서랍형 칫솔 살균 양치대는 전면(前面)에 다수의 관통 안내홀(111)이 전후방향으로 형성된 원통관(112)이 설치되고, 관통 안내홀(111)의 후방에 칫솔 살균 룸(113)이 형성되는 양치대 본체(110); 관통 안내홀(111) 안에 수납되고 선택적으로 인출 가능하며, 내부에 칫솔(1)을 거치할 수 있는 서랍형 칫솔 거치대(120); 및 관통 안내홀(111) 안에 서랍형 칫솔 거치대(120)를 수납한 상태에서, 칫솔 살균 룸(113) 안으로 유입된 칫솔(1)의 치모(brush)(1a)를 살균할 수 있도록 칫솔 살균 룸(113)에 설치되는 UV 램프(13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서랍형 칫솔 살균 양치대의 구성을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양치대 본체(110)의 전방 쪽에는 양치용 물을 취수할 수 있도록 취수대(115)가 설치되고, 양치대 본체(110)의 후방 쪽에는 칫솔(1)을 보관하고 거치할 수 있는 서랍형 칫솔 거치대(120)가 수납 또는 인출 가능하게 마련된다.
상기 취수대(115)는 상대적으로 서랍형 칫솔 거치대(120)보다 낮게 위치하여 취수 및 양치질이 편리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양치대 본체(110)는 스테인레스 재질로 제작하여 쉽게 녹슬지 않도록 하고 외관을 미려(美麗)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취수대(115)는 상방으로 식수(직수)를 제공하는 수전구(115a)와, 수전구(115a)로부터 물을 분사하도록 하는 작동버튼(115b)을 구비한다.
수전구(115a)는 상방으로 식수를 제공하고, 작동버튼(115b)은 전방에 튀어나오도록 하여서 사용이 편리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자는 작동버튼(115b)을 눌러서 수전구(115a)로부터 식수를 공급받으며, 낙수(落水)는 취수대(115)에 형성된 경사면(115c)을 따라 하방으로 흘러내린 후, 배수구(미도시)를 통해서 배출하도록 구성된다.
작동버튼(115b)의 누름에 의해서 수전구(115a)로부터 식수를 분사하는 방식은 공지 공용의 기술에 해당하므로, 이에 대해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양치대 본체(110)의 후면에는 물통(116)이 구비될 수 있으며, 그 물통(116)은 급수관(116a)을 통해서 수전구(115a)와 연결된다.
상기 양치대 본체(110)의 전면에, 다수의 관통 안내홀(111)이 전후방향으로 형성된 원통관(112)이 설치되고, 그 관통 안내홀(111)의 후방에 칫솔 살균 룸(113)이 형성된다.
칫솔(1)을 살균할 수 있도록 칫솔 살균 룸(113)의 상측에는 UV 램프(13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UV 램프(130)는 자외선을 칫솔(1)에 조사하여 칫솔(1)의 치모(1a)를 살균하도록 한다.
참고로, 자외선(Ultra Violet: UV)은 약 397~10nm에 이르는 파장으로 이뤄진 전자기파를 일컫는 말이다.
자외선은 체내에서 비타민 D를 합성하고 살균 작용을 하는 등 화학작용을 많이 한다. 그래서 ‘열선’이라 불리는 적외선에 견주어 ‘화학선’이라 불리기도 한다.
어떤 자외선은 피부 깊숙이 침투해 진피를 손상시키고 화상을 일으키거나 노화를 촉진하는 유해 광선 구실도 한다. 이는, 자외선이 피부의 진피층을 구성하는 엘라스틴 과 콜라겐 등이 파괴하여 나타나는 현상이다.
자외선은 파장 영역에 따라 UVA (320~400nm: 선태닝, 광촉매 활성화 에너지원 등), UVB(280~320nm: 피부병 치료와 기상학 장비 등), UVC (200~280nm: 오존 파괴용, 소독용 등) 및 UVV(100~200nm: 반도체 공정에서 미량의 유기물질 제거 등)등으로 나뉜다.
자외선의 살균이나 화학, 생리, 형광 작용 등을 이용한 적용 분야가 확대되면서 다양한 형태의 자외선 램프가 개발되었는데, 자외선 램프는 태양광선의 1600배 효과로서 표면을 3600°로 가열한 효과와 동일하다. 이 자외선의 파장은 250nm 안팎으로, 만일, 1cm2 당 100μW의 강도를 가진 자외선을 1분간 조사하면 대장균, 디프레아균 및 이질균을 99% 죽일 정도로 매우 강력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상기 양치대 본체(110)의 칫솔 살균 룸(113)은 밀폐 공간을 형성하므로, 그 좁은 공간 안에서 자외선을 집중시켜서 살균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고, 양치대 본체(110)의 칫솔 살균 룸(113)의 내면에 반사막(117)이 더 설치되는 경우, 반사막(117)이 UV 램프(130)의 자외선을 반사시켜서 칫솔(1)의 치모(1a) 구석 구석을 살균할 수 있도록 한다.
