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98810A - Livestock waste collection device - Google Patents

Livestock waste collection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98810A
KR20210098810A KR1020200012844A KR20200012844A KR20210098810A KR 20210098810 A KR20210098810 A KR 20210098810A KR 1020200012844 A KR1020200012844 A KR 1020200012844A KR 20200012844 A KR20200012844 A KR 20200012844A KR 20210098810 A KR20210098810 A KR 202100988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vestock excrement
rotating
unit
livestock
ch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284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356717B1 (en
Inventor
김영선
Original Assignee
김영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선 filed Critical 김영선
Priority to KR10202000128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6717B1/en
Publication of KR202100988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9881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67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671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1Removal of dung or urine, e.g. from stables
    • A01K1/0128Removal of dung or urine, e.g. from stables by means of scrapers or the like moving continuously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livestock excrement collection apparatus which comprises: a main body (110) having an inlet (111) formed on the front lower part to introduce livestock excrement (A) and litter (B) to the inside; a sorting unit (120) formed on the inner lower part of the main body (110) to pass the litter (B) without passing the livestock excrement (A) to the lower part; a transfer unit (130) formed on the inner upper part of the main body (110) to transfer the livestock excrement (A) and the litter (B) rearward; and a discharge unit (140) formed on the inner rear side of the main body (110) to be opened and closed to store the livestock excrement (A) and then discharge the same at a designated location. When bulky livestock excrement (C) or foreign matter is introduced between the sorting unit (120) and the thin film unit (130), the front side of the transfer unit (130) is lifted upwards with respect to a rotary shaft (130a) formed on the upper part of the main body (110). Accordingly, when bulky livestock excrement or foreign matter is introduced, the transfer unit is lifted upward, thereby providing effects of preventing deformation and damage caused by load and interference. In particular, when a large amount of livestock excrement and litter are introduced at once and accumulated between the chain and a rotating body, the rotating body moves to the rear side, thereby providing effects of preventing the chain from being cut and separated.

Description

가축 배설물 수거장치{Livestock waste collection device}Livestock waste collection device

본 발명은 가축 배설물 수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부피가 큰 가축 배설물 및 이물질의 유입으로 발생하는 파손 및 변형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가축 배설물 수거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ivestock excrement collecting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livestock excrement collecting device capable of preventing damage and deformation caused by the introduction of bulky livestock excrement and foreign substances.

일반적으로 가축 배설물 수거장치는 혼합된 가축 배설물과 바닥재(왕겨 또는 톱밥 등)를 선별하여 가축 배설물은 수거하고 바닥재는 바닥으로 배출하기 위해서 사용한다.In general, the livestock excreta collecting device is used to sort the mixed livestock excrement and floor ash (chaff or sawdust, etc.), collect the livestock excrement, and discharge the bottom ash to the floor.

그러나 종래의 가축 배설물 수거장치는 부피가 큰 가축 배설물 또는 이물질을 강제로 후방으로 이동시키는 과정에서 걸림 현상 및 부하가 집중되어 컨베이어 및 스크래퍼 등과 같은 운반유닛이 쉽게 변형 및 손상되는 문제를 갖게 되었다.However, the conventional livestock excreta collecting device has a problem in that the conveying unit such as a conveyor and a scraper is easily deformed and damaged because a jamming phenomenon and a load are concentrated in the process of forcibly moving bulky livestock excrement or foreign substances to the rear.

특히 가축 배설물과 바닥재가 한꺼번에 많은 양이 유입될 경우 운반유닛의 체인과 회전체 등의 사이로 쌓이면서 원활한 회전력을 확보할 수 없음은 물론 체인이 절단되거나 제자리를 이탈하면서 작동효율을 저하시키는 문제를 갖게 되었다.In particular, if a large amount of livestock excrement and flooring material flows in at once, it accumulates between the chain and the rotating body of the transport unit, making it impossible to secure a smooth rotational force, as well as reducing the operating efficiency as the chain is cut or out of place. .

한국공개실용신안 제20-1986-0010713호(1986.09.08.)Korea Public Utility Model No. 20-1986-0010713 (1986.09.08.) 한국공개특허 제10-1996-0040141호(1996.12.17.)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1996-0040141 (June 17, 1996) 한국등록특허 제10-0921159호(2009.10.09.)Korean Patent No. 10-0921159 (2009.10.09.) 한국공개특허 제10-2012-0022223호(2012.03.12.)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2-0022223 (2012.03.12.) 한국공개특허 제10-2012-0116140호(2012.10.22.)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12-0116140 (2012.10.22.) 한국등록특허 제10-1308839호(2013.09.13.)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308839 (2013.09.13.)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conventional problems as described above,

본 발명은 가축 배설물 또는 이물질을 후방으로 운반하는 과정에서 간섭 및 부하가 발생할 경우 상부방향으로 들어올려 지면서 변형 및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가축 배설물 수거장치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livestock excrement collecting apparatus capable of preventing deformation and damage while lifting upwards when interference and load occur in the process of transporting livestock excrement or foreign substances backward.

