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99364A - 저상형 대차 - Google Patents

저상형 대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99364A
KR20210099364A KR1020200013126A KR20200013126A KR20210099364A KR 20210099364 A KR20210099364 A KR 20210099364A KR 1020200013126 A KR1020200013126 A KR 1020200013126A KR 20200013126 A KR20200013126 A KR 20200013126A KR 20210099364 A KR20210099364 A KR 202100993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gie
unit
camera
elevating
mo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31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72051B1 (ko
Inventor
임동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화
Priority to KR10202000131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2051B1/ko
Publication of KR202100993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993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20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20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4N5/23238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98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for achieving an enlarged field of view, e.g. panoramic image cap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11/00Units comprising multiple wheels arranged side by side; Wheels having more than one rim or capable of carrying more than one ty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4Mounting of cameras operative during driv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relative to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2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ambient condi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0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1/02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 F16H1/2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volving more than two intermeshing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25/00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cams, cam-followers and screw-and-nut mechanisms
    • F16H25/18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cams, cam-followers and screw-and-nut mechanisms for conveying or interconverting oscillating or reciprocating motions
    • F16H25/20Screw mechanism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56Accessories
    • G03B17/561Support related camera accesso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95Control of camera direction for changing a field of view, e.g. pan, tilt or based on tracking of objec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90Arrangement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e.g. multiple cameras in TV studios or sports stadiums
    • H04N5/23299
    • H04N5/247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04N7/181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plurality of remote sour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42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sensors based on the principle of their operation
    • B60W2420/40Photo, light or radio wave sensitive means, e.g. infrared sensors
    • B60W2420/403Image sensing, e.g. optical camera
    • B60W2420/42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Transport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udio Devices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변형 어라운드 뷰 시스템 및 이를 구비한 저상형 대차에 관한 것으로 차량의 크기에 따라 촬영 높이가 가변되어 다양한 크기의 차량에 적용이 가능하므로 차량에 어라운드 뷰 시스템을 적용시키는데 있어 비용을 절감하고, 다양한 크기의 차량에 어라운드 뷰 시스템을 적용시키는데 있어 카메라의 셋팅 시간을 크게 단축시키며, 길이가 가변되는 저상형 대차를 제공하여 이송되는 이송 대상물의 크기에 따라 저상형 대차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어 다양한 크기의 이송 대상물을 이송시키는데 소요되는 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다.

Description

가변형 어라운드 뷰 시스템 및 이를 구비한 저상형 대차{ADJUSTABLE AROUND VIEW SYSTEM AND LOW FLOOR VEHICLE}
본 발명은 가변형 어라운드 뷰 시스템 및 이를 구비한 저상형 대차에 관한 발명이다.
일반적으로 어라운드 뷰 시스템(AROUND VIEW SYSTEM)은 자동차의 주변 환경을 촬영하여 운전자의 육안으로 확인할 수 없는 사각 지대까지 촬영하여 접촉사고 등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이다.
즉, 어라운드 뷰 시스템(AROUND VIEW SYSTEM)은 자동차의 사이드 미러와 룸미러를 통해 운전자의 육안으로 확인할 수 없는 사각 지대까지 카메라로 촬영하여 주행 중 주변 장애물을 확인하여 접촉 사고 및 인명 사고 등을 방지한다.
특히, 자동차의 전방 또는 후방에서 어린 아이 등이 있는 것을 발견하지 못하는 경우 큰 인명 사고를 발생시킬 수 있어 근래에 들어 어라운드 뷰 시스템(AROUND VIEW SYSTEM)의 적용이 점차 증대되고 있는 추세이다.
한편, 어라운드 뷰 시스템(AROUND VIEW SYSTEM)은 유도탄 등의 발사탄 또는 유도탄 등의 발사탄이 내장되는 발사관 등을 이송하는 저상형 대차에도 안전을 위해 적용되고 있다.
유도탄 등의 발사탄 또는 유도탄 등의 발사탄이 내장되는 발사관 등은 주로 저상형 대차를 이용하여 운반되고 있다.
저상형 대차를 이용하여 유도탄 등의 발사탄 또는 유도탄 등의 발사탄이 내장되는 발사관 등의 폭발 위험성이 있는 이송 물체를 이송하는 경우 충돌 사고 등으로 큰 위험이 발생될 수 있어 어라운드 뷰 시스템(AROUND VIEW SYSTEM)을 장착하여 이송 중 충돌 사고에 따른 위험성을 최소화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어라운드 뷰 시스템(AROUND VIEW SYSTEM)은 복수의 카메라의 위치가 고정되게 설치되어 크기가 다른 저상형 대차에 적용시키기 위해서는 설치 높이를 별도로 조절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통상적으로 저상형 대차에 적용되는 어라운드 뷰 시스템(AROUND VIEW SYSTEM)은 카메라가 전, 후, 좌, 우에서 각각 중앙부에 설치되고, 설치 높이가 고정되어 있다.
즉, 종래의 어라운드 뷰 시스템(AROUND VIEW SYSTEM)은 카메라의 설치 위치가 고정되어 크기가 다른 다른 저상형 대차에 설치하여 적용하는 경우 별도의 어라운드 뷰 시스템(AROUND VIEW SYSTEM)을 설계해서 장착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일 예로 크기가 작은 저상형 대차에 장착되는 어라운드 뷰 시스템(AROUND VIEW SYSTEM)을 크기가 큰 저상형 대차에 적용시키기 위해서는 다른 높이로 고정된 카메라를 적용해야 한다.
