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95994A - 유로판 - Google Patents

유로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95994A
KR20210095994A KR1020207022174A KR20207022174A KR20210095994A KR 20210095994 A KR20210095994 A KR 20210095994A KR 1020207022174 A KR1020207022174 A KR 1020207022174A KR 20207022174 A KR20207022174 A KR 20207022174A KR 20210095994 A KR20210095994 A KR 202100959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
liquid separator
flow path
flow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221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75900B1 (ko
Inventor
루네 슈택
Original Assignee
아우디 아게
폭스바겐 악티엔 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우디 아게, 폭스바겐 악티엔 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아우디 아게
Publication of KR202100959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959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59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59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2Details
    • H01M8/0202Collectors; Separators, e.g. bipolar separators; Interconnectors
    • H01M8/0258Collectors; Separators, e.g. bipolar separators; Interconnectors characterised by the configuration of channels, e.g. by the flow field of the reactant or coola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5/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by gravity, inertia, or centrifugal forces
    • B01D45/04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by gravity, inertia, or centrifugal forces by utilising inertia
    • B01D45/08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by gravity, inertia, or centrifugal forces by utilising inertia by impingement against baffle separ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27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 B01D46/003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including coalescing means for the separation of liquid
    • B01D46/0031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including coalescing means for the separation of liquid with collecting, drain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26Drying gases or vapours
    • B01D53/261Drying gases or vapours by adsorp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082Arrangements for control of reactant parameters, e.g. pressure or concentration
    • H01M8/04089Arrangements for control of reactant parameters, e.g. pressure or concentration of gaseous reactants
    • H01M8/04119Arrangements for control of reactant parameters, e.g. pressure or concentration of gaseous reactants with simultaneous supply or evacuation of electrolyte; Humidifying or dehumidifying
    • H01M8/04156Arrangements for control of reactant parameters, e.g. pressure or concentration of gaseous reactants with simultaneous supply or evacuation of electrolyte; Humidifying or dehumidifying with product water removal
    • H01M8/04164Arrangements for control of reactant parameters, e.g. pressure or concentration of gaseous reactants with simultaneous supply or evacuation of electrolyte; Humidifying or dehumidifying with product water removal by condensers, gas-liquid separators or filt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24Grouping of fuel cells, e.g. stacking of fuel cells
    • H01M8/2465Details of groupings of fuel cells
    • H01M8/2483Details of groupings of fuel cells characterised by internal manifol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298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 H01M8/04313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detection or assessment of variables; characterised by the detection or assessment of failure or abnormal function
    • H01M8/0438Pressure; Ambient pressure; Flow
    • H01M8/04388Pressure; Ambient pressure; Flow of anode reactants at the inlet or inside the fuel cel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298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 H01M8/04313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detection or assessment of variables; characterised by the detection or assessment of failure or abnormal function
    • H01M8/0438Pressure; Ambient pressure; Flow
    • H01M8/04395Pressure; Ambient pressure; Flow of cathode reactants at the inlet or inside the fuel cel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50Fuel cel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Fuel Cell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료 전지의 전극 또는 가스 확산층 상으로 반응물질을 분배하기 위한 유로판(1)에 관한 것으로, 상기 유로판은 가스 유입구(2)와, 유로를 정의하는 복수의 채널(3)을 포함한다. 관류 상태에서 가스 유입구(2)와 유로 사이에는, 채널들(3) 내에서 유동하는 폐가스를 가스 유입구(2)의 방향으로 흡입하게 하는 압력 강하가 존재한다. 또한, 가스 유입구(2)와 유체역학적으로 연결되어 가스로부터 액상수 및/또는 수증기를 분리하기 위한 기액 분리기(4)도 제공되며, 이 기액 분리기는, 기액 분리기(4) 내에서 분리된 가스를 유로로 공급하기 위해 유로와 연결된다. 가스 유입구(2)에서의, 또는 가스 유입구 영역에서의 유동 단면은 기액 분리기(4)에서의, 또는 그 영역에서의 유동 단면보다 더 작다.

