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99948A - 파쇄재생방식의 활성탄 탈취장치 - Google Patents

파쇄재생방식의 활성탄 탈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99948A
KR20210099948A KR1020200013917A KR20200013917A KR20210099948A KR 20210099948 A KR20210099948 A KR 20210099948A KR 1020200013917 A KR1020200013917 A KR 1020200013917A KR 20200013917 A KR20200013917 A KR 20200013917A KR 20210099948 A KR20210099948 A KR 202100999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tivated carbon
deodorizing
crushing
gas
body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39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21748B1 (ko
Inventor
이재장
이경원
Original Assignee
이재장
이경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재장, 이경원 filed Critical 이재장
Priority to KR10202000139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1748B1/ko
Publication of KR202100999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999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17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17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02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dsorption, e.g. preparative gas chromatography
    • B01D53/04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dsorption, e.g. preparative gas chromatography with stationary adsorbents
    • B01D53/0407Constructional details of adsorbing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Deodorant compositions
    • A61L9/014Deodorant compositions containing sorbent material, e.g. activated carb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2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having hollow filters made of flexible material
    • B01D46/023Pockets filters, i.e. multiple bag filters mounted on a common fram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3/00Adsorbents used in seperation treatment of gases and vapours
    • B01D2253/10Inorganic adsorbents
    • B01D2253/102Carb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9/00Type of treatment
    • B01D2259/40Further details for adsorption processes and devices
    • B01D2259/40083Regeneration of adsorbents in processes other than pressure or temperature swing adsorp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Treating Waste Gases (AREA)
  • Carbon And Carbon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간단한 구조에 의해 활성탄을 파쇄하여 재사용이 가능하도록 구비됨에 따라, 활성탄의 사용수명을 연장하여 원료의 낭비를 줄임과 동시에 장치의 효율을 개선할 수 있는 파쇄재생방식의 활성탄 탈취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피처리가스의 유출입이 가능하도록 가스유입구(12)와 가스배출구(13)가 형성되고, 상기 가스유입구(12)와 가스배출구(13)와는 별도로 탈취충전물의 투입과 배출이 상하방향으로 이루어지도록 상부투입구(14)와 하부반출구(15)가 형성된 본체하우징(11)과; 상기 본체하우징(11) 내에 충전되어 피처리가스가 통과되는 과정에서 탈취가 이루어지도록 입자상의 활성탄(34)으로 된 탈취충전물을 포함한 탈취수단(30)과; 상기 본체하우징(11)의 외부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하부반출구(15)로부터 배출되는 활성탄(34)을 파쇄하도록 된 크러셔(41)와, 상기 크러셔(41)에 의해 파쇄된 활성탄(34)을 상기 본체하우징(11) 내에 재충전할 수 있도록 상기 상부투입구(14) 측으로 연장되는 이송라인(42)으로 구성된 파쇄리턴수단(40)을 포함하는 파쇄재생방식의 활성탄 탈취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파쇄재생방식의 활성탄 탈취장치{Crushing recycle type active carbon deodorizing apparatus}
본 발명은 파쇄재생방식의 활성탄 탈취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간단한 구조에 의해 활성탄을 파쇄하여 재사용이 가능하도록 구비됨에 따라, 활성탄의 사용수명을 연장하여 원료의 낭비를 줄임과 동시에 장치의 효율을 개선할 수 있는 파쇄재생방식의 활성탄 탈취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활성탄을 이용한 탈취장치는 유기용제를 사용하는 화학공장이나 제약공장 등의 제조공정에서 배출되는 휘발성 유기화합물이 대기중으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거나 오폐수 처리장 등에서 발생되는 악취를 처리하여 배출하도록 설치되는 것이다.
이러한 활성탄을 이용한 탈취장치는 대개 입자상이나 분말형태로 된 활성탄을 장치 내에 내장하여 배출가스를 통과시킨 과정에서 휘발성 유기화합물이나 악취 등을 흡착시켜 청정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구비되는데, 장치에 충전되어 탈취에 사용된 활성탄은 가열이나 역세 등의 방법으로 재생하여 사용하거나 흡착율이 저하되어 수명이 끝난 경우에는 이를 폐기처분하게 된다.
그런데 통상적으로 활성탄은 재생율이 매우 낮아 사용된 대부분을 교체 사용해야 할 뿐만 아니라 흡착속도가 느린 특성으로 인해 장치 내에 다량으로 충전됨으로 인해, 활성탄을 교체하는데 소요되는 작업의 번거로움과 교체에 따르는 비용의 부담이 있는 것이다.
