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8675B1 - Air vent for vehicle - Google Patents

Air vent for vehic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08675B1
KR102308675B1 KR1020200013659A KR20200013659A KR102308675B1 KR 102308675 B1 KR102308675 B1 KR 102308675B1 KR 1020200013659 A KR1020200013659 A KR 1020200013659A KR 20200013659 A KR20200013659 A KR 20200013659A KR 102308675 B1 KR102308675 B1 KR 1023086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nob
wing
assembly
hook
rub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365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10099825A (en
Inventor
전완수
Original Assignee
일리노이즈 툴 워크스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일리노이즈 툴 워크스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일리노이즈 툴 워크스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to KR10202000136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8675B1/en
Publication of KR202100998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9982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86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867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4Nozzles; Air-diffusers
    • B60H1/3414Nozzles; Air-diffuser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air stream direction
    • B60H1/3428Nozzles; Air-diffuser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air stream direction using a set of pivoting shutters and a pivoting fram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65Control members, e.g. levers or kno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4Nozzles; Air-diffusers
    • B60H2001/3471Details of actuators
    • B60H2001/3478Details of actuators acting on additional damper do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4Nozzles; Air-diffusers
    • B60H2001/3492Manufacturing; Assembl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에어벤트의 몸체를 이루며 송풍 유로를 형성하는 케이싱;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며, 회전을 통해 송풍 방향을 변경하는 제1 메인 윙을 갖는 제1 윙 조립체; 상기 제1 윙 조립체의 후방에 구비되되, 수직 방향으로 배치되며 회전을 통해 송풍 방향을 변경하는 제2 메인 윙을 갖는 제2 윙 조립체; 및 상기 제1 윙 조립체와 제2 윙 조립체를 회전시키며 송풍 방향을 변경하는 노브 조립체를 포함하되, 상기 노브 조립체는, 상기 제1 메인 윙이 삽입되는 삽입 공간부가 형성되고, 후부에는 후크부가 구비된 제1 윙 노브; 및 외면에 단턱을 이루며 상기 후크부와 체결되는 후크 결합부가 형성된 제2 윙 노브를 가지며, 상기 제1 윙 노브와 제2 윙 노브의 결합시, 상기 후크부는 상기 후크 결합부를 감싸도록 결합되는 것인 차량용 에어벤트를 제공한다.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casing forming a body of an air vent and forming a blow passage; a first wing assembly disposed in a horizontal direction inside the casing and having a first main wing configured to change a blowing direction through rotation; a second wing assembly provided at the rear of the first wing assembly, disposed in a vertical direction, and having a second main wing configured to change a blowing direction through rotation; and a knob assembly for changing the blowing direction while rotating the first wing assembly and the second wing assembly, wherein an insertion space into which the first main wing is inserted is formed, and a hook part is provided at the rear a first wing knob; and a second wing knob formed with a step on the outer surface and formed with a hook coupling part fastened with the hook part, wherein when the first wing knob and the second wing knob are coupled, the hook part is coupled to surround the hook coupling part Provides air vents for vehicles.

Description

차량용 에어벤트{AIR VENT FOR VEHICLE}Air vent for vehicle {AIR VENT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에어벤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풍향을 조절하는 노브 조립체의 작동성이 향상되고, 노브 조립체의 파손 발생시 교체가 간편하도록 이루어진 차량용 에어벤트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 vent for a vehicl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ir vent for a vehicle in which operability of a knob assembly for controlling a wind direction is improved, and replacement is easy when the knob assembly is damaged.

자동차에 구비되는 에어벤트는 주로 냉난방장치에 적용하여 에어컨이나 히터로부터 발생되는 냉난방 기류를 차실 내부로 유입하는 것으로, 기류가 흐르는 덕트의 차실방향 단부에 설치된다.Air vents provided in automobiles are mainly applied to heating and cooling devices to introduce heating and cooling airflow generated from air conditioners or heaters into the interior of the vehicle, and are installed at the end of the duct through which the airflow flows.

일반적으로, 에어벤트는 몸체를 형성하는 케이싱과 케이싱 내부에 수평방향으로 힌지결합되어 송풍 방향을 상하로 변경하는 제1 풍향조절판 그리고 케이싱의 내부에 수직방향으로 힌지결합되어 송풍 방향을 좌우로 변경하는 제2 풍향조절판으로 이루어진다.In general, the air vent is hing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nside the casing and the casing forming the body to change the blowing direction up and down, and the first wind direction control plate is vertically hinged inside the casing to change the blowing direction left and right. It consists of a second wind direction control plate.

도 1은 종래의 차량용 에어벤트의 노브 조립체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종래의 차량용 에어벤트의 노브 조립체의 분해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onventional knob assembly of an air vent for a vehicle, and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onventional knob assembly of an air vent for a vehicle.

도 1 및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1 풍향조절판(20)의 외측에는 노브 조립체(40)가 결합된다. 이러한 노브 조립체(40)는 제1 노브(41)와 제2 노브(45)를 포함한다.1 and 2 , the knob assembly 40 is coupled to the outside of the first wind direction control plate 20 . This knob assembly 40 includes a first knob 41 and a second knob 45 .

여기서 제1 노브(41)에는 관통부(42)가 형성되어, 제1 풍향조절판(20)은 관통부(42)에 관통 삽입된다.Here, a through portion 42 is formed in the first knob 41 , and the first wind direction control plate 20 is inserted through the through portion 42 .

그리고 제1 노브(41)의 후측 상부와 하부에는 후크 형태의 상부 결합돌기(43)와 하부 결합돌기(44)가 각각 구비된다. 그리고 제2 노브(45)에는 상부 결합돌기(43)과 하부 결합돌기(44)에 후크 결합되는 상부 후크 결합홀(46)과 하부 후크 결합홀(47)이 형성된다.In addition, an upper engaging protrusion 43 and a lower engaging protrusion 44 in the form of a hook are provided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rear side of the first knob 41 , respectively. And the second knob 45 has an upper hook coupling hole 46 and a lower hook coupling hole 47 hook-coupled to the upper coupling protrusion 43 and the lower coupling protrusion 44 are formed.

따라서, 관통부(42)에 제1 풍향조절판(20)이 배치된 상태에서 제1 노브(41)와 제2 노브(45)는 후크 결합을 통해 제1 풍향조절판(20)을 고정시킬 수 있다.Accordingly, in a state in which the first wind direction control plate 20 is disposed in the through portion 42 , the first knob 41 and the second knob 45 may fix the first wind direction control plate 20 through hook coupling. .

이와 같이, 제1 노브(41)와 제2 노브(45)가 결합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노브 조립체(40)를 통해 제1 풍향조절판(20) 및 제1 풍향조절판(20)의 후부에 배치된 제2 풍향조절판(미도시)을 선택적으로 조정하며, 차량 내부로 토출되는 공기의 송풍 방향을 선택적으로 조정할 수 있다.In this way, in a state in which the first knob 41 and the second knob 45 are coupled, the user can use the knob assembly 40 to be disposed at the rear of the first wind direction control plate 20 and the first wind direction control plate 20 through the knob assembly 40 . The second wind direction control plate (not shown) may be selectively adjusted, and the blowing direction of air discharged into the vehicle may be selectively adjusted.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차량용 에어벤트(10)는 예를 들어, 제1 노브(41)와 제2 노브(45) 및 제1 풍향조절판(20)을 결합함에 있어, 각 구성간 유격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사용자가 요구하는 위치로 노브 조립체(40)를 정밀하게 제어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However, in this conventional vehicle air vent 10, for example, when combining the first knob 41, the second knob 45, and the first wind direction control plate 20, there is a problem that there is a gap between the respective components. have. Accordingly,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user cannot precisely control the knob assembly 40 to the position required by the user.

그리고 종래의 노브 조립체(40)는 파손 발생시, 교체 작업에 어려움이 있다.And when the conventional knob assembly 40 is damaged, it is difficult to replace it.

예를 들어, 제1 풍향조절판(20)에 방향제를 장착한 상태에서 노브 조립체(40)의 조절이 이루어지는 경우, 제1 노브(41)에 구비된 후크 형태의 상부 결합돌기(43)와 하부 결합돌기(44)의 결합 부위에는 응력이 크게 작용하게 되어, 상부 결합돌기(43)와 하부 결합돌기(44)가 파손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knob assembly 40 is adjusted in a state in which the air freshener is mounted on the first wind direction control plate 20 , the hook-shaped upper coupling protrusion 43 provided on the first knob 41 and the lower coupling are performed. Stress is greatly applied to the coupling portion of the protrusion 44 , and the upper coupling protrusion 43 and the lower coupling protrusion 44 may be damaged.

이와 같이, 노브 조립체(40)의 파손 발생시, 파손된 제1 노브(41)와 제2 노브(45)를 분리시킨 후, 새로운 노브 조립체(40)로 교체 작업이 이루어져야 한다. 그러나 종래의 차량용 에어벤트(10)는 상부 결합돌기(43)가 상부 후크 결합홀(46)에 관통 삽입된 상태로 후크 결합이 이루어지고, 하부 결합돌기(44) 역시 하부 후크 결합홀(47)에 관통 삽입된 상태로 후크 결합이 이루어지는 구조로, 제1 노브(41)와 제2 노브(45)의 분리 작업에 어려움이 있다.As such, when the knob assembly 40 is damaged, the first knob 41 and the second knob 45 are separated, and then a replacement operation must be performed with a new knob assembly 40 . However, in the conventional vehicle air vent 10, hook coupling is made in a state in which the upper coupling protrusion 43 is inserted through the upper hook coupling hole 46, and the lower coupling protrusion 44 is also a lower hook coupling hole 47. With a structure in which the hook is coupled in a state of being inserted through the , it is difficult to separate the first knob 41 and the second knob 45 .

