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99826A - Air vent for vehicle - Google Patents

Air vent for vehic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99826A
KR20210099826A KR1020200013661A KR20200013661A KR20210099826A KR 20210099826 A KR20210099826 A KR 20210099826A KR 1020200013661 A KR1020200013661 A KR 1020200013661A KR 20200013661 A KR20200013661 A KR 20200013661A KR 20210099826 A KR20210099826 A KR 202100998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co
assembly
main wing
air vent
rub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366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324047B1 (en
Inventor
김경노
최윤호
Original Assignee
일리노이즈 툴 워크스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일리노이즈 툴 워크스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일리노이즈 툴 워크스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to KR10202000136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4047B1/en
Publication of KR202100998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9982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40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404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4Nozzles; Air-diffusers
    • B60H1/3414Nozzles; Air-diffuser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air stream direction
    • B60H1/3428Nozzles; Air-diffuser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air stream direction using a set of pivoting shutters and a pivoting fram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65Control members, e.g. levers or knob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1/00Controlling members, e.g. knobs or handles; Assemblies or arrangements thereof; Indicating position of controlling members
    • G05G1/04Controlling members for hand actuation by pivoting movement, e.g. le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4Nozzles; Air-diffusers
    • B60H2001/3492Manufacturing; Assembl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ir vent for a vehicle, which comprises: an air vent module; a bezel having a discharge opening unit where air discharged from the air vent module is discharged and provided to an outer circumference of the air vent module; a deco supporting reinforcement unit inserted into a fastening space unit formed on a front side of a first main wing provided to the air vent module and coupled to the first main wing; and a deco module unit, of which one end part has a first deco unit fixated to one end side of the bezel and the other end part has a second deco unit fixated to the other end side of the bezel, supported by and coupled to the deco supporting reinforcement unit by a fixing member while the other end part of the first deco unit and the one end part of the second deco unit are overlapped with each other.

Description

차량용 에어벤트{AIR VENT FOR VEHICLE}Air vent for vehicle {AIR VENT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에어벤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강도가 보강되고 유동이 방지되도록 이루어진 데코 모듈부가 구비된 차량용 에어벤트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 vent for a vehicl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ir vent for a vehicle equipped with a deco module unit configured to reinforce strength and prevent flow.

자동차에 구비되는 에어벤트는 주로 냉난방장치에 적용하여 에어컨이나 히터로부터 발생되는 냉난방 기류를 차실 내부로 유입하는 것으로, 기류가 흐르는 덕트의 차실방향 단부에 설치된다.Air vents provided in automobiles are mainly applied to heating and cooling devices to introduce heating and cooling airflow generated from air conditioners or heaters into the interior of the vehicle, and are installed at the end of the duct through which the airflow flows.

일반적으로, 에어벤트는 몸체를 형성하는 케이싱과 케이싱 내부에 수평방향으로 힌지결합되어 송풍 방향을 상하로 변경하는 제1 풍향조절판 그리고 케이싱의 내부에 수직방향으로 힌지결합되며, 제1 풍향조절판의 후부에 구비되며 송풍 방향을 좌우로 변경하는 제2 풍향조절판으로 이루어진다.In general, the air vent is hinged in a horizontal direction inside the casing and the casing forming the body to change the blowing direction up and down, and is hinged vertically inside the casing and the first wind direction control plate, the rear of the first wind direction control plate It is provided in the second wind direction control plate for changing the blowing direction left and right.

이와 같은 제1 풍향조절판과 제2 풍향조절판은 노브 조립체에 의해 송풍 방향이 선택적으로 조절될 수 있다.The blowing direction of the first wind direction regulating plate and the second wind direction regulating plate may be selectively adjusted by the knob assembly.

그러나 종래의 차량용 에어벤트에는 제1 풍향조절판의 전부측의 외곽면을 가리기 위한 별도의 구성품이 구비되어 있지 않아, 제1 풍향조절판의 전부측의 외곽면이 외부로 노출되는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제1 풍향조절판을 상, 하 방향으로 조절하는 과정에서 제1 풍향조절판의 외곽면은 더 넓게 외부로 노출될 수 있기에, 미관상 좋지 못한 문제가 있다.However, since the conventional air vent for a vehicle does not include a separate component for covering the outer surface of the front side of the first wind direction control plat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outer surface of the front side of the first wind direction control panel is exposed to the outside. In this case, since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wind direction control panel may be exposed to the outside more widely in the process of adjusting the first wind direction control panel in the up and down directions, there is a problem in terms of aesthetics.

선행문헌 1 : 한국등록특허 제10-1878168호(2018.07.09)Prior Document 1: Korean Patent No. 10-1878168 (2018.07.09)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강도가 보강되고 유동이 방지되도록 이루어진 데코 모듈부가 구비된 차량용 에어벤트를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is to provide an air vent for a vehicle equipped with a deco module unit configured to be reinforced in strength and prevent flow.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에어벤트 모듈; 상기 에어벤트 모듈로부터 배출되는 공기가 토출되는 토출 개방부가 형성되며, 상기 에어벤트 모듈의 외측 둘레에 구비되는 베젤; 상기 에어벤트 모듈에 구비된 제1 메인 윙의 전부측에 형성된 체결 공간부에 삽입되며, 상기 제1 메인 윙과 결합되는 데코 지지 보강부; 및 일단부가 상기 베젤의 일단측에 고정되는 제1 데코부와, 타단부가 상기 베젤의 타단측에 고정되는 제2 데코부를 가지며, 상기 제1 데코부의 타단부와 상기 제2 데코부의 일단부는 서로 겹쳐진 상태에서 고정부재에 의해 상기 데코 지지 보강부에 지지 결합되는 데코 모듈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에어벤트를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technical problem,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air vent module; a bezel having a discharge opening through which air discharged from the air vent module is discharged and provided on an outer periphery of the air vent module; a deco support reinforcement part inserted into the fastening space formed on the front side of the first main wing provided in the air vent module, and coupled to the first main wing; and a first decorating part having one end fixed to one end of the bezel, and a second decorating part having the other end fixed to the other end of the bezel, and the other end of the first decorating part and one end of the second decorating part are mutually exclusive. It provides an air vent for a vehicle including a deco module unit supported and coupled to the deco support reinforcement unit by a fixing member in an overlapping state.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데코부는, 상기 제1 메인 윙의 전부측의 외곽면을 가리도록 형성된 제1 데코 바디부; 상기 제1 데코 바디부의 일단부에 구비되며, 상기 베젤의 일단측에 형성된 제1 체결홀에 삽입 결합되는 제1 체결부재; 및 상기 제1 데코 바디부의 타단부에 구비되며, 제1 조립홀이 형성된 제1 조립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데코부는, 상기 제1 메인 윙의 전부측의 외곽면을 가리도록 형성된 제2 데코 바디부; 상기 제2 데코 바디부의 타단부에 구비되며, 상기 베젤의 타단측에 형성된 제2 체결홀에 삽입 결합되는 제2 체결부재; 및 상기 제2 데코 바디부의 일단부에 구비되며, 제2 조립홀이 형성된 제2 조립부를 포함하되,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제1 조립홀과 제2 조립홀에 관통 삽입된 후, 상기 데코 지지 보강부에 형성된 고정홀에 나사 결합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deco portion, a first deco body portion formed to cover the outer surface of the front side of the first main wing; a first fastening member provided at one end of the first deco body and inserted and coupled to a first fastening hole formed at one end of the bezel; and a first assembling unit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first deco body portion and having a first assembling hole, wherein the second deco unit is a second deco formed to cover the outer surface of the front side of the first main wing. body part; a second fastening member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second deco body and inserted and coupled to a second fastening hole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bezel; and a second assembly portion provided at one end of the second deco body portion and having a second assembling hole, wherein the fixing member is inserted through the first assembling hole and the second assembling hole, and then the deco support is reinforced It may be screw-coupled to the fixing hole formed in the part.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조립부의 상면에는 조립 돌기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2 조립부의 하면에는 상기 조립 돌기부가 삽입되는 조립 돌기 삽입홈이 형성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assembly protrusion may be provid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first assembly part, and an assembly projection insertion groove into which the assembly projection is inserted may be formed on a lower surface of the second assembly part.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데코 지지 보강부는, 상기 고정홀이 형성되되, 상면에는 상기 제1 조립부의 하면이 안착되는 안착 지지면이 형성된 보강 몸체부; 상기 보강 몸체부의 일측에 연결되되, 상기 안착 지지면과 단턱을 이루며 상기 제1 데코 바디부의 내측면을 지지하는 제1 데코 지지부; 및 상기 보강 몸체부의 타측에 연결되되, 상기 안착 지지면과 단턱을 이루며 상기 제2 데코 바디부의 내측면을 지지하는 제2 데코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데코 지지부에는 상기 제1 메인 윙에 구비된 제1 힌지축이 삽입되는 제1 힌지축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2 데코 지지부에는 상기 제1 메인 윙에 구비된 제2 힌지축이 삽입되는 제2 힌지축 삽입홈이 형성되어, 상기 제1 메인 윙은 상기 데코 지지 보강부로부터 독립적으로 회전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co support reinforcement portion, the fixing hole is formed, the upper surface of the reinforcing body portion formed with a seating support surface on which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assembly part is seated; a first deco support portion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reinforcing body portion, forming a step with the seating support surface and supporting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deco body portion; And it is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reinforcing body part, and forms a step with the seating support surface and includes a second decor support part for supporting the inner surface of the second decor body part, the first decor support part is provided on the first main wing A first hinge shaft insertion groove into which the first hinge shaft is inserted is formed, and a second hinge shaft insertion groove into which a second hinge shaft provided in the first main wing is inserted is formed in the second decorative support part, The first main wing may be rotated independently from the deco support reinforcement.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데코 모듈부의 내측부는 상기 제1 메인 윙의 전부측 외곽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에어벤트 모듈에 구비된 노브 조립체의 삽입 공간부 내에 배치되는 상기 데코 모듈부의 외측부는 상기 노브 조립체의 내측면과 이격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terior portion of the decoration module portion is made to be spaced apart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front side of the first main wing, the decoration module is arranged in the insertion space of the knob assembly provided in the air vent module The outer portion of the portion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knob assembly.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노브 조립체의 좌, 우 이동시, 사용자가 요구하는 위치에 상기 노브 조립체가 고정되도록 하는 제1 작동 제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작동 제어부는, 상기 노브 조립체의 좌, 우 이동을 안내하는 상기 제1 메인 윙에 형성된 가이드홀에 삽입되어 상기 가이드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되는 부시 러버; 및 상기 부시 러버에 형성된 핀 삽입홀에 삽입되며, 상기 노브 조립체의 이동시, 상기 부시 러버를 이동시키는 가이드 핀을 가지며, 상기 부시 러버는 상기 가이드홀의 길이 방향으로 장변부가 형성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부시 러버의 외측면은 상기 가이드홀에 맞닿도록 이루어지되, 미리 정해진 힘 이상으로 상기 노브 조립체를 이동시킬 시, 상기 부시 러버는 탄성 압축된 상태에서 이동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knob assembly is moved left and right, it further comprises a first operation control unit for fixing the knob assembly to a position required by a user, wherein the first operation control unit, the knob assembly a bush rubber inserted into a guide hole formed in the first main wing for guiding the left and right movement of the bushing and mov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guide hole; and a guide pin inserted into the pin insertion hole formed in the bush rubber, and configured to move the bush rubber when the knob assembly is moved, wherein the bush rubber has a long side portion formed in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guide hole, the bush rubber The outer surface of the doedoe is made to contact the guide hole, and when the knob assembly is moved by a predetermined force or more, the bush rubber may be moved in an elastically compressed state.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노브 조립체의 상, 하 이동시, 사용자가 요구하는 위치에 상기 노브 조립체가 고정되도록 하는 제2 작동 제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작동 제어부는, 상기 제1 메인 윙의 상면에 형성된 캡 고정홈에 테두리가 삽입되어 지지 고정되는 캡 러버; 및 상기 캡 러버의 상부 중앙에 상기 캡 러버의 길이 방향을 따라 구비되는 돌기 러버를 갖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캡 고정홈에는 상기 캡 러버의 측면을 가압하여 고정시키는 가압 고정부가 형성되고, 상기 돌기 러버는 상기 제1 윙 노브의 내측면과 접촉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knob assembly moves up and down, it further comprises a second operation control unit for fixing the knob assembly to a position required by a user, wherein the second operation control unit, the first a cap rubber having a rim inserted in the cap fixing groov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wing to be supported and fixed; and a protrusion rubber provid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ap rubber at an upper center of the cap rubber, and a pressing fixing part for pressing and fixing a side surface of the cap rubber is formed in the cap fixing groove, the protrusion rubber includes It may be made to contact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wing knob.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에어벤트의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effect of the air vent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본 발명에 따르면, 베젤에 형성된 토출 개방부를 가로지르며 제1 메인 윙의 전부측의 외곽면을 가리는 데코 모듈부는 제1 데코부와 제2 데코부가 결합된 형태를 이루기에, 데코 모듈부는 미리 정해진 강도 이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decor module part that crosses the discharge opening formed in the bezel and covers the outer surface of the front side of the first main wing forms a combined form of the first decor part and the second decor part, the decor module part has a predetermined strength more can be done.