한편, 종래에는 입자상의 활성탄의 경우에 교체주기나 흡착효율이 떨어짐으로 인한 장치 운용상의 문제점이 큰 것으로, 통상의 입자상 활성탄은 입자의 표면에 의해서만 흡착이 이루어져 흡착효율이 떨어짐으로 인해 빈번히 교체를 요하는 것이며, 종래에는 이러한 활성탄의 재생하기 위해 장치로부터 활성탄을 배출하여 별도의 재생로에 의해 가열하는 방법을 사용하는데, 이는 활성탄의 가열과정에서 열에 의한 변질의 우려가 있어 재생품질이 저하될 수 있는 단점이 있는 것이다.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189131호(2000. 05. 02)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파쇄방식으로 활성탄을 재생하도록 구비됨에 따라, 간단한 구조에 의해 활성탄의 사용수명을 연장하여 원료의 낭비를 줄이고, 재생과정에서 활성탄의 일부를 균일하게 배출시켜 탈취작동과 재생공정이 원활하게 이루어져 장치의 효율을 개선할 수 있는 파쇄재생방식의 활성탄 탈취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피처리가스의 유출입이 가능하도록 가스유입구(12)와 가스배출구(13)가 형성되고, 상기 가스유입구(12)와 가스배출구(13)와는 별도로 탈취충전물의 투입과 배출이 상하방향으로 이루어지도록 상부투입구(14)와 하부반출구(15)가 형성된 본체하우징(11)과;
상기 본체하우징(11) 내에 충전되어 피처리가스가 통과되는 과정에서 탈취가 이루어지도록 입자상의 활성탄(34)으로 된 탈취충전물을 포함한 탈취수단(30)과;
상기 본체하우징(11)의 외부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하부반출구(15)로부터 배출되는 활성탄(34)을 파쇄하도록 된 크러셔(41)와, 상기 크러셔(41)에 의해 파쇄된 활성탄(34)을 상기 본체하우징(11) 내에 재충전할 수 있도록 상기 상부투입구(14) 측으로 연장되는 이송라인(42)으로 구성된 파쇄리턴수단(4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쇄재생방식의 활성탄 탈취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본체하우징(11)의 하부 내측에 위치되어 일정량의 활성탄(34)을 상기 하부반출구(15) 측으로 배출할 수 있도록 수평방향으로 설치된 타공게이트(50)가 개폐 가능하게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쇄재생방식의 활성탄 탈취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탈취수단(30)은 활성탄(34)을 수용하도록 된 필터백(33)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가스유입구(12)의 양측에 대향 배치되어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탈취유닛(31)과 제2 탈취유닛(32)으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쇄재생방식의 활성탄 탈취장치가 제공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크러셔(41)에 의한 파쇄방식으로 활성탄(34)을 재생함에 따라, 표면흡착이 완료된 활성탄(34) 자체를 파쇄하여 활성탄(34) 내부의 비흡착된 부분을 활성화시켜 추가적인 탈취기능이 가능하고, 이에 의해 활성탄(34)의 교체주기를 개선하여 단기간에 사용한 활성탄(34)을 폐기함에 따른 낭비를 줄이며, 종래처럼 가열방식 등에 의한 재생과정에서의 활성탄(34)의 변질을 방지하여 탈취성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본체하우징(11) 상에 크러셔(41)가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탈취과정에서 일부의 활성탄(34)을 재생할 수 있도록 구비됨에 따라, 활성탄(34)에 의한 탈취작동과 재생작업이 동시에 이루어져 장치의 작동을 연속적으로 진행시킴에 따른 장치의 효율을 증대시킴과 동시에 간단한 재생구조에 의해 컴팩트한 장치를 구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본체하우징(11) 상에 수평방향으로 설치된 타공게이트(50)가 개폐 가능하게 구비됨에 따라, 상부에 위치되는 기파쇄된 작은 입자의 활성탄(34)이 하부에 위치되는 큰 입자의 활성탄(34)에 비해 우선적으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본체하우징(11) 하부측에 위치된 큰 입자의 활성탄(34)으로부터 순차적으로 안정적인 배출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필터백(33) 내에 활성탄(34)이 수용되는 탈취수단(30)이 구비됨에 따라, 크러셔(41)에 의해 파쇄된 작은 입자의 활성탄(34)의 경우에도 누출이 없이 안정적으로 충전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고, 좌우로 배치되는 제 1 및 제2 탈취유닛(31,32)에 의해 탈취면적을 최대한 넓힘에 따른 효율증대를 기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일부 구성을 도시한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작동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측면도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활성탄 탈취장치(10)는 파쇄방식으로 활성탄(34)을 재생하도록 된 것으로, 일정 높이로 연장되는 본체하우징(11) 내에 피처리가스를 탈취하기 위한 활성탄(34)이 내장되는데, 이 본체하우징(11) 상에는 피처리가스의 유출입이 가능하도록 상부 일측에 가스유입구(12)가 형성되고, 하부 일측에 가스배출구(13)가 형성되며, 이 가스유입구(12)와 가스배출구(13)와는 별도로 활성탄(34)으로 된 탈취충전물을 투입하거나 배출할 수 있도록 본체하우징(11)의 상부 타측에 상부투입구(14)가 형성되고, 하부 타측에 하부반출구(15)가 형성된 것이다.
