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97167A - 두 로커 암 및 붕괴 기구를 포함하는 밸브 구동 시스템 - Google Patents

두 로커 암 및 붕괴 기구를 포함하는 밸브 구동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97167A
KR20210097167A KR1020217020187A KR20217020187A KR20210097167A KR 20210097167 A KR20210097167 A KR 20210097167A KR 1020217020187 A KR1020217020187 A KR 1020217020187A KR 20217020187 A KR20217020187 A KR 20217020187A KR 20210097167 A KR20210097167 A KR 202100971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cker arm
valve actuation
state
actuator
collap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201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46519B1 (ko
Inventor
마테이 알렉산드루
저스틴 디. 발트러키
가브리엘 에스. 로버츠
존 맨델
Original Assignee
자콥스 비히클 시스템즈,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자콥스 비히클 시스템즈,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자콥스 비히클 시스템즈,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2100971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971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65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65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LCYCLICALLY OPERATING VALVES FOR MACHINES OR ENGINES
    • F01L1/00Valve-gear or valve arrangements, e.g. lift-valve gear
    • F01L1/26Valve-gear or valve arrangements, e.g. lift-valve gear characterised by the provision of two or more valves operated simultaneously by same transmitting-gear; peculiar to machines or engines with more than two lift-valves per cylind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LCYCLICALLY OPERATING VALVES FOR MACHINES OR ENGINES
    • F01L1/00Valve-gear or valve arrangements, e.g. lift-valve gear
    • F01L1/12Transmitting gear between valve drive and valve
    • F01L1/18Rocking arms or le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LCYCLICALLY OPERATING VALVES FOR MACHINES OR ENGINES
    • F01L1/00Valve-gear or valve arrangements, e.g. lift-valve gear
    • F01L1/12Transmitting gear between valve drive and valve
    • F01L1/18Rocking arms or levers
    • F01L1/181Centre pivot rocking ar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LCYCLICALLY OPERATING VALVES FOR MACHINES OR ENGINES
    • F01L1/00Valve-gear or valve arrangements, e.g. lift-valve gear
    • F01L1/20Adjusting or compensating clearance
    • F01L1/22Adjusting or compensating clearance automatically, e.g. mechanically
    • F01L1/24Adjusting or compensating clearance automatically, e.g. mechanically by fluid means, e.g. hydraulical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LCYCLICALLY OPERATING VALVES FOR MACHINES OR ENGINES
    • F01L1/00Valve-gear or valve arrangements, e.g. lift-valve gear
    • F01L1/20Adjusting or compensating clearance
    • F01L1/22Adjusting or compensating clearance automatically, e.g. mechanically
    • F01L1/24Adjusting or compensating clearance automatically, e.g. mechanically by fluid means, e.g. hydraulically
    • F01L1/2416Adjusting or compensating clearance automatically, e.g. mechanically by fluid means, e.g. hydraulically by means of a hydraulic adjusting device attached to an articulated rock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LCYCLICALLY OPERATING VALVES FOR MACHINES OR ENGINES
    • F01L13/00Modifications of valve-gear to facilitate reversing, braking, starting, changing compression ratio, or other specific operations
    • F01L13/06Modifications of valve-gear to facilitate reversing, braking, starting, changing compression ratio, or other specific operations for brak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LCYCLICALLY OPERATING VALVES FOR MACHINES OR ENGINES
    • F01L1/00Valve-gear or valve arrangements, e.g. lift-valve gear
    • F01L1/12Transmitting gear between valve drive and valve
    • F01L1/18Rocking arms or levers
    • F01L2001/186Split rocking arms, e.g. rocker arms having two articulated parts and means for varying the relative position of these parts or for selectively connecting the parts to move in unis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LCYCLICALLY OPERATING VALVES FOR MACHINES OR ENGINES
    • F01L2305/00Valve arrangements comprising roll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13/00Controlling the engine output power by varying inlet or exhaust valve operating characteristics, e.g. timing
    • F02D13/02Controlling the engine output power by varying inlet or exhaust valve operating characteristics, e.g. timing during engine operation
    • F02D13/04Controlling the engine output power by varying inlet or exhaust valve operating characteristics, e.g. timing during engine operation using engine as bra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13/00Controlling the engine output power by varying inlet or exhaust valve operating characteristics, e.g. timing
    • F02D13/02Controlling the engine output power by varying inlet or exhaust valve operating characteristics, e.g. timing during engine operation
    • F02D13/06Cutting-out cylind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alve Device For Special Equipments (AREA)

Abstract

적어도 하나의 엔진 밸브를 구동시키기 위한 밸브 구동 시스템은 메인 밸브 구동 동작 공급원으로부터 메인 밸브 구동 동작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제1 하프 로커 암 및 적어도 하나의 엔진 밸브를 구동시키도록 구성된 제2 로커 암을 포함한다. 붕괴 기구가 또한 제공되고, 제1 하프 로커 암 및 제2 로커 암에 대해, 제1 붕괴 기구 상태에서 제1 하프 로커 암으로부터 제2 로커 암으로 메인 밸브 구동 동작을 전달하고 제2 붕괴 기구 상태에서 메인 밸브 구동 동작이 제1 하프 로커 암으로부터 제2 로커 암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붕괴 기구는 제1 하프 로커 암 또는 제2 로커 암에 배치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붕괴 기구를 포함하지 않는 로커 암에는 붕괴 기구 접촉면이 제공된다.

Description

두 로커 암 및 붕괴 기구를 포함하는 밸브 구동 시스템
관련 출원에 대한 상호 참조
본 출원은 2018년 12월 7일자에 "VALVE ACTUATION SYSTEM COMPRISING TWO ROCKER ARMS AND A COLLAPSING MECHANISM"이라는 명칭으로 출원된 공동 계류 중인 미국 가특허 출원 제62/776,935호의 이익을 주장하는 것으로, 이의 교시는 본원에 참조로서 원용된다. 본 출원은 또한 동일 일자에 대리인 번호 JVSPP090US를 갖는 "VALVE ACTUATION SYSTEM COMPRISING AT LEAST TWO ROCKER ARMS AND A ONE-WAY COUPLING MECHANISM"이라는 명칭으로 출원된 공동 계류 중인 출원과 관련된다.
기술분야
본 개시내용은 일반적으로 내연 기관에서의 밸브 구동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두 로커 암 및 붕괴 기구에 기초한 밸브 구동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내연 기관에서 사용하기 위한 밸브 구동 시스템은 당업계에 잘 알려져 있다. 일부 밸브 구동 시스템은 소위 보조 밸브 구동 동작을, 즉 연료의 연소를 통해 포지티브 동력 생산 모드에서 엔진을 작동하는 데 사용되는 밸브 구동 동작(종종 메인 밸브 구동 동작으로 지칭됨)과 다른 또는 이에 추가하여 밸브 구동 동작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보조 밸브 구동 동작은 엔진의 실린더가 본질적으로 공기 압축기로서 기능하도록 무연료 상태에서 작동되는 압축 해제 엔진 제동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고, 이는 차량의 구동 트레인을 통해 차량 지연 동력을 제공한다. 소위 고출력 밀도(HPD) 압축 해제 엔진 제동은 엔진의 각 사이클에 대해 2개의 압축 해제 이벤트를 제공하며, 이는 엔진의 각 사이클에 대해 단일 압축 해제 이벤트만 제공되는 종래 기술의 압축 해제 시스템에 비해 증가된 지연 동력을 제공한다. 이러한 HPD 시스템에서, HPD 엔진 제동을 구현하는 보조 밸브 구동 동작을 위해 메인 밸브 구동 동작이 "손실"(엔진 밸브로 전달되지 않음)될 필요가 있다.
