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1022B1 - 메이크업 도구 세척기 및 이를 이용한 메이크업 도구 세척 방법 - Google Patents

메이크업 도구 세척기 및 이를 이용한 메이크업 도구 세척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1022B1
KR101841022B1 KR1020160012217A KR20160012217A KR101841022B1 KR 101841022 B1 KR101841022 B1 KR 101841022B1 KR 1020160012217 A KR1020160012217 A KR 1020160012217A KR 20160012217 A KR20160012217 A KR 20160012217A KR 101841022 B1 KR101841022 B1 KR 1018410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eaning
makeup tool
unit
sterilizing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122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91337A (ko
Inventor
김미래
Original Assignee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0122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1022B1/ko
Publication of KR201700913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913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10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10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1/00Cleaning flexible or delicate articles by 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to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7/00Accessories for brushes
    • A46B17/06Devices for cleaning brushes after use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7/00Accessories for brushes
    • A46B17/06Devices for cleaning brushes after use
    • A46B17/065Sterilising brushes; products integral with the brush for sterilising, e.g. tablets, rinse, disinfecta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61L2/10Ultraviolet radi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4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 B08B3/08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the liquid having chemical or dissolving effect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2200/00Brushes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s, uses or applications
    • A46B2200/10For human or animal care
    • A46B2200/1046Brush used for applying cosme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1Apparatus for generating biocidal substances, e.g. vaporisers, UV lamp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 Cleaning By Liquid Or Stea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메이크업 도구 세척기 및 이를 이용한 메이크업 도구 세척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물건 보관이 가능하도록 상측면에 구비되는 수납부; 상기 수납부의 하부에 구비되어 메이크업 도구를 살균하는 살균부; 및 상기 살균부의 하부에 구비되어 메이크업 도구를 세척하는 세척부를 포함하는 것을 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메이크업 도구 세척기 및 이를 이용한 메이크업 도구 세척 방법에 따르면, 수납부의 2중 커버를 통해 사용자의 사진 등을 이용하여 외부 디자인을 간편하게 꾸밀 수 있고, 각종 액세서리 등을 보관할 수 있으며, 커버에 거울을 부착함으로써, 미니 화장대로도 사용할 수 있고, 살균부에 구비된 자외선(UV) 램프를 통해 메이크업 도구를 효과적으로 살균하고, 세척부에서 메이크업 도구의 세척, 헹굼 및 건조까지 자동으로 행해지며, 살균부와 세척부가 독립적으로 분리가 가능하고 각각 별도의 케이스를 포함함으로써, 휴대성이 더욱 높아질 수 있다.

Description

메이크업 도구 세척기 및 이를 이용한 메이크업 도구 세척 방법{APPARATUS FOR CLEANING MAKE-UP TOOLS, AND CLEANING METHOD OF MAKE-UP TOOLS USING THE SAME}
본 발명의 메이크업 도구 세척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메이크업 도구 세척기 및 이를 이용한 메이크업 도구 세척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여성들이 얼굴에 화장을 할 때, 메이크업 브러시 및 퍼프 등과 같은 메이크업 도구들을 사용하며, 이러한 메이크업 도구들로는, 기초화장이나 입체화장, 색조화장을 위해 파운데이션, 파우더, 섀도우 등을 바르는 데 사용되는 메이크업 브러시 및 퍼프, 마스카라용 브러시, 립스틱용 브러시 등이 있다.
메이크업 도구들은, 매번 화장품을 묻혀서 사용한 후, 그대로 보관하고 재사용하게 된다. 따라서 시간이 지남에 따라, 도구에 남아있는 화장품과 피부와의 반복적인 접촉에 의해 세균이 번식할 수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 많은 사람들이 메이크업 도구에 번식한 세균이 피부에 얼마나 안 좋은 영향을 미치고, 심각하게는 질병까지 유발할 수도 있다는 사실에 대해 큰 경각심을 갖고 있지는 않은 실정이다.
