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00287A - 냉장고 - Google Patents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00287A
KR20210100287A KR1020200014062A KR20200014062A KR20210100287A KR 20210100287 A KR20210100287 A KR 20210100287A KR 1020200014062 A KR1020200014062 A KR 1020200014062A KR 20200014062 A KR20200014062 A KR 20200014062A KR 20210100287 A KR20210100287 A KR 202101002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rigerator
fastening
reinforcing member
connecting member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40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호상
정상규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140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00287A/ko
Priority to PCT/KR2021/001309 priority patent/WO2021157983A1/en
Priority to EP21750909.0A priority patent/EP4088073A4/en
Priority to US17/168,370 priority patent/US11747077B2/en
Publication of KR202101002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028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6Walls
    • F25D23/062Walls defining a cabine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06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for mounting refrigerating machinery compon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1/00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 F25D17/06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 F25D17/062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in household refrigerators
    • F25D17/065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in household refrigerators with compartments at different tempera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refrigeration units with respect to devices or objects to be refrigerated, e.g. infrared detectors
    • F25D19/04Arrangement or mounting of refrigeration units with respect to devices or objects to be refrigerated, e.g. infrared detectors with more than one refrigeration uni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6Walls
    • F25D23/065Details
    • F25D23/066Lin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201/00Insulation
    • F25D2201/10Insulation with respect to heat
    • F25D2201/12Insulation with respect to heat using an insulating packing materi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00Special arrangements or features for 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ther subclas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400/00General features of, or devices for 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or fo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ther subclass
    • F25D2400/06Refrigerators with a vertical mull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400/00General features of, or devices for 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or fo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ther subclass
    • F25D2400/14Refrigerator multi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400/00General features of, or devices for 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or fo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ther subclass
    • F25D2400/16Convertible refrige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400/00General features of, or devices for 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or fo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ther subclass
    • F25D2400/18Aesthetic fea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냉장고는, 소정 설치공간에 설치되는 하우징을 포함하고, 하우징은, 내부에 냉장물을 수용하는 내상과, 내상을 둘러싼 외상과, 내상 및 상기 외상 사이에 마련된 단열재와, 내상 또는 외상을 지지하도록 적어도 일부가 내상 및 외상 사이에 마련되며, 설치공간에서 연결부재를 이용하여 냉장고와, 인접하게 설치되는 타 냉장고를 연결하기 위한 체결부를 가진 보강부재를 포함하고, 체결부는, 연결부재에 결합됨으로써 냉장고 및 타 냉장고 사이의 정렬이 가능하도록 마련된다.

Description

냉장고 {REFRIGERATOR}
본 발명은 내부에 수용된 냉장물을 기 설정된 온도로 냉각시켜 그 상태를 유지하는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설치공간에서 복수의 냉장고를 설치하여 사용하고자 할 때에 복수의 냉장고 사이를 연결시키는 구조가 적용되는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냉장고는 소정의 냉장물을 수용하기 위한 저장실과, 저장실에 냉기를 공급하는 냉각부를 구비하고, 저장실에 수용된 냉장물을 신선하게 보관하도록 동작하는 생활가전 장치이다. 저장실의 온도는 식품을 신선하게 보관하기 위해 요구되는 기 설정됨 범위 내로 유지된다. 냉장고는 내부에 저장실을 형성하기 위한 하우징을 포함하는데, 이 하우징은 저장실의 온도를 적정 수준으로 유지하기 위해 외상 및 내상의 이중 구조로 마련되며, 외상 및 내상 사이에 단열재가 발포된다.
냉장고는 가정 내의 부엌, 거실 등과 같은 설치공간에 고정되어 사용된다. 냉장고는 단일 장치로 사용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사용자의 요구 등 다양한 요인으로 인해 둘 이상의 복수의 장치가 하나의 설치공간에서 함께 사용되는 경우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두 대의 냉장고가 서로 인접한 상태에서 각 냉장고의 전면이 동일한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미적인 관점, 사용상의 안전성, 기타 다양한 이유 때문에, 두 대의 냉장고를 물리적으로 연결하는 구조가 필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는, 소정 설치공간에 설치되는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내부에 냉장물을 수용하는 내상과, 상기 내상을 둘러싼 외상과, 상기 내상 및 상기 외상 사이에 마련된 단열재와, 상기 내상 또는 상기 외상을 지지하도록 적어도 일부가 상기 내상 및 상기 외상 사이에 마련되며, 상기 설치공간에서 연결부재를 이용하여 상기 냉장고와, 인접하게 설치되는 타 냉장고를 연결하기 위한 체결부를 가진 보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체결부는, 상기 연결부재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냉장고 및 상기 타 냉장고 사이의 정렬이 가능하도록 마련된다.
또한, 상기 외상은 체결부관통홀을 포함하며, 상기 보강부재는, 상기 외상의 내면을 지지하는 보강부재본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체결부는, 상기 체결부관통홀을 통해 상기 보강부재본체로부터 상기 외상 밖으로 노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체결부는, 나사 결합을 위한 하나 이상의 체결홀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체결부는 상기 보강부재본체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체결부는 상기 냉장고의 정면을 향하는 판면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보강부재본체는, 상기 외상의 내면을 따라서 연장된 제1보강부와, 상기 하우징의 모서리에서 상기 제1보강부로부터 절곡되어 연장된 제2보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강부재는, 상기 연결부재를 지지하도록 상기 체결부로부터 돌출된 연결부재지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에서 상기 보강부재가 설치된 위치와 상이한 위치에 마련되며, 상기 타 냉장고와의 연결을 위해 상기 연결부재와 상이한 제2연결부재가 나사 결합되도록 마련된 제2체결홀을 가지는 제2보강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강부재는 상기 설치공간에서 상기 하우징의 하측에 마련되며, 상기 제2보강부재는 상기 하우징의 상측에 마련될 수 있다.
도 1은 냉장고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냉장고의 측단면도이다.
도 3은 두 대의 냉장고를 나란히 설치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서의 제1연결구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C 영역을 확대한 모습을 나타내는 요부 사시도이다.