메인 이벤트 동작의 손실이 용이하도록, HPD 밸브 구동 시스템은 예를 들어 미국 특허 제8,936,006호 및/또는 미국 특허 공개 제2014/0245992호에 설명된 바와 같이 밸브 브리지에 붕괴 기구를 통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종래 기술 시스템에서, 붕괴 기구는, 기계적으로 잠겨진 상태에서 밸브 구동 동작이 밸브 브리지를 통해 전달되게 하고, 기계적으로 잠금 해제된 상태에서 붕괴 기구가 임의의 적용된 밸브 구동 동작을 흡수하여 밸브 브리지를 통한 전달을 방지하게 하는, 유압식 제어 잠금 기구를 포함한다.
더 나아가, 연비를 개선하고 테일 파이프 배출을 줄이기 위해, 다른 이점 중에서도 소위 실린더 비활성화(CDA)가 여러 내연 기관에서 바람직한 특징이다. 붕괴 밸브 브리지도 이러한 목적에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일부 경우에, 밸브 브리지에 배치된 붕괴 기구는 (예를 들어, 충분한 공간이 부족하거나 붕괴 기구를 수용할 수 없는 가이드형 밸브 브리지의 사용으로 인해) 실현 불가능하거나 또는 밸브 브리지는 바람직하지 않다. 결과적으로, 종래 또는 HPD 엔진 제동과 같은 CDA 및/또는 보조 밸브 구동의 제공을 용이하게 하는 밸브 구동 시스템은 당업계에서 환영받는 발전을 나타낼 것이다.
전술한 종래 기술 해결책의 단점은 메인 밸브 구동 동작 공급원으로부터 메인 밸브 구동 동작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제1 하프 로커 암 및 적어도 하나의 엔진 밸브를 구동시키도록 구성된 제2 로커 암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엔진 밸브를 구동시키기 위한 시스템의 제공을 통해 해결된다. 붕괴 기구가 또한 제공되고, 제1 하프 로커 암 및 제2 로커 암에 대해, 제1 붕괴 기구 상태에서 제1 하프 로커 암으로부터 제2 로커 암으로 메인 밸브 구동 동작을 전달하고 제2 붕괴 기구 상태에서 메인 밸브 구동 동작이 제1 하프 로커 암으로부터 제2 로커 암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붕괴 기구는 제1 하프 로커 암 또는 제2 로커 암에 배치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붕괴 기구를 포함하지 않는 로커 암에는 붕괴 기구 접촉면이 제공되고, 추가 실시예에서, 붕괴 기구는 유압식 제어 잠금 기구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하프 로커 암은 제1 하프 로커 암을 메인 밸브 구동 동작 공급원과 접촉하도록 편향시키기 위한 탄성 요소와 협력적으로 치합하도록 구성된 탄성 요소 접촉면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하프 로커 암 또는 제2 로커 암 중 어느 하나는 유압식 래시 조절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유압식 래시 조절기에서 붕괴 기구에 의해 가해진 편향력을 제한하는 트래블 리미터가 제공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2 로커 암은 제2 하프 로커 암이다. 본 실시예에서, 시스템은 제1 하프 로커 암과 제2 로커 암 사이에 배치되어 제1 하프 로커 암을 메인 밸브 구동 동작 공급원과 접촉하도록 편향시키기 위한 탄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2 로커 암은 보조 밸브 구동 동작 공급원으로부터 보조 밸브 구동 동작을 수신하도록 추가적으로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2 로커 암은, 제2 로커 암 및 적어도 하나의 엔진 밸브에 대해, 제1 액추에이터 상태에서 제2 로커 암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엔진 밸브로 보조 밸브 구동 동작을 전달하고 제2 액추에이터 상태에서 보조 밸브 구동 동작이 제2 로커 암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엔진 밸브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된 유압식 제어 액추에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더 나아가, 본 실시예에서, 메인 밸브 구동 동작 공급원은 붕괴 기구가 제1 붕괴 기구 상태에서 작동 중이고 액추에이터가 제1 액추에이터 상태에서 작동 중일 때 적어도 하나의 엔진 밸브의 폐쇄 속도를 제어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서브베이스 서클 폐쇄 램프를 갖는 캠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여전히, 메인 밸브 구동 동작 공급원은 제2 로커 암이 메인 밸브 구동 동작 및 보조 밸브 구동 동작을 동시에 전달하도록 붕괴 기구가 제1 붕괴 기구 상태에 있는 동안 유압식 제어 액추에이터의 연장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서브베이스 서클을 갖는 캠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은 붕괴 기구를 제1 붕괴 기구 상태로부터 제2 붕괴 기구 상태로 전이하기 전에 유압식 제어 액추에이터를 제2 액추에이터 상태로부터 제1 액추에이터 상태로 전이하도록 구성된 제어 시스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에서 설명된 특징은 첨부된 청구범위에서 구체적으로 제시된다. 이러한 특징 및 수반되는 이점은 첨부 도면과 함께 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고려하면 명백해질 것이다. 이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하나 이상의 실시예를 단지 예로서 설명할 것이며, 동일한 참조 번호는 동일한 요소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개시내용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밸브 구동 시스템의 개략도이고;
도 2-4는 도 1의 실시예에 따른 밸브 구동 시스템의 예의 각각의 평면 등측, 저면 등측 및 측단면도이고;
도 5는 본 개시내용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밸브 구동 시스템의 개략도이고;
도 6은 도 5의 실시예에 따른 밸브 구동 시스템의 예의 각각의 평면 우측 등측도이고;
도 7은 도 5의 실시예에 따른 밸브 구동 시스템의 예의 각각의 평면도이고;
도 8은 도 5의 실시예에 따른 밸브 구동 시스템의 예의 각각의 평면 좌측 등측도이고;
도 9는 도 5의 실시예에 따른 밸브 구동 시스템의 예의 도 6에서 단면 라인 IX-IX에 따른 우측 단면도이고;
도 10은 도 5의 실시예에 따른 밸브 구동 시스템의 예의 도 6에서 단면 라인 X-X에 따른 좌측 단면도이고;
도 11은 본 개시내용에 따른 메인 밸브 구동 동작 공급원에 대한 배기 밸브 동작을 도시하고 있다.
