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8710Y1 - 악취물질 및 휘발성유기화합물질의 탈취장치 - Google Patents

악취물질 및 휘발성유기화합물질의 탈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8710Y1
KR200258710Y1 KR2020010028308U KR20010028308U KR200258710Y1 KR 200258710 Y1 KR200258710 Y1 KR 200258710Y1 KR 2020010028308 U KR2020010028308 U KR 2020010028308U KR 20010028308 U KR20010028308 U KR 20010028308U KR 200258710 Y1 KR200258710 Y1 KR 20025871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
deodorizing
adsorbent
organic compounds
volatile organ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2830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덕남
이영철
Original Assignee
(주)바이오엔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바이오엔티 filed Critical (주)바이오엔티
Priority to KR202001002830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871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871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8710Y1/ko

Links

Landscapes

  • Treating Waste Ga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각종 산업시설이나 환경기초시설 등에서 발생하는 악취물질 및 휘발성유기화합물질을 흡착제에 흡착시켜 제거하는 탈취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강제 유입되는 가스량을 분배하여 유입시킬 수 있도록 탈취장치를 수직형상으로 형성하여 다단으로 형성하므로서, 탈취장치의 소형화, 탈취시설의 설치면적 최소화 및 시설비의 절감을 이루도록 함은 물론, 유해가스를 그물망으로 되는 흡착제의 상부로 유입시켜 하부로 배출되도록 형성하므로서, 흡착제의 교체를 용이하게 하고, 흡착제의 비산에 의한 2차오염을 제거할 수 있게 되며, 탈취장치의 부하량을 상대적으로 감소시켜 유해가스의 진입속도와 처리된 가스의 토출속도 설계의 최적화를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한 악취물질 및 휘발성유기화합물질의 탈취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각종 산업시설이나 환경기초시설 등에서 발생하는 악취물질 및 휘발성유기화합물질을 흡착제에 흡착시켜 제거하는 탈취장치에 있어서, 악취물질 및 휘발성유기화합물질과 같은 오염된 유해가스를 탈취장치내로 유입시키기 위한 유입관(11)과; 상기 유입관(11)내부에 설치되어 모터(13)의 구동에 따라 작동되며, 오염된 유해가스를 탈취장치내부로 강제로 유입시키기 위한 송풍기(12)와; 상기 유입관(11)의 입구측에 설치되어 유입되는 유해가스를 집진하여 오염물질을 걸러내기 위한 필터링수단과; 상기 필터링수단을 통해 오염물질이 1차 걸러진 상태의 유해가스에서 악취를 탈취할 수 있도록 탈취수단으로 이송시키기 위한 덕트(14)와; 상기 덕트(14)를 통해 유입되는 유해가스에서 악취를 제거할 수 있도록 다수의 흡착제(16)가 다단으로 충진되어 수직형상으로 형성된 탈취수단과; 상기 탈취수단에서 유해한 성분이 제거된 상태의 청정가스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가스배출관(19);으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악취물질 및 휘발성유기화합물질의 탈취장치{Deodorization apparatus of bad smell meterial and Volatile Organic Compounds}
본 고안은 각종 산업시설이나 환경기초시설 등에서 발생하는 악취물질 및 휘발성유기화합물질을 흡착제에 흡착시켜 제거하는 탈취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강제 유입되는 가스량을 분배하여 유입시킬 수 있도록 탈취장치를 수직형상으로 형성하여 다단으로 형성하므로서, 탈취장치의 소형화, 탈취시설의 설치면적 최소화 및 시설비의 절감을 이루도록 함은 물론, 유해가스를 그물망으로 되는 흡착제의 상부로 유입시켜 하부로 배출되도록 형성하므로서, 흡착제의 교체를 용이하게 하고, 흡착제의 비산에 의한 2차오염을 제거할 수 있게 되며, 탈취장치의 부하량을 상대적으로 감소시켜 유해가스의 진입속도와 처리된 가스의 토출속도 설계의 최적화를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한 악취물질 및 휘발성유기화합물질의 탈취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개발위주의 경제성장 및 지속적인 산업화로 자연생태계의 자정능력이 저하되고, 지구환경의 수용능력을 능가하는 각종 환경오염물질의 배출량이 증가되어 지구의 온난화, 산성비, 해양오염, 사막화, 오존층파괴, 생물종의 감소 등 전 세계적으로 총체적인 환경위기가 초래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이처럼 인류가 직면한 심각한 환경오염을 해결하기 위하여 각국에서는 문제발생여지가 큰 대기오염물질배출시설에 대하여는 배출허용기준을 정하여 엄격하게 관리하고 있으며, 대기오염물질 배출시설 이외의 일정사업장을 생활악취규제대상시설(업)을 규제하여 관리하고 있다.