반사막(117)은 평면일 수도 있지만, 요철 구조로 형성하여 난반사 시켜서 살균효율을 더욱 높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칫솔 살균 룸(113) 내부 또는 상측에 칫솔(1)의 치모(brush)(1a)를 열풍 건조하기 위한 열풍 건조기(119)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열풍 건조기(119)는 열풍을 밀폐 공간인 칫솔 살균 룸(113) 안에 공급하여서, 칫솔(1)의 치모(1a)를 건조 살균하여서 치모를 항상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랍형 칫솔 거치대(120)는 관통 안내홀(111) 안에 수납되고 선택적으로 인출 가능하며, 그 내부에 칫솔(1)을 보관하고 거치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원통관(112)이 양치대 본체(110)의 관통홀(110a) 안에 결합하고, 그 원통관(112)의 관통 안내홀(111) 안에 서랍형 칫솔 거치대(120)가 전후진 가능하게 인출되거나 수납되는 구조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원통관(112)을 관통홀(110a) 안에 결합(조립)하기 위하여, 원통관(112)의 전면에는 플랜지(112a)가 형성되고, 그 플랜지(112a)와 상응하여 양치대 본체(110)의 전면에는 플랜지 결합 단턱홈(111a)이 형성된다. 그 플랜지 결합 단턱홈(111a) 안에 플랜지(112a)가 안착되어 결합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원통관(112) 외주면에는 결합홈과 결합돌기가 교호적으로 형성되고, 이와 상응하여 양치대 본체(110)의 전면에도 결합돌기와 결합홈이 교호적으로 형성되어, 원통관(112)을 관통 안내홀(111) 안에 끼운 후 돌려서, 이들의 결합홈과 결합돌기를 서로 결합하는 방식으로 원통관(112)을 관통 안내홀(111) 안에 결합(조립)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원통관(112)의 내측면 양쪽에는 가이드 돌기(111b)가 형성되고, 그 가이드 돌기(111b)에 의해서 서랍형 칫솔 거치대(120)의 전후진 이동이 흔들림없이 안전하고 원활하게 가이드될 수 있다.
상기 서랍형 칫솔 거치대(120)는 반 원통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내부에 칫솔(1)을 거치할 수 있도록 복수개의 리브(rib)(121)가 형성된다.
상기 리브(121)는 서랍형 칫솔 거치대(120) 내부에 폭 방향으로 형성되어 서랍형 칫솔 거치대(120)의 구조적 강성을 유지하고, 그 리브(121)에 형성된 지지 홈(121a) 안에 칫솔(1)이 지지되도록 한다.
상기 서랍형 칫솔 거치대(120)의 전면에는 사용자 성명을 표시할 수도 있고, 손잡이(122)가 형성되며, 상기 서랍형 칫솔 거치대(120)의 후면에는 칫솔(1)의 빠짐을 방지하는 스토퍼(123)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손잡이(122)는 원호형상으로 형성되어 외관을 미려(美麗)하게 하고, 상기 스토퍼(123)는 빗살 형태로 구성하여 재료 절감을 하고 외관을 미려하게 하며, 서랍형 칫솔 거치대(120)의 바닥면에도 구멍(H)을 다수 형성하여 배수를 용이하게 하고, 서랍형 칫솔 거치대(120)의 재료 절감 및 무게 감소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서랍형 칫솔 살균 양치대는, 관통 안내홀(111) 안에서 서랍형 칫솔 거치대(120)를 로킹하고 임의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서랍형 칫솔 거치대 위치 제한 유닛(140)(240)(340)을 구비한다.
본 실시 예에서는, 제1 실시 예(140), 제2 실시 예(240), 및 제3 실시 예(340)를 설명하고 있으나, 이외에 다른 실시 예들도 가능하고 변형 예들도 추가로 가능함은 물론이다.
우선,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서랍형 칫솔 거치대 위치 제한 유닛(140)은, 관통 안내홀(111) 내주면에 전후방향으로 형성되는 이탈방지 장홈(141); 및 서랍형 칫솔 거치대(120)의 인출시, 이탈방지 장홈(141) 안에 걸려서 서랍형 칫솔 거치대(12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서랍형 칫솔 거치대(120)의 외면, 즉 하면에 일체로 설치되는 후크(142)를 포함한다.
상기 이탈방지 장홈(141)은 관통 안내홀(111) 바닥면에 전후방향으로 절개되어 형성되며, 상기 후크(142)는 서랍형 칫솔 거치대(120) 바닥면에 형성되어 이탈방지 장홈(141)을 따라 이동하고 이탈방지 장홈(141)의 끝단에 걸리도록 구성된다.
