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97679A - 모듈형 프리액션 밸브 - Google Patents

모듈형 프리액션 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97679A
KR20210097679A KR1020210101435A KR20210101435A KR20210097679A KR 20210097679 A KR20210097679 A KR 20210097679A KR 1020210101435 A KR1020210101435 A KR 1020210101435A KR 20210101435 A KR20210101435 A KR 20210101435A KR 20210097679 A KR20210097679 A KR 202100976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unit
valve
fluid
preaction
main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014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변기수
Original Assignee
신영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영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신영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014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97679A/ko
Publication of KR202100976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9767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1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 F16K31/126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the fluid acting on a diaphragm, bellows, or the li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0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 F16K1/16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with pivoted closure-members
    • F16K1/18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with pivoted closure-members with pivoted discs or fla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7/00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 F16K17/02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opening on surplus pressure on one side; closing on insufficient pressure on one sid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7/00Diaphragm valves or cut-off apparatus, e.g. with a member deformed, but not moved bodily, to close the passage ; Pinch valves
    • F16K7/12Diaphragm valves or cut-off apparatus, e.g. with a member deformed, but not moved bodily, to close the passage ; Pinch valves with flat, dished, or bowl-shaped diaphrag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luid-Driven Valves (AREA)

Abstract

모듈형 프리액션 밸브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프리액션 밸브는 유입구 및 유출구를 갖추어 유체가 통과하는 메인공간부와, 격벽을 매개로 상기 메인공간부와 구획되고 수압에 따라 상태가 변경되는 다이어프램이 배치되는 셋팅공간부를 포함하는 프리액션밸브부; 일단부가 유체가 흐르는 주배관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프리액션밸브부의 유입구 측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며, 디스크의 회전을 통해 상기 주배관으로부터 프리액션밸브부 측으로 유체의 공급을 허용하거나 차단하는 개폐밸브부; 및 상기 개폐밸브부로부터 상기 셋팅공간부 측으로 유체가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프리액션밸브부의 일측과 개폐밸브부의 일측을 연결하는 연결관;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모듈형 프리액션 밸브{Module type pre-action valve}
본 발명은 모듈형 프리액션 밸브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주배관에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는 모듈형 프리액션 밸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수 검지장치는 습식과 건식 그리고 준비 작동식 밸브(프리액션 밸브)로 구분된다. 이중, 준비 작동식 밸브는 2차측에 물이나 가스, 압축공기가 없이 대기압상태를 유지하다가 화재발생시 감지기가 전기 신호를 보내 전동 볼밸브를 작동하여 헤드로 소화용수가 송수되고, 폐쇄형 스프링클러 헤드가 열에 의해 개방되는 방식이다.
한편,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523886호에는 준비 작동식 밸브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특허에 따르면 입구는 유체가 유입되는 1차측, 출구는 유체가 배출되는 2차측, 다이어프램 격실을 3차측으로 정의할 때, 바디의 일측이 커버에 밀폐되며, 다이아프램이 설치된 3차측 작동부가 구성되고, 다이아프램에는 액츄에이터가 고정되고, 이 액츄에이터는 바디에 힌지 결합되어 회동하는 록킹레버를 가압하여 상기 디스크가 항시 밀폐 위치에 있도록 제한한다.
그러나 종래의 준비 작동식 밸브는 유입구 측에 별도의 버터플라이밸브를 체결하고 버터플라이밸브의 유입구 측을 주배관과 연결한 후 강관으로 형성된 별도의 분기관을 통해 주배관과 준비 작동식 밸브를 연결함으로써 분기관을 통해 주배관으로부터 준비 작동식 밸브의 3차측으로 유체를 공급하였다.
그러나, 분기관이 연결되는 주배관 측에는 분기관을 연결하기 위한 별도의 피팅이 마련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설치현장에서 작업자가 주배관 측에 피팅을 형성하고 설치현장에 적합하도록 분기관을 적정길이로 절단한 후 적정길이로 절단된 분기관을 이용하여 주배관과 준비 작동식 밸브의 3차측을 연결하였다.
