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98561A - 쇼핑 모듈 및 그를 갖는 로봇 - Google Patents

쇼핑 모듈 및 그를 갖는 로봇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98561A
KR20210098561A KR1020197022836A KR20197022836A KR20210098561A KR 20210098561 A KR20210098561 A KR 20210098561A KR 1020197022836 A KR1020197022836 A KR 1020197022836A KR 20197022836 A KR20197022836 A KR 20197022836A KR 20210098561 A KR20210098561 A KR 202100985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barcode scanner
main body
charging
po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228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충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100985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9856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4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using light without selection of wavelength, e.g. sensing reflected white light
    • G06K7/1404Methods for optical code recognition
    • G06K7/1408Methods for optical code recognition the method being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type of code
    • G06K7/14131D bar cod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08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characterised by modular constru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1/00Manipula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1/00Manipula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5J11/008Manipulators for service tas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9/00Accessories fitted to manipulators, e.g. for monitoring, for viewing; Safety devices combined with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nipul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9/00Accessories fitted to manipulators, e.g. for monitoring, for viewing; Safety devices combined with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nipulators
    • B25J19/0025Means for supplying energy to the end effec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9/00Accessories fitted to manipulators, e.g. for monitoring, for viewing; Safety devices combined with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nipulators
    • B25J19/005Accessories fitted to manipulators, e.g. for monitoring, for viewing; Safety devices combined with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nipulators using batteries, e.g. as a back-up power sour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0009Constructional details, e.g. manipulator supports, ba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B65G1/02Storage devices
    • B65G1/04Storage devices mechanical
    • B65G1/137Storage devices mechanical with arrangements or automatic control means for selecting which articles are to be removed
    • B65G1/1373Storage devices mechanical with arrangements or automatic control means for selecting which articles are to be removed for fulfilling orders in warehouses
    • B65G1/1375Storage devices mechanical with arrangements or automatic control means for selecting which articles are to be removed for fulfilling orders in warehouses the orders being assembled on a commissioning stacker-crane or truck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4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using light without selection of wavelength, e.g. sensing reflected white light
    • G06K7/1404Methods for optical code recognition
    • G06K7/1408Methods for optical code recognition the method being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type of code
    • G06K7/14172D bar cod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bo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andcart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실시예는 내부에 제1공간이 형성된 메인 바디와; 메인 바디에 제공되고 내부에 제1공간 보다 작은 제2공간이 형성된 포켓과; 포켓에 상기 제2공간을 향하게 배치된 충전모듈과, 포켓에 일부가 삽입되어 수용되는 바코드 스캐너를 포함하고, 무선 바코드 스캐너는 스캐닝 모듈과; 충전모듈에 의해 활성화되게 배치된 충전유닛과; 충전유닛에 의해 충전되는 스캐너 배터리를 포함하여, 무선 바코드 스캐너의 분실 가능성을 최소화할 수 있고, 스캐너 배터리 방전시 발생될 수 있는 불편함을 최소화할 수 있다.

Description

쇼핑 모듈 및 그를 갖는 로봇
본 발명은 쇼핑 모듈 및 그를 갖는 로봇에 관한 것이다.
공장 자동화의 일 부분을 담당하기 위해, 로봇은 산업용으로 개발되어 왔다. 최근에는 로봇을 응용한 분야가 더욱 확대되고 있는바, 의료용 로봇과 우주 항공용 로봇뿐만 아니라 일상 생활에서 사용될 수 있는 로봇도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일상 생활용 로봇은 사용자의 명령에 응답하여 특정 서비스(예를 들어, 쇼핑, 서빙, 대화, 청소 등)를 제공한다.
다만, 기존의 일상 생활용 로봇은 특정 서비스만을 제공하도록 설계되어 있는바, 해당 로봇을 개발하는데 투자되는 비용 대비 활용도가 높지 않다는 문제가 있다.
이에 따라, 최근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로봇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물품의 바코드를 스캐닝하여 결제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쇼핑 모듈 및 그를 갖는 로봇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무선 바코드 스캐너가 별도의 충전기 없이 충전될 수 잇어 무선 바코드 스캐너의 분실 가능성이 최소화되고 무선 바코드 스캐너 사용의 편의성이 높은 쇼핑 모듈 및 그를 갖는 로봇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쇼핑모듈은 내부에 제1공간이 형성된 메인 바디와; 메인 바디에 제공되고 내부에 제1공간 보다 작은 제2공간이 형성된 포켓과; 포켓에 제2공간을 향하게 배치된 충전모듈과 포켓에 일부가 삽입되어 수용되는 무선 바코드 스캐너를 포함하고, 무선 바코드 스캐너는 스캐닝 모듈과; 충전모듈에 의해 활성화되게 배치된 충전유닛과; 충전유닛에 의해 충전되는 스캐너 배터리를 포함한다.
무선 바코드 스캐너는 포켓에 삽입되는 삽입부와, 외부로 노출되는 비삽입부를 포함하고, 충전유닛은 삽입부에 배치되고, 스캐닝 모듈은 비삽입부에 배치될 수 있다.
스캐닝모듈은 비삽입부 중 제1공간의 상측을 향하는 면에 배치될 수 있다.
무선 바코드 스캐너는 비삽입부의 전면에 배치된 전원 버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무선 바코드 스캐너는 내부에 스캐너 배터리가 수용되는 제3공간이 형성된 스캐너 케이스와, 스캐너 케이스에 배치된 통신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메인 바디에는 무선 바코드 스캐너가 관통되는 관통부가 형성되고, 포켓은 제2공간이 관통부 아래에 위치되게 메인 바디에 결합될 수 잇다.
충전모듈은 충전 케이블을 포함할 수 있고, 충전 케이블은 케이블과, 상기 케이블에 연결된 케이블 단자를 포함할 수 있으며, 메인 바디에는 케이블이 관통되는 제4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무선 바코드 스캐너는 충전유닛에 배치된 자석을 포함할 수 있고, 무선 바코드 스캐너는 자석에 의해 충전 케이블에 자력 고정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쇼핑모듈을 갖는 로봇은 쇼핑 모듈이 안착되는 모듈지지 플레이트와, 상기 모듈지지 플레이트 모듈지지 플레이트에서 상측으로 연장된 디스플레이 유닛을 갖는 이동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바코드 스캐너는 디스플레이 유닛과 수평 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무선 바코드 스캐너가 포켓에 삽입되었을 때 무선 바코드 스캐너의 상단 높이는 디스플레이 유닛의 상단 높이 보다 낮을 수 있다.
포켓은 메인 바디의 선단과 메인 바디의 후단 중 메인 바디의 선단에 더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포켓은 메인 바디에 좌,우 중 일측으로 편심되게 배치될 수 있다.
비삽입부는 디스플레이 유닛의 좌측 또는 우측에 위치될 수 있다.
무선 바코드 스캐너는 상기 이동모듈과 통신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 유닛은 상기 무선 바코드 스캐너에 물품이 스캐닝되면, 스캐닝된 물품의 물품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무선 바코드 스캐너가 쇼핑 모듈에 의해 안착된 상태에서 충전될 수 있어, 무선 바코드 스캐너의 분실 가능성을 최소화할 수 있고, 스캐너 배터리 방전시 발생될 수 있는 불편함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충전유닛이 삽입부에 배치되어 포켓에 의해 보호될 수 있고, 스캐닝 모듈의 스캐닝 정확도가 높다.
또한, 소비자가 물품의 바코드를 스캐닝 모듈에 갖다 댄 후 물품을 제1공간으로 넣을 수 있어, 소비자의 사용 편의성이 높다.
또한, 무선 바코드 스캐너가 포켓에 안착시킨 상태에서 소비자나 관리자가 전원 버튼을 손쉽게 조작할 수 있다.
