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00000A - Apartment building with emergency evacuation structure - Google Patents

Apartment building with emergency evacuation structur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00000A
KR20210100000A KR1020200159130A KR20200159130A KR20210100000A KR 20210100000 A KR20210100000 A KR 20210100000A KR 1020200159130 A KR1020200159130 A KR 1020200159130A KR 20200159130 A KR20200159130 A KR 20200159130A KR 20210100000 A KR20210100000 A KR 202101000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om
floor
evacuation
shared
shared roo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5913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인수
Original Assignee
(주)파크이즈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파크이즈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파크이즈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2001591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00000A/en
Publication of KR202101000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0000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12Small buildings or other erections for limited occupation, erected in the open air or arranged in buildings, e.g. kiosks, waiting shelters for bus stops or for filling stations, roofs for railway platforms, watchmen's huts or dressing cubicles
    • E04H1/125Small buildings, arranged in other buildings
    • E04H1/1261Cubicles for fire-protection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3/00Special devices for ventilating gasproof shelter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3/00Devices or single parts for facilitating escape from buildings or the like, e.g. protection shields, protection screens;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smoke penetrating into distinct parts of building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5/00Other devices for rescuing from fir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92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 E04B1/94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against fir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5/0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 E06B5/1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for protection against air-raid or other war-like action; for other protective purposes
    • E06B5/16Fireproof doors or similar closures; Adaptations of fixed construction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60Arrangement or mounting of the outdoor uni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24F11/32Responding to malfunctions or emergencies
    • F24F11/33Responding to malfunctions or emergencies to fire, excessive heat or smo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082Grilles, registers or guard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ildings Adapted To Withstand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partment house having an emergency escape structure, as an apartment house consisting of multiple floors, each floor consisting of multiple objects. More particularly, provided is the apartment house having an emergency escape structure in which a user can safely and quickly escape by himself or herself in an emergenc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partment house having an emergency escape structure comprises: private rooms and balconies provided for each object; a common room formed to connect the balconies of neighboring objects on each floor; fire walls installed to separate the common room and the balconies connected thereto; an insulated fire door formed on each of the fire walls to allow the common room to communicate with the balconies connected thereto; and an evacuation passage formed such that the evacuation passage can be connected to the common room on another floor through the ceiling and floor of the common room.

Description

비상 탈출 구조를 가지는 공동주택{APARTMENT BUILDING WITH EMERGENCY EVACUATION STRUCTURE}Apartment building with emergency escape structure {APARTMENT BUILDING WITH EMERGENCY EVACUATION STRUCTURE}

본 발명은 비상 탈출 구조를 가지는 공동주택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비상시에 거주자의 자력 탈출이 안전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비상 탈출 구조를 가지는 공동주택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artment house having an emergency escape structur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partment house having an emergency escape structure in which a occupant's self-escape can be made safely and quickly in an emergency.

아파트는 최근까지 주거 공간으로 널리 활용되는 건물이다. 이러한 아파트가 고층화되면서 거주자가 비상 계단을 통해 아파트의 바깥 혹은 옥상으로 이동할 때의 동선이 길어지게 되었고, 비상 계단을 이용할 수 없는 화재와 재난의 경우, 자력 탈출을 위한 차선책이 없어, 화재와 같은 비상 상황에서 고층 거주자가 비상 계단을 통하여 아파트로부터 안전하게 탈출하기가 매우 어렵게 되었다.An apartment building has been widely used as a residential space until recently. As these apartments become high-rise, the movement lines for residents to move to the outside or rooftop of the apartment through the emergency stairs have become longer. The situation made it very difficult for high-rise occupants to safely escape from the apartment through the emergency stairs.

한편, 각 세대별로 구비되는 완강기를 사용한 비상 탈출의 경우 거주자가 탈출 시에 외부 환경에 노출되는 위험이 있고, 체력이 약한 노인과 어린이의 경우 완강기를 능숙하게 조작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emergency evacuation using a banggi provided for each household, there is a risk that residents are exposed to the external environment when escaping, and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difficult for the elderly and children with weak physical strength to skillfully operate the shank.

또한, 각 세대별로 마련된 화재 대피실로 거주자가 피난하는 경우 구급 대원이 도착하거나 화재가 진압될때까지 거주자가 화재 대피실이 마련된 아파트 내부에 고립되어야 하는 어려움이 있다.In addition, when a resident evacuates to a fire evacuation room provided for each household, there is a difficulty in that the resident must be isolated inside an apartment in which a fire evacuation room is provided until an ambulance arrives or the fire is extinguished.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하기의 특허문헌에 게재되어 있다.The technology underlying the present invention is disclosed in the following patent documents.

KRUS 10-198256310-1982563 B1B1 KRUS 10-2019-008829010-2019-0088290 AA

본 발명은 공동주택에 거주하는 거주자가 비상시에 안전하고 신속하게 자력 탈출할 수 있는 비상 탈출 구조를 가지는 공동주택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partment house having an emergency escape structure in which residents living in the apartment house can safely and quickly escape by themselves in an emergency.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비상 탈출 구조를 가지는 공동주택은, 복수 층으로 이루어지고, 각각의 층이 복수 객체로 이루어진 공동주택으로서, 각각의 객체에 제공되는 전용실 및 발코니; 각각의 층에서 서로 이웃하는 객체의 발코니들을 연결시키도록 형성되는 공유실; 상기 공유실과 그에 연결된 발코니들을 구분하도록 설치되는 방화 벽체들; 상기 공유실 및 그에 연결된 발코니들을 연통시킬 수 있도록 상기 방화 벽체들에 각각 형성되는 단열 방화 도어; 상기 공유실의 천장 및 바닥을 통하여 다른 층의 공유실과 연결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피난 통로;를 포함한다.An apartment house having an emergency escape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multi-story apartment house, each layer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objects, and includes: a private room and a balcony provided for each object; a shared room formed to connect the balconies of neighboring objects on each floor; Fire walls installed to separate the shared room and the balconies connected thereto; an insulated fire door formed in each of the fire walls to communicate the common room and the balconies connected thereto; and an evacuation passage formed so as to be connected to a shared room on another floor through the ceiling and floor of the shared room.

상기 피난 통로는, 상기 공유실의 천장 및 바닥을 통해 상기 서로 이웃하는 객체의 사용자를 다른 층으로 탈출시킬 수 있도록 상기 공유실의 천장 및 바닥에 형성되는 피난 도어; 상기 공유실의 천장에 위치하는 피난 도어에 상하 방향으로 정렬되도록 설치되는 승강기;를 포함할 수 있다.The evacuation passage may include: an evacuation door formed in the ceiling and floor of the shared room to allow users of the neighboring objects to escape to another floor through the ceiling and floor of the shared room; and an elevator installed to be vertically aligned with an evacuation door located on the ceiling of the shared room.

상기 단열 방화 도어는 상기 사용자를 상기 발코니들로부터 상기 공유실로 진입시킬 수 있도록 형성되고, 상기 발코니측에서 시건을 조정할 수 있고 상기 공유실측에서 시건을 조정할 수 없도록 하는 개폐기를 구비하고, 상기 공유실은 한 쌍의 층간 구별층과 외벽 및 내벽에 의해 정의되고, 상기 피난 도어는 상기 한 쌍의 층간 구별층에 각각 형성되며, 상기 승강기는 상기 층간 구별층 및 내벽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설치될 수 있다.The heat insulation fire door is formed to allow the user to enter the shared room from the balconies, and has an opening and closing device that can adjust a lock on the balcony side and cannot adjust the lock on the shared room side, wherein the shared room has one It is defined by a pair of partition layers, an outer wall and an inner wall, the evacuation door is respectively formed on the pair of partition layers, and the elevator may be installed on at least one of the partition layer and the inner wall.

상기 승강기는 상기 공동주택의 층별로 좌우 방향으로 교차 배치되고, 상기 공유실의 바닥에 위치하는 피난 도어는 해당 공유실 내부의 승강기와 좌우 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The elevators may be intersect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for each floor of the apartment house, and the evacuation door located on the floor of the shared room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elevator in the shared room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하나의 공유실마다 두 개의 발코니가 연결되고, 상기 공유실의 내부에는 복수개의 에어컨 실외기가 설치되고, 상기 복수개의 에어컨 실외기는 상기 공유실의 외벽측에 설치되며 상하 방향으로 적층되고, 상기 발코니들을 통하여 상기 공유실과 각기 연결된 전용실들의 에어컨과 각각 연결될 수 있다.Two balconies are connected to each shared room, a plurality of air conditioner outdoor units are installed inside the shared room, and the plurality of air conditioner outdoor units are installed on an outer wall side of the shared room and stacked up and down, and the shared room is connected through the balconies. It can be connected to the air conditioner of the private rooms connected to each other.

상기 피난 도어, 단열 방화 도어 및 승강기는 상기 공유실의 내벽측에 설치되고, 상기 피난 도어, 단열 방화 도어 및 승강기는 상기 발코니들이 서로 이웃하는 방향인 좌우 방향으로 나열될 수 있다.The evacuation door, the heat insulation fire door and the elevator may be installed on the inner wall side of the common room, and the escape door, the heat insulation fire door and the elevator may be arranged in left and right directions in which the balconies are adjacent to each other.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른 비상 탈출 구조를 가지는 공동주택은, 복수 층으로 이루어지고, 각각의 층이 단일 혹은 셋 이상의 홀수개의 객체로 이루어진 공동주택으로서, 각각의 객체에 제공되는 전용실 및 발코니; 각각의 층에서 단일 객체의 발코니 혹은 홀수 객체 중의 끝 객체의 발코니와 연결되는 공유실; 상기 공유실과 상기 발코니를 구분하도록 설치되는 방화 벽체; 상기 공유실 및 발코니를 연통시킬 수 있도록 상기 방화 벽체에 형성되는 단열 방화 도어; 상기 공유실의 천장 및 바닥을 통하여 다른 층의 공유실과 연결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피난 통로;를 포함한다.An apartment house having an emergency escape structur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multi-story apartment house, each floor consisting of a single or an odd number of three or more objects, and includes: a private room and a balcony provided for each object; a shared room connected to the balcony of a single object on each floor or the balcony of the last object among odd objects; a fire wall installed to separate the shared room from the balcony; an insulated fire door formed in the fire wall to communicate the common room and the balcony; and an evacuation passage formed so as to be connected to a shared room on another floor through the ceiling and floor of the shared room.