이에 따라, 종래의 준비 작동식 밸브는 준비 작동식 밸브를 주배관에 연결하기 위한 설치작업이 매우 번거롭고 협소한 공간에서의 설치작업이 어려운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설치작업이 단순하면서도 다이어프램이 배치되는 셋팅공간부 측으로 압력셋팅을 위한 유체가 용이하게 공급될 수 있는 모듈형 프리액션 밸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유입구 및 유출구를 갖추어 유체가 통과하는 메인공간부와, 격벽을 매개로 상기 메인공간부와 구획되고 수압에 따라 상태가 변경되는 다이어프램이 배치되는 셋팅공간부를 포함하는 프리액션밸브부; 일단부가 유체가 흐르는 주배관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프리액션밸브부의 유입구 측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며, 디스크의 회전을 통해 상기 주배관으로부터 프리액션밸브부 측으로 유체의 공급을 허용하거나 차단하는 개폐밸브부; 및 상기 개폐밸브부로부터 상기 셋팅공간부 측으로 유체가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프리액션밸브부의 일측과 개폐밸브부의 일측을 연결하는 연결관;을 포함하는 모듈형 프리액션 밸브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개폐밸브부는 상기 연결관이 연결되는 피팅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피팅은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피팅은 상기 디스크의 회전을 통해 상기 개폐밸브부가 폐쇄된 상태에서도 상기 주배관으로부터 유입된 유체가 상기 연결관을 통해 프리액션밸브부 측으로 이동할 수 있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관은 적어도 일부가 유연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연결관은 유연성을 갖는 공지의 PVC호스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관은 상기 주배관으로부터 상기 개폐밸브부로 유입된 유체의 일부를 상기 프리액션밸브부의 셋팅공간부 측으로 직접 공급하는 역할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리액션밸브부 및 개폐밸브부는 조인트부재를 매개로 착탈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리액션밸브부는 상기 메인공간부에 제1힌지축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유입구를 개방하거나 폐쇄하는 클래퍼; 상기 메인공간부에 제2힌지축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클래퍼의 회동을 구속하거나 허용하는 잠금수단; 및 소정의 길이를 갖추고 일단이 상기 다이어프램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잠금수단에 결합되며, 상기 다이어프램의 상태변경에 따라 직선이동되어 상기 잠금수단을 회동시키는 로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이어프램이 배치되는 셋팅공간부 측으로 유체를 공급하기 위한 연결관을 포함하는 모듈 형태로 구성됨으로써 프리액션 밸브를 주배관에 간단히 연결하면 전체 설치가 완료되므로 작업성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프리액션 밸브를 나타낸 외관도,
도 2는 도 1을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
도 3은 도 1을 또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프리액션 밸브에서 주요구성이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프리액션 밸브에 적용될 수 있는 다른 형태의 개폐밸브부본체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프리액션 밸브의 초기셋팅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프리액션 밸브에서 유체를 통과시키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프리액션 밸브가 배관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가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프리액션 밸브(100)는 스프링쿨러 측으로 유체(일례로, 소방용수)를 공급하는 주배관(10)에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프리액션 밸브(100)는 평상시에 잠금상태를 유지하여 유체가 통과하는 것을 차단하고, 화재와 같은 비상상황 발생시에 개방상태로 변경되어 유체가 통과하는 것을 허용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화재상황과 같은 비상시 주배관(10)을 따라 흐르는 유체는 상기 모듈형 프리액션 밸브(100)를 통과하여 스프링쿨러 측으로 공급됨으로써 스프링쿨러는 유체를 외부로 분출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프리액션 밸브(100)는 공지의 프리액션밸브 기능과 프리액션밸브의 전단에 설치되는 개폐밸브의 기능을 하나로 통합하고 주배관(10)과 연결된 상태에서 내부로 유입된 유체 중 일부의 유체를 이용하여 압력셋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모듈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프리액션 밸브(10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체가 흐르는 주배관(10)에 단순히 연결되면 다른 부가적인 작업을 수행할 필요없이 압력셋팅을 위한 유체의 공급이 가능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프리액션 밸브(100)는 주배관(10)에 설치하는 작업이 매우 간편해질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프리액션 밸브(100)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리액션밸브(110), 개폐밸브부(120) 및 연결관(130)을 포함한다.
