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96969A - 수분해성 친환경 생리대 - Google Patents

수분해성 친환경 생리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96969A
KR20210096969A KR1020200010697A KR20200010697A KR20210096969A KR 20210096969 A KR20210096969 A KR 20210096969A KR 1020200010697 A KR1020200010697 A KR 1020200010697A KR 20200010697 A KR20200010697 A KR 20200010697A KR 20210096969 A KR20210096969 A KR 202100969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sanitary napkin
pulp
pad
menstrual blo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06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83114B1 (ko
Inventor
김지연
Original Assignee
김지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지연 filed Critical 김지연
Priority to KR10202000106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3114B1/ko
Publication of KR202100969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969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31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31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7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 A61F13/472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specially adapted for female u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15203Properties of the article, e.g. stiffness or absorbency
    • A61F13/15252Properties of the article, e.g. stiffness or absorbency compostable or biodegradab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1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 A61F13/51121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4Backsheet, i.e. the impermeable cover or layer furthest from the skin
    • A61F13/51401Backsheet, i.e. the impermeable cover or layer furthest from the skin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5/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 A61L15/16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 A61L15/42Use of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 A61L15/46Deodorants or malodour counteractants, e.g. to inhibit the formation of ammonia or bacter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5/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 A61L15/16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 A61L15/42Use of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 A61L15/62Compostable, hydrosoluble or hydrodegradable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2013/51002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with special fibres
    • A61F2013/5102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with special fibres being polymeric fibres
    • A61F2013/5103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with special fibres being polymeric fibres being biodegradable, e.g. Rayon, polylactate, dioxan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4Backsheet, i.e. the impermeable cover or layer furthest from the skin
    • A61F13/51401Backsheet, i.e. the impermeable cover or layer furthest from the skin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61F2013/51409Backsheet, i.e. the impermeable cover or layer furthest from the skin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being a film
    • A61F2013/51433Backsheet, i.e. the impermeable cover or layer furthest from the skin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being a film being biodegradab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2013/530007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being made from pulp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mat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Dermatology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물 속에서 분해되거나 생분해되는 것인 친환경 생리대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친환경 생리대에 의하면, 사용 후 폐기하고자 하는 생리대를 변기에 넣어 버리면, 정화조 내에서 다량의 물에 의해 분해되며, 토양 내에서 생분해되어, 환경 오염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질 내 유해 세균에 의한 항균 효과를 나타내며, 분비물에 의한 냄새 발생을 억제하여 청결 상 우수한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Description

수분해성 친환경 생리대 {Hydrolyzable eco-friendly sanitary napkin}
본 발명은 수분해성 친환경 생리대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생리대의 구성부가 다량의 물 속에서 분해되거나 토양 속에서 생분해가 가능함에 따라, 환경 오염 문제를 방지할 수 있는 수분해성 친환경 생리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생리대 또는 팬티 라이너는 여성에 있어서 한달을 주기로 하여 나타나는 생리적 현상에 의한 생리혈을 효율적으로 처리하기 위해 착용하고 있는 것이며, 또한 생리혈을 흡수하는 작용과 함께 음부를 청결하게 유지하기 위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생리대는 대부분 적은 부피의 패드로 많은 양의 분비물을 흡수할 수 있는 효능 또는 유체 비투과성을 가지는 피복제의 두께를 더 얇게 하면서 방수 효능을 더욱 향상시키는 방향으로 개선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패드는 분비물을 흡수하는 능력을 높이고자 고흡수성의 폴리머를 함유하고 있으며, 이것은 적은 부피를 가짐에도 불구하고 흡수율이 높아 분비물의 흡수효과가 큰 특징을 가지고 있다.
여성의 월경시에 분비되는 월경혈은 생리혈과 셀룰로오스성 물질 및 점액성 물질을 함유하고 있으며, 이러한 월경혈은 생리대의 생리혈 흡수패드에 의하여 흡수되지만 흡수된 상태로 장시간 지속됨으로써 각종의 세균이 번식하기에 유리한 환경이 되어 위생적으로나 냄새 등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생리대의 위생 상태는 대단히 중요한 것이며, 월경혈 및 분비물의 흡수와 함께 세균번식의 방지는 생리대의 필수사항이라 할 것이다.
다음은 일반적인 생리대의 한 예를 보인 것으로, 이처럼 생리 기간에 출혈되는 생리혈을 위생적으로 처리하기 위해서 생리대를 사용하는데 일반적으로 유통되는 생리대는 피부에 접촉되어 분비물을 투과시키는 투과성의 내피, 내피와 동일한 크기 및 모양으로 이루어져 내피와 융착 결합되는 불투과성의 불투과성 외피, 내피와 불투과성 외피 사이에 삽입 고정되어 내피를 투과한 생리혈 등의 분비물을 흡수하는 흡수패드, 상기 흡수패드와 내피 사이의 적절한 위치에 삽입 고정되어 흡수패드 및 불투과성 외피의 하부면에 형성되어 내의 내면과의 접착을 통해 생리대를 고정시키는 점착패드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분비물을 흡수하는 펄프 흡수체는 내피 및 불투과성 외피 사이의 적정 한 위치에 삽입된 상태에서 내피 및 방수외부의 가장자리 부분이 열융착에 의해 결합된다. 이처럼 구성된 생리대는 내피를 통해 투과된 분비물을 흡수패드를 통해 흡수하게 된다.
상기 흡수패드는 고흡수성수지(SAP, Supersorbent polymer)라는 폴리머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고흡수성 수지는 자기 무게보다 수십 배에서 수백 배까지 물을 흡수하는 수지로서 재료 자체가 물을 빨아들이므로 탈지면이나 무명천 같은 것보다 흡수량이 많으며 웬만한 압력에는 물을 방출하지 않아 유아용·성인용·동물용 기저귀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데, 고흡수성수지(SAP)는 물을 흡수하는 효과가 있지만, 흡수되어 사용된 기저귀, 생리대 등의 물품은 자체적으로 생분해되지 않아 환경 오염의 문제점이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러한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물에 녹을 수 있거나, 토양 속에서 생분해가 가능하여, 환경 오염 문제를 방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분비물에 의한 냄새 발생을 억제하여, 청결 상에서도 우수한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생리대에 대한 개발이 필요하다.