또한, 포켓이 메인 바디에 의해 보호될 수 있고, 포켓이 물품에 의해 손상되는 것이 최소화될 수 있다.
또한, 메인 바디가 충전 케이블을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자석에 의해 무선 바코드 스캐너가 충전 케이블에 신뢰성 높게 접속 유지될 수 있고, 무선 바코드 스캐너의 임의 탈거가 최소화될 수 있다.
또한, 무선 바코드 스캐너가 디스플레이 유닛에 인접하게 위치되어 디스플레이 유닛에 의해 보호될 수 있고, 무선 바코드 스캐너가 디스플레이 유닛과 이격되어 사용자가 필요시, 무선 바코드 스캐너를 손으로 잡기 용이하다.
또한, 무선 바코드 스캐너의 스캐닝 결과가 인접한 디스플레이 유닛을 통해 표시될 수 있어, 사용 편의성이 높고, 고급화가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쇼핑 모듈 및 그를 갖는 로봇이 도시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이동 모듈의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이동 모듈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A-A'선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쇼핑 모듈을 갖는 로봇의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쇼핑 모듈을 갖는 로봇을 후방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쇼핑 모듈의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쇼핑 모듈의 저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인 바디의 분해 사시도,
도 10은 도 5에 도시된 B-B'선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쇼핑 모듈 및 그를 갖는 로봇이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이동 모듈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이동 모듈의 분해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의 쇼핑 모듈(M)은 마트, 백화점, 아울렛 등의 쇼핑센터(이하, 쇼핑센터라 칭함)에서 사용자에게 쇼핑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쇼핑 모듈(M)일 수 있고, 쇼핑 모듈(M)는 물품이 낙하되지 않게 물품을 보호할 수 있다.
쇼핑 모듈(M)의 일예는 이동 모듈(1)과 별도로 구성될 수 있고, 이동 모듈(1)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쇼핑 모듈(M)은 이동 모듈(1)에 올려질 수 있고, 이동 모듈(1)의 이동시 이동 모듈(1)과 함께 이동될 수 있다.
쇼핑 모듈(M)이 이동 모듈(1)과 결합되었을 때, 쇼핑 모듈(M)과 이동 모듈(1)의 결합체는 로봇이 될 수 있고, 이러한 로봇은 물품의 운반 서비스를 제공하는 쇼핑 로봇 또는 서비스 로봇이 될 수 있다.
이러한 로봇은 쇼핑센터에서 손님이 구매한 물건 또는 식품을 대신 운반해주고, 손님에게 길 안내를 하거나 무인 결제 서비스도 제공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로봇은 손님에게 최적의 쇼핑 코스 및 할인 정보 등을 제공할 수도 있다. 이러한 로봇은 물품을 운반하는 서비스(이하, 운반 서비스라 칭함)를 제공할 수 있는 시설이면, 그 종류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 이동 모듈(1)에 대해 먼저 설명하고, 쇼핑 모듈(M)에 대해서는 후술하여 설명한다.
이동 모듈(1)은 본체(100)와, 주행 유닛(240)과, 모듈지지 플레이트(400)와, 디스플레이 유닛(500)(600)과, 회전 메커니즘(700)을 포함할 수 있다.
본체(100)는 이동 모듈(1)의 몸체를 구성할 수 있다.
본체(100)의 전후 방향 길이는 좌우방향 폭보다 길 수 있다. 일례로, 본체(100)의 수평방향 단면은 대략 타원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체(100)는 이너 모듈(200)과, 이너 모듈(200)을 둘러싸는 하우징(30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너 모듈(200)은 하우징(300)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이너 모듈(200)의 하부에는 주행 유닛(240)이 구비될 수 있다.
이너 모듈(200)은 다수의 플레이트 및 다수의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이너 모듈(200)은 로어 플레이트(210)와, 로어 플레이트(210)의 상측에 위치한 어퍼 플레이트(220)와, 어퍼 플레이트(220)의 상측에 위치한 탑 플레이트(23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너 모듈(200)은 복수개의 로어 서포팅 프레임(250) 및 복수개의 어퍼 서포팅 프레임(2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로어 플레이트(210)는 본체(100)의 저면을 형성할 수 있다. 로어 플레이트(210)는 베이스 플레이트로 명명될 수 있다. 로어 플레이트(210)는 수평할 수 있다. 로어 플레이트(210)에는 주행 유닛(240)이 구비될 수 있다.
어퍼 플레이트(220)는 로어 플레이트(210)의 상측으로 이격될 수 있다. 어퍼 플레이트(220)는 미들 플레이트로 명명될 수 있다. 어퍼 플레이트(220)는 수평할 수 있다. 어퍼 플레이트(220)는 상하 방향으로 로어 플레이트(210)와 탑 플레이트(230)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로어 서포팅 프레임(250)은 로어 플레이트(210) 및 어퍼 플레이트(220)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로어 서포팅 프레임(250)은 상하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로어 서포팅 프레임(250)은 어퍼 플레이트(220)를 하측에서 지지할 수 있다.
탑 플레이트(230)는 본체(100)의 상면을 형성할 수 있다. 탑 플레이트(230)는 어퍼 플레이트(220)의 상측으로 이격될 수 있다.
어퍼 서포팅 프레임(260)은 어퍼 플레이트(220) 및 탑 플레이트(230)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어퍼 서포팅 프레임(260)은 상하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어퍼 서포팅 프레임(260)은 탑 플레이트(230)를 하측에서 지지할 수 있다.
하우징(300)은 본체(100)의 외둘레면을 형성할 수 있다. 하우징(300)의 내부에는 이너 모듈(200)이 배치되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300)의 상면 및 저면은 개방될 수 있다.
하우징(300)은 로어 플레이트(210), 어퍼 플레이트(220) 및 탑 플레이트(230)의 가장자리를 둘러쌀 수 있다. 이 경우, 하우징(300)의 내둘레는 로어 플레이트(210), 어퍼 플레이트(220) 및 탑 플레이트(230) 각각의 가장자리에 접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하우징(300)에는 복수개의 개구(303A)가 형성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개구(303A)는 하우징(300)의 상부에 형성될 수 있다. 복수개의 개구(303A)는 하우징(300)의 둘레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초음파 센서(310)는 하우징(300)의 개구(303A)를 통해 이동 모듈(1) 주변의 물체를 감지할 수 있다.
하우징(300)은 제1열전도율을 갖는 재질을 포함하고, 이너 모듈(200)은 상기 제1열전도율보다 높은 제2열전도율을 갖는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로어 플레이트(210), 어퍼 플레이트(220), 탑 플레이트(230), 로어 서포팅 프레임(250) 및 어퍼 서포팅 프레임(260)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제1열전도율보다 높은 제2열전도율을 갖는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하우징(300)은 사출 플라스틱 재질을 포함할 수 있고, 로어 플레이트(210), 어퍼 플레이트(220), 탑 플레이트(230), 로어 서포팅 프레임(250) 및 어퍼 서포팅 프레임(260) 중 적어도 하나는 알루미늄 등과 같은 금속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로써, 이너 모듈(200)에 배치된 발열 부품이 전도에 의해 원활하게 방열되면서도, 본체(100)의 외관을 이루는 하우징(300)이 뜨거워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주행 유닛(240)은 이동 모듈(1)을 주행시킬 수 있다. 주행 유닛(240)은 본체(100)의 하부에 구비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주행 유닛(240)은 로어 플레이트(210)에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모듈 지지 플레이트(400)는 본체(100)의 상면에 장착될 수 있다. 모듈 지지 플레이트(400)는 수평 판상임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모듈 지지 플레이트(400)는 본체(100)와 마찬가지로 전후방향 길이가 좌우방향 폭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모듈 지지 플레이트(400)는 쇼핑 모듈(M)을 하측에서 지지할 수 있다. 즉, 쇼핑 모듈(M)은 모듈 지지 플레이트(400)에 안착되어 지지될 수 있다.