상기 프리액션밸브(110)는 주배관(10)으로부터 공급되는 유체와 압력의 균형을 유지하여 잠금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주배관(10)으로부터 공급되는 유체가 후단 측으로 통과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프리액션밸브(110)는 공지의 프리액션밸브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상기 프리액션밸브(110)는 평상시에는 유체의 흐름을 차단하고, 화재상황과 같은 비상시에는 유체의 흐름을 후단 측으로 허용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프리액션밸브(110)는 유입구(111a) 및 유출구(111b)가 형성된 밸브본체(111)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밸브본체(111)는 비상시 유체가 통과하는 메인유로의 역할을 수행하는 메인공간부(S1)와, 평상시 메인공간부(S1)를 통해 유체가 통과하는 것을 차단하는 잠금상태로 셋팅하기 위한 셋팅공간부(S2)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밸브본체(111)는 유입구(111a) 및 유출구(111b)가 메인공간부(S1)와 연통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셋팅공간부(S2)는 밸브본체(111)의 내부에서 격벽(111d)을 매개로 메인공간부(S1)와 구획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메인공간부(S1) 측에는 제1힌지축(112a)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클래퍼(113)와, 제2힌지축(112b)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잠금수단(114)이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평상시에는 잠금수단(114)을 통해 클래퍼(113)가 유입구(111a)를 차단한 상태를 유지하여 유체가 유출구(111b)를 통해 후단 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으며, 비상시에는 잠금수단(114)의 구속력이 제거되고 클래퍼(113)가 회동됨으로써 주배관(10)으로부터 공급되는 유체가 메인공간부(S1)를 통과하여 후단 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상기 유입구(111a) 측에는 기밀성을 제공하기 위한 시트(115)가 배치될 수 있으며, 클래퍼(113)는 제1힌지축(112a)을 중심으로 회동되어 시트(115)에 밀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클래퍼(113)는 잠금수단(114)의 구속력이 해제되는 경우 유입구(111a)를 통해 유입되는 유체의 수압에 의해 회동됨으로써 유입구(111a)가 개방상태로 변경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프리액션밸브(110)는 잠금수단(114)의 회동을 통해 클래퍼(113)의 회동이 허용되거나 구속됨으로써 유입구(111a)가 개방되거나 폐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잠금수단(114)은 일단부측이 다이어프램(116)과 연결된 로드부(117)와 결합될 수 있다. 즉, 상기 로드부(117)는 일단이 다이어프램(116)에 결합되고 타단이 잠금수단(114)에 결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로드부(117)는 소정의 길이를 갖는 바형태로 구비될 수 있으며, 전체길이 중 일부가 셋팅공간부(S2)에 배치되고 나머지 길이가 메인공간부(S1) 측에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로드부(117)는 다이어프램(116)의 돌출방향에 따라 좌,우 방향으로 직선이동됨으로써 제2힌지축(112b)을 중심으로 회동되는 잠금수단(114)과 연동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잠금수단(114)의 회동은 로드부(117)의 움직임과 연동될 수 있으며, 잠금수단(114)은 로드부(117)의 움직임에 의해 제2힌지축(112b)을 중심으로 정,역방향으로 회동될 수 있다.