즉, 데코 모듈부는 제1 데코부와 제2 데코부가 서로 겹쳐진 상태에서 고정부재에 의해 데코 지지 보강부에 결합됨에 따라 데코 모듈부의 강도는 보강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데코 모듈부는 제1 데코부와 제2 데코부가 각각 분리된 구성이 아니라, 일체를 이루는 구성으로 데코 모듈부의 강도는 보강될 수 있다.That is, as the deco module unit is coupled to the deco support reinforcing unit by a fixing member in a state where the first deco unit and the second deco unit overlap each other, the strength of the deco module unit may be reinforced. Such a decoration module unit may be configured to form an integral structure, rather than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first decoration unit and the second decoration unit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and thus the strength of the decoration module unit may be reinforced.

예로, 플라스틱 수지로 데코 모듈부를 제조하는 경우, 일정 이상의 길이를 갖는 토출 개방부를 하나의 데코부로 연결할 시, 해당 데코부는 강도에 취약한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은 경우, 해당 데코부는 에어벤트 모듈로부터 토출되는 바람에 의한 유동이 발생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경우, 해당 데코부에는 별도의 보강부재를 더 사용해야하는 문제가 있다.For example, in the case of manufacturing the decoration module part using a plastic resin, when a discharge opening having a length of more than a certain length is connected to one decoration part, the decoration part has a weak strength. In this case, the corresponding decor part may be flowed by the wind discharged from the air vent module. Therefore, in the above case, there is a problem in that a separate reinforcing member must be further used for the decorative part.

이와 달리, 본 발명에 따른 데코 모듈부는 제1 데코부와 제2 데코부가 서로 연결되어 하나의 일체형의 데코부를 이루는 것으로, 미리 정해진 길이 내에서의 데코 모듈부의 강도는 강화될 수 있다. 이에, 에어벤트 모듈로부터 토출되는 바람에 의한 데코 모듈부의 유동 발생은 방지될 수 있다.Contrary to this, the decoration module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ms a single integral decoration unit by connecting the first decoration unit and the second decoration unit to each other, and the strength of the decoration module unit within a predetermined length may be strengthened.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flow in the decor module unit due to the wind discharged from the air vent module.

본 발명에 따르면, 노브 조립체에는 제1 작동 제어부와 제2 작동 제어부가 구비된다. 이러한 제1 작동 제어부와 제2 작동 제어부는 탄성 재질의 러버가 구비됨에 따라 사용자가 노브 조립체를 조정함에 있어, 정밀 제어가 이루어질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knob assembly is provided with a first operation control and a second operation control. As the first operation control unit and the second operation control unit are provided with an elastic rubber, precise control can be achieved when the user adjusts the knob assembly.

즉, 사용자는 사용자가 요구하는 위치로 노브 조립체를 정확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풍향을 조절하는 노브 조립체의 작동성은 향상될 수 있다.That is, the user can precisely move the knob assembly to a position required by the user. Accordingly, the operability of the knob assembly for adjusting the wind direction can be improved.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ffects, and include all effects that can be inferred from the configuration of the invention describ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r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에어벤트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에어벤트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 메인 윙, 데코 지지 보강부 및 데코 모듈부, 노브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 메인 윙, 데코 지지 보강부 및 데코 모듈부, 노브 조립체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데코 모듈부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데코 지지 보강부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 메인 윙과 노브 조립체의 개략적인 단면 예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노브 조립체가 상부로 회전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 예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 작동 제어부와 제2 작동 제어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 작동 제어부와 제2 작동 제어부의 조립 상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air vent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 air vent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first main wing, a deco support reinforcement and a deco module unit, and a knob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ombined perspective view of the first main wing, the deco support reinforcing part and the deco module part, and the knob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erspective view of a decor module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deco support reinforce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 first main wing and knob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knob assembly is rotated upwar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first operation control unit and a second operation control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n assembly state diagram of a first operation control unit and a second operation control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several different forms, and thus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And in order to clear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rawings, parts irrelevant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similar reference numerals are attached to similar par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connected" with another part, this includes not only the case where it is "directly connected" but also the case where it is "indirectly connected" with another member interposed therebetween. . In addition, when a part "includes" a certain component, this means that other components may be further provided without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otherwise stated.

본 발명에서 상부와 하부는 대상부재의 위 또는 아래에 위치함을 의미하는 것으로, 반드시 중력방향을 기준으로 상부 또는 하부에 위치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and lower parts mean positioned above or below the target member, and do not necessarily mean positioned at the upper or lower part with respect to the direction of gravity.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에어벤트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에어벤트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 메인 윙, 데코 지지 보강부 및 데코 모듈부, 노브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 메인 윙, 데코 지지 보강부 및 데코 모듈부, 노브 조립체의 결합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데코 모듈부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데코 지지 보강부의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air vent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 air vent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The main wing, the deco support reinforcement part and the deco module part,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knob assembly, Figure 4 is a combined perspective view of the first main wing, the deco support reinforcement part and the deco module part, the knob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5 is a perspective view of a deco module pa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s a perspective view of a deco support reinforcement pa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차량용 에어벤트(1000)는 에어벤트 모듈(100), 베젤(200), 데코 지지 보강부(300) 및 데코 모듈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1 to 6 , the vehicle air vent 1000 may include an air vent module 100 , a bezel 200 , a deco support reinforcement unit 300 , and a deco module unit 400 .

여기서 에어벤트 모듈(100)은 케이싱(110), 제1 윙 조립체(120), 제2 윙 조립체(130) 및 노브 조립체(140)를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air vent module 100 may include a casing 110 , a first wing assembly 120 , a second wing assembly 130 , and a knob assembly 140 .

케이싱(110)은 차량용 에어벤트(1000)의 몸체를 이루며 송풍 유로를 형성하도록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케이싱(110)의 내부에는 제1 윙 조립체(120)와 제2 윙 조립체(130)가 구비되어, 송풍 유로를 통해 차량의 내부에 배출되는 공기는 제1 윙 조립체(120)와 제2 윙 조립체(130)에 의해 송풍 방향이 조절될 수 있다.The casing 110 forms a body of the air vent 1000 for a vehicle and forms a blow passage. The first wing assembly 120 and the second wing assembly 130 are provided inside the casing 110, and the air discharged to the inside of the vehicle through the blowing passage is the first wing assembly 120 and the second wing assembly. The blowing direction may be adjusted by the wing assembly 130 .