도 6은 제1연결구조에 연결부재를 결합시키지 않은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I-I 선을 따라서 자른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6에서 제1연결구조에 연결부재를 결합시킨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는 제1체결부 및 제2체결부를 정면에서 본 모습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10은 도 9와 상이한 구조의 제1체결부 및 제2체결부를 정면에서 본 모습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11은 도 3에서의 제2연결구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2는 제2연결구조에 연결부재를 결합시키지 않은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3은 연결부재의 지지구조가 적용된 제1체결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4는 제1체결부 및 제2체결부에 각기 연결부재의 지지구조가 적용된 모습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15는 제1냉장고 및 제2냉장고 사이에 유로가 연결되어 있는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에 관해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는 실시예들은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상호 배타적인 구성이 아니며, 하나의 장치 내에서 복수 개의 실시예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복수의 실시예의 조합은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숙련된 기술자가 본 발명의 사상을 구현함에 있어서 임의로 선택되어 적용될 수 있다.
만일, 실시예에서 제1구성요소, 제2구성요소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가 있다면, 이러한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이며,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바, 이들 구성요소는 용어에 의해 그 의미가 한정되지 않는다. 실시예에서 사용하는 용어는 해당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적용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사상을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의 복수의 구성요소 중 "적어도 하나(at least one)"라는 표현이 나오는 경우에, 본 표현은 복수의 구성요소 전체 뿐만 아니라, 복수의 구성요소 중 나머지를 배제한 각 하나 혹은 이들의 조합 모두를 지칭한다.
도 1은 냉장고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냉장고의 측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장고(1)는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10)을 포함한다. 하우징(10) 내부에는 전면이 개방되며 소정의 냉장물이 수용되기 위한 저장실(20)이 마련된다. 하우징(10)에는 저장실(20)의 개방된 전면을 개폐하도록 도어(30)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하우징(10) 및 도어(30) 사이에는 힌지부(40)가 결합됨으로써 하우징(10)에 대한 도어(30)의 회동을 가능하게 한다.
본 도면에서 나타내는 방향에 관해 정의한다. X 방향은 냉장고(1)의 좌우방향이다. Y 방향은 X 방향에 직교하며, 냉장고(1)의 전방을 향하는 방향이다. 즉, 도어(30)를 개방했을 때 저장실(20)은 Y 방향을 향해 개방된다. Z 방향은 X 방향 및 Y 방향에 직교하며, 냉장고(1)의 세로방향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좌우로 여닫을 수 있도록 마련된 네 개의 도어(30)가 구비되고 저장실(20)이 셋으로 분할되어 있는 구조의 냉장고(1)에 관해 나타내고 있으나, 냉장고(1)의 구조가 본 실시예의 예시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도어(30)는 냉장고(1)에 하나만 구비될 수도 있고, 두 개가 구비될 수도 있다. 저장실(20)은 복수 개로 구획되어 있지 않을 수도 있고, 두 개로 구획되어 있을 수도 있다. 힌지부(40)는 하우징(10) 전면의 좌측에 설치됨으로써 도어(30)가 하우징(10) 전면의 좌측 모서리를 중심으로 회동하도록 할 수도 있고, 반대로 하우징(10) 전면의 우측에 설치됨으로써 도어(30)가 하우징(10) 전면의 우측 모서리를 중심으로 회동하도록 할 수도 있다.
하우징(10)은 저장실(20)을 형성하는 내상(11)과, 내상(11)을 수용하며 외관을 형성하는 외상(13)을 포함한다. 내상(11) 및 외상(13)은 상호 이격되어 있으며, 내상(11) 및 외상(13) 사이의 공간에는 저장실(20)의 냉기 유출을 방지하기 위한 단열재(15)가 발포된다. 단열재(15)의 재질은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단열재(15)는 우레탄 재질을 포함한다.
하우징(10)은 저장실(20)을 좌우 또는 상하로 구획하는 격벽(17)을 포함한다. 저장실(20)은 격벽(17)에 의해 냉장실(21)과 냉동실(23)로 구분될 수 있다. 냉장실(21) 및 냉동실(23)은 기능에 따른 명칭일 뿐이며, 격벽(17)에 의해 구획된 저장실(20)의 각 저장영역은 온도 설정에 따라서 냉장실(21) 및 냉동실(23)을 전환할 수 있다. 저장실(20) 내부에는 냉장물을 놓을 수 있도록 복수의 선반(25) 및 저장용기(27)가 마련된다.
저장실(20)이 격벽(17)에 의해 냉장실(21) 및 냉동실(23)로 구분된 경우에, 도어(30)는 냉장실(21)을 개폐하도록 마련된 냉장실도어(31)와, 냉동실(23)을 개폐하도록 마련된 냉동실도어(33)를 포함한다. 냉장실도어(31) 또는 냉동실도어(33)의 후면에는 냉장물을 수납하기 위한 복수의 도어가드(35)가 마련된다.
냉장고(1)는 냉매의 열교환 원리를 기반으로 저장실(20)에 냉기를 공급하는 냉각부를 가진다. 냉각부는 냉매를 압축시키는 압축기(51)와, 냉매를 응축시켜 발열반응을 일으키는 응축기와, 냉매를 증발시켜 흡열반응을 일으키는 증발기(53)와, 공기를 송풍하는 송풍팬(55)과, 증발기(53)에 의해 냉각된 공기의 이동을 안내하는 냉기덕트(57) 등을 포함한다. 압축기(51) 및 응축기는 하우징(10)의 후방의 하측에 위치하는 기계실(29)에 배치된다. 증발기(53), 송풍팬(55), 냉기덕트(57)는 저장실(20)의 후방에 배치된다. 그러나, 냉각부의 각 구성요소들에 배치 위치가 본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냉장고(1)는 내상(11) 및 외상(13) 사이에 설치되며, 내상(11) 또는 외상(13)을 지지하도록 마련된 보강부재(60)를 포함한다. 보강부재(60)는 필요에 따라서 하나 이상이 설치될 수 있는 바, 본 도면의 예를 들면 보강부재(60)는 하우징(10)의 하측 모서리 및 하우징(10)의 상측 모서리에 각기 마련될 수 있다. 일례로, 보강부재(60)는 단열재(15)가 발포된 외상(13) 및 내상(11) 사이에 외상(13)의 내측면을 지지하도록 매립됨으로써 외상(13)의 강성을 보강할 수 있다.
이러한 냉장고(1)는 소정의 설치공간에 설치하여 단독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용도에 따라서는 둘 이상의 냉장고(1)가 나란히 배치된 상태에서 사용될 수도 있다. 이하, 복수의 냉장고(1)를 나란히 배치하여 사용하는 경우에 관해 설명한다.