도 1은 함께 선택적으로 결합될 수 있는 제1 로커 암(104) 및 제2 로커 암(106)을 포함하여 메인 밸브 구동 동작 공급원(102)에 의해 제공된 밸브 구동 동작이 제1 및 제2 로커(104, 106)를 통해 하나 이상의 엔진 밸브(108)(내연 기관(100)의 실린더(109)와 연관됨)로 전달되는 밸브 구동 시스템(101)을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대안적으로, 제1 및 제2 로커 암(104, 106)은 제1 로커 암(104)에 적용된 밸브 구동 동작이 제2 로커 암(106)에 전달되지 않도록, 즉 밸브 구동 동작이 손실되도록, 서로 선택적으로 분리될 수 있다. 당업계에 알려진 바와 같이, 엔진 밸브(108)는 흡기 밸브, 배기 밸브 또는 보조 밸브를 포함할 수 있고, 일 실시예에서 별도의 밸브 구동 시스템(101)은 단일 실린더와 연관된 상이한 엔진 밸브 유형에 대해 별도로 제공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한 경우는 실린더의 흡기 밸브를 위한 밸브 구동 시스템(101)이고 다른 경우는 해당 동일한 실린더의 배기 밸브를 위한 밸브 구동 시스템(101)이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이, "결합된"이란 용어는 구성요소 중 하나에 적용된 밸브 구동 동작의 적어도 일부가 반드시 고정 또는 양방향 연결의 필요없이 다른 구성요소로 전달되도록 구성요소 간의 충분한 연통을 지칭하고, "분리된"이란 용어는 밸브 구동 동작이 해당 구성요소를 통해 전달되지 않도록 구성요소 간의 연통이 없거나 불충분한 것을 지칭한다. 따라서, 예를 들어 단순히 서로 접촉하는 구성요소는 하나의 구성요소로부터 다른 구성요소로 밸브 구동 동작의 전달이 달성되는 정도로 결합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서로 접촉하지만 밸브 구동 동작을 하나의 구성요소로부터 다른 구성요소로 전달하지 않는 구성요소(예를 들어,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잠금 해제된 잠금 기구의 경우)는 분리된다. 또 다른 대안으로서, 분리는 두 구성요소 사이에 충분한 간극 또는 래시 공간의 확립으로부터 초래되어 구성요소 중 하나에 적용된 모든 밸브 구동 동작은 다른 구성요소로 전달되기 전에 손실될 수 있다. 그러나, 전체는 아니지만 일부 적용되는 밸브 구동 동작의 전달을 여전히 야기하는 두 구성요소 사이에 래시 공간의 확립은 여전히 해당 구성요소 간의 결합으로 간주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제1 및 제2 로커 암(104, 106)의 결합/분리는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또는 제2 로커 암(104, 106) 내에 배치된 붕괴 기구(110, 112)의 사용을 통해 달성될 수 있다. 도 1의 붕괴 기구(110, 112)의 대안적인 구성을 나타냄에도 불구하고, 시스템(101)에는 단일 붕괴 기구만이 제공됨을 유의한다. 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붕괴 기구(110)는 제1 로커 암(104) 내에 배치된다. 붕괴 기구(110, 112)는 미국 특허 제9,790,824호에 설명된 유형의 유압식 구동 잠금 기구를 포함할 수 있으며, 그 교시는 본원에 참조로서 원용된다(이의 예는 도 4 및 10을 참조하여 후술됨). 대안적으로, 기계적인 잠금 기구에 의존하는 대신, 붕괴 기구는 당업계에 알려진 바와 같이 제어 밸브를 사용하여 구현되어 피스톤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가 연장된 위치에서 견고히 유지되게 하는 유압액의 갇힌 체적을 생성할 수 있지만, 이와 달리 유압액은 유압액의 갇힌 체적이 해제될 때 수축될 수 있다. 또한, 당업자는 붕괴 기구가 유압식 구동 장치로 제한될 필요가 없고 대신 공압 또는 전자기적으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구현 방법에 관계없이, 붕괴 기구(110, 112)는 제1 및 제2 로커 암(104, 106)이 결합된 제1 붕괴 기구 상태 또는 제1 및 제2 로커 암(104, 106)이 분리되는 제2 붕괴 기구 상태에서 유지될 수 있다. 붕괴 기구(110, 112)가 제2 붕괴 기구 상태에서 작동될 때 모든 밸브 구동 동작이 손실되기 때문에, 실린더(109)는 비활성화된 상태에서, 즉 포지티브 힘을 생성할 수 없는 상태에서, 유지될 수 있다.
도 1에 더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 시스템(114)은 제1 붕괴 기구 상태로부터 제2 붕괴 기구 상태로 결합 기구(110, 112)의 전이를 제어하도록 제공되고, 그 반대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예를 들어, 붕괴 기구(110, 112)가 유압식 제어 잠금 기구를 포함하는 경우, 제어 시스템(114)은 하나 이상의 고속 솔레노이드와 통신하는 당업계에 공지된 바와 같은 적절한 엔진 제어 유닛(ECU)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또한 당업계에 알려진 바와 같다. 이 경우, ECU는 고속 솔레노이드를 제어하여 붕괴 기구(110, 112)에 유압액을 제공하거나 붕괴 기구(110, 112)로 유압액의 흐름을 제한하여, 붕괴 기구의 작동 상태를 제어할 수 있다. 주어진 엔진(100)이 (단일 실린더에서 별도의 밸브 유형에 대응하는 및/또는 엔진에서 다수 실린더에 걸쳐) 다수 밸브 구동 시스템(101)을 포함할 수 있는 정도까지, ECU는 이러한 목적을 위해 복수의 밸브 구동 시스템(101)에 대한 유압액을 제어하는 단일 솔레노이드와, 또는 개별 밸브 구동 시스템(101) 또는 서브그룹의 밸브 구동 시스템(101)을 각각 제어하는 다수 솔레노이드와 통신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시스템(101)에 따른 밸브 구동 시스템의 예가 도 2-4와 관련하여 추가로 도시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제1 및 제2 로커 암(204, 206) 각각은 로커 샤프트(미도시)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 하프 로커를 포함한다. 제1 로커(204)의 경우, 하프 로커는 당업계에 알려진 바와 같이 캠샤프트(미도시)에 있는 캠 형태의 밸브 구동 동작 공급원으로부터 밸브 구동 동작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적절한 종동절(302)(롤러 종동절이 도 4에 도시됨)을 포함한다. 도 3에 최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로커 암(206)은 U자형이고 로커 샤프트를 수용하기 위한 로커 샤프트 개구(216)(하나만 도시됨)를 각각 갖는 2개의 암(304, 306)을 포함한다. 암(304, 306)은 크로스 부재(308)에 의해 (그 각각의 로커 샤프트 개구에 대한) 그의 원위 단부에서 함께 연결되어 암(304, 306)은 함께 이동하도록 제약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로커(206)의 암(304, 306)은 서로 이격되어 제1 로커 암(204)이 그 사이에 끼워지도록 충분한 공간을 제공한다. 제1 로커 암(204)의 부분(204a)은 유사한 로커 샤프트 개구(미도시)를 형성한다. 제2 로커 암(206)은 도 4에 최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붕괴 기구 접촉면(404)을 제공하는 접촉 보스(218)를 포함하며, 그 작동은 아래에서 더 자세히 설명된다. 유사하게, 한 쌍의 엔진 밸브 보스(210, 212)는 제2 로커 암(206)에 제공되고, 보스(210, 212)는 한 쌍의 엔진 밸브(미도시)와 정렬되도록 구성된다. 스위블(211, 213)은 엔진 밸브와 접촉하기 위해 대응하는 엔진 밸브 보스(210, 212)로부터 하향 연장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각 밸브 보스(210, 212)는 당업계에 알려진 바와 같이 유압식 래시 조절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2 로커 암(206)은 유압식 래시 조절기에 유압액을 연속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유압 통로를 포함할 것이다.