이러한 본체하우징911)의 외부 일측에는 상기 가스배출구(13) 측에 연결되어 정화가스를 대기 중에 배출하도록 연장 형성된 배기덕트(20)와, 이 배기덕트(20) 상의 정화가스를 송풍하도록 된 배기팬(21)이 구비되며, 상기 본체하우징(11)의 외부 타측에는 상기 하부반출구(15)를 통해 배출되는 활성탄(34)을 파쇄 재생시켜 상부투입구(14)로 재충전하도록 된 파쇄리턴수단(40)이 연결된 것이다.
여기에서, 상기 파쇄리턴수단(40)은 하부반출구(15)로부터 배출되는 활성탄(34)을 직접적으로 수용하여 파쇄작동이 이루어지도록 본체하우징(11)의 외부에 근접되게 설치된 크러셔(41)와, 상기 크러셔(41)에 연결되어 상부투입구(14) 측으로 연장되는 이송라인(42)으로 구성된 것으로, 상기 이송라인(42)은 파쇄된 활성탄(34)을 에어 등에 의해 압송할 수 있는 파이프라인 형태로 구비될 수 있는 것인데, 이 파쇄리턴수단(40)에 의해 활성탄(34)을 파쇄할 때에 본체하우징(11)으로부터 활성탄(34)의 일부가 배출되는 구조를 도 2와 도 3에 의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하우징(11) 내에는 활성탄(34)의 배출이 용이하도록 상기 하부반출구(15) 측으로 하향 경사지도록 된 경사판(22)이 구비되고, 이 경사판(22)의 상부측에 일정 면적의 배출공간(23)과 이 배출공간(23)의 상부에 수평방향으로 개폐되는 타공게이트(50)가 설치된 것으로, 상기 경사판(22)은 별도의 장치가 구비되지 않더라도 활성탄(34)이 자중에 의해 자동적으로 하부반출구(15) 측으로 흘러내리도록 한 것이고, 상기 배출공간(23)은 상부로부터 활성탄(34)이 용이하게 낙하되도록 빈 공간으로 형성된 것이며, 상기 타공게이트(50)는 필요에 따라 개방하여 일정량의 활성탄(34)을 배출하도록 된 것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타공게이트(50)는 활성탄(34)이 통과되도록 복수의 통공(54)이 형성된 타공판(51)이 본체하우징(11) 상에 수평방향으로 설치되고, 이 타공판(51)의 하부에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타공판(51)의 통공(54)을 개폐하도록 된 슬라이드판(52)으로 구성될 수 있는데, 상기 슬라이드판(52)은 수동조작이나 실린더(53) 등에 의해 자동으로 개폐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는 것이고, 최소한의 스트로크로 작동 가능하도록 상기 통공(54)에 정렬되거나 어긋나도록 된 다른 통공(55)이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타공게이트(50)에 의해서는 본체하우징(11)의 하부측에서부터 활성탄(34)을 균일하게 배출할 수 있게 되는데, 이러한 타공게이트(50)의 유무에 따른 활성탄(34)의 배출상태를 비교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하우징(11) 내에 타공게이트(50)가 구비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상기 경사판(22)의 배출특성상 하부반출구(15) 측이 우선적으로 침하된 상태로 활성탄(34)이 배출됨으로 인해, 상기 파쇄리턴수단(40)에 의해 파쇄된 작은 입자의 활성탄(34)이 하부의 큰 입자의 활성탄(34)에 비해 우선적으로 배출될 우려가 있는 것이다.