그리고 노브 조립체(40)를 조립하는 과정에서도 상부 결합돌기(43)와 상부 후크 결합홀(46)의 후크 결합과, 하부 결합돌기(44)와 하부 후크 결합홀(47)의 후크 결합에도 어려움이 있다. 즉, 종래의 노브 조립체(40)는 분리 및 조립 작업에 어려움이 있다.Also, in the process of assembling the knob assembly 40, it is difficult to combine the hooks of the upper coupling protrusion 43 and the upper hook coupling hole 46, and the hook coupling of the lower coupling protrusion 44 and the lower hook coupling hole 47. have. That is, the conventional knob assembly 40 is difficult to separate and assemble.

선행문헌 1 : 한국등록특허 제10-1878168호(2018.07.09)Prior Document 1: Korean Patent No. 10-1878168 (2018.07.09)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풍향을 조절하는 노브 조립체의 작동성이 향상되고, 노브 조립체의 파손 발생시 교체가 간편하도록 이루어진 차량용 에어벤트를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is to provide an air vent for a vehicle in which the operability of the knob assembly for controlling the wind direction is improved and the replacement of the knob assembly is easy when the knob assembly is damaged.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에어벤트의 몸체를 이루며 송풍 유로를 형성하는 케이싱;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며, 회전을 통해 송풍 방향을 변경하는 제1 메인 윙을 갖는 제1 윙 조립체; 상기 제1 윙 조립체의 후방에 구비되되, 수직 방향으로 배치되며 회전을 통해 송풍 방향을 변경하는 제2 메인 윙을 갖는 제2 윙 조립체; 및 상기 제1 윙 조립체와 제2 윙 조립체를 회전시키며 송풍 방향을 변경하는 노브 조립체를 포함하되, 상기 노브 조립체는, 상기 제1 메인 윙이 삽입되는 삽입 공간부가 형성되고, 후부에는 후크부가 구비된 제1 윙 노브; 및 외면에 단턱을 이루며 상기 후크부와 체결되는 후크 결합부가 형성된 제2 윙 노브를 가지며, 상기 제1 윙 노브와 제2 윙 노브의 결합시, 상기 후크부는 상기 후크 결합부를 감싸도록 결합되는 것인 차량용 에어벤트를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technical object,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asing forming a body of the air vent and forming a blow passage; a first wing assembly disposed in a horizontal direction inside the casing and having a first main wing configured to change a blowing direction through rotation; a second wing assembly provided at the rear of the first wing assembly, disposed in a vertical direction, and having a second main wing configured to change a blowing direction through rotation; and a knob assembly for changing the blowing direction while rotating the first wing assembly and the second wing assembly, wherein an insertion space into which the first main wing is inserted is formed, and a hook part is provided at the rear a first wing knob; and a second wing knob formed with a step on the outer surface and formed with a hook coupling part fastened with the hook part, wherein when the first wing knob and the second wing knob are coupled, the hook part is coupled to surround the hook coupling part Provides air vents for vehicles.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노브 조립체의 좌, 우 이동시, 사용자가 요구하는 위치에 상기 노브 조립체가 고정되도록 하는 제1 작동 제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작동 제어부는, 상기 제1 메인 윙에 형성된 가이드홀에 삽입되며, 상기 가이드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되는 부시 러버; 및 상기 부시 러버에 형성된 핀 삽입홀에 삽입되며, 상기 노브 조립체의 이동시, 상기 부시 러버를 이동시키는 가이드 핀을 가지며, 상기 부시 러버는 상기 가이드홀의 길이 방향으로 장변부가 형성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부시 러버의 외측면은 상기 가이드홀에 맞닿도록 이루어지되, 미리 정해진 힘 이상으로 상기 노브 조립체를 이동시킬 시, 상기 부시 러버는 탄성 압축된 상태에서 이동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knob assembly is moved left and right, it further comprises a first operation control unit for fixing the knob assembly to a position required by a user, wherein the first operation control unit, a bush rubber inserted into the guide hole formed in the main wing and moved along the length direction of the guide hole; and a guide pin inserted into the pin insertion hole formed in the bush rubber, and configured to move the bush rubber when the knob assembly is moved, wherein the bush rubber has a long side portion formed in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guide hole, the bush rubber The outer surface of the doedoe is made to contact the guide hole, and when the knob assembly is moved by a predetermined force or more, the bush rubber may be moved in an elastically compressed state.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노브 조립체의 상, 하 이동시, 사용자가 요구하는 위치에 상기 노브 조립체가 고정되도록 하는 제2 작동 제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작동 제어부는, 상기 제1 메인 윙의 상면에 형성된 캡 고정홈에 삽입되어 지지 고정되는 캡 러버; 및 상기 캡 러버의 상부 중앙에 상기 캡 러버의 길이 방향을 따라 구비되는 돌기 러버를 갖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캡 고정홈에는 상기 캡 러버의 측면을 가압하여 고정시키는 가압 고정부가 형성되고, 상기 돌기 러버는 상기 제1 윙 노브의 내측면과 접촉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knob assembly moves up and down, it further comprises a second operation control unit for fixing the knob assembly to a position required by a user, wherein the second operation control unit, the first a cap rubber inserted into the cap fixing groov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wing to be supported and fixed; and a protrusion rubber provid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ap rubber at an upper center of the cap rubber, and a pressing fixing part for pressing and fixing a side surface of the cap rubber is formed in the cap fixing groove, the protrusion rubber includes It may be made to contact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wing knob.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윙 노브는, 상기 제1 메인 윙에 구비된 이동 안내바가 삽입되는 이동 안내홈이 형성된 제2 노브 몸체부; 상기 제2 노브 몸체부의 양단 상부와 하부에 형성된 후크 결합부; 상기 후크 결합부와 이웃하게 배치되며, 체결 삽입홈이 형성된 제1 지지부; 상기 제1 지지부와 이웃하게 배치되며, 안착 삽입홈이 형성된 제2 지지부; 및 상기 제2 지지부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가이드 핀의 핀부가 삽입되는 핀 관통홀이 형성된 연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wing knob may include: a second knob body portion having a movement guide groove into which a movement guide bar provided in the first main wing is inserted; hook coupling portions formed on upper and lower portions of both ends of the second knob body; a first support part disposed adjacent to the hook coupling part and having a fastening insertion groove; a second support portion disposed adjacent to the first support portion and having a seating insertion groove; and an extension portion extending from the second support portion and having a pin through hole into which the pin portion of the guide pin is inserted.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윙 노브는, 상기 삽입 공간부를 형성하는 상부 몸체부와 하부 몸체부를 갖는 제1 노브 몸체부; 상기 제1 노브 몸체부의 양단 상부와 하부에 구비되며, 상기 후크 결합부와 후크 결합되는 후크부; 상기 후크부와 이웃하게 배치되며, 상기 체결 삽입홈에 삽입되는 체결 지지부; 및 상기 체결 지지부와 이웃하게 배치되며, 상기 안착 삽입홈에 안착 삽입되는 안착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 몸체부에는 상기 상부 몸체부의 하면으로부터 상기 삽입 공간부로 돌출되는 밀착 지지부가 구비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wing knob may include: a first knob body having an upper body and a lower body forming the insertion space; a hook portion provided at upper and lower portions of both ends of the first knob body portion, the hook portion being hook-coupled to the hook coupling portion; a fastening support part disposed adjacent to the hook part and inserted into the fastening insertion groove; and a seating support part disposed adjacent to the fastening support part and being seated and inserted into the seating insertion groove, wherein the upper body part may be provided with a close contact support part protruding from a lower surface of the upper body part into the insertion space.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윙 노브에는 상기 하부 몸체부의 내측면으로부터 상기 삽입 공간부로 돌출된 돌출 지지부가 구비되고, 상기 돌출 지지부는 상기 제1 메인 윙의 하부에 형성된 이동 지지바를 지지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wing knob is provided with a protruding support portion protruding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lower body portion to the insertion space, the protruding support portion is a movable support bar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first main wing. can support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체결 지지부는 상기 제1 노브 몸체부로부터 멀어질수록 두께가 얇아지도록 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제1 노브 몸체부와 인접한 상기 체결 지지부의 외측면에는 체결 가압부가 구비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astening support portion is formed with an inclined surface such that the thickness becomes thinner as it goes away from the first knob body portion, and a fastening pressing portion is form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fastening support portion adjacent to the first knob body portion. can be provided.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에어벤트의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effect of the air vent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본 발명에 따르면, 제1 윙 노브와 제2 윙 노브의 결합시, 제1 윙 노브에 구비된 후크부는 제2 윙 노브의 외측면에 형성된 후크 결합부에 후크 결합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first wing knob and the second wing knob are coupled, the hook part provided in the first wing knob is hook-coupled to the hook coupling part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wing knob.

이와 같이, 후크부와 후크 결합부의 후크 결합은 종래의 후크 형태의 결합돌기가 후크 결합홀에 관통 삽입된 상태에서 후크 결합이 이루어지는 구조와는 달리, 후크부가 후크 결합부의 외측을 감싼 상태로 후크 결합이 이루어진다.In this way, the hook coupling of the hook part and the hook coupling part is different from the structure in which the hook coupling is performed in a state in which the conventional hook-type coupling protrusion is inserted through the hook coupling hole, the hook coupling the hook in a state that the hook part wraps the outside of the hook coupling part. this is done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노브 조립체는 제1 윙 노브와 제2 윙 노브의 후크 결합이 간편하게 이루어짐은 물론 노브 조립체의 파손 발생시, 제1 윙 노브와 제2 윙 노브의 분리 작업도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노브 조립체의 파손시, 해당 노브 조립체의 교체 작업은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Accordingly, in the knob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ook coupling between the first wing knob and the second wing knob is easily performed, and when the knob assembly is damaged, the separation of the first wing knob and the second wing knob can be easily performed. Accordingly, when the knob assembly is damaged, the replacement operation of the corresponding knob assembly can be easily performed.