즉, 서랍형 칫솔 거치대(120) 수납 상태에서는, 후크(142)가 이탈방지 장홈(141) 안에 끼워져 있다가, 서랍형 칫솔 거치대(120)를 인출하면, 이탈방지 장홈(141)을 따라 이동하면서 이탈방지 장홈(141)의 끝단에 걸리면서 서랍형 칫솔 거치대(120)가 임의로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도 7 및 도 8 참조).
한편,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서랍형 칫솔 살균 양치대에서, 제2 실시 예에 따른 서랍형 칫솔 거치대 위치 제한 유닛을 설명하는 측면도이다.
위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서랍형 칫솔 거치대 위치 제한 유닛(240)은, 관통 안내홀(111) 내주면에 전후방향으로 형성되는 이탈방지 장홈(241); 상기 관통 안내홀(111) 내주면에 전후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이탈방지 장홈(241) 뒤쪽에 형성되는 로킹홈(242); 상기 서랍형 칫솔 거치대(120)의 전후진을 탄력적으로 하기 위한 스프링(243); 상기 서랍형 칫솔 거치대(120)의 수납시, 상기 로킹홈(242) 안에 로킹되도록 하고, 상기 서랍형 칫솔 거치대(120)의 인출시, 상기 이탈방지 장홈(241) 안에 걸려서 상기 서랍형 칫솔 거치대(12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서랍형 칫솔 거치대(120)의 외면에 힌지(244a)를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후크(244); 및 상기 힌지(244a)에 설치되어 상기 후크(244)를 탄력적으로 회동 가능하게 하는 토션 스프링(245);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서랍형 칫솔 거치대 위치 제한 유닛(240)에서는, 서랍형 칫솔 거치대(120) 수납 상태에서는, 후크(244)가 로킹홈(242) 안에 로킹되어 있다가, 서랍형 칫솔 거치대(120)를 인출하기 위하여 서랍형 칫솔 거치대(120)를 푸시하면, 서랍형 칫솔 거치대(120)가 약간 후진하는 순간에 힌지(244a)를 중심으로 후크(244)가 탄력적으로 회동하면서 로킹홈(242) 안에서 빠짐과 동시에 스프링(243)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서 서랍형 칫솔 거치대(120)가 전진한다. 이때, 힌지(244a)를 중심으로 후크(244)가 하방으로 회동하면서 이탈방지 장홈(241)의 끝단에 걸려서 서랍형 칫솔 거치대(120)가 임의로 이탈되지 않도록 로킹되는 것이다(도 9 및 도 10 참조).
또 한편,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서랍형 칫솔 살균 양치대에서, 제3 실시 예에 따른 서랍형 칫솔 거치대 위치 제한 유닛을 설명하는 평면도이다.
위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서랍형 칫솔 거치대 위치 제한 유닛(340)은, 서랍형 칫솔 거치대(120)를 관통 안내홀(111) 안에 수납하고 인출하는 동작을 원터치 방식으로 하되, 상기 서랍형 칫솔 거치대(120)를 한번 누르면 로킹되고, 다시 한번 더 누르면 로킹 해제되는 구성일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서랍형 칫솔 거치대 위치 제한 유닛(340)은 하트캠 구조를 채용하는 것으로서, 상기 서랍형 칫솔 거치대(120)의 외면에 조인트 힌지(344a)를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후크(344); 상기 서랍형 칫솔 거치대(120)의 전후진을 탄력적으로 하기 위한 스프링(345); 상기 관통 안내홀(111) 내주면에 형성되는 이탈방지 걸림턱(346); 상기 관통 안내홀(111) 내주면에 형성되고 상기 이탈방지 걸림턱(346) 뒤쪽에 형성되는 로킹턱(347); 상기 서랍형 칫솔 거치대(120)의 전진시, 상기 후크(344)의 진행을 가이드 하도록 상기 걸림턱(346)과 상기 로킹턱(347)을 연결하는 제1 가이드장홈(348); 및 상기 서랍형 칫솔 거치대(120)의 후진시, 상기 후크(344)의 진행을 가이드 하도록 상기 이탈방지 걸림턱(346)과 상기 로킹턱(347)을 연결하는 제2 가이드장홈(349);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서랍형 칫솔 거치대 위치 제한 유닛(340)에서, 서랍형 칫솔 거치대(120) 수납 상태에서는, 후크(344)는 로킹턱(347)에 걸린 상태를 유지한다. 이 상태에서 서랍형 칫솔 거치대(120)를 인출하기 위하여 서랍형 칫솔 거치대(120)를 푸시하면, 후크(344)는 제2 가이드장홈(349)을 따라 이동하여서 이탈방지 걸림턱(346)에 걸린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서랍형 칫솔 거치대(120)가 인출되는 것이다.