즉, 대상형 대차는 크기에 맞는 어라운드 뷰 시스템(AROUND VIEW SYSTEM)을 각각 설치해야 하므로 어라운드 뷰 시스템(AROUND VIEW SYSTEM)을 적용시키는데 있어 소요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어라운드 뷰 시스템(AROUND VIEW SYSTEM)은 대상형 대차의 크기에 따라 카메라의 높이를 재설정하는 데 있어 카메라 셋팅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0001)한국특허공개 제2018-0013162호 "차량용 어라운드 뷰 제공 장치 및 차량"(20108.02.07.공개)
본 발명의 목적은 촬영 높이가 저상형 대차의 크기에 따라 가변되는 가변형 어라운드 뷰 시스템 및 이를 구비한 저상형 대차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길이가 가변되는 저상형 대차를 제공하고 가변되는 저상형 대차의 크기에 맞게 카메라의 높이가 가변되어 다양한 크기의 저상형 대차에 어라운드 뷰를 제공할 수 있는 가변형 어라운드 뷰 시스템 및 이를 구비한 저상형 대차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가변형 어라운드 뷰 시스템의 일 실시예는 차량에 설치되어 차량의 차체 주변을 촬영하는 어라운드 뷰 시스템이며, 복수의 카메라부, 차량의 차체에 설치되고 상기 카메라부가 장착되며 상기 카메라부를 승하강시키는 카메라 승하강부, 상기 카메라부로부터 영상을 전달받아 영상을 출력하는 영상 처리부, 상기 카메라 승하강부와 연결되어 상기 차량의 크기에 따라 상기 카메라 승하강부의 작동을 제어하여 상기 카메라부의 높이를 조절하는 승하강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카메라 승하강부는 상기 차량에 장착되는 승하강 본체부재, 상기 승하강 본체부재 내에 상, 하 이동 가능하게 위치되고, 상기 카메라부가 장착되는 승하강 이동부재 및 상기 승하강 이동부재를 상, 하 이동시키는 승하강 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승하강 기기는 상기 승하강 본체부재 내에 수직으로 세워져 회전 가능하게 위치되며 승하강 이동부재의 내부로 체결되는 승하강용 스크류부재 및 상기 승하강용 스크류부재를 회전시키는 승하강용 회전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승하강 제어부는 상기 차량의 크기에 따른 각 상기 카메라부의 높이에 대한 카메라 높이 정보 데이터가 기저장되어 있는 데이터 저장부 및 상기 차량의 크기를 입력하는 입력부를 포함하여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상기 차량의 크기 정보를 통해 크기 정보에 대응되는 상기 카메라부의 높이로 상기 카메라부의 높이가 조절되도록 상기 카메라 승하강부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승하강 제어부는 수동 조작 모드 시 각 카메라부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는 컨트롤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부는 승강 스위치, 하강 스위치, 카메라 선택 스위치를 포함하여 상기 카메라 선택 스위치로 높이 조절 대상인 카메라부를 선택한 후 해당 카메라부의 높이를 상기 승강 스위치와 상기 하강 스위치를 통해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승하강 제어부는 복수의 카메라부로 상기 차량의 외곽 둘레에 대한 전체를 촬영할 때 각 카메라부에서 촬영되는 영상이 기저장되어 있는 이미지 저장부 및 상기 카메라부를 통해 촬영되는 영상을 실시간으로 전달받아 실시간으로 촬영된 실시간 촬영 영상과 상기 이미지 저장부에 기저장된 영상을 비교하여 각 카메라부의 높이를 조절하는 영상 판별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저상형 대차는 상부에 이송 대상물이 올려지며 하부에 복수의 주행바퀴부가 구비되는 대차 본체, 상기 대차 본체의 외측 둘레를 촬영하도록 배치되는 복수의 카메라부, 상기 대차 본체에 설치되고 상기 카메라부가 장착되며 상기 카메라부를 승하강시키는 카메라 승하강부, 상기 카메라부로부터 영상을 전달받아 영상을 출력하는 영상 처리부, 상기 카메라 승하강부와 연결되어 상기 대차 본체의 크기에 따라 상기 카메라 승하강부의 작동을 제어하여 상기 카메라부의 높이를 조절하는 승하강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대차 본체는 베이스 대차부재, 상기 베이스 대차부재의 전방에서 전, 후 이동 가능하게 위치되는 제1이동 대차부재 및 상기 베이스 대차부재의 후방에서 전, 후 이동 가능하게 위치되는 제2이동 대차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대차부재는 하부에 복수의 제1주행 바퀴부가 위치되고, 상기 제1이동 대차부재의 하부와 상기 제2이동 대차부재의 하부에는 각각 복수의 제2주행 바퀴부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대차 본체는 상기 베이스 대차부재에 위치되며 상기 제1이동 대차부재와 상기 제2이동 대차부재를 각각 전, 후 이동시키는 길이 조절용 이동기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길이 조절용 이동기기는 길이 조절용 회전모터, 상기 베이스 대차부재 내에 회전 가능하게 위치되고 상기 제1이동 대차부재 내에 나사결합되며 상기 길이 조절용 회전모터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제1길이 조절용 스크류부재, 상기 베이스 대차부재 내에 회전 가능하게 위치되고 상기 제2이동 대차부재 내에 나사결합되며 상기 길이 조절용 회전모터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제2길이 조절용 스크류부재 및 상기 길이 조절용 회전모터의 회전력을 상기 제1길이 조절용 스크류부재와 상기 제2길이 조절용 스크류부재로 전달하는 길이조절용 동력 전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길이조절용 동력 전달부는 상기 길이 조절용 회전모터의 샤프트에 위치되는 제1베벨기어, 상기 제1길이 조절용 스크류부재의 회전축에 위치되며 상기 제1베벨기어에 맞물려 회전되는 제2베벨기어 및 상기 제2길이 조절용 스크류부재의 회전축에 위치되며 상기 제1베벨기어에 맞물려 회전되는 제3베벨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길이 조절용 이동기기는 상기 제1이동 대차부재와 상기 제2이동 대차부재를 서로 반대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제1이동 대차부재와 상기 제2이동 대차부재가 동시에 상기 베이스 대차부재에서 외부로 인출되거나 상기 베이스 대차부재의 내부로 동시에 삽입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베이스 대차부재는 상부 안착부 및 상기 상부 안착부의 양 단부 측에서 하향으로 돌출되게 위치되어 상기 제1이동 대차부재의 양측면과 상기 제2이동 대차부재의 양측면을 지지하는 제1측면 지지부와 제2측면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이동 대차부재의 후방에는 상기 상부 안착부의 하부면을 받치는 제1보강 받침부가 폭방향으로 이격되게 복수로 위치되고, 상기 제2이동 대차부재에는 상기 제1보강 받침부가 삽입되어 이동 가능하게 위치되는 제1보강 받침 삽입부가 위치되며, 상기 제2이동 대차부재의 전방에는 상기 상부 안착부의 하부면을 받치는 제2보강 받침부가 폭방향으로 이격되게 복수로 위치되고, 상기 제1이동 대차부재에는 상기 제2보강 받침부가 삽입되어 이동 가능하게 위치되는 제2보강 받침 삽입부가 위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1보강 받침부가 상기 제1보강 받침 삽입부 내에 삽입된 길이 및 상기 제2보강 받침부가 상기 제2보강 받침 삽입부 내에 각각 삽입된 길이는 상기 제1길이 조절용 스크류부재의 길이와 상기 제2길이 조절용 스크류부재의 길이를 더한 길이보다 긴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1보강 받침 삽입부와 상기 제2보강 받침 삽입부는 각각 상부 측과 하부 측이 개방된 형태로 형성되어 개방된 상부 측으로 상기 제1보강 받침부와 상기 제2보강 받침부가 상기 상부 안착부의 하부면을 받쳐 지지하며, 상기 제1보강 받침부의 하부 측에는 노면에 지지되어 구르는 복수의 제1받침 