본 발명에 따르면, 노브 조립체에는 제1 작동 제어부와 제2 작동 제어부가 구비된다. 이러한 제1 작동 제어부와 제2 작동 제어부는 탄성 재질의 러버가 구비됨에 따라 사용자가 노브 조립체를 조정함에 있어, 정밀 제어가 이루어질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knob assembly is provided with a first operation control and a second operation control. As the first operation control unit and the second operation control unit are provided with an elastic rubber, precise control can be achieved when the user adjusts the knob assembly.

즉, 사용자는 사용자가 요구하는 위치로 노브 조립체를 정확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풍햐을 조절하는 노브 조립체의 작동성은 향상될 수 있다.That is, the user can precisely move the knob assembly to a position required by the user. Accordingly, the operability of the knob assembly for controlling the air can be improved.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ffects, and include all effects that can be inferred from the configuration of the invention describ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r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종래의 차량용 에어벤트의 노브 조립체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의 차량용 에어벤트의 노브 조립체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에어벤트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 메인 윙과 노브 조립체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 작동 제어부와 제2 작동 제어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 작동 제어부와 제2 작동 제어부의 조립 상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 윙 노브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2 윙 노브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부에서 바라본 제1 메인 윙과 노브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부에서 바라본 제1 메인 윙과 노브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에어벤트의 개략적인 단면 예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knob assembly of a conventional vehicle air vent.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knob assembly of a conventional vehicle air vent.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 air vent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ombined perspective view of a first main wing and a knob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first operation control unit and a second operation control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n assembly state diagram of a first operation control unit and a second operation control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erspective view of a first wing knob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perspective view of a second wing knob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first main wing and a knob assembly as viewed from abov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first main wing and knob assembly viewed from the botto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n air vent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several different forms, and thus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And in order to clear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rawings, parts irrelevant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similar reference numerals are attached to similar par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connected" with another part, this includes not only the case where it is "directly connected" but also the case where it is "indirectly connected" with another member interposed therebetween. . In addition, when a part "includes" a certain component, this means that other components may be further provided without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otherwise stated.

본 발명에서 상부와 하부는 대상부재의 위 또는 아래에 위치함을 의미하는 것으로, 반드시 중력방향을 기준으로 상부 또는 하부에 위치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and lower parts mean positioned above or below the target member, and do not necessarily mean positioned at the upper or lower part with respect to the direction of gravity.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에어벤트의 분해 사시도이다.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 air vent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차량용 에어벤트(1000)는 케이싱(100), 제1 윙 조립체(200), 제2 윙 조립체(300) 및 노브 조립체(400)를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3 , the vehicle air vent 1000 may include a casing 100 , a first wing assembly 200 , a second wing assembly 300 , and a knob assembly 400 .

여기서 케이싱(100)은 차량용 에어벤트(1000)의 몸체를 이루며 송풍 유로를 형성하도록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케이싱(100)의 내부에는 제1 윙 조립체(200)와 제2 윙 조립체(300)가 구비되어, 송풍 유로를 통해 차량의 내부에 배출되는 공기는 제1 윙 조립체(200)와 제2 윙 조립체(300)에 의해 송풍 방향이 조절될 수 있다.Here, the casing 100 forms a body of the vehicle air vent 1000 and forms a blow passage. The first wing assembly 200 and the second wing assembly 300 are provided inside the casing 100, and the air discharged into the vehicle through the blowing passage is the first wing assembly 200 and the second The blowing direction may be adjusted by the wing assembly 300 .

제1 윙 조립체(200)는 제1 메인 윙(210)과 제1 보조 윙(220)을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wing assembly 200 may include a first main wing 210 and a first auxiliary wing 220 .

이러한 제1 윙 조립체(200)는 케이싱(100)의 내부에 구비되되, 수평 방향으로 배치된다.The first wing assembly 200 is provided inside the casing 100, and is disposed in a horizontal direction.

여기서 제1 보조 윙(220)은 제1 메인 윙(210)으로부터 이격 배치되며, 제1 메인 윙(210)의 작동에 따라 제1 메인 윙(210)과 함께 작동되도록 이루어진다. 즉, 제1 메인 윙(210)과 제1 보조 윙(220)은 제1 링크부재(230)에 의해 연결되어, 제1 메인 윙(210)의 작동에 따라 제1 보조 윙(220)은 함께 회전될 수 있다.Here, the first auxiliary wing 220 is spaced apart from the first main wing 210 and is configured to operate together with the first main wing 210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first main wing 210 . That is, the first main wing 210 and the first auxiliary wing 220 are connected by the first link member 230 , and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first main wing 210 , the first auxiliary wing 220 is together can be rotated.

그리고 제1 메인 윙(210)의 양단부에는 제1 회전축(211)이 구비되어, 제1 메인 윙(210)은 제1 회전축(211)을 기준으로 수평 방향에 대해 상, 하로 회전될 수 있다.In addition, first rotation shafts 211 are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first main wing 210 , so that the first main wing 210 can be rotated up and down in a horizont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first rotation shaft 211 .

이와 같은 제1 윙 조립체(200)는 제1 회전축(211)을 기준으로 상, 하로 회전 가능하도록 이루어져, 송풍 유로로부터 배출되는 공기의 상, 하 방향을 조정하게 된다.The first wing assembly 200 is configured to be rotatable up and down with respect to the first rotation shaft 211 , thereby adjusting the up and down directions of the air discharged from the air flow passage.

한편, 제2 윙 조립체(300)는 제2 메인 윙(310)과 제2 보조 윙(320)을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second wing assembly 300 may include a second main wing 310 and a second auxiliary wing 320 .

이러한 제2 윙 조립체(300)는 케이싱(100)의 내부에 구비되되, 수직 방향으로 배치된다. 여기서 제2 윙 조립체(300)는 제1 윙 조립체(200)의 후부에 구비된다.The second wing assembly 300 is provided inside the casing 100, and is disposed in a vertical direction. Here, the second wing assembly 300 is provided at the rear of the first wing assembly 200 .

그리고 제2 보조 윙(320)은 제2 메인 윙(310)으로부터 이격 배치되며, 제2 메인 윙(310)의 작동에 따라 제2 메인 윙(310)과 함께 작동되도록 이루어진다. 즉, 제2 메인 윙(310)과 제2 보조 윙(320)은 제2 링크부재(미도시)에 의해 연결되어, 제2 메인 윙(310)의 작동에 따라 제2 보조 윙(320)은 함께 회전될 수 있다.And the second auxiliary wing 320 is spaced apart from the second main wing 310 and is made to operate together with the second main wing 310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second main wing 310 . That is, the second main wing 310 and the second auxiliary wing 320 are connected by a second link member (not shown), and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second main wing 310 , the second auxiliary wing 320 is can be rotated together.

여기서 제2 메인 윙(310)의 양단부에는 제2 회전축(미도시)이 구비되어, 제2 메인 윙(310)은 제2 회전축을 기준으로 수직 방향에 대해 좌, 우로 회전될 수 있다.Here, second rotation shafts (not shown) are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second main wing 310 , and the second main wing 310 may rotate left and right in a vertic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second rotation shaft.

이와 같이, 제2 윙 조립체(300)는 제2 회전축을 기준으로 좌, 우로 회전 가능하도록 이루어져, 송풍 유로로부터 배출되는 공기의 좌, 우 방향을 조정하게 된다.As such, the second wing assembly 300 is configured to be rotatable left and right with respect to the second rotation axis, thereby adjusting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air discharged from the air flow passage.

한편, 노브 조립체(400)는 제1 윙 조립체(200)와 제2 윙 조립체(300)를 선택적으로 회전시키도록 이루어진다.Meanwhile, the knob assembly 400 is configured to selectively rotate the first wing assembly 200 and the second wing assembly 300 .

이러한 노브 조립체(400)는 제1 윙 노브(500)와 제2 윙 노브(600)를 포함할 수 있다.The knob assembly 400 may include a first wing knob 500 and a second wing knob 600 .

이와 같은 제1 윙 노브(500)에는 삽입 공간부(501)가 형성되어, 제1 메인 윙(210)은 삽입 공간부(501)에 삽입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윙 노브(600)는 삽입 공간부(501)에 제1 메인 윙(210)이 삽입된 상태에서 제1 윙 노브(500)와 결합된다. 즉, 노브 조립체(400)는 제1 메인 윙(210)을 지지 고정하게 된다.An insertion space 501 may be formed in the first wing knob 500 , and the first main wing 210 may be inserted into the insertion space 501 . And the second wing knob 600 is coupled to the first wing knob 500 in a state in which the first main wing 210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space 501 . That is, the knob assembly 400 supports and fixes the first main wing 210 .

그리고 제2 윙 노브(600)에는 이격 공간부(661, 도 4 참조)가 형성된 한 쌍의 조정 프레임(660)이 구비된다. 이러한 조정 프레임(660)은 제2 메인 윙(310)에 구비된 결합축(312)에 삽입된다.And the second wing knob 600 is provided with a pair of adjusting frames 660 in which the spaced space portion 661 (see FIG. 4 ) is formed. The adjustment frame 660 is inserted into the coupling shaft 312 provided on the second main wing 310 .

