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26021A - 숙성 고목피를 이용한 악취 제거장치 - Google Patents

숙성 고목피를 이용한 악취 제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26021A
KR20060126021A KR1020050047593A KR20050047593A KR20060126021A KR 20060126021 A KR20060126021 A KR 20060126021A KR 1020050047593 A KR1020050047593 A KR 1020050047593A KR 20050047593 A KR20050047593 A KR 20050047593A KR 20060126021 A KR20060126021 A KR 200601260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dor
water
cleaning
aged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475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은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유신이엔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유신이엔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유신이엔티
Priority to KR10200500475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126021A/ko
Publication of KR200601260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2602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74General processes for purification of waste gases;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53/77Liquid phase processes
    • B01D53/78Liquid phase processes with gas-liquid contac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7/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 B01D47/02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by passing the gas or air or vapour over or through a liquid bath
    • B01D47/022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by passing the gas or air or vapour over or through a liquid bath by using a liquid curta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74General processes for purification of waste gases;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53/75Multi-step proc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74General processes for purification of waste gases;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53/84Biological proc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74General processes for purification of waste gases;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53/86Catalytic proc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5/00Catalysts
    • B01D2255/80Type of catalytic reaction
    • B01D2255/802Photocatalyt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7/00Components to be removed
    • B01D2257/90Odorous compounds not provided for in groups B01D2257/00 - B01D2257/708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Catalysts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 Exhaust Gas Treatment By Means Of Catalys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중에 포함된 악취를 제거하는 미생물이 서식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함은 물론, 미생물의 과다한 번식으로 인한 막힘을 방지할 수 있도록 일정시간 숙성시킨 고목피 담체를 바이오 필터의 내부에 충진하는 한편, 다단으로 형성되는 워터커튼에 악취가 포함된 공기를 통과시켜 수용성 악취 및 분진을 제거할 수 있는 숙성 고목피를 이용한 악취 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그 특징적인 구성은 취기에 포함된 수용성 물질 및 분진을 제거하는 세정부(100); 상기 취기에 포함된 오염 물질을 미생물로 정화시키는 바이오 필터부(200); 상기 취기에 포함된 오염물질을 활성산소로 정화시키는 활성산소 필터부(300) 및 상기 취기에 포함된 오염물질을 광촉매로 정화시키는 광촉매 필터부(400)를 포함하여서 된 것이다.
바이오 필터, 취기, 정화, 담체, 숙성 고목피, 활성산소, 광촉매

Description

숙성 고목피를 이용한 악취 제거장치{The offensive odor removal system which uses the maturing dead tree bark}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악취 제거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악취 제거장치를 나타낸 단면도.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악취 제거장치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블록 구성도.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악취 제거장치의 활성산소 필터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악취 제거장치의 광촉매 필터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악취 제거장치에 활성산소 필터부와 광촉매 필터부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블록 구성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 : 내경 d : 외경
100 : 세정부 101 : 세정조
102 : 유입관 103 : 세정펌프
104 : 분출관 105 : 원판
106 : 지지링 106a : 통공
107 : 워터 커튼 108 : 배기관
109 : 배수관 110 : 공급밸브
130 : 전기산화장치 131 : 바이패스 펌프
200 : 바이오 필터부 201 : 몸체
202 : 지지판 202a : 배기공
203 : 담체 204 : 순환펌프
205 : 분사관 206 : 커버
300 : 활성산소 필터부 400 : 광촉매 필터부
본 발명은 숙성 고목피를 이용한 악취 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공기중에 포함된 악취를 제거하는 미생물이 서식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함은 물론, 미생물의 과다한 번식으로 인한 막힘을 방지할 수 있도록 일정기간 숙성시킨 고목피를 바이오 필터의 내부에 충진하는 한편, 다단으로 형성되는 워터커튼에 악취가 포함된 공기를 통과시켜 수용성 악취 및 분진을 제거할 수 있는 숙성 고목피를 이용한 악취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산업시설 및 오폐수를 정화시키는 오.폐수 및 하수처리장, 분뇨처리장, 축산페수처리장(이하'취기원(臭氣源)'이라 한다)에서는 악취가 발생하게 되며, 상기 악취는 공기에 포함된 상태(이하 '취기(臭氣)'라 한다)로 대기중으로 비산되면서 공기를 오염시키게 된다.