쇼핑 모듈(M)은 모듈 지지 플레이트(300)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쇼핑 모듈(M)은 이동 모듈(1)에 의해 운반되는 운반 대상체일 수 있으며 그 종류는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동일한 이동 모듈(1)에 서로 다른 쇼핑 모듈(M)을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체(100)의 상면, 즉 탑 플레이트(230)에는 쇼핑 모듈(M)의 설치 위치를 가이드하는 적어도 하나의 모듈 가이드(231)와, 쇼핑 모듈(M)과 체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모듈 체결부(232) 중 적어도 하나가 구비될 수 있다.
모듈 가이드(231) 및 모듈 체결부(232)는 탑 플레이트(230)에서 상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모듈 가이드(231)은 모듈 지지 플레이트(400)에 형성된 서브 관통공(411)을 통과하고, 쇼핑 모듈(M)의 설치 위치를 가이드하는 동시에 쇼핑 모듈(M)을 수평 방향의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다.
모듈 체결부(232)는 모듈 지지 플레이트(400)에 형성된 서브 개방공(412)을 통과하고, 쇼핑 모듈(M)에 체결될 수 있다. 따라서, 쇼핑 모듈(M)이 모듈 지지 플레이트(400)의 상측에 견고하게 장착될 수 있다.
모듈 가이드(231) 및 모듈 체결부(232)는 이동 모듈(1)의 운반 시 손잡이로 활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디스플레이 유닛(500)(600)은 본체(100)의 전방부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유닛(500)(600)은 상하로 길게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유닛(500)(600)은 바디 디스플레이 유닛(500)과 헤드 디스플레이 유닛(600)을 포함할 수 있다.
바디 디스플레이 유닛(500)은 모듈지지 플레이트(40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바디 디스플레이 유닛(500)은 모듈지지 플레이트(400)의 전단부에서 상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바디 디스플레이 유닛(500)와 모듈지지 플레이트(400)가 별개의 부재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바디 디스플레이 유닛(500)의 높이는 본체(100)의 높이보다 높을 수 있다.
바디 디스플레이 유닛(500)는 전면에 구비된 바디 디스플레이(540)를 포함할 수 있다. 바디 디스플레이(540)는 이미지나 영상이 표시되는 출력부로 작용할 수 있다. 동시에, 바디 디스플레이(540)는 터치 스크린을 포함하여 터치 입력이 가능한 입력부로 작용할 수 있다.
바디 디스플레이 유닛(500)은 모듈지지 플레이트(400)에 장착된 쇼핑 모듈(M)의 전방에 위치할 수 있다. 이 경우, 쇼핑 모듈(M)의 전방부에는 바디 디스플레이 유닛(500)의 형상에 대응되는 프론트 가이드가 형성될 수 있고, 프론트 가이드에는 바디 디스플레이 유닛(500)이 끼워질 수 있다. 즉, 바디 디스플레이 유닛(500)은 쇼핑 모듈(M)의 장착위치를 안내할 수 있다.
헤드 디스플레이 유닛(600)은 바디 디스플레이 유닛(500)의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헤드 디스플레이 유닛(600)은 바디 디스플레이 유닛(500)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헤드 디스플레이 유닛(600)은 바디 디스플레이 유닛(50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넥 하우징(620)을 포함할 수 있다. 회전 메커니즘(700)은 넥 하우징(620)의 내부를 통과하여 헤드 디스플레이 유닛(600)을 회전시킬 수 있다.
헤드 디스플레이 유닛(600)은 전면에 구비된 헤드 디스플레이(640)를 포함할 수 있다. 헤드 디스플레이(600)는 전방 또는 전방 상측을 향할 수 있다. 헤드 디스플레이(640)에는 사람의 표정을 묘사하는 이미지 또는 영상이 표시될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는 헤드 디스플레이 유닛(600)이 마치 사람의 머리와 유사하다고 느낄 수 있다.
헤드 디스플레이 유닛(600)은 사람의 머리와 마찬가지로 수직 회전축에 대해 좌우로 일정범위(예를 들어, 180도) 회전할 수 있다.
회전 메커니즘(700)은 바디 디스플레이 유닛(500)에 대해 헤드 디스플레이 유닛(600)을 회전시킬 수 있다. 회전 메커니즘(700)은 회전 모터 및 회전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 샤프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 모터는 바디 디스플레이 유닛(50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고, 상기 회전 샤프트는 바디 디스플레이 유닛(500)의 내부에서부터 넥 하우징(620) 내부로 연장되어 헤드 디스플레이 유닛(600)에 연결될 수 있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A-A'선 단면도이다.
본체(100)에는 배터리(271) 및 컨트롤 박스(272)가 내장될 수 있다.
배터리(271)에는 이동 모듈(1)의 작동을 위한 전력이 저장될 수 있다.
배터리(271)은 이너 모듈(200)의 어퍼 플레이트(22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배터리(271)는 어퍼 플레이트(220)와 탑 플레이트(23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배터리(271)은 본체(100)의 내부에서 후방으로 편심되어 배치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유닛(500)(600)은 이너 모듈(200)의 탑 플레이트(23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유닛(500)(600)은 탑 플레이트(230)의 전방부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바디 디스플레이 유닛(400)은 상하 방향으로 배터리(271)와 오버랩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해, 배터리(271)의 하중과 바디 디스플레이 유닛(500) 및 헤드 디스플레이 유닛(600)의 하중이 균형을 이룰 수 있다. 이로써, 이동 모듈(1)이 전후로 기울어지거나 전복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컨트롤 박스(272)는 배터리(271)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컨트롤 박스(272)은 이너 모듈(200)의 어퍼 플레이트(22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컨트롤 박스(272)는 어퍼 플레이트(220)와 탑 플레이트(23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컨트롤 박스(272)의 적어도 일부는 디스플레이 유닛(500)(600)과 상하로 오버랩될 수 있다.
컨트롤 박스(272)는 박스 형상의 박싱 케이스와, 상기 박싱 케이스의 내부에 구비된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박싱 케이스에는 다수의 통공이 형성되어 컨트롤 박스(272) 내부의 열을 방열할 수 있다. 컨트롤러는 피시비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동 모듈(1)의 동작 전반을 제어할 수 있다.
컨트롤 박스(272)가 배터리(271)의 전방에 위치하므로, 후방으로 편심된 배터리(271)의 하중과 컨트롤 박스(272)의 하중이 균형을 이룰 수 있다. 이로써, 이동 모듈(1)이 전후로 기울어지거나 전복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체(100)에는 적어도 하나의 레이다가 설치될 수 있다. 라이다(LIDAR)는 레이저를 목표물에 비춰 사물과의 거리 및 다양한 물성을 감지할 수 있는 센서이다.
본체(100)에는 프론트 라이다(275A) 및 리어 라이다(275B)가 설치될 수 있고, 프론트 라이다(275A) 및 리어 라이다(275B)는 주변 사물, 지형지물 등을 감지할 수 있다. 프론트 라이다(275A) 및 리어 라이다(275B)는 본체(100)의 전방부와 후방부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프론트 라이다(275A)의 적어도 일부는 컨트롤 박스(272)의 하측에 위치할 수 있다. 프론트 라이다(275A) 및 리어 라이다(275B)는 본체(100) 내에서 동일한 높이에 위치할 수 있다. 프론트 라이다(275A) 및 리어 라이다(275B)는 본체(100) 내에서 배터리(271)보다 낮은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프론트 라이다(275A) 및 리어 라이다(275B)는 이너 모듈(200)의 로어 플레이트(21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프론트 라이다(275A) 및 리어 라이다(275B)는 로어 플레이트(210)와 어퍼 플레이트(22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프론트 라이다(275A) 및 리어 라이다(275B)가 배터리(271)와 동일한 높이에 배치된 경우와 비교하여 본체(100) 내의 공간이 효율적으로 활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체(100)의 크기가 컴팩트해질 수 있다.