즉, 보통 메이크업 도구 사용자들은, 주기적으로 세척을 하지 않고 메이크업 도구를 재사용하거나, 일정 기간 사용 후 새 제품을 다시 구입하여 사용하며, 또한, 개인적으로 세척을 하는 경우에도, 직접 손으로 제품을 세척하고, 건조하는 과정에서 메이크업 도구의 기능이 손상될 수 있고, 번거롭다는 불편함이 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95531호 및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298914호는 화장용구 보관함 및 메이크업 브러시 살균 건조기에 대한 선행기술 문헌을 개시하고 있다.
본 발명은 기존에 제안된 방법들의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수납부의 2중 커버를 통해 사용자의 사진 등을 이용하여 외부 디자인을 간편하게 꾸밀 수 있고, 각종 액세서리 등을 보관할 수 있으며, 커버에 거울을 부착함으로써, 미니 화장대로도 사용할 수 있고, 살균부에 구비된 자외선(UV) 램프를 통해 메이크업 도구를 효과적으로 살균하고, 세척부에서 메이크업 도구의 세척, 헹굼 및 건조까지 자동으로 행해지며, 살균부와 세척부가 독립적으로 분리가 가능하고 각각 별도의 케이스를 포함함으로써, 휴대성이 더욱 높아질 수 있는, 메이크업 도구 세척기 및 이를 이용한 메이크업 도구 세척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메이크업 도구 세척기는,
물건 보관이 가능하도록 상측면에 구비되는 수납부;
상기 수납부의 하부에 구비되어 메이크업 도구를 살균하는 살균부; 및
상기 살균부의 하부에 구비되어 메이크업 도구를 세척하는 세척부를 포함하는 것을 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납부는,
윗면에 힌지결합되어 힌지축을 축으로 회동되어 개폐되는 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커버는,
외부커버 및 내부커버로 구성되는 2중 커버일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외부커버는,
투명 재질일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내부커버는,
아랫면에 거울이 부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살균부는,
상기 메이크업 도구를 자외선(UV) 램프를 이용하여 살균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세척부는,
윗면에 힌지결합되어 힌지축을 축으로 회동되어 개폐되는 세척부 커버;
상기 메이크업 도구를 세척하기 위한 세정액 및 물이 각각 따로 담겨지는 세정액 공간;
상기 메이크업 도구가 세척, 헹굼 및 건조되는 세척 공간; 및
상기 메이크업 도구의 자동 세척 동작이 입력되도록, 상기 세척부 커버의 외부로 노출되어 구비되는 세척 버튼 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세척부 커버는,
상기 메이크업 도구가 세척되는 과정이 육안으로 확인되도록, 투명한 소재로 이루어지는 글래스 파트를 포함할 수 있다.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글래스 파트는,
아크릴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세척 버튼 공간은,
세척, 헹굼, 건조 및 자동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작동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살균부와 상기 세척부는 분리가 가능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살균부와 상기 세척부가 분리가 가능하도록 양 측면에 상하 분리 버튼이 구비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살균부의 하단에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부착되는 살균부 케이스; 및
상기 세척부의 상단에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부착되는 세척부 케이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살균부 케이스는,
하단 부분에 미끄럼 방지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세척부 케이스는,
상기 세척부에서 상기 메이크업 도구가 세척되는 과정이 육안으로 확인되도록, 투명한 소재로 이루어지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메이크업 도구 세척기를 이용한 메이크업 도구 세척 방법은,
(1) 세척 공간에 메이크업 도구가 거치되는 단계;
(2) 세정액 공간에서 상기 단계 (1)에서 메이크업 도구가 거치된 세척 공간에 세정액 및 물을 투입하는 단계; 및
(3) 상기 세척 공간에서 상기 단계 (2)에서 투입된 세정액 및 물을 이용하여 상기 메이크업 도구를 세척 및 헹구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4) 상기 세척 공간에서 상기 단계 (3)에서 세척 및 헹궈진 메이크업 도구를 건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5) 살균부에서 상기 단계 (4)에서 건조된 메이크업 도구를 살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계 (5)의 살균부는,
상기 메이크업 도구를 자외선(UV) 램프를 이용하여 살균할 수 있다.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세척 공간 및 상기 세정액 공간은 세척부에 구비될 수 있다.