반면에, 서랍형 칫솔 거치대(120)를 수납하기 위하여 서랍형 칫솔 거치대(120)를 한 번 더 푸시하면, 후크(344)가 제1 가이드장홈(348)을 따라 이동하여서 이탈방지 로킹턱(347)에 걸린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다(도 11 및 도 12 참조).
더 나아가, 스마트폰은 이동 통신 및 정보처리 기술의 발전으로 인하여 화상 통화뿐만 아니라, 컨텐츠 서비스와 같은 다양한 무선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러한 스마트폰은 전술한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NFC(Near Field Communication) 기술을 적용하고 있다.
NFC 기술은 1356MHz의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비접촉식 근거리 무선 통신으로서, 10cm 이내의 가까운 거리에 있는 단말기들 사이에서 쌍방향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통신 기술을 의미한다.
최근의 스마트폰은 사용자 편의성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전술한 NFC 기능을 가진 루프 안테나에 무선 충전 기능을 가진 루프 안테나를 동시에 제공하는 형태로 무선 안테나의 설계 기술이 발전하고 있다.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의 서랍형 칫솔 거치대에서, 근거리 센서 및 액추에이터의 설치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사용자가 서랍형 칫솔 거치대(120)로 접근하는 경우, 사용자의 스마트폰이 서랍형 칫솔 거치대(120) 또는 양치대 본체(110)에 위치한 근거리 무선 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 NFC) 태그(125)를 인식하도록 하고, 해당 서랍형 칫솔 거치대(120)에 설치된 램프(127)가 점멸이나 불빛을 통하여 사용자에게 자신의 서랍형 칫솔 거치대(120)의 정확한 위치를 알려 줌으로써, 사용자가 자신의 서랍형 칫솔 거치대(120)를 쉽게 찾을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추가로, 서랍형 칫솔 양치대(120)에 설치된 액추에이터(128)가 구동하여서 자동으로 서랍형 칫솔 거치대(120)를 인출하여 칫솔(1)을 쉽게 꺼낼 수 있도록 하고, 양치질 이후에는 액추에이터(128)가 반대로 구동하여 자동으로 서랍형 칫솔 거치대(120)를 수납하도록 함으로써, 더욱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 한편, 도 15는 본 발명의 서랍형 칫솔 살균 양치대를 이용한 양치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위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서랍형 칫솔 살균 양치대를 이용한 양치방법은, 양치대 본체(110)의 전면에 설치된 다수의 서랍형 칫솔 거치대(120) 중에서 해당 서랍형 칫솔 거치대(120)를 전진시켜서 인출하는 제1 단계(S10); 인출한 서랍형 칫솔 거치대(120) 안에 거치된 칫솔(1)을 상기 서랍형 칫솔 거치대(120) 밖으로 꺼내는 제2 단계(S20); 칫솔(1)에 치약을 묻혀서 양치질을 한 후에, 취수대(111)의 작동버튼(111b)을 눌러서 수전구(111a)로부터 직수를 공급받아 사용자의 입 안을 헹굼하는 제3 단계(S30); 서랍형 칫솔 거치대(120) 안에 칫솔(1)을 다시 거치하는 제4 단계(S40); 서랍형 칫솔 거치대(120)를 원위치로 후진시켜서 수납하는 제5 단계(S50); UV 램프(130)가 서랍형 칫솔 거치대(120)를 수납한 상태에서, 칫솔 살균 룸(113) 안으로 유입된 칫솔(1)의 치모(1a)를 살균하는 제6 단계(S60); 및 칫솔(1)의 치모를 열풍 건조하는 제7 단계(S70)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단계(S10)에서는, 상기 서랍형 칫솔 거치대 위치 제한 유닛에 의해서 상기 서랍형 칫솔 거치대(120)가 로킹되고 임의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서랍형 칫솔 살균 양치대를 이용한 양치방법에서는, 우선, 상기 제1단계에서, 양치대 본체(110)의 전면에 설치된 다수의 서랍형 칫솔 거치대(120) 중에서 해당 서랍형 칫솔 거치대(120)를 전진(前進)시켜서 인출한다. 이때, 상기 원통관(112)의 내측면 양쪽에 형성된 가이드 돌기(111b)에 의해서 서랍형 칫솔 거치대(120)의 전후진 이동이 흔들림없이 안전하고 원활하게 가이드된다.
그리고 상기 이탈방지 장홈(141)이 관통 안내홀(111) 바닥면에 전후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후크(142)가 서랍형 칫솔 거치대(120) 바닥면에 형성되어 이탈방지 장홈(141)을 따라 이동하고 이탈방지 장홈(141)의 끝단에 걸리게 되어 임의로 빠지지 않게 된다(S10).