상기 셋팅공간부(S2)는 수압 또는 내부압력에 따라 잠금수단(114)을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동시킴으로써 클래퍼(113)의 회동을 구속하거나 허용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셋팅공간부(S2) 측에는 수압 또는 내부압력에 따라 상태가 변경되는 다이어프램(116)이 배치될 수 있으며, 다이어프램(116)은 로드부(117)의 단부와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밸브본체(111)의 일측에는 셋팅공간부(S2)와 연통되는 공급구(111c)가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셋팅공간부(S2)는 다이어프램(116)을 경계로 제1공간(S21) 및 제2공간(S22)으로 구획될 수 있으며, 공급구(111c)는 상기 제1공간(S21)과 연통되도록 밸브본체(111)에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다이어프램(116)은 적어도 일부가 탄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져 가해지는 압력의 방향에 따라 돌출되는 방향이 변경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공급구(111c)를 통해 후술하는 개폐밸브부(120)로부터 유체가 유입되어 제1공간(S21)에 유체가 채워지면 다이어프램(116)은 유체로부터 제공되는 수압을 통해 도 6을 기준으로 우측방향으로 중앙부가 볼록하게 변경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로드부(117)는 우측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로드부(117)와 연결된 잠금수단(114)은 제2힌지축(112b)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동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잠금수단(114)은 일측이 클래퍼(113)와 접촉되어 클래퍼(113)의 회동을 구속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공간(S21) 측으로 유입된 유체의 압력은 주배관(10)으로부터 개폐밸브부(120)의 내부로 유입된 유체의 압력과 동등하거나 더 높을 수 있다.
반대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공간(S21) 측에 채워진 유체가 공급구(111c)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면 제1공간(S21)의 압력은 감소하여 잠금수단(114)에 가해지는 구속력이 작아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주배관(10)으로부터 개폐밸브부(120)를 통해 프리액션밸브(110)의 유입구(111a) 측으로 공급되는 유체의 압력은 제1공간(S21)으로부터 제공되는 압력에 의해 잠금수단(114)에 가해지는 구속력보다 커질 수 있다.
이로 인해, 클래퍼(113)는 제1힌지축(112a)을 중심으로 회동되어 시트(115)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주배관(10)으로부터 유입되는 유체는 개폐밸브부(120) 및 프리액션밸브(110)를 통과하여 후단 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여기서, 제1공간(S21)에 채워진 유체는 공급구(111c)와 연결된 드레인배관(118)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으며, 드레인배관(118)은 제어부(미도시)의 제어를 통해 구동되는 전동밸브(119)를 통해 개폐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프리액션 밸브(100)에서 프리액션밸브(110)를 상술한 구조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수압에 따라 상태가 변경되는 다이어프램(116)을 이용하여 유입구(111a)가 개폐되는 방식이라면 공지의 프리액션밸브가 모두 채용될 수 있다.
상기 개폐밸브부(120)는 주배관(10)으로부터 프리액션밸브(110) 측으로 유체의 이동을 허용하거나 차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개폐밸브부(120)는 공지의 버터플라이밸브와 같은 개폐밸브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즉, 개폐밸브부(120)는 프리액션밸브(110) 측으로 유체의 이동이 필요한 경우에는 개방상태를 유지하여 유체의 이동을 허용할 수 있으며, 프리액션밸브(110) 측으로 유체가 이동하는 것을 차단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폐쇄상태를 유지하여 유체의 이동을 차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개폐밸브부(120)는 프리액션밸브(110)의 유입구(111a) 전단 측에 배치될 수 있으며, 일측이 주배관(10)과 연결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개폐밸브부(120)는 양단부가 개방된 중공형의 몸체(121)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몸체(121)는 개방된 양단부가 각각 주배관(10)과 프리액션밸브(110)의 유입구(111a) 측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121)의 내부에는 유체의 이동을 허용하거나 차단하기 위한 원판 형상의 디스크(122)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디스크(122)는 소정의 길이를 갖는 제3회전축(123)과 결합될 수 있으며, 제3회전축(123)은 조작핸들(124)과 기어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조작핸들(124)을 회전시키면 제3회전축(123)의 회전을 통해 디스크(122)가 제3회전축(123)을 중심으로 회전됨으로써 주배관(10)으로부터 프리액션밸브(110)의 유입구(111a) 측으로 유체의 이동을 허용하거나 차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개폐밸브부(120)는 프리액션밸브(110)와 착탈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몸체(121)는 개방된 상부측이 조인트부재(140)를 매개로 프리액션밸브(110)의 유입구(111a) 측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프리액션 밸브(100)는 프리액션밸브(110) 및 개폐밸브부(120) 중 어느 하나의 부분적인 교체가 필요한 경우 해당 부분만을 분리하여 교체할 수 있음으로써 유지보수 작업이 용이할 수 있다.