Description

유로판
본 발명은 연료 전지의 전극 또는 가스 확산층 상으로 반응물질을 분배하기 위한 유로판(flow field plate)에 관한 것으로, 상기 유로판은 가스 유입구(gas inlet)와; 유로(flow field)를 정의하는 복수의 채널을 포함하고, 이때 관류 상태에서 가스 유입구와 유로 사이에, 채널들 내에서 유동하는 폐가스를 가스 유입구의 방향으로 흡입하게 하는 압력 강하가 존재하며, 상기 유로판은 또한, 가스 유입구와 유체역학적으로 연결되어 가스로부터 액상수 및/또는 수증기를 분리하기 위한 기액 분리기(water-gas separator)를 포함하고, 상기 기액 분리기는 그 안에서 분리된 가스를 유로로 공급하기 위해 유로와 연결되어 있다.
연료 전지 시스템은 통상 복수의 연료 전지로 구성되는 연료 전지 스택을 포함하며, 이 연료 전지 스택에서 애노드측에는 연료가 공급되고 캐소드측에는 캐소드 가스, 통상 공기가 공급된다. 연료 소비를 줄이기 위해, 연료 전지 시스템은 애노드측에 애노드 재순환부를 구비하며, 이때 통상 애노드 배출구 측에 배치되는 애노드 폐가스 라인은 애노드 재순환 라인을 통해 애노드 공급 라인과 연결되고, 그럼으로써 미사용된 연료, 특히 수소가 애노드 공급 라인을 경유하여 다시 연료 전지 스택 내로 유입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보통 애노드 폐가스 라인에는, 가스로부터 액상수를 분리하는 기액 분리기가 할당된다. 애노드 재순환부를 경유하여 다시 애노드 공급 라인으로 공급되는 연료는 통상 이젝터 펌프, 재순환 팬(recirculation fan)과 같은 외부 컴포넌트들을 통해 애노드 공급 라인 내로 유입된다. 이 경우, 상기 외부 컴포넌트들 및 그 연결부에 의해, 열 손실이 발생할 수 있는 추가 표면들이 형성될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외부 컴포넌트들을 통해 압력 손실이 발생하고, 연료 전지 시스템 내부에 추가 장착 공간이 가용해야 하며, 그런 까닭에 연료 전지 시스템의 효율성 및 작동 안정성이 감소한다.
KR 101405737B1호 및 US 2010/0009223A1호는 각각 청구항 제1항의 전제부에 따른 연료 전지 스택을 기술하고 있다. 이 경우, 유로판은 통합된 애노드 재순환부를 구비하고, 이 애노드 재순환부에서 유로판에는 기액 분리기가 할당되고, 복수의 채널을 통해 정의되는 유로와 유로판의 가스 유입구 사이에서 압력 강하가 존재하며, 그럼으로써 채널들 내에서 유동하는 폐가스가 가스 유입구의 방향으로 흡입된다.
본 발명의 과제는, 연료 전지 스택 내에 통합된 효과적인 애노드 재순환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액상수와 가스의 더 효과적인 분리가 가능해지는 유로판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는 청구항 제1항의 특징 상태를 포함하는 유로판에 의해 해결된다. 본 발명의 적합한 개선들을 포함하는 바람직한 구성들은 종속 청구항들에 명시되어 있다.
유로판은 특히, 가스 유입구에서의, 또는 가스 유입구 영역에서의 유동 단면이 기액 분리기 상에서의, 또는 그 영역에서의 유동 단면보다 더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가스 유입구와 기액 분리기 사이의 유동 단면의 확대를 통해, 그 안에서 유동하는 가스/폐가스 혼합물은 감속되며, 그에 따라 기액 분리기 내에서 액상수의 더 효과적인 분리가 가능해진다. 또한, 그렇게 하여, 연료 전지 스택의 애노드 챔버들 내로 액상수의 유입 및 이에 수반되는 손상이 방지된다. 이와 관련하여, 특히 바람직하게는, 가스 유입구와 기액 분리기 사이의 유동 단면이 지속적으로 증가한다. 또한, 한 대안적 실시예에서, 가스 유입구와 기액 분리기 사이의 유동 단면은 하나 또는 복수의 부분 섹션에 대해 증가하지 않으며, 다시 말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거나, 또는 더 작아질 수 있다. 그럼에도, 본 실시예의 경우에서도 기액 분리기의 영역에서의 유동 단면은 가스 유입구에서보다, 또는 가스 유입구 영역에서보다 더 크다.