(특허 문헌 1) 10-2016-0022024 A1
본 발명의 목적은 수분해성 친환경 생리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 후 폐기하고자 하는 생리대를 변기에 넣어 버리면, 정화조 내에서 다량의 물에 의해 분해되어 환경 오염 문제를 방지할 수 있는 수분해성 친환경 생리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 후 폐기하고자 하는 생리대가 토양 내에서 생분해되어, 환경 오염 문제를 방지할 수 있는 수분해성 친환경 생리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질 내 유해 세균에 의한 항균 효과를 나타내며, 분비물에 의한 냄새 발생을 억제하여 청결 상 우수한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수분해성 친환경 생리대에 관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분해성 친환경 생리대는 피부에 접촉되어 생리혈을 투과시키는 투과성의 내피; 내피와 동일한 크기 및 모양으로 이루어져 내피와 융착 결합되는 불투과성의 외피; 내피와 불투과성 외피 사이에 삽입 고정되어 내피를 투과한 생리혈을 흡수하는 펄프 흡수체; 상기 펄프 흡수체 및 불투과성 외피 사이에서, 펄프 흡수체에 흡수 후 투과되는 생리혈을 흡수하는 수용성 필름; 및 상기 불투과성 외피의 하부면에 고정되어 내의 내면과의 점착을 통해 생리대를 고정시키는 점착패드를 포함하며, 상기 내피, 불투과성 외피, 펄프 흡수체 및 점착패드는 수분해 또는 생분해될 수 있다.
상기 불투과성 외피는 일면이 펄프 흡수체와 접촉하며, 다른 일면은 점착패드가 고정되며, 상기 펄프 흡수체와 접촉하는 불투과성 외피의 일면은 발수 효과로 펄프 흡수체가 흡수한 생리혈의 투과를 방지하며, 점착패드가 고정된 불투과성 외피의 다른 일면은 물의 흡수가 용이하여 물 속에서 풀어질 수 있다.
상기 불투과성 외피는 펄프로 구성되며, 상기 불투과성 외피의 일면은 콜라겐이 코팅되어 상기 수용성 필름에 흡수된 생리혈이 외부로 새지 않도록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펄프 흡수체는 다수의 흡수층으로 구성되며, 상기 흡수층은 펄프 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점착패드는 양 측면에 날개부가 형성되며, 상기 날개부의 일면은 내의 내면과의 점착을 위한 점착층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점착층은 하이드로카본 레진(Hydrocarbon resin)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피 및 펄프 흡수체 사이에 위치하며, 내피를 통과한 생리혈이 펄프 흡수체로 흡수되기 전 생리혈의 냄새를 제거할 수 있는 항균패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분해성 친환경 생리대는 펄프지 또는 수용성 필름으로 포장되며, 상기 포장용 펄프지 또는 수용성 필름은 수분해 또는 생분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수분해성 친환경 생리대에 의하면, 사용 후 폐기하고자 하는 생리대를 변기에 넣어 버리면, 정화조 내에서 다량의 물에 의해 분해되며, 토양 내에서 생분해되어, 환경 오염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질 내 유해 세균에 의한 항균 효과를 나타내며, 분비물에 의한 냄새 발생을 억제하여 청결 상 우수한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분해성 친환경 생리대에 대한 제품 사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분해성 친환경 생리대의 흡수 효과 및 방수 효과에 대한 사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분해성의 실험 결과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분해성의 실험 결과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분해성 친환경 생리대의 변기 내 막힘 여부 확인 결과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분해성 친환경 생리대는 피부에 접촉되어 생리혈을 투과시키는 투과성의 내피; 내피와 동일한 크기 및 모양으로 이루어져 내피와 융착 결합되는 불투과성의 외피; 내피와 불투과성 외피 사이에 삽입 고정되어 내피를 투과한 생리혈을 흡수하는 펄프 흡수체; 상기 펄프 흡수체 및 불투과성 외피 사이에서, 펄프 흡수체에 흡수 후 투과되는 생리혈을 흡수하는 수용성 필름; 및 상기 불투과성 외피의 하부면에 고정되어 내의 내면과의 점착을 통해 생리대를 고정시키는 점착패드를 포함하며, 상기 내피, 불투과성 외피, 흡수패드 및 점착패드는 수분해 또는 생분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친환경 생리대를 구성하는 내피, 불투과성 외피, 펄프 흡수체, 수용성 필름 및 점착패드는 다량의 물 속에서 완전히 분해되거나, 토양 속에서 생분해되어, 친환경적이면서도 생리대의 기본적인 역할인 분비물의 흡수력이 우수하고, 항균 효과 및 냄새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종래 생리대는 버려지는 양이 막대하여 환경 오염의 주범일 뿐 아니라, 발암 물질인 다이옥신 등 환경 호르몬이 발생한다는 사실로 인해 많은 문제를 발생하였다.
일반 생리대의 가장 큰 문제점은 화학약품의 사용이다. 시중에 판매되는 생리대의 경우 폴리에틸렌 필름, 흡수지, 부직포, 면상펄프, 고분자 흡수제를 주성분으로 표기하고 있으나 그 이상은 제조 비밀로 분류, 공개하지 않고 있다. 일회용 생리대는 사용 후 ‘감염성 폐기물’로 분류돼 땅에 묻는데 이때 염소계 표백제 등의 화학물질이 땅과 강에 스며들어 환경오염을 일으킨다.
여성은 13살부터 50세까지 37년간 500번의 생리를 하며, 하루 평균 5개를 5일 동안 사용한다고 가정하면, 평생동안 약 11,000개의 생리대를 사용하게 된다.
일회용 생리대는 쉽게 쓰고 버리지만, 그 양은 엄청나서 한 해동안 20억 개의 일회용 생리대가 버려지며, 이것을 늘어놓으면 2만 km에 달한다.
또한, 11,000개의 생리대를 생산하기 위해서는 매년 여의도 만한 숲을 파괴해야만 가능하다고 한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일회용 생리대는 환경 파괴뿐만 아니라 여성 건강에도 좋지 않은 영향을 끼친다. 최근 일부 제품에서 벌레가 발견되거나, 포름알데히드 검출 등의 문제되었다.
이러한 문제에 대해, 최근 대안 생리대를 사용하는 방안이 논의되고 있으며, 크게 패드형 면 생리대를 이용하거나 삽입형 대안 생리대를 이용하는 것이 알려지고 있다.
패드형 면 생리대는 생리대를 천으로 만들어, 빨아서 계속 사용할 수 있도록 제조된 생리대이다. 이러한 면 생리대는 피부 자극이 적고, 다회 사용이 가능한 친환경 제품이라고 할 것이나, 사용 후, 세척이 어려운 문제가 있다.