상기 피난 통로는, 상기 공유실의 천장 및 바닥을 통해 상기 단일 객체 혹은 끝 객체의 사용자를 다른 층으로 탈출시킬 수 있도록 상기 공유실의 천장 및 바닥에 형성되는 피난 도어; 상기 공유실의 천장에 위치하는 피난 도어에 상하 방향으로 정렬되도록 설치되는 승강기;를 포함할 수 있다.The evacuation passage may include: an evacuation door formed in the ceiling and floor of the shared room to allow the user of the single object or the end object to escape to another floor through the ceiling and floor of the shared room; and an elevator installed to be vertically aligned with an evacuation door located on the ceiling of the shared room.

상기 단열 방화 도어는 상기 단일 객체 혹은 끝 객체의 사용자를 상기 발코니로부터 상기 공유실로 진입시킬 수 있도록 형성되고, 상기 공유실은 한 쌍의 층간 구별층과 모서리 외벽 및 내벽에 의해 정의되고, 상기 피난 도어는 상기 한 쌍의 층간 구별층에 각각 형성되며, 상기 승강기는 상기 층간 구별층 및 방화 벽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설치될 수 있다.The heat insulation fire door is formed to allow a user of the single object or end object to enter the shared room from the balcony, the shared room is defined by a pair of interfloor discrimination layers and edge outer and inner walls, the evacuation door is Each of the pair of partitioning layers is formed, and the elevator may be installed on at least one of the partitioning layer and the fire wall.

상기 승강기는 상기 공동주택의 층별로 전후 방향으로 교차 배치되고, 상기 공유실의 바닥에 위치하는 피난 도어는 해당 공유실 내부의 승강기와 전후 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The elevator may be intersected in the front-rear direction for each floor of the apartment house, and the evacuation door located on the floor of the shared room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elevator in the shared room in the front-rear direction.

상기 공유실의 내부에는 에어컨 실외기가 설치되고, 상기 에어컨 실외기는 상기 방화 벽체와 마주보도록 상기 모서리 외벽의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발코니를 통하여 상기 공유실과 연결된 전용실의 에어컨과 연결될 수 있다.An outdoor air conditioner unit may be installed inside the shared room, the air conditioner outdoor unit may be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edge outer wall to face the fire wall, and may be connected to the air conditioner of the private room connected to the shared room through the balcony.

상기 피난 도어 및 단열 방화 도어는 상기 공유 실외기실의 내벽측에 설치되고, 상기 단열 방화 도어 및 승강기는 상기 전용실과 상기 발코니가 이웃하는 방향인 전후 방향으로 이격되고, 상기 단열 방화 도어 및 피난 도어는 상기 발코니와 상기 공유실이 이웃하는 방향인 좌우 방향으로 나열될 수 있다.The evacuation door and the heat-insulated fire door are installed on the inner wall side of the shared outdoor unit room, the heat-insulated fire door and the elevator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front-rear direction, which is the direction in which the exclusive room and the balcony are adjacent, and the heat-insulated fire door and the evacuation door are The balcony and the shared room may be arranged in an adjacent left and right direction.

본 발명의 실시 형태들에 따른 비상 탈출 구조를 가지는 공동주택은 상기 단열 방화 도어가 상기 공유실로부터 그 외측으로 개방될 수 있고, 상기 단열 방화 도어의 개폐기가 상기 단열 방화 도어의 양측 측면 중 발코니측 측면에만 형성될 수 있다.In the apartment house having an emergency escape structure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sulated fire door may be opened to the outside from the common room, and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insulated fire door is a balcony side of both sides of the insulated fire door. can be formed only in

상기 복수 층 중 최상층의 공유실은 옥상과 연결되고, 제1 층의 공유실은 지하 계단실과 연결될 수 있다.The common room of the uppermost floor among the plurality of floors may be connected to the rooftop, and the common room of the first floor may be connected to the basement staircase.

상기 지하 계단실은 지상과 연결되는 출입구 도어를 구비하고, 상기 출입구 도어의 개폐기는 상기 출입구 도어의 양측 측면 중 지하 계단실측 측면에만 형성될 수 있다.The underground stairwell may include an entrance door connected to the ground, and the opening and closing device of the entrance door may be formed only on the side of the basement stairwell among both sides of the entrance door.

상기 승강기를 이용한 사용자의 이동을 안내할 수 있도록 상기 승강기와 마주보는 내벽 혹은 방화 벽체의 일측에 지시등이 구비되고, 상기 승강기의 하측에 위치하도록 층간 구별층의 일측에 발광 패드가 구비되며, 상기 지시등 및 상기 발광 패드는 상기 복수 객체와 독립적으로 구비되는 비상 전원과 연결될 수 있다.An indicator light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inner wall or fire wall facing the elevator so as to guide the movement of the user using the elevator, and a light emitting pad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interlayer separation layer to be located below the elevator, the indicator light and the light emitting pad may be connected to an emergency power source provided independently of the plurality of objects.

상기 공유실을 정의하는 외벽 혹은 모서리 외벽의 일측에 설치되는 루버; 상기 루버를 통하여 외부의 청정 공기를 상기 공유실로 유입시키도록 설치되는 송풍기; 상기 공유실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단열 방화 도어의 개방시 작동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상기 공유실의 내부로 유입되는 연기를 감지하여 상기 송풍기를 작동시키는 양압 제어기;를 포함할 수 있다.a louver installed on one side of an outer wall or a corner outer wall defining the shared room; a blower installed to introduce external clean air into the shared room through the louver; and a positive pressure controller disposed inside the shared room, configured to be operated when the heat insulation fire door is opened, and configured to sense smoke flowing into the shared room to operate the blower.

본 발명의 실시 형태들에 따르면, 각각의 층에서 서로 이웃하는 객체 예컨대 서로 이웃하는 세대의 발코니들과 연결될 수 있는 공유실을 마련하고, 이를 통하여 화재 등의 각종 재난 상황에서 서로 이웃하는 객체의 사용자 예컨대 거주자를 발코니로부터 공유실로 신속히 대피시킬 수 있고, 이어서 거주자들을 공유실의 천장 및 바닥을 통하여 다른 층으로 연속하여 안전하게 탈출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 shared room that can be connected to neighboring objects, for example, balconies of neighboring households, is provided on each floor, and through this, users of neighboring objects in various disaster situations such as fire, for example It is possible to quickly evacuate the occupants from the balcony to the common room, and then safely evacuate the occupants through the ceiling and floor of the common room to another floor successively.

이처럼 인접한 두 세대 사이에 하나의 공유실을 마련함에 따라, 평상시에 서로 인접한 두 세대가 하나의 공유실을 공유하여 실외기실('공유 실외기실'이라고도 한다)로 사용할 수 있고, 기존에 각 세대마다 실외기실을 따로 마련했을 때보다 발코니의 면적을 확장시킬 수 있다. 또한, 비상시에는 거주자가 공유실을 통해 대피함에 따라 즉, 외부 환경으로부터 보호된 공유실을 대피로로 사용함에 따라, 대피 시에 거주자가 외부 환경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대피 중 거주자의 심리적 안정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공동주택 예컨대 아파트 외벽에 대피용 난간 및 외부 계단 등을 설치하지 않아도 되므로, 아파트 건축 시에 비용 및 시간을 절약할 수 있고, 기존의 제도 및 건축 기준의 변경 없이 아파트를 건축 및 재건축할 수 있고, 대피용 난간 및 외부 계단에 의하여 아파트 보안이 허술해지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아파트의 보안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this way, by providing one shared room between two adjacent households, two adjacent households can share one shared room and use it as an outdoor unit (also called a 'shared outdoor unit'). It is possible to expand the area of the balcony compared to when it is provided separately. In addition, in an emergency, as residents evacuate through a shared room, that is, as a shared room protected from the external environment is used as an evacuation route, it prevents residents from being exposed to the external environment during evacuation and promotes psychological stability of residents during evacuation. can do. In addition, since it is not necessary to install an evacuation railing and external stairs on the outer wall of an apartment house, for example, it is possible to save money and time when constructing an apartment, and to build and rebuild an apartment without changing the existing system and building standards. And,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security of the apartment by preventing the security of the apartment from being weak by the evacuation railing and the external stair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아파트의 공유실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아파트 내부 및 외부에서 공유실을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아파트의 공유실을 이용한 비상 탈출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아파트의 공유실을 이용한 비상 탈출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아파트의 공유실을 이용한 비상 탈출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아파트의 공유실과 연결된 지하 계단실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아파트의 공유실과 연결된 지하 계단실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변형 예에 따른 아파트의 공유실의 개략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변형 예에 따른 아파트 내부 및 외부에서 공유실을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변형 예에 따른 아파트의 공유실을 이용한 비상 탈출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변형 예에 따른 아파트의 공유실을 이용한 비상 탈출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변형 예에 따른 아파트의 공유실을 이용한 비상 탈출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다.
1 is a schematic diagram of a shared room of an apart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of looking at a shared room from the inside and the outside of an apart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lan view for explaining an emergency escape structure using a shared room of an apart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side view for explaining an emergency escape structure using a shared room of an apart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front view for explaining an emergency escape structure using a shared room of an apart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schematic diagram for explaining a basement staircase connected to a shared room of an apart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side view for explaining a basement staircase connected to a shared room of an apart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schematic diagram of a shared room of an apartment according to a modified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of looking at a shared room from the inside and the outside of an apartment according to a modified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plan view illustrating an emergency escape structure using a shared room of an apartment according to a modified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side view for explaining an emergency escape structure using a shared room of an apartment according to a modified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front view for explaining an emergency escape structure using a shared room of an apartment according to a modified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다. 단지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해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면은 과장될 수 있고, 도면상의 동일한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and will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Only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rovided to complete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o completely inform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e scope of the inventio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in order to expla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in the drawings refer to the same elements.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비상 탈출 구조를 가지는 공동주택은 주거용, 사무용 및 산업용 건물을 포함한 각종 건물에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비상 탈출 구조를 가지는 공동주택을 상세하게 설명한다.The apartment house having an emergency escape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variously applied to various buildings including residential, office and industrial buildings. Hereinafter, an apartment house having an emergency escape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아파트의 공유실의 개략도이다. 도 2의 (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아파트 내부에서 공유실을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2의 (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아파트 외부에서 공유실을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개략도이다.1 is a schematic diagram of a shared room of an apart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a)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state of looking at the shared room from the inside of the apart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b)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state of looking at the shared room from the outside of the apart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도 3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아파트의 공유실을 이용한 비상 탈출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아파트의 공유실을 이용한 비상 탈출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아파트의 공유실을 이용한 비상 탈출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다.In addition, FIGS. 3A and 3B are plan views for explaining an emergency escape structure using a shared room of an apart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side view for explaining an emergency escape structure using a shared room of an apart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 front view for explaining an emergency escape structure using a shared room of an apart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m.