도 3은 두 대의 냉장고를 나란히 설치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설치공간 상에 복수의 냉장고(100, 200), 예를 들면 제1냉장고(100) 및 제2냉장고(200)의 두 대가 나란히 세워진 상태로 설치될 수 있다. 본 도면은 실시예를 간략하고 명확히 설명하기 위해, 제1냉장고(100) 및 제2냉장고(200)에서 본 실시예와 관련된 일부 구성요소만을 나타낸 것임을 밝힌다. 제1냉장고(100) 및 제2냉장고(200)는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한 모델 및 규격일 수도 있지만, 설계 방식에 따라서는 서로 상이한 모델이되, 추후 설명할 연결 구조에 관해서 공통 규격을 가지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와 같이 두 대의 냉장고(100, 200) 뿐만 아니라 세 대 이상이 나란히 설치될 수도 있는데, 이러한 경우는 본 실시예를 응용할 수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냉장고(100)는 제1하우징(110)을 포함한다. 제1하우징(110)은 제1저장실(120)을 형성하는 제1내상(111)과, 외관을 형성하는 제1외상(113)을 포함한다. 제2냉장고(200) 또한 제1냉장고(100)의 구조와 유사하게, 제2하우징(210)을 포함한다. 제2하우징(210)은 제2저장실(220)을 형성하는 제2내상(211)과, 외관을 형성하는 제2외상(213)을 포함한다.
제1냉장고(100) 및 제2냉장고(200)는 상호 인접하게 나란히 배치된다. 즉, 제1하우징(110)의 우측벽(즉, X 방향 측벽)과 제2하우징(210)의 좌측벽(즉, -X 방향 측벽)은 서로 접하거나, 적어도 서로 인접한 상태에서 마주하도록 배치된다. 제1저장실(120) 및 제2저장실(220)은 동일한 방향, 예를 들면 Y 방향을 향해 개방된다.
제1냉장고(100) 및 제2냉장고(200)는 다양한 목적(예를 들면 미관상의 목적이거나, 사용 편의성의 목적이거나, 냉매 흐름의 연결과 같은 기능적 목적 등)에 따라서 이와 같이 상호 정렬된 위치에 배치되어야 할 경우가 있다. 특히, 다양한 목적 중에서 기능적 목적의 예시에 관해서는 후술한다. 여기서, 제1냉장고(100)의 위치 및 제2냉장고(200)의 위치 사이의 정렬은, 높이(즉, Z 방향)에 따른 정렬과, 전후방향(즉, Y 방향)에 따른 정렬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냉장고(100) 및 제2냉장고(200)의 상호 정렬된 위치를 유지하기 위해, 제1냉장고(100) 및 제2냉장고(200) 사이를 물리적으로 연결하는 연결구조(A, B)가 하나 이상 적용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하우징(110) 및 제2하우징(210)의 하측 전방에 마련되는 연결구조(A)와, 제1하우징(110) 및 제2하우징(210)의 상측 판면 상에 마련되는 연결구조(B)의 두 개소가 제1냉장고(100) 및 제2냉장고(200)를 물리적으로 연결시키는 예시에 관해 설명한다. 그러나, 제1냉장고(100) 및 제2냉장고(200)를 연결시키는 연결구조(A, B)의 구조, 개수, 설치 위치 등은 본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실시예는 단지 예시에 불과할 뿐임을 밝힌다.
또한, 이하 설명하는 두 연결구조(A, B)가 반드시 제1냉장고(100) 및 제2냉장고(200)에서 실시예에 명시된 위치에만 마련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1하우징(110) 및 제2하우징(210)의 하측 전방 및 제1하우징(110) 및 제2하우징(210)의 상측 판면 중 어느 한곳에만 연결구조(A, B)가 적용될 수 있다. 또는, 제1연결구조(A)가 제1하우징(110) 및 제2하우징(210)의 하측 전방 및 제1하우징(110) 및 제2하우징(210)의 상측 판면 상에 모두 적용될 수 있다. 또는, 제2연결구조(B)가 제1하우징(110) 및 제2하우징(210)의 하측 전방 및 제1하우징(110) 및 제2하우징(210)의 상측 판면 상에 모두 적용될 수 있다. 또는, 제2연결구조(B)가 제1하우징(110) 및 제2하우징(210)의 하측 전방에 적용되고, 제1연결구조(A)가 제1하우징(110) 및 제2하우징(210)의 상측 판면 상에 적용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이하 설명하는 연결구조(A, B)는 실시예에 언급되지 않은 경우를 포함하여, 제1냉장고(100) 및 제2냉장고(200)의 연결을 위해 적용될 수 있다.
이하, 제1연결구조의 실시예에 관해 설명한다.
도 4는 도 3에서의 제1연결구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C 영역을 확대한 모습을 나타내는 요부 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냉장고(100) 및 제2냉장고(200)를 연결시키는 연결구조는, 예를 들면 제1냉장고(100) 및 제2냉장고(200)의 하측 전방에 설치될 수 있다. 제1냉장고(100)에 마련된 연결구조는 제2냉장고(200)에 마련된 대응 연결구조와 대칭적으로 마련되며, 이들은 제1냉장고(100) 및 제2냉장고(200)가 나란히 배치되어 있을 때 상호 인접하게 배치된다. 즉, 제1냉장고(100)가 제2냉장고(200)의 우측에 배치되는 경우에, 제1냉장고(100)에 마련된 연결구조는 제1냉장고(100)의 좌측 모서리에 근접하게 배치되고, 제2냉장고(200)에 마련된 대응 연결구조는 제2냉장고(200)의 우측 모서리에 근접하게 배치된다.
이하, 제1냉장고(100) 및 제2냉장고(200)에 상호 대응하게 마련된 연결구조에 관해 설명한다. 제1냉장고(100)의 경우에, 제1하우징(도 3의 110 참조)의 제1내상(111) 및 제1외상(113) 사이(구체적으로는, 제1내상(111)의 저면을 형성하는 판과 제1외상(113)의 저면을 형성하는 판 사이)에는 제1보강부재(130)가 개재된다.