가스/폐가스의 최대한 간단하게 형성된 유동 가이드를 가능케 하기 위해, 바람직하게는, 채널들의 연장 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연장되는 벽부에 의해 점차 증가하는 유동 단면이 형성된다. 이는 확장되는 유동 가이드를 가능하게 하는 동시에 유로의 채널들 내로의 가스/폐가스 혼합물의 역류를 방지한다.
이와 관련하여, 특히 바람직하게는, 기액 분리기 내에서 분리된 가스를 후속하여 유로의 채널들로 분배하기 위해, 상기 가스가 기액 분리기에 할당된 가장자리측 채널 내로만 안내되는 방식으로, 벽부가 상기 가장자리측 채널까지 경사지게 안내된다. 이는 채널들 내로 분리된 가스 또는 가스/폐가스 혼합물이 역류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와 동시에, 가스/폐가스 혼합물은 기액 분리기에서, 또는 기액 분리기를 통해 안내된다. 이는, 폐가스로부터 액상수 및/또는 수증기가 분리되는 것을 보장한다.
흡입 효과의 증대 및 유동 가이드의 개선을 위해, 특히 바람직하게 제2 벽부가 제공되고, 벽부와 제2 벽부는 서로를 향하도록 그리고/또는 점점 좁아지는 형태로 배치되며, 벽부와 제2 벽부 사이에 통로가 형성된다. 그렇게 하여, 통로를 통해 배출되는 폐가스가 가스 유입구에서 나오는 가스와 혼합될 수 있다. 이는, 그와 동시에, 유로판 위 애노드 재순환부의 컴팩트한 구성과, 폐가스 및 가스/폐가스 혼합물의 효과적인 유동 가이드를 가능하게 한다.
또한, 기액 분리기에는 바람직하게, 기액 분리기 내에 임시 저장된 액상수를 배출시키기 위해, 작동 부재를 구비한 배출구가 할당되며, 기액 분리기 내에서 분리된 가스가 유로로 안내되는 방식으로 배출구와 벽부 사이에 배치된 제3 벽부가 제공된다. 달리 말하면, 배출구와, 기액 분리기에 할당된 가장자리측 채널 사이에 제3 벽부가 배치된다. 벽부 및 제3 벽부는 서로 이격되어 있으며, 서로를 향해 그리고/또는 점점 좁아지는 형태로 배치되며, 이렇게 하여 분리된 가스를 유로 쪽으로 안내하는 유동 가이드를 형성한다. 이와 동시에, 분리된 가스의 역류가 방지되고, 기액 분리기 또는 그 배출구 내로 가스의 유동이 저지된다.
일 실시예에서는 바람직하게, 기액 분리기가 하나 이상의 배플판을 포함한 배플 분리기(baffle separator)로서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복수의 배플판이 제공되며, 이 경우 개별 배플판들은 채널들의 연장 방향에 대해 수직으로 배치된다. 이는, 가스/폐가스 혼합물의 유동 가이드 및 분리 속도를 개선한다. 그 대안으로 또는 그에 보충하여, 배플판들 중 적어도 하나는 채널들의 연장 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기액 분리기는 바람직하게 분리된 액상수를 임시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reservoir)를 포함한다.
한 대안적 실시예에서는 바람직하게, 기액 분리기가 편물 분리기(knitted fabric separator)로서 형성된다. 이 경우, 편물 분리기는 망(net)으로, 특히 플라스틱 망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망 내부에는 분리된 물이 분리되고 집수되어 임시 저장될 수 있다.