또한, 삽입형 대안 생리대는 천연 고무로 만든 키퍼(Keeper) 및 실리콘으로 만든 문컵(Moon Cup)으로 두 가지가 판매되고 있다. 면 생리대와 같이 다회 사용이 가능하지만, 재질의 특성상 보관 시, 서늘한 곳에서 보관해야되고, 세척에 번거로운 문제가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종래 생리대와 구성에서 큰 차이가 나타나지 않지만, 구성부가 모두 물 속에서 분해가 가능하거나 토양에서 생분해될 수 있도록 구성하여, 환경 문제의 발생을 방지하고자 한다.
상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분해성 친환경 생리대는 내피, 불투과성 외피, 펄프 흡수체 및 점착패드를 포함하며, 상기 내피, 불투과성 외피, 펄프 흡수체 및 점착패드는 펄프로 구성되어, 변기에 넣거나, 토양에 매립하여 쉽게 처리가 가능하다.
즉, 변기에 넣고 물을 내리면, 수압에 의해 정화조로 이동하게 되고, 이후 하수 처리장으로 이동되어 처리된다.
본 발명의 수분해성 친환경 생리대를 사용한 이후, 변기에 넣고 물을 내리게 되면, 1차로는 물과 접촉 시, 내피, 불투과성 외피, 펄프 흡수체, 수용성 필름 및 점착패드가 물을 흡수하여 분해작용으로 풀어지는 현상이 발생하게 되며, 이후 수압에 의해 정화조로 이동 시, 완전히 분해되어 정화조 및 하수 처리장에서 쉽게 정화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물과 접촉 시에 물의 흡수에 의해 형상의 풀어짐이 발생하고, 수압에 의해 완전 풀림 현상이 발생하게 됨에 따라, 생리대를 변기에 버림에 따라 변기가 막히는 문제도 발생하지 않게 된다.
일반적으로 변기에 휴지를 다량 버리게 되거나, 물에 녹지 않는 것을 버리게 되면, 변기에서 정화조로 연결되는 배수관이 막히게 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배수관이 막히게 되면, 변기의 사용 시, 역류 현상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최근 화장실용 휴지는 대다수 변기에 넣고 버리게 되면 쉽게 풀어져, 배수관의 막힘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이는 배수관으로 이동 시 수압이 강해져, 휴지의 형상이 쉽게 풀어짐에 따라 배수관이 막히는 문제가 발생하지 않게 되었을 뿐 아니라, 화장실용 휴지가 품질 향상으로 다량에 물에서 쉽게 풀어질 수 있음에 따라 변기 막힘 문제가 해소되었다.
휴지는 펄프로 구성되어, 물을 쉽게 흡수하고, 물의 흡수에 의해 형태를 유지하지 않는 풀어짐 현상이 쉽게 나타나게 된다.
일반적으로 펄프로 제조되는 휴지와 같은 제품은 물을 쉽게 흡수할 수 있으나, 특수한 처리를 한 경우에는 발수 성능을 나타낼 수 있어, 물에서 쉽게 풀어지지 않게도 제조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수분해성 친환경 생리대를 구성하는 내피, 불투과성 외피, 펄프 흡수체 및 점착패드는 모두 펄프로 구성하여, 쉽게 물을 흡수하고, 다량의 물에서는 풀림 현상이 쉽게 나타나, 수분해성을 나타낼 수 있다.
펄프는 물을 쉽게 흡수하는 성질을 가지고 있어, 생리대로 사용 시, 생리혈을 쉽게 흡수하고, 흡수한 생리혈을 담지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변기에 넣었을 때에는 다량의 물과 접촉하게 되고, 수압이 직접적으로 생리대에 작용하게 되며, 이때에는 형상이 쉽게 풀리는 성질을 가지고 있다.
일반적인 생리대는 생리혈을 잘 흡수하고, 이를 외부로 새지 않게 담지하는 성능을 나타내는 것이 중요하다.
즉, 흡수한 생리혈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펄프 흡수체에 고분자 흡수체를 사용하고, 방수패드는 비닐과 같은 방수성이 우수한 플라스틱 소재를 사용하여, 생리혈의 외부 유출을 방지하고자 하였다.
다만,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종래 생리대에서와 같이, 고분자 흡수체 및 폴리에틸렌 필름을 주 성분으로 사용하게 되면, 사용 후, 폐기에 따른 환경 오염 문제와 더불어, 생리대의 사용 시에, 통기성이 나빠, 박테리아 번식, 질염, 피부염과 같은 문제를 쉽게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펄프 소재를 사용함에 따라, 펄프 소재의 특성인 통기성으로 인해 이러한 문제를 쉽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펄프 흡수체를 펄프 소재의 다수의 흡수층으로 구성하여, 다량의 생리혈도 충분히 담지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또한, 상기 1층의 흡수층은 80 내지 120g/m2의 밀도를 가지도록 구성하며, 상기 펄프 흡수체는 5 내지 10개의 흡수층으로 구성될 수 있으나, 상기 예시에 국한되지 않고, 펄프 흡수체를 구성하는 흡수층의 수는 당업자가 생리혈을 담지할 수 있는 정도로의 사용을 위해 예상 가능한 범주 내에서 쉽게 선택 가능하다.
생리대에 가장 중요한 요소에 해당되는 흡수 패드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고분자 흡수체를 별도로 포함하지 않고, 펄프 소재의 흡수층으로만 구성되어, 펄프 특유의 통기성으로 인해, 생리대의 사용 시 통기성으로 인해, 박테리아 번식, 질염 또는 피부염의 발생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다.
또한, 복수 개의 밀도가 높은 흡수층으로 구성되어, 생리혈의 양에 상관없이 충분히 담지할 수 있어, 흡수 패드에 의한 충분한 생리혈의 흡수가 가능하다고 할 것이다.
상기 투과성의 내피는 생리대의 사용 시, 인체의 피부와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면으로, 피부 자극을 방지하고, 생리혈이 쉽게 투과되어, 펄프 흡수체로 전달되는 역할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내피는 펄프 소재로 구성되며, 30 내지 40g/m2의 밀도를 가지도록 구성하여, 투과성이 우수하고, 피부 자극을 방지하도록 접촉면이 부드럽도록 가공된 펄프 소재로 구성된다.