한편,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활성탄(34)의 하부측을 타공게이트(50)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지지한 상태에서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활성탄(34)이 배출됨에 따라, 작은 입자의 활성탄(34)이 큰 입자의 활성탄(34)에 비해 우선적으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고, 이에 의해 본체하우징(11)의 하부로부터 층상으로 순차배출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활성탄(34)의 흡착과정에서는 피처리가스의 성분 등에 따라 활성탄(34)이 상호 엉겨 붙거나 시간이 경과하여 괴상(塊狀)으로 고착될 수 있는데, 이러한 활성탄(34)의 고착상태를 깨뜨릴 수 있도록 본체하우징(11) 내에 도시되지 않은 타격부재나 교반기구 등이 설치될 수도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탈취수단(30)은 전술된 바와 같은 활성탄(34)의 파쇄과정에서 작은 입자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필터백(33)이 더 구비되어 활성탄(34)을 수용한 상태로 구비될 수 있는데, 이러한 구성과 작동상태를 도 4와 도 5에 의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탈취수단(30)은 탈취를 위한 활성탄(34)과 이 활성탄(34)을 수용하도록 된 필터백(33)으로 구성되는데, 이 탈취수단(30)은 가스유입구(12)의 양측에 대향 배치되는 제1 탈취유닛(31)과 제2 탈취유닛(32)으로 구비되고, 본체하우징(11) 상에는 가스유입구(12)에 연통되는 주입통로(16)와 상기 각 탈취유닛(31,32)의 일면측에 이격되어 활성탄(34)을 통과하여 탈취가 이루어진 정화가스가 진행되는 제1 및 제2 배출통로(17,18)가 형성되게 된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각 탈취유닛(31,32)은 본체하우징(11)의 상하로 연장되는 칼럼형태로 구비되고, 필터백(33)은 상하가 개방되어 활성탄(34)의 유출입이 가능하도록 구비된 것으로, 가스유입구(12)를 통해 주입되는 피처리가스는 상기 주입통로(16)를 통해 제1 및 제2 탈취유닛(31,32)에 의해 탈취가 이루어진 후에, 상기 제1 배출통로(17)와 제2 배출통로(18)를 통해 개별적으로 배출되는데, 이때에 상기 각 배출통로(17,18)는 각 탈취유닛(31,32)의 하부측에 형성된 통합배출로(19)를 통해 가스배출구(15)로 빠져나가도록 된 것이다.
이와 같은 탈취수단(30)에 의하면, 두개의 탈취유닛(31,32)에 의해 탈취면적을 최대화시킴과 동시에 어느 하나의 교체나 보수 또는 재생작동시에 다른 하나에 의해 탈취작동이 가능하여 장치의 작동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10: 활성탄 탈취장치 11: 본체하우징
12: 가스유입구 13: 가스배출구
14: 상부투입구 15: 하부반출구
16: 주입통로 17: 제1 배출통로
18: 제2 배출통로 19: 통합배출로
20: 배기덕트 21: 배기팬
22: 경사판 23: 배출공간
30: 탈취수단 31: 제1 탈취유닛
32: 제2 탈취유닛 33: 필터백
34: 활성탄 40: 파쇄리턴수단
41: 크러셔 42: 이송라인
50: 타공게이트 51: 타공판
52: 슬라이드판 53: 실린더
54,55: 통공

Claims (3)

  1. 피처리가스의 유출입이 가능하도록 가스유입구(12)와 가스배출구(13)가 형성되고, 상기 가스유입구(12)와 가스배출구(13)와는 별도로 탈취충전물의 투입과 배출이 상하방향으로 이루어지도록 상부투입구(14)와 하부반출구(15)가 형성된 본체하우징(11)과;
    상기 본체하우징(11) 내에 충전되어 피처리가스가 통과되는 과정에서 탈취가 이루어지도록 입자상의 활성탄(34)으로 된 탈취충전물을 포함한 탈취수단(30)과;
    상기 본체하우징(11)의 외부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하부반출구(15)로부터 배출되는 활성탄(34)을 파쇄하도록 된 크러셔(41)와, 상기 크러셔(41)에 의해 파쇄된 활성탄(34)을 상기 본체하우징(11) 내에 재충전할 수 있도록 상기 상부투입구(14) 측으로 연장되는 이송라인(42)으로 구성된 파쇄리턴수단(4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쇄재생방식의 활성탄 탈취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하우징(11)의 하부 내측에 위치되어 일정량의 활성탄(34)을 상기 하부반출구(15) 측으로 배출할 수 있도록 수평방향으로 설치된 타공게이트(50)가 개폐 가능하게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쇄재생방식의 활성탄 탈취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탈취수단(30)은 활성탄(34)을 수용하도록 된 필터백(33)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가스유입구(12)의 양측에 대향 배치되어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탈취유닛(31)과 제2 탈취유닛(32)으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쇄재생방식의 활성탄 탈취장치.