주행 바퀴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2보강 받침부의 하부 측에는 노면에 지지되어 구르는 복수의 제2받침 주행 바퀴부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승하강 제어부는 상기 대차 본체의 크기에 따른 각 상기 카메라부의 높이에 대한 카메라 높이 정보 데이터가 기저장되어 있는 데이터 저장부 및 상기 대차 본체의 크기를 입력하는 입력부를 포함하여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상기 대차 본체의 크기 정보를 통해 크기 정보에 대응되는 상기 카메라부의 높이로 상기 카메라부의 높이가 조절되도록 상기 카메라 승하강부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승하강 제어부는 수동 조작 모드 시 각 카메라부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는 컨트롤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부는 승강 스위치, 하강 스위치, 카메라 선택 스위치를 포함하여 상기 카메라 선택 스위치로 높이 조절 대상인 카메라부를 선택한 후 해당 카메라부의 높이를 상기 승강 스위치와 상기 하강 스위치를 통해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승하강 제어부는 복수의 카메라부로 대차 본체의 외곽 둘레에 대한 전체를 촬영할 때 각 카메라부에서 촬영되는 영상이 기저장되어 있는 이미지 저장부 및 상기 카메라부를 통해 촬영되는 영상을 실시간으로 전달받아 실시간으로 촬영된 실시간 촬영 영상과 상기 이미지 저장부에 기저장된 영상을 비교하여 각 카메라부의 높이를 조절하는 영상 판별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차량의 크기에 따라 촬영 높이가 가변되어 다양한 크기의 차량에 적용이 가능하므로 차량에 어라운드 뷰 시스템을 적용시키는데 있어 비용을 절감하고, 다양한 크기의 차량에 어라운드 뷰 시스템을 적용시키는데 있어 카메라의 셋팅 시간을 크게 단축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길이가 가변되는 저상형 대차를 제공하여 이송되는 이송 대상물의 크기에 따라 저상형 대차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어 다양한 크기의 이송 대상물을 이송시키는데 소요되는 비용을 크게 절감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저상형 대차의 가변되는 크기에 맞게 카메라의 높이가 가변되어 저상형 대차에 어라운드 뷰 시스템을 적용시키는데 있어 비용을 크게 절감하고, 저상형 대차에 적용되는 어라운드 뷰 시스템에서 카메라의 셋팅 시간을 크게 단축시킬 수 있어 이송 효율을 극대화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가변형 어라운드 뷰 시스템 및 이를 구비한 저상형 대차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가변형 어라운드 뷰 시스템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블럭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가변형 어라운드 뷰 시스템에서 카메라 승하강부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가변형 어라운드 뷰 시스템을 구비한 저상형 대차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종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가변형 어라운드 뷰 시스템을 구비한 저상형 대차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평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가변형 어라운드 뷰 시스템을 구비한 저상형 대차의 다른 실시예에서 제1이동 대차부재와 제2이동 대차부재의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가변형 어라운드 뷰 시스템 및 이를 구비한 저상형 대차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가변형 어라운드 뷰 시스템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블럭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가변형 어라운드 뷰 시스템에서 카메라 승하강부(300)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가변형 어라운드 뷰 시스템 및 이를 구비한 저상형 대차의 일 실시예를 하기에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저상형 대차의 일 실시예는 상부에 이송 대상물이 올려지며 하부에 복수의 주행바퀴부가 구비되는 대차 본체(100)를 포함한다.
대차 본체(100)는 상부에 이송 대상물을 안착시킬 수 있도록 돌출된 안착부가 길이 방향으로 이격되어 위치되는 것을 일 예로 한다.
이송 대상물은 유도탄 등의 발사탄 또는 유도탄 등의 발사탄이 내장되는 발사관, 로켓 포드 등의 탄 또는 탄을 내장한 발사관인 것을 일 예로 하며, 이외에도 대차 본체(100)의 상부에 올려져 이송될 수 있는 다양한 물품일 수 있음을 밝혀둔다.
또한, 대차 본체(100)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이송되는 이송 대상물에 따라 이송 대상물을 안정적으로 안착시킬 수 있는 받침부 또는 이송 대상물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 지그부가 위치될 수 있다.
받침부는 V홈부가 형성되어 원통형 이송 대상물이 안착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고, 이외에도 이송 대상물의 형상에 따라 공지된 다양한 형태의 받침 구조를 적용시킬 수도 있음을 밝혀둔다.
또한, 고정 지그부는 이송 대상물의 양 측을 잡아 고정시키는 공지의 클램핑 구조를 이용하여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바 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함을 밝혀둔다.
한편, 대차 본체(100)에는 본 발명에 따른 가변형 어라운드 뷰 시스템이 설치되며, 본 발명에 따른 가변형 어라운드 뷰 시스템의 일 실시예는 차량에 설치되어 차량의 차체 주변을 촬영하는 어라운드 뷰 시스템이다.
본 발명에 따른 가변형 어라운드 뷰 시스템의 일 실시예는 차량 즉, 대차 본체(100)에 설치되어 대차 본체(100)의 외곽 둘레를 촬영하는 복수의 카메라부(200)를 포함하여 대차 본체(100)의 외곽 둘레에 대한 전체를 영상으로 출력한다.
복수의 카메라부(200)는 대차 본체(100)의 전방 측에 위치되는 전방 카메라부(210), 대차 본체(100)의 후방 측에 위치되는 후방 카메라부(220), 대차 본체(100)의 양측에 각각 위치되는 측방 카메라부(230)를 포함하여 총 4개의 카메라를 포함하는 것을 일 예로 한다.
복수의 카메라부(200)는 대차 본체(100)의 크기 또는 대차 본체(100)의 형상에 따라 대차 본체(100)의 외곽 둘레에 대한 전체를 영상으로 출력할 수 있도록 다양한 형태로 배치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각 카메라부(200)는 대차 본체(100)에 설치되는 카메라 승하강부(300)에 장착되어 카메라 승하강부(300)에 의해 상, 하 이동되어 촬영 높이가 조절될 수 있다.
카메라 승하강부(300)는 상단부 측에 카메라부(200)가 장착되며 카메라부(200)를 상, 하 이동시켜 대차 본체(100)의 크기에 따라 카메라부(200)의 촬영 높이를 조절한다.
카메라 승하강부(300)는 대차 본체(100)의 전방 측, 대차 본체(100)의 후방 측, 대차 본체(100)의 양 측에 각각 위치되어 전방 카메라부(210), 후방 카메라부(220), 한 쌍의 측방 카메라부(230)를 각각 상, 하 이동시켜 대차 본체(100)의 외곽 둘레에 대한 전체를 영상으로 출력할 수 있도록 각 카메라부(200)의 촬영 높이를 조절한다.
카메라 승하강부(300)는 대차 본체(100)에 장착되는 승하강 본체부재(310), 승하강 본체부재(310) 내에 상, 하 이동 가능하게 위치되고, 카메라부(200)가 장착되는 승하강 이동부재(320), 승하강 이동부재(320)를 상, 하 이동시키는 승하강 기기(330)를 포함한다.
