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00562A - 쌍화 라떼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쌍화 라떼 - Google Patents

쌍화 라떼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쌍화 라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00562A
KR20210100562A KR1020210093546A KR20210093546A KR20210100562A KR 20210100562 A KR20210100562 A KR 20210100562A KR 1020210093546 A KR1020210093546 A KR 1020210093546A KR 20210093546 A KR20210093546 A KR 20210093546A KR 20210100562 A KR20210100562 A KR 202101005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tte
weight
parts
ssanghwa
cinnam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35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옥경
Original Assignee
이옥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옥경 filed Critical 이옥경
Priority to KR10202100935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00562A/ko
Publication of KR202101005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056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34Tea substitutes, e.g. matè; Extracts or infusion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16Tea extraction; Tea extracts; Treating tea extract; Making instant tea
    • A23F3/166Addition of, or treatment with, enzymes or microorganis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16Tea extraction; Tea extracts; Treating tea extract; Making instant tea
    • A23F3/18Extraction of water soluble tea constitu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1/00Pulses, i.e. fruits of leguminous plants, for production of food; Products from legum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1/60Drinks from legumes, e.g. lupine drinks
    • A23L11/65Soy drink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10Natural 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Extra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30/00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or apparatus
    • A23P30/40Foaming or whipp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2200/00Special featur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4Extractio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Microbiolog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Botan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기(氣)와 혈(血)을 모두 조화롭게 하여 피로회복에 도움을 주는 다양한 한방약재를 원료로 하여 만든 쌍화차를 원재료로 사용하여 라떼를 만들 수 있는 쌍화 라떼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쌍화 라떼가 개시된다. 이와 같은 쌍화 라떼 제조방법은, 미리 준비된 감초, 계피, 구기자, 당귀, 대추, 백작약, 생강, 숙지황, 황기, 천궁을 포함하는 한약재를 물과 함께 미리 설정된 중량비율로 탕기에 넣고, 미리 설정된 온도 조건하에서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달여 쌍화차를 만드는 단계; 미리 설정된 용량의 상기 쌍화차와 스트밍된 두유를 미리 설정된 중량비로 혼합하여 상면에 미리 설정된 두유 거품층을 생성시켜 만든 쌍화라떼를 준비된 라떼잔에 담는 단계; MCT 오일분말이 포함된 계피분말을 상기 쌍화라떼가 들어있는 라떼잔의 상면에 뿌려 계피 거품층을 형성시키는 단계; 상기 계피 거품층에 원하는 라떼 아트를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쌍화 라떼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쌍화 라떼{Method of manufacturing Ssangwha latte and Ssangwha latt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쌍화 라떼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쌍화 라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기(氣)와 혈(血)을 모두 조화롭게 하여 피로회복에 도움을 주는 쌍화차를 원재료로 사용하는 쌍화 라떼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쌍화 라떼에 관한 것이다.
2000년대 들어서부터 사람들이 모이는 장소에 커피 한잔은 빼놓을 수 없을 정도로 커피는 대중적인 음료로 자리잡았다. 이제는 프랜차이즈 커피 전문점이 2000개가 넘어섰을 정도로 커피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으며 커피 시장 또한 경쟁이 치열해졌다.
이와 같은 커피는 ‘데미타세’ 라는 조그마한 잔에 높은 압력으로 짧은 순간에 내린 커피를 내린 에스프레소를 기본으로 하여, 에스프레소에 물을 첨가하여 연하게 만든 아메리카노, 에스프레소와 우유를 섞어 만든 카페 라떼, 카페라떼와 비슷한 방식으로 만들지만, 카페라떼 보다는 우유의 양을 조금 줄이고 거품의 양을 늘려 거품 우유의 맛을 조금 더 느낄 수 있게 만든 카페모카, 에스프레소에 카라멜시럽과 우유를 섞어 만든 캬라멜마키아또 등으로 구분된다.
이중에 카페 라떼(이탈리아어: caff
Figure pat00001
latte)는 전 세계에서 찾아볼 수 있는 커피의 종류 가운데 하나로서 이탈리아에서 아침에만 먹는다고 한다. 꼭 정해진 것은 아니지만 커피를 증류해서 컵에 우려낸 후 데운 우유를 첨가한다. 이탈리아 외의 나라에서 에스프레소에 따뜻한 우유를 1:2 또는 1:3의 비율로 섞은 것으로 우유가 5mm정도 맨 위에 층을 이루고 있는 것이 특징이며 카푸치노와 흡사하다. 다만 두 종류의 차이는 우유와 에스프레소, 거품의 차이이다.
한편, 카페라테에는 에스프레소에 우유를 넣을 때 작은 거품을 내기 위해서 스트밍된 우유를 넣고 카페라떼의 상부면에 생기는 커피의 크레마와 우유의 흰거품을 이용하여 다양한 도형이나 그림을 넣을 수 가 있는데, 최근들어 이를 라떼아트라고 불릴 정도로 활발하게 성장하고 있다.