상기 제2단계에서, 인출한 서랍형 칫솔 거치대(120) 안에 거치된 칫솔(1)을 서랍형 칫솔 거치대(120) 밖으로 꺼낸다(S20).
상기 제3단계에서, 칫솔(1)에 치약을 묻혀서 양치질을 한 후에, 취수대(111)의 작동버튼(111b)을 눌러서 수전구(111a)로부터 직수를 공급받아 사용자의 입 안을 헹굼한다(S30).
상기 제4단계에서, 서랍형 칫솔 거치대(120) 안에 칫솔(1)을 다시 거치한다(S40).
상기 제5단계에서, 서랍형 칫솔 거치대(120)를 원위치로 후진시켜서 수납한다(S50).
상기 제6단계에서, UV 램프(130)가 서랍형 칫솔 거치대(120)를 수납한 상태에서, 칫솔 살균 룸(113) 안으로 유입된 칫솔(1)의 치모를 살균한다. 즉, UV 램프(130)가 칫솔 살균 룸(113) 안으로 자외선을 조사하여 치모를 살균한다.
UV 램프(130)를 이용한 자외선 살균방식은 센서(미도시)를 이용하여 서랍형 칫솔 거치대(120)가 수납되는 경우에 하거나, 혹은 정해진 일정 시점에 할 수도 있다.
이때, 칫솔 살균 룸(113)의 내면에 반사막(117)이 더 설치되는 경우, 반사막(117)이 UV 램프(130)의 자외선을 반사시켜서 칫솔(1)의 치모 구석 구석을 살균할 수 있다.
상기 제7 단계(S70)에서, 열풍 건조기(119)를 이용하여 칫솔(1)의 치모를 열풍 건조한다. 열풍 건조방식은 센서(미도시)를 이용하여 서랍형 칫솔 거치대(120)가 수납되는 경우에 하거나, 혹은 정해진 일정 시점에 할 수도 있다. 열풍건조(熱風乾燥, hot air drying)는 가열된 공기를 건조 매체로 이용하는 건조 방식을 말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칫솔을 보관 및 살균하여 항상 청결을 유지할 수 있으며, 종래에는 화장실 내에서 양치하고 별도의 장소에 칫솔을 보관하던 불편함에서 벗어나, 취수대와 칫솔 거치대가 일체로 구성됨으로써, 칫솔 보관과 양치질을 동일 장소에서 간편하고 신속하며 청결하게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칫솔의 신속한 건조가 가능하며, 칫솔로부터 낙수된 오염수가 열풍건조 함에 따라 항시 청결한 상태가 유지될 수 있으며, 다수의 칫솔이 서로 맞닿지 않도록 구획되어 효과적인 위생관리가 가능하며, 칫솔이 누구의 것인지를 용이하게 인지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칫솔 살균 룸을 밀폐 공간으로 형성하므로, 좁은 공간 안에서 자외선을 집중시켜서 살균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고, 칫솔 살균 룸의 내면에 반사막이 설치되는 경우, 반사막이 UV 램프의 자외선을 반사시켜서 칫솔의 치모 구석 구석을 살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개인마다 서랍형 칫솔 거치대를 별도로 구비하고, 그 서랍형 칫솔 거치대 안에 각자의 칫솔을 보관 및 거치하므로, 칫솔 간에 전염될 염려를 사전에 차단하고 위생을 더욱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있어서 첨부된 도면들에서 구성에 표기된 도면번호는 다른 도면에서도 동일한 구성을 표기할 때에 가능한 한 동일한 도면번호를 사용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의 기능 또는 공지의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도면에 제시된 어떤 특징들은 설명의 용이함을 위해 확대 또는 축소 또는 단순화된 것이고, 도면 및 그 구성요소들이 반드시 적절한 비율로 도시되어 있지는 않다. 그러나 당업자라면 이러한 상세 사항들을 쉽게 이해할 것이다.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전면', '후면', '상면', '하면' 등과 같은 도면에 보이는 것을 기준으로 기술하며, 전진 및 후진 등과 같은 표현은 서랍형 칫솔 거치대를 기준으로 설명한 것으로, 사용자를 기준으로 설명할 경우 반대로 표현될 수도 있다.