승하강 기기(330)는 승하강 본체부재(310) 내에 수직으로 세워져 회전 가능하게 위치되며 승하강 이동부재(320)의 내부로 체결되는 승하강용 스크류부재(331), 승하강용 스크류부재(331)를 회전시키는 승하강용 회전모터(332)를 포함하는 것을 일 예로 한다.
또한, 승하강용 회전모터(332)의 샤프트에는 회전력을 전달하기 위한 제1스퍼어 기어(333)가 위치되고, 승하강용 스크류부재(331)의 하단부에는 제2스퍼어 기어(334)가 회전 가능하게 위치되며, 제1스퍼어 기어(333)와 제2스퍼어 기어(334) 사이에는 제1스퍼어 기어(333)와 제2스퍼어 기어(334)에 각각 맞물리는 제3스퍼어 기어(335)가 위치된다.
승하강용 스크류부재(331)는 제2스퍼어 기어(334)와 일체로 회전되도록 승하강 본체부재(310) 내에 세워져 위치된다.
승하강 본체부재(310)의 일 측에는 승하강용 회전모터(332)가 내부에 위치되는 모터 하우징부재가 위치되고, 승하강 본체부재(310)의 일 측에는 제1스퍼어 기어(333)와 제2스퍼어 기어(334)를 연결하는 제3스퍼어 기어(335)가 위치되도록 기어용 개방부가 위치된다.
제1스퍼어 기어(333)와 제2스퍼어 기어(334)는 승하강 본체부재(310)의 일 측에 위치된 기어용 개방부에서 제3스퍼어 기어(335)에 각각 맞물려 위치되어 승하강용 회전모터(332)의 회전력을 승하강용 스크류부재(331)로 전달하여 승하강 스크류부재를 회전시키게 된다.
동력 전달부는 이외에도 다른 공지의 기어를 이용한 동력 전달구조, 벨트 구조, 체인 구조 등 모터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공지의 다양한 동력 전달 구조를 이용하여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승하강용 회전모터(332)의 회전력을 승하강 스크류부재로 전달하는 동력 전달부를 포함한다.
승하강 기기(330)는 이외에도 도시하지 않았지만 유압 실린더, 볼 스크류를 이용한 리니어 액추에이터 구조, 랙과 피니언 기어 회전운동을 이용하여 회전 운동을 직선 이동으로 변환하는 구조 등 공지의 직선 이동 구조를 이용하여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는 바 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함을 밝혀둔다.
승하강 기기(330)는 승하강용 회전모터(332)의 작동으로 승하강용 스크류부재(331)를 회전시켜 승하강 이동부재(320)를 상, 하 이동시킴으로써 카메라부(200)의 높이를 조절하며, 승하강 이동부재(320)는 승하강용 스크류부재(331)의 회전 방향에 따라 상, 하 이동된다.
카메라 승하강부(300)는 각 카메라부(200)에 대응되는 개수로 설치되고, 각 카메라부(200)의 촬영 높이를 개별적으로 조절하여 대차 본체(100)의 외곽 둘레에 대한 전체를 영상으로 출력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카메라 승하강부(300)는 대차 본체(100)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어 크기가 다른 복수의 대차 본체(100)에 각각 선택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카메라 승하강부(300)는 대차 본체(100)에 볼트 체결로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일 예로 하고, 이외에도 클램핑 구조 등 분리 가능한 공지의 설치 구조를 이용하여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카메라부(200)는 통신 수단(410)을 통해 영상 처리부(400)로 촬영된 영상을 전달하고, 영상 처리부(400)는 카메라부(200)를 통해 전달받은 영상을 모니터부로 출력시켜 운전자 등의 대차 본체(100)의 주행을 관리하는 관리자가 대차 본체(100)의 외곽 둘레에 대한 전체를 영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통신 수단(410)은 무선 통신 또는 유선 통신 등 공지의 통신 수단을 이용하여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카메라 승하강부(300)는 승하강 제어부(500)를 통해 작동이 제어되며, 승하강 제어부(500)는 각 카메라 승하강부(300)의 작동을 제어함으로써 대차 본체(100)의 외곽 둘레에 대한 전체를 영상으로 출력할 수 있도록 카메라부(200)의 촬영 높이를 개별적으로 조절한다.
승하강 제어부(500)는 대차 본체(100)의 크기에 따른 각 카메라부(200)의 높이에 대한 카메라 높이 정보 데이터가 기저장되어 있는 데이터 저장부(510), 대차 본체(100)의 크기를 입력하는 입력부(520)를 포함하여 입력부(520)를 통해 입력되는 대차 본체(100)의 크기 정보를 통해 해당 대차 본체(100)의 크기 정보에 대응되는 카메라부(200)의 높이로 카메라부(200)의 높이가 조절되도록 카메라 승하강부(300)의 작동을 제어한다.
카메라 높이 정보 데이터에는 대차 본체(100)의 크기 즉, 대차본체의 길이 또는 폭에 따라 복수의 카메라부(200)로 대차 본체(100)의 외곽 둘레에 대한 전체를 영상으로 확인할 수 있는 각 카메라부(200)의 높이가 기저장되어 있고, 승하강 제어부(500)는 입력부(520)를 통해 입력되는 대차 본체(100)의 크기 정보를 통해 해당 대차 본체(100)의 크기 정보에 대응되는 카메라부(200)의 높이로 카메라부(200)의 높이가 조절되도록 카메라 승하강부(300)의 작동을 제어함으로써 대차 본체(100)의 크기와 상관 없이 대차 본체(100)의 외곽 둘레에 대한 전체를 영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승하강 제어부(500)는 데이터 저장부(510)에 기저장된 카메라 높이 정보 데이터를 통해 입력부(520)를 통해 입력되는 대차 본체(100)의 크기 정보에 맞는 각 카메라부(200)의 높이 정보를 전달받고, 각 카메라 승하강부(300)의 작동을 제어함으로써 각 카메라부(200)의 높이를 카메라 높이 정보 데이터에 기저장된 높이로 위치시키게 된다.
또한, 승하강 제어부(500)는 운전자 등을 포함하는 관리자에 의해 수동으로 조작되는 수동 조작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승하강 제어부(500)는 수동 조작 모드 시 각 카메라부(20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는 컨트롤러부를 더 포함하고, 컨트롤러부는 승강 스위치, 하강 스위치, 카메라 선택 스위치를 포함하여 카메라 선택 스위치로 높이 조절 대상인 카메라부(200)를 선택한 후 해당 카메라부(200)의 높이를 승강 스위치와 하강 스위치를 통해 조절하는 것을 일 예로 한다.
관리자는 영상 처리부(400)로 출력되는 각 카메라부(200)의 영상을 확인하면서 각 카메라 승하강부(300)의 높이를 컨트롤러부를 통해 수동으로 조작하여 대차 본체(100)의 외곽 둘레에 대한 전체를 영상으로 확인할 수 있는 높이로 각 카메라부(200)의 높이를 조절한다.