제1 윙 조립체(120)는 제1 메인 윙(121)과 제1 보조 윙(129)을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wing assembly 120 may include a first main wing 121 and a first auxiliary wing 129 .

이러한 제1 윙 조립체(120)는 케이싱(110)의 내부에 구비되되, 수평 방향으로 배치된다.The first wing assembly 120 is provided inside the casing 110 , and is disposed in a horizontal direction.

여기서 제1 보조 윙(129)은 제1 메인 윙(121)으로부터 이격 배치되며, 제1 메인 윙(121)의 작동에 따라 제1 메인 윙(121)과 함께 작동되도록 이루어진다. 즉, 제1 메인 윙(121)과 제1 보조 윙(129)은 제1 링크부재에 의해 연결되어, 제1 메인 윙(121)의 작동에 따라 제1 보조 윙(129)은 함께 회전될 수 있다.Here, the first auxiliary wing 129 is spaced apart from the first main wing 121 and is configured to operate together with the first main wing 121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first main wing 121 . That is, the first main wing 121 and the first auxiliary wing 129 are connected by a first link member, and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first main wing 121 , the first auxiliary wing 129 can be rotated together. there is.

그리고 제1 메인 윙(121)의 양단부에는 제1 회전축(122)이 구비되어, 제1 메인 윙(121)은 제1 회전축(122)을 기준으로 수평 방향에 대해 상, 하로 회전될 수 있다.In addition, first rotation shafts 122 are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first main wing 121 , so that the first main wing 121 can be rotated up and down in a horizont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first rotation shaft 122 .

이와 같은 제1 윙 조립체(120)는 제1 회전축(122)을 기준으로 상, 하로 회전 가능하도록 이루어져, 송풍 유로로부터 배출되는 공기의 상, 하 방향을 조정하게 된다.The first wing assembly 120 is configured to be rotatable up and down with respect to the first rotation shaft 122 , thereby adjusting the up and down directions of the air discharged from the blowing passage.

한편, 제2 윙 조립체(130)는 제2 메인 윙(131)과 제2 보조 윙(139)을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second wing assembly 130 may include a second main wing 131 and a second auxiliary wing 139 .

이러한 제2 윙 조립체(130)는 케이싱(110)의 내부에 구비되되, 수직 방향으로 배치된다. 여기서 제2 윙 조립체(130)는 제1 윙 조립체(120)의 후부에 구비된다.The second wing assembly 130 is provided inside the casing 110, and is disposed in a vertical direction. Here, the second wing assembly 130 is provided at the rear of the first wing assembly 120 .

그리고 제2 보조 윙(139)은 제2 메인 윙(131)으로부터 이격 배치되며, 제2 메인 윙(131)의 작동에 따라 제2 메인 윙(131)과 함께 작동되도록 이루어진다. 즉, 제2 메인 윙(131)과 제2 보조 윙(139)은 제2 링크부재에 의해 연결되어, 제2 메인 윙(131)의 작동에 따라 제2 보조 윙(139)은 함께 회전될 수 있다.And the second auxiliary wing 139 is spaced apart from the second main wing 131 and is made to operate together with the second main wing 131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second main wing 131 . That is, the second main wing 131 and the second auxiliary wing 139 are connected by a second link member, and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second main wing 131 , the second auxiliary wing 139 can be rotated together. there is.

여기서 제2 메인 윙(131)의 양단부에는 제2 회전축(132)이 구비되어, 제2 메인 윙(131)은 제2 회전축(132)을 기준으로 수직 방향에 대해 좌, 우로 회전될 수 있다.Here, second rotation shafts 132 are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second main wing 131 , and the second main wing 131 may rotate left and right in a vertic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second rotation shaft 132 .

이와 같이, 제2 윙 조립체(130)는 제2 회전축(132)을 기준으로 좌, 우로 회전 가능하도록 이루어져, 송풍 유로로부터 배출되는 공기의 좌, 우 방향을 조정하게 된다.As such, the second wing assembly 130 is configured to be rotatable left and right with respect to the second rotation shaft 132 , thereby adjusting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air discharged from the blowing passage.

한편, 노브 조립체(140)는 제1 윙 조립체(120)와 제2 윙 조립체(130)를 선택적으로 회전시키도록 이루어진다.Meanwhile, the knob assembly 140 is configured to selectively rotate the first wing assembly 120 and the second wing assembly 130 .

이러한 노브 조립체(140)는 제1 윙 노브(141)와 제2 윙 노브(142)를 포함할 수 있다.The knob assembly 140 may include a first wing knob 141 and a second wing knob 142 .

이와 같은 제1 윙 노브(141)에는 삽입 공간부(143)가 형성되어, 제1 메인 윙(121)은 삽입 공간부(143)에 삽입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윙 노브(142)는 삽입 공간부(143)에 제1 메인 윙(121)이 삽입된 상태에서 제1 윙 노브(141)와 결합된다. 즉, 노브 조립체(140)는 제1 메인 윙(121)을 지지 고정하게 된다.The insertion space 143 may be formed in the first wing knob 141 , and the first main wing 121 may be inserted into the insertion space 143 . And the second wing knob 142 is coupled to the first wing knob 141 in a state in which the first main wing 121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space 143 . That is, the knob assembly 140 supports and fixes the first main wing 121 .

그리고 제2 윙 노브(142)에는 조정 프레임(144)이 구비된다. 이러한 조정 프레임(144)은 제2 메인 윙(131)에 구비된 결합축(133)에 삽입된다.And the second wing knob 142 is provided with an adjustment frame 144 . The adjustment frame 144 is inserted into the coupling shaft 133 provided on the second main wing 131 .

이와 같이, 노브 조립체(140)가 제1 메인 윙(121)을 지지 고정하고, 조정 프레임(144)이 결합축(133)에 삽입된 상태에서, 제1 윙 조립체(120)와 제2 윙 조립체(130)는 노브 조립체(140)의 작동에 따라 선택적으로 회전될 수 있다.As such, in a state in which the knob assembly 140 supports and fixes the first main wing 121 , and the adjustment frame 144 is inserted into the coupling shaft 133 , the first wing assembly 120 and the second wing assembly 130 may be selectively rotated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knob assembly 140 .

예를 들어, 사용자가 노브 조립체(140)를 좌, 우로 조정하는 경우, 제2 윙 조립체(130)는 좌, 우로 조정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노브 조립체(140)를 상, 하로 조정하는 경우, 제1 윙 조립체(120)는 상, 하로 조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는 노브 조립체(140)의 선택적인 작동을 통해 제1 윙 조립체(120)와 제2 윙 조립체(130)의 회전 방향을 선택적으로 조정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user adjusts the knob assembly 140 left and right, the second wing assembly 130 may be adjusted left and right. And when the user adjusts the knob assembly 140 up and down, the first wing assembly 120 may be adjusted up and down. As such, the user may selectively adjust the rotation directions of the first wing assembly 120 and the second wing assembly 130 through the selective operation of the knob assembly 140 .

한편, 베젤(200)은 에어벤트 모듈(100)의 외측에 구비된다.Meanwhile, the bezel 200 is provided outside the air vent module 100 .

이러한 베젤(200)에는 토출 개방부(203)가 형성되어, 에어벤트 모듈(100)로부터 배출되는 공기는 토출 개방부(203)를 통해 외부로 토출될 수 있다.A discharge opening 203 is formed in the bezel 200 , and air discharged from the air vent module 100 may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discharge opening 203 .

그리고 베젤(200)에는 제1 체결홀(201)과 제2 체결홀(202)이 형성된다.A first fastening hole 201 and a second fastening hole 202 are formed in the bezel 200 .

여기서 데코 모듈부(400)에 구비된 제1 체결부재(412)와 제2 체결부재(422)는 제1 체결홀(201)과 제2 체결홀(202)에 각각 삽입 결합되어, 데코 모듈부(400)는 베젤(200)에 결합될 수 있다.Here, the first fastening member 412 and the second fastening member 422 provided in the deco module unit 400 are inserted and coupled to the first fastening hole 201 and the second fastening hole 202, respectively, and the deco module unit 400 may be coupled to the bezel 200 .

한편, 데코 지지 보강부(300)는 제1 메인 윙(121)의 전부측에 형성된 체결 공간부(127)에 삽입된 상태에서 제1 메인 윙(121)과 결합된다.On the other hand, the deco support reinforcement part 300 is coupled to the first main wing 121 in a state inserted into the fastening space 127 formed on the front side of the first main wing (121).

이와 같은 데코 지지 보강부(300)는 보강 몸체부(310), 제1 데코 지지부(320) 및 제2 데코 지지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Such a deco support reinforcement 300 may include a reinforcing body 310 , a first deco support 320 , and a second deco support 330 .

여기서 보강 몸체부(310)는 데코 지지 보강부(300)의 몸체를 이루며, 중앙에는 고정홀(311)이 형성된다. 그리고 보강 몸체부(310)의 상면은 평평하도록 이루어진 안착 지지면(312)이 형성된다.Here, the reinforcing body portion 310 forms the body of the deco support reinforcing portion 300 , and a fixing hole 311 is formed in the center thereof.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reinforcing body 310 is formed with a seating support surface 312 made to be flat.