한편, 이러한 카페라떼는 에스프레소 커피의 한계를 뛰어 넘어 다양한 식자재를 사용한 라떼가 개발되고 있는 추세인데, 일 예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14132호 (2013년09월26일)에는 커피 100중량부에 대하여 우유 10∼50중량부, 시럽 1∼10중량부, 호두분말 1∼10중량부 및 헛개나무열매 추출물, 헛개나무열매 분말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헛개나무열매 1∼20중량부를 포함하는 헛개나무열매를 포함하는 라떼 음료 및 이의 제조방법이 기재되어 있으며, 이와 같은 라떼 제조방법은, 커피에 우유를 첨가하여 라떼 음료를 얻는 단계; 상기의 라떼 음료에 헛개나무열매, 시럽 및 호두분말을 첨가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16691호 (2014년07월02일)에는 수삼 75 ~ 85 중량부, 홍삼농축액 8 ~ 12 중량부 및 프락토올리고당 8 ~ 12 중량부를 혼합한 혼합물을 동결건조시켜 홍삼라떼 조성물의 원료인 수삼 분말을 제조함으로써, 수삼의 맛과 풍미를 살리면서도, 홍삼이 함유하고 있는 진세노사이드의 Rg1, Rb1 및 Rg3 성분을 증가시켜 홍삼 특유의 기능성을 배가시킨 홍삼라떼 제조방법이 기재되어 있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32726호 (2016년06월16일)에는 우리 몸의 건강에 매우 유익한, 특히 여성들의 질환에 특별한 효과가 있는 생강 성분을 카페나 커피숍에서 언제든지 즐길 수 있도록 레몬즙, 대추추출액, 천년초추출액, 우유 및 설탕과 적절하게 배합하여 만든 생강라떼 및 그 제조방법이 기재되어 있으며, 생강액, 생강레몬즙, 대추추출액, 천년초추출액, 설탕 및 우유를 포함하여 조성되는 생강라떼로서, 이와 같은 생강라떼는 생강액, 대추추출액, 천년초추출액은 각각 생강 100g, 대추 100g, 천년초 100g을 각각 물 100리터에 넣고 100℃로 끓여 각각 추출한 것이고, 상기 생강레몬즙은 깨끗하게 물로 씻은 후 칼로 껍질을 벗긴 생강과 껍질을 벗겨 조각낸 레몬을 생강 : 레몬을 100 : 4 중량비로 혼합하여 믹서기에 넣고 갈은 혼합물을 깨끗한 천을 이용하여 쥐어짜서 착즙한 것이며, 상기 생강액, 생강레몬즙, 대추추출액, 천년초추출액의 혼합액 : 우유를 1 : 4 중량비로 혼합하고 우유거품층을 형성한다.
또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20-0006956호 (2020년01월21일)에는 베리를 이용하여 항산화, 항암, 항염증, 심혈관계 질환에 효과적이면서, 기호도를 증가시킨 베리를 이용한 라떼의 제조방법이 기재되어 있으며, 이와 같은 베리를 이용한 라떼 제조방법은, 베리를 선별하여 분쇄하는 제 1단계; 상기 분쇄된 베리를 동결건조하는 제 2단계; 상기 동결건조된 베리를 덱스트린, 요거트파우더, 미립당, 탈지분유와 혼합하여 베리 혼합물을 제조하는 제 3단계; 상기 베리 혼합물을 분쇄하여 분말형태로 가공하는 제 4단계; 상기 가공된 분말을 포장하는제 5단계로 구성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기술에서는 다양한 라떼를 만들 때 우유나 밀크파우더를 사용하는데, 밀크파우더의 유통기한 관리가 잘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웰빙시대에 맞춰 식품첨가물을 줄이면서도 색다른 건강한 맛을 갖는 새로운 라떼의 요구에 부응하지도 못하고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종래의 다양한 라떼를 만들 때 에스프레소를 원재료로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해당 라떼의 상면에 커피의 크레마층이 형성되지 않아 라떼의 상면에 다양한 라떼 아트를 구현할 수 없는 아쉬운 점이 있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종래의 다양한 라떼를 만들 때 우유 거품층을 만들기 위해 우유를 첨가하는데, 우유는 성질이 차갑고 위벽을 동물성 단백질로 뒤덮여지기(코팅) 때문에 라떼에 포함된 영양분의 흡수를 방해할 수 있는 단점을 갖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14132호 (2013년09월26일)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16691호 (2014년07월02일)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32726호 (2016년06월16일)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20-0006956호 (2020년01월21일)
본 발명은 이상에서 설명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기(氣)와 혈(血)을 모두 조화롭게 하여 기력회복과 피로회복에 도움을 주는 다양한 한방약재를 달여서 만든 쌍화차를 원재료로 사용하여 쌍화 라떼를 만들 수 있는 쌍화 라떼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쌍화 라떼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기(氣)와 혈(血)을 모두 조화롭게 하여 기력회복과 피로회복에 도움을 주는 다양한 한방약재를 달이지 않고 만든 쌍화차를 원재료로 사용하여 쌍화 라떼를 만들 수 있는 쌍화 라떼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쌍화 라떼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기(氣)와 혈(血)을 모두 조화롭게 하여 기력회복과 피로회복에 도움을 주는 다양한 한방약재를 달여서 만든 쌍화차와 달이지 않고 만든 쌍화차 발효액을 원재료로 사용하여 쌍화 라떼를 만들 수 있는 쌍화 라떼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쌍화 라떼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쌍화 라떼 제조방법은, 미리 준비된 감초, 계피, 구기자, 당귀, 대추, 백작약, 생강, 숙지황, 황기, 천궁을 포함하는 한약재를 물과 함께 미리 설정된 중량비율로 탕기에 넣고, 미리 설정된 온도 조건하에서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달여 쌍화차를 만드는 단계; 미리 설정된 용량의 상기 쌍화차와 스트밍된 두유를 미리 설정된 중량비로 혼합하여 상면에 미리 설정된 두유 거품층을 생성시켜 만든 쌍화라떼를 준비된 라떼잔에 담는 단계; MCT 오일분말이 포함된 계피분말을 상기 쌍화라떼가 들어있는 라떼잔의 상면에 뿌려 계피 거품층을 형성시키는 단계; 상기 계피 거품층에 원하는 라떼 아트를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쌍화 라떼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쌍화 라떼에 따르면, 기(氣)와 혈(血)을 모두 조화롭게 하여 피로회복에 도움을 주는 감초, 계피, 구기자, 당귀, 대추, 백작약, 생강, 숙지황, 황기, 천궁을 포함하는 다양한 한방약재를 달여서 만든 쌍화차를 원재료로 사용하여 쌍화 라떼를 만들 수 있거나, 다양한 한방약재를 달이지 않고 만든 쌍화차 발효액을 원재료로 사용하여 쌍화 라떼를 만들 수 있거나, 다양한 한방약재를 달여서 만든 쌍화차와 달이지 않고 만든 쌍화차 발효액을 원재료로 사용하여 쌍화 라떼를 만들 수 있어, 한약재 약효를 증진시킬 뿐만 아니라 약성분을 가둬놓는 역할을 하는 탄수화물과 단백질을 가수분해함으로써 약효성분의 추출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달이지 않은 쌍화차 발효액의 경우, 한약재가 저분자구조로 분해되어 체내흡수율이 높아지기 때문에 생리활성물질이 풍부해 생체이용률이 높아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약효성분이 달인 쌍화차 보다 상대적으로 많이 추출될 수 있으며, 부작용이 없고 비교적 사람의 체질에 관계없고, 색이 연하고 맛이 순하여 남녀노소 모두에게 먹기 편할 뿐만 아니라 농약이나 독성 등 각종 유해물질로부터 상대적으로 안전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쌍화 라떼 제조절차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쌍화 라떼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쌍화 라떼의 사진.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쌍화 라떼 제조절차와 이에 의해 제조된 쌍화 라떼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쌍화 라떼 제조절차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쌍화 라떼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쌍화 라떼의 사진이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쌍화 라떼는 다음과 같은 순서로 제조된다.