1: 칫솔
1a: 치모
110: 양치대 본체
110a: 관통홀
111: 관통 안내홀
111a: 플랜지 결합 단턱홈
112: 원통관
113: 칫솔 살균 룸
115: 취수대
115a: 수전구
115b: 작동버튼
115c: 경사면
116: 물통
117: 반사막
119: 열풍 건조기
130: UV 램프
140: 제1 실시 예의 서랍형 칫솔 거치대 위치 제한 유닛
240: 제2 실시 예의 서랍형 칫솔 거치대 위치 제한 유닛
340: 제3 실시 예의 서랍형 칫솔 거치대 위치 제한 유닛
241: 이탈방지 장홈
242; 로킹홈
243: 스프링
244a: 힌지
244: 후크
245: 토션 스프링
344: 후크
345: 스프링
346: 이탈방지 걸림턱
347: 로킹턱
348: 제1 가이드장홈
349; 제2 가이드장홈

Claims (13)

  1. 전면에 다수의 관통 안내홀(111)이 전후방향으로 형성된 원통관(112)이 설치되고, 상기 관통 안내홀(111)의 후방에 칫솔 살균 룸(113)이 형성되는 양치대 본체(110);
    상기 관통 안내홀(111) 안에 수납되고 선택적으로 인출 가능하며, 내부에 칫솔(1)을 거치할 수 있는 서랍형 칫솔 거치대(120); 및
    상기 관통 안내홀(111) 안에 상기 서랍형 칫솔 거치대(120)를 수납한 상태에서, 상기 칫솔 살균 룸(113) 안으로 유입된 상기 칫솔(1)의 치모를 살균할 수 있도록 상기 칫솔 살균 룸(113)에 설치되는 UV 램프(130);를 포함하는 서랍형 칫솔 살균 양치대.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양치대 본체(110)의 전방에 양치용 물을 취수할 수 있는 취수대(115)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랍형 칫솔 살균 양치대.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관통 안내홀(111) 안에서 상기 서랍형 칫솔 거치대(120)를 로킹하고 임의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서랍형 칫솔 거치대 위치 제한 유닛(140)(240)(340)을 더 포함하는 서랍형 칫솔 살균 양치대.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서랍형 칫솔 거치대 위치 제한 유닛(140)은,
    상기 관통 안내홀(111) 내주면에 전후방향으로 형성되는 이탈방지 장홈(141); 및
    상기 서랍형 칫솔 거치대(120)의 인출시, 상기 이탈방지 장홈(141) 안에 걸려서 상기 서랍형 칫솔 거치대(12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서랍형 칫솔 거치대(120)의 외면에 설치되는 후크(142);를 포함하는 서랍형 칫솔 살균 양치대.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서랍형 칫솔 거치대 위치 제한 유닛(240)은,
    상기 관통 안내홀(111) 내주면에 전후방향으로 형성되는 이탈방지 장홈(241);
    상기 관통 안내홀(111) 내주면에 전후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이탈방지 장홈(241) 뒤쪽에 형성되는 로킹홈(242);
    상기 서랍형 칫솔 거치대(120)의 전후진을 탄력적으로 하기 위한 스프링(243);
    상기 서랍형 칫솔 거치대(120)의 수납시, 상기 로킹홈(242) 안에 로킹되도록 하고, 상기 서랍형 칫솔 거치대(120)의 인출시, 상기 이탈방지 장홈(241) 안에 걸려서 상기 서랍형 칫솔 거치대(12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서랍형 칫솔 거치대(120)의 외면에 힌지(244a)를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후크(244); 및
    상기 힌지(244a)에 설치되어 상기 후크(244)를 탄력적으로 회동 가능하게 하는 토션 스프링(245);을 포함하는 서랍형 칫솔 살균 양치대.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서랍형 칫솔 거치대(120)를 상기 관통 안내홀(111) 안에 수납하고 인출하는 동작을 원터치 방식으로 하되,
    상기 서랍형 칫솔 거치대(120)를 한번 누르면 로킹되고, 다시 한 번 더 누르면 로킹해제 되는 구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랍형 칫솔 살균 양치대.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서랍형 칫솔 거치대(120)의 외면에 조인트 힌지(344a)를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후크(344);
    상기 서랍형 칫솔 거치대(120)의 전후진을 탄력적으로 하기 위한 스프링(345);
    상기 관통 안내홀(111) 내주면에 형성되는 이탈방지 걸림턱(346);
    상기 관통 안내홀(111) 내주면에 형성되고 상기 이탈방지 걸림턱(346) 뒤쪽에 형성되는 로킹턱(347);
    상기 서랍형 칫솔 거치대(120)의 후진시, 상기 후크(344)의 진행을 가이드 하도록 상기 걸림턱(346)과 상기 로킹턱(347)을 연결하는 제1 가이드장홈(348); 및
    상기 서랍형 칫솔 거치대(120)의 전진시, 상기 후크(344)의 진행을 가이드 하도록 상기 이탈방지 걸림턱(346)과 상기 로킹턱(347)을 연결하는 제2 가이드장홈(349);을 포함하는 서랍형 칫솔 살균 양치대.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칫솔 살균 룸(113)은 밀폐 공간을 형성하고, 내면에는 반사막(117)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랍형 칫솔 살균 양치대.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칫솔 살균 룸(113) 내부에는 상기 칫솔(1)의 치모를 열풍 건조하기 위한 열풍 건조기(119)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랍형 칫솔 살균 양치대.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사용자가 상기 서랍형 칫솔 거치대(120)로 접근하는 경우, 사용자의 스마트폰이 상기 서랍형 칫솔 거치대(120)에 위치한 근거리 무선 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 NFC) 태그(125)를 인식하도록 하고, 상기 서랍형 칫솔 거치대(120)에 설치된 램프(127)가 사용자에게 자신의 상기 서랍형 칫솔 거치대(120)의 정확한 위치를 알려주도록 하는 것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랍형 칫솔 살균 양치대.