또한, 프리액션밸브(110) 측에 조인트부재(140)를 매개로 개폐밸브부(120)를 결합하는 과정에서 개폐밸브부(120)는 프리액션밸브(110)에 대해서 다양한 각도로 체결될 수 있음으로써 작업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개폐밸브부(120)는 주배관(10)으로부터 유입된 유체 중 일부의 유체를 프리액션밸브(110) 측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례로, 주배관(10)으로부터 개폐밸브부(120)의 내부로 유입된 유체 중 일부의 유체는 프리액션밸브(110)와 개폐밸브부(120)를 상호 연결하는 연결관(130)을 통해 프리액션밸브(110)의 셋팅공간부(S2) 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연결관(130)은 주배관(10)으로부터 개폐밸브부(120)의 내부로 유입된 유체를 프리액션밸브(110)의 셋팅공간부(S2) 측으로 직접 공급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개폐밸브부(120)는 연결관(130)의 단부를 연결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피팅(125)을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피팅(125)은 개폐밸브부(120)의 몸체(121) 측에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몸체(121)에 형성되는 피팅(125)은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로 구비될 수도 있고,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로 구비될 수도 있다.
더불어, 상기 피팅(125)이 복수 개로 구비되는 경우 복수 개의 피팅 중 어느 하나의 피팅이 연결관(130)과 선택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프리액션 밸브(100)는 주배관(10)으로부터 개폐밸브부(120)의 내부로 유입된 유체 중 일부의 유체가 피팅(125) 및 연결관(130)을 통해 프리액션밸브(110)의 셋팅공간부(S2) 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프리액션 밸브(100)는 개폐밸브부(120)가 주배관(10)과 연결된 상태에서 개폐밸브부(120)의 내부로 유입된 유체 중 피팅(125) 및 연결관(130)을 통해 프리액션밸브(110)의 셋팅공간부(S2) 측으로 이동한 일부의 유체를 이용하여 프리액션밸브(110)의 압력셋팅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를 통해, 유체가 흐르는 주배관(10) 측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프리액션 밸브(100)를 단순히 연결되면 다른 부가적인 작업을 수행할 필요없이 압력셋팅을 위한 유체가 프리액션밸브(110)측으로 공급될 수 있다. 이로 인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프리액션 밸브(100)는 주배관(10)에 설치하는 작업과 프리액션밸브(110)의 압력 셋팅을 위한 유체의 공급이 매우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피팅(125)은 디스크(122)의 회전을 통해 개폐밸브부(120)가 폐쇄된 상태에서도 주배관(10)으로부터 유입된 유체가 연결관(130)을 통해 프리액션밸브(110) 측으로 이동할 수 있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피팅(125)은 디스크(122)의 일측과 축결합되는 제3회전축(123)의 하부측에 위치하도록 개폐밸브부(120)의 몸체(121) 측에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주배관(10)으로부터 개폐밸브부(120)의 내부로 유입된 유체 중 일부는 디스크(122)의 회전을 통한 개폐밸브부(120)의 개폐여부와 상관없이 피팅(125) 및 연결관(130)을 통해 프리액션밸브(110) 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프리액션 밸브(100)는 주배관(10)에 개폐밸브부(120)가 연결되고 디스크(122)의 회전을 통해 개폐밸브부(120)가 폐쇄된 상태에서도 압력 셋팅을 위한 유체가 프리액션밸브(110)의 셋팅공간부(S2) 측으로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연결관(130)은 적어도 일부가 유연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연결관(130)은 유연성을 갖는 공지의 PVC호스일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연결관(130)의 재질을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외력에 의해 용이하게 변형될 수 있는 재질이라면 제한없이 사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프리액션 밸브(100)는 설치공간이 협소하더라도 