<쌍화차 발효액 만들기:110>
먼저, 쌍화차 발효액을 만들기 위한 한방재료의 특징에 대해 살며 보면 하기와 같다.
(1) 감초
감초는, 학명은 Glycyrrhiza uralensis FISCH이다. 뿌리는 건조해서 한약재로 사용하는데, 그 맛이 달기 때문에 감초라 한다.
모든 약의 독성을 없애주고 모든 약물과 배합이 잘 되어 중화작용을 하므로 한약재, 한방재료가 사용되는 것에는 함께 사용되어져 약재를 조화시키고 그 기능과 효과를 배가시키는 역할을 한다.
설탕 당도의 50배에 달하는 당 성분 때문에 한때는 감미료로 사용되기도 했으며, 뿌리를 씹거나 빨아 먹으면 목의 통증이 완화되고 감기 징후가 낫는다고 해서 감기약으로도 유용하게 쓰이며, 변비에도 효과가 가진다고 알려져 있다.
(2) 계피
녹나무과에 속하는 상록교목인 생달나무(天竹桂, Cinnamomum japonicum SIEB)의 나무껍질로 만든 약재로, 약의 맛은 맵고 단맛이 나며 약성은 열성이다.
효능은 비위장의 기능을 활성화하므로 소화기가 차서 소화장애가 있거나 [0051] 복부가 차서 일어나는 복통 설사 등에 널리 이용된다. 뿐만 아니라 배가 차서 일어나는 구토에도 신속한 반응을 일으킨다. 그리고 풍습성(風濕性)으로 인한 사지마비와 동통을 그치게 하고, 허리나 무릎이 차고 시리면서 아픈 신경통과 관절 질환에도 널리 응용된다.
또한, 산후에 출혈이 계속되거나 오래된 이질과 대변시에 출혈되는 증상을 개선하기도 한다. 이외에도 콩팥기능 감퇴증상에도 효력이 높고 하복부가 차면서 방광염이 자주 발생하는 질환에도 활용되고 있다.
(3) 구기자
구기자(枸杞子)는 가시가 헛개나무(구: 枸)와 비슷하고 줄기는 버드나무(기: 杞)와 비슷하여 두글자를 합쳐서 枸杞(구기)라고 불렀다고 한다.
구기자는 냄새가 거의 없고 수렴성이며 약성은 약간 달고 차다.[甘寒] 어지럽고 허리와 무릎에 힘이 없으며 남자가 유정(遺精)하고, 임신을 못 시킬 때 사용한다. 음혈이 허약해져 얼굴이 누렇고 머리털이 희어지며 잠을 못 이룰 때나 소갈증에 효과가 있다. 폐기 허약으로 인한 오랜 해수에도 사용한다.
약리작용으로 비특이성면역증강 작용, 조혈작용, 콜레스테롤강하작용, 항지방간작용, 혈압강하, 혈당강하, 생장촉진, 항암작용 등이 보고되었지만, 구기자를 과다 복용 시 설사나 복통이 생길 수가 있다.
(4) 당귀
당귀는, 당귀(Angelica gigas)는 참당귀(Angelica gigas Nakai), 중국당귀[Angelica sinensis(Oliv) Diels :中國當歸] 및 왜당귀[Angelica acutiloba(Sieb & Zuc) Kitagawa]로 분류되어 진다.
이 중, 중국당귀는 신농본초경 중품에 수록된 이래 보혈활혈, 조경지통, 윤조활장 등의 효능으로 한의학 임상에서 많이 활용되는 한약재로서 약리작용으로는 혈액 및 조혈계통에 대한 작용, 자궁에 대한 작용, 심혈관 계통에 대한 작용, 면역계에 대한 작용, 진통작용, 소염작용, 항균작용, 간기능 보호작용, 항암작용 및 조혈작용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5) 대추
대추는, 맛이 달고, 독이 없으며 오장을 보호하고 12경맥을 도와주며, 여러 약재의 조화를 도와준다. 조(棗) 또는 목밀(木蜜)이라고도 한다. 표면은 적갈색이며 타원형이고 길이 15~25cm에 달하며 빨갛게 익으면 단맛이 있다.
대추씨는 신경을 이완시켜 잠을 잘오게 하여 천연 수면제로 사용되며, 식이성섬유가 발암물질을 흡착 몸 밖으로 배출해주며, 대추에 함유되어 있는 베타카로틴이라는 성분이 체내 유해 활성산소의 독을 제거하는 효능이 있어 노화방지에 효과가 있다.
또한, 소화계를 튼튼하게 하여 내장기능을 회복시켜 주어 속이 편안하게 하고 위장의 기운을 복돋워주어 식욕을 돋구며, 대추는 성질이 따뜻한 음식으로 여자의 냉증 치료에 좋으며, 혈액순환을 도와 손, 발이 차가운 사람이 먹으면 좋다고 알려져 있다.
(6) 백작약
백작약은 미나리아재비과(Ranunculaceae)에 속한 다년생 초본인 작약( Paeonia lactiflora PALL)의 뿌리를 건조한 것으로 양혈유간, 완중지통, 렴음수한의 효능이 있으며, 흉복협특동통, 사리복통, 자한도한, 음허발열, 월경부조,붕루, 대하 등의 증상을 치료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7) 생강
생강은 열대아시아 원산의 생강과(Zingiberaceae)의 다년생 야채 생강(Zingiber officinale Roscoe)의 뿌리로, 온난지를 중심으로 널리 재배된다.