컨트롤 박스(272)의 컨트롤러는 프론트 라이다(275A) 및 리어 라이다(275B)에서 감지된 정보를 전달 받을 수 있고, 상기 정보를 기반으로 3D 맵핑(mapping)을 수행하거나, 이동 모듈(1)이 장애물을 회피하도록 주행 유닛(240)을 제어할 수 있다.
하우징(300)의 전방부에는 프론트 개방부(OP1)가 형성될 수 있다. 프론트 개방부(OP1)는 전방을 향해 개방될 수 있다. 프론트 개방부(OP1)는 하우징(300)의 둘레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될 수 있다. 프론트 라이다(275A)는 본체(100)의 전방부에 형성된 프론트 개방부(OP1)를 통해 이동 모듈(1)의 전방 영역의 정보를 감지할 수 있다. 프론트 라이다(275A)는 프론트 개방부(OP1)를 통해 이동 모듈(1)의 전방에 위치한 장애물 등을 감지하거나 이동 모듈(1)의 전방 영역을 맵핑(mapping)할 수 있다.
하우징(300)의 후방부에는 리어 개방부(OP2)가 형성될 수 있다. 리어 개방부(OP2)는 후방을 향해 개방될 수 있다. 리어 개방부(OP2)는 하우징(300)의 둘레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리어 라이다(275B)는 본체(100)의 후방부에 형성된 리어 개방부(OP2)를 통해 이동 모듈(1)의 후방 영역의 정보를 감지할 수 있다. 리어 라이다(275B)는 리어 개방부(OP2)를 통해 이동 모듈(1)의 후방에 위치한 장애물 등을 감지하거나 이동 모듈(1)의 후방 영역을 맵핑(mapping)할 수 있다.
또한, 본체(100)에는 적어도 하나의 클리프 센서가 설치될 수 있다. 클리프 센서(CLIFF SENSOR)는 적외선의 송수신에 의해 바닥면의 상태 및 낭떠러지의 존재 유무를 감지할 수 있다. 본체(100)에는 프론트 클리프 센서(276A) 및 백 클리프 센서(276B)가 설치될 수 있다.
프론트 클리프 센서(276A) 및 백 클리프 센서(276B)는 이동 모듈(1)의 전후 영역의 바닥면 상태 및 낭떠러지의 존재 유무를 감지할 수 있다.
컨트롤 박스(272)의 컨트롤러는 프론트 클리프 센서(276A) 및 백 클리프 센서(276B)에서 감지된 정보를 전달 받을 수 있고, 상기 정보를 기반으로 이동 모듈(1)이 낭떠러지를 회피하도록 주행 유닛(240)을 제어할 수 있다.
프론트 클리프 센서(276A)는 프론트 라이다(275A)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백 클리프 센서(276B)는 리어 라이다(276B)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프론트 클리프 센서(276A) 및 백 클리프 센서(276B)는 이너 모듈(200)의 탑 플레이트(230)에 매달려 지지될 수 잇다. 프론트 클리프 센서(276A) 및 백 클리프 센서(276B)는 어퍼 플레이트(220)와 탑 플레이트(23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프론트 클리프 센서(276A)의 적어도 일부는 컨트롤 박스(272)의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백 클리프 센서(276B)는 배터리(271)의 후방에 위치할 수 있다.
즉, 프론트 클리프 센서(276A)는 본체(100) 내에서 백 클리프 센서(276B)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이로써, 프론트 클리프 센서(276A)가 컨트롤 박스(272)의 전방에 위치한 경우와 비교하여 본체(100) 내의 공간이 효율적으로 활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체(100)가 전후 방향에 대해 컴팩트해질 수 있다.
하우징(300)의 전방부에는 어퍼 개방부(OP3)가 형성될 수 있다. 어퍼 개방부는 프론트 개방부(OP1)보다 상측에 형성될 수 있다. 어퍼 개방부(OP3)는 전방 또는 전방 하측을 향해 개방될 수 있다. 프론트 클리프 센서(276A)는 어퍼 개방부(OP3)를 통해 이동 모듈(1) 전방의 바닥면 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백 클리프 센서(276B)는 리어 개방부(OP2)를 통해 이동 모듈(1) 후방의 바닥면 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본체(100)에는 배선 차단 스위치(277)가 내장될 수 있다. 배선 차단 스위치(277)는 이동 모듈(1)의 전원을 차단하여 이동 모듈(1)의 구동을 곧바로 정지시킬 수 있다.
배선 차단 스위치(277)는 프론트 라이다(275A)의 후방에 위치할 수 있다. 배선 차단 스위치(277)은 이너 모듈(200)의 로어 플레이트(21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유닛(500)(600)의 상단 높이(H1)는 본체(100)의 상단 높이(H2)보다 높을 수 있다.
디스플레이 유닛(500)(600)에는 케이블이 통과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개구부가 형성될 수 잇다.
바디 디스플레이 유닛(500)의 배면에는 리어 개구부(530A)가 형성될 수 있다. 리어 개구부(530A)는 바디 디스플레이 유닛(500)의 하부 배면에 형성될 수 있다.
바디 디스플레이 유닛(500)의 하부에는 로어 개구부(500B)이 형성될 수 있다. 로어 개구부 (500B)은 바디 디스플레이 유닛(500)의 저면이 개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컨트롤 박스(272)에 연결된 케이블은 로어 개구부(500B)을 통해 디스플레이 유닛(500)(600)의 내부로 연장될 수 있고, 디스플레이 유닛(500)(600)에 설치된 디스플레이 유닛 전자기기와 연결될 수 있다.
컨트롤 박스(272)에 연결된 케이블은 로어 개구부(500B)와 리어 개구부(500A)를 통해 디스플레이 유닛(500)의 외부로 연장될 수 있고, 쇼핑 모듈(M)에 설치된 충전모듈 등의 전자기기에 연결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쇼핑 모듈을 갖는 로봇의 정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쇼핑 모듈을 갖는 로봇을 후방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쇼핑 모듈의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쇼핑 모듈의 저면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인 바디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5에 도시된 B-B'선 단면도이다.
로봇은 스캐너(1000)를 포함할 수 있다. 스캐너(1000)는 기 설정된 종류의 데이터 정보를 리딩할 수 있다. 일례로, 스캐너(1000)는 바코드(barcode) 및 QR 코드(Quick Response code) 중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정보를 리딩할 수 있다.
로봇은 쇼핑센터에서 사용되는 카트 로봇으로 사용될 수 있고, 물품 구매자(이하, 소비자라 칭함)는 물품에 제공된 바코드를 스캐너(1000)에 근접하게 위치시킬 수 있으며, 물품에 제공된 바코드는 스캐너(1000)에 스캐닝될 수 있다. 이러한 바코드는 물품의 명칭이나 가격 정보이나 원산지 등의 정보(이하, 물품 정보라 칭함)는 포함하고, 로봇은 스캐너(1000)를 통해 물품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스캐너(1000)는 무선 바코드 스캐너일 수 있고, 이하, 무선 바코드 스캐너(1000)로 칭하여 설명한다.
무선 바코드 스캐너(1000)는 이동 모듈(1)과 쇼핑 모듈(M) 중 적어도 하나에 구비될 수 있다.
로봇이 이동 모듈(1)과 쇼핑 모듈(M)을 포함하고, 쇼핑 모듈(M)이 이동 모듈(1)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경우, 무선 바코드 스캐너(1000)는 쇼핑 모듈(M)에 구비되어 쇼핑 모듈(M)의 일부를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필요시, 쇼핑모듈(M)에서 분리되기 용이하도록 쇼핑 모듈(M)에 분리 가능하게 안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쇼핑 모듈(M)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쇼핑 모듈(M)은 내부에 제1공간(S1)이 형성된 메인 바디(90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공간(S1)은 물품이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일 수 있다. 제1공간(S1)의 상면은 개방될 수 있고, 사용자는 물품을 제1공간(S1)에 용이하게 넣을 수 잇다.