제1보강부재(130)는 제1외상(113)의 배면(즉, 내면)에서 제1외상(113)을 지지하는 보강부재본체(131)를 포함한다. 제1하우징(도 3의 110 참조)의 제조 시에, 보강부재본체(131)가 제1외상(113)의 배면에 배치된 상태에서 제1내상(111) 및 제1외상(113) 사이에 단열재가 발포된다. 이 때문에, 제1내상(111) 및 제1외상(113)이 결합된 경우(도 5 참조)에는, 보강부재본체(131)는 실질적으로 제1외상(113)에 가려져서 보이지 않게 된다. 보강부재본체(131)는, 제1외상(113)의 내면을 따라서 연장되는 제1보강부(132)와, 제1외상(113)의 모서리(즉, 제1외상(113)이 절곡되는 영역)에서 제1보강부(132)로부터 절곡되어 연장된 제2보강부(133)를 포함한다. 즉, 제1보강부(132)는 제1외상(113)의 하부를, 제2보강부(133)는 제1외상(113)의 측부를 각각 지지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보강부재본체(131)는 여러 방향에서 가해지는 힘에 의해 제1외상(113)이 구부러지지 않도록 보강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보강부재(130)는, 보강부재본체(131)에 지지되며 제1외상(113) 밖으로 노출된 제1체결부(134)를 포함한다. 제1내상(111) 및 제1외상(113) 사이에 단열재가 발포되기 이전에, 제1보강부재(130)은 소정의 접착수단을 사용하여 제1외상(113)의 배면에 접착된다. 이와 같이 제1보강부재(130)가 제1외상(113)의 배면에 접착되어 있는 동안에 단열재가 발포됨으로써, 제1보강부재(130)는 그 위치가 지지된다. 여기서, 상기한 접착수단은 폴리에스테르, 폴리우레탄, 폴리아크릴, 에폭시, 실리콘 등 다양한 종류의 수지를 포함하는 접착제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체결부(134)는 제1외상(113)에 형성된 제1체결부관통홀(115)을 통해 제1외상(113) 밖으로 노출된다. 제1체결부(134)는 보강부재본체(131)에 결합되도록 마련되거나, 또는 보강부재본체(131)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제1체결부(134)의 연장방향은 한정된 것은 아니지만, 한 가지 예시로서 제1보강부(132) 및 제2보강부(133) 각각의 연장방향에 따라서 설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체결부(134)는 제1보강부(132)로부터 돌출되는 형태를 가지므로 제1보강부(132)의 연장방향에 직교할 수 있다. 또한, 제1체결부(134)는 제1외상(113)의 저면의 외측으로 노출되므로, 제1외상(113)의 측벽을 따라서 연장되는 제2보강부(133)의 연장방향에 반대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의 제1체결부(134)는 그 판면이 제1냉장고(100)의 정면(즉, Y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된다. 제1체결부(134)의 이러한 판면에는 복수의 제1체결홀(135)이 상호 이격되게 관통 형성된다. 제1체결부(134) 및 제1체결홀(135)의 보다 구체적인 구조에 관해서는 후술한다.
제2냉장고(200)의 경우에, 제2하우징의 제2내상(211) 및 제2외상(213) 사이(구체적으로는, 제2내상(211)의 저면을 형성하는 판과 제2외상(213)의 저면을 형성하는 판 사이)에는 제2보강부재(230)가 개재된다. 제2체결부(234)는 제2외상(213)에 형성된 제2체결부관통홀(215)을 통해 제2외상(213) 밖으로 노출된다. 제2보강부재(230)는 기본적으로는 제1보강부재(130)와 유사한 구조를 가진다. 다만, 제2보강부재(230)에서 제2체결부(234)의 위치는 제1보강부재(130)에서 제1체결부(134)의 위치와 대칭적으로 마련된다. 예를 들면, 제1냉장고(100) 및 제2냉장고(200)의 정면에서 볼 때, 제1체결부(134)는 제1보강부재(130)의 왼쪽에 치우치게 배치되고 제2체결부(234)는 제2보강부재(230)의 오른쪽에 치우치게 배치된다. 제1체결부(134) 및 제2체결부(234)가 상호 인접하게 배치됨으로써, 후술할 연결부재(300, 도 6 참조)가 제1체결부(134) 및 제2체결부(234)를 서로 연결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체결부(134)가 보강부재본체(131)의 양 단부에 근접하도록 대칭적으로 두 개가 배치된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이와 같은 구조의 경우에, 제1냉장고(100)를 제2냉장고(200)의 우측뿐만 아니라 좌측에 배치하는 경우에도 본 실시예가 적용될 수 있다. 다만, 이와 같은 구조가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며, 제1체결부(134)가 보강부재본체(131)의 양 단부 중 어느 일측에 근접하도록 하나만이 배치되는 경우도 가능하다. 제2냉장고(200)의 제2체결부(234) 또한 이와 유사한 구조가 적용될 수 있다.
다만, 제1체결부(134)가 제1보강부재(130)의 왼쪽에만 배치되고 제2체결부(234)가 제2보강부재(230)의 오른쪽에만 배치된다면, 제1냉장고(100)는 제2냉장고(200)의 오른쪽에만 배치되어야 하므로, 제1냉장고(100) 및 제2냉장고(200)의 상대적 위치는 고정되게 된다. 따라서, 제1체결부(134)는 제1보강부재(130)의 왼쪽뿐만 아니라 오른쪽에도 대칭적으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동일한 이유로, 제2체결부(234)는 제2보강부재(230)의 오른쪽뿐만 아니라 왼쪽에도 대칭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제1냉장고(100)를 제2냉장고(200)의 왼쪽에 배치하는 경우에도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적용될 수 있다.
도 6은 제1연결구조에 연결부재를 결합시키지 않은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I-I 선을 따라서 자른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6에서 제1연결구조에 연결부재를 결합시킨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냉장고(100)에서는 제1외상(113)의 제1체결부관통홀(115)을 통해 제1보강부재(130)의 보강부재본체(131)로부터 제1체결부(134)가 외부로 노출된다. 제2냉장고(200)의 제2보강부재(230)의 경우 또한 이와 유사한 구조를 가진다.