이하,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비상 탈출 구조를 가지는 공동주택을 설명한다. 이때, 공동주택은 아파트, 연립 주택을 포함하는 각종 건물 혹은 건축물일 수 있다. 이를테면 공동주택은 아파트 및 연립 주택 중에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아파트를 기준으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술한 공동주택을 예컨대 공유실을 이용한 비상 탈출 구조를 가지는 공동주택이라고 지칭할 수도 있다.Hereinafter, an apartment house having an emergency escape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5 . In this case, the apartment house may be various buildings or structures including apartments and townhouses. For example, the apartment house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n apartment and a row house. Hereinafter,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an apartment. Meanwhile, the aforementioned apartment hou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referred to as an apartment house having an emergency escape structure using, for example, a shared room.

도 1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동주택은 복수 층으로 이루어지고 각각의 층이 복수 객체로 이루어지는 공동주택 예컨대 아파트(1)로서, 각각의 객체에 제공되는 전용실 및 발코니(20), 각각의 층에서 서로 이웃한 객체의 발코니(20)들을 연결시키도록 형성된 공유실(300), 공유실(300)과 그에 연결된 발코니(20)들을 구분하도록 설치되는 방화 벽체(400)들, 공유실(300) 및 그에 연결된 발코니(20)들을 연통시킬 수 있도록 방화 벽체(400)들에 각각 형성된 단열 방화 도어(500), 공유실(300)의 천장 및 바닥을 통하여 다른 층의 공유실과 연결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피난 통로(600, 700)를 포함한다.1 and 4 , the apartment hou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multi-story apartment building, for example, an apartment 1, each layer having a plurality of objects, and a private room and a balcony provided for each object. (20), the common room 300 formed to connect the balconies 20 of neighboring objects on each floor, the fire walls 400 installed to separate the shared room 300 and the balconies 20 connected thereto, In order to connect the common room 300 and the balconies 20 connected thereto through the insulated fire door 500 respectively formed on the fire walls 400, the ceiling and the floor of the common room 300, so that it can be connected to the shared room of another floor and evacuation passages 600 and 700 formed.

여기서, 피난 통로(600, 700)는, 공유실(300)의 천장 및 바닥을 통해 서로 이웃하는 객체의 사용자를 다른 층으로 탈출시킬 수 있도록 공유실(300)의 천장 및 바닥에 형성되는 피난 도어(600), 공유실(300)의 천장에 위치하는 피난 도어(600)에 상하 방향으로 정렬되도록 설치되는 승강기를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evacuation passages 600 and 700 are evacuation doors 600 formed on the ceiling and floor of the common room 300 so that users of neighboring objects can escape to another floor through the ceiling and floor of the shared room 300 . ), an elevator installed to be vertically aligned with the evacuation door 600 located on the ceiling of the shared room 300 .

이때, 승강기는 사용자 예컨대 거주자의 상승 이동 및 하강 이동을 돕기 위하여 공유실(300)에 제공될 수 있다. 승강기는 피난 사다리(700), 봉, 로프 및 승강 발판을 포함하여 다양할 수 있다. 피난 사다리(700)는 고정 설치식으로 마련되거나, 가변형으로 마련될 수 있다. 가변형의 피난 사다리(700)는 접이식 및 슬라이딩식 피난 사다리를 포함하여 다양할 수 있다. 고정 설치식 피난 사다리는 비상 시에 거주자가 신속하게 사용할 수 있고, 접이식 및 슬라이딩식 피난 사다리는 평상 시에 그 구조 및 크기를 컴팩트하게 줄일 수 있으므로 공간 확보에 용이하다. 승강 발판은 유압, 전동 및 스프링 탄성 등을 이용하여 승강이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승강 발판은 단일 혹은 다단 발판일 수 있다. 승강 발판은 급격한 이동 및 추락을 방지하도록 자력 댐퍼 및 유압 댐퍼를 포함하는 각종 댐퍼를 구비할 수 있다. 이 외에도 승강기의 구성은 다양할 수 있다. 이러한 승강기는 후술하는 층간 구별층, 내벽 및 방화 벽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설치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승강기가 고정 설치식의 피난 사다리(700)인 것을 기준으로 실시 예를 설명한다.In this case, the elevator may be provided in the shared room 300 to help the user, for example, a resident, move upward and downward. Elevators may vary, including evacuation ladders 700, rods, ropes, and hoisting scaffolds. The evacuation ladder 700 may be provided in a fixed installation type or may be provided in a variable type. The deformable evacuation ladder 700 may be varied, including folding and sliding evacuation ladders. The fixed installation type evacuation ladder can be used quickly by residents in case of emergency, and the folding and sliding type evacuation ladder can reduce the structure and size of the evacuation ladder to a compact size in normal times, so it is easy to secure space. The lifting footrest may be formed to be able to be lifted using hydraulic pressure, electric power, spring elasticity, or the like. The lifting platform may be a single or multi-stage scaffold. The lifting platform may include various dampers including magnetic dampers and hydraulic dampers to prevent sudden movement and fall. In addition to this, the configuration of the elevator may vary. Such an elevator may be installed on at least one of an interlayer separation layer, an inner wall, and a fire wall,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Hereinafter, an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on the basis that the elevator is a fixed installation type evacuation ladder 700 .

또한, 단열 방화 도어(500)는 상술한 사용자를 발코니(20)들로부터 공유실(300)로 진입시킬 수 있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공유실(300)은 한 쌍의 층간 구별층(310)과 외벽(330) 및 내벽(320)에 의해 정의될 수 있고, 피난 도어(500)는 한 쌍의 층간 구별층(310)에 각각 형성될 수 있고, 피난 사다리(700)는 내벽(320)에 설치될 수 있다. 전용실은 주거실(10) 및 사무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이하에서 복수 객체를 복수 세대, 복수 가구 및 복수 채의 주택 중 하나로 지칭할 수 있고, 사용자를 거주자로 지칭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heat insulation fire door 500 is formed to allow the above-described user to enter the shared room 300 from the balconies 20 . In addition, the common room 300 may be defined by a pair of interlayer discrimination layers 310 , an outer wall 330 and an inner wall 320 , and the evacuation door 500 is formed in a pair of interlayer discrimination layers 310 , respectively. and the evacuation ladder 700 may be installed on the inner wall 320 . The dedicated room may include at least one of the living room 10 and the office. Meanwhile, hereinafter, a plurality of objects may be referred to as one of a plurality of households, a plurality of households, and a plurality of houses, and a user may be referred to as a resident.

아파트(1)는 복수 객체 예컨대 복수의 세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세대는 적어도 하나의 주거실(10)과 이와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발코니(20)를 포함하고, 공용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세대는 예를 들어 한명 이상의 거주자가 다양한 방식의 생활을 영위할 수 있도록 형성된 거주 공간 및 그 공간을 이루는 건축 구조물을 의미한다. 세대를 유니트라고 지칭할 수도 있다. 주거실(10)은 주방, 거실, 침실, 안방 및 화장실 등을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발코니(20)는 주거실(10)과 연결될 수 있고, 거주자가 주거실(10)과 발코니(20)를 자유롭게 왕래할 수 있도록 발코니(20)와 주거실(10)의 사이에 개폐 가능한 창문이 설치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하나의 층마다 짝수 개의 세대가 형성된 복수 층의 아파트(1)를 기준으로 실시 예를 설명한다.The apartment 1 may include a plurality of objects, for example, a plurality of households. In this case, the household includes at least one living room 10 and at least one balcony 20 connected thereto, and may further include a common room. This generation means, for example, a living space formed so that one or more residents can lead various ways of living, and a building structure constituting the space. A generation can also be referred to as a unit. The living room 10 may include at least one or more of a kitchen, a living room, a bedroom, a master bedroom, and a bathroom. And the balcony 20 may be connected to the living room 10, and a window that can be opened and closed between the balcony 20 and the living room 10 so that the resident can freely come and go between the living room 10 and the balcony 20 This can be installed. Hereinafter, an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based on the multi-story apartment 1 in which an even number of households are formed on each floor.