더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세척부 및 상기 살균부는 분리가 가능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메이크업 도구 세척기 및 이를 이용한 메이크업 도구 세척 방법에 따르면, 수납부의 2중 커버를 통해 사용자의 사진 등을 이용하여 외부 디자인을 간편하게 꾸밀 수 있고, 각종 액세서리 등을 보관할 수 있으며, 커버에 거울을 부착함으로써, 미니 화장대로도 사용할 수 있고, 살균부에 구비된 자외선(UV) 램프를 통해 메이크업 도구를 효과적으로 살균하고, 세척부에서 메이크업 도구의 세척, 헹굼 및 건조까지 자동으로 행해지며, 살균부와 세척부가 독립적으로 분리가 가능하고 각각 별도의 케이스를 포함함으로써, 휴대성이 더욱 높아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메이크업 도구 세척기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메이크업 도구 세척기의 수납부의 커버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메이크업 도구 세척기의 수납부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메이크업 도구 세척기의 살균부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메이크업 도구 세척기의 세척부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메이크업 도구 세척기의 세척부 커버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메이크업 도구 세척기의 살균부 및 세척부가 분리 가능한 모습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메이크업 도구 세척기의 살균부 케이스 및 세척부 케이스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메이크업 도구 세척기를 이용한 메이크업 도구 세척 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메이크업 도구 세척기를 이용한 메이크업 도구 세척 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메이크업 도구 세척기를 이용한 메이크업 도구 세척 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부호를 사용한다.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 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 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 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메이크업 도구 세척기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메이크업 도구 세척기는, 수납부(100), 살균부(200) 및 세척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수납부(100)는, 물건 보관이 가능하도록 상측면에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물건은, 화장품, 메이크업 도구, 이어폰, USB 케이블 등을 포함하는 각종 물건일 수 있다. 이러한 수납부(100)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해서는 추후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살균부(200)는, 수납부(100)의 하부에 구비되어 메이크업 도구를 살균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수납부(100)를 힌지축을 축으로 하여 위로 올리는 방식으로 개방하면 보이는 위치에 살균부(200)가 구비될 수 있다. 즉, 수납부(100)가 살균부(200)의 커버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러한 살균부(200)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해서는 추후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세척부(300)는, 살균부(200)의 하부에 구비되어 메이크업 도구를 세척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실시예에 따라서, 세척부(300)는, 메이크업 도구를 자동으로 세척할 수 있다. 즉, 세척하고 헹구고 건조하는 세척 과정이 자동으로 진행될 수 있다. 이러한 세척부(300)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해서는 추후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메이크업 도구 세척기의 수납부(100)의 커버(110)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메이크업 도구 세척기의 수납부(100)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에에 따른 메이크업 도구 세척기의 수납부(100)는, 윗면에 힌지결합되어 힌지축을 축으로 회동되어 개폐되는 커버(11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커버(1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커버(111) 및 내부커버(113)로 구성될 수 있고, 여기서, 실시예에 따라서는, 외부커버(111)는, 투명 재질일 수 있으며, 내부커버(113)는, 아랫면에 거울이 부착될 수 있다.
즉, 이와 같이, 커버(110)를 2중으로 하면서, 외부커버(111)를 투명 재질로 구성하여, 외부커버(111)와 내부커버(113)의 사이에 사진이나 명함 등을 끼우는 등 사용자가 자유롭게 외관 디자인을 꾸밀 수 있고, 내부커버(113)의 아랫면에 거울을 부착하여, 미니 화장대의 용도로도 사용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납부(100)는, 외부의 일측면에 구비된 버튼을 눌러 커버(110)가 열리면서 개방될 수 있고, 내부 공간에 다양한 물건을 보관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메이크업 도구 세척기의 살균부(200)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메이크업 도구 세척기의 살균부(200)는, 메이크업 도구를 나열할 수 있는 내부 공간을 가질 수 있으며, 메이크업 도구를 자외선(UV) 램프(210)를 이용하여 살균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서는, 외부의 일측면에 구비된 버튼을 눌러 수납부(100)가 위로 들리면서 개방될 수 있고, 이때, 살균부(200)를 개방하기 위한 버튼과, 수납부(100)를 개방하기 위한 버튼은, 나란히 구비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메이크업 도구 세척기의 세척부(300)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메이크업 도구 세척기의 세척부(300)는, 세척부 커버(310), 세정액 공간(330), 세척 공간(350) 및 세척 버튼 공간(370)을 포함할 수 있다.