그 대안으로, 기액 분리기는, 분리된 액상수가 저장되는 다공성 물질을 함유할 수 있거나 그러한 물질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 다른 대안적 실시예에서, 기액 분리기는 하나 이상의 친수성 또는 흡습성 웨브(web)로서 형성된다. 이는 친수성 웨브들 상에서의 액상수의 분리, 또는 흡습성 웨브들 내에서의 액상수의 분리 및 임시 저장을 가능하게 한다. 바람직하게 기액 분리기는 복수의 친수성 및/또는 흡습성 웨브를 포함한다. 이들 웨브는 바람직하게 채널들의 연장 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형성되며, 이는 기액 분리기의 분리 표면의 확대를 수반한다.
더 나아가, 유로판 내로 신선한 연료의 더 효과적인 공급을 위해, 바람직하게는 가스 유입구에 이젝터가 할당된다. 이 경우, 이젝터는 바람직하게 노즐로서 형성될 수 있다.
명세서에서 상기에 언급한 특징들 및 특징 조합들, 그리고 하기에서 도면 설명에 언급되고 그리고/또는 도면들에 단독으로 도시된 특징들 및 특징 조합들은,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각각 명시된 조합으로뿐만 아니라 다른 조합들로도, 또는 단독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도면들에 명확하게 도시되거나 설명되어 있지 않더라도, 설명된 실시예들로부터 분리된 특징 조합들을 통해 도출되고 생성될 수 있는 실시예들도 본 발명에 포함되고 개시된 것으로서 간주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장점들, 특징들 및 세부사항들은 특허청구범위, 하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의 설명, 그리고 도면들에서 참조할 수 있다.
도 1은 배플 분리기로서 형성된 기액 분리기를 구비한 유로판의 제1 실시예의 개략도이다.
도 2는 편물 분리기로서 형성된 기액 분리기를 구비한 유로판의 제2 실시예의 개략도이다.
도 3은 복수의 친수성 또는 흡습성 웨브를 포함하는 기액 분리기를 구비한 유로판의 제3 실시예의 개략도이다.
도 4는 유로판들을 포함하는 복수의 연료 전지를 구비한 연료 전지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는, 연료 전지의 전극 또는 가스 확산층 상으로 반응물질을 분배하기 위한, 가스 유입구(2)를 구비한 유로판(1)이 도시되어 있다. 유로판(1) 상에는, 유로를 정의하는 복수의 채널(3)이 배치되며, 관류 상태에서 가스 유입구(2)와 유로 사이에 압력 강하가 존재한다. 상기 압력 강하는, 채널들(3) 내에서 유동하는 폐가스가 가스 유입구(2)의 방향으로 흡입되게 한다. 유로판(1) 상에는 또한, 가스로부터, 특히 폐가스로부터 액상수 및/또는 수증기를 분리하기 위한 기액 분리기(4)도 배치되며, 이 기액 분리기(4)는, 기액 분리기(4) 내에서 분리된 가스를 유로로 다시 공급하기 위해, 유로와 유체역학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달리 말하면, 유로판(1)은, 연료 전지 내에 통합된, 혹은 연료 전지 내부에서의 효과적인 애노드 재순환을 가능하게 한다. 압력 강하를 통해, 유로의 채널들(3)로부터 폐가스가 흡입되어, 가스 유입구(2)에서 나오는 신선한 연료와 혼합된다. 상기 가스/폐가스 혼합물은 기액 분리기(4)로 공급되고, 이때 가스/폐가스 혼합물로부터 액상수 및/또는 수증기가 분리되어 기액 분리기(4) 내에 수집된다. 분리된 가스는 기액 분리기(4)에서부터 다시 유로로 안내되며, 그에 따라 연료 전지 스택(16)의 애노드 챔버들 내로 유입된다. 가스 유입구(2)에서의, 또는 가스 유입구 영역에서의 유동 단면이 기액 분리기(4)에서의, 또는 그 영역에서의 유동 단면보다 더 작다.