한방에서는 뿌리줄기 말린 것을 약재로 쓰는데, 생강은 감기로 인한 오한, 발열, 두통, 구토, 해수, 가래를 치료하며 식중독으로 인한 복통설사, 복만에도 효과가 있어 끓는물에 생강을 달여서 차로 마시기도 한다. 약리작용으로 위액분비촉진, 소화력 증진, 심장흥분 작용, 혈액순환촉진, 억균작용 등이 보고되었다.
주 치료증으로서는 1) 감기에 의한 오한.발열.해담, 2) 건구·구토, 3) 복통·설사, 4) 식욕부진·식중독 등이 있다. 건강(乾薑)은 덥게는 작용이 강하고 생강의 효용 이외, 5) 허리와 다리의 냉증을 치료하고, 6) 추울 때 소변이 자주 나오는 것을 치료한다.
(8) 숙지황
숙지황은 현삼과(Scrophulariaceae)에 속한 다년생 초본인 지황( Rehmannia glutinasa LIBOSCH)의 뿌리줄기를 가공증쇄한 것으로 자음보혈, 익정진수의 효능이 있으며, 간신음허, 요슬산연, 골증조열, 도한유정, 내열소갈, 혈허위황, 심계정충, 월경부조, 붕루하열, 현훈, 이명, 빈발조백의 증상을 치료하는 목적으로 사용하였다.
(9) 황기
황기는 콩과(Leguminosae)에 속한 다년생 초본인 황기( Astragalus membranaceus BUNGE)의 뿌리를 건조한 것으로 익위고표, 이수소종, 탁독, 생기의 효능이 있으며, 자한, 도한, 혈비, 부종, 옹저불궤, 유구불렴 등의 증상을 치료
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10) 천궁
천궁은 산형과(Umbelliferae)에 속한 다년생 초본인 천궁( Cnidium officinale MAKINO)의 근경을 건조한 것으로 활형행기, 거풍지통의 효능이 있으며, 월경부조, 징가복통, 흉협자통, 질박종통, 두통, 풍습비통 등의 증상을 치료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11) 꿀
꿀은, 일반적으로 수분 17%, 비중 141이다. 고형분의 대부분(83%)은 당분으로서 거의 같은 양의 과당과 포도당으로 되어 있으며 슈크로스는 약 2%이다.
빈혈증환자의 조혈작용과 변비증에 효과가 있으며, 담해, 감기, 위장병, 변비, 산모의 젖분비량이 적은 경우, 빈혈증, 폐병, 심장병, 신경쇠약, 촌충구제 내복약으로서 유효하다.
또한, 벌꿀은 소아과 약제의 첨미료 및 기타 약제의 첨미료로서 사용되고 비만증이나 노약자들에 대한 영양보조제로서 상당히 많이 사용되고 있다.
(i)달이지 않은 쌍화차 발효액 만들기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는 달이지 않은 쌍화차 발효액을 만들기 위해, 감초 1.0~1.5 중량부, 계피 1.50~3.0 중량부, 구기자 1.50~3.0 중량부, 당귀 1.50~3.0 중량부, 대추 1.5~3.0 중량부, 백작약 1.50~3.0 중량부, 생강 1.50~3.0 중량부, 숙지황 1.50~3.0 중량부, 황기 1.0~1.5 중량부, 천궁 1.0~1.5 중량부, 작두콩 원두 10~15 중량부를 포함하는 건조된 한약재를 준비한다.
이어, 건조된 한약재와 준비된 미강 분말효소를 50~60℃ 미지근한 물에 4~8시간 동안 담근 후 건져낸다.
여기서, 미강(쌀겨) 분말효소는 식물체가 중심인 약재를 구성하는 탄수화물, 단백질, 지방 중에서 가장 많이 함유하고 있는 일반성분인 탄수화물(Carbohydrate)중 열에 의해 가용이 가능한 환원당과 전분(anylose 및 amylopectin)을 포함하는 전분형탄수화물(Starch-like polysaccharide) 뿐만 아니라 리그닌(Lignin), 헤미셀룰로오즈(Hemicellulose), 왁스(Wax)층 등과 같은 비용해성 섬유소를 포함하는 비전분형탄수화물(Non-Starch polysaccharide)을 용이하게 추출하기 위해 미강을 일정 시간 찐 다음 Aspergillus oryzae를 접종하여 건조한 분말효소이다.
이와 같은 미강 분말효소를 사용하는 이유는 건조된 한약재를 혐기성 발효를 시킬때 일반적으로 걸리는 7~개월의 발효기간을 크게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한약재에 포함된 극성이 있는 당류를 가수분해함으로써 한약재의 약효를 증진시키고 근본적으로는 약물을 가둬놓는 역할을 하는 탄수화물과 단백질을 가수분해함으로써 약효성분의 추출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이어, 적당한 크기로 자른 무우 및 배와 건져낸 한약재 혼합물에 설탕이나 올리고당 또는 설탕 및 올리고당 혼합물을 1:1의 중량비로 혼합용기에서 골고루 섞이도록 혼합한 쌍화차 발효액 혼합물을 준비한다.
이어, 준비된 쌍화차 발효액 혼합물을 발효용 저장용기에 담아 90~100일 동안 협기성 발효를 시킨 후 30~40일 동안 저온 숙성한 후, 숙성된 쌍화차 발효액 혼합물에서 쌍화차 발효액만 걸러내어 냉장 보관한다.
여기서, 작두콩 원두를 넣는 이유는 쌍화차 재료가 발효될 때 카페인이 없는 커피의 향과 맛도 함께 어울려서 완성된 쌍화 스무디를 먹을 때 음용자들이 쌍화차와 커피가 함께 어울어진 깊은 쌍화 스무디를 맛보도록 하기 위함이다.
여기서, 작두콩 원두를 넣는 이유는 쌍화차 재료가 발효될 때 카페인이 없는 커피의 향과 맛도 함께 어울려서 완성된 쌍화 스무디를 먹을 때 음용자들이 쌍화차와 커피가 함께 어울어진 깊은 쌍화 스무디를 맛보도록 하기 위함이다.