또한, 본 발명은 가축 배설물과 바닥재가 체인과 회전체의 사이로 유입될 경우 탄성 기능을 수행하여 체인의 절단 및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가축 배설물 수거장치를 제공함에 다른 목적이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livestock excrement collecting device capable of preventing the chain from being cut and separated by performing an elastic function when livestock excrement and flooring are introduced between the chain and the rotating body.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가축 배설물 수거장치(100)는,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livestock excrement collecting device 100,

전방 하부에 가축 배설물(A) 및 바닥재(B)를 내측으로 유입시키기 위한 유입부(111)를 형성하는 몸체(110); 상기 몸체(110)의 내측 하부에 가축 배설물(A)은 통과시키지 않고 바닥재(B)는 하부로 통과시킬 수 있도록 형성하는 선별부(120); 상기 몸체(110)의 내측 상부에 가축 배설물(A) 및 바닥재(B)를 후방으로 운반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운반유닛(130); 상기 몸체(110)의 내측 후방에 가축 배설물(A)을 저장한 후 지정위치에 버리기 위해서 개폐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배출유닛(140);을 포함하되,Body 110 forming an inlet 111 for introducing the livestock excrement (A) and flooring (B) to the inside in the lower front; a sorting unit 120 formed so as to pass the bottom material (B) to the lower portion without passing the livestock excrement (A) through the lower inner portion of the body 110; a transport unit 130 configured to transport the livestock excrement (A) and the flooring material (B) to the rear on the inner upper portion of the body 110; Discharge unit 140 formed so as to be able to open and close in order to store livestock excrement (A) on the inner rear side of the body 110 and then dispose of it at a designated location;

상기 선별부(120)와 운반유닛(130)의 사이로 부피가 큰 가축 배설물(C) 또는 이물질이 유입될 경우 상기 운반유닛(130)의 전방이 상기 몸체(110)의 상부에 형성하는 회전축(130a)을 중심으로 상부방향으로 들어올려 지도록 마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When a bulky livestock excrement (C) or foreign material is introduced between the sorting unit 120 and the conveying unit 130 , the front of the conveying unit 130 is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body 110 , the rotating shaft 130a )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to be lifted in the upper direction around the center.

여기서 상기 몸체(110)의 후방에 작업기(10)와 탈착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장착부(11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Here, a mounting portion 112 formed to be detachably from the working machine 10 at the rear of the body 110;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한편, 상기 운반유닛(130)은 고정몸체(131); 상기 고정몸체(131)의 후방 양측에 상기 회전축(130a)과 연결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제1회전체(132); 상기 고정몸체(131)의 전방에 전후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이동몸체(133); 상기 이동몸체(133)의 전방 양측에 형성하는 제2회전체(134); 상기 제1회전체(132)와 제2회전체(134)를 순환하여 연결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체인(136); 상기 체인(136)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일정간격 떨어지도록 형성하는 스크래퍼(137); 상기 제2회전체(134) 및 체인(136)의 사이로 가축 배설물(A) 또는 바닥재(B)가 유입될 경우 상기 이동몸체(133) 및 제2회전체(134)를 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탄성력을 구비하는 탄성부재(138); 상기 제1회전체(132)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수단(139);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On the other hand, the transport unit 130 is a fixed body 131; a first rotating body 132 formed so as to be able to rotate in connection with the rotating shaft 130a on both rear sides of the fixed body 131; a movable body 133 formed in front of the fixed body 131 so as to be movable in the front-rear direction; a second rotating body 134 formed on both front sides of the movable body 133; a chain 136 for circulating and connecting the first rotating body 132 and the second rotating body 134; a scraper 137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hain 136; When livestock excrement (A) or flooring (B) is introduced between the second rotating body 134 and the chain 136, elastic force to move the movable body 133 and the second rotating body 134 backward An elastic member 138 having; and a driving means (139) for rotating the first rotating body (132).

이때 상기 고정몸체(131)의 양측에 형성하는 지지부(131a);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is cas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support portions (131a) formed on both sides of the fixed body (131).

또한, 상기 고정몸체(131)와 이동몸체(133)의 사이에 상기 탄성부재(138)의 중앙을 관통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간격 조절축(138a); 상기 간격 조절축(138a)과 나사 결합하여 회전방향에 따라서 이동하면서 상기 탄성부재(138)를 밀착시켜 탄성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조절구(138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between the fixed body 131 and the movable body 133, a gap adjusting shaft (138a) formed to pass through the center of the elastic member (138); and an adjusting member (138b) which is screwed with the spacing adjusting shaft (138a) and formed to adjust the elastic force by closely contacting the elastic member (138) while moving along the rotational direction.

아울러 상기 배출유닛(140)은 상기 몸체(110)의 후방 하부에 형성하는 회동부(141); 상기 회동부(141)를 중심으로 상하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개폐문(142); 상기 개폐문(142)을 상하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실린더(14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discharge unit 140 includes a rotating portion 141 formed in the lower rear portion of the body (110); an opening and closing door 142 formed so as to be able to rotate in the vertical direction around the rotating part 141; and a cylinder 143 for rotating the opening and closing door 142 in the vertical direction.

한편, 상기 몸체(110)의 전방 양측에 바닥에 맞닿는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높이 조절유닛(15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On the other hand,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height adjustment unit 150 is formed so as to adjust the height in contact with the floor on both sides of the front of the body (110).

여기서 상기 높이 조절유닛(150)은 상기 몸체(110)의 전방 일측에 수직방향으로 형성하는 지지몸체(151); 상기 지지몸체(151)의 내측에 수직방향으로 나사 결합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나사축(152); 상기 나사축(152)의 하부에 바닥에 맞닿을 수 있도록 형성하는 받침구(153); 상기 나사축(152)의 상부에 형성하는 손잡이(15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Here, the height adjustment unit 150 includes a support body 151 formed in a vertical direction on one side of the front side of the body 110; a screw shaft 152 formed to be screw-coupled to the inside of the support body 151 in a vertical direction; a supporter 153 formed in a lower portion of the screw shaft 152 so as to be in contact with the floor; and a handle (154)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screw shaft (152).