이와 같은 안착 지지면(312)에는 제1 데코부(410)와 제2 데코부(420)가 조립됨에 있어, 제1 데코부(410)에 구비된 제1 조립부(413)의 하면이 안착 지지된다. 여기서 안착 지지면(312)은 제1 조립부(413)의 하면과 대응되도록 이루어져, 제1 데코부(410)와 제2 데코부(420)가 서로 겹쳐진 상태에서 데코 지지 보강부(300)에 결합될 시, 제1 조립부(413)는 안착 지지면(312)에 안정적으로 지지 고정될 수 있다.When the first decor part 410 and the second decor part 420 are assembled on the seating support surface 312 ,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assembly part 413 provided in the first decor part 410 is seated. is supported Here, the seating support surface 312 is made to correspon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assembly part 413 , and in a state where the first decoration part 410 and the second decoration part 420 are overlapped with each other, it is attached to the decoration support reinforcement part 300 . When coupled, the first assembly portion 413 may be stably supported and fixed to the seating support surface 312 .

다시 말해서, 고정부재(430)가 제1 조립부(413)에 형성된 제1 조립홀(414)과 제2 조립부(423)에 형성된 제2 조립홀(424)에 관통 삽입된 후, 보강 몸체부(310)에 형성된 고정홀(311)과 나사 결합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고정부재(430)에 의해 압축 가압되는 제1 조립부(413)는 안착 지지면(312)에 안정적으로 지지 고정될 수 있다.In other words, after the fixing member 430 is inserted through the first assembly hole 414 formed in the first assembly portion 413 and the second assembly hole 424 formed in the second assembly portion 423, the reinforcement body The fixing hole 311 formed in the part 310 and the first assembly part 413 compressed and pressed by the fixing member 430 in the process of screwing together may be stably supported and fixed to the seating support surface 312 . .

따라서, 제1 데코부(410)와 제2 데코부(420)는 보강 몸체부(310)에 견고하게 지지 고정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first decorative portion 410 and the second decorative portion 420 may be firmly supported and fixed to the reinforcing body portion 310 .

한편, 제1 데코 지지부(320)는 보강 몸체부(310)의 일측에 연결된다.On the other hand, the first deco support 320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reinforcement body (310).

이러한 제1 데코 지지부(320)의 상면은 안착 지지면(312)과 단턱을 이루며 안착 지지면(312)보다 더 높게 형성된다. 이와 같은 제1 데코 지지부(320)는 제1 데코부(410)와 제2 데코부(420)가 결합됨에 있어, 제1 조립부(413)와 인접한 제1 데코 바디부(411)의 내측면을 지지하도록 이루어진다.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deco support 320 is formed to form a step with the seating support surface 312 and is higher than the seating support surface 312 . The first deco support unit 320 is coupled to the first deco unit 410 and the second deco unit 420 ,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deco body unit 411 adjacent to the first assembly unit 413 . made to support

따라서, 제1 데코부(410)와 제2 데코부(420)가 결합됨에 있어, 제1 데코 바디부(411)는 제1 데코 지지부(320)에 의해 더욱 견고하게 지지 고정됨은 물론 유동 발생이 방지될 수 있다.Therefore, when the first deco unit 410 and the second deco unit 420 are combined, the first deco body unit 411 is more firmly supported and fixed by the first deco support unit 320 as well as flow generation. can be prevented.

그리고 제1 데코 지지부(320)에는 제1 힌지축 삽입홈(321)이 형성된다. 이러한 제1 힌지축 삽입홈(321)에는 제1 메인 윙(121)에 구비된 제1 힌지축(123)이 삽입된다. 이와 같은 제1 힌지축(123)은 제1 힌지축 삽입홈(321)에 삽입된 상태에서 제1 메인 윙(121)의 회전시, 제1 힌지축 삽입홈(321)에서 회전하게 된다.And a first hinge shaft insertion groove 321 is formed in the first deco support portion 320 . The first hinge shaft 123 provided in the first main wing 121 is inserted into the first hinge shaft insertion groove 321 . The first hinge shaft 123 is rotated in the first hinge shaft insertion groove 321 when the first main wing 121 rotates in the state inserted into the first hinge shaft insertion groove 321 .

다시 말해서, 노브 조립체(140)의 작동에 의해 제1 메인 윙(121)이 제1 회전축(122)을 기준으로 상, 하로 회전되는 과정에서 체결 공간부(127)로 돌출된 제1 힌지축(123)은 제1 힌지축 삽입홈(321)에 삽입된 상태에서 회전하게 된다. 여기서 제1 데코 지지부(320)는 고정된 구성이므로, 제1 메인 윙(121)의 회전시 제1 힌지축(123)은 제1 힌지축 삽입홈(321)에 삽입된 상태에서 회전하게 된다.In other words, the first hinge shaft protruding into the fastening space 127 in the process in which the first main wing 121 is rotated up and down with respect to the first rotation shaft 122 by the operation of the knob assembly 140 ( 123 is rotated while being inserted into the first hinge shaft insertion groove 321 . Here, since the first deco support part 320 is a fixed configuration, when the first main wing 121 rotates, the first hinge shaft 123 rotates while being inserted into the first hinge shaft insertion groove 321 .

그리고 제2 데코 지지부(330)는 보강 몸체부(310)의 타측에 연결된다.And the second deco support 330 is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reinforcement body (310).

이와 같은 제2 데코 지지부(330)의 상면은 안착 지지면(312)과 단턱을 이루며 안착 지지면(312)보다 더 높게 형성된다. 이러한 제2 데코 지지부(330)는 제1 데코부(410)와 제2 데코부(420)가 결합됨에 있어, 제2 조립부(423)와 인접한 제2 데코 바디부(421)의 내측면을 지지하도록 이루어진다.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decorative support 330 as described above forms a step with the seating support surface 312 and is formed higher than the seating support surface 312 . The second deco support unit 330 is the first deco unit 410 and the second deco unit 420 are combined, so that the inner surface of the second deco body unit 421 adjacent to the second assembly unit 423 is formed. made to support

따라서, 제1 데코부(410)와 제2 데코부(420)가 결합됨에 있어, 제2 데코 바디부(421)는 제2 데코 지지부(330)에 의해 더욱 견고하게 지지 고정됨은 물론 유동 발생이 방지될 수 있다.Therefore, when the first deco unit 410 and the second deco unit 420 are combined, the second deco body unit 421 is more firmly supported and fixed by the second deco support unit 330 as well as flow generation. can be prevented.

그리고 제2 데코 지지부(330)에는 제2 힌지축 삽입홈(331)이 형성된다. 이러한 제2 힌지축 삽입홈(331)에는 제1 메인 윙(121)에 구비된 제2 힌지축(124)이 삽입된다. 이와 같은 제2 힌지축(124)은 제2 힌지축 삽입홈(331)에 삽입된 상태에서 제1 메인 윙(121)의 회전시, 제2 힌지축 삽입홈(331)에 삽입된 상태에서 회전하게 된다.And a second hinge shaft insertion groove 331 is formed in the second deco support portion 330 . The second hinge shaft 124 provided in the first main wing 121 is inserted into the second hinge shaft insertion groove 331 . Such a second hinge shaft 124 rotates in a state inserted into the second hinge shaft insertion groove 331 when the first main wing 121 rotates in a state inserted into the second hinge shaft insertion groove 331 . will do

이와 같이, 제1 메인 윙(121)의 제1 힌지축(123)이 제1 힌지축 삽입홈(321)에 삽입되고, 제2 힌지축(124)이 제2 힌지축 삽입홈(331)에 삽입된 상태에서 제1 메인 윙(121)의 회전시, 제1 메인 윙(121)은 데코 지지 보강부(300)로부터 독립적으로 회전될 수 있다.As such, the first hinge shaft 123 of the first main wing 121 is inserted into the first hinge shaft insertion groove 321 , and the second hinge shaft 124 is inserted into the second hinge shaft insertion groove 331 . When the first main wing 121 is rotated in the inserted state, the first main wing 121 may be rotated independently from the deco support reinforcing part 300 .

한편, 데코 모듈부(400)는 제1 데코부(410)와 제2 데코부(420)를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decoration module unit 400 may include a first decoration unit 410 and a second decoration unit 420 .

이러한 제1 데코부(410)와 제2 데코부(420)는 서로 결합되며, 일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first decoration unit 410 and the second decoration unit 420 are coupled to each other and may be formed integrally.

여기서 제1 데코부(410)는 제1 데코 바디부(411), 제1 체결부재(412) 및 제1 조립부(413)를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first decor part 410 may include a first decor body part 411 , a first fastening member 412 , and a first assembly part 413 .

제1 데코 바디부(411)는 제1 데코부(410)의 외형으로 이루며, 제1 메인 윙(121)의 전부측의 외곽면을 가리도록 형성된다. 즉, 제1 데코 바디부(411)는 제1 메인 윙(121)의 전부측의 외곽면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이루어진다.The first deco body portion 411 has the outer shape of the first deco portion 410 and is formed to cover the outer surface of the front side of the first main wing 121 . That is, the first decorative body portion 411 is made to prevent the outer surface of the front side of the first main wing 121 from being exposed to the outside.

그리고 제1 체결부재(412)는 제1 데코 바디부(411)의 일단부에 구비된다.And the first fastening member 412 is provided at one end of the first decor body portion (411).

이러한 제1 체결부재(412)는 베젤(200)의 일단측에 형성된 제1 체결홀(201)에 삽입 결합된다. 따라서, 제1 데코 바디부(411)의 일단부는 베젤(200)에 지지 고정될 수 있다.The first fastening member 412 is inserted and coupled to the first fastening hole 201 formed at one end of the bezel 200 . Accordingly, one end of the first decorative body portion 411 may be supported and fixed to the bezel 200 .

그리고 제1 조립부(413)는 제1 데코 바디부(411)의 타단부에 구비된다.And the first assembly portion 413 is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first decor body portion (411).