상기 취기의 주요성분은 유기산, 알데히드류, 케톤류, 방향족 화합물 등이고, 대표적인 악취물질로는 황화수소, 메틸메르캅탄과 같은 황화계 악취물질과, 암모니아와 아민류와 같은 질소계 악취물질이다. 그러나, 취기에 포함된 성분은 발생장소의 특성에 따라 매우 다양하다.
지금까지 공기 속에 함유되어 있는 악취를 제거하기 위한 노력으로 다양한 종류의 물리적·화학적·생물학적 방법들이 사용되어 왔는바, 냉각 응축법, 촉매식 연소법, 물리적 흡착법 및 세정법 등이 그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들 중에서 물리·화학적 방법은 오염가스의 제거효율은 높지만 시설비, 재료비, 약품비 등과 같은 조업비가 많이 소요되고, 저농도의 폐가스를 배출 허용기준까지 저감시키는데 비경제적이고, 2차 오염물질(SOx, CO, NOx)이 발생되는 단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보다 환경친화적이면서 고효율 저비용의 청정기술을 개발하려는 노력이 계속되었으며, 그 결과로 미생물을 이용해 악취물질을 이산화탄소, 무취 혹은 취기가 적은 물질로 전환시키는 방법인 생물여과법(Biofiltration)이 대두되었다.
다른 악취 저감방법들과 비교하여 생물여과법은 낮은 투자비와 조업비, 낮은 에너지 소비율, 낮은 화학물질과 연료 사용량, 저렴한 유지 관리비와 함께 2차 오염물질의 발생이 거의 없는 재활용이 가능한 환경친화적인 청정기술이다.
그러나, 종래 바이오필터를 이용한 악취의 제거장치는 바이오필터의 조업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미생물이 증식하여 담체와 담체 사이의 빈공간이 미생물막으로 막히는 현상이 발생하게 되므로 바이오필터의 조업 초기에는 제거성능이 우수하나, 미생물의 과대증식에 의한 담체 기공이 막힘에 따라 공기의 편류현상에 의한 바이오필터 성능의 급격한 저하가 있게 되고, 높은 압력손실에 의한 동력 소비가 증가하고, 바이오필터에 형성된 미생물막을 탈리시키기 위하여 주기적인 담체의 교반/세정 및 교환작업이 필요하였다.
또한, 오염가스 처리를 위해 30초 내지 3분의 긴 체류시간을 요구하기 때문에, 장치 규모가 크고 넓은 설치 부지를 필요로 하는 등 많은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어, 효율적이며 안정적으로 악취를 처리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상기한 종래 바이오필터를 사용함으로써 발생되는 문제점들은 유기화합물의 농도가 높은 폐가스 처리시 더욱더 심각하게 대두되고 있다.
아울러, 종래기술에 의한 바이오필터를 이용한 오염가스 제거방법의 또 다른 문제점 중의 하나는 미생물 생육에 필요한 영양분 공급이다. 종래 바이오필터 사용시 영양분은 액상상태로 공급되기 때문에, 동절기 동결방지와 영양분의 석출 방지를 위한 온도조절, 침전방지를 위한 교반장치의 필요성, 장기 방치시 오염균에 의한 대기오염 문제 등이 발생되었다.