공유실(300)은 서로 같은 층에 위치하면서 서로 이웃하는 홀수 세대의 발코니(20)와 짝수 세대의 발코니(20)를 서로 연결시키도록 형성될 수 있고, 이러한 방식으로 각각의 층마다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홀수 세대는 각 층에서 양측 최외각에 위치하는 세대 중 좌측 혹은 우측 최외각에 위치하는 세대를 기준(첫번째 순서)으로 홀수 번째 순서에 위치하는 세대를 의미한다. 마찬가지로 짝수 세대는 상술한 좌측 혹은 우측 최외각 세대를 기준으로 짝수 번째 순서에 위치하는 세대를 의미한다. 즉, 하나의 공유실(300)마다 서로 인접하는 두 개의 세대의 발코니(20)가 연결될 수 있고, 이때, 서로 인접하는 두 개의 세대의 발코니(20) 사이에 하나의 공유실(300)이 위치할 수 있다(도 5 참조).The common room 300 may be formed to connect the balconies 20 of odd-numbered households and the balconies 20 of even-numbered households adjacent to each other while being located on the same floor, and in this way, may be formed on each floor. . Here, the odd-numbered generation refers to a generation located in the odd-numbered order based on the generation located in the left or right outermost corner among the households located in the outermost corners on both sides of each floor (first order). Similarly, the even-numbered generation means a generation located in an even-numbered order based on the above-described left or right outermost generation. That is, for each shared room 300 , the balconies 20 of two households adjacent to each other may be connected, and in this case, one shared room 300 may be located between the balconies 20 of two adjacent households. There is (see Fig. 5).

공유실(300)은 바닥 및 천장을 형성하는 한 쌍의 층간 구별층(310)과 전면을 형성하는 외벽(330) 및 후면을 형성하는 내벽(320)에 의해, 그 내부 공간이 정의될 수 있다. 여기서 전면은 아파트의 외부를 향하는 면을 의미하고, 후면은 주거실(10)을 향하는 면을 의미할 수 있다. 외벽(330)과 내벽(320)은 전후 방향(Y)으로 상호 이격될 수 있고, 외벽(330)은 아파트의 외부 환경에 노출될 수 있고, 내벽(320)은 주거실(10)을 감싸는 벽체의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한 쌍의 층간 구별층(310)은 상하 방향(Z)으로 상호 이격될 수 있다.The shared room 300 may have an internal space defined by a pair of interlayer discrimination layers 310 forming a floor and a ceiling, an outer wall 330 forming a front surface, and an inner wall 320 forming a rear surface. Here, the front side may mean a side facing the outside of the apartment, and the rear side may mean a side facing the living room 10 . The outer wall 330 and the inner wall 320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front-rear direction (Y), the outer wall 330 may be exposed to the external environment of the apartment, and the inner wall 320 is a wall surrounding the living room 10 . may form part of The pair of interlayer discrimination layers 310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vertical direction (Z).

공유실(300)과 그에 구조적으로 연결된 각 세대의 발코니(20)를 공간적으로 상호 분리시킬 수 있도록 공유실(300)의 좌우 양측 가장자리에 방화 벽체(400)들이 설치될 수 있다. 방화 벽체(400)들은 복수의 세대가 나열된 방향인 좌우 방향(X)으로 이격되어 서로 마주볼 수 있다. 방화 벽체(300)들에 의해 평상시에 공유실(300)의 내부 공간과 각 세대의 발코니(20)가 공간적으로 구분되어질 수 있다. 여기서, 평상시는 비상시를 제외한 상황을 의미한다. 비상시는 화재 및 지진, 홍수 등을 포함한 각종 재난이 아파트에 영향을 미치는 시점을 의미한다.Fire walls 400 may be installed at both left and right edges of the shared room 300 to spatially separate the shared room 300 and the balconies 20 of each household structurally connected thereto. The fire walls 400 may face each other by being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left-right direction (X), which is a direction in which a plurality of generations are arranged. The internal space of the common room 300 and the balcony 20 of each household may be spatially separated by the fire walls 300 in normal times. Here, normal means a situation excluding an emergency. Emergency refers to the time when various disasters, including fire, earthquake, and flood, affect the apartment.

방화 벽체(400)를 좌우 방향(X)으로 관통하도록 출입용 개구가 형성될 수 있고, 이 출입용 개구를 개폐시킬 수 있도록 단열 방화 도어(500)가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출입용 개구는 방화 벽체(400)들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출입용 개구는 거주자가 통과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각각의 출입용 개구는 외벽(330)보다 내벽(320)에 더 가깝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각각의 출입용 개구를 개폐시킬 수 있도록, 각각의 출입용 개구에 단열 방화 도어(500)들이 각각 설치될 수 있다. 단열 방화 도어(500)는 공유실(300)로부터 그 외측으로 개방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발코니(20)를 기준으로 하면 단열 방화 도어(500)는 안쪽으로 열릴 수 있고, 공유실(300)을 기준으로 하면 단열 방화 도어(500)는 바깥쪽으로 열릴 수 있다. 한편, 단열 방화 도어(500)가 열릴 때, 단열 방화 도어(500)가 주거실(10)쪽으로 당겨지도록 열릴 수 있다. 이때, 단열 방화 도어(500)는 발코니측에서 시건을 조정할 수 있고 공유실측에서 시건을 조정할 수 없도록 하는 개폐기(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An opening for entry and exit may be formed to penetrate the fire wall 400 in the left-right direction (X), and a heat insulation fire door 500 may be installed to open and close the entry/exit opening. Here, the entrance and exit openings may be formed in each of the fire walls 400 . In addition, each entrance opening may be formed to a size that a resident can pass through. Each of the entrance and exit openings may be formed to be closer to the inner wall 320 than the outer wall 330 . In order to open and close each of these entrances and exits, heat insulation fire doors 500 may be installed in each of the entrances and exits, respectively. The heat insulation fire door 500 may be formed to be opened from the common room 300 to the outside thereof. That is, with reference to the balcony 20 , the insulated fire door 500 may be opened inward, and with respect to the common room 300 , the insulated fire door 500 may be opened outward. Meanwhile, when the heat insulation fire door 500 is opened, the heat insulation fire door 500 may be opened so as to be pulled toward the living room 10 . In this case, the heat insulation fire door 500 may be provided with an opening and closing device (not shown) that can adjust the lock on the balcony side and cannot adjust the lock on the shared room side.

단열 방화 도어(500)를 열어서 공유실(300)을 개방시키고, 발코니(20)와 공유실(300)를 연결시킬 수 있다. 방화 벽체(400)들에 각각 형성되는 단열 방화 도어(500)들을 개방시킨 후, 출입용 개구를 통하여 서로 이웃하는 세대의 거주자를 발코니(20)들로부터 공유실(300)로 진입시킬 수 있다. 단열 방화 도어(500)는 비상시에 거주자에 의하여 주로 열릴 수 있으나, 평상시에도 필요에 따라 열릴 수 있다. 한편, 단열 방화 도어(500)의 개폐기 즉, 도어 로크 노브(door lock knob)는 각각의 단열 방화 도어(500)의 양측 측면 중 발코니측 측면에만 형성될 수 있다. 즉, 단열 방화 도어(500)는 한쪽으로만 열릴 수 있다. 이에, 공유실(300)을 통하여 이웃하는 세대 간에 서로 침입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한편, 단열 방화 도어(500)의 양측 측면 중 공유실측 측면에는 아파트 관리실과 연결된 비상 벨이 구비될 수 있고, 이에, 불가피하게 공유실(300)로 거주자가 진입한 후 단열 방화 도어(500)가 닫혀서 공유실(300)의 내부에 고립되더라도 비상 벨을 작동시켜 아파트 관리실에 구조 신호를 보낼 수 있다. 아파트 관리실은 비산 신호를 수신하면, 해당 세대의 거주자 대표인에게 확인을 거친 후, 해당 세대의 발코니(20)와 연결된 단열 방화 도어(500)의 개폐기를 원격으로 작동시키거나, 관리실 직원이 해당 세대로 직접 이동하여 단열 방화 도어(500)를 개방시킬 수 있다.The common room 300 may be opened by opening the heat insulation fire door 500 , and the balcony 20 and the shared room 300 may be connected. After opening the insulated fire doors 500 formed in the fire walls 400 , respectively, residents of neighboring households may enter the common room 300 from the balconies 20 through the entrance and exit openings. The heat insulation fire door 500 may be opened mainly by a resident in an emergency, but may be opened as needed even in normal times. On the other hand, the opener, that is, the door lock knob of the heat insulation fire door 500 may be formed only on the balcony side side among both sides of each heat insulation fire door 500 . That is, the heat insulation fire door 500 may be opened only in one side. Accordingly, intrusion between neighboring households through the shared room 300 can be prevented. On the other hand, an emergency bell connected to the apartment management room may be provided on the side of the shared room among both sides of the heat insulation fire door 500, and thus, the heat insulation fire door 500 is closed after a resident inevitably enters the shared room 300. Even if it is isolated inside the shared room 300 , it is possible to send a rescue signal to the apartment management room by operating the emergency bell. When the apartment management office receives the scattering signal, after confirming with the representative of the resident of the household, the door opener of the insulated fire door 500 connected to the balcony 20 of the household is remotely operated, or the management office employee It is possible to open the heat insulation fire door 500 by moving directly to the .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공유실(300)은 내부에 복수개의 에어컨 실외기(800)가 설치될 수 있다. 이에, 공유실(300)을 공유 실외기실이라고 지칭할 수도 있다. 복수개의 에어컨 실외기(800)의 개수는 해당 공유실(300)을 사용하는 세대에 구비되는 에어컨의 개수의 합과 같을 수 있다. 이때, 복수개의 에어컨 실외기(800)는 공유실(300)의 내벽(320)으로부터 전후 방향(Y)으로 이격되고, 외벽(330)측에 설치되며 상하 방향(Z)으로 적층될 수 있다. 이에, 공유실(300)을 대피로로 활용할 수 있을 정도의 내부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에어컨 실외기(800)와 마주보는 외벽(330)의 소정 위치에는 에어컨 실외기(800)로부터 배출되는 고열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면서 공유실(300)의 내외부를 환기시키도록 루버(331, louver)가 설치될 수 있다. 복수개의 에어컨 실외기(800)는 공유실(300)과 이웃하는 세대의 에어컨 즉, 발코니(20)들을 통하여 공유실(300)과 각기 연결된 전용실(10)들의 에어컨과 각각 연결될 수 있다.1 and 2 , the shared room 300 may have a plurality of air conditioner outdoor units 800 installed therein. Accordingly, the shared room 300 may be referred to as a shared outdoor unit room. The number of the plurality of air conditioner outdoor units 800 may be equal to the sum of the number of air conditioners provided in a household using the corresponding shared room 300 . In this case, the plurality of air conditioner outdoor units 800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inner wall 320 of the shared room 300 in the front-rear direction (Y), installed on the outer wall 330 side, and stacked in the vertical direction (Z).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secure enough internal space to utilize the common room 300 as an evacuation route. A louver 331 is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outer wall 330 facing the air conditioner outdoor unit 800 to ventilate the inside and the outside of the shared room 300 while discharging the high-heat air discharged from the air conditioner outdoor unit 800 to the outside. can be The plurality of air conditioner outdoor units 800 may be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shared room 300 and the air conditioners of neighboring households, that is, the air conditioners of the private rooms 10 connected to the shared room 300 through the balconies 20 .