이와 같이, 노브 조립체(400)가 제1 메인 윙(210)을 지지 고정하고, 조정 프레임(660)이 결합축(312)에 삽입된 상태에서, 제1 윙 조립체(200)와 제2 윙 조립체(300)는 노브 조립체(400)의 작동에 따라 선택적으로 회전될 수 있다.As such, in a state in which the knob assembly 400 supports and fixes the first main wing 210 , and the adjustment frame 660 is inserted into the coupling shaft 312 , the first wing assembly 200 and the second wing assembly 300 may be selectively rotated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knob assembly 400 .

예를 들어, 사용자가 노브 조립체(400)를 좌, 우로 조정하는 경우, 제2 윙 조립체(300)는 좌, 우로 조정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노브 조립체(400)를 상, 하로 조정하는 경우, 제1 윙 조립체(200)는 상, 하로 조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는 노브 조립체(400)의 선택적인 작동을 통해 제1 윙 조립체(200)와 제2 윙 조립체(300)의 회전 방향을 선택적으로 조정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user adjusts the knob assembly 400 left and right, the second wing assembly 300 may be adjusted left and right. And when the user adjusts the knob assembly 400 up and down, the first wing assembly 200 may be adjusted up and down. As such, the user may selectively adjust the rotation directions of the first wing assembly 200 and the second wing assembly 300 through the selective operation of the knob assembly 400 .

이러한 제1 메인 윙(210)을 지지 고정하는 노브 조립체(400)는 제1 윙 노브(500)와 제2 윙 노브(600)의 후크 결합을 통해 간편하게 결합될 수 있다.The knob assembly 400 supporting and fixing the first main wing 210 may be easily coupled through the hook coupling of the first wing knob 500 and the second wing knob 600 .

여기서 제1 윙 노브(500)의 후부에는 후크부(520)가 구비되고, 제2 윙 노브(600)에는 후크부(520)와 체결되는 후크 결합부(620)가 구비되며, 후크부(520)와 후크 결합부(620)는 후크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Here, a hook part 520 is provided at the rear of the first wing knob 500 , and a hook coupling part 620 that is fastened to the hook part 520 is provided in the second wing knob 600 , and the hook part 520 . ) and the hook coupling part 620 may be hook coupled.

이때, 후크부(520)와 후크 결합이 이루어지는 후크 결합부(620)는 종래의 차량용 에어벤트와 같이 후크부가 관통 삽입되어야 하는 홀 구조로 이루어진 것이 아니라, 제2 윙 노브(600)의 외측면에 단턱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후크부(520)와 후크 결합부(620)의 후크 결합시, 후크부(520)는 후크 결합부(620)를 외측에서 감싼 상태로 결합이 이루어진다.At this time, the hook coupling part 620 in which the hook part 520 and the hook coupling is made does not have a hole structure in which the hook part is to be inserted through, like a conventional air vent for a vehicle, but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wing knob 600 . It is formed by a step. Therefore, when the hook part 520 and the hook coupling part 620 are hooked together, the hook part 520 is coupled with the hook coupling part 620 wrapped from the outside.

이와 같은 후크부(520)와 후크 결합부(620)의 후크 결합 구조는 종래의 후크부가 제2 윙 노브에 형성된 홀에 관통 삽입된 상태에서 후크 결합이 이루어지는 구조에 비해 조립이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제1 윙 노브(500)와 제2 윙 노브(600)의 조립 시간은 최소화될 수 있다.The hook coupling structure of the hook part 520 and the hook coupling part 620 can be easily assembled compared to a structure in which the conventional hook part is inserted through and inserted into the hole formed in the second wing knob. Accordingly, the assembly time of the first wing knob 500 and the second wing knob 600 may be minimized.

그리고 노브 조립체(400)의 파손 발생시에도 제1 윙 노브(500)와 제2 윙 노브(600)의 분리 작업은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노브 조립체(400)의 파손 발생시, 사용자는 상부와 하부에서 각각 후크 결합된 후크부(520)를 외측 방향으로 벌리기만하면 되기에, 제1 윙 노브(500)와 제2 윙 노브(600)의 분리 작업은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노브 조립체(400)의 파손 발생시 교체 작업이 신속하고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even when the knob assembly 400 is damaged, the separation operation of the first wing knob 500 and the second wing knob 600 can be easily performed. That is, when the knob assembly 400 is damaged, the user only needs to spread the hooks 520 coupled to the hooks from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respectively in the outward direction, so the first wing knob 500 and the second wing knob 600 . Separation work can be done easily. Accordingly, when the knob assembly 400 is damaged, the replacement operation can be performed quickly and simply.

이와 같은 후크부(520)와 후크 결합부(620)의 후크 결합 구조에 대해서는 추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The hook coupling structure of the hook part 520 and the hook coupling part 62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later.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 메인 윙과 노브 조립체의 결합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 작동 제어부와 제2 작동 제어부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 작동 제어부와 제2 작동 제어부의 조립 상태도이다.4 is a combined perspective view of a first main wing and a knob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first operation control unit and a second operation control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n assembly state diagram of the first operation control unit and the second operation control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 내지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차량용 에어벤트(1000)는 제1 작동 제어부(700)와 제2 작동 제어부(8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4 to 6 , the vehicle air vent 1000 may further include a first operation control unit 700 and a second operation control unit 800 .

이러한 제1 작동 제어부(700)와 제2 작동 제어부(800)는 사용자가 노브 조립체(400)를 통해 제1 윙 조립체(200)와 제2 윙 조립체(300)의 방향을 조정함에 있어, 사용자가 요구하는 위치에 정확하게 노브 조립체(400)가 고정되도록 한다. 즉, 제1 작동 제어부(700)와 제2 작동 제어부(800)는 사용자가 요구하는 위치로 정밀하게 제1 윙 조립체(200)와 제2 윙 조립체(300)의 방향 전환이 이루어지도록 한다.The first operation control unit 700 and the second operation control unit 800 allow the user to adjust the directions of the first wing assembly 200 and the second wing assembly 300 through the knob assembly 400 . This ensures that the knob assembly 400 is fixed precisely in the required position. That is, the first operation control unit 700 and the second operation control unit 800 allow the direction change of the first wing assembly 200 and the second wing assembly 300 to be precisely made to the positions required by the user.

여기서 제1 작동 제어부(700)는 노브 조립체(400)의 좌, 우 이동시, 사용자가 요구하는 위치에 노브 조립체(400)가 고정되도록 한다.Here, the first operation control unit 700 allows the knob assembly 400 to be fixed at a position requested by the user when the knob assembly 400 moves left and right.

이러한 제1 작동 제어부(700)는 부시 러버(710)와 가이드 핀(720)을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operation control unit 700 may include a bush rubber 710 and a guide pin 720 .

부시 러버(710)는 제1 메인 윙(210)에 형성된 가이드홀(216)에 삽입된다. 여기서 가이드홀(216)은 노브 조립체(400)의 좌, 우 이동시, 부시 러버(710)의 이동 방향을 안내하게 된다.The bush rubber 710 is inserted into the guide hole 216 formed in the first main wing 210 . Here, the guide hole 216 guides the movement direction of the bush rubber 710 when the knob assembly 400 moves left and right.

이와 같이, 가이드홀(216)에 삽입되는 부시 러버(710)의 외측면은 가이드홀(216)의 내측에 탄성 지지된 상태로 맞닿도록 이루어진다. 따라서, 부시 러버(710)에 힘이 가해지지 않는 경우, 부시 러버(710)는 가이드홀(216)에 탄성 지지되며, 노브 조립체(400)의 흔들림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As such, the outer surface of the bush rubber 710 inserted into the guide hole 216 is made to abut against the inside of the guide hole 216 while being elastically supported. Accordingly, when no force is applied to the bush rubber 710 , the bush rubber 710 is elastically supported by the guide hole 216 , and vibration of the knob assembly 400 is prevented.

그리고 가이드 핀(720)은 부시 러버(710)에 형성된 핀 삽입홀(711)에 관통 삽입된다.And the guide pin 720 is inserted through the pin insertion hole 711 formed in the bush rubber 710 .

이러한 가이드 핀(720)은 머리부(721)와 핀부(722)를 포함할 수 있다.The guide pin 720 may include a head 721 and a pin 722 .

여기서 핀부(722)는 핀 삽입홀(711)과 대응되는 형상을 이루며, 핀 삽입홀(711)에 삽입되도록 이루어진다. 이때, 핀부(722)는 핀 삽입홀(711)에 관통 삽입된 상태에서 핀부(722)의 양단부는 제2 윙 노브(600)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구비된 연장부(650)에 형성된 핀 관통홀(651)에 관통 삽입되도록 이루어진다.Here, the pin portion 722 has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pin insertion hole 711 , and is configured to be inserted into the pin insertion hole 711 . At this time, in a state in which the pin portion 722 is inserted through the pin insertion hole 711 , both ends of the pin portion 722 penetrate the pin formed in the extension portion 650 provided at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second wing knob 600 , respectively. It is made to be inserted through the hole 651.

그리고 핀부(722)의 일단부와 연결된 머리부(721)는 키 형상을 이룬다. 이렇게 키 형상을 이루는 머리부(721)는 제2 윙 노브(600)의 상부에 구비된 연장부(650)에 형성된 머리부 고정홈(652)에 삽입되어, 머리부(721)는 연장부(650)에 고정될 수 있다.And the head 721 connected to one end of the pin 722 forms a key shape. The head 721 forming the key shape is inserted into the head fixing groove 652 formed in the extension 650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second wing knob 600, and the head 721 is the extension ( 650) can be fixed.