주배관(10) 측에 설치하는 작업이 매우 용이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프리액션 밸브(1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개폐밸브부(120)가 프리액션밸브(110)에 대해서 조인트부재(140)를 매개로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다양한 각도로 체결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연결관(130)이 연결되는 피팅(125)의 위치를 설치공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으며 유연성을 갖는 연결관(130)을 통해 개폐밸브부(120)의 피팅(125)과 프리액션밸브(110)의 셋팅공간부(S2)를 서로 연결할 수 있으므로 설치작업이 용이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연결관(130)이 유연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개폐밸브부(120)의 피팅(125)과 프리액션밸브(110)의 셋팅공간부(S2)의 길이에 해당하는 정확한 길이가 아닌 여분의 길이만큼 더 긴 길이를 가지더라도 연결관(130)은 외력을 통해 구부러지거나 휘어질 수 있음으로써 개폐밸브부(120)의 피팅(125)과 프리액션밸브(110)의 셋팅공간부(S2)를 서로 연결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프리액션 밸브(100)는 개폐밸브부(120)의 피팅(125)과 프리액션밸브(110)의 셋팅공간부(S2)를 연결하는 연결작업이 매우 간편할 수 있다.
더불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프리액션 밸브(100)는 유체가 흐르는 주배관(10) 측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프리액션 밸브(100)를 단순히 연결하면 압력셋팅을 위한 유체가 연결관(130)을 통해 개폐밸브부(120)에서 프리액션밸브(110) 측으로 공급될 수 있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주배관(10)으로부터 프리액션밸브(110) 측으로 압력셋팅용 유체를 우회시키기 위한 별도의 분기관 설치작업이 생략될 수 있다.
이로 인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프리액션 밸브(100)를 이용하면 설치작업이 매우 간편할 뿐만 아니라 작업자의 작업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00 : 모듈형 프리액션 밸브 110 : 프리액션밸브부
111 : 밸브본체 111a : 유입구
111b : 유출구 111c : 공급구
111d : 격벽 S1 : 메인공간부
S2 : 셋팅공간부 112a,112b : 힌지축
113 : 클래퍼 114 : 잠금수단
115 : 시트 116 : 다이어프램
117 : 로드부 118 : 드레인배관
119 : 전동밸브 120 : 개폐밸브부
121 : 몸체 122 : 디스크
123 : 제3회전축 124 : 조작핸들
125 : 피팅 130 : 연결관
140 : 조인트부재 10 : 주배관

Claims (3)

  1. 유입구 및 유출구를 갖추어 유체가 통과하는 메인공간부와, 격벽을 매개로 상기 메인공간부와 구획되고 수압에 따라 상태가 변경되는 다이어프램이 배치되는 셋팅공간부를 포함하는 프리액션밸브부;
    일단부가 유체가 흐르는 주배관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프리액션밸브부의 유입구 측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며, 디스크의 회전을 통해 상기 주배관으로부터 프리액션밸브부 측으로 유체의 공급을 허용하거나 차단하는 개폐밸브부; 및
    상기 개폐밸브부로부터 상기 셋팅공간부 측으로 유체가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프리액션밸브부의 일측과 개폐밸브부의 일측을 연결하는 연결관;을 포함하고,
    상기 개폐밸브부는 상기 연결관을 연결하기 위한 복수개의 피팅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개의 피팅은 상기 디스크의 회전을 통해 상기 개폐밸브부가 폐쇄된 상태에서도 상기 주배관으로부터 유입된 유체가 상기 연결관을 통해 프리액션밸브부 측으로 이동할 수 있는 상기 디스크의 하부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프리액션밸브부, 개폐밸브부, 그리고 주배관은 조인트부재를 매개로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다양한 각도로 체결될 수 있으며, 상기 연결관은 상기 주배관으로부터 상기 개폐밸브부로 유입된 유체의 일부를 상기 프리액션밸브부의 셋팅공간부 측으로 직접 공급하고,