따라서, 장기간 조업시에도 상기의 문제점들이 발생되지 않는 오염가스 제거방법을 확립하여야 할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담체를 주기적으로 교반하는 교반기와 미생물이 증식할 수 있는 영양제 주입장치를 설치한 바이오필터가 개발되었으나, 이는 교반기를 설치 및 운전하기 위한 비용이 과다하게 소요되었음은 물론 영양제를 정기적으로 주입하여야 하므로 영양제가 정상적으로 공급되지 않을 경우에는 필터의 효율이 저하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취기원에서 발생되는 취기를 다단으로 형성된 워터커튼에 통과시키면서 수용성 악취 및 분진을 제거한 상태에서 숙성 고목피가 충진된 바이오필터를 통과시키면서 악취 및 유해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숙성 고목피를 이용한 악취 제거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적인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숙성 고목피를 이용한 악취 제거장치는 소정의 크기를 갖으며 내부에는 세정수가 충입된 세정조와, 취기원에서 발생되는 취기가 유입되도록 세정조의 하부 일측에 설치된 유입관과, 상기 세정조에 충입된 세정수를 펌핑하도록 세정조에 내장된 세정펌프와, 상기 세정펌프에 의해서 펌핑된 세정수가 분출되도록 세정조의 내측 중앙에 설치된 분출관과, 상기 분출관에서 분출되는 순환수가 하부로 낙하면서 워터 커튼이 형성되도록 소정 크기의 외경을 갖는 원판과, 상기 원판의 직경보다 작은 크기의 내경으로 이루어진 통공이 형성된 지지링과, 상기 워터 커튼을 통과하면서 수용성 물질 및 분진이 제거된 취기가 배출되도록 세정조의 상부 일측에 설치된 배기관으로 이루어진 세정부; 및 상기 배기관의 단부에 연결된 몸체 와, 상기 몸체의 내부에 순환수가 충입되도록 소정 높이 유지되게 설치되고 표면에는 다수개의 배기공이 형성된 지지판(GRETING)과, 상기 지지판의 상측에 충입되어 배기관을 통하여 공급되는 취기를 정화시키는 숙성 고목피로 형성된 담체와, 상기 담체에 수분이 공급되도록 몸체의 저면에 충입된 순환수를 펌핑하는 순환펌프와, 상기 순환펌프에 의해서 펌핑된 순환수가 담체에 공급되도록 몸체의 내측 상단부에 설치된 분사관과, 상기 몸체에 충입된 담체을 보호하도록 몸체의 상면에 설치된 커버으로 이루어진 바이오 필터부을 포함하여서 된 것이다.
이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악취 제거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악취 제거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악취 제거장치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고,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악취 제거장치의 활성산소 필터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며,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악취 제거장치의 광촉매 필터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고,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악취 제거장치에 활성산소 필터부와 광촉매 필터부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여기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다단의 워터커튼이 형성되는 세정부와, 숙성 고목피로 형성된 담체가 충입된 바이오 필터부와, 활성산소 필터부 및 광촉매 필터부로 크게 구분된다.
상기 세정부(100)에는 소정의 크기를 갖으며 내부에는 세정수가 충입된 세정조(101)가 마련되어 있고, 그 세정조(101)의 하부 일측에는 취기원에서 발생되는 취기가 유입되는 유입관(102)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세정조(101)의 내부에는 세정조(101)에 충입된 세정수를 펌핑하는 세정펌프(103)가 내장되어 있고, 상기 세정조(101)의 내측 중앙에는 세정펌프(103)에 의해서 펌핑된 세정수가 분출되는 분출관(104)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분출관(104)에는 순환수가 하부로 낙하면서 워터 커튼(107)이 형성되도록 소정 크기의 외경(d)을 갖는 원판(105)이 설치되어 있고, 그 원판(105)의 하부에는 원판(105)의 직경보다 작은 크기의 내경(D)으로 이루어진 통공(106a)이 형성된 지지링(106)이 설치되어 있되, 상기 원판(105)과 지지링(106)은 다단의 워터 커튼(107)이 형성될 수 있도록 서로 교차되게 복수개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세정부(100)에는 세정수에 전기를 공급하여 산화시킬 수 있는 전기산화장치(130)를 설치할 수도 있으며, 상기 전기산화장치(130)에는 세정수를 펌핑할 수 있는 바이패스 펌퍼(131)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세정조(101)의 상부 일측에는 워터 커튼(107)을 통과하면서 수용성 물질 및 분진이 제거된 취기가 배출되도록 배기관(108)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세정조(101)의 하부에는 세정조(101)에 충입된 세정수를 외부로 배수하는 배수관(109)이 설치되어 있고, 세정조(101)의 측면에는 세정수의 높이가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세정수를 공급하는 공급밸브(11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바이오 필터부(200)에는 배기관(108)의 단부에 연결되는 몸체(201)가 마련되어 있되, 상기 배기관(108)에는 취기를 흡입하기 위한 흡입팬(120)을 더 설치할 수도 있다.