도 4에 최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로커 암(204)은 제1 로커 암(204)에 형성된 보어(401) 내에 배치된 붕괴 기구(402)를 포함하고, 붕괴 기구(402)는 붕괴 기구 접촉면(404)과의 접촉을 확립한다. 특히, 도 4에 도시된 붕괴 기구(402)는 보어(401)에 배치된 하우징(410)을 포함하는 유압식 구동 잠금 기구이다. 하우징(410)은, 예를 들어 하우징(410)과 하우징 보어(401) 사이의 유지 링과의 나사산 치합, 간섭 끼워맞춤 또는 슬립 끼워맞춤을 통해, 하우징 보어(401)에 고정되게 유지된다. 하우징(410)이 도시된 실시예에 제공되지만, 본원에 설명된 하우징(410)의 특징은 제3 로커 암(700)의 바디에 직접 제공될 수 있음을 이해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하우징(410)은 그 내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된 외부 플런저(412)를 갖는 보어(411)를 포함한다. 보어(401) 외부로 연장되는 외부 플런저(412)의 단부는 볼(422) 및 스위블(424)을 갖는 캡(422)에 의해 종결되며, 이는 도시된 바와 같이 붕괴 기구 접촉면(404)과의 접촉을 총괄적으로 확립한다. 외부 플런저(412)는 또한 내부 플런저(414)가 그 내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되는 보어(413)를 갖는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잠금 스프링(420)은 내부 플런저(414)를 외부 플런저 보어(413) 내로 편향시킨다. 잠금 스프링(420)에 의해 제공된 편향력이 저지되지 않는 한, 내부 플런저(414)는 외부 플런저 보어(413) 내로 편향되어 잠금 요소(416)가 외부 플런저(412)의 측벽에 형성된 개구를 통해 연장되게 한다. 추가로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410)은 그의 내벽에 형성된 외부 리세스(418)를 갖는다. 잠금 요소(416)가 연장되고 외부 리세스(418)와 정렬될 때, 외부 플런저(412)는 하우징 보어(411) 내에서 슬라이딩하는 것이 기계적으로 방지된다, 즉 외부 플런저(412)가 제1 로커 암(204)에 적용된 임의의 밸브 구동 동작에 관계없이 연장된 위치에서 유지되도록 하우징(410)에 대해 잠겨진다. 결과적으로, 제1 로커 암(204)에 적용된 임의의 밸브 구동 동작은 붕괴 기구(402) 및 붕괴 기구 접촉면(404)을 통해 제2 로커 암(206)에 전달된다, 즉 붕괴 기구는 제1 붕괴 기구 상태에서 작동된다.
하우징(410)은 또한 제1 로커 암(204)에 형성된 통로(미도시)로부터 유압액을 수용할 수 있는 그의 외부 측벽 표면에 형성된 환형 채널(430) 및 그의 측벽을 통해 연장되는 방사상 개구(432)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공급된 유압액은 (미도시된 외부 플런저(413)의 개구를 통해) 외부 플런저 보어(413) 내로 추가로 라우팅되어 유압액에 의해 가해진 압력은 잠금 스프링(420)에 의해 제공된 편향을 상쇄하고 추가로 내부 플런저(414)가 외부 플런저 보어(413) 외부로 슬라이딩되게 한다. 그렇게 함에 따라, 내부 플런저(414)의 감소된 직경부는 잠금 요소(416)와 정렬되어 잠금 요소(416)가 수축되고 외부 리세스(418)와 분리되게 한다. 이 상태에서, 외부 플런저(412)는 하우징 보어(411) 내로 더 슬라이딩될 수 있다, 즉 잠금 해제된다. 결과적으로, 제1 로커 암(204)에 적용된 임의의 밸브 구동 동작은 이러한 동작에 의해 단순히 외부 플런저(412)가 하우징 보어(410) 내에서 왕복운동할 정도까지, 즉 붕괴 기구가 제2 붕괴 기구 상태에서 작동될 정도까지, 붕괴 기구(402)를 통해 제2 로커 암(206)에 전달되지 않는다.
전술한 바와 같이, 유압식 래시 조절기는 본원에 설명된 시스템에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2 붕괴 기구 상태(즉, 잠금 해제됨)에 있을 때, 유압식 래시 조절기(들)에서 붕괴 기구(402)에 의해 가해진 편향을 제한하기 위해 트래블 리미터가 제공될 수 있다. 유압식 래시 조절기 및 트래블 리미터의 사용의 예는 도 10과 관련하여 아래에서 더 자세히 설명된다. 그러나, 본원에 설명된 원리는 본원에 설명된 임의의 실시예에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음을 이해한다.
도 2-4에 추가로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 요소(214)(예를 들어, 도시된 바와 같은 압축 스프링)는 제1 및 제2 로커(204, 206) 사이에 제공될 수 있다. 도 4에 최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 요소(214)는 외부 플런저(412), 캡(422), 볼(422) 및 스위블(424) 주위에 배치되고, 일단에서 제1 로커 암(204) 및 그 타단에서 제2 로커 암(206)에 더 접한다. 본 실시예에서, 탄성 요소(214)의 단부는 붕괴 기구 접촉면(404)에서 제2 로커 암(206)에 접하지만, 당업자라면 이것이 요건이 아님을 이해할 것이다. 이에 따라 구성되면, 탄성 요소(214)는 제1 로커 암(204)을 제2 로커 암(206)으로부터 멀어지게 그리고 동작 공급원과 접촉하도록 편향시킨다.
다시 한번, 붕괴 기구(402) 및 대응하는 붕괴 기구 접촉면(404)의 배치가 도 2-4에 도시된 구성으로부터 반전될 수 있음을 유의한다, 즉 붕괴 기구(402)는 제2 로커 암(206)에 제공될 수 있고 붕괴 기구 접촉면(404)은 제1 로커 암(204)에 제공될 수 있다.
이제 도 5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제2 실시예를 참조하면, 시스템(501)은 제1 로커 암(504) 및 제2 로커 암(506)을 포함한다. 이 경우, 제1 로커 암(504)은 다시 한번 메인 밸브 구동 동작 공급원(502)으로부터 밸브 구동 동작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하프 로커 암이다. 본원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메인"이란 설명어는 엔진의 포지티브 발전 작동 상태 중에 사용되는 밸브 구동 동작을 지칭한다. 반면에, 제2 로커 암(506)은 보조 밸브 구동 동작 공급원(520)으로부터 밸브 구동 동작을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메인 및/또는 보조 밸브 구동 동작을 하나 이상의 엔진 밸브(108)에 전달하도록 더 구성된다. 본원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보조"라는 설명어는, 예를 들어 다양한 유형의 엔진 제동, 지각 흡기 밸브 폐쇄(LIVC), 조기 배기 밸브 개방(EEVO) 등에 대해, 포지티브 발전에 추가되거나 그 대신에 엔진 작동 상태 동안 사용되는 밸브 구동 동작을 지칭한다. 도 1에 도시된 제1 실시예의 경우에서와 같이, 전술한 유형의 붕괴 기구(510, 512)는 제1 로커 암(504) 또는 제2 로커 암(506)에 제공된다(본 실시예에서는 제2 로커 암(506)에 붕괴 기구(512)를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함). 또한, 이러한 제2 실시예에서, 제2 로커 암(506)에는 선택적으로 액추에이터(524)가 제공된다, 예를 들어 제2 로커 암(506) 외부로 연장하거나 그 내부로 수축하도록 선택적으로 제어될 수 있는 유압식 구동 액추에이터가 제공된다. 도 1의 경우에서와 같이, 붕괴 기구(510, 512)는 메인 및 제2 로커 암(504, 506)을 결합/분리하도록, 즉 제어 시스템(114)을 사용하여 전술한 바와 같은 제1 및 제2 붕괴 기구 상태에서 작동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액추에이터(524)는 제어 시스템(114)에 의해 제어되어 보조 밸브 구동 동작 공급원(520)으로부터 수신된 밸브 구동 동작을 밸브(108)에 전달하거나 이러한 동작의 전달을 방지(즉, 손실)할 수 있다.