메인 바디(900)이 이동 모듈(1)에 올려졌을 때, 메인 바디(900)의 상단 높이(H3)는 이동 모듈(1)의 상단 높이(H1) 보다 낮을 수 있다. 이동 모듈(1)의 상단 높이(H1)는 디스플레이 유닛(500)(600)의 상단 높이(H1)일 수 있다.
메인 바디(900)의 전면에는 후방으로 함몰된 프론트 가이드(920A)가 형성될 수 있다. 프론트 가이드(920A)는 메인 바디(900)의 상면부터 저면까지 상하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프론트 가이드(920A)는 바디 디스플레이 유닛(500)의 형상에 대응될 수 있다. 쇼핑 모듈(M)이 이동 모듈(1)에 장착되는 경우, 프론트 가이드(920A)에는 바디 디스플레이 유닛(500)의 적어도 일부가 끼워질 수 있다. 이로써, 바디 디스플레이 유닛(500)에 의해 쇼핑 모듈(M)의 장착 위치가 안내될 수 있다.
프론트 가이드(920A)의 하부에는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어 함몰부(920B)가 형성될 수 있다. 로어 함몰부(920B)는 프론트 가이드(920A)에서 더 후방으로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쇼핑 모듈(M)이 이동 모듈(1)에 안착되었을 때, 로어 함몰부(920B)는 바디 디스플레이 유닛(500)의 배면에 형성된 리어 개구부(500A, 도 4 참조)를 향할 수 있다.
메인 바디(900)의 전방부 저면에는 함몰부(920B)와 연결된 연결홈(927A)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메인 바디(900)에는 연결홈(927A)과 연결된 케이블 통공(927)이 형성될 수 있다. 케이블 통공(927)은 함몰부(920B)에 직접 연결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 경우, 연결홈(927A)은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바디 디스플레이 유닛(500) 내부에서 리어 개구부(500A)를 통해 빠져 나온 케이블은 로어 함몰부(920B)와 연통된 연결홈(927A) 및 전선 가이드부(927)를 통해 쇼핑 모듈(M) 내부로 연장될 수 있다.
메인 바디(900)의 하부에는 가이드 삽입부(961) 및 체결공(962A)이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삽입부(961)는 메인 바디(900)의 저면에서 상측으로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삽입부(900)에는 이동 모듈(1)의 본체(100)의 상면에 구비된 모듈 가이드(231,도 3 참조)가 삽입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모듈 가이드(231)는 모듈 지지 플레이트(400)에 형성된 서브 관통공(411)을 통과하여 가이드 삽입부(961)에 삽입될 수 있다. 이로써, 이동 모듈(1)에 대한 쇼핑 모듈(M)의 장착 위치가 가이드되고 쇼핑 모듈(M)의 수평 방향의 흔들림이 방지될 수 있다.
체결공(962A)는 메인 바디(900)의 저면이 상하로 관통되어 형성될 수 있다.
체결공(962A)은 이동 모듈(1)의 본체(100)의 상면에 구비된 모듈 체결부(232,도 3 참조)에 체결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모듈 체결부(232)는 모듈 지지 플레이트(400)에 형성된 서브 개방공(412)을 통과하여 상기 체결공에 맞닿을 수 있다. 이 경우, 스크류 등의 체결부재는 상기 체결공(962A)을 관통하여 모듈 체결부(232)에 체결될 수 있다. 이로써, 쇼핑 모듈(M)이 이동 모듈(1)의 상측에 견고하게 장착될 수 있다.
쇼핑 모듈(M)은 메인 바디(900)에 장착된 슬램 모듈(993)를 포함할 수 있다. 슬램 모듈(993)은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다. 슬램 모듈(993)은 비전 센서 또는 광학 센서일 수 있다.
로봇은 슬램 모듈(993)에서 감지된 정보를 사용하여 슬램(SLAM: Simultaneous Localization and Mapping)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주행하는 이동 로봇은 슬램 모듈(993)에서 감지된 정보를 사용하여 자신의 위치를 계측하는 동시에 주변 환경의 지도를 작성할 수 있다.
슬램 모듈(993)은 메인 바디(900)의 상부에 설치될 수 있다.
슬램 모듈(993)은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일례로, 쇼핑 모듈(M)은 메인 바디(900)의 좌측부 및 우측부에 각각 구비된 한 쌍의 슬램 모듈(993)을 포함할 수 있다.
메인 바디(900)는 복수개 부재의 결합체로 구성될 수 있다. 메인 바디(900)는 프론트 모듈(910)와 리어 모듈(950)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바코드 스캐너(1000)는 프론트 모듈(910)에 안착되어 지지될 수 있다. 슬램 모듈(993)은 프론트 모듈(910)에 장착될 수 있다. 또한, 프론트 가이드(920A) 및 함몰부(920B)는 프론트 모듈(910)에 형성될 수 있다.
리어 모듈(950)은 프론트 모듈(910)의 후방에서 프론트 모듈(910)에 결합될 수 있다. 리어 모듈(950)는 프론트 모듈(910)와 함께 메인 바디(900)의 제공간(S1)을 형성할 수 있다.
리어 모듈(950)은 바스켓(960)과, 모듈 베이스(970)와, 베이스 커버(980)를 포함할 수 있다.
바스켓(960)은 리어 바스켓(962)과, 리어 바스켓(962)의 양측 가장자리에서 전방을 향해 연장된 한 쌍의 사이드 바스켓(964)을 포함할 수 있다.
리어 바스켓(962)은 쇼핑 모듈(M)의 후방부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각 사이드 바스켓(964)은 쇼핑 모듈(M)의 측방 하부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리어 바스켓(962)의 높이는 사이드 바스켓(964)의 높이보다 높게 형성될 수 있다. 리어 바스켓(962)의 하단과 사이드 바스켓(964)의 하단은 단차지지 않고 연속되게 이어짐이 바람직하다.
바스켓(950)에는 다수의 통공이 형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다수의 통공을 통해 제1공간(S1)에 담긴 물품들을 쉽게 확인할 수 있다.
모듈 베이스(970)는 바스켓(960)의 하측에서 바스켓(960)과 연결될 수 있다. 모듈 베이스(970)는 프론트 모듈(910)에 포함된 리어모듈 장착부(923)에 결합될 수 있다.
모듈 베이스(970)에는 앞서 설명한 가이드 삽입부(961)가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삽입부(961)는 모듈 베이스(970)를 상하로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모듈 베이스(970)에는 체결공(962A)이 형성될 수 있다.
베이스 커버(980)는 모듈 베이스(970)를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베이스 커버(670)는 물품이 수용되는 제1공간(S1)의 저면을 형성할 수 있다.
쇼핑 모듈(M)은 포켓(11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포켓(1100)에는 무선 스캐너 모듈(1000)의 일부 특히, 무선 스캐너 모듈(1000)의 하부가 수용될 수 있다. 포켓(1100)은 메인 바디(800)에 제공될 수 있다. 포켓(1100)의 내부에는 제1공간(S1) 보다 작은 제2공간(S2, 도 10 참조)이 형성될 수 있다.
포켓(1100)은 로어 바디(1102)와, 로어 바디(1102)에서 상측으로 연장되고 내측에 제2공간(S2)이 형성된 어퍼 바디(1104)를 포함할 수 있다. 어퍼 바디(1104)는 중공 형상일 수 있고, 무선 스캐너 모듈(1000)의 하부를 향하는 내둘레면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바코드 스캐너(10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유닛(500)(600)과 수평 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그리고, 무선 바코드 스캐너(1000)가 포켓(1100)에 삽입되었을 때, 무선 바코드 스캐너(1000)의 상단 높이(H4)는 메인 바디()의 상단 높이(H3) 보다 높을 수 있고, 디스플레이 유닛(500)(600)의 상단 높이(H1) 보다 낮을 수 있다.