(ii)달인 쌍화차 만들기
미리 준비된 감초, 계피, 당귀, 구기자, 대추, 백작약, 생강, 숙지황, 황기, 천궁을 포함하는 한약재를 먼저 흐르는 물에 충분히 세척하고, 각각의 한약재에 포함된 중금속 또는 독성을 중화시키기 위해 세척된 각각의 한약재를 50~60℃의 미지근한 물에 30~40분 정도 담근 후, 베이킹소다를 이용하여 각각의 한약재를 씻어낸 후, 전체 식초물에 대하여 식초 15~20중량부가 함유된 식초물에 20~30분 담근 후, 흐르는 물에 씻어내고 함수율 14%이하로 건조시킨다.
여기서, 함수율은 함수율 측정기를 사용하여 함수율을 측정한 약재가 머금고 있는 수분의 양으로써, 14% 이하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판단한다.
이어, 건조된 각각의 한약재를 적당한 크기로 썰어내고, 썰어진 각각의 한약재를 물과 함께 미리 설정된 중량비율로 탕기에 넣고, 미리 설정된 온도 조건하에서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달여 쌍화차를 만든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는 쌍화차를 만들기 위한 한약재는 물과 한약재가 혼합된 전체 한약재 혼합물에 대하여 감초 1.0~1.5 중량부, 계피 1.50~3.0 중량부, 구기자 1.50~3.0 중량부, 당귀 1.50~3.0 중량부, 대추 1.5~3.0 중량부, 백작약 1.50~3.0 중량부, 생강 1.50~3.0 중량부, 숙지황 1.50~3.0 중량부, 황기 1.0~1.5 중량부, 천궁 1.0~1.5 중량부, 작두콩 원두 10~15 중량부의 비율로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는 쌍화차를 만들기 위해 썰어진 각각의 한약재를 물과 함께 상기에서 설명한 혼합비로 탕기에 넣은 상태에서 한약재 혼합물을 110~120℃의 온도로 4~5시간 동안 달이고 상온에 이르기 까지 식힌다.
이때, 한약재 혼합물을 달일 때 8~10분씩 3~4회 김 빼는 공정을 추가할 수 있는데, 이러한 김 빼기 공정을 통해 약재 혼합물 속의 각각의 약재에 포함된 불순물을 김과 함께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함이다.
<쌍화 라떼 만들기 : 120>
가열용기를 이용하여 데워진 쌍화차 또는 쌍화차 발효액 : 스트밍된 두유를 1:2~3 중량비로 혼합하여 휘핑기에 넣고 상면에 두유 거품이 4~5mm 정도의 얇은 층을 이룰 때까지 회전시키고 완성된 쌍화라떼를 라떼잔에 적정량을 담는다.
여기서, 우유를 사용하지 않고 두유를 사용하는 이유는 우유에 포함된 동물성 단백질이 음용자의 위벽을 뒤덮어서 즉 코팅하여 쌍화라떼에 포함된 다양한 한약재 성분의 흡수를 방해하기 때문에 식물성 단백질을 함유된 두유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계피 거품층 형성하기 : 130>
먼저 준비된 계피분말을 약불에서 10~20분 동안 덖어주어, 계피의 매운맛을 법제하면서 계피에 포함된 쿠마린이라는 독성성분도 함께 법제한다. 그 이유는 사람이 계피에 포함된 쿠마린성분을 하루 2g 이상을 장기간 섭취하는 경우 간손상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어, 덖어진 계피분말에 전체 계피분말에 대해 10~15 중량부의 MCT오일분말을 혼합한다.
MCT오일은 포화지방산의 한 종류인 중간지방사슬(Medium chain triglycerides)을 의미하는 것으로, 주로 코코넛 오일, 버터, 치즈, 팜유, 우유 등 식품에 함유되어 있다. 이와 같은 MCT 오일은 또 다른 말로 액상 코코넛오일이라고 불리기도 하는데, 이는 일반적인 코코넛 오일이 고체 상태인 데 반해 MCT 오일은 낮은 온도에서도 액상 상태를 잘 유지한다. 그래서 일반 기름보다 분해되기 쉬워 체내 지방으로 저장되지 않고, 에너지로 소비되는 특징이 있다.
이어, 덖어진 계피분말을 쌍화라떼가 들어있는 라떼잔의 상면에 골고루 뿌리는데 2-5mm 두께를 갖는 갈색의 계피 거품층을 형성시킨다.
<라떼 아트 실행하기 : 140>
*이어, 계피 거품층에 원하는 도형이나 그림을 그려넣는 라떼 아트를 실행하여 본 발명에 따른 쌍화 라떼를 완성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 MCT 오일분말을 사용하는 이유는 계피분말에 지방 성분을 함유하게 하여 단열층의 역할을 하여 커피가 빨리 식는 것을 막아주고, 계피분말에 지방 성분이 혼합되어 있어 보다 풍부하고 강한 계피향을 느낄 수 있게 해 주기 때문이다.
뿐만 아니라 MCT오일은 케톤체를 생성해 체지방 연소에 도움을 줘 포만감을 높이고 신진대사를 활성화하여 다이어트에 효과적이어서, 비만이 원인인 고혈압, 당뇨병, 동맥경화 등 만성질환을 예방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또한, 일반적인 유지류보다 신속하게 분해되어 격한 운동이나 심한 피로 시 에너지 보급에도 도움이 될 수 있고, MCT 오일이 생성하는 케톤체는 포도당 대신 뇌의 에너지로도 사용될 수 있어 뇌 기능 저하를 막아 치매 예방에도 도움이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계피 거품층은 종래의 까페라떼에서 에스프레소에서 발생되는 크래마층과 색상 및 형상적으로도 유사할 뿐만 아니라 커피에 함유된 오일에 상응하는 MCT오일성분이 함유된 결합체로 젤라틴(gelatin)과 같은 고운 입자들이 쉽게 침전되지 않고 쌍화라떼 상면에 떠 있을 수 있게 한다.