본 발명은 부피가 큰 가축 배설물 또는 이물질이 유입될 경우 상부방향으로 운반유닛을 들어올려서 부하 및 간섭으로 발생하는 변형 및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preventing deformation and damage caused by load and interference by lifting the transport unit upward when bulky livestock excrement or foreign substances are introduced.

특히 본 발명은 가축 배설물과 바닥재가 한꺼번에 많은 양이 유입되어 체인 및 회전체의 사이로 쌓일 경우 회전체를 후방으로 이동시켜 체인의 절단 및 이탈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preventing the cutting and separation of the chain in advance by moving the rotating body to the rear when a large amount of livestock excrement and flooring are introduced at once and accumulated between the chain and the rotating body.

도 1은 본 발명 가축 배설물 수거장치의 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가축 배설물 수거장치의 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서 운반유닛의 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서 운반유닛의 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에서 운반유닛을 이용하여 가축 배설물과 바닥재를 선별하는 과정을 나타내기 위한 참고도.
도 6은 본 발명에서 부피가 큰 가축 배설물 또는 이물질 유입시 운반유닛의 작동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참고도.
도 7은 본 발명에서 가축 배설물과 바닥재의 다량 유입시 제2회전체의 작동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참고도.
도 8은 본 발명 가축 배설물 수거장치의 설치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참고도.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livestock excrement collecting device.
Figure 2 is a side view for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livestock excrement collecting device.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for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transport unit in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side view for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transport unit in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reference view for showing the process of selecting livestock excrement and flooring using a transport unit in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reference view for show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transport unit when bulky livestock excrement or foreign substances in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reference view for show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second rotating body when a large amount of livestock excrement and flooring is introduced in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 reference view for showing the installation state of the present invention livestock excrement collecting device.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성을 첨부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As described above,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 가축 배설물 수거장치의 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 가축 배설물 수거장치의 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측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서 운반유닛의 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서 운반유닛의 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측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서 운반유닛을 이용하여 가축 배설물과 바닥재를 선별하는 과정을 나타내기 위한 참고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서 부피가 큰 가축 배설물 또는 이물질 유입시 운반유닛의 작동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참고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서 가축 배설물과 바닥재의 다량 유입시 제2회전체의 작동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참고도이고, 도 8은 본 발명 가축 배설물 수거장치의 설치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참고도를 도시한 것이다.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for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livestock excrement collecting device, Figure 2 is a side view for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livestock excrement collecting device, Figure 3 is for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conveying unit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perspective view, Figure 4 is a side view for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transport unit in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reference view for showing the process of sorting livestock excrement and flooring using the transport unit in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It is a reference diagram for show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transport unit when bulky livestock excrement or foreign substances are introduced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 is for show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second rotating body when a large amount of livestock excrement and flooring are introduced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reference view, and Figure 8 shows a reference view for showing the installation state of the present invention livestock excrement collecting device.

본 발명은 전방 하부에 가축 배설물(A) 및 바닥재(B)를 내측으로 유입시키기 위한 유입부(111)를 형성하는 몸체(110); 상기 몸체(110)의 내측 하부에 가축 배설물(A)은 통과시키지 않고 바닥재(B)는 하부로 통과시킬 수 있도록 형성하는 선별부(120); 상기 몸체(110)의 내측 상부에 가축 배설물(A) 및 바닥재(B)를 후방으로 운반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운반유닛(130); 상기 몸체(110)의 내측 후방에 가축 배설물(A)을 저장한 후 지정위치에 버리기 위해서 개폐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배출유닛(140);을 포함하되,The present invention is a body 110 forming an inlet 111 for introducing the livestock excrement (A) and the flooring (B) to the inside in the lower front; a sorting unit 120 formed so as to pass the bottom material (B) to the lower portion without passing the livestock excrement (A) through the lower inner portion of the body 110; a transport unit 130 configured to transport the livestock excrement (A) and the flooring material (B) to the rear on the inner upper portion of the body 110; Discharge unit 140 formed so as to be able to open and close in order to store livestock excrement (A) on the inner rear side of the body 110 and then dispose of it at a designated location;

상기 선별부(120)와 운반유닛(130)의 사이로 부피가 큰 가축 배설물(C) 또는 이물질이 유입될 경우 상기 운반유닛(130)의 전방이 상기 몸체(110)의 상부에 형성하는 회전축(130a)을 중심으로 상부방향으로 들어올려지도록 마련한다.When a bulky livestock excrement (C) or foreign material is introduced between the sorting unit 120 and the conveying unit 130 , the front of the conveying unit 130 is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body 110 , the rotating shaft 130a ) to be raised in the upper direction.

특히 상기 몸체(110)는 작업기(10)의 전방에 장착하여 이동하면서 축사의 바닥에 깔려있는 가축 배설물(A) 및 바닥재(B)를 내측으로 유입시킬 수 있다.In particular, the body 110 is mounted on the front of the working machine 10, and while moving, the livestock excrement (A) and the flooring material (B) laid on the floor of the barn can be introduced into the inside.