세척부 커버(310)는, 세척부(300)의 윗면에 힌지결합되어 힌지축을 축으로 회동되어 개폐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세척부(300)는, 별도로 세척부 커버(310)를 구비하여, 수납부(100) 및 살균부(200)와 독립적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세척부 커버(310)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해서는, 추후 도 6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세정액 공간(330)은, 메이크업 도구를 세척하기 위한 세정액 및 물이 각각 따로 담겨질 수 있다. 즉, 세정액 공간(330)은, 세척부(300)의 내부 공간에 구비되고, 메이크업 도구를 세척하기 위한 세정액통 및 물통을 포함할 수 있으며, 실시예에 따라서는, 세척 공간(350)과 연결되어 세정액 공간(330)에 담겨진 세정액 및 물이 세척 공간(350)으로 투입되도록 할 수 있다.
세척 공간(350)은, 메이크업 도구가 세척, 헹굼 및 건조될 수 있다. 즉, 세척 공간(350)에서 메이크업 도구의 세척, 헹굼 및 건조가 버튼 조작에 따라 자동으로 진행될 수 있으며, 실시예에 따라서는, 메이크업 도구를 거치할 수 있도록 내부에 거치대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거치대로는, 끼움홈, 걸이봉 및 벨크로 중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를 사용할 수 있고, 다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세척 버튼 공간(370)은, 메이크업 도구의 자동 세척 동작이 입력되도록, 세척부 커버(310)의 외부로 노출되어 구비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세척 버튼 공간(370)은, 세척, 헹굼, 건조 및 자동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작동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자동 버튼은, 메이크업 도구의 세척, 헹굼 및 건조가 순차적으로 진행되도록 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메이크업 도구 세척기의 세척부 커버(310)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메이크업 도구 세척기의 세척부 커버(310)는, 메이크업 도구가 세척되는 과정이 육안으로 확인되도록, 투명한 소재로 이루어지는 글래스 파트(311)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보다 구체적으로는, 세척 공간(350)에서 메이크업 도구가 세척되는 과정이 외부에서도 확인될 수 있도록, 세척부 커버(310)의 세척 공간(350)의 상부에 해당하는 위치에는 투명한 소재의 글래스 파트(311)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글래스 파트(311)는, 실시예에 따라서, 아크릴 소재일 수 있다.
또한, 세척 버튼 공간(370)이 외부로 돌출될 수 있도록, 세척 버튼 공간(370)을 관통시키는 구멍이 형성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메이크업 도구 세척기의 살균부(200) 및 세척부(300)가 분리 가능한 모습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메이크업 도구 세척기의 살균부 케이스(230) 및 세척부 케이스(390)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메이크업 도구 세척기의 살균부(200)와 세척부(300)는 분리가 가능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살균부(200)와 세척부(300)는 상하로 분리가 가능할 수 있고, 이때, 살균부(200)와 세척부(300)가 분리가 가능하도록 양 측면에 상하 분리 버튼(400)이 구비될 수 있다. 즉, 양 측면에 구비된 상하 분리 버튼(400)을 누름으로써, 살균부(200)와 세척부(300)는 상하로 분리될 수 있다.
또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살균부(200)의 하단에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부착되는 살균부 케이스(230), 및 세척부(300)의 상단에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부착되는 세척부 케이스(3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살균부(200)와 세척부(300)가 상하로 분리가 가능하되, 각각 하단 및 상단에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부착되는 살균부 케이스(230) 및 세척부 케이스(390)를 더 포함함으로써, 휴대성이 보다 높아질 수 있다.