무선 바코드 스캐너(1000)는 가급적 디스플레이 유닛(500)(600)에 근접하게 배치될 수 있고, 메인 바디(900)의 선단과 메인 바디(900)의 후단 중 메인 바디(900)의 선단에 더 가깝게 위치되게 안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포켓(1100)은 메인 바디(900)의 선단과 메인 바디(900)의 후단 중 메인 바디(900)의 선단에 더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무선 바코드 스캐너(1000)는 디스플레이 유닛(500)(600)의 좌측이나 우측에 위치되게 포켓(1100)에 수용될 수 있고, 포켓(1100)은 메인 바디(900)에 좌,우 중 일측으로 편심되게 배치될 수 있다.
메인 바디(900)는 포켓(1100)을 보호할 수 있고, 포켓(1100)은 무선 바코드 스캐너(1000)가 포켓(1100)에 수용되었을 때, 무선 바코드 스캐너(1000) 및 메인 바디(900)에 은닉될 수 있다.
메인 바디(900)에는 무선 바코드 스캐너(1000)가 관통되는 관통부(922)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포켓(1100)은 제2공간(S2)이 관통부(922) 아래에 위치되게 메인 바디(900)에 결합될 수 있다,
관통부(922)는 메인 바디(900)의 상면 외관을 형성하는 탑 커버(921)에 상하 방향으로 관통된 홀일 수 있다.
포켓(1100)은 탑 커버(921)의 아래에 배치되게 메인 바디(900)에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쇼핑 모듈(M)에는 무선 바코드 스캐너(1000)을 충전할 수 있는 충전모듈(1200)이 배치될 수 있다. 충전모듈(1200)은 포켓(1100)에 제2공간(S2)을 향하게 배치될 수 있다.
무선 바코드 스캐너(1000)가 포켓(1100)의 내부에 안착되었을 때, 무선 바코드 스캐너(1000)은 충전모듈(1200)에 의해 충전될 수 있고, 무선 스캐너 모듈(1000)은 별도의 충전기에 의해 충전되지 않고, 쇼핑모듈(M) 자체에 의해 충전될 수 있다.
무선 바코드 스캐너(1000)은 충전모듈(1200)에 의해 활성화되는 충전유닛(1010)과, 충전유닛(1010)에 의해 충전되는 스캐너 배터리(1020)을 포함할 수 있다.
충전유닛(1010)의 활성화는 충전모듈(1200)에 의해 충전유닛(1010)으로 전류가 흐르는 것으로 정의될 수 있고, 스캐너 배터리(1020)가 충전모듈(1200)에 의해 충전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충전모듈(1200)은 이동모듈(1)의 배터리(271)에서 공급된 전원을 충전유닛(1010)으로 인가하는 것으로서, 이동모듈(1)의 배터리(271)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있다.
이동 모듈(1)은 배터리(271)로부터 전원을 받아 24V, 12V, 5V 등과 같이, 전압을 분배하여 전원이 필요한 전자기기에 공급하는 파워 보드(Power board)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모듈(1)은 파워 보드에서 전원을 받아 디스플레이 유닛이나 충전모듈 등과 같이, 전원이 필요한 전자기기에 전원을 공급하는 정크션 보드(Junction Board)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정크션 보드는 도 3에 도시된 컨트롤 박스(272)에 배치될 수 있다. 충전모듈(1200)은 케이블을 통해 파워 보드나 정크션 보드에 연결될 수 있고, 스캐너 배터리(1020)가 이동 모듈(1)의 배터리(271)에 의해 충전되게 할 수 있다.
충전유닛(1010)은 무선 바코드 스캐너(1000)가 포켓(1100)의 내부에 안착되었을 때, 충전모듈(1200)을 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충전유닛(1010)은 무선 바코드 스캐너(1000) 중 포켓(1100)의 내부로 삽입되는 삽입부(1002)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충전유닛(1010)은 무선 바코드 스캐너(101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충전모듈(1200)의 일예는 무선 바코드 스캐너(1000)를 무선 충전할 수 있는 무선 충전모듈을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고, 충전모듈(1200)의 다른예는 무선 바코드 스캐너(1000)와 접속되는 충전 케이블을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일예로 충전모듈(1200)이 무선 충전모듈을 포함할 경우, 충전모듈은 1차코일을 포함할 수 있고, 충전유닛(1010)은 1차 코일에 의해 유도전류가 흐르는 2차 코일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충전모듈(1200)이 충전 케이블을 포함할 경우, 충전모듈(1200)는 케이블(1202)과, 케이블(1202)과 연결된 케이블 단자(1204)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충전 유닛(1010)은 케이블 단자(1204)와 접속되는 충전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충전 유닛과 충전단자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칭하여 설명한다. 케이블 단자(1204)와, 충전단자(1010) 중 어느 하나에는 핀이 돌출되고, 케이블 단자(1204)와, 충전단자(1010) 중 다른 하나에는 핀이 삽입되는 홀이 형성될 수 있다.
핀은 케이블 단자(1204)에 복수개 제공될 수 있고, 복수개의 핀은 일렬로 배치될 수 있다.
핀이 케이블 단자(1204)에 제공될 경우, 홀은 핀과 같이 복수개 제공될 수 있고, 복수개의 홀은 충전단자(1010)에 2열로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 무선 바코드 스캐너(1000)의 전면과 후면이 반대가 되게 무선 바코드 스캐너(1000)가 포켓(1100)에 삽입되더라도 충전단자(1010)은 케이블 단자(1204)와 접속될 수 있고, 스캐너 배터리(1020)은 충전될 수 있다.
무선 바코드 스캐너(1000)가 포켓(1100)으로 삽입 완료되면, 충전단자(1010)는 핀이 홀에 삽입되어 끼워지는 것에 의해 케이블 단자(1204)와 접속될 수 있고, 케이블(1202)을 흐르는 전류는 케이블 단자(1204)를 통해 충전단자로 흐를 수 있고, 스캐너 배터리(1020)는 충전될 수 있다.
한편, 무선 바코드 스캐너(1000)는 충전유닛(1010)에 배치된 자석(1030)을 더 포함할 수 있고, 무선 바코드 스캐너(1000)는 자석(1030)에 의해 충전 케이블에 자력 고정될 수 있다.
케이블 단자(1204)는 핀이 돌출되게 설치된 단자 바디(1206)와, 단자바디(1206)에 배치된 자성체(1208)와, 단자 바디(1206) 및 자성체(1208)의 외둘레를 둘러싸는 단자 하우징(1210)을 포함할 수 있다.
자석(1030)은 충전유닛(1010)의 외둘레를 둘러싸게 배치될 수 있고, 무선 스캐너 모듈(1000)이 포켓(1100)으로 삽입 완료되면, 케이블 단자(1204)의 자성체(1208)와 자력 고정될 수 있다.
무선 바코드 스캐너(1000)의 외둘레는 포켓(1100)의 내둘레 보다 조금 작게 형성될 수 있고, 무선 바코드 스캐너(1000)는 쇼핑 모듈(M)의 이동시 흔들릴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무선 바코드 스캐너(1000)가 충전모듈(12000)에 자력 고정될 경우, 무선 바코드 스캐너(1000)의 흔들림은 최소화될 수 있고, 무선 바코드 스캐너(1000)는 자석(1030)에 의해 지속적으로 충전 가능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한편, 충전모듈(1200)은 메인 바디(900)의 내부에 형성될 수 있고, 메인 바디(900)는 충전모듈(1200)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이 최소화하게 충전모듈(1200)을 감쌀 수 있다.