이때, 투과성을 높이기 위해, 30g/m2의 미만의 밀도를 가지는 펄프 소재를 사용하게 되면, 내구성이 약해, 생리대를 착용하고 의자에 앉거나 과격한 운동 등을 하는 경우, 내피가 외력에 의해 쉽게 손상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30 내지 40g/m2의 밀도를 가지는 펄프 소재를 사용하여, 내구성의 문제를 해소함과 동시에, 피부 자극을 낮추며, 펄프 흡수체로 쉽게 생리혈이 흡수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내피 및 펄프 흡수체의 사이에, 본 발명은 내피를 통과한 생리혈이 펄프 흡수체로 흡수되기 전 생리혈의 냄새를 제거할 수 있는 항균패드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항균 패드는 내피를 통과한 생리혈이 쉽게 펄프 흡수체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항균 패드를 통과하여, 생리혈의 냄새가 쉽게 제거됨과 동시에, 흡수 패드가 생리혈을 담지하고 있음에 따른 질 내 유해 세균에 의한 감염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항균 패드는 펄프 소재로 구성되며, 양면이 천연 추출물로 구성된 항균 조성물로 코팅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생리대는 친환경 생리대로의 제공을 위해 화학 합성물을 포함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어, 항균 패드의 구성에도 천연 추출물을 사용하여 항균 효과 및 냄새 제거 효과를 높이고자 한다.
상기 항균 조성물은, 감잎 추출물, 진피 추출물, 함초 추출물, 바나나 껍질 추출물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감잎 추출물, 진피 추출물, 함초 추출물 및 바나나 껍질 추출물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감나무(Diospyros kaki Thunb)는 우리나라 중부 이남 지방에 주로 분포되어 있으며 생식하는 시자 이외에도 시엽, 시화, 시체 등은 예로부터 민간요법으로 사용되어 왔다. 그 중에서도 특히 감잎은 주로 차로 이용되어 동의 보감에 혈관질환의 예방, 치료와 함께 자반증(혈관염증)에도 효과가 있다고 기록되어 있다. 감잎에는 비타민 C, 아미노산, 핵산, 페놀성 화합물, 유리당 등 여러 물질들이 다양하게 함유되어 있다. 감잎의 flavonoid로는 kaempferol의 배당체인 astragalin, myricetin의 배당체인 myricetin의 배당체인 myricitrin, isoquercitrin 등의 배당체 형태가 존재한다. 감잎은 총 페놀성 화합물 함량이 0.1 내지 5.8%로 다른 식물에 비하여 높으며, 우수한 항산화능과 항균성이 확인되었고, Superoxide dismutase(SOD)활성에도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리고 피부 탄력유지와 감기 및 성인병 예방에는 약리작용 효과가 검증되었고 다양한 물질이 인간의 생리기작에 영향을 줄 수 있는 가능성을 강력하게 시사하고 있다. 페놀성 화합물은 항산화의 기능뿐만 아니라 항균, 항알레르기, 충치예방, 심장질환 및 당뇨병 예방에도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으며 플라보노이드, phenolic acid, phenyl propanoid, quinone 류 등을 포함하고 있다.
진피(Citri Pericarpium)는 운향과에 속한 상록 소교목인 귤(Citrus unshiu Markovich)의 성숙한 과실에 과피를 건조시킨 것으로 진피 또는 귤피(橘皮)라고 한다. 대한약전에서는 주요 플라보노이드 성분인 헤스페리딘 (hesperidin)의 함유량이 4% 이상으로 알려져 있으며 그 외에도 나린진(naringin), 네오헤스페리딘 (neohesperidin) 등이 함유되어 있다. 방향성 건위약으로 위염, 소화불량 등에 쓰이며, 진토, 진해, 거담제로서 사용된다.
함초는 우리나라 서해안이나 남해안, 제주도, 울릉도, 백령도 같은 섬지방의 바닷물이 닿는 해안이나 개펄, 염전 주위에 무리지어 자란다. 우리말로는 퉁퉁하고 마디마디 튀어나온 풀이라 하여 퉁퉁마디라고 부른다. 중국의 옛 의학책인 신농초본경에는 맛이 몹시 짜다고 하여 함초(鹹草), 염초(鹽草)라고 하였고, 몹시 희귀하고 신령스러운 풀로 여겨 신초(神草)라고도 적혔다. 함초가 건강식품으로서 효능이 뛰어나다는 것은 3천년 전인 중국 주나라 때부터 알려졌다. 주나라 임금이 함초를 하늘에 바쳐 제사를 지냈다는 기록이 주례(周禮)에 나온다. 일본의 의성(醫聖)이라고 부르는 가이바라의<대화본초(大和本草)>에는 함초가 불로장수하게 하는 귀한 풀이라고 적혀 있으며 함초 말고도 염초, 복초, 삼지 등의 여러 이름이 적혀 있다. 함초의 일반성분은 주로 탄수화물, 회분, 조단백질, 조지방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회분중 중량% 기준으로 소금이 13.5%를 차지한다. 또한, 함초에는 각종 미네랄을 함유하고 있는데 함초 100g에는 칼슘 670㎎, 요오드70㎎, 그리고 나트륨이 6.5%, 소금기가 16%, 식물성 섬유질이 50%쯤 들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바나나는 열대 및 아열대 아시아에서 유래한 다년생 초본이다. 대만에서는, 주로 카오슝, 타이난, 핑동, 타이퉁에 바나나가 심어져 있다. 일반적으로, 바나나의 식용 부분은 살점 부분(flesh part)이며 껍질은 버려진다.
상기의 천연 추출물을 제조하는 것은 천연물를 분쇄하는 단계; 용매를 사용하여 상기 분쇄물을 침출시키는 단계; 시료를 침출 후 건조시키는 단계; 건조된 시료를 용매를 사용하여 재 침출시키는 단계; 시료를 침출 후 건조시키는 단계; 물을 이용하여 침출시키는 단계; 및 침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천연 추출물을 획득할 수 있다.
상기 용매를 사용하여 추출한 천연 추출물을 용매를 사용하여 분획을 실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추출물을 제조하는 방법은 초음파 추출법, 침출법 및 환류 추출법 등 당업계의 통상적인 추출 방법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세척 및 건조로 이물질이 제거된 천연물을 물, 탄소수 1 내지 6의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로 추출한 추출물일 수 있으며, 상기 용매들을 순차적으로 시료에 적용하여 추출한 추출물일 수도 있다.