상술한 바와 같이 형성되는 공유실(300)은 아파트(1)의 전체 층을 걸쳐 형성되며, 복수 층에 형성된 공유실(300)은 상하 방향(Z)으로 나열될 수 있다. 복수 층 중에 최상층의 공유실(300)은 아파트(1)의 옥상과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층에 형성된 공유실(300)은 후술하는 지하 계단실(900)과 연결될 수 있다.The shared rooms 300 formed as described above are formed over the entire floor of the apartment 1 , and the shared rooms 300 formed on multiple floors may be arranged in the vertical direction (Z). The common room 300 on the uppermost floor among the plurality of floors may be connected to the roof of the apartment 1 . In addition, the common room 300 formed on the first floor may be connected to a basement staircase 900 to be described later.

이때, 최상층의 공유실(300)의 천장에 형성된 피난 도어(600)를 개폐시킬 수 있도록 하는 옥상 개폐기(미도시)가 최상층의 공유실(300) 내에 구비될 수 있다. 이에, 외부 예컨대 옥상으로부터 최상층의 공유실(300)로의 비인가자의 침입을 방지할 수 있다.In this case, a rooftop opener (not shown) for opening and closing the evacuation door 600 formed on the ceiling of the uppermost shared room 300 may be provided in the uppermost shared room 300 .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prevent an unauthorized person from entering the common room 300 of the uppermost floor from the outside, for example, the roof.

또한, 제1 층의 공유실(300)의 바닥에 형성된 피난 도어(600)를 개폐시킬 수 있도록 하는 지하 개폐기(미도시)가 제1 층의 공유실(300) 내에 구비될 수 있다. 이에, 외부 예컨대 지하 계단실(900)로부터 제1 층의 공유실(300)로의 비인가자의 침입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옥상 개폐기 및 지하 개폐기를 옥상 시건 장치 및 지하 시건 장치라고 지칭할 수도 있다.In addition, an underground switch (not shown) for opening and closing the evacuation door 600 formed on the floor of the shared room 300 of the first floor may be provided in the shared room 300 of the first floor.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prevent an unauthorized person from entering the common room 300 of the first floor from the outside, for example, the basement stairway 900 . Meanwhile, the rooftop switchgear and the underground switchgear may be referred to as a rooftop locking device and an underground locking device.

도 4를 참조하면, 피난 도어(600)는 공유실(300)의 천장 및 바닥을 통하여 거주자를 다른 층으로 탈출시킬 수 있도록 한 쌍의 층간 구별층(310)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한 쌍의 층간 구별층(310)을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도록 피난용 개구가 각각 형성되고, 각 피난용 개구에 복수의 피난 도어(600)가 각각 개폐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어느 한 층의 공유실(300)의 바닥에 형성된 피난 도어(600)는 그 아래 층의 공유실(300)의 천장의 피난 도어(600)로 사용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 the evacuation door 600 may be formed in each of the pair of separation layers 310 to allow residents to escape to another floor through the ceiling and floor of the common room 300 . To this end, evacuation openings may be respectively formed to penetrate the pair of interlayer discrimination layers 310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a plurality of evacuation doors 600 may be installed in each evacuation opening to be able to be opened and closed, respectively. On the other hand, the evacuation door 600 formed on the floor of the shared room 300 of one floor may be used as the evacuation door 600 of the ceiling of the shared room 300 of the lower floor.

도 1 및 도 4를 참조하면, 피난 도어(600)는 아래에서 위로 개방될 수 있고, 내벽(320)을 향하여 젖혀질 수 있다. 피난 도어(600)가 내벽(320)을 향하여 젖혀지면서 아래에서 위로 개방된 후, 내벽(320) 부근에 기립된 상태에서 고정될 수 있도록, 내벽(320)의 소정 위치에는 걸쇠(미도시)가 형성되 수 있고, 그에 대응하는 위치의 피난 도어(600)에 고리(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거주자가 긴급히 피난할 때에 피난 도어(600)를 개방시킬 후, 고리를 걸쇠에 걸어서 그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다. 한편, 피난 도어(600)의 하면에는 거주자가 이동 시에 잡을 수 있도록 손잡이(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고, 이에, 거주자가 손잡이를 잡고 안정적으로 피난용 개구로 진입할 수 있다. 피난 도어(600)가 피난용 개구를 폐쇄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거주자가 피난 도어(600)를 밟고 공유실(300)의 내부를 이동할 수 있도록 피난 도어(600)의 두께, 강도 및 재질 등이 정해질 수 있다. 즉, 피난 도어(600)는 평상시에 거주자가 밟을 수 있고, 이때, 거주자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1 and 4 , the evacuation door 600 may be opened from the bottom up, and may be turned toward the inner wall 320 . After the evacuation door 600 is opened from the bottom up while being tilted toward the inner wall 320, a latch (not shown) is provid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inner wall 320 so that it can be fixed in a standing state near the inner wall 320. It may be formed, and a ring (not shown) may be formed in the evacuation door 600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hereto. Accordingly, after the evacuation door 600 is opened when the resident urgently evacuates, the state can be maintained by hanging the hook on the latch. On the other hand, a handle (not shown) may be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evacuation door 600 so that the resident can hold it while moving, so that the resident can stably enter the evacuation opening by holding the handle. In a state where the evacuation door 600 closes the evacuation opening, the thickness, strength, material, etc. of the evacuation door 600 can be determined so that a resident can step on the evacuation door 600 and move inside the shared room 300 . there is. That is, the evacuation door 600 may be normally stepped on by a resident, and at this time, may be formed to support the resident's load.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피난 사다리(700)는 공유실(300)의 천장에 위치하는 피난 도어(600)에 상하 방향(Y)으로 정렬되도록 내벽(320)에 설치되어 상하 방향(Y)으로 연장될 수 있다. 즉, 하나의 공유실(300)을 기준으로, 피난 사다리(700)와 공유실(300)의 바닥에 위치하는 피난 도어(600)는 서로 좌우 방향(X)으로 이격될 수 있다. 이에, 피난 도어(600)를 개방시킬 후, 상대적으로 윗층의 공유실(300)로부터 그 하층의 공유실(300)로 피난 사다리(700)를 타고 내려온 거주자가 피난 사다리(700)를 놓치더라도 피난용 개구로 낙하되지 않고 해당 공유실(300)의 바닥을 이루는 층간 구별층(310)에 안착될 수 있다.1 and 3, the evacuation ladder 700 is installed on the inner wall 320 so as to be aligned in the vertical direction (Y) to the evacuation door 600 located on the ceiling of the shared room 300 in the vertical direction (Y). can be extended to That is, based on one shared room 300 , the evacuation ladder 700 and the evacuation door 600 located on the floor of the shared room 300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X). Accordingly, after opening the evacuation door 600 , even if a resident who descends from the shared room 300 on the upper floor to the shared room 300 on the lower floor misses the evacuation ladder 700 , the evacuation opening It may be seated on the inter-floor discrimination layer 310 forming the floor of the shared room 300 without falling down.

즉, 도 3을 참조하면, 피난 사다리(700)는 아파트(1)의 층(S1, S2)별로 좌우 방향(X)으로 교차 배치될 수 있고, 해당 공유실(300)의 바닥에 위치하는 피난 도어(600)는 해당 공유실(300) 내부의 피난 사다리(700)와 좌우 방향(X)으로 이격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층(S1)에서 피난 사다리(700)가 좌측에 배치되고 공유실(300)의 바닥에 형성되는 피난 도어(600)가 우측에 배치되면, 제2 층(S2)에서는 공유실(300)의 바닥에 형성되는 피난 도어(600)가 좌측에 배치되고 피난 사다리(700)가 좌측에 배치될 수 있다.That is, referring to FIG. 3 , the evacuation ladder 700 may be cross-arrang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X for each floor S1 and S2 of the apartment 1 , and an evacuation door located on the floor of the corresponding shared room 300 . 600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evacuation ladder 700 inside the shared room 300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X). For example, when the evacuation ladder 700 is disposed on the left side in the first floor S1 and the evacuation door 600 formed on the floor of the shared room 300 is disposed on the right side, in the second floor S2, the An evacuation door 600 formed on the floor may be disposed on the left side and an evacuation ladder 700 may be disposed on the left side.