이러한 제1 조립부(413)에는 고정부재(430)가 관통 삽입되는 제1 조립홀(414)이 형성된다. 그리고 제1 조립부(413)의 상면에는 조립 돌기부(415)가 구비된다. 이와 같은 조립 돌기부(415)는 제2 조립부(423)의 하면에 형성된 조립 돌기 삽입홈(425)과 대응되도록 이루어진다. 따라서, 제1 조립부(413)와 제2 조립부(423)의 조립 결합시, 조립 돌기부(415)는 조립 돌기 삽입홈(425)에 삽입된 상태에서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A first assembly hole 414 through which the fixing member 430 is inserted is formed in the first assembly portion 413 . And an assembly protrusion 415 is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assembly portion 413 . The assembling protrusion 415 is formed to correspond to the assembling protrusion insertion groove 425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assembling part 423 . Accordingly, when the first assembly portion 413 and the second assembly portion 423 are assembled and coupled, the assembly protrusion 415 may be coupled while being inserted into the assembly projection insertion groove 425 .

이와 같은 조립 돌기부(415)와 조립 돌기 삽입홈(425)은 제1 조립부(413)와 제2 조립부(423)를 결합함에 있어, 제1 조립부(413)와 제2 조립부(423)의 정확한 결합 위치를 가이드하게 된다.The assembling protrusion 415 and the assembling protrusion insertion groove 425 combine the first assembling part 413 and the second assembling part 423 with the first assembling part 413 and the second assembling part 423 . ) to guide the exact bonding position of the

한편, 제2 데코부(420)는 제2 데코 바디부(421), 제2 체결부재(422) 및 제2 조립부(423)를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second decoration part 420 may include a second decoration body part 421 , a second fastening member 422 , and a second assembly part 423 .

제2 데코 바디부(421)는 제2 데코부(420)의 외형으로 이루며, 제1 메인 윙(121)의 전부측의 외곽면을 가리도록 형성된다. 즉, 제2 데코 바디부(421)는 제1 메인 윙(121)의 전부측의 외곽면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이루어진다.The second deco body portion 421 has the outer shape of the second deco portion 420 , and is formed to cover the outer surface of the front side of the first main wing 121 . That is, the second decorative body portion 421 is made to prevent the outer surface of the front side of the first main wing 121 from being exposed to the outside.

다시 말해서, 제1 데코부(410)와 제2 데코부(420)가 결합된 상태에서 제1 데코 바디부(411)와 제2 데코 바디부(421)는 제1 메인 윙(121)의 전부측의 외곽면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와 같이, 제1 데코 바디부(411)와 제2 데코 바디부(421)는 제1 메인 윙(121)의 전부측의 외곽면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가림으로써, 차량용 에어벤트(1000)의 디자인적인 부분을 개선할 수 있다.In other words, in a state in which the first deco unit 410 and the second deco unit 420 are combined, the first deco body unit 411 and the second deco body unit 421 are all of the first main wing 121 . Prevents the outer surface of the side from being exposed to the outside. As such, the first deco body portion 411 and the second deco body portion 421 cover that the outer surface of the front side of the first main wing 121 is exposed to the outside, so that of the vehicle air vent 1000 . Design can be improved.

그리고 제2 체결부재(422)는 제2 데코 바디부(421)의 타단부에 구비된다.And the second fastening member 422 is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second decor body portion (421).

이러한 제2 체결부재(422)는 베젤(200)의 일단측에 형성된 제2 체결홀(202)에 삽입 결합된다. 따라서, 제2 데코 바디부(421)의 타단부는 베젤(200)에 지지 고정될 수 있다.The second fastening member 422 is inserted and coupled to the second fastening hole 202 formed at one end of the bezel 200 . Accordingly, the other end of the second decorative body portion 421 may be supported and fixed to the bezel 200 .

그리고 제2 조립부(423)는 제2 데코 바디부(421)의 일단부에 구비된다.And the second assembly portion 423 is provided at one end of the second decor body portion (421).

이러한 제2 조립부(423)에는 고정부재(430)가 관통 삽입되는 제2 조립홀(424)이 형성된다.A second assembly hole 424 through which the fixing member 430 is inserted is formed in the second assembly portion 423 .

이와 같은 제1 데코부(410)와 제2 데코부(420)가 결합됨에 있어, 제2 조립부(423)의 하면은 제1 조립부(413)의 상면에 맞닿은 상태로 서로 겹쳐진 상태에서 고정부재(430)는 제2 조립부(423)에 형성된 제2 조립홀(424)과 제1 조립부(413)에 형성된 제1 조립홀(414)에 관통 삽입된 후, 고정홀(311)과 나사 결합이 이루어진다.When the first decorating part 410 and the second decorating part 420 are combined, th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assembling part 423 is fixed in a state of being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assembling part 413 and overlapping each other. The member 430 is inserted through the second assembly hole 424 formed in the second assembly portion 423 and the first assembly hole 414 formed in the first assembly portion 413, and then the fixing hole 311 and A screw connection is made.

이에, 제1 조립부(413)와 제2 조립부(423)는 고정부재(430)에 의해 데코 지지 보강부(300)에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first assembly portion 413 and the second assembly portion 423 may be firmly coupled to the deco support reinforcement portion 300 by the fixing member 430 .

다시 말해서, 제1 데코부(410)와 제2 데코부(420)가 일체를 이루는 데코 모듈부(400)의 양단부는 체결부재에 의해 베젤(200)에 형성된 체결홀에 지지 고정되고, 데코 모듈부(400)의 중앙부는 고정부재(430)에 의해 데코 지지 보강부(300)에 지지 고정될 수 있다.In other words, both ends of the decor module part 400 in which the first decor part 410 and the second decor part 420 are integrated are supported and fixed in the fastening hole formed in the bezel 200 by the fastening member, and the decor module The central part of the part 400 may be supported and fixed to the deco support reinforcement part 300 by the fixing member 430 .

이와 같은 베젤(200)에 형성된 토출 개방부(203)를 가로지르는 데코 모듈부(400)는 제1 데코부(410)와 제2 데코부(420)가 서로 연결되어 하나의 일체형의 데코부를 이루는 것으로, 미리 정해진 길이 내에서의 데코 모듈부(400)의 강도는 강화될 수 있다. 이에, 에어벤트 모듈(100)로부터 토출되는 바람에 의해 데코 모듈부(400)의 유동이 발생되는 것은 방지될 수 있다.The decor module 400 that crosses the discharge opening 203 formed in the bezel 200 is connected to the first decor part 410 and the second decor part 420 to form a single integral decor part. As such, the strength of the decor module 400 within a predetermined length may be strengthened. Accordingly, it can be prevented that the flow of the decor module unit 400 is generated by the wind discharged from the air vent module 100 .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 메인 윙과 노브 조립체의 개략적인 단면 예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노브 조립체가 상부로 회전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 예시도이다.7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 first main wing and a knob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8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knob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rotated upward. am.

도 7 및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노브 조립체(140)의 상, 하 회전시, 제1 메인 윙(121)은 제1 회전축(122)을 기준으로 노브 조립체(140)와 함께 회전하게 된다. 이때, 도 7 및 도 8에 표시된 제1 회전축(122)은 제1 메인 윙(121)의 양단부에 구비된 회전축의 위치를 표시한 것이다.7 and 8 , when the knob assembly 140 is rotated up and down, the first main wing 121 rotates together with the knob assembly 140 with respect to the first rotation shaft 122 . At this time, the first rotation shaft 122 shown in FIGS. 7 and 8 indicates the position of the rotation shaft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first main wing 121 .

여기서 데코 모듈부(400)는 베젤(200)에 고정된 구성이다. 이와 같은 데코 모듈부(400)의 내측부는 제1 메인 윙(121)의 전부측 외곽면으로부터 이격 배치된다. 즉, 제1 데코 바디부(411) 및 제2 데코 바디부(421)는 제1 메인 윙(121)의 전부측 외곽면으로부터 이격 배치된다.Here, the decoration module unit 400 is fixed to the bezel 200 . The inner portion of the decor module 400 is spaced apart from the front outer surface of the first main wing 121 . That is, the first deco body portion 411 and the second deco body portion 421 are spaced apart from the front side outer surface of the first main wing 121 .

이에, 제1 메인 윙(121)이 제1 회전축(122)을 기준으로 회전하더라도 데코 모듈부(400)는 제1 메인 윙(121)의 회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즉, 데코 모듈부(400)는 제1 메인 윙(121)의 회전시, 데코 모듈부(400)로 인한 걸림 및 간섭 등이 방지되도록 이루어진다.Accordingly, even if the first main wing 121 rotates with respect to the first rotation shaft 122 , the decor module unit 400 does not affect the rotation of the first main wing 121 . That is, the deco module unit 400 is configured to prevent jamming and interference due to the deco module unit 400 when the first main wing 121 rotates.

그리고 노브 조립체(140)의 삽입 공간부(143)에 배치되는 데코 모듈부(400)의 외측부는 노브 조립체(140)의 내측면과 이격되도록 이루어진다. 즉, 데코 모듈부(400)의 외측부는 노브 조립체(140)의 내부 곡면부(148)과 이격 되도록 이루어진다.And the outer portion of the decor module portion 400 disposed in the insertion space portion 143 of the knob assembly 140 is made to be spaced apart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knob assembly (140). That is, the outer portion of the deco module 400 is made to be spaced apart from the inner curved portion 148 of the knob assembly 140 .

여기서 데코 모듈부(400)의 외측부와 내부 곡면부(148) 간의 이격 거리는 노브 조립체(140)를 상, 하로 이동시킴에 있어, 노브 조립체(140)의 내측면 즉, 내부 곡면부(148)와 데코 모듈부(400) 간에 걸림 및 간섭이 발생되지 않도록 이격 배치됨이 바람직하다.Here, the distance between the outer portion of the decor module 400 and the inner curved portion 148 is the inner surface of the knob assembly 140, that is, the inner curved portion 148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knob assembly 140 in moving the knob assembly 140 up and down. It is preferable to be spaced apart so as not to cause jamming and interference between the decor module units 400 .