한편, 살균부 케이스(230)는, 하단 부분에 미끄럼 방지 돌기가 형성될 수 있으며, 실시예에 따라서는, 완충재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실리콘 재질을 사용할 수 있고, 안쪽 면에는 쿠션감이 있는 재질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세척부 케이스(390)는, 세척부(300)에서 메이크업 도구가 세척되는 과정이 육안으로 확인되도록 투명한 소재로 이루어지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보다 구체적으로, 세척부 케이스(390)는, 세척부 커버(310)와 같이, 세척 공간(350)에서의 세척 과정이 외부에서도 육안으로 확인될 수 있도록 세척부 커버(310)의 글래스 파트(311)와 같은 투명한 소재로 이루어지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메이크업 도구 세척기를 이용한 메이크업 도구 세척 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메이크업 도구 세척기를 이용한 메이크업 도구 세척 방법은, 세척 공간(350)에 메이크업 도구가 거치되는 단계(S100), 세정액 공간(330)에서 단계 S100에서 메이크업 도구가 거치된 세척 공간(350)에 세정액 및 물을 투입하는 단계(S200), 및 세척 공간(350)에서 단계 S200에서 투입된 세정액 및 물을 이용하여 메이크업 도구를 세척 및 헹구는 단계(S300)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이때, 단계 S100 내지 단계 S300의 세정액 공간(330) 및 세척 공간(350)은, 세척부(300)에 구비될 수 있으며, 세정액 공간(330), 세척 공간(350) 및 세척부(300)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해서는 앞에서 도 1, 도 5 및 도 6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으므로, 이하 생략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메이크업 도구 세척기를 이용한 메이크업 도구 세척 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세척 공간(350)에서 단계 S300에서 세척 및 헹궈진 메이크업 도구를 건조하는 단계(S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단계 S400의 세척 공간(350)은, 세척부(300)에 구비될 수 있으며, 세척 공간(350) 및 세척부(300)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해서는 앞에서 도 1,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으므로, 이하 생략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메이크업 도구 세척기를 이용한 메이크업 도구 세척 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살균부(200)에서 단계 S400에서 건조된 메이크업 도구를 살균하는 단계(S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단계 S500의 살균부(200)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해서는 앞에서 도 1 및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으므로 이하 생략하며, 앞에서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단계 S100 내지 단계 S500에 있어서, 살균부(200)와 세척부(300)는 분리가 가능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이나 응용이 가능하며, 본 발명에 따른 기술적 사상의 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수납부 110: 커버
111: 외부커버 113: 내부커버
200: 살균부 210: 자외선(UV) 램프
230: 살균부 케이스 300: 세척부
310: 세척부 커버 311: 글래스 파트
330: 세정액 공간 350: 세척 공간
370: 세척 버튼 공간 390: 세척부 케이스
400: 상하 분리 버튼
S100: 세척 공간에 메이크업 도구가 거치되는 단계
S200: 세정액 공간에서 단계 S100에서 메이크업 도구가 거치된 세척 공간에 세정액 및 물을 투입하는 단계
S300: 세척 공간에서 단계 S200에서 투입된 세정액 및 물을 이용하여 메이크업 도구를 세척 및 헹구는 단계
S400: 세척 공간에서 단계 S300에서 세척 및 헹궈진 메이크업 도구를 건조하는 단계
S500: 살균부에서 단계 S400에서 건조된 메이크업 도구를 살균하는 단계

Claims (20)

  1. 메이크업 도구 세척기로서,
    물건 보관이 가능하도록 상측면에 구비되는 수납부(100);
    상기 수납부(100)의 하부에 구비되어 메이크업 도구를 살균하는 살균부(200); 및
    상기 살균부(200)의 하부에 구비되어 메이크업 도구를 세척하는 세척부(300)를 포함하되,
    상기 세척부(300)는,
    윗면에 힌지결합되어 힌지축을 축으로 회동되어 개폐되는 세척부 커버(310);
    상기 메이크업 도구를 세척하기 위한 세정액 및 물이 각각 따로 담겨지는 세정액 공간(330);
    상기 메이크업 도구가 세척, 헹굼 및 건조되는 세척 공간(350); 및
    상기 메이크업 도구의 자동 세척 동작이 입력되도록, 상기 세척부 커버(310)의 외부로 노출되어 구비되는 세척 버튼 공간(370)을 포함하고,