  11.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10에 있어서,
    사용자가 상기 서랍형 칫솔 거치대(120)로 접근하는 경우, 상기 서랍형 칫솔 양치대(120)에 설치된 액추에이터(128)가 구동하여서 자동으로 상기 서랍형 칫솔 거치대(120)를 인출하여 상기 칫솔(1)을 쉽게 꺼낼 수 있도록 하고, 양치질 이후에는 상기 액추에이터(128)가 반대로 구동하여 자동으로 상기 서랍형 칫솔 거치대(120)를 수납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랍형 칫솔 살균 양치대.
  12. 제1항에 기재된 서랍형 칫솔 살균 양치대를 이용한 양치방법으로서,
    양치대 본체(110)의 전면에 설치된 다수의 서랍형 칫솔 거치대(120) 중에서 해당 서랍형 칫솔 거치대(120)를 전진시켜서 인출하는 제1 단계(S10);
    인출한 상기 서랍형 칫솔 거치대(120) 안에 거치된 칫솔(1)을 상기 서랍형 칫솔 거치대(120) 밖으로 꺼내는 제2 단계(S20);
    상기 칫솔(1)에 치약을 묻혀서 양치질을 한 후에, 상기 취수대(115)의 작동버튼(115b)을 눌러서 수전구(115a)로부터 직수를 공급받아 사용자의 입 안을 헹굼하는 제3 단계(S30);
    상기 서랍형 칫솔 거치대(120) 안에 상기 칫솔(1)을 다시 거치하는 제4 단계(S40);
    상기 서랍형 칫솔 거치대(120)를 원위치로 후진시켜서 수납하는 제5 단계(S50);
    UV 램프(130)가 상기 서랍형 칫솔 거치대(120)를 수납한 상태에서, 상기 칫솔 살균 룸(113) 안으로 유입된 상기 칫솔(1)의 치모(1a)를 살균하는 제6 단계(S60); 및
    상기 칫솔(1)의 치모를 열풍 건조하는 제7 단계(S70); 를 포함하는 서랍형 칫솔 살균 양치대를 이용한 양치방법.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제1 단계(S10)에서는, 서랍형 칫솔 거치대 위치 제한 유닛에 의해서 상기 서랍형 칫솔 거치대(120)가 로킹되고 임의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랍형 칫솔 살균 양치대를 이용한 양치방법.
KR1020200050000A 2020-02-07 2020-04-24 서랍형 칫솔 살균 양치대 KR1025797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0000A KR102579728B1 (ko) 2020-02-07 2020-04-24 서랍형 칫솔 살균 양치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4633A KR102128218B1 (ko) 2020-02-07 2020-02-07 서랍형 칫솔 살균 양치대 및 그 서랍형 칫솔 살균 양치대를 이용한 양치방법
KR1020200050000A KR102579728B1 (ko) 2020-02-07 2020-04-24 서랍형 칫솔 살균 양치대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4633A Division KR102128218B1 (ko) 2020-02-07 2020-02-07 서랍형 칫솔 살균 양치대 및 그 서랍형 칫솔 살균 양치대를 이용한 양치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1110A true KR20210101110A (ko) 2021-08-18
KR102579728B1 KR102579728B1 (ko) 2023-09-15

Family

ID=7112086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4633A KR102128218B1 (ko) 2020-02-07 2020-02-07 서랍형 칫솔 살균 양치대 및 그 서랍형 칫솔 살균 양치대를 이용한 양치방법
KR1020200050000A KR102579728B1 (ko) 2020-02-07 2020-04-24 서랍형 칫솔 살균 양치대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4633A KR102128218B1 (ko) 2020-02-07 2020-02-07 서랍형 칫솔 살균 양치대 및 그 서랍형 칫솔 살균 양치대를 이용한 양치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12821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3956B1 (ko) * 2021-10-21 2022-05-03 민서아이오티 주식회사 사용여부 확인이 가능한 서랍형 칫솔 살균장치
KR20230103467A (ko) 2021-12-31 2023-07-07 박길미 양치대
KR20240000268A (ko) * 2022-06-23 2024-01-02 박길재 온수공급 및 토수방향 전환구조의 서랍형 칫솔 살균 양치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50711B1 (ko) 2021-10-21 2022-10-06 민서아이오티 주식회사 서랍형 칫솔 살균장치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249022A (ja) * 1988-03-29 1989-10-04 Toto Ltd 歯磨き用具収納ケース及び歯磨き用具収納ケース付き配管ユニット