상기 몸체(201)의 내부에는 순환수가 충입되도록 소정 높이 유지되게 지지판 (202)이 설치되어 있되, 그 지지판(202)에는 취기가 통과할 수 있도록 다수개의 배기공(202a)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지지판(202)의 상측에는 배기공(202a)을 통과한 취기를 정화시키기 위한 숙성 고목으로 형성된 담체(203)가 충입되어 있되, 상기 담체(203)는 숙성된 고목피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몸체(201)의 저면에는 담체(203)에 수분이 공급되도록 순환수를 펌핑하는 순환펌프(204)가 설치되어 있고, 몸체(201)의 내측 상단부에는 순환펌프(204)에 의해서 펌핑된 순환수를 담체(203)에 공급하기 위한 분사관(205)이 설치되어 있으며, 몸체(201)의 상면에는 담체(203)를 보호하기 위한 커버(206)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상기 세정조(101)에 설치된 유입관(102)에는 활성산소를 이용하여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활성산소 필터부(300) 또는 광촉매(예 : UV+산소)를 이용하여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광촉매 필터부(400)를 설치할 수도 있으며, 상기 활성산소 필터부(300)와 광촉매 필터부(400)를 동시에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세정조(101)에 설치된 세정펌프(103)가 동작되면 세정조(101)의 하부에 충입된 세정수가 펌핑되어 분출관(104)으로 분출된다.
상기 분출관(104)을 통하여 분출된 세정수는 원판(105)의 둘레면으로 낙하된다. 상기 원판(105)의 외경(d)은 지지링(106)에 형성된 통공(106a)의 내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세정수는 지지링(106)의 상면으로 공급되는 것으로서, 원판(105)과 지지링(106)의 사이에는 워터 커튼(107)이 형성되게 된다.
또한 지지링(106)의 상면으로 공급된 세정수는 그 하부에 설치된 또 다른 원판(105)으로 공급된다. 즉, 세정수는 원판(105)과 지지링(106)에 순차적으로 공급되면서 다단의 워터 커튼(107)을 형성한 후 세정조(101)의 하부로 모아지게 되고 그 세정수는 세정펌프(103)에 의해서 연속적으로 순환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취기원에서 발생된 취기가 유입관(102)으로 유입되면, 상기 취기는 원판(105)과 지지링(106)에 의해서 다단으로 형성된 워터 커튼(107)을 통과하게 되고, 이때 취기에 포함된 수용성 물질 및 분진은 세정수에 의해서 분리되는 것이고, 상기 수용성 물질 및 분진이 제거된 취기는 세정조(101)의 상부 일측에 설치된 배기관(108)을 통하여 배기된다.
이때, 세정부(100) 하단의 세정수는 바이패스 펌프(131)에 의해서 펌딩되어 전기산화장치(130)를 통과하게 되는 것이며, 상기 전기산화장치(130)를 통과하는 세정수의 물분자는 H+와 OH- 라디카 형태로 분리하게 되고, 분리된 OH- 라디칼은 매우 불안정하므로 이를 다시 세정수에 유입시켜서 순환하게 되면 공기중의 취기는 매우 빠른 속도로 분해되어 후단의 바이오 필터부의 부하를 줄이고 효율을 높일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 세정수가 오염된 경우에는 세정조(101)의 하부에 설치된 배수관(109)을 통하여 배수시키는 것이며, 세정조(101)에 충입된 세정수는 그 높이에 따라서 공급밸브(110)가 작동되므로 일정하게 유지되는 것이다.
상기 배기관(108)을 통하여 배기되는 취기는 흡입팬(120)의 흡입력에 의해서 바이오 필터부(200)에 마련된 몸체(201)의 하부로 공급되는 것이다.
상기 몸체(201)로 공급된 취기는 지지판(202)에 형성된 다수개의 배기공(202a)을 통하여 상승하게 되는 것으로서, 상기 취기는 몸체(201)에 충입된 담체(203)를 통과하게 된다.
상기 담체(203)는 고목피를 숙성시킨 것으로서, 공기가 이동할 수 있는 공간이 충분히 형성되어 있으므로 장기간 사용하여도 미생물의 증식으로 인한 배기 불량이 방지되는 한편, 미생물은 숙성 고목피로부터 영양분을 공급받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몸체(201)의 저면에 설치된 순환펌프(204)를 작동시키면 몸체(201)의 저면에 충입된 순환수가 펌핑되어 몸체(201)의 내측 상단부에 설치된 분사관(205)을 통하여 분사되므로 담체(203)에는 미생물이 서식할 수 있는 수분이 공급되는 것이다.