이때 상기 유입부(111)는 일정넓이와 두께를 갖도록 형성하여 축사의 바닥에 맞닿거나 바닥과 일정간격 떨어진 상태로 이동하면서 축사의 바닥에 깔려있는 가축 배설물(A) 및 바닥재(B)를 들어올려 상기 몸체(110)의 내측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유도한다.At this time, the inlet 111 is formed to have a certain width and thickness, and moves in a state of being in contact with the floor of the barn or spaced apart from the floor by a certain distance to lift the livestock excrement (A) and the flooring (B) lying on the floor of the barn. It is guided to be introduced into the inside of the body 110 .

그리고 상기 몸체(110)의 후방에 트랙터 또는 스키드 로더 등과 같은 작업기(10)와 탈착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장착부(112);를 포함한다.and a mounting part 112 formed to be detachably from the working machine 10 such as a tractor or a skid loader at the rear of the body 110 .

이때 상기 장착부(112)는 작업기(10)의 전방에 형성하는 어태치먼트 등과 탈착할 수 있도록 다양한 형상 및 규격을 갖도록 형성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mounting part 112 may be formed to have various shapes and specifications so as to be detachable from an attachment formed in the front of the working machine 10 .

한편, 상기 선별부(120)는 가축 배설물(A)은 통과시키지 않고 부피가 작은 바닥재(B)는 하부로 통과시킬 수 있도록 다수개의 파이프 또는 환봉을 상기 선별부(120)의 폭 방향을 기준으로 일정간격 떨어지도록 형성할 수 있음은 물론 메쉬망 또는 다수의 통공을 형성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sorting unit 120 is a plurality of pipes or round rods based on the width direction of the sorting unit 120 so that the livestock excrement (A) does not pass and the small-volume flooring (B) can pass through the lower part. It can be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of course, a mesh network or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can be formed.

아울러 상기 운반유닛(130)은 상기 선별부(120)의 상부에 일정간격 떨어지도록 형성하여 가축 배설물(A) 및 바닥재(B)를 후방으로 운반하면서 상기 선별부(120)를 통해서 선별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역할을 수행한다.In addition, the conveying unit 130 is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sorting unit 120 at a predetermined interval so as to be able to sort through the sorting unit 120 while transporting the livestock excrement (A) and the flooring (B) to the rear. plays a leading role.

이러한 상기 운반유닛(130)은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몸체(131); 상기 고정몸체(131)의 후방 양측에 상기 회전축(130a)과 연결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제1회전체(132); 상기 고정몸체(131)의 전방에 전후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이동몸체(133); 상기 이동몸체(133)의 전방 양측에 형성하는 제2회전체(134); 상기 제1회전체(132)와 제2회전체(134)를 순환하여 연결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체인(136); 상기 체인(136)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일정간격 떨어지도록 형성하는 스크래퍼(137); 상기 제2회전체(134) 및 체인(136)의 사이로 가축 배설물(A) 또는 바닥재(B)가 유입될 경우 상기 이동몸체(133) 및 제2회전체(134)를 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탄성력을 구비하는 탄성부재(138); 상기 제1회전체(132)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수단(139);을 포함한다.The transport unit 130 includes a fixed body 131 as shown in FIGS. 3 and 4; a first rotating body 132 formed so as to be able to rotate in connection with the rotating shaft 130a on both rear sides of the fixed body 131; a movable body 133 formed in front of the fixed body 131 so as to be movable in the front-rear direction; a second rotating body 134 formed on both front sides of the movable body 133; a chain 136 for circulating and connecting the first rotating body 132 and the second rotating body 134; a scraper 137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hain 136; When livestock excrement (A) or flooring (B) is introduced between the second rotating body 134 and the chain 136, elastic force to move the movable body 133 and the second rotating body 134 backward An elastic member 138 having; and a driving means 139 for rotating the first rotating body 132 .

여기서 상기 회전축(130a)은 상기 몸체(110)의 상부 일측에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한 상태로 상기 운반유닛(130)의 후방을 연결하여 부피가 큰 가축 배설물(C) 또는 이물질이 유입될 경우 상기 운반유닛(130)의 전방이 들어올려 질 수 있도록 회전시키기 위한 중심역할을 수행한다.Here, the rotating shaft 130a connects the rear of the transport unit 130 in a state in which it is rotatably installed on one upper side of the body 110, and when bulky livestock excrement (C) or foreign substances are introduced, the It serves as a center for rotating the front of the transport unit 130 so that it can be lifted.

한편, 상기 고정몸체(131)의 양측에 형성하는 지지부(131a);를 포함하여 상기 몸체(110)의 일측에 맞닿아 상기 선별부(120)와 운반유닛(130)의 사이 간격을 조절하여 상기 스크래퍼(137)가 가축 배설물(A) 및 바닥재(B)를 밀어서 운반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On the other hand, by adjusting the interval between the selection unit 120 and the conveying unit 130 in contact with one side of the body 110, including the support portions (131a) formed on both sides of the fixed body 131; The scraper 137 is guided to push and transport the livestock excrement (A) and the flooring (B).

즉, 상기 운반유닛(130)의 후방은 상기 회전축(130a)과 연결하여 지지한 상태이나 상기 운반유닛(130)의 전방은 부피가 큰 가축 배설물(C) 또는 이물질이 유입될 경우 상부방향으로 들어올려 질 수 있어야 하므로 지지 및 고정할 수 없는 구조상 자중에 의해서 상기 선별부(120)와 부딪칠 수 있으므로 상기 지지부(131a)를 이용하여 상기 운반유닛(130)의 전방을 상기 선별부(120)와 일정간격 떨어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지지할 수 있다.That is, the rear of the transport unit 130 is connected to and supported by the rotation shaft 130a, but the front of the transport unit 130 is lifted upward when bulky livestock excrement (C) or foreign substances are introduced. Since it must be able to be lifted, it can collide with the sorting part 120 by its own weight because it cannot be supported and fixed by its own weight. It can be supported so that it can be maintained at a certain distance apart.