연결부재(300)는 제1냉장고(100) 및 제2냉장고(200)가 서로 인접하게 배치된 상태에서 제1체결부(134) 및 제2체결부(234)에 함께 결합된다. 연결부재(300)는 소정 길이로 연장된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연결부재본체(310)와, 연결부재본체(310) 상에 관통 형성된 복수의 제1연결부재체결홀(320) 및 복수의 제2연결부재체결홀(330)을 포함한다. 복수의 제1연결부재체결홀(320)은 복수의 제1체결홀(135)에 스크루(360)에 의해 각기 나사 결합됨으로써 연결부재(300)를 제1체결부(134)에 결합시킨다. 또한, 복수의 제2연결부재체결홀(330)은 복수의 제2체결홀(235)에 스크루(360)에 의해 각기 나사 결합됨으로써 연결부재(300)를 제2체결부(234)에 결합시킨다. 즉, 제1연결부재체결홀(320) 및 제2연결부재체결홀(330)은, 각각 제1체결홀(135) 및 제2체결홀(235)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제1체결부(134) 및 제2체결부(234)가 각기 제1냉장고(100) 및 제2냉장고(200)의 정면을 향하므로, 사용자가 용이하게 스크루(360)로 연결부재(300)를 결합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체결부(134) 및 제2체결부(234)에 스크루(360)에 의한 나사산을 가진 제1체결홀(135) 및 제2체결홀(235)이 마련되는 것으로 설명하였다. 그러나, 설계 방식에 따라서는 제1체결부(134) 또는 제2체결부(234)로부터 체결홀(135, 235)이 아닌 체결구조, 예를 들면 볼트 등이 마련되는 구조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제1체결부(134)로부터 볼트가 연장되고, 연결부재(300)에 형성된 홀을 관통한 상기 볼트가 너트로 체결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연결부재(300)는 제1체결부(134) 및 제2체결부(234)에 함께 결합됨으로써, 제1냉장고(100) 및 제2냉장고(200)를 물리적으로 연결시키고, 제1냉장고(100) 및 제2냉장고(200)의 위치 정렬을 유지시킬 수 있다.
이하, 제1체결홀(135), 제2체결홀(235), 제1연결부재체결홀(320), 제2연결부재체결홀(330)의 상대적 위치에 관해 설명한다.
도 9는 제1체결부 및 제2체결부를 정면에서 본 모습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냉장고(100) 및 제2냉장고(200)가 상호 정렬된 위치에 있는 경우에, 제1보강부재(130)의 제1체결부(134) 및 제2보강부재(230)의 제2체결부(234)는 동일한 방향을 향해 서로 인접하게 배치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연결부재(300)가 제1체결부(134) 및 제2체결부(234)에 함께 결합됨으로써 제1냉장고(100) 및 제2냉장고(200)가 물리적으로 연결된다. 구체적으로, 스크루에 의해 복수의 제1연결부재체결홀(320)이 복수의 제1체결홀(135)에 각기 나사 결합되고, 복수의 제2연결부재체결홀(330)에 복수의 제2체결홀(235)에 각기 나사 결합된다. 제1체결홀(135), 제2체결홀(235), 제1연결부재체결홀(320) 및 제2연결부재체결홀(330) 각각의 내주면은 스크루와의 나사 결합을 위해 형성된 나사산을 가진다. 또는, 볼트 및 너트를 사용한 결합도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체결홀(135)이 두 개 마련되며, 제2체결홀(235)이 두 개 마련된다. 이에 대응하여, 제1연결부재체결홀(320)이 두 개 마련되고, 제2연결부재체결홀(330)이 두 개 마련된다. 제1연결부재체결홀(320)의 개수는 제1체결홀(135)의 개수에 대응하며, 제2연결부재체결홀(330)의 개수는 제2체결홀(235)의 개수에 대응한다.
제1체결홀(135) 및 제2체결홀(235) 각각의 개수는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제1체결홀(135) 및 제2체결홀(235)은 각각 하나씩만 마련될 수도 있는데, 이 경우에는 제1냉장고(100) 및 제2냉장고(200) 사이의 전후방향 정렬을 맞출 수 있다. 다만, 제1냉장고(100) 및 제2냉장고(200) 사이의 전후방향 정렬 및 상하방향 정렬을 함께 맞추기 위해서는, 제1체결홀(135) 및 제2체결홀(235) 각각의 개수는 본 실시예와 같이 적어도 둘 이상 마련된다.
복수의 제1체결홀(135) 및 복수의 제2체결홀(235)은 예를 들면 X 방향을 따른 직선상에 배치된다. 인접하는 두 제1체결홀(135)의 거리를 W1, 인접하는 두 제2체결홀(235)의 거리를 W4라고 하면, W1=W4를 만족한다. 제1보강부재(130)의 보강부재본체로부터 각 제1체결홀(135)까지의 최단거리를 W2, 제2보강부재(230)의 보강부재본체로부터 각 제2체결홀(235)까지의 최단거리를 W5라고 하면, W2=W5를 만족한다. 제1냉장고(100)의 좌측 모서리로부터 해당 모서리에 가장 근접한 제1체결홀(135)까지의 거리를 W3, 제2냉장고(200)의 우측 모서리로부터 해당 모서리에 가장 근접한 제2체결홀(235)까지의 거리를 W6이라고 하면, W3=W6을 만족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여러 냉장고(100, 200)에 대해 공통적으로 표준화된 연결구조를 적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복수의 제1체결홀(135) 및 복수의 제2체결홀(235)이 일직선 상에 마련되는 경우에 관해 설명하였다. 그러나, 이는 복수의 제1체결홀(135) 및 복수의 제2체결홀(235)이 상호 대칭적으로 마련되는 하나의 예시에 불과할 뿐이며, 복수의 제1체결홀(135) 및 복수의 제2체결홀(235)의 배치 구조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복수의 제1체결홀(135) 및 복수의 제2체결홀(235)의 다른 배치 구조의 예시에 관해 설명한다.
도 10은 도 9와 상이한 구조의 제1체결부 및 제2체결부를 정면에서 본 모습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냉장고 및 제2냉장고가 상호 정렬된 위치에 있는 경우에, 제1보강부재(410)의 제1체결부(411) 및 제2보강부재(420)의 제2체결부(421)는 동일한 방향을 향해 서로 인접하게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체결홀(413, 415) 및 제2체결홀(423, 425)이 각각 두 개 마련되고, 이에 대응하도록 연결부재(430)에 제1연결부재체결홀(431) 및 제2연결부재체결홀(433)이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복수의 제1체결홀(413, 415)이 동일한 직선 상에 배치되지 않으며, 또한 복수의 제1체결홀(413, 415)이 동일한 직선 상에 배치되지 않는다.
인접하는 두 제1체결홀(413, 415)의 거리를 W11, 인접하는 두 제2체결홀(423, 425)의 거리를 W15라고 하면, W11=W15를 만족한다. 제1냉장고의 좌측 모서리로부터 해당 모서리에 가장 근접한 제1체결홀(413, 415)까지의 거리를 W12, 제2냉장고의 우측 모서리로부터 해당 모서리에 가장 근접한 제2체결홀(423, 425)까지의 거리를 W16이라고 하면, W12=W16을 만족한다. 제1보강부재(410)의 보강부재본체의 저면으로부터 가장 근접하게 배치된 제1체결홀(413)까지의 최단거리를 W13, 제2보강부재(420)의 보강부재본체의 저면으로부터 가장 근접하게 배치된 제2체결홀(423)까지의 최단거리를 W17라고 하면, W13=W17을 만족한다. 제1보강부재(410)의 보강부재본체의 저면으로부터 가장 멀리 배치된 제1체결홀(415)까지의 최단거리를 W13, 제2보강부재(420)의 보강부재본체의 저면으로부터 가장 멀리 배치된 제2체결홀(425)까지의 최단거리를 W17라고 하면, W13=W17을 만족한다.