<제1 실시 예>
세척 및 건조 및 적당한 크기로 세절된 감초 1.0~1.5 중량부, 계피 1.50~3.0 중량부, 구기자 1.50~3.0 중량부, 당귀 1.50~3.0 중량부, 대추 1.5~3.0 중량부, 백작약 1.50~3.0 중량부, 생강 1.50~3.0 중량부, 숙지황 1.50~3.0 중량부, 황기 1.0~1.5 중량부, 천궁 1.0~1.5 중량부, 작두콩 원두 10~15 중량부를 포함하는 한약재를 물 20~25 중량부와 함께 탕기에 넣고, 110~120℃의 온도로 4~5시간 동안 달여 쌍화차를 만든다.
이어, 쌍화차가 상온까지 식는 과정 중 50~70℃의 온도 범위에서 전체 한약재 혼합물에 대해 15.0~20.0 중량부의 비율로 꿀을 혼합한다.
이어, 미리 설정된 용량의 데워진 쌍화차와 스트밍된 두유를 1:1 중량비로 혼합하여 휘핑기에 넣고 상면에 4~5mm의 두유 거품층이 생길 때까지 회전시켜 얻은 쌍화라떼를 라떼잔에 담는다. 이때, 까페라떼의 온도는 55~65℃의 범위 내에서 음용자의 기호에 따라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어, MCT 오일분말이 포함된 계피분말을 쌍화라떼가 들어있는 라떼잔의 상면에 뿌려 2-5mm 의 갈색 계피 거품층을 형성시킨다.
이어, 계피 거품층에 원하는 도형이나 그림을 그리는 라떼 아트를 실행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서, MCT 오일분말이 포함된 계피분말은, 계피분말을 약불에서 10~20분 동안 덖어주어 계피의 매운맛을 법제하면서 계피에 포함된 쿠마린이라는 독성성분도 함께 법제한 후, 덖어진 전체 계피분말에 대해 10~15 중량부의 MCT오일분말을 골고루 혼합하여 얻은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실시 예>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2에서는 세척 및 건조 및 적당한 크기로 세절된 감초 1.0~1.5 중량부, 계피 1.50~3.0 중량부, 구기자 1.50~3.0 중량부, 당귀 1.50~3.0 중량부, 대추 1.5~3.0 중량부, 백작약 1.50~3.0 중량부, 생강 1.50~3.0 중량부, 숙지황 1.50~3.0 중량부, 황기 1.0~1.5 중량부, 천궁 1.0~1.5 중량부, 작두콩 원두 10~15 중량부를 포함하는 한약재와 미리 준비된 미강 분말효소를 50~60℃ 미지근한 물에 4~8시간 동안 담근 후 건져낸다.
이어, 적당한 크기로 자른 무우 및 배와 건져낸 한약재 혼합물을 포함하는 전체 한약재에 설탕이나 올리고당 또는 설탕 및 올리고당 혼합물을 1:1의 중량비로 혼합용기에서 골고루 섞이도록 혼합하여 쌍화차 발효액 혼합물을 준비한다.
이어, 준비된 쌍화차 발효액 혼합물을 저장용기에 담아 90~100일 동안 협기성 발효를 시킨 후 30~40일 동안 저온 숙성한 후 쌍화차 발효액만 걸러내어 냉장 보관한다.
이어, 미리 설정된 용량의 데워진 쌍화차와 스트밍된 두유를 1:1 중량비로 혼합하여 휘핑기에 넣고 상면에 4~5mm의 두유 거품층이 생길 때까지 회전시켜 얻은 쌍화라떼를 라떼잔에 담는다. 이때, 까페라떼의 온도는 55~65℃의 범위 내에서 음용자의 기호에 따라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어, MCT 오일분말이 포함된 계피분말을 쌍화라떼가 들어있는 라떼잔의 상면에 뿌려 2-5mm 의 갈색 계피 거품층을 형성시킨다.
이어, 계피 거품층에 원하는 도형이나 그림을 그리는 라떼 아트를 실행한다.
<제3 실시 예>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3에서는 먼저, 세척 및 건조 및 적당한 크기로 세절된 감초 1.0~1.5 중량부, 계피 1.50~3.0 중량부, 구기자 1.50~3.0 중량부, 당귀 1.50~3.0 중량부, 대추 1.5~3.0 중량부, 백작약 1.50~3.0 중량부, 생강 1.50~3.0 중량부, 숙지황 1.50~3.0 중량부, 황기 1.0~1.5 중량부, 천궁 1.0~1.5 중량부, 작두콩 원두 10~15 중량부를 포함하는 한약재를 물 20~25 중량부와 함께 탕기에 넣고, 110~120℃의 온도로 4~5시간 동안 달여 쌍화차를 만들고, 이어, 쌍화차가 상온까지 식는 과정 중 50~70℃의 온도 범위에서 전체 한약재 혼합물에 대해 15.0~20.0 중량부의 비율로 꿀을 혼합한 달인 쌍화탕을 준비한다.
한편, 세척 및 건조 및 적당한 크기로 세절된 감초 1.0~1.5 중량부, 계피 1.50~3.0 중량부, 구기자 1.50~3.0 중량부, 당귀 1.50~3.0 중량부, 대추 1.5~3.0 중량부, 백작약 1.50~3.0 중량부, 생강 1.50~3.0 중량부, 숙지황 1.50~3.0 중량부, 황기 1.0~1.5 중량부, 천궁 1.0~1.5 중량부, 작두콩 원두 10~15 중량부를 포함하는 한약재와 미리 준비된 미강 분말효소를 50~60℃ 미지근한 물에 4~8시간 동안 담근 후 건져낸다. 이어, 적당한 크기로 자른 무우 및 배와 건져낸 한약재 혼합물을 포함하는 전체 한약재에 설탕이나 올리고당 또는 설탕 및 올리고당 혼합물을 1:1의 중량비로 혼합용기에서 골고루 섞이도록 혼합하여 쌍화차 발효액 혼합물을 준비한다. 이어, 준비된 쌍화차 발효액 혼합물을 저장용기에 담아 90~100일 동안 협기성 발효를 시킨 후 30~40일 동안 저온 숙성한 후 걸러낸 다리지 않은 쌍화차 발효액을 준비한다.