붕괴 기구(510, 512) 및 액추에이터(524)의 선택적 작동을 통해, 도 5에 도시된 시스템은 다양한 엔진 작동 모드를 지원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붕괴 기구(510, 512) 및 액추에이터(524) 양자가 활성화되지 않은(또는 "온" 상태가 아닌) 제1 상태에서, 메인 동작 공급원(502) 및 보조 동작 공급원(520) 양자로부터의 밸브 구동 동작은 엔진 밸브(들)(108)로 전달되지 않아 대응하는 실린더(109)를 효과적으로 비활성화시킬 것이다. 붕괴 기구(510, 512)는 활성화되지만 액추에이터(524)가 활성화되지 않은 제2 상태에서, 통상적인 포지티브 출력 조작 동안의 경우에서처럼 메인 동작 공급원(502)으로부터의 밸브 구동 동작만이 밸브(들)(108)로 전달된다. 붕괴 기구(510, 512)는 활성화되지 않지만 액추에이터(524)가 활성화된 제3 상태에서, 예를 들어 HPD 엔진 제동 조작 또는 조기 또는 지각 메인 이벤트 폐쇄를 위한 하부 리프트 메인 밸브 구동 이벤트 동안의 경우에서처럼 보조 동작 공급원(520)으로부터의 밸브 구동 동작만이 밸브(들)(108)로 전달된다. 붕괴 기구(510, 512)가 활성화되고 액추에이터(524)가 활성화된 제4 상태에서, 예를 들어 종래(비HPD)의 압축 해제 엔진 제동, LIVC 또는 EEVO에서의 경우에서처럼 메인 동작 공급원(502) 및 보조 동작 공급원(520) 양자로부터의 밸브 구동 동작이 밸브(들)(108)로 전달된다. 추가적으로, 이러한 제4 작동 상태는 또한 엔진 작동 상태 사이에서, 예를 들어 포지티브 출력 조작과 엔진 제동 조작(또는 다른 보조 조작) 사이에서, 전이될 때 바람직할 수 있고, 그 반대의 경우도 마찬가지이고, 이는 추가로 후술될 것이다.
도 5의 시스템(501)에 따른 실시예의 예는 도 6-10을 더 참조하여 도시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시스템은 그 내부에 형성된 로커 샤프트 개구(804, 612)를 통해 로커 샤프트(미도시)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도록 구성된 제1 로커 암(604) 및 제2 로커 암(606)을 포함한다. 제1 로커 암(604)은 하프 로커 암으로, 메인 이벤트 밸브 구동 동작 공급원(예를 들어, 캠; 미도시)으로부터 밸브 구동 동작을 수신하는 롤러 종동절(803)(도 8 및 10)을 포함한다. 제1 로커 암(604)은 도 8 및 10에 최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조절 가능한 접촉면(608) 및 편향 스프링 시트(610)를 더 포함한다. 도 10에 추가로 도시된 바와 같이, 조절 가능한 접촉면(608)(또는 붕괴 기구 접촉면)은 볼트(1002)에 장착되고 잠금 너트(1004)로 고정된 스위블을 포함한다. 볼트(1002)는 당업계에 알려진 바와 같은 수동 래시 조절 볼트와 매우 유사하며, 조절 가능한 접촉면(608)이 제1 로커 암(604)으로부터 멀어지는 거리를 조절하도록 회전될 수 있다. 편향 스프링 시트(610)는 제1 로커 암(604)에 편향력을 가하여 제1 로커 암(604)이 메인 밸브 구동 동작 공급원과 접촉하게 가압하는 탄성 요소(미도시)를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이러한 탄성 요소는 고정 표면(미도시)과 추가로 접촉한다. 그러나, 도 2-4에 도시된, 즉 제1 및 제2 로커(604, 606) 사이에 배치된, 것과 유사한 탄성 요소가 동일하게 이용될 수 있음을 이해한다.
제2 로커 암(606)은 보조 밸브 구동 동작 공급원(예를 들어, 캠; 미도시)으로부터 밸브 구동 동작을 수신하기 위해 그 상에 장착된 롤러 종동절(704)을 갖는 동작 수신 단부(702)를 갖는다. 보조 또는 제동 로커 암(606)은 또한 (종종 당업계에 알려진 바와 같이 밸브 브릿지를 통해) 하나 이상의 엔진 밸브와 접촉하도록 구성된 동작 부여 단부(706)를 갖는다.
도 7, 8 및 10에 최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로커 암(606)은 또한 2개의 유압식 구동 구성요소인, 붕괴 기구(616) 및 액추에이터(802)를 포함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붕괴 기구(616)는 제2 로커 암(606)으로부터 제1 로커 암(604)을 향해 측방향으로 연장되는 붕괴 기구 보스(614)에 존재한다. 추가적으로, 액추에이터(802)는 제2 로커 암(606)의 동작 부여 단부(706)에 형성된 액추에이터 보스(804)에 존재한다. 붕괴 기구(616) 및 액추에이터(802)가 유압식으로 구동되는 실시예에서, 유압액은 공지 기술에 따른 제2 로커 암(606) 및 로커 샤프트에 형성된 유압 통로(미도시)를 통해 붕괴 기구(616) 및 액추에이터(802)에 제공될 수 있다.
도 9에 최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액추에이터(802)는 액추에이터 보스(804)에 형성된 보어(902)에 존재하고 액추에이터 보어(902)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된 액추에이터 피스톤(904)을 포함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수동 래시 조절 조립체(908)는 보어(902)에 제공되고 액추에이터 피스톤(904)은 래시 조절 조립체(908)와 액추에이터 피스톤(904) 사이에 개재된 액추에이터 편향 스프링(906)에 의해 보어(902) 내로 편향된다. 추가적으로, 제어 밸브(618)는 제2 로커 암(606)에 제공된다. 당업계에 알려진 바와 같이, 유압액은 제2 로커 암(606)에서의 제어 밸브(618) 및 유압 통로(미도시)를 통해 액추에이터 보어(902)로 라우팅될 수 있다. 제어 밸브(618)를 통해 보어(902)에 유압이 가해질 때, 당업계에 알려진 바와 같이, 액추에이터 피스톤(906)은 보어(902)로부터 연장되고 제어 밸브(618)에 의해 제공된 유압액의 잠긴 체적에 의해 이러한 연장된 위치(즉, 제1 액추에이터 상태)에서 견고하게 유지된다. 반면에, 제어 밸브(618)(결과적으로, 보어(902))에 가해진 유압의 부재는 잠긴 유압액을 해제하여 액추에이터 피스톤(904)이 보어(902) 내에서 자유롭게 슬라이딩하게 한다(즉, 제2 액추에이터 상태).