또한, 다양한 산업시설과 공정, 그리고 생활주변에서 광범위하게 발생하는 악취는 황화수소, 메르갑탄류, 아민류 등 기타 자극성있는 기체상물질이 사람의 후각을 자극하여 불쾌감과 혐오감을 주는 냄새로 주로 인체 위해성 보다는 정신적, 심리적 피해를 끼치는 감각공해이다.
또, 휘발성유기화합물질(Volatile Organic Compounds : 이하, 'VOC'라 함)은 상온, 상압하에서 기체상태로 존재하는 모든 유기성물질을 통칭하는 의미로 사용되는 데, 석유화학, 도장, 인쇄, 반도체공정 등 일반산업시설 폐수 및 폐기물처리장, 저유소 등 휘발성이 강한 유기화합물질을 사용하는 거의 모든 산업공정에서 발생하며, 화재폭발 등 각종 안전사고를 유발시키며 악취는 물론, 인체에 유해하여 작업자에 치명적인 피해를 일으킨다. 최근에 VOC가 광화학적 대기오염의 원인임이 밝혀지면서 미국, 구미 선진국 및 우리나라에서도 배출에 대한 규제를 강화하는 등 배출억제 및 방사시설 설치등을 제도화하고 있다.
이와같은 악취물질 및 VOC는 단독성분으로 배출되거나, 복합성분으로 배출되어 취기를 강하게 나타내는 물질로서, 이러한 악취물질 및 VOC에 대한 종래의 탈취방법은 물리, 화학, 생물학적 탈취방법으로 직접연소법, 촉매연소법, 세정법, 냉각응축법, 흡착법, 생물여과법 등 다양한 종류의 탈취기술이 개발되어 사용중에 있으며, 제거효율 및 경제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연구가 계속 진행중에 있다.
현재 우리나라 산업시설에 주로 사용되는 탈취시설은 경제성, 기술수준 등을 고려하여 다른 악취물질 및 VOC 저감방법들과 비교하여 역사가 길고, 실적이 많으며 조작이 간단한 흡착에 의한 탈취방법을 주로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흡착에 의한 탈취방법은 유해가스를 처리하기 위하여 공탑속도를 0.5m/sec 이하로 설계하여야 하기 때문에 종형이나 횡형으로 설계하게 되어 탈취장치의 규모가 크고, 넓은 설치부지를 필요로 하게 되며, 분진이나 점착성미스트가 포함된 악취물질 및 VOC가 탈취시설로 유입되었을 경우 흡착제와 결합되어 탈취장치내의 압력이 증가하게 되고, 흡착제의 교체가 용이하지 않으며, 처리운영비가 높아지는 등 많은 문제점이 있어 효율적이고 안정적으로 악취 및 VOC문제를 처리하지 못하고 있다.
또한, 탈취장치내에 흡착제 재생장치를 설치하여 운전하는 경우도 있으나, 특수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현실적으로 거의 사용하지 않는 실정이다.