메인 바디(900)에는 케이블(1202이 관통되는 제4공간(S4)이 형성될 수 있다. 제4공간(S4)은 제1공간(S1)과 상이한 공간이고, 제1공간(S1)과 구분된 공간일 수 있다.
메인 바디(900)은 그 외관을 형성하는 아우터 커버(920)와, 아우터 커버(920)와 함께 제4공간(S4)을 형성하는 케이블 가이드(930)을 포함할 수 있다. 케이블 가이드(930)는 아우터 바디(920)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고, 아우터 바디(920)와 케이블 가이드(930)의 사이에는 케이블(1202)가 상하 방향으로 길게 연장될 수 있는 공간(S4)이 형성될 수 있다.
아우터 커버(920)는 메인 바디(900)의 상면 외관을 형성하는 탑 커버(921)와, 메인 바디(900)의 전면 외관을 형성하는 프론트 커버(923)을 포함할 수 있다.
케이블 가이드(930)는 이러한 프론트 커버(923)와 전후 방향으로 이격된 이격부를 포함할 수 있고, 프론트 커버(923)와 이격부의 사이에 제4공간(S4)이 형성될 수 있다.
케이블 가이드(930)와 탑 커버(921)의 사이에는 틈(G)이 형성될 수 있고, 제조자, 수리업자 등은 이러한 틈(G)을 통해 충전 케이블 또는 포켓(1100)로 접근할 수 있다.
한편, 메인 바디(900)는 아우터 커버(920)와, 케이블 가이드(930) 중 적어도 하나와 결합될 수 있는 이너 커버(9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이너 커버(940)는 아우터 커버(920)나 케이블 가이드(930)에 결합되었을 때, 틈(G) 및 포켓(1100)이 외부에서 보이지 않게 가릴 수 있다. 이커 커버(940)는 제1공간(S1)과 제4공간(S4)이 통하지 않게 막을 수 있고, 이너 커버(940)는 충전 케이블의 손상을 막을 수 있다.
이너 커버(940)는 리어 모듈(950)과 전후 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고, 제1공간(S1)의 둘레면을 형성할 수 잇다.
아우터 커버(920)와, 케이블 가이드(930) 및 이너 커버(940)은 프론트 모듈(910)을 구성할 수 있다.
무선 바코드 스캐너(1000)는 포켓(1100)으로 삽입되었을 때, 그 전부가 포켓(1100)의 제2공간(S2)로 삽입되지 않고, 포켓(1100)에 일부가 삽입되어 수용될 수 있다. 무선 바코드 스캐너(1000)의 상하 방향 길이는 제2공간(S2)의 상하 방향 길이 보다 길 수 있다.
무선 바코드 스캐너(1000)는 포켓(1010)에 삽입되는 삽입부(1002)와, 외부로 노출되는 비삽입부(1004)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바코드 스캐너(1000)가 포켓(1100)의 제2공간(S2)로 삽입되었을 때, 삽입부(1002)는 무선 바코드 스캐너(1000) 중 제2공간(S1)에 위치하는 부분으로 정의될 수 있고, 비삽입부(1004)는 무선 바코드 스캐너(1000) 중 메인 바디(900) 및 포켓(1100)의 외부에 위치하는 부분으로 정의될 수 있다. 이러한 비삽입부(1004)는 삽입부(1002)가 포켓(1100)의 제2공간(S2)에 수용될 때,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유닛(500)(600)의 좌측 또는 우측에 위치될 수 있다.
무선 바코드 스캐너(1000)는 외관을 형성하는 스캐너 케이스(1040)을 포함할 수 있고, 스캐너 케이스(1040)은 삽입부(1002)와, 비삽입부(1004)를 포함할 수 있다.
스캐너 케이스(1040)는 내부에 스캐너 배터리(1020)이나 통신모듈(1070) 등의 수용될 수 있는 제3공간(S3)이 형성될 수 있다. 스캐너 케이스(1040)은 입체적 형상일 수 있고, 복수개 케이스부재의 결합체로 구성될 수 있다. 스캐너 케이스(1040)는 무선 바코드 스캐너(1000)가 포켓(1100)에 삽입되어 안착되었을 때, 스캐너 케이스(1040)의 후면을 형성하는 리어 바디(1041)과, 리어 바디(1041)의 반대편에 위치하고 스캐너 케이스(1040)의 전면을 형성하는 프론트 바디(1042)와, 리어 바디(1041)의 하부와 프론트 바디(1042)의 하부를 잇고 충전모듈(1020)을 향하는 로어 바디(1043)과, 리어 바디(1041)의 상부와 프론트 바디(1042)의 상부를 잇는 어퍼 바디(1044)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바코드 스캐너는 한 쌍의 사이드 바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충전유닛(1020)은 삽입부(1002)에 배치될 수 있다. 충전유닛(1020)은 무선 바코드 스캐너(1000)가 포켓(1100)에 삽입되었을 때, 외부로 노출되지 않고, 포켓(1100)이나 메인 바디(900)에 의해 보호될 수 있다.
무선 바코드 스캐너(1000)은 스캐닝 모듈(1050)를 포함할 수 있다. 스캐닝 모듈(1050)은 물품의 바코드를 스캐닝하는 기기로서, 소비자가 물품을 갖다 대기 용이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스캐닝 모듈(1050)은 비삽입부(1004)에 배치될 수 있다. 스캐닝모듈(1050)은 소비자가 물품을 공간(S1)에 넣거나 빼낼 때 물품을 갖다 대기 용이하게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스캐닝모듈(1050)은 비삽입부(1004) 중 제1공간(S1)의 상측을 향하는 면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소비자는 물품의 바코드를 스캐닝모듈(1050)에 갖다 댄 후 제1공간(S1)으로 넣을 수 있다.
스캐닝 모듈(1050)은 비삽입부(1004)의 배면이나 상면에 배치될 수 있다. 비삽입부(1004)는 비삽입부(1004)의 배면 상단에서 연장되고 제1공간(S1)의 상측을 향하는 경사면을 포함할 수 있고, 이 경우, 스캐닝 모듈(1050)은 경사면에 배치될 수 있고, 스캐닝 모듈(1050)은 제1공간(S1)의 상측을 향할 수 있다. 스캐너 케이스(1040)가 경사면이 형성된 어퍼 바디(1044)를 포함할 경우, 스캐닝 모듈(1050)은 어퍼 바디(1044)에 배치될 수 있다.
무선 바코드 스캐너(1000)는 사용자가 무선 바코드 스캐너(1000)를 작동시킬 수 있는 전원 버튼(10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무선 바코드 스캐너(1000)는 소비자 또는 관리자에 의해 온되게 구성될 수 있고, 소비자나 관리자는 전원 버튼(1060)을 조작하여 무선 바코드 스캐너(1000)가 물품의 바코드를 스캔닝 할 수 있는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전원 버튼(1060)은 무선 바코드 스캐너(1000)가 포켓(1100)에 삽입된 상태에서 조작될 수 있도록 비삽입부(1004)에 배치될 수 있다. 전원 버튼(1060)은 소비자가 물룸을 제1공간(S1)으로 넣을 때, 물품이나 소비자의 신체 일부에 의해 조작되지 않는 위치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원 버튼(1060)은 비삽입부(1004) 중 제1공간(S1)이나 제1공간(S1)의 상측을 향하지 않는 면에 배치될 수 있다. 전원 버튼(1060)은 비삽입부(1004)는 전면에 배치될 수 있다.
무선 바코드 스캐너(1000)는 스캐너 케이스(1040)에 배치된 통신모듈(1070)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바코드 스캐너(1000)은 이동모듈(1)이나 외부기기(예를 들면, 쇼핑센터의 계산대, 소비자의 이동 단말기, 관리자의 이동 단말기 등)와 통신할 수 있고, 통신모듈(1070)은 이동모듈(1) 또는 외부기기와 무선 통신할 수 있는 무선통신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모듈(1070)은 비삽입부(1004)에 배치될 수 있다.