컨트롤러부는 관리자가 사용하는 휴대용 단말기에 어플리케이션 형태로 설치되어 관리자가 본인이 사용하는 휴대용 단말기로 간단하게 각 카메라부(20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음을 밝혀둔다.
또한, 승하강 제어부(500)는 복수의 카메라부(200)로 대차 본체(100)의 외곽 둘레에 대한 전체를 촬영할 때 각 카메라부(200)에서 촬영되는 영상이 기저장되어 있는 이미지 저장부(530), 영상 처리부(400)로부터 카메라부(200)를 통해 촬영되는 영상을 실시간으로 전달받아 실시간으로 촬영된 실시간 촬영 영상과 이미지 저장부(530)에 기저장된 영상을 비교하여 각 카메라부(200)의 높이를 조절하는 영상 판별부(540)를 포함할 수 있다.
승하강 제어부(500)는 카메라 승하강부(300)로 복수의 카메라부(200) 중 어느 한 카메라부(200)의 높이를 조절하면서 해당 카메라부(200)에 의해 실시간으로 촬영되는 영상을 영상 처리부(400)를 통해 전달받아 영상 판별부(540)를 통해 실시간으로 촬영되는 영상과 이미지 저장부(530)에 기저장된 영상과 비교하여 실시간으로 촬영되는 영상이 기저장된 영상 중 하나와 일치될 때 카메라 승하강부(300)의 작동을 정지시킴으로써 해당 카메라부(200)의 높이를 조절한다.
이러한 작업을 복수의 카메라부(200)에 대해 순차적으로 적용하면서 각 카메라부(200)의 높이를 자동으로 조절함으로써 복수의 카메라로 대차 본체(100)의 외곽 둘레에 대한 전체를 촬영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가변형 어라운드 뷰 시스템을 구비한 저상형 대차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종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가변형 어라운드 뷰 시스템을 구비한 저상형 대차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평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가변형 어라운드 뷰 시스템을 구비한 저상형 대차의 다른 실시예에서 제1이동 대차부재(120)와 제2이동 대차부재(130)의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저상형 대차의 다른 실시예를 하기에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저상형 대차의 다른 실시예는 대차 본체(100)의 길이가 조절될 수 있다.
더 상세하게 대차 본체(100)는 베이스 대차부재(110), 베이스 대차부재(110)의 전방에서 전, 후 이동 가능하게 위치되는 제1이동 대차부재(120), 베이스 대차부재(110)의 후방에서 전, 후 이동 가능하게 위치되는 제2이동 대차부재(130)를 포함하여 전체 길이가 조절될 수 있다.
베이스 대차부재(110)의 내부에는 제1이동 대차부재(120)와 제2이동 대차부재(130)가 내부로 삽입될 수 있는 이동 공간이 위치되고, 제1이동 대차부재(120)와 제2이동 대차부재(130)는 베이스 대차부재(110)의 전방과 후방에서 각각 이동 공간 내에 삽입된 상태로 위치되어 각각 이동 공간에서 인출되거나 다시 이동 공간 내로 삽입됨으로써 전체 길이를 조절한다.
베이스 대차부재(110)는 상부 안착부(111), 상부 안착부(111)의 양 단부 측에서 하향으로 돌출되게 위치되는 제1측면 지지부(112)와 제2측면 지지부(113)를 포함하고, 제1이동 대차부재(120)와 제2이동 대차부재(130)는 각각 양 측면이 제1측면 지지부(112)의 내측면과 제2측면 지지부(113)의 내측면에 지지된 상태로 전, 후로 안정적으로 직선이동될 수 있다.
또한, 베이스 대차부재(110)는 제1측면 지지부(112)의 하부와 제2측면 지지부(113)의 하부에 복수의 제1주행 바퀴부(100a)가 위치되고, 제1이동 대차부재(120)의 하부와 제2이동 대차부재(130)의 하부에는 각각 복수의 제2주행 바퀴부(100b)가 구비된다.
베이스 대차부재(110), 제1이동 대차부재(120), 제2이동 대차부재(130)는 각각 복수의 제1주행 바퀴부(100a)와 복수의 제2주행 바퀴부(100b)에 의해 노면에 안착된 상태로 안정적으로 주행될 수 있고, 제1이동 대차부재(120)와 제2이동 대차부재(130)는 길이 조절을 위해 전, 후 이동될 때 각각 복수의 제1주행 바퀴부(100a) 및 복수의 제2주행 바퀴부(100b)에 의해 노면에 안착된 상태로 안정적으로 이동될 수 있다.
한편, 대차 본체(100)는 베이스 대차부재(110)에 위치되며 제1이동 대차부재(120)와 제2이동 대차부재(130)를 각각 전, 후 이동시키는 길이 조절용 이동기기(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길이 조절용 이동기기(140)는 길이 조절용 회전모터(143), 베이스 대차부재(110) 내에 회전 가능하게 위치되고 제1이동 대차부재(120) 내에 나사결합되며 길이 조절용 회전모터(143)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제1길이 조절용 스크류부재(141), 베이스 대차부재(110) 내에 회전 가능하게 위치되고 제2이동 대차부재(130) 내에 나사결합되며 길이 조절용 회전모터(143)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제2길이 조절용 스크류부재(142), 길이 조절용 회전모터(143)의 회전력을 제1길이 조절용 스크류부재(141)와 제2길이 조절용 스크류부재(142)로 전달하는 길이조절용 동력 전달부(144)를 포함할 수 있다.
길이조절용 동력 전달부(144)는 길이 조절용 회전모터(143)의 샤프트에 위치되는 제1베벨기어(144a), 제1길이 조절용 스크류부재(141)의 회전축에 위치되며 제1베벨기어(144a)에 맞물려 회전되는 제2베벨기어(144b), 제2길이 조절용 스크류부재(142)의 회전축에 위치되며 제1베벨기어(144a)에 맞물려 회전되는 제3베벨기어(144c)를 포함하는 것을 일 예로 한다.
길이조절용 동력 전달부(144)는 제1이동 대차부재(120)와 제2이동 대차부재(130)의 사이 즉, 베이스 대차부재(110)의 중앙에서 상부 안착부(111)의 하부면에 위치되는 기어 하우징부(114) 내에 위치되는 것을 일 예로 한다.
길이 조절용 회전모터(143)는 기어 하우징부(114)의 하부 측에 위치되어 제1베벨기어(144a)가 수직으로 기어 하우징부(114) 내에 수직으로 세워진 형태로 위치되고, 제2베벨기어(144b)와 제2베벨기어(144b)는 제1베벨기어(144a)와 수직인 방향에서 각각 제1베벨기어(144a)와 맞물려 위치된다.