제1연결부재체결홀(431) 및 제2연결부재체결홀(433)은 이러한 제1체결홀(413, 415) 및 제2체결홀(423, 425)의 위치에 대응하도록 연결부재(430)에 관통 형성된다.
이하, 앞서 도 3에서 나타냈던 제2연결구조(B, 도 3 참조)의 실시예에 관해 설명한다.
도 11은 도 3에서의 제2연결구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2는 제2연결구조에 연결부재를 결합시키지 않은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냉장고(100) 및 제2냉장고(200)가 Y 방향을 향해 서로 인접하게 나란히 배치된다. 제1냉장고(100)의 제1내상(111) 상면 및 제1외상(113) 상면 사이에는 제1보강부재(510)가 개재된다. 제1보강부재(510)는 제1냉장고(100) 상측에 마련됨으로써 제1외상(113)의 상면의 강성을 보강한다. 이와 유사하게, 제2냉장고(200)의 제2내상(211) 상면 및 제2외상(213) 상면 사이에는 제2보강부재(520)가 개재된다. 제1보강부재(510)는 접착제 등과 같은 접착수단에 의해 제1외상(113)의 내면에 접착되며, 이 상태에서 제1내상(111) 및 제1외상(113) 사이에 단열재가 발포됨으로써 제1외상(113) 내측에 지지된다.
제1보강부재(510)는 제1외상(113)의 상면을 따라서 연장되는 제1보강부(513)와, 제1외상(113)의 측면을 따라서 연장되도록 제1보강부(513)의 단부로부터 절곡된 제2보강부(515)를 포함한다. 제1보강부(513)에서 제2보강부(515)에 인접한 영역(즉, 제1냉장고(100)의 측면 모서리에 인접한 영역) 상에는 복수의 제1체결홀(517)이 관통 형성된다. 제2보강부재(520) 또한 제1보강부재(510)와 유사한 구조를 가지며, 복수의 제2체결홀(527)이 제2냉장고(200)의 측면 모서리에 인접한 영역 상에 관통 형성된다.
복수의 제1체결홀(517)이 제1보강부(513)의 일측 단부에만 마련되는 경우에도 본 실시예가 적용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경우에는 제1체결홀(517)의 위치 때문에 제1냉장고(100)를 제2냉장고(200)의 왼쪽에 배치해야만 한다. 이러한 상황을 피하기 위해서, 복수의 제1체결홀(517)은 제1보강부(513)의 양측 단부에 대칭적으로 마련된다. 복수의 제2체결홀(527)의 경우 또한 이와 동일하다.
본 실시예의 연결구조는 제1냉장고(100) 및 제2냉장고(200) 상판면에 마련되므로, 사용자가 스크루에 의한 나사 결합을 수행하기에 상대적으로 용이할 수 있다. 이에, 본 실시예에서 복수의 제1체결홀(517)은 제1보강부재(510)로부터 제1외상(113) 외부로 노출되도록 연장된 영역(즉, 앞선 실시예에서의 제1체결부(134, 도 4 참조))에 마련되는 것이 아니라, 제1외상(113)의 내측에 수용된 제1보강부재(510) 상에 마련된다. 또한, 제1외상(113)에는 제1체결홀(517)의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에 제1하우징체결홀(541)이 마련된다. 즉, 제1하우징체결홀(541) 및 제1체결홀(517)은 제1외상(113) 외부에서 볼 때에는 겹쳐지도록 배치된다. 물론,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냉장고(100) 및 제2냉장고(200) 상판면에는 본 실시예와 같은 연결구조 뿐만 아니라 앞선 실시예와 같은 연결구조가 적용될 수도 있다.
연결부재(530)는, 복수의 제1하우징체결홀(541) 및 복수의 제1체결홀(517)에 대응하는 복수의 제1연결부재체결홀(533)이 마련된다. 스크루에 의해 제1외상(113)의 외부로부터 제1연결부재체결홀(533), 제1하우징체결홀(541) 및 제1체결홀(517)이 순차적으로 나사 결합됨으로써, 연결부재(530)는 제1냉장고(100)에 결합된다.
또한, 이와 유사한 구조에 따라서, 복수의 제2체결홀(527)은 제2외상(213)의 내측에 수용된 제2보강부재(520) 상에 마련된다. 제2외상(213)에는 제2체결홀(527)의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에 제2하우징체결홀(542)이 마련된다. 연결부재(530)는 제1연결부재체결홀(533)과 이격되도록, 복수의 제2하우징체결홀(542) 및 복수의 제2체결홀(527)에 대응하는 복수의 제2연결부재체결홀(535)이 마련된다. 스크루에 의해 제2외상(213)의 외부로부터 제2연결부재체결홀(535), 제2하우징체결홀(542) 및 제2체결홀(527)이 순차적으로 나사 결합됨으로써, 연결부재(530)는 제2냉장고(200)에 결합된다.
이와 같이 연결부재(530)는 제1냉장고(100) 및 제2냉장고(200)에 함께 나사 결합됨으로써, 제1냉장고(100) 및 제2냉장고(200)를 물리적으로 결합시킨다(도 3의 B 참조).
한편, 제1체결부 또는 제2체결부에는 연결부재와의 용이한 결합을 보조하는 추가적인 구성이 반영될 수도 있다. 이하, 이러한 실시예에 관해 설명한다.
도 13은 연결부재의 지지구조가 적용된 제1체결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보강부재(610)는 보강부재본체(611)로부터 하향 연장된 제1체결부(613)를 포함한다. 제1체결부(613) 상에는 복수의 제1체결홀(615)이 관통 형성된다. 여기서, 연결부재(300)에 마주하도록 마련된 제1체결부(613)의 판면(즉, 제1체결부(613)의 정면) 상에는, 연결부재(300)를 지지하도록 돌출된 제1연결부재지지부(617)가 마련된다.