    상기 세척 버튼 공간(370)은,
    세척, 헹굼, 건조 및 자동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작동 버튼을 포함하며,
    상기 살균부(200)와 상기 세척부(300)는 분리가 가능하고,
    상기 살균부(200)의 하단에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부착되는 살균부 케이스(230); 및
    상기 세척부(300)의 상단에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부착되는 세척부 케이스(39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살균부 케이스(230)는,
    하단 부분에 미끄럼 방지 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이크업 도구 세척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100)는,
    윗면에 힌지결합되어 힌지축을 축으로 회동되어 개폐되는 커버(110)를 포함하며, 상기 커버(110)는,
    외부커버(111) 및 내부커버(113)로 구성되는 2중 커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이크업 도구 세척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커버(111)는,
    투명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이크업 도구 세척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커버(113)는,
    아랫면에 거울이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이크업 도구 세척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부(200)는,
    상기 메이크업 도구를 자외선(UV) 램프(210)를 이용하여 살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이크업 도구 세척기.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부 커버(310)는,
    상기 메이크업 도구가 세척되는 과정이 육안으로 확인되도록, 투명한 소재로 이루어지는 글래스 파트(31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이크업 도구 세척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글래스 파트(311)는,
    아크릴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이크업 도구 세척기.
  9. 삭제
  10. 삭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부(200)와 상기 세척부(300)가 분리가 가능하도록 양 측면에 상하 분리 버튼(400)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이크업 도구 세척기.
  12. 삭제
  13. 삭제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부 케이스(390)는,
    상기 세척부(300)에서 상기 메이크업 도구가 세척되는 과정이 육안으로 확인되도록, 투명한 소재로 이루어지는 부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이크업 도구 세척기.
  15. 메이크업 도구 세척기로서, 물건 보관이 가능하도록 상측면에 구비되는 수납부(100); 상기 수납부(100)의 하부에 구비되어 메이크업 도구를 살균하는 살균부(200); 및 상기 살균부(200)의 하부에 구비되어 메이크업 도구를 세척하는 세척부(300)를 포함하되, 상기 세척부(300)는, 윗면에 힌지결합되어 힌지축을 축으로 회동되어 개폐되는 세척부 커버(310); 상기 메이크업 도구를 세척하기 위한 세정액 및 물이 각각 따로 담겨지는 세정액 공간(330); 상기 메이크업 도구가 세척, 헹굼 및 건조되는 세척 공간(350); 및 상기 메이크업 도구의 자동 세척 동작이 입력되도록, 상기 세척부 커버(310)의 외부로 노출되어 구비되는 세척 버튼 공간(370)을 포함하고, 상기 세척 버튼 공간(370)은, 세척, 헹굼, 건조 및 자동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작동 버튼을 포함하며, 상기 살균부(200)와 상기 세척부(300)는 분리가 가능하고, 상기 살균부(200)의 하단에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부착되는, 하단 부분에 미끄럼 방지 돌기가 형성된 살균부 케이스(230); 및 상기 세척부(300)의 상단에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부착되는 세척부 케이스(39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메이크업 도구 세척기를 이용한 메이크업 도구 세척 방법으로서,
    (1) 세척 공간(350)에 메이크업 도구가 거치되는 단계;
    (2) 세정액 공간(330)에서 상기 단계 (1)에서 메이크업 도구가 거치된 세척 공간(350)에 세정액 및 물을 투입하는 단계; 및
    (3) 상기 세척 공간(350)에서 상기 단계 (2)에서 투입된 세정액 및 물을 이용하여 상기 메이크업 도구를 세척 및 헹구는 단계를 포함하되,
    (4) 상기 세척 공간(350)에서 상기 단계 (3)에서 세척 및 헹궈진 메이크업 도구를 건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이크업 도구 세척기를 이용한 메이크업 도구 세척 방법.