기어 하우징부(114)는 베이스 대차부재(110)의 중앙에서 상부 안착부(111)의 하부면에 위치되어 길이조절용 동력 전달부(144)가 내부에 장착되고 각 기어의 회전축을 지지하는 역할을 함과 동시에 제1이동 대차부재(120)와 제2이동 대차부재(130)의 사이에 위치되어 제1이동 대차부재(120)와 제2이동 대차부재(130)의 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 역할도 함께 수행하게 된다.
길이 조절용 이동기기(140)는 제1이동 대차부재(120)와 제2이동 대차부재(130)를 서로 반대 방향으로 이동시켜 제1이동 대차부재(120)와 제2이동 대차부재(130)가 동시에 베이스 대차부재(110)에서 외부로 인출되거나 베이스 대차부재(110)의 내부로 동시에 삽입되도록 하여 베이스 대차부재(110)의 전방과 후방에서 각각 균일한 길이로 인출되거나 삽입되어 대차 본체(100)의 전체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제1길이 조절용 스크류부재(141)와 제2길이 조절용 스크류부재(142)가 길이 조절용 회전모터(143)의 작동에 의해 서로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될 때 제1길이 조절용 스크류부재(141)와 제2길이 조절용 스크류부재(142)는 서로 반대인 방향으로 제1이동 대차부재(120)와 제2이동 대차부재(130)에 각각 나사 결합되어 제1이동 대차부재(120)와 제2이동 대차부재(130)를 서로 반대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제1길이 조절용 스크류부재(141)와 제2길이 조절용 스크류부재(142)가 길이 조절용 회전모터(143)의 작동에 의해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될 때 제1길이 조절용 스크류부재(141)와 제2길이 조절용 스크류부재(142)는 동일한 나사 방향으로 제1이동 대차부재(120)와 제2이동 대차부재(130)에 각각 나사 결합되어 제1이동 대차부재(120)와 제2이동 대차부재(130)를 서로 반대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길이 조절용 이동기기(140)는 길이 조절용 회전모터(143)를 작동시켜 제1길이 조절용 스크류부재(141)와 제2길이 조절용 스크류부재(142)를 회전시키고, 제1길이 조절용 스크류부재(141)와 제2길이 조절용 스크류부재(142)의 회전 방향에 따라 제1이동 대차부재(120)와 제2이동 대차부재(130)가 각각 서로 반대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베이스 대차부재(110)의 전방과 후방에서 각각 인출되거나 삽입되어 대차 본체(100)의 전체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제1이동 대차부재(120)의 후방에는 상부 안착부(111)의 하부면을 받치는 제1보강 받침부(150)가 폭방향으로 이격되게 복수로 위치되고, 제2이동 대차부재(130)에는 제1보강 받침부(150)가 삽입되어 이동 가능하게 위치되는 제1보강 받침 삽입부(121)가 위치된다.
또한, 제2이동 대차부재(130)의 전방에는 상부 안착부(111)의 하부면을 받치는 제2보강 받침부(160)가 폭방향으로 이격되게 복수로 위치되고, 제1이동 대차부재(120)에는 제2보강 받침부(160)가 삽입되어 이동 가능하게 위치되는 제2보강 받침 삽입부(131)가 위치된다.
제1보강 받침부(150)가 제1보강 받침 삽입부(121) 내에 삽입된 길이 및 제2보강 받침부(160)가 제2보강 받침 삽입부(131) 내에 각각 삽입된 길이는 제1길이 조절용 스크류부재(141)의 길이와 제2길이 조절용 스크류부재(142)의 길이를 더한 길이보다 긴 길이를 가져 최대로 제1이동 대차부재(120)와 제2이동 대차부재(130)가 하더라도 제1보강 받침부(150)와 제2보강 받침부(160)가 제1보강 받침 삽입부(121)와 제2보강 받침 삽입부(131)에서 각각 빠지지 않게 된다.
제1보강 받침 삽입부(121)와 제2보강 받침 삽입부(131)는 각각 상부 측과 하부 측이 개방된 형태로 형성되어 개방된 상부 측으로 제1보강 받침부(150)와 제2보강 받침부(160)가 상부 안착부(111)의 하부면을 받쳐 지지한다.
그리고, 제1보강 받침부(150)의 하부 측에는 노면에 지지되어 구르는 복수의 제1받침 주행 바퀴부(151)가 구비되고, 제2보강 받침부(160)의 하부 측에는 노면에 지지되어 구르는 복수의 제2받침 주행 바퀴부(161)가 구비된다.
제1보강 받침부(150)와 제2보강 받침부(160)는 제1보강 받침 삽입부(121)와 제2보강 받침 삽입부(131) 내에 각각 삽입되거나 인출될 때 제1받침 주행 바퀴부(151)와 제2받침 주행 바퀴부(161)가 각각 노면을 따라 구르면서 원활하게 이동될 수 있고, 상부 안착부(111)의 하부면을 안정적으로 받쳐 지지할 수 있게 된다.
제1보강 받침부(150)와 제2보강 받침부(160)는 제1이동 대차부재(120)와 제2이동 대차부재(130)가 각각 베이스 대차부재(110)에서 인출될 때 상부 안착부(111)의 하부면을 지지하여 상부 안착부(111) 상에 올려지는 중량체인 이송 대상물에 의해 상부 안착부(111)가 변형되거나 파손되는 손상을 방지하고, 중량체인 이송 대상물을 안정적으로 이송할 수 잇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저상형 대차는 제1이동 대차부재(120)와 제2이동 대차부재(130)가 이동되어 대차 본체(100)의 길이가 조절될 때 승하강 제어부(500)에 의해 카메라 승하강부(300)의 작동이 제어되어 카메라부(200)의 높이가 조절될 수 있다.
승하강 제어부(500)에 의한 카메라 승하강부(300)의 작동으로 카메라부(200)의 높이가 대차 본체(100)의 외곽 둘레에 대한 전체를 영상으로 출력할 수 있도록 조절되며 이에 대한 실시예는 상기에서 언급한 바 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함을 밝혀두낟.
본 발명은 차량의 크기에 따라 촬영 높이가 가변되어 다양한 크기의 차량에 적용이 가능하므로 차량에 어라운드 뷰 시스템을 적용시키는데 있어 비용을 절감하고, 다양한 크기의 차량에 어라운드 뷰 시스템을 적용시키는데 있어 카메라의 셋팅 시간을 크게 단축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길이가 가변되는 저상형 대차를 제공하여 이송되는 이송 대상물의 크기에 따라 저상형 대차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어 다양한 크기의 이송 대상물을 이송시키는데 소요되는 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저상형 대차의 가변되는 크기에 맞게 카메라의 높이가 가변되어 저상형 대차에 어라운드 뷰 시스템을 적용시키는데 있어 비용을 크게 절감하고, 저상형 대차에 적용되는 어라운드 뷰 시스템에서 카메라의 셋팅 시간을 크게 단축시킬 수 있어 이송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에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으며 이는 본 발명의 구성에 포함됨을 밝혀둔다.