따라서, 노브 조립체(400)의 좌, 우 이동시, 가이드 핀(720)은 노브 조립체(400)의 이동 방향을 따라 함께 이동될 수 있다.Accordingly, when the knob assembly 400 moves left and right, the guide pin 720 may move together along the moving direction of the knob assembly 400 .

다시 말해서, 노브 조립체(400)에 미리 정해진 힘 이상이 가해져, 노브 조립체(400)가 좌측 또는 우측로 이동되는 경우, 연장부(650)에 결합된 가이드 핀(720)은 연장부(650)와 함께 이동하게 된다.In other words, when more than a predetermined force is applied to the knob assembly 400 and the knob assembly 400 is moved to the left or right, the guide pin 720 coupled to the extension 650 is coupled to the extension 650 and will move together

그리고 가이드 핀(720)의 이동에 따라 핀부(722)와 결합된 부시 러버(710) 또한 함께 이동될 수 있다. 이때, 부시 러버(710)가 이동되는 과정에서 가이드홀(216)에 탄성 지지된 부시 러버(710)는 일정의 탄성 압축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이동이 이루어질 수 있다.And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guide pin 720, the bush rubber 710 coupled to the pin portion 722 may also be moved together. In this case, the bush rubber 710 elastically supported by the guide hole 216 while the bush rubber 710 is moved may be moved in a state in which a predetermined elastic compression is made.

그리고 부시 러버(710)에 가해지는 힘이 미리 정해진 힘 미만인 경우, 일정의 탄성 압축이 이루어진 부시 러버(710)는 탄성 복원이 이루어지며 원래대로 부시 러버(710)의 외측면이 가이드홀(216)에 탄성 지지된다.And when the force applied to the bush rubber 710 is less than the predetermined force, the bush rubber 710 subjected to a certain elastic compression is elastically restored,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bush rubber 710 is the guide hole 216. is elastically supported on

이와 같이, 사용자가 노브 조립체(400)를 통해 미리 정해진 힘 이상으로 노브 조립체(400)를 좌, 우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부시 러버(710)는 일정의 탄성 압축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이동되고, 사용자가 노브 조립체(400)를 사용자가 요구하는 위치로 이동시킨 상태에서 노브 조립체(400)에 가했던 힘을 해제하면, 부시 러버(710)는 탄성 복원이 이루어지며 가이드홀(216)에 탄성 지지된다.In this way, in the process of the user moving the knob assembly 400 left and right by a predetermined force or more through the knob assembly 400, the bush rubber 710 is moved in a state where a certain elastic compression is made, and the user When the force applied to the knob assembly 400 is released while the assembly 400 is moved to the position required by the user, the bush rubber 710 is elastically restored and is elastically supported by the guide hole 216 .

이와 같은 부시 러버(710)는 가로 방향의 길이가 세로 방향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된다. 즉, 부시 러버(710)의 장변부는 가이드홀(216)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도록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Such a bush rubber 710 is formed to have a length in a horizontal direction longer than a length in a vertical direction. That is, it is preferable that the long side of the bush rubber 710 is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guide hole 216 .

이는, 사용자가 미리 정해진 힘 이상을 가하여 노브 조립체(400)를 사용자가 요구하는 위치로 이동시킨 상태에서 노브 조립체(400)에 가해지는 힘을 제거할 시, 사용자가 요구하는 위치에 노브 조립체(400)가 흔들림없이 정확히 고정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다시 말해서, 가이드홀(216)에 탄성 지지되는 부시 러버(710)의 접촉면적을 넓게 형성함으로써, 사용자가 요구하는 위치로 노브 조립체(400)를 이동시킨 상태에서 노브 조립체(400)는 정확하게 고정될 수 있다.This is when the user removes the force applied to the knob assembly 400 while moving the knob assembly 400 to the position required by the user by applying a predetermined force or more, the knob assembly 400 is located at the position required by the user. ) to be accurately fixed without shaking. In other words, by forming a wide contact area of the bush rubber 710 elastically supported by the guide hole 216 , the knob assembly 400 can be accurately fixed in a state where the knob assembly 400 is moved to a position required by the user. can

이와 같이, 제1 작동 제어부(700)에 구비된 부시 러버(710)는 사용자가 요구하는 방향으로 제2 윙 조립체(300)의 방향을 조정한 상태에서 제2 윙 조립체(300)의 이동 및 흔들림을 방지하게 된다. 따라서, 노브 조립체(400)의 작동성은 개선될 수 있다.As such, the bush rubber 710 provided in the first operation control unit 700 moves and shakes the second wing assembly 300 in a state in which the direction of the second wing assembly 300 is adjusted in the direction required by the user. will prevent Accordingly, the operability of the knob assembly 400 may be improved.

한편, 제2 작동 제어부(800)는 노브 조립체(400)의 상, 하 이동시, 사용자가 요구하는 위치에 노브 조립체(400)가 고정되도록 한다.Meanwhile, the second operation control unit 800 allows the knob assembly 400 to be fixed at a position requested by the user when the knob assembly 400 moves up and down.

이러한 제2 작동 제어부(800)는 캡 러버(810)와 돌기 러버(820)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operation control unit 800 may include a cap rubber 810 and a protrusion rubber 820 .

여기서 캡 러버(810)는 제1 메인 윙(210)의 상면에 형성된 캡 고정홈(214)에 캡 러버(810)의 테두리가 삽입되어, 캡 러버(810)는 제1 메인 윙(210)의 상면에 고정될 수 있다.Here, in the cap rubber 810 , the rim of the cap rubber 810 is inserted into the cap fixing groove 214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main wing 210 , and the cap rubber 810 is the first main wing 210 of the first main wing 210 . It can be fixed to the upper surface.

이와 같은 캡 고정홈(214)에는 삽입되는 캡 러버(810)의 측면을 가압하는 가압 고정부(215)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캡 고정홈(214)에 삽입되는 캡 러버(810)는 가압 고정부(215)에 의해 더욱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가압 고정부(215)는 캡 고정홈(214)의 둘레를 따라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다.A pressure fixing part 215 for pressing the side of the cap rubber 810 to be inserted may be formed in the cap fixing groove 214 . Accordingly, the cap rubber 810 inserted into the cap fixing groove 214 may be more firmly fixed by the pressing fixing part 215 . A plurality of such pressure fixing units 215 may be provid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cap fixing groove 214 .

그리고 돌기 러버(820)는 캡 러버(810)의 상부면에 구비된다. 이러한 돌기 러버(820)는 캡 러버(810)의 중앙에 구비되되, 캡 러버(8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구비될 수 있다.And the protrusion rubber 820 is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ap rubber 810 . The protrusion rubber 820 is provided in the center of the cap rubber 810 , and may be provid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ap rubber 810 .

이와 같은 돌기 러버(820)는 제1 윙 노브(500)와 제2 윙 노브(600)의 결합시, 제1 윙 노브(500)의 내측면에 접촉된다. 즉, 돌기 러버(820)는 제1 윙 노브(500)에 구비된 상부 몸체부(511)의 내측면에 탄성 지지되도록 이루어진다.When the first wing knob 500 and the second wing knob 600 are coupled, the protrusion rubber 820 comes into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wing knob 500 . That is, the protrusion rubber 820 is made to be elastically support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upper body portion 511 provided in the first wing knob 500 .

이와 같이, 돌기 러버(820)는 상부 몸체부(511)의 내측면에 탄성 지지됨에 따라, 제1 메인 윙(210)에 고정된 제2 작동 제어부(800)와 상부 몸체부(511) 간에는 유격 발생이 방지된다.As such, as the protrusion rubber 820 is elastically support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upper body 511 , there is a gap between the second operation control unit 800 fixed to the first main wing 210 and the upper body 511 . occurrence is prevented.

따라서, 제1 메인 윙(210)에 고정된 캡 러버(810)는 상부 몸체부(511)에 탄성 지지됨에 따라, 노브 조립체(400)를 상, 하로 이동시키는 과정에서 제1 메인 윙(210)의 상, 하 이동은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Accordingly, as the cap rubber 810 fixed to the first main wing 210 is elastically supported by the upper body 511, the first main wing 210 in the process of moving the knob assembly 400 up and down. Up and down movement of clothes can be made accurately.

이와 같이, 차량용 에어벤트(1000)에는 제1 작동 제어부(700)와 제2 작동 제어부(800)가 구비됨에 따라 노브 조립체(400)의 작동성은 개선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작동 제어부(700)에 구비된 부시 러버(710)와 제2 작동 제어부(800)에 구비된 캡 러버(810) 및 돌기 러버(820)는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부시 러버(710), 캡 러버(810) 및 돌기 러버(820)는 반드시 실리콘 재질로만 이루어져야 하는 것은 아니며, 이외의 다양한 탄성 재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As such, as the first operation control unit 700 and the second operation control unit 800 are provided in the vehicle air vent 1000 , the operability of the knob assembly 400 may be improved. Here, the bush rubber 710 provided in the first operation control unit 700 and the cap rubber 810 and the protrusion rubber 820 provided in the second operation control unit 800 may be made of a silicon material. At this time, the bush rubber 710 , the cap rubber 810 , and the protrusion rubber 820 are not necessarily made of a silicon material, but may be made of various other elastic materials.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 윙 노브의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2 윙 노브의 사시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부에서 바라본 제1 메인 윙과 노브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부에서 바라본 제1 메인 윙과 노브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에어벤트의 개략적인 단면 예시도이다.7 is a perspective view of a first wing knob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perspective view of a second wing knob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9 is an upper pa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first main wing and knob assembly as viewed from, FIG. 10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first main wing and knob assembly as viewed from the botto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It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illustration of an air vent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 내지 도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노브 조립체(400)는 제1 윙 노브(500)와 제2 윙 노브(600)를 포함할 수 있다.7 to 11 , the knob assembly 400 may include a first wing knob 500 and a second wing knob 600 .