상기 추출 용매는 시료의 중량 기준으로 2 내지 50배를 사용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2 내지 20배이다. 추출을 위해 시료는 추출 용매에서 침출을 위해 1 내지 72 시간 동안 방치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24 내지 48시간 동안 방치될 수 있다.
추출 후, 추출물은 새로운 분획 용매를 순차적으로 적용하여 분획할 수 있다. 분획시 사용하는 분획 용매는 상기 용매는 물, 헥산, 부탄올, 에틸아세트산, 에틸 아세테이트, 메틸렌클로라이드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추출물 또는 분획물을 얻은 후에는 농축 또는 동결건조 등의 방법을 추가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감잎 추출물, 진피 추출물, 함초 추출물 및 바나나 껍질 추출물은 감잎 열수 추출물, 진피 열수 추출물, 함초 열수 추출물 및 바나나 껍질 열수 추출물일 수 있다.
통상적으로 천연 추출물의 제조 시 사용되는 알코올과 같은 유기 용매를 사용하지 않고, 물을 추출 용매로 사용하여, 유기 용매를 사용한 천연 추출물로 인해, 피부 자극의 발생 가능성을 방지하고자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항균 조성물은, 감잎 추출물 100 중량부에 대해, 진피 추출물 50 내지 100 중량부, 함초 추출물 10 내지 20 중량부 및 바나나 껍질 추출물 10 내지 20 중량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혼합 범위 내에서 사용 시에, 항균 효과와 더불어, 생리혈에 대한 우수한 냄새 제거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항균 조성물은, 분말 형태의 감잎 추출물, 진피 추출물, 함초 추출물 및 바나나 껍질 추출물을 용매인 물에 혼합하고, 이를 스프레이 분사 방식으로, 항균 패드에 뿌리고, 건조시켜 항균층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항균층의 형성 방식은 스프레이 분사 방식에 제한되지 않으며, 통상의 기술자가 항균 조성물을 이용하여 항균층을 형성하는 방법을 선택하여, 제한 없이 사용 가능하다.
본 발명의 수분해성 친환경 생리대는, 내피와 동일한 크기 및 모양으로 이루어져 내피와 융착 결합되는 불투과성 외피를 포함하며, 상기 불투과성 외피는 일면이 펄프 흡수체와 접촉하며, 다른 일면은 점착패드가 고정된다.
상기 펄프 흡수체와 접촉하는 불투과성 외피의 일면은 발수 효과로 펄프 흡수체가 흡수한 생리혈의 투과를 방지하며, 점착패드가 고정된 불투과성 외피의 다른 일면은 물의 흡수가 용이하여 물 속에서 풀어질 수 있다.
즉, 펄프 흡수체와 접촉하는 일면의 경우에는 발수 효과로 인해, 펄프 흡수체를 통과한 생리혈이 생리대의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반면, 다른 일면의 경우에는 변기에 사용한 생리대를 버리게 되면, 직접적으로 물과 접촉하는 면으로 물을 쉽게 흡수하여 풀어짐이 발생할 수 있다.
통상적인 생리대의 경우, 흡수 패드가 고분자 필름으로, 양면 모두 방수 효과를 나타내어, 흡수 패드를 통해 흡수된 생리대가 외부로 유출되는 문제를 방지하고 있다.
즉, 1차로 펄프 흡수체 내 흡수체를 이용하여 최대한으로 흡수시켜 흡수패드 외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며, 2차로 고분자 필름으로 구성된 방수패드를 활용하여 외부로의 유출을 방지할 수 있다.
다만 이렇게 흡수체 또는 고분자 필름을 사용하는 경우, 생리대의 사용으로 인해 외부로 생리혈이 유출되는 것은 방지할 수 있으나, 여러 문제가 발생할 수 있음은 앞서 언급한 바와 같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기 불투과성 외피를 이용하여 펄프 흡수체에서 흡수된 생리혈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만, 불투과성 외피만이 아닌, 생리혈의 외부 유출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펄프 흡수체 및 불투과성 외피 사이에서, 펄프 흡수체에 흡수 후 투과되는 일부의 생리혈을 흡수할 수 있는 수용성 필름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종래 생리대는 고분자 필름을 이용하여 물의 투과를 방지하였다면, 본 발명의 경우, 수용성 필름을 사용하여, 생리혈을 흡수하고, 이를 담지함으로써 외부로의 생리혈 유출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수용성 필름은 폴리비닐알코올(PVA) 필름으로, 수용성의 특성을 나타내어, 펄프 흡수체를 투과하는 일부의 생리혈을 흡수할 수 있으며, 4시간 내지 8시간 정도 생리혈을 담지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수용성 필름은 1 내지 2mm의 두께를 가지도록 구성하여, 생리대의 착용감을 낮추는 문제를 방지하고, 변기에 넣고 버렸을 때, 수압에 의해 쉽게 분해될 수 있도록 한다. 다만, 상기 PVA 필름에 국한되지 않고, 수용성 필름의 소재에 의해 다수의 물에서 쉽게 분해가 가능하다면, 상기 예시에 국한되지 않고, 당업자가 생리대에 적용할 수 있는 두께의 수용성 필름은 모두 사용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불투과성 외피는, 펄프로 구성되어 통기성 효과를 유지하면서도, 일면에 콜라겐이 코팅되어 소수성 성질을 나타낼 수 있다.
상기 불투과성 외피는 앞서 설명한 펄프에 발수층이 형성된 소재를 단층 또는 다층 구조로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불투과성 외피는, 펄프 100 중량부에 대해, 콜라겐을 1 내지 99 중량부로 코팅층을 형성하거나, 바람직하게는 3 내지 50 중량부로 코팅층을 형성하거나, 보다 바람직하게는 7 내지 15 중량부로 코팅층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불투과성 외피는 펄프층에 소수성을 나타내기 위한 것으로, 상기 범위 값 미만으로 사용할 경우에는 소수성 성질이 적게 발현되어, 수용성 필름에 담지된 생리혈의 흐름 방지 효과가 미비할 수 있으며, 상기 범위 값을 초과하여 코팅처리하게 되면, 펄프에 의한 공기 투과 효과가 미비하고, 경제성이 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불투과성 외피는 콜라겐 코팅층에 의한 소수성 성질의 부여 이외에, 펄프 자체의 소수성의 부과를 위해, AKD(alkylketen dimer) 또는 ASA(alkenyl succinic anhydride)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AKD 또는 ASA는 펄프 100 중량부에 대해, 0.3 내지 0.7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으며, 단독으로 포함될 수도 있고, 혼합하여 포함될 수도 있다. 혼합 시, 중량비는 1:1의 중량비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AKD 또는 ASA는 펄프에 소수성을 부과하기 위해 포함되는 것으로, 상기 함량 범위 미만으로 사용 시 소수성이 떨어지게 되고, 초과하여 포함 시에는, 거품이 많이 발생하게 되어 환경 오염과 비용 상승(용수 사용 과다), 제조 후에 종이 절단과 컬링(종이가 말리는)현상이 발생되어 제조 공정에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다.