도 10에 최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붕괴 기구(616)는 (도 4에 대해) 전술한 유형과 실질적으로 유사한 유압식 구동 잠금 기구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 경우 붕괴 기구(616)는 내부 플런저(414)의 작동을 통해 제어되어 하우징(410)에 대해 외부 플런저(412)를 제자리에서, 예를 들어 연장된 위치에서, 고정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잠금 요소(416)를 포함하여, 붕괴 기구는 제1 로커 암(604)의 조절 가능한 접촉면(608)과 견고하게 접촉한다. 반면에, 이전과 같이, 외부 플런저(412)가 하우징 보어 내에서 자유롭게 슬라이딩되면서 여전히 이 경우에 외부 플런저 편향 스프링(1006)에 의해 제공된 편향에 의해 조절 가능한 접촉면(608)과 접촉하도록 잠금 요소(416)는 수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붕괴 기구(616)는, 예를 들어 엔진의 포지티브 출력 조작 동안 잠겨진 상태에서 유지될 때, 제2 로커 암(606)이 붕괴 기구(616)와 조절 가능한 접촉면(608) 사이의 접촉에 의해 제1 로커 암(604)으로부터 동작을 수신하게 한다. 대조적으로, 예를 들어 엔진의 보조 또는 엔진 제동 조작 동안 잠금 해제된 상태에서 유지될 때, 붕괴 기구(616)는 제1 로커 암(604)에 의해 제공된 밸브 구동 동작을 흡수하여 이러한 동작이 제2 로커 암(606)으로 그리고 엔진 밸브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 10은 붕괴 기구(616)와 협력하여 유압식 래시 조절기(1008)의 적절한 작동을 확보하기 위해 선택적인 유압식 래시 조절기(1008) 및 트래블 리미터(1010)의 사용을 추가로 도시하고 있다. 이 예에서, 유압식 래시 조절기(1008)는 볼트(1002)가 배치된 제1 로커 암(604)에 배치된다. 이 경우, 볼트(1002)는 유압식 래시 조절기(1008)의 존재를 고려하면 래시 조절을 위해 필요하지 않을 수 있다. 붕괴 기구 제2 상태(즉, 잠금 해제)에서 작동될 때, 외부 플런저 편향 스프링(1006)에 의해 제공된 편향은 외부 플런저(412)를 유압식 래시 조절기(1008)에 대해 지속적으로 가압하여, 결국 유압식 래시 조절기(1008)가 완전히 붕괴되게 할 수 있다. 붕괴 기구가 붕괴 기구 제2 상태에 있을 때 외부 플런저(412)가 밸브 구동 동작을 여전히 흡수하게 하는 이것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트래블 리미터(1010)는 외부 플런저(412)가 유압식 래시 조절기(1008)에 대해 지속적으로 반력을 제공할 자유가 없게 하기 위해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도시된 예에서, 외부 플런저(412)는 도시된 바와 같이 도시된 트래블 리미터(1010)를 구비한다. 외부 플런저(412)가 자유롭게 왕복운동할 수 있는 경우, 하우징 보어 외부로의(즉, 도 10의 도면에서 좌측으로) 이동은 제2 로커 암(606)의 외면에 접하도록 구성된 와셔/너트 조립체를 포함하는 트래블 리미터(1010)에 의해 제한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외부 플런저 편향 스프링(1006)이 유압식 래시 조절기(1008)의 붕괴를 야기하는 것이 방지되고, 이는 그 목적을 저해할 것이다. 추가적으로, 붕괴 기구가 붕괴 기구 제1 상태(즉, 잠김)에 있을 때, 잠금 요소(416)가 하우징 리세스 내의 그 양측에 래시 공간과 함께 위치되도록 외부 플런저(412)의 최대 이동 거리가 선택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하우징 리세스의 측벽과 함께 잠금 요소(416)에 대한 임의의 마찰 하중이 최소화되거나 완전히 제거되어, 붕괴 기구(616)가 붕괴 기구 제2 상태로 전환될 때 잠금 요소(416)의 수축을 용이하게 한다.
추가적으로, 엔진의 포지티브 출력 조작 동안, 액추에이터(802)는 제2 로커 암(606)의 롤러 종동절(704)과 보조 밸브 구동 동작 공급원 사이에 래시 공간이 생기도록 제2 액추에이터 상태에서 유지되어, 보조 밸브 구동 동작이 엔진 밸브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한다. 반면에, 엔진의 보조 조작 동안, 액추에이터(802)는 제1 액추에이터 상태에서 유지되어, 보조 밸브 구동 동작이 제2 로커 암(606)을 통해 엔진 밸브로 전달되도록(전술한 바와 같이, 붕괴 기구(616)를 통해 경우에 따라 메인 이벤트 동작이 동시에 손실되거나 손실되지 않을 수 있음) 롤러 종동절(704)과 보조 밸브 구동 동작 공급원 사이의 래시를 차지한다.
도 6-10에 도시된 시스템의 양태는 엔진의 포지티브 출력 조작과 엔진 제동 조작(또는 기타 보조 조작) 사이의 전이 동안에 흡기 역류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그 반대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예를 들어, 엔진 제동 켜짐 동안(즉, 포지티브 발전으로부터 엔진 제동 조작으로의 전이), 액추에이터(802)가 완전히 연장되기 전에 붕괴 기구(616)가 잠금 해제 또는 붕괴 상태로 전환될 수 있고, 이는 엔진 제동 밸브 구동 동작이 엔진 밸브에 적용될 수 있기 전에 메인 이벤트 밸브 구동 동작이 손실되어 그 결과 이 시간 동안 배기 밸브가 개방되지 않음을 의미한다. 이와 같이 전이 중에 배기 밸브를 개방할 수 없음으로 인해 더 높은 실린더 압력에 대해 흡입 로커 암이 개방된다. 그 후 이러한 높은 압력은 흡기 매니폴드로 역류하여 터보차저의 압축기 휠로 되돌아갈 수 있고, 이는 잠재적으로 바람직하지 않은 터보 서지를 야기한다.
포지티브 출력 조작과 엔진 제동 조작 사이의 전이와 관련된 전술한 문제를 피하기 위한 하나의 접근법은 액추에이터(802) 및 붕괴 기구(616)의 시퀀스 제어이다. 따라서, 일 실시예에서, 액추에이터(802) 및 붕괴 기구(616)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어 시스템(114)을 통해) 제어되어, 액추에이터(802)는 붕괴 기구(616)를 제1 붕괴 기구 상태(즉, 메인 밸브 구동 동작을 전달)로부터 제2 붕괴 기구 상태(즉, 메인 밸브 구동 동작을 전달)로 전환하기 전에 제2 액추에이터 상태(즉, 보조 밸브 구동 동작을 전달하지 않음)로부터 제1 구동 상태(즉, 보조 밸브 구동 동작을 전달)로 전이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액추에이터(802)가 제1 액추에이터 상태에 있고 붕괴 기구(616)가 제1 붕괴 기구 상태에 있는 동안 메인 및 보조 밸브 구동 동작 양자는 전이 중에 엔진 밸브로 전달된다. 그 후, 붕괴 기구(616)는 제2 붕괴 기구 상태에서 작동하도록 제어되어, 메인 밸브 구동 동작이 손실되게 한다.