한편, 피난 사다리(700) 및 피난 도어(600)는 아파트(1)의 층(S1, S2)별로 좌우 교차로 배치되지 않을 수 있고, 이를테면 상하 방향(Y)으로 각기 정렬될 수도 있다. 예컨대 피난 사다리(700)는 아파트(1)의 층(S1, S2)의 구분 없이 좌측 또는 우측에 일괄 패치될 수 있고, 피난 도어(600)는 아파트(1)의 층(S1, S2)의 구분 없이 우측 또는 좌측에 일괄 배치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the evacuation ladder 700 and the evacuation door 600 may not be arranged left and right for each floor (S1, S2) of the apartment 1, for example, may be aligned in the vertical direction (Y), respectively. For example, the evacuation ladder 700 may be collectively patched on the left or right side without distinction of the floors S1 and S2 of the apartment 1, and the evacuation door 600 divides the floors S1 and S2 of the apartment 1 It may be collectively disposed on the right or left side without

상술한 바와 같이, 피난 도어(600), 단열 방화 도어(500) 및 피난 사다리(700)는 공유실(300)의 내벽(320)측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피난 도어(600), 단열 방화 도어(500) 및 피난 사다리(700)는 발코니(20)들이 서로 이웃하는 방향인 예컨대 좌우 방향(X)으로 나열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evacuation door 600 , the heat insulation fire door 500 and the evacuation ladder 700 may be installed on the inner wall 320 side of the common room 300 . In addition, the evacuation door 600, the heat insulation fire door 500 and the evacuation ladder 700 may be arranged in a direction in which the balconies 20 are adjacent to each other, for example, in the left-right direction (X).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아파트의 공유실과 연결된 지하 계단실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이때, 도 6의 (a)는 지하 계단실의 내부에서 지하 계단실의 출입구 도어를 바라보는 모습을 도시한 개략도이고, 도 6의 (b)는 지하 계단실의 외부에서 지하 계단실의 출입구 도어를 바라보는 모습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아파트의 공유실과 연결된 지하 계단실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6 is a schematic diagram for explaining a basement staircase connected to a shared room of an apart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t this time, Fig. 6 (a)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state of looking at the entrance door of the basement stairway from the inside of the basement stairwell, and Figure 6 (b) is a view of looking at the entrance door of the basement stairway from the outside of the basement stairwell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7 is a side view for explaining a basement staircase connected to a shared room of an apart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아파트(1)는 제1 층(S1)의 공유실(300)과 연결되는 지하 계단실(900)을 구비할 수 있다.The apartment 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n underground staircase 900 connected to the shared room 300 of the first floor S1.

도 1,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지하 계단실(900)은 제1 층(S1)에 마련되는 공유실(300)의 하측에 위치하도록 지중에 형성되는 지하실(930), 지상과 지하실(930)을 연결시킬 수 있도록 지하실(930)에 설치되는 출입구 도어(910), 지하실(930)의 바닥에서 출입구 도어(910)를 향하여 설치되는 지하 계단(920), 제1 층(S1)의 공유실(300)의 피난 도어(600)의 하측에 위치하도록 설치되고, 지하실(930)의 바닥까지 연장되는 지하실 사다리(940)를 포함할 수 있다.1, 6 and 7, the basement stairway 900 is a basement 930 formed in the basement to be located below the common room 300 provided on the first floor S1, the ground and the basement 930 ) to connect the entrance door 910 installed in the basement 930, the basement stairs 920 installed from the bottom of the basement 930 toward the entrance door 910, the shared room of the first floor S1 ( It is installed to be located below the evacuation door 600 of the 300 , and may include a basement ladder 940 extending to the floor of the basement 930 .

이때, 출입구 도어(910)의 개폐기는 출입구 도어(910)의 양측 측면 중 지하 계단실(900)측 측면에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외부로부터 지하 계단실(900)의 내부로 비인가자가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opening and closing device of the entrance door 910 may be formed only on the side of the basement stairwell 900 of both sides of the entrance door 910 .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prevent an unauthorized person from entering the interior of the basement stairway 900 from the outside.

도 8은 본 발명의 변형 예에 따른 아파트의 공유실의 개략도이다. 도 9의 (a) 및 (b)는 본 발명의 변형 예에 따른 아파트 내부 및 외부에서 공유실을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변형 예에 따른 아파트의 공유실을 이용한 비상 탈출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변형 예에 따른 아파트의 공유실을 이용한 비상 탈출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변형 예에 따른 아파트의 공유실을 이용한 비상 탈출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다.8 is a schematic diagram of a shared room of an apartment according to a modified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9 (a) and (b) are schematic views showing a state of looking at the shared room from the inside and the outside of the apartment according to a modified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plan view illustrating an emergency escape structure using a shared room of an apartment according to a modified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side view for explaining an emergency escape structure using a shared room of an apartment according to a modified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front view for explaining an emergency escape structure using a shared room of an apartment according to a modified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도 8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변형 예에 따른 에어컨 실외기실을 이용한 비상 탈출 구조를 가지는 아파트(1)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때,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술한 아파트의 설명과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하거나 간단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n apartment 1 having an emergency escape structure using an air conditioner outdoor unit according to a modified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8 to 12 . In this case, content overlapping with the description of the above-described apart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omitted or simply described.

도 8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변형 예에 따른 공동주택은 복수 층(S1, S2, S3)으로 이루어지고 각각의 층이 단일 혹은 셋 이상의 홀수 개의 객체 예컨대 세대로 이루어진 공동주택 예컨대 아파트(1)로서, 각각의 세대에 제공되는 전용실 예컨대 주거실(10) 및 발코니(20), 각각의 층에서 단일 세대의 발코니(20) 혹은 홀수 세대 중의 끝 세대의 발코니(20)와 연결되는 공유실(300), 공유실(300)과 발코니(20)를 구분하도록 설치되는 방화 벽체(400), 공유실(300) 및 발코니(20)를 연통시킬 수 있도록 방화 벽체(400)에 형성되는 단열 방화 도어(500), 공유실(300)의 천장 및 바닥을 통하여 다른 층의 공유실(300)과 연결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피난 통로(600, 700)를 포함한다.8 to 12 , the apartment house according to the modified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ade up of a plurality of floors (S1, S2, S3), and each floor is a single or an odd number of objects, such as three or more, an apartment house, such as an apartment. As (1), a private room provided for each household, for example, a living room 10 and a balcony 20, a shared room connected to the balcony 20 of a single household on each floor or the balcony 20 of the last household among odd-numbered households 300, the fire wall 400 installed to separate the shared room 300 and the balcony 20, and an insulating fire door formed in the fire wall 400 to communicate the common room 300 and the balcony 20 ( 500), and evacuation passages 600 and 700 formed to be connected to the common room 300 of another floor through the ceiling and the floor of the shared room 300.

이때, 피난 통로(600, 700)는, 공유실(300)의 천장 및 바닥을 통해 단일 세대 혹은 끝 세대의 사용자 예컨대 거주자를 다른 층으로 탈출시킬 수 있도록 공유실(300)의 천장 및 바닥에 형성되는 피난 도어(600), 공유실(300)의 천장에 위치하는 피난 도어(600)에 상하 방향으로 정렬되도록 설치되는 승강기를 포함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evacuation passages 600 and 700 are evacuation formed in the ceiling and floor of the shared room 300 so that users of a single household or the last generation, such as a resident, can escape to another floor through the ceiling and floor of the shared room 300 . The door 600 and the elevator installed to be vertically aligned with the evacuation door 600 located on the ceiling of the shared room 300 may be included.

이때, 승강기는 거주자를 상승 이동 및 하강 이동시킬 수 있도록 형성되거나, 거주자의 상승 이동 및 하강 이동을 보조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승강기는 피난 사다리(700), 봉, 로프 및 승강 발판을 포함하여 다양할 수 있다. 이를테면 승강기는 거주자를 수직으로 피난시키는 것에 사용될 수 있는 다양한 장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승강기는 후술하는 층간 구별층, 내벽 및 방화 벽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설치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승강기가 고정 설치식의 피난 사다리(700)인 것을 기준으로 실시 예를 설명한다.In this case, the elevator may be formed to move the resident upward and downward, or may be formed to assist the resident in the upward movement and downward movement. For example, the elevator may be various, including an evacuation ladder 700, rods, ropes, and hoisting scaffolds. For example, an elevator may contain a variety of equipment that may be used to vertically evacuate an occupant. Such an elevator may be installed on at least one of an interlayer separation layer, an inner wall, and a fire wall,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Hereinafter, an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on the basis that the elevator is a fixed installation type evacuation ladder 700 .

또한, 단열 방화 도어(500)는 단일 세대 혹은 끝 세대의 거주자를 발코니(20)로부터 공유실(300)로 진입시킬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공유실(300)은 한 쌍의 층간 구별층(330)과 모서리 외벽(310) 및 내벽(320)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그리고 피난 도어(600)는 한 쌍의 층간 구별층(330)에 각각 형성될 수 있고, 피난 사다리(700)는 방화 벽체(400)에 설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heat insulation fire door 500 may be formed to allow the occupants of a single household or the last generation to enter the common room 300 from the balcony 20 . In addition, the common room 300 may be defined by a pair of interlayer discrimination layers 330 , and corner outer walls 310 and inner walls 320 . In addition, the evacuation door 600 may be formed in each of the pair of interlayer discrimination layers 330 , and the evacuation ladder 700 may be installed in the fire wall 400 .

이하에서는 각각의 층이 셋 이상의 홀수 개의 세대로 이루어진 아파트(1)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변형 예를 설명하나, 이하에서 설명되는 내용은 각각의 층이 단일 세대로 이루어진 아파트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Hereinafter, a modified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ased on an apartment 1 in which each floor consists of an odd number of households of three or more, but the contents described below may be equally applied to an apartment in which each floor consists of a single household. .

공유실(300)은 각각의 층에서 홀수 세대 중의 끝 세대의 발코니(20)와 연결될 수 있다. 이때, 각 층에서 홀수 세대 중 끝 세대를 제외한 나머지 홀수 세대 및 짝수 세대에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유실(300) 및 그에 따른 비상 탈출 구조가 제공될 수 있다.The shared room 300 may be connected to the balcony 20 of the last household among odd-numbered households on each floor. In this case, the common room 3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n emergency escape structure may be provided to the remaining odd-numbered and even-numbered households except for the last generation of the odd-numbered households on each floor.