제1연결부재지지부(617)는 연결부재(300)를 지지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의 제1연결부재지지부(617)는 제1체결부(613)의 하단부에 마련된 후크 형상을 가지고, 연결부재(300)의 하단부를 지지하는 그루브를 형성한다. 또는, 연결부재(300)는 제1체결부(613)의 하단부로부터 정면을 향해 돌출됨으로써 연결부재(300)의 하단 모서리가 안착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제1연결부재지지부(617)가 그루브를 형성하는 경우에, 연결부재(300)는 제1체결부(613)의 판면에 평행한 방향으로 그루브의 일단으로부터 슬라이드하며, 제1연결부재체결홀(320)이 제1체결홀(615)에 대응하는 위치까지 이동하도록 마련된다.
이로써, 연결부재(300)를 제1체결부(613)에 결합시키는 조작이 편리해진다.
도 14는 제1체결부 및 제2체결부에 각기 연결부재의 지지구조가 적용된 모습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보강부재(610)의 제1체결부(613)로부터 제1연결부재지지부(617)가 마련된 것과 유사한 구조로, 제2보강부재(620)의 제2체결부(623)로부터 제2연결부재지지부(627)가 마련된다. 연결부재(300)를 제1체결부(613) 및 제2체결부(623)에 결합시키기 위해, 예를 들면 연결부재(300)의 X 방향 단부가 제2연결부재지지부(627)의 -X 방향 단부에서부터 X 방향으로 슬라이드하여 이동한다. 연결부재(300)는 제2체결부(623) 및 제1체결부(613) 각각의 판면을 따라서 이동한다. 이 때, 연결부재(300)는 하단부가 제2연결부재지지부(627)에 의해 형성되는 그루브 및 제1연결부재지지부(617)에 의해 형성되는 그루브에 수용된 상태로 이동한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서는 제1체결부(613) 및 제2체결부(623) 중 어느 하나에 연결부재(300)의 슬라이드를 차단하는 스토퍼(630)가 돌출된다. 예를 들면, 제1연결부재체결홀(320) 및 제2연결부재체결홀(330)이 각기 제1체결홀(615) 및 제2체결홀(625)에 대응하는 위치까지 연결부재(300)가 도달하면, 연결부재(300)의 이동을 차단하도록 연결부재(300)의 이동경로 상에 스토퍼(630)가 마련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연결부재(300)가 X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고려하여 제1체결부(613)의 우측 모서리에 근접하게 스토퍼(630)가 마련된다. 만일 연결부재(300)가 제1연결부재지지부(617)에서부터 -X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에는, 스토퍼(630)는 제2체결부(623)의 좌측 모서리에 근접하게 마련된다.
즉, 제1연결부재지지부(617) 및 제2연결부재지지부(627)가 그루브를 형성하는 구조라면, 연결부재(300)는 제1체결부(613) 및 제2체결부(623)의 판면을 따라서 슬라이드하도록 마련된다. 이 경우에, 연결부재(300)가 그루브에 진입해야 하므로, 스토퍼(630)는 제1체결부(613) 및 제2체결부(623) 중에서, 연결부재(300)의 이동경로 마지막에 마련된다.
이로써, 제1체결부(613) 및 제2체결부(623)에 대한 연결부재(300)의 나사 결합 시, 연결부재(300)의 결합 위치를 용이하게 맞출 수 있다.
이하, 두 냉장고 사이의 정렬이 유지되어야 하는 경우의 구성에 관해 설명한다.
도 15는 제1냉장고 및 제2냉장고 사이에 유로가 연결되어 있는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냉장고(100)는 제1하우징(110) 내에 냉매가 이동하도록 안내하는 제1유로(150)와, 제1유로(150) 상의 냉매를 냉각시키는 냉각부(160)를 포함한다. 냉각부(160)는 앞선 도 2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압축기(51, 도 2 참조), 응축기, 증발기(53, 도 2 참조) 등을 포함한다. 제2냉장고(200) 또한 제2하우징(210) 내에 냉매가 이동하도록 안내하는 제2유로(250)를 포함한다.
통상적으로는 제1냉장고(100) 및 제2냉장고(200)가 각자 독립적으로 냉매를 냉각시켜 사용할 수 있다. 그런데, 제1냉장고(100)의 냉각부(160)의 성능이 충분한 경우에, 설계 방식에 따라서는 제1냉장고(100)의 냉각부(160)만으로 제1냉장고(100) 및 제2냉장고(200)의 냉각을 수행하는 구성도 가능하다. 이 경우에, 제2냉장고(200)의 냉각부는 가동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유로(150)의 단부 및 제2유로(250)의 단부 사이를 별도의 유로연결부(700)에 의해 연결시킨다. 본 실시예에서는 두 개의 유로연결부(700)에 의해 제1유로(150) 및 제2유로(250) 사이를 연결시키는 것으로 나타내고 있지만, 제1유로(150) 및 제2유로(250) 사이를 연결하는 노드의 위치 및 개수는 한정되지 않으므로, 이에 대응하여 유로연결부(700)가 마련된다. 유로연결부(700)에 의해 제1유로(150) 및 제2유로(250)가 연통되며, 제1냉장고(100)의 냉각부(160)에 의해 냉각된 냉매는 제1유로(150), 유로연결부(700), 제2유로(250)를 통해 이동하며 다시 냉각부(160)로 순환된다. 이와 같이 유로연결부(700)에 의해 제1유로(150) 및 제2유로(250)를 연통시킴으로써, 제1냉장고(100)의 냉각부(160)만으로 제1냉장고(100) 및 제2냉장고(200)를 함께 냉각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는, 제1유로(150) 및 제2유로(250)를 연결하는 유로연결부(700)의 정합이 맞는 것이 중요하므로, 제1냉장고(100) 및 제2냉장고(200)의 위치 정렬이 유지되어야 한다. 따라서, 앞선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냉장고(100) 및 제2냉장고(200) 사이를 물리적으로 연결시키는 연결구조가 적용됨으로써, 위치 정렬을 유지할 수 있다.