이때 상기 지지부(131e)는 볼트 등을 나사 결합하여 회전방향에 따라서 상기 몸체(110)의 일측과 맞닿는 높이를 조절하여 상기 선별부(120)와 운반유닛(130)의 사이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support part 131e may adjust the height in contact with one side of the body 110 according to the rotation direction by screwing a bolt or the like, thereby adjusting the interval between the selection part 120 and the conveying unit 130 .

특히 상기 제1회전체(132) 및 제2회전체(134)는 풀리 또는 스프로킷으로 형성하여 상기 구동수단(139)의 작동으로 상기 체인(136) 및 스크래퍼(137)를 이동시킬 수 있다.In particular, the first rotating body 132 and the second rotating body 134 may be formed of a pulley or a sprocket to move the chain 136 and the scraper 137 by the operation of the driving means 139 .

아울러 상기 제2회전체(134)는 중앙에 연결축(135)을 형성하여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도록 보조한다.In addition, the second rotating body 134 forms a connecting shaft 135 in the center to assist in smooth rotation.

이때 상기 스크래퍼(137)는 상기 선별부(120)의 상부에 위치한 가축 배설물(A) 및 바닥재(B)를 후방으로 밀어서 운반할 수 있도록 일정길이와 높이를 갖도록 형성한다.At this time, the scraper 137 is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length and height so as to be able to push and transport the livestock excrement (A) and the floor material (B) loca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sorting unit 120 to the rear.

여기서 상기 스크래퍼(137)는 고무 또는 합성수지재질 등으로 형성할 수 있다.Here, the scraper 137 may be formed of a rubber or synthetic resin material.

한편, 상기 탄성부재(138)는 스프링 또는 쇽업쇼버 등으로 형성하여 상기 고정몸체(131)와 이동몸체(133)의 사이에 탄성력을 발생하여 상기 제1회전체(132) 및 제2회전체(134)를 각각 외측으로 이동시켜 상기 체인(136)의 장력을 유지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elastic member 138 is formed of a spring or a shock absorber, etc. to generate an elastic force between the fixed body 131 and the movable body 133 to generate the first rotating body 132 and the second rotating body ( The tension of the chain 136 may be maintained by moving 134 outward, respectively.

여기서 상기 탄성부재(138)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축 배설물(A) 또는 바닥재(B)가 상기 체인(136)과 제2회전체(134)의 사이로 유입될 경우 압축되면서 상기 이동몸체(133) 및 제2회전체(134)를 후방으로 이동시켜 부하로 인한 상기 체인(136)의 절단 및 이탈을 방지하고 상기 체인(136)과 제2회전체(134)의 사이에 가축 배설물(A) 또는 바닥재(B)가 제거될 경우 상기 이동몸체(133) 및 제2회전체(134)를 다시 초기 위치로 복귀시킬 수 있다.Here, the elastic member 138 is compressed when the livestock excrement (A) or the flooring (B) is introduced between the chain 136 and the second rotating body 134 as shown in FIG. 133) and the second rotating body 134 are moved to the rear to prevent cutting and separation of the chain 136 due to the load, and livestock excrement (A) between the chain 136 and the second rotating body 134 . ) or when the flooring (B) is removed, the movable body 133 and the second rotating body 134 may be returned to their initial positions.

또한, 상기 고정몸체(131)와 이동몸체(133)의 사이에 상기 탄성부재(138)의 중앙을 관통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간격 조절축(138a); 상기 간격 조절축(138a)과 나사 결합하여 회전방향에 따라서 이동하면서 상기 탄성부재(138)를 밀착시켜 탄성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조절구(138b);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between the fixed body 131 and the movable body 133, a gap adjusting shaft (138a) formed to pass through the center of the elastic member (138); It may include; may include a;

여기서 상기 조절구(138b)는 너트 등을 이용할 수 있다.Here, the adjusting member 138b may use a nut or the like.

아울러 상기 구동수단(139)은 작업기(10)에서 사용되는 유압을 이용하여 구동력을 발생할 수 있는 유압모터를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 원활한 회전속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감속기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riving means 139 may use a hydraulic motor capable of generating a driving force using the hydraulic pressure used in the working machine 10 , and may include a speed reducer to maintain a smooth rotation speed.

특히,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회전체(132)와 연결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제1스프로킷(139a); 상기 구동수단(139)과 연결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제2스프로킷(139b); 상기 제1스프로킷(139a)과 제2스프로킷(139b)을 연결하는 체인(139c);을 포함하여 상기 구동수단(139)의 구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In particular, as shown in Figure 2, a first sprocket (139a) formed to be connected to the first rotating body (132); a second sprocket (139b) formed to be connected to the driving means (139); A chain 139c connecting the first sprocket 139a and the second sprocket 139b may be included to transmit the driving force of the driving means 139 .