100 : 대차 본체 100a : 제1주행 바퀴부
100b : 제2주행 바퀴부 110 : 베이스 대차부재
111 : 상부 안착부 112 : 제1측면 지지부
113 : 제2측면 지지부 114 : 기어 하우징부
120 : 제1이동 대차부재 121 : 제1보강 받침 삽입부
130 : 제2이동 대차부재 131 : 제2보강 받침 삽입부
140 : 길이 조절용 이동기기 141 : 제1길이 조절용 스크류부재
142 : 제2길이 조절용 스크류부재 143 : 길이 조절용 회전모터
144 : 길이조절용 동력 전달부 144a : 제1베벨기어
144b : 제2베벨기어 144c : 제3베벨기어
150 : 제1보강 받침부 151 : 제1받침 주행 바퀴부
160 : 제2보강 받침부 161 : 제2받침 주행 바퀴부
200 : 카메라부 210 : 전방 카메라부
220 : 후방 카메라부 230 : 측방 카메라부
300 : 카메라 승하강부 310 : 승하강 본체부재
320 : 승하강 이동부재 330 : 승하강 기기
331 : 승하강용 스크류부재 332 : 승하강용 회전모터
333 : 제1스퍼어 기어 334 : 제2스퍼어 기어
335 : 제3스퍼어 기어 400 : 영상 처리부
500 : 승하강 제어부 510 : 데이터 저장부
520 : 입력부 530 : 이미지 저장부
540 : 영상 판별부

Claims (19)

  1. 차량에 설치되어 차량의 차체 주변을 촬영하는 어라운드 뷰 시스템이며,
    복수의 카메라부;
    차량의 차체에 설치되고 상기 카메라부가 장착되며 상기 카메라부를 승하강시키는 카메라 승하강부;
    상기 카메라부로부터 영상을 전달받아 영상을 출력하는 영상 처리부; 및
    상기 카메라 승하강부와 연결되어 상기 차량의 크기에 따라 상기 카메라 승하강부의 작동을 제어하여 상기 카메라부의 높이를 조절하는 승하강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어라운드 뷰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승하강부는,
    상기 차량에 장착되는 승하강 본체부재;
    상기 승하강 본체부재 내에 상, 하 이동 가능하게 위치되고, 상기 카메라부가 장착되는 승하강 이동부재; 및
    상기 승하강 이동부재를 상, 하 이동시키는 승하강 기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어라운드 뷰 시스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승하강 기기는,
    상기 승하강 본체부재 내에 수직으로 세워져 회전 가능하게 위치되며 승하강 이동부재의 내부로 체결되는 승하강용 스크류부재; 및
    상기 승하강용 스크류부재를 회전시키는 승하강용 회전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어라운드 뷰 시스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승하강 제어부는,
    상기 차량의 크기에 따른 각 상기 카메라부의 높이에 대한 카메라 높이 정보 데이터가 기저장되어 있는 데이터 저장부 및 상기 차량의 크기를 입력하는 입력부를 포함하여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상기 차량의 크기 정보를 통해 크기 정보에 대응되는 상기 카메라부의 높이로 상기 카메라부의 높이가 조절되도록 상기 카메라 승하강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어라운드 뷰 시스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승하강 제어부는 수동 조작 모드 시 각 카메라부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는 컨트롤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부는 승강 스위치, 하강 스위치, 카메라 선택 스위치를 포함하여 상기 카메라 선택 스위치로 높이 조절 대상인 카메라부를 선택한 후 해당 카메라부의 높이를 상기 승강 스위치와 상기 하강 스위치를 통해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어라운드 뷰 시스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승하강 제어부는,
    복수의 카메라부로 상기 차량의 외곽 둘레에 대한 전체를 촬영할 때 각 카메라부에서 촬영되는 영상이 기저장되어 있는 이미지 저장부; 및
    상기 카메라부를 통해 촬영되는 영상을 실시간으로 전달받아 실시간으로 촬영된 실시간 촬영 영상과 상기 이미지 저장부에 기저장된 영상을 비교하여 각 카메라부의 높이를 조절하는 영상 판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어라운드 뷰 시스템.
  7. 상부에 이송 대상물이 올려지며 하부에 복수의 주행바퀴부가 구비되는 대차 본체;
    상기 대차 본체의 외측 둘레를 촬영하도록 배치되는 복수의 카메라부;
    상기 대차 본체에 설치되고 상기 카메라부가 장착되며 상기 카메라부를 승하강시키는 카메라 승하강부;
    상기 카메라부로부터 영상을 전달받아 영상을 출력하는 영상 처리부; 및
    상기 카메라 승하강부와 연결되어 상기 대차 본체의 크기에 따라 상기 카메라 승하강부의 작동을 제어하여 상기 카메라부의 높이를 조절하는 승하강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상형 대차.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대차 본체는,
    베이스 대차부재;
    상기 베이스 대차부재의 전방에서 전, 후 이동 가능하게 위치되는 제1이동 대차부재; 및
    상기 베이스 대차부재의 후방에서 전, 후 이동 가능하게 위치되는 제2이동 대차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상형 대차.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대차부재는 하부에 복수의 제1주행 바퀴부가 위치되고, 상기 제1이동 대차부재의 하부와 상기 제2이동 대차부재의 하부에는 각각 복수의 제2주행 바퀴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상형 대차.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대차 본체는,
    상기 베이스 대차부재에 위치되며 상기 제1이동 대차부재와 상기 제2이동 대차부재를 각각 전, 후 이동시키는 길이 조절용 이동기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상형 대차.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길이 조절용 이동기기는,
    길이 조절용 회전모터;
    상기 베이스 대차부재 내에 회전 가능하게 위치되고 상기 제1이동 대차부재 내에 나사결합되며 상기 길이 조절용 회전모터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제1길이 조절용 스크류부재;
    상기 베이스 대차부재 내에 회전 가능하게 위치되고 상기 제2이동 대차부재 내에 나사결합되며 상기 길이 조절용 회전모터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제2길이 조절용 스크류부재; 및
    상기 길이 조절용 회전모터의 회전력을 상기 제1길이 조절용 스크류부재와 상기 제2길이 조절용 스크류부재로 전달하는 길이조절용 동력 전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상형 대차.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길이조절용 동력 전달부는,
    상기 길이 조절용 회전모터의 샤프트에 위치되는 제1베벨기어;
    상기 제1길이 조절용 스크류부재의 회전축에 위치되며 상기 제1베벨기어에 맞물려 회전되는 제2베벨기어; 및
    상기 제2길이 조절용 스크류부재의 회전축에 위치되며 상기 제1베벨기어에 맞물려 회전되는 제3베벨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상형 대차.