포지티브 출력 조작 동안, 도 11에 도시된 유형의 메인 이벤트(1102)(하부 파선 곡선)는 메인 밸브 이벤트(1102)의 시작 및 끝에서 엔진 밸브의 속도(특히, 시팅 속도)를 제어하는 캠의 베이스 서클 레벨에서 소위 램프(1102a-b)를 포함한다. 반면에, 전술한 바와 같이, 포지티브 발전으로부터 엔진 제동으로 전이할 때 액추에이터(802)의 완전한 활성화를 위한 충분한 시간을 제공하기 위해(즉, 완전히 연장되도록 하기 위해) 붕괴 기구(616)의 비활성화를 지연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즉, 동작을 전달하기보다는 흡수하도록 함). 그러나, 이러한 전이 동안, 도 8에 도시된 상부 파선 곡선(1104)과 같은 밸브 리프트 프로파일의 적어도 일부는 붕괴 기구 및 액추에이터 양자가 일정 기간 동안 연장된 상태(즉, 동작 전달 상태)에 있을 수 있다는 점에 의해 엔진 밸브에 제공될 수 있다. 미제어된 밸브 속도를 방지하기 위해, 추가 램프(1104a-b)는 도시된 바와 같이 시작 램프(1102a) 이전 및 종료 램프(1102b) 이후에 서브베이스 서클 레벨에서 제공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엔진 밸브(들)의 개방 및 폐쇄 속도는 전술한 바와 같이 붕괴 기구 및 액추에이터의 전이 동안 제어된 방식으로 진행되도록 확보된다. 추가적으로, 제공된 서브베이스 서클은 제1 붕괴 기구 상태에서의 붕괴 기구 및 제1 액추에이터 상태에서의 액추에이터의 동시 작동이 가능하도록, 즉 둘 모두 완전히 연장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특정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당업자는 본 교시에서 벗어나지 않고 변경 및 수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전술한 교시의 임의의 및 모든 수정, 변형 또는 등가물은 위에서 개시되고 본원에서 청구된 기본적인 근본 원리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고려된다. 예를 들어, 붕괴 기구의 특정 구현을 위에서 설명하였지만, 다른 유형의 붕괴 기구가 이용될 수 있음을 이해한다. 더 나아가, 도 5-10의 실시예 모두는 액추에이터(802)가 제2 로커 암(606)의 동작 부여 단부(706)에 배치된 것을 도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는 요건이 아니며 액추에이터는 구동형 종동절의 형태로, 예를 들어 유사한 방식으로 연장 및 수축될 수 있는 피스톤에 배치된 롤러 종동절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더 나아가 여전히, 전술한 실시예 각각에서, 로커 암은 고정된 로커 샤프트를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두 로커가 서로에 대해 회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음을 이해한다. 예를 들어, 제2 로커 암이 제1 로커 암에 의해 제공된 피벗에 부착되고 이를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고, 전술한 바와 같이 붕괴 기구가 여전히 밸브 구동 동작을 흡수할 수 있도록 제1 로커 암에 피벗이 제공될 수 있다.

Claims (16)

  1. 내연 기관의 실린더와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엔진 밸브를 구동시키기 위한 시스템으로서,
    메인 밸브 구동 동작 공급원으로부터 메인 밸브 구동 동작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제1 하프 로커 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엔진 밸브를 구동시키도록 구성된 제2 로커 암; 및
    상기 제1 하프 로커 암 및 상기 제2 로커 암에 대해, 제1 붕괴 기구 상태에서 상기 제1 하프 로커 암으로부터 상기 제2 로커 암으로 상기 메인 밸브 구동 동작을 전달하고 제2 붕괴 기구 상태에서 상기 메인 밸브 구동 동작이 상기 제1 하프 로커 암으로부터 상기 제2 로커 암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된 붕괴 기구를 포함하는, 내연 기관의 실린더와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엔진 밸브를 구동시키기 위한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붕괴 기구를 상기 제1 붕괴 기구 상태로부터 상기 제2 붕괴 기구 상태로 그리고 그 반대로 전이하도록 구성된 제어 시스템을 더 포함하는,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붕괴 기구는 상기 제1 하프 로커 암에 배치되는,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로커 암은 붕괴 기구 접촉면을 포함하는,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붕괴 기구는 상기 제2 로커 암에 배치되는,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붕괴 기구는 유압식 제어 잠금 기구를 포함하는,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프 로커 암은 상기 제1 하프 로커 암을 상기 메인 밸브 구동 동작 공급원과 접촉하도록 편향시키기 위한 탄성 요소와 협력적으로 치합하도록 구성된 탄성 요소 접촉면을 포함하는,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프 로커 암 또는 상기 제2 로커 암 중 어느 하나는 유압식 래시 조절기를 포함하는,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유압식 래시 조절기에서 상기 붕괴 기구에 의해 가해진 편향력을 제한하도록 구성된 트래블 리미터를 더 포함하는, 시스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로커 암은 제2 하프 로커 암인,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프 로커 암과 상기 제2 로커 암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1 하프 로커 암을 상기 메인 밸브 구동 동작 공급원과 접촉하도록 편향시키기 위한 탄성 요소를 더 포함하는, 시스템.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로커 암은 보조 밸브 구동 동작 공급원으로부터 보조 밸브 구동 동작을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시스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로커 암은, 상기 제2 로커 암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엔진 밸브에 대해, 제1 액추에이터 상태에서 상기 제2 로커 암으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엔진 밸브로 상기 보조 밸브 구동 동작을 전달하고 제2 액추에이터 상태에서 상기 보조 밸브 구동 동작이 상기 제2 로커 암으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엔진 밸브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된 유압식 제어 액추에이터를 포함하는, 시스템.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밸브 구동 동작 공급원은 상기 붕괴 기구가 상기 제1 붕괴 기구 상태에서 작동 중이고 상기 액추에이터가 상기 제1 액추에이터 상태에서 작동 중일 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엔진 밸브의 폐쇄 속도를 제어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서브베이스 서클 폐쇄 램프를 갖는 캠을 포함하는, 시스템.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밸브 구동 동작 공급원은 상기 제2 로커 암이 상기 메인 밸브 구동 동작 및 상기 보조 밸브 구동 동작을 동시에 전달하도록 상기 붕괴 기구가 상기 제1 붕괴 기구 상태에 있는 동안 상기 유압식 제어 액추에이터의 연장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서브베이스 서클을 갖는 캠을 포함하는, 시스템.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붕괴 기구를 상기 제1 붕괴 기구 상태로부터 상기 제2 붕괴 기구 상태로 전이하기 전에 상기 유압식 제어 액추에이터를 상기 제2 액추에이터 상태로부터 상기 제1 액추에이터 상태로 전이하도록 구성된 제어 시스템을 더 포함하는, 시스템.