    상기 디스크는 소정의 길이를 갖는 제3회전축과 결합되며, 상기 제3회전축은 조작핸들과 기어결합됨으로써, 상기 조작핸들을 회전시키면 상기 제3회전축의 회전을 통해 상기 디스크가 상기 제3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되어 상기 주배관으로부터 프리액션밸브의 유입구 측으로 유체의 이동을 허용하거나 차단하는, 모듈형 프리액션 밸브.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관은 적어도 일부가 유연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모듈형 프리액션 밸브.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액션밸브부는 상기 메인공간부에 제1힌지축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유입구를 개방하거나 폐쇄하는 클래퍼;
    상기 메인공간부에 제2힌지축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클래퍼의 회동을 구속하거나 허용하는 잠금수단; 및
    소정의 길이를 갖추고 일단이 상기 다이어프램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잠금수단에 결합되며, 상기 다이어프램의 상태변경에 따라 직선이동되어 상기 잠금수단을 회동시키는 로드부;를 더 포함하는 모듈형 프리액션 밸브.
KR1020210101435A 2019-12-05 2021-08-02 모듈형 프리액션 밸브 KR2021009767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1435A KR20210097679A (ko) 2019-12-05 2021-08-02 모듈형 프리액션 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0755A KR20210071168A (ko) 2019-12-05 2019-12-05 모듈형 프리액션 밸브
KR1020210101435A KR20210097679A (ko) 2019-12-05 2021-08-02 모듈형 프리액션 밸브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0755A Division KR20210071168A (ko) 2019-12-05 2019-12-05 모듈형 프리액션 밸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7679A true KR20210097679A (ko) 2021-08-09

Family

ID=76603320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0755A KR20210071168A (ko) 2019-12-05 2019-12-05 모듈형 프리액션 밸브
KR1020210101435A KR20210097679A (ko) 2019-12-05 2021-08-02 모듈형 프리액션 밸브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0755A KR20210071168A (ko) 2019-12-05 2019-12-05 모듈형 프리액션 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210071168A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1168A (ko) 2021-06-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39028A (en) Modular valve for a building standpipe
US4232709A (en) Four-way ball valve
KR20210097679A (ko) 모듈형 프리액션 밸브
US2087223A (en) Faucet
KR20210094197A (ko) 소방용 프리액션 밸브
JP7026722B2 (ja) 消火栓装置
US20220290766A1 (en) Switching assembly for pressure relief valves
IT201600090459A1 (it) Gruppo valvola di allarme a secco per il controllo di un sistema antincendio a sprinkler
CN101166482B (zh) 用于外科或牙科驱动单元的受控操作的装置
JP6886147B2 (ja) ガスメータ用継手ユニット
US20100155642A1 (en) Offset Handle and Dual Connected Handle and Valves
US20050075018A1 (en) Air supply and exhaust system for buoyancy compensator
KR101967280B1 (ko) 소방용 프리액션 밸브
KR102250883B1 (ko) 프리액션 밸브용 클래퍼 및 이를 포함하는 프리액션 밸브
JPH10306480A (ja) 水栓装置
JP4700420B2 (ja) サーモ型湯水混合水栓
JP2000120119A (ja) 水栓器具
JPH03176396A (ja) ゲート開閉装置
US583906A (en) Wolgott a
JPH0814421A (ja) 水処理装置を付帯した水栓
JP2619690B2 (ja) 消火栓用ノズルの構造
WO2021025070A1 (ja) 配管
JPS6010218Y2 (ja) タンクロ−リ−における緊急閉鎖装置
JP6418883B2 (ja) 壁埋め込み式湯水混合栓
JPH02269234A (ja) 逆止弁と連結送水管設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