또, 상기한 용도로 사용되는 기존의 탈취장치는 유해가스가 탈취시설의 측하부에서 유입되어 흡착제를 통과해 상부로 배출되는 바, 이 경우 흡착제의 비산에 의한 2차오염의 원인이 되는 일이 발생하였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주된 목적으로는 강제 유입되는 가스량을 분배하여 유입시킬 수 있도록 탈취장치를 수직형상으로 형성하여 다단으로 형성하므로서, 탈취장치의 소형화, 탈취시설의 설치면적 최소화 및 시설비의 절감을 이루도록 한 악취물질 및 휘발성유기화합물질의 탈취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으로는 유해가스를 그물망으로 되는 흡착제의 상부로 유입시켜 하부로 배출되도록 형성하므로서, 흡착제의 교체를 용이하게 함은 물론, 흡착제의 비산에 의한 2차오염을 제거할 수 있게 되고, 탈취장치의 부하량을 상대적으로 감소시켜 유해가스의 진입속도와 처리된 가스의 토출속도 설계의 최적화를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한 악취물질 및 휘발성유기화합물질의 탈취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탈취장치를 보인 정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탈취장치에서 필터링수단을 보인 정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탈취장치에서 탈취수단을 일측에서 본 측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탈취장치에서 탈취수단을 보인 일측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탈취장치에서 탈취수단을 보인 타측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탈취장치에서 탈취수단을 보인 측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탈취장치에서 덕트를 보인 측면도.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탈취장치에서 가스배출관을 보인 측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탈취장치 11 : 유입관
12 : 송풍기 13 : 모터
14 : 덕트 15 : 분배관
16 : 흡착제 17 : 개폐부
18 : 분기관 19 : 가스배출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각종 산업시설이나 환경기초시설 등에서 발생하는 악취물질 및 휘발성유기화합물질을 흡착제에 흡착시켜 제거하는 탈취장치에 있어서,
악취물질 및 휘발성유기화합물질과 같은 오염된 유해가스를 탈취장치내로 유입시키기 위한 유입관과; 상기 유입관내부에 설치되어 모터의 구동에 따라 작동되며, 오염된 유해가스를 탈취장치내부로 강제로 유입시키기 위한 송풍기와; 상기 유입관의 입구측에 설치되어 유입되는 유해가스를 집진하여 유해가스에 포함된 점착성물질이나 분진을 1차 걸러내기 위한 필터링수단과; 상기 필터링수단을 통해 오염물질이 1차 걸러진 상태의 유해가스에서 악취를 탈취할 수 있도록 탈취수단으로 이송시키기 위한 덕트와; 상기 덕트를 통해 유입되는 유해가스에서 악취를 제거할 수있도록 다수의 흡착제가 다단으로 충진되어 수직형상으로 형성된 탈취수단과; 상기 탈취수단에서 유해한 성분이 제거된 상태의 청정가스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가스배출관;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덕트를 통해 유입되는 유해가스에서 악취를 제거하기 위한 상기 탈취수단은 수직형상으로 형성하여 내부에 다단의 흡착제가 충진되도록 하되, 상기 흡착제는 그물망속에 약 10kg씩의 활성탄을 넣어 충진형성한다.
또한, 탈취수단의 일측면에 연결설치되어 탈취수단으로 유해가스를 공급하기 위한 덕트에는 다단으로 형성되는 흡착제마다 유해가스를 공급하여 악취를 제거할 수 있도록 단부에 각각의 흡착제에 공급될 수 있는 분배관을 형성하며, 그 분배관의 위치는 다단으로 형성되는 흡착제의 상부에 위치되도록 한다.
또, 상기 탈취수단의 일측에 연결설치되어 탈취수단을 통해 유해성분이 제거된 청정가스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가스배출관에는 다단으로 형성되는 각각의 흡착제에서 청정가스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분기관을 형성하며, 그 분기관은 다단으로 형성되는 흡착제의 하부에 위치되도록 하여, 덕트의 분배관을 통해 탈취수단내부로 유입된 오염가스가 흡착제의 상부에서 하부로 통과하여 가스배출관의 분기관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한다.