생리대의 사용 상태를 고려하여 제품화할 때, 장시간 생리대의 사용 또는 생리혈이 많은 날에의 사용 시에는 펄프 소재로만 펄프 흡수체를 구성할 시, 생리대의 외부로 생리혈이 유출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상기 점착패드는 양 측면에 날개부가 형성되며, 상기 날개부의 일면은 내의 내면과 점착을 위해 점착층이 형성된다.
상기 점착층은 하이드로카본 레진(Hydrocarbon resin)을 포함할 수 있으나, 상기 레진 이외에 점착이 가능한 소재는 모두 사용이 가능하며, 상기 예시에 국한되지 않는다.
상기 수분해성 친환경 생리대는 펄프지 또는 수용성 필름으로 포장되며, 상기 포장용 펄프지 또는 수용성 필름은 수분해 또는 생분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수분해성 친환경 생리대는, 생리대 자체의 수분해 또는 생분해 효과가 우수할 뿐 아니라, 포장지 또한 수분해 또는 생분해가 가능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생리대의 사용을 위해 벗겨낸 포장지도 변기에 버리는 등의 방식을 통해 쉽게 해결이 가능하다고 할 것이다.
[제조예 1]
수분해성 친환경 생리대의 제조
1. 불투과성 외피의 제조
50 내지 60g/m2의 밀도를 갖고 AKD가 펄프 100 중량부 대비 0.5 중량부로 포함하는 펄프 소재의 일면에 콜라겐을 이용하여 코팅층을 형성하고 80 내지 100℃로 예열된 오븐에서 3 내지 5초 정도 가열하여, 불투과성 외피(AC1)를 제조하였다.
상기 불투과성 외피(AC1)은 펄프 100 중량부에 대해, 콜라겐 7 중량부를 이용하여 콜라겐 코팅층을 형성한 것이다.
상기 콜라겐을 15 중량부로 콜라겐 코팅층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AC1과 동일한 방식으로, 불투과성 외피(AC2)를 제조하였다.
대조예 1로, 50 내지 60g/m2의 밀도를 갖는 펄프 소재를 불투과성 외피로 사용하였다.
2. 항균패드의 제조
(1) 천연 추출물의 제조
감잎을 깨끗하게 세척하고 건조한 후, 분쇄기를 이용하여 분쇄하였다. 이후, 감잎 분쇄물 50g을 90 내지 100℃의 물 500ml에 넣고 3시간 동안 교반 추출하였다. 추출물은 여과한 후 회전식 감압농축기(rotary vaccum evaporator, Eyela N-1N)로 감압농축한 후에 동결건조기(FD SFDSM12, Samwon, 한국)를 이용하여 동결건조된 감잎 분말을 제조하였다
진피, 함초 및 바나나 껍질에 대해 상기 감잎 추출물과 동일한 방식을 이용하여 추출물로 제조하였다.
(2) 항균 조성물의 제조
상기 감잎 추출물, 진피 추출물, 함초 추출물 및 바나나 껍질 추출물을 하기 표 1과 같은 범위로 혼합하여 혼합 추출물로 제조하고, 상기 혼합 추출물을 10배의 물에 넣고 희석시켜 항균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AR1 AR2 AR3 AR4
감잎 100 100 100 100
진피 30 50 70 100
함초 5 10 15 20
바나나껍질 5 10 15 20
(단위 중량부)
(3) 항균패드의 제조
30 내지 40g/m2의 밀도를 가지는 펄프 소재에 상기 AR1 내지 AR4의 항균 조성물을 스프레이 분사하고, 건조시켜 항균 패드로 제조하였다.
3. 수분해성 친환경 생리대의 제조
30 내지 40g/m2의 밀도를 가지는 펄프 소재를 내피로 성형하고, 80 내지 120g/m2의 밀도를 가지는 흡수층을 5 내지 10개 적층하여 펄프 흡수체를 제조하였다.
상기 AC1 및 AC2로 코팅된 불투과성 외피 및 PVA 필름도 각각 생리대 형상으로 성형하였다.
상기 AR1 내지 AR4로 코팅된 항균 패드도 각각 생리대 형상으로 성형하였다.
80 내지 120g/m2의 밀도를 가지는 펄프 소재를 성형하여 점착패드로 제조하였다.
내피; 항균 패드; 펄프 흡수체; PVA 필름; 불투과성 외피 및 점착패드의 순서로 적층하고, 내피와 점착패드를 접착제를 사용하여 접착시켰다. 이후, 점착패드의 날개부에 하이드로카본 레진으로 점착층을 형성하였다.
상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리대는 도 1과 같은 형상으로 제조하였다. 상기 형상에 국한되지 않고, 시중에 판매중인 생리대의 형상으로 모두 제조가 가능하다.
[실험예 1]
생리혈 흡수 효과 및 방수 효과
생리혈의 흡수 및 방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빨간색 잉크를 희석시킨 물을 50ml 정도 준비하였다. 평균적인 여성의 1회 생리 기간에 나오는 생리혈의 양은 80ml로, 많으면 100ml 내지 150ml이다.
생리대의 사용 상태를 고려하여, 교체 시기 내 생리혈의 양을 30ml 정도라고 예측하였으며, 해당 양보다 많은 양의 물의 흡수 가능 여부와, 방수 효과를 확인하였다.
도 2에서와 같이 생리대에 물을 뿌려주고, 충분히 흡수되었는지 여부와 반대측면에서 유출여부를 확인하였다.
펄프 흡수체는 모두 흡수층 10개로 동일하게 제조하고, 불투과성 외피만 AC1, AC2 및 대조예 1로 달리한 후, 실험을 진행하였다.
또 다른 대조예 2로, 생리대에서 불투과성 외피는 AC1으로 동일하나, PVA 필름을 포함하지 않도록 하고, 동일한 실험을 진행하였다.