한편, 상기 배출유닛(140)은 상기 몸체(110)의 내측 후방에 위치하여 상기 운반유닛(130)의 작동으로 후방으로 이동하는 가축 배설물(A)을 저장한 후 지정위치에 버리기 위해서 개폐동작을 수행한다.On the other hand, the discharge unit 140 is located at the inner rear side of the body 110 to store the livestock excrement (A) that moves backward by the operation of the conveying unit 130, and then performs an opening/closing operation in order to dispose of it at a designated location. carry out

이러한 상기 배출유닛(140)은 상기 몸체(110)의 후방 하부에 형성하는 회동부(141); 상기 회동부(141)를 중심으로 상하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개폐문(142); 상기 개폐문(142)을 상하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실린더(143);를 포함한다.The discharge unit 140 includes a rotating part 141 formed in the rear lower portion of the body 110; an opening and closing door 142 formed so as to be able to rotate in the vertical direction around the rotating part 141; and a cylinder 143 for rotating the opening and closing door 142 in the vertical direction.

특히 상기 개폐문(142)은 상기 몸체(110)의 내측 하부를 차단하여 가축 배설물(A)을 저장하고, 반대로 하부방향으로 회전하여 개방함으로써 가축 배설물(A)을 배출시킬 수 있다.In particular, the opening and closing door 142 can block the inner lower portion of the body 110 to store the livestock excrement (A), and to discharge the livestock excrement (A) by rotating it in the opposite direction and opening it in the lower direction.

여기서 상기 회동부(141)는 상기 개폐문(142)이 원활하게 상하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중심축 역할을 수행한다.Here, the rotating part 141 serves as a central axis so that the opening and closing door 142 can rotate smoothly in the vertical direction.

그리고 상기 몸체(110)의 전방 양측에 바닥에 맞닿는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높이 조절유닛(150);을 포함할 수 있다.and a height adjustment unit 150 formed on both front sides of the body 110 to adjust the height in contact with the floor.

여기서 상기 높이 조절유닛(150)은 상기 몸체(110)의 전방 일측에 수직방향으로 형성하는 지지몸체(151); 상기 지지몸체(151)의 내측에 수직방향으로 나사 결합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나사축(152); 상기 나사축(152)의 하부에 바닥에 맞닿을 수 있도록 형성하는 받침구(153); 상기 나사축(152)의 상부에 형성하는 손잡이(154);를 포함한다.Here, the height adjustment unit 150 includes a support body 151 formed in a vertical direction on one side of the front side of the body 110; a screw shaft 152 formed to be screw-coupled to the inside of the support body 151 in a vertical direction; a supporter 153 formed in a lower portion of the screw shaft 152 so as to be in contact with the floor; and a handle 154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screw shaft 152 .

이때 상기 지지몸체(151)와 나사축(152)은 서로 나사 결합한 상태로 사용자가 상기 손잡이(154)를 회전시킬 경우 상기 나사축(152) 및 받침구(153)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받침구(153)가 바닥에 맞닿을 수 있는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At this time, when the user rotates the handle 154 while the support body 151 and the screw shaft 152 are screwed to each other, the screw shaft 152 and the support sphere 153 are moved in the vertical direction to move the support. The height at which the sphere 153 can contact the floor can be adjusted.

따라서 본 발명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운반유닛(130)의 작동으로 상기 스크래퍼(137)가 후방으로 이동하면서 가축 배설물(A) 및 바닥재(B)를 밀어서 운반한다.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5 , the scraper 137 moves backward by the operation of the conveying unit 130 to push and transport the livestock excrement (A) and the flooring (B).

이때 상기 선별부(120)의 상부를 가축 배설물(A) 및 바닥재(B)가 이동하면서 부피가 작은 바닥재(B)는 하부로 통과시켜 바닥으로 배출하여 재활용하고 남아있는 가축 배설물(A)은 점차 후방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몸체(110)의 내측 후방으로 떨어져 상기 배출유닛(140)의 개폐문(142) 상부에 저장한다.At this time, as the livestock excrement (A) and the flooring material (B) move through the upper part of the sorting unit 120, the small-volume flooring material (B) passes through the lower portion and is discharged to the floor for recycling, and the remaining livestock excrement (A) is gradually While moving backward, it falls to the inner rear of the body 110 and is stored in the upper part of the opening and closing door 142 of the discharge unit 140 .

이렇게 수거된 가축 배설물(A)은 작업기(10)가 지정위치로 이동한 후 상기 배출유닛(140)의 작동으로 상기 개폐문(142)을 개방하여 배출한다.The animal excrement (A) collected in this way is discharged by opening the opening/closing door 142 by the operation of the discharge unit 140 after the working machine 10 moves to a designated position.

특히,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선별부(120)와 운반유닛(130)의 사이로 부피가 큰 가축 배설물(C) 또는 돌 등과 같은 이물질이 유입될 경우 상기 운반유닛(130)의 전방이 상기 몸체(110)의 상부에 형성하는 회전축(130a)을 중심으로 상부방향으로 들어올려 지면서 상기 운반유닛(130)의 스크래퍼(137)가 강제로 부피가 큰 가축 배설물(C) 또는 이물질을 후방으로 운반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변형 및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In particular, as shown in FIG. 6 , when foreign substances such as bulky livestock excrement (C) or stones are introduced between the sorting unit 120 and the conveying unit 130, the front of the conveying unit 130 is the The scraper 137 of the transport unit 130 forcibly transports bulky livestock excrement (C) or foreign substances while being lifted in the upper direction around the rotating shaft 130a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body 110 . It is possible to prevent deformation and damage that may occur during the process.

이처럼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한 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한 예와 실질적으로 균등의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포함되는 것은 당연하다.As described above,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bu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cluded to the extent that it is substantially equivalent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f course.