이어 다려진 쌍화차와 다리지 않은 쌍화차 발효액을 1:1의 중량비로 혼합한 쌍화 혼합물을 데우고, 데워진 쌍화 혼합물과 스트밍된 두유를 1:1 중량비로 혼합하여 휘핑기에 넣고 상면에 4~5mm의 쌍화 두유 거품층이 생길 때까지 회전시켜 얻은 쌍화라떼를 라떼잔에 담는다. 이때, 까페라떼의 온도는 55~65℃의 범위 내에서 음용자의 기호에 따라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어, MCT 오일분말이 포함된 계피분말을 쌍화라떼가 들어있는 라떼잔의 상면에 뿌려 2-5mm 의 갈색 계피 거품층을 형성시킨다.
이어, 계피 거품층에 원하는 도형이나 그림을 그리는 라떼 아트를 실행한다.
<비교예 1>
비교예에서는 일반적인 쌍화차와 우유를 혼합하여 쌍화라떼를 제조하는데, 감초 1.0~1.5 중량부, 계피 1.50~3.0 중량부, 구기자 1.50~3.0 중량부, 당귀 1.50~3.0 중량부, 대추 1.5~3.0 중량부, 백작약 1.50~3.0 중량부, 생강 1.50~3.0 중량부, 숙지황 1.50~3.0 중량부, 황기 1.0~1.5 중량부, 천궁 1.0~1.5 중량부, 커피 원두 10~15 중량부를 포함하는 전체 한약재 혼합물을 물 20~24 중량부와 함께 탕기에 넣은 상태에서 110~120℃의 온도로 4~5시간 동안 달이고 상온에 이르기 까지 식혀 쌍화차를 완성한다.
이어, 데워진 쌍화차와 스트밍된 우유를 1:1 중량비로 혼합하여 휘핑기에 넣고 상면에 4~5mm의 우유 거품층이 생길 때까지 회전시켜 얻은 쌍화라떼를 라떼잔에 담는다.
이어, 계피분말을 쌍화라떼가 들어있는 라떼잔의 상면에 뿌려 2-5mm 의 갈색 계피 거품층을 형성시킨다.
이어, 계피 거품층에 원하는 라떼 아트를 실행한다.
<비교예 2>
비교예 2는 비교예 1과 동일하며, 다만 데워진 쌍화차와 스트밍된 우유를 1:2 중량비로 혼합하여 휘핑기에 넣고 상면에 4~5mm의 우유 거품층이 생길 때까지 회전시켜 쌍화라떼를 제조하는 점에서 차이를 갖는다.
<비교예 3>
비교예 3은는 비교예 1과 동일하며, 다만 데워진 쌍화차와 스트밍된 우유를 1:3 중량비로 혼합하여 휘핑기에 넣고 상면에 4~5mm의 우유 거품층이 생길 때까지 회전시켜 쌍화라떼를 제조하는 점에서 차이를 갖는다.
<실험예>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3에 따라 쌍화라떼를 만들고 관능검사를 각각 실시 하였다.
평가 항목
향미
(Flavor)

(Taste)
부드러움 보온성 전체적인 선호도
실시예 1 5.26 5.66 5.85 5.75 5.65
실시예 2 6.32 6.83 6.67 6.89 6.62
실시예 3 6.96 6.67 6.95 6.93 6.84
비교예 1 4.92 4.94 4.88 4.92 4.95
비교예 2 4.56 4.42 4.47 4.78 4.82
비교예 3 4.24 4.52 4.55 4.81 4.54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 내지 3에 따라 각각 만든 쌍화라떼를 시료로 하여 관능검사를 하였으며, 서울시 도봉구 쌍문동 소재 중, 고등학교 학생 20명의 패널로 하여금 향미, 맛, 부드러움, 보온성, 전체적인 선호도를 실험하고 7점 척도법을 사용하여 상기 표 1에 나타내었다.상기 표 1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실시 예 1 내지 3에 따른 쌍화라떼는 다양한 한약재가 발효되면서 어우러진 깊고 오묘한 향과 맛을 갖기 때문에 비교예 1 내지 3에 의해 제조된 쌍화라떼 보다 상대적으로 우수한 향미와 맛을 내는 것으로 평가될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실시 예 2 내지 3에 따른 쌍화라떼는 발효공정중 다양한 한약재 성분들이 가수분해되기 때문에 비교예 1 내지 3에 의해 제조된 쌍화라떼 보다 상대적으로 더욱 부드러운 맛을 갖을 수 있는 것으로 평가된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 1 내지 3에서는 두유를 사용하여 쌍화 두유 거품층을 만든 반면 비교예 1 내지 3에서는 우유를 사용하여 우유 거품층을 만들었기 때문에 쌍화차 한방재료와의 입맛에 대한 궁합도 두유를 사용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 1 내지 3가 우유를 사용한 비교예 1 내지 3 보다 상대적으로 더욱 좋은 맛을 갖는 것으로 평가된다.
또한, 상기 표 1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실시 예 1 내지 3에 따른 쌍화라떼와 비교예 1 내지 3에 의해 제조된 쌍화라떼를 60℃에서 제조한 후 10분이 경과한 후 온도계를 이용하여 측정하지 않고 음용자들에게 음용한 후 보온성에 대한 실험을 실시 하였는데, 본 발명의 실시 예 1 내지 3에 따른 쌍화라떼의 보온성이 비교예 1 내지 3에 의해 제조된 쌍화라떼 보다 상대적으로 좋았음을 알 수 있는데, 그 이유는 본 발명의 실시 예 1 내지 3에 따른 쌍화라떼의 제조공정중에 계피분말에 MCT 오일분말을 첨가하였기 때문으로 평가된다.