따라서, 지지판(202)에 형성된 배기공(202a)을 통과한 취기는 몸체(201)에 충입된 담체(203)를 통가하면서 정화된 후 대기중으로 방출되는 것이며, 이때 몸체(201)의 상면에는 담체(203)를 보호하기 위한 커버(206)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상기 담체(203)를 통과하면서 정화된 공기는 커버(206)의 측면을 통하여 배기된다.
또는, 상기 취기원에서 발생된 취기를 다단으로 정화할 수 있도록 유입관(102)에 활성산소 필터부(300)를 설치할 수도 있다. 상기 활성산소 필터부(300)는 도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전압이 인가되는 튜브(301)가 마련되어 있는 것으로서, 상기 튜브(301)에 고전압을 인가하면 대기의 산소를 활성화시키게 되는 것이며, 튜브(301)의 개수는 대기의 흐름 비율 및 오염물질의 집중도에 따라서 변경 가능하 다.
즉, 안정된 홈 궤도를 이루는 분자가 튜브(301)에 고전압을 인가하여 코로나 방전이 이루어진 영역을 통과하면서 활성산소에 의해서 외곽전자가 방출되어 불안정 궤도를 이루는 고도의 위치 에너지를 가진 방출된 분자와 산소 이온으로 변화되므로 활성산소 필터부(300)의 출력측에는 정화된 공기가 배출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활성산소 필터부(300)는 유지, 먼지 또는 독성가스와 같은 미립자로 이루어진 취기를 효과적으로 정화 할 수 있는 것으로서, 활성산소는 취기와 혼합된 후 취기에 포함된 오염물질, 이산화탄소, 유생성 혼합물을 산화시키면서 정화하게 되는 것이다.
또는, 상기 취기원에서 발생된 취기를 다단으로 정화할 수 있도록 유입관(102)에 광촉매 필터부(400)를 설치할 수도 있다. 상기 광촉매 필터부(400)는 도5에 나타낸 바와 같이 UV광선이 발생되는 촉매봉(401)이 마련되어 있는 것으로서, 상기 촉매봉(401)에 전원을 인가하면 대기의 산소와 반응하여 오염물을 산화시키는 촉매 역할을 하게 되는 것이다.
즉, 오염된 소진 공기(취기)가 전원이 공급된 촉매봉(401)과 산소에 의해서 이루어진 촉매 영역을 통과하면서 오염물질은 촉매에 의한 산화작용이 발생되므로 광촉매 필터부(400)의 출력측에는 정화된 공기가 배출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활성산소 필터부(300)와 광촉매 필터부(400)는 취기의 종류에 따라서 어느 하나를 설치하거나 동시에 설치하는 것도 가능한 것이며, 이러한 활성산소 필터부(300)와 광촉매 필터부(400) 및 숙성 고목피로 이루어진 담체(203) 가 마련된 바이오 필터부(200)를 이용하여 각종 오염물질을 정화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취기원에서 발생되는 취기에 포함된 수용성 오염물질 및 분진을 제거한 후 숙성 고목피로 이루어진 담체에서 취기를 정화하게 되므로 미생물의 증식으로 인한 배기불량이 방지됨과 동시에 미생물이 서식할 수 있는 영양분을 공급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취기를 정화할 수 있게되는 특유의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취기원에서 발생되는 오염물질의 종류에 따라서 활성산소 필터부 및 광촉매 필터부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되므로 오염물질을 효과적으로 정화하여 대기오염을 최소화 할 수 있게 되는 특유의 효과가 있다.