100: 본 발명 가축 배설물 수거장치
110: 몸체 111: 유입부
112: 장착부
120: 선별부
130: 운반유닛 130a: 회전축
131: 고정몸체 131a: 지지부
132: 제1회전체 133: 이동몸체
134: 제2회전체 135: 연결축
136: 체인 137: 스크래퍼
138: 탄성부재 138a: 간격 조절축
138b: 조절구 139: 구동수단
139a: 제1스프로킷 139b: 제2스프로킷
139c: 체인
140: 배출유닛 141: 회동부
142: 개폐문 143: 실린더
150: 높이 조절유닛 151: 지지몸체
152: 나사축 153: 받침구
154: 손잡이
A: 가축 배설물 B: 바닥재
C: 부피가 큰 가축 배설물
100: the present invention livestock waste collection device
110: body 111: inlet
112: mounting part
120: selection unit
130: transport unit 130a: rotation shaft
131: fixed body 131a: support
132: first rotating body 133: moving body
134: second rotating body 135: connecting shaft
136: chain 137: scraper
138: elastic member 138a: spacing adjustment shaft
138b: control member 139: drive means
139a: first sprocket 139b: second sprocket
139c: chain
140: discharge unit 141: rotating unit
142: opening and closing door 143: cylinder
150: height adjustment unit 151: support body
152: screw shaft 153: support
154: handle
A: livestock manure B: flooring
C: bulky livestock manure

Claims (8)

전방 하부에 가축 배설물(A) 및 바닥재(B)를 내측으로 유입시키기 위한 유입부(111)를 형성하는 몸체(110); 상기 몸체(110)의 내측 하부에 가축 배설물(A)은 통과시키지 않고 바닥재(B)는 하부로 통과시킬 수 있도록 형성하는 선별부(120); 상기 몸체(110)의 내측 상부에 가축 배설물(A) 및 바닥재(B)를 후방으로 운반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운반유닛(130); 상기 몸체(110)의 내측 후방에 가축 배설물(A)을 저장한 후 지정위치에 버리기 위해서 개폐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배출유닛(140);을 포함하되,
상기 선별부(120)와 운반유닛(130)의 사이로 부피가 큰 가축 배설물(C) 또는 이물질이 유입될 경우 상기 운반유닛(130)의 전방이 상기 몸체(110)의 상부에 형성하는 회전축(130a)을 중심으로 상부방향으로 들어올려 지도록 마련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 배설물 수거장치.
Body 110 forming an inlet 111 for introducing the livestock excrement (A) and flooring (B) to the inside in the lower front; a sorting unit 120 formed so as to pass the bottom material (B) to the lower portion without passing the livestock excrement (A) through the lower inner portion of the body (110); a transport unit 130 configured to transport the livestock excrement (A) and the flooring material (B) to the rear on the inner upper portion of the body 110; Discharge unit 140 for storing livestock excrement (A) on the inner rear side of the body 110 and then opening and closing to dispose of it at a designated location;
When a bulky livestock excrement (C) or foreign material is introduced between the sorting unit 120 and the conveying unit 130 , the front of the conveying unit 130 is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body 110 , the rotating shaft 130a ) Livestock excrement collec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providing to be lifted in the upper direction as a center.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몸체(110)의 후방에 작업기(10)와 탈착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장착부(112);를 포함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 배설물 수거장치.The livestock excrement collecting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comprising: a mounting part (112) formed at the rear of the body (110) to be detachably from the working machine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운반유닛(130)은 고정몸체(131); 상기 고정몸체(131)의 후방 양측에 상기 회전축(130a)과 연결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제1회전체(132); 상기 고정몸체(131)의 전방에 전후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이동몸체(133); 상기 이동몸체(133)의 전방 양측에 형성하는 제2회전체(134); 상기 제1회전체(132)와 제2회전체(134)를 순환하여 연결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체인(136); 상기 체인(136)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일정간격 떨어지도록 형성하는 스크래퍼(137); 상기 제2회전체(134) 및 체인(136)의 사이로 가축 배설물(A) 또는 바닥재(B)가 유입될 경우 상기 이동몸체(133) 및 제2회전체(134)를 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탄성력을 구비하는 탄성부재(138); 상기 제1회전체(132)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수단(139);을 포함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 배설물 수거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transport unit 130 is a fixed body (131); a first rotating body 132 formed so as to be able to rotate in connection with the rotating shaft 130a on both rear sides of the fixed body 131; a movable body 133 formed in front of the fixed body 131 so as to be movable in the front-rear direction; a second rotating body 134 formed on both front sides of the movable body 133; a chain 136 for circulating and connecting the first rotating body 132 and the second rotating body 134; a scraper 137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hain 136; When livestock excrement (A) or flooring (B) is introduced between the second rotating body 134 and the chain 136, elastic force to move the movable body 133 and the second rotating body 134 backward An elastic member 138 having; Livestock excrement collecting apparatus comprising a; drive means (139) for rotating the first rotating body (132).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고정몸체(131)의 양측에 형성하는 지지부(131a);를 포함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 배설물 수거장치.[Claim 4] The livestock excrement collecting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3, comprising a; support parts (131a) formed on both sides of the fixed body (131).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고정몸체(131)와 이동몸체(133)의 사이에 상기 탄성부재(138)의 중앙을 관통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간격 조절축(138a); 상기 간격 조절축(138a)과 나사 결합하여 회전방향에 따라서 이동하면서 상기 탄성부재(138)를 밀착시켜 탄성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조절구(138b);를 포함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 배설물 수거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The fixed body (131) and the movable body (133) between the adjustment shaft (138a) formed to pass through the center of the elastic member (138); Livestock comprising a; waste collection devic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배출유닛(140)은 상기 몸체(110)의 후방 하부에 형성하는 회동부(141); 상기 회동부(141)를 중심으로 상하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개폐문(142); 상기 개폐문(142)을 상하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실린더(143);를 포함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 배설물 수거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discharge unit 140 is a rotating portion 141 formed in the rear lower portion of the body (110); an opening and closing door 142 formed so as to be able to rotate in the vertical direction around the rotating part 141; Livestock excrement collecting apparatus comprising a; cylinder (143) for rotating the opening and closing door (142) in the vertical direction.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몸체(110)의 전방 양측에 바닥에 맞닿는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높이 조절유닛(150);을 포함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 배설물 수거장치.The animal excrement collecting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height adjusting unit (150) formed on both front sides of the body (110) to adjust the height in contact with the floor.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높이 조절유닛(150)은 상기 몸체(110)의 전방 일측에 수직방향으로 형성하는 지지몸체(151); 상기 지지몸체(151)의 내측에 수직방향으로 나사 결합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나사축(152); 상기 나사축(152)의 하부에 바닥에 맞닿을 수 있도록 형성하는 받침구(153); 상기 나사축(152)의 상부에 형성하는 손잡이(154);를 포함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 배설물 수거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7, The height adjustment unit 150 is a support body 151 formed in a vertical direction on the front side of the body (110); a screw shaft 152 formed to be screw-coupled to the inside of the support body 151 in a vertical direction; a supporter 153 formed in a lower portion of the screw shaft 152 so as to be in contact with the floor; Livestock excrement collecting device comprising a; handle (154)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screw shaft (152).
KR1020200012844A 2020-02-03 2020-02-03 Livestock waste collection device KR10235671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2844A KR102356717B1 (en) 2020-02-03 2020-02-03 Livestock waste collection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2844A KR102356717B1 (en) 2020-02-03 2020-02-03 Livestock waste collection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8810A true KR20210098810A (en) 2021-08-11
KR102356717B1 KR102356717B1 (en) 2022-01-28