즉, 강제 유입되는 가스량을 분배하여 유입시킬 수 있도록 탈취장치를 수직형상으로 형성하여 다단으로 형성하므로서, 탈취장치의 소형화, 탈취시설의 설치면적 최소화 및 시설비를 절감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유해가스를 그물망으로 되는 흡착제의 상부로 유입시켜 하부로 배출되도록 형성하므로서, 흡착제의 교체를 용이하게 하고, 흡착제의 비산에 의한 2차오염을 제거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탈취장치의 부하량을 상대적으로 감소시켜 유해가스의 진입속도와 처리된 가스의 토출속도 설계의 최적화를 유지시킬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탈취장치를 보인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탈취장치에서 필터링수단을 보인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탈취장치에서 탈취수단을 일측에서 본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탈취장치에서 탈취수단을 보인 일측면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탈취장치에서 탈취수단을 보인 타측면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탈취장치에서 탈취수단을 보인 측단면도이며,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탈취장치에서 덕트를 보인 측면도이고,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탈취장치에서 가스배출관을 보인 측면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악취물질 및 휘발성유기화합물질의 탈취장치는 도 1내지 8도 에 도시한 바와 같이, 먼저 각종 산업시설이나 환경기초시설 등에서 발생하는 악취물질 및 휘발성유기화합물질(VOC)과 같은 오염된 유해가스를 탈취장치내로 유입시키기 위한 유입관(11)을 설치한다.
이어, 상기 유입관(11)내부에는 오염된 유해가스를 탈취장치(10) 내부로 강제로 유입시키기 위하여 모터(13)의 구동에 따라 작동되는 송풍기(12)를 설치한다.
이어, 상기 유입관(11)의 입구측에는 송풍기(12)를 통해 강제 유입되는 유해가스를 집진하여 유해가스에 포함된 점착성물질이나 분진을 1차 걸러내기 위한 필터링수단을 설치하며, 이를 통해 탈취장치내의 흡착제의 수명연장 및 흡착제에 의한 압력손실 감소에 따른 시설운영비의 절감을 이루도록 한다.
상기 필터링수단의 하부에는 오염물질이 1차 걸러진 상태의 유해가스를 탈취수단으로 이송하기 위한 덕트(14)를 설치하되, 탈취수단과 연결되는 덕트(14)의 단부에는 탈취수단에 다단으로 형성되는 흡착제(16)에 유해가스를 공급할 수 있도록 다수의 분배관(15)을 분기형성하고, 그 분배관(15)은 흡착제(16) 상부에 위치하도록 한다.
이어, 상기 덕트(14)의 일측에는 덕트(14)를 통해 유입되는 유해가스에서 악취를 제거할 수 있도록 다수의 흡착제(16)가 다단으로 충진되어 수직형상으로 형성된 탈취수단을 설치한다.
이때, 탈취수단의 내부에 다단으로 충진되는 다수의 흡착제(16)는 그물망속에 약 10kg씩의 활성탄을 넣어 충진형성한다.
이어, 상기 탈취수단에 설치된 덕트(14)의 일측에는 탈취수단에서 유해한 성분이 제거된 상태의 청정가스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가스배출관(19);을 설치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가스배출관(19)에는 다단으로 형성되는 각각의 흡착제(16)에서 유해성분이 제거된 청정가스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분기관(18)을 형성하며, 그 분기관(18)은 다단으로 형성되는 흡착제(16)의 하부에 위치되도록 형성하여, 덕트(14)의 분배관(15)을 통해 탈취수단 내부로 유입된 오염가스가 흡착제(16)의 상부에서하부로 통과하면서 유해가스가 제거되도록 하고, 유해가스가 제거된 청정가스는 가스배출관(19)의 분기관(18)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한다.
이와같은 구성의 본 고안에 따른 악취물질 및 휘발성유기화합물질의 탈취장치에 의하면, 대기 중에서 발생되는 악취물질 및 휘발성유기화합물질 즉, 유해가스를 탈취장치(10) 내부에 설치되는 송풍기(12)를 통해 탈취장치(10) 내부로 강하게 유입시킨다.
상기 작용으로 탈취장치(10) 내부로 유해가스가 유입되게 되면, 유입관(11)의 입구측에 위치한 필터링수단이 작동하여 유입되는 유해가스에 포함된 점착성물질이나 분진을 1차로 필터링하게 된다.
따라서, 유입관(11)의 입구측에 악취물질 및 VOC 즉, 유해가스중에 포함된 점착성물질이나 분진을 1차 집진할 수 있는 필터수단을 설치하므로서, 탈취장치(10)내의 흡착제(16)의 수명연장 및 흡착제(16)에 의한 압력손실 감소에 따른 시설운영비의 절감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상기 작용으로 탈취장치(10)내부로 유입되어 필터링수단으로 1차 필터링된 유해가스는 덕트(14)를 통해 탈취수단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덕트(14)를 통해 탈취수단으로 이동되는 유해가스는 덕트(14)의 단부에 형성되는 다수의 분배관(15)을 통해 수직으로 형성된 탈취수단에 다단으로 형성되는 다수의 흡착제(16)로 각각 공급되게 된다.