Claims (8)

  1. 소정의 크기를 갖으며 내부에는 세정수가 충입된 세정조(101)와, 취기원에서 발생되는 취기가 유입되도록 세정조(101)의 하부 일측에 설치된 유입관(102)과, 상기 세정조(101)에 충입된 세정수를 펌핑하도록 세정조(101)에 내장된 세정펌프(103)와, 상기 세정펌프(103)에 의해서 펌핑된 세정수가 분출되도록 세정조(101)의 내측 중앙에 설치된 분출관(104)과, 상기 분출관(104)에서 분출되는 순환수가 하부로 낙하면서 워터 커튼(107)이 형성되도록 소정 크기의 외경(d)을 갖는 원판(105)과, 상기 원판(105)의 직경보다 작은 크기의 내경(D)으로 이루어진 통공(106a)이 형성된 지지링(106)과, 상기 워터 커튼(107)을 통과하면서 수용성 물질 및 분진이 제거된 취기가 배출되도록 세정조(101)의 상부 일측에 설치된 배기관(108)으로 이루어진 세정부(100); 및
    상기 배기관(108)의 단부에 연결된 몸체(201)와, 상기 몸체(201)의 내부에 순환수가 충입되도록 소정 높이 유지되게 설치되고 표면에는 다수개의 배기공(202a)이 형성된 지지판(202)과, 상기 지지판(202)의 상측에 충입되어 배기관(108)을 통하여 공급되는 취기를 정화시키도록 숙성 고목피로 형성된 담체(203)와, 상기 담체(203)에 수분이 공급되도록 몸체(201)의 저면에 충입된 순환수를 펌핑하는 순환펌프(204)와, 상기 순환펌프(204)에 의해서 펌핑된 순환수가 담체(203)에 공급되도록 몸체(201)의 내측 상단부에 설치된 분사관(205)과, 상기 몸체(201)에 충입된 담체를 보호하도록 몸체(201)의 상면에 설치된 커버(206)로 이루어진 바이오 필터 부(200)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숙성 고목피를 이용한 악취 제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부(100)에는 다단의 워터 커튼(107)이 형성되도록 복수개의 원판(105)과 지지링(106)이 서로 교차되게 순차적으로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숙성 고목피를 이용한 악취 제거장치.
  3. 제1항 및 제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조(101)에 충입된 세정수를 외부로 배수하는 배수관(109)과, 상기 세정수의 높이가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세정수를 공급하는 공급밸브(110)가 더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숙성 고목피를 이용한 악취 제거장치.
  4. 제1항 및 제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부(100)는 세정수에 전기를 공급하여 산화시킬 수 있도록 세정조(101)에 배관을 매개로 연결된 전기산화장치(130)와, 상기 전기산화장치(130)로 세정수를 펌핑하는 바이패스 펌프(131)가 더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숙성 고목피를 이용한 악취제거장치.
  5. 제1항 및 제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담체(203)는 숙성된 침엽수 고목피임을 특징으로 하는 숙성 고목피를 이용한 악취 제거장치.
  6. 제1항 및 제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조(101)의 유입관(102)에 는 활성산소를 이용하여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활성산소 필터부(300)가 더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숙성 고목피를 이용한 악취 제거장치.
  7. 제1항 및 제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조(101)의 유입관(102)에는 광촉매를 이용하여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광촉매 필터부(400)가 더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숙성 고목피를 이용한 악취 제거장치.
  8. 제1항 및 제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조(101)의 유입관(102)에는 활성산소를 이용하여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활성산소 필터부(300)와, 광촉매를 이용하여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광촉매 필터부(400)가 각각 더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숙성 고목피를 이용한 악취 제거장치.