여기서, 가스 유입구(2)와 기액 분리기(4)의 분리 요소들(25) 사이의 유동 단면은 지속적으로 증가한다. 기액 분리기(4) 자체 내부에서는 기액 분리기의 배출구(9)의 방향으로 갈수록 유동 단면이 다시 감소한다. 그럼에도, 가스 유입구에서의 유동 단면이 기액 분리기(4)의 배출구(9)에서보다 더 작다. 이 경우, 분리 요소들(25)의 방향으로의 유동 단면의 증가가 가스/폐가스 혼합물의 감속을 가능하게 하며, 그럼으로써 가스로부터, 다시 말해 특히 연료로부터의 액상수 및/또는 수증기의 분리가 개선된다. 이는, 유로의 채널들(3) 내로의 액상수의 침입뿐만 아니라 채널들(3) 내부에서의 수증기 응축도 방지하며, 이로써 애노드의 손상 및 그에 따라 연료 전지의 손상도 방지되거나 감소한다.
이 경우, 증가하는 유동 단면은, 채널들(3)의 연장 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연장되는 벽부(5)에 의해 형성된다. 이 경우, 기액 분리기(4) 내에서 분리된 가스가 후속하여 유로의 채널들(3)로 분배되도록, 기액 분리기(4)에 할당된 가장자리측 채널(6) 내로만 안내되는 방식으로, 상기 벽부(5)가 가장자리측 채널(6)까지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가스 가이드는 유로의 채널들(3) 내로의 가스/폐가스 혼합물의 유동 또는 역류도 방지한다. 이와 동시에 가스/폐가스 혼합물의 감속이 달성되며, 그럼으로써 분리 속도가 개선된다. 이 경우, 가스 및 가스/폐가스 혼합물의 유동 가이드(22)는 도 1 내지 도 3에서 점선으로 도시되어 있다.
더 나아가, 제2 벽부(7)가 제공되며, 벽부(5)와 제2 벽부(7)는 서로를 향하도록 그리고 점점 좁아지는 형태로 배치된다. 벽부(5)와 제2 벽부(7) 사이에는 통로(8)가 형성된다. 이 통로(8)는 다시 가스 유입구(2)를 향하는, 또는 가스 유입구 근처까지의 유동 가이드(22)를 가능하게 하며, 그리하여 유입구 영역에서 가스 유입구(2)를 경유하여 공급되는 가스와 폐가스의 혼합을 가능하게 한다. 이 경우, 제2 벽부(7)는 바람직하게 제2 가장자리측 채널(18)에 대해 경사지게 배치된다. 더 나아가, 제3 벽부(13)도 제공된다. 상기 제3 벽부는, 기액 분리기(4) 내에서 분리된 가스가 유로로 안내되고, 분리된 가스의 역류가 방지되도록, 기액 분리기(4)에 할당된 배출구(9)와 벽부(5) 사이에 배치된다. 또한, 배출구(9)에는, 기액 분리기(4) 내에 집수된 액상수를 배출시키기 위해 작동 부재(10)가 할당된다.
도 1의 실시예의 경우, 기액 분리기(4)는 복수의 배플판(14)을 포함한 배플 분리기로서 형성되어 있으며, 예시적으로 도시된 배플판들(14) 중 2개는 채널들(3)의 연장방향에 대해 수직으로 배치되어 있다. 배플판들(14) 중 하나의 추가 배플판은 채널들(3)의 연장 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그리고 벽부(5)에 대해 거의 평행하게 배치되며, 그럼으로써 기액 분리기(4)에서부터 가장자리측 채널(6) 쪽으로의 유동 가이드(22)가 가능해진다.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기액 분리기(4)는 편물 분리기로서 형성된다. 여기서 편물 분리기는 망, 특히 플라스틱 망을 포함한다. 물은 망에서 분리되어 상기 망 내에 임시 저장된다.
도 3에는, 기상 분리기(4)가 복수의 친수성 또는 흡습성 웨브(17)를 포함하는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벽부(5)에 대해 거의 평행하게 배치된 상기 웨브들(17) 상에서 액상수 및/또는 수증기가 분리될 수 있다. 또한, 웨브들(17)이 흡습성 웨브들(17)로서 형성된다면, 분리된 물이 상기 흡습성 웨브들(17) 내에 흡수되어 임시 저장될 수 있다.