JP2000325442A (ja) * 1999-03-16 2000-11-28 Mk:Kk 歯ブラシの殺菌装置
KR100478756B1 (ko) 2004-06-14 2005-03-28 (주) 주성엔지니어링 칫솔 살균기
KR20070079285A (ko) 2006-02-06 2007-08-06 에센시아주식회사 휴대용 칫솔 살균기
KR20080004188A (ko) * 2006-07-05 2008-01-09 우관식 매립형태의 욕실 소품함
KR20110002324A (ko) * 2009-07-01 2011-01-07 정희선 서랍의 이탈이 방지되는 조립식 카트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4329B1 (ko) * 2015-11-11 2016-02-16 성지훈 탄소 발열 전기소독기
KR102060284B1 (ko) * 2019-09-19 2019-12-27 박길재 칫솔 살균 양치대 및 그 칫솔 살균 양치대를 이용한 양치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249022A (ja) * 1988-03-29 1989-10-04 Toto Ltd 歯磨き用具収納ケース及び歯磨き用具収納ケース付き配管ユニット
JP2000325442A (ja) * 1999-03-16 2000-11-28 Mk:Kk 歯ブラシの殺菌装置
KR100478756B1 (ko) 2004-06-14 2005-03-28 (주) 주성엔지니어링 칫솔 살균기
KR20070079285A (ko) 2006-02-06 2007-08-06 에센시아주식회사 휴대용 칫솔 살균기
KR20080004188A (ko) * 2006-07-05 2008-01-09 우관식 매립형태의 욕실 소품함
KR20110002324A (ko) * 2009-07-01 2011-01-07 정희선 서랍의 이탈이 방지되는 조립식 카트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3956B1 (ko) * 2021-10-21 2022-05-03 민서아이오티 주식회사 사용여부 확인이 가능한 서랍형 칫솔 살균장치
KR20230103467A (ko) 2021-12-31 2023-07-07 박길미 양치대
KR20240000268A (ko) * 2022-06-23 2024-01-02 박길재 온수공급 및 토수방향 전환구조의 서랍형 칫솔 살균 양치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79728B1 (ko) 2023-09-15
KR102128218B1 (ko) 2020-06-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10101110A (ko) 서랍형 칫솔 살균 양치대 및 그 서랍형 칫솔 살균 양치대를 이용한 양치방법
US9717325B2 (en) Rechargeable facial brush with sterilization
US7213603B2 (en) System and method for toothbrush sanitization and storage
US7246400B2 (en) Hygienic toothbrush with cover
US7560706B1 (en) UV germicide device for cosmetics and cosmetic implements
US20110100865A1 (en) Hygienic Container
KR20160076548A (ko) 화장용 붓 세척 및 살균건조기
US20100061887A1 (en) Ultraviolet Sterilizer for Cosmetic Applicators
KR102060284B1 (ko) 칫솔 살균 양치대 및 그 칫솔 살균 양치대를 이용한 양치방법
KR101701187B1 (ko) 트레이 거치형 미용기구 살균소독장치
KR101731708B1 (ko) 살균 소독기
KR102658010B1 (ko) 온수공급 및 토수방향 전환구조의 서랍형 칫솔 살균 양치대
KR20190079793A (ko) 휴대용 화장 브러시 세척 키트 및 이를 이용한 화장 브러시 세척방법
KR200437195Y1 (ko) 칫솔겸용 혀 클리너 살균기
KR20180134594A (ko) 자외선을 이용한 자동 살균 쿠션 콤팩트 케이스
KR102450711B1 (ko) 서랍형 칫솔 살균장치
KR101841022B1 (ko) 메이크업 도구 세척기 및 이를 이용한 메이크업 도구 세척 방법
CN210226658U (zh) 一种美妆蛋除螨杀菌装置
KR200431574Y1 (ko) 휴대용 멸균기
JP3081414U (ja) 歯ブラシクリーナー
KR102393956B1 (ko) 사용여부 확인이 가능한 서랍형 칫솔 살균장치
CN218303843U (zh) 一种折叠式便携消毒牙刷
KR102258013B1 (ko) 화장 세정용 리무버
JPH07503388A (ja) 洗面所組織体及び消毒用装置
CN213191376U (zh) 消毒盖和消毒盒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