이때, 강제유입되는 유해가스에서 유해성분을 제거하기 위한 탈취수단은 수직으로 형성하고, 그 내부에 흡착제(16)를 다단으로 설치하므로서, 탈취장치의 소형화, 탈취시설의 설치면적 최소화 및 시설비의 절감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이어, 상기 작용으로 수직으로 형성되는 탈취수단에 다단으로 형성되는 흡착제(16)의 상부로 공급된 유해가스는 흡착제(16)의 상부에서 흡착제(16)를 통과하여 오염 및 악취의 유해성분이 제거되게 되고, 상기 작용으로 유해성분이 제거된 청정가스는 탈취수단의 흡착제(16) 하단부에 각각 형성되는 분기관(18)을 통해 가스배출관(19)으로 배출되어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또, 탈취에 사용된 흡착제(16)의 교체는 도 5에 도시한 바와같이, 탈취수단의 타측에 설치된 개폐부(17)의 커버(17')를 연 다음, 그 개폐부(17)를 통해 사용된 흡착제(16)를 교체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서는 필터링수단을 통해 1차 필터링된 유해가스를 덕트(14)의 분배관(15)을 통해 탈취수단에 설치되는 흡착제(16)의 상부로 유입시키고, 유입된 유해가스는 그물망속에 약 10kg씩 넣어 충진시킨 흡착제(16)을 통과토록 하여 유해성분이 제거된 채로 하부의 분기관(18)을 통해 가스배출관(19)으로 배출되도록 하므로서, 탈취수단에 다단으로 설치되는 흡착제(16)의 교체를 용이하게 하였고, 흡착제(16)의 비산에 의한 2차오염을 제거하였으며, 탈취장치의 부하량을 상대적으로 감소시켜 유해가스의 진입속도와 처리된 가스의 토출속도 설계의 최적화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강제 유입되는 가스량을 분배하여 유입시킬 수있도록 탈취장치를 수직형상으로 형성하여 다단으로 형성하므로서, 탈취장치의 소형화, 탈취시설의 설치면적 최소화 및 시설비를 절감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유해가스를 그물망으로 되는 흡착제의 상부로 유입시켜 하부로 배출되도록 형성하므로서, 흡착제의 교체를 용이하게 하고, 흡착제의 비산에 의한 2차오염을 제거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탈취장치의 부하량을 상대적으로 감소시켜 유해가스의 진입속도와 처리된 가스의 토출속도 설계의 최적화를 유지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악취물질과 휘발성유기화합물질을 처리하는 데 있어서, 탈취장치의 작업환경을 개선함은 물론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3)

  1. 각종 산업시설이나 환경기초시설 등에서 발생하는 악취물질 및 휘발성유기화합물질을 흡착제에 흡착시켜 제거하는 탈취장치에 있어서,
    악취물질 및 휘발성유기화합물질과 같은 오염된 유해가스를 탈취장치내로 유입시키기 위한 유입관(11)과; 상기 유입관(11)내부에 설치되어 모터(13)의 구동에 따라 작동되며, 오염된 유해가스를 탈취장치내부로 강제로 유입시키기 위한 송풍기(12)와; 상기 유입관(11)의 입구측에 설치되어 유입되는 유해가스를 집진하여 오염물질을 걸러내기 위한 필터링수단과; 상기 필터링수단을 통해 오염물질이 1차 걸러진 상태의 유해가스에서 악취를 탈취할 수 있도록 탈취수단으로 이송시키기 위한 덕트(14)와; 상기 덕트(14)를 통해 유입되는 유해가스에서 악취를 제거할 수 있도록 그물망속에 약 10kg씩의 활성탄을 넣어 충진형성한 다수의 흡착제(16)가 다단으로 설치되어 수직형상으로 형성된 탈취수단과; 상기 탈취수단에서 유해한 성분이 제거된 상태의 청정가스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가스배출관(19);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취물질 및 휘발성유기화합물질의 탈취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탈취수단의 일측면에 연결설치되어 유해가스를 공급하기 위한 덕트(14)의 단부에는 탈취수단에 다단으로 설치되는 흡착제(16)마다 유해가스를 공급하는 분배관(15)을 형성하며, 그 분배관(15)의 위치는 다단으로 설치되는 흡착제(16)의 상부에 위치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취물질 및 휘발성유기화합물질의 탈취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탈취수단의 일측에 연결설치되는 가스배출관(19)에는 다단으로 설치되는 각각의 흡착제(16)에서 청정가스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분기관(18)을 형성하며, 그 분기관(18)은 다단으로 형성되는 흡착제(16)의 하부에 위치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취물질 및 휘발성유기화합물질의 탈취장치.