다시 말해서, 노브 조립체(140)와 노브 조립체(140)와 함께 이동되는 제1 메인 윙(121)이 상, 하로 회전됨에 있어, 데코 모듈부(400)는 노브 조립체(140) 및 제1 메인 윙(121)의 회전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미리 정해진 거리로 이격 배치된다.In other words, as the knob assembly 140 and the first main wing 121 moving together with the knob assembly 140 are rotated up and down, the deco module unit 400 is the knob assembly 140 and the first main wing. (121) are spaced apart by a predetermined distance so as not to interfere with the rotation.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 작동 제어부와 제2 작동 제어부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 작동 제어부와 제2 작동 제어부의 조립 상태도이다.9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first operation control unit and a second operation control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0 is an assembly state diagram of the first operation control unit and the second operation control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 및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차량용 에어벤트(1000)는 제1 작동 제어부(500)와 제2 작동 제어부(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9 and 10 , the vehicle air vent 1000 may further include a first operation control unit 500 and a second operation control unit 600 .

이러한 제1 작동 제어부(500)와 제2 작동 제어부(600)는 사용자가 노브 조립체(140)를 통해 제1 윙 조립체(120)와 제2 윙 조립체(130)의 방향을 조정함에 있어, 사용자가 요구하는 위치에 정확하게 노브 조립체(140)가 고정되도록 한다. 즉, 제1 작동 제어부(500)와 제2 작동 제어부(600)는 사용자가 요구하는 위치로 정밀하게 제1 윙 조립체(120)와 제2 윙 조립체(130)의 방향 전환이 이루어지도록 한다.The first operation control unit 500 and the second operation control unit 600 allow the user to adjust the directions of the first wing assembly 120 and the second wing assembly 130 through the knob assembly 140 . This ensures that the knob assembly 140 is fixed precisely in the required position. That is, the first operation control unit 500 and the second operation control unit 600 allow the direction change of the first wing assembly 120 and the second wing assembly 130 to be precisely made to the positions required by the user.

제1 작동 제어부(500)는 노브 조립체(140)의 좌, 우 이동시, 사용자가 요구하는 위치에 노브 조립체(140)가 고정되도록 한다.The first operation control unit 500 allows the knob assembly 140 to be fixed at a position requested by the user when the knob assembly 140 moves left and right.

이러한 제1 작동 제어부(500)는 부시 러버(510)와 가이드 핀(520)을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operation control unit 500 may include a bush rubber 510 and a guide pin 520 .

부시 러버(510)는 제1 메인 윙(121)에 형성된 가이드홀(128)에 삽입된다. 여기서 가이드홀(128)은 노브 조립체(140)의 좌, 우 이동시, 부시 러버(510)의 이동 방향을 안내하게 된다.The bush rubber 510 is inserted into the guide hole 128 formed in the first main wing 121 . Here, the guide hole 128 guides the movement direction of the bush rubber 510 when the knob assembly 140 moves left and right.

이와 같이, 가이드홀(128)에 삽입되는 부시 러버(510)의 외측면은 가이드홀(128)의 내측에 탄성 지지된 상태로 맞닿도록 이루어진다. 따라서, 부시 러버(510)에 힘이 가해지지 않는 경우, 부시 러버(510)는 가이드홀(128)에 탄성 지지되며, 노브 조립체(140)의 흔들림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As such, the outer surface of the bush rubber 510 inserted into the guide hole 128 is made to abut against the inside of the guide hole 128 while being elastically supported. Accordingly, when no force is applied to the bush rubber 510 , the bush rubber 510 is elastically supported by the guide hole 128 , and vibration of the knob assembly 140 is prevented.

그리고 가이드 핀(520)은 부시 러버(510)에 형성된 핀 삽입홀(511)에 관통 삽입된다.In addition, the guide pin 520 is inserted through the pin insertion hole 511 formed in the bush rubber 510 .

이러한 가이드 핀(520)은 머리부(521)와 핀부(522)를 포함할 수 있다.The guide pin 520 may include a head 521 and a pin 522 .

여기서 핀부(522)는 핀 삽입홀(511)과 대응되는 형상을 이루며, 핀 삽입홀(511)에 삽입되도록 이루어진다. 이때, 핀부(522)는 핀 삽입홀(511)에 관통 삽입된 상태에서 핀부(522)의 양단부는 제2 윙 노브(142)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구비된 연장부(145)에 형성된 핀 관통홀(146)에 관통 삽입되도록 이루어진다.Here, the pin portion 522 has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pin insertion hole 511 and is configured to be inserted into the pin insertion hole 511 . At this time, in a state in which the pin portion 522 is inserted through the pin insertion hole 511 , both ends of the pin portion 522 penetrate the pins formed in the extension portions 145 provided on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second wing knob 142 , respectively. It is made to be inserted through the hole (146).

그리고 핀부(522)의 일단부와 연결된 머리부(521)는 키 형상을 이룬다. 이렇게 키 형상을 이루는 머리부(521)는 제2 윙 노브(142)의 상부에 구비된 연장부(145)에 형성된 머리부 고정홈(147)에 삽입되어, 머리부(521)는 연장부(145)에 고정될 수 있다.And the head portion 521 connected to one end of the pin portion 522 forms a key shape. The head 521 forming the key shape is inserted into the head fixing groove 147 formed in the extension 145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second wing knob 142, and the head 521 is inserted into the extension ( 145) can be fixed.

따라서, 노브 조립체(140)의 좌, 우 이동시, 가이드 핀(520)은 노브 조립체(140)의 이동 방향을 따라 함께 이동될 수 있다.Accordingly, when the knob assembly 140 moves left and right, the guide pin 520 may move together along the moving direction of the knob assembly 140 .

다시 말해서, 노브 조립체(140)에 미리 정해진 힘 이상이 가해져, 노브 조립체(140)가 좌측 또는 우측로 이동되는 경우, 연장부(145)에 결합된 가이드 핀(520)은 연장부(145)와 함께 이동하게 된다.In other words, when more than a predetermined force is applied to the knob assembly 140 and the knob assembly 140 is moved to the left or right, the guide pin 520 coupled to the extension part 145 is connected to the extension part 145 and the extension part 145 . will move together

그리고 가이드 핀(520)의 이동에 따라 핀부(522)와 결합된 부시 러버(510) 또한 함께 이동될 수 있다. 이때, 부시 러버(510)가 이동되는 과정에서 가이드홀(128)에 탄성 지지된 부시 러버(510)는 일정의 탄성 압축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이동이 이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as the guide pin 520 moves, the bush rubber 510 coupled to the pin part 522 may also move together. In this case, the bush rubber 510 elastically supported by the guide hole 128 may be moved in a state in which a predetermined elastic compression is made while the bush rubber 510 is moved.

그리고 부시 러버(510)에 가해지는 힘이 미리 정해진 힘 미만인 경우, 일정의 탄성 압축이 이루어진 부시 러버(510)는 탄성 복원이 이루어지며 원래대로 부시 러버(510)의 외측면이 가이드홀(128)에 탄성 지지된다.And when the force applied to the bush rubber 510 is less than a predetermined force, the bush rubber 510 subjected to a predetermined elastic compression is elastically restored,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bush rubber 510 is the guide hole 128 . is elastically supported on

이와 같이, 사용자가 노브 조립체(140)를 통해 미리 정해진 힘 이상으로 노브 조립체(140)를 좌, 우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부시 러버(510)는 일정의 탄성 압축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이동되고, 사용자가 노브 조립체(140)를 사용자가 요구하는 위치로 이동시킨 상태에서 노브 조립체(140)에 가했던 힘을 해제하면, 부시 러버(510)는 탄성 복원이 이루어지며 가이드홀(128)에 탄성 지지된다.As described above, in the process in which the user moves the knob assembly 140 left and right beyond a predetermined force through the knob assembly 140 , the bush rubber 510 is moved in a state where a certain elastic compression is made, and the user moves the knob assembly 140 . When the force applied to the knob assembly 140 is released while the assembly 140 is moved to a position requested by the user, the bush rubber 510 is elastically restored and is elastically supported by the guide hole 128 .

이와 같은 부시 러버(510)는 가로 방향의 길이가 세로 방향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된다. 즉, 부시 러버(510)의 장변부는 가이드홀(128)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도록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Such a bush rubber 510 is formed to have a length in a horizontal direction longer than a length in the vertical direction. That is, it is preferable that the long side of the bush rubber 510 is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guide hole 128 .

이는, 사용자가 미리 정해진 힘 이상을 가하여 노브 조립체(140)를 사용자가 요구하는 위치로 이동시킨 상태에서 노브 조립체(140)에 가해지는 힘을 제거할 시, 사용자가 요구하는 위치에 노브 조립체(140)가 흔들림없이 정확히 고정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다시 말해서, 가이드홀(128)에 탄성 지지되는 부시 러버(510)의 접촉면적을 넓게 형성함으로써, 사용자가 요구하는 위치로 노브 조립체(140)를 이동시킨 상태에서 노브 조립체(140)는 정확하게 고정될 수 있다.This is when the user removes the force applied to the knob assembly 140 while moving the knob assembly 140 to the position required by the user by applying a predetermined force or more, the knob assembly 140 is located at the position required by the user. ) to be accurately fixed without shaking. In other words, by forming a wide contact area of the bush rubber 510 elastically supported by the guide hole 128 , the knob assembly 140 can be accurately fixed while the knob assembly 140 is moved to a position required by the user. can

이와 같이, 제1 작동 제어부(500)에 구비된 부시 러버(510)는 사용자가 요구하는 방향으로 제2 윙 조립체(130)의 방향을 조정한 상태에서 제2 윙 조립체(130)의 이동 및 흔들림을 방지하게 된다. 따라서, 노브 조립체(140)의 작동성은 개선될 수 있다.As such, the bush rubber 510 provided in the first operation control unit 500 moves and shakes the second wing assembly 130 in a state in which the direction of the second wing assembly 130 is adjusted in the direction required by the user. will prevent Accordingly, the operability of the knob assembly 140 may be improved.