또한, 상기 표 1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실시 예 1 내지 3에 따른 쌍화라떼 중에서 실시 예2 및 3에 의해 만들어진 쌍화라떼의 전체적인 선호도가 전체적인 선호도가 우열을 나타내기가 힘든 것으로 미세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평가되었는데, 그 이유는 쌍화 라떼에 달이지 않은 쌍화차 발효액을 사용하거나, 달이지 않은 쌍화차 발효액과 달인 쌍화차를 혼합하여 사용하는 경우 실시 예 1 및 비교예에 의해 제조된 쌍화 라떼 보다 상대적으로 우수한 향미와 깊은 맛 그리고 부드러운 느낌을 갖을 수 있는 것으로 평가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5)

  1. 미리 준비된 감초, 계피, 구기자, 당귀, 대추, 백작약, 생강, 숙지황, 황기, 천궁을 포함하는 한약재와 준비된 미강 분말효소를 미지근한 물에 담근 후 건져내고, 적당한 크기로 자른 무우 및 배와 건져낸 한약재 혼합물에 설탕이나 올리고당 또는 설탕 및 올리고당 혼합물을 1:1의 중량비로 혼합한 쌍화차 발효액 혼합물을 만들고, 상기 발효 혼합물을 발효용 저장용기에 담아 일정 기간 협기성 발효 및 저온 숙성시키고, 상기 쌍화차 발효액 혼합물에서 쌍화차 발효액만 걸러내는 단계;
    미리 준비된 감초, 계피, 구기자, 당귀, 대추, 백작약, 생강, 숙지황, 황기, 천궁을 포함하는 한약재를 물과 함께 미리 설정된 중량비율로 탕기에 넣고, 미리 설정된 온도 조건하에서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달여 쌍화차를 만드는 단계;
    상기 다려진 쌍화차와 다리지 않은 상기 쌍화차 발효액을 1:1의 중량비로 혼합한 쌍화 혼합물과 스트밍된 두유를 미리 설정된 중량비로 혼합하여 상면에 미리 설정된 두유 거품층을 생성시켜 만든 쌍화라떼를 준비된 라떼잔에 담는 단계;
    MCT 오일분말이 포함된 계피분말을 상기 쌍화라떼가 들어있는 라떼잔의 상면에 뿌려 계피 거품층을 형성시키는 단계;
    상기 계피 거품층에 원하는 라떼 아트를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쌍화 라떼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약재는 상기 물과 상기 한약재가 혼합된 전체 한약재 혼합물에 대비하여 감초 1.0~1.5 중량부, 계피 1.50~3.0 중량부, 구기자 1.50~3.0 중량부, 당귀 1.50~3.0 중량부, 대추 1.5~3.0 중량부, 백작약 1.50~3.0 중량부, 생강 1.50~3.0 중량부, 숙지황 1.50~3.0 중량부, 황기 1.0~1.5 중량부, 천궁 1.0~1.5 중량부, 커피 원두 10~15 중량부의 함량비율로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쌍화 라떼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MCT 오일분말이 포함된 계피분말은, 계피분말을 약불에서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덖어주고, 덖어진 전체 계피분말에 대해 10~15 중량부의 MCT오일분말을 골고루 혼합하여 얻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쌍화 라떼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MCT오일은 전체 계피에 대해 5~10 중량부를 첨가하면서 상기 계피를 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쌍화 라떼 제조방법.
  5. 제1항 내지 제4항중 임의의 어느 한 항에 의해 제조된 쌍화 라떼.
KR1020210093546A 2021-07-16 2021-07-16 쌍화 라떼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쌍화 라떼 KR2021010056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3546A KR20210100562A (ko) 2021-07-16 2021-07-16 쌍화 라떼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쌍화 라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3546A KR20210100562A (ko) 2021-07-16 2021-07-16 쌍화 라떼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쌍화 라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0562A true KR20210100562A (ko) 2021-08-17

Family

ID=774663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3546A KR20210100562A (ko) 2021-07-16 2021-07-16 쌍화 라떼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쌍화 라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100562A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4132B1 (ko) 2011-08-29 2013-10-04 (주)카페베네 헛개나무열매를 포함하는 라떼 음료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416691B1 (ko) 2013-03-27 2014-07-10 (주)고려원인삼 홍삼라떼 제조방법
KR101632726B1 (ko) 2015-11-17 2016-06-22 유미영 생강라떼 및 그 제조방법
KR20200006956A (ko) 2019-11-25 2020-01-21 산청군양잠농업협동조합 베리를 이용한 라떼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4132B1 (ko) 2011-08-29 2013-10-04 (주)카페베네 헛개나무열매를 포함하는 라떼 음료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416691B1 (ko) 2013-03-27 2014-07-10 (주)고려원인삼 홍삼라떼 제조방법
KR101632726B1 (ko) 2015-11-17 2016-06-22 유미영 생강라떼 및 그 제조방법
KR20200006956A (ko) 2019-11-25 2020-01-21 산청군양잠농업협동조합 베리를 이용한 라떼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986887B (zh) 一种养生风味奶昔及其制备方法
CN103918830B (zh) 一种暖茶饮料
US6171635B1 (en) Coffee substitute
CN105994785A (zh) 一种哈密瓜菠萝味黑木耳奶茶
CN106039187A (zh) 一种小儿十康茶及其制备方法
CN105613825A (zh) 一种速溶百合奶茶
CN103695275B (zh) 一种双参酒的制备方法
CN109170014A (zh) 一种石斛保健茶及其制备方法
CN105494755A (zh) 保健茶饮及其制作方法
KR102346611B1 (ko) 아이스 쌍화 카푸치노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아이스 쌍화 카푸치노
KR102319696B1 (ko) 쌍화 스무디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쌍화 스무디
KR102319697B1 (ko) 쌍화 설빙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쌍화 설빙
CN106615395A (zh) 一种减肥瘦身保健饮品
CN104187714B (zh) 一种高丽红参膳食纤维膨化粉的制备方法
CN103250827A (zh) 一种解酒护肝普洱茶粉及其制备工艺
CN106213412A (zh) 花生核桃酱
CN106213413A (zh) 芝麻花生酱
CN102835534A (zh) 一种复方人参黑银杏果仁夹心巧克力的制备方法
CN102871042A (zh) 方便参鸡粥及其制备工艺
KR102202852B1 (ko) 전통 쌍화차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전통 쌍화차
KR20210100562A (ko) 쌍화 라떼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쌍화 라떼
CN103750425B (zh) 一种高丽红参罗汉果汤的制备方法
CN103444933B (zh) 一种夏季养身中午茶袋泡茶
CN103689742B (zh) 一种高丽红参无花果饮料的制备方法
CN103444937B (zh) 一种秋季养身早茶袋泡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