KR1020200013917A 2020-02-05 2020-02-05 파쇄재생방식의 활성탄 탈취장치 KR1023217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3917A KR102321748B1 (ko) 2020-02-05 2020-02-05 파쇄재생방식의 활성탄 탈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3917A KR102321748B1 (ko) 2020-02-05 2020-02-05 파쇄재생방식의 활성탄 탈취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9948A true KR20210099948A (ko) 2021-08-13
KR102321748B1 KR102321748B1 (ko) 2021-11-03

Family

ID=773137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3917A KR102321748B1 (ko) 2020-02-05 2020-02-05 파쇄재생방식의 활성탄 탈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174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87692B1 (ko) * 2023-02-09 2023-10-11 한철윤 규조토 분말 살포 유닛을 장착한 집진 장치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9131Y1 (ko) 2000-02-15 2000-07-15 윤영중 휘발성 유해물질 제거용 활성탄 흡착탑
KR200258710Y1 (ko) * 2001-09-14 2001-12-28 (주)바이오엔티 악취물질 및 휘발성유기화합물질의 탈취장치
KR101050431B1 (ko) * 2011-03-08 2011-07-19 (주)대우건설 필터백 기반의 분말촉매를 이용한 복합 악취 저감 장치 및 방법
JP2013119065A (ja) * 2011-12-07 2013-06-17 Mitsubishi Heavy Ind Ltd 有害物質吸着活性炭の再生処理装置及び方法
KR101377638B1 (ko) * 2012-09-27 2014-03-25 현대제철 주식회사 활성탄 투입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배기가스 처리 설비
KR20190065740A (ko) * 2017-12-04 2019-06-12 주식회사 포스코 활성탄 박스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흡착탑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9131Y1 (ko) 2000-02-15 2000-07-15 윤영중 휘발성 유해물질 제거용 활성탄 흡착탑
KR200258710Y1 (ko) * 2001-09-14 2001-12-28 (주)바이오엔티 악취물질 및 휘발성유기화합물질의 탈취장치
KR101050431B1 (ko) * 2011-03-08 2011-07-19 (주)대우건설 필터백 기반의 분말촉매를 이용한 복합 악취 저감 장치 및 방법
JP2013119065A (ja) * 2011-12-07 2013-06-17 Mitsubishi Heavy Ind Ltd 有害物質吸着活性炭の再生処理装置及び方法
KR101377638B1 (ko) * 2012-09-27 2014-03-25 현대제철 주식회사 활성탄 투입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배기가스 처리 설비
KR20190065740A (ko) * 2017-12-04 2019-06-12 주식회사 포스코 활성탄 박스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흡착탑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87692B1 (ko) * 2023-02-09 2023-10-11 한철윤 규조토 분말 살포 유닛을 장착한 집진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21748B1 (ko) 2021-1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8406568U (zh) 一种新型废气净化处理一体化装置
KR102321748B1 (ko) 파쇄재생방식의 활성탄 탈취장치
CN109647852A (zh) 一种环保型垃圾处理再利用装置
CN110529860A (zh) 一种带有危险废物预处理工序的固体废物处理系统
CN114699910B (zh) 一种利于填料更换除臭的生物滤池装置及其使用方法
CN206940655U (zh) 一种畜禽屠宰场的污水处理装置
CN211462631U (zh) 一种有机废气收集净化装置
CN217248024U (zh) 一种立式废气催化氧化装置
KR101968679B1 (ko) 음식물처리기용 탈취장치
CN109485199A (zh) 一种装配式污水处理设备及其处理工艺
KR101412105B1 (ko) 비산먼지 방지장치
CN107281890A (zh) 进出风道一体信号分流式上装侧卸活性炭吸附装置
KR20090075418A (ko) 음식물쓰레기 처리기용 필터조립체
CN209060827U (zh) 一种废气处理用活性炭吸附装置
CN108114575B (zh) 一种分离式废气处理装置及处理方法
KR101178784B1 (ko) 싱크대용 음식물 처리장치
JP2000296310A5 (ko)
KR100947508B1 (ko) 가습기
CN216149374U (zh) 一种集吸附脱附及催化燃烧的一体化设备
JPS62114663A (ja) 固定層式イオン交換器の再浄化方法及び装置
CN111892202B (zh) 一种臭氧活性炭处理废水的工艺及设备
CN215049349U (zh) 一种生活污水深度处理集装箱
CN220554617U (zh) 一种过滤式光氧除臭一体机
CN211944752U (zh) 一种带有固液分离室的垃圾分类装置
CN209338289U (zh) 用于裘皮生产的废水处理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