한편, 제2 작동 제어부(600)는 노브 조립체(140)의 상, 하 이동시, 사용자가 요구하는 위치에 노브 조립체(140)가 고정되도록 한다.Meanwhile, when the knob assembly 140 moves up and down, the second operation control unit 600 fixes the knob assembly 140 at a position requested by the user.

이러한 제2 작동 제어부(600)는 캡 러버(610)와 돌기 러버(620)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operation control unit 600 may include a cap rubber 610 and a protrusion rubber 620 .

여기서 캡 러버(610)는 제1 메인 윙(121)의 상면에 형성된 캡 고정홈(125)에 캡 러버(610)의 테두리가 삽입되어, 캡 러버(610)는 제1 메인 윙(121)의 상면에 고정될 수 있다.Here, in the cap rubber 610 , the rim of the cap rubber 610 is inserted into the cap fixing groove 125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main wing 121 , and the cap rubber 610 is the first main wing 121 of the first main wing 121 . It can be fixed to the upper surface.

이와 같은 캡 고정홈(125)에는 삽입되는 캡 러버(610)의 측면을 가압하는 가압 고정부(126)가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캡 고정홈(125)에 삽입되는 캡 러버(610)는 가압 고정부(126)에 의해 더욱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A plurality of pressing fixing parts 126 for pressing the side of the cap rubber 610 to be inserted may be formed in the cap fixing groove 125 . Accordingly, the cap rubber 610 inserted into the cap fixing groove 125 may be more firmly fixed by the pressing fixing part 126 .

그리고 돌기 러버(620)는 캡 러버(610)의 상부면에 구비된다. 이러한 돌기 러버(620)는 캡 러버(610)의 중앙에 구비되되, 캡 러버(6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구비될 수 있다.And the protrusion rubber 620 is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ap rubber 610 . The protruding rubber 620 is provided in the center of the cap rubber 610 , and may be provid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ap rubber 610 .

이와 같은 돌기 러버(620)는 제1 윙 노브(141)와 제2 윙 노브(142)의 결합시, 제1 윙 노브(141)의 내측면에 접촉된다. 즉, 돌기 러버(620)는 제1 윙 노브(141)의 상부측 내측면에 탄성 지지되도록 이루어진다.When the first wing knob 141 and the second wing knob 142 are coupled, the protruding rubber 620 comes into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wing knob 141 . That is, the protrusion rubber 620 is made to be elastically support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upper side of the first wing knob 141 .

이와 같이, 돌기 러버(620)는 제1 윙 노브(141)의 내측면에 탄성 지지됨에 따라, 제1 메인 윙(121)에 고정된 제2 작동 제어부(600)와 제1 윙 노브(141) 간에는 유격 발생이 방지된다.As such, the protrusion rubber 620 is elastically support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wing knob 141 , and the second operation control unit 600 and the first wing knob 141 fixed to the first main wing 121 . Gap in the liver is prevented.

따라서, 제1 메인 윙(121)에 고정된 캡 러버(610)는 제1 윙 노브(141)에 탄성 지지됨에 따라, 노브 조립체(140)를 상, 하로 이동시키는 과정에서 제1 메인 윙(121)의 상, 하이동은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Therefore, as the cap rubber 610 fixed to the first main wing 121 is elastically supported by the first wing knob 141 , in the process of moving the knob assembly 140 up and down, the first main wing 121 . ) can be accurately moved up and down.

이와 같이, 차량용 에어벤트(1000)에는 제1 작동 제어부(500)와 제2 작동 제어부(600)가 구비됨에 따라 노브 조립체(140)의 작동성은 개선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작동 제어부(500)에 구비된 부시 러버(510)와 제2 작동 제어부(600)에 구비된 캡 러버(610) 및 돌기 러버(620)는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부시 러버(510), 캡 러버(610) 및 돌기 러버(620)는 반드시 실리콘 재질로만 이루어져야 하는 것은 아니며, 이외의 다양한 탄성 재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As described above, as the first operation control unit 500 and the second operation control unit 600 are provided in the vehicle air vent 1000 , the operability of the knob assembly 140 may be improved. The bush rubber 510 provided in the first operation control unit 500 and the cap rubber 610 and the protrusion rubber 620 provided in the second operation control unit 600 may be made of a silicon material. Here, the bush rubber 510 , the cap rubber 610 , and the protruding rubber 620 do not necessarily have to be made of only a silicon material, but may be made of various other elastic materials.

다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 본 발명의 권리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의 기재 범위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However, this is only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for illustration, an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understand that it can be easily modified into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restrictive. For example, each component described as a single type may be implemented in a distributed manner, and likewise components described as distributed may be implemented in a combined form.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에어벤트 모듈
110: 케이싱
120: 제1 윙 조립체
121: 제1 메인 윙
122: 제1 회전축
123: 제1 힌지축
124: 제2 힌지축
125: 캡 고정홈
126: 가압 고정부
127: 체결 공간부
128: 가이드홀
129: 제1 보조 윙
130: 제2 윙 조립체
131: 제2 메인 윙
132: 제2 회전축
133: 결합축
139: 제2 보조 윙
140: 노브 조립체
141: 제1 윙 노브
142: 제2 윙 노브
143: 삽입 공간부
144: 조정 프레임
145: 연장부
146: 핀 관통홀
147: 머리부 고정홈
148: 내부 곡면부
200: 베젤
201: 제1 체결홀
202: 제2 체결홀
203: 토출 개방부
300: 데코 지지 보강부
310: 보강 몸체부
311: 고정홀
312: 안착 지지면
320: 제1 데코 지지부
321: 제1 힌지축 삽입홈
330: 제2 데코 지지부
331: 제2 힌지축 삽입홈
400: 데코 모듈부
410: 제1 데코부
411: 제1 데코 바디부
412: 제1 체결부재
413: 제1 조립부
414: 제1 조립홀
415: 조립 돌기부
420: 제2 데코부
421: 제2 데코 바디부
422: 제2 체결부재
423: 제2 조립부
424: 제2 조립홀
425: 조립 돌기 삽입홈
430: 고정부재
500: 제1 작동 제어부
510: 부시 러버
511: 핀 삽입홀
520: 가이드 핀
521: 머리부
522: 핀부
600: 제2 작동 제어부
610: 캡 러버
620: 돌기 러버
1000: 차량용 에어벤트
100: air vent module
110: casing
120: first wing assembly
121: first main wing
122: first rotation shaft
123: first hinge shaft
124: second hinge shaft
125: cap fixing groove
126: pressure fixing unit
127: fastening space part
128: guide hole
129: first auxiliary wing
130: second wing assembly
131: second main wing
132: second rotation shaft
133: coupling shaft
139: second auxiliary wing
140: knob assembly
141: first wing knob
142: second wing knob
143: insertion space part
144: adjustment frame
145: extension
146: pin through hole
147: head fixing groove
148: inner curved portion
200: bezel
201: first fastening hole
202: second fastening hole
203: discharge opening
300: Deco support reinforcement
310: reinforcing body portion
311: fixing hole
312: seating support surface
320: first decorative support portion
321: first hinge shaft insertion groove
330: second decorative support portion
331: second hinge shaft insertion groove
400: deco module unit
410: first decor unit
411: first deco body part
412: first fastening member
413: first assembly part
414: first assembly hole
415: assembly protrusion
420: second decor unit
421: second deco body part
422: second fastening member
423: second assembly part
424: second assembly hole
425: assembly projection insertion groove
430: fixing member
500: first operation control unit
510: bush rubber
511: pin insertion hole
520: guide pin
521: head
522: pin unit
600: second operation control unit
610: cap rubber
620: protrusion rubber
1000: vehicle air vent

Claims (7)