도 2에서와 같이 모두 잘 흡수하는 경우, 흡수를 O로 표시하고, 흡수되지 않는 경우를 X로 표시하였다.
또한, 반대면에서 붉은색 물이 확인되는 경우는 방수에서 ○로 표시하고, 도 2와 같이 외부로 유출되지 않을 경우는 X로 표시하였다.
특히, 방수의 경우, 실험 즉시와 4시간 경과 후로 구분하여 외부 유출 여부를 확인하였다.
AC1 AC2 대조예 1 대조예 2
흡수
방수 즉시 X X X
4시간 후 X X
실험 결과, 펄프 흡수체를 모두 동일하게 유지함에 따라, 흡수 효과는 동일하게 확인하였으나, 방수 효과에 있어서, 실험 진행 즉시, 발수층의 형성 여부에 따라 차이가 발생하였다. 즉, 발수층이 형성되지 않은 대조예 1의 경우에는 외부로 새어나와 붉은 색 잉크가 손에 묻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AC1, AC2 및 대조예 2의 경우에는 이러한 묻음 현상이 발생하지 않았다.
다만, 생리대의 사용 상태를 고려하여, 4시간 경과 후에도 방수 효과가 유지되는지 여부를 확인한 실험에서, 대조예 2의 경우에는 AC1 및 AC2와 달리 외부로 붉은 색 잉크가 새어나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대조예 2는 PVA 필름을 포함하지 않음에 따라, 흡수체에서 새어나온 잉크를 담지하지 않아, 시간의 경과에 따라 외부로 잉크가 유출될 수 있다.
[실험예 2]
물 풀어짐 현상 확인
생리대의 물 풀어짐 현상을 확인하기 위해 실험을 진행하였다. 불투과성 외피에 대해 본 발명의 AC1, AC2, 대조예 1 및 대조예 2를 사용하였다.
물 풀어짐 정도는 변기 내 수압을 감안하여, 물에 넣고 교반하지 않았을 때 풀어짐 현상 발생 여부, 스푼으로 교반한 경우에 풀어짐 현상 발생 여부를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실제 사용 상태를 고려하여, 변기에 넣고 물을 내렸을 때, 변기 막힘 현상이 발생하는지 여부도 확인하였다.
도 3은 물 속에서 풀어짐 현상이 발생한 경우에 대한 예시이며, 도 4는 물 속에서 풀어짐 현상이 발생하지 않은 경우에 대한 예시이다.
도 5는 변기에 본 발명의 생리대를 넣고 물을 내리는 경우, 변기 막힘 현상이 발생한지에 대한 실험 동영상을 캡쳐한 사진이다.
AC1 AC2 대조예 1 대조예 2
물 속 방치
물에 넣고 교반
변기 막힘 여부 X X X X
상기 실험 결과에 따르면, 불투과성 외피를 AC1, AC2, 대조예 1 및 대조예 2로 사용한 경우 모두, 본 발명의 생리대가 모두 풀어짐 현상이 발생함을 확인하였다. 다만, 펄프 흡수체의 경우, 도 4와 같이 단순 물속에서만 방치시킨 경우에는 완전히 풀림 현상이 발생하지 않았으나, 스푼으로 가볍게 교반하면 풀림 현상이 발생함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3]
항균 효과 실험
항균성 평가를 위해, 항균 패드만 달리하고 다른 조건은 모두 동일하게 제조한 생리대에 진균을 접종하고 24시간 경과 후 균의 농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상기 진균은 킨디다 질염의 감염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있다. 해당 진균의 항균 효과 실험을 진행하였다.
초기 농도(CFU/mL) 6시간 후의 log(CFU/mL) 세균 감소율(%)
비교예 1.00ⅹ105 8.00ⅹ105 -
AR1 1.00ⅹ105 8.00ⅹ105 -
AR2 1.00ⅹ105 0 100
AR3 1.00ⅹ105 0 100
AR4 1.00ⅹ105 0 100
(CFU는 균의 수를 개념적으로 표시한 것이다)상기 표 2에 따르면, 항균 패드에 항균 조성물로 코팅하지 않거나, 본 발명의 범위 미만으로 혼합된 항균 조성물을 코팅한 경우에는 진균의 농도가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반면, 본 발명의 항균 조성물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진균 농도가 감소하는 것으로 확인되어 우수한 항균 효과를 확인하였다.
[실험예 4]
관능 평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리대에 대해 20대 여성 15명을 대상으로 3명씩 1군으로 설정하여 5개 군에 대해 관능 평가를 진행하였다.
착용감, 흡수 정도, 냄새 발생 여부 및 생리혈 새는지 여부에 대해 확인을 요청하였다. 점수는 1 내지 5점으로 평가를 요청하였으며, 평가 점수가 높을수록 우수한 평가를 나타낸다.
제공된 생리대는 각각 항균 패드를 AR1 내지 AR4 및 비교예로 제조한 것을 제공하였으며, 항균 패드 이외에는 다른 층은 모두 동일하게 하였다.
AR1 AR2 AR3 AR4 비교예
착용감 5 4.5 4.5 5 4.5
흡수 정도 4.5 5 4.5 5 4.5
냄새 2 4 4.5 5 1
생리혈 유출 여부 5 5 5 5 5
상기 평가 결과에 따르면, 착용감, 흡수정도 및 생리혈의 유출 여부는 모두 우수한 평가를 받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실제 제품으로 판매 시 구입 여부에 대한 희망을 문의한 결과에서도 AR2 내지 AR4군에서는 가격에서 크게 비싸지 않을 경우, 구매 의사가 높다고 평가받았다.