무선 바코드 스캐너(1000)는 무선 바코드 스캐너(1000)를 제어하는 스캐너 컨트롤러(1080)을 포함할 수 있다. 스캐너 컨트롤러(1080)는 스캐너 케이스(1040)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스캐너 컨틀로러(1080)는 전원 버튼(1060)의 조작시, 스캐닝모듈(1050)을 활성화할 수 있다. 스캐너 컨트롤러(1080)는 통신모듈(1070)을 통해 신호가 전송되도록 통신모듈(1070)을 제어할 수 있다.
무선 바코드 스캐너(1000)는 통신모듈(1070)을 통해 이동모듈(1)과 통신할 수 있고, 무선 바코드 스캐너(1000)에 물품이 스캐닝되면, 이동모듈(1)의 디스플레이 유닛(500)(600)은 스캐닝된 물품의 물품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포켓(1100)이 메인 바디(900)의 상부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고, 포켓(1100)이 디스플레이 유닛(500)(600)에 제공되고 충전모듈(1020)이 본체(100) 또는 디스플레이 유닛(500)(600)에 설치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3)

  1. 내부에 제1공간이 형성된 메인 바디와;
    상기 메인 바디에 제공되고 내부에 상기 제1공간 보다 작은 제2공간이 형성된 포켓과;
    상기 포켓에 상기 제2공간을 향하게 배치된 충전모듈과,
    상기 포켓에 일부가 삽입되어 수용되는 무선 바코드 스캐너를 포함하고,
    상기 무선 바코드 스캐너는
    스캐닝 모듈과;
    상기 충전모듈에 의해 활성화되게 배치된 충전유닛과;
    상기 충전유닛에 의해 충전되는 스캐너 배터리를 포함하는 쇼핑 모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바코드 스캐너는
    상기 포켓에 삽입되는 삽입부와, 외부로 노출되는 비삽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충전유닛은 상기 삽입부에 배치되고,
    상기 스캐닝 모듈은 상기 비삽입부에 배치된 포함하는 쇼핑 모듈.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캐닝모듈은 상기 비삽입부 중 상기 제1공간의 상측을 향하는 면에 배치된 쇼핑 모듈.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바코드 스캐너는 상기 비삽입부의 전면에 배치된 전원 버튼을 더 포함하는 쇼핑 모듈.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바코드 스캐너는
    내부에 상기 스캐너 배터리가 수용되는 제3공간이 형성된 스캐너 케이스와,
    상기 스캐너 케이스에 배치된 통신모듈을 더 포함하는 쇼핑 모듈.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바디에는 상기 무선 바코드 스캐너가 관통되는 관통부가 형성되고,
    상기 포켓은 상기 제2공간이 상기 관통부 아래에 위치되게 상기 메인 바디에 결합된 쇼핑 모듈.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모듈은 충전 케이블을 포함하고,
    상기 충전 케이블은 케이블과, 상기 케이블에 연결된 케이블 단자를 포함하며,
    상기 메인 바디에는 상기 케이블이 관통되는 케이블 가이드가 형성된 쇼핑 모듈.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유닛에 배치된 자석을 포함하고, 상기 무선 바코드 스캐너는 상기 자석에 의해 상기 충전 케이블에 자력 고정되는 쇼핑 모듈.
  9. 쇼핑 모듈과;
    상기 쇼핑 모듈이 안착되는 모듈지지 플레이트와, 상기 모듈지지 플레이트 모듈지지 플레이트에서 상측으로 연장된 디스플레이 유닛을 갖는 이동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쇼핑모듈은
    내부에 제1공간이 형성된 메인 바디와;
    상기 메인 바디에 제공되고 내부에 제1공간 보다 작은 제2공간이 형성된 포켓과;
    상기 포켓에 상기 제2공간을 향하게 배치된 충전모듈과;
    상기 포켓에 일부가 삽입되어 수용되는 무선 바코드 스캐너를 포함하고,
    상기 무선 바코드 스캐너는
    스캐닝 모듈과,
    상기 충전모듈에 의해 활성화되게 배치된 충전유닛과;
    상기 충전유닛에 의해 충전되는 스캐너 배터리을 포함하며,
    상기 무선 바코드 스캐너는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과 수평 방향으로 이격되고,
    상기 무선 바코드 스캐너가 상기 포켓에 삽입되었을 때 상기 무선 바코드 스캐너의 상단 높이는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의 상단 높이 보다 낮은 쇼핑 모듈을 갖는 로봇.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포켓은 상기 메인 바디의 선단과 상기 메인 바디의 후단 중 상기 메인 바디의 선단에 더 가깝게 배치된 쇼핑 모듈을 갖는 로봇.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포켓은 상기 메인 바디에 좌,우 중 일측으로 편심되게 배치된 쇼핑 모듈을 갖는 로봇.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바코드 스캐너의 비삽입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의 좌측 또는 우측에 위치되는 쇼핑 모듈을 갖는 로봇.
  13.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바코드 스캐너는 상기 이동모듈과 통신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은 상기 무선 바코드 스캐너에 물품이 스캐닝되면, 스캐닝된 물품의 물품정보를 표시하는 쇼핑 모듈을 갖는 로봇.
KR1020197022836A 2019-01-02 2019-01-02 쇼핑 모듈 및 그를 갖는 로봇 KR2021009856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9/000046 WO2020141624A1 (ko) 2019-01-02 2019-01-02 쇼핑 모듈 및 그를 갖는 로봇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8561A true KR20210098561A (ko) 2021-08-11

Family

ID=714068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22836A KR20210098561A (ko) 2019-01-02 2019-01-02 쇼핑 모듈 및 그를 갖는 로봇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10157999A1 (ko)
KR (1) KR20210098561A (ko)
WO (1) WO2020141624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557740B2 (en) * 2013-07-02 2017-01-31 David Crawley Autonomous mobile platform for service applications
US10518407B2 (en) * 2015-01-06 2019-12-31 Discovery Robotics Apparatus and methods for providing a reconfigurable robotic platform
CN106272478A (zh) * 2016-09-30 2017-01-04 河海大学常州校区 一种全自动购物机器人及使用方法
CN206991376U (zh) * 2017-07-13 2018-02-09 周述瑶 自助购物装置和自助购物机器人
CN109017952A (zh) * 2018-09-11 2018-12-18 广东宏穗晶科技服务有限公司 一种购物车机器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10157999A1 (en) 2021-05-27
WO2020141624A1 (ko) 2020-07-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40627B2 (en) Serving module and robot having the same
JP6336235B1 (ja) 物品搬送ロボット
US11889933B2 (en) Resolving events in item-identifying carts
US11511411B2 (en) Movable robot
US20200275059A1 (en) Item-identifying carts
KR102335633B1 (ko) 이동 로봇
US10953906B1 (en) Item-identifying carts
JP7129936B2 (ja) カート収納システムおよび給電システム
US20200254623A1 (en) Modular movable robot
KR20210070785A (ko) 스마트 박스
JP2019153064A (ja) 荷車
KR20210098561A (ko) 쇼핑 모듈 및 그를 갖는 로봇
KR102284515B1 (ko) 이동 로봇
KR102220206B1 (ko) 서비스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로봇
US11673254B2 (en) Porter module and robot having the same
KR102288640B1 (ko) 이동 로봇
KR20210098562A (ko) 이동 로봇
EP4342769A1 (en) A shopping cart having a detachable terminal and a detachable handle bar
KR20210098563A (ko) 이동 로봇
CN109996471A (zh) 购物支援系统
WO2024061727A1 (en) A shopping cart having a detachable termin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