  16. 삭제
  17. 제15항에 있어서,
    (5) 살균부(200)에서 상기 단계 (4)에서 건조된 메이크업 도구를 살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이크업 도구 세척기를 이용한 메이크업 도구 세척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5)의 살균부(200)는,
    상기 메이크업 도구를 자외선(UV) 램프(210)를 이용하여 살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이크업 도구 세척기를 이용한 메이크업 도구 세척 방법.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 공간(350) 및 상기 세정액 공간(330)은 세척부(300)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이크업 도구 세척기를 이용한 메이크업 도구 세척 방법.
  20. 삭제
KR1020160012217A 2016-02-01 2016-02-01 메이크업 도구 세척기 및 이를 이용한 메이크업 도구 세척 방법 KR1018410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2217A KR101841022B1 (ko) 2016-02-01 2016-02-01 메이크업 도구 세척기 및 이를 이용한 메이크업 도구 세척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2217A KR101841022B1 (ko) 2016-02-01 2016-02-01 메이크업 도구 세척기 및 이를 이용한 메이크업 도구 세척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1337A KR20170091337A (ko) 2017-08-09
KR101841022B1 true KR101841022B1 (ko) 2018-03-22

Family

ID=596525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12217A KR101841022B1 (ko) 2016-02-01 2016-02-01 메이크업 도구 세척기 및 이를 이용한 메이크업 도구 세척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102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35358A (ko) 2018-05-28 2019-12-06 최임정 화장소품 세탁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5398B1 (ko) * 2014-07-16 2015-05-04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브러쉬 세척기, 이를 운용하는 방법, 및 브러쉬 세척기를 포함하는 브러쉬 보관함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5398B1 (ko) * 2014-07-16 2015-05-04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브러쉬 세척기, 이를 운용하는 방법, 및 브러쉬 세척기를 포함하는 브러쉬 보관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1337A (ko) 2017-08-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69073B2 (en) False eyelash cleansing device
CN208784973U (zh) 口腔清洁套装
KR20130095531A (ko) 화장용구 보관함
US9814303B1 (en) Cosmetic brush cleaning pad
KR101841022B1 (ko) 메이크업 도구 세척기 및 이를 이용한 메이크업 도구 세척 방법
KR100526307B1 (ko) 휴대용 화장품케이스
KR101468112B1 (ko) 화장솔 자동 세척장치
KR20190079793A (ko) 휴대용 화장 브러시 세척 키트 및 이를 이용한 화장 브러시 세척방법
KR102146160B1 (ko) 지지대가 구비된 화장용 브러시
JP3221931U (ja) 整髪具容器及び容器入り整髪具
KR20190003178A (ko) 아이섀도 브러시 건조대
KR200431574Y1 (ko) 휴대용 멸균기
KR20210069193A (ko) 간이 메이크업 스펀지 세척기
KR101775946B1 (ko) 초음파진동자를 구비한 휴대용 퍼프 세척용기
KR20200142434A (ko) 메이크업용 브러쉬 세척기
KR20200130623A (ko) 분리형 듀얼 마크네틱 메이크업 브러쉬
KR200477374Y1 (ko) 바디 클렌징기구
KR20140083773A (ko) 비누의 수용이 가능한 주방용 세제 거치대
JP3212861U (ja) シューシャイン
KR20100000324U (ko) 휴대용 미용지갑
KR200356861Y1 (ko) 세숫대야
CN208464703U (zh) 一种罩体结构以及包括该罩体结构的牙刷消毒杯
KR200313298Y1 (ko) 다용도도기
KR20190056530A (ko) 화장품 브러쉬 초음파 세척기
KR200314526Y1 (ko) 주방용 비누케이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