도 4에는, 앞에서 기술한 하나 이상의 유로판(1)을 각각 구비하며, 스택 형태로 배치된, 상세히 도시되지 않은 복수의 연료 전지를 포함하는 연료 전지 스택(16)을 가진 연료 전지 시스템(2)이 도시되어 있다. 상세히 도시되지 않은 연료 전지들 각각에 각각 하나의 애노드 및 하나의 캐소드가 할당되며, 애노드와 캐소드는 이온 전도성 폴리머 전해질 멤브레인에 의해 서로 분리되어 있다. 또한, 2개의 상기 멤브레인 전극 어셈블리 사이에는 각각 양극판으로서 형성된 유로판(1)이 배치되며, 이 유로판은 애노드 및 캐소드 쪽으로 반응물질을 공급하기 위해 이용되고, 나아가 개별 연료 전지들 간의 전기 연결부를 형성한다. 각각의 전극과 유로판(1) 사이에는 가스 확산층이 배치될 수 있다.
연료 전지 스택(16)에 연료를 공급하기 위해, 연료 전지 스택(16)은 애노드측에서, 바람직하게는 리큐퍼레이터(recuperator) 형태의 열 교환기(29)를 통해 애노드 저장부(19)에서 유래하는 수소 함유 애노드 가스를 공급하기 위한 애노드 공급 라인(20)과 연결된다. 연료 전지 스택(16)의 애노드측에서의 애노드 작동 압력은 애노드 공급 라인(20) 내 애노드 작동 부재(28)를 통해 조절될 수 있다. 애노드 배출구 측에는 애노드 폐가스 라인(24)이 제공되며, 이 애노드 폐가스 라인 내에서는 연료 전지 스택(16)으로부터, 유로판(1) 상에서 또는 그 내부에서 분리된 액상수가 유출되어 연료 전지 스택(16)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그 대안으로, 상기 방식으로 유출된 액상수는 캐소드 가스의 습윤을 위해 액체 공급 라인(23)을 이용하여 캐소드측에 공급될 수 있다. 이때, 애노드 폐가스 라인(24)은 액체 공급 라인(23)과 유체역학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액체 공급 라인은 다시 압축기(26)의 하류 및 가습기(15)의 상류에서 건조 공급 라인(11)과 연결되어 있다. 이는, 애노드측에서 발생하는 액상수를 캐소드 가스의 습윤을 위해 가습기(15)로 공급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여기서는, 애노드 내에서 발생하여 유로판(1) 상에서 분리된 액상수가 가습기(15)의 상류에서 캐소드 배출구 측에 배치된 캐소드 폐가스 라인(31)으로도 공급될 수 있다. 이는 마찬가지로 캐소드 가스의 습윤을 위해 가습기(15) 내로 액상수가 공급될 수 있게 한다.
캐소드측에서는 연료 전지 스택(16)이 산소 함유 캐소드 가스의 공급을 위해 캐소드 공급 라인(30)과 연결된다. 캐소드 가스의 이송 및 압축을 위해, 캐소드 공급 라인(30)의 상류에 압축기(26)가 연결된다. 도시된 구성에서, 압축기(26)는 주로 전기 모터로 구동되는 압축기(26)로서 형성되며, 압축기의 구동은 상응하는 전력 전자 시스템을 구비한, 별도로 도시되지 않은 전기 모터를 통해 수행된다. 캐소드 공급 라인은 여기서 2개의 섹션으로, 요컨대 가습기(15)와 압축기(26)를 유체역학적으로 연결하는 건조 공급 라인(11)과, 연료 전지 스택(16)과 가습기(15)를 유체역학적으로 연결하는 캐소드 공급 라인(30)으로 분리되어 있다.
압축기(26)를 통해, 주변환경에서 흡입된 캐소드 가스가 곧바로 캐소드 공급 라인(30)을 경유하여 연료 전지 스택(16) 쪽으로 안내된다. 또한, 캐소드 공급 라인(30)을 통해 유동하는 캐소드 가스 질량 유량을 조절하기 위해 바이패스 라인(12)이 제공되며, 이 바이패스 라인은 가습기 배출구 측에 배치된 가습기 배출 라인(32)과 건조 공급 라인(11)을 유체역학적으로 연결한다.