KR1020217020187A 2018-12-07 2019-12-07 두 로커 암 및 붕괴 기구를 포함하는 밸브 구동 시스템 KR10254651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862776935P 2018-12-07 2018-12-07
US62/776,935 2018-12-07
PCT/US2019/065112 WO2020118283A1 (en) 2018-12-07 2019-12-07 Valve actuation system comprising two rocker arms and a collapsing mechanis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7167A true KR20210097167A (ko) 2021-08-06
KR102546519B1 KR102546519B1 (ko) 2023-06-21

Family

ID=709726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20187A KR102546519B1 (ko) 2018-12-07 2019-12-07 두 로커 암 및 붕괴 기구를 포함하는 밸브 구동 시스템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1181012B2 (ko)
EP (1) EP3891366A4 (ko)
JP (2) JP7265010B2 (ko)
KR (1) KR102546519B1 (ko)
CN (1) CN113167146B (ko)
BR (1) BR112021010567A2 (ko)
WO (1) WO202011828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46519B1 (ko) 2018-12-07 2023-06-21 자콥스 비히클 시스템즈, 인코포레이티드. 두 로커 암 및 붕괴 기구를 포함하는 밸브 구동 시스템
US11486274B2 (en) * 2018-12-07 2022-11-01 Jacobs Vehicle Systems, Inc. Valve actuation system comprising at least two rocker arms and a one-way coupling mechanism
EP4146918A4 (en) 2020-05-04 2024-05-29 Jacobs Vehicle Systems Inc VALVE ACTUATING SYSTEM INCLUDING LOST-MOTION AND HIGH-LIFT TRANSFER COMPONENTS IN A MAIN MOTION LOAD PATH
US20230235685A1 (en) * 2020-05-29 2023-07-27 Eaton Intelligent Power Limited Rocker arms
IT202100002960A1 (it) * 2021-02-10 2022-08-10 Fpt Motorenforschung Ag Un sistema per operare un gruppo valvola di un cilindro di un motore a combustione interna
CN113153478B (zh) * 2021-04-20 2022-11-15 一汽解放汽车有限公司 发动机气门驱动机构及车辆
WO2024079642A1 (en) * 2022-10-12 2024-04-18 Cummins Inc. Valve actuation system comprising a discrete lost motion device
WO2024079641A1 (en) * 2022-10-12 2024-04-18 Jacobs Vehicle Systems, Inc. Discrete lost motion devic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07803A (en) * 1991-02-15 1992-04-28 Alan Furnivall Split-action rocker arm
US20050188930A1 (en) * 2004-02-18 2005-09-01 Best Richard R. Valve deactivation device
US20120024260A1 (en) * 2010-07-27 2012-02-02 Jacobs Vehicle Systems, Inc. Combined engine braking and positive power engine lost motion valve actuation system
US20170145876A1 (en) * 2015-11-20 2017-05-25 Man Truck & Bus Ag Variable valve train with a rocker arm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15807U (ja) 1983-01-26 1984-08-04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ゼロラツシユアジヤスタ
US4556025A (en) * 1983-11-18 1985-12-03 Mazda Motor Corporation Engine valve mechanism having valve disabling device
JPS60116808A (ja) * 1983-11-26 1985-06-24 Mazda Motor Corp エンジンの動弁装置
JPS61175207A (ja) * 1985-01-30 1986-08-06 Mazda Motor Corp エンジンの弁作動装置
JPS61250317A (ja) 1985-04-26 1986-11-07 Mazda Motor Corp エンジンの動弁装置
JPS63100606U (ko) 1986-12-22 1988-06-30
JPH0737764B2 (ja) * 1989-12-13 1995-04-26 マツダ株式会社 エンジンの動弁装置
JP2503933B2 (ja) * 1994-03-23 1996-06-05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可変バルブタイミング機構
US6705264B2 (en) 1998-12-24 2004-03-16 Yamaha Marine Kabushiki Kaisha Valve control for outboard motor engine
DE10155800A1 (de) 2001-11-14 2003-05-22 Ina Schaeffler Kg Schlepphebel eines Ventiltriebs einer Brennkraftmaschine
CN1922391A (zh) * 2004-02-18 2007-02-28 金特克科技销售公司 阀门停用装置
CN101084365A (zh) 2004-05-14 2007-12-05 雅各布斯车辆系统公司 用于内燃机气门致动的摇臂系统
US9581058B2 (en) * 2010-08-13 2017-02-28 Eaton Corporation Development of a switching roller finger follower for cylinder deactivation in internal combustion engines
JP5733538B2 (ja) * 2010-03-19 2015-06-10 イートン コーポレーションEaton Corporation 切換式ロッカアーム
US9790824B2 (en) 2010-07-27 2017-10-17 Jacobs Vehicle Systems, Inc. Lost motion valve actuation systems with locking elements including wedge locking elements
US20140251266A1 (en) 2011-07-27 2014-09-11 Jacobs Vehicle Systems, Inc. Auxiliary Valve Motions Employing Disablement of Main Valve Events and/or Coupling of Adjacent Rocker Arms
JP5757914B2 (ja) * 2012-05-21 2015-08-05 株式会社オティックス ラッシュアジャスタ付きロッカアーム
JP5973243B2 (ja) * 2012-06-07 2016-08-23 株式会社オティックス ラッシュアジャスタ内蔵型ロッカアーム
DE102013215946A1 (de) * 2013-08-12 2015-02-12 Avl List Gmbh Ventilbetätigungseinrichtung zur Veränderung des Ventilhubs
US9926816B2 (en) * 2015-07-09 2018-03-27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Switchable rocker arm with pivot joint
DE112017002052T5 (de) * 2016-05-10 2019-01-03 Eaton Intelligent Power Limited Modularer kipphebel
DE102017205814A1 (de) 2017-04-05 2018-10-11 Avl List Gmbh Mechanische Ventilbetätigungsvorrichtung
KR102546519B1 (ko) 2018-12-07 2023-06-21 자콥스 비히클 시스템즈, 인코포레이티드. 두 로커 암 및 붕괴 기구를 포함하는 밸브 구동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07803A (en) * 1991-02-15 1992-04-28 Alan Furnivall Split-action rocker arm
US20050188930A1 (en) * 2004-02-18 2005-09-01 Best Richard R. Valve deactivation device
US20120024260A1 (en) * 2010-07-27 2012-02-02 Jacobs Vehicle Systems, Inc. Combined engine braking and positive power engine lost motion valve actuation system
US20170145876A1 (en) * 2015-11-20 2017-05-25 Man Truck & Bus Ag Variable valve train with a rocker ar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00182097A1 (en) 2020-06-11
WO2020118283A1 (en) 2020-06-11
JP2022510685A (ja) 2022-01-27
US11181012B2 (en) 2021-11-23
EP3891366A1 (en) 2021-10-13
CN113167146A (zh) 2021-07-23
KR102546519B1 (ko) 2023-06-21
BR112021010567A2 (pt) 2021-08-24
JP7265010B2 (ja) 2023-04-25
JP2023085549A (ja) 2023-06-20
EP3891366A4 (en) 2022-08-31
CN113167146B (zh) 2022-09-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46519B1 (ko) 두 로커 암 및 붕괴 기구를 포함하는 밸브 구동 시스템
US8065987B2 (en) Integrated engine brake with mechanical linkage
JP2018066382A (ja) エンジン・バルブを作動させるための崩壊機構及び拡張機構を備える装置及びシステム
US7559300B2 (en) Multiple slave piston valve actuation system
CN106715842A (zh) 与包括液压间隙调整器的阀机件使用的阀桥中的空动组件
US20170241305A1 (en) Engine Braking Method and System
CN105275528A (zh) 带有包括楔状体锁定元件的锁定元件的空转气门驱动系统
US6886510B2 (en) Engine valve actuator assembly with dual hydraulic feedback
KR102546520B1 (ko) 적어도 2개의 로커 암 및 일방향 커플링 메커니즘을 포함하는 밸브 작동 시스템
US6883474B2 (en) Electrohydraulic engine valve actuator assembly
US6959673B2 (en) Engine valve actuator assembly with dual automatic regulation
KR20210153721A (ko) 로브 전환 및 단일 공급원 로스트 모션용 핑거 팔로워
US20210317760A1 (en) Valve train assembly
KR20220105673A (ko) 실린더 비활성화 및 보조 밸브 작동에 사용하기 위한 직렬 로스트 모션 구성요소들을 포함하는 밸브 작동 시스템
US6837196B2 (en) Engine valve actuator assembly with automatic regulation
US6918360B2 (en) Engine valve actuator assembly with hydraulic feedback
KR20240011819A (ko) 로브 스위칭 및 단일 소스 손실 모션을 위한 핑거 팔로워를 포함하는 밸브 구동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