공유실(300)은 한 쌍의 층간 구별층(330)과 모서리 외벽(310) 및 내벽(320)에 의해 정의될수 있다. 모서리 외벽(310)은 서로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제1외벽 및 제2외벽을 포함하며, 그중 하나의 외벽은 내벽(320)과 마주볼 수 있고, 나머지 하나의 외벽은 발코니(20)와 좌우 방향(X)으로 마주볼 수 있다. 공유실(300)과 발코니(20) 사이에 방화 벽체(400)가 구축될 수 있고, 방화 벽체(400)에는 단열 방화 도어(500)가 장착될 수 있다.The common room 300 may be defined by a pair of interlayer discrimination layers 330 , and corner outer walls 310 and inner walls 320 . The edge outer wall 310 includes a first outer wall and a second outer wall extending in a direction crossing each other, one outer wall of which may face the inner wall 320 , and the other outer wall is the balcony 20 and left and right. They can face each other in the direction (X). A fire wall 400 may be built between the common room 300 and the balcony 20 , and a heat insulation fire door 500 may be mounted on the fire wall 400 .

피난 도어(600)는 공유실(300)의 천장 및 바닥을 이루는 한 쌍의 층간 구별층(330)에 각각 형성될 수 있고, 이에, 공유실(300)의 천장 및 바닥을 통하여 거주자가 다른 층의 공유실(300)로 탈출할 수 있다.The evacuation door 600 may be respectively formed on a pair of inter-floor discrimination layers 330 constituting the ceiling and floor of the shared room 300 , and thus, the occupants of the shared room 300 through the ceiling and floor of the shared room 300 are shared rooms on different floors. You can escape with (300).

공유실(300)의 내부에는 피난 사다리(700)가 설치될 수 있다. 피난 사다리(700)는 아파트(1)의 층별로 전후 방향(Y)으로 교차 배치될 수 있고, 공유실(300)의 바닥에 위치하는 피난 도어(600)는 해당 공유실(300) 내부의 피난 사다리(700)와 전후 방향(Y)으로 이격될 수 있다.An evacuation ladder 700 may be installed inside the shared room 300 . The evacuation ladder 700 may be cross-arranged in the front-rear direction (Y) for each floor of the apartment 1, and the evacuation door 600 located on the floor of the shared room 300 is an evacuation ladder inside the shared room 300 ( 700) and may be spaced apart in the front-rear direction (Y).

공유실(300)의 내부에 에어컨 실외기(800)가 설치되고, 에어컨 실외기(800)는 방화 벽체(400)와 마주보도록 모서리 외벽(310)의 일측에 설치되고, 발코니(20)를 통하여 공유실(300)과 연결된 전용실 예컨대 끝 세대의 거주실(10)에 구비된 에어컨과 연결될 수 있다. 피난 도어(600) 및 단열 방화 도어(500)는 공유실(300)의 내벽(320)측에 설치될 수 있다. 단열 방화 도어(500) 및 피난 사다리(700)는 주거실(10)과 발코니(20)가 이웃하는 방향인 전후 방향(Y)으로 이격되고, 단열 방화 도어(500) 및 피난 도어(600)는 발코니(20)와 공유실(300)이 이웃하는 방향인 예컨대 좌우 방향(X)으로 나열될 수 있다.The air conditioner outdoor unit 800 is installed inside the shared room 300 , and the air conditioner outdoor unit 800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corner outer wall 310 to face the fire wall 400 , and the shared room 300 through the balcony 20 . ) may be connected to an air conditioner provided in a private room connected to, for example, the living room 10 of the last generation. The evacuation door 600 and the heat insulation fire door 500 may be installed on the inner wall 320 side of the common room 300 . The insulated fire door 500 and the evacuation ladder 700 are spaced apart in the front-rear direction (Y), which is the direction in which the living room 10 and the balcony 20 are adjacent, and the heat-insulated fire door 500 and the evacuation door 600 are The balcony 20 and the shared room 300 may be arranged in an adjacent direction, for example, in the left-right direction (X).

또한, 단열 방화 도어(500)는 공유실(300)로부터 그 외측으로 개방될 수 있고, 단열 방화 도어(500)의 개폐기는 단열 방화 도어(500)의 양측 측면 중 발코니측 측면에만 형성될 수 있다. 피난 도어(600)는 아래에서 위로 젖혀지며 열릴 수 있고, 내벽(320)측으로 열릴 수 있다.In addition, the heat insulation fire door 500 may be opened from the common room 300 to the outside thereof, and the open/closer of the heat insulation fire door 500 may be formed only on the balcony side of both sides of the heat insulation fire door 500 . The evacuation door 600 may be opened by being tilted upward from the bottom, and may be opened toward the inner wall 320 .

공유실(300)이 각각의 층마다 형성됨에 의해, 각각의 공유실(300)은 상하 방향(Z)으로 나열되고, 복수 층 중 최상층의 공유실(300)은 옥상과 연결될 수 있고, 제1 층(S1)의 공유실(300)은 지하 계단실(900)과 연결될 수 있다.As the common rooms 300 are formed for each floor, each shared room 300 is arranged in the vertical direction (Z), and the common room 300 of the uppermost floor among the plurality of floors can be connected to the roof, and the first floor S1 ) of the shared room 300 may be connected to the basement staircase 900 .

여기서, 지하 계단실(900)은 지상과 연결되는 출입구 도어(910)를 구비하고, 출입구 도어(910)의 개폐기는 출입구 도어(910)의 양측 측면 중 지하 계단실측 측면에만 형성될 수 있다.Here, the basement stairway 900 may include an entrance door 910 connected to the ground, and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entrance door 910 may be formed only on the side of the basement stairwell among both sides of the entrance door 910 .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 및 그 변형 예에 따른 아파트(1)는 거주자의 안전한 이동을 보조하기 위한 지시등(미도시) 및 발광 패트(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apartment 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ts modifications may further include an indicator light (not shown) and a light emitting pad (not shown) for assisting the safe movement of the resident.

지시등(미도시)은 피난 사다리(700)를 이용한 거주자의 이동을 안내할 수 있도록 피난 사다리(700)와 마주보는 내벽(320) 혹은 방화 벽체(400)의 일측에 구비될 수 있다. 지시등은 피난 사다리(700)를 비춰줄 수 있는 소정 밝기로 작동할 수 있고, 거주자의 피난 방향을 지시할 수 있도록 예컨대 화살표 형상과 같은 각종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피난 중인 거주자의 현 위치를 안내해줄 수 있도록 층별 숫자가 표기될 수 있다.An indicator light (not shown) may b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inner wall 320 or the fire wall 400 facing the evacuation ladder 700 to guide the movement of the resident using the evacuation ladder 700 . The indicator light can operate with a predetermined brightness that can illuminate the evacuation ladder 700, and can be formed in various shapes such as an arrow shape to indicate the evacuation direction of the occupant, and guide the current location of the occupant in evacuation. A number for each floor may be indicated so that it can be provided.

발광 패드는 피난 사다리(700)의 하측에 위치하는 층간 구별층(310)의 일측 바닥에 구비될 수 있다. 발광 패드는 해당 층의 공유실(300)의 바닥에 형성된 피난 도어(600)의 위치를 피난 중인 거주자에게 지시해줄 수 있도록 상면에 화살표와 같은 안내 표식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발광 패드의 상면에는 빛을 투과시킬 수 있으면서 신축 가능한 재질 예컨대 투명 고무와 같은 재질의 완충 패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술한 지시등 및 발광 패드는 아파트(1)의 복수 세대와 독립적으로 구비되는 비상 전원과 연결되어 상시 작동할 수 있다.The light emitting pad may be provided on the bottom of one side of the interlayer discrimination layer 310 located below the evacuation ladder 700 . A guide mark such as an arrow may be formed on the light emitting pad to indicate the location of the evacuation door 600 formed on the floor of the shared room 300 of the corresponding floor to the resident who is evacuating. On the other hand, the upper surface of the light emitting pad may be further provided with a buffer pad made of a material that can transmit light and stretchable, for example, transparent rubber. The above-described indicator light and light emitting pad may be connected to an emergency power source independently provided for a plurality of households of the apartment 1 to operate at all times.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 및 그 비교 예에 따른 아파트(1)는 외벽(320) 혹은 모서리 외벽(310)의 일측에 설치되는 루버를 통해 외부의 청정 공기를 공유실(300)로 유입시키도록 설치되는 송풍기(미도시) 및 공유실(300)의 내부에 배치되고, 단열 방화 도어(500)의 개방시 작동될 수 있도록 형성되며, 공유실(300)의 내부로 유입되는 연기를 감지하여 송풍기를 작동시키는 양압 제어기(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apartment 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ts comparative example is installed to introduce clean air from the outside into the common room 300 through a louver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outer wall 320 or the corner outer wall 310 . a blower (not shown) and a blower disposed inside the shared room 300 , are formed to be operated when the heat insulation fire door 500 is opened, and detect smoke flowing into the shared room 300 to operate the blower It may include a positive pressure controller (not shown).

송풍기 및 양압 제어기를 이용하여, 공유실(300)의 내부를 양압에 가까운 환경으로 만들어 줌으로써, 공유실(300)의 내부로 연기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 혹은 억제할 수 있다. 즉, 공유실(300)이 연기 통로 예컨대 굴둑으로 사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나아가, 공유실(300)을 통하여 피난중인 거주자에게 신선한 공기를 제공해줄 수 있다.By using the blower and the positive pressure controller to create an environment close to the positive pressure inside the shared room 300 , it is possible to prevent or suppress the inflow of smoke into the shared room 300 . That is,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common room 300 from being used as a smoke passage, for example, a gully bank. Furthermore, it is possible to provide fresh air to a resident evacuating through the shared room 300 .