에어벤트 모듈;
상기 에어벤트 모듈로부터 배출되는 공기가 토출되는 토출 개방부가 형성되며, 상기 에어벤트 모듈의 외측 둘레에 구비되는 베젤;
상기 에어벤트 모듈에 구비된 제1 메인 윙의 전부측에 형성된 체결 공간부에 삽입되며, 상기 제1 메인 윙과 결합되는 데코 지지 보강부; 및
일단부가 상기 베젤의 일단측에 고정되는 제1 데코부와, 타단부가 상기 베젤의 타단측에 고정되는 제2 데코부를 가지며, 상기 제1 데코부의 타단부와 상기 제2 데코부의 일단부는 서로 겹쳐진 상태에서 고정부재에 의해 상기 데코 지지 보강부에 지지 결합되는 데코 모듈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에어벤트.
air vent module;
a bezel having a discharge opening through which air discharged from the air vent module is discharged and provided on an outer periphery of the air vent module;
a deco support reinforcement part inserted into the fastening space formed on the front side of the first main wing provided in the air vent module, and coupled to the first main wing; and
It has a first decor part having one end fixed to one end of the bezel and a second decor part having the other end fixed to the other end of the bezel, and the other end of the first decor part and one end of the second decor part are overlapped with each other. Air vent for a vehicle including a deco module unit supported and coupled to the deco support reinforcing unit by a fixing member in a sta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데코부는,
상기 제1 메인 윙의 전부측의 외곽면을 가리도록 형성된 제1 데코 바디부;
상기 제1 데코 바디부의 일단부에 구비되며, 상기 베젤의 일단측에 형성된 제1 체결홀에 삽입 결합되는 제1 체결부재; 및
상기 제1 데코 바디부의 타단부에 구비되며, 제1 조립홀이 형성된 제1 조립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데코부는,
상기 제1 메인 윙의 전부측의 외곽면을 가리도록 형성된 제2 데코 바디부;
상기 제2 데코 바디부의 타단부에 구비되며, 상기 베젤의 타단측에 형성된 제2 체결홀에 삽입 결합되는 제2 체결부재; 및
상기 제2 데코 바디부의 일단부에 구비되며, 제2 조립홀이 형성된 제2 조립부를 포함하되,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제1 조립홀과 제2 조립홀에 관통 삽입된 후, 상기 데코 지지 보강부에 형성된 고정홀에 나사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에어벤트.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decor part,
a first deco body portion formed to cover the outer surface of the front side of the first main wing;
a first fastening member provided at one end of the first deco body and inserted and coupled to a first fastening hole formed at one end of the bezel; and
It is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first deco body part, and includes a first assembly part having a first assembly hole formed therein;
The second decoration unit,
a second deco body portion formed to cover the outer surface of the front side of the first main wing;
a second fastening member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second deco body and inserted and coupled to a second fastening hole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bezel; and
It is provided at one end of the second deco body part and includes a second assembly part having a second assembly hole formed therein,
After the fixing member is inserted through the first assembly hole and the second assembly hole, the air vent for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screwed into the fixing hole formed in the decoration support reinforcement part.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조립부의 상면에는 조립 돌기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2 조립부의 하면에는 상기 조립 돌기부가 삽입되는 조립 돌기 삽입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에어벤트.
3. The method of claim 2,
An assembly protrusion is provid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first assembly part, and an assembly projection insertion groove into which the assembly projection is inserted is formed on a lower surface of the second assembly part.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데코 지지 보강부는,
상기 고정홀이 형성되되, 상면에는 상기 제1 조립부의 하면이 안착되는 안착 지지면이 형성된 보강 몸체부;
상기 보강 몸체부의 일측에 연결되되, 상기 안착 지지면과 단턱을 이루며 상기 제1 데코 바디부의 내측면을 지지하는 제1 데코 지지부; 및
상기 보강 몸체부의 타측에 연결되되, 상기 안착 지지면과 단턱을 이루며 상기 제2 데코 바디부의 내측면을 지지하는 제2 데코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데코 지지부에는 상기 제1 메인 윙에 구비된 제1 힌지축이 삽입되는 제1 힌지축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2 데코 지지부에는 상기 제1 메인 윙에 구비된 제2 힌지축이 삽입되는 제2 힌지축 삽입홈이 형성되어, 상기 제1 메인 윙은 상기 데코 지지 보강부로부터 독립적으로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에어벤트.
3. The method of claim 2,
The deco support reinforcement part,
a reinforcing body portion in which the fixing hole is formed, the upper surface having a seating support surface on which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assembly part is seated;
a first deco support portion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reinforcing body portion, forming a step with the seating support surface and supporting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deco body portion; and
Doedoe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reinforcing body, comprising a second deco support portion that forms a step with the seating support surface and supports the inner surface of the second deco body portion,
A first hinge shaft insertion groove into which a first hinge shaft provided on the first main wing is inserted is formed in the first deco support portion, and a second hinge shaft provided in the first main wing is formed in the second deco support portion. A second hinge shaft insertion groove to be inserted is formed so that the first main wing is rotated independently from the deco support reinforcing par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코 모듈부의 내측부는 상기 제1 메인 윙의 전부측 외곽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에어벤트 모듈에 구비된 노브 조립체의 삽입 공간부 내에 배치되는 상기 데코 모듈부의 외측부는 상기 노브 조립체의 내측면과 이격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에어벤트.
According to claim 1,
The inner portion of the decor module portion is made to be spaced apart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front side of the first main wing, and the outer portion of the decor module portion disposed in the insertion space of the knob assembly provided in the air vent module is the inner surface of the knob assembly. Air vent for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made to be spaced apart from the.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노브 조립체의 좌, 우 이동시, 사용자가 요구하는 위치에 상기 노브 조립체가 고정되도록 하는 제1 작동 제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작동 제어부는,
상기 노브 조립체의 좌, 우 이동을 안내하는 상기 제1 메인 윙에 형성된 가이드홀에 삽입되어 상기 가이드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되는 부시 러버; 및
상기 부시 러버에 형성된 핀 삽입홀에 삽입되며, 상기 노브 조립체의 이동시, 상기 부시 러버를 이동시키는 가이드 핀을 가지며,
상기 부시 러버는 상기 가이드홀의 길이 방향으로 장변부가 형성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부시 러버의 외측면은 상기 가이드홀에 맞닿도록 이루어지되, 미리 정해진 힘 이상으로 상기 노브 조립체를 이동시킬 시, 상기 부시 러버는 탄성 압축된 상태에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에어벤트.
6. The method of claim 5,
When the knob assembly is moved left and right, it further comprises a first operation control unit for fixing the knob assembly to a position required by the user,
The first operation control unit,
a bush rubber inserted into a guide hole formed in the first main wing for guiding left and right movement of the knob assembly and moved along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guide hole; and
It has a guide pin inserted into the pin insertion hole formed in the bush rubber, and for moving the bush rubber when the knob assembly is moved,
The bush rubber is formed such that a long side is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guide hole,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bush rubber is made to abut against the guide hole. When the knob assembly is moved by a predetermined force or more, the bush rubber is An air vent for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it moves in an elastically compressed state.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노브 조립체의 상, 하 이동시, 사용자가 요구하는 위치에 상기 노브 조립체가 고정되도록 하는 제2 작동 제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작동 제어부는,
상기 제1 메인 윙의 상면에 형성된 캡 고정홈에 테두리가 삽입되어 지지 고정되는 캡 러버; 및
상기 캡 러버의 상부 중앙에 상기 캡 러버의 길이 방향을 따라 구비되는 돌기 러버를 갖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캡 고정홈에는 상기 캡 러버의 측면을 가압하여 고정시키는 가압 고정부가 형성되고, 상기 돌기 러버는 상기 제1 윙 노브의 내측면과 접촉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에어벤트.
6. The method of claim 5,
When the knob assembly moves up and down, it further comprises a second operation control unit for fixing the knob assembly to a position required by the user,
The second operation control unit,
a cap rubber having a rim inserted into the cap fixing groov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main wing to be supported and fixed; and
It is made to have a protruding rubber provid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ap rubber in the upper center of the cap rubber,
The air vent for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the cap fixing groove is formed with a pressing fixing portion for pressing and fixing the side surface of the cap rubber, the protrusion rubber is made to come into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wing knob.
KR1020200013661A 2020-02-05 2020-02-05 Air vent for vehicle KR10232404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3661A KR102324047B1 (en) 2020-02-05 2020-02-05 Air vent for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3661A KR102324047B1 (en) 2020-02-05 2020-02-05 Air vent for vehic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9826A true KR20210099826A (en) 2021-08-13
KR102324047B1 KR102324047B1 (en) 2021-11-08

Family

ID=773136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3661A KR102324047B1 (en) 2020-02-05 2020-02-05 Air vent for vehic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4047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23695B1 (en) * 2023-07-19 2024-01-11 주식회사 제이피씨오토모티브 Vehicle of airvent having fix-dec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96279A (en) * 2007-10-16 2009-05-07 Moriroku Technology Co Ltd Air supply direction changing device of air-conditioning outlet
JP2016539840A (en) * 2013-12-06 2016-12-22 ニフコ コリア インコーポレイティッド Structure for attaching wing knob for vehicle vent
KR101878168B1 (en) 2015-11-05 2018-07-13 유진레이델 주식회사 an emotional air-vent with detect the operating Status
KR102046809B1 (en) * 2018-07-09 2019-11-20 유진에스엠알시오토모티브테크노 주식회사 An deco-airvent for a vehicl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96279A (en) * 2007-10-16 2009-05-07 Moriroku Technology Co Ltd Air supply direction changing device of air-conditioning outlet
JP2016539840A (en) * 2013-12-06 2016-12-22 ニフコ コリア インコーポレイティッド Structure for attaching wing knob for vehicle vent
KR101878168B1 (en) 2015-11-05 2018-07-13 유진레이델 주식회사 an emotional air-vent with detect the operating Status
KR102046809B1 (en) * 2018-07-09 2019-11-20 유진에스엠알시오토모티브테크노 주식회사 An deco-airvent for a vehicl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23695B1 (en) * 2023-07-19 2024-01-11 주식회사 제이피씨오토모티브 Vehicle of airvent having fix-dec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24047B1 (en) 2021-1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24047B1 (en) Air vent for vehicle
JP2017526579A (en) Automotive air vent
US7018288B2 (en) Register for air conditioning
KR102359587B1 (en) Apparatus for Air Vent of Vehicle
KR20210059459A (en) Device for adjusting air flow direction of slim type air vent for vehicle
KR200452765Y1 (en) Air vent for vehicle
CN111791675B (en) Ventilation device
KR102298978B1 (en) Decoration for Interior of the Vehicle
KR20090007164A (en) Air flow adjusting device
KR20210046070A (en) air blower
JP6842346B2 (en) register
KR102308675B1 (en) Air vent for vehicle
KR101481916B1 (en) Air vent for automobile
KR200404464Y1 (en) air-vent for automobile
US20220153093A1 (en) Slim type air vent for vehicle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CN115701390A (en) Air vent for vehicle
KR100462189B1 (en) Regulator for air blowing port
CN217944848U (en) Air outlet assembly and vehicle
JPH0840063A (en) Valve opening-closing device of air conditioner for vehicle
KR102432863B1 (en) Automotive slim air vent
KR100571663B1 (en) Damper opening and shutting mechanism of air vent for vehicle
KR101290663B1 (en) Air-vent for vehicl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20050046938A (en) Damper opening and shutting mechanism of air vent for vehicle
KR19990011389U (en) Air Vent Nozzle Mechanism
JPH07232548A (en) Damper opening and clos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