이러한 제1 윙 노브(500)는 제1 노브 몸체부(510), 후크부(520), 체결 지지부(530) 및 안착 지지부(540)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wing knob 500 may include a first knob body part 510 , a hook part 520 , a fastening support part 530 , and a seating support part 540 .

여기서 제1 노브 몸체부(510)는 제1 윙 노브(500)의 전체적인 외형을 이룬다.Here, the first knob body 510 forms the overall outer shape of the first wing knob 500 .

이와 같은 제1 노브 몸체부(510)는 상부 몸체부(511)와 하부 몸체부(512)가 연결 형성되며, 상부 몸체부(511)와 하부 몸체부(512) 사이에는 삽입 공간부(501)가 형성된다.The first knob body part 510 is formed by connecting the upper body part 511 and the lower body part 512, and an insertion space part 501 between the upper body part 511 and the lower body part 512. is formed

그리고 상부 몸체부(511)에는 밀착 지지부(513)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밀착 지지부(513)는 상부 몸체부(511)의 하면으로부터 삽입 공간부(501)로 돌출되도록 이루어진다.And the upper body portion 511 may be further provided with a close contact support (513). This close support portion 513 is made to protrude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body portion 511 to the insertion space portion (501).

이와 같은 밀착 지지부(513)는 제1 윙 노브(500)와 제2 윙 노브(600)의 결합시, 캡 러버(810)의 측면에 밀착 고정되도록 이루어진다. 따라서, 제1 메인 윙(210)에 고정된 제2 작동 제어부(800)와 상부 몸체부(511) 간에는 유격 발생이 방지된다.When the first wing knob 500 and the second wing knob 600 are coupled to each other, the close support 513 is configured to be closely fixed to the side surface of the cap rubber 810 . Accordingly, a gap is prevented from occurring between the second operation control unit 800 fixed to the first main wing 210 and the upper body portion 511 .

그리고 하부 몸체부(512)에는 돌출 지지부(514)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돌출 지지부(514)는 하부 몸체부(512)의 내측면으로 삽입 공간부(501)로 돌출되도록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돌출 지지부(514)는 제1 메인 윙(210)의 하부에 형성된 이동 지지바(212)를 지지하게 된다. 이에, 제1 윙 노브(500)와 제2 윙 노브(600)가 결합된 상태에서 돌출 지지부(514)는 제1 메인 윙(210)을 안정적으로 지지하게 된다.In addition, the lower body portion 512 may further include a protruding support portion 514 . The protruding support 514 is made to protrude into the insertion space 501 toward the inner surface of the lower body 512 . Such a protruding support 514 supports the movable support bar 212 formed under the first main wing 210 . Accordingly, in a state in which the first wing knob 500 and the second wing knob 600 are coupled, the protruding support 514 stably supports the first main wing 210 .

그리고 후크부(520)는 제1 노브 몸체부(510)의 양단 상부와 하부에 구비된다. 즉, 후크부(520)는 상부 몸체부(511)의 양단부와 하부 몸체부(512)의 양단부에 각각 구비된다.In addition, the hook part 520 is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first knob body part 510 in the upper and lower parts. That is, the hook part 520 is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upper body part 511 and both ends of the lower body part 512 , respectively.

이와 같은 후크부(520)는 제2 윙 노브(600)에 형성된 후크 결합부(620)와 후크 결합이 이루어진다.The hook part 520 is hook-coupled to the hook coupling part 620 formed on the second wing knob 600 .

그리고 체결 지지부(530)는 후크부(520)와 이웃하게 배치된다. 이러한 체결 지지부(530)는 제2 윙 노브(600)에 형성된 체결 삽입홈(631)에 삽입 결합된다.And the fastening support part 530 is disposed adjacent to the hook part 520 . The fastening support 530 is inserted and coupled to the fastening insertion groove 631 formed in the second wing knob 600 .

이와 같은 체결 지지부(530)는 제1 노브 몸체부(510)로부터 멀어질수록 두께가 얇아지도록 형성된다. 즉, 체결 지지부(530)에는 경사면이 형성되어 제1 노브 몸체부(510)로 멀리 떨어진 위치의 체결 지지부(530)의 두께는 얇도록 이루어진다.The fastening support 530 is formed to have a thinner thickness as it moves away from the first knob body 510 . That is, the fastening support 530 is formed with an inclined surface so that the thickness of the fastening support 530 at a location far away from the first knob body 510 is thin.

이는, 제1 윙 노브(500)와 제2 윙 노브(600)의 결합시, 체결 지지부(530)가 체결 삽입홈(631)에 삽입됨에 있어, 초기 결합이 수월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함이다.This is so that when the first wing knob 500 and the second wing knob 600 are coupled, the fastening support 530 is inserted into the fastening insertion groove 631 to facilitate initial coupling.

그리고 제1 노브 몸체부(510)와 인접한 체결 지지부(530)의 외측면에는 체결 가압부(531)가 구비된다. 즉, 제1 윙 노브(500)와 제2 윙 노브(600)가 완전하게 결합된 상태에서, 이러한 체결 가압부(531)는 체결 삽입홈(631)의 내측면을 가압하도록 이루어짐에 따라 제1 윙 노브(500)와 제2 윙 노브(600)는 견고한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a fastening pressing part 531 is provid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fastening support part 530 adjacent to the first knob body part 510 . That is, in a state in which the first wing knob 500 and the second wing knob 600 are completely coupled, the fastening pressing part 531 is configured to press the inner surface of the fastening insertion groove 631 , so that the first The wing knob 500 and the second wing knob 600 may be firmly coupled.

그리고 안착 지지부(540)는 체결 지지부(530)와 이웃하게 배치된다.And the seating support 540 is disposed adjacent to the fastening support 530 .

이러한 안착 지지부(540)는 제2 윙 노브(600)에 형성된 안착 삽입홈(641)에 안착 지지 결합된다. 따라서, 예를 들어 사용자가 제1 윙 노브(500)를 좌, 우로 이동시키는 과정에서 제1 윙 노브(500)로 전달되는 힘은 안착 삽입홈(641)을 통해 제2 윙 노브(600)로도 전달될 수 있다.This seating support part 540 is seated and supported in the seating insertion groove 641 formed in the second wing knob 600 . Therefore, for example, in the process of the user moving the first wing knob 500 to the left and right, the force transmitted to the first wing knob 500 is also applied to the second wing knob 600 through the seating insertion groove 641 . can be transmitted.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노브 조립체(400)는 제1 윙 노브(500)와 제2 윙 노브(600)가 결합됨에 있어, 후크부(520)와 후크 결합부(620)의 후크 결합으로만 결합되지 않고, 체결 지지부(530)가 체결 삽입홈(631)에 삽입되어 제1 윙 노브(500)와 제2 윙 노브(600)의 결합이 이루어지고, 안착 지지부(540)가 안착 삽입홈(641)에 안착 삽입되어 제1 윙 노브(500)와 제2 윙 노브(600)의 결합이 이루어진다.As described above, in the knob assembly 4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first wing knob 500 and the second wing knob 600 are coupled, only the hook coupling of the hook part 520 and the hook coupling part 620 is used. Without being coupled, the fastening support part 530 is inserted into the fastening insertion groove 631 to couple the first wing knob 500 and the second wing knob 600, and the seating support part 540 is inserted into the seating insertion groove ( 641), the first wing knob 500 and the second wing knob 600 are coupled to each other.

이에, 노브 조립체(400)를 상, 하, 좌, 우로 이동시킴에 있어, 노브 조립체(400)의 이동을 위해 가해지는 힘은 후크부(520)와 후크 결합부(620)의 결합 부위로만 집중되지 않고, 체결 지지부(530)와 체결 삽입홈(631)의 결합 부위 및 안착 지지부(540)와 안착 삽입홈(641)의 결합 부위로 분산될 수 있다. 즉, 노브 조립체(400)에 가해지는 힘은 특정 부위로 집중되지 않고, 제1 윙 노브(500)와 제2 윙 노브(600)가 결합된 결합 부위에 전체적으로 힘의 분산이 이루어질 수 있다.Accordingly, in moving the knob assembly 400 up, down, left, and right, the force applied for the movement of the knob assembly 400 is concentrated only on the coupling portion of the hook part 520 and the hook coupling part 620 . Instead, it may be dispersed into a coupling portion between the fastening support 530 and the fastening insertion groove 631 and a coupling portion between the seating support 540 and the seating insertion groove 641 . That is, the force applied to the knob assembly 400 is not concentrated on a specific portion, and the force may be distributed as a whole in the coupling portion where the first wing knob 500 and the second wing knob 600 are coupled.

따라서, 노브 조립체(400)의 특정 부위에 응력이 집중되어 해당 부위의 부품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ly, stress is concentrated on a specific portion of the knob assembly 400 to prevent damage to parts of the corresponding portion.

한편, 제2 윙 노브(600)는 제2 노브 몸체부(610), 후크 결합부(620), 제1 지지부(630), 제2 지지부(640) 및 연장부(650)를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second wing knob 600 may include a second knob body part 610 , a hook coupling part 620 , a first support part 630 , a second support part 640 , and an extension part 650 . .

제2 노브 몸체부(610)는 제2 윙 노브(600)의 외형을 이룬다.The second knob body portion 610 forms the outer shape of the second wing knob 600 .