상술한 양압에 가까운 환경은 예컨대 공유실(300)로부터 발코니(20) 및 전용실(10)로의 공기흐름이 발생할 수 있도록 하는 소정 환경을 의미하며, 이를테면 공유실(300)의 내부 압력이 발코니(20) 및 전용실(10)의 내부 압력보다 높도록 하는 환경을 의미할 수 있다. 한편, 송풍기에는 필터가 구비될 수도 있다.The environment close to the above-mentioned positive pressure means, for example, a predetermined environment in which air flow from the shared room 300 to the balcony 20 and the private room 10 can occur, for example,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shared room 300 is the balcony 20 and It may mean an environment that is higher than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dedicated room 10 . On the other hand, the blower may be provided with a filter.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 및 그 변형 예에 따르면, 아파트(1)의 복수 세대에는 화재감지기가 구비되고, 단열 방화 도어(500)의 개폐기(미도시)는 화재감지기와 연동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에, 화재감지기가 복수 세대 중 적어도 어느 한 세대에서 화재를 감지하면, 해당 세대(즉, 화재가 감지된 세대) 및 그 인접 세대의 단열 방화 도어(500)의 개폐기들을 작동시켜서, 해당 세대 및 그 인접 세대의 단열 방화 도어(500)들을 개방시킬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ts modifications, a fire detector is provided in a plurality of households of the apartment 1, and an opener (not shown) of the insulated fire door 500 is formed to be interlocked with the fire detector. . Accordingly, when the fire detector detects a fire in at least one household among a plurality of households, it operates the switchgear of the insulated fire door 500 of the corresponding household (that is, the household in which the fire is detected) and the adjacent household, thereby operating the corresponding household and its It is possible to open the insulated fire doors 500 of adjacent generations.

이에, 화재 시 해당 세대의 거주자가 공유실(300)로 대피한 후, 그 인접 세대의 발코니(20)로 이동하여, 피난 계단을 사용할 수 있게 됨으로써, 거주자가 지상까지 내려오는 수고로움을 덜 수 있다. 여기서, 인접 세대는 해당 세대와 같은 층이거나 다른 층에 위치하는 소정 세대일 수 있다.Accordingly, in the event of a fire, the resident of the corresponding household evacuates to the shared room 300, moves to the balcony 20 of the adjacent household, and can use the evacuation stairs, thereby reducing the trouble of the resident coming down to the ground . Here, the adjacent household may be on the same floor as the corresponding household or a predetermined household located on a different floor.

본 발명의 상기 실시 예는 본 발명의 설명을 위한 것이고, 본 발명의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의 상기 실시 예에 개시된 구성과 방식은 서로 결합하거나 교차하여 다양한 형태로 조합 및 변형될 것이고, 이에 의한 변형 예들도 본 발명의 범주로 볼 수 있음을 주지해야 한다. 즉, 본 발명은 청구범위 및 이와 균등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본 발명이 해당하는 기술 분야에서의 업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실시 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The abov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ntended to illustrate the present invention, not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be noted that the configurations and methods disclosed in the abov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mbined and modified in various forms by combining or intersecting with each other, and modifications thereof may also be consider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embodied in a variety of different forms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and equivalents thereof,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implement various embodiments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able to understand

10: 전용실
20: 발코니
300: 공유실
400: 방화 벽체
500: 단열 방화 도어
600: 피난 도어
700: 피난 사다리
800: 에어컨 실외기
10: Private room
20: Balcony
300: common room
400: fire wall
500: insulated fire door
600: evacuation door
700: evacuation ladder
800: air conditioner outdoor unit

Claims (3)

복수 층으로 이루어지고, 각각의 층이 복수 객체로 이루어진 공동주택으로서,
각각의 객체에 제공되는 전용실 및 발코니;
각각의 층에서 서로 이웃하는 객체의 발코니들을 연결시키도록 형성되는 공유실;
상기 공유실과 그에 연결된 발코니들을 구분하도록 설치되는 방화 벽체들;
상기 공유실 및 그에 연결된 발코니들을 연통시킬 수 있도록 상기 방화 벽체들에 각각 형성되는 단열 방화 도어;
상기 공유실의 천장 및 바닥을 통하여 다른 층의 공유실과 연결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피난 통로;를 포함하고,
상기 피난 통로는,
상기 공유실의 천장 및 바닥을 통해 상기 서로 이웃하는 객체의 사용자를 다른 층으로 탈출시킬 수 있도록 상기 공유실의 천장 및 바닥에 형성되는 피난 도어;
상기 공유실의 천장에 위치하는 피난 도어에 상하 방향으로 정렬되도록 설치되는 승강기;를 포함하고,
상기 피난 도어는 아래에서 위로 개방되도록 설치되고, 사용자가 안정적으로 다른 층의 공유실로 진입할 수 있도록 하면에 손잡이가 형성되고,
상기 승강기는 사용자의 상승 이동 및 하강 이동이 가능하도록 천장의 피난 도어의 하측에서 상하 방향으로 연장형성되고,
상기 복수 층 중 최상층의 공유실은 옥상과 연결되고, 제1 층의 공유실은 외부로부터의 비인가자의 침입이 방지되어 있는 지하 계단실과 연결되는 공동주택.
As an apartment house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floors, each floor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objects,
Private rooms and balconies provided for each object;
a shared room formed to connect the balconies of neighboring objects on each floor;
Fire walls installed to separate the shared room and the balconies connected thereto;
an insulated fire door formed in each of the fire walls to communicate the common room and the balconies connected thereto;
an evacuation passage formed so as to be connected to a shared room on another floor through the ceiling and floor of the shared room; and
The evacuation passage is
an evacuation door formed in the ceiling and floor of the shared room to allow users of the neighboring objects to escape to another floor through the ceiling and floor of the shared room;
Including;;
The evacuation door is installed to open from the bottom up, and a handle is formed on the lower surface so that the user can stably enter the shared room on the other floor,
The elevator is formed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from the lower side of the evacuation door of the ceiling to enable the user to move upward and downward,
The common room of the uppermost floor of the plurality of floors is connected to the roof, and the common room of the first floor is connected to the basement stairway in which the intrusion of unauthorized persons from the outside is prevented.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하 계단실은 지중에 형성되고, 지상과 연결되는 출입구 도어를 구비하고,
상기 출입구 도어의 개폐기는 상기 출입구 도어의 양측 측면 중 지하 계단실측 측면에만 형성되는 공동주택.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underground staircase room is formed in the ground and has an entrance door connected to the ground,
The opener of the entrance door is formed only on the side of the basement stairwell among both sides of the entrance door.
청구항 1에 있어서,
외부의 청정 공기를 상기 공유실로 유입시키도록 설치되는 송풍기;
상기 송풍기를 작동시켜 상기 공유실의 내부에 양압을 형성하고, 상기 공유실로의 연기 유입을 억제 또는 방지시키는 양압 제어기;를 포함하는 공동주택.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blower installed to introduce clean external air into the shared room;
A apartment house comprising a; a positive pressure controller to operate the blower to form a positive pressure inside the shared room, and to suppress or prevent the inflow of smoke into the shared room.
KR1020200159130A 2020-02-04 2020-11-24 Apartment building with emergency evacuation structure KR20210100000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9130A KR20210100000A (en) 2020-02-04 2020-11-24 Apartment building with emergency evacuation structur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3204 2020-02-04
KR1020200159130A KR20210100000A (en) 2020-02-04 2020-11-24 Apartment building with emergency evacuation structure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3204 Division 2020-02-04 2020-02-0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0000A true KR20210100000A (en) 2021-08-13

Family

ID=773136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59130A KR20210100000A (en) 2020-02-04 2020-11-24 Apartment building with emergency evacuation structur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100000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51645A (en) 2022-04-26 2023-11-02 조혁빈 Car air freshener with built-in emergency escap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2563B1 (en) 2018-12-24 2019-05-27 (주)플랜에이건축사사무소 Balcony structure for emergency evacuation buildings
KR20190088290A (en) 2018-01-18 2019-07-26 이병규 Fire escape room fire doo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88290A (en) 2018-01-18 2019-07-26 이병규 Fire escape room fire door
KR101982563B1 (en) 2018-12-24 2019-05-27 (주)플랜에이건축사사무소 Balcony structure for emergency evacuation building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51645A (en) 2022-04-26 2023-11-02 조혁빈 Car air freshener with built-in emergency escap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19886B1 (en) An emergency escape apparatus for inter-floor in building
KR101679672B1 (en) The design structure of duplex apartment house that reducing noise between floors of building and provided a safe evacuation route
KR20210100000A (en) Apartment building with emergency evacuation structure
KR100773455B1 (en) Shelter for emergency
KR101093039B1 (en) A balcony structure having emergency exit of a building
JP6842278B2 (en) housing complex
CN112832369A (en) Building with three-dimensional refuge facility
JP5280955B2 (en) Elevator for high-rise building
JP2891859B2 (en) High-rise building with smoke and fire escape facilities
KR102126829B1 (en) Air-circulating Escaping Equipment during fire in apartment and buildings
JP5377217B2 (en) Structure
KR102440053B1 (en) The structure of duplex apartment house with possible behind view and same position of load bearing wall
CN214531088U (en) Building with three-dimensional refuge facility
KR100467994B1 (en) Escape structure for the emergency
JP2003180854A (en) Evacuation block structure
JPH04285268A (en) Multi-story building
JP2008223474A (en) Building with storage room
CN114991532A (en) Residential building with ladder rooms and entrances and exits arranged on at least two sides of each unit
CN112942899A (en) Residential building with ladder room and open type aerial courtyard arranged outside residential main body
JPH04339967A (en) Multi-story building
JPH01252477A (en) Home elevator
JP2003253896A (en) Building
JP3883870B2 (en) Partition forming device
JPH0748939A (en) Apartment house
KR101556377B1 (en) The slide type vestibule area securing syst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