1: 유로판
2: 연료 전지 시스템
3: 채널
4: 기액 분리기
5: 벽부
6: 가장자리측 채널
7: 제2 벽부
8: 통로
9: 배출구
10: 작동 부재
11: 건조 공급 라인
12: 바이패스 라인
13: 제3 벽부
14: 배플판
15: 가습기
16: 연료 전지 스택
17: 웨브
18: 제2 가장자리측 채널
19: 애노드 저장부
20: 애노드 공급 라인
21: 이젝터
22: 유동 가이드
23: 액체 공급 라인
24: 애노드 폐가스 라인
25: 분리 요소
26: 압축기
28: 애노드 작동 부재
29: 열 교환기
30: 캐소드 공급 라인
31: 캐소드 폐가스 라인
32: 가습기 배출 라인

Claims (10)

  1. 연료 전지의 전극 또는 가스 확산층 상으로 반응물질을 분배하기 위한 유로판(1)으로서, 가스 유입구(2)와; 유로를 정의하는 복수의 채널(3)로서, 관류 상태에서 상기 가스 유입구(2)와 유로 사이에, 채널들(3) 내에서 유동하는 폐가스를 가스 유입구(2)의 방향으로 흡입하게 하는 압력 강하가 존재하는, 복수의 채널(3)과; 가스 유입구(2)와 유체역학적으로 연결되어 가스로부터 액상수 및/또는 수증기를 분리하기 위한 기액 분리기(4)로서, 기액 분리기(4) 내에서 분리된 가스를 유로로 공급하기 위해 유로와 연결되어 있는 기액 분리기(4);를 포함하는 유로판에 있어서,
    가스 유입구(2)에서의, 또는 가스 유입구 영역에서의 유동 단면이 기액 분리기(4) 상에서의, 또는 그 영역에서의 유동 단면보다 더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로판(1).
  2. 제1항에 있어서, 가스 유입구(2)와 기액 분리기(4) 사이의 유동 단면은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로판(1).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증가하는 유동 단면은, 채널들(3)의 연장 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연장되는 벽부(5)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로판(1).
  4. 제3항에 있어서, 기액 분리기(4) 내에서 분리된 가스가 후속하여 유로의 채널들(3)로 분배되게 하기 위해, 상기 가스가 기액 분리기(4)에 할당된 가장자리측 채널(6) 내로만 안내되는 방식으로, 벽부(5)가 상기 가장자리측 채널(6)까지 경사지게 안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로판(1).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제2 벽부(7)가 제공되고, 벽부(5)와 제2 벽부(7)는 서로를 향하도록 배치되며, 벽부(5)와 제2 벽부(7) 사이에 통로(8)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로판(1).
  6. 제3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기액 분리기(4)에는, 기액 분리기(4) 내에 임시 저장된 액상수를 배출시키기 위해, 작동 부재(10)를 구비한 배출구(9)가 할당되며, 기액 분리기(4) 내에서 분리된 가스가 유로로 안내되는 방식으로 배출구(9)와 벽부(5) 사이에 배치된 제3 벽부(13)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로판(1).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기액 분리기(4)는 하나 이상의 배플판(14)을 포함한 배플 분리기로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로판(1).
  8.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기액 분리기(4)는 편물 분리기로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로판(1).
  9.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기액 분리기(4)는 하나 이상의 친수성 또는 흡습성 웨브(17)로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로판(1).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가스 유입구(2)에는 이젝터(21)가 할당되며, 이 이젝터(21)는 노즐로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로판(1).