다만, AR1 및 비교예군의 경우, 생리혈의 냄새가 쉽게 느껴져서 냄새에서 매우 낮은 평가를 받았으며, 구매 의사에서도 낮은 평가를 받은 것을 확인하였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8)

  1. 피부에 접촉되어 생리혈을 투과시키는 투과성의 내피;
    내피와 동일한 크기 및 모양으로 이루어져 내피와 융착 결합되는 불투과성 외피;
    내피와 방수외피 사이에 삽입 고정되어 내피를 투과한 생리혈을 흡수하는 펄프 흡수체;
    상기 펄프 흡수체 및 방수 외피 사이에서, 펄프 흡수체에 흡수 후 투과되는 생리혈을 흡수하는 수용성 필름; 및
    상기 방수외피의 하부면에 고정되어 내의 내면과의 점착을 통해 생리대를 고정시키는 점착패드를 포함하며,
    상기 내피, 방수외피, 흡수패드 및 점착패드는 수분해 또는 생분해되는
    수분해성 친환경 생리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수외피는 일면이 흡수패드와 접촉하며,
    다른 일면은 점착패드가 고정되며,
    상기 흡수패드와 접촉하는 방수외피의 일면은 발수 효과로 흡수패드가 흡수한 생리혈의 투과를 방지하며,
    점착패드가 고정된 방수외피의 다른 일면은 물의 흡수가 용이하여 물 속에서 풀어지는
    수분해성 친환경 생리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불투과성 외피는 펄프로 구성되며,
    상기 불투과성 외피의 일면은 콜라겐이 코팅되어 상기 수용성 필름에 흡수된 생리혈이 외부로 새지 않도록 방지하는 것인
    수분해성 친환경 생리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패드는 다수의 흡수층으로 구성되며,
    상기 흡수층은 펄프 소재로 구성되는
    수분해성 친환경 생리대.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패드는 양 측면에 날개부가 형성되며,
    상기 날개부의 일면은 내의 내면과의 점착을 위한 점착층이 형성되는
    수분해성 친환경 생리대.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층은 하이드로카본 레진(Hydrocarbon resin)을 포함하는
    수분해성 친환경 생리대.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피 및 흡수패드 사이에 위치하며,
    내피를 통과한 생리혈이 흡수패드로 흡수되기 전 생리혈의 냄새를 제거할 수 있는 항균패드를 추가로 포함하는
    수분해성 친환경 생리대.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분해성 친환경 생리대는 펄프지 또는 수용성 필름으로 포장되며,
    상기 포장용 펄프지 또는 수용성 필름은 수분해 또는 생분해되는 것인
    수분해성 친환경 생리대.
KR1020200010697A 2020-01-29 2020-01-29 수분해성 친환경 생리대 KR1023831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0697A KR102383114B1 (ko) 2020-01-29 2020-01-29 수분해성 친환경 생리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0697A KR102383114B1 (ko) 2020-01-29 2020-01-29 수분해성 친환경 생리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6969A true KR20210096969A (ko) 2021-08-06
KR102383114B1 KR102383114B1 (ko) 2022-04-04

Family

ID=773154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0697A KR102383114B1 (ko) 2020-01-29 2020-01-29 수분해성 친환경 생리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8311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64476A (ko) 2022-05-25 2023-12-04 김희림 청결 티슈가 결합된 생리대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10014566A1 (en) * 2000-01-06 2001-08-16 Uni-Charm Corporation Water-decomposable absorbent article
US6355022B1 (en) * 1998-05-01 2002-03-1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interlabial device with substance thereon for maintaining the device in position
JP2004208867A (ja) * 2002-12-27 2004-07-29 Unitika Ltd 衛生用品
JP2004215702A (ja) * 2003-01-09 2004-08-05 Tanner Tekku Kenkyusho:Kk 衛生ナプキン、失禁パッド、パンティライナー又はそれらの類似物品の如き吸収製品
KR20070080680A (ko) * 2006-02-08 2007-08-13 (주)시에이피사이언스 허브 조성물이 함유된 기능성 생리대
KR20160022024A (ko) 2014-08-19 2016-02-29 (주) 스리에스엠코리아 티트리, 명반, 맥반석 및 제올라이트 조성물과 고흡수성수지(sap)가 함유된 생리대 제조방법
JP2018508291A (ja) * 2015-03-16 2018-03-29 ザ プロクター アンド ギャンブル カンパニー 改善された強度を有する吸収性物品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55022B1 (en) * 1998-05-01 2002-03-1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interlabial device with substance thereon for maintaining the device in position
US20010014566A1 (en) * 2000-01-06 2001-08-16 Uni-Charm Corporation Water-decomposable absorbent article
JP2004208867A (ja) * 2002-12-27 2004-07-29 Unitika Ltd 衛生用品
JP2004215702A (ja) * 2003-01-09 2004-08-05 Tanner Tekku Kenkyusho:Kk 衛生ナプキン、失禁パッド、パンティライナー又はそれらの類似物品の如き吸収製品
KR20070080680A (ko) * 2006-02-08 2007-08-13 (주)시에이피사이언스 허브 조성물이 함유된 기능성 생리대
KR20160022024A (ko) 2014-08-19 2016-02-29 (주) 스리에스엠코리아 티트리, 명반, 맥반석 및 제올라이트 조성물과 고흡수성수지(sap)가 함유된 생리대 제조방법
JP2018508291A (ja) * 2015-03-16 2018-03-29 ザ プロクター アンド ギャンブル カンパニー 改善された強度を有する吸収性物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83114B1 (ko) 2022-04-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07021098A1 (en) Sanitary napkin containing herbal composition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CN109415857A (zh) 吸收片
US20200383845A1 (en) Biodegradable sanitary napkin and absorbation pad for human body
KR102085567B1 (ko) 수분해성 친환경 생리대
CN110946712B (zh) 具有柔臀健脂护理功能的纸尿裤
JP2007098152A (ja) 衛生用紙
KR102383114B1 (ko) 수분해성 친환경 생리대
KR102160854B1 (ko) 생체적합성 흡수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생리대
KR20190035047A (ko) 개똥쑥 추출물을 포함하는 생리대
JP2008274535A (ja) 不織布及び該不織布の製造方法
JPH04176460A (ja) 床づれ防止の紙布加工品
KR100930135B1 (ko) 기능성 물질을 함유하는 일회용 흡수제품
US20230121410A1 (en) Water-Degradable Environmentally Friendly Sanitary Napkin
JP2019007116A (ja) 母乳パッド
JPH111896A (ja) 衛生シーツ及びその製法
JP2006341105A (ja) 衛生シーツ及びその製造方法
JP4452761B2 (ja) 不織布及び該不織布の製造方法
KR102287203B1 (ko) 흡수성 위생 용품
KR101746604B1 (ko) 커피 성분을 구비한 위생흡수용품
KR20200131139A (ko) 흡수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흡수 패드
JP4839418B2 (ja) 衛生シーツ及びその製法
KR102516379B1 (ko) 수분해성 생리대의 제조 방법 및 이의 제조 방법으로 제조된 수분해성 생리대
JP2005160891A (ja) 衛生生理用品
KR100600839B1 (ko) 허브 고분자 흡수지(SAP sheet) 제조방법
KR20230064887A (ko) 위생패드를 포함하는 키트 및 이를 포함하는 속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