Family

ID=773141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2844A KR102356717B1 (en) 2020-02-03 2020-02-03 Livestock waste collection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56717B1 (en)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60010713U (en) 1985-02-15 1986-09-08 서금윤 Ubunso Cleaner
KR960040141A (en) 1995-05-09 1996-12-17 문성태 Animal dropping collector
KR100921159B1 (en) 2009-04-13 2009-10-09 김영선 Remove equipment for domestic excrement
KR20120022223A (en) 2010-09-01 2012-03-12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Apparatus for removing animal excreta
KR20120116140A (en) 2011-04-12 2012-10-22 김종철 Device remove and selection for excretion livestock
KR101223978B1 (en) * 2012-06-04 2013-01-24 대한민국 Device for discharging a fry
KR20130085120A (en) * 2012-01-19 2013-07-29 김용기 The fowl dropping take away system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60010713U (en) 1985-02-15 1986-09-08 서금윤 Ubunso Cleaner
KR960040141A (en) 1995-05-09 1996-12-17 문성태 Animal dropping collector
KR100921159B1 (en) 2009-04-13 2009-10-09 김영선 Remove equipment for domestic excrement
KR20120022223A (en) 2010-09-01 2012-03-12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Apparatus for removing animal excreta
KR20120116140A (en) 2011-04-12 2012-10-22 김종철 Device remove and selection for excretion livestock
KR20130085120A (en) * 2012-01-19 2013-07-29 김용기 The fowl dropping take away system
KR101308839B1 (en) 2012-01-19 2013-09-13 김용기 the fowl dropping take away system
KR101223978B1 (en) * 2012-06-04 2013-01-24 대한민국 Device for discharging a fr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56717B1 (en) 2022-0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08839B1 (en) the fowl dropping take away system
AT14040U1 (en) CLEANING DEVICE FOR HORSE STAFF
US11406123B2 (en) Nut sizer
CN111165384A (en) Poultry breeding cage with rotary cage discharging device
KR101237835B1 (en) Device remove and selection for excretion livestock
KR102356717B1 (en) Livestock waste collection device
US3662420A (en) Machine for removing chicken waste
US6092668A (en) Litter screening machine
KR101449498B1 (en) grain thresher
JP2006136335A (en) Combine harvester
KR102379154B1 (en) Livestock waste collection device with improved sorting efficiency
US7565882B2 (en) Animal waste receptacle having vibration directed flow
CN212393615U (en) Swing type material scattering device for fecal sewage treatment
EP0386160A1 (en) Building for housing animals, in particular for fattening pigs
CN115783562B (en) Intelligent farm garbage classification device based on internet of things technology
JP2010081843A (en) Waste straw-treating part structure of combined harvester
CN107211962B (en) Fly maggot separating centrifuge
CN117565088B (en) Intelligent granary cleaning equipment
CN211932030U (en) Poultry breeding cage with rotary cage discharging device
CN112189627B (en) Automatic feeding machine of walking is bred to earthworm
CN217450473U (en) Equipment for automatically screening heavy metals in soil
KR930000177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orting trash
US3499608A (en) Manure shredder
KR20220002912U (en) Ptecticus tenebrifer dedicated sorting equipment
JPS582132A (en) Apparatus for throwing-in sewage including throwing uni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