KR1020050047593A 2005-06-03 2005-06-03 숙성 고목피를 이용한 악취 제거장치 KR2006012602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7593A KR20060126021A (ko) 2005-06-03 2005-06-03 숙성 고목피를 이용한 악취 제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7593A KR20060126021A (ko) 2005-06-03 2005-06-03 숙성 고목피를 이용한 악취 제거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5938U Division KR200392763Y1 (ko) 2005-06-03 2005-06-03 숙성 고목피를 이용한 악취 제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26021A true KR20060126021A (ko) 2006-12-07

Family

ID=377300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47593A KR20060126021A (ko) 2005-06-03 2005-06-03 숙성 고목피를 이용한 악취 제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126021A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498477A (zh) * 2015-12-09 2016-04-20 上海市政工程设计研究总院(集团)有限公司 一种适用于高浓度臭气处理的方法
CN107497573A (zh) * 2017-08-17 2017-12-22 荆门市格林美新材料有限公司 一种废电池破碎装置
CN108261920A (zh) * 2018-02-25 2018-07-10 嘉兴市双桥印染有限公司 一种废气处理工艺
CN108786396A (zh) * 2018-06-12 2018-11-13 福州光启环保科技有限公司 用于环保卫生间大便烘干系统的臭气处理方法
CN109381979A (zh) * 2017-08-07 2019-02-26 玛纳斯县舜达化纤有限责任公司 一种具有加热回收功能的废气处理装置
CN111001241A (zh) * 2019-12-31 2020-04-14 佛山市三水秉发金属制品有限公司 一种有机废气治理设备及治理方法
CN111282427A (zh) * 2020-04-20 2020-06-16 吴祖荣 一种无填料的烟气脱硫除尘系统
CN111495157A (zh) * 2020-05-11 2020-08-07 张应超 一种烟气大面积接触高效净化装置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498477A (zh) * 2015-12-09 2016-04-20 上海市政工程设计研究总院(集团)有限公司 一种适用于高浓度臭气处理的方法
CN105498477B (zh) * 2015-12-09 2018-04-10 上海市政工程设计研究总院(集团)有限公司 一种适用于高浓度臭气处理的方法
CN109381979A (zh) * 2017-08-07 2019-02-26 玛纳斯县舜达化纤有限责任公司 一种具有加热回收功能的废气处理装置
CN107497573A (zh) * 2017-08-17 2017-12-22 荆门市格林美新材料有限公司 一种废电池破碎装置
CN107497573B (zh) * 2017-08-17 2019-07-26 荆门市格林美新材料有限公司 一种废电池破碎装置
CN108261920A (zh) * 2018-02-25 2018-07-10 嘉兴市双桥印染有限公司 一种废气处理工艺
CN108786396A (zh) * 2018-06-12 2018-11-13 福州光启环保科技有限公司 用于环保卫生间大便烘干系统的臭气处理方法
CN111001241A (zh) * 2019-12-31 2020-04-14 佛山市三水秉发金属制品有限公司 一种有机废气治理设备及治理方法
CN111282427A (zh) * 2020-04-20 2020-06-16 吴祖荣 一种无填料的烟气脱硫除尘系统
CN111495157A (zh) * 2020-05-11 2020-08-07 张应超 一种烟气大面积接触高效净化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60126021A (ko) 숙성 고목피를 이용한 악취 제거장치
KR101850956B1 (ko) 탈취장치
EA036807B1 (ru) Система и способ очистки отходящих газов от органических соединений
KR101738143B1 (ko) 연속식 악취가스 탈취장치
KR101588829B1 (ko) 산성 및 알칼리성 악취를 동시 정화하는 약액세정식 단일탑을 이용한 탈취시스템
KR101056064B1 (ko) 고농도 악취와 휘발성 유기화합물 제거를 위한 스크러버와 바이오필터 일체형 탈취장치
KR101379360B1 (ko) 악취 제거 장치
KR102461921B1 (ko) 악취 물질 처리를 위한 버블플레이트 및 액상 전용 다단형 탈취탑 장치
KR100406496B1 (ko) 바이오필터와 활성탄 및 활성탄 섬유를 이용한 악취 및VOCs의 처리시스템
JP2008036513A (ja) ガス処理ユニットおよびガス処理システム
KR101549201B1 (ko) 바이오필터를 이용한 탈취시스템
KR102188763B1 (ko) 약액과 오존수를 이용한 악취제거장치
KR100288474B1 (ko) 무기성 악취와 휘발성 유기화합물이 혼합된 공기를 동시에 제거하는 미생물 담체충전형 모듈러 생물여과장치
KR100818763B1 (ko) 폭기방법의 변경과 상치형 바이오필터박스를 이용한 악취제거장치
KR200392763Y1 (ko) 숙성 고목피를 이용한 악취 제거장치
KR101905842B1 (ko) 하수관거 탈취장치
KR100899877B1 (ko) 탈취장치
KR20020073972A (ko) 액상촉매와 바이오필터를 이용한 황화수소와 VOCs의처리시스템
KR100834308B1 (ko) 로터리식 바이오필터 탈취기
KR20100048357A (ko) 공기정화장치
KR20230111859A (ko) 미생물을 이용한 탈취시스템
KR101540392B1 (ko) 유효미생물을 이용한 수용성 악취 저감장치
KR102031066B1 (ko) 배양조를 이용한 탈취시스템
CN210645680U (zh) 光氧催化设备
KR101383917B1 (ko) 나무 칩을 이용한 탈취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