이러한 제2 노브 몸체부(610)에는 제1 메인 윙(210)에 구비된 이동 안내바(213)가 삽입되는 이동 안내홈(611)이 형성된다. 이에, 제1 메인 윙(210)은 제2 노브 몸체부(610)에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A movement guide groove 611 into which the movement guide bar 213 provided in the first main wing 210 is inserted is formed in the second knob body 610 . Accordingly, the first main wing 210 may be stably supported by the second knob body 610 .

그리고 후크 결합부(620)는 제2 노브 몸체부(610)의 양단 상부와 하부에 형성된다. 이와 같은 후크 결합부(620)는 제1 윙 노브(500)에 구비된 후크부(520)와 후크 결합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후크 결합부(620)는 제2 노브 몸체부(610)에 별도의 홀 구성으로 형성되지 않으며, 제2 노브 몸체부(610)의 외면에 후크부(520)와 후크 결합이 가능하도록 형성된다.And the hook coupling portion 620 is formed in the upper and lower both ends of the second knob body portion (610). The hook coupling part 620 is hook-coupled to the hook part 520 provided in the first wing knob 500 . Such a hook coupling part 620 is not formed as a separate hole configuration in the second knob body part 610 , but is formed so that the hook part 520 and the hook can be hook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knob body part 610 . do.

그리고 제1 지지부(630)는 후크 결합부(620)와 이웃하게 배치된다. And the first support portion 630 is disposed adjacent to the hook coupling portion (620).

이러한 제1 지지부(630)에는 제1 윙 노브(500)에 구비된 체결 지지부(530)가 삽입되는 체결 삽입홈(631)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제1 지지부(630)는 체결 삽입홈(631)에 삽입되는 체결 지지부(530)를 지지 고정시킨다.A fastening insertion groove 631 into which the fastening support 530 provided in the first wing knob 500 is inserted is formed in the first support 630 . This first support 630 supports and fixes the fastening support 530 inserted into the fastening insertion groove 631 .

여기서 체결 지지부(530)는 체결 삽입홈(631)에 삽입 결합됨에 따라, 노브 조립체(400)의 상, 하 이동시, 제1 윙 노브(500)로부터 전달되는 힘은 예를 들어 체결 지지부(530)와 체결 삽입홈(631)의 결합 부위를 통해서도 제2 윙 노브(600)로 효과적으로 전달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노브 조립체(400)의 이동시 발생되는 힘은 제1 윙 노브(500)와 제2 윙 노브(600)가 결합된 결합 부위로 전체적으로 힘의 분산이 이루어지기에, 노브 조립체(400)의 상, 하 이동은 부드럽게 이루어질 수 있다.Here, as the fastening support part 530 is inserted and coupled to the fastening insertion groove 631 , when the knob assembly 400 moves up and down, the force transmitted from the first wing knob 500 is, for example, the fastening support part 530 . It can also be effectively transferred to the second wing knob 600 through the coupling portion of the and fastening insertion groove 631 . In other words, the force generated during the movement of the knob assembly 400 is the first wing knob 500 and the second wing knob 600 are coupled to the joint portion of the overall force is distributed, so the knob assembly 400 Up and down movement can be made smoothly.

그리고 제2 지지부(640)는 제1 지지부(630)와 이웃하게 배치된다. 이러한 제2 지지부(640)는 제2 윙 노브(600)의 길이 방향에 대해 중앙에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support 640 is disposed adjacent to the first support 630 . This second support 640 may be provided in the center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cond wing knob (600).

이와 같은 제2 지지부(640)에는 안착 삽입홈(641)이 형성되어, 제1 윙 노브(500)에 구비된 안착 지지부(540)는 안착 삽입홈(641)에 안착 고정될 수 있다.A seating insertion groove 641 is formed in the second support part 640 , and the seating support part 540 provided in the first wing knob 500 may be seated and fixed in the seating insertion groove 641 .

여기서 안착 지지부(540)는 안착 삽입홈(641)에 삽입 결합됨에 따라, 노브 조립체(400)의 좌, 우 이동시, 제1 윙 노브(500)로부터 전달되는 힘은 예를 들어 안착 지지부(540)와 안착 삽입홈(641)의 결합 부위를 통해서도 제2 윙 노브(600)로 효과적으로 전달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노브 조립체(400)의 이동시 발생되는 힘은 제1 윙 노브(500)와 제2 윙 노브(600)가 결합된 결합 부위로 전체적으로 힘의 분산이 이루어지기에, 노브 조립체(400)의 좌, 우 이동은 부드럽게 이루어질 수 있다.Here, as the seating support part 540 is inserted and coupled to the seating insertion groove 641, when the knob assembly 400 moves left and right, the force transmitted from the first wing knob 500 is, for example, the seating support part 540. It can be effectively transferred to the second wing knob 600 also through the coupling portion of the and seating insertion groove 641 . In other words, the force generated during the movement of the knob assembly 400 is the first wing knob 500 and the second wing knob 600 are coupled to the joint portion of the overall force is distributed, so the knob assembly 400 Left and right movement can be made smoothly.

그리고 연장부(650)는 제2 지지부(640)로부터 연장된다. 이러한 연장부(650)는 한 쌍을 이루되, 제1 윙 노브(500)와 제2 윙 노브(600)가 결합된 상태에서 제1 메인 윙(210)의 상부와 하부에 배치되도록 이격 배치된다.And the extension 650 extends from the second support 640 . These extensions 650 are a pair, and the first wing knob 500 and the second wing knob 600 are spaced apart so as to be disposed on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first main wing 210 in a coupled state. .

이와 같은 연장부(650)에는 가이드 핀(720)의 핀부(722)가 삽입되는 핀 관통홀(651)이 형성된다. 그리고 제2 윙 노브(600)의 상부에 구비된 연장부(650)에는 머리부 고정홈(652)이 형성되어 가이드 핀(720)의 머리부(721)는 머리부 고정홈(652)에 지지 고정될 수 있다.A pin through hole 651 into which the pin portion 722 of the guide pin 720 is inserted is formed in the extension portion 650 . In addition, a head fixing groove 652 is formed in the extension 650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second wing knob 600 so that the head 721 of the guide pin 720 is supported by the head fixing groove 652 . can be fixed.

다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 본 발명의 권리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의 기재 범위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However, this is only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The abov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illustration, an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understand that it can be easily modified into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restrictive. For example, each component described as a single type may be implemented in a dispersed form, and likewise components described as distributed may be implemented in a combined form.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 concepts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케이싱
200: 제1 윙 조립체
210: 제1 메인 윙
211: 제1 회전축
212: 이동 지지바
213: 이동 안내바
214: 캡 고정홈
215: 가압 고정부
216: 가이드홀
220: 제1 보조 윙
230: 제1 링크부재
300: 제2 윙 조립체
310: 제2 메인 윙
311: 제2 회전축
312: 결합축
320: 제2 보조 윙
330: 제2 링크부재
400: 노브 조립체
500: 제1 윙 노브
501: 삽입 공간부
510: 제1 노브 몸체부
511: 상부 몸체부
512: 하부 몸체부
513: 밀착 지지부
514: 돌출 지지부
520: 후크부
530: 체결 지지부
531: 체결 가압부
540: 안착 지지부
600: 제2 윙 노브
610: 제2 노브 몸체부
611: 이동 안내홈
620: 후크 결합부
630: 제1 지지부
631: 체결 삽입홈
640: 제2 지지부
641: 안착 삽입홈
650: 연장부
651: 핀 관통홀
652: 머리부 고정홈
660: 조정 프레임
661: 이격 공간부
700: 제1 작동 제어부
710: 부시 러버
711: 핀 삽입홀
720: 가이드 핀
721: 머리부
722: 핀부
800: 제2 작동 제어부
810: 캡 러버
820: 돌기 러버
1000: 차량용 에어벤트
100: casing
200: first wing assembly
210: first main wing
211: first rotation shaft
212: moving support bar
213: movement guide bar
214: cap fixing groove
215: pressure fixing unit
216: guide hole
220: first auxiliary wing
230: first link member
300: second wing assembly
310: second main wing
311: second rotation axis
312: coupling shaft
320: second auxiliary wing
330: second link member
400: knob assembly
500: first wing knob
501: insertion space part
510: first knob body portion
511: upper body portion
512: lower body portion
513: close support
514: protrusion support
520: hook part
530: fastening support
531: fastening pressure part
540: seating support
600: second wing knob
610: second knob body portion
611: Moving guide home
620: hook coupling part
630: first support
631: fastening insertion groove
640: second support
641: seating insertion groove
650: extension
651: pin through hole
652: head fixing groove
660: adjustment frame
661: spaced apart
700: first operation control unit
710: bush rubber
711: pin insertion hole
720: guide pin
721: head
722: pin unit
800: second operation control unit
810: cap rubber
820: protrusion rubber
1000: vehicle air vent

Claims (7)