KR2020010028308U 2001-09-14 2001-09-14 악취물질 및 휘발성유기화합물질의 탈취장치 KR20025871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8308U KR200258710Y1 (ko) 2001-09-14 2001-09-14 악취물질 및 휘발성유기화합물질의 탈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8308U KR200258710Y1 (ko) 2001-09-14 2001-09-14 악취물질 및 휘발성유기화합물질의 탈취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58710Y1 true KR200258710Y1 (ko) 2001-12-28

Family

ID=730691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8308U KR200258710Y1 (ko) 2001-09-14 2001-09-14 악취물질 및 휘발성유기화합물질의 탈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8710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2177B1 (ko) 2015-03-30 2015-08-05 주식회사 한남 Voc 흡착농축식 촉매산화 처리장치
KR20210099948A (ko) * 2020-02-05 2021-08-13 이재장 파쇄재생방식의 활성탄 탈취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2177B1 (ko) 2015-03-30 2015-08-05 주식회사 한남 Voc 흡착농축식 촉매산화 처리장치
KR20210099948A (ko) * 2020-02-05 2021-08-13 이재장 파쇄재생방식의 활성탄 탈취장치
KR102321748B1 (ko) * 2020-02-05 2021-11-03 이재장 파쇄재생방식의 활성탄 탈취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69805B1 (ko) 탈취형 스크러버
KR100807813B1 (ko) 차량 장착용 대기정화장치
WO2010076853A1 (ja) 汚染ガスの水洗式除塵浄化方法
KR101923502B1 (ko) 배기가스 정화방법 및 그에 의한 배기가스 정화시스템
CN208406568U (zh) 一种新型废气净化处理一体化装置
CN101293108A (zh) 一种脱硫化氢材料和活性炭吸附的除臭方法及处理装置
KR20090131034A (ko) 연소가스 정화장치
KR20100118643A (ko) 배출가스 정화장치
KR100581675B1 (ko) 악취가스의 탈취 장치
KR102461921B1 (ko) 악취 물질 처리를 위한 버블플레이트 및 액상 전용 다단형 탈취탑 장치
KR101379360B1 (ko) 악취 제거 장치
KR20060126021A (ko) 숙성 고목피를 이용한 악취 제거장치
KR100630422B1 (ko) 주방배기탈취장치
CN214972995U (zh) 一种废气净化干燥设备
KR101364097B1 (ko) 휘발성 유기화합물이 포함된 폐가스 처리장치
CN201613106U (zh) 填料式喷淋洗涤污水除臭装置
CN114699910A (zh) 一种利于填料更换除臭的生物滤池装置及其使用方法
KR200258710Y1 (ko) 악취물질 및 휘발성유기화합물질의 탈취장치
KR102131418B1 (ko) 굴뚝 배기물질 정화장치
KR102174694B1 (ko) 자가정화 기능을 가지는 기체 정화장치
JP2015208721A (ja) 急速連続分離脱臭装置
KR20210059528A (ko) 복합 다단식 탈취장치
KR20080070517A (ko) 연기 제거용 집진 여과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연기의 필터링방법
KR20060080139A (ko) 타워 폭기 장치 및 그 방법
KR200403396Y1 (ko) 생물학적 처리수(미생물 제재)를 이용한 습식형 악취제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1209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