100, 200 : 냉장고
110, 210 : 하우징
111, 211 : 내상
113, 213 : 외상
130, 230 : 보강부재
134, 234 : 체결부
135, 235 : 체결홀
300 : 연결부재
320 : 제1연결부재체결홀
330 : 제2연결부재체결홀

Claims (9)

  1. 냉장고에 있어서,
    소정 설치공간에 설치되는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내부에 냉장물을 수용하는 내상과,
    상기 내상을 둘러싼 외상과,
    상기 내상 및 상기 외상 사이에 마련된 단열재와,
    상기 내상 또는 상기 외상을 지지하도록 적어도 일부가 상기 내상 및 상기 외상 사이에 마련되며, 상기 설치공간에서 연결부재를 이용하여 상기 냉장고와, 인접하게 설치되는 타 냉장고를 연결하기 위한 체결부를 가진 보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체결부는, 상기 연결부재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냉장고 및 상기 타 냉장고 사이의 정렬이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냉장고.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상은 체결부관통홀을 포함하며,
    상기 보강부재는, 상기 외상의 내면을 지지하는 보강부재본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체결부는, 상기 체결부관통홀을 통해 상기 보강부재본체로부터 상기 외상 밖으로 노출되도록 마련된 냉장고.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나사 결합을 위한 하나 이상의 체결홀을 포함하는 냉장고.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상기 보강부재본체로부터 연장되는 냉장고.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상기 냉장고의 정면을 향하는 판면을 가지는 냉장고.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재본체는,
    상기 외상의 내면을 따라서 연장된 제1보강부와,
    상기 하우징의 모서리에서 상기 제1보강부로부터 절곡되어 연장된 제2보강부를 포함하는 냉장고.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재는,
    상기 연결부재를 지지하도록 상기 체결부로부터 돌출된 연결부재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냉장고.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서 상기 보강부재가 설치된 위치와 상이한 위치에 마련되며, 상기 타 냉장고와의 연결을 위해 상기 연결부재와 상이한 제2연결부재가 나사 결합되도록 마련된 제2체결홀을 가지는 제2보강부재를 더 포함하는 냉장고.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재는 상기 설치공간에서 상기 하우징의 하측에 마련되며, 상기 제2보강부재는 상기 하우징의 상측에 마련되는 냉장고.
KR1020200014062A 2020-02-06 2020-02-06 냉장고 KR20210100287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4062A KR20210100287A (ko) 2020-02-06 2020-02-06 냉장고
PCT/KR2021/001309 WO2021157983A1 (en) 2020-02-06 2021-02-01 Refrigerator
EP21750909.0A EP4088073A4 (en) 2020-02-06 2021-02-01 FRIDGE
US17/168,370 US11747077B2 (en) 2020-02-06 2021-02-05 Refrigera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4062A KR20210100287A (ko) 2020-02-06 2020-02-06 냉장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0287A true KR20210100287A (ko) 2021-08-17

Family

ID=771782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4062A KR20210100287A (ko) 2020-02-06 2020-02-06 냉장고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747077B2 (ko)
EP (1) EP4088073A4 (ko)
KR (1) KR20210100287A (ko)
WO (1) WO202115798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083496A (zh) * 2021-09-03 2023-11-17 三星电子株式会社 冰箱和家用电器
US11892225B2 (en) * 2022-04-28 2024-02-06 Haier Us Appliance Solutions, Inc. Systems and methods of operating refrigerator appliances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50002181Y1 (ko) 1983-04-30 1985-10-07 주식회사금성사 냉장고 횡방향 결합장치
US4618193A (en) 1983-12-07 1986-10-21 Whirlpool Corporation Cabinet construction for an automatic washer
JPH06159911A (ja) 1992-11-27 1994-06-07 Hitachi Ltd 組合せ冷蔵庫
US5921095A (en) * 1996-12-11 1999-07-13 Lg Electronics Inc. Expandable type refrigerator
CA2206506C (en) * 1997-05-29 2004-01-13 Nedo Banicevic Refrigerator mullion
KR100448287B1 (ko) * 2002-01-25 2004-09-10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냉장고용 캐비넷 조립체
US7008027B2 (en) * 2002-05-09 2006-03-07 Fleetwood Group, Inc. Modular case units
US7014283B2 (en) * 2002-07-16 2006-03-21 Maytag Corporation Localized reinforcement system for refrigerator cabinet
CA2514702C (en) 2003-03-25 2007-12-11 Spacesaver Corporation Modular security cabinet system for storing firearms or the like
DE102008041487A1 (de) * 2008-08-22 2010-02-25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Haushaltsgerät für den Einbau in einen Möbelrahmen
KR20110006672U (ko) * 2009-12-28 2011-07-06 주식회사 케이제이코리아 건조기와 냉장고를 겸비하기 위한 연결구조
EP2607824A3 (de) 2011-12-22 2015-02-25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Mechanische Verbindungsvorrichtung für zwei schrankförmige Haushaltsgeräte
TW201349984A (zh) * 2012-05-31 2013-12-01 Hon Hai Prec Ind Co Ltd 機櫃式伺服器及其組合
US9743768B2 (en) * 2014-02-11 2017-08-29 H4 Innovations, LLC Cabinet installation spacer and retainer
US10165860B2 (en) * 2016-05-09 2019-01-01 Whirlpool Corporation Cosmetic door panel suspension and adjustment system for a built-in appliance
KR102530909B1 (ko) * 2017-12-13 2023-05-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단열체 및 냉장고
US11248407B2 (en) * 2018-10-30 2022-02-15 Whirlpool Corporation Door alignment mechanism
CN110068193A (zh) * 2019-05-22 2019-07-30 长虹美菱股份有限公司 一种冰箱箱体连接结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088073A4 (en) 2023-06-07
US20210247127A1 (en) 2021-08-12
EP4088073A1 (en) 2022-11-16
US11747077B2 (en) 2023-09-05
WO2021157983A1 (en) 2021-08-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33635B1 (ko) 냉장고
US10317128B2 (en) Refrigerator
KR101291206B1 (ko) 냉장고
US9791197B2 (en) Refrigerator with rear panel for accommodating water hose
JP5812833B2 (ja) 冷蔵庫
US11747077B2 (en) Refrigerator
US20040189164A1 (en) Recessed refrigerator
JP2007071521A (ja) 冷蔵庫
KR20180014425A (ko) 냉장고 및 냉장고의 제조방법
JP2016090079A (ja) 冷蔵庫
JP3411182B2 (ja) 貯蔵庫
JP2009156527A (ja) 冷蔵庫
WO2018189808A1 (ja) 冷蔵庫
KR101668707B1 (ko) 냉장고 도어
US20150145400A1 (en) Refrigerator
JP2017083046A (ja) 冷蔵庫
JP3396590B2 (ja) 冷蔵庫
KR20210058221A (ko) 냉장고
JP2019032161A (ja) 冷蔵庫
JP2000088448A (ja) 冷蔵庫の仕切壁取り付け構造
JP2007046849A (ja) 冷蔵庫
JP2014126218A (ja) 冷蔵庫
JP7079063B2 (ja) 冷蔵庫
KR20220158579A (ko) 냉장고
KR102059005B1 (ko) 냉장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