  13.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길이 조절용 이동기기는 상기 제1이동 대차부재와 상기 제2이동 대차부재를 서로 반대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제1이동 대차부재와 상기 제2이동 대차부재가 동시에 상기 베이스 대차부재에서 외부로 인출되거나 상기 베이스 대차부재의 내부로 동시에 삽입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상형 대차.
  14.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대차부재는,
    상부 안착부; 및
    상기 상부 안착부의 양 단부 측에서 하향으로 돌출되게 위치되어 상기 제1이동 대차부재의 양측면과 상기 제2이동 대차부재의 양측면을 지지하는 제1측면 지지부와 제2측면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이동 대차부재의 후방에는 상기 상부 안착부의 하부면을 받치는 제1보강 받침부가 폭방향으로 이격되게 복수로 위치되고, 상기 제2이동 대차부재에는 상기 제1보강 받침부가 삽입되어 이동 가능하게 위치되는 제1보강 받침 삽입부가 위치되며,
    상기 제2이동 대차부재의 전방에는 상기 상부 안착부의 하부면을 받치는 제2보강 받침부가 폭방향으로 이격되게 복수로 위치되고, 상기 제1이동 대차부재에는 상기 제2보강 받침부가 삽입되어 이동 가능하게 위치되는 제2보강 받침 삽입부가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상형 대차.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제1보강 받침부가 상기 제1보강 받침 삽입부 내에 삽입된 길이 및 상기 제2보강 받침부가 상기 제2보강 받침 삽입부 내에 각각 삽입된 길이는 상기 제1길이 조절용 스크류부재의 길이와 상기 제2길이 조절용 스크류부재의 길이를 더한 길이보다 긴 길이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상형 대차.
  16.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제1보강 받침 삽입부와 상기 제2보강 받침 삽입부는 각각 상부 측과 하부 측이 개방된 형태로 형성되어 개방된 상부 측으로 상기 제1보강 받침부와 상기 제2보강 받침부가 상기 상부 안착부의 하부면을 받쳐 지지하며,
    상기 제1보강 받침부의 하부 측에는 노면에 지지되어 구르는 복수의 제1받침 주행 바퀴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2보강 받침부의 하부 측에는 노면에 지지되어 구르는 복수의 제2받침 주행 바퀴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상형 대차.
  17.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승하강 제어부는,
    상기 대차 본체의 크기에 따른 각 상기 카메라부의 높이에 대한 카메라 높이 정보 데이터가 기저장되어 있는 데이터 저장부 및 상기 대차 본체의 크기를 입력하는 입력부를 포함하여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상기 대차 본체의 크기 정보를 통해 크기 정보에 대응되는 상기 카메라부의 높이로 상기 카메라부의 높이가 조절되도록 상기 카메라 승하강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상형 대차.
  18.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승하강 제어부는 수동 조작 모드 시 각 카메라부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는 컨트롤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부는 승강 스위치, 하강 스위치, 카메라 선택 스위치를 포함하여 상기 카메라 선택 스위치로 높이 조절 대상인 카메라부를 선택한 후 해당 카메라부의 높이를 상기 승강 스위치와 상기 하강 스위치를 통해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상형 대차.
  1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승하강 제어부는,
    복수의 카메라부로 대차 본체의 외곽 둘레에 대한 전체를 촬영할 때 각 카메라부에서 촬영되는 영상이 기저장되어 있는 이미지 저장부; 및
    상기 카메라부를 통해 촬영되는 영상을 실시간으로 전달받아 실시간으로 촬영된 실시간 촬영 영상과 상기 이미지 저장부에 기저장된 영상을 비교하여 각 카메라부의 높이를 조절하는 영상 판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상형 대차.
KR1020200013126A 2020-02-04 2020-02-04 저상형 대차 KR1023720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3126A KR102372051B1 (ko) 2020-02-04 2020-02-04 저상형 대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3126A KR102372051B1 (ko) 2020-02-04 2020-02-04 저상형 대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9364A true KR20210099364A (ko) 2021-08-12
KR102372051B1 KR102372051B1 (ko) 2022-03-07

Family

ID=773146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3126A KR102372051B1 (ko) 2020-02-04 2020-02-04 저상형 대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7205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25809A (ja) * 2006-02-22 2007-09-06 Nippon Hoso Kyokai <Nhk> カメラ雲台付き移動台車
KR20090066014A (ko) * 2007-12-18 2009-06-23 주식회사 현대오토넷 차량의 카메라 위치 자동 조절 장치 및 방법
KR20130130943A (ko) * 2012-05-23 2013-12-03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어라운드 뷰 모니터링용 카메라의 위치 자동 조정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80013162A (ko) 2016-07-28 2018-02-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차량용 어라운드 뷰 제공 장치 및 차량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25809A (ja) * 2006-02-22 2007-09-06 Nippon Hoso Kyokai <Nhk> カメラ雲台付き移動台車
KR20090066014A (ko) * 2007-12-18 2009-06-23 주식회사 현대오토넷 차량의 카메라 위치 자동 조절 장치 및 방법
KR20130130943A (ko) * 2012-05-23 2013-12-03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어라운드 뷰 모니터링용 카메라의 위치 자동 조정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80013162A (ko) 2016-07-28 2018-02-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차량용 어라운드 뷰 제공 장치 및 차량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72051B1 (ko) 2022-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568313B2 (ja) 電池交換システム
KR100713217B1 (ko) 유도탄 조립대
EP1717541B1 (de) Wurfanlage
CN109501747B (zh) 汽车位置调节系统、汽车位置调节方法及换电站
RU2736531C1 (ru) Модуль и носитель для ракетного запуска
EP2959258B1 (de) Militärisches fahrzeug mit einer führungseinheit
KR20110106309A (ko) 외부-동력 화기를 구비한 자동재장전식 원격조종 무기시스템
US10086943B2 (en) System for moving loads comprising a driven transport vehicle
KR102372051B1 (ko) 저상형 대차
EP1557634B1 (de) Vorrichtung zur Halterung einer Waffenstation
EP2344833A1 (de) Mörser
US4753156A (en) Armor car-mounted mortar
US10458735B2 (en) Combined loading device and combined loading method for shell and charge
EP2381204A2 (de)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Richten eines Raketenabschussbehälters
JPH0417357B2 (ko)
DE102013101632B4 (de) Militärfahrzeug
CN106839872A (zh) 一种高炮降雨弹发射器
WO2023138731A1 (de) Überführungsvorrichtung für treibladungen
GB2074442A (en) Vehicle seat slides
KR101160143B1 (ko) 발사대 수평 레벨링 장치 및 방법
CN115817876A (zh) 一种基于计算机视觉的无人机坠落定位装置
US5335580A (en) System for automatically loading ammunition into the chamber of a barrel of a gun
KR102010504B1 (ko) 발사체용 포드의 장입 장치
DE102013101625B4 (de) Gepanzertes Fahrzeug mit einer Dachhaube
EP2800937A1 (de) Waffenst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