KR1020207022174A 2019-05-08 2020-03-24 유로판 KR10257590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9206577.5 2019-05-08
DE102019206577.5A DE102019206577A1 (de) 2019-05-08 2019-05-08 Flussfeldplatte
PCT/EP2020/058140 WO2020224860A1 (de) 2019-05-08 2020-03-24 Flussfeldplatt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5994A true KR20210095994A (ko) 2021-08-04
KR102575900B1 KR102575900B1 (ko) 2023-09-07

Family

ID=700084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22174A KR102575900B1 (ko) 2019-05-08 2020-03-24 유로판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855310B2 (ko)
JP (1) JP7011077B2 (ko)
KR (1) KR102575900B1 (ko)
CN (1) CN112204784A (ko)
DE (1) DE102019206577A1 (ko)
WO (1) WO202022486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75240A1 (ko) * 2021-10-27 2023-05-04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배터리 팩, 이를 포함하는 에너지 저장 장치 및 자동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22206863A1 (de) 2022-07-05 2024-01-11 Mahle International Gmbh Brennstoffzellensystem und Betriebsverfahren
DE102022206868A1 (de) 2022-07-05 2024-01-11 Mahle International Gmbh Brennstoffzellensystem und Betriebsverfahren
DE102022212778A1 (de) 2022-11-29 2024-05-29 Robert Bosch Gesellschaft mit beschränkter Haftung Zellenstapel von elektrochemischen Zell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26526A (ja) * 2007-07-18 2009-02-05 Toyota Motor Corp 燃料電池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81467B2 (ja) * 1996-03-29 2005-08-10 株式会社エクォス・リサーチ 燃料電池発電装置およびその運転方法
JP2002280028A (ja) 2001-03-19 2002-09-27 Nissan Motor Co Ltd 燃料電池
JP4506193B2 (ja) * 2004-02-19 2010-07-2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燃料電池
JP2008311099A (ja) * 2007-06-15 2008-12-25 Honda Motor Co Ltd 燃料電池スタックの流路構造および燃料電池スタック用セパレータ
KR101405737B1 (ko) 2008-03-04 2014-06-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이젝터 내장형 연료전지 시스템
US20100009223A1 (en) 2008-06-23 2010-01-14 Nuvera Fuel Cells, Inc. Fuel cell stack with integrated process endplates
KR101628458B1 (ko) * 2014-05-16 2016-06-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연료전지 셀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26526A (ja) * 2007-07-18 2009-02-05 Toyota Motor Corp 燃料電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75240A1 (ko) * 2021-10-27 2023-05-04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배터리 팩, 이를 포함하는 에너지 저장 장치 및 자동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224860A1 (de) 2020-11-12
CN112204784A (zh) 2021-01-08
US20220059853A1 (en) 2022-02-24
DE102019206577A1 (de) 2020-11-12
KR102575900B1 (ko) 2023-09-07
US11855310B2 (en) 2023-12-26
JP2021526706A (ja) 2021-10-07
JP7011077B2 (ja) 2022-0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75900B1 (ko) 유로판
US764553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humidification of the membrane of a fuel cell
US6921601B2 (en) Fuel cell stack humidification method incorporating an accumulation device
JP2011517838A (ja) マニホルド・サンプを備えたバイポーラプレートおよび燃料電池
JP6839620B2 (ja) 気液分離器
WO2004004048A1 (ja) 燃料電池
US10811703B2 (en) Heat exchanger and fuel cell system
US9306227B2 (en) Fuel cell and flow field plate for fluid distribution
JP6839621B2 (ja) 気液分離器
JP5145680B2 (ja) 燃料電池セパレータ
US11145878B2 (en) Flow field of a fuel cell
CN106935883A (zh) 燃料电池系统
JP2004185944A (ja) 固体高分子形燃料電池
KR101167796B1 (ko) 연료 전지를 위한 캐스캐이드 연료 입구 매니폴드
JP2007234387A (ja) 燃料電池の希釈装置
JP6480857B2 (ja) 燃料電池システム
KR101724972B1 (ko) 연료전지 셀
US7879503B2 (en) Fuel cell stack including bypass
JP4925078B2 (ja) 固体高分子形燃料電池
KR20180076671A (ko) 연료전지용 가습냉각 장치
JP5366999B2 (ja) 燃料電池システム
KR102558346B1 (ko) 반응물을 가습하기 위한 방법 및 이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연료 전지 시스템
JP7254850B2 (ja) 燃料電池システム
KR20180080324A (ko) 바이폴라 플레이트를 갖는 연료 전지 스택, 및 연료 전지 시스템
JP2011175807A (ja) 車載用燃料電池スタッ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