에어벤트의 몸체를 이루며 송풍 유로를 형성하는 케이싱;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며, 회전을 통해 송풍 방향을 변경하는 제1 메인 윙을 갖는 제1 윙 조립체;
상기 제1 윙 조립체의 후방에 구비되되, 수직 방향으로 배치되며 회전을 통해 송풍 방향을 변경하는 제2 메인 윙을 갖는 제2 윙 조립체; 및
상기 제1 윙 조립체와 제2 윙 조립체를 회전시키며 송풍 방향을 변경하는 노브 조립체를 포함하되,
상기 노브 조립체는,
상기 제1 메인 윙이 삽입되는 삽입 공간부가 형성되고, 후부에는 후크부가 구비된 제1 윙 노브; 및
외면에 단턱을 이루며 상기 후크부와 체결되는 후크 결합부가 형성된 제2 윙 노브를 가지며, 상기 제1 윙 노브와 제2 윙 노브의 결합시, 상기 후크부는 상기 후크 결합부를 감싸도록 결합되는 것이며,
상기 제2 윙 노브는,
상기 제1 메인 윙에 구비된 이동 안내바가 삽입되는 이동 안내홈이 형성된 제2 노브 몸체부;
상기 제2 노브 몸체부의 양단 상부와 하부에 형성된 후크 결합부;
상기 후크 결합부와 이웃하게 배치되며, 체결 삽입홈이 형성된 제1 지지부;
상기 제1 지지부와 이웃하게 배치되며, 안착 삽입홈이 형성된 제2 지지부; 및
상기 제2 지지부로부터 연장되며, 가이드 핀의 핀부가 삽입되는 핀 관통홀이 형성된 연장부를 포함하는 것인 차량용 에어벤트.
a casing forming a body of the air vent and forming a blow passage;
a first wing assembly disposed in a horizontal direction inside the casing and having a first main wing configured to change a blowing direction through rotation;
a second wing assembly provided at the rear of the first wing assembly, disposed in a vertical direction, and having a second main wing configured to change a blowing direction through rotation; and
A knob assembly rotating the first wing assembly and the second wing assembly to change the blowing direction,
The knob assembly,
a first wing knob having an insertion space into which the first main wing is inserted and having a hook part at the rear thereof; and
It has a second wing knob that forms a step on the outer surface and has a hook coupling part fastened with the hook part, and when the first wing knob and the second wing knob are coupled, the hook part is coupled to surround the hook coupling part,
The second wing knob,
a second knob body having a movement guide groove into which a movement guide bar provided on the first main wing is inserted;
hook coupling portions formed on upper and lower portions of both ends of the second knob body;
a first support part disposed adjacent to the hook coupling part and having a fastening insertion groove;
a second support portion disposed adjacent to the first support portion and having a seating insertion groove; and
An air vent for a vehicle that extends from the second support and includes an extension having a pin through hole through which the pin of the guide pin is insert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브 조립체의 좌, 우 이동시, 사용자가 요구하는 위치에 상기 노브 조립체가 고정되도록 하는 제1 작동 제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작동 제어부는,
상기 제1 메인 윙에 형성된 가이드홀에 삽입되며, 상기 가이드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되는 부시 러버; 및
상기 부시 러버에 형성된 핀 삽입홀에 삽입되며, 상기 노브 조립체의 이동시, 상기 부시 러버를 이동시키는 상기 가이드 핀을 가지며,
상기 부시 러버는 상기 가이드홀의 길이 방향으로 장변부가 형성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부시 러버의 외측면은 상기 가이드홀에 맞닿도록 이루어지되, 미리 정해진 힘 이상으로 상기 노브 조립체를 이동시킬 시, 상기 부시 러버는 탄성 압축된 상태에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에어벤트.
According to claim 1,
When the knob assembly is moved left and right, it further comprises a first operation control unit for fixing the knob assembly to a position required by the user,
The first operation control unit,
a bush rubber inserted into the guide hole formed in the first main wing and moved along the length direction of the guide hole; and
has the guide pin inserted into the pin insertion hole formed in the bush rubber and moves the bush rubber when the knob assembly is moved,
The bush rubber is formed such that a long side is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guide hole,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bush rubber is made to abut against the guide hole. When the knob assembly is moved by a predetermined force or more, the bush rubber is An air vent for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it moves in an elastically compressed sta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브 조립체의 상, 하 이동시, 사용자가 요구하는 위치에 상기 노브 조립체가 고정되도록 하는 제2 작동 제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작동 제어부는,
상기 제1 메인 윙의 상면에 형성된 캡 고정홈에 삽입되어 지지 고정되는 캡 러버; 및
상기 캡 러버의 상부 중앙에 상기 캡 러버의 길이 방향을 따라 구비되는 돌기 러버를 갖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캡 고정홈에는 상기 캡 러버의 측면을 가압하여 고정시키는 가압 고정부가 형성되고, 상기 돌기 러버는 상기 제1 윙 노브의 내측면과 접촉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에어벤트.
According to claim 1,
When the knob assembly moves up and down, it further comprises a second operation control unit for fixing the knob assembly to a position required by the user,
The second operation control unit,
a cap rubber inserted into the cap fixing groov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main wing to be supported and fixed; and
It is made to have a protruding rubber provid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ap rubber in the upper center of the cap rubber,
The air vent for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the cap fixing groove is formed with a pressing fixing portion for pressing and fixing the side surface of the cap rubber, the protrusion rubber is made to come into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wing knob.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윙 노브는,
상기 삽입 공간부를 형성하는 상부 몸체부와 하부 몸체부를 갖는 제1 노브 몸체부;
상기 제1 노브 몸체부의 양단 상부와 하부에 구비되며, 상기 후크 결합부와 후크 결합되는 후크부;
상기 후크부와 이웃하게 배치되며, 상기 체결 삽입홈에 삽입되는 체결 지지부; 및
상기 체결 지지부와 이웃하게 배치되며, 상기 안착 삽입홈에 안착 삽입되는 안착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 몸체부에는 상기 상부 몸체부의 하면으로부터 상기 삽입 공간부로 돌출되는 밀착 지지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에어벤트.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wing knob,
a first knob body portion having an upper body portion and a lower body portion forming the insertion space;
a hook portion provided at upper and lower portions of both ends of the first knob body portion, the hook portion being hook-coupled to the hook coupling portion;
a fastening support part disposed adjacent to the hook part and inserted into the fastening insertion groove; and
It is disposed adjacent to the fastening support part, and includes a seating support part that is seated and inserted into the seating insertion groove,
The air vent for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the upper body portion is provided with a close support portion that protrudes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body portion to the insertion space portion.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윙 노브에는 상기 하부 몸체부의 내측면으로부터 상기 삽입 공간부로 돌출된 돌출 지지부가 구비되고, 상기 돌출 지지부는 상기 제1 메인 윙의 하부에 형성된 이동 지지바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에어벤트.
6. The method of claim 5,
The first wing knob is provided with a protruding support portion protruding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lower body portion to the insertion space, and the protruding support portion supports a moving support bar formed under the first main wing air vent for a vehicle.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 지지부는 상기 제1 노브 몸체부로부터 멀어질수록 두께가 얇아지도록 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제1 노브 몸체부와 인접한 상기 체결 지지부의 외측면에는 체결 가압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에어벤트.
6. The method of claim 5,
The fastening support portion is formed with an inclined surface such that the thickness becomes thinner as the distance from the first knob body part is increased, and a fastening pressing part is provid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fastening support part adjacent to the first knob body part. .
KR1020200013659A 2020-02-05 2020-02-05 Air vent for vehicle KR10230867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3659A KR102308675B1 (en) 2020-02-05 2020-02-05 Air vent for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3659A KR102308675B1 (en) 2020-02-05 2020-02-05 Air vent for vehic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9825A KR20210099825A (en) 2021-08-13
KR102308675B1 true KR102308675B1 (en) 2021-10-01

Family

ID=773136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3659A KR102308675B1 (en) 2020-02-05 2020-02-05 Air vent for vehic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8675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5969B1 (en) * 2006-04-28 2007-09-06 한국Trw자동차부품산업 주식회사 Air-vent for car
JP2009096279A (en) * 2007-10-16 2009-05-07 Moriroku Technology Co Ltd Air supply direction changing device of air-conditioning outlet
JP2016539840A (en) * 2013-12-06 2016-12-22 ニフコ コリア インコーポレイティッド Structure for attaching wing knob for vehicle vent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8168B1 (en) 2015-11-05 2018-07-13 유진레이델 주식회사 an emotional air-vent with detect the operating Statu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5969B1 (en) * 2006-04-28 2007-09-06 한국Trw자동차부품산업 주식회사 Air-vent for car
JP2009096279A (en) * 2007-10-16 2009-05-07 Moriroku Technology Co Ltd Air supply direction changing device of air-conditioning outlet
JP2016539840A (en) * 2013-12-06 2016-12-22 ニフコ コリア インコーポレイティッド Structure for attaching wing knob for vehicle v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9825A (en) 2021-08-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389738B2 (en) Vehicle wind direction adjusting device
JP5915581B2 (en) Deflector device for vehicle
KR102308675B1 (en) Air vent for vehicle
KR20130127010A (en) Hinges and parts therefor
JP2007038710A (en) Panel device
KR100416698B1 (en) Lumbar support locking apparatus for a car seat
CN109383236A (en) Blowing outlet for air condition device
US11485260B2 (en) Lumbar support assembly
JP5200899B2 (en) Ventilator wind direction adjusting device for vehicle
KR102324047B1 (en) Air vent for vehicle
KR102136219B1 (en) Hinge assembly for trunk lid of vehicle
JP2007137218A (en) Seat air conditioner for vehicle
CN115701390A (en) Air vent for vehicle
KR20070049915A (en) Air vent damper door axis coupling structure
WO2015020429A1 (en) Vehicle air vent damper
KR20090007164A (en) Air flow adjusting device
KR200323294Y1 (en) Window Louver Supporting Structure
JP2019081506A (en) Vehicular seat
US11951808B2 (en) Slim type air vent for vehicle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WO2018225498A1 (en) Airflow direction adjustment device
JP4165219B2 (en) Wind direction adjustment device
JP6451477B2 (en) Vehicle seat device
JP2014118222A (en) Pantograph type jack
JP2019038390A (en) Air-conditioning register
